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2081B1 - 가변 모듈형 복합 놀이 시설물 - Google Patents

가변 모듈형 복합 놀이 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2081B1
KR101932081B1 KR1020180081580A KR20180081580A KR101932081B1 KR 101932081 B1 KR101932081 B1 KR 101932081B1 KR 1020180081580 A KR1020180081580 A KR 1020180081580A KR 20180081580 A KR20180081580 A KR 20180081580A KR 101932081 B1 KR101932081 B1 KR 101932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y
wire
facility
unit
facilit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레이즈에듀테인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레이즈에듀테인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레이즈에듀테인먼트
Priority to KR1020180081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0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2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4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mountaineering, e.g. climbing-walls, grip elements for climbing-w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9/00Climbing poles, frames, or stag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0Slideways with movably suspended cars, or with cars moving on rop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9/00Climbing poles, frames, or stages
    • A63B2009/006Playground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1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모듈형 복합 놀이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에 기립 설치되는 복수의 포스트; 복수의 상기 포스트를 연결하며, 복수의 상기 포스트와 함께 놀이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연결 프레임; 상기 놀이 공간에 배치되어, 놀이를 연출하기 위한 놀이 부재; 및 상기 놀이 공간에 복수의 상기 연결 프레임에 현수 지지되어 상기 놀이 부재가 착탈되는 복수의 와이어;를 갖는 놀이 시설 유니트를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놀이 시설 유니트는 동일한 높이와 동일한 폭을 갖는 단위 형태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놀이 시설 유니트별로 상이한 놀이를 연출함과 동시에, 연속적인 놀이 이동 경로를 형성하도록 조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변 모듈형 복합 놀이 시설물{VARIABLE MODULE TYPE COMPLEX PLAYING FACILITY}
본 발명은 가변 모듈형 복합 놀이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유의 놀이 시설을 모듈화하여, 놀이 시설을 다양하게 조합 배치할 수 있는 가변 모듈형 복합 놀이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주택 단지의 놀이터, 공원, 광장 등의 어린이를 위한 공간에는 어린이들이 놀기에 적당하도록 간단한 놀이기구나 체육시설 등이 설치되고 있다.
근래에는, 실내에 놀이 시설을 갖춘 장소로서 키즈 카페(kids cafe)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키즈 카페에는 어린 자녀들이 자유로우면서도 안전하게 놀 수 있는 놀이 기구가 필요하게 되는데, 통상 미끄럼틀, 사다리 구조물, 작은 고무공들을 구획된 공간 안에 채워서 구성하는 볼풀이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정글 짐이라는 구조물을 이용한 놀이 시설물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통상의 정글짐의 경우, 실내의 좁은 공간에 한 번 설치하고 나면, 정글짐을 이루는 각 놀이 시설의 변경이 용이하지 않아, 구조나 구성이 잘 알려진 형태로만 한정되어 있으므로, 어린이들의 흥미를 새로이 유발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체험 효과(요소), 실감 요소, 오감, 재미 요소, 창의적 요소, 시각적 변화 요소를 가지는 새로운 개념의 복합 놀이 시설물을 환경에 따라 가변 구성하여, 어린이들의 협동심과 모험심을 높여주고 흥미 유발, 정서 함양, 지능 개발, 신체 발달 및 운동성 향상 등에 도움을 주는 다양한 형태의 복합 놀이 시설물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등록특허 제10-149029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유의 놀이 부재를 구성한 놀이 시설 유니트들을 동일한 높이와 폭을 갖는 단위 형태로 모듈화하고, 모듈화된 놀이 시설 유니트들을 간편하게 이동시켜 조합 배치하며, 놀이 시설을 다양한 형태로 가변 구성하여 설치 환경 및 수요자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가변 모듈형 복합 놀이 시설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에 기립 설치되는 복수의 포스트; 복수의 상기 포스트를 연결하며, 복수의 상기 포스트와 함께 놀이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연결 프레임; 상기 놀이 공간에 배치되어, 놀이를 연출하기 위한 놀이 부재; 및 상기 놀이 공간에 복수의 상기 연결 프레임에 현수 지지되어 상기 놀이 부재가 착탈되는 복수의 와이어;를 갖는 놀이 시설 유니트를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놀이 시설 유니트는 동일한 높이와 동일한 폭을 갖는 단위 형태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놀이 시설 유니트별로 상이한 놀이를 연출함과 동시에, 연속적인 놀이 이동 경로를 형성하도록 조합 배치되는, 가변 모듈형 복합 놀이 시설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스트에는 상기 놀이 시설 유니트를 이동가능하게 하는 바퀴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놀이 부재는, 상기 바닥에 배치되는 점핑용 경사 블록, 상기 와이어에 착탈하는 단일 링, 상기 와이어에 착탈하는 다중 링, 실내 암벽 등반용 홀드, 상기 와이어에 착탈하는 밧줄, 상기 와이어에 착탈하는 상하 탄성 운동기구, 상기 와이어에 착탈하는 그물 네트, 상기 바닥에 