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5163A - 정전기를 방지하는 반송용 휠의 제조 방법 및 조성물 - Google Patents

정전기를 방지하는 반송용 휠의 제조 방법 및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5163A
KR20210085163A KR1020190177917A KR20190177917A KR20210085163A KR 20210085163 A KR20210085163 A KR 20210085163A KR 1020190177917 A KR1020190177917 A KR 1020190177917A KR 20190177917 A KR20190177917 A KR 20190177917A KR 20210085163 A KR20210085163 A KR 20210085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olyol
antista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식
전정희
진민경
Original Assignee
(주)유창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창하이텍 filed Critical (주)유창하이텍
Priority to KR1020190177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5163A/ko
Publication of KR20210085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16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03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39/1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ast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7Antista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6Anti-static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기를 방지하는 반송용 휠의 제조 방법 및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경도, 인장강도, 인열강도의 물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카본나노튜브의 분산을 통해 대전방지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정전기를 방지하는 반송용 휠의 제조 방법은,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인 프리 폴리머를 제조하여 준비하고, 용매와 대전방지제가 혼합된 대전방지 조성물을 제조하여 준비하며, 상기 프리 폴리머와 대전방지 조성물의 경화를 위한 경화제를 반송용 휠의 원료로 준비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준비한 프리 폴리머와 대전방지 조성물 및 경화제를 혼합하여 원료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혼합한 원료 혼합물을 반송용 휠의 허브(hub)가 삽입된 금형 안에 주입하여 주형한 후 이형을 통해 반송용 휠을 성형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금형에서 이형된 휠 성형품을 상온과 오븐기에서 사이클 숙성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단계 중에서 대전방지 조성물을 제조하여 준비하는 단계는 용매 100중량부에 대하여 대전방지제 25~35중량부로 준비하고 상기 대전방지제를 촉매제 96.5~97중량%, 카본나노튜브 3~3.5중량%의 혼합으로 준비하되 상기 용매와 상기 촉매제를 상기 프리 폴리머의 폴리올과 동일한 폴리올로 준비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정전기를 방지하는 반송용 휠의 조성물은, 폴리올(제1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인 프리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프리 폴리머와 폴리올과 동일한 용매와 대전방지제가 혼합된 대전방지 조성물 45~53중량부 및 경화제 14~16중량부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대전방지 조성물은 용매(제2폴리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대전방지제 25~35중량부의 혼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전방지제는 촉매제(제3폴리올) 96.5~97중량%, 카본나노튜브 3~3.5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정전기를 방지하는 반송용 휠의 제조 방법 및 조성물{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NTISTATIC RETURN WHEEL}
본 발명은 정전기를 방지하는 반송용 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도, 인장강도, 인열강도의 물성이 높고 카본나노튜브에 의한 대전방지 효과가 우수한 정전기를 방지하는 반송용 휠의 제조 방법 및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은 본 출원 내용과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반드시 선행기술이 되는 것은 아니다.
현대 전자 장비의 소형화, 고집적화 추세로 인하여 순간적인 정전기 방전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고집적의 전자회로 및 핵심부품들에 정전기의 발생으로 전기적 충격이나 분진의 흡착 등으로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어 전자부품의 제조라인에는 대전방지 기능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박막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는 그 제조 공정 중 많은 부분에서 정전기 피해에 노출되어 있다. 액정표시장치 제조 공정에서 정전기에 의한 피해는, TFT-LCD의 액정 배향이 틀어지게 하거나 정전기성 얼룩, 이물 유입 등의 불량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액정 표시 장치 제조공정에서 정전기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공정 중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 제조 라인에서는 공정의 많은 부분에서 ionizer 설치, 접지 등의 방법으로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공정 중 많은 부분에서 잘못된 방법으로 대전방지 처리를 하고 있거나 아예 대전방지 처리가 되어있지 않은 경우가 있다.
또한, 제조라인에는 물품의 운반을 위한 운반(반송)장비가 갖추어지고, 이 운반장비에는 반송용 롤러가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반송용 롤러는 테프론, 폴리아세탈 등의 고분자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적으로 절연성을 가지며 공정 특성상 유리 기판과 빈번하게 마찰하는데, 이 과정에서 정전기가 심하게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한 정전기는 글라스에 심각한 피해를 준다. 즉, 기판의 대전량을 상승시키고, 이에 의하여 유리 기판이 정전기성 얼룩, 이물흡착, 액정 불량 유발 등의 피해를 입게 되어 반송용 롤러의 대전방지처리가 요구된다.
