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3891A - 블라인드 장치 - Google Patents

블라인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3891A
KR20110073891A KR1020090130691A KR20090130691A KR20110073891A KR 20110073891 A KR20110073891 A KR 20110073891A KR 1020090130691 A KR1020090130691 A KR 1020090130691A KR 20090130691 A KR20090130691 A KR 20090130691A KR 20110073891 A KR20110073891 A KR 20110073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otation
blind
rotating member
fixed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0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8843B1 (ko
Inventor
박용광
Original Assignee
(주)블라인드팩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라인드팩토리 filed Critical (주)블라인드팩토리
Priority to KR1020090130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8843B1/ko
Publication of KR20110073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3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2Details of operating devices, e.g. pulleys, brakes, spring drums,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2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therefor
    • E06B9/327Guides for raisable lamellar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06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구비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샤프트와, 복수의 블라인드 날개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용 와이어와, 상기 블라인드 날개들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 와이어로 구성된 블라인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의 회전에 따라서 함께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 부재와, 상기 각도 조절 와이어와 체결되고, 상기 회전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 부재에 의해 회전함과 아울러 착탈되어 상기 블라인드 날개들의 회전 각도 조절을 제한함과 아울러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스토퍼부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시 상기 고정 스토퍼부를 상기 회전 부재에서 착탈가능하게 가이드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착탈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건물내의 냉,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고,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건물의 외부 디자인을 미려하게 할 수 있고, 또한, 블라인드 날개들이 외부의 인위적인 힘(예컨대, 태양, 비 및 바람등)에 의해 파손 또는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블라인드 날개들의 회전 각도를 조절함과 아울러 외부의 인위적인 힘을 가해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제품의 와이어 끼리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인해, 구동부의 미작동에 따른 과부하를 방지하여 제품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회전 부재, 고정 스토퍼부, 착탈부.

Description

블라인드 장치{BLIND DEVICE}
본 발명은 복수의 블라인드 날개들의 회전 각도를 조절함과 아울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블라인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물의 창에 설치되어 수동으로 작동되거나, 또는 모터를 이용하여 자동화 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블라인드 장치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블라인드 날개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한 상태에서 블라인드 날개를 승강시키거나 또는 블라인드 날개의 경사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생활 보호와 난방 및 채광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블라인드 장치는 수직형 블라인드 장치와 수평형 블라인드 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수직형 블라인드 장치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블라인드 날개들이 수직으로 구비되는 구조이고, 상기 수평형 블라인드 장치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복수의 블라인드 날개들이 수평으로 구비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수평형 블라인드 장치(1)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내벽(미도시 됨)에 고정되는 하우징(2)과, 상기 하우징(2)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부(3)와, 상기 구동부(3)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 샤프트(4)와, 상기 회전 샤프트(4)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쌍의 권취부(5)와, 상기 권취부(5)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3)의 회전에 따라서 감기거나 풀려지면서 복수의 블라인드 날개(6)를 승, 하강 시키는 승, 하강용 와이어(7)와, 상기 권취부(5)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3)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블라인드 날개(6)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조 조절 와이어(8)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형 블라인드 장치(1)는 복수의 블라인드 날개(6)의 각도를 조절할 경우 구동부(3)를 구동시키고, 상기 회전 샤프트(4)도 함께 회전함과 아울러 상기 한쌍의 권취부(5)도 회전하고, 상기 권취부(5)는 상기 각도 조절 와이어(8)를 권취함에 따라서 상기 블라인드 날개(6)들의 각도를 조절한다.
