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4791A - 현관문 방범장치 - Google Patents

현관문 방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4791A
KR20210084791A KR1020190176911A KR20190176911A KR20210084791A KR 20210084791 A KR20210084791 A KR 20210084791A KR 1020190176911 A KR1020190176911 A KR 1020190176911A KR 20190176911 A KR20190176911 A KR 20190176911A KR 20210084791 A KR20210084791 A KR 20210084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door
ratchet gear
spool
gear
securi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8873B1 (ko
Inventor
임중연
김현우
박인표
정현수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76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873B1/ko
Publication of KR20210084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4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3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mprising a flexible member, e.g. 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2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unintended use, e.g. protection against vandalism or sabotage
    • E05Y2800/426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unintended use, e.g. protection against vandalism or sabotage against unauthorised use, e.g. key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주자가 현관문을 통해 집안으로 들어오는 도중에 외부 침입자가 닫히고 있는 현관문을 강제로 열지 못하도록 할 수 있는 현관문 방범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현관문 방범장치{FRONT DOOR SECURITY DEVICE}
본 발명은 현관문 방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주자가 현관문을 통해 집안으로 들어오는 도중에 외부 침입자가 닫히고 있는 현관문을 강제로 열지 못하도록 할 수 있는 현관문 방범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결혼 시기가 늦춰지고, 이혼율 증가와 함께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1인 가구수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통계청의 인구 총조사에 따르면 전체 가구 중에서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2000년도 15.5%에서 2005년도에 20%로, 2015년에는 27.2%로 지속적인 증가 추이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1인 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1인 가구를 대상으로 한 주거침입 범죄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여성이나 노약자가 살고 있는 1인 가구를 대상으로 한 범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방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주거침입 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현관문에 다양한 보조 잠금장치를 추가 설치하거나, CCTV 등의 보안시스템, 보안업체를 이용한 긴급출동 서비스 등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보조 잠금장치의 경우 현관문이 완전히 닫힌 후에 조작할 수 있는 것으로, 현관문이 덜 닫히거나 개방된 상태에서는 범죄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즉 거주자가 현관문을 통해 집안으로 들어오는 도중에는 현관문의 잠금이나 보안 경고시스템이 해제된 상태이다. 이 경우 외부 침입자가 열린 현관문이 닫히기 전에 현관문을 강제로 열고 거주자를 따라 집안으로 침입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86997호(공고일: 2019.06.1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거주자가 현관문을 통해 집안으로 들어오는 도중에 외부 침입자가 닫히고 있는 현관문을 강제로 열지 못하도록 할 수 있는 현관문 방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 방범장치는, 현관문과 인접하게 설치되는 본체부; 상기 현관문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부 내에 설치된 스풀에 권취 가능하게 연결되는 벨트부; 상기 스풀의 회전축에 구비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제1래칫기어와, 상기 제1래칫기어와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제2래칫기어를 포함하여, 상기 제1래칫기어와 제2래칫기어의 치합 시 현관문이 닫히는 일방향으로 상기 스풀이 회전되도록 하고, 현관문이 개방되는 타방향으로 상기 스풀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해주는 래칫기어부; 상기 스풀의 회전방향을 통해 상기 현관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해주는 엔코더부; 및 상기 현관문이 닫히는 도중에 상기 스풀의 회전방향이 현관문 개방 방향으로 전환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래칫기어와 제2래칫기어가 치합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현관문이 강제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현관문은 일측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실외측을 향해 선회 개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벨트부의 일단은 상기 현관문의 타측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풀의 회전축에는, 상기 현관문의 개폐 시 상기 벨트부가 소정의 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스풀에 자동으로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상기 스풀을 일측 회전방향으로 탄성 지지해주는 태엽스프링;이 구비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칫기어부는, 상기 스풀의 회전축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풀과 일체로 회전되며, 상면에 기어 이가 형성되는 제1래칫기어;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강 시 상기 제1래칫기어의 기어 이와 치합될 수 있도록 대향면에 기어 이가 형성되는 제2래칫기어; 