배치되는 점핑 볼, 상기 와이어에 착탈하는 스윙 바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와이어에 착탈하는 놀이 부재에는 상기 와이어에 착탈하기 위한 착탈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놀이 공간을 형성하는 바닥에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포스트에는 보호 패드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포스트의 표면에는 야광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놀이 시설 유니트의 놀이 시작점과 놀이 종착점에는 각각, 사용자의 발을 딛기 위한 발 받침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유의 놀이 부재를 구성한 놀이 시설 유니트들을 동일한 높이와 폭을 갖는 단위 형태로 모듈화하고, 모듈화된 놀이 시설 유니트들을 간편하게 이동시켜 조합 배치하며, 놀이 시설을 다양한 형태로 가변 구성하여 설치 환경 및 수요자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모듈형 복합 놀이 시설물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제1놀이 시설 유니트의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제2놀이 시설 유니트의 구성도,
도 4는 도 1의 제3놀이 시설 유니트의 구성도,
도 5는 도 1의 제4놀이 시설 유니트의 구성도,
도 6은 도 1의 제5놀이 시설 유니트의 구성도,
도 7은 도 1의 제6놀이 시설 유니트의 구성도,
도 8은 도 1의 제7놀이 시설 유니트의 구성도,
도 9는 도 1의 제8놀이 시설 유니트의 구성도,
도 10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로서 복수의 놀이 시설 유니트의 배치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모듈형 복합 놀이 시설물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모듈형 복합 놀이 시설물(1a)은 복수의 놀이 시설 유니트가 행렬 방향을 따라 배치 예컨대, 8개의 놀이 시설 유니트(10a∼10h)가 행렬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각 놀이 시설 유니트(10a∼10h)는 상이한 놀이를 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리상 8개의 놀이 시설 유니트를 일련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즉, 8개의 놀이 시설 유니트를 제1놀이 시설 유니트, 제2놀이 시설 유니트, 제3놀이 시설 유니트, 제4놀이 시설 유니트, 제5놀이 시설 유니트, 제6놀이 시설 유니트, 제7놀이 시설 유니트, 제8놀이 시설 유니트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각 놀이 시설 유니트(10a∼10h)는 복수의 포스트(11)와, 복수의 연결 프레임(15)과, 놀이 부재와, 복수의 와이어(110)를 포함한다.
복수의 포스트(11)는 놀이 시설 유니트(10a∼10h)의 외곽을 형성하도록 바닥에 기립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놀이 시설 유니트(10a∼10h)의 내측에 사각형 단면의 놀이 공간(21)을 형성하도록, 4개의 포스트(11)가 사각형의 각 꼭지점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포스트(11)에는 보호 패드(13)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에 사용자가 놀이 도중에 충돌하여 상해를 입는 것을 줄이며 사용자를 보호한다. 이러한 보호 패드(13)는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며 완충할 수 있는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의 일 예로서, 스폰지, 우레탄, 고무재, 실리콘재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포스트(11)의 표면에는 야광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어둡거나 야간에도 포스트(11)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고,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각 포스트(11)의 저부에는 롤링하며 회전하는 바퀴가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퀴를 장착함으로써, 고유의 놀이 부재를 구성한 복수의 놀이 시설 유니트(10a∼10h)들을 간편하게 이동시켜 원하는 형태로 조합 및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연결 프레임(15)은 각 포스트(11)의 상부 영역에 마련되어, 복수의 포스트(11)를 연결하며, 복수의 포스트(11)와 함께 내측에 놀이 공간(21)을 형성한다.
연결 프레임(15)은, 중량을 감소시키며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트러스 구조의 형태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의 연결 프레임(15)은 복수의 하부 연결 프레임(17)과, 복수의 상부 연결 프레임(19)을 포함한다.
하부 연결 프레임(17)은 일정 높이를 가지며, 각 포스트(11)의 단부에 길이 연장하며 설치된다.
상부 연결 프레임(19)은 하부 연결 프레임(17)에 대해 가로로 배치되어, 인접하는 각 하부 연결 프레임(17)을 연결한다.
이러한 복수의 상부 연결 프레임(19)은 놀이 시설 유니트(10a∼10h)의 천정 영역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놀이 시설 유니트(10a∼10h)는 네 측벽과 상측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놀이 시설 유니트(10a∼10h)의 내측에는 사용자가 놀이를 즐길 수 있는 놀이 공간(21)을 형성한다.
여기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연결 프레임(15)이 트러스 구조 형태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빔(beam) 또는 보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의 복잡성을 해소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복수의 포스트(11)와 복수의 연결 프레임(15)에 의해 형성되는 놀이 공간(21)의 바닥에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완충부재로서 복수의 고무공 또는 복수의 스폰지 블록이 충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완충부재를 놀이 공간(21)의 바닥에 충진함에 따라, 사용자가 놀이 부재의 이용 도중에 바닥으로 낙하할 경우,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여 사용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줄이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놀이 부재는 놀이 공간(21)에 배치되어, 놀이 부재 고유의 놀이를 연출한다.
