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4790A -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4790A
KR20210084790A KR1020190176908A KR20190176908A KR20210084790A KR 20210084790 A KR20210084790 A KR 20210084790A KR 1020190176908 A KR1020190176908 A KR 1020190176908A KR 20190176908 A KR20190176908 A KR 20190176908A KR 20210084790 A KR20210084790 A KR 20210084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mber
user
virtual experience
type exercise
aerial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1036B1 (ko
Inventor
윤흥식
윤희두
Original Assignee
윤흥식
윤희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흥식, 윤희두 filed Critical 윤흥식
Priority to KR1020190176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036B1/ko
Publication of KR20210084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4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2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17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for active exercising, the apparatus being also usable for passive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9Specific exercise interfaces contoured to fit to specific body parts, e.g. back, knee or neck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5Reciprocating movement along, in or on a guid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5A single apparatus used for either upper or lower limbs, i.e. with a set of support elements driven either by the upper or the lower limb o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16Amusement arrangements creating illusions of trav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63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8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ultimedia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측에 레일이 각각 구비되는 지지대;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레일의 전방 좌우측 및 후방 좌우측에 각각 결합되는 구동부; 및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좌측과 우측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고 로프부재에 의해 각각 좌측 구동부와 우측 구동부에 연결되는 좌측 및 우측 프레임;을 포함하되, 좌측 및 우측 프레임은, 전방에 사용자의 좌우측 팔 부위가 각각 거치되는 좌측 및 우측 팔 거치부가 구비되고, 후방에 사용자의 좌우측 다리 부위가 각각 거치되는 좌측 및 우측 다리 거치부가 구비되고, 좌측 및 우측 팔 거치부와 좌측 및 우측 다리 거치부 사이의 좌측 및 우측 프레임에는 적어도 하나의 만곡부가 형성되는,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Sporting apparatus having virtual space effect}
본 발명은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게임을 즐기면서 운동할 수 있는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운동기구에서 팔 부분 및 다리 부분을 거치하는 거치부는 고정된 상태로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바닥에 고정되는 운동기구의 경우, 팔 및 다리를 거치하는 거치부가 각각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가 해당 거치부에 팔과 다리를 올려놓아 엎드려 버티는 자세, 소위 플랭크(Plank) 자세를 유지하며 몸의 밸런스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고정된 프레임에 사용자가 몸을 안착시켜 고정된 자세로 몸의 밸런스를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취할 수 있는 운동 방식 및 자세에 제약이 따르고, 따라서 운동효과가 제한적이다. 뿐만 아니라 운동장치를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 기술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다양한 자세를 취하지 못하기 때문에 게임을 즐기듯 운동을 할 수 있는 재미도 충분히 느낄 수 없는 한계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9706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다양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는, 상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측에 레일이 각각 구비되는 지지대; 후술할 프레임들을 길이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레일의 전방 좌우측 및 후방 좌우측에 각각 결합되는 구동부; 및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좌측과 우측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고 로프부재에 의해 각각 좌측 구동부와 우측 구동부에 연결되는 좌측 및 우측 프레임;을 포함하되, 좌측 및 우측 프레임은, 전방에 사용자의 좌우측 팔 부위가 각각 거치되는 좌측 및 우측 팔 거치부가 구비되고, 후방에 사용자의 좌우측 다리 부위가 각각 거치되는 좌측 및 우측 다리 거치부가 구비되고, 좌측 및 우측 팔 거치부와 좌측 및 우측 다리 거치부 사이의 좌측 및 우측 프레임에는 적어도 하나의 만곡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길이 방향” 이란 용어는 사용자가 상기 프레임에 엎드리거나 누운 자세로 안착하였을 때 사용자의 머리와 다리를 잇는 방향을 가리킨다. “상하 방향” 이라는 용어는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만곡부는, 사용자가 팔 거치부 및 다리 거치부에 팔, 다리를 거치하여 프레임에 엎드린 자세로 안착할 때 사용자의 가슴이나 복부 부위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위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만곡부는, 사용자가 팔 거치부 및 다리 거치부에 팔, 다리를 거치하여 프레임에 누운 자세로 안착할 때 사용자의 등이나 엉덩이 부위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좌측 및 우측 프레임은, 좌측 및 우측 팔 거치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 좌측 및 우측 다리 