및 상기 제2래칫기어를 상기 제1래칫기어가 구비된 하방을 향해 탄성 지지해주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2래칫기어의 상부에 와이어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를 권취해주는 권취롤과, 상기 권취롤을 정역 회전시켜가며 상기 제2래칫기어를 승, 하강 시켜주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승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코더부는, 상기 제1래칫기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평기어; 상기 제1평기어와 치합되는 제2평기어; 및 상기 제2평기어의 정, 역회전을 감지해주는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 방범장치는, 거주자가 현관문을 통해 집안으로 들어오는 도중에 외부 침입자가 닫히고 있는 현관문을 강제로 열려고 하는 순간 래칫기어부가 치합되면서 현관문이 열리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범죄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 방범장치가 설치된 현관문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 방범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 방범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 방범장치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래칫기어부가 치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 방범장치가 설치된 현관문의 개방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 방범장치가 설치된 현관문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 방범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현관문 방범장치(100)는, 본체부(110), 벨트부(120), 래칫기어부(130), 엔코더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부(110)는 현관문 방범장치(100)의 주된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체부(110)는 현관문(10)과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10)는 힌지축(11)을 중심으로 선회 개방되는 현관문(10)의 문틀(1)이나, 또는 현관문(10)과 인접한 실내측 벽면(3)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본체부(110)가 실내측 벽면(3)에 고정된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벨트부(120)는 일단이 현관문(10)의 타측에 고정되고, 벨트부(120)의 타단은 본체부(110) 내의 스풀(121)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벨트부(120)는 현관문(10)의 개폐 시 스풀(121)에 자동 권취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본체부(110)의 하부에는 스풀(121)을 일측 회전방향으로 탄성 지지해줄 수 있도록 태엽스프링(123)(도 4 참조)을 포함한 장력유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장력유지수단을 통해 현관문(10)의 개폐 시 벨트부(120)가 소정의 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스풀(121)의 외주면에 자동으로 감기거나 풀리도록 할 수 있다.
래칫기어부(130)는 치합 시 벨트부(120)가 권취되는 스풀(121)이 일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도록 제한해주는 역할을 한다. 즉 래칫기어부(130)는 치합 시 현관문(10)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열리지 않고, 상기 현관문(10)이 닫히는 방향으로만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칫기어부(130)는 스풀(121)의 회전축(121a) 상부에 구비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제1래칫기어(131)와, 상기 제1래칫기어(131)와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제2래칫기어(1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래칫기어부(130)는 제1래칫기어(131)와 제2래칫기어(133)의 치합 시 현관문(10)이 닫히는 일방향으로 스풀(121)이 회전되도록 하고, 현관문(10)이 개방되는 타방향으로 스풀(121)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즉 현관문(10)이 닫히는 도중에 외부인이 현관문(10)을 강제 개방하는 경우, 후술할 제어부(150)에서는 이를 침입 시도로 판단하고 제1래칫기어(131)와 제2래칫기어(133)를 치합시켜줌으로써 현관문(10)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래칫기어(131)는 본체부(110) 상부에 연장된 스풀(121)의 회전축(121a)에 결합되어 스풀(121)과 일체로 회전되며 상면에 기어 이(131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래칫기어(133)는 본체부(110)의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11)을 따라 상하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래칫기어(131)의 기어 이(131a)와 대향되는 제2래칫기어(133)의 대향면에는 상기 제1래칫기어(131)의 기어 이(131a)와 치합될 수 있도록 기어 이(133a)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래칫기어(133)는 상부의 뭉치(133b) 부분이 승강수단(135)을 매개로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래칫기어(131)와 선택적으로 치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수단(135)은, 제2래칫기어(133)를 제1래칫기어(131)를 향해 탄성 지지해주는 탄성부재(135a)와, 제2래칫기어(133)의 상부에 와이어(135b)를 매개로 연결되어 와이어(135b)를 권취해주는 권취롤(135c)과, 상기 권취롤(135c)을 정역 회전시켜주는 구동모터(135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래칫기어부(130)는 평상 시 현관문(10)의 원활한 개폐가 가능하도록 제1래칫기어(131)와 제2래칫기어부(133)가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해줄 수 있다.
엔코더부(140)는 벨트부(120)가 감기는 스풀(121)의 회전방향을 감지하여 현관문(10)이 열림 또는 닫히는 상태인지를 실시간으로 감지해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엔코더부(140)는 제1래칫기어(13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평기어(141)와, 제1평기어(141)와 치합되는 제2평기어(143)와, 제2평기어(143)의 정, 역회전을 감지해주는 감지센서(1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엔코터부(140)는 스풀(121)의 회전방향을 감지하여 현관문(10)이 열리거나 닫히는 상태와, 닫히는 속도 등을 용이하게 파악해줄 수 있다.