각 놀이 시설 유니트(10a∼10h)에 배치되는 놀이 부재는, 바닥에 배치되는 점핑용 경사 블록(31), 와이어(110)에 착탈하는 단일 링(35a), 와이어(110)에 착탈하는 다중 링(61), 벽체(43)에 지지되는 등반용 홀드(41), 와이어(110)에 착탈하는 밧줄(51), 와이어(110)에 착탈하는 상하 탄성 운동기구(55), 와이어(110)에 착탈하는 그물 네트(65), 바닥에 배치되는 점핑 볼(71), 와이어(110)에 착탈하는 스윙 바(81,91,95)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놀이 공간(21)의 상방에는 복수의 와이어(110)가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와이어(110)는 놀이 공간(21)의 상방에 격자 형상으로 복수의 연결 프레임(15)에 현수 지지된다. 와이어(110)에는 현수 지지되며 사용되는 놀이 부재가 착탈하며, 이러한 놀이 부재로서 단일 링(35a), 다중 링(61), 밧줄(51), 상하 탄성 운동기구(55), 그물 네트(65), 스윙 바(81,91,95) 등이 있으며, 단일 링(35a), 다중 링(61), 밧줄(51), 상하 탄성 운동기구(55), 그물 네트(65), 스윙 바(81,91,95) 등에는 각각 일정 길이의 로프(100)이 연결되고, 로프(100)의 자유단부에는 와이어(110)에 착탈이 용이하도록 착탈수단으로서, 통상의 카리비너(105, carabiner)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와이어(110)에는 현수 지지되며 사용되는 놀이 부재의 로프(100)의 자유단부에는, 착탈수단으로서 카라비너(105) 대신에 클립이 마련되어, 와이어(110)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도 있다.
한편, 복수의 포스트(11)와 복수의 연결 프레임(15)과 놀이 부재와 복수의 와이어(110)로 구성된 복수의 놀이 시설 유니트(10a∼10h)는 각각, 놀이 부재의 구성과 놀이 시설 유니트(10a∼10h)의 길이의 차이가 있지만, 각 놀이 시설 유니트(10a∼10h)는 동일한 높이와 동일한 폭으로 이루어져 단위 형태로 구성되어, 모듈화된 형태를 갖게 된다. 또한, 단위 형태로 구성된 각 놀이 시설 유니트(10a∼10h)는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새로이 조합 배치함에 따라 새로운 놀이를 연출함과 동시에, 새로운 놀이 이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놀이 시설 유니트(10a∼10h)의 놀이 시작점과 놀이 종착점에는 각각, 사용자에게 시작점과 종착점을 알리며 사용자의 발을 딛기 위한 발 받침대(115)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놀이 시설 유니트(10a∼10h)의 놀이 시작점과 놀이 종착점 사이에는 놀이 이동 경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 모듈형 복합 놀이 시설물(1a)은, 각각 고유의 놀이 부재를 구비한 8개의 놀이 시설 유니트(10a∼10h)가 행 방향 및 열 방향을 따라 배치 예컨대,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며 배치되어, 각 놀이 시설 유니트(10a∼10h) 별로 상이한 놀이를 연출함과 동시에, 지그재그 형태의 놀이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한편, 행 방향 및 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각 놀이 시설 유니트(10a∼10h)의 상호 연접하는 연결 프레임(15)은, 복합 놀이 시설물의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하도록, 도시하지 않은 체결수단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놀이 시설 유니트 사이에는 바리케이드(200), 일 예로서 그물망 등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인접한 놀이 시설 유니트로 사용자가 침범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놀이 시설 유니트의 경우, 서로 연접하는 연결 프레임(15)을 하나로 구비하여, 공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도 1에 도시된 가변 모듈형 복합 놀이 시설물(1a)을 구성하는 각 놀이 시설 유니트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놀이 시설 유니트(10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점핑용 경사 블록(31)으로 이루어진 놀이 부재가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점핑용 경사 블록(31)은, 사용자가 지그재그 형태로 점핑하며 운동할 수 있도록, 제1놀이 시설 유니트(10a)의 놀이 공간(21)의 바닥에 제1놀이 시설 유니트(10a)의 길이방향을 따라 놀이 이동 경로를 형성하며,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점핑용 경사 블록(31)은 사용자의 무게를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는 강성, 고정력,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핑용 경사 블록(31)의 놀이를 통해, 사용자는 점핑과 균형 유지 운동을 하여, 민첩성, 복잡성, 정확성, 제어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놀이 시설 유니트(10a)에는 놀이 부재로서 복수의 점핑용 경사 블록(31)으로만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로프(100)에 연결된 단일 링(35a,35b) 및 다중 링(61), 밧줄(51), 상하 탄성 운동기구(55), 그물 네트(65), 스윙 바(81,91,95,97) 등을 제1놀이 시설 유니트(10a)의 와이어(110)에 추가로 장착하거나, 실내 암벽 등반용 홀드(41)를 마련하여, 제1놀이 시설 유니트(10a)에서의 놀이 형태를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연령대에 맞추어 놀이 형태를 변형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 연령대에 맞추어 점핑용 경사 블록(31)들의 간격을 조절할 수도 있다.
