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0762A - 연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0762A
KR20220050762A KR1020210118397A KR20210118397A KR20220050762A KR 20220050762 A KR20220050762 A KR 20220050762A KR 1020210118397 A KR1020210118397 A KR 1020210118397A KR 20210118397 A KR20210118397 A KR 20210118397A KR 20220050762 A KR20220050762 A KR 20220050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assage
filter
discharg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8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6200B1 (ko
Inventor
이수영
윤지형
이소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US17/503,35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119284A1/en
Publication of KR20220050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0762A/ko
Priority to KR1020240061443A priority patent/KR20240073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9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chemical separation, e.g. by electro-osmosis, electrodialysis, electrophoresis
    • C02F1/4691Capacitive deion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08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수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원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적게 포함하는 연수를 수요처로 제공하기 위한 연수 시스템은, 상기 원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전기적인 힘에 기초해서 제거하여 상기 연수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필터 유닛; 상기 필터 유닛으로 상기 원수를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는 공급 유로; 상기 필터 유닛으로부터 물을 배출하기 위해 마련되는 배출 유로; 상기 배출 유로와 상기 공급 유로를 연결하는 순환 유로; 상기 필터 유닛의 성능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필터 관리물질을 상기 순환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물에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필터 관리물질 제공부; 및 상기 순환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물을 상기 필터 관리물질과 함께 상기 필터 유닛으로 압송하도록 마련되는 펌프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연수 시스템 {WATER SOFTENING SYSTEM}
본 발명은 연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연수 시스템은, 원수로부터 연수를 생산해 수요처로 공급하는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PoE(Points of Entry) 타입의 연수 시스템에서는 수요처가 집이 될 수 있고, 수요처로 전달된 연수가 다시 물 사용이 필요한 수전, 샤워 헤드 등으로 전달되어 사용된다.
원수로부터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여 원수를 연수화하는 필터 유닛은 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지 않으며,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필터 유닛이라 하더라도 포집한 이온성 물질을 배출하는 재생 작업을 주기적으로 수행해주어야 원활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재생 작업을 수행할 때, 이온성 물질이 필터 유닛으로부터 바로 배출될 수도 있으나, 필터 유닛 내에서 이온성 물질이 스케일(scale)을 형성할 수 있다. 스케일이 형성될 경우 필터 유닛 내부가 오염될 수 있다. 스케일이 필터 유닛 내부를 덮을 경우, 이온의 흡착이 가능한 필터 유닛 내부의 면적이 줄어들어 필터 유닛의 성능이 저하할 수 있다. 스케일은 입자성 물질로 구성되어, 재생 작업이 진행되는 중에도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필터 유닛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재생 작업뿐 아니라, 필터 유닛에 형성된 스케일을 제거하는 별도의 디스케일링(descaling) 과정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디스케일링 과정을 위해 구연산을 필터 유닛에 채워 스케일이 제거되도록 한 뒤 배출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그러나 스케일의 양이 지나치게 많거나, 스케일이 견고하게 필터 유닛에 고착화된 경우, 구연산을 단순히 가해주는 것 만으로는 스케일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필터 유닛 내의 사각지대에 스케일이 형성되는 경우, 구연산이 스케일에 접근하기 어려워 스케일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필터 유닛 내의 세균에 의해서 바이오필름이 형성될 수도 있다. 바이오필름은 스케일과 유사하게 필터 유닛을 오염시킬 수 있으나, 구연산에 의해서는 잘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필터 유닛 내의 세균이 살균 과정을 통해 제거됨에 따라, 바이오필름을 세균이 형성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스케일의 제거 효율을 증대시킨 연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이오필름의 제거가 가능한 연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은, 수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원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적게 포함하는 연수를 수요처로 제공하기 위한 연수 시스템은, 상기 원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전기적인 힘에 기초해서 제거하여 상기 연수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필터 유닛; 상기 필터 유닛으로 상기 원수를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는 공급 유로; 상기 필터 유닛으로부터 물을 배출하기 위해 마련되는 배출 유로; 상기 배출 유로와 상기 공급 유로를 연결하는 순환 유로; 상기 필터 유닛의 성능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필터 관리물질을 상기 순환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물에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필터 관리물질 제공부; 및 상기 순환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물을 상기 필터 관리물질과 함께 상기 필터 유닛으로 압송하도록 마련되는 펌프를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스케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연수 시스템에 형성되는 바이오필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CDI 방식에서 이온성 물질이 제거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는 개념도이다.
