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3517A - 중대형 트럭의 플레이트 프레임 타입 아웃사이드 미러 - Google Patents

중대형 트럭의 플레이트 프레임 타입 아웃사이드 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3517A
KR20210083517A KR1020190175857A KR20190175857A KR20210083517A KR 20210083517 A KR20210083517 A KR 20210083517A KR 1020190175857 A KR1020190175857 A KR 1020190175857A KR 20190175857 A KR20190175857 A KR 20190175857A KR 20210083517 A KR20210083517 A KR 20210083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upled
mirror
frame
type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5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3946B1 (ko
Inventor
이성기
장창수
Original Assignee
(주) 코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스텍 filed Critical (주) 코스텍
Priority to KR1020190175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946B1/ko
Publication of KR20210083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05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trucks, e.g. by C-shaped support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2Heavy duty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대형 트럭의 플레이트 프레임 타입 아웃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측면에 각각 결합고정되는 상부 마운트부 및 하부 마운트부와, 상부가 상기 상부 마운트부의 결합부재에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하부마운트부의 결합부재에 결합되며, 전면부에 엑추에이터가 결합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부에 결합되며, 상기 엑추에이터에 의해 미러의 각도가 조정되는 미러모듈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배면부에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중대형 트럭의 플레이트 프레임 타입 아웃사이드 미러{plate frame type outside mirror for truck}
본 발명은 중대형 트럭의 플레이트 프레임 타입 아웃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으로, 강성을 유지하면서 중량을 줄일 수 있는 중대형 트럭의 플레이트 프레임 타입 아웃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후사경은 차량의 후방을 확인하기 위한 거울과, 거울을 지지하는 하우징, 하우징 내에서 거울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엑추에이터를 포함하며, 하우징에 엑추에이터를 제어하는 신호라인을 연결할 수 있는 브라켓과, 브라켓의 일측과 차량에 고정되어 상기 하우징을 고정할 수 있는 홀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후사경의 구조에서 주요한 기술적 목표는 강성을 높이면서도 무게를 줄일 수 있는 구조의 개발과 아울러 파이프 형상의 홀딩부재의 문제점인 연결 구조의 복잡성을 해소하고, 디자인 심미감 저하를 개선하는 구조의 개발이다.
예를 들어 등록특허 제10-0705664호(자동차 후사경, 2007년 4월 3일 등록)의 도 5 등을 참고하면 파이프 형상의 홀딩부재가 후사경을 관통하여 차량까지 연결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파이프 형상의 홀딩부재를 사용하는 경우, 반드시 클램핑 브라켓을 사용해야 하며, 클램핑 브라켓의 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금속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후사경의 무게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상용차의 진동에 의해 후사경이 진동하게 되며, 진동이 심할 경우 후사경으로 정확한 후방 인식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파이프 형상의 홀딩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차량의 측면에 적정한 강성으로 결합됨과 아울러 무게를 줄일 수 있는 중대형 트럭의 플레이트 프레임 타입 아웃사이드 미러을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진동을 흡수하여 진동이 방지될 수 있는 중대형 트럭의 플레이트 프레임 타입 아웃사이드 미러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중대형 트럭의 플레이트 프레임 타입 아웃사이드 미러은, 차량의 측면에 각각 결합고정되는 상부 마운트부 및 하부 마운트부와, 상기 상부 마운트부 및 하부 마운트부의 차량 결합부분에 위치하여 진동을 방지하는 탄성부와, 상부가 상기 상부 마운트부의 결합부재에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하부마운트부의 결합부재에 결합되며, 전면부에 엑추에이터가 결합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부에 결합되며, 상기 엑추에이터에 의해 미러의 각도가 조정되는 미러모듈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배면부에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하로 긴 결합홈이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결합부재의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는 돌출부를 가지는 결합블록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부는, 판상 구조의 일부가 전면부 또는 