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5247A - 블라인드용 상박스구조 - Google Patents

블라인드용 상박스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5247A
KR20210085247A KR1020190178088A KR20190178088A KR20210085247A KR 20210085247 A KR20210085247 A KR 20210085247A KR 1020190178088 A KR1020190178088 A KR 1020190178088A KR 20190178088 A KR20190178088 A KR 20190178088A KR 20210085247 A KR20210085247 A KR 20210085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upper box
guide
cap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규
Original Assignee
김찬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규 filed Critical 김찬규
Priority to KR1020190178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5247A/ko
Publication of KR20210085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2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4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roller-type; Roller shutters with adjustable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라인드용 상박스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견인체인을 궤도회전시켜 권취드럼에 권취로프를 감거나 풀어 블라인드날개들을 승강시키도록 된 블라인드용 상박스구조로서, 내부에 작동공간이 마련되고 양측면이 개방된 관구조로 형성된 상박스본체와, 상기 상박스본체의 양단부에 체결되고, 내부에 환형의 안내기어부가 형성된 고정캡본체와, 상기 고정캡본체들의 내부에 회전되게 배치되는 회전캡와, 상기 회전캡이 양단부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회전캡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와, 상기 고정캡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캡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로 이루어져, 상박스본체에 설치되어 블라인드날개가 연결된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캡과 회전구동부을 상호 기어결합시킴으로써, 회전력의 전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걸림현상을 방지하여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블라인드용 상박스구조 { Upper box structure for blinds }
본 발명은 블라인드용 상박스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박스본체에 설치되어 블라인드날개가 연결된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캡과 회전구동부을 상호 기어결합시킴으로써, 회전력의 전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걸림현상을 방지하여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블라인드용 상박스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에 장착되어 빛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커튼에는 수평방향을 따라 움직이면서 창문을 개폐하는 것과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개폐하는 것이 존재한다. 전자의 것에는 커튼천을 일체로 제조한 일반 커튼과, 커튼천을 수직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분리시킨 후 로프로 연결한 소위 버티컬 블라인드라 하는 것이 있다.
그리고 후자의 것에는 소위, 로만쉐이드, 롤스크린 및 라인 블라인드라 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로만쉐이드란 최하단의 커튼천이 점차 포개지면서 상측으로 말아 올려지는 것을 일컫는다. 그리고 롤스크린이란 회전가능한 회전축에 커튼천의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축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축에 커튼천을 권취하거나 권취해제함으로서 창문을 개폐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반해, 소위 라인 블라인드라고도 하는 블라인드는, 그 재질에 따라 플라스틱으로 된 것과 나무(Wood)로 된 것등이 존재하는데, 소위 우드 블라인드의 형태로써 제조되기도 한다.
이러한 블라인드에는 사용자가 직접 줄을 당김으로서 빛차폐판들을 승강시키는 소위, 수동식과 컨트롤부의 조작에의한 모터의 회전에 의해 빛차폐판들을 자동으로 승강시키는 소위, 전동식이 존재한다.
최근에는 우드블라인드에 적용되어 사용자가 권취로프를 당겨 순차적으로 블라인드의 날개를 승강시키는 과정에서 회전력이 원활히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걸림이나 마찰이 발생하지 않고 회전효율을 향상시키는 브라인드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등록실용 제0385977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상박스본체에 설치되어 블라인드날개가 연결된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캡과 회전구동부을 상호 기어결합시킴으로써, 회전력의 전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걸림현상을 방지하여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블라인드용 상박스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견인체인을 궤도회전시켜 권취드럼에 권취로프를 감거나 풀어 블라인드날개들을 승강시키도록 된 블라인드용 상박스구조로서, 내부에 작동공간이 마련되고 양측면이 개방된 관구조로 형성된 상박스본체와, 상기 상박스본체의 양단부에 체결되고, 내부에 환형의 안내기어부가 형성된 고정캡본체와, 상기 고정캡본체들의 내부에 회전되게 배치되는 회전캡와, 상기 회전캡이 양단부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회전캡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와, 상기 고정캡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캡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캡은 일면에 가이드돌기들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에는 상기 안내기어부와 치합되는 연동기어가 회전되게 체결되고, 상기 회전축의 단부가 끼움되도록 