대전방지용 수지 조성물은 고분자 수지에 전도성 입자를 혼합하여 복합재료를 사용하거나, 표면처리 등을 이용하여 고분자 수지의 표면저항을 낮추는 방식으로 진행되어 왔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카본블랙과 고분자 수지를 혼합하여 전도성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가장 제조가격이 낮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전방지제는 적정의 저항을 유지하여야 하며, 저항 값이 너무 큰 경우에는 내부에서 정전기가 축전되는 문제가 있으며, 너무 낮은 경우에는 오히려 외부의 전하가 내부로 옮겨와서 전자제품의 고장을 유발하거나 안전사고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고, 10^4Ωㅇ㎝ 내지 10^8Ωㅇ㎝의 표면저항이 적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카본블랙의 경우 입자가 작고 전기 전도성이 매우 우수하여 고분자 수지와 혼합하여 수지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함량 및 분산방법에 따라 요구하는 표면저항 보다 높은 값을 지니고 있다가 갑자기 감소하여 요구수치 보다 너무 낮아지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공개특허 제10-2008-004342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경도, 인장강도, 인열강도의 물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카본나노튜브의 분산을 통해 대전방지효과를 극대화하는 정전기를 방지하는 반송용 휠의 제조 방법 및 조성물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정전기를 방지하는 반송용 휠의 제조 방법은,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인 프리 폴리머를 제조하여 준비하고, 용매와 대전방지제가 혼합된 대전방지 조성물을 제조하여 준비하며, 상기 프리 폴리머와 대전방지 조성물의 경화를 위한 경화제를 반송용 휠의 원료로 준비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준비한 프리 폴리머와 대전방지 조성물 및 경화제를 혼합하여 원료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혼합한 원료 혼합물을 반송용 휠의 철심이 삽입된 금형 안에 주입하여 주형한 후 이형을 통해 반송용 휠을 성형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단계 중에서 대전방지 조성물을 제조하여 준비하는 단계는 용매 100중량부에 대하여 촉매제, 카본나노튜브의 혼합물인 대전방지 조성물 25~35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정전기를 방지하는 반송용 휠의 조성물은,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인 프리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프리 폴리머와 폴리올과 동일한 용매와 대전방지제가 혼합된 대전방지 조성물 25~35중량부 및 경화제 14~16중량부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대전방지 조성물은 용매 100중량부에 대하여 대전방지 조성물 25~35중량부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대전방지제 조성물은 촉매제인 폴리올 96.5~97중량%, 카본나노튜브 3~3.5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정전기를 방지하는 반송용 휠의 제조 방법 및 조성물에 의하면, 폴리우레탄의 특성을 통해 경도, 인장강도, 인열강도가 우수한 반송용 휠을 제조하고 특히 폴리우레탄의 재료와 카본나노튜브의 혼합을 통해 재료분리없이 반송용 휠의 모든 부분에서 대전방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카본나노튜브의 분산을 통해 대전방지효과를 극대화함으로써 반송용 휠의 신뢰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전자장비의 불량에 따른 손실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정전기를 방지하는 반송용 휠의 조성물은, 프리 폴리머, 대전방지 조성물 및 경화제를 원료로 하며, 각 원료의 구체적인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프리 폴리머.
프리 폴리머는 폴리올(이하 "제1폴리올"이라 함) 및 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으로 이루어진다.
제1폴리올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올, 폴리에테르(Polyether) 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Polycarbonate polyol), 폴리테트라메틸렌 폴리올(Polytetramethylene polyol)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개 이상(2개 이상의 경우 동등한 비율)이며 대전방지 조성물이 카본계열이므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이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는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1.5-Naphthalene Diisocyanate), 파라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P-Phenylene diisocyanate, PPDI) 등 다양한 종류의 이소시아네이트가 사용 가능하고, 폴리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10~60중량부가 혼합된다. 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비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반송 휠의 물성(경도, 인장강도, 신율, 인열강도 등)이 떨어진다.
한편, 프리 폴리머는 필요에 따라 쇄연장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쇄 연장제는 초기탄성률, 인장강도, 신장율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프리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2~20중량부가 혼합된다.