배면부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상기 엑추에이터가 결합되는 안착부는 전면부측으로 돌출되고, 중앙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긴 형태로 전면부측으로 돌출되는 제1강성유지부와, 상호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좌우 방향으로 긴 형태로 전면부측으로 돌출되는 제2강성유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강성유지부와 제2강성유지부의 돌출 높이는 상기 안착부의 돌출 높이에 비해 낮은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1강성유지부의 상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긴 형태로 돌출되는 복수의 힘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미러모듈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결합공 및 돌출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돌출체결부들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돌출되는 힘살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부, 상기 제1강성유지부, 상기 제2강성유지부에는 부분적으로 살빼기공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마운트부 또는 하부 마운트부를 통해 상기 엑추에이터 제어를 위한 피복 전선이 제공되며, 상기 피복 전선은 상기 제1강성유지부의 배면측 요입홈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안착부에 마련된 살빼기공을 통해 엑추에이터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 중대형 트럭의 플레이트 프레임 타입 아웃사이드 미러은, 차량에 연결되는 회전 브라켓에 결합되며, 액츄에이터 등의 부재를 고정할 수 있는 수지재 프레임부를 도입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하고, 무게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중대형 트럭의 플레이트 프레임 타입 아웃사이드 미러은, 상기 수지재 프레임부를 입체적인 구조로 설계하여 강성을 높임과 아울러 하우징, 엑추에이터, 미러모듈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후사경 장착 작업을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차량과의 결합부분에 탄성부를 위치시켜 진동을 방지함으로써, 정확한 후방 확인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대형 트럭의 플레이트 프레임 타입 아웃사이드 미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프레임부의 상세 사시도이다.
도 4는 프레임부의 결합블록(54)과 상부 결합부재(11)의 결합상태도이다.
도 6은 미러모듈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 중대형 트럭의 플레이트 프레임 타입 아웃사이드 미러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에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발명을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대형 트럭의 플레이트 프레임 타입 아웃사이드 미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대형 트럭의 플레이트 프레임 타입 아웃사이드 미러은, 일측이 차량(1)의 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 마운트부(10) 및 하부 마운트부(20)와, 상기 상부 마운트부(10) 및 하부 마운트부(20)와 차량(1)의 결합부분에 위치하여 진동을 방지하는 탄성부(70)와, 상단과 하단이 상기 상부 마운트부(10) 및 하부 마운트부(20)에 각각 결합 고정되는 프레임부(50)와, 상기 프레임부(50)의 일면에서 제공되는 제1안착부(51) 및 제2안착부(52)에 고정되는 엑추에이터(61,62)와, 상기 엑추에이터(61,62)에 의해 각도가 조정되는 미러모듈(31,32)를 포함하는 미러모듈부(30)와, 상기 미러모듈부(30)의 반대편의 프레임부(50) 일면에 고정되는 하우징 커버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대형 트럭의 플레이트 프레임 타입 아웃사이드 미러의 구조와 작용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기존의 파이프형 홀딩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상부 마운트부(10)와 하부 마운트부(20)를 사용한다. 상부 마운트부(10)와 하부 마운트부(20)는 차량(1)의 외측면(운전석의 전방 측면 및 조수석의 전방 측면)에 일단이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 상태에서 일부 회동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여, 상기 프레임부(50)와 프레임부(50)에 고정되는 하우징 커버부(40), 미러모듈부(30)의 수평 방향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상기 상부 마운트부(10) 및 하부 마운트부(20)는 탄성부(70)를 사이에 두고 차량(1)에 결합된다. 탄성부(70)는 고무 등의 탄성체링인 것으로 한다.
상기 상부 마운트부(10)와 하부 마운트부(20) 각각은 프레임부(50)와의 결합을 위하여 결합부재(11,21)를 제공한다. 결합부재(11,21)의 형상은 일측에 한 쌍의 결합홈이 수직방향으로 마련되어 상대품인 프레임부(50)의 결합블록(54,55)이 삽입된 상태로 볼트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도 3은 프레임부(50)의 상세 사시도이다.
프레임부(50)는 일면에 상기 엑추에이터(61,62)가 결합고정되는 제1안착부(51)와 제2안착부(52)가 마련되어 있다.
프레임부(50)는 수지재로서, 전체적으로 판상 구조이며, 전면과 배면이 반대로 돌출 또는 요입되는 구조물들이 형성된다. 상기 제1안착부(51)와 제2안착부(52)는 상기 미러모듈부(30)의 미러 각도를 조정하는 엑추에이터(61,62)를 고정하되, 미러모듈부(3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뒷면은 반대로 요입된 구조가 된다.
