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7399B1 - 연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7399B1
KR102557399B1 KR1020200009529A KR20200009529A KR102557399B1 KR 102557399 B1 KR102557399 B1 KR 102557399B1 KR 1020200009529 A KR1020200009529 A KR 1020200009529A KR 20200009529 A KR20200009529 A KR 20200009529A KR 102557399 B1 KR102557399 B1 KR 102557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water
filter
valve
fil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7785A (ko
Inventor
김범섭
이수영
윤지형
임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US16/803,391 priority Critical patent/US11572287B2/en
Publication of KR20200107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785A/ko
Priority to US18/069,798 priority patent/US20230128055A1/en
Priority to KR1020230090191A priority patent/KR1026617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02F1/4691Capacitive de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42Electrodialysis; Electro-osmosis ; Electro-ultrafiltration; Membrane capacitive deionization
    • B01D61/44Ion-selective electrodia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연수 시스템은, 원수를 수요처로 공급하기 위해 병렬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공급 유로 중 적어도 일부 공급 유로에 각각 마련되고, 공급받은 원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전기 탈이온 방식으로 제거하여, 상기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적게 포함하는 연수를 배출하는 필터 유닛을 포함하는 필터부; 유로의 개폐를 위해 상기 복수 개의 공급 유로에 각각 마련되는 복수 개의 공급 밸브; 및 상기 필터부 및 상기 복수 개의 공급 밸브에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요처로 물이 공급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수요처로 물이 공급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수요처로 물이 공급되는 것이 허용되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복수 개의 공급 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연수 시스템 {WATER SOFTENING SYSTEM}
본 발명은 연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PoE(Point of Entry) 타입의 연수 시스템은, 원수로부터 연수를 생산해 수요처로 공급하는 시스템이다. 여기서 수요처는 집이 될 수 있다. 수요처로 전달된 연수가 다시 물 사용이 필요한 수전, 샤워 헤드 등으로 전달되어 사용된다.
수요처에서 물의 사용이 이루어질 때, 수원으로부터 수요처로 전달되는 원수의 수압에 의해, 물이 자동으로 연수 시스템을 통과해 수요처로 제공된다. 즉 물이 수요처로 언제 제공될지를 연수 시스템이 결정할 수 없다.
물이 수요처로 언제 제공되는지를 연수 시스템이 알 필요가 있다. 물이 수요처로 제공될 때, 연수 시스템이 작동하여 원수로부터 연수를 생성하도록 제어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연수 시스템 내부에 이물질이 퇴적 또는 흡착됨에 따라, 연수를 생산하는 성능이 저해되고, 연수에 불순물이 섞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연수 생산 성능을 본래의 상태로 회복하고, 연수에 섞일 수 있는 불순물들을 제거하기 위한 처리가 요구된다.
한편, 상기 처리가 실시되는 중에도 수요처에서는 물이 사용될 수 있다. 처리가 실시되는 것과 무관하게 물이 충분히 수요처로 전달될 수 있도록, 연수 시스템은 처리가 실시되는 중에도 수요처에서의 물 사용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물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수요처로 물이 제공되고 있는지를 항상 확인할 수 있는 연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의 처리를 실시할 수 있고, 나아가 처리 중에도 수요처에서의 물 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연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은, 원수를 수요처로 공급하기 위해 병렬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공급 유로 중 적어도 일부 공급 유로에 각각 마련되고, 공급받은 원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전기 탈이온 방식으로 제거하여, 상기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적게 포함하는 연수를 배출하는 필터 유닛을 포함하는 필터부; 유로의 개폐를 위해 상기 복수 개의 공급 유로에 각각 마련되는 복수 개의 공급 밸브; 및 상기 필터부 및 상기 복수 개의 공급 밸브에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요처로 물이 공급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수요처로 물이 공급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수요처로 물이 공급되는 것이 허용되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복수 개의 공급 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은, 원수를 수요처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 유로에 마련되고, 공급받은 원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전기적인 힘에 의해 제거하여, 상기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적게 포함하는 연수를 배출하는 필터 유닛; 상기 공급 유로 중 상기 필터 유닛이 마련된 유로인 필터 유로에 마련되는 필터 밸브; 상기 필터 유로에 소정 처리를 위한 처리 물질을 제공하는 처리부; 및 상기 필터 유닛, 상기 필터 밸브 및 상기 처리부에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처리부가 상기 필터 유로에 상기 처리 물질을 제공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처리 물질에 의한 처리 중에 상기 필터 밸브가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수요처에 물 공급이 이루어지는지를 항상 확인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적절히 연수 시스템이 제어되어 수요처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연수 시스템의 내부에 소정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중에도 수요처에서의 물 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CDI 방식에서 이온성 물질이 제거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는 개념도이다.
도 3은 CDI 방식에서 전극이 재생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의 병렬로 구성된 필터 유닛을 제어하여 물을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연수 시스템을 이용하여 필터 유로에 대한 소정 처리를 실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1)의 개념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1)은, 필터부, 공급 유로(30), 공급 밸브(20)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배수 유로(50), 처리부(60), 유량획득부(75) 및 기타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급 유로(30)
공급 유로(30)는, 원수를 수요처(P)로 공급하기 위한 유로이다. 공급 유로(30)는 복수로 형성되어 병렬로 배열될 수 있다. 공급 유로(30)는 필터 유로(31, 32)와 원수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유로(31, 32)는 공급 유로(30) 중 필터부의 필터 유닛(10)이 마련되는 유로를 의미하고, 원수 유로는 공급 유로(30) 중 필터 유닛(10)이 배치되지 않아 원수가 그대로 수요처(P)에 전달되도록 마련된 유로를 의미한다. 따라서 공급 유로(30) 중 일부는 필터 유로(31, 32)이고, 다른 일부는 원수 유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공급 유로(30)가 총 3개로 형성되어 제1 공급 유로(31), 제2 공급 유로(32) 및 제3 공급 유로(33)가 병렬로 배치되되, 이 중 2개의 공급 유로는 필터 유로(31, 32)이고, 1개는 원수 유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공급 유로(30)의 구성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각 공급 유로(30)는 수원(S)과 수요처(P)를 연결한다. 여기서 연결한다는 의미는, 직접 연결하는 경우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수원(S)으로부터 제공받은 원수를, 수요처(P)에 전달하도록, 각 공급 유로(30)가 내부가 빈 관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급 밸브(20)는 공급 유로(30)의 개폐를 조절하기 위해 각각의 공급 유로(30)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로, 개도가 조절됨에 따라 공급 유로(30)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공급 유로(30)가 공급 밸브(20)에 의해 폐쇄될 때, 물이 폐쇄된 공급 유로(30)를 통해서는 수요처(P)로 전달되지 않는다. 공급 유로(30)가 공급 밸브(20)에 의해서 개방될 때, 물이 개방된 공급 유로(30)를 통해서 수요처(P)로 전달된다.
