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9209A - 양방향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양방향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9209A
KR20160109209A KR1020150033221A KR20150033221A KR20160109209A KR 20160109209 A KR20160109209 A KR 20160109209A KR 1020150033221 A KR1020150033221 A KR 1020150033221A KR 20150033221 A KR20150033221 A KR 20150033221A KR 20160109209 A KR20160109209 A KR 20160109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bus bar
module
bus bars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9731B1 (ko
Inventor
최일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033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9731B1/ko
Publication of KR20160109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0Measuring sum, difference or ratio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12Measuring electrostatic fields or voltage-potent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배터리 충전시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장치 및 방법과 배터리 방전시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장치 및 방법을 하나의 통합된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충전 또는 방전 양방향으로 버스 바의 체결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의 충전시와 방전시 서로 다른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던 것을 하나의 통합된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해지고 배터리 팩의 제작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양방향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장치 및 방법{Two-way checking device and method of bus bar locking}
본 발명은 배터리의 충전 또는 방전 상태에 상관없이 양방향으로 버스 바의 전압을 측정하여 버스 바의 체결 상태를 확인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서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기 배터리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으로 인한 대기 오염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어 있는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은 고출력 대용량의 전원 공급원이 요구되고,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수의 배터리 셀을 전기적을 체결한 중대형 배터리 모듈, 또는 배터리 모듈들을 전기적으로 체결한 대형 배터리 팩이 사용된다.
이처럼 둘 이상의 배터리 셀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을 전기적으로 체결하는 부재로 버스 바(bus bar)가 쓰이며, 이러한 버스 바는 배터리 셀에서 인출된 전류가 이동하는 통로이다.
상기 이러한 버스 바로 체결 되어 있는 배터리 셀,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은 이동이 잦은 기기 및 장치 등에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이러한 버스 바와 배터리 셀의 체결 상태가 불량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에서 배터리 셀을 체결하여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버스 바의 체결 상태가 불량해 지는 경우 배터리 셀과 버스 바 사이의 저항은 증가할 수 있고, 상기 셀과 버스 바의 저항 증가는 배터리의 에너지 손실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열이 발생하여 배터리의 전반적인 온도를 상승 시켜 배터리의 발화나 폭발로 까지 이어질 수 있어 안정성에도 큰 문제가 된다.
그러므로 상기 문제점들을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해서는 버스 바의 체결 상태를 수시로 확인하여야 하며, 상기 버스 바의 체결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버스 바의 전압을 측정하여 버스 바의 체결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KR2014-0055065가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배터리 셀들의 전압 합과 버스 바 양단의 전압을 차이를 측정하여, 그 측정 값으로부터 버스 바 체결 상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기술로 본 발명에서 발명하고자 하는 모듈 버스 바와 모듈 버스 바의 사이 전압을 측정하여 버스 바의 체결 상태를 확인하는 기술사상과는 차이가 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충전 또는 방전 양 방향으로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충전시와 방전시의 버스 바의 전압을 측정 하는 회로가 따로 존재 하여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을 위한 회로의 구성이 복잡하고 공간을 많이 차지 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을 위해, 모듈 버스 바와 모듈 버스 바의 전압 차이를 측정하여 배터리의 충전과 방전 양방향 모두에서 측정 가능한 양방향 버스 바의 체결 상태 확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KR2014-0055065
본 발명은 버스 바의 전압을 측정하여 버스 바의 체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배터리의 충전 또는 방전 상태에 상관없이 하나의 장치로 버스 바의 전압을 측정하여 버스 바의 체결 상태를 확인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버스 바의 전압을 측정하여 버스 바의 체결 상태를 확인하는 장치로서, 복수의 모듈 버스 바, 상기 복수의 모듈 버스 바들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 상기 모듈 버스 바들 사이에 기준 전압을 승압시키는 전압을 인가하는 승압 전압 인가부, 상기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된 전압 값으로부터 모듈 버스 바의 체결 상태를 확인하는 BMS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장치이다.
상기 본 발명의 양방향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장치는 배터리 모듈 버스 바들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여 버스 바들의 체결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들 사이에 소정의 승압 전압을 인가하여 버스 바들 사이의 기준 전압을 승압시키는 단계, 상기 버스 바들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한 전압과 상기 승압 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버스 바들의 체결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방법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배터리 충전시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장치 및 방법과 배터리 방전시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장치 및 방법을 하나의 통합된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여 배터리의 충전 또는 방전 양방향으로 버스 바의 체결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의 충전시와 방전시 서로 다른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던 것을 하나의 통합된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해져서 공간 활용도가 높아지며, 배터리 팩의 제작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양방향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양방향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장치의 회로도 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양방향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한 실시 예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양방향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장치 및 방법의 흐름도 이다.
