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5402A - 화장지속성을 갖는 화장품의 성능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화장지속성을 갖는 화장품의 성능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5402A
KR20210085402A KR1020190178400A KR20190178400A KR20210085402A KR 20210085402 A KR20210085402 A KR 20210085402A KR 1020190178400 A KR1020190178400 A KR 1020190178400A KR 20190178400 A KR20190178400 A KR 20190178400A KR 20210085402 A KR20210085402 A KR 20210085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oil
hours
cosmetic composition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9763B1 (ko
Inventor
민구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익스플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익스플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익스플즌
Priority to KR1020190178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763B1/ko
Publication of KR20210085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7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자씨 오일, 동백씨 오일 및 호박씨 오일로 구성되는 제1식물성 오일; 오미자 오일 및 구기자 오일로 구성되는 제2식물성 오일; 천연점착제; 현초(Geranium nepalense), 쇠뜨기(Equisetum arvense), 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 및 스피루리나(Spirulina) 추출물로 구성되는 제1 피부안정화 조성물; 죽엽 추출물, 미나리 추출물 및 해삼추출물로 구성되는 제2 피부안정화 조성물;로 구성되어, 화장지속성을 갖는 화장품에 일정량 첨가함으로서 화장지속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장지속성을 갖는 화장품의 성능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ed performance of cosmetic having cosmetic maintenance}
본 발명은 유자씨 오일, 동백씨 오일 및 호박씨 오일로 구성되는 제1식물성 오일; 오미자 오일 및 구기자 오일로 구성되는 제2식물성 오일; 천연점착제; 현초(Geranium nepalense), 쇠뜨기(Equisetum arvense), 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 및 스피루리나(Spirulina) 추출물로 구성되는 제1 피부안정화 조성물; 죽엽 추출물, 미나리 추출물 및 해삼추출물로 구성되는 제2 피부안정화 조성물;로 구성되어, 화장지속성을 갖는 화장품에 일정량 첨가함으로서 화장지속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종래 등록특허 10-1738802(등록일자 2017년05월16일) '색조 화장품의 지속성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과 등록특허 10-0316433(등록일자 2001년11월21일) '지속성이 긴 화장품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키트'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종래 개시된 기술들은 천연성분을 통한 지속성 향상에 대한 기술이 제대로 개시되어 있지 않고, 이로 인한 사용안정성이 낮고 피부건강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본 발명에서는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사용안정성을 높이면서 동시에 지속성의 향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메이크업이 된 상태에서 외부에 코팅막이 효과적으로 형성됨에 따른 기존 화장품의 메이크업 상태의 지속성을 더욱 향상시켜주고 쉽게 묻어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등록특허 10-1738802(등록일자 2017년05월16일) 등록특허 10-0316433(등록일자 2001년11월21일)
본 발명은 유자씨 오일, 동백씨 오일 및 호박씨 오일로 구성되는 제1식물성 오일; 오미자 오일 및 구기자 오일로 구성되는 제2식물성 오일; 천연점착제; 현초(Geranium nepalense), 쇠뜨기(Equisetum arvense), 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 및 스피루리나(Spirulina) 추출물로 구성되는 제1 피부안정화 조성물; 죽엽 추출물, 미나리 추출물 및 해삼추출물로 구성되는 제2 피부안정화 조성물;로 구성되어, 화장지속성을 갖는 화장품에 일정량 첨가함으로서 화장지속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자씨 오일, 동백씨 오일 및 호박씨 오일로 구성되는 제1식물성 오일(a) 5.0 ~ 40.0 wt%;