공급 밸브(20) 중 적어도 하나는 연수 시스템(1)의 작동 중에,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 유로(31, 32)의 처리가 이루어지거나, 필터 유닛(10) 중 어느 하나가 재생 모드를 수행하고 있는 중에도, 수요처(P)로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 유로(30)가 연통된 상태를 유지해, 물을 전달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해, 수요처(P)에 물이 제공되는지 여부를 항상 확인할 수 있다. 연수 시스템(1) 내의 상황과는 무관하게, 수요처(P)에 물 공급이 이루어질 때, 개방된 공급 유로(30)를 통해 물이 제공되고, 발생한 물의 흐름으로부터, 사용자의 물 사용으로 인해 수요처(P)에서 물 공급이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반대로 수요처(P)에 물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 유로(30)가 개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물의 흐름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이로부터 사용자가 물을 사용하지 않아 수요처(P)에 대한 물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공급 밸브(20)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인 기본 상태에서는 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를 유지하고, 전력이 공급될 때인 활성화 상태일 때에만 폐쇄되거나 개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그러나 밸브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필터 유로(31, 32)는 필터 유닛(10)이 설치되는 공급 유로(30)로,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공급 유로(31)와 제2 공급 유로(32)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유닛(10)은 각각의 필터 유로(31, 32)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공급 유로(31)에 배치되는 필터 유닛(10)은 제1 필터 유닛(11)일 수 있고, 제2 공급 유로(32)에 배치되는 필터 유닛(10)은 제2 필터 유닛(12)일 수 있다. 필터 유닛(10)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필터부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필터 유로(31, 32)에 배치되는 공급 밸브는 필터 밸브(21, 22)로 칭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필터 유닛(11)이 마련된 공급 유로인 제1 공급 유로(31)에 배치되는 제1 공급 밸브(21)와, 제2 필터 유닛(12)이 마련된 공급 유로인 제2 공급 유로(32)에 배치되는 제2 공급 밸브(22)를 필터 밸브(21, 22)가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밸브(21, 22)는 필터 유닛(10)의 하류 측에서 필터 유로(31, 32)에 설치될 수 있다.
원수 유로는, 후술할 처리 물질에 의한 처리 등을 위해 필터 밸브(21, 22)가 폐쇄되어 있는 중에도, 수요처(P)로 물이 공급되는 것이 허용되는 상태를 형성하기 위해, 필터 유로(31, 32)와 구별되게 수요처(P)에 연결되는 공급 유로(30)이다. 따라서 도시된 것과 같이 필터 유닛(10)이 배치되지 않은 제3 공급 유로(33)를, 원수 유로가 포함할 수 있다.
원수 유로 역시 대응되는 밸브인 원수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공급 유로(33)는, 제3 공급 유로(33)에 마련되는 제3 공급 밸브(23)를 포함하고, 이는 원수 밸브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르면, 제3 공급 유로(33)가 존재하지 않고 제1 공급 유로(31)와 제2 공급 유로(32)만을 공급 유로(30)가 포함할 수도 있고, 이에 따라 제3 공급 밸브(23) 역시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공급 밸브(21)는,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기본 상태에서 개방 상태를 유지하되,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을 때에만 닫히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고, 제1 공급 밸브(21)를 제외한 나머지 공급 밸브(20)인 제2 공급 밸브(22)와 제3 공급 밸브(23)는, 기본 상태에서 폐쇄 상태를 유지하되,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을 때에만 개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그러나, 각 밸브의 종류와 기본 상태에서 유지하는 상태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만약 모든 공급 밸브(20)가 닫혀있을 때, 수요처(P)에서 물 공급을 필요로 한다 하여도, 연수 시스템(1)에서는 그러한 요구가 있음을 알 수가 없다. 수요처(P)에서 물 공급을 필요로 함을 연수 시스템(1)이 알아서, 연수 시스템(1) 내에 저장된 물을 수요처(P)로 전달하려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모든 공급 밸브(20)가 폐쇄되어, 물을 압송시키기 위한 매우 높은 압력이 필요할 것이다.
만약 적어도 하나의 공급 밸브(20)가 열려있다면, 수요처(P)에서 물 공급을 필요로 하는 경우, 수원(S)으로부터 원수가 제공되는 압력에 의해, 연수 시스템(1)을 통하여 물이 유동한다. 연수 시스템(1)에서 물이 유동하는지 여부를 후술할 유량획득부(75) 등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요처(P)에서 물 공급을 필요로 하는지 여부를, 연수 시스템(1)에서 물이 유동하는지 여부로부터 알 수 있다. 하여 수요처(P)에 대한 물 공급이 필요한 경우에, 적절히 필터 유닛(10)을 작동시켜 연수를 수요처(P)에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동작을 연수 시스템(1)이 할 수 있도록, 제1 공급 밸브(21)가,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기본 상태에서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공급 밸브(21)를, 기준 밸브로 칭할 수 있다.
공급 유로(30) 중 필터 유로(31, 32)에 원수를 공급하기 위해 수원(S)과 필터 유로(31, 32)를 연결하는 연결 유로가 더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연결 유로에 일 방향으로 물이 유동하는 것 만을 허용하는 체크밸브인 연결 체크밸브(74)가 배치될 수 있다. 연결 체크밸브(74)는, 필터 유로(31, 32)로 원수가 공급되는 것은 차단하지 않으나, 필터 유로(31, 32)로부터 수원(S)을 향해 물이 역으로 유동하는 것은 차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체크밸브(74)로서, 솔레노이드 밸브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연결 체크밸브(74)는 항상 필터 유로(31, 32)로 원수가 공급되는 것을 항상 허용하도록,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전기적 신호를 받았을 때에만 폐쇄될 수도 있다.
필터부
필터부는 원수 중의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여 연수를 생성하는 구성요소로, 필터 유닛(10)을 포함한다. 필터 유닛(10)은, 적어도 일부 공급 유로인 필터 유로(31, 32)에 각각 마련되고, 공급받은 원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전기적인 힘에 의해 제거하여,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적게 포함하는 연수를 배출하는 구성요소이다.
필터 유닛(10)은 전기 탈이온 방식으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방식 중에 전기 탈이온 방식이 있다. 전해질 중의 하전입자에 직류전압이 작용하면, 양의 하전입자는 음극으로 이동하고, 음의 하전입자는 양극으로 이동한다. 이를 전기영동(electrophoresis)이라 한다. 전기 탈이온 방식은 전기적인 힘(전기영동)의 원리를 바탕으로 전극이나 이온교환막 등을 통해서 물 속의 이온(이온성 물질)을 선택적으로 흡착하거나 이동시켜 제거하는 방식을 말한다.
전기 탈이온 방식에는, ED(Electrodialysis), EDI(Electro Deionization), CEDI(Continuous Electro Deionization), CDI(Capacitive Deionization) 등의 방식이 있다. ED 방식의 필터 유닛은, 전극과 이온교환막을 구비한다. 그리고 EDI 방식의 필터 유닛은, 전극, 이온교환막 및 이온교환수지를 구비한다. 이에 반해 CDI 방식의 필터 유닛은 이온교환막이나 이온교환수지를 모두 구비하지 않거나, 또는 이온교환수지를 구비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유닛(10)은, 전기 탈이온 방식 중 축전식 탈이온(CDI) 방식으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CDI 방식은 전기적인 힘에 의해, 전극의 표면에서 이온(또는 이온성 물질)이 흡착되고 탈착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이온을 제거하는 방식을 말한다.
