KR102419367B1 - 스케일 프리 증발 냉각기 - Google Patents

스케일 프리 증발 냉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367B1
KR102419367B1 KR1020170166452A KR20170166452A KR102419367B1 KR 102419367 B1 KR102419367 B1 KR 102419367B1 KR 1020170166452 A KR1020170166452 A KR 1020170166452A KR 20170166452 A KR20170166452 A KR 20170166452A KR 102419367 B1 KR102419367 B1 KR 102419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ter
control
filter unit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6744A (ko
Inventor
이수영
이동근
임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170166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367B1/ko
Publication of KR20190066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35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02F1/4691Capacitive deion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08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5/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using the cooling effect of natural or forced evapo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4Free-cool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증발 냉각기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공기가 배출되는 유출구를 구비하는 열교환부; 유입구를 통해 열교환부로 유입된 공기가, 열교환부로 공급된 물에 의해 냉각된 후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열교환부로 물을 공급하는 공수부; 공수부에서 열교환부로 공급될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저장부로 공급되는 물 또는 저장부에 저장된 물 중의 이온성 물질을 전기 탈이온 방식으로 제거하는 필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케일 프리 증발 냉각기 {SCALE-FREE EVAPORATIVE COOLER}
본 발명은 스케일 프리 증발냉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냉방 장치들은 냉매를 사용하며, 냉매는 오존층 파괴와 지구 온난화의 주범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물의 증발 시 발생하는 잠열을 이용하여 냉방을 수행하는 증발 냉각기가 사용되고 이다.
증발 냉각기를 통한 냉방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증발될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필요가 있는데, 물은 탱크 등에 저장되어 계속 순환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공급되는 수돗물 등의 물에는 보통 칼슘 이온이 포함되어 있다. 물 속의 칼슘 이온은 열에 의해 탄산 칼슘으로 석출될 수 있으며, 석출된 탄산 칼슘은 물이 유동하는 파이프 등 증발 냉각기의 내부 구조에 고착될 수 있다(스케일의 발생). 이와 같은 고착으로 인해 파이프 등에는 균열(크랙)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증발 냉각기의 내구성의 악화나, 수명의 감소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스케일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스케일 프리 증발 냉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예에서, 스케일 프리 증발 냉각기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공기가 배출되는 유출구를 구비하는 열교환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열교환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열교환부로 공급된 물에 의해 냉각된 후 상기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열교환부로 상기 물을 공급하는 공수부; 상기 공수부에서 상기 열교환부로 공급될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전단에 연결되고, 상기 저장부로 공급되는 물 또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 중의 이온성 물질을 전기 탈이온 방식으로 제거하는 필터부; 증발 냉각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필터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1 공급 유로와, 상기 필터부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저장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제2 공급 유로와, 상기 제1 공급 유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 공급 유로와 연통하는 바이패스 유로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와 상기 제1 공급 유로의 접점과 상기 필터부 사이의 상기 제1 공급 유로에서 분기되어 물이 외부로 배수되도록 안내하는 배수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터부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는 물 중의 상기 이온성 물질을 전극을 통해 제거하는 제거모드와, 상기 전극을 재생하는 재생모드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상기 필터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거모드 시에, 상기 제1 공급 유로를 따라 유동하던 물이 상기 바이패스 유로로 바이패스되지 않고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2 공급 유로를 통해 상기 저장부로 유입되게 하고, 상기 재생모드 시에, 상기 제1 공급 유로를 따라 유동하던 물이 상기 바이패스 유로로 바이패스된 후 상기 필터부의 후단으로 유입되어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며 상기 필터부의 전단으로 배출된 뒤 상기 필터부의 전극에서 탈착된 이온성 물질과 함께 상기 배수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수되게 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 탈이온 방식의 필터부를 통해 물 중의 이온성 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증발 냉각기의 작동 중에 스케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증발 냉각기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증발 냉각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CDI 방식에서 이온이 제거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는 개념도이다.
도 3은 CDI 방식에서 전극이 재생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증발 냉각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증발 냉각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스케일 프리 증발 냉각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증발 냉각기는 열교환부(10), 공수부(20), 저장부(30), 필터부(40) 및 증발 냉각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열교환부(10)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와,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유출구(19)를 구비한다.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후술할 물과 열교환되어 냉각된 후 유출구(19)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열교환부(10)의 내부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공수부(20)는 열교환부(10)로 물을 공급한다. 공수부(20)에서 열교환부(10)로 공급된 물은 증발되면서 증발 잠열이 발생하고,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증발 잠열에 의해 냉각된 후, 유출구(19)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공수부(20)는 증발에 따른 냉각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분사하는 형태로 물을 열교환부(10)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공수부(20)에서 공급된 물은, 열교환부(10)의 내부 구조에 따라, 유출구(19)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직접 공급되어, 냉각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고, 유출구(19)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로와 인접한 유로에서 유동하는 공기를 냉각시킨 후, 냉각된 공기가 유출구(19)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다시 냉각시키게 할 수도 있다.