오미자 오일 및 구기자 오일로 구성되는 제2식물성 오일(b) 5.0 ~ 40.0 wt%;
천연점착제 20.0 ~ 40.0 wt%와, 카제인(casein) 20.0 ~ 40.0 wt%와, 키토산 20.0 ~ 40.0 wt%로 구성되는 100.0 wt%의 천연점착제(c) 10.0 ~ 50.0 wt%;
현초(Geranium nepalense), 쇠뜨기(Equisetum arvense), 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 및 스피루리나(Spirulina) 추출물의 혼합으로 구성된 제1 피부안정화 조성물(d) 1.0 ~ 20.0 wt%;
죽엽과 물을 1: 15 ~ 30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0 ℃에서 15 ~ 30 시간 동안 추출하고,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한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죽엽 추출물 1.0 ~ 20.0 wt%와,
돌미나리와 80 % 메탄올을 1 : 10 ~ 20 중량비로 혼합한 후, 70 ~ 80 ℃에서 2 ~ 4 시간 동안 추출하고, 추출물을 여과한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돌미나리 추출물 1.0 ~ 20.0 wt%와,
해삼과 에탄올을 1 : 10 ~ 12 중량비로 혼합한 후, 24 ~ 26 ℃에서 65 ~ 75 시간 동안 120 ~ 160 rpm으로 진탕배양기에서 추출하고, 추출한 추출물을 원심분리 기에서 7,500 ~ 8,500 rpm으로 15 ~ 25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수득한 상층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해삼추출물 1.0 ~ 20.0 wt%로 구성되는 100.0 wt%의 제2 피부안정화 조성물(e) 0.5 ~ 20.0 wt%;
건조한 여뀌와 에탄올을 1 : 10 ~ 15 중량비로 혼합하여 7 ~ 8 일 동안 침지시킨 후, 그 상층액을 분리 여과하는 과정을 3회에 걸쳐 반복 수행하고,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여뀌 추출물 20.0 ~ 50.0 wt%와,
건조한 황련과 에탄올을 1 : 10 ~ 15 중량비로 혼합한 후, 25 ~ 78 ℃에서 5 ~ 7시간 동안 가열 추출한 후, 11,000×g ~ 14,000×g로 10 ~ 20 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감압농축기로 60 ~ 99 ℃에서 85 ~ 95 rpm으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황련 추출물 20.0 ~ 50.0 wt%와,
맥문동엽 수세하여 동결건조기로 건조한 후 파우더(powder) 형태로 가공하고, 파우더 형태의 맥문동엽과 증류수를 1 : 10 ~ 12 중량비로 혼합하여 75 ~ 85 ℃에서 2 ~ 4 시간 동안 환류추출하고,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맥문동엽 추출물 20.0 ~ 50.0 wt%와,
소목과 에탄올을 1 : 5 ~ 10 중량비로 혼합한 후, 상온에서 24 시간 침출시킨 후 1차 추출액을 여과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2회 반복하여 여과한 추출액을 혼합하여 58 ~ 63 ℃에서 5 ~ 7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소목추출물 20.0 ~ 50.0 wt%로 구성되는 천연방부제(f) 0.5 ~ 10.0 wt%;로 구성되는, 오래 지속되는 화장품의 성능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지속성을 갖는 화장품의 성능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은 다음의 효과를 갖는다.
첫째. 유자씨 오일, 동백씨 오일 및 호박씨 오일로 구성되는 제1식물성 오일; 오미자 오일 및 구기자 오일로 구성되는 제2식물성 오일; 천연점착제; 현초(Geranium nepalense), 쇠뜨기(Equisetum arvense), 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 및 스피루리나(Spirulina) 추출물로 구성되는 제1 피부안정화 조성물; 죽엽 추출물, 미나리 추출물 및 해삼추출물로 구성되는 제2 피부안정화 조성물;로 구성되는 천연의 화장료 조성물을 화장품에 일정량 첨가함으로써, 기존에 화장품이 갖고 있던 메이크업 상태의 지속성을 더욱 향상시켜 줄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둘째. 천연재료를 사용하여 구성함으로써 피부자극성이 거의 없고 항산화, 미백 특성에 의한 피부 안정화에 효과적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장지속성을 갖는 화장품의 성능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기술 구성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지속성을 갖는 화장품의 성능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은 유자씨 오일, 동백씨 오일 및 호박씨 오일로 구성되는 제1식물성 오일(a) 5.0 ~ 40.0 wt%와,
