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3828A - 반추동물의 반추위 내 내생독소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반추동물의 반추위 내 내생독소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3828A
KR20210083828A KR1020190176497A KR20190176497A KR20210083828A KR 20210083828 A KR20210083828 A KR 20210083828A KR 1020190176497 A KR1020190176497 A KR 1020190176497A KR 20190176497 A KR20190176497 A KR 20190176497A KR 20210083828 A KR20210083828 A KR 20210083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otoxin
composition
rumen
mammals
inhib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6654B1 (ko
Inventor
최낙진
원미영
조승열
장명봉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76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654B1/ko
Publication of KR20210083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6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Abstract

본 발명은 반추동물의 반추위 내 내생독소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아로니아 착즙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포유동물, 바람직하게는 반추동물의 반추위 내 내생독소를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추동물의 반추위 내 내생독소 억제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nhibiting endotoxin in rumen of ruminant animals}
본 발명은 포유동물, 바람직하게는 반추동물의 반추위 내 내생독소를 억제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축산업에서 반추동물은 고기를 생산하기 위한 육우와 우유를 생산하기 위한 유우 등이 포함된다. 반추동물은 초식동물로서 목초와 같은 식물을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나, 생산성 향상의 목적으로 목초와 같은 식물과 옥수수, 보리, 비트펄프 및 면실과 같은 곡류사료 등도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목초와 같은 식물과 곡류사료를 혼합하여 하나의 사료를 구성하는 것을 섬유질 완전배합사료라고 한다.
반추동물은 돼지 및 닭과 같은 단위동물과 다르게 거대하고 복잡한 구조의 위를 가지고 있다. 반추동물의 위는 크게 4개의 구획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제1 위와 제2 위를 합쳐서 반추위(rumen)라고 불리며, 반추위에는 다양한 미생물들이 서식하고 있다. 반추위의 미생물들은 반추동물이 섭취한 목초와 같은 사료작물과 곡류를 발효시켜 휘발성 지방산이라고 하는 짧은 탄소사슬의 지방산을 생산하고, 상기 생성된 휘발성 지방산은 반추위벽으로 흡수되어 반추동물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반추동물이 유지, 성장 및 축산물(고기 및 우유)의 생산을 위하여 사용하는 전체 에너지 70%가 바로 반추위에서 발생되는 휘발성 지방산이다. 따라서 반추위내에서 생산되는 휘발성 지방산의 생산량과 조성은 육우와 유우 등의 생산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에너지가 높은 사료를 공급하면 반추위에서는 미생물들이 스트레스를 받게되고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와 같은 내생독소(endotoxin)를 분비하게 될 뿐만 아니라, 위장관 손상이 발생할 경우 장내세균 및 감염성 합병증이 유발되면서 내생독소(endotoxin)를 분비하게 된다.
반추위에서 생성된 내생독소는 장관장벽을 넘어 장 이외의 기관으로 이동하게 되며, 내생독소혈증(endotoxemia)은 내생독소(endotoxin)가 파급되는 현상을 말한다. 내생독소는 전신 염증반응 증후군(SIRS,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과 패혈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내생독소혈증이 발생하면 장내세균 및 각종 생성물들은 우선 장간막 림프절로 전파되고, 림파계를 따라 흉관으로 이동하여 간, 비장 및 폐 등의 멀리 떨어진 장기까지 전파되기도 하며 간문맥을 통하여 간과 비장을 거쳐 전신혈류로 파급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휘발성 지방산의 생산량에도 영향을 미쳐 육우와 유우 등의 생산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내생독소혈증과 연관된 질환으로는 외상, 대동맥류 수술 및 장관이식술, 폐색성 황달, 급성췌장염, 장관폐색증, 간경변증, 심부전, 종양성 질환, 염증성 장 질환, 폐외 급성호흡부전증(extrapulomonary ARDS), 전신적 염증성 반응 증후군과 폐혈증 등이 있으며, 내생독소혈증은 이러한 질환의 감염성 합병증과도 상관관계가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Adv.Exp.Med.Biol 1999;473:11-30).