제2놀이 시설 유니트(10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이동을 위한 복수의 단일 링(35a)과, 실내 암벽등반용 홀드(41)로 이루어진 놀이 부재가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단일 링(35a)은 일정 길이의 로프(100)에 지지되고, 로프(100)의 자유단부에 마련된 카라비너(105)에 의해 와이어(110)에 고정된다. 복수의 단일 링(35a)은, 사용자가 지그재그 형태로 운동할 수 있도록, 제2놀이 시설 유니트(10b)의 길이방향을 따라 놀이 이동 경로를 형성하며,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복수의 단일 링(35a)은 사용자의 무게를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는 강성, 고정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놀이 시설 유니트(10b)의 일측에는 실내 암벽 등반을 위한 벽체(43)가 마련되고, 벽체(43)에는 복수의 실내 암벽 등반용 홀드(41)가 불규칙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복수의 실내 암벽 등반용 홀드(41)는 사용자의 무게를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는 강성, 고정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단일 링(35a)과 실내 암벽 등반용 홀드(41)의 놀이를 통해, 사용자는 뻗기, 쥐기, 놓기, 균형 유지 운동을 하여, 악력, 근력, 근지구력, 제어 능력, 인지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놀이 시설 유니트(10b)에는 놀이 부재로서 복수의 단일 링(35a)과 복수의 실내 암벽 등반용 홀드(41)로만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로프(100)에 연결된 다중 링(61), 밧줄(51), 상하 탄성 운동기구(55), 그물 네트(65), 스윙 바(81,91,95,97) 등을 제2놀이 시설 유니트(10b)의 와이어(110)에 추가로 장착하거나, 제2놀이 시설 유니트(10b)의 놀이 공간(21)의 바닥에 복수의 점핑용 경사 블록(31), 복수의 점핑 볼(71)을 배치하여, 제2놀이 시설 유니트(10b)에서의 놀이 형태를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연령대에 맞추어 놀이 형태를 변형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 연령대에 맞추어 복수의 단일 링(35a) 및 복수의 실내 암벽 등반용 홀드(41)의 간격을 조절할 수도 있다.
제3놀이 시설 유니트(10c)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밧줄(51)과 상하 탄성 운동기구(55)로 이루어진 놀이 부재가 구성되어 있다.
밧줄(51)은 일정 길이를 가지며, 밧줄(51)의 자유단부에 마련된 카라비너(105)에 의해 와이어(110)에 고정된다. 밧줄(51)에는 사용자가 원활하게 상하로 수직 이동가능하도록 밧줄(5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가이드(53)가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있다.
상하 탄성 운동기구(55)는 사용자의 발이 거치되는 거치판(57)이 마련되고, 거치판(57)에는 탄성 밴드(59)가 연결되어 탄성 지지하며, 탄성 밴드(59)의 자유단부에는 일정 길이의 로프(100)이 지지되고, 로프(100)의 자유단부에 마련된 카라비너(105)에 의해 상하 탄성 운동 기구(55)는 와이어(110)에 고정된다. 상하 탄성 운동기구(55)는 밧줄(51)과 간섭하지 않도록 밧줄(51)과 이격하며 와이어(110)에 고정된다.
이러한 복수의 밧줄(51)과 상하 탄성 운동기구(55)는 사용자의 무게를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는 강성, 고정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밧줄(51)과 상하 탄성 운동기구(55)의 놀이를 통해, 사용자는 뻗기, 쥐기, 균형 유지 운동을 하여, 악력, 근력, 근지구력, 제어 능력, 인지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3놀이 시설 유니트(10c)에는 놀이 부재로서 복수의 밧줄(51)과 상하 탄성 운동기구(55)로만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로프(100)에 연결된 단일 링(35a,35b) 및 다중 링(61), 그물 네트(65), 스윙 바(81,91,95,97) 등을 제3놀이 시설 유니트(10c)의 와이어(110)에 추가로 장착하거나, 제3놀이 시설 유니트(10c)의 놀이 공간(21)의 바닥에 복수의 점핑용 경사 블록(31), 복수의 점핑 볼(71)을 배치하거나, 실내 암벽 등반용 홀드(41)를 마련하여, 제3놀이 시설 유니트(10c)에서의 놀이 형태를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연령대에 맞추어 놀이 형태를 변형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 연령대에 맞추어 밧줄(51)의 가이드(53)의 간격을 조절할 수도 있다.
제4놀이 시설 유니트(10d)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다중 링(61)과 그물 네트(65)로 이루어진 놀이 부재가 구성되어 있다.
다중 링(61)은, 사용자가 원활하게 상하로 수직 이동가능하도록, 복수의 단일의 링이 로프(100)에 의해 간격을 두고 직렬 연결되며, 로프(100)의 자유단부에 마련된 카라비너(105)에 의해 와이어(110)에 고정된다.
복수의 다중 링(61)은 제4놀이 시설 유니트(10d)의 길이방향을 따라 놀이 이동 경로를 형성하며,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그물 네트(65)는 제4놀이 시설 유니트(10d)의 일측에 배치되어, 카라비너(105)에 의해 와이어(110)에 고정된다. 그물 네트(65)는 복수의 다중 링(61)과 간섭하지 않도록 복수의 다중 링(61)과 이격하며 와이어(110)에 고정된다.