그러나, 종래의 건물의 내벽에 설치되는 수평형 블라인드 장치는 건물내의 유리창의 후면에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유리창을 통해 들어오는 빛의 차단에 한계가 있어 열차단 효과가 저하되고, 이로인해, 건물의 냉,난방비가 상승하고, 사생활 보호 기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수평형 블라인드 장치는 건물 내에 구비되는 구조이므로, 유리창을 통해서만 상기 블라인드 장치를 볼 수 있으므로, 건물의 외관 디자인을 미려하게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블라인드 날개들은 각도 조절 와이어에 의해 회전각도를 조절 하고, 고정시키는 구조이므로, 외부의 인위적인 힘이 상기 블라인드 날개들에 가해질 경우 가해진 힘의 충격에 따라 쉽게 각도가 변경되어 차광기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외부의 인위적인 힘에 의해 상기 블라인드 날개의 회전각도가 변경될 경우 각도 조절 와이어는 긴장감이 저하되어 와이어 끼리 서로 엉키고, 이 상태에서 구동부를 구동시 구동부의 과부하로 인해 블라인드 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블라인드 날개들을 건물의 외측에 설치하여 빛 조절이 용이하고, 이로인해 건물내의 열차단 효과가 상승하여 냉,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고, 사생활 보호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고, 또한, 건물의 외측에 설치된 블라인드 날개들이 외부의 인위적인 힘(예컨대, 태양, 비 및 바람등)에 의해 쉽게 파손 또는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건물의 외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블라인드 날개를 구성함으로써, 건물내로 들어오는 빛 조절이 용이하고, 이로인해, 건물내의 냉,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고,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건물의 외부 디자인을 미려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블라인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블라인드 날개들의 회전 각도를 조절함과 아울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블라인드 날개들이 외부의 인위적인 힘(예컨대, 태양, 비 및 바람등)에 의해 파손 또는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블라인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블라인드 날개들의 회전 각도를 조절함과 아울러 외부의 인위적인 힘(예컨대, 태양, 비 및 바람등)을 가해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와이어 끼리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인해, 구동부의 미작동에 따른 과부하를 방지하여 제품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블라인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구비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샤프트와, 복수의 블라인드 날개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용 와이어와, 상기 블라인드 날개들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 와이어로 구성된 블라인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의 회전에 따라서 함께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 부재;
상기 각도 조절 와이어와 체결되고, 상기 회전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 부재에 의해 회전함과 아울러 착탈되어 상기 블라인드 날개들의 회전 각도 조절을 제한함과 아울러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스토퍼부;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시 상기 고정 스토퍼부를 상기 회전 부재에서 착탈가능하게 가이드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착탈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블라인드 장치에 의하면,
건물의 외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블라인드 날개를 구성함으로써, 건물내로 들어오는 빛 조절이 용이하고, 이로인해, 건물내의 냉,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고,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건물의 외부 디자인을 미려하게 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블라인드 날개들의 회전 각도를 조절함과 아울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블라인드 날개들이 외부의 인위적인 힘(예컨대, 태양, 비 및 바람등)에 의해 파손 또는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블라인드 날개들의 회전 각도를 조절함과 아울러 외부의 인위적인 힘을 가해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와이어 끼리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인해, 구동부의 미작동에 따른 과부하를 방지하여 제품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 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예들이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라인드 장치(10)는 건물(미도시 됨)의 내, 외측에 설치되는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내에 구비되는 구동부(12)와, 상기 구동부(12)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샤프트(13)와, 복수의 블라인드 날개(16)를 승, 하강시키는 승,하강용 와이어(14)와, 상기 블라인드 날개(16)들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 와이어(15)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 부재(2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스토퍼부(3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착탈부(40)로 구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부재(20)들은 상기 구동부(12)의 회전에 따라서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샤프트(13)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회전 