거치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 및 좌측 및 우측 만곡부를 연결하는 제3연결부재; 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3연결부재는, 복수개의 연결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부재, 제2연결부재 및 제3연결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는, 제1연결부재, 제2연결부재 및 제3연결부재의 탄성 변형을 제한하도록 제1연결부재, 제2연결부재 및 제3연결부재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제1연결부재, 제2연결부재 및 제3연결부재와 각각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보조 연결부재, 제2보조 연결부재 및 제3보조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연결부재, 제2연결부재 및 제3연결부재는, 길이가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좌측 및 우측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는, 좌측 및 우측 프레임 중 하나의 전방 끝단에 배치되고, 구동부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방향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 조작부는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방향 조작부는, 조이 스틱(joy stick)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조이스틱의 이동방향에 대응하여 구동부가 이동된다. 조이 스틱에는 구동부에서 로프를 권취 또는 권출하여 적어도 하나의 팔 거치부 또는 다리 거치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하 조작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는, 방향 조작부가 설치되지 않은 좌측 및 우측 프레임 중 하나의 전방 끝단에 배치되는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는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방향 조작부 또는 파지부의 전방에는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스마트폰 거치부가 연결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좌우측으로 이격 배치된 프레임을 구비하고, 각 프레임을 전후 또는 상하로 이동시키는 방향 조작부를 구비함으로써 스마트폰 속의 게임 화면에 자유롭게 대응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자세(예를 들면, 플랭크 자세, 승마자세 등)로 운동이나 게임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탄성소재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움직임에 탄성력이 부가되어 운동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를 전방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를 후방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에 구비된 방향 조작부의 조작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에 구비된 방향 조작부의 방향조작에 따른 프레임의 이동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에 구비된 방향 조작부의 상하조작에 따른 프레임의 이동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8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른 본 발명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의 사용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 기구(100)는, 레일(103)이 구비된 지지대(101)와, 레일(103)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동부(105)와, 구동부(105)와 연결되는 좌측 및 우측 프레임(110,120)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지지대(101)는 4개의 수직부재와, 수직부재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수평부재로 구성되며, 수직부재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부재 또는 그 일부가 레일(103)로 형성될 수 있다.
레일(103)은 지지대(101)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며, 레일(103)에는 구동부(105)가 좌측 전방 및 후방과 우측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설치된다.
구동부(105)는 일측이 레일(103)에 결합될 수 있으며 후술할 방향 조작부에 의해 발생된 제어신호에 따라 일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일례로 구동부(105)는 레일(10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스텝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좌측 프레임(110) 및 우측 프레임(120)은 각각 로프부재(107)에 의해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한 연결부위에서 구동부(105)와 연결되어 지지대(101)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로프부재(107)는 적절한 강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도 구성될 수도 있다. 탄성소재의 로프부재(107)를 적용할 경우, 본 발명의 공중 가상체험 놀이형 운동기구(100)을 이용하여 운동이나 게임을 하는 사용자는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보다 큰 힘이 필요하게 되고, 운동량은 더 커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좌측 프레임(110) 및 우측 프레임(120)은 로프부재에 의해 구동부(105)와 연결되어 구동부(105) 하측 좌우에 나란히 각각 이격 배치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측 프레임(110) 및 우측 프레임(120)은,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엎드리거나 누운 자세에서 올라탈 수 있도록 전방에는 사용자의 좌우측 팔 부위가 거치되는 좌측 팔 거치부(141) 및 우측 팔 거치부(142)가 각각 구비되며 후방에는 사용자의 좌우측 다리 부위가 거치되는 좌측 다리 거치부(143) 및 우측 다리 거치부(144)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팔 거치부(141,142) 및 다리 거치부(143,144))는 원호의 일부로 형성되어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팔, 다리를 지지하는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100)는 사용자가 탑승한 후에 다양한 자세로 바꾸어 가면서 움직일 수 있기 이동하기 때문에 팔, 다리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안전을 고려할 때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팔 거치부(141,142) 및 다리 거치부(143,144))는 탄성소재 또는 가죽소재 등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고, 팔, 다리부분을 용이하게 