도 2는 CDI 방식에서 이온성 물질이 제거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는 개념도이다. 도 3은 CDI 방식에서 전극이 재생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는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을 더 참조하여, CDI 방식의 제거 모드와 재생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극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이온을 포함하는 물이 전극의 사이를 통과하면, 음이온은 양극으로 이동하게 되고, 양이온은 음극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흡착이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은 흡착으로 물 중에서 이온이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 유닛(10)이, 필터 유닛(10)를 통과하는 물 중의 이온(이온성 물질)을 전극을 통해 제거하는 모드를 제거 모드라고 한다.
그런데 전극의 흡착 용량은 제한적이다. 따라서 흡착이 계속되면 전극은 더 이상 이온을 흡착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를 막기 위해, 전극에 흡착된 이온을 탈착시켜 전극을 재생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극에 제거 모드 때와는 반대 전압을 인가하거나, 전압을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 유닛(10)이 전극을 재생하는 모드를 재생 모드라 한다. 재생 모드는 제거 모드의 전이나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작용을 위해, 필터 유닛(10)이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유닛(10)은, 이온성 물질을 전극을 통한 전기 탈이온 방식으로 제거하는 제거 모드와, 전극을 재생하는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원수가 필터 유닛(10)에 공급될 때, 제거 모드에서는 원수 중의 이온성 물질을 적어도 일부 제거해 연수를 생성하여 필터 유닛(10)이 배출하고, 재생 모드에서는 전극이 가지고 있던 이온성 물질을 원수에 제공하여 이온성 물질의 함량이 증가한 물을 필터 유닛(10)이 배출할 수 있다.
필터부는, 복수 개의 공급 유로(30) 중 적어도 2개의 공급 유로(30)에 각각 필터 유닛(10)이 마련되게, 필터 유닛(10)을 적어도 2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2개의 필터 유닛(10) 중 어느 하나가 제1 필터 유닛(11), 다른 어느 하나가 제2 필터 유닛(12)이 되고, 각각이 제1 공급 유로(31)와 제2 공급 유로(32)에 배치될 수 있다.
배수 유로(50)
배수 유로(50)는, 공급 유로(30) 중 필터 유로(31, 32)에 연결되어 필터 유로(31, 32) 중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배수 유로(50) 역시 공급 유로(30)와 같이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관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수 유로(50)는, 필터 유로(31, 32)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필터 유로(31, 32)가 제1 공급 유로(31)와 제2 공급 유로(32)를 포함하므로, 배수 유로(50) 역시 제1 배수 유로(51)와 제2 배수 유로(52)를 포함하고, 제1 배수 유로(51)는 제1 공급 유로(31)에 연결되고, 제2 배수 유로(52)는 제2 공급 유로(32)에 연결될 수 있다.
배수 유로(50)는, 원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필터 유닛(10)의 하류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원수의 유동방향을 따라 제공된 원수가 필터 유닛(10)을 통과하여 배수 유로(50)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러나 배수 유로(50)는, 원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필터 유닛(10)의 상류 측에도 배치될 수 있다.
배수 유로(50)는 구체적으로, 필터 유닛(10)이 재생 모드에 놓여있을 때, 필터 유닛(10)으로부터 배출되는, 이온성 물질을 원수보다 더 포함한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해 필터 유닛(10)이 마련된 공급 유로(30)인 필터 유로(31, 32)에 연결된다.
다만 이러한 물이 항상 배출되지는 않고, 그 배출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배수 유로(50)의 개폐를 위해 배수 유로(50)에 배수 밸브(40)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배수 유로(50)가 제1 배수 유로(51) 및 제2 배수 유로(52)를 포함하므로, 제1 배수 유로(51)에는 제1 배수 밸브(41)가, 제2 배수 유로(52)에는 제2 배수 밸브(42)가 배치될 수 있다.
물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배수 밸브(40)의 상류측에는, 체크밸브인 배수 체크밸브(77)가 배치될 수 있다. 배수 체크밸브(77)는 필터 유로(31, 32)로부터 배수 유로(50)를 통해 물이 배출되는 것은 허용하되, 외부로부터 필터 유로(31, 32)로 물이 역으로 유동하는 것은 차단하는 체크밸브일 수 있다.
처리부(60)
처리부(60)는 필터 유로(31, 32)에 소정 처리를 위한 처리 물질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펌프(62)와 탱크(61)를 포함할 수 있다. 탱크(61)는 살균, 세정 등의 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처리 물질을 내부에 저장하는 구성요소이고, 펌프(62)는 탱크(61)에 저장된 처리 물질을 필터 유로(31, 32)로 압송하는 구성요소이다. 처리 물질은 구연산(citric acid)일 수 있으나, 그 종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다른 살균물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처리부(60)는 도시된 것과 같이, 필터 유로(31, 32)에 연결되도록 물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필터부의 상류측에 배치 및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처리부(60)가 필터부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처리부(60)는, 필터 유닛(10)의 상류 측에서 필터 유로(31, 32)에 처리 물질을 제공할 수도 있으나, 필터 유로(31, 32)에 정체되는 물에 처리 물질을 제공할 수 있다면, 필터 유닛(10)의 하류 측에 배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처리부(60)는 필터 유로(31, 32)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나, 간접적으로 다른 유로를 통해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처리부(60)의 탱크(61)나 펌프(62)로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처리부(60)는 처리 체크밸브(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처리 체크밸브(63)는, 처리부(60)로부터 물이나 처리 물질이 탱크(61)와 펌프(62)로부터 필터 유로(31, 32)로 배출되는 것은 허용하되, 물이나 처리 물질이 필터 유로(31, 32)로부터 탱크(61)나 펌프(62)로 역류하는 것은 차단하는 체크밸브일 수 있다.
유량획득부(75)
유량획득부(75)는 수요처(P)로 전달되는 물의 유량을 획득하는 구성요소이다. 유량이 획득됨으로써, 물이 수요처(P)로 전달되는지 여부를 프로세서가 판단할 수 있다. 후술할 프로세서는, 유량획득부(75)가 획득한 유량이 임계유량 이상일 때, 수요처(P)로 물이 공급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서, 임계유량은 1.5LPM일 수 있으나, 그 값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유량획득부(75)는 칼만 와류 방식,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방식 등을 이용하여, 수요처(P)로 전달되는 물의 유량을 획득할 수 있으나, 유량을 획득하는 방식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유량획득부(75)는, 원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공급 유로(30)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 1에서 도시되었으나, 그 상류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유량획득부(75)는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획득된 유량을 프로세서로 전달한다. 프로세서는 전달받은 유량에 따라, 각 밸브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기타 구성요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1)은, TDS센서(72, 7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DS센서(72, 76)는 물에 포함된 TDS(총용존고형물, Total Dissolved Solid)을 측정하는 구성요소이다. TDS센서(72, 76)는 물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공급 유로(30)의 상류측에 배치될 수 있고, 하류측에도 배치될 수 있다. TDS센서(72, 76)는 획득된 TDS를 프로세서로 전달하여, 각종 연산 및 제어에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는 상류 TDS센서(72)와 하류 TDS센서(76)로부터 전달받은 TDS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연수 시스템(1) 내의 밸브들의 개폐나 필터 유닛(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류 TDS센서(72)에서 측정된 TDS가 높을 경우, 프로세서는 필터 유닛(10)이 제거 모드에서 더 높은 전압을 인가받아 이온성 물질을 더 많이 제거하도록 하거나, 필터 유닛(10)이 수행하는 모드를 전환토록 하는 모드 전환 시간이 단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프로세서의 제어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TDS센서(72, 76)가 획득한 TDS는 프로세서로 전달되고,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에 더 연결되어, 획득된 TDS를 표시할 수 있다. 획득된 TDS가 표시됨에 따라, 사용자가 필요시 연수 시스템(1)에서 유동하는 물의 수질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1)은, 레귤레이터(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귤레이터(73)는 물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공급 유로(30)의 상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급 유로(30)로 전달되는 원수의 유량을 소정 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가장 상류측에는 사전필터(71)가 배치되어, 각종 이물질들을 1차적으로 걸러서, 걸러진 물을 공급 유로(30)로 전달할 수 있다.