저장부(30)에는 공수부(20)에서 공급될 물이 저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증발 냉각기는, 공수부(20)에서 물이 공급되도록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을 공수부(20)로 압송하는 작동 펌프(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은 작동 펌프(83)가 작동하면 공수부(20)로 압송되어 열교환부(1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공수부(20)는 열교환부(10)의 상측에 마련되고, 저장부(30)는 열교환부(10)를 사이에 두고 공수부(20)의 반대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즉, 공수부(20)에서 공급된 물 중 열교환부(10)에서 증발되지 않은 물은, 다시 저장부(30)로 회수될 수 있다. 저장부(30)로 회수된 물은 다시 공수부(20)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은 저장부(30), 공수부(20) 및 열교환부(10)를 순환하면서 반복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순환하는 물 속에는 보통 칼슘 이온(Ca2 +)이 포함되어 있다. 물 속의 칼슘 이온은 열에 의해 탄산 칼슘(CaCO3)으로 석출될 수 있다. 석출된 탄산 칼슘은 물이 유동하는 파이프 등 증발 냉각기의 내부 구조에 고착될 수 있다. 탄산 칼슘의 고착은 파이프 등에 균열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는 증발 냉각기의 내구성의 악화나, 수명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필터부(40)는 저장부(30)로 공급되는 물 또는 저장부(30)에 저장된 물 중의 이온성 물질을 전기 탈이온 방식으로 제거한다. 전해질 중의 하전입자에 직류전압이 작용하면, 양의 하전입자는 음극으로 이동하고, 음의 하전입자는 양극으로 이동한다. 이를 전기영동(electrophoresis)이라 한다. 전기 탈이온 방식은 전기영동의 원리를 바탕으로 전극이나 이온교환막 등을 통해서 물 속의 이온(이온성 물질)을 선택적으로 흡착하거나 이동시켜 제거하는 방식을 말한다.
증발 냉각기의 작동 중에 열교환부(10)에서 물의 증발이 발생하기 때문에, 저장부(30)에는 증발된 물의 부피만큼 물을 보충할 필요가 있다. 이때 저장부(30)로 보충되는 물은 먼저 필터부(40)로 공급되어, 필터부(40)에서 물 속의 이온성 물질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제거된 후에 저장부(3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부(30), 공수부(20) 및 열교환부(10)를 순환하는 물 속의 이온성 물질을 최소화함으로써, 파이프 등에 탄산 칼슘이 고착되어 균열을 발생시켜 증발 냉각기의 내구성이 악화되거나 수명이 감소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전기 탈이온 방식에는, ED(Electrodialysis), EDI(Electro Deionization), CEDI(Continuous Electro Deionization), CDI(Capacitive Deionization) 등의 방식이 있다. ED 방식의 필터부는 전극과 이온교환막을 구비한다. 그리고 EDI 방식의 필터부는 전극, 이온교환막 및 이온교환수지를 구비한다. 이에 반해 CDI 방식의 필터부는 이온교환막이나 이온교환수지를 구비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필터부는 전기 탈이온 방식 중 축전식 탈이온(CDI) 방식으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CDI 방식은 전기적인 힘에 의해, 전극의 표면에서 이온(또는 이온성 물질)이 흡착되고 탈착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이온을 제거하는 방식을 말한다.
도 2는 CDI 방식에서 이온이 제거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는 개념도이다. 도 3은 CDI 방식에서 전극이 재생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는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극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이온을 포함하는 물이 전극의 사이를 통과하면, 음이온은 양극으로 이동하게 되고, 양이온은 음극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흡착이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은 흡착으로 물 중에서 이온이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부(40)가, 필터부(40)를 통과하는 물 중의 이온(이온성 물질)을 전극을 통해 제거하는 모드를 이하에서 제거모드라고 한다.
그런데 전극의 흡착 용량은 제한적이다. 따라서 흡착이 계속되면 전극은 더 이상 이온을 흡착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를 막기 위해, 전극에 흡착된 이온을 탈착시켜 전극을 재생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극에 제거모드 때와는 반대 전압을 인가하거나, 전압을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부(40)가 전극을 재생하는 모드를 이하에서 재생모드라 한다. 재생모드는 제거모드의 전이나 후에 수행될 수 있는데, 재생모드와 제거모드 사이의 시간 간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는, 필터부(40)가 제거모드와 재생모드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필터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전극에 공급되는 전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제거모드 시에 필터부(40)에서 제거되는 이온성 물질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전극에 공급되는 전력의 크기가 클수록 전극에서 이온을 흡착하는 힘이 강해지기 때문에, 물의 유량, 물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비율이 동일하다면, 큰 전력이 공급된 전극에서 더 많은 이온을 흡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필터부(40)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제거모드 시의 제거율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제거율이란, 필터부(40)를 통과하는 이온성 물질의 양에 대한 필터부(40)에서 제거되는 이온성 물질의 양의 비율을 의미한다.
