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4020A - Tire - Google Patents

T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4020A
KR20210084020A KR1020190176898A KR20190176898A KR20210084020A KR 20210084020 A KR20210084020 A KR 20210084020A KR 1020190176898 A KR1020190176898 A KR 1020190176898A KR 20190176898 A KR20190176898 A KR 20190176898A KR 20210084020 A KR20210084020 A KR 20210084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absorbing layer
noise absorbing
noise
t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8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18398B1 (en
Inventor
김성우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6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398B1/en
Publication of KR20210084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40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3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18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 B60C9/20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 B60C9/2003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the belt cords
    • B60C9/2009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the belt cords comprising plies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002Noise damping elements provided in the tyre structure or attached thereto, e.g. in the tyre in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18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 B60C9/20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built-up from rubberised plies each having all cord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 B60C2009/2061Physical properties or dimensions of the belt coating rubber
    • B60C2009/207Double layers, e.g. using different rubbers in the same belt 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tire. The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read unit in contact with the ground; a sidewall unit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tread unit; and a bead unit extending from the sidewall unit. The tire includes: a belt layer disposed under the tread unit and extending in a width direction of the tire; a body ply disposed under the belt layer, extending to the sidewall unit, and turned up in the bead unit; a noise absorbing layer disposed on the belt layer and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ire; and a cap ply disposed on the noise absorbing layer and covering both ends of the belt lay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the tire capable of minimizing a noise generated during driving.

Description

타이어 {Tire}tire {Ti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tires.

사용자들이 운행하는 차량은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 타이어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구동에 큰 영향을 주고, 특히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핵심 부품 중 하나라 할 수 있다.A vehicle driven by users is composed of many parts, and among them, a tire substantially affects the driving of the vehicle, and in particular, it can be said to be one of the key parts for securing the safety of the user.

타이어에 요구되는 성능은 다양하다. 예를 들어, 젖은 노면에서 타이어의 그립 성능, 주행 가능한 거리(마일리지)의 향상을 위한 마모 성능, 적은 연료로도 먼 거리를 주행할 수 있는 연비 성능이 대표적이다.The performance requirements for tires vary. For example, the grip performance of the tire on a wet road surface, the abrasion performance to improve the driving distance (mileage), and the fuel efficiency performance that can drive a long distance with less fuel are representative.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rt is technical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inventor for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be a known technique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주행 중에 생성되는 노이즈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타이어를 제공한다.SUMM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tire capable of minimizing noise generated during driving.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지면과 접촉하는 트레드부와, 상기 트레드부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사이드월부와, 상기 사이드월부에서 연장되는 비드부를 가지는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벨트층과, 상기 벨트층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사이드월부로 연장되되, 상기 비드부에서 턴업되는 바디 플라이와, 상기 벨트층 위에 배치되며,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노이즈 흡수층, 및 상기 노이즈 흡수층 위에 배치되며, 상기 벨트층의 양단을 커버하는 캡 플라이를 포함하는 타이어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ire having a tread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round, sidewall portions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tread portion, and a bead portion extending from the sidewall portion, disposed under the tread portion, A belt layer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disposed under the belt layer, extending to the sidewall portion, and turning up at the bead portion, a noise disposed on the belt layer and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ire Provided is a tire comprising: an absorbing layer; and cap plies disposed on the noise absorbing layer and covering both ends of the belt layer.

또한, 상기 노이즈 흡수층은 상기 트레드부의 고부 조성물보다 경도가 낮은 고무 조성물로 형성되되, 스틸 코드나 나이론 코드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noise absorbing layer may be formed of a rubber composition having a lower hardness than the high portion composition of the tread part, but a steel cord or a nylon cord may not be disposed.

또한, 상기 노이즈 흡수층은 상기 트레드부의 폭 방향의 중심에서 양단으로 두께가 줄어들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noise absorbing layer may be reduced from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ead to both ends.

또한, 상기 노이즈 흡수층은 상기 트레드부의 폭 방향의 중심에서 양단으로 단차지도록 형성되되, 각 단은 상기 트레드부의 중심에서 양단으로 두께가 줄어들 수 있다.In addition, the noise absorbing layer may be formed to have a step difference from the center of the tread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to both ends, and each end may have a reduced thickness from the center to both ends of the tread portion.

