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755B1 - 스윙보드 - Google Patents

스윙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755B1
KR102611755B1 KR1020230084291A KR20230084291A KR102611755B1 KR 102611755 B1 KR102611755 B1 KR 102611755B1 KR 1020230084291 A KR1020230084291 A KR 1020230084291A KR 20230084291 A KR20230084291 A KR 20230084291A KR 102611755 B1 KR102611755 B1 KR 102611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rope
assembly
groove
r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4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펠운동아카데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펠운동아카데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펠운동아카데미
Priority to KR1020230084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7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00Freely-suspended gymnastic apparatus
    • A63B7/02Swinging rings; Trapez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9Protective housings covering the working part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에 고정되는 프레임어셈블리(10); 상기 프레임어셈블리(10)에 매달리게 배치되는 로프어셈블리(200); 상기 로프어셈블리(200)에 설치되는 보드어셈블리(100);를 포함하는 스윙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4개의 로어로프를 통해 매달리게 배치된 보드에 위에 신체의 일부를 올리고, 천천히 보드를 회전시키거나 스트레칭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허리 디스크, 척추 측만증, 오십견 등의 근골격계질환을 완화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스윙보드{Swing board}
본 발명은 운동치료 또는 재활운동에 사용되는 스윙보드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과학기술 및 의료기술 등의 발달로 인해서, 산업화, 도시화, 고령화라는 사회적 특성을 보인다.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한 산업화 및 도시화는 생활의 편의를 가져오고, 다양한 인간관계의 형성을 가능하게 해주었다.
그러나 빠른 산업화 속도에 맞추기 위해 사람들은 과중한 업무에 시달리고, 여가 시간을 즐기지 못할 뿐만 아니라, 복잡한 대인관계로 인해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는다. 또한, 고령화는 생명 연장이라는 측면에서는 환영받을 일이지만, 그 이면에는 삶의 질에 대한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즉, 노인들이 얼마나 건강한 삶을 유지해 나갈 수 있는가에 대해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구조는 자연스럽게 건강에 대한 욕구를 증대시키고, 인간관계 속에서 자기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따라서, 사람들은 건강 증진, 체력향상, 다이어트, 몸매 관리를 위해서 가정이나 야외, 또는 피트니스 클럽(fitness club)에서 여러 가지 운동기구를 이용해 운동을 한다.
이러한 운동기구는 일반적으로 인체의 지방을 제거하고 근육을 단련하는 용도로 사용되는데, 그 중에는 균형감각을 향상시키기 위한 운동기구도 있다.
최근에 알려진 필라테스(pilates)는 다양한 소도구와 기구를 사용하여 신체 유연성과 근력을 기르는 운동법으로 몸의 긴장을 풀어주면서 동시에 강화시키는 운동법으로 1920년경 독일인 요셉 필라테스(Joseph H Pilates)에 의해 처음 시작되었으며, 동양의 요가와 선(禪), 고대 로마 및 그리스에서 행해지던 양생법 등을 접목하여 만든것으로 반복된 동작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근육의 약한 부분을 강화시키고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신체 단련 운동법이다.
이와 같이 최근에는 근력을 증가시키는 운동기구 뿐만 아니라 허리 디스크, 척추 측만증, 오십견 등과 같이 노화로 인해 발생되는 근육, 관절 등의 질환을 운동을 통해 치료할 수 있는 운동치료기구 또는 재활운동기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1550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361036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9489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운동치료 또는 재활운동에 사용되는 스윙보드를 제공하느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천장에 고정되는 프레임어셈블리(10); 상기 프레임어셈블리(10)에 매달리게 배치되는 로프어셈블리(200); 상기 로프어셈블리(200)에 설치되는 보드어셈블리(100);를 포함하는 스윙보드를 제공한다.