쇄연장제는 1.4-부탄 디올(1.4-Buthane Diol),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에틸렌 글리콜(Ethyleneglycol), HQEE<Hydroquinone bis(2-hydroxyethyl)ether>, 네오펜틸 글리콜(Neopentyl glycol), 1.6-헥산 디올
(1.6-Hexane diol), 트리메티올 프로판(Trimethylol propane), Thiodiglycol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쇄연장제는 경화제의 기능을 겸하며, 물론, 다른 경화제가 첨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2. 대전방지 조성물.
대전방지 조성물은 용매와 카본계 대전방지제를 원료로 한다.
용매는 프리 폴리머의 주재료인 제1폴리올과 동일한 폴리올(이하 "제2폴리올"이라 함)이며, 이와 같은 원료의 동질성을 통해 재료 분리에 의한 특성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대전방지제는 촉매제인 폴리올(이하 "제3폴리올"이라 함)과 대전방지를 위한 카본나노튜브를 조성으로 하며, 제3폴리올 96.5~97중량%, 카본나노튜브 3~3.5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 카본나노튜브의 분산을 돕기 위하여 카본나노튜브 100중량부에 대하여 분산제 25~35중량부가 더 혼합될 수 있다.
촉매제인 폴리올은 용매인 폴리올과 동일한 재질이며 카본나노튜브와 분산제 및 용매의 반응을 위하여 사용된다.
용매(제2폴리올)와 촉매제(제3폴리올)를 동일한 재료인 폴리올(제1폴리올)로 사용함으로써 카본나노튜브와 분산제의 반응을 유도하고 용매와 동일 재질의 특성을 통해 용매와 재료 분리를 막고 균일한 혼합을 유도하며, 물성적으로 경도, 인장강도, 인열강도가 우수한 제품을 제조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카본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는 그라파이트 시트가 원통 모양을 하고 있는 독특한 형상의 탄소 동소체로, 직경 1~수십nm, 길이 1~수십μm정도이며, 전기/열전도도, 강도, 내구성, 반응성 등이 다른 물질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미 대전방지를 위하여 사용되고 있고, 카본계 대전방지제 기준 3중량% 미만은 대전방지 효과가 기준 미달이고 3.5중량% 초과 시 인장강도와 인열강도 등의 물성이 좋지 못하다.
분산제는 카본나노튜브의 균일한 분산을 통해 완제품의 모든 부분에서 균일한 대전방지효과를 도모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카본나노튜브 100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면 분산 효과가 미약하고 35중량부 초과 시 물성 저하가 나타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카본나노튜브는 생산 직후 분산력이 없어 번들구조에 의해 응집되는 현상을 보이게 되며, 불완전 분산된 상태에서 구조적 연결이 단절되어 불균일한 전기/열 전도성을 지니며(hot/cold spot 발생), 분산제의 첨가를 통해 카본나노튜브가 고분자 내에서 그물망처럼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균일하고 높은 전기/열 전도성을 지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분산제는 탄소나노튜브 전용의 분산제로서, 탄소나노튜브를 제2폴리올과 제1폴리올에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하는 기성의 제품이며, 예를 들어 탄소나노튜브에 대한 친화성이 우수한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포함하는 헤드부와 분산매와의 친화력이 높은 테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분산제는 저분자량 유기물이므로 분해 온도가 일반적인 막의 소성온도 보다 낮기 때문에 탄소나노튜브 조성물을 박막으로 제조하는 경우에 소성시 잔존하는 유기물이 거의 없어 사후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균일한 물성의 박막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고분자 분산제에 비해 용해도가 높고 점도가 낮으며 탄소나노튜브와 동일한 원소로 구성된 분산제이므로 다른 원소에 의한 오염이 거의 없다.
헤드부를 구성하는 방향족 탄화수소기들은 탄소나노튜브와 구조적으로 가장 유사하고, 탄소나노튜브와 분산제의 헤드의 파이전자들간의 결합(π-π 결합)을 형성할 수 있어, 헤드부와 탄소나노튜브 간에 높은 친화성을 가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헤드부를 포함하는 분산제를 사용함으로써 분산이 극히 어려운 탄소나노튜브를 임의의 분산매에 용이하게 분산시킬수 있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카본나노튜브는 생산 직후 분산력이 없어 번들구조에 의해 응집되는 현상을 보이게 되며, 불완전 분산된 상태에서 구조적 연결이 단절되어 불균일한 전기/열 전도성을 지니며(hot/cold spot 발생), 본 발명은 분산제의 첨가를 통해 카본나노튜브가 고분자 내에서 그물망처럼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균일하고 높은 전기/열 전도성을 지니게 된다.
