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892Y1 -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892Y1
KR200494892Y1 KR2020210000970U KR20210000970U KR200494892Y1 KR 200494892 Y1 KR200494892 Y1 KR 200494892Y1 KR 2020210000970 U KR2020210000970 U KR 2020210000970U KR 20210000970 U KR20210000970 U KR 20210000970U KR 200494892 Y1 KR200494892 Y1 KR 2004948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ratchet
pilates
vertical pos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9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경원
Original Assignee
장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경원 filed Critical 장경원
Priority to KR20202100009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8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8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892Y1/ko
Priority to PCT/KR2022/001246 priority patent/WO202221124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7Exercising devices not moving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46Details of the support elements or their connection to the exercising apparatus, e.g. adjustment of size or ori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누워 운동할 수 있는 면적을 갖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판을 지탱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기단이 고정되고 선단이 상판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포스트와, 상기 수직 포스트의 선단을 연결하는 수평 포스트로 이루어져 스프링 월, 푸시 스루바, 걸이대, 스프링 그네가 설치되는 포스트 유닛 및 상기 수직 포스트는 상기 스프링 월, 푸시 스루바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 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complex exercise equipment for pilates}
본 고안은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스프링 월, 푸시 스루바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운동할 때 포스트 유닛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쇄시켜 포스트 유닛이 떨리는 것을 방지하는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사람들은 체력유지, 건강관리, 재활치료 등을 위해 운동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끼고 있고, 이에 따라 가정이나 헬스클럽 등에서 운동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최근에 알려진 필라테스(pilates)는 다양한 소도구와 기구를 사용하여 신체 유연성과 근력을 기르는 운동법으로 몸의 긴장을 풀어주면서 동시에 강화시키는 운동법으로 1920년경 독일인 요셉 필라테스(Joseph H. Pilates)에 의해 처음 시작되었으며, 동양의 요가와 선(禪), 고대 로마 및 그리스에서 행해지던 양생법 등을 접목하여 만든 것으로 반복된 동작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근육의 약한 부분을 강화시키고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신체 단련 운동법이다.
필라테스에 사용되는 운동기구로는 크게 캐딜락(cadillac), 리포머(reformer), 레더바렐(ladder barrel) 등이 있으며, 이러한 필라테스용 운동기구는 그 형태에 따른 특성에 맞게 운동하게 된다. 특히, 캐딜락은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게 여러 종류의 운동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캐딜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캐딜락은 사용자가 누워 운동할 수 있는 면적을 갖는 상판(1)과 상판(1)의 하부에 설치되어 지면에 안치되는 베드 프레임(2)과 베드 프레임(2)의 일측과 타측에 지지되어 상판(1)의 상부로 연장되어 각 모서리가 연결되어 육면체를 형성하는 수직 포스트(3)와 수평 포스트(4)로 구성된 포스트 유닛 및 수직, 수평 포스트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판에 위치한 상태에서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스프링 월(10), 푸시 스루바(20), 걸이대(30), 스프링 그네(40) 등이 설치된다.
수직 포스트(3)는 그 하단이 제각기 베드 프레임(2)에 고정된다. 이때 수직 포스트(3)의 하단은 파이프와 같은 형상을 갖는 브라켓(5)에 삽입되며 브라켓(5)이 볼트와 같은 패스너에 의해 베드 프레임(2)에 고정된다.
상판(1)은 사용자가 누웠을 때 불편함이 없도록 완충력을 갖는 매트리스가 설치될 수 있으며, 스프링 월(spring wall)(10)은 상판(1)의 상부로 수직하게 연장된 수직 포스트(3)를 수평으로 연결한 수평 바에 탄성 반발력이 발휘되는 스프링의 선단을 단단하게 고정시키고 기단은 사용자가 움켜쥘 수 있도록 고리가 형성된다.