또한, 상기 노이즈 흡수층은 상기 벨트층과 접촉하는 제1 흡수 시트, 및 상기 제1 흡수 시트의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흡수 시트보다 폭방향의 길이가 짧은 제2 흡수 시트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ise absorbing layer may include a first absorbent sheet in contact with the belt layer, and a second absorbent sheet disposed on the first absorbent sheet and having a length shorter in a width direction than the first absorbent sheet.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는 트레드부의 아래에 노이즈 흡수층이 형성되어, 주행중에 생성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노이즈 흡수층은 경도가 낮은 고무 조성물로 형성되고, 내부에 스틸 코드나 나일론 코드가 배치되지 않아, 주행중에 발생하는 충격 및 소음이 효과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In the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oise absorbing layer is formed under the tread, so that noise generated during driving can be effectively reduced. The noise absorbing layer is formed of a rubber composition with low hardness, and no steel cord or nylon cord is disposed therein, so that the impact and noise generated during driving can be effectively disper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는 노이즈 흡수층이 벨트층의 위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므로, 벨트층으로 전달되는 충격 및 소음을 흡수하여, 노이즈 량을 줄일 수 있다.In the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noise absorbing layer is dispos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belt layer, the amount of noise can be reduced by absorbing the impact and noise transmitted to the belt lay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흡수층()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II-II of FIG. 1 .
3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 enlarged area A of FIG. 2 .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ir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ir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noise absorbing layer (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not in a limiting sense.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n the following examples,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s that the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re present, and the possibility of adding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is not excluded in advance.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when it is said that a part such as a film, region, or component is on or on another part, it is not only when it is directly on the other part, but also another film, region, component, etc. is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there is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drawings, the size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indic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ba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i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II-II of FIG. 1, and FIG.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rea A of FIG. It is also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 사이드월부(120), 비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3 , the tire 100 may include a tread part 110 , a sidewall part 120 , and a bead part 130 .

트레드부(110)는 지면과 접지면을 가지며, 복수개의 그루브에 의해서 구획되는 트레드 블록(TB)을 가질 수 있다. 트레드 블록(TB)은 차량의 주행시에 지면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타이어(100)의 반경방향으로 일주하는 제1 그루브(115)와, 타이어(100)의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그루브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The tread 110 may have a ground and a ground plane, and may have a tread block TB partitioned by a plurality of grooves. The tread block TB is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round when the vehicle is driven, and is formed by a first groove 115 circumferentially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ire 100 and a second groove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tire 100 . can be partitioned.

트레드부(110)의 아래에는 바디 플라이(140), 벨트층(150), 노이즈 흡수층(160), 캡 플라이(170) 및 이너라이너(180)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A body ply 140 , a belt layer 150 , a noise absorbing layer 160 , a cap ply 170 , and an inner liner 180 may be included under the tread 110 .

사이드월부(120)는 트레드부(110)와 비드부(130) 사이를 연결한다. The sidewall part 120 connects between the tread part 110 and the bead part 130 .

비드부(130)는 사이드월부(120)의 단부에 구비되며, 타이어(100)를 차량의 림에 장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비드부(130)는 비드 코어(131)와 비드 필러(132)를 구비할 수 있다.The bead part 130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sidewall part 120 and serves to mount the tire 100 to the rim of the vehicle. The bead part 130 may include a bead core 131 and a bead filler 132 .

비드 코어(131)는 비드 필러(132)의 아래에 배치되며, 고무가 코팅된 강철 비드 코드(와이어)를 복수개 꼬아 형성될 수 있다. The bead core 131 is disposed under the bead filler 132 and may be formed by twisting a plurality of rubber-coated steel bead cords (wires).

비드부(130)는 비드 필러(132)를 포함하고, 비드 필러(132)는 비드 코어(131)로부터 사이드월부(120)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비드 필러(132)는 비드 코어(131)의 일측에 부착된 고무 충전재로서, 비드 코어(131)를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른 실시예로 비드 필러(132)는 복수개가 서로 다른 물성을 가질 수 있다.The bead part 130 may include a bead filler 132 , and the bead filler 132 may be disposed to extend from the bead core 131 in the sidewall part 120 direction. The bead filler 132 is a rubber filler attached to one side of the bead core 131 , and serves to reinforce the bead core 131 . In another embodiment, a plurality of bead fillers 132 may have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바디 플라이(140)는 트레드부(110), 사이드월부(120) 및 비드부(130)를 따라 연장되어, 타이어(100)의 골격을 형성한다. 바디 플라이(140)는 일정한 고무 성분 내부에 바디 플라이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바디 플라이(140)는 벨트층(150)의 아래에 배치되고, 사이드월부(120)로 연장되어 비드부(130)에서 턴업되되, 내부에 바디 플라이 코드를 가질 수 있다. The body ply 140 extends along the tread part 110 , the sidewall part 120 , and the bead part 130 to form a skeleton of the tire 100 . The body ply 14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body ply cord is included in a certain rubber component. The body ply 140 is disposed under the belt layer 150 , is extended to the sidewall part 120 and turned up in the bead part 130 , and may have a body ply cord therein.