도 3은 CDI 방식에서 전극이 재생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이 연수 모드로 작동하는 상황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이 필터 관리 모드로 작동하는 상황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이 필터 관리 모드로 작동하는 상황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이 필터 관리 모드를 마치고 물을 배수하는 상황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1)의 개념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1)은 필터 유닛(11, 12), 공급 유로(20), 배출 유로(30), 순환 유로(50), 필터 관리물질 제공부(70) 및 펌프(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1)은 공급 밸브(230), 배출 밸브(330, 340), 배수 밸브(350, 360), 순환 밸브(530, 540), 바이패스 유로(40), 바이패스 밸브(400) 및 프로세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연수 시스템(1)은 수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원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여,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적게 포함하는 연수를 수요처로 제공할 수 있다. 연수 시스템(1)은 필터 유닛(11, 12)에서 연수가 배출되는 연수 모드와, 필터 유닛(11, 12)을 관리하기 위한 필터 관리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필터 유닛(11, 12)을 관리한다는 말은, 필터 유닛(11, 12)을 디스케일링하는 것과 살균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공급 유로(20)
공급 유로(20)는 원수를 필터 유닛(11, 12)으로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는 유로이다. 공급 유로(20)는 수원으로부터 필터 유닛(11, 12)으로 원수를 공급할 수 있다. 수원으로부터 제공받은 원수를 필터 유닛(11, 12)에 전달하도록, 공급 유로(20)가 내부가 빈 관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급 유로(20)는 수원으로부터 원수를 전달받아 유동시키는 수원 유로(23)와, 수원 유로(23)를 필터 유닛(11, 12)과 연결하는 입수 유로(21, 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입수 유로(21, 22)는 복수로 형성되어 병렬로 배열될 수 있다. 즉 수원 유로(23)로부터 전달된 원수가 복수의 입수 유로(21, 22)를 통해 분기되어 각각의 필터 유닛(11, 12)에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입수 유로(21, 22)가 총 2개로 형성되어 제1 입수 유로(21) 및 제2 입수 유로(22) 가 병렬로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공급 유로(20)의 구성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복수의 입수 유로(21, 22)가 각각 수원과 연결될 수도 있다.
각 입수 유로(21, 22)는 수원과 필터 유닛(11, 12)을 각각 연결한다. 제1 입수 유로(21)는 제1 필터 유닛(11)에, 제2 입수 유로(22)는 제2 필터 유닛(12)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한다는 의미는, 직접 연결하는 경우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공급 유로(20)에는 공급 밸브(230) 가 형성되어 유로의 개폐를 결정할 수 있다. 공급 밸브(230)가 수원 유로(23)에 배치되는 경우 하나의 공급 밸브(230)만이 배치되어도 충분하다. 그러나 만약 복수의 입수 유로(21, 22)에 공급 밸브가 배치될 경우, 입수 유로(21, 22)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가 필요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공급 밸브(230)가 수원 유로(23)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공급 유로(20)에는 순환 유로(50)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순환 유로(50)가 포함하는 제1 상류측 순환유로(31) 및 제2 상류측 순환유로(32)가 제1 입수 유로(21) 및 제2 입수 유로(2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배출 유로(30)
배출 유로(30)는 필터 유닛(11, 12)으로부터 물을 배출하기 위해 마련되는 유로이다. 필터 유닛(11, 12)이 원수 중의 이온성 물질을 포집하는 제거 모드에서는 배출 유로(30)로 연수를 배출하지만, 재생 모드에서는 원수가 포함하는 이온성 물질의 양보다 더 많은 양의 이온성 물질을 가지는 재생수를 배출하고, 필터 관리 모드에서는 제거된 스케일 및 살균의 결과로 얻어진 잔여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물을 배출한다.
배출 유로(30)는 필터 유닛(11, 12)으로부터 수요처로 물을 전달하기 위한 출수 유로(31, 32, 33, 34)와, 필터 유닛(11, 12)으로부터 배출된 물을 배수하기 위해 출수 유로(31, 32, 33, 34)에 연결되는 배수 유로(35, 36)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 유로(35, 36)가 출수 유로(31, 32, 33, 34)에 연결되는 위치를 기준으로, 출수 유로(31, 32, 33, 34)는 상류측 출수유로(31, 32)와, 하류측 출수유로(33, 34)로 나뉠 수 있다.
필터 유닛(11, 12)이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배출 유로(30) 역시 이에 대응되는 수로 구성되거나 분지될 수 있고, 각각 필터 유닛(11, 12)에 연결될 수 있다. 출수 유로(31, 32, 33, 34)는 복수의 필터 유닛(11, 12)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상류측 출수유로(31, 32) 및 이로부터 각각 이어지는 복수의 하류측 출수유로(33, 34)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유로(30)는 복수의 하류측 출수유로(33, 34)가 모이는 수요처 유로(37)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 유로(35, 36) 역시 복수로 구성되어, 각각의 출수 유로(31, 32, 33, 34)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필터 유닛(11)에는 제1 출수 유로(31, 33)가, 제2 필터 유닛(12)에는 제2 출수 유로(32, 34)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상류측 출수유로(31)가 제1 필터 유닛(11)에, 제2 상류측 출수유로(32)가 제2 필터 유닛(1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상류측 출수유로(31)에는 제1 하류측 출수유로(33)와 제1 배수 유로(35)가 연결될 수 있고, 제2 상류측 출수유로(32)에는 제2 하류측 출수유로(34)와 제2 배수 유로(36)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하류측 출수유로(33)와 제2 하류측 출수유로(34)는 수요처 유로(37)에 연결되어 합쳐질 수 있다. 