이와 같은 조성의 카본계 대전방지제는 용매인 제2폴리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25~35중량부가 혼합되며, 이 혼합 범위는 물성(경도, 인장강도, 인열강도)과 대전방지효과를 높이기 위한 범위이다.
이와 같은 조성의 대전방지 조성물은 완제품의 혼합 시 프리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45~53중량부가 혼합되며, 이들의 범위는 물성(경도, 인장강도, 인열강도)과 대전방지효과를 높이기 위한 범위이다. 즉, 반송용 휠 조성물 100중량% 중에서 카본나노튜브는 0.2~0.3중량%가 바람직하다.
3. 경화제.
경화제는 프리 폴리머와 대전방지 조성물의 원료를 경화시켜 반송용 휠을 제조하는 용도로서, 프리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14~16중량부가 사용되고, 14중량부 미만이 사용되면 경화가 오래 걸려 제조시간이 길어지고 16중량부를 초과하면 물성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정전기를 방지하는 반송용 휠의 제조 방법은, 원료인 프리 폴리머, 대전방지 조성물 및 경화제를 준비하는 공정 - 원료의 혼합 공정 - 반송용 휠의 성형 공정 - 휠 숙성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각 공정의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원료 준비.
가. 프리 폴리머 제조.
(1) 폴리올 제조.
폴리올을 60~120℃에서 2시간 내지 6시간 동안 예열하여 탈수 및 탈포를 거치며, 바람직하게 70℃에서 용융한 후 폴리올이 120℃에 도달하면 탈수를 시작하고 130℃에서 2시간 이상(2시간~3시간)동안 탈수한다. 폴리올은 왁스상태이기 때문에 액체 상태로 변환하기 위하여 용융 공정을 거치며, 중합과정에서 부가반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폴리올에 포함된 수분 및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탈수 및 탈포 공정을 거치는 것이다.
탈수가 완료된 폴리올을 정량으로 계량하고, 반응 온도(124~135℃)로 조정한다.
(2) 이소시아네이트 준비.
이소시아네이트를 정량으로 평량한 후 준비한다.
(3)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 혼합.
폴리올에 이소시아네이트 10 내지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중합 반응시켜 프리폴리머를 제조한다.
프리폴리머 용기에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넣고 중합기에서 이들을 교반하며, 124~135℃에서 20~30분 동안 중합 공정을 진행한다.
프리 폴리머를 탱크에 넣어 보관하며 보관온도는 110℃ 내외를 유지한다.
나. 대전방지 조성물 제조.
(1) 제2폴리올(용매) 준비.
폴리올을 60~120℃에서 2시간 내지 6시간 동안 예열하여 탈수 및 탈포를 거치며, 바람직하게 70℃에서 용융한 후 폴리올이 120℃에 도달하면 탈수를 시작하고 130℃에서 2시간 이상(2시간~3시간)동안 탈수한다. 폴리올은 왁스상태이기 때문에 액체 상태로 변환하기 위하여 용융 공정을 거치며, 중합과정에서 부가반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폴리올에 포함된 수분 및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탈수 및 탈포 공정을 거치는 것이다.
탈수가 완료된 폴리올을 정량으로 계량하고, 반응 온도(예를 들어 124~135℃)로 조정하여 제2폴리올을 제조한다.
(2) 대전방지제 준비.
제3폴리올(촉매제)와 카본나노튜브 및 분산제를 각각 준비하고 이들을 혼합하여 대전방지제를 준비한다.
제3폴리올은 제2폴리올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다.
(3) 원료 혼합.
제3폴리올(촉매제), 카본나노튜브 및 분산제를 정량하여 제2폴리올을 130~180℃의 온도로 유지하면서 카본나노튜브 및 분산제를 넣고 5분 ~ 60분 동안 교반 혼합(예를 들어 고속 교반 또는 공자전 혼합기)하여 분산시킨다.
다. 경화제 준비.
경화제는 1.4-부탄 디올(1.4-Buthane Diol),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에틸렌 글리콜(Ethyleneglycol), HQEE<Hydroquinone bis(2-hydroxyethyl)ether>, 네오펜틸 글리콜(Neopentyl glycol), 1.6-헥산 디올
(1.6-Hexane diol), 트리메티올 프로판(Trimethylol propane), Thiodiglycol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다른 경화제가 첨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2. 원료 혼합물 제조.