바디 플라이(140)는 비드부(130)에서 턴업되므로, 바디 플라이(140)에 의해서 둘러싸인 내부공간이 생성될 수 있다. 바디 플라이(140)는 비드부(130)에서 턴업되어 사이드월부(120)를 향하여 연장되고, 단부(140E)는 바디 플라이(140)와 연결되어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 공간에는 비드 코어(131)와 비드 필러(132)가 배치된다. Since the body ply 140 is turned up in the bead part 130 , an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body ply 140 may be created. The body ply 140 is turned up in the bead part 130 and extends toward the side wall part 120 , and the end 140E is connected to the body ply 140 to form an internal space. A bead core 131 and a bead filler 132 ar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바디 플라이(140)는 스틸 또는 폴리에스터, 레이온 등과 같은 고강도 섬유 유기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코드지를 겹친 후,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body ply 140 may be formed by overlapping a plurality of cord papers made of a high-strength fiber organic material such as steel, polyester, rayon, or the like, and then coating it with rubber and rolling it.

구체적으로,바디 플라이(140)는 합성 고무 및 천연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고무 성분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이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이어 코드로는 다양한 천연 섬유 또는 레이온,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및 케블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복수개의 가느다란 철사를 꼬아서 형성한 스틸 코드(steel cord)도 사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ody ply 140 includes one or more rubber compon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ynthetic rubber and natural rubber,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tire cords. As the tire cord, various natural fibers or rayon, nylon, polyester, and Kevlar may be used, and a steel cord formed by twisting a plurality of thin wires may also be used.

벨트층(150)은 제1 벨트층(151)과 제2 벨트층(152)을 구비하고, 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개가 타이어(100)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스틸 코드를 구비할 수 있다.The belt layer 150 includes a first belt layer 151 and a second belt layer 152 , at least one of which extend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them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ire 100 . A steel cord may be provided.

제1 벨트층(151)은 트레드부(110)의 아래에 배치되며, 차량의 주행시 노면 충격을 감소시키고 바디 플라이(140)를 보호한다. 제1 벨트층(151)은 이너라이너(180)의 상부에 배치되며, 기 설정된 폭을 가질 수 있다. 제2 벨트층(152)은 제1 벨트층(151)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 벨트층(151)보다 폭 방향의 길이가 짧은 기 설정된 폭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belt layer 151 is disposed under the tread unit 110 , reduces road impact when the vehicle is driving, and protects the body fly 140 . The first belt layer 151 is disposed on the inner liner 180 and may have a preset width. The second belt layer 152 is disposed on the first belt layer 151 , and may have a predetermined width shorter than tha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belt layer 151 .

노이즈 흡수층(160)은 벨트층(150)의 위에 배치되며, 타이어(100)의 폭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노이즈 흡수층(160)은 타이어(100)의 주행중에 생성되는 노이즈를 흡수하여, 주행 소음을 줄일 수 있다.The noise absorbing layer 160 is disposed on the belt layer 150 and may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ire 100 . The noise absorbing layer 160 may absorb noise generated during driving of the tire 100 to reduce driving noise.

노이즈 흡수층(160)은 연질의 고무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노이즈 흡수층(160)을 형성하는 고무 조성물은 트레드부(110)의 고무 조성물 보다 경도가 낮을 수 있다. 또한, 노이즈 흡수층(160)은 벨트층(150)을 이루는, 즉 벨트 코드에 토핑되는 고무 조성물보다 경도가 낮을 수 있다. 또한, 노이즈 흡수층(160)은 바디 플라이(140)나 이너라이너(180)를 이루는 고무 조성물보다 경도가 낮을 수 있다. 노이즈 흡수층(160)은 경도가 매우 적은 고무로 형성되어, 주행중에 발생하는 소음을 흡수 할 수 있다. 노이즈 흡수층(160)은 노이즈 흡수층(160)의 외측을 커버하는 벨트층(150)의 토핑된 고무 조성물, 캡 플라이(170)의 고무 조성물 보다 경도가 낮게 형성되어, 벨트층(150)으로 전달되거나, 벨트층(150)에서 전달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The noise absorbing layer 160 may be formed of a soft rubber composition. In an embodiment, the rubber composition forming the noise absorbing layer 160 may have a lower hardness than the rubber composition of the tread unit 110 . Also, the noise absorbing layer 160 may have a lower hardness than the rubber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belt layer 150 , that is, topping the belt cord. Also, the noise absorbing layer 160 may have a lower hardness than the rubber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body ply 140 or the inner liner 180 . The noise absorbing layer 160 is formed of rubber with very low hardness, and can absorb noise generated during driving. The noise absorbing layer 160 is formed to have a lower hardness than the topping rubber composition of the belt layer 150 covering the outside of the noise absorbing layer 160 and the rubber composition of the cap ply 170 , and is transmitted to the belt layer 150 or , it is possible to reduce noise transmitted from the belt layer 150 .