감싸고 안전하게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좌측 프레임(110) 및 우측 프레임(120)은, 좌측 및 우측 팔 거치부(141,142)와 좌측 및 우측 다리 거치부(143,144)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만곡부(111,121)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만곡부(111,121)는, 사용자가 팔 거치부(141,142) 및 다리 거치부(143,144)에 팔, 다리를 거치하여 좌우측 프레임(110,120)에 엎드린 자세로 안착할 때 사용자의 가슴이나 복부 부위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위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100)에 포함된 프레임(110,120)에서 만곡부(111,121)는 본 명세서의 도면들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일례로, 만곡부(111,121)는, 사용자가 팔 거치부 및 다리 거치부에 팔, 다리를 거치하여 프레임에 누운 자세로 안착할 때 사용자의 등이나 엉덩이 부위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좌측 프레임(110) 및 우측 프레임(120)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데, 그 사이에는 다수의 연결부재(131,133,134,135)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연결부재(131)는 좌측 및 우측 팔 거치부(141,142)를 연결하도록 그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제2연결부재(135)는 좌측 및 우측 다리 거치부(143,144)를 연결하도록 그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제3연결부재(133,134)는 좌측 및 우측 만곡부(111,121)를 연결하도록 그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3연결부재(133,134)는, 복수개의 연결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3연결부재(133,134)는 2개의 위치에 설치되었지만, 이것은 단지 하나의 실시예이고 3개 또는 4개가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연결부재(131), 제2연결부재(135) 및 제3연결부재(133,134)는 적어도 일부가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부(131b,133b,134b,135b)를 포함한다. 탄성부(131b,133b,134b,135b)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좌우측 프레임(110,120)에 탑승하여 움직일 때 사용자의 움직임에 탄성력이 추가적으로 인가되어 운동효과를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운동시에 발생할 수 있는 급격한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또한, 제1연결부재(131), 제2연결부재(135) 및 제3연결부재(133,134)는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좌측 및 우측 프레임(110,12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결합홀이 형성되고 이중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131a,133a,134a,135a)를 포함한다.
여기서, 다수의 결합홀이 형성된 길이조절부(131a,133a,134a,135a)를 대체하여 다른 공지된 길이조절수단을 포함시켜 제1연결부재(131), 제2연결부재(135) 및 제3연결부재(133,134)를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연결부재(131), 제2연결부재(135) 및 제3연결부재(133,134)의 탄성 변형을 일정 범위로 제한함으로써 탑승한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하도록 제1연결부재(131), 제2연결부재(135) 및 제3연결부재(133,134)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제1연결부재(131), 제2연결부재(135) 및 제3연결부재(133,134)와 각각 나란히 배치되는, 탄성이 없는 재질로 구성된 보조 연결부재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제1연결부재(131) 및 제2연결부재(135)에 나란하게 겹치도록 배치되는 제1보조 연결부재(136) 및 제2보조 연결부재(137)을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제3연결부재(133,134)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3보조 연결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좌측 및 우측 프레임(110,120) 중 하나의 전방 끝단에 구동부(105)를 소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방향 조작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 조작부(160)가 설치되지 않은 좌측 및 우측 프레임(110,120) 중 하나의 전방 끝단에 손을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150)를 배치할 수 있다. 파지부를 없애고 방향조작부로 대체할 수도 있다.
방향 조작부(160)는 조이 스틱(joy stick)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조이스틱의 이동방향에 대응하여 상측에 위치한 구동부(105)가 레일(103)을 따라 이동되고, 조이 스틱에는 구동부(105)에서 로프부재(107)를 권취 또는 권출하여 적어도 하나의 팔 거치부(141,142) 또는 다리 거치부(143,144)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하 조작부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방향 조작부(1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조작버튼(163,165)이 구비될 수 있다. 제1조작버튼(163)은 구동부(105)에서 로프부재(107)를 권취하는 상승버튼이고, 제2조작버튼(165)은 구동부(105)에서 로프부재(107)를 권출하는 하강버튼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나의 조작버튼으로 상승 및 하강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조작버튼의 좌우 이동방향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방향 조작부(160)의 구체적 조작방식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프레임에 누운 자세로 안착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방향 조작부(160)를 직접 조작할 수 없기 때문에 착탈 가능한 방향 조작부(160)를 다른 사람이 조작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특히 재활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적합하다.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오른손잡이인 경우를 예로 든 것으로, 우측 프레임(120)의 전방 끝단에 방향 조작부(160)를 배치하고, 좌측 프레임(110)의 전방 끝단에 파지부(150)를 배치한다. 사용자가 왼손잡이인 경우 오른손잡이인 경우의 배치와 반대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파지부(150)의 구성을 삭제하고, 좌측 및 우측 프레임(110,120)의 전방 끝단 모두에 방향 조작부(160)을 배치할 수도 있다.