이러한 구조는 전체적으로 프레임부(50)의 두께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하면서도 입체적인 형상을 제공하여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즉, 수지재로 두께를 최소화하면서 적당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어 무게를 줄이면서 강성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프레임부(5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결합블록(54,55)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결합블록(54,55) 각각은 결합부재(11,21) 각각에 밀착될 수 있도록 프레임부(50)의 배면측에서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어 돌출되는 돌출부(54a, 55a)를 포함한다.
도 4는 프레임부의 결합블록(54)과 상부 결합부재(11)의 결합상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재(1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호 이격되어 위치하는 한 쌍의 수직 방향의 결합홈(1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결합홈(11a)에 결합블록(54)의 돌출부(54a)가 삽입되어 상호 끼움 결합된다.
결합부재(12)와 결합블록(55)의 결합구조도 도 4의 결합부재(11)와 결합블록(54)의 구조와 동일하며, 결합부재(12)와 결합블록(55)이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부(50)는 상부 마운트부(10)와 하부 마운트부(2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11)의 결합홈(11a)에 결합블록(54)의 돌출부(54a)가 견고하게 결합되고, 역시 결합부재(12)에 결합블록(55)이 끼움 결합됨에 따라 체결공(11b)에 볼트를 체결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프레임부(50)는 안정된 고정 상태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조립시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프레임부(50)를 볼트로 고정할 수 있어, 작업 안정성이 향상된다.
이는 특히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이 대형 화물차인 경우 설치 높이가 높기 때문에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면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결합부재(11,12)들과 프레임부(50)의 결합블록(54,55)들을 끼워 고정하기 때문에 차량의 진동 등의 영향에 의해 체결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간단하면서도 견고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후사경의 장착 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50)를 상부 마운트부(10)와 하부 마운트부(20)에 고정할 때 프레임부(50)의 전면에는 엑추에이터(61,62)와 미러모듈부(30)가 결합된 상태인 것으로 한다.
상기 미러모듈부(30)는 미러하우징(33)이 프레임부(50)에 고정된 상태에서, 엑추에이터(61,62)의 구동에 의해 미러모듈(31,32)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구성이면 본 발명에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미러모듈(31,32)이 상하로 배치된 구조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지만, 한 쌍의 미러가 아닌 단일 미러를 가지는 후사경에도 본 발명은 쉽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50)의 중앙에는 상하 방향으로 전면측으로 돌출되고, 배면측에서는 요입된 제1강성유지부(53)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강성유지부(53)의 상부에는 복수의 힘살(53a)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힘살(53a)의 배면측은 요입되지 않고 막힌 구조이며, 힘살(53a)에 의하여 상하 방향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50)에는 좌우 방향으로 긴 다수의 제2강성유지부(56)들이 소정의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다. 제2강성유지부(56)들은 프레임부(50)의 전면측으로 돌출되고, 배면측은 요입된 구조가 되도록 한다.
상기 제1강성유지부(53)와 제2강성유지부(56)들의 돌출 높이는 상기 제1안착부(51)와 제2안착부(52)의 돌출 높이에 비해서는 낮은 것으로 한다.
또한, 제2강성유지부(56)들의 사이에는 그 제2강성유지부(56)들과 평행하게 힘살(57)들이 배치되어, 프레임부(50)의 좌우 방향으로도 충분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레임부(50)는 상부 마운트부(10)와 하부 마운트부(20)에 고정되며, 엑추에이터(61,62)를 고정하는 역할도 하지만, 상기 미러모듈부(30)를 결합고정함과 아울러 하우징 커버부(40)를 고정하는 역할도 한다.
따라서 외측 방향을 따라 다수의 체결공(58)을 제공하며, 다수의 체결공(58)들 중 전면부가 요입된 위치에 위치하는 돌출체결부(58a)들도 존재하게 된다.