그러나 배출 유로(30)의 구성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배출 밸브(330, 340) 는 배출 유로(30)의 개폐를 조절하기 위해 각각의 배출 유로(30) 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로, 개도가 조절됨에 따라 배출 유로(30)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배출 유로(30)가 배출 밸브(330, 340)에 의해 폐쇄될 때, 폐쇄된 배출 유로(30)를 통해서는 물이 수요처로 전달되지 않는다. 배출 유로(30)가 배출 밸브(330, 340)에 의해서 개방될 때, 개방된 후술할 출수 유로(31, 32, 33, 34)를 통해서 물이 수요처로 전달되거나, 후술할 배수 유로(35, 36)를 통해 물이 배출될 수 있다. 필터 유닛(11, 12)으로부터 제공받은 물이 유동하도록, 배출 유로(30)는 내부가 빈 관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 유로(30)에는 배출 밸브(330, 340)가 배치되어 유로의 개폐를 결정할 수 있다. 배출 밸브(330, 340)가 수요처 유로(37)에 배치되는 경우 하나의 배출 밸브만이 배치되어도 충분하다. 그러나 만약 복수의 출수 유로(31, 32, 33, 34)에 배출 밸브(330, 340)가 배치될 경우, 출수 유로(31, 32, 33, 34)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가 필요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배출 밸브(330, 340)가 각각의 출수 유로(31, 32, 33, 34)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즉 제1 출수 유로(31, 33)에는 제1 배출 밸브(330)가, 제2 출수 유로(32, 34)에는 제2 배출 밸브(340)가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배출 밸브(330, 340)는 하류측 출수유로(33, 34)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하류측 출수유로(33)에는 제1 배출 밸브(330)가, 제2 하류측 출수유로(34)에는 제2 배출 밸브(34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류측 출수유로(31, 32)로부터 배수 유로(35, 36)로 물이 전달되는 것을 배출 밸브(330, 340)가 차단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배출 밸브(330, 340) 중 적어도 하나는 연수 시스템(1)의 작동 중에,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 때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배출 밸브(330, 340) 는, 제거 모드를 수행하는 필터 유닛(11, 12)에 연결된 배출 유로(30)에 배치된 배출 밸브(330, 340)일 수 있다. 따라서 필터 유닛(11, 12) 중 어느 하나가 재생 모드를 수행하고 있는 중에도, 수요처로는 제거 모드를 수행하고 있는 필터 유닛(11, 12)에서 배출된 연수가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필터 유닛(11, 12)이 복수인 경우, 각각의 필터 유닛(11, 12)이 교번적으로 재생 모드와 제거 모드를 수행하고 배출 밸브(330, 340) 역시 이에 대응되도록 제어되어, 연수가 중단 없이 제공될 수 있다.
배출 유로(30)에는 순환 유로(50)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순환 유로(50)가 포함하는 제1 하류측 순환유로(53) 및 제2 하류측 순환유로(54)가 제1 배수 유로(35) 및 제2 배수 유로(36)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순환 유로(50)는 출수 유로(31, 32, 33, 34)에 연결될 수도 있다.
배수 유로(35, 36)는 출수 유로(31, 32, 33, 34)에 연결되어 출수 유로(31, 32, 33, 34) 중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구성요소이다.
필터 유닛(11, 12)을 통과한 물이 배수 유로(35, 36)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특히 필터 유닛(11, 12)이 재생 모드로 작동 중일 때 출수 유로(31, 32, 33, 34)를 통해 배출된 재생수가, 배수 유로(35, 36)를 통해 외부로 배수되어 버려질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물이 항상 배출되지는 않고, 그 배출 여부와 배출량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배수 유로(35, 36)의 개폐를 위해 배수 유로(35, 36)에 배수 밸브(350, 360)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배수 유로(35, 36)가 제1 배수 유로(35) 및 제2 배수 유로(36)를 포함하므로, 제1 배수 유로(35)에는 제1 배수 밸브(350)가, 제2 배수 유로(36)에는 제2 배수 밸브(360)가 배치될 수 있다.
배수 유로(35, 36)에 순환 유로(50)가 연결되는 경우, 배수 밸브(350, 360)를 따라 물이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배수 밸브(350, 360)보다 상류측에 위치한 배수 유로(35, 36)의 일 개소에 순환 유로(50)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배수 밸브(350, 360)에 의해 순환 유로(50)로의 물 흐름이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순환 유로(50)
순환 유로(50)는 배출 유로(30)와 공급 유로(20)를 연결하여 공급 유로(20), 필터 유닛(11, 12), 배출 유로(30) 및 순환 유로(50)로 구성된 폐회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유로이다. 따라서 순환 유로(50)에 의해 상술한 폐회로를 따라 물이 순환할 수 있고, 물이 필터 관리물질을 운반하고 있는 경우 순환과 함께 필터 유닛(11, 12)의 디스케일링 또는 살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순환 유로(50)는 상류측 순환유로(51, 52), 하류측 순환유로(53, 54) 및 상류측 순환유로(51, 52)와 하류측 순환유로(53, 54)를 연결하는 공통 순환유로(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류측 순환유로(51, 52)는 공급 유로(20)에 연결될 수 있고, 하류측 순환유로(53, 54)는 배출 유로(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류측 순환유로(51, 52)는 공급 유로(20)에서 물이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공급 밸브(230)보다 하류측에 위치한 공급 유로(20)의 일 개소에 연결될 수 있다. 하류측 순환유로(53, 54)는 배출 유로(30)에서 물이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배출 밸브(330, 340)보다 상류측에 위치한 배출 유로(30)의 일 개소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급 밸브(230)와 배출 밸브(330, 340)가 폐쇄된 상황에서도, 순환 유로(50)를 따라 물이 순환할 수 있다.