이러한 복수의 다중 링(61)과 그물 네트(65)는 사용자의 무게를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는 강성, 고정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복수의 다중 링(61)과 그물 네트(65)의 놀이를 통해, 사용자는 뻗기, 쥐기, 균형 유지 운동을 하여, 악력, 근력, 근지구력, 제어 능력, 인지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4놀이 시설 유니트(10d)에는 놀이 부재로서 복수의 다중 링(61)과 그물 네트(65)로만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로프(100)에 연결된 단일 링(35a,35b), 밧줄(51), 상하 탄성 운동기구(55), 스윙 바(81,91,95,97) 등을 제4놀이 시설 유니트(10d)의 와이어(110)에 추가로 장착하거나, 제4놀이 시설 유니트(10d)의 놀이 공간(21)의 바닥에 복수의 점핑용 경사 블록(31), 복수의 점핑 볼(71)을 배치하거나, 실내 암벽 등반용 홀드(41)를 마련하여, 제4놀이 시설 유니트(10d)에서의 놀이 형태를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연령대에 맞추어 놀이 형태를 변형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 연령대에 맞추어 다중 링(61)의 간격을 조절할 수도 있다.
제5놀이 시설 유니트(10e)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점핑 볼(71)로 이루어진 놀이 부재가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점핑 볼(71)은 제5놀이 시설 유니트(10e)의 놀이 공간(21)의 바닥에 제5놀이 시설 유니트(10e)의 길이방향을 따라 놀이 이동 경로를 형성하며, 일렬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점핑 볼(71)은 반구형의 볼(73)과, 볼(73)을 지지하는 지지 블록(75)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점핑 볼(71)은 사용자의 무게를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는 강성, 고정력,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핑 볼(71)의 놀이를 통해, 사용자는 점핑과 균형 유지 운동을 하여, 민첩성, 복잡성, 정확성, 제어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5놀이 시설 유니트(10e)에는 놀이 부재로서 복수의 점핑 볼(71)로만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로프(100)에 연결된 단일 링(35a,35b) 및 다중 링(61), 밧줄(51), 상하 탄성 운동기구(55), 그물 네트(65), 스윙 바(81,91,95,97) 등을 제5놀이 시설 유니트(10e)의 와이어(110)에 추가로 장착하거나, 실내 암벽 등반용 홀드(41)를 마련하여, 제5놀이 시설 유니트(10e)에서의 놀이 형태를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연령대에 맞추어 놀이 형태를 변형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 연령대에 맞추어 점핑 볼(71)의 탄성 및 간격을 조절할 수도 있다.
제6놀이 시설 유니트(10f)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윙 바(81)로 이루어진 놀이 부재가 구성되어 있다.
제1스윙 바(81)는 일정 길이의 바(83)와 한 쌍의 삼각형 단면형상의 고리(85)가 마련되고, 바(83)는 한 쌍의 로프(100)에 의해 진자 운동가능하도록 지지되며, 각 로프(100)의 자유단부에 마련된 카라비너(105)에 의해 와이어(110)에 고정된다.
제1스윙 바(81)는 사용자가 놀이 시작점의 발 받침대(115)에서 점핑하며 바(83) 또는 고리(85)를 그립함에 따라, 그네와 같이 진자 운동을 하며 착지하도록 제6놀이 시설 유니트(10f)의 놀이 공간(21)에 마련된다.
이러한 제1스윙 바(81)는 사용자의 무게를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는 강성, 고정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스윙 바(81)의 놀이를 통해, 사용자는 점핑, 쥐기, 놓기, 균형 유지 운동을 하여, 악력, 민첩성, 정확성, 순발력, 제어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6놀이 시설 유니트(10f)에는 놀이 부재로서 제1스윙 바(81)로만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로프(100)에 연결된 단일 링(35a,35b) 및 다중 링(61), 그물 네트(65), 밧줄(51), 상하 탄성 운동기구(55) 등을 제6놀이 시설 유니트(10f)의 와이어(110)에 추가로 장착하거나, 제6놀이 시설 유니트(10f)의 놀이 공간(21)의 바닥에 복수의 점핑용 경사 블록(31), 복수의 점핑 볼(71)을 배치하거나, 실내 암벽 등반용 홀드(41)를 마련하여, 제6놀이 시설 유니트(10f)에서의 놀이 형태를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연령대에 맞추어 놀이 형태를 변형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 연령대에 맞추어 놀이 시작점과 제1스윙 바(81)의 간격, 제1스윙 바(81)의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제7놀이 시설 유니트(10g)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스윙 바(91)와 그물 네트(65)로 이루어진 놀이 부재가 구성되어 있다.
제2스윙 바(91)는 사용자의 손이 파지가능하도록 'T'자 형상을 가지며, 로프(100)에 의해 진자 운동가능하도록 지지되며, 로프(100)의 자유단부에 마련된 카라비너(105)에 의해 와이어(110)에 고정된다.
그물 네트(65)는 제7놀이 시설 유니트(10g)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로 배치되어, 카라비너(105)에 의해 와이어(110)에 고정된다. 그물 네트(65)는 제2스윙 바(91)와 간섭하지 않도록 제2스윙 바(91)와 이격하며 와이어(110)에 고정된다.