1.BMS와 버스 바의 기본 구조
자동차용 배터리와 더불어 에너지 저장 원으로써 배터리 역할이 부각되면서 대용량 구조의 배터리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 경우 복수의 배터리 모듈이 체결되는 멀티 모듈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 팩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복수의 배터리 모듈(200)은 복수의 배터리 셀(210)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각 배터리 셀(210)의 셀 전압 측정 및 배터리 셀(210) 밸런싱 제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BMS(300)가 필요하다.
상기 BMS(300)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에서는 배터리 셀에 대한 정보들이 수집되며, 그 수집된 배터리 셀의 정보에 따라 배터리 셀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모듈 버스 바(220))는 배터리 셀(210)및 배터리 모듈(200)들 상호간의 전기적인 연결 및 이들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하여 외부기기와의 연결에 필요한 부재로 사용된다.
이러한 모듈 버스 바(220)는 배터리 셀(210)에서 인출된 전류가 이동하는 통로이고, 상기 모듈 버스 바(220)는 전원 입력부(221), 전원 출력부(222) 및 본체부(223)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원 입력부(221)는 배터리 셀(210)의 출력단자로부터 전류를 수용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전원 출력부(222)는 배터리 모듈(200)의 전원 입력부 (221)에서 받은 전류를 모듈 버스 바(220)와 연결된 외부의 회로 및 장치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223)는 전원 입력부(221)와 전원 출력부(22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2.본 발명의 버스 바 체결 상태 측정 방법
일반적인 배터리 모듈(200)은 상기 BMS(300)와 모듈 버스 바(220) 등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상술한 BMS(300)에 의해 배터리 모듈(200) 전체가 관리되며, 상기 모듈 버스 바(220)에는 배터리 모듈(200)을 이루고 있는 복수의 배터리 셀(210)들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복수의 배터리 셀들이 모듈 버스 바에 연결되어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므로 배터리 모듈의 출력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서는 모듈 버스 바의 체결 상태 확인이 중요하다.
종래의 모듈 버스 바(220) 체결 상태 확인 방법은 모듈 버스 바(220)에 연결된 배터리 셀(210)들의 전압을 합한 값과 모듈 버스 바(220) 양단의 전압 값의 차이를 계산하여 모듈 버스 바(220)의 체결 상태를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충전과 방전시 모듈 버스 바에 흐르는 전류의 흐름이 서로 반대이기 때문에 모듈 버스 바 양단의 전압 값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충전시 모듈 버스 바 양단 전압 측정 회로와 방전시 모듈 버스 바 양단 전압 측정 회로가 별개로 구성하여야 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은 종래에 배터리 셀들의 전압을 합한 값과 모듈 버스 바 양단의 전압의 차이를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배터리 셀(210)들을 연결하여 배터리 모듈(200)로 구성하는 모듈 버스 바(220)와 모듈 버스 바(220)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모듈 버스 바(220) 체결 상태 확인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종래에 배터리 충전시 모듈 버스 바(220) 체결 상태 확인을 위한 장치와 배터리 방전시 모듈 버스 바(220) 체결 상태 확인을 위한 장치가 별개로 구성 하였던 것을, 하나의 장치로 통합하여, 배터리의 충전 또는 방전 상태에 상관없이 버스 바 체결 상태를 확인하는 양방향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장치(100)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1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양방향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장치(100)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양방향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장치(100)는 모듈 버스 바(220)들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110)와 상기 모듈 버스바(220)들 사이의 기준 전압을 승압 시키는 승압 전압을 공급하는 승압 전압 공급부(120)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상기 양방향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장치(100)의 전압 측정부 (110)에서는 배터리 셀(210)들을 연결하여 배터리 모듈(200)로 구성하는 모듈 버스 바(220)들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여 BMS(300)의 제어부로 전달하며, 상기 BMS(300)의 제어부는 상기 측정 값과 기준 전압 값을 비교하여 측정 값과 기준 전압 값이 소정의 오차 범위 내에 있을 경우, 모듈 버스 바(220)의 체결 상태가 정상 상태라 판단하고, 상기 측정 값과 기준 전압 값의 차이가 소정의 오차 범위 바깥에 있을 경우, 모듈 버스 바(220)의 체결 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양방향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장치의 승압 전압 공급부(120)는 상기 전압 측정부(110)에서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 양방향 모두에서 모듈 버스 바(220)들 사이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모듈 버스 바(220)들의 체결 상태가 정상일 경우 양방향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장치의 전압 측정부 (110)에서 0V로 측정되는 기준 전압을 소정의 기준 전압으로 승압 시키기 위한 승압 전압을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모듈 버스 바(220)의 체결 상태가 모두 정상일 경우 양방향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장치의 전압 측정부(110)에서 0V로 측정되는 모듈 버스 바들 사이의 기준 전압을 별도의 승압 전압 공급부에서 승압 전압을 인가하여 소정의 기준 전압으로 승압 시키는 이유를 설명하도록 한다.