필터부(40)가 수용할 수 있는 물의 용량은 일정한데, 물의 유량이 적을수록 물의 유속이 느려지기 때문에, 물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비율 및 전극에 공급되는 전력의 크기가 동일하다면, 물의 유량이 적을수록 물이 필터부(40)를 통과하는 시간이 길어져 상대적으로 더 많은 이온성 물질이 전극에 흡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거율이 상승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증발 냉각기는 필터부(4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1 공급 유로(51), 필터부(40)에서 배출된 물을 저장부(30)로 유입시키기 위한 제2 공급 유로(52),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이 공수부(20)로 유동하기 위한 작동 유로(53), 제2 공급 유로(52)에서 분기되어, 필터부(40)에서 배출된 물을 외부로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 유로(55) 및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이 저장부(30)에서 필터부(40)의 전단으로 유동하기 위한 순환 유로(57)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증발 냉각기는, 제1 공급 유로(51)에 마련되어 제1 공급 유로(51)를 개폐하는 제1 공급 밸브(61), 제2 공급 유로(52) 및 배수 유로(55)에 마련된 밸브부(62, 65), 작동 유로(53)에 마련되어 작동 유로(53)를 개폐하는 작동 밸브(63) 및 순환 유로(57)에 마련되어 순환 유로(57)를 개폐하는 순환 밸브(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밸브부(62, 65)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공급 유로(52)와 배수 유로(55)의 접점을 기준으로 하류 측에 마련된 제2 공급 밸브(62)와, 배수 유로(55)에 마련된 배수 밸브(65)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밸브부는, 제2 공급 유로(52)와 배수 유로(55)의 접점에 마련되어 필터부(40)에서 배출된 물을 저장부(30)로 유동시키거나 또는 배수 유로(55)로 유동시키는 삼방밸브(미도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증발 냉각기의 제어 방법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증발 냉각기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거모드와 재생모드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는 필터부(40)가 제거모드와 재생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필터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실시예 1에 따른 증발 냉각기의 제거모드와 재생모드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어부는 제거모드 시에, 제1 공급 밸브(61) 및 제2 공급 밸브(62)를 통해 제1 공급 유로(51)와 제2 공급 밸브(62)는 개방하고, 배수 밸브(65)를 통해 배수 유로(55)는 폐쇄하여, 제1 공급 유로(51)를 통해 필터부(40)로 공급된 물이 필터부(40)에서 이온성 물질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제거된 후 제2 공급 유로(52)를 통해 저장부(30)로 유입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필터부(40)에 의한 제거모드의 수행 중에, 전극이 흡착할 수 있는 흡착 용량이 한계에 도달하면, 필터부(40)가 재생모드를 수행하도록 필터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재생모드 시에, 제2 공급 밸브(62)를 통해 제2 공급 유로(52)는 폐쇄하고 배수 밸브(65)를 통해 배수 유로(55)는 개방하여 필터부(40)에서 배출된 물이 외부로 배수되도록 밸브부(62, 65)를 제어할 수 있다. 재생모드 시에 필터부(40)에서 배출된 물은 필터부(40)의 전극에서 탈착된 이온성 물질과 함께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냉각제어
사용자에 의해 증발 냉각기의 작동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는 공수부(20)에서 열교환부(10)로 물이 공급되어 공기가 냉각되게 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를 냉각제어라고 한다.
제어부는 냉각제어의 수행 시에, 작동 밸브(63)를 제어하여 작동 유로(53)를 개방하고, 작동 유로(53)에 마련된 작동 펌프(83)를 작동시켜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이 공수부(20)로 압송되게 할 수 있다. 공수부(20)에서 열교환부(10)로 공급된 물은 열교환부(10)에서 증발하면서 열교환부(10)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때, 열교환부(10)에서 물이 증발함에 따라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의 부피는 점차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는 제1 공급 밸브(61)를 통해 제1 공급 유로(51)를 개방하여 물이 필터부(40)로 공급되게 하는 것이고, 필터부(40)로 공급된 물은 필터부(40)에서 이온성 물질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제거된 상태로 저장부(3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냉각제어를 수행하는 중에도, 필터부(40)가 제거모드와 재생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필터부(40)를 계속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필터부(40)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은, 열교환부(10)에서 증발하는 물의 유량과, 필터부(40)가 재생모드를 수행할 때 외부로 배수되는 물의 유량에 기초해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의 부피는 소정 부피 이상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필터부(40)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은 열교환부(10)에서 증발하는 물의 유량과 재생모드 시에 외부로 배수되는 물의 유량의 합 이상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순환제어
물이 필터부(40)를 통과할 때, 필터부(40)에서 제거할 수 있는 이온성 물질의 양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필터부(40)가 수용할 수 있는 물의 용량이 클수록, 그리고 필터부(40)에 마련된 전극의 면적이 넓을수록 많은 양의 이온성 물질을 흡착할 수 있으나, 필터부(40)가 차지하는 공간도 제한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물이 필터부(40)를 통과할 때 물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을 100% 제거할 수 있을 만큼 필터부(40)의 크기를 형성하는 것을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필터부(40)의 제거율은 100%에 도달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며, 제어부가 냉각제어를 수행할 때, 저장부(30)에는 필터부(40)에서 제거되지 못한 이온성 물질이 농축될 수 있다.
