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3160A - 가위 - Google Patents

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3160A
KR20210083160A KR1020200142019A KR20200142019A KR20210083160A KR 20210083160 A KR20210083160 A KR 20210083160A KR 1020200142019 A KR1020200142019 A KR 1020200142019A KR 20200142019 A KR20200142019 A KR 20200142019A KR 20210083160 A KR20210083160 A KR 20210083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scissors
nut
shaft hole
nu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9484B1 (ko
Inventor
노리요시 스에쓰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하모노야 토기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하모노야 토기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하모노야 토기논
Publication of KR20210083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8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12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 B26B13/14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without gripping bows in the handle
    • B26B13/16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without gripping bows in the handle spring loaded, e.g. with provision for locking the blades or the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12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 B26B13/14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without gripping bows in the handle
    • B26B13/18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without gripping bows in the handle without joint, i.e. having blades interconnected by a resilient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6Hand shears; Scissors with intermediate links between the grips and the blades, e.g. for remote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8Joints
    • B26B13/285Joints with means for applying pressure on the blades; with means for producing "drawing-cut" effe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너트부재에 대한 볼트부재의 체결 정도에 따라 변화하는 1쌍의 가위편 사이의 거리에 의한 날끝의 접촉압력의 조정과, 탄성부재로부터 가위날 몸체에 작용하는 탄성력의 크기에 의한 날끝의 접촉압력의 조정을, 각각 할 수 있는 가위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너트부재(30)와 지축부를 형성하는 볼트부재(40)는, 제1볼트부(41)와 제2볼트부(42)를 구비하고 있고, 너트통부(32)에 대한 제1볼트부의 체결에 의하여 1쌍의 가위편(10, 20) 사이의 거리(공극(S))에 의한 날끝의 접촉압력의 조정을 하고, 이 조정과는 별개로, 제2볼트부와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진퇴시키는 제2너트부재(50)와 제1가위편(10)의 오목부(11)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코일 스프링(70)의 압축 정도에 따라 날끝의 접촉압력의 조정을 한다.