이러한 제2스윙 바(91)와 그물 네트(65)는 사용자의 무게를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는 강성, 고정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스윙 바(91)와 그물 네트(65)의 놀이를 통해, 사용자는 점핑, 쥐기, 놓기, 균형 유지 운동을 하여, 악력, 근력, 근지구력, 민첩성, 정확성, 복잡성, 순발력, 제어 능력, 인지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7놀이 시설 유니트(10g)에는 놀이 부재로서 제2스윙 바(91)와 그물 네트(65)로만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로프(100)에 연결된 단일 링(35a,35b) 및 다중 링(61), 밧줄(51), 상하 탄성 운동기구(55) 등을 제7놀이 시설 유니트(10g)의 와이어(110)에 추가로 장착하거나, 제7놀이 시설 유니트(10g)의 놀이 공간(21)의 바닥에 복수의 점핑용 경사 블록(31), 복수의 점핑 볼(71)을 배치하거나, 실내 암벽 등반용 홀드(41)를 마련하여, 제7놀이 시설 유니트(10g)에서의 놀이 형태를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연령대에 맞추어 놀이 형태를 변형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 연령대에 맞추어 놀이 시작점과 제2스윙 바(91)의 간격, 제2스윙 바(91)의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제8놀이 시설 유니트(10h)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스윙 바(95)와 제4스윙 바(97)와 복수의 손잡이 형태의 단일 링(35b)으로 이루어진 놀이 부재가 구성되어 있다.
제8놀이 시설 유니트(10h)에서의 놀이 부재는 제8놀이 시설 유니트(10h)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보조 와이어(99)에 각각 간격을 두고 엇갈리게 현수 지지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8놀이 시설 유니트(10h)에서의 놀이 부재는 와이어(110)에 현수 지지될 수도 있다.
제3스윙 바(95)는 일정 길이의 봉 형상을 가지며, 한 쌍의 로프(100)에 의해 진자 운동가능하도록 보조 와이어(99)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지지되며, 각 로프(100)의 자유단부에 마련된 카라비너(105)에 의해 보조 와이어(99)에 고정된다.
제4스윙 바(97)는 구 형상을 가지며, 한 쌍의 로프(100)에 의해 진자 운동가능하도록 보조 와이어(99)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지지되며, 각 로프(100)의 자유단부에 마련된 카라비너(105)에 의해 보조 와이어(99)에 고정된다.
손잡이 형태의 단일 링(35b)은 일정 길이의 로프(100)에 지지되고, 로프(100)의 자유단부에 마련된 카라비너(105)에 의해 보조 와이어(99)에 고정된다. 복수의 손잡이 형태의 단일 링(35b)은 제8놀이 시설 유니트(10h)의 길이방향을 따라 놀이 이동 경로를 형성하며,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3스윙 바(95)와 제4스윙 바(97)와 복수의 손잡이 형태의 단일 링(35b)은 사용자의 무게를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는 강성, 고정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3스윙 바(95)와 제4스윙 바(97)와 복수의 손잡이 형태의 단일 링(35b)의 놀이를 통해, 사용자는 쥐기, 뻗기, 균형 유지 운동을 하여, 악력, 근지구력, 민첩성, 복잡성, 제어 능력, 인지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8놀이 시설 유니트(10h)에는 놀이 부재로서 제3스윙 바(95)와 제4스윙 바(97)와 복수의 손잡이 형태의 단일 링(35b)으로만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로프(100)에 연결된 다중 링(61), 밧줄(51), 상하 탄성 운동기구(55) 등을 제8놀이 시설 유니트(10h)의 와이어(110) 또는 보조 와이어(99)에 추가로 장착하거나, 제8놀이 시설 유니트(10h)의 놀이 공간(21)의 바닥에 복수의 점핑용 경사 블록(31), 복수의 점핑 볼(71)을 배치하거나, 실내 암벽 등반용 홀드(41)를 마련하여, 제8놀이 시설 유니트(10h)에서의 놀이 형태를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연령대에 맞추어 놀이 형태를 변형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 연령대에 맞추어 제3스윙 바(95)와 제4스윙 바(97)와 복수의 손잡이 형태의 단일 링(35b)의 간격과 높낮이 등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듈화된 제1놀이 시설 유니트(10a) 내지 제8놀이 시설 유니트(10h)를 간편하게 이동시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도록 조합 배치하여, 사용자는 제1놀이 시설 유니트(10a)의 놀이 시작점으로부터 지그재그 형태의 놀이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각 놀이 시설 유니트(10b∼10h)의 놀이 부재를 이용하며, 제8놀이 시설 유니트(10h)의 놀이 종착점에 도착하여, 하나의 놀이 코스를 완주하게 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변 모듈형 복합 놀이 시설물(1a)에 있어서, 각 놀이 시설 유니트(10a∼10h)는 동일한 높이와 동일한 폭을 가짐과 동시에, 연결 프레임(15)에 복수의 와이어(110)가 현수 지지되며 모듈화됨에 따라, 각 놀이 시설 유니트(10a∼10h)에 구성된 놀이 부재의 배치를 변경하여, 놀이 시설 유니트(10a∼10h)를 이동하지 않고도 원하는 놀이 부재를 원하는 놀이 시설 유니트(10a∼10h)에 간편하게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일 예로서, 도 1의 제3놀이 시설 유니트(10c)에 구성된 복수의 밧줄(51)과 상하 탄성 운동기구(55)를 도 1의 제7놀이 시설 유니트(10g)에 마련하고, 제7놀이 시설 유니트(10g)에 구성된 제2스윙 바(91)와 그물 네트(65)를 제3놀이 시설 유니트(10c)에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제4놀이 시설 유니트(10d)에 구성된 복수의 다중 링(61)과 그물 네트(65)를 제6놀이 시설 유니트(10f)에 마련하고, 제6놀이 시설 유니트(10f)에 구성된 제1스윙 바(81)를 제4놀이 시설 유니트(10d)에 마련하여, 새로운 놀이 