부재(20)의 일측면에는 상기 승, 하강용 와이어(14)를 권취하도록 권취부재(17)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스토퍼부(30)들은 상기 회전 부재(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 부재(20)에 의해 회전함과 아울러 착탈되어 상기 블라인드 날개(16)들의 회전 각도 조절을 제한함과 아울러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각도 조절 와이어(15)와 체결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착탈부(40)들은 상기 회전 부재(20)의 회전시 상기 고정 스토퍼부(30)를 상기 회전 부재(20)에서 착탈가능하게 가이드 하도록 상기 하우징(11)에 구비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부재(20)들은 한쌍의 회전 기어부(21)와, 회전 가이드홈(22)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회전 기어부(21)는 상기 고정 스토퍼부(30)들에 형성된 기어부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 부재(20)의 외곽 둘레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 가이드 홈(22)은 상기 고정 스토퍼부(30)의 기어부(31)와 상기 회전 기어부(21)들이 서로 이탈시 상기 회전 부재(20)의 회전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한쌍의 회전 기어부(21)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스토퍼부(30)는 기어부(31)와, 가이드 돌기(32)와, 스토퍼 체결부(33)와, 스토퍼 돌기(34)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기어부(31)는 상기 한쌍의 회전 기어부(21)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상기 고정 스토퍼부(30)의 중심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돌기(32)는 상기 한쌍의 회전 기어부(21)와 상기 기어부(31)들이 서로 이탈시 상기 회전 가이드홈(22)과 맞물려 상기 회전 부재(20)를 회전가능하게 가이드 하도록 상기 기어부(31)의 양일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돌기(32)는 상기 기어부(31)의 일단부터 상기 고정 스토퍼부(30)의 양일단까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돌기(32)는 상기 회전 가이드홈(22)과 결합됨과 아울러 대응되는 위치에 제공되도록 상기 고정 스토퍼부(30)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 돌기(34)는 상기 가이드 착탈부(40)와 접촉되어 상기 고정 스토퍼부(30)의 회전을 제한함과 아울러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 체결부(33)의 이웃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스토퍼부(30)는 연성의 밸트 또는 볼타입 체인(미도시 됨)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착탈부(40)는 몸체(41)와, 한쌍의 고정 착탈부(42)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41)에는 상기 샤프트(13)를 회전가능하게 관통시킬 수 있도록 관통홀(4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고정 착탈부(42)는 상기 고정 스토퍼부(3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 부재(20)의 회전시 상기 고정 스토퍼부(30)를 착탈가능하게 가이드함과 아울러 상기 스토퍼 돌기(34)와 접촉되도록 상기 몸체(41)의 외곽에 구비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쌍의 고정 착탈부(42)는 상기 회전 기어부(21)와 상기 고정 스토퍼부(30)의 기어부(31)를 착탈시킬 수 있도록 곡선의 가이드부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한쌍의 고정 착탈부(42)에는 상기 고정 스토퍼부(30)를 관통시킴과 아울러 가이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 가이드홀(4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스토퍼부(30)에는 상기 회전 기어부(21)와 상기 기어부(31)의 착탈 및 가이드를 용이하게 하도록 경사면(30a)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블라인드 장치(10)는 수평 또는 수직 블라인드 장치등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모든 타입에 적용 가능하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라이드 장치는 건물의 외측 또는 내측에 모두 설치가능하며, 여기서는 외부의 인위적인 힘(예컨대, 태양, 비 및 바람등)의 영향을 많이 받는 건물의 외측에 설치되는 블라인드 장치를 대표적인 예시로 나타내었다. 하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건물의 외측에 설치되는 블라인드 장치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건물의 다양한 장소에 설치 가능하다.(예컨대 천 정, 옥상)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블라인드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라인드 장치(10)는 건물의 외측에 설치되는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내에 구비되는 구동부(12)와, 상기 구동부(12)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샤프트(13)와, 복수의 블라인드 날개(16)를 승, 하강시키는 승,하강용 와이어(14)와, 상기 블라인드 날개(16)들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 와이어(15)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 부재(2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스토퍼부(3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착탈부(40)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 부재(20)들은 상기 샤프트(13)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회전 부재(20)들의 외부에 상기 고정 스토퍼부(30)를 결합한다.
이때, 상기 회전 부재(20)의 회전 기어부(21)와 상기 고정 스토퍼부(30)의 기어부(31)와 서로 맞물리게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 부재(20)의 회전 가이드 홈(22)에 상기 고정 스토퍼부(30)의 가이드 돌기(32)를 맞물리게 결합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1)에 구비된 가이드 착탈부(40)들을 상기 고정 스토퍼부(30)들에 결합한다.