오미자 오일 및 구기자 오일로 구성되는 제2식물성 오일(b) 5.0 ~ 40.0 wt%와,
천연점착제 20.0 ~ 40.0 wt%와, 카제인(casein) 20.0 ~ 40.0 wt%와, 키토산 20.0 ~ 40.0 wt%로 구성되는 100.0 wt%의 천연점착제(c) 10.0 ~ 50.0 wt%와,
현초(Geranium nepalense), 쇠뜨기(Equisetum arvense), 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 및 스피루리나(Spirulina) 추출물의 혼합으로 구성된 제1 피부안정화 조성물(d) 1.0 ~ 20.0 wt%와,
죽엽과 물을 1: 15 ~ 30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0 ℃에서 15 ~ 30 시간 동안 추출하고,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한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죽엽 추출물 1.0 ~ 20.0 wt%와,
돌미나리와 80 % 메탄올을 1 : 10 ~ 20 중량비로 혼합한 후, 70 ~ 80 ℃에서 2 ~ 4 시간 동안 추출하고, 추출물을 여과한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돌미나리 추출물 1.0 ~ 20.0 wt%와,
해삼과 에탄올을 1 : 10 ~ 12 중량비로 혼합한 후, 24 ~ 26 ℃에서 65 ~ 75 시간 동안 120 ~ 160 rpm으로 진탕배양기에서 추출하고, 추출한 추출물을 원심분리 기에서 7,500 ~ 8,500 rpm으로 15 ~ 25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수득한 상층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해삼추출물 1.0 ~ 20.0 wt%로 구성되는 100.0 wt%의 제2 피부안정화 조성물(d) 0.5 ~ 20.0 wt%로 구성된다.
상기 제1식물성 오일(a)과 제2식물성 오일(b)은 메이크업 된 화장 표면위로 막이 형성되도록 하여 메이크업된 상태가 오래 지속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1식물성 오일과 제2식물성 오일을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막 형성에 더욱 효과적이다.
상기 제1식물성 오일(a)은 유자씨 오일 5.0 ~ 50.0 wt%, 동백씨 오일 5.0 ~ 50.0 wt%, 호박씨 오일 5.0 ~ 50.0 wt%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그 배합비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성 분 배합예 1 배합예 2 배합예 3 배합예 4 배합예 5
유자씨 오일 25.0 wt% 35.0 wt% 40.0 wt% 25.0 wt% 35.0 wt%
동백씨 오일 40.0 wt% 25.0 wt% 35.0 wt% 40.0 wt% 25.0 wt%
호박씨 오일 35.0 wt% 40.0 wt% 25.0 wt% 35.0 wt% 40.0 wt%
합 계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상기 제1식물성 오일의 사용량이 상기 제시된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제2식물성 오일 및 타성분과의 적정 배합비를 구성하지 못하여 코팅막을 제대로 형성하기 어렵거나 또는 화장품의 기능 저하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제1식물성 오일의 사용량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5.0 ~ 40.0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식물성 오일(b)은 오미자 오일 10.0 ~ 90.0 wt%, 구기자 오일 10.0 ~ 90.0 wt%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그 배합비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다음의 표 2와 같다.
성 분 배합예 1 배합예 2 배합예 3 배합예 4 배합예 5
오미자 오일 10.0 wt% 30.0 wt% 50.0 wt% 70.0 wt% 90.0 wt%
구기자 오일 90.0 wt% 70.0 wt% 50.0 wt% 30.0 wt% 10.0 wt%
합 계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상기 제2식물성 오일의 사용량이 상기 제시된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제2식물성 오일 및 타성분과의 적정 배합비를 구성하지 못하여 코팅막을 제대로 형성하기 어렵거나 또는 화장품의 기능 저하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제2식물성 오일의 사용량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5.0 ~ 40.0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점착제(c)는 다공성 전분 20.0 ~ 50.0 wt%와, 카제인(casein) 20.0 ~ 50.0 wt%와, 키토산 20.0 ~ 50.0 wt%로 구성된다.
상기 천연점착제(c)의 성분간의 배합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의 표 3과 같다.