일 실시예로, 노이즈 흡수층(160)은 스틸 코드나 나이론 코드가 내부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노이즈 흡수층(160)은 바디 플라이(140), 벨트층(150)과 달리, 오로지 고무층으로만 형성될 수 있다. 바디 플라이(140)는 타이어(100)의 골격을 유지하기 위해서 플라이 코드가 내부에 포함되고, 벨트층(150)은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서 벨트 코드가 내부에 배치된다. In an embodiment, the noise absorbing layer 160 may not have a steel cord or a nylon cord disposed therein. Unlike the body ply 140 and the belt layer 150 , the noise absorbing layer 160 may be formed of only a rubber layer. The body ply 140 includes a ply cord to maintain the skeleton of the tire 100 , and the belt layer 150 includes a belt cord to absorb impact.

일 실시예로, 노이즈 흡수층(160)은 이너라이너(180)보다 공기 투과율은 높다. 이너라이너(180)는 내부 공기의 밀폐를 위해서 밀폐성을 가지는 부재로 형성되고, 상대적으로 형상 변형율이 매우 낮다. 그러나, 노이즈 흡수층(160)은 이너라이너(180)보다 공기 투과율은 높지만, 가요성인 소재로 형성되므로, 트레드부(110)의 형상 변화에 대응하여 그 형상이 변화할 수 있고, 소음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noise absorbing layer 160 has a higher air permeability than the inner liner 180 . The inner liner 180 is formed of a member having airtightness to seal the internal air, and has a relatively low rate of shape deformation. However, since the noise absorbing layer 160 has a higher air permeability than the inner liner 180, but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its shape can change in response to a shape change of the tread 110, and noise can be effectively reduced. have.

일 실시예로, 노이즈 흡수층(160)은 타이어(100)의 반경방향으로 소정의 제1 두께(t1)를 가질 수 있다. 노이즈 흡수층(160)의 제1 두께(t1)는 벨트층(150)의 제2 두께(t2)보다 작으며, 캡 플라이(170)의 제3 두께(t3)보다는 크거나 실질적으로 같을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noise absorbing layer 160 may have a predetermined first thickness t1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ire 100 . The first thickness t1 of the noise absorbing layer 160 may be smaller than the second thickness t2 of the belt layer 150 , and may be greater than or substantially equal to the third thickness t3 of the cap ply 170 .

일 실시예로, 노이즈 흡수층(160)은 타이어(100)의 폭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L)을 가질 수 있다. 노이즈 흡수층(160)은 벨트층(150)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노이즈 흡수층(160)이 벨트층(150)보다 짧으므로, 캡 플라이(170)가 노이즈 흡수층(160)을 전체 커버하고, 노이즈 흡수층(160)이 분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노이즈 흡수층(160)은 트레드부(110)의 아래에서, 타이어(100)의 반경방향으로 일주하는 제1 그루브(115)을 모두 커버하도록 L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noise absorbing layer 160 may have a predetermined length L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ire 100 . The noise absorbing layer 160 may be formed shorter than the belt layer 150 . Since the noise absorbing layer 160 is shorter than the belt layer 150 , the cap ply 170 completely covers the noise absorbing layer 160 , an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noise absorbing layer 160 from being separated. The noise absorbing layer 160 may extend under the tread part 110 with a length of L so as to cover all of the first grooves 115 circumferentially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ire 100 .

캡 플라이(170)는 노이즈 흡수층(160) 위에 배치되며, 벨트층(150)의 양단을 커버할 수 있다. 캡 플라이(170)는 부착되는 특수코드지로 주행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캡 플라이(170)는 일 예로 폴리에스테르 합성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cap ply 170 is disposed on the noise absorbing layer 160 and may cover both ends of the belt layer 150 . The cap ply 170 is a special cord paper attached to it, and performance can be improved during driving. The cap ply 170 may include, for example, polyester synthetic fibers.