이에 제어부는, 저장부(30)에 저장된 물 중의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이 필터부(40)의 전단으로 공급된 후 필터부(40)를 통과하여 저장부(30)로 회수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를 순환제어라고 한다.
제어부는 순환제어를 수행할 때, 순환 밸브(67)를 통해 순환 유로(57)는 개방하고, 제1 공급 유로(51)의 일부를 폐쇄하여 제1 공급 유로(51)로 공급되던 물이 필터부(40)로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공급 밸브(61)는 제1 공급 유로(51)와 순환 유로(57)의 접점을 기준으로 상류 측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순환 유로(57)에 마련된 순환 펌프(87)를 작동시켜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을 필터부(40)로 유입시킨 후, 이온성 물질이 제거된 물이 다시 저장부(30)로 회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필터부(40)가 여전히 제거모드와 재생모드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도록 필터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가 순환제어를 수행하다가 필터부(40)의 전극에 재생이 요구되는 경우, 순환 밸브(67)를 통해 순환 유로(57)는 폐쇄하고, 순환 펌프의 작동을 중지시킨 후, 제1 공급 밸브(61)를 통해 제1 공급 유로(51)를 개방하고 필터부(40)가 재생모드를 수행하도록 필터부(40)를 제어하여, 공급된 물이 전극에서 탈착된 이온성 물질과 함께 외부로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전극의 재생이 완료되면, 제어부는 다시 제1 공급 유로(51)의 일부를 폐쇄하고 순환 유로(57)는 개방한 후, 순환 펌프를 작동시켜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의 순환이 재개되도록 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물의 TDS가 낮은 지역에서의 증발 냉각기의 제어 방법
증발 냉각기의 사용을 위해 저장부(30)로 공급되는 물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양은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그리고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저장부(30)로 공급되는 물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양은 크게 변하지 않는다.
한편, 물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양을 직접 획득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그런데 물의 TDS(총용존고형물)가 높다는 것은 물 중의 이온성 물질이 많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물의 TDS에 기초해서 물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양을 추정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저장부(30)로 공급되는 물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양이 적은 지역, 즉 물의 TDS가 낮은 지역에서의 증발 냉각기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증발 냉각기에 작동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는 유출구(19)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는 영역(이하 배기 영역)의 온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냉각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저장부(30)로 공급되는 물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은 지역에서는, 제어부가 냉각제어를 수행함에 따라 저장부(30)에 농축되는 이온성 물질의 양도 상대적으로 적고, 따라서 일반적으로 배기 영역의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저장부(30)에 농축된 이온성 물질에 의해 탄산 칼슘이 고착될 우려도 적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배기 영역의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는 냉각제어를 수행하다가, 배기 영역의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했거나 또는 냉각제어의 수행을 정지하는 명령이 제어부에 입력되면, 냉각제어의 수행을 정지하고 순환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순환제어의 수행 중에 순환하는 물의 유량이 냉각제어의 수행 중에 필터부(40)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보다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순환제어의 수행 중에 순환하는 물의 유량이 작아지면, 물의 유속도 느려져 필터부(40)에서의 제거율이 향상될 수 있다.
배기 영역의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했기 때문에, 제어부는 당장 냉각제어를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 동안 순환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순환제어의 수행 중에 순환하는 물의 유량이 적다는 것은 물을 순환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에너지도 그만큼 적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증발 냉각기의 에너지 효율도 향상될 수 있다.
물의 TDS가 높은 지역에서의 증발 냉각기의 제어 방법
저장부(30)로 공급되는 물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양이 많은 경우, 필터부(40)에서 제거되지 못하고 저장부(30)로 유입되는 이온성 물질의 양도 그만큼 많을 수 있다. 따라서 배기 영역의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하기 전에,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에 의해 탄산 칼슘의 고착이 야기될 우려가 클 수 있다.