상기 보드어셈블리(100)는 평평하게 형성된 보드(150)와, 상기 보드(150)의 상측면에 배치되고 탄성력을 제공하는 완충패드(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드어셈블리(100)는, 상기 보드(150)의 좌측 전방에 배치되는 제 1 홈(151)과, 상기 보드(150)의 좌측 후방에 배치되는 제 2 홈(152)과, 상기 보드(150)의 우측 전방에 배치되는 제 3 홈(153)과, 상기 보드(150)의 우측 후방에 배치되는 제 4 홈(154)과, 상기 보드(150)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홈(151)을 가로질러 고정되는 제 1 보드바(155)와, 상기 보드(150)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홈(152)을 가로질러 고정되는 제 2 보드바(156)와, 상기 보드(150)에 삽입되고, 상기 제 3 홈(153)을 가로질러 고정되는 제 3 보드바(157)와, 상기 보드(150)에 삽입되고, 상기 제 4 홈(154)을 가로질러 고정되는 제 4 보드바(1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드어셈블리(100)는, 상기 제 1 보드바(155)와 후크조립되는 제 1 고리부재(110)와, 상기 제 2 보드바(156)와 후크조립되는 제 2 고리부재(120)와, 상기 제 3 보드바(157)와 후크조립되는 제 3 고리부재(130)와, 상기 제 4 보드바(158)와 후크조립되는 제 4 고리부재(1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고리부재(110)가 상기 제 1 보드바(155)와 매달리는 형태로 조립되고, 상기 제 2 고리부재(120)가 상기 제 2 보드바(156)와 매달리는 형태로 조립되고, 상기 제 3 고리부재(130)가 상기 제 3 보드바(157)와 매달리는 형태로 조립되고, 상기 제 4 고리부재(140)가 상기 제 4 보드바(158)와 매달리는 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로프어셈블리(200)는, 하단이 상기 제 1 고리부재(110)에 결합되는 제 1 로어로프(210)와, 하단이 상기 제 2 고리부재(120)에 결합되는 제 2 로어로프(220)와, 하단이 상기 제 3 고리부재(130)에 결합되는 제 3 로어로프(230)와, 하단이 상기 제 4 고리부재(140)에 결합되는 제 4 로어로프(240)와, 상기 제 1 로어로프(210) 및 제 2 로어로프(220)의 각 상단과 결합되는 제 1 로프고리(310)와, 상기 제 3 로어로프(230) 및 제 4 로어로프(240)의 각 상단과 결합되는 제 2 로프고리(320)와, 일단이 상기 제 1 로프고리(3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로프고리(320)에 결합되는 어퍼로프(450)와, 상기 프레임어셈블리(10)에 매달리게 설치되고, 상기 어퍼로프(450)가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어퍼로프(450)의 일단(451) 및 타단(452)을 이격시키고, 상기 어퍼로프(450)의 하중을 지지하는 서포트어셈블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4개의 로어로프를 통해 매달리게 배치된 보드에 위에 신체의 일부를 올리고, 천천히 보드를 회전시키거나 스트레칭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허리 디스크, 척추 측만증, 오십견 등의 근골격계질환을 완화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보드의 4 모서리가 4개의 로어로프를 통해 매달린 상태로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보드가 매달린 상태로 특정 높이에서 자유운동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에 제약을 유발하지 않아서 운동치료에 효과적인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2개의 어퍼로프를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서포트어셈블리를 통해 운동치료 시 로프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각도조절어셈블리를 통해 어퍼로플 조절하여 보드의 경사각을 형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윙보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서포트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윙보드의 다른 사용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어셈블리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각도조절어셈블리가 도시된 일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윙보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보드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서포트어셈블리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윙보드의 다른 사용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윙보드는, 천장에 고정되는 프레임어셈블리(10)와, 상기 프레임어셈블리(10)에 매달리게 배치되는 로프어셈블리(200)와, 상기 로프어셈블리(200)에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는 보드어셈블리(10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어셈블리(10)는 천장에 결합되는 적어도 2개의 수직프레임(11)과, 상기 2개의 수직프레임(11)에 결합되는 수평프레임(15)을 포함한다.