위에서 준비된 프리폴리머, 대전방지 조성물, 경화제를 적정 비율로 혼합한다. 예를 들어 제1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프리폴리머(주제) 100중량부 기준, 대전방지 조성물 48.6중량부, 경화제 15.4중량부를 혼합한다.
3. 성형.
반송용 휠의 성형을 위하여 반송용 휠의 자재인 HUB를 준비하여 금형 안에 조립한다. HUB는 원료 혼합물과의 접착을 위해 샌딩 표면 처리 이후 접착제를 도포하여 충분히 건조 시켜 미리 준비 한다. 주형 하기 전 HUB는 120~130℃, 12시간~24시간 예열하고, 금형은 125~135℃, 3~4시간 예열 준비한다.
금형 안에 전 공정에서 혼합 준비한 원료 혼합물을 주입하여 주형한 후 110~120℃, 1~2시간 경과 후 제품을 금형에서 이형한다.
4. 휠 숙성 공정
휠을 금형에서 이형 시킨 후 숙성을 거치는 것이 물성특성에 유리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숙성 조건은 위 공정에서 제조된 휠 성형물을 1차로 100~120℃, 24시간 오븐 숙성기에서 숙성시킨다. 1차 숙성된 혼합물은 가온 숙성과 상온숙성을 반복해서 진행 한다. 예를 들어, 1차 숙성된 혼합물을 온도 21~25℃, 상대습도 65~70% 조건에서 5일간 보관 후에 오븐 숙성기에서 100~120℃, 12시간 가온 숙성 시키는 것을 1사이클(Cycle)이라고 할 때 , 이 숙성 사이클을 혼합물 두께(20mm~70mm)에 따라 2사이클~7사이클 반복한다.
<실시예>
1. 조성(중량).
구분 대전방지제 조성물 점도
(cps, 100℃)
용매
(제1폴리올)
대전방지제
촉매제
(제2폴리올)
CNT 분산제
실시예1 25 6.53 0.2 0.04 2,300
실시예2 35 10.63 0.4 0.09 2,500
실시예3 25 6.57 0.23 - 2,300
비교예1 28 - - - 1,000
비교예2 28 3.55 0.1 0.01 2,000
비교예3 28 13.81 0.4 0.04 10,000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조성에 따른 것이며, 비교예들은 본 실시예와 특성 비교를 위하여 대전방지제를 사용하지 않거나 본 발명의 조성 범위를 벗어난 조성으로 하였다.
2. 테스트.
구분 경도 인장강도 인열강도 저항값 작업성 비고
실시예1 95 52 153 10^4~7 양호 전체 양호
실시예2 95 53 137 10^4~7 양호 전체 양호
실시예3 97 54 145 10^4~7 양호 전체 양호
비교예1 95 45 140 OVER 양호 저항기준미달
비교예2 95 47 145 10^12 양호 저항기준미달
비교예3 95 35 115 10^12 고점도 분산불량,물성저하
기준 : 경도(95±2), 인장강도(44 MPa 이상), 인열강도(120 kN/m 이상),
저항값(10^9 Ω/cm 이하)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의 특성 테스트를 위하여 표 1의 조성을 이용하여 동일한 제조 방법으로 반송용 휠을 제조한 후 경도, 인장강도, 인열강도, 저항값 및 작업성을 테스트 한 결과, 표 2에서 보이는 것처럼, 실시예 모두 모든 테스트 항목에서 기준 이상의 결과를 보였으며 특히 비교예들보다 우수한 특성을 확인하였다.

Claims (5)

  1.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인 프리 폴리머를 제조하여 준비하고, 용매와 대전방지제가 혼합된 대전방지 조성물을 제조하여 준비하며, 상기 프리 폴리머와 대전방지 조성물의 경화를 위한 경화제를 반송용 휠의 원료로 준비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준비한 프리 폴리머와 대전방지 조성물 및 경화제를 혼합하여 원료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혼합한 원료 혼합물을 반송용 휠의 허브(hub)가 삽입된 금형 안에 주입하여 주형한 후 이형을 통해 반송용 휠을 성형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금형에서 이형된 휠 성형품을 상온과 오븐기에서 사이클 숙성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단계 중에서 대전방지 조성물을 제조하여 준비하는 단계는 용매 100중량부에 대하여 대전방지제 25~35중량부로 준비하고 상기 대전방지제를 촉매제 96.5~97중량%, 카본나노튜브 3~3.5중량%의 혼합으로 준비하되 상기 용매와 상기 촉매제를 상기 프리 폴리머의 폴리올과 동일한 폴리올로 준비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를 방지하는 반송용 휠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 조성물은 상기 카본나노튜브 100중량부에 대하여 분산제 20~35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를 방지하는 반송용 휠의 제조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프리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대전방지 조성물 45~53중량부, 경화제 14~16중량부를 혼합하는 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를 방지하는 반송용 휠의 제조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를 통해 제조된 대전방지 조성물을 프리폴리머 및 경화제와 함께 혼합한 원료 혼합물을 100~120℃,12~24시간 동안 1차 숙성 시키고 온도 21~25℃, 상대습도 65~70% 조건에서 5일간 보관 후에 100~120℃, 12시간 가온 숙성시키는 사이클(Cycle)을 2사이클~7사이클 반복 숙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를 방지하는 반송용 휠의 제조 방법.