상기 가이드 착탈부(40)의 고정 착탈부(42)들에 상기 고정 스토퍼부(3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 스토퍼부(30)의 양일단에 형성된 스토퍼 체결부(33)에 상기 각도 조절 와이어(15)의 후크부(15a)를 체결한다.
이 상태에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건물의 외부에 설치된 복수의 블라인드 날개(16)의 각도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구동부(12)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구동부(12)는 상기 샤프트(13)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킴과 아울러 상기 회전 부재(20)를 함께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 부재(20)의 회전 기어부(21)도 함께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 기어부(21)는 상기 고정 스토퍼부(30)의 기어부(31)와 서로 맞물려 있으므로, 상기 회전 기어부(21)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고정 스토퍼부(30)도 기어부(31)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고정 스토퍼부(30)가 회전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착탈부(40)에 가이드 이동한다.
상기 고정 스토퍼부(30)의 기어부(31)도 함께 상기 가이드 착탈부(40)에 가이드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기어부(31)는 상기 회전 기어부(21)에서 이탈된다. 상기 기어부(31)는 상기 가이드 착탈부(40)의 고정 착탈부(42)에 삽입된다. 상기 고정 착탈부(42)에는 상기 기어부(31)를 관통시킴과 아울러 가이드 회전시키는 회전 가이드홀(42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기어부(31)가 상기 회전 가이드홀(42a)에 삽입되어 관통됨과 아울러 가이드 이동한다.
이때, 상기 고정 스토퍼부(30)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32)는 상기 회전 기어부(21)와 상기 기어부(31)가 서로 이탈됨과 아울러 상기 회전 부재(20)에 형성된 회전 가이드홈(22)에 삽입되어 가이드 회전한다.
상기 고정 스토퍼부(30)의 일단은 상승하고, 타일단은 하강함과 아울러 상기 고정 스토퍼부(30)의 일단에 형성된 스토퍼 체결부(33)와 스토퍼 돌기(34)도 함께 상승하고, 고정 스토퍼부(30)의 타일단에 형성된 스토퍼 체결부(33)와 스토퍼 돌기(34)도 함께 하강한다.
상기 스토퍼 돌기(34)는 상기 가이드 착탈부(40)와 접촉되어 상기 고정 스토퍼부(30)의 회전을 제한함과 아울러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각도 조절 와이어(15)의 한쪽은 상승하고, 다른쪽은 하강함과 아울러 상기 각도 조절 와이어(15)의 상승 또는 하강에 의해 상기 블라인드 날개(16)들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블라인드 날개(16)들은 상기 각도 조절 와이어(1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 부재(20)가 상기 샤프트(13)와 함께 회전하여도 상기 고정 스토퍼부(30)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다.
상기 고정 스토퍼부(30)에는 상기 회전 기어부(21)와 상기 기어부(31)의 착탈 및 가이드를 용이하게 하도록 경사면(30a)이 형성된다.
여기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건물의 외부에 설치된 복수의 블라인드 날개(16)의 각도를 역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구동부(1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구동부(12)는 상기 샤프트(13)를 역방향으로 회전시 킴과 아울러 상기 회전 부재(20)를 함께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 부재(20)의 회전 기어부(21)도 함께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 기어부(21)는 상기 고정 스토퍼부(30)의 기어부(31)와 서로 결합되어 맞물린다. 이때, 상기 고정 스토퍼부(30)는 원위치되고, 상기 각도 조절 와이어(15)도 함께 원위치됨과 아울러 상기 블라인드 날개(16)들도 원위치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회전 기어부(21)와 상기 고정 스토퍼부(30)의 기어부(31)가 서로 맞물려 있으므로, 상기 블라인드 날개(16)들을 고정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블라인드 날개(16)들은 상기 회전 기어부(21)와 상기 고정 스토퍼부(30)의 기어부(31)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므로, 외부의 인위적인 힘에 의해 파손 또는 변경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12)를 역방향으로 좀 더 연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구동부(12)는 상기 샤프트(13)를 역방향으로 연장으로 회전시킴과 아울러 상기 회전 부재(20)를 함께 연장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 기어부(21)가 역방향으로 연장 회전하면, 상기 고정 스토퍼부(30)도 기어부(31)에 의해 연장 회전한다.