따라서, 반추위 미생물들의 기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상태에서 내생독소의 생성을 억제하여 반추동물의 생산성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천연물질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79549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5656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아로니아 착즙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포유동물 내의 내생독소를 억제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로니아 착즙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포유동물 내의 내생독소를 억제할 수 있는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아로니아 착즙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포유동물 내의 내생독소를 억제할 수 있는 동물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 내의 내생독소 억제용 조성물은 아로니아 착즙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로니아 착즙액은 13 내지 20 brix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반추동물의 반추위 내 내생독소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반추동물은 낙타과, 애기사슴과, 사슴과, 기린과 또는 소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한우, 육우, 젖소, 물소, 야크, 가얄 및 밴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 내의 내생독소 억제용 사료 조성물은 아로니아 착즙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조성물은 반추동물의 반추위 내 내생독소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 내의 내생독소 억제용 동물용 약학 조성물은 아로니아 착즙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조성물은 반추동물의 반추위 내 내생독소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로니아 착즙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반추위 내 내생독소를 억제함으로써 상기 내생독소로부터 유발될 수 있는 질환이 발생되지 않도록 애초에 차단할 수 있으므로 사료 조성물, 동물용 약학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아로니아 착즙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료 조성물에 첨가하여 급여하면 사료 에너지가 대부분 반추동물의 성장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포유동물, 바람직하게는 반추동물의 반추위 내 내생독소를 억제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아로니아 착즙액이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 내, 바람직하게는 반추동물의 반추위 내에서 내생독소를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아로니아 착즙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 내의 내생독소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아로니아 착즙액은 포도 착즙액, 포도 물 추출물, 포도 종자 물 추출물, 마키베리 착즙액, 마키베리 물 추출물, 아사이베리 착즙액, 아사이베리 물 추출물 등의 다른 과실류의 착즙액 또는 추출물에 비하여 반추위 내 내생독소를 우수하게 억제시킨다.
특히, 본 발명의 아로니아 착즙액은 아로니아 물 추출물, 아로니아 에탄올 추출물 또는 아로니아 메탄올 추출물에 비해서도 반추위 내 내생독소를 우수하게 억제시킬 수 있다.
상기 아로니아 착즙액은 아로니아를 착즙하여 고형물을 제거한 액상의 물질로서, 아로니아를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그들의 혼합 용매에 의한 추출물로 추출하는 경우에는 반추위 내 내생독소의 억제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아로니아 착즙액의 당도는 13 내지 20 brix,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8 brix이다. 아로니아 착즙액의 당도가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관능성이 저하되고 반추위 내 내생독소의 억제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쓴맛이 강하며 반추위 내 내생독소의 억제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로니아 착즙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 내의 내생독소 억제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아로니아 착즙액 이외에, 식품의 기준 및 규격('식품공전')에 기재된 식품으로 사용가능한 식품 원료, 식품첨가물 공전에 기재된 식품첨가물을 사용할 수 있고, 식품으로 사용가능한 식품 원료 또는 식품첨가물이 아니더라도 '사료 등의 기준 및 규격' 별표 1의 단미사료의 범위에 해당하는 원료, 별표 2의 보조사료의 범위에 해당하는 원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조성물'은 '사료 등의 기준 및 규격'에 따른 보조사료 중 추출제일 수 있고, 상기 보조사료를 포함하는 배합사료일 수 있다.
상기 아로니아 착즙액을 유효성분으로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아로니아 착즙액은 반추위 내 내생독소를 억제할 수 있는 함량이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0.1 내지 99 중량%, 0.5 내지 95 중량%, 1 내지 90 중량%, 2 내지 80 중량%, 3 내지 70 중량%, 4 내지 60 중량%, 5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사료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인 아로니아 착즙액은 섭취 동물의 상태, 체중, 질병의 유무나 정도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들 들어 1일 투여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000 m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0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 mg,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0 mg,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 mg일 수 있고, 투여 횟수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1일 3회 내지 1주일에 1회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조절할 수 있다.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로니아 착즙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 내의 내생독소 억제용 동물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게 상기 조성물을 투여하여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 내의 내생독소 억제를 위한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유동물 내의 내생독소 억제를 위한 동물용 의약 제조를 위한 아로니아 착즙액의 신규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은 유효성분으로 아로니아 착즙액 이외에, 약학 조성물 등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세포 또는 조직 내로의 화합물의 부가를 용이하게 하는 화합물이다. 상기 '희석제'는 대상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형태를 안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화합물을 용해시키게 되는 물에서 희석되는 화합물이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유당, 포도당, 설탕,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의 사용량은 치료대상 동물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치료대상 개체의 상태, 치료 대상 질환의 특정한 카테고리 또는 종류, 투여 경로, 사용되는 치료제의 속성에 의존적일 것이다.