종래 기술과 같이 별도의 승압 전압을 인가하는 장치 또는 방법이 없을 경우, 모듈 버스 바의 체결 상태가 정상일 때, 모듈 버스 바(220)들 사이의 전압은 0V가 측정되고, 모듈 버스 바의 체결 상태가 불량이라면, 모듈 버스 바 사이의 전위차이가 측정되어 모듈 버스 바의 체결 상태가 불량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배터리가 충전 상태일 때는 체결 상태가 불량한 모듈 버스 바(220)가 존재 할 경우, 정상 체결 상태인 모듈 버스 바(220)와 체결 상태가 불량한 모듈 버스 바(220)의 전위 차가 그대로 측정되어 버스 바의 체결 상태가 불량함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러나, 배터리가 방전 상태에서 체결 상태가 불량한 모듈 버스 바(220)가 존재 할 경우, 정상 체결 상태인 모듈 버스 바(220)의 전압과 체결 상태가 불량한 모듈 버스 바(220)의 (-)전위 차이가 측정 되어야 하지만 모듈 버스 바(220) 체결 상태 확인 회로의 특성상 (-)전위 차이는 0V로 나타나게 되어, 모듈 버스 바(220)의 체결 상태가 정상인 경우 측정되는 0V인지, 배터리의 방전시 모듈 버스 바(220)의 체결 상태가 불량해서 (-)전위 차이가 0V로 나타나는 것인지 구분이 되지 않아 모듈 버스 바(220)의 체결 상태를 정확히 확인 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배터리가 방전시 모듈 버스 바(220)들 사이의 전압이 0V로 측정 되는 두 가지 경우가 구분 되지 않아 모듈 버스 바(220)의 체결 상태를 확인 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소정의 승압 전압을 인가하여서 정상적인 체결 상태에 있는 모듈 버스 바(220)들 사이에서 측정되는 기준 전압 0V를 소정의 기준 전압으로 승압 시키게 된다.
상기 승압 전압에 의해 기준 전압이 소정의 기준 전압으로 승압 된 경우, 모듈 버스 바(220)들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면, 상기 두 모듈 버스 바(220)의 체결 상태가 모두 정상인 경우 소정의 승압 된 기준 전압 값이 측정된다.
한편, 배터리가 충전 상태에서 모듈 버스 바(220) 체결 상태가 불량할 경우,
(상기 승압된 기준 전압) + (모듈 버스 바와 모듈 버스 바의 전위 차이) 값이 측정 되고, 배터리가 방전 상태에서 모듈 버스 바(220) 체결 상태가 불량할 경우, 0V 내지
(상기 승압된 기준 전압) - (모듈 버스 바와 모듈 버스 바의 전위 차이 )
값이 측정 되어 충전 및 방전 양방향 모두에서 모듈 버스 바(220)들 사이의 전압을 측정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3.본 발명의 실시 예
도1과 같이 복수 개의 배터리 모듈(200)이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 팩(미도시)이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사용될 경우, 상기 배터리 팩(미도시)은 전기 모터 주행 중에는 배터리 팩(미도시)의 전력을 방전하여 전기 모터를 구동 시키고, 차량의 제동 시에 전기 모터가 발전기의 역할을 하는 회생제동을 통하여 배터리 팩(미도시)을 충전하거나, 연료 연소에 의한 엔진으로부터 동력을 얻는 경우에는 발전기로 배터리 팩(미도시)을 충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시로 충전과 방전이 되는 배터리 팩(미도시)의 경우 충전과 방전 양방향으로 모듈 버스 바(220)의 체결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배터리 셀(210)들을 연결하여 배터리 모듈(220)을 구성하는 모듈 버스 바(220)들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여 충전과 방전 양방향 모두에서 모듈 버스 바(220)의 체결 상태를 확인한다.