일 실시예로, 캡 플라이(170)는 노이즈 흡수층(160)의 상면을 전체 커버하고, 제1 벨트층(151)의 단부와, 제2 벨트층(152)의 단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캡 플라이(170)가 노이즈 흡수층(160)의 전면을 커버하므로, 노이즈 흡수층(160)이 주행 중에 벨트층(15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캡 플라이(170)는 연질의 노이즈 흡수층(16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ap ply 170 may be disposed to cover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noise absorbing layer 160 , and to cover an end of the first belt layer 151 and an end of the second belt layer 152 . . Since the cap ply 170 covers the front surface of the noise absorbing layer 160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noise absorbing layer 16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elt layer 150 while driving. In addition, the cap ply 170 may prevent the soft noise absorbing layer 160 from being damaged.

다른 실시예로, 캡 플라이(170)는 노이즈 흡수층(160)의 단부와, 제1 벨트층(151)의 단부와, 제2 벨트층(152)의 단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캡 플라이(170)는 노이즈 흡수층(160)의 단부가 세퍼레이션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노이즈 흡수층(160)은 트레드부(110)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므로, 트레드부(110)에서 전달되는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cap ply 170 may be disposed to cover an end of the noise absorbing layer 160 , an end of the first belt layer 151 , and an end of the second belt layer 152 . The cap ply 170 may prevent the end of the noise absorbing layer 160 from being separated. Since the noise absorbing layer 160 is disposed directly under the tread unit 110 ,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absorb noise transmitted from the tread unit 110 .

이너라이너(180)는 타이어(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의 누출을 방지하고, 타이어(100) 내의 공기압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이너라이너(180)는 타이어(100)의 외부의 수분을 포함하는 공기가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너라이너(180)는 밀폐성이 우수한 고무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이너라이너(180)는 부틸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nner liner 180 may be disposed inside the tire 100 to prevent air leakage and maintain air pressure in the tire 100 . Also, the inner liner 180 may prevent the air containing moisture from the outside of the tire 100 from penetrating into the inside. The inner liner 180 may be formed of a rubber layer having excellent sealing properties. For example, the inner liner 180 may be made of butyl rubber or the lik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의 아래에 노이즈 흡수층(160)이 형성되어, 주행중에 생성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노이즈 흡수층(160)은 경도가 낮은 고무 조성물로 형성되고, 내부에 스틸 코드나 나일론 코드가 배치되지 않아, 주행중에 발생하는 충격 및 소음이 효과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In the tir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ise absorbing layer 160 is formed under the tread 110, so that noise generated during driving can be effectively reduced. The noise absorbing layer 160 is formed of a rubber composition having a low hardness, and no steel cord or nylon cord is disposed therein, so that the impact and noise generated during driving can be effectively disper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100)는 노이즈 흡수층(160)이 벨트층(150)의 위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므로, 벨트층(150)으로 전달되는 충격 및 소음을 흡수하여, 노이즈 량을 줄일 수 있다. In the ti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noise absorbing layer 160 is dispos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belt layer 150 , it absorbs the impact and noise transmitted to the belt layer 150 to reduce the amount of noise. ca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20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ir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타이어(200)는 복수개의 흡수 시트를 가지는 노이즈 흡수층(260)을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tire 200 may include a noise absorbing layer 260 having a plurality of absorbing sheets.

벨트층(150)의 상부에 복수층의 노이즈 흡수 시트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노이즈 흡수층(260)은 벨트층(150)과 접촉하는 제1 흡수 시트(261)와, 제1 흡수 시트(261)의 위에 배치되는 제2 흡수 시트(262)를 구비할 수 있다.A plurality of noise absorbing sheets may be disposed on the belt layer 150 . In an embodiment, the noise absorbing layer 260 may include a first absorbing sheet 261 in contact with the belt layer 150 and a second absorbing sheet 262 disposed on the first absorbing sheet 261 . have.