결착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고정캡본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연통공에 관통되게 끼움되고, 상기 가이드돌기들에 체결된 상기 연동기어와 치함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견인체인이 체결되는 견인롤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견인체인의 궤도회전에 의해 상기 권취드럼에 권취로프가 권취되는 과정에서 꼬임이나 엉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권취드럼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균일하게 권취되도록 꼬임방지형균일권취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꼬임방지형균일권취수단은 상기 회전축에 끼움되어 고정되며 외면에 외측나사부가 형성된 회전안내관과, 상기 회전안내관의 외측나사부에 나사체결되도록 내측면에 내측나사부가 형성어, 상기 회전안내관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안내관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관유닛과, 상기 이송관의 외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절곡된 구조의 이송샤프트와, 상기 이송샤프트의 단부에 형성되어, 관통되게 배치되는 권취로프를 안내하는 안내관유닛과, 상기 이송샤프트의 양측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가이드샤프트와, 상기 가이드샤프트의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상박스본체의 내측면을 따라 안내되어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내롤러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내관유닛에에 형성되는 중공의 안내홀은 상부와 하부에 상기 권취로프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테이퍼경사면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블라인드용 상박스구조는 상박스본체에 설치되어 블라인드날개가 연결된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캡과 회전구동부을 상호 기어결합시킴으로써, 회전력의 전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걸림현상을 방지하여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용 상박스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용 상박스구조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용 상박스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용 상박스구조의 회전캡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용 상박스구조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용 상박스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용 상박스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용 상박스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용 상박스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용 상박스구조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용 상박스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용 상박스구조의 회전캡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용 상박스구조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용 상박스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라인드용 상박스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블라인드용 상박스구조(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박스구조라 명명함)는 견인체인(100)을 궤도회전시켜 권취드럼(200)에 권취로프(300)를 감거나 풀어 블라인드날개들을 승강시키도록 된 블라인드용 상박스구조(10)로서, 이에 이와같은 상박스구조(10)는 상박스본체(20)와 고정캡본체(30)와 회전캡(40)과 회전축(44)과 회전구동부(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박스본체(20)는 내부에 작동공간(21)이 마련되고 양측면이 개방된 관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상박스본체(20)는 사각의 관구조로 형성되고 재질은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캡본체(30)는 상기 상박스본체(20)의 양단부에 체결되고, 내부에 환형의 안내기어부(31)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캡본체(30)는 일면이 개방된 캡구조로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환형으로 안내기어부(31)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캡본체(3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캡(40)은 상기 고정캡본체(30)들의 내부에 회전되게 배치되며, 일면이 개방된 캡구조로 형성되고, 재질은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캡(40)은 일면에 가이드돌기(41)들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41)에는 상기 안내기어부(31)와 치합되는 연동기어(42)가 회전되게 체결되고, 상기 회전캡(40)의 내측면에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축(44)의 단부가 끼움되도록 결착관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44)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사각의 샤프트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축(44)은 상기 회전캡(40)들은 연결하며 단부가 상기 회전캡(40)들에 형성된 상기 결착관에 각각 끼움되어 고정되며, 상기 회전캡(4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회전구동부(50)는 상기 고정캡본체(30)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캡(40)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구동부(50)는 상기 고정캡본체(30)의 외면에 형성되는 연통공(32)에 관통되게 끼움되고, 상기 가이드돌기(41)들에 체결된 상기 연동기어(42)와 치함되는 구동기어(51)와, 상기 구동기어(51)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견인체인(100)이 체결되는 견인롤러(52)로 이루어진진다.