순환 유로(50)의 개폐를 위해 순환 밸브(530, 540)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하류측 순환유로(53)와 제2 하류측 순환유로(54)에는 각각 제1 순환 밸브(530)와 제2 순환 밸브(54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순환 밸브(530, 540)가 배치되는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펌프(60)
순환 유로(50)에는 순환 유로(50) 중의 물을 압송하기 위해 펌프(60)가 배치될 수 있다. 순환 유로(50)에서 필터 관리물질이 물과 같이 유동할 수 있으므로, 펌프(60)는 물과 함께 필터 관리물질을 필터 유닛(11, 12)으로 압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펌프(60)는, 공급 유로(20) 중의 물을 순환 유로(50)를 통해 필터 관리물질과 함께 배출 유로(30)로 압송할 수 있다.
필터 관리물질 제공부(70)
순환 유로(50)에는, 필터 유닛(11, 12)의 성능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필터 관리물질을 순환 유로(50)를 따라 유동하는 물에 제공하도록 필터 관리물질 제공부(70)가 마련될 수 있다. 필터 유닛(11, 12)의 성능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말은, 필터 유닛(11, 12)에 형성되는 스케일을 제거하거나, 필터 유닛(11, 12) 내의 세균을 살균하여 바이오필름의 형성을 방지하여 필터 유닛(11, 12)이 성능을 유지하거나 성능이 열화된 필터 유닛(11, 12)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필터 관리물질 제공부(70)와 펌프(60)가 공통 순환유로(5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필터 관리물질 제공부(70)와 펌프(60)는 순환 유로(50)의 다른 일부분에 배치될 수도 있고, 복수로 구성되어 각각의 배수 유로(35, 36)나 입수 유로(21, 22)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필터 관리물질 제공부(70)는 필터 관리물질로서 구연산과 살균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 관리물질 제공부(70)는 필터 관리물질로서 구연산을 저장하고 배출하기 위한 구연산 저장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연산 저장 탱크에 저장된 구연산이 순환 유로(50) 내에서의 물의 흐름에 따라 필터 유닛(11, 12)에 제공되어 스케일 제거에 사용될 수 있다.
필터 관리물질 제공부(70)는 전해살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전해살균모듈은 물에 전기를 가해, 필터 관리물질로서 살균물질을 생성하여 배출할 수 있다. 전해살균모듈은, 전기를 이용해 살균물질을 생성하도록 마련되는 살균물질 생성부와, 생성된 살균물질을 저장하기 위한 살균물질 저장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살균물질 생성부는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어, 펌프(60)가 작동하지 않는 시간 중 적어도 일부 동안 작동하여, 살균물질 저장탱크에 저장될 살균물질을 생성해 살균물질 저장탱크에 저장해둘 수 있다. 저장된 살균물질이 순환 유로(50) 내에서의 물의 흐름에 따라 필터 유닛(11, 12)에 제공되어 살균을 통한 바이오필름 생성 예방에 사용될 수 있다.
필터 유닛(11, 12)
필터 유닛(11, 12)은 원수 중의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여 연수를 생성하는 구성요소이다. 필터 유닛(11, 12)은 공급 유로(20)에 각각 마련되고, 공급받은 원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전기적인 힘에 의해 제거하여,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적게 포함하는 연수를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작동 상태를 제거 모드라고 할 수 있다. 필터 유닛(11, 12)은 제거 모드 중에 포집된 이온성 물질을 공급받은 원수와 함께 배출하여,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많이 포함하는 재생수를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작동 상태를 재생 모드라고 할 수 있다. 필터 유닛(11, 12)은 제거 모드와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필터 유닛(11, 12)은 복수로 구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필터 유닛(12)을 포함하는 2개의 필터 유닛(11, 12)이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구성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필터 유닛(11, 12)은 전기 탈이온 방식으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는 방식 중에 전기 탈이온 방식이 있다. 전해질 중의 하전입자에 직류전압이 작용하면, 양의 하전입자는 음극으로 이동하고, 음의 하전입자는 양극으로 이동한다. 이를 전기영동(electrophoresis)이라 한다. 전기 탈이온 방식은 전기적인 힘(전기영동)의 원리를 바탕으로 전극이나 이온교환막 등을 통해서 물 속의 이온(이온성 물질)을 선택적으로 흡착하거나 이동시켜 제거하는 방식을 말한다.
전기 탈이온 방식에는, ED(Electrodialysis), EDI(Electro Deionization), CEDI(Continuous Electro Deionization), CDI(Capacitive Deionization) 등의 방식이 있다. ED 방식의 필터 유닛(11, 12)은, 전극과 이온교환막을 구비한다. 그리고 EDI 방식의 필터 유닛(11, 12)은, 전극, 이온교환막 및 이온교환수지를 구비한다. 이에 반해 CDI 방식의 필터 유닛(11, 12)은 이온교환막이나 이온교환수지를 모두 구비하지 않거나, 또는 이온교환수지를 구비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유닛(11, 12)은, 전기 탈이온 방식 중 축전식 탈이온(CDI) 방식으로 이온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CDI 방식은 전기적인 힘에 의해, 전극의 표면에서 이온(또는 이온성 물질)이 흡착되고 탈착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이온을 제거하는 방식을 말한다.
도 2는 CDI 방식에서 이온성 물질이 제거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는 개념도이다. 도 3은 CDI 방식에서 전극이 재생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있는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을 더 참조하여, CDI 방식의 제거 모드와 재생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극에 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이온을 포함하는 물이 전극의 사이를 통과하면, 음이온은 양극으로 이동하게 되고, 양이온은 음극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흡착이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은 흡착으로 물 중에서 이온이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 유닛(11, 12)이, 필터 유닛(11, 12)을 통과하는 물 중의 이온(이온성 물질)을 전극을 통해 제거하는 모드를 제거 모드라고 한다.