도2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양방향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장치(100)는 모듈 버스 바들 사이에 (112)저항과 (111)저항으로 구성된 버스 바 전압 측정부(110), 모듈 버스 바들 사이의 기준 전압을 승압 시키는 승압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120)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양방향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장치(100)는 상기 (112)저항과 (111)저항 값의 비()에 의해 측정 값의 정확도가 결정 되며, 승압 전압에 의해 측정 값의 범위가 결정 된다.
상기 양방향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장치의 버스 바 전압 계산 방법은
Figure pat00001
[수식1]
Figure pat00002
[수식2]
상기 수식1과 수식2로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제1 배터리 모듈(200)은 배터리 셀(210)들을 제1 모듈 버스 바 전원 입력부(221)에 체결되어 제1 모듈 버스 바 전원 출력부(222)에서 10V의 전압이 출력되도록 설정 되어 있고. 제2 배터리 모듈(200)은 배터리 셀(210)들이 제2 모듈 버스 바 전원 입력부(221)에 체결되어 제2 모듈 버스 바 전원 출력부(222)에서 10V의 전압이 출력되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상술한 본 발명의 양방향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장치(100)를 (112)과 (111) 저항 값은 각각 10MΩ으로 설정하고, 3.3V의 승압 전압(113)을 모듈 버스 바들 사이에 추가로 인가하여 회로의 기준 전압을 1.65V로 승압 시킨 상태로 설정하여 버스 바 체결 상태를 확인하는 경우 버스 바의 체결 상태에 따른 측정 값은 다음과 같다.
우선, 두 모듈 버스 바(220) 모두 체결 상태가 정상 일 경우, 상기 두 버스 바(220)들 사이의 전압은 승압 전압공급부(120)에서 승압 전압을 추가로 장치에 인가 하여서 기준 전압을 1.65V로 승압 하였으므로 1.65V가 측정 되며, 상기 측정 값이 BMS(300)의 제어부에 전달되어 모듈 버스 바(220) 체결 상태가 정상이라는 판단을 내리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모듈 버스 바(220)의 체결이 불량하여 모듈 버스 바(220)의 출력이 10V에서 8.5V로 감소 했을 경우, 배터리의 충전되고 있을 때는, 제1 모듈 버스 바(220)와 제2 모듈 버스 바(220)의 전위 차이는 1.5V가 나게 되고 본 발명의 양방향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장치의 전압 측정부(110)에서는 두 모듈 버스 바(220)들 사이 전압 값은 1.65+1.5=3.65V로 측정 되어지며, 상기 측정된 모듈 버스 바(220)들 사이의 전압 값은 BMS(300)의 제어부로 전송되어 측정된 전압 값과 모듈 버스 바(220)들 사이의 승압 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체결 상태가 불량하다고 판단한다.
이와는 반대로, 배터리의 방전되고 있을 때는 제1 모듈 버스 바(220)와 제2 모듈 버스 바(220)의 전위 차이는 1.5V가 나게 되지만 상기 배터리의 충전시와는 전류의 방향이 반대가 되므로, 본 발명의 양방향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장치의 측정부(110)에서는 두 모듈 버스 바(220)들 사이 전압 값은1.65-1.5=0.15V로 측정 되어지며, 상기 측정된 모듈 버스 바(220)들 사이의 전압 값은 BMS(300)의 제어부로 전송되어 측정된 전압 값과 모듈 버스 바(220)들 사이의 증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체결 상태가 불량하다고 판단을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버스 바 체결상태 확인 장치
110 : 버스 바 체결상태 확인 장치 전압 측정부
120 : 버스 바 체결상태 확인 장치 승압 전압 공급부
200 : 배터리 모듈
210 : 배터리 셀
220 : 모듈 버스바

Claims (7)

  1. 버스 바의 전압을 측정하여 버스 바의 체결 상태를 확인하는 장치로써,
    복수의 모듈 버스 바;
    상기 복수의 모듈 버스 바들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
    상기 모듈 버스 바들 사이에 기준 전압을 승압 시키는 전압을 인가하는 승압 전압 인가부;
    상기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된 전압 값으로부터 모듈 버스 바의 체결 상태를 확인하는 BMS;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 전압 인가부는 배터리 모듈 버스 바들 사이에 소정의 승압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모듈 버스 바들 사이의 기준 전압을 승압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측정부는 상기 소정의 승압 전압에 의해 기준 전압이 승압 된 상기 모듈 버스 바들 사이의 전위 차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BMS는;
    상기 전압 측정부의 측정 전압 값과 상기 승압 된 기준 전압 값을 비교하여 상기 모듈 버스 바들의 체결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장치.