제1 흡수 시트(261)는 타이어(200)의 폭 방향으로 L1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제2 흡수 시트(262)는 L1보다 짧은 L2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타이어(200)의 노이즈는 트레드부(210)의 중앙에서 강하게 형성된다. 흡수 시트를 타이어(200)의 폭방 향의 중심에 다층으로 배치하여, 주행 중에 생성되는 노이즈 및 충격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The first absorbent sheet 261 may have a length of L1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ire 200 , and the second absorbent sheet 262 may have a length of L2 that is shorter than L1 . The noise of the tire 200 is strongly formed in the center of the tread portion 210 . By disposing the absorbent sheet in multiple layers at the center of the tire 200 in the width direction, noise and impact generated during driving can be effectively reduc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200)는 트레드부(210)의 아래에 노이즈 흡수층(260)이 형성되어, 주행중에 생성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노이즈 흡수층(260)은 복수의 흡수 시트를 구비하여, 트레드부(210)에서 전달되는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In the tire 2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ise absorbing layer 260 is formed under the tread 210 to effectively reduce noise generated during driving. The noise absorbing layer 260 may include a plurality of absorbing sheets to effectively remove noise transmitted from the tread unit 210 .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30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ire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타이어(300)는 두께가 변화하는 노이즈 흡수층(360)을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tire 300 may include a noise absorbing layer 360 of varying thickness.

노이즈 흡수층(360)은 타이어(300)의 폭방향의 중심에서는 상대적으로 두께운 두께(tc)를 가지나, 양단부로 갈수로 두께(te)가 감소할 수 있다. The noise absorbing layer 360 has a relatively thick thickness tc at the center of the tire 300 in the width direction, but the thickness te may decrease toward both ends.

타이어(300)의 노이즈는 트레드부(310)의 중앙에서 강하게 형성된다. 강한 노이즈 및 충격이 생성되는 트레드부(310)의 중앙에는, 중앙부(361)의 두께를 크게 tc로 형성하고, 상대적으로 노이즈 및 충격이 약한 트레드부(310)의 단부에는 에지부(362)의 두께를 얇게 te로 형성할 수 있다. The noise of the tire 300 is strongly formed in the center of the tread part 310 . In the center of the tread portion 310 where strong noise and impact are generated, the thickness of the central portion 361 is formed as large as tc, and at the end of the tread portion 310 where noise and impact are relatively weak, the edge portion 362 is It can be formed as thin as te.

노이즈 흡수층(360)의 중앙부(361)는 두껍게 형성되고, 트레드부(310)에서 가깝게 배치되므로, 주행중에 트레드부(310)에서 전달되는 노이즈 및 충격을 쉽게 흡수할 수 있다. 노이즈 흡수층(360)의 에지부(362)는 얇게 형성되므로, 캡 플라이(170)가 에지부(362)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노이즈 흡수층(36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central portion 361 of the noise absorbing layer 360 is thick and disposed close to the tread portion 310 , it is possible to easily absorb noise and impact transmitted from the tread portion 310 while driving. Since the edge portion 362 of the noise absorption layer 360 is formed to be thin, the cap ply 170 may firmly fix the edge portion 362 to prevent the noise absorption layer 360 from being separ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300)는 트레드부(310)의 아래에 노이즈 흡수층(360)이 형성되어, 주행중에 생성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노이즈 흡수층(360)은 트레드부(310)의 중앙에서 가장 두껍게 형성되고, 양단으로 갈수로 얇게 형성되어, 트레드부(310)에서 전달되는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노이즈 흡수층(36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tire 3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ise absorbing layer 360 is formed under the tread 310 to effectively reduce noise generated during driving. The noise absorbing layer 360 is formed to be thickest in the center of the tread portion 310 and thinly formed at both ends to effectively remove noise transmitted from the tread portion 310, and to separate the noise absorption layer 360 can be prevented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40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ire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타이어(400)의 노이즈 흡수층(460)은 트레드부(410)의 폭 방향의 중심에서 양단으로 단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노이즈 흡수층(460)은 트레드부(410)의 중심에서 양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줄어들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noise absorbing layer 460 of the tire 400 may be formed to be stepped from the center of the tread part 410 in the width direction to both ends. The noise absorbing layer 460 may decrease in thickness from the center of the tread portion 410 to both ends.

노이즈 흡수층(460)의 단차는 복수개로 설정되며, 특정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노이즈 흡수층(460)은 3개의 단차를 가지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step difference of the noise absorbing layer 460 is set to a plurality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number. Howev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 embodiment in which the noise absorbing layer 460 has three steps will be mainly described.

일 실시예에서, 노이즈 흡수층(460)은 트레드부(410)의 중앙에 배치되는 중앙단(461), 중앙단(461)에서 연결되는 미들단(462), 및 미들단(462)에서 연결되는 숄더단(463)을 구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noise absorbing layer 460 includes a central end 461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tread portion 410 , a middle end 462 connected from the central end 461 , and a middle end 462 connected at the middle end 462 . A shoulder end 463 may be provided.