그런데 전극의 흡착 용량은 제한적이다. 따라서 흡착이 계속되면 전극은 더 이상 이온을 흡착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를 막기 위해, 전극에 흡착된 이온을 탈착시켜 전극을 재생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극에 제거 모드 때와는 반대 전압을 인가하거나, 전압을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 유닛(11, 12)이 전극을 재생하는 모드를 재생 모드라 한다. 재생 모드는 제거 모드의 전이나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작용을 위해, 필터 유닛(11, 12)이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유닛(11, 12)은, 이온성 물질을 전극을 통한 전기 탈이온 방식으로 제거하는 제거 모드와, 전극을 재생하는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원수가 필터 유닛(11, 12) 에 공급될 때, 제거 모드에서는 원수 중의 이온성 물질을 적어도 일부 제거해 연수를 생성하여 필터 유닛(11, 12)이 배출하고, 재생 모드에서는 전극이 가지고 있던 이온성 물질을 원수에 제공하여 이온성 물질의 함량이 증가한 물을 필터 유닛(11, 12)이 배출할 수 있다.
필터 유닛(11, 12)은 상술한 것과 같이 공급 유로(20)와 배수 유로(35, 36)에 연결되어, 공급 유로(20)를 통해 물을 전달받고, 배수 유로(35, 36)를 통해 처리가 이루어진 물을 배출할 수 있다. 필터 유닛(11, 12)에는 수원으로부터 전달된 원수가 제공될 수 있고, 필터 유닛(11, 12)은 제공된 원수에 대해 이온성 물질을 제거하여 연수를 생성해 배출하거나, 이온성 물질을 내보내 재생수를 생성해 배출할 수 있다.
바이패스 유로(40)
바이패스 유로(40)는 필터 관리 모드에서 필터 유닛(11, 12)을 통과한 연수를 수요처로 공급할 수 없는 경우, 원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유로이다. 바이패스 유로(40)는 공급 유로(20)에서 물이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공급 밸브(230)보다 상류측에 위치한 일 개소와, 배출 유로(30)에서 물이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배출 밸브(330, 340)보다 하류측에 위치한 배출 유로(30)의 일 개소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급 밸브(230)와 배출 밸브(330, 340)가 잠겨 필터 유닛(11, 12)을 통해 물이 유동할 수 없는 경우, 바이패스 유로(40)로 물이 안내될 수 있다.
유로의 개폐를 위해 바이패스 유로(40)에 바이패스 밸브(400)가 배치될 수 있다. 연수 모드에서 수요처에 연수가 공급될 수 있는 상황이라면 바이패스 유로(40)를 통해 물이 흐를 필요가 없으므로 바이패스 밸브(400)는 폐쇄될 수 있다. 그러나 필터 관리 모드에서는 수요처에 연수가 공급되지 못하는 상황이어서 바이패스 유로(40)를 통해 원수의 공급이 필요하므로 바이패스 밸브(400)가 개방될 수 있다.
프로세서
프로세서는 제어명령을 수행하는 논리 연산이 가능한 소자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각종 구성요소들에 연결되어, 제어명령에 따른 신호를 각 구성요소들에 전달할 수 있고, 각종 센서 또는 획득부들에 연결되어 획득된 정보를 신호의 형태로 전달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연수 시스템(1)이 포함하는 밸브들과 필터 유닛(11, 12), 펌프(60) 및 필터 관리물질 제공부(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각각의 구성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도선으로 연결되거나,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통신 모듈을 더 가져 상호 통신할 수 있다.
연수 시스템(1)은 저장매체를 더 포함하여, 프로세서가 수행하는 제어명령들이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활용될 수 있다. 저장매체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서버, 휘발성 매체, 비휘발성 매체 등과 같은 장치일 수 있으나, 그 종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저장매체에는 이 밖에도 프로세서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데이터 등이 더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가 연수 시스템(1)을 제어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도 4,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1)이 연수 모드로 작동하는 상황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1)은 연수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연수 모드에서 프로세서는, 필터 유닛(11, 12)이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펌프(60)가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공급 밸브(230) 및 배출 밸브(330, 340)는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바이패스 밸브(400)는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순환 밸브(530, 540)는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바이패스 유로(40)와 순환 유로(50)를 통해서는 흐르지 않고, 필터 유닛(11, 12)을 통과해 각 필터 유닛(11, 12)을 재생하거나 필터 유닛(11, 12)에 의해 연수화 되어 수요처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제1 필터 유닛(11)이 제거 모드로 작동하고, 제2 필터 유닛(12)은 재생 모드로 작동하는 상황을 도시하였다. 