또한, 푸시 스루바(push thru bar)(20)는 수직 포스트(3)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암을 형성하고, 암이 회전하게 될 때 암의 회전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탄성 반발력이 발휘되도록 암과 포스트가 스프링에 의해 연결된다. 이와 같은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는 암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암의 자유단에 사용자가 잡거나 신체를 기댈 수 있는 바가 형성된다.
또한, 걸이대(30)는 수평 포스트(4)에 고리가 매달린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팔, 다리 등을 걸친 상태로 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스프링 그네(40)는 수평 포스트(4)에 스프링을 매달고 스프링의 기단에 사용자가 신체를 기댈 수 있는 시트가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캐딜락은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스프링 월(10), 푸시 스루바(2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없어 체구가 크거나 작은 사용자의 경우 스프링 월(10), 푸시 스루바(20)와의 간격이 맞지 않아 효과적인 운동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캐딜락은 사용자가 상판(1)에 위치하여 스프링 월(10), 푸시 스루바(20), 걸이대(30), 스프링 그네(40) 등을 사용하여 운동하게 될 때 수직 포스트(3)와 수평 포스트(4)에 진동이 발생하게 되어 포스트 유닛에 떨림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포스트 유닛에 떨림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되면 수직 포스트(3)의 하단을 베이스 프레임(2)에 고정하는 브라켓(5)에 진동이 전달되면서 베이스 프레임(2)과 브라켓(5) 및 수직 포스트(3)의 결속이 헐거워지면서 수직 포스트(3)가 베이스 프레임(2)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있다.
KR A 10-2004-0014496 (2004.02.14) KR A 10-2007-0004557 (2007.01.09)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체격에 맞게 스프링 월, 푸시 스루바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가 스프링 월, 푸시 스루바, 걸이대, 스프링 그네 등을 이용하여 운동하게 될 때 포스트 유닛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시켜 수직 포스트가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사용자가 누워 운동할 수 있는 면적을 갖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판을 지탱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기단이 고정되고 선단이 상판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포스트와, 상기 수직 포스트의 선단을 연결하는 수평 포스트로 이루어져 스프링 월, 푸시 스루바, 걸이대, 스프링 그네가 설치되는 포스트 유닛 및 상기 수직 포스트는 상기 스프링 월, 푸시 스루바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 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 월은 상기 수직 포스트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 링이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딩 링은 상기 조절 홀에 나사 체결되는 패스너에 의해 관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푸시 스루바는 상기 수직 포스트에 형성된 조절 홀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암이 형성되고, 상기 암은 상기 조절 홀에 나사 체결되는 패스너에 의해 관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포스트 유닛을 따라 와이어가 배선되고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여 상기 포스트 유닛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쇄시키는 제진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진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고 일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기어치가 형성된 래칫과, 상기 래칫에 권선되는 상기 와이어 및 상기 래칫의 기어치에 대응하는 기어치를 가진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래칫은 상기 와이어를 권선하는 풀리와, 상기 풀리와 일체로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형성되는 래칫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래칫의 회전축은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와이어는 상기 포스트 유닛의 수직 포스트와 수평 포스트를 따라 배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직 포스트와 수평 포스트는 내부가 중공되고 상기 와이어가 중공을 따라 배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와이어와 상기 수직 포스트 및 수평 포스트의 중공 사이에 완충부재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에 의하면, 사용자의 체격에 맞게 포스트 유닛에 마련된 스프링 월, 푸시 스루바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어린이와 같은 체구가 작은 사용자도 효과적으로 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에 의하면, 사용자가 포스트 유닛에 마련된 스프링 월, 푸시 스루바, 걸이대, 스프링 그네를 사용하여 운동하게 될 때 포스트 유닛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수직 포스트와 수평 포스트를 따라 배선된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감쇄되어 포스트 유닛에 떨림이 발생하지 않아 포스트 유닛을 견고하게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된다.
도 1은 종래의 캐딜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A, B를 발췌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중 와이어의 배선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중 제진 유닛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A, B를 발췌한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상판(100)과, 상기 상판(100)을 지탱하는 베이스 프레임(200)과, 스프링 월(430), 푸시 스루바(440), 걸이대(450), 스프링 그네(460)가 설치되며 베이스 프레임(200)에 고정되는 포스트 유닛(400)으로 구성된다.