성 분 배합예 1 배합예 2 배합예 3 배합예 4 배합예 5
다공성 전분 40.0 wt% 42.0 wt% 45.0 wt% 48.0 wt% 50.0 wt%
카제인
(casein)
35.0 wt% 33.1 wt% 30.5 wt% 28.2 wt% 26.7 wt%
키토산 25.0 wt% 24.9 wt% 24.5 wt% 23.8 wt% 23.3 wt%
합 계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상기 천연점착제(c)의 첨가량이 10.0 wt%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 부착 및 고착성이 떨어지고, 30.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점도 상승으로 인한 발림성이 크게 나빠질 수 있으므로, 상기 천연점착제(b)의 첨가량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10.0 ~ 30.0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피부안정화 조성물(d)은 현초(Geranium nepalense), 쇠뜨기(Equisetum arvense), 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 및 스피루리나(Spirulina) 추출물의 혼합으로 구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현초(Geranium nepalense) 추출물 5.0 ~ 45.0 wt%, 쇠뜨기(Equisetum arvense) 추출물 5.0 ~ 45.0 wt%, 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 추출물 5.0 ~ 45.0 wt% 및 스피루리나(Spirulina) 추출물 5.0 ~ 45.0 wt%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피부안정화 조성물(d)의 배합비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다음의 표 4와 같다.
성 분 배합예 1 배합예 2 배합예 3 배합예 4 배합예 5
현초 추출물 25.0 wt% 14.5 wt% 28.5 wt% 32.0 wt% 25.0 wt%
쇠뜨기 추출물 32.0 wt% 25.0 wt% 14.5 wt% 28.5 wt% 32.0 wt%
고려엉겅퀴
추출물
28.5 wt% 32.0 wt% 25.0 wt% 14.5 wt% 28.5 wt%
스피루리나
추출물
14.5 wt% 28.5 wt% 32.0 wt% 25.0 wt% 14.5 wt%
합 계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제1 피부안정화 조성물(d)의 사용량이 1.0 wt% 미만인 경우에는 보습 기능이 제대로 발현되기 어렵고, 20.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사용으로 인해 무의미하므로, 상기 제1 피부안정화 조성물(c)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1.0 ~ 20.0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피부안정화 조성물(e)는 죽엽 추출물 1.0 ~ 60.0 wt%, 돌미나리 추출물 1.0 ~ 60.0 wt% 및 해삼추출물 1.0 ~ 60.0 wt%로 구성된다.
상기 죽엽 추출물은 죽엽과 물을 1: 15 ~ 30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0 ℃에서 15 ~ 30 시간 동안 추출하고,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한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죽엽 추출물을 동결건조 후 분쇄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돌미나리 추출물은 돌미나리와 80 % 메탄올을 1 : 10 ~ 20 중량비로 혼합한 후, 70 ~ 80 ℃에서 2 ~ 4 시간 동안 추출하고, 추출물을 여과한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돌미나리 추출물을 동결건조 후 분쇄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해삼추출물은 해삼과 에탄올을 1 : 10 ~ 12 중량비로 혼합한 후, 24 ~ 26 ℃에서 65 ~ 75 시간 동안 120 ~ 160 rpm으로 진탕배양기에서 추출하고, 추출한 추출물을 원심분리 기에서 7,500 ~ 8,500 rpm으로 15 ~ 25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수득한 상층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해삼추출물을 동결건조 후 분쇄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제2 피부안정화 조성물(e)을 구성하는 성분간의 배합예는 다음의 표 5와 같다.
성 분 배합예 1 배합예 2 배합예 3 배합예 4 배합예 5
죽엽 추출물 20.0 wt% 30.0 wt% 50.0 wt% 20.0 wt% 30.0 wt%
돌미나리
추출물
50.0 wt% 20.0 wt% 30.0 wt% 50.0 wt% 20.0 wt%
해삼추출물 30.0 wt% 50.0 wt% 20.0 wt% 30.0 wt% 50.0 wt%
합 계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상기 천연방부제는 여뀌 추출물 20.0 ~ 50.0 wt%, 황련 추출물 20.0 ~ 50.0 wt%, 맥문동엽 추출물 20.0 ~ 50.0 wt%, 소목추출물 20.0 ~ 50.0 wt%로 구성된다.