제어부(150)는 엔코더부(140)를 통해 현관문(10)의 개폐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해주는 것으로, 이러한 제어부(150)는 현관문(10)이 닫히는 도중 인가되지 않은 외력에 의해 현관문(10)이 다시 열리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엔코더부(140)를 통해 현관문(10)이 닫히는 도중 현관문(10)의 강제 개방 시도를 감지하는 경우, 이를 외부인의 침입으로 간주해주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150)는 도 5에서와 같이 제2래칫기어(133)를 하강 작동시켜 제1래칫기어(133)와 치합시켜줌으로써 현관문(10)이 닫히는 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도록 제한해줄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50)는 래칫기어부(130)가 치합된 상태로 현관문(10)이 닫힌 후 상기 래칫기어부(130)가 치합된 상태를 소정시간 동안 유지하도록 해줄 수 있다. 즉 래칫기어부(130)가 치합된 상태로 현관문(10)이 닫히게 된 후에는 도어락(미도시)이 잠금 작동되기 전에 현관문(10)이 다시 열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제어부(150)에서는 현관문(10)이 닫힌 다음 도어락이 잠금 작동된 후 소정시간(일례로 3 ~ 5초) 후에 래칫기어부(130)의 치합을 해제해줄 수 있으며, 현관문(10)을 다시 열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현관문(10)이 완전히 닫힌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문틀(10)과 현관문(10)에는 리드센서(151)와 이에 부착되는 자석부재(153)(도 6 참조)가 대응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제어부(150)에서는 리드센서(151)와 자석부재(153)가 부착되었는지를 통해 현관문(10)이 완전히 닫혔는지를 판단해줄 수 있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 방범장치(100)의 작동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해 보기로 한다.
먼저, 평상시 현관문(10)에 구비된 래칫기어부(130)는 제1래칫기어(131)와 제2래칫기어(133)가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현관문(10)을 자유롭게 개폐시킬 수 있다(도 4 참조).
거주자가 현관문(10)을 열고 집안으로 들어오는 도중에 외부 침입자가 닫히고 있는 현관문(10)을 강제로 개방하려 하는 경우, 제어부(150)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엔코더부(140)를 통해 감지 신호를 실시간으로 전달받게 된다.
상기 엔코더부(140)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150)는 제2래칫기어(133)를 하강 작동시켜 제1래칫기어(133)와 치합시켜줌으로써 현관문(10)이 닫히는 방향으로만 선회되도록 해줄 수 있다(도 5 참조). 아울러 제어부(150)에서는 경보장치를 작동시켜줄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주자의 출입 시 현관문(10)이 닫히는 순간을 노리는 외부 침입자의 침입 시도를 예방할 수 있다.
현관문(10)이 닫힌 후 소정 시간이 지나게 되면, 래칫기어부(130)는 다시 원래의 위치(제1래칫기어와 제2래칫기어의 치합이 해제된 상태)로 복귀하게 되고, 현관문(10)을 다시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현관문(10)이 일측의 힌지축(11)을 중심으로 실외측을 향해 선회 개방되는 여닫이 방식으로 구성된 경우의 일례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현관문(10)이 미닫이인 경우로 변경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문틀 3 : 실내측 벽면
10 : 현관문 11 : 힌지축
100 : 현관문 방범장치 110 : 본체부
111 : 가이드레일 120 : 벨트부
121 : 스풀 121a : 회전축
123 : 태엽스프링 130 : 래칫기어부
131 : 제1래칫기어 131a, 133a : 기어 이
133 : 제2래칫기어 135 : 승강수단
135a : 탄성부재 135b : 와이어
135c : 권취롤 135d : 구동모터
140 : 엔코더부 141 : 제1평기어
143 : 제2평기어 145 : 감지센서
150 : 제어부

Claims (5)

  1. 현관문과 인접하게 설치되는 본체부;
    상기 현관문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부 내에 설치된 스풀에 권취 가능하게 연결되는 벨트부;
    상기 스풀의 회전축에 구비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제1래칫기어와, 상기 제1래칫기어와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제2래칫기어를 포함하여, 상기 제1래칫기어와 제2래칫기어의 치합 시 현관문이 닫히는 일방향으로 상기 스풀이 회전되도록 하고, 현관문이 개방되는 타방향으로 상기 스풀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해주는 래칫기어부;
    상기 스풀의 회전방향을 통해 상기 현관문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해주는 엔코더부; 및
    상기 현관문이 닫히는 도중에 상기 스풀의 회전방향이 현관문 개방 방향으로 전환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래칫기어와 제2래칫기어가 치합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현관문이 강제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현관문 방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관문은 일측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실외측을 향해 선회 개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벨트부의 일단은 상기 현관문의 타측에 고정되는 것인 현관문 방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의 회전축에는,
    상기 현관문의 개폐 시 상기 벨트부가 소정의 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스풀에 자동으로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상기 스풀을 일측 회전방향으로 탄성 지지해주는 태엽스프링;이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현관문 방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기어부는,
    상기 스풀의 회전축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풀과 일체로 회전되며, 상면에 기어 이가 형성되는 제1래칫기어;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강 시 상기 제1래칫기어의 기어 이와 치합될 수 있도록 대향면에 기어 이가 형성되는 제2래칫기어; 및
    상기 제2래칫기어를 상기 제1래칫기어가 구비된 하방을 향해 탄성 지지해주는 탄성부재와, 상기 제2래칫기어의 상부에 와이어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를 권취해주는 권취롤과, 상기 권취롤을 정역 회전시켜가며 상기 제2래칫기어를 승, 하강 시켜주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현관문 방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엔코더부는,
    상기 제1래칫기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1평기어;
    상기 제1평기어와 치합되는 제2평기어; 및
    상기 제2평기어의 정, 역회전을 감지해주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현관문 방범장치.
