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5382A -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5382A
KR20210085382A KR1020190178359A KR20190178359A KR20210085382A KR 20210085382 A KR20210085382 A KR 20210085382A KR 1020190178359 A KR1020190178359 A KR 1020190178359A KR 20190178359 A KR20190178359 A KR 20190178359A KR 20210085382 A KR20210085382 A KR 20210085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dule
electric vehicle
connection
conversion device
vehicl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9105B1 (ko
Inventor
김일환
채상헌
안진홍
이도헌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78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105B1/ko
Publication of KR20210085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B60L53/2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charging converter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1Charging column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연결 변환 장치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제1 전원 단자; 상기 연결 변환 장치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BI(BMS Interface) 단자; 상기 연결 변환 장치의 후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기차 배터리 모듈로부터 직류 전원을 인가 받는 제2 전원 단자; 상기 연결 변환 장치의 후면부에 형성되어, BI(BMS Interface)와 연결되는 BI(BMS Interface) 연결부; 상기 전원 단자의 직렬 또는 병렬 연결을 제공하는 전원 연결 모듈; 및 상기 BMS 인터페이스(BI)를 통합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CONNECTING ADAPTER FOR BATTERY OF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전기 자동차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차종에는 반복해서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배터리 모듈은 여러 번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며 장기간 사용할 수 있으나, 배터리의 수명은 한정적이기 때문에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없고 적절한 시기에 배터리를 교체해주어야 한다.
또한, 전기차에 탑재되는 배터리 모듈은 차종별로 각기 다른 제작사에서 생산된 제품이 사용되므로, 각 배터리 모듈의 크기와 단자 위치 등이 다양하다.
이러한 다양한 전기차 배터리 모듈을 재활용하기 위해 동종의 PCS(Power Conversion System) 또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에 연결시 해당 배터리에 맞는 형태를 개발하거나 대전류용 전선을 통해 연결을 해야 하므로, 제품 개발 시 외형, 공조 설계 등의 최적화된 제품 제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PCS(Power Conversion System) 또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에 연결되는 배터리 모듈의 변환 장치를 제공하여, 배터리 모듈뿐만 아니라 BI(BMS Interface)와 연결이 가능하며, 배터리 모듈의 대형화와 배터리 모듈에 연결되는 PCS(Power Conversion System)의 통일화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에 따르면 제품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배터리 모듈의 종류와 형태에 관계없이 배터리 모듈만 간단히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는 상기 연결 변환 장치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제1 전원 단자; 상기 연결 변환 장치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BI(BMS Interface) 단자; 상기 연결 변환 장치의 후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기차 배터리 모듈로부터 직류 전원을 인가 받는 제2 전원 단자; 상기 연결 변환 장치의 후면부에 형성되어, BI(BMS Interface)와 연결되는 BI(BMS Interface) 연결부; 상기 전원 단자의 직렬 또는 병렬 연결을 제공하는 전원 연결 모듈; 및 상기 BMS 인터페이스(BI)를 통합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BI(BMS Interface) 단자는 PCS(Power Conversion System) 또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차 배터리 모듈이 소형 배터리 모듈인 경우, 상기 제2 전원 단자 및 상기 BI 연결부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전원 단자는 나사 고정형 또는 스프링 방식의 탈착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의 외부에 설치되는 공조 모듈; 및 상기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 모듈의 팽창을 감지하는 배터리 팽창 감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 팽창 감지모듈은 근접 센서, 초음파 센서, 로드셀, 레이저 또는 기울기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PCS(Power Conversion System) 또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에 연결되는 배터리 모듈의 변환 장치를 제공하여, 배터리 모듈뿐만 아니라 BI(BMS Interface)와 연결이 가능하며, 배터리 모듈의 대형화와 배터리 모듈에 연결되는 PCS(Power Conversion System)의 통일화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에 따르면 제품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배터리 모듈의 종류와 형태에 관계없이 배터리 모듈만 간단히 교체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의 구성도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후부터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100)는 제1 전원 단자(110), BI(BMS Interface) 단자(120), 제2 전원 단자(130), BI(BMS Interface) 연결부(140), 전원 연결 모듈(150) 및 컨트롤러(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전원 단자(110)는 배터리 모듈(200)로부터 직류 전원을 인가 받으며, BI(BMS Interface) 단자(120)는 BMS 인터페이스(BI)에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PCS(Power Conversion System) 또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100)의 전면부는 연결되는 배터리 모듈의 종류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외부에는 양극(+)과 음극(-)의 전원 단자(110)와 BI 단자(120)가 구성되며, 상기 BI 단자(120)에는 PCS(Power Conversion System) 또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에 연결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100)의 후면부는 배터리 모듈(200)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대형 배터리 모듈(200)의 경우 각각 하나의 제2 전원 단자(130)와 BI 연결부(140)가 구성될 수 있으며, 도 3에서와 같이 소형 모듈(200)의 경우 크기에 따라 각각 2개 이상의 제2 전원 단자(130)와 BI 연결부(140)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100)의 후면부의 제2 전원 단자(130)는 필요에 따라 나사 고정형 또는 스프링 방식의 탈착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BI 연결부(140)는 선을 통해 BI(BMS Interface)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100)의 내부에는 다수의 배터리 모듈(200)의 연결을 위하여 전원 단자의 직렬 또는 병렬 연결을 위한 전원 연결 모듈(150)이 구비되며, BI(BMS Interface)의 통합 또는 제어를 위하여 컨트롤러(16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100)는 외부 모듈(171)로서 공조 모듈(170) 및 배터리 팽창 감지 모듈(1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조 모듈(170)은 냉각 팬 등의 장치로 구성되어 상기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100)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 팽창 감지 모듈(180)도 상기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100)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 모듈의 팽창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공조 모듈(170) 및 상기 배터리 팽창 감지 모듈(180)은 연결 변환 장치(100)와 일체형으로 구성되거나 탈부착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PCS(Power Conversion System) 또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에 연결되는 배터리 모듈의 변환 장치를 제공하여, 배터리 모듈뿐만 아니라 BI(BMS Interface)와 연결이 가능하며, 배터리 모듈의 대형화와 배터리 모듈에 연결되는 PCS(Power Conversion System)의 통일화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에 따르면 제품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배터리 모듈의 종류와 형태에 관계없이 배터리 모듈만 간단히 교체가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전기자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
110: 제1 전원 단자
120: BI 단자
130: 제2 전원 단자
140: BI 연결부
150: 전원 연결 모듈
160: 컨트롤러
170: 공조 모듈
180: 배터리 팽창 감지 모듈
200: 배터리 모듈