이때, 상기 고정 스토퍼부(30)가 연장 회전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착탈부(40)에 가이드 이동한다.
상기 고정 스토퍼부(30)의 기어부(31)도 함께 상기 가이드 착탈부(40)에서 가이드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기어부(31)는 상기 회전 기어부(21)에서 이탈된다. 상기 기어부(31)는 상기 가이드 착탈부(40)의 고정 착탈부(42)에 삽입된다. 상기 고정 착탈부(42)에는 상기 기어부를 관통시킴과 아울러 가이드 회전시키는 회전 가이드홀(42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기어부(31)가 상기 회전 가이드홀(42a)에 삽입되어 관통됨과 아울러 가이드 이동한다.
이때, 상기 고정 스토퍼부(30)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32)는 상기 회전 기어부(21)와 상기 기어부(31)에서 서로 이탈됨과 아울러 상기 회전 부재(20)에 형성된 회전 가이드홈(22)에 삽입되어 역방향으로 가이드 회전한다.
상기 고정 스토퍼부(30)의 일단은 상승하고, 타일단은 하강함과 아울러 상기 고정 스토퍼부(30)의 일단에 형성된 스토퍼 체결부(33)와 스토퍼 돌기(34)도 함께 상승하고, 고정 스토퍼부(30)의 타일단에 형성된 스토퍼 체결부(33)와 스토퍼 돌기(34)도 함께 하강한다.
상기 스토퍼 돌기(34)는 상기 가이드 착탈부(40)와 접촉되어 상기 고정 스토퍼부(30)의 회전을 제한함과 아울러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각도 조절 와이어(15)의 한쪽은 상승하고, 다른쪽은 하강함과 아울러 상기 각도 조절 와이어(15)의 상승 또는 하강에 의해 상기 블라인드 날개(16)들의 회전 각도를 역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블라인드 날개(16)들은 상기 각도 조절 와이어(1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 부재(20)가 상기 샤프트(13)와 함께 역방향으로 회전하여도 상기 고정 스토퍼부(30)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블라인드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의 종래의 블라인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확대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장치의 정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장치의 정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장치의 정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확대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장치의 역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장치의 역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 장치의 역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확대 정면도.

Claims (8)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구비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샤프트와, 복수의 블라인드 날개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용 와이어와, 상기 블라인드 날개들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 와이어로 구성된 블라인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의 회전에 따라서 함께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 부재;
    상기 각도 조절 와이어와 체결되고, 상기 회전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 부재에 의해 회전함과 아울러 착탈되어 상기 블라인드 날개들의 회전 각도 조절을 제한함과 아울러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스토퍼부;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시 상기 고정 스토퍼부를 상기 회전 부재에서 착탈가능하게 가이드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착탈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들은, 상기 고정 스토퍼부들에 형성된 기어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한쌍의 회전 기어부와,
    상기 한쌍의 회전 기어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 스토퍼부의 기어부와 상기 회전 기어부들이 서로 이탈시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회전 가이드 홈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스토퍼부는, 상기 한쌍의 회전 기어부와 맞물려 회전하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의 양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회전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가 서로 이탈시 상기 회전 가이드홈과 맞물려 상기 회전 부재를 회전가능하게 가이드 하는 가이드 돌기와,
    상기 가이드 돌기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각도 조절 와이어의 일단에 형성된 후크부와 체결되는 스토퍼 체결부와,
    상기 스토퍼 체결부의 이웃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착탈부와 접촉되어 상기 고정 스토퍼부의 회전을 제한함과 아울러 고정시키는 스토퍼 돌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회전 가이드홈에 결합됨과 아울러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스토퍼부는 연성의 밸트 또는 볼타입 체인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착탈부들은, 상기 샤프트를 회전가능하게 관통시키는 관통홀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곽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 스토퍼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시 상기 고정 스토퍼부를 착탈가능하게 가이드함과 아울러 상기 스토퍼 돌기와 접촉되는 한쌍의 고정 착탈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고정 착탈부는 상기 회전 기어부와 상기 고정 스토퍼부의 기어부를 착탈시킬 수 있도록 곡선의 가이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쌍의 고정 착탈부에는 상기 고정 스토퍼부를 관통시킴과 아울러 가이드 회전 시키는 회전 가이드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스토퍼부에는 상기 회전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의 착탈 및 가이드를 용이하게 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라인드 장치.