중앙단(461)은 가장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중앙단(461)은 두껍게 형성되므로, 트레드부(410)의 중앙에서 생성되는 강한 노이즈 및 충격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The central end 461 may have the thickest thickness. Since the central end 461 is formed to be thick,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duce strong noise and impact generated in the center of the tread portion 410 .

미들단(462)은 중앙단(461)의 두께보다 작으나, 숄더단(463)의 두께보다는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미들단(462)은 소정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미들 트레드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The middle end 462 may have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entral end 461 , but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houlder end 463 . The middle end 462 may extend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for example, may be dispos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middle tread.

숄더단(463)은 가장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숄더단(463)은 트레드부(410)의 숄더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숄더단(463)은 얇은 두께로 형성되므로, 캡 플라이(170)에 의해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숄더단(463)이 벨트층(150)에서 분리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The shoulder end 463 may be formed to have the thinnest thickness. The shoulder end 463 may be dispos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houlder portion of the tread portion 410 . Since the shoulder end 463 is formed to have a thin thickness, it may be firmly fixed by the cap ply 170 , and separation of the shoulder end 463 from the belt layer 150 may be minimiz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400)는 트레드부(410)의 아래에 노이즈 흡수층(460)이 형성되어, 주행 중에 생성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노이즈 흡수층(460)은 트레드부(410)의 중앙에서 양단으로 갈수록 단차지도록 형성되며, 트레드부(410)에서 전달되는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노이즈 흡수층(46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tire 4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ise absorbing layer 460 is formed under the tread portion 410 to effectively reduce noise generated during driving. The noise absorbing layer 460 is formed to be stepped from the center of the tread part 410 toward both ends, and may effectively remove noise transmitted from the tread part 410 and prevent the noise absorbing layer 460 from being separated.

캡 플라이(170)는 단차진 노이즈 흡수층(460)을 커버하되, 상면에 단차지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6과 같이, 캡 플라이(170)의 내면은 노이즈 흡수층(460)의 단차에 대응한 형상을 가지나, 캡 플라이(170)의 외면은 대략 만곡되게 배치될 수 있다. 캡 플라이(170)가 노이즈 흡수층(460)의 단차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노이즈 흡수층(460)을 견고하게 커버할 수 있으며, 노이즈 흡수층(460)의 표면에 단차가 없도록 하여, 캡 플라이(170)이나 노이즈 흡수층(460)이 찢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ap ply 170 may cover the stepped noise absorbing layer 460 but may be disposed so as not to have a step difference on the top surface. As shown in FIG. 6 , the inner surface of the cap ply 170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tep difference of the noise absorbing layer 460 , but the outer surface of the cap ply 170 may be approximately curved. The cap ply 17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tep difference of the noise absorbing layer 460 , so that the noise absorbing layer 460 can be firmly covered, and there is no step on the surface of the noise absorbing layer 460 , so that the cap ply 170 is formed. Howev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noise absorbing layer 460 from being torn.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흡수층(560)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noise absorbing layer 56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노이즈 흡수층(560)은 복수개의 개구(565)를 포함할 수 있다. 노이즈 흡수층(560)은 밸트층()의 상부에 배치되되, 복수개의 개구(565)를 구비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개구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개구는 랜덤하게 배치되거나, 특정한 영역에만 배치될 수 있다. 노이즈 흡수층(560)은 전술한 노이즈 흡수층(160, 260, 360, 460)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단면 및 두께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noise absorbing layer 560 may include a plurality of openings 565 . The noise absorbing layer 560 is disposed on the belt layer ( ),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openings 565 . Although FIG. 7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opening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penings may be arranged randomly or only in a specific region. The noise absorbing layer 560 may have the cross-section and thickness of any one of the aforementioned noise absorbing layers 160 , 260 , 360 , and 46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는 트레드부의 아래에 노이즈 흡수층(560)이 형성되어, 주행 중에 생성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주행 중에 생성되는 노이즈는 노이즈 흡수층(560)에 흡수될 수 있으며, 특히 개구(565)에 의해서 간섭 및 산란되어 노이즈가 소멸될 수 있다.In the ti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ise absorbing layer 560 is formed under the tread, so that noise generated during driving can be effectively reduced. Noise generated during driving may be absorbed by the noise absorbing layer 560 , and in particular, may be interfered with and scattered by the opening 565 so that the noise may be elimina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타이어
110: 트레드부
120: 사이드 월부
130: 비드부
140: 바디플라이
150: 벨트층
160: 노이즈 흡수층
170: 캡 플라이
180: 이너라이너
100: tire
110: tread part
120: side wall portion
130: bead unit
140: body fly
150: belt layer
160: noise absorbing layer
170: cap fly
180: inner liner