이동 경로가 형성된 새로운 형태의 가변 모듈형 복합 놀이 시설물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모듈형 복합 놀이 시설물은, 놀이 시설 유니트(10a∼10h)가 고유의 놀이 부재로 구성함과 동시에, 동일한 높이와 동일한 폭으로 모듈화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놀이 시설 유니트(10a∼10h)를 도 10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이동시켜 조합 배치하여, 다양한 놀이를 연출함과 동시에, 다양한 놀이 이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놀이 시설 유니트(10a) 내지 제8놀이 시설 유니트(10h)를, 제1놀이 시설 유니트(10a), 제2놀이 시설 유니트(10b), 제7놀이 시설 유니트(10g), 제6놀이 시설 유니트(10f), 제5놀이 시설 유니트(10e), 제3놀이 시설 유니트(10c), 제4놀이 시설 유니트(10d), 제8놀이 시설 유니트(10h)의 순서로 일렬로 연결하며 조합 배치하여, 새로운 놀이 이동 경로(화살표 참조)가 형성된 새로운 형태의 가변 모듈형 복합 놀이 시설물(1b)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놀이 시설 유니트(10a) 내지 제8놀이 시설 유니트(10b) 중 일부 놀이 시설 유니트를 선택하여, 일 예로서, 제5놀이 시설 유니트(10e), 제2놀이 시설 유니트(10b), 제3놀이 시설 유니트(10c), 제1놀이 시설 유니트(10a), 제7놀이 시설 유니트(10g)의 순서로 바닥의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조합 배치하여, 새로운 놀이 이동 경로(화살표 참조)가 형성된 새로운 형태의 가변 모듈형 복합 놀이 시설물(1c)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놀이 시설 유니트(10a) 내지 제8놀이 시설 유니트(10h) 중 일부 놀이 시설 유니트를 선택하여, 일 예로서, 제1놀이 시설 유니트(10a), 제6놀이 시설 유니트(10f), 제7놀이 시설 유니트(10g), 제3놀이 시설 유니트(10c), 제2놀이 시설 유니트(10b), 제5놀이 시설 유니트(10e), 제8놀이 시설 유니트(10h)의 순서로 바닥의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연결하며 조합 배치하여, 새로운 놀이 이동 경로(화살표 참조)가 형성된 새로운 형태의 가변 모듈형 복합 놀이 시설물(1d)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각각 고유의 놀이 부재를 구비한 복수의 놀이 시설 유니트를 선택하여 조합 배치하거나 예컨대, 전술한 제1놀이 시설 유니트 내지 제8놀이 시설 유니트 전체를 변경하며 조합 배치하거나, 또는 전술한 제1놀이 시설 유니트 내지 제8놀이 시설 유니트 중 일부 놀이 시설 유니트만을 선택하여 조합 배치함으로써, 설치 환경 및 수요자의 요구에 부응하며 새로운 놀이 이동 경로를 갖는 새로운 형태의 가변 모듈형 복합 놀이 시설물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놀이 부재로서 바닥에 배치되는 점핑용 경사 블록, 와이어에 착탈하는 단일 링, 와이어에 착탈하는 다중 링, 실내 암벽 등반용 홀드, 와이어에 착탈하는 밧줄, 와이어에 착탈하는 상하 탄성 운동기구, 와이어에 착탈하는 그물 네트, 바닥에 배치되는 점핑 볼, 와이어에 착탈하는 스윙 바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놀이 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8개의 놀이 시설 유니트가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상을 구현함에 있어서 놀이 시설 유니트의 수량은 제한되지 않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a,1b,1c,1d: 가변 모듈형 복합 놀이 시설물
10a∼10h: 놀이 시설 유니트
11: 포스트
15: 연결 프레임
110: 와이어

Claims (8)

  1. 바닥에 기립 설치되는 복수의 포스트;
    복수의 상기 포스트를 연결하며, 복수의 상기 포스트와 함께 놀이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연결 프레임;
    상기 놀이 공간에 배치되어, 놀이를 연출하기 위한 놀이 부재; 및
    상기 놀이 공간에 복수의 상기 연결 프레임에 현수 지지되며, 상기 놀이 부재가 착탈가능하게 현수 지지되는 격자 형상의 복수의 와이어;를 갖는 놀이 시설 유니트를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놀이 시설 유니트는 동일한 높이와 동일한 폭을 갖는 단위 형태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놀이 시설 유니트별로 상이한 놀이를 연출함과 동시에, 연속적인 놀이 이동 경로를 형성하도록 조합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에 착탈하는 놀이 부재에는 상기 와이어에 착탈하기 위한 착탈수단이 마련되고,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놀이 시설 유니트 사이에는 바리케이드가 마련되는. 가변 모듈형 복합 놀이 시설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에는 상기 놀이 시설 유니트를 이동가능하게 하는 바퀴가 장착되어 있는, 가변 모듈형 복합 놀이 시설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놀이 부재는, 상기 바닥에 배치되는 점핑용 경사 블록, 상기 와이어에 착탈하는 단일 링, 상기 와이어에 착탈하는 다중 링, 실내 암벽 등반용 홀드, 상기 와이어에 착탈하는 밧줄, 상기 와이어에 착탈하는 상하 탄성 운동기구, 상기 와이어에 착탈하는 그물 네트, 상기 바닥에 배치되는 점핑 볼, 상기 와이어에 착탈하는 스윙 바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가변 모듈형 복합 놀이 시설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놀이 공간을 형성하는 바닥에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가 마련되는, 가변 모듈형 복합 놀이 시설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에는 보호 패드가 장착된, 가변 모듈형 복합 놀이 시설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의 표면에는 야광부재가 마련된, 가변 모듈형 복합 놀이 시설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놀이 시설 유니트의 놀이 시작점과 놀이 종착점에는 각각, 사용자의 발을 딛기 위한 발 받침대가 마련되는, 가변 모듈형 복합 놀이 시설물.