이에 제어부는, 냉각제어의 수행 중에 배기 영역의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하지 못했더라도, 냉각제어의 수행을 일시적으로 중단한 후 순환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순환제어를 수행하는 시기는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의 TDS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의 이온성 물질의 양과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의 TDS는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의 TDS에 기초하여 순환제어를 수행하는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부(30)에는 물의 TDS를 측정하기 위한 TDS 센서(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의 TDS가 제1 기준 TDS 이상이 되면, 제어부는 냉각제어의 수행을 중단한 후 순환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순환제어의 수행으로 인해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의 TDS가 제2 기준 TDS 미만이 되면, 순환제어의 수행을 중단하고 다시 냉각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를 반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 TDS란,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양이 탄산 칼슘의 고착을 야기할 우려가 있다고 실험적으로 판단된 물의 TDS를 의미한다. 그리고 제2 기준 TDS란,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양이 탄산 칼슘의 고착을 야기할 우려가 적다고 판단된 물의 TDS를 의미한다. 제2 기준 TDS는 다시 냉각제어를 수행하는 동안 이온성 물질이 증가하는 것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순환제어를 수행하는 시기는 필터부(40)로 공급되는 물의 TDS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부(40)로 공급되는 물의 TDS가 높다는 것은 저장부(30)에 농축되는 이온성 물질의 양도 상대적으로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필터부(40)로 공급되는 물의 TDS에 기초해서 저장부(30)에 농축되는 이온성 물질의 양이 실험적으로 파악될 수 있다.
즉, 필터부(40)로 공급된 물이 필터부(40)를 통과하여 저장부(30)에 저장될 때, 저장부(30)에 저장되는 물의 TDS가 제1 기준 TDS 이상이 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소정 시간)은 각 물의 TDS에 기초하여 실험적으로 파악될 수 있고, 제어부는 필터부(40)로 공급되는 물의 TDS에 기초해서 기 설정된 소정 시간 마다 냉각제어의 수행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순환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가 순환제어를 수행하여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의 TDS가 제1 기준 TDS에서 제2 기준 TDS 미만이 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순환 시간) 역시, 필터부(40)로 공급되는 물의 TDS에 기초해서 실험적으로 미리 파악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필터부(40)로 공급되는 물의 TDS에 기초해서 기 설정된 순환 시간 동안 순환제어를 수행한 후 냉각제어를 다시 수행하는 제어를 반복할 수 있다.
또는, 물의 TDS가 높은 지역에서는, 필터부(40)로 공급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여 탄산 칼슘의 고착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가 냉각제어를 수행할 때, 필터부(40)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은, 열교환부(10)에서 증발하는 물의 유량과, 필터부(40)가 재생모드를 수행할 때 외부로 배수되는 물의 유량의 합 이상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필터부(40)로 공급되는 물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양이 많을수록, 즉 필터부(40)로 공급되는 물의 TDS가 높을수록, 필터부(40)에서의 제거율은 감소된다. 따라서 필터부(40)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감소시켜 제거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필터부(40)로 공급되는 물의 TDS가 너무 높은 경우, 요구되는 제거율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필터부(40)로 공급되는 유량이 열교환부(10)에서 증발하는 물의 유량과 제거모드 시에 배수되는 물의 유량보다 적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가 냉각제어를 수행할수록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의 부피도 감소할 수 있다.
그러나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은 일정 부피 이상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는 냉각제어의 수행 중에,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의 부피가 제1 기준 부피 미만이 되면 냉각제어의 수행을 일시적으로 중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 부피란, 증발 냉각기의 작동을 위해 저장부(30)에 저장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 물의 부피로서, 증발 냉각기의 사용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되어 제어부에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의 부피가 제2 기준 부피 이상이 되도록 저장부(30)에 물을 보충하게 하는 제어인 보충제어를 수행한 후, 냉각제어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제2 기준 부피란, 제어부가 냉각제어를 수행하기에 문제가 없고, 또한 제어부가 냉각제어를 수행하여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의 부피가 감소하는 것을 고려하여 실험적으로 설정된, 저장부(30)에 저장되는 물의 부피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의 부피가 제1 기준 부피 미만이 되면, 제어부는 작동 밸브(63)를 통해 작동 유로(53)를 폐쇄하고, 필터부(40)를 통해 저장부(30)로 물을 공급하여, 필터부(40)를 통과한 물이 저장부(30)로 유입되어 물의 보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 후,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의 부피가 제2 기준 부피 이상이 되면, 제어부는 다시 작동 밸브(63)를 통해 작동 유로(53)를 개방하고 냉각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증발 냉각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증발 냉각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증발 냉각기는, 실시예 1에 따른 증발 냉각기와 유로의 배치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실시예 1에 따른 증발 냉각기와 동일하거나 