상기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은 체내에서 활성성분의 흡수도, 배설속도, 치료대상 동물의 연령 및 체중, 성별 및 상태, 치료할 질병의 중증정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나, 일반적으로 1일 0.1 내지 1,000 mg/kg,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0 mg/kg,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0 mg/kg,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형화 된 단위 투여형 제제는 필요에 따라 일정시간 간격으로 수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은 개별적으로 예방제 또는 치료제로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상기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트로키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 제형으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형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트로키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 설탕 또는 유당,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포유동물 내의 내생독소 억제를 위한 치료방법은 인간을 제외한 동물, 특히 포유동물에게 상기 조성물을 투여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내생독소를 가진 치료대상 개체에게 상기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이다.
상기 치료를 위한 투여량, 투여 방법 및 투여 횟수는 상기 동물용 약학 조성물 또는 동물용 의약의 투여량, 투여 방법 및 투여 횟수를 참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아로니아 착즙액
세척한 아로니아를 착즙하여 고형물을 제거하고 남은 아로니아 착즙액을 수득하였다. 이때의 당도는 15 brix이다.
비교예 1. 아로니아 물 추출물
세척한 아로니아에 중량 대비 20배수의 정제수를 투입하여 90 ℃의 조건에서 4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후 60 mesh의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하여 아로니아 물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때의 당도는 11 brix이다.
비교예 2. 포도 착즙액
세척한 포도를 착즙하여 고형물을 제거하고 남은 포도 착즙액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3 포도 물 추출물
세척한 포도에 중량 대비 20배수의 정제수를 투입하여 90 ℃의 조건에서 4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후 60 mesh의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하여 포도종자 물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4. 포도 종자 추출물
세척한 포도 종자에 중량 대비 20배수의 정제수를 투입하여 90 ℃의 조건에서 4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후 60 mesh의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하여 포도종자 물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시험예>
대조군 1은 무처리군이며, 대조군 2는 말비딘(malvidin)으로 처리한 군이고, 대조군 3은 AHL(N-acylhomoserine lactone)로 처리한 군이다.
시험예 1. 발효특성 및 내생독소 측정
도축된 육우의 반추위 내용물은 익산 소재의 ㈜축림 도축장에서 도축이 완료된 직후 채취하였다. 상기 채취된 반추위 내용물은 4겹의 cheese cloth를 이용하여 일차적으로 여과 후 보온 용기에 담아 혐기 조건을 유지하였다. 실험 전 CO2를 주사하여 pH 6.5로 조정 후 McDougall's buffer와 여과한 반추위액을 4:1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inoculum으로 사용하였다. McDougall's buffer의 조성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Ingredients 함량(g/L)
NaHCO3 9.80 g
Na2HPO4·2H2O 4.62 g
KCl 0.57 g
NaCl 0.47 g
MgSO4·7H2O 0.12 g
CaCl2 0.00004 g
일반적인 사료 100 g과; 실시예, 비교예 또는 대조군에서 제조된 물질 0.1 g을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 0.5 g을 serum bottle에 넣고 50 ml의 rumen inoculum에 분주하여 밀봉 후 24시간 발효하였다.
1-1. 내성독소(104 EU/ml): 내생독소는 상기 발효물을 LAL Chromogenic Endotoxin Quantitation Kit (Therm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1-2. 발효가스 생성량(ml): 실험용 유리주사기를 이용하여 상기 발효물의 발효가스 양을 측정하였다.
1-3. pH: pH meter(S20 Seven EazyTM, Mettler-Toledo)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4. 암모니아태 질소(mg/dL): 반추위액 내 암모니아태 질소(NH3-N) 함량은 Gas chromatography로 측정하였다.
1-5. 총 휘발성 지방산(mM): 반추위액 내 휘발성지방산(VFA)은 Gas chromatography로 측정하였다.