KR1020180081580A 2018-07-13 2018-07-13 가변 모듈형 복합 놀이 시설물 KR101932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580A KR101932081B1 (ko) 2018-07-13 2018-07-13 가변 모듈형 복합 놀이 시설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580A KR101932081B1 (ko) 2018-07-13 2018-07-13 가변 모듈형 복합 놀이 시설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2081B1 true KR101932081B1 (ko) 2018-12-24

Family

ID=65010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580A KR101932081B1 (ko) 2018-07-13 2018-07-13 가변 모듈형 복합 놀이 시설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0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038B1 (ko) * 2020-07-13 2021-01-27 주식회사 퐁퐁플라워 실내 키즈카페 시설
KR102219002B1 (ko) * 2020-08-24 2021-02-23 (주)신흥이앤지 터널식 어드벤처 놀이시설
KR102376316B1 (ko) * 2021-09-01 2022-03-18 (주)신흥이앤지 거리두기형 복합놀이시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833B1 (ko) * 2014-06-10 2014-12-30 (주)제일체육공사 놀이기구 체결장치 및 이를 적용하는 놀이기구
US20160074687A1 (en) * 2014-09-11 2016-03-17 Sam Sann Mobile Frame Assembly for Obstacle Course Systems
US20180185690A1 (en) * 2017-01-05 2018-07-05 Kenji Coulter Portable training ri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833B1 (ko) * 2014-06-10 2014-12-30 (주)제일체육공사 놀이기구 체결장치 및 이를 적용하는 놀이기구
US20160074687A1 (en) * 2014-09-11 2016-03-17 Sam Sann Mobile Frame Assembly for Obstacle Course Systems
US20180185690A1 (en) * 2017-01-05 2018-07-05 Kenji Coulter Portable training ri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038B1 (ko) * 2020-07-13 2021-01-27 주식회사 퐁퐁플라워 실내 키즈카페 시설
KR102219002B1 (ko) * 2020-08-24 2021-02-23 (주)신흥이앤지 터널식 어드벤처 놀이시설
KR102376316B1 (ko) * 2021-09-01 2022-03-18 (주)신흥이앤지 거리두기형 복합놀이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2081B1 (ko) 가변 모듈형 복합 놀이 시설물
US6511383B1 (en) Multi-bay bungee-cord acrobatic suspension & trampoline structure
CA2320166C (en) Rack exercise system and method
US4892302A (en) Jumping skill training game
CN201524396U (zh) 与蹦床结合的体育运动场
JP3669416B2 (ja) 吊り下げ手段を備えたネット状の遊具
CN206045384U (zh) 一种模拟跳伞机
US3794316A (en) Climbing rope gymnastic apparatus
KR200485179Y1 (ko) 뜨개실로 제작된 운동 및 놀이기구
US6764408B1 (en) Inflatable structure with suspended features
GB2464814A (en) Modular bungee-cord acrobatic suspension and trampoline structure
KR102361036B1 (ko)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
CN212439844U (zh) 立体体能单元及包含其的儿童体能游乐教育设施
KR200452947Y1 (ko) 트램펄린 착지 보조대
WO2002098516A1 (en) A height-adjustable auxiliary equipment for trampoline
RU2498831C1 (ru) Детский универсальный спортивно-игровой тренажер и способ проведения занятий с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CN218685991U (zh) 一种穿越型和挑战型结合的游乐装置
CN207506901U (zh) 一种娱乐攀爬桥
CN209790713U (zh) 幼儿玩教具
CN207462658U (zh) 一种带有攀登架的攀爬桥
CN217794284U (zh) 一种立体空间爬网类游乐设施
CN207506909U (zh) 一种带有吊桩和吊环的攀爬桥
CN207506904U (zh) 一种带有u字形爬网的攀爬桥
CN207506905U (zh) 一种带有绳索的攀爬桥
CN214209422U (zh) 一种大型户外综合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