이때, 포스트 유닛(400)은 수직 포스트(410)와 수평 포스트(420)로 구성되며, 수직 포스트(410)에는 스프링 월(430), 푸시 스루바(44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 홀(410a)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스프링 월(430)과 푸시 스루바(440)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를 위해, 스프링 월(4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포스트(410)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 링(431a)이 마련된다. 이때, 슬라이딩 링(431a)은 수직 포스트(410)를 따라 다수 형성된 조절 홀(410a)에 나사 체결되는 패스너(410b)에 의해 관통된다.
이렇게 수직 포스트(410)에 다수의 조절 홀(410a)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 홀(410a)에 나사 체결되는 패스너(410b)가 슬라이딩 링(431a)을 관통하는 것에 따라 스프링 월(430)의 높낮이를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로부터 사용자는 체형에 맞는 운동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푸시 스루바(4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포스트(410)에 형성된 조절 홀(410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암(441)이 형성되고, 상기 암(441)은 조절 홀(410a)에 나사 체결되는 패스너(410b)에 의해 관통된다.
이렇게, 수직 포스트(410)에 다수의 조절 홀(410a)이 형성되고, 상기 조절 홀(410a)에 나사 체결되는 패스너(410b)가 푸시 스루바(440)를 구성하는 암(441)을 관통하는 것에 따라 푸시 스루바(440)의 높낮이를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로부터 사용자는 체형에 맞는 운동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사용자가 운동하게 될 때 포스트 유닛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쇄시키는 제진 유닛이 마련된다. 이를 도 5 내지 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상판(100), 상기 상판(100)을 지탱하는 베이스 프레임(200), 스프링 월(430), 푸시 스루바(440), 걸이대(450), 스프링 그네(460)가 설치되며 베이스 프레임(200)에 고정되는 포스트 유닛(400), 상기 포스트 유닛(400)을 따라 배선되는 와이어(310) 및 상기 와이어(310)의 장력을 조절하여 포스트 유닛(40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쇄시키는 제진 유닛(300)으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상판(100)은 사용자가 누워 운동할 수 있는 면적을 갖게 되는데, 상판(100)은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직사각형의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상판(100)은 사용자가 상판(100)에 위치하였을 때 그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갖는데, 바람직하게 상판(100)은 합성수지, 금속 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단풍나무, 자작나무, 물푸레나무 등과 같은 친환경 소재의 목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판(100)의 상면에는 매트리스와 같은 완충력이 발휘되는 소재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상판(100)의 상부에 위치하였을 때 불편함을 최소화시킬 수도 있다.
베이스 프레임(200)은 상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판(100)을 지탱하는 것으로, 사각틀의 형상을 갖고 베이스 프레임(200)의 상부에 상판(100)이 안착된다. 이와 같이, 상판(100)을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200)은 스프링 월(430), 푸시 스루바(440), 걸이대(450), 스프링 그네(460)가 설치되는 포스트 유닛(400)이 고정된다.
즉, 포스트 유닛(400)은 수직 포스트(410)와 수평 포스트(420)로 이루어지는데, 수직 포스트(41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관의 형상을 갖고 기단이 베이스 프레임(200)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선단이 상판(100)의 상부로 연장된다.
이러한, 수직 포스트(4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200)의 외측면 중 코너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브라켓(110)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200)에 고정된다.
이때, 브라켓(110)은 수직 포스트(410)의 기단 외면을 감싸 압박하여 볼트와 같은 패스너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200)에 고정되어 수직 포스트(410)의 선단이 상판(100)의 상부로 연장된다.