상기 수평프레임(15)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기 수평프레임(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의 로프어셈블리(200)가 배치되며, 각 로프어셈블리(200)마다 보드어셈블리(100)가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보드어셈블리(100)는 평평하게 형성된 보드(150)와, 상기 보드(150)의 상측면에 배치되고 탄성력을 제공하는 완충패드(160)를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완충패드(160)가 상기 보드(15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로프어셈블리(200)는 상기 보드(150)의 4개소에 결합된다.
상기 보드어셈블리(100)는, 상기 보드(150)의 좌측 전방에 배치되는 제 1 홈(151)과, 상기 보드(150)의 좌측 후방에 배치되는 제 2 홈(152)과, 상기 보드(150)의 우측 전방에 배치되는 제 3 홈(153)과, 상기 보드(150)의 우측 후방에 배치되는 제 4 홈(154)과, 상기 보드(150)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홈(151)을 가로질러 고정되는 제 1 보드바(155)와, 상기 보드(150)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홈(152)을 가로질러 고정되는 제 2 보드바(156)와, 상기 보드(150)에 삽입되고, 상기 제 3 홈(153)을 가로질러 고정되는 제 3 보드바(157)와, 상기 보드(150)에 삽입되고, 상기 제 4 홈(154)을 가로질러 고정되는 제 4 보드바(158)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홈(151) 및 제 3 홈(153)이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홈(152) 및 제 4 홈(154)이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홈(151) 및 제 3 홈(153)의 상측, 하측 및 좌측으로 각각 개구되고, 상기 제 2 홈(152) 및 제 4 홈(154)의 상측, 하측 및 우측으로 각각 개구된다.
상기 제 1 보드바(155) 및 제 2 보드바(156)가 전후 방향으로 일렬 배치되고, 상기 제 3 보드바(157) 및 제 4 보드바(158)가 전후 방향으로 일렬 배치된다.
상기 제 1 보드바(155) 및 제 3 보드바(157)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보드바(156) 및 제 4 보드바(158)가 평행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드(150)에서 상기 제 1 홈(151)의 전방에 배치된 부분을 제 1 코너(171)라 하고, 상기 제 2 홈(152)의 후방에 배치된 부분을 제 2 코너(172)라 하며, 상기 제 3 홈(153)의 전방에 배치된 부분을 제 3 코너(173)라 하고, 상기 제 4 홈(154)의 후방에 배치된 부분을 제 4 코너(174)라 하며, 상기 제 1 홈(151) 및 제 2 홈(15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보드(150)의 좌측가장자리를 형성하는 부분을 제 1 사이드보더(175)라 하고, 상기 제 3 홈(153) 및 제 4 홈(154)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보드(150)의 우측가장자리를 형성하는 부분을 제 2 사이드보더(176)라 한다.
상기 제 1 보드바(155)는 상기 제 1 코너(171)의 전면에서 상기 제 1 홈(151)을 가로지르도록 후방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 1 사이드보더(175)의 전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보드바(156)는 상기 제 2 코너(172)의 후면에서 상기 제 2 홈(152)을 가로지르도록 전방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 1 사이드보더(175)의 후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 3 보드바(157)는 상기 제 3 코너(173)의 전면에서 상기 제 3 홈(153)을 가로지르도록 후방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 2 사이드보더(176)의 전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 4 보드바(157)는 상기 제 4 코너(174)의 후면에서 상기 제 4 홈(154)을 가로지르도록 전방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 2 사이드보더(176)의 후단에 결합된다.