프로세서(미도시)
프로세서는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논리 연산이 가능한 소자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필터부, 공급 밸브(20) 등의 구성요소들에 연결되어, 제어명령에 따른 신호를 각 구성요소들에 전달할 수 있고, 각종 센서 또는 획득부들에 연결되어 획득된 정보를 신호의 형태로 전달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필터부, 처리부(60) 및 공급 밸브(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배수 밸브(40), 유량획득부(75), 레귤레이터(73) 및 TDS센서(72, 76)에 더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각각의 구성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도선으로 연결되거나,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통신 모듈을 더 가져 상호 통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가 수행하는 제어명령은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활용될 수 있고, 저장매체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서버, 휘발성 매체, 비휘발성 매체 등과 같은 장치일 수 있으나, 그 종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저장매체에는 이 밖에도 프로세서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데이터 등이 더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가 연수 시스템(1)을 제어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1)의 병렬로 구성된 필터 유닛(10)을 제어하여 물을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더 참조로 하여, 연수 시스템(1)에서 필터 유닛(10)을 제어하여 물을 수요처(P)로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필터 유닛(10)에 소정의 처리가 이루어지는 상황이 아니므로, 원수 밸브인 제3 공급 밸브(23)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원수 밸브인 제3 공급 밸브(23)는, 필터 유닛(10)을 제어하여 물을 수요처(P)로 제공할 때, 상술한 것과 같이 연수 시스템(1)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제3 공급 유로(33) 역시, 연수 시스템(1)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프로세서는, 수요처(P)로 물이 공급되는 것이 허용되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연수 시스템(1)이 설치된 상태에서는, 공급 밸브(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공급 밸브(20)가 개방되므로, 수요처(P)로 물이 계속 공급된다고 판단되었던 상태는 물론이고, 공급된다고 판단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물이 항상 수요처(P)로 전달될 수 있는 상태이다. 사용자는 수전을 조작하는 등의 방식으로, 수요처(P)로 물이 공급되도록 요청할 수 있고, 개방된 공급 밸브(20)가 배치된 공급 유로(30)를 통해 물이 수요처(P)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본적인 상태에서,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공급 밸브(21)는 개방되고, 나머지 밸브는 폐쇄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요처(P)로부터 물 공급이 요청될 경우, 제1 공급 유로(31)를 통해서 물이 수요처(P)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기본적인 상태를 스탠바이 상태(S101)라고 할 수 있다. 스탠바이 상태에서는, 각 필터 유닛(10)은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서는, 기본적인 상태에서, 제1 공급 밸브(21) 및 제2 공급 밸브(22)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요처(P)로부터 물 공급이 요청될 경우, 제1 공급 유로(31) 및 제2 공급 유로(32)를 통해서 물이 수요처(P)로 공급될 수 있다. 변형예에서는 이와 같이 변형된 스탠바이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변형된 스탠바이 상태에서는 제1 공급 밸브(21) 및 제2 공급 밸브(22)를 모두 열어두어, 어떤 한 공급 밸브가 고장난 경우라도 수요처(P)에서 물 사용이 이루어지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연수 시스템의 신뢰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변형된 스탠바이 상태에서, 각 필터 유닛(10)은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스탠바이 상태(S101)에서, 프로세서는 수요처(P)로 물이 공급되는지를 판단한다(S102). 물이 수요처(P)로 공급되는지 판단하기 위해, 유량획득부(75)가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유량이 이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수요처(P)로 물이 공급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수요처(P)로 물이 공급되는 것이 허용되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복수 개의 공급 밸브(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어느 하나의 공급 밸브(20)는 제1 공급 밸브(21)일 수 있다. 즉 스탠바이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를 따를 경우, 수요처(P)로 물이 공급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는 변형된 스탠바이 상태로 돌아갈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수요처(P)로 물이 공급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는 개방 상태의 공급 밸브(20)가 설치된 공급 유로(30)를 통해 수요처(P)에 대한 물 공급이 시작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는 스탠바이 상태 또는 변형된 스탠바이 상태로부터 제1 및 제2 필터 유닛(12) 중 어느 하나의 필터 유닛(10)이 제거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제1 및 제2 필터 유닛(12) 중 다른 하나의 필터 유닛(10)이 재생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제1 및 제2 공급 밸브(22) 중 제거 모드를 수행하는 필터 유닛(10)이 마련된 공급 유로(30)에 설치된 공급 밸브(20)는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제1 및 제2 공급 밸브(22) 중 재생 모드를 수행하는 필터 유닛(10)이 마련된 공급 유로(30)에 설치된 공급 밸브(20)는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거 모드를 수행하는 필터 유닛(10)은, 개방 상태의 공급 밸브(20)가 설치된 공급 유로(30)에 설치된 필터 유닛(10)일 수 있다. 만약 변형된 스탠바이 상태에서 수요처(P)에 물이 공급된다 판단될 경우, 개방 상태의 공급 밸브(20)는 제1 공급 밸브(21)와 제2 공급 밸브(22) 둘 다이므로, 둘 중 하나가 폐쇄되며, 개방된 다른 하나에 대응되는 필터 유닛(10)만이 제거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스탠바이 상태 또는 변형된 스탠바이 상태로부터 수요처(P)로 물이 공급된다 판단되어 이러한 제어가 이루어진 상태의 일 예시가 도 4에서 S103 단계로 설명되어 있다.