이때, 상기 고정캡본체(30)에는 일측에 상기 견인롤러(52)가 배치되도록 구동공간을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기어(51)에는 구동축을 형성하여 상기 연통공(32)에 관통되게 끼우게 되고, 상기 연통공(32)에는 상기 구동축에 체결되도록 링베어링을 끼워 회전되는 상기 구동축과 상기 연통공(32)이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견인체인(100)은 상기 고정캡본체(30)들에 설치되는 상기 견인롤러(52)중 어느하나에 체결하여 궤도회전하게 되며, 한쌍의 견인롤러(52)에 전부 상기 견인체인(100)을 체결하여 궤도회전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견인롤러(52)는 상기 고정캡본체(30)의 일측에 보호케이싱을 더 부착하여 상기 보호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궤도체인에 의해 회전되는 견인롤러(52)와 구동기어(51)의 회전력이 상기 구동기어(51)와 치합된 상기 연동기어(42)에 전달되어 상기 회전캡(40)과 상기 회전축(44) 및 상기 회전축(44)에 체결된 상기 권취드럼(200)을 회전시켜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권취드럼(200)에 권취로프(300)의 일단이 감겨지거나 풀리면서 상기 권취로프(300)에 연결된 각각의 블라인드날개들을 승강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구동기어(51)에서 회전력을 전달받은 상기 연동기어(42)가 상기 안내기어부(31)에 치합되어 안내되도록 함으로써, 회전시 상기 고정캡본체(30)의 내측면에 상기 연동기어(42)가 걸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51)와 상기 연동기어(42)가 치합되어 회전력의 전달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고,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권취로프(300)의 일단은 상기 권취드럼(200)에 끼움되어 권취드럼(200)이 회전시 연동하여 회전되지 않는 링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타단은 각각의 브라인드날개들을 연결하며 상기 권취드럼(200)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44)이 회전시 권취드럼(200)에 연결된 타단이 상기 권취드럼(200)에 권취되면서 상기 브라인드날개들을 승강시키게 된다. 상기한 권취드럼(200)의 회전에 의해 권취로프(300)가 권취되어 블라인드날개를 승강시키는 구조는 종래의 우드블라인드 및 수평식 블라인드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기술구성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권취드럼(200)은 상기 연결축을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캡에는 바이브레이터인 진동기를 더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진동기의 진동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51)에 상기 연동기어(42)가 치합되어 회전되는 과정에서 걸림되거나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권취드럼(200)에 권취로프(300)가 권취되는 과정에서 꼬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축(44)에는 상기 견인체인(100)의 궤도회전에 의해 상기 권취드럼(200)에 권취로프(300)가 권취되는 과정에서 꼬임이나 엉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권취드럼(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균일하게 권취되도록 꼬임방지형균일권취수단(60)이 더 마련된다.
상기 꼬임방지형균일권취수단(60)은 상기 회전축(44)에 끼움되어 고정되며 외면에 외측나사부(611)가 형성된 회전안내관(61)과, 상기 회전안내관(61)의 외측나사부(611)에 나사체결되도록 내측면에 내측나사부(621)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안내관(61)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안내관(61)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관유닛(62)과, 상기 이송관의 외면에 일단이 융착되어 고정되는 절곡된 구조의 이송샤프트(63)와, 상기 이송샤프트(63)의 단부에 접착 또는 융착되게 형성되어, 관통되게 배치되는 권취로프(300)를 안내하는 안내관유닛(64)과, 상기 이송샤프트(63)의 양측면에 일단이 접착 또는 융착되어 고정되는 가이드샤프트(65)와, 상기 가이드샤프트(65)의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상박스본체(20)의 내측면을 따라 안내되어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내롤러(66)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내관유닛(64)에에 형성되는 중공의 안내홀(641)은 상부와 하부에 상기 권취로프(300)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테이퍼경사면(641a)이 더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44)이 회전하여 상기 권취드럼(200)에 상기 권취로프(300)가 권취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축(44)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안내관(6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안내관유닛(64)에 끼운된 상기 권취로프(300)가 이동하면서 상기 권취드럼(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권취되어 권취로프(300)가 겹쳐지게 권취되면서 꼬임이 발생하거나 마찰 또는 걸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안내관유닛(64)의 내측면에는 상기 권취로프(300)가 이동과정에서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가이드롤러들을 더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내관유닛(64)의 내측면에는 합성섬유재로 이루어진 탈거핀들의 일단이 접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권취로프(30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탈거핀들과 마찰되어 외면에 달라붙은 이물질이나 먼지가 탈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상박스구조
20 : 상박스본체
21 : 작동공간
30 : 고정캡본체
31 : 안내기어부
32 : 연통공
40 : 회전캡
41 : 가이드돌기
42 : 연동기어
43 : 체결관
44 : 회전축
50 : 회전구동부
51 : 구동기어
52 : 견인롤러
60 : 꼬임방지형균일권취수단
61 : 회전안내관
611 : 외측나사부
62 : 이송관유닛
621 : 내측나사부
63 : 이송샤프트
64 : 안내관유닛