상기 제 1 보드바(155), 제 2 보드바(156), 제 3 보드바(157) 및 제 4 보드바(158)가 각 홈을 관통하게 배치되고, 각 좌우가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보드어셈블리(100)는, 상기 제 1 보드바(155)와 후크조립되는 제 1 고리부재(110)와, 상기 제 2 보드바(156)와 후크조립되는 제 2 고리부재(120)와, 상기 제 3 보드바(157)와 후크조립되는 제 3 고리부재(130)와, 상기 제 4 보드바(158)와 후크조립되는 제 4 고리부재(1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고리부재(110)가 상기 제 1 보드바(155)와 매달리는 형태로 조립되고, 상기 제 2 고리부재(120)가 상기 제 2 보드바(156)와 매달리는 형태로 조립되고, 상기 제 3 고리부재(130)가 상기 제 3 보드바(157)와 매달리는 형태로 조립되고, 상기 제 4 고리부재(140)가 상기 제 4 보드바(158)와 매달리는 형태로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고리부재(110), 제 2 고리부재(120), 제 3 고리부재(130) 및 제 4 고리부재(140)는 스냅후크(snap hook)가 사용된다.
상기 스냅후크는 비너라고도 불리며, 내장된 탄성바가 회전되어 입구를 개방하고, 외력이 제거될 경우 탄성력에 의해 입구를 폐쇄한다.
상기 보드(150)에 가해지는 하중이 상기 제 1 고리부재(110), 제 2 고리부재(120), 제 3 고리부재(130) 및 제 4 고리부재(140)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로프어셈블리(200)는, 하단이 상기 제 1 고리부재(110)에 결합되는 제 1 로어로프(210)와, 하단이 상기 제 2 고리부재(120)에 결합되는 제 2 로어로프(220)와, 하단이 상기 제 3 고리부재(130)에 결합되는 제 3 로어로프(230)와, 하단이 상기 제 4 고리부재(140)에 결합되는 제 4 로어로프(240)와, 상기 제 1 로어로프(210) 및 제 2 로어로프(220)의 각 상단과 결합되는 제 1 로프고리(310)와, 상기 제 3 로어로프(230) 및 제 4 로어로프(240)의 각 상단과 결합되는 제 2 로프고리(320)와, 일단이 상기 제 1 로프고리(3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로프고리(320)에 결합되는 어퍼로프(450)와, 상기 프레임어셈블리(10)에 매달리게 설치되고, 상기 어퍼로프(450)가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어퍼로프(450)의 일단(451) 및 타단(452)을 이격시키고, 상기 어퍼로프(450)의 하중을 지지하는 서포트어셈블리(5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로프고리(310) 및 제 2 로프고리(320)는 스냅후크가 사용되고, 이를 통해 체결 및 분리를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어퍼로프(450)의 일단(451)이 상기 보드(150)의 좌측에 가해진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어퍼로프(450)의 타단(452) 상기 보드(150)의 우측에 가해진 하중을 지지한다.
상기 로프어셈블리(200)는, 상기 어퍼로프(450)의 일단(451)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로프고리(310)와 후크결합되는 제 1 어퍼로프고리(415)와, 상기 어퍼로프(450)의 타단(452)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로프고리(320)와 후크결합되는 제 2 어퍼로프고리(425)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어퍼로프고리(415) 및 제 2 어퍼로프고리(425)는 스냅후크가 사용된다.
상기 제 1 어퍼로프고리(415)는 상기 어퍼로프(450)의 일단(451)과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제 2 어퍼로프고리(425)는 상기 어퍼로프(450)의 타단(452)과 일체로 결합된다.
그래서 상기 제 1 어퍼로프고리(415)가 상기 제 1 로프고리(310)와 탈착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 2 어퍼로프고리(425)가 상기 제 2 로프고리(320)와 탈착가능하게 조립되기 때문에, 상기 보드어셈블리(100)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고, 분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어셈블리(500)에 상기 어퍼로프(450)가 매달리게 설치된다.