이러한 수직 포스트(410)는 베이스 프레임(200)의 코너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4개의 수직 포스트(410)가 마련되며, 수직 포스트(410)의 선단은 수평 포스트(420)에 의해 연결되어 베이스 프레임(200)의 상부로 직사각의 형태를 이루는 수평 포스트(420)가 마련된다. 이때, 수직 포스트(410)와 수평 포스트(420)는 중공된 관의 형태를 갖고 수직 포스트(410)와 수평 포스트(420)의 중공이 연통된다.
이렇게 수직 포스트(410)와 수평 포스트(420)로 이루어진 포스트 유닛(400)에는 필라테스 운동에 사용되는 스프링 월(430), 푸시 스루바(440), 걸이대(450), 스프링 그네(460)가 설치된다.
스프링 월(spring wall)(430)은 상판(100)의 상부로 수직하게 연장된 수직 포스트(410)를 수평으로 연결한 수평 바(431)에 탄성 반발력이 발휘되는 스프링(432)의 선단을 단단하게 고정시키고 기단은 사용자가 움켜쥘 수 있도록 고리(433)가 형성된다.
또한, 푸시 스루바(push thru bar)(440)는 수직 포스트(410)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암(441)을 형성하고, 암(441)이 회전하게 될 때 암(441)의 회전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탄성 반발력이 발휘되도록 암(441)과 수평 포스트(420)가 스프링(442)에 의해 연결된다.
이와 같은 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는 암(441)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암(441)이 자유단에 사용자가 잡거나 신체를 기댈 수 있는 바(bar)(443)가 형성된다.
또한, 걸이대(450)는 수평 포스트(420)에 고리가 매달린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팔, 다리 등을 걸친 상태로 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스프링 그네(460)는 수평 포스트(420)에 스프링(461)을 매달고 스프링의 기단에 사용자가 신체를 기댈 수 있는 시트(462)가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포스트 유닛(400)에 설치된 스프링 월(430), 푸시 스루바(440), 걸이대(450), 스프링 그네(460)의 구조적 특성에 맞게 다양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제진 유닛(300)은 수직 포스트(410)와 수평 포스트(420)를 따라 와이어(310)가 배선되고 상기 와이어(310)의 끝단이 제진 유닛(300)에 권선되어 포스트 유닛(400)에 진동이 발생할 때 이를 와이어(310)의 장력이 감쇄시키고 수직 포스트(410)와 수평 포스트(420)의 연결을 보강하게 된다.
이러한 제진 유닛(30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포스트(410)의 기단을 베이스 프레임(200)에 고정하는 브라켓(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포스트 유닛(400)을 경유하는 와이어(310)의 장력을 조절하여 포스트 유닛(400)에 작용하는 진동을 감쇄시키게 된다.
즉, 제진 유닛(30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200)에 고정되고 일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기어치가 형성된 래칫(320)과, 상기 래칫(320)에 권선되는 와이어(310) 및 래칫(320)의 기어치에 대응하는 기어치를 가진 고정편(330)으로 구성된다.
이때, 래칫(320)은 와이어를 권선하는 풀리(321)와, 상기 풀리(321)와 일체로 형성된 회전축(322)과, 상기 회전축(322)과 일체로 형성되는 래칫기어(323)로 구성되는데, 회전축(322)의 일부와 래칫기어(323)는 베이스 프레임(200)에 고정되는 케이스(324)의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래칫(320)의 회전축(322)은 케이스(324)의 내부에 설치된 베어링(325)에 의해 축받이 되어 회전축(322)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편(330)은 래칫기어(323)와 인접하게 케이스(324)의 내부에 설치되며 고정편(330)의 일부가 케이스(324)의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레버(331)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고정편(330)과 케이스(324)의 내부에는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사용자가 조작레버(331)를 케이스(324)의 외부로 당기는 것에 의해 고정편(330)이 래칫기어(323)와 맞물리거나 해제되는 동작을 하게 된다.
이렇게, 래칫(320)의 풀리(321)에 권선되어 풀리(321)의 회전에 따라 장력이 조절되는 와이어(310)는 포스트 유닛(400)의 수직 포스트(410)와 수평 포스트(420)를 따라 배선되는데, 수직 포스트(410)와 수평 포스트(420)는 바람직하게 그 내부가 중공되어 와이어(310)가 중공을 따라 배선된다.