이 때, 프로세서는, 배수 밸브(40)가 대응되는 공급 밸브(20)의 개폐상태와 연동하여, 대응되는 공급 밸브(20)의 개폐상태의 반대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배수 밸브(40)에 대응되는 공급 밸브(20)란, 소정의 배수 밸브(40)가 연결된 공급 유로(30)에 배치된 공급 밸브(20)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스탠바이 상태(S101)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1 공급 밸브(21)의 개방 상태에서 제1 공급 밸브(21)가 설치된 제1 공급 유로(31)를 통해서 수요처(P)에 대한 물 공급이 시작된 것이다. 이 때, 프로세서는 필터부를 작동시키고, 각 밸브의 개폐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데, 프로세서는 제1 공급 밸브(21)의 개방 상태에서 제1 필터 유닛(11)이 제거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제2 필터 유닛(12)이 재생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03). 만약 변형된 스탠바이 모드에서 물 공급이 시작된다면, 상술한 제어에 추가하여 제2 공급 밸브(22)가 폐쇄되는 제어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제1 공급 밸브(21)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제2 공급 밸브(22)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응되도록, 프로세서는 제1 배수 밸브(41)가 폐쇄되고 제2 배수 밸브(42)가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수요처(P)에 대한 물 공급이 시작된 후 소정의 시간인 모드 전환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수요처(P)로 물이 공급되는지를 다시 판단할 수 있다. 모드 전환 시간은 90초일 수 있으나, 그 크기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시 판단할 때, 수요처(P)로 물이 공급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는 제1 필터 유닛(11)이, 제거 모드와 재생 모드 중 제1 필터 유닛(11)이 현재 수행하고 있지 않던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제2 필터 유닛(12)이, 제거 모드와 재생 모드 중 상기 제2 필터 유닛(12)이 현재 수행하고 있지 않던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제1 및 제2 공급 밸브(22) 중 제거 모드를 수행하게 될 필터 유닛(10)이 마련된 공급 유로(30)에 설치된 공급 밸브(20)는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제1 및 제2 공급 밸브(22) 중 재생 모드를 수행하게 될 필터 유닛(10)이 마련된 공급 유로(30)에 설치된 공급 밸브(20)는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최초로 물이 공급된다 판단되어 제어가 이루어진 상황(S103) 이후 모드 전환 시간이 경과되어, 물이 수요처(P)로 공급되는지 다시 판단하는 상황(S104)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만일 물이 수요처(P)로 공급된다고 다시 판단되는 경우(S105), 이전 단계(S103)와 반대로 제1 필터 유닛(11)은 재생 모드를 수행하고, 제2 필터 유닛(12)은 제거 모드를 수행하도록 프로세서가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전 단계(S103)와 반대로, 제1 공급 밸브(21)는 폐쇄되고, 제2 공급 밸브(22)는 개방되도록 프로세서가 제어할 수 있다. 배수 밸브(40)는 대응되는 공급 밸브(20)와 반대 상태가 되도록 제어될 수 있으므로, 이전 단계(S103)와 반대로, 제1 배수 밸브(41)는 개방되고, 제2 배수 밸브(42)는 폐쇄되도록 프로세서가 제어할 수 있다.
이후 모드 전환 시간이 경과한 뒤 수요처(P)로 물이 공급되는지 동일한 판단을 다시 실시(S106)하여, 여전히 수요처(P)로 물이 공급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다시 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S103). 따라서 물이 계속 수요처(P)로 공급되는 동안, 교번적으로 각 필터 유닛(10)의 모드 변경이 이루어지고, 각 공급 밸브(20)와 배수 밸브(40)는 각 필터 유닛(10)의 상태에 따라 개폐상태가 변경되는 사이클과 같은 제어를 프로세서가 실시할 수 있다. 즉 S103과 S105 단계를 모드 전환 시간의 두 배에 해당하는 주기로 왕복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1)은 연수를 중단없이 계속 수요처(P)로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수요처(P)에 대한 물 공급이 시작된 후 모드 전환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수요처(P)로 물이 공급되는지를 다시 판단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다시 판단할 때(S104, S106), 수요처(P)로 물이 공급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S107, S109), 프로세서는 제1 및 제2 필터 유닛(12) 중 상기 제거 모드를 수행하고 있던 필터 유닛(10)이 재생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제1 및 제2 필터 유닛(12) 중 재생 모드를 수행하고 있던 필터 유닛(10)은 동작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제1 및 제2 공급 밸브(22) 중 동작을 중지하게 될 필터 유닛(10)이 마련된 공급 유로(30)에 설치된 공급 밸브(20)는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제1 및 제2 공급 밸브(22) 중 재생 모드를 수행하게 될 필터 유닛(10)이 마련된 공급 유로(30)에 설치된 공급 밸브(20)는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최초로 물이 공급된다 판단되어 제어가 이루어진 상황(S103) 이후 모드 전환 시간이 경과되어, 물이 수요처(P)로 공급되는지 다시 판단하는 상황(S104)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만일 물이 수요처(P)로 공급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S107), 이전 단계(S103)와 달리 제1 필터 유닛(11)은 재생 모드를 수행하고, 제2 필터 유닛(12)은 동작을 중지하도록 프로세서가 제어할 수 있다. 이전 단계(S103)와 달리, 제1 공급 밸브(21)는 폐쇄되고, 제2 공급 밸브(22)는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프로세서가 제어할 수 있다. 배수 밸브(40) 역시 이전 단계(S103)와 달리, 제1 배수 밸브(41)는 개방되고, 제2 배수 밸브(42)는 폐쇄된 상태가 되도록 프로세서가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물이 공급된다 재차 판단되어 제어가 이루어진 상황(S105) 이후 모드 전환 시간이 경과되어, 물이 수요처(P)로 공급되는지 다시 판단하는 상황(S106)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만일 물이 수요처(P)로 공급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S109), 이전 단계(S105)와 달리 제1 필터 유닛(11)은 동작을 중지하고, 제2 필터 유닛(12)은 재생 모드를 수행하도록 프로세서가 제어할 수 있다. 이전 단계(S105)와 달리, 제1 공급 밸브(21)는 개방되고, 제2 공급 밸브(22)는 폐쇄된 상태가 되도록 프로세서가 제어할 수 있다. 배수 밸브(40) 역시 이전 단계(S105)와 달리, 제1 배수 밸브(41)는 폐쇄되고, 제2 배수 밸브(42)는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프로세서가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가 이루어져, 수요처(P)로 물이 공급되는 것이 중단된 상황에서는, 종전까지 사용된 필터 유닛(10)은 재생 모드를 수행하며 전극을 재생하고, 수요처(P)와 개방된 상태로 연결되는 공급 유로(30)에 배치된 필터 유닛(10)은 동작을 중지한 상태로 물을 수요처(P)로 항상 공급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수 있다.