파지부(150)는 사용자가 자세를 변경할 때 손으로 파지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파지부(150)의 연결부위는 다수의 연결홈(153)이 형성되고 연결핀(181)에 의해 그 위치를 변경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크기에 따라 파지부(15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방향 조작부(160)도 동일한 방식으로 연결홈 및 연결핀 결합 구조에 의해 그 설치 위치를 변경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크기에 따라 방향 조작부(16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좌측 및 우측 프레임(110,120) 후방에는 발 거치부(171,172)가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가 보다 안정적인 자세로 탑승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발 거치부(171,172)도 동일한 방식으로 다수의 연결홈(173)이 형성되고 연결핀(183)에 의해 그 위치를 변경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향 조작부(160) 또는 파지부(150)의 전방에 스마트폰(210)을 거치하는 스마트폰 거치부(190)가 연결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스마트폰(210)의 화면을 보면서 다양한 게임 또는 운동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스마트폰(210)에서 공중 가상체험 게임을 수행할 경우, 사용자의 얼굴 전방에 스마트폰(210)이 위치하게 되고, 공중을 비행하는 다양한 형태의 게임에 대응하여 방향 조작부(160)로 사용자의 몸을 이동시키면서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재미있게 게임에 참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쿼트 자세 등에서와 같은 다양한 자세 변형을 통하여 운동효과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폰(210)외에도 전방에 대형 디스플레이부(220)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전방을 주시하면서 실감나는 공중 가상 체험 게임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100)는 사용자가 방향 조작부(160)를 조작하여 스마트폰(210) 및/또는 디스플레이부(220)에 표시된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재미 및 운동효과를 향상시키게 되는데, 상기 게임은 공중비행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로 구현된 게임일 수 있다. 또한, 게임 외에도 퍼스널 트레이닝이나 요가 등과 같이 다양한 운동으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재활 운동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운동기구의 구체적 작동 방법을 설명한다.
도 5에서, 방향 조작부(160)는, 전(a방향) 후(b방향) 좌(c방향) 우(d)로 이동되어 구동부(105)를 소정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방향 조작부(160)가 조이스틱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전후 좌우 방향외에도 그 사이의 다양한 방향들(e,f,g,h방향)로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방향 조작부(160)를 a방향으로 기울일 경우, 구동부(105)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좌측 및 우측 프레임(110,120)이 전방으로 이동하며, b방향으로 향할 경우, 구동부(105)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좌측 및 우측 프레임(110,120)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사용자가 방향 조작부(160)를 c방향 또는 d방향으로 기울일 경우, 구동부(105)는 좌측 프레임(110)과 우측 프레임(120) 각각의 이동거리가 서로 차이가 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회전하는 듯한 느낌을 가질 수 있다. 즉, 도 6의 (a)의 경우는 방향 조작부(160)를 c방향으로 기울일 경우에 해당한다. 이 경우에는 좌측 프레임(110)의 이동거리가 우측 프레임(120)의 이동거리보다 짧게 되어 좌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느낌을 가질 수 있다. 도 6의 (b)의 경우는 방향 조작부(160)를 d방향으로 기울일 경우에 해당한다. 이 경우에는 좌측 프레임(110)의 이동거리가 우측 프레임(120)의 이동거리보다 길게 되어 우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느낌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구비된 방향 조작부(1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부(105)에서 로프부재(107)를 권취/권출하는 제1조작버튼(163) 및 제2조작버튼(165)을 구비하고 있는데, 방향 조작부(160)를 소정 방향으로 기울이는 제어와는 독립적으로 구동부(105)의 권취/권출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를 참조하면,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방향 조작부(160)의 제1조작버튼(163)를 누르면 프레임(110)의 전방이 상승하게 되고,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방향 조작부(160)의 제2조작버튼(165)를 누르면 프레임(110)의 전방이 하강하게 된다.