구분 대조군 1 대조군 2 대조군 3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내생독소 3.85 3.75 3.83 3.48 3.83 3.91 3.81 3.72
발효가스 183.67 165.67 169.67 170.00 168.25 167.21 172.00 171.67
pH 6.07 6.13 6.10 6.11 6.09 6.05 6.14 6.15
암모니아태 질소 13.16 12.46 11.93 12.45 12.12 13.20 12.94 11.49
총휘발성지방산 초산 68.33 64.42 62.33 63.01 64.11 62.11 66.66 63.96
프로피온산 26.30 24.94 24.02 24.74 24.05 23.53 25.93 25.25
뷰틸산 17.65 17.89 17.17 18.30 17.11 17.52 18.39 18.76
발레릭산 6.30 7.21 6.88 7.59 7.00 7.05 7.33 7.86
총량 118.59 114.46 110.39 113.63 112.27 110.21 118.31 115.84
위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아로니아 착즙액은 대조군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비하여 반추위에서 내생독소의 양이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즉, 실시예 1의 아로니아 착즙액이 반추위에서 내생독소 생성을 억제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발효가스는 반추위 내 발효열과 관계가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아로니아 착즙액이 대조군 1에 비하여 발효가스 생성량이 감소한 것은 열발생량이 감소하여 스트레스 완화에 효과가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반추위액의 pH는 시험구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모든 시험구들이 안정적인 반추위 pH인 6.0~7.0 사이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물질이 반추위 발효에 부정적인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반추위 내 암모니아태 질소는 미생물 성장에 도움이 되는 물질이며, 총 휘발성 지방산은 반추동물의 실질적인 에너지원으로 반추위에서 많이 생성될수록 좋은 것으로서, 시험구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아래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착즙액 분말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착즙액 분말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캡슐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착즙액 분말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과립제의 제조
실시예 1의 착즙액 분말 1,0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건강기능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5: 사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의 착즙액 분말 0.1 kg, 옥수수 25.5 kg, 소맥 15.04 kg, 소맥분 8.15 kg, 미강 7.4 kg, 대두박 18 kg, 옥구르텐 1kg, 닭부산물 14 kg, 동물성유지 9 kg, 가공염 0.3 kg, 인산제삼칼슘 0.3 kg, 석회석 1 kg, 염화콜린 0.01 kg, 비타민 0.05 kg, 미네랄 0.05 kg 및 소화효소제 0.1 kg을 혼합하여 동물(반추동물)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Claims (9)

  1. 아로니아 착즙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 내의 내생독소 억제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로니아 착즙액은 13 내지 20 brix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 내의 내생독소 억제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반추동물의 반추위 내 내생독소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 내의 내생독소 억제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추동물은 낙타과, 애기사슴과, 사슴과, 기린과 또는 소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 내의 내생독소 억제용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추동물은 한우, 육우, 젖소, 물소, 야크, 가얄 및 밴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 내의 내생독소 억제용 조성물.
  6. 아로니아 착즙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 내의 내생독소 억제용 사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조성물은 반추동물의 반추위 내 내생독소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 내의 내생독소 억제용 사료 조성물.
  8. 아로니아 착즙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 내의 내생독소 억제용 동물용 약학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 조성물은 반추동물의 반추위 내 내생독소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간을 제외한 포유동물 내의 내생독소 억제용 동물용 약학 조성물.

KR1020190176497A 2019-12-27 2019-12-27 반추동물의 반추위 내 내생독소 억제용 조성물 KR102446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497A KR102446654B1 (ko) 2019-12-27 2019-12-27 반추동물의 반추위 내 내생독소 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497A KR102446654B1 (ko) 2019-12-27 2019-12-27 반추동물의 반추위 내 내생독소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828A true KR20210083828A (ko) 2021-07-07
KR102446654B1 KR102446654B1 (ko) 2022-09-23

Family

ID=76862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497A KR102446654B1 (ko) 2019-12-27 2019-12-27 반추동물의 반추위 내 내생독소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6654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8573A (ko) * 1983-04-25 1984-12-17 김봉호 동물 배합사료
KR101256567B1 (ko) 2012-05-30 2013-04-18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Cms를 이용한 사료가치가 증진된 가축용 사료의 제조방법