프로세서는, 수요처(P)에 대한 물 공급이 중단되었다고 판단된 후 소정의 시간인 재확인 시간이 경과하기까지, 수요처(P)로 물이 공급되는지를 다시 판단할 수 있다(S108, S110). 재확인 시간은 90초일 수 있으나, 그 크기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수요처(P)로 물이 공급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S101), 프로세서는, 제1 및 제 제2 필터 유닛(12)이 동작을 중지하도록 제어하고, 제1 및 제2 공급 밸브(22) 중 미리 정해진 어느 하나의 공급 밸브(20)는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제1 및 제2 공급 밸브(22) 중 다른 하나의 공급 밸브(20)는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배수 밸브(40)들은 폐쇄되도록 프로세서가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살펴보면, 상기 판단 단계(S108, S110)에서 재확인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도 물이 여전히 수요처(P)로 공급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는 스탠바이 상태(S101)로 돌아가도록 필터 유닛(10)과 각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수요처(P)에 대한 물 공급이 중단되었다고 판단된 후 재확인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수요처(P)로 물이 공급되는지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다시 판단해서(S108, S110), 수요처(P)로 물이 공급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S103, S105). 이러한 경우, 프로세서는 제1 및 제2 공급 밸브(22)의 개폐 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필터 유닛(12) 중 동작을 중지했던 필터 유닛(10)이 제거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물 공급여부를 판단하는 소정의 시간 간격은, 1초, 5초, 10초, 15초 등 90초를 자연수로 나눈 만큼의 크기일 수 있으나, 그 크기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108 단계에서, 수요처(P)로 물이 공급되는지 판단하여(S108), 수요처(P)로 물이 공급된다 판단된 상황(S105)을 살펴보면, 재생 모드를 실시하던 제1 필터 유닛(11)의 제어와 밸브의 제어는 이전 단계(S107)와 동일하되, 동작이 중지되었던 제2 필터 유닛(12)만이 제거 모드를 수행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109 단계에서, 수요처(P)로 물이 공급되는지 판단하여(S110), 수요처(P)로 물이 공급된다 판단된 상황(S103)을 살펴보면, 재생 모드를 실시하던 제2 필터 유닛(12)의 제어와 밸브의 제어는 이전 단계(S109)와 동일하되, 동작이 중지되었던 제1 필터 유닛(11)만이 제거 모드를 수행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가 이루어져서, 일시적으로 물이 수요처(P)로 공급되는 것이 중단되었다 하더라도, 물이 수요처(P)로 공급되는 것이 재확인 시간 이내에 재개될 경우, 최소한의 제어로 다시 연수가 수요처(P)에 공급되고, 연수를 수요처(P)로 공급하는 사이클이 재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연수 시스템(1)을 이용하여 필터 유로(31, 32)에 대한 소정 처리를 실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처리부(60)가 상기 필터 유로(31, 32)에 상기 처리 물질을 제공하도록 제어하고, 처리 물질에 의한 처리 중에 상기 필터 밸브(21, 22)가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조건이란, 주기적으로 처리 물질의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는 것일 수 있고, 정해진 시각마다 처리 물질이 제공되도록 현재 시각이 소정의 시각에 도달하는 것일 수 있고, 사용자가 프로세서와 연결된 조작부를 이용해 처리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일 수 있으나, 조건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기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처리부(60)가 처리 물질을 용이하게 필터 유로(31, 32)로 제공하기 위한 상태를 형성하기 위해, 프로세서는 필터 유닛(10)이 동작을 중지하도록 하고, 필터 밸브(21, 22)가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01) 또한 프로세서는, 처리 물질에 의한 처리를 위해 필터 밸브(21, 22)가 폐쇄되어 있는 중에 원수 밸브인 제3 공급 밸브(23)가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배수 밸브(40)가 소정의 시간인 제1 시간 동안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배수 밸브(40)가 제1 시간 동안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중에 펌프(62)가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수 밸브(40)의 개방 상태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처리 물질이 처리부(60)로부터 필터 유로(31, 32)로 제공될 수 있다(S202).
제1 시간은, 처리 물질이 필터 유로(31, 32)에 제공된 시점으로부터, 처리 물질이 배수 밸브(40)에 도달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필터 밸브(21, 22)가 폐쇄된 후 제1 시간이 지난 다음, 프로세서는 배수 밸브(40) 역시 폐쇄되고, 펌프(62)가 동작을 중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03). 원수 밸브가 개방된 상태이므로, 원수 유로를 통해서 수요처(P)는 물을 전달받을 수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처리 물질이 필터 유로(31, 32)에 제공되었으나, 필터 밸브(21, 22)와 배수 밸브(40)가 전부 폐쇄된 상태(S203)를, 처리 중이라고 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처리 중에 배수 밸브(40)가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처리는 제2 시간 동안 이루어지므로, 처리가 시작된 이후 제2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프로세서가 판단할 수 있다(S204). 만일 제2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으면, 별다른 제어 없이 처리가 계속 이루어진다(S203). 처리가 이루어지는 동안, 처리물질과 섞인 물이 필터 유로(31, 32) 및 필터 유닛(10)에서 계류하여, 필터 유닛(10)과 필터 유로(31, 32)에 소정의 처리를 할 수 있다. 만일 구연산이 처리 물질이라면, 필터 유닛(10)과 필터 유로(31, 32)의 세정이 이루어진다. 제2 시간은 30분일 수 있으나, 처리 물질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변형이 가능하다.
처리가 시작된 후 제2 시간이 경과하였다면, 처리에 사용된 물과 처리 물질을 배출하여야 한다. 따라서 처리 물질의 배출을 위해, 프로세서는 제2 시간 이후 필터 밸브(21, 22)의 폐쇄 상태에서 배수 밸브(40)가 개방되도록 제어한다(S205).
프로세서는, 처리 물질의 배출을 위해, 배수 밸브(40)가 제3 시간 동안 개방되도록 제어하여, 물과 처리 물질 및 처리 물질의 소정 처리에 의한 부산물들이 충분히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제3 시간은 30초일 수 있으나, 필터 유로(31, 32)의 용량 또는 배수 유로(50)의 용량에 따라 적절히 선택 가능하다.
프로세서는, 처리 물질의 배출을 위한 배수 밸브(40)의 개방 이후, 처리 물질을 함유한 물이 배수 밸브(40)를 통해 전부 배출된 이후에도, 배수 밸브(40)의 개방 상태 및 필터 밸브(21, 22)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고, 물이 더 흘러 필터 유닛(10)과 필터 유로(31, 32)가 헹궈지는 헹굼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배수 밸브(40)와 필터 밸브(21, 22)는, 헹굼 모드를 실시하기 위해, 각각의 개폐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수도 있으나, 각각 폐쇄와 개방이 된 후, 다시 개방과 폐쇄가 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헹굼 모드에서 필터 유닛(10)이 재생 모드를 더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필터 유닛(10)에 대해 처리 물질의 흡착이 일어나, 재생 없이 바로 필터 유닛(10)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치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프로세서는, 헹굼 모드에서, 필터 유닛(10)이 제거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헹굼 모드에서, 필터 유닛(10)을 통해 원수가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는, 필터 유닛(10)과 이에 연결된 유로에 남아있는 잔여 처리 물질을 헹궈서 배출하기 위해, 필터 유닛(10)이 어떻게 제어되는지와 무관하게, 물이 소정의 시간 동안 흘러 배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3 시간 이후, 수요처(P)로 물이 공급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206). 만일 수요처(P)로 물이 공급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프로세서는 배수 밸브(40)가 폐쇄되도록, 그리고 수요처(P)로 물이 공급되는 것이 허용되는 상태를 형성하기 위해 필터 밸브(21, 22)가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술하였던 스탠바이 상태(S101)가 되도록, 프로세서가 제어하는 것이다.