상기 여뀌 추출물은 건조한 여뀌와 에탄올을 1 : 10 ~ 15 중량비로 혼합하여 7 ~ 8 일 동안 침지시킨 후, 그 상층액을 분리 여과하는 과정을 3회에 걸쳐 반복 수행하고,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황련 추출물은 건조한 황련과 에탄올을 1 : 10 ~ 15 중량비로 혼합한 후, 25 ~ 78 ℃에서 5 ~ 7시간 동안 가열 추출한 후, 11,000×g ~ 14,000×g로 10 ~ 20 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감압농축기로 60 ~ 99 ℃에서 85 ~ 95 rpm으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맥문동엽 추출물은 맥문동엽 수세하여 동결건조기로 건조한 후 파우더(powder) 형태로 가공하고, 파우더 형태의 맥문동엽과 증류수를 1 : 10 ~ 12 중량비로 혼합하여 75 ~ 85 ℃에서 2 ~ 4 시간 동안 환류추출하고,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소목추출물은 소목과 에탄올을 1 : 5 ~ 10 중량비로 혼합한 후, 상온에서 24 시간 침출시킨 후 1차 추출액을 여과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2회 반복하여 여과한 추출액을 혼합하여 58 ~ 63 ℃에서 5 ~ 7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천연방부제(f)를 구성하는 성분간의 배합예는 다음의 표 6과 같다.
성 분 배합예 1 배합예 2 배합예 3 배합예 4 배합예 5
여뀌 추출물 25.0 wt% 5.0 wt% 40.0 wt% 30.0 wt% 25.0 wt%
황련 추출물 30.0 wt% 25.0 wt% 5.0 wt% 40.0 wt% 30.0 wt%
맥문동엽
추출물
40.0 wt% 30.0 wt% 25.0 wt% 5.0 wt% 40.0 wt%
소목추출물 5.0 wt% 40.0 wt% 30.0 wt% 25.0 wt% 5.0 wt%
합 계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상기 천연방부제(f)의 첨가량이 0.5 wt% 미만인 경우에는 방부기능성이 떨어져 화장료 및 화장품의 보관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10.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사용으로 인한 타 성분 함량에 영향을 미치 화장료의 다른 기능성 저하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천연방부제(f)의 첨가량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0.5 ~ 10.0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시된 구성외에,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실리콘 오일 40.0 ~ 60.0 wt%와, 스쿠알란 오일 40.0 ~ 60.0 wt%로 구성되는 오일바인더 5.0 ~ 15.0 wt%;
또한
더덕 추출물 10.0 ~ 60.0 wt%, 만병초 추출물 1.0 ~ 50.0 wt%, 밤나무잎 추출물 1.0 ~ 40.0 wt%로 구성되는 항노화추출물 0.1 ~ 5.0 w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바인더는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어 내수성, 내유성 및 부착성을 향상의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배합예는 다음의 표 7과 같다.
성 분 배합예 1 배합예 2 배합예 3 배합예 4 배합예 5
실리콘 오일 40.0 wt% 45.0 wt% 50.0 wt% 55.0 wt% 60.0 wt%
스쿠알란 오일 60.0 wt% 55.0 wt% 50.0 wt% 45.0 wt% 40.0 wt%
합 계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상기 항노화추출물의 구체적인 배합예는 다음의 표 8과 같다.
성 분 배합예 1 배합예 2 배합예 3 배합예 4 배합예 5
더덕 추출물 25.0 wt% 37.0 wt% 38.0 wt% 25.0 wt% 37.0 wt%
만병초 추출물 38.0 wt% 25.0 wt% 37.0 wt% 38.0 wt% 25.0 wt%
밤나무잎
추출물
37.0 wt% 38.0 wt% 25.0 wt% 37.0 wt% 38.0 wt%
합 계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이하, 상기 제시된 성분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색조화장료의 구체적인 배합예를 살펴보도록 한다.