KR1020190176911A 2019-12-27 2019-12-27 현관문 방범장치 KR102358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911A KR102358873B1 (ko) 2019-12-27 2019-12-27 현관문 방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911A KR102358873B1 (ko) 2019-12-27 2019-12-27 현관문 방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791A true KR20210084791A (ko) 2021-07-08
KR102358873B1 KR102358873B1 (ko) 2022-02-08

Family

ID=76893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911A KR102358873B1 (ko) 2019-12-27 2019-12-27 현관문 방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8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825B1 (ko) * 2023-01-13 2024-04-02 동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출입문의 강제침입 방지용 긴급 잠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3167A (ja) * 2002-05-31 2004-01-08 Alpha Corp 開き扉用防犯装置
KR20180059258A (ko) * 2016-11-25 2018-06-04 유현각 스마트 창호 시스템
KR101870373B1 (ko) * 2017-08-21 2018-07-23 고재평 슬라이딩 도어 반자동 개폐 시스템
KR101986997B1 (ko) 2019-01-24 2019-06-11 황주원 침입감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3167A (ja) * 2002-05-31 2004-01-08 Alpha Corp 開き扉用防犯装置
KR20180059258A (ko) * 2016-11-25 2018-06-04 유현각 스마트 창호 시스템
KR101870373B1 (ko) * 2017-08-21 2018-07-23 고재평 슬라이딩 도어 반자동 개폐 시스템
KR101986997B1 (ko) 2019-01-24 2019-06-11 황주원 침입감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825B1 (ko) * 2023-01-13 2024-04-02 동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출입문의 강제침입 방지용 긴급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8873B1 (ko)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45175C (en) Movable barrier operator having cable tension sensor and door lock mechanism
JP2006194065A (ja) 窓(扉、戸等の開閉手段を含む)のロック及び/又は開閉を自動制御する窓の自動開閉システム
CA2611323C (en) Pivoting and barrier locking operator system
JP5379903B2 (ja) 可動パーティションを監視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MXPA04002019A (es) Prevencion de accenso no autorizado a cajas de ascensor.
KR20090107888A (ko) 빛 센서를 이용한 전동커튼 제어장치
KR102358873B1 (ko) 현관문 방범장치
KR20170071363A (ko) 접근 형태에 따라 시큐리티 유지모드와 시큐리티 해제모드 간에 자동 전환하는 댁내 방범 시스템
CN111819146B (zh) 电梯防夹手安全装置
EP2400090B1 (en) An anti-intrusion device for doors and windows in general
JP5818144B2 (ja) 自動開閉装置
ES2250665T5 (es) Cierre centralizado de seguridad
FR3069008A1 (fr) Fenetre coulissante pour un batiment et installation domotique comprenant une telle fenetre coulissante, ainsi que procede de commande associe
JP2006097237A (ja) 窓ないし戸の開閉装置
GB2486971A (en) A floor mounted door actuator unit for swing door
US11643849B2 (en) Planetary gearbox system
US20200199931A1 (en) Door System
JP2003247384A (ja) 開閉体の警報制御装置
JP4485300B2 (ja) 自動ドア
EP1014322B1 (en) Burglary prevention apparatus particularly for protecting apartments and the like
JP2019085853A (ja) 電動シャッター装置
WO2015001787A1 (ja) 自動ドアシステム、自動ドアシステムの制御装置および自動ドア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20100135364A (ko) 셔터의 수동개폐장치
JP4382600B2 (ja) 開閉装置
JP2017166212A (ja) 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