만일 수요처(P)로 물이 공급된다고 판단되면, 배수 밸브(40)가 폐쇄되고, 필터 밸브(21, 22)가 개방되고, 필터 유닛(10)이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만일 수요처(P)로 물이 공급된다고 판단될 경우, S103 단계와 같이 각 구성요소의 상태가 변경되도록, 프로세서가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S105 단계와 같이 각 구성요소의 상태가 변경되도록, 프로세서가 제어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처리 물질에 의한 처리의 종료 후에 필터 밸브(21, 22)가 개방되면, 원수 밸브인 제3 공급 밸브(23)가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필터 유로(31, 32)를 이용해서 연수를 수요처(P)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원수 유로를 통해서 원수를 같이 수요처(P)로 공급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연수 시스템
10 : 필터 유닛
11 : 제1 필터 유닛
12 : 제2 필터 유닛
20 : 공급 밸브
21 : 제1 공급 밸브
22 : 제2 공급 밸브
23 : 제3 공급 밸브
30 : 공급 유로
31 : 제1 공급 유로
32 : 제2 공급 유로
33 : 제3 공급 유로
40 : 배수 밸브
41 : 제1 배수 밸브
42 : 제2 배수 밸브
50 : 배수 유로
51 : 제1 배수 유로
52 : 제2 배수 유로
60 : 처리부
61 : 탱크
62 : 펌프
63 : 처리 체크밸브
71 : 사전필터
72 : 상류 TDS센서
73 : 레귤레이터
74 : 연결 체크밸브
75 : 유량획득부
76 : 하류 TDS센서
77 : 배수 체크밸브
P : 수요처
S : 수원

Claims (32)

  1. 원수를 수요처로 공급하기 위해 병렬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공급 유로 중 적어도 일부 공급 유로에 각각 마련되고, 공급받은 원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전기 탈이온 방식으로 제거하여, 상기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적게 포함하는 연수를 배출하는 필터 유닛을 포함하는 필터부;
    유로의 개폐를 위해 상기 복수 개의 공급 유로에 각각 마련되는 복수 개의 공급 밸브; 및
    상기 필터부 및 상기 복수 개의 공급 밸브에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요처로 물이 공급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수요처로 물이 공급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수요처로 물이 공급되는 것이 허용되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복수 개의 공급 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 유닛은, 상기 이온성 물질을 전극을 통한 전기 탈이온 방식으로 제거하는 제거 모드와, 상기 전극을 재생하는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연수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복수 개의 공급 유로 중 적어도 2개의 공급 유로에 각각 상기 필터 유닛이 마련되게 상기 필터 유닛을 적어도 2개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필터 유닛 중 어느 하나를 제1 필터 유닛, 다른 어느 하나를 제2 필터 유닛이라 하고, 상기 제1 필터 유닛이 마련된 공급 유로에 설치된 공급 밸브를 제1 공급 밸브, 상기 제2 필터 유닛이 마련된 공급 유로에 설치된 공급 밸브를 제2 공급 밸브라 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요처로 물이 공급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공급 밸브가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공급 밸브의 개방 상태에서 상기 제1 공급 밸브가 설치된 공급 유로를 통해 상기 수요처에 대한 물 공급이 시작되면,
    상기 제1 공급 밸브의 개방 상태에서 상기 제1 필터 유닛이 상기 제거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필터 유닛이 상기 제거 모드를 수행한 후 모드 전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수요처로 물이 공급되는지를 다시 판단해서, 상기 수요처로 물이 공급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필터 유닛이 상기 재생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필터 유닛이 상기 제거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공급 밸브가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공급 밸브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복수 개의 공급 유로 중 적어도 2개의 공급 유로에 각각 상기 필터 유닛이 마련되게 상기 필터 유닛을 적어도 2개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필터 유닛 중 어느 하나를 제1 필터 유닛, 다른 어느 하나를 제2 필터 유닛이라 하고, 상기 제1 필터 유닛이 마련된 공급 유로에 설치된 공급 밸브를 제1 공급 밸브, 상기 제2 필터 유닛이 마련된 공급 유로에 설치된 공급 밸브를 제2 공급 밸브라 할 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개방 상태의 공급 밸브가 설치된 공급 유로를 통해 상기 수요처에 대한 물 공급이 시작되면,
    상기 제1 및 제2 필터 유닛 중 어느 하나의 필터 유닛은 상기 제거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필터 유닛 중 다른 하나의 필터 유닛은 상기 재생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및 제2 공급 밸브 중 상기 제거 모드를 수행하는 필터 유닛이 마련된 공급 유로에 설치된 공급 밸브는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및 제2 공급 밸브 중 상기 재생 모드를 수행하는 필터 유닛이 마련된 공급 유로에 설치된 공급 밸브는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요처에 대한 물 공급이 시작된 후 모드 전환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상기 수요처로 물이 공급되는지를 다시 판단해서, 상기 수요처로 물이 공급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필터 유닛이, 상기 제거 모드와 재생 모드 중 상기 제1 필터 유닛이 현재 수행하고 있지 않던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필터 유닛이, 상기 제거 모드와 재생 모드 중 상기 제2 필터 유닛이 현재 수행하고 있지 않던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및 제2 공급 밸브 중 상기 제거 모드를 수행하게 될 필터 유닛이 마련된 공급 유로에 설치된 공급 밸브는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및 제2 공급 밸브 중 상기 재생 모드를 수행하게 될 필터 유닛이 마련된 공급 유로에 설치된 공급 밸브는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요처에 대한 물 공급이 시작된 후 모드 전환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상기 수요처로 물이 공급되는지를 다시 판단해서, 상기 수요처로 물이 공급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 제2 필터 유닛 중 상기 제거 모드를 수행하고 있던 필터 유닛은 상기 재생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및 제 제2 필터 유닛 중 상기 재생 모드를 수행하고 있던 필터 유닛은 동작을 중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및 제2 공급 밸브 중 동작을 중지하게 될 필터 유닛이 마련된 공급 유로에 설치된 공급 밸브는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및 제2 공급 밸브 중 상기 재생 모드를 수행하게 될 필터 유닛이 마련된 공급 유로에 설치된 공급 밸브는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요처에 대한 물 공급이 중단되었다고 판단된 후 재확인 시간 내에 상기 수요처로 물이 공급되는지를 다시 판단해서, 상기 수요처로 물이 공급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 제2 필터 유닛이 동작을 중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및 제2 공급 밸브 중 미리 정해진 어느 하나의 공급 밸브는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및 제2 공급 밸브 중 다른 하나의 공급 밸브는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요처에 대한 물 공급이 중단되었다고 판단된 후 재확인 시간 내에 상기 수요처로 물이 공급되는지를 다시 판단해서, 상기 수요처로 물이 공급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공급 밸브의 개폐 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필터 유닛 중 동작을 중지했던 필터 유닛이 상기 제거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 밸브는, 개방 상태를 유지하되,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을 때에만 닫히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연수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 밸브를 제외한 나머지 공급 밸브는, 폐쇄 상태를 유지하되,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을 때에만 개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연수 시스템.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재생 모드 시에 상기 필터 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해 상기 필터 유닛이 마련된 공급 유로에 연결되는 배수 유로; 및
    유로의 개폐를 위해 상기 배수 유로에 마련되는 배수 밸브를 더 포함하는, 연수 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수 밸브에 더 연결되고,
    상기 배수 밸브가, 대응되는 상기 공급 밸브의 개폐상태와 연동하여, 상기 대응되는 상기 공급 밸브의 개폐상태의 반대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요처로 전달되는 물의 유량을 획득하는 유량획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유량획득부와 더 연결되고,
    상기 유량획득부가 획득한 유량이 임계유량 이상일 때, 상기 수요처로 물이 공급된다고 판단하는, 연수 시스템.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 밸브는, 상기 공급 유로 중 상기 필터 유닛이 마련된 유로인 필터 유로에 마련되는 필터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유로에 소정 처리를 위한 처리 물질을 제공하는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필터 유닛, 상기 필터 밸브 및 상기 처리부에 더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처리부가 상기 필터 유로에 상기 처리 물질을 제공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처리 물질에 의한 처리 중에 상기 필터 밸브가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필터 유닛의 하류 측에서 상기 필터 유로에 설치되는 상기 필터 밸브와 상기 필터 유닛의 사이에서 상기 필터 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 유로 중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 유로; 및