성 분 배합예 1 배합예 2 배합예 3 배합예 4 배합예 5
제1식물성 오일 25.0 wt% 27.0 wt% 27.5 wt% 28.0 wt% 29.0 wt%
제2식물성 오일 21.0 wt% 21.3 wt% 21.2 wt% 22.0 wt% 21.8 wt%
천연점착제 29.0 wt% 26.7 wt% 26.3 wt% 25.0 wt% 24.2 wt%
제1 피부안정화 조성물 10.0 wt% 10.0 wt% 10.0 wt% 10.0 wt% 10.0 wt%
제2 피부안정화 조성물 10.0 wt% 10.0 wt% 10.0 wt% 10.0 wt% 10.0 wt%
천연방부제 5.0 wt% 5.0 wt% 5.0 wt% 5.0 wt% 5.0 wt%
합 계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상기 표 9에 있어서,
상기 제1식물성 오일은 유자씨 오일 35.0 wt%, 동백씨 오일 25.0 wt%, 호박씨 오일 40.0 wt%로 구성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제2식물성 오일은 오미자 오일 50.0 wt%, 구기자 오일 50.0 wt%로 구성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천연점착제는 다공성 전분 45.0 wt%와, 카제인(casein) 30.5 wt%와, 키토산 24.5 wt%로 구성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제1 피부안정화 조성물은 현초(Geranium nepalense) 추출물 25.0 wt%, 쇠뜨기(Equisetum arvense) 추출물 32.0 wt%, 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 추출물 28.5 wt%, 스피루리나(Spirulina) 추출물 14.5 wt%로 구성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제2 피부안정화 조성물은 죽엽 추출물 50.0 wt%, 돌미나리 추출물 30.0 wt% 및 해삼추출물 20.0 wt%로 구성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천연방부제는 여뀌 추출물 40.0 wt%, 황련 추출물 5.0 wt%, 맥문동엽 추출물 25.0 wt%, 소목추출물 30.0 wt%로 구성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배합예 1 내지 배합예 5에 따른 화장료를 20 wt%를 첨가한 아이섀도우의 시간대별 색상유지상태를 테스트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를 첨가하지 않은 아이섀도우(비교예)와 비교하여 10시간 경과시점에 선명도의 색상유지상태를 비교한 결과, 비교예의 경우 색상의 선명도가 50 % 정도 저감된 반면, 배합예 1 내지 5의 경우 30 시간 경과시점에 50 % 정도 저감됨으로써, 지속성이 상대적으로 장시간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배합예 1 내지 배합예 5의 경우 색상 선명도 비교에 있어, 동일한 측정 시점에 있어 배합예 5> 배합예 4> 배합예 3> 배합예 2> 배합예1의 순서로 색상 선명도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래 지속되는 화장품의 성능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에 일정량 첨가됨으로써, 화장 지속성이 긴 화장품 또는 일반 화장품의 지속성을 더욱 향상시켜 줌으로써, 화장품의 지속성이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고, 화장품에 일정량 첨가됨으로써, 천연재료를 사용하여 구성함으로써 피부자극성이 거의 없고 피부 안정화 특성이 강하여 피부 건강에 유용하기 때문에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크다.

Claims (7)

  1. 유자씨 오일, 동백씨 오일 및 호박씨 오일로 구성되는 제1식물성 오일(a) 5.0 ~ 40.0 wt%;
    오미자 오일 및 구기자 오일로 구성되는 제2식물성 오일(b) 5.0 ~ 40.0 wt%;
    천연점착제 20.0 ~ 40.0 wt%와, 카제인(casein) 20.0 ~ 40.0 wt%와, 키토산 20.0 ~ 40.0 wt%로 구성되는 100.0 wt%의 천연점착제(c) 10.0 ~ 50.0 wt%;
    현초(Geranium nepalense), 쇠뜨기(Equisetum arvense), 고려엉겅퀴(Cirsium setidens) 및 스피루리나(Spirulina) 추출물의 혼합으로 구성된 제1 피부안정화 조성물(d) 1.0 ~ 20.0 wt%;
    죽엽과 물을 1: 15 ~ 30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0 ℃에서 15 ~ 30 시간 동안 추출하고,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한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죽엽 추출물 1.0 ~ 20.0 wt%와,
    돌미나리와 80 % 메탄올을 1 : 10 ~ 20 중량비로 혼합한 후, 70 ~ 80 ℃에서 2 ~ 4 시간 동안 추출하고, 추출물을 여과한 여액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돌미나리 추출물 1.0 ~ 20.0 wt%와,
    해삼과 에탄올을 1 : 10 ~ 12 중량비로 혼합한 후, 24 ~ 26 ℃에서 65 ~ 75 시간 동안 120 ~ 160 rpm으로 진탕배양기에서 추출하고, 추출한 추출물을 원심분리 기에서 7,500 ~ 8,500 rpm으로 15 ~ 25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수득한 상층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해삼추출물 1.0 ~ 20.0 wt%로 구성되는 100.0 wt%의 제2 피부안정화 조성물(e) 0.5 ~ 20.0 wt%;