641 : 안내홀
641a : 테이퍼경사면
65 : 가이드샤프트
66 : 안내롤러
100 : 견인체인
200 : 권취드럼
300 : 권취로프

Claims (4)

  1. 견인체인을 궤도회전시켜 권취드럼에 권취로프를 감거나 풀어 블라인드날개들을 승강시키도록 된 블라인드용 상박스구조로서,
    내부에 작동공간이 마련되고 양측면이 개방된 관구조로 형성된 상박스본체;
    상기 상박스본체의 양단부에 체결되고, 내부에 환형의 안내기어부가 형성된 고정캡본체;
    상기 고정캡본체들의 내부에 회전되게 배치되는 회전캡;
    상기 회전캡이 양단부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회전캡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 및
    상기 고정캡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캡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용 상박스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캡은 일면에 가이드돌기들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에는 상기 안내기어부와 치합되는 연동기어가 회전되게 체결되고,
    상기 회전축의 단부가 끼움되도록 결착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용 상박스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고정캡본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연통공에 관통되게 끼움되고, 상기 가이드돌기들에 체결된 상기 연동기어와 치함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견인체인이 체결되는 견인롤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용 상박스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견인체인의 궤도회전에 의해 상기 권취드럼에 권취로프가 권취되는 과정에서 꼬임이나 엉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권취드럼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균일하게 권취되도록 꼬임방지형균일권취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꼬임방지형균일권취수단은,
    상기 회전축에 끼움되어 고정되며 외면에 외측나사부가 형성된 회전안내관과,
    상기 회전안내관의 외측나사부에 나사체결되도록 내측면에 내측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안내관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안내관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관유닛과,
    상기 이송관의 외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절곡된 구조의 이송샤프트와,
    상기 이송샤프트의 단부에 형성되어, 관통되게 배치되는 권취로프를 안내하는 안내관유닛과,
    상기 이송샤프트의 양측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가이드샤프트와,
    상기 가이드샤프트의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상박스본체의 내측면을 따라 안내되어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내롤러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내관유닛에에 형성되는 중공의 안내홀은 상부와 하부에 상기 권취로프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테이퍼경사면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용 상박스구조.

KR1020190178088A 2019-12-30 2019-12-30 블라인드용 상박스구조 KR202100852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088A KR20210085247A (ko) 2019-12-30 2019-12-30 블라인드용 상박스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088A KR20210085247A (ko) 2019-12-30 2019-12-30 블라인드용 상박스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247A true KR20210085247A (ko) 2021-07-08

Family

ID=76893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088A KR20210085247A (ko) 2019-12-30 2019-12-30 블라인드용 상박스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524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977B1 (ko) 2000-06-02 2003-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매체, 그 기록/재생 방법, 그기록장치, 및 재생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977B1 (ko) 2000-06-02 2003-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매체, 그 기록/재생 방법, 그기록장치, 및 재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03654B (zh) 由厚材料制成的用于调节光照的百叶窗
AU2005203064B2 (en) Blinds for Adjusting Illumination
KR200477536Y1 (ko) 상하 개폐가 가능한 블라인드
KR100669485B1 (ko) 롤블라인드
JP5852957B2 (ja) 壁の開口部または窓を覆うための巻取装置
JP5238392B2 (ja) ロールブラインドのスクリーン昇降装置
CN108643810B (zh) 一种受牵引展开的外遮阳平面卷帘系统
KR100770043B1 (ko) 반자동식 롤블라인드
JP2012532260A5 (ko)
KR200469122Y1 (ko) 전동 차양 장치용 장력 조절 장치
KR20210085247A (ko) 블라인드용 상박스구조
KR20110085337A (ko) 슬랫의 완전차광 및 현수시 쏠림방지 기능을 갖는 베니션 블라인드
CN110905355A (zh) 双层遮阳玻璃门窗
KR101957651B1 (ko) 승강 이동형 블라인드
KR20120059812A (ko) 기능성 롤 블라인드
KR20110073891A (ko) 블라인드 장치
DE19505824A1 (de) Sonnenschutz- und/oder Dekorationseinrichtung für Fenster
KR200383952Y1 (ko) 전동 블라인드의 감김장치
CN209308619U (zh) 一种中空玻璃百叶窗清扫结构
CN206800819U (zh) 新型天棚帘
CN201351450Y (zh) 一种自动卷动装置
KR101021325B1 (ko) 수동식 스크린 블라인드
CN216841371U (zh) 窗帘承载绳调节装置
KR200466674Y1 (ko) 우드 블라인드용 코드 감김장치
DE202013105080U1 (de) Zugschnurlose Fensterbedeckungsanordn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