    상기 배수 유로에 마련되는 배수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필터 유닛의 상류 측에서 상기 필터 유로에 상기 처리 물질을 제공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처리 중에 상기 배수 밸브가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처리부가 상기 처리 물질을 용이하게 상기 필터 유로로 제공하기 위한 상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배수 밸브가 제1 시간 동안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시간 이후, 상기 처리를 위한 상기 처리 물질의 정체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배수 밸브가 제2 시간 동안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수 밸브가 상기 제1 시간 동안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중에 상기 처리부가 상기 필터 유로에 상기 처리 물질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처리 물질의 배출을 위해, 상기 제2 시간 이후 상기 필터 밸브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배수 밸브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처리 물질의 배출을 위해, 상기 배수 밸브가 제3 시간 동안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3 시간 이후, 상기 수요처로 물이 공급되는지를 판단해서, 상기 수요처로 물이 공급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배수 밸브가 폐쇄되도록, 그리고 상기 수요처로 물이 공급되는 것이 허용되는 상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필터 밸브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처리 물질의 배출을 위해, 상기 배수 밸브가 제3 시간 동안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3 시간 이후, 상기 수요처로 물이 공급되는지를 판단해서, 상기 수요처로 물이 공급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배수 밸브가 폐쇄되도록, 상기 필터 밸브가 개방되도록, 그리고 상기 필터 유닛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23.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처리 물질의 배출을 위한 상기 배수 밸브의 개방 이후, 물이 흘러 상기 필터 유닛과 상기 필터 유로를 헹구도록 상기 배수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필터 밸브를 폐쇄하는 헹굼 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24.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처리 물질이 저장되는 탱크, 및 상기 탱크 내의 상기 처리 물질을 상기 필터 유로로 압송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연수 시스템.
  25.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처리 물질이 저장되는 탱크, 및 상기 탱크 내의 상기 처리 물질을 상기 필터 유로로 압송하는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수 밸브가 상기 제1 시간 동안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중에 상기 펌프가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26.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공급 유로는, 상기 처리 물질에 의한 처리를 위해 상기 필터 밸브가 폐쇄되어 있는 중에도, 상기 수요처로 물이 공급되는 것이 허용되는 상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필터 유로와 구별되게 상기 수요처에 연결되는 원수 유로를 더 포함하는, 연수 시스템.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원수 유로에 마련되는 원수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처리 물질에 의한 처리를 위해 상기 필터 밸브가 폐쇄되어 있는 중에 상기 원수 밸브가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처리 물질에 의한 처리의 종료 후에 상기 필터 밸브가 개방되면, 상기 원수 밸브가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2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물질은, 구연산(citric acid)을 포함하는, 연수 시스템.
  3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요처로 물이 공급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수요처로 물이 공급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수요처로 물이 공급되는 것이 허용되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복수 개의 공급 밸브가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3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공급 밸브와 상기 제2 공급 밸브의 개방 상태에서 상기 제1 공급 밸브 또는 상기 제2 공급 밸브가 설치된 공급 유로를 통해 상기 수요처에 대한 물 공급이 시작되면,
    상기 제1 공급 밸브의 개방 상태에서 상기 제1 필터 유닛이 상기 제거 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제2 공급 밸브는 폐쇄되도록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32. 삭제
KR1020200009529A 2019-03-07 2020-01-23 연수 시스템 KR102557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803,391 US11572287B2 (en) 2019-03-07 2020-02-27 Water-softening system
US18/069,798 US20230128055A1 (en) 2019-03-07 2022-12-21 Water-softening system
KR1020230090191A KR102661763B1 (ko) 2019-03-07 2023-07-12 연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110 2019-03-07
KR20190026110 2019-03-0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0191A Division KR102661763B1 (ko) 2019-03-07 2023-07-12 연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785A KR20200107785A (ko) 2020-09-16
KR102557399B1 true KR102557399B1 (ko) 2023-07-20

Family

ID=72669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529A KR102557399B1 (ko) 2019-03-07 2020-01-23 연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73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4675B1 (ko) * 2020-09-28 2024-01-15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연수 시스템
KR20220094002A (ko)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재생수 감지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이온 제거장치
KR20220114741A (ko) * 2021-02-09 2022-08-1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단일 광자 애벌런치 다이오드
US11817324B2 (en) * 2021-05-13 2023-11-1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Info packages including thermal dissipation blocks
KR20230091677A (ko) * 2021-12-16 2023-06-23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수처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7142A (ko) * 2010-12-15 2012-06-2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살균수 챔버를 갖는 연수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KR101675749B1 (ko) * 2010-12-30 2016-11-16 코웨이 주식회사 수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1977841B1 (ko) * 2012-08-20 2019-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수장치
KR101897567B1 (ko) * 2013-12-23 2018-09-13 코웨이 주식회사 Cdi 방식의 수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785A (ko) 202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7399B1 (ko) 연수 시스템
KR20230110236A (ko) 연수 시스템
EP2797674B1 (en) Apparatus for water treatment using capacitive deioniz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3273718B2 (ja) 電気脱イオン法による被処理水の処理方法及びその方法に使用する装置
EP2487138B1 (en) Water treatment device and water heater
JP2010091122A (ja) 給湯機
CN104136379A (zh) 操作电容去离子系统的控制器与方法
GB2627353A (en) Water treatment system
KR102666200B1 (ko) 연수 시스템
KR20240023585A (ko) 연수 시스템
KR102536229B1 (ko) 연수 시스템
WO2015138235A2 (en) Capacitive deioniz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ystem
CN111465583B (zh) 设置有去离子过滤器的净水器及其控制方法
KR20220043025A (ko) 연수 시스템
KR102473725B1 (ko) 연수 시스템
KR101745568B1 (ko) 이온수발생장치
US20230128055A1 (en) Water-softening system
US20220119284A1 (en) Water softening system
US20220098062A1 (en) Water softening system
KR102253335B1 (ko) 연수 시스템
JP2013123679A (ja) 硬水軟化装置の運転方法及び硬水軟化装置
US20240217845A1 (en) Water treatment system
US20180022622A1 (en) Capacitive de-ionization mineral reduction system and method
CN116924529A (zh) 家用电器的净水组件及其控制方法、家用电器
KR20230091677A (ko) 수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