    건조한 여뀌와 에탄올을 1 : 10 ~ 15 중량비로 혼합하여 7 ~ 8 일 동안 침지시킨 후, 그 상층액을 분리 여과하는 과정을 3회에 걸쳐 반복 수행하고,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여뀌 추출물 20.0 ~ 50.0 wt%와,
    건조한 황련과 에탄올을 1 : 10 ~ 15 중량비로 혼합한 후, 25 ~ 78 ℃에서 5 ~ 7시간 동안 가열 추출한 후, 11,000×g ~ 14,000×g로 10 ~ 20 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감압농축기로 60 ~ 99 ℃에서 85 ~ 95 rpm으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황련 추출물 20.0 ~ 50.0 wt%와,
    맥문동엽 수세하여 동결건조기로 건조한 후 파우더(powder) 형태로 가공하고, 파우더 형태의 맥문동엽과 증류수를 1 : 10 ~ 12 중량비로 혼합하여 75 ~ 85 ℃에서 2 ~ 4 시간 동안 환류추출하고,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맥문동엽 추출물 20.0 ~ 50.0 wt%와,
    소목과 에탄올을 1 : 5 ~ 10 중량비로 혼합한 후, 상온에서 24 시간 침출시킨 후 1차 추출액을 여과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2회 반복하여 여과한 추출액을 혼합하여 58 ~ 63 ℃에서 5 ~ 7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수득한 소목추출물 20.0 ~ 50.0 wt%로 구성되는 천연방부제(f) 0.5 ~ 10.0 wt%;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래 지속되는 화장품의 성능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식물성 오일은 유자씨 오일 5.0 ~ 20.0 wt%, 동백씨 오일 5.0 ~ 20.0 wt%, 호박씨 오일 5.0 ~ 20.0 wt%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래 지속되는 화장품의 성능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식물성 오일은 오미자 오일 10.0 ~ 90.0 wt%, 구기자 오일 10.0 ~ 90.0 wt%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래 지속되는 화장품의 성능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오미자 오일은 오미자 씨앗을 0.1 ~ 0.3 mm의 크기로 파쇄한 후, 상기 오미자 씨앗과 헥산(normal hexane)을 중량비를 기준으로 1: 4 ~ 6비로 혼합하고, 55 ~ 60 ℃를 유지하여 10 ~ 14 시간 동안 3회 반복 추출하여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의 지속성을 향상시켜 주는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구기자 오일은 구기자 씨앗을 0.1 ~ 0.3 mm의 크기로 파쇄한 후, 상기 오미자 씨앗과 헥산(normal hexane)을 중량비를 기준으로 1: 4 ~ 6비로 혼합하고, 55 ~ 60 ℃를 유지하여 10 ~ 14 시간 동안 3회 반복 추출하여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의 지속성을 향상시켜 주는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실리콘 오일 40.0 ~ 60.0 wt%와, 스쿠알란 오일 40.0 ~ 60.0 wt%로 구성되는 오일바인더 5.0 ~ 15.0 wt%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의 지속성을 향상시켜 주는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더덕 추출물 10.0 ~ 60.0 wt%, 만병초 추출물 1.0 ~ 50.0 wt%, 밤나무잎 추출물 1.0 ~ 40.0 wt%로 구성되는 항노화추출물 0.1 ~ 5.0 wt%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이크업의 지속성을 향상시켜 주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178400A 2019-12-30 2019-12-30 화장지속성을 갖는 화장품의 성능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102299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400A KR102299763B1 (ko) 2019-12-30 2019-12-30 화장지속성을 갖는 화장품의 성능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400A KR102299763B1 (ko) 2019-12-30 2019-12-30 화장지속성을 갖는 화장품의 성능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402A true KR20210085402A (ko) 2021-07-08
KR102299763B1 KR102299763B1 (ko) 2021-09-09

Family