이와 같이, 중공된 수직 포스트(410)와 수평 포스트(420)를 따라 와이어(310)가 배선되면 제진 유닛(300)의 래칫(320)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따라 와이어(310)가 풀리(321)에 감기게 되면서 수직 포스트(410)와 수평 포스트(420)를 따라 배선된 와이어(310)의 장력이 증가하여 포스트 유닛(400)의 진동에 저항력을 제공하여 진동을 감쇄시키게 된다.
이때, 수직 포스트(410)와 수평 포스트(420)를 따라 배선된 와이어(310)는 도 4의 원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재(340)를 관통하게 되는데, 완충부재(340)는 고무, 우레탄과 같은 탄성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포스트 유닛(400)에 진동이 발생하게 될 때 이를 흡수하여 포스트 유닛(400)의 진동을 감쇄시키게 된다.
이러한 완충부재(340)는 수직 포스트(410)와 수평 포스트(420)의 중공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에 의하면 사용자가 포스트 유닛에 마련된 스프링 월(430), 푸시 스루바(440), 걸이대(450), 스프링 그네(460)를 사용하여 운동하게 될 때 포스트 유닛(400)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수직 포스트(410)와 수평 포스트(420)를 따라 배선된 와이어(310)의 장력에 의해 감쇄되어 포스트 유닛(400)에 떨림이 발생하지 않아 포스트 유닛(400)을 견고하게 베이스 프레임(200)에 고정된다.
한편,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제진 유닛(300)의 회전축(322)은 구동모터와 연결되며, 상판(100)에 하중을 감지하는 로드센서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판(100)에 올라가 운동하게 될 때 사용자의 하중을 로드센서가 감지하여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게 됨으로써 와이어(310)의 장력을 조절하고 이에 따라 포스트 유닛(400)에 발생하는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다.
100 : 상판 110 : 브라켓
200 : 베이스 프레임 300 : 제진유닛
310 : 와이어 320 : 래칫
321 : 풀리 322 : 회전축
323 : 래칫기어 324 : 케이스
325 : 베어링 330 : 고정편
331 : 조작레버 340 : 완충부재
400 : 포스트 유닛 410 : 수직 포스트
410a : 조절 홀 410b : 패스너
420 : 수평 포스트 430 : 스프링 월
431 : 수평 바 432 : 스프링
433 : 고리 440 : 푸시 스루바
441 : 암 442 : 스프링
450 : 걸이대 460 : 스프링 그네
461 : 스프링 462 : 시트

Claims (5)

  1. 사용자가 누워 운동할 수 있는 면적을 갖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판을 지탱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기단이 고정되고 선단이 상판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포스트와, 상기 수직 포스트의 선단을 연결하는 수평 포스트로 이루어져 스프링 월, 푸시 스루바, 걸이대, 스프링 그네가 설치되는 포스트 유닛; 및
    상기 포스트 유닛을 따라 와이어가 배선되고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여 상기 포스트 유닛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쇄시키는 제진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 포스트는 상기 스프링 월, 푸시 스루바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 홀이 구비되며,
    상기 제진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고 일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기어치가 형성된 래칫;
    상기 래칫에 권선되는 와이어; 및
    상기 래칫의 기어치에 대응하는 기어치를 가진 고정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월은
    상기 수직 포스트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 링이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딩 링은 상기 조절 홀에 나사 체결되는 패스너에 의해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시 스루바는
    상기 수직 포스트에 형성된 조절 홀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암이 형성되고, 상기 암은 상기 조절 홀에 나사 체결되는 패스너에 의해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래칫은,
    상기 와이어를 권선하는 풀리;
    상기 풀리와 일체로 형성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일체로 형성되는 래칫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래칫의 회전축은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KR2020210000970U 2021-03-29 2021-03-29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KR2004948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970U KR200494892Y1 (ko) 2021-03-29 2021-03-29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PCT/KR2022/001246 WO2022211243A1 (ko) 2021-03-29 2022-01-24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970U KR200494892Y1 (ko) 2021-03-29 2021-03-29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892Y1 true KR200494892Y1 (ko) 2022-01-19