따라서 제1 필터 유닛(11)을 통과한 원수가 연수화 되어 수요처로 제공되도록, 제1 배출 밸브(330)는 개방되고, 제1 배수 밸브(350)는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제2 필터 유닛(12)을 통과한 원수가 재생수화 되어 배수되도록, 제2 배출 밸브(340)는 폐쇄되고, 제2 배수 밸브(360)는 개방될 수 있다. 소정의 시간이 지나 제1 필터 유닛(11)과 제2 필터 유닛(12)이 각각 재생 모드와 제거 모드로 전환될 경우, 각각의 배수 밸브(350, 360) 및 배출 밸브(330, 340)의 작용 역시 반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1)이 필터 관리 모드로 작동하는 상황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필터 관리 모드에서 프로세서는, 공급 밸브(230) 및 배출 밸브(330, 340)가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필터 유닛(11, 12)이 작동을 중단하도록 제어하고, 펌프(60)가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순환 밸브(530, 540)와 바이패스 밸브(400)가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배수 밸브(350, 360)가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물은 공급 밸브(230)와 배출 밸브(330, 340) 사이에 갇히게 되고, 상술한 폐회로가 구성된다. 펌프(60)에 의해 폐회로를 따라 물의 흐름이 형성되고, 물이 순환할 수 있다. 이 때 순환 유로(50)에 위치한 필터 관리물질 제공부(70)에서 제공한 필터 관리물질이 물에 제공되어 같이 순환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 관리물질이 폐회로 중에 위치한 필터 유닛(11, 12)으로 제공되어 필터 유닛(11, 12)을 살균하거나 디스케일링 할 수 있다. 또한 원수는 바이패스 유로(40)를 따라 수원으로부터 수요처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2개의 필터 유닛(11, 12)이 배치되는 경우, 2개의 폐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에 표시된 화살표와 같이, 제1 필터 유닛(11) - 제1 배수 유로(35) - 제1 하류측 순환유로(53) - 공통 순환유로(55) - 제1 상류측 순환유로(51) - 제1 입수 유로(21)의 순서를 가지는 폐회로와, 제2 필터 유닛(12) - 제2 배수 유로(36) - 제2 하류측 순환유로(54) - 공통 순환유로(55) - 제2 상류측 순환유로(52) - 제2 입수 유로(22)의 순서를 가지는 폐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필터 관리물질이 순환함으로써, 필터 관리물질이 정체되어 있는 경우보다 필터 유닛(11, 12)의 오염물질을 잘 제거할 수 있다. 시스템의 분해 등이 수반되지 않고 살균 또는 스케일의 제거가 이루어지는 CIP(Cleaning In Place) 방식의 살균 또는 디스케일링이 가능하므로, 연수 시스템(1)의 유지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도 5에서 펌프(60)는 배출 유로(30) 중의 물을 순환 유로(50)를 통해 필터 관리물질과 함께 공급 유로(20)로 압송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르면, 반대되는 방향으로 펌프(60b)가 작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1b)이 필터 관리 모드로 작동하는 상황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르면 펌프(60b)는, 공급 유로(20) 중의 물을 순환 유로(50)를 통해 필터 관리물질과 함께 배출 유로(30)로 압송하도록 마련된다. 즉 도 5에서의 순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폐회로에서 물과 필터 관리물질의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원수가 필터 유닛(11, 12)을 통과할 때, 필터 유닛(11, 12)의 입구단에 출구단에서보다 많은 이온성 물질이 위치하고, 스케일이 형성되기도 쉽다. 도 6에서와 같이 필터 유닛(11, 12)을 원수가 통과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필터 관리물질, 특히 구연산을 순환시킬 경우, 필터 유닛(11, 12)의 입구단에 형성되는 다량의 스케일을 물리적으로 타격하여 필터 유닛(11, 12)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용이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 시스템(1)이 필터 관리 모드를 마치고 물을 배수하는 상황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프로세서는 필터 관리 모드가 실행되어 펌프(60)가 작동을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제1 시간이 경과한 후 펌프(60)가 작동을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필터 유닛(11, 12)으로부터 배출된 물이 배수되도록 공급 밸브(230)와 배수 밸브(350, 360)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 관리물질 및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물이 배수 유로(35, 36)를 통해 배수 될 수 있다.
그러나 프로세서는 펌프(60)가 작동을 중단한 뒤 소정의 제2 시간이 경과한 후에 공급 밸브(230)와 배수 밸브(350, 360)를 개방할 수도 있다. 제2 시간 동안 필터 관리물질이 필터 유닛(11, 12)에 정체하여 더 디스케일링 또는 살균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제1 시간은 2분 이하일 수 있다. 필터 관리 모드가 수행되는 총 시간은 5분 이하일 수 있다.