KR1020090130691A 2009-12-24 2009-12-24 블라인드 장치 KR101098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691A KR101098843B1 (ko) 2009-12-24 2009-12-24 블라인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691A KR101098843B1 (ko) 2009-12-24 2009-12-24 블라인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3891A true KR20110073891A (ko) 2011-06-30
KR101098843B1 KR101098843B1 (ko) 2011-12-26

Family

ID=44404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0691A KR101098843B1 (ko) 2009-12-24 2009-12-24 블라인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88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33505A1 (ko) * 2012-03-07 2013-09-12 (주)블라인드팩토리 분리 조절형 블라인드 장치
KR101536616B1 (ko) * 2014-06-03 2015-07-15 박웅천 차광 조절이 가능한 이중블라인드
KR101870805B1 (ko) 2016-12-22 2018-07-19 (주)한양 에코텍 우드 블라인드용 고정끈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909B1 (ko) 2021-01-18 2021-09-13 (주)감성다는남자 블라인드 결속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8193U (ja) * 1982-08-13 1984-02-21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ブラインドのスラツト傾動装置
JPH11210358A (ja) * 1998-01-27 1999-08-03 Nichibei Co Ltd スラット角度調節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33505A1 (ko) * 2012-03-07 2013-09-12 (주)블라인드팩토리 분리 조절형 블라인드 장치
KR101536616B1 (ko) * 2014-06-03 2015-07-15 박웅천 차광 조절이 가능한 이중블라인드
KR101870805B1 (ko) 2016-12-22 2018-07-19 (주)한양 에코텍 우드 블라인드용 고정끈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8843B1 (ko) 2011-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7156B2 (en) Blinds for adjusting illumination
EP3390757B1 (en) Window shade
TWI513890B (zh) Horizontal blinds of the blade drive device
US20100269987A1 (en) Hybrid mount assembly for a window treatment
KR101098843B1 (ko) 블라인드 장치
JP6872020B2 (ja) 窓シェード
KR20130009939A (ko) 롤 스크린을 갖는 다기능 이중 롤 블라인드
KR100859269B1 (ko) 브라인더형 커텐장치
US20100263808A1 (en) Cordless roll-up shade
KR101673490B1 (ko) 전동식 블라인드장치
KR101712142B1 (ko) 영역별 블라인드 슬랫 조절 장치
CA3086296C (en) Semi-rigid chain assembly
KR100769951B1 (ko) 양방향 블라인드
KR20110085337A (ko) 슬랫의 완전차광 및 현수시 쏠림방지 기능을 갖는 베니션 블라인드
KR20110074389A (ko) 블라인드 하이브리드 난간
KR101400243B1 (ko) 안전성이 개선된 롤 블라인드
JP6151556B2 (ja) 日射遮蔽装置の駆動ユニット
JP4729271B2 (ja) 日射遮蔽装置の遮蔽材操作装置
KR102113168B1 (ko) 승강줄과 틸팅줄이 양측에 구비된 베네시안 블라인드
JP2016037830A (ja) ブラインドの昇降装置
KR100468383B1 (ko) 전동 블라인드의 각도 조절장치
KR102113169B1 (ko) 타공이 없는 차양날개가 구비된 베네시안 블라인드
JP2008285876A (ja) ブラインド
CN219197199U (zh) 边孔木质百叶窗帘
JP5768905B2 (ja) ブライン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