상당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상당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른 증발 냉각기의 제어 방법은 실시예 2에 따른 증발 냉각기의 제어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증발 냉각기는 제1 공급 유로(51), 필터부(40)에서 배출된 물을 저장부(30)로 유입시키기 위한 제2 공급 유로(52), 제1 공급 유로(51)에서 분기되어 제2 공급 유로(52)와 연통하는 바이패스 유로(54), 바이패스 유로(54)와 제1 공급 유로(51)의 접점과 필터부(40) 사이의 제1 공급 유로(51)에서 분기되어 물이 외부로 배수되도록 안내하는 배수 유로(55),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이 저장부(30)에서 필터부(40)의 전단으로 유동하기 위한 순환 유로(57),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을 공수부(20)로 유동하기 위한 작동 유로(5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증발 냉각기는, 제1 공급 유로(51)와 바이패스 유로(54)의 접점에 마련되어, 제1 공급 유로(51)를 따라 유동하던 물의 유동을 저지하거나, 제1 공급 유로(51)를 따라 유동하던 물이 저장부(30)로 유입되거나 또는 바이패스 유로(54)로 유입되게 하는 삼방밸브(72), 제2 공급 유로(52)에 마련되어 제2 공급 유로(52)를 개폐하는 제2 공급 밸브(62), 순환 유로(57)에 마련되어 순환 유로(57)를 개폐하는 순환 밸브(67), 배수 유로(55)에 마련되어 배수 유로(55)를 개폐하는 배수 밸브(65) 및 작동 유로(53)에 마련되어 작동 유로(53)를 개폐하는 작동 밸브(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증발 냉각기는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필터부(40)의 제거모드 및 재생모드의 수행에 있어서 실시예 1에 따른 증발 냉각기와 차이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필터부(40)가 제거모드를 수행할 때, 제어부는 삼방밸브(72)를 제어하여 제1 공급 유로(51)를 따라 유동하던 물이 바이패스 유로(54)로 바이패스되지 않고, 필터부(40)를 통과하여 저장부(30)로 유입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제2 공급 유로(52)는 제2 공급 밸브(62)를 통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고, 배수 유로(55)는 배수 밸브(65)를 통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부(40)가 재생모드를 수행할 때, 제어부는 삼방밸브(72)를 제어하여 제1 공급 유로(51)를 따라 유동하던 물이 바이패스 유로(54)로 바이패스된 후 필터부(40)를 통과하며 필터부(40)의 전극에서 탈착된 이온성 물질과 함께 배수 유로(55)를 통해 외부로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2 공급 유로(52)는 제2 공급 밸브(62)에 의해 제2 공급 밸브(62)의 하류 측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고, 배수 유로(55)는 배수 밸브(65)를 통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필터부(40)가 제거모드를 수행할 때, 필터부(40)의 입구 측이 필터부(40)의 출구 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많은 이온성 물질을 흡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증발 냉각기는 필터부(40)가 재생모드를 수행할 때, 제2 공급 유로(52) 측에서 유입된 물이 제1 공급 유로(51) 측으로 배수되게 함으로써, 제거모드 시 물의 입구 측에 많이 흡착된 이온성 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증발 냉각기는 순환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의 구체적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실시예 1에 따른 증발 냉각기와 일부 차이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순환제어를 수행할 때, 순환 밸브(67)를 통해 순환 유로(57)는 개방하고, 삼방밸브(72)를 통해 제1 공급 유로(51)를 따라 유동하던 물의 유동을 저지하여 제1 공급 유로(51)로 공급되던 물이 필터부(40)로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순환 유로(57)에 마련된 순환 펌프(87)를 작동시켜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을 필터부(40)로 유입시킨 후, 이온성 물질이 제거된 물이 다시 저장부(30)로 회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열교환부
11: 유입구
19: 유출구
20: 공수부
30: 저장부
40: 필터부
51: 제1 공급 유로
52: 제2 공급 유로
53: 작동 유로
54: 바이패스 유로
55: 배수 유로
57: 순환 유로
61: 제1 공급 밸브
62: 제2 공급 밸브
63: 작동 밸브
65: 배수 밸브
67: 순환 밸브
72: 삼방밸브
83: 작동 펌프
87: 순환 펌프

Claims (19)

  1.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공기가 배출되는 유출구를 구비하는 열교환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열교환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열교환부로 공급된 물에 의해 냉각된 후 상기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상기 열교환부로 상기 물을 공급하는 공수부;
    상기 공수부에서 상기 열교환부로 공급될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전단에 연결되고, 상기 저장부로 공급되는 물 또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 중의 이온성 물질을 전기 탈이온 방식으로 제거하는 필터부;
    증발 냉각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필터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1 공급 유로와, 상기 필터부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저장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제2 공급 유로와, 상기 제1 공급 유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 공급 유로와 연통하는 바이패스 유로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와 상기 제1 공급 유로의 접점과 상기 필터부 사이의 상기 제1 공급 유로에서 분기되어 물이 외부로 배수되도록 안내하는 배수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터부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는 물 중의 상기 이온성 물질을 전극을 통해 제거하는 제거모드와, 상기 전극을 재생하는 재생모드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상기 필터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거모드 시에, 상기 제1 공급 유로를 따라 유동하던 물이 상기 바이패스 유로로 바이패스되지 않고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2 공급 유로를 통해 상기 저장부로 유입되게 하고, 상기 재생모드 시에, 상기 제1 공급 유로를 따라 유동하던 물이 상기 바이패스 유로로 바이패스된 후 상기 필터부의 후단으로 유입되어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며 상기 필터부의 전단으로 배출된 뒤 상기 