배수가 완료되면 프로세서는 다시 연수 시스템(1)이 연수 모드로 작동하도록 상술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소정의 주기마다 필터 관리 모드가 수행되도록 상기 밸브들 및 펌프(6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펌프(60)가 작동하지 않는 시간 중 적어도 일부 동안 작동하여, 살균물질 저장탱크에 저장될 살균물질을 생성하도록 전해살균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구연산은 구연산 저장 탱크에 보충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는 물을 복수 회에 걸쳐 순환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필터 관리 모드에서 순환 유로(50)에 채워진 물이 필터 관리물질을 필터 관리물질 제공부(70)로부터 전달받은 상태로 펌프(60)에 의해 상술한 제1 시간 동안 순환하여, 필터 유닛(11, 12)을 살균하거나 스케일을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는 펌프(60)를 소정의 제3 시간 동안 정지시킬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는 필터 관리물질 제공부(70)를 제어하여 순환 유로(50)에 채워진 물에 필터 관리물질을 더 제공할 수 있고, 펌프(60)를 다시 작동시켜 소정의 시간 동안 필터 유닛(11, 12)을 2회차 살균하거나 2회차로 스케일을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는 공급 밸브(230)와 배수 밸브(350, 360)을 개방하여 필터 관리물질과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물을 배수 유로(35, 36)를 통해 배수할 수 있다. 복수 회에 걸쳐 순환이 이루어지므로, 필터 유닛(11, 12) 내에 적층된 오염물질이 최초 순환시 초벌제거 되고, 다음 순환시에는 잔여 오염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는 필터 관리 모드에서 펌프(60)가 작동되었다 작동이 중단되고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공급 밸브(230), 배수 밸브(350, 360) 및 펌프(60)를 제어하는 것을 복수 회 반복할 수 있다. 즉 물을 순환시켜 배수한 뒤, 공급 유로(20)를 통해 순환 유로(50)에 물을 다시 채우고 순환 및 배수를 다시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물 유입-순환-배수로 이어지는 사이클이, 필터 관리 모드에서 복수 회 반복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는 물을 복수 회에 걸쳐 순환시키면서, 물이 순환하는 회차 중 일 회차에서와 타 회차에서 필터 관리물질 제공부(70)에 의해서 제공되는 필터물질이 서로 상이하도록 필터 관리물질 제공부(7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이 순환하는 회차 중 일 회차에서는 구연산이 물과 함께 순환하여 디스케일링이 일어나도록 하고, 다른 회차에서는 살균물질이 물과 함께 순환하여 살균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구연산과 살균물질이 순환하는 순서는 구연산-살균물질의 순서일 수 있고, 반대로 살균물질-구연산의 순서일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물에 구연산과 살균물질이 동시에 같이 제공되어 순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1b : 연수 시스템
11 : 제1 필터 유닛
12 : 제2 필터 유닛
20 : 공급 유로
21 : 제1 입수 유로
22 : 제2 입수 유로
23 : 수원 유로
30 : 배출 유로
31 : 제1 상류측 출수유로
32 : 제2 상류측 출수유로
33 : 제1 하류측 출수유로
34 : 제2 하류측 출수유로
35 : 제1 배수 유로
36 : 제2 배수 유로
37 : 수요처 유로
40 : 바이패스 유로
50 : 순환 유로
51 : 제1 상류측 순환유로
52 : 제2 상류측 순환유로
53 : 제1 하류측 순환유로
54 : 제2 하류측 순환유로
55 : 공통 순환유로
60, 60b : 펌프
70 : 필터 관리물질 제공부
230 : 공급 밸브
330 : 제1 배출 밸브
340 : 제2 배출 밸브
350 : 제1 배수 밸브
360 : 제2 배수 밸브
400 : 바이패스 밸브
530 : 제1 순환 밸브
540 : 제2 순환 밸브

Claims (16)

  1. 수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원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여, 상기 원수보다 이온성 물질을 적게 포함하는 연수를 수요처로 제공하기 위한 연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원수 중에 포함된 이온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전기적인 힘에 기초해서 제거하여 상기 연수를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필터 유닛;
    상기 필터 유닛으로 상기 원수를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는 공급 유로;
    상기 필터 유닛으로부터 물을 배출하기 위해 마련되는 배출 유로;
    상기 배출 유로와 상기 공급 유로를 연결하는 순환 유로;
    상기 필터 유닛의 성능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필터 관리물질을 상기 순환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물에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필터 관리물질 제공부; 및
    상기 순환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물을 상기 필터 관리물질과 함께 상기 필터 유닛으로 압송하도록 마련되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연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배출 유로 중의 물을 상기 순환 유로를 통해 상기 필터 관리물질과 함께 상기 공급 유로로 압송하도록 마련되는, 연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공급 유로 중의 물을 상기 순환 유로를 통해 상기 필터 관리물질과 함께 상기 배출 유로로 압송하도록 마련되는, 연수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유로의 개폐를 위해 상기 공급 유로에 배치되는 공급 밸브;
    유로의 개폐를 위해 상기 배출 유로에 배치되는 배출 밸브; 및
    상기 필터 유닛, 상기 공급 밸브, 상기 배출 밸브 및 상기 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순환 유로는, 상기 공급 유로에서 물이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공급 밸브보다 하류측에 위치한 상기 공급 유로의 일 개소와, 상기 배출 유로에서 물이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배출 밸브보다 상류측에 위치한 상기 배출 유로의 일 개소에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필터 유닛을 관리하기 위한 필터 관리 모드에서:
    상기 공급 밸브 및 상기 배출 밸브가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필터 유닛이 작동을 중단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펌프가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배수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 유로는, 상기 필터 유닛으로부터 상기 수요처로 물을 전달하기 위한 출수 유로와, 상기 필터 유닛으로부터 배출된 물을 배수하기 위해 상기 출수 유로에 연결되는 배수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 밸브는 유로의 개폐를 위해 상기 배수 유로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수 밸브와 전기적으로 더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펌프가 작동을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제1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펌프가 작동을 중단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필터 유닛으로부터 배출된 물이 배수되도록 상기 공급 밸브와 상기 배수 밸브를 개방하는, 연수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펌프가 작동을 중단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제2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필터 유닛으로부터 배출된 물이 배수되도록 상기 공급 밸브와 상기 배수 유로를 개방하는, 연수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시간이 경과하여 상기 펌프가 작동을 중단한 뒤, 상기 순환 유로 중의 물에 필터 관리물질을 더 공급하도록 상기 필터 관리물질 제공부를 더 제어하고,