상기 어퍼로프(450)의 일단(451)이 상기 서포트어셈블리(500)의 좌측에서 하측으로 매달리게 배치되고, 상기 어퍼로프(450)의 타단(452)이 상기 서포트어셈블리(500)의 우측에서 하측으로 매달리게 배치되며, 상기 서포트어셈블리(500)에 의해 상기 어퍼로프(450)의 일단(451) 및 타단(452)이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어퍼로프(450)의 일단(451) 및 타단(452)이 상기 서포트어셈블리(500)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서포트어셈블리(500)는, 서포트하우징(550)과, 상기 서포트하우징(55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어퍼로프(450)의 일단(451)이 지지되는 제 1 롤러(510)와, 상기 서포트하우징(550)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어퍼로프(450)의 일단(451)이 지지되는 제 2 롤러(520)와, 상기 서포트하우징(550)의 일측을 상기 수평프레임(15)에 걸어 고정시키는 제 1 서포트고리(541)와, 상기 서포트하우징(550)의 타측을 상기 수평프레임(15)에 걸어 고정시키는 제 2 서포트고리(54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서포트고리(541) 및 제 2 서포트고리(542)는 스냅후크가 사용된다.
상기 서포트어셈블리(500)는, 상기 서포트하우징(550)의 좌측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서포트고리(541)가 결합되는 제 1 서포트고리홀(551)과, 상기 서포트하우징(550)의 우측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서포트고리(542)가 결합되는 제 2 서포트고리홀(552)을 더 포함한다.
상기 수평프레임(15)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수평고리(16)(17)들이 배치되고, 상기 수평고리(16)(17)에 상기 제 1 서포트고리(541) 및 제 2 서포트고리(542)가 각각 체결 조립된다.
상기 서포트어셈블리(500)는, 내부에 서포트공간(501)이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공간(501)에 상기제 1 롤러(510) 및 제 2 롤러(520)가 배치된다.
상기 서포트어셈블리(500)는, 상기 제 1 롤러(510)를 수평하게 관통하고, 상기 서포트하우징(550)에 조립되어 상기 제 1 롤러(510)의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제 1 롤러축(515)과, 상기 제 2 롤러(520)를 수평하게 관통하고, 상기 서포트하우징(550)에 조립되어 상기 제 2 롤러(520)의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제 2 롤러축(525)을 더 포함한다.
상기 어퍼로프(450)가 상기 제 1 롤러(510) 및 제 2 롤러(520)의 상측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윙보드는 상기 보드(150) 위에 신체의 일부를 올리고, 천천히 보드(150)를 회전시키거나 스트레칭함으로써, 허리 디스크, 척추 측만증, 오십견 등의 근골격계질환을 완화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로어로프(210), 제 2 로어로프(220), 제 3 로어로프(230) 및 제 4 로어로프(240)를 하나의 어퍼로프(450)와 결합시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어셈블리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각도조절어셈블리가 도시된 일부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어셈블리(500)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달리 어퍼로프(450)를 서포트하우징(550)에 고정할 수 있는 각도조절어셈블리(600)가 더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어셈블리(600)는 상기 어퍼로프(450)를 고정하여 보드(150)에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수평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각도조절어셈블리(600)는 상기 어퍼로프(450)의 일단(451) 및 타단(452) 위치를 조정한 후 상기 어퍼로프(450)를 고정하여 상기 보드(150)를 경사지게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어셈블리(600)는, 상기 서포트하우징(55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어퍼로프(450)가 적어도 1회전 감겨지는 각도조절드럼(650)과, 상기 각도조절드럼(650) 및 서포트하우징(550)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드럼축(610)과, 상기 각도조절드럼(650)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키홈(620)과, 상기 서포트하우징(550)을 관통하여 상기 키홈(620)에 삽입되고, 상기 각도조절드럼(650)의 회전 시 상기 서포트하우징(550)과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키(6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도조절드럼(65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회전중심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각도조절드럼(650)의 외주면에 나선형의 로프홈(455)이 형성되고, 상기 로프홈(455)에 상기 어퍼로프(450)가 적어도 1회전 감겨진다.