Claims (6)

  1.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 변환 장치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제1 전원 단자;
    상기 연결 변환 장치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BI(BMS Interface) 단자;
    상기 연결 변환 장치의 후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기차 배터리 모듈로부터 직류 전원을 인가 받는 제2 전원 단자;
    상기 연결 변환 장치의 후면부에 형성되어, BI(BMS Interface)와 연결되는 BI(BMS Interface) 연결부;
    상기 전원 단자의 직렬 또는 병렬 연결을 제공하는 전원 연결 모듈; 및
    상기 BMS 인터페이스(BI)를 통합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I(BMS Interface) 단자는,
    PCS(Power Conversion System) 또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에 연결되는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 배터리 모듈이 소형 배터리 모듈인 경우, 상기 제2 전원 단자 및 상기 BI 연결부는 복수개로 구성되는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 단자는,
    나사 고정형 또는 스프링 방식의 탈착형으로 구성되는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의 외부에 설치되는 공조 모듈; 및
    상기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 모듈의 팽창을 감지하는 배터리 팽창 감지 모듈;
    을 포함하는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팽창 감지는,
    근접 센서, 초음파 센서, 로드셀, 레이저 또는 기울기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
KR1020190178359A 2019-12-30 2019-12-30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 KR102369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359A KR102369105B1 (ko) 2019-12-30 2019-12-30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359A KR102369105B1 (ko) 2019-12-30 2019-12-30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382A true KR20210085382A (ko) 2021-07-08
KR102369105B1 KR102369105B1 (ko) 2022-03-02

Family

ID=76893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359A KR102369105B1 (ko) 2019-12-30 2019-12-30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1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0712A (ko) * 2011-03-02 2012-09-12 주식회사 명신이엔지 냉각팬을 구비하는 배터리 장치
KR20170011001A (ko) * 2015-07-21 2017-02-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자 플레이트 및 bms가 직접 연결된 구조의 전지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0712A (ko) * 2011-03-02 2012-09-12 주식회사 명신이엔지 냉각팬을 구비하는 배터리 장치
KR20170011001A (ko) * 2015-07-21 2017-02-02 주식회사 엘지화학 단자 플레이트 및 bms가 직접 연결된 구조의 전지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9105B1 (ko) 2022-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5806B2 (en) Battery module equalization apparatus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WO2020023933A3 (en) Light electric vehicle parking and charging stations and smart charging systems for the vehicle batteries
EP2910407A2 (en) Connection detect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charger
EP2642630A1 (en) Battery system, electric-powered vehicle, mobile object, power storage device, power supply device
US11958409B2 (en) Vehicle and method of notifying charging information of vehicle
US11613216B2 (en) Auxiliary power supply for a vehicle
TWI547395B (zh) 電池管理系統及電動交通工具
EP3415361A2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charge of vehicle battery
US10901002B2 (en) Fuse diagnosis device and method using voltage distribution
CN109313232B (zh) 使用电压分配诊断开关的装置和方法
US10604018B2 (en) Charge controller for a battery in a vehicle
CN110549887B (zh) 充电管理系统
CN114512772A (zh) 带直接接触器安装的总线电气中心
KR102369105B1 (ko)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
KR102313082B1 (ko) 전기차 배터리 모듈의 연결 변환 장치
KR20190096561A (ko) 전기자동차용 전력변환장치의 고장진단 시스템
US20230006458A1 (en) Battery shunt implementation systems and methods
KR20160109209A (ko) 양방향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장치 및 방법
CN210536337U (zh) 一种多孔输出电源适配器
WO2012026064A1 (ja) 検出回路、バッテリモジュール、バッテリシステム、電動車両、移動体、電力貯蔵装置および電源装置
KR101799569B1 (ko) 마스터-슬레이브 연결 상태 감지 장치 및 방법
US9242569B2 (en) Vehicle charge system and vehicle charge method
CA2747496A1 (en) Charge system for series connected rechargeable batteries
KR102549233B1 (ko) 배터리 재사용을 위한 부스터 키트
KR20180055182A (ko) 전기 자동차용 긴급 충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