    상기 펌프가 소정의 시간동안 작동한 뒤 다시 작동을 중단하도록 상기 펌프를 더 제어하고,
    상기 순환 유로 중의 물이 배수되도록 상기 공급 밸브와 상기 배수 밸브를 개방하는, 연수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필터 관리 모드에서:
    상기 펌프가 작동되었다가 작동이 중단되고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펌프, 상기 공급 밸브 및 상기 배수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복수 회 반복하여 실행하는, 연수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필터 관리 모드에서:
    상기 펌프가 작동되었다가 작동이 중단되고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펌프, 상기 공급 밸브 및 상기 배수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복수 회 반복하여 실행할 때, 일 회차에서 상기 필터 관리물질 제공부에 의해서 제공되는 필터 관리물질의 종류와, 타 회차에서 상기 필터 관리물질 제공부에 의해서 제공되는 필터 관리물질의 종류가 상이하도록 상기 필터 관리물질 제공부를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유로에서 물이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공급 밸브보다 상류측에 위치한 일 개소와, 상기 배출 유로에서 물이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배출 밸브보다 하류측에 위치한 상기 배출 유로의 일 개소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유로를 더 포함하는, 연수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유로의 개폐를 위해 상기 바이패스 유로에 배치되는 바이패스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바이패스 밸브에 전기적으로 더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필터 유닛에서 상기 연수가 배출되는 연수 모드에서는, 상기 필터 유닛이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펌프가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공급 밸브 및 상기 배출 밸브는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바이패스 밸브는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필터 관리 모드에서는, 상기 바이패스 밸브가 개방되도록 더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소정의 주기마다 상기 필터 관리 모드가 수행되도록 상기 공급 밸브, 상기 배출 밸브 및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관리물질 제공부는, 물에 전기를 가해, 상기 필터 관리물질로서 상기 필터 유닛의 살균을 위한 살균물질을 생성하여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전해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연수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살균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해살균모듈은, 상기 살균물질을 생성하도록 마련되는 살균물질 생성부와, 생성된 상기 살균물질을 저장하기 위한 살균물질 저장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펌프가 작동하지 않는 시간 중 적어도 일부 동안 작동하여, 상기 살균물질 저장탱크에 저장될 상기 살균물질을 생성하도록 상기 전해살균모듈을 제어하는, 연수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관리물질 제공부는,
    상기 필터 관리물질로서 상기 필터 유닛 내에 형성되는 스케일 제거를 위한 구연산을 저장하고 배출하기 위한 구연산 저장 탱크를 포함하는, 연수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관리물질은, 상기 필터 유닛 내에 형성되는 스케일 제거를 위한 구연산과, 상기 필터 유닛의 살균을 위한 살균물질을 포함하는, 연수 시스템.
KR1020210118397A 2020-10-16 2021-09-06 연수 시스템 KR102666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503,357 US20220119284A1 (en) 2020-10-16 2021-10-17 Water softening system
KR1020240061443A KR20240073836A (ko) 2020-10-16 2024-05-09 연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34564 2020-10-16
KR1020200134564 2020-10-1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61443A Division KR20240073836A (ko) 2020-10-16 2024-05-09 연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0762A true KR20220050762A (ko) 2022-04-25
KR102666200B1 KR102666200B1 (ko) 2024-05-16

Family

ID=81451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397A KR102666200B1 (ko) 2020-10-16 2021-09-06 연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62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3439B1 (ko) * 2022-06-30 2022-08-18 주식회사 유니온워터 지하수 연수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9230A (ko) * 2015-10-28 2017-05-10 주식회사 교원 정수기용 살균 및 세정 키트
KR20190134290A (ko) * 2018-05-25 2019-12-0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연수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9230A (ko) * 2015-10-28 2017-05-10 주식회사 교원 정수기용 살균 및 세정 키트
KR20190134290A (ko) * 2018-05-25 2019-12-0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연수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3439B1 (ko) * 2022-06-30 2022-08-18 주식회사 유니온워터 지하수 연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6200B1 (ko) 202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12497B (zh) 液體處理系統和方法
KR102557399B1 (ko) 연수 시스템
KR20230110236A (ko) 연수 시스템
KR20130077784A (ko) 축전식 탈이온 수처리 장치 및 축전식 탈이온 수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KR102666200B1 (ko) 연수 시스템
KR102621163B1 (ko) 연수 시스템
JP2001340863A (ja) 浴槽水循環軟水化装置及び浴槽水循環軟水風呂
EP2980027A1 (en) Operating an apparatus for removal of ions with warm and cold water
KR20240073836A (ko) 연수 시스템
KR102473725B1 (ko) 연수 시스템
CN212609713U (zh) 净水装置
KR102598182B1 (ko) 연수 시스템
KR100801916B1 (ko) 전극식 연수기
KR20220043025A (ko) 연수 시스템
US20230128055A1 (en) Water-softening system
KR102275495B1 (ko) 연수시스템
KR102253335B1 (ko) 연수 시스템
KR20220081711A (ko) 연수 시스템
US20220098062A1 (en) Water softening system
KR20230091677A (ko) 수처리 시스템
WO2023248599A1 (ja) 軟水化装置
KR102436262B1 (ko) 저탕식 온수기 및 물 가열기
JP2023034382A (ja) 軟水化装置
JP2024522570A (ja) イオン交換樹脂による、水浄化器などのイオン交換システムの酸及びアルカリ洗浄
JP2023093807A (ja) 軟水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