상기 돌출체결부(58a)들은 주로 미러모듈부(30)의 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한 것이며, 돌출된 구조에 의해 미러모듈부(30)를 밀착된 상태로 체결할 수 있으나 강성이 부족하여, 내구성이 부족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돌출체결부(58a)들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프레임부(50)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돌출체결부(58a)를 연결하는 힘살(58b)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충분한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무게를 더욱 줄이기 위하여, 상기 제1강성유지부(53)와 제2강성유지부(56), 제1 및 제2안착부(51,52) 등에는 전면부와 배면부를 관통하는 살빼기공(59)이 형성될 수 있다.
앞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프레임부(50)의 형상은 일체 사출성형이 용이한 구조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파이프형 홀딩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수지재 프레임부(50)를 사용하여, 홀딩부재에 결합하기 위한 복잡한 구조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제조와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도 5는 미러모듈부(3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미러모듈부(30)는, 미러하우징(33)과, 프레임부(50)에 일측이 결합되는 엑추에이터(61,62)에 의해 각도가 조정되는 미러모듈(31,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부(4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결합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부(50)에 체결되거나, 미러모듈부(30)에 체결되는 것일 수 있고, 미러모듈부(30)에 끼움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상부 마운트부(10) 또는 하부 마운트부(20)의 내부를 통해 상기 엑추에이터(61,62)의 구동과 제어를 위한 피복 전선이 제공될 수 있으며, 제공된 피복 전선은 상기 제1강성유지부(53)의 배면측 요입홈에 위치할 수 있다.
제1강성유지부(53)의 일부는 상기 제1안착부(51)와 제2안착부(52)의 사이에도 위치하며, 피복 전선은 제1강성유지부(53)의 배면 요홈을 따라 하향으로 제공되고, 제1안착부(51)와 제2안착부(52)에 결합된 엑추에이터(61,62)에 연결된다.
이때의 연결은 제1안착부(51)와 제2안착부(52)에도 형성된 살빼기공(59)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피복 전선의 수는 구동할 엑추에이터(61,62)의 수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피복 전선을 제공하는 공간을 제1강성유지부(53)의 배면 요입부를 통해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배선 안정성을 높이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전체적인 구조를 좀 더 박형으로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부 마운트부(10)와 하부 마운트부(20)는 힌지구조를 제공하여, 상기 프레임부(50)와 미러모듈부(30) 결합구조의 수평방향 각도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미러모듈(31,32)의 각도를 조정함과 아울러 엑추에이터(61,62)를 통해 미러모듈(31,32)의 상하 좌우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상부 마운트부 11, 21:결합부재
20:하부 마운트부 30:미러모듈부
31,32:미러모듈 33:하우징
40:하우징 커버부 50:프레임부
51:제1안착부 52:제2안착부
53:제1강성유지부 54, 55:결합블록
56:제2강성유지부 57:힘살
58:체결공 59:살빼기공
61, 62:엑추에이터 70:탄성부

Claims (7)

  1. 차량의 측면에 각각 결합고정되는 상부 마운트부 및 하부 마운트부;
    상기 상부 마운트부 및 하부 마운트부의 차량 결합부분에 위치하여 진동을 방지하는 탄성부;
    상부가 상기 상부 마운트부의 결합부재에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하부 마운트부의 결합부재에 결합되며, 전면부에 엑추에이터가 결합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부에 결합되며, 상기 엑추에이터에 의해 미러의 각도가 조정되는 미러모듈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배면부에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부를 포함하는 중대형 트럭의 플레이트 프레임 타입 아웃사이드 미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하로 긴 결합홈이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결합부재의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는 돌출부를 가지는 결합블록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트럭의 플레이트 프레임 타입 아웃사이드 미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판상 구조의 일부가 전면부 또는 배면부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상기 엑추에이터가 결합되는 안착부는 전면부측으로 돌출되고,
    중앙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긴 형태로 전면부측으로 돌출되는 제1강성유지부와,
    상호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좌우 방향으로 긴 형태로 전면부측으로 돌출되는 제2강성유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강성유지부와 제2강성유지부의 돌출 높이는 상기 안착부의 돌출 높이에 비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트럭의 플레이트 프레임 타입 아웃사이드 미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1강성유지부의 상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긴 형태로 돌출되는 복수의 힘살을 더 포함하는 중대형 트럭의 플레이트 프레임 타입 아웃사이드 미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미러모듈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결합공 및 돌출체결부를 포함하며,
    복수의 상기 돌출체결부들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돌출되는 힘살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트럭의 플레이트 프레임 타입 아웃사이드 미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 상기 제1강성유지부, 상기 제2강성유지부에는 부분적으로 살빼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트럭의 플레이트 프레임 타입 아웃사이드 미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마운트부 또는 하부 마운트부를 통해 상기 엑추에이터의 제어를 위한 피복 전선이 제공되며,
    상기 피복 전선은 상기 제1강성유지부의 배면측 요입홈을 통해 연장되고,
    상기 안착부에 마련된 살빼기공을 통해 엑추에이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트럭의 플레이트 프레임 타입 아웃사이드 미러.