필터부의 전극에서 탈착된 이온성 물질과 함께 상기 배수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수되게 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증발 냉각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거모드에서, 상기 전기 탈이온 방식 중 축전식 탈이온(CDI) 방식으로 상기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증발 냉각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터부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거모드 시에,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는 상기 이온성 물질의 양에 대한 상기 필터부에서 제거되는 이온성 물질의 양의 비율로 정의되는 제거율을 조절 가능한, 증발 냉각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극에 공급되는 전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거모드 시에, 상기 필터부에서 제거되는 상기 이온성 물질의 양을 조절 가능한, 증발 냉각기.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저장부로 공급되거나 또는 외부로 배수되도록, 상기 물의 유동 경로를 변경하는 밸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거모드 시에, 상기 필터부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저장부로 공급되도록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고, 상기 재생모드 시에, 상기 필터부에서 배출된 물이 상기 필터부의 전극에서 탈착된 이온성 물질과 함께 외부로 배수되도록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증발 냉각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공수부에서 상기 열교환부로 물이 공급되어 상기 공기가 냉각되게 하는 제어인 냉각제어를 수행할 때, 상기 필터부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은, 상기 열교환부에서 증발하는 물의 유량과, 상기 필터부가 상기 재생모드를 수행할 때 외부로 배수되는 물의 유량에 기초해서 결정되는, 증발 냉각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 유로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접점에 마련되어, 상기 제1 공급 유로를 따라 유동하던 물의 유동을 저지하거나, 상기 제1 공급 유로를 따라 유동하던 물이 상기 저장부로 유입되거나 또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로 유입되게 하는 삼방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거모드 시에, 상기 제1 공급 유로를 따라 유동하던 물이 상기 저장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삼방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재생모드 시에, 상기 제1 공급 유로를 따라 유동하던 물이 상기 바이패스 유로로 바이패스되도록 상기 삼방밸브를 제어하는, 증발 냉각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 중의 상기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이 상기 필터부의 전단으로 공급된 후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여 상기 저장부로 회수되게 하는 제어인 순환제어를 수행하는, 증발 냉각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이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필터부의 전단으로 유동하기 위한 순환 유로와, 상기 필터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순환제어를 수행할 때, 상기 공급 유로로 공급되던 물이 상기 필터부로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공급 유로 중 일부를 폐쇄하고, 상기 순환 유로는 개방하는, 증발 냉각기.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출구를 통해 상기 공기가 배출되는 영역의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했거나 또는 상기 공수부에서 상기 열교환부로 물이 공급되어 상기 공기가 냉각되게 하는 제어인 냉각제어의 수행을 정지하는 명령이 상기 제어부에 입력되면, 상기 냉각제어의 수행을 정지하고 상기 순환제어를 수행하는, 증발 냉각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순환제어의 수행 중의 제거율이 상기 냉각제어의 수행 중의 제거율보다 상대적으로 커지도록, 상기 순환제어의 수행 중에 순환하는 물의 유량이 상기 냉각제어의 수행 중에 상기 필터부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보다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하는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제거율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는 상기 이온성 물질의 양에 대한 상기 필터부에서 제거되는 이온성 물질의 양의 비율로 정의되는, 증발 냉각기.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수부에서 상기 열교환부로 물이 공급되어 상기 공기가 냉각되게 하는 제어인 냉각제어의 수행 중에, 상기 유출구를 통해 상기 공기가 배출되는 영역의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하지 못했더라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TDS(총용존고형물) 및 상기 필터부로 공급되는 물의 TDS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냉각제어의 수행을 일시적으로 중단한 후 상기 순환제어를 수행하는, 증발 냉각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TDS가 제1 기준 TDS 이상이 되면 상기 냉각제어의 수행을 일시적으로 중단한 후 상기 순환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순환제어의 수행으로 인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TDS가 제2 기준 TDS 미만이 되면 상기 순환제어의 수행을 중단하고 상기 냉각제어를 다시 수행하는 제어를 반복하는, 증발 냉각기.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터부로 공급되는 물의 TDS에 기초해서 기 설정된 소정 시간 마다 상기 냉각제어의 수행을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상기 필터부로 공급되는 물의 TDS에 기초해서 기 설정된 순환 시간 동안 상기 순환제어를 수행한 후 상기 냉각제어를 다시 수행하는 제어를 반복하고,
    상기 소정 시간은, 상기 필터부로 공급된 물이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될 때,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TDS가 제1 기준 TDS 이상이 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이고,
    상기 순환 시간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순환제어를 수행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TDS가 상기 제1 기준 TDS에서 제2 기준 TDS 미만이 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인, 증발 냉각기.