ID=76893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400A KR102299763B1 (ko) 2019-12-30 2019-12-30 화장지속성을 갖는 화장품의 성능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7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0168A (ko) * 2021-02-23 2022-08-30 주식회사 가인화장품 항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듬 또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2573A (ko) 2021-10-13 2023-04-20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로바이오틱스를 이용한 스피루리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433B1 (ko) 1996-10-17 2001-12-12 데이비드 엠 모이어 지속성이 긴 화장품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키트
KR101738802B1 (ko) 2013-03-15 2017-05-22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색조 화장품의 지속성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
KR101952695B1 (ko) * 2017-10-19 2019-02-27 주식회사 익스플즌 천연물질을 이용한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2010404B1 (ko) * 2018-06-04 2019-08-13 주식회사 익스플즌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433B1 (ko) 1996-10-17 2001-12-12 데이비드 엠 모이어 지속성이 긴 화장품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키트
KR101738802B1 (ko) 2013-03-15 2017-05-22 이엘씨 매니지먼트 엘엘씨 색조 화장품의 지속성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
KR101952695B1 (ko) * 2017-10-19 2019-02-27 주식회사 익스플즌 천연물질을 이용한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2010404B1 (ko) * 2018-06-04 2019-08-13 주식회사 익스플즌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0168A (ko) * 2021-02-23 2022-08-30 주식회사 가인화장품 항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듬 또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763B1 (ko) 2021-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9763B1 (ko) 화장지속성을 갖는 화장품의 성능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101517373B1 (ko) 발효곡물 및 발효씨앗을 이용한 성형곡물의 제조방법
KR101284426B1 (ko) 에탄올, 물, 및 글리세린의 혼합 용제를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료
CN108403533A (zh) 一种白芨可溶性面膜及其制备方法
CN103704872B (zh) 一种具有甜香风格的再造烟草及其用途
KR102305761B1 (ko) 메이크업의 지속성을 향상시켜 주는 화장료 조성물
CN111315355A (zh) 大丽花组合物、大丽花组合物粉末、化妆料组合物及其制造方法
CN105476914A (zh) 一种祛痘补水保湿水
KR102299762B1 (ko) 지속성이 개선된 색조화장료 및 이를 포함하는 색조화장품
KR101988829B1 (ko) 여성 가슴 확대 및 피부 탄력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CN107320357A (zh) 一种含多糖的化妆品
KR102516381B1 (ko) 클로렐라 추출물이 함유된 화장품용 앰플 조성물
CN109527562A (zh) 红薯叶植物胰岛粉及制备方法
CN106616380B (zh) 豆瓣酱和豆瓣酱的制备方法
KR102580400B1 (ko) 염에 의한 삼투압 및 분자 압축 탈수 공정을 이용하는 오크라의 추출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CN110226737A (zh) 一种高黏度叶类果胶与蛋白复合物在豆制品中的应用
KR20220139561A (ko) 참마의 저장단백질 추출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47966B1 (ko) 녹두씨, 만주자작나무수액 및 소리쟁이뿌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2842958A (zh) 一种能长效持妆的水嫩保湿两用粉饼的制备方法
CN113041176A (zh) 一种复配天然色素的口红及其制备方法
KR101944808B1 (ko) 안토시아닌 색소와 고령토 분말을 포함하는 색조화장품의 염료 제조방법
KR20200053758A (ko) 대나무통 가공 방법과 대나무통을 이용한 전등갓의 제조 방법
CN113730329A (zh) 自体粘膜细胞再生修复组合物、制备方法及其应用
KR20180011559A (ko) 식물성 원료를 가공한 마스크 시트용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311455A (zh) 一种萋萋菜白茅根止血消炎胶的加工工艺及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