상기 드럼축(610)이 상기 키홈(620)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도조절드럼(650)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서포트하우징(550)과 조립된다.
상기 드럼축(610)을 중심으로 상기 각도조절드럼(650)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키홈(620)이 상기 각도조절드럼(650)의 전면에 형성된다.
정면에 볼 때, 상기 키홈(620)은 직사각형 형상이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키홈(620)은 원형이 아닌 삼각형, 육각형 등의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키(630)는 상기 키홈(620)에 삽입되는 키바디(632)와, 상기 키바디(632)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서포트하우징(550)의 외부에 배치되는 키헤드(634)를 포함한다.
상기 키바디(632)의 수직단면 형상이 상기 키홈(620)의 정단면과 일치된다.
상기 키헤드(634)는 상기 키바디(632) 보다 부피가 큰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서포트하우징(550)의 전면에 상기 키(630)가 관통되고, 상기 키(630)의 회전 시 상호걸림을 형성하는 하우징슬릿(470)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슬릿(470)이 "+" 형상이다.
상기 하우징슬릿(470)은 상기 키홈(620)이 90도 중복되어 교차된 형상이다.
상기 하우징슬릿(470)은 상기 키바디(632)가 수직하게 삽입되는 제 1 슬릿(471)과, 상기 키바디(632)가 수평하게 삽입되는 제 2 슬릿(472)을 포함한다.
상기 보드(150)의 경사각을 조절할 경우, 상기 키(630)를 하우징슬릿(470) 및 키홈(620)에서 분리하고, 상기 어퍼로프(450)의 일단(451) 또는 타단(452)을 당겨 상기 보드(150)의 경사각을 설정한다.
상기 어퍼로프(450)의 일단(451) 또는 타단(452)을 당겨질 경우, 상기 각도조절드럼(650)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어퍼로프(450)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때, 상기 키홈(620)도 함께 시계방향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보드(150)의 경사각이 조절된 후, 상기 키홈(620)은 상기 제 1 슬릿(471) 또는 제 2 슬릿(472) 중 어느 하나와 근접되어 위치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제 1 슬릿(471) 또는 제 2 슬릿(472) 중 가까운 것과 상기 키홈(620)을 일치시키고, 상기 키(630)를 삽입하여 상기 각도조절드럼(650)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 1 슬릿(471) 또는 제 2 슬릿(472) 중 하나만 배치될 경우, 각도조절드럼(650)을 과도하게 회전시키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고, 90도 교차되게 배치된 제 1 슬릿(471) 및 제 2 슬릿(472)을 통해 경사각 조절을 보다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프레임어셈블리 100 : 보드어셈블리
110 : 제 1 고리부재 120 : 제 2 고리부재
130 : 제 3 고리부재 140 : 제 4 고리부재
150 : 보드 151 : 제 1 홈
152 : 제 2 홈 153 : 제 3 홈
154 : 제 4 홈 155 : 제 1 보드바
156 : 제 2 보드바 157 : 제 3 보드바
158 : 제 4 보드바 160 : 완충패드
200 : 로프어셈블리 210 : 제 1 로어로프
220 : 제 2 로어로프 230 : 제 3 로어로프
240 : 제 4 로어로프 310 : 제 1 로프고리
320 : 제 2 로프고리 450 : 어퍼로프
500 : 서포트어셈블리 510 : 제 1 롤러
520 : 제 2 롤러 541 : 제 1 서포트고리
542 : 제 2 서포트고리

Claims (5)

  1. 천장에 고정되는 프레임어셈블리(10);
    상기 프레임어셈블리(10)에 매달리게 배치되는 로프어셈블리(200);
    상기 로프어셈블리(200)에 설치되는 보드어셈블리(100);를 포함하고,
    상기 보드어셈블리(100)는 평평하게 형성된 보드(150)와, 상기 보드(150)의 상측면에 배치되고 탄성력을 제공하는 완충패드(160)를 포함하고,
    상기 보드어셈블리(100)는,