도 7에서 표시된 상승 화살표는 프레임(110)의 전방 또는 후방에만 표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프레임(110)의 전방 또는 후방이 일부분씩 상승 또는 하강하여 전체적인 프레임(110)의 자세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자세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8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른 본 발명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의 사용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프레임(110)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3연결부재(133,134)는, 사용자의 신체조건(키)에 따라 복수개의 연결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즉, 키가 작은 사용자가 탑승한 경우, (a)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3연결부재(134)는 후방에 위치한 1개의 위치에만 설치되어 배 부위를 지지하게 되지만, 키가 큰 사용자가 탑승한 경우, (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3연결부재(133,134)가 2개의 위치에 설치되어 보다 넓은 면적의 배 부위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가슴 부위도 지지할 수 있도록 보다 많은 제3연결부재를 설치할 수도 있다. 전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 크기에 따라 제3연결부재의 연결 갯수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에 맞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100)는 좌우측으로 이격 배치된 프레임(110,120)을 구비하고, 각 프레임(110,120)이 전후 또는 상하로 이동될 뿐만 아니라 좌우 각각의 프레임이 서로 다른 길이만큼 이동되도록 조작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자세로 운동이나 게임 등을 수행하여 보다 재미있고 효과적으로 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
110: 좌측 프레임
111,121: 만곡부
120: 우측 프레임
131,133,134,135: 연결부재
141,142: 팔 거치부
143,144: 다리 거치부
150: 파지부
160: 방향 조작부

Claims (12)

  1. 상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측에 레일이 각각 구비되는 지지대;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레일의 전방 좌우측 및 후방 좌우측에 각각 결합되는 구동부; 및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좌측과 우측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고, 로프부재에 의해 각각 좌측 구동부와 우측 구동부에 연결되는 좌측 및 우측 프레임;을 포함하되,
    좌측 및 우측 프레임은,
    전방에 사용자의 좌우측 팔 부위가 각각 거치되는 좌측 및 우측 팔 거치부가 구비되고, 후방에 사용자의 좌우측 다리 부위가 각각 거치되는 좌측 및 우측 다리 거치부가 구비되고, 좌측 및 우측 팔 거치부와 좌측 및 우측 다리 거치부 사이의 좌측 및 우측 프레임에는 적어도 하나의 만곡부가 형성되는,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만곡부는,
    사용자가 프레임에 엎드린 자세로 안착할 때 사용자의 가슴이나 복부 부위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위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만곡부는,
    사용자가 프레임에 누운 자세로 안착할 때 사용자의 등이나 엉덩이 부위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좌측 및 우측 프레임은
    좌측 및 우측 팔 거치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
    좌측 및 우측 다리 거치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 및
    좌측 및 우측 만곡부를 연결하는 제3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제3연결부재는,
    복수개의 연결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
  6. 청구항 4에 있어서,
    제1연결부재, 제2연결부재 및 제3연결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제1연결부재, 제2연결부재 및 제3연결부재의 탄성 변형을 제한하도록 제1연결부재, 제2연결부재 및 제3연결부재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제1연결부재, 제2연결부재 및 제3연결부재와 각각 나란히 배치되는 제1보조 연결부재, 제2보조 연결부재 및 제3보조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제1연결부재, 제2연결부재 및 제3연결부재는,
    길이가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좌측 및 우측 프레임에 연결되는,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좌측 및 우측 프레임 중 하나의 전방 끝단에 배치되고, 구동부를 소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방향 조작부를 포함하는,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방향 조작부는,
    조이 스틱(joy stick)으로 구성되어 조이스틱의 이동방향에 대응하여 구동부가 이동되고,
    조이 스틱에는 구동부에서 로프를 권취 또는 권출하여 적어도 하나의 팔 거치부 또는 다리 거치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하 조작부가 마련되는,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