KR20140067841A (ko) * 2012-11-27 2014-06-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반추동물 반추위 발효가스 생성 절감을 위한 식물 추출물 복합제 및 그의 용도
US20160058053A1 (en) * 2014-09-02 2016-03-03 Purecircle Sdn Bhd Stevia extracts
KR20160070393A (ko) * 2014-12-10 2016-06-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항균 및 항산화 효과를 갖는 아로니아 발효 주정 추출물 및 이의 용도
US9474292B1 (en) * 2010-09-16 2016-10-25 EvoSci Biotech LLC Nutritional powder including brewer's yeast, aronia extract, and cranberry extract for animals
KR101795499B1 (ko) 2016-12-30 2017-11-10 (주)칼스엔비티 락토바실러스 균주 조합을 이용한 반추동물용 발효 완전배합사료
KR20170135187A (ko) * 2016-05-30 2017-12-08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36620B1 (ko) * 2018-09-18 2019-01-09 주식회사이-글벳 발효공법을 이용한 아로니아 함유 기능성 복합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WO2019131774A1 (ja) * 2017-12-28 2019-07-04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活性酸素産生抑制用組成物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8573A (ko) * 1983-04-25 1984-12-17 김봉호 동물 배합사료
US9474292B1 (en) * 2010-09-16 2016-10-25 EvoSci Biotech LLC Nutritional powder including brewer's yeast, aronia extract, and cranberry extract for animals
KR101256567B1 (ko) 2012-05-30 2013-04-18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Cms를 이용한 사료가치가 증진된 가축용 사료의 제조방법
KR20140067841A (ko) * 2012-11-27 2014-06-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반추동물 반추위 발효가스 생성 절감을 위한 식물 추출물 복합제 및 그의 용도
US20160058053A1 (en) * 2014-09-02 2016-03-03 Purecircle Sdn Bhd Stevia extracts
KR20160070393A (ko) * 2014-12-10 2016-06-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항균 및 항산화 효과를 갖는 아로니아 발효 주정 추출물 및 이의 용도
KR20170135187A (ko) * 2016-05-30 2017-12-08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95499B1 (ko) 2016-12-30 2017-11-10 (주)칼스엔비티 락토바실러스 균주 조합을 이용한 반추동물용 발효 완전배합사료
WO2019131774A1 (ja) * 2017-12-28 2019-07-04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活性酸素産生抑制用組成物
KR101936620B1 (ko) * 2018-09-18 2019-01-09 주식회사이-글벳 발효공법을 이용한 아로니아 함유 기능성 복합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6654B1 (ko) 2022-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16833A1 (en) Feed additive compositions
KR19990036207A (ko) 지질대사 개선제
WO2006033355A1 (ja) 皮膚の乾燥予防または改善用経口剤
DE60104162T2 (de) Glycoprotein mit hemmender Aktivität gegen die Besiedlung von Helicobacter pylori
KR101987321B1 (ko) 장 및 뇌건강 개선 기능성 반려동물 사료첨가제
KR102446654B1 (ko) 반추동물의 반추위 내 내생독소 억제용 조성물
JPWO2004039368A1 (ja) アトピー性皮膚炎の予防または治療用経口剤
KR101444416B1 (ko) 복분자 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병원성 세균에 의한 감염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EP4331601A1 (en) Food composi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lleviating sarcopenia, containing low-molecular-weight collagen as active ingredient
US20240115644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gastritis or peptic ulcer comprising extract of cinnamomum cassia, fraction of said extract, isolate of said fraction or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EP3530281A1 (en) New process of preparation of glycan compositions &amp; uses thereof
JP3279694B2 (ja) ラクチュロースオリゴ糖を有効成分とするミネラル吸収促進剤
JP6662678B2 (ja) 癌細胞増殖抑制組成物
KR100904396B1 (ko) 인진쑥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산유량 증가용 조성물
KR101273276B1 (ko) 커큐민을 첨가한 가축용 사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가축용 사료
JP2000032924A (ja) 馬の体調維持増進方法
KR102199186B1 (ko) 병원성 세균에 의한 질병의 예방 및 치료용 수의학적 조성물
WO2023200285A1 (ko) 박테리오파지의 장기 유통 저장 안정성 유지를 위한 신규 부형제 조성물
KR102663613B1 (ko) 형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03969A (ko) 생유산균, gaba 및 필수아미노산이 함유된 반려동물 사료첨가제
Abdalla et al. Clinicopathological studie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in calves
KR102244732B1 (ko) 프로바이오틱 초산균인 아세토박터 파스테리아누스 mglv 및 이의 면역조절 효과
US20220142204A1 (en) Cla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ing animal performance
WO2021137494A1 (ko) 부티리시모나스 속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137495A1 (ko) 부티리시모나스 속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