    상기 보드(150)의 좌측 전방에 배치되는 제 1 홈(151)과, 상기 보드(150)의 좌측 후방에 배치되는 제 2 홈(152)과, 상기 보드(150)의 우측 전방에 배치되는 제 3 홈(153)과, 상기 보드(150)의 우측 후방에 배치되는 제 4 홈(154)과, 상기 보드(150)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홈(151)을 가로질러 고정되는 제 1 보드바(155)와, 상기 보드(150)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홈(152)을 가로질러 고정되는 제 2 보드바(156)와, 상기 보드(150)에 삽입되고, 상기 제 3 홈(153)을 가로질러 고정되는 제 3 보드바(157)와, 상기 보드(150)에 삽입되고, 상기 제 4 홈(154)을 가로질러 고정되는 제 4 보드바(158)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드어셈블리(100)는, 상기 제 1 보드바(155)와 후크조립되는 제 1 고리부재(110)와, 상기 제 2 보드바(156)와 후크조립되는 제 2 고리부재(120)와, 상기 제 3 보드바(157)와 후크조립되는 제 3 고리부재(130)와, 상기 제 4 보드바(158)와 후크조립되는 제 4 고리부재(1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고리부재(110)가 상기 제 1 보드바(155)와 매달리는 형태로 조립되고, 상기 제 2 고리부재(120)가 상기 제 2 보드바(156)와 매달리는 형태로 조립되고, 상기 제 3 고리부재(130)가 상기 제 3 보드바(157)와 매달리는 형태로 조립되고, 상기 제 4 고리부재(140)가 상기 제 4 보드바(158)와 매달리는 형태로 조립되고,
    상기 로프어셈블리(200)는, 하단이 상기 제 1 고리부재(110)에 결합되는 제 1 로어로프(210)와, 하단이 상기 제 2 고리부재(120)에 결합되는 제 2 로어로프(220)와, 하단이 상기 제 3 고리부재(130)에 결합되는 제 3 로어로프(230)와, 하단이 상기 제 4 고리부재(140)에 결합되는 제 4 로어로프(240)와, 상기 제 1 로어로프(210) 및 제 2 로어로프(220)의 각 상단과 결합되는 제 1 로프고리(310)와, 상기 제 3 로어로프(230) 및 제 4 로어로프(240)의 각 상단과 결합되는 제 2 로프고리(320)와, 일단이 상기 제 1 로프고리(3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로프고리(320)에 결합되는 어퍼로프(450)와, 상기 프레임어셈블리(10)에 매달리게 설치되고, 상기 어퍼로프(450)가 삽입되어 지지되며, 상기 어퍼로프(450)의 일단(451) 및 타단(452)을 이격시키고, 상기 어퍼로프(450)의 하중을 지지하는 서포트어셈블리(500)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어셈블리(500)는,
    상기 프레임어셈블리(10)에 매달리게 설치되는 서포트하우징(550);
    상기 서포트하우징(55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어퍼로프(450)의 일단(451)이 지지되는 제 1 롤러(510);
    상기 서포트하우징(550)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어퍼로프(450)의 일단(451)이 지지되는 제 2 롤러(520);
    상기 서포트하우징(550)의 일측을 상기 프레임어셈블리(10)에 걸어 고정시키는 제 1 서포트고리(541);
    상기 서포트하우징(550)의 타측을 상기 프레임어셈블리(10)에 걸어 고정시키는 제 2 서포트고리(542);
    상기 어퍼로프(450)를 서포트하우징(550)에 고정할 수 있는 각도조절어셈블리(600);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어셈블리(600)는,
    상기 서포트하우징(55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어퍼로프(450)가 적어도 1회전 감겨지는 각도조절드럼(650);
    상기 각도조절드럼(650) 및 서포트하우징(550)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드럼축(610);
    상기 각도조절드럼(650)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키홈(620);
    상기 서포트하우징(550)을 관통하여 상기 키홈(620)에 삽입되고, 상기 각도조절드럼(650)의 회전 시 상기 서포트하우징(550)과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키(630);를 포함하는 스윙보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30084291A 2023-06-29 2023-06-29 스윙보드 KR102611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4291A KR102611755B1 (ko) 2023-06-29 2023-06-29 스윙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4291A KR102611755B1 (ko) 2023-06-29 2023-06-29 스윙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1755B1 true KR102611755B1 (ko) 2023-12-08