  11. 청구항 9에 있어서,
    방향 조작부가 설치되지 않은 좌측 및 우측 프레임 중 하나의 전방 끝단에 배치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방향 조작부 또는 파지부의 전방에는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스마트폰 거치부가 연결 설치되는,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
KR1020190176908A 2019-12-27 2019-12-27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 KR102361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908A KR102361036B1 (ko) 2019-12-27 2019-12-27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908A KR102361036B1 (ko) 2019-12-27 2019-12-27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790A true KR20210084790A (ko) 2021-07-08
KR102361036B1 KR102361036B1 (ko) 2022-02-08

Family

ID=76893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908A KR102361036B1 (ko) 2019-12-27 2019-12-27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0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1755B1 (ko) 2023-06-29 2023-12-08 주식회사 아펠운동아카데미 스윙보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630U (ko) * 1998-04-15 1999-11-15 김동혁 간이침대용 시이트
KR20100097069A (ko) 2009-02-24 2010-09-02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운동 장치
KR101031050B1 (ko) * 2010-08-02 2011-04-25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공원, 관광지, 유원지, 체육시설, 단지 등에 설치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야외 공용운동기구
KR20170050095A (ko) * 2015-10-29 2017-05-11 주식회사 한영엔지니어링 플라잉 버드 가상 현실 시뮬레이터
KR20180077518A (ko) * 2016-12-29 2018-07-09 주식회사 날다팩토리 비행 시뮬레이터
KR101945704B1 (ko) * 2017-11-27 2019-04-17 주식회사 엘피에스 탑승자 신체를 이용한 롤링 피칭 조정 방식의 실감형 가상현실 글라이딩 모션 시뮬레이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630U (ko) * 1998-04-15 1999-11-15 김동혁 간이침대용 시이트
KR20100097069A (ko) 2009-02-24 2010-09-02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운동 장치
KR101031050B1 (ko) * 2010-08-02 2011-04-25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공원, 관광지, 유원지, 체육시설, 단지 등에 설치되는 모바일 디바이스 연결용 야외 공용운동기구
KR20170050095A (ko) * 2015-10-29 2017-05-11 주식회사 한영엔지니어링 플라잉 버드 가상 현실 시뮬레이터
KR20180077518A (ko) * 2016-12-29 2018-07-09 주식회사 날다팩토리 비행 시뮬레이터
KR101945704B1 (ko) * 2017-11-27 2019-04-17 주식회사 엘피에스 탑승자 신체를 이용한 롤링 피칭 조정 방식의 실감형 가상현실 글라이딩 모션 시뮬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1036B1 (ko)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69043T3 (es) Atracción del parque de diversiones de simulación de movimiento sentado
US7125074B2 (en) Video game chair
US20110086747A1 (en) Exercise and video game chair
US9205298B2 (en) Exercise machine with unstable user support
CN101773716A (zh) 具有滑动脚连接件枢转引导件的锻炼装置
US10843025B2 (en) Negative tilting squat machine
CN103908760A (zh) 多功能健身器
CN108499020B (zh) 竖扶手可摇摆运动的电动跑步机的健身方法
KR102361036B1 (ko)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
AU7866000A (en) Multi-bay bungee-cord acrobatic suspension and trampoline structure
JP4492655B2 (ja) 揺動型運動装置
KR101932081B1 (ko) 가변 모듈형 복합 놀이 시설물
KR20120078010A (ko) 4축 모션 베이스 장치
CN106236511A (zh) 减重步态训练机器人
CN113018810B (zh) 一种武术弓马步训练装置
US20110165943A1 (en) Flight and Motion Simulator Control Mechanism
GB2566428A (en) An amusement ride
KR20180051214A (ko) 스윙 기능을 갖으며 업무나 학습을 위한 의자
JP2009072536A (ja) 揺動型運動装置
TWI764713B (zh) 復健輔助裝置
CN216497315U (zh) 一种双人互动上肢训练系统
CN220834092U (zh) 一种通用游戏模拟器
KR102546610B1 (ko) 운동기구 연동형 입력 디바이스
CN218280465U (zh) 一种冠状轴、垂直轴旋转平衡训练测试装置
JP2014151173A (ja) 運動神経等活性化訓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