  17.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공수부에서 상기 열교환부로 물이 공급되어 상기 공기가 냉각되게 하는 제어인 냉각제어를 수행할 때, 상기 필터부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은, 상기 열교환부에서 증발하는 물의 유량과, 상기 필터부가 상기 재생모드를 수행할 때 외부로 배수되는 물의 유량에 기초해서 결정되는, 증발 냉각기.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냉각제어를 수행할 때 상기 필터부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이, 상기 열교환부에서 증발하는 물의 유량과 상기 필터부가 상기 재생모드를 수행할 때 외부로 배수되는 물의 유량의 합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냉각제어의 수행 중에,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부피가 제1 기준 부피 미만이 되면 상기 냉각제어의 수행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증발 냉각기.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부피가 제2 기준 부피 이상이 되도록 상기 저장부에 물을 보충하게 하는 제어인 보충제어를 수행한 후, 상기 냉각제어를 다시 수행하고,
    상기 보충제어 중에 상기 저장부에 보충되는 물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후 상기 저장부로 유입되는, 증발 냉각기.
KR1020170166452A 2017-12-06 2017-12-06 스케일 프리 증발 냉각기 KR102419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452A KR102419367B1 (ko) 2017-12-06 2017-12-06 스케일 프리 증발 냉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452A KR102419367B1 (ko) 2017-12-06 2017-12-06 스케일 프리 증발 냉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744A KR20190066744A (ko) 2019-06-14
KR102419367B1 true KR102419367B1 (ko) 2022-07-12

Family

ID=66846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452A KR102419367B1 (ko) 2017-12-06 2017-12-06 스케일 프리 증발 냉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3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9551A (ja) * 1999-11-08 2001-05-15 Japan Organo Co Ltd 循環水処理方法及び装置
JP2006098003A (ja) * 2004-09-30 2006-04-13 Kurita Water Ind Ltd 循環型冷却水系の電解処理方法及び電解処理装置
JP2008086989A (ja) * 2006-06-28 2008-04-17 Sanyo Electric Co Ltd 水供給装置
JP2013029289A (ja) * 2011-07-29 2013-02-07 Japan Organo Co Ltd 熱交換器の冷却装置および熱交換器の冷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834B1 (ko) * 2009-11-09 2018-10-04 코웨이 주식회사 전기흡착방식의 연수장치 및 상기 연수장치의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9551A (ja) * 1999-11-08 2001-05-15 Japan Organo Co Ltd 循環水処理方法及び装置
JP2006098003A (ja) * 2004-09-30 2006-04-13 Kurita Water Ind Ltd 循環型冷却水系の電解処理方法及び電解処理装置
JP2008086989A (ja) * 2006-06-28 2008-04-17 Sanyo Electric Co Ltd 水供給装置
JP2013029289A (ja) * 2011-07-29 2013-02-07 Japan Organo Co Ltd 熱交換器の冷却装置および熱交換器の冷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744A (ko) 2019-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0978B1 (ko) 축전식 탈이온 수처리 장치 및 축전식 탈이온 수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JP6626115B2 (ja) 流体の容量性脱イオン化用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211206B1 (ko) 스케일 프리 보일러 및 스케일 프리 물 가열기
KR102621163B1 (ko) 연수 시스템
KR102419367B1 (ko) 스케일 프리 증발 냉각기
KR102368915B1 (ko) 이온 제거키트
US11572287B2 (en) Water-softening system
WO2018008235A1 (ja) 水処理装置
KR102598182B1 (ko) 연수 시스템
JP6823615B2 (ja) 水素ガス製造方法及び水素ガス製造設備
JP2008224148A (ja) 蒸気供給システム
KR102275495B1 (ko) 연수시스템
JP2019089018A (ja) 純水製造装置の運転方法および純水製造装置
JP5853621B2 (ja) 水処理システム
US20210198127A1 (en) Water softening system
KR102253335B1 (ko) 연수 시스템
KR102666200B1 (ko) 연수 시스템
KR20200058855A (ko) 이온 제거키트, 이를 포함하는 보일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수의 공급방법
KR20200058853A (ko) 물 가열기에 대한 연수의 공급방법
KR20240073836A (ko) 연수 시스템
WO2022168152A1 (ja) 加湿装置
JP2005345076A (ja) 冷却装置
JP2023034382A (ja) 軟水化装置
US20230128055A1 (en) Water-softening system
JP2016215131A (ja) イオン除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