Family

ID=89166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4291A KR102611755B1 (ko) 2023-06-29 2023-06-29 스윙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175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275Y1 (ko) * 2003-05-06 2003-08-21 (주)세우 로우프를 구비한 근육운동장치
KR20180015507A (ko) 2016-08-03 2018-02-13 김승현 트레이닝 기구
CN207575684U (zh) * 2017-08-14 2018-07-06 徐道胜 便携式多功能健身器
KR200494892Y1 (ko) 2021-03-29 2022-01-19 장경원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KR102361036B1 (ko) 2019-12-27 2022-02-08 윤흥식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
CN114569399A (zh) * 2021-12-06 2022-06-03 南京思伯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康复训练系统用儿童悬吊装置
CN115227546A (zh) * 2022-07-21 2022-10-25 永州职业技术学院 一种老年护理用腿部锻炼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275Y1 (ko) * 2003-05-06 2003-08-21 (주)세우 로우프를 구비한 근육운동장치
KR20180015507A (ko) 2016-08-03 2018-02-13 김승현 트레이닝 기구
CN207575684U (zh) * 2017-08-14 2018-07-06 徐道胜 便携式多功能健身器
KR102361036B1 (ko) 2019-12-27 2022-02-08 윤흥식 공중 가상체험놀이형 운동기구
KR200494892Y1 (ko) 2021-03-29 2022-01-19 장경원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CN114569399A (zh) * 2021-12-06 2022-06-03 南京思伯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康复训练系统用儿童悬吊装置
CN115227546A (zh) * 2022-07-21 2022-10-25 永州职业技术学院 一种老年护理用腿部锻炼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21876A1 (en) Adjustable cable machine
WO1996030086A1 (de) Hänge-trimm-gerät
US20060148624A1 (en) Bench press
CN108479004A (zh) 一种新型健美操多用练习装置及其实现方法
DE102017108163B4 (de) Hängematte, insbesondere geeignet für Kinder und zu Therapiezwecken
KR102611755B1 (ko) 스윙보드
KR102476500B1 (ko) 리포머 운동기구
KR20180050032A (ko)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
EP1865908B1 (de) Streckgerät für heilgymnastik
KR20210008208A (ko) 다양한 장소에서 전신운동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CN108939435B (zh) 一种腿部肌肉锻炼装置
CN108704272A (zh) 用于平卧两用健身的运动器械
EP1955735B1 (de) Trampolin
CN107137216A (zh) 便于臀部散热的躺式背部按摩器
KR101419187B1 (ko) 회선근개 운동기구
CN207085191U (zh) 一种多功能的仰卧起坐器
CN207913114U (zh) 一种可调节仰卧板
TWI417086B (zh) With a massage function of the inverted machine
CN109350917A (zh) 一种腰肌劳损康复多功能训练装置
KR20240075972A (ko) 높이 조절 및 다기능 캐포머
JP2010005350A (ja) ウェイトスタック式トレーニング装置
CN205964889U (zh) 电动倒立机
CN204071290U (zh) 一种瑜伽健身椅
KR100616416B1 (ko) 다기능 롱풀머신
KR200490424Y1 (ko) 책상 겸용 트램펄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