  5. 제3 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BMS는 상기 전압 측정부의 측정 전압과 상기 승압 된 기준 전압과의 차이가 소정의 오차범위 보다 큰 경우, 상기 모듈 버스 바들의 체결 상태가 정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장치.
  6. 배터리 모듈 버스 바들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여 버스 바들의 체결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버스 바들 사이에 소정의 승압 전압을 인가하여 버스 바들 사이의 기준 전압을 승압시키는 단계;
    상기 버스 바들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한 전압과 상기 승압 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버스 바들의 체결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한 전압과 상기 승압 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버스 바들의 체결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모듈 버스 바들 사이의 승압된 기준 전압 값과 상기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한 전압 값의 차이가 소정의 오차 범위 내로 들어올 경우 모듈 버스 바의 체결 상태가 정상이라고 판단;
    배터리의 충전시에는 상기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한 전압 값이 상기 승압 된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 모듈 버스 바의 체결 상태가 불량하다고 판단;
    배터리의 방전시에는 상기 전압 측정부에서 측정한 전압 값이 상기 승압 된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 모듈 버스 바의 체결 상태가 불량하다고 판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방법.
KR1020150033221A 2015-03-10 2015-03-10 양방향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장치 및 방법 KR101749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221A KR101749731B1 (ko) 2015-03-10 2015-03-10 양방향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221A KR101749731B1 (ko) 2015-03-10 2015-03-10 양방향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209A true KR20160109209A (ko) 2016-09-21
KR101749731B1 KR101749731B1 (ko) 2017-07-03

Family

ID=57080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221A KR101749731B1 (ko) 2015-03-10 2015-03-10 양방향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97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83107A (zh) * 2018-08-02 2018-12-11 上海理工大学 一种动力电池的生热率测试方法
KR20210107397A (ko) * 2020-02-24 2021-09-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통합 제어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7843B1 (ko) 2018-09-10 2024-01-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관리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5065A (ko) 2012-10-30 2014-05-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관리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888B1 (ko) 2009-12-28 2011-12-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이의 단선 검출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5065A (ko) 2012-10-30 2014-05-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관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83107A (zh) * 2018-08-02 2018-12-11 上海理工大学 一种动力电池的生热率测试方法
CN108983107B (zh) * 2018-08-02 2020-09-04 上海理工大学 一种动力电池的生热率测试方法
KR20210107397A (ko) * 2020-02-24 2021-09-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배터리 통합 제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9731B1 (ko) 2017-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81757B (zh) 备份电源
KR100814883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0906907B1 (ko) 자동차 배터리 관리 시스템
CN101174711B (zh) 电池管理系统及其驱动方法
US9000718B2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including switch
CN103213512B (zh) 用于液冷式混合动力车电池组的增强型混合动力车预充电加热器诊断检测系统
CN103260933B (zh) 车辆
CN106160065B (zh) 维护车辆电池
US20150219720A1 (en) Relay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1655377B1 (ko) 배터리 버스바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JP5808678B2 (ja) 電動車両
KR20140113401A (ko) 배터리 요소의 전압을 예측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71198A (ko) 셀 밸런싱 회로 및 이의 구동 방법, 및 셀 밸런싱 회로를 포함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JP6250164B2 (ja) エネルギー貯蔵システムのバランス調整を行う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5297729B2 (ja) 電圧検出装置
KR101887442B1 (ko) 절연 저항 측정 회로 진단 장치
KR20120079453A (ko) 배터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EP3808592A1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support of energy content and power of a battery
CN212373185U (zh) 电池管理系统及车辆
KR101749731B1 (ko) 양방향 버스 바 체결 상태 확인 장치 및 방법
WO2018153431A1 (en) A method and arrangement for balancing a battery pack
CN104600822A (zh) 电池充电器模块及确定其的ac供电状态的方法
JPWO2020003582A1 (ja) 電池システム、電池管理装置
KR102649989B1 (ko) 배터리 팩의 진단 방법,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배터리 장치
US11110801B2 (en) Fault diagnosis system of power converter for electric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