KR1020190175857A 2019-12-27 2019-12-27 중대형 트럭의 플레이트 프레임 타입 아웃사이드 미러 KR102343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857A KR102343946B1 (ko) 2019-12-27 2019-12-27 중대형 트럭의 플레이트 프레임 타입 아웃사이드 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857A KR102343946B1 (ko) 2019-12-27 2019-12-27 중대형 트럭의 플레이트 프레임 타입 아웃사이드 미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517A true KR20210083517A (ko) 2021-07-07
KR102343946B1 KR102343946B1 (ko) 2021-12-29

Family

ID=76862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857A KR102343946B1 (ko) 2019-12-27 2019-12-27 중대형 트럭의 플레이트 프레임 타입 아웃사이드 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94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1646A (en) * 1996-02-23 1998-02-24 Kam Truck Components, Inc. Exterior rearview mirror for vehicles
KR19980040812U (ko) * 1996-12-23 1998-09-15 김영귀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고정구조
US20080049343A1 (en) * 2006-08-22 2008-02-28 Michael Dean Branham Vehicle mirror assembly with reduced mirror shaking
KR20150021040A (ko) * 2012-05-11 2015-02-27 어드밴스드 뷰 세이프티 시스템즈 피티와이 리미티드 근접 뷰 미러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1646A (en) * 1996-02-23 1998-02-24 Kam Truck Components, Inc. Exterior rearview mirror for vehicles
KR19980040812U (ko) * 1996-12-23 1998-09-15 김영귀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고정구조
US20080049343A1 (en) * 2006-08-22 2008-02-28 Michael Dean Branham Vehicle mirror assembly with reduced mirror shaking
KR20150021040A (ko) * 2012-05-11 2015-02-27 어드밴스드 뷰 세이프티 시스템즈 피티와이 리미티드 근접 뷰 미러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946B1 (ko) 202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2520B1 (ko) 차량용 후사경
CN108025665B (zh) 座椅框架
CN106994888B (zh) 用于安装电池和备胎的结构
JP2013023058A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US10793073B2 (en) Modular camera structure
JP2009262876A (ja) 車両用冷却部品支持装置
CA2956376C (en) Vehicle partition
WO2014167638A1 (ja) 車両用シート及びそのシートフレーム
JP2016518287A (ja) 自動車のフロントモジュールのバンパの支持構造
KR102343946B1 (ko) 중대형 트럭의 플레이트 프레임 타입 아웃사이드 미러
CN204978218U (zh) 一种动力总成悬置系统及其悬置支架总成
JP2014213738A (ja) 乗物用シート
US20240042842A1 (en) Utility vehicle
CN105059101A (zh) 一种动力总成悬置系统及其悬置支架总成
KR100909872B1 (ko) 자동차용 맵 포켓 조립체
CN210011592U (zh) 一种汽车前端部件的安装结构
JP2017081565A (ja) 車両用シートのシートフレーム
CN108928227B (zh) 动力传动系的安装装置
CN218616451U (zh) 后视镜安装总成和车辆
CN211252773U (zh) 一种汽车a柱上饰板总成
CN212401065U (zh) 一种汽车外后视镜安装结构及汽车车门总成
CN219809348U (zh) 吸振器以及包括该吸振器的车辆
CN217598427U (zh) 一种一体式灯罩支架总成
CN221067912U (zh) 内后视镜支架及车辆
CN218258057U (zh) 汽车前保险杠承重结构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