Family

ID=80048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970U KR200494892Y1 (ko) 2021-03-29 2021-03-29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94892Y1 (ko)
WO (1) WO202221124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1243A1 (ko) * 2021-03-29 2022-10-06 장경원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KR102611755B1 (ko) 2023-06-29 2023-12-08 주식회사 아펠운동아카데미 스윙보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16857A1 (en) * 1998-09-21 2000-03-30 Mide Technology Corporation Variable stiffness shaft
KR20040014496A (ko) 2001-04-12 2004-02-14 밸런스드 바디, 인크. 접이식 리포머 운동장치
KR20070004557A (ko) 2003-11-25 2007-01-09 밸런스드 바디, 인크. 리포머 운동 장치의 앵커 바아와 캐리지 정지 조립체
JP2010162101A (ja) * 2009-01-14 2010-07-29 Eisaku Hino 球技用打撃練習装置
KR200475591Y1 (ko) * 2014-03-31 2014-12-12 장경원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JP3225387U (ja) * 2019-09-24 2020-03-05 株式会社オールマーケットジャパン 身体鍛錬器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0417A (ko) * 2010-04-01 2011-10-07 우윤희 운동겸용 침구매트리스
KR200494892Y1 (ko) * 2021-03-29 2022-01-19 장경원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16857A1 (en) * 1998-09-21 2000-03-30 Mide Technology Corporation Variable stiffness shaft
KR20040014496A (ko) 2001-04-12 2004-02-14 밸런스드 바디, 인크. 접이식 리포머 운동장치
KR20070004557A (ko) 2003-11-25 2007-01-09 밸런스드 바디, 인크. 리포머 운동 장치의 앵커 바아와 캐리지 정지 조립체
JP2010162101A (ja) * 2009-01-14 2010-07-29 Eisaku Hino 球技用打撃練習装置
KR200475591Y1 (ko) * 2014-03-31 2014-12-12 장경원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JP3225387U (ja) * 2019-09-24 2020-03-05 株式会社オールマーケットジャパン 身体鍛錬器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1243A1 (ko) * 2021-03-29 2022-10-06 장경원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KR102611755B1 (ko) 2023-06-29 2023-12-08 주식회사 아펠운동아카데미 스윙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11243A1 (ko)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4892Y1 (ko)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US9868006B1 (en) Fitness bar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KR102092669B1 (ko) 효율적인 필라테스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접이식 필라테스 운동기구
JP4413192B2 (ja) トレーニングマシン
KR200475591Y1 (ko) 필라테스용 복합 운동기구
JP2005503218A (ja) トレーニング装置/椅子
US20060148624A1 (en) Bench press
EA038446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вития мышц и равновесия
KR200463833Y1 (ko) 복근운동기구
KR101398847B1 (ko) 요추 심부근 단련기능을 갖는 의자
KR100704448B1 (ko) 운동기구
US4230313A (en) Exercise device
EP2346581B1 (en) Exercise apparatus
KR20180050032A (ko) 손잡이조절장치가 구비된 상체운동기구
KR102476500B1 (ko) 리포머 운동기구
KR102349640B1 (ko) 레그 탄력 리프트 기구
US5261821A (en) Training device for martial arts
KR200451101Y1 (ko) 하체 운동기구
KR101538235B1 (ko) 실외용 멀티 운동기구
US4182509A (en) Exercise device
KR200416280Y1 (ko) 상, 하체 운동을 복합적으로 할 수 있는 스텝퍼 운동기구
KR100408628B1 (ko) 진동 안마장치
KR102611755B1 (ko) 스윙보드
JP3231099U (ja) ギターの支持具
KR200489829Y1 (ko) 운동기구 겸용 그네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