  5. 폴리올(제1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인 프리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프리 폴리머와 폴리올과 동일한 용매와 대전방지제가 혼합된 대전방지 조성물 45~53중량부 및 경화제 14~16중량부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대전방지 조성물은 용매(제2폴리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카본계 대전방지제 25~35중량부의 혼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전방지제는 촉매제(제3폴리올) 96.5~97중량%, 카본나노튜브 3~3.5중량%의 혼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를 방지하는 반송용 휠의 조성물.
KR1020190177917A 2019-12-30 2019-12-30 정전기를 방지하는 반송용 휠의 제조 방법 및 조성물 KR202100851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917A KR20210085163A (ko) 2019-12-30 2019-12-30 정전기를 방지하는 반송용 휠의 제조 방법 및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917A KR20210085163A (ko) 2019-12-30 2019-12-30 정전기를 방지하는 반송용 휠의 제조 방법 및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163A true KR20210085163A (ko) 2021-07-08

Family

ID=76893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917A KR20210085163A (ko) 2019-12-30 2019-12-30 정전기를 방지하는 반송용 휠의 제조 방법 및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516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3424A (ko) 2006-11-14 2008-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대전방지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반송용 롤러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3424A (ko) 2006-11-14 2008-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대전방지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반송용 롤러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4052B2 (en) Antistatic and electrically conductive polyurethanes
JP5484770B2 (ja) ナノカーボン分散剤及び当該分散剤を含むナノカーボン分散液
DE112015000659T5 (de) Polyesterbasierte Harzzusammensetzung, Herstellungsverfahren für die polyesterbasierte Harzzusammensetzung und die polyesterbasierte Harzzusammensetzung verwendender Formartikel
CN103483528A (zh) 一种聚醚酯聚氨酯弹性体及其制备方法
DE112015000662T5 (de) Polyesterharzzusammensetzung und die Polyesterharzzusammensetzung verwendender Formartikel
Zhang et al. In situ synthesis of biopolyurethane nanocomposites reinforced with modified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KR102294859B1 (ko) 실리콘 고무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808464A (zh) 一种防静电耐磨地坪涂料及其制备方法
JP5177435B2 (ja) 複合材料
KR20210085163A (ko) 정전기를 방지하는 반송용 휠의 제조 방법 및 조성물
US20230257548A1 (en) Method for producing a conductive polyurethane composite material, and said material
CN104341569B (zh) 热塑性聚氨酯弹性体及其制备方法
JP2014514396A (ja) プリプレグ及び複合材料で構成された物品の製造に対するレオロジー特性を化学的に調整可能な高分子配合物
KR20210085162A (ko) 카본나노튜브를 이용한 대전방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323115B2 (en) Bio-polyol composition and bio-polyurethane foam
KR102562265B1 (ko) 전처리된 단일벽 카본나노튜브를 이용한 대전방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852483A (en) Method of plasticizing a polyurethane-polyether and composition thereby obtained
US2888432A (en) Process of curing a polyurethane with a mixture of diisocyanate and polyester
CN113337101A (zh) 一种电子用高阻隔性tpu薄膜及其制备方法
JPH0216330B2 (ko)
JP7158162B2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繊維強化複合材料および成形体
EP4258291A1 (en)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polyurethane composite material, and said material
KR100869122B1 (ko) 프린터용 도전성 폴리우레탄 롤러의 제조방법
KR20040040357A (ko) 전도성 비발포 폴리우레탄 수지 제조용 조성물, 이조성물로 이루어진 전도성 비발포 폴리우레탄 성형물 및전도성 비발포 롤
KR102640646B1 (ko) 내구성이 향상된 고기능성 폴리우레탄 방수 도막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