Claims (5)

지면과 접촉하는 트레드부와, 상기 트레드부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사이드월부와, 상기 사이드월부에서 연장되는 비드부를 가지는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벨트층;
상기 벨트층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사이드월부로 연장되되, 상기 비드부에서 턴업되는 바디 플라이;
상기 벨트층 위에 배치되며, 상기 타이어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노이즈 흡수층; 및
상기 노이즈 흡수층 위에 배치되며, 상기 벨트층의 양단을 커버하는 캡 플라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A tire having a tread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round, sidewall portions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tread portion, and bead portions extending from the sidewall portion, the tire comprising:
a belt layer disposed under the tread and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ire;
a body ply disposed under the belt layer and extending to the sidewall part, which is turned up in the bead part;
a noise absorbing layer disposed on the belt layer and extending in a width direction of the tire; and
and a cap ply disposed on the noise absorbing layer and covering both ends of the belt lay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흡수층은
상기 트레드부의 고부 조성물보다 경도가 낮은 고무 조성물로 형성되되, 스틸 코드나 나이론 코드가 배치되지 않는,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1,
The noise absorbing layer is
The tire is formed of a rubber composition having a lower hardness than the high portion composition of the tread, and a steel cord or a nylon cord is not dispos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흡수층은
상기 트레드부의 폭 방향의 중심에서 양단으로 두께가 줄어드는,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1,
The noise absorbing layer is
The tire, the thickness of which decreases from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ead to both end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흡수층은
상기 트레드부의 폭 방향의 중심에서 양단으로 단차지도록 형성되되, 각 단은 상기 트레드부의 중심에서 양단으로 두께가 줄어드는,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1,
The noise absorbing layer is
The tire is formed to have a step difference from the center of the tread portion to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and each end has a thickness decreasing from the center of the tread portion to both end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흡수층은
상기 벨트층과 접촉하는 제1 흡수 시트; 및
상기 제1 흡수 시트의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흡수 시트보다 폭방향의 길이가 짧은 제2 흡수 시트;를 구비하는, 타이어.
According to claim 1,
The noise absorbing layer is
a first absorbent sheet in contact with the belt layer; and
and a second absorbent sheet disposed on the first absorbent sheet and having a length in a width direction shorter than that of the first absorbent sheet.
KR1020190176898A 2019-12-27 2019-12-27 Tire KR1023183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898A KR102318398B1 (en) 2019-12-27 2019-12-27 T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898A KR102318398B1 (en) 2019-12-27 2019-12-27 T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020A true KR20210084020A (en) 2021-07-07
KR102318398B1 KR102318398B1 (en) 2021-10-28

Family

ID=76862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898A KR102318398B1 (en) 2019-12-27 2019-12-27 T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839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2606A (en) * 1994-11-15 1996-06-04 Sumitomo Rubber Ind Ltd Pneumatic radial tire
KR20180080213A (en) * 2016-12-07 2018-07-11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neumatic ti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2606A (en) * 1994-11-15 1996-06-04 Sumitomo Rubber Ind Ltd Pneumatic radial tire
KR20180080213A (en) * 2016-12-07 2018-07-11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neumatic t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8398B1 (en) 202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8398B1 (en) Tire
JP2009029277A (en) Pneumatic tire
JP3774711B2 (en) Pneumatic radial tire
JP2007001401A (en) Pneumatic tire
KR101890371B1 (en) pneumatic tire
KR102291034B1 (en) Tire
JP2019182195A (en) Run flat tire
KR102082950B1 (en) Pneumatic tire
KR102304425B1 (en) Tire
KR102425078B1 (en) Tire
KR102030013B1 (en) Pneumatic tire
KR102350629B1 (en) T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78587B1 (en) Tire
KR102605834B1 (en) Tire
KR10218262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bead core of pneumatic tire
KR102304424B1 (en) Tire and tire assembly
KR102099916B1 (en) Attachable weight body and tire comprising the same
KR102097076B1 (en) Pneumatic tire
KR102118105B1 (en) Pneumatic tire
KR101775105B1 (en) Tire
KR102149457B1 (en) Pneumatic tire
KR102303271B1 (en) Tire
JP6075165B2 (en) Pneumatic tire
KR102287885B1 (en) Tire
WO2021117612A1 (en) Pneumatic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