Description

가위{SCISSORS}
본 발명은, 볼트부재와 너트부재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지축부(支軸部)에 의하여 1쌍의 가위편이 조립되어 있는 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1쌍의 가위편의 가위날 몸체에는, 각각의 대향면(對向面)이 축방향을 따라 반대방향으로 만곡(彎曲)하도록, 「휨(휘어짐)」이라고 불리는 커브(curve)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대상물을 절단할 때에 가위날 몸체를 서로 이격(離隔)시키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이 힘에 저항하여 가위날 몸체 상호간을 접촉시키기 위함이다. 이러한 휨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가위의 닫힘조작에 따라 날의 손잡이측 부분에 비하여 날끝(blade edge)에서 접촉압력이 증가되어, 1쌍의 가위날 몸체는 날끝에서 서로 가압되면서 부딪친다.
접촉압력이 지나치게 큰 경우에는, 마찰저항이 크고, 사용감이 무거워서 손에 부담이 가해짐과 아울러, 날끝이 마모되기 쉽게 된다. 한편, 접촉압력이 지나치게 작은 경우에는, 대상물이 날끝 사이에 끼워져서 절단되기 어렵게 된다. 그리고 어느 정도의 접촉압력이 적합할지는, 가위의 용도나 절단대상물의 종류, 가위날 몸체의 길이, 사용자의 손가락의 힘, 사용자의 기호 등에 따라 다르다.
그 때문에, 이미용(理美容)용의 가위 등과 같이 사용감을 고도로 조정할 수 있을 것이 요청되는 가위에서는, 볼트부재와 너트부재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지축부에 의하여 1쌍의 가위편이 조립되어 있고, 사용자가 너트부재에 대한 볼트부재의 체결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1쌍의 가위편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켜서, 날끝의 접촉압력을 조정하고 있다. 예를 들면 가위날 몸체가 긴 가위는, 가위날 몸체가 짧은 가위에 비하여 1쌍의 가위편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도록 조정된다.
한편, 지축부에 코일 스프링이 배치되어 있는 가위도 종전부터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을 참조). 지축부에 코일 스프링을 배치함으로써, 1쌍의 가위편의 가위날 몸체 상호간이 이격·접근하는 동작에 탄성이 부여되어, 날끝의 접촉압력을 탄성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코일 스프링을 지축부에 배치하고 있는 종래의 가위에서는, 너트부재에 대한 볼트부재의 체결 정도에 따라 코일 스프링의 압축 정도를 조정하고 있다. 즉 너트부재에 대한 볼트부재의 체결 정도에 따라 변화되는 1쌍의 가위편 사이의 거리에 의한 날끝의 접촉압력의 변화와,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의 크기에 의한 날끝의 접촉압력의 변화가 연동되고 있다. 그 때문에, 일방(一方)의 조건에 의하여 접촉압력을 조정할 때에 타방(他方)의 조건도 변하여 버려서, 날끝의 접촉압력의 조정을 정밀하게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2―124197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정을 감안하여, 너트부재에 대한 볼트부재의 체결 정도에 따라 변화되는 1쌍의 가위편 사이의 거리에 의한 날끝의 접촉압력의 조정과, 탄성부재로부터 가위날 몸체에 작용하는 탄성력의 크기에 의한 날끝의 접촉압력의 조정을, 각각 할 수 있는 가위의 제공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가위는,
「제1축구멍이 관통하여 형성된 제1가위편 및 제2축구멍이 관통하여 형성된 제2가위편이, 너트부재와 볼트부재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지축부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조립되어 있는 가위로서,
상기 제1가위편은, 상기 제2가위편과 대면하고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외표면에 있어서 상기 제1축구멍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너트부재는, 상기 제2축구멍에 삽입되지 않는 크기의 너트머리부와, 그 너트머리부로부터 통 모양으로 연장되고, 그 내주면에 제1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가위편에 있어서 상기 제1가위편과 대면하고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외표면으로부터 상기 제2축구멍에 삽입되어 있는 너트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볼트부재는, 상기 제1암나사와 나사결합하는 수나사를 갖고 상기 제1가위편의 상기 외표면으로부터 상기 제1축구멍에 삽입되어 있는 제1볼트부와, 상기 제1암나사와는 나사결합시키지 않는 수나사를 갖는 제2볼트부를 구비하고,
그 제2볼트부의 수나사에 나사결합하는 제2암나사를 갖는 제2너트부재가, 제2볼트부를 따라 진퇴함과 아울러,
상기 제2너트부재와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의 사이에는, 상기 너트통부와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상기 제1볼트부가 진퇴할 때에는 상기 볼트부재와 간섭하지 않고, 상기 제2볼트부를 따라 상기 제2너트부재가 진퇴함으로써 압축 정도가 변화되는 탄성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가위편 및 상기 제2가위편 각각의 날끝 상호간의 접촉압력이, 상기 너트통부에 대한 상기 제1볼트부의 진퇴에 의하여 변화함과 아울러, 이 변화와 연동하지 않고, 상기 제2너트부재의 상기 제2볼트부에 대한 진퇴에 의한 상기 탄성부재의 압축 정도에 따라 변화한다」는 것이다.
본 구성의 가위는, 볼트부재가 2개의 볼트부(제1볼트부, 제2볼트부)를 구비하고 있다. 볼트부재와 너트부재가 나사결합하는 길이는, 너트부재의 너트통부와 제1볼트부의 나사결합의 길이이다. 그리고 본 구성의 가위는, 제2볼트부의 수나사와 나사결합하는 제2너트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제2너트부재와 제1가위편의 오목부의 바닥면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이 탄성부재는, 너트부재의 제1암나사와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너트통부에 대하여 제1볼트부가 진퇴할 때에는 볼트부재와 간섭하지 않는 것이고, 탄성부재의 압축 정도는, 제2볼트부의 수나사와 제2암나사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제2볼트를 따라 진퇴하는 제2너트부재와 오목부의 바닥면 사이의 거리에 의하여 변화된다. 즉 탄성부재의 압축 정도를, 너트부재에 대한 볼트부재의 체결 정도와는 무관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구성의 가위에 의하면, 너트부재에 대한 볼트부재의 체결 정도에 따라 변화하는 1쌍의 가위편 사이의 거리에 의한 날끝의 접촉압력의 조정과, 지축부에 배치된 탄성부재로부터 1쌍의 가위편에 작용하는 탄성력의 크기에 의한 날끝의 접촉압력의 조정을, 각각 할 수 있다. 또 탄성부재는, 압축되었을 때에 원래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는 부재이면 좋고, 코일 스프링, 판스프링, 스프링 와셔, 웨이브를 건 금속선(金屬線), 고무제의 통상부재(筒狀部材)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가위는, 상기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볼트부재는, 상기 제1볼트부와 상기 제2볼트부의 사이에, 상기 제1볼트부보다 큰 지름의 대경부를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1축구멍에 삽입되는 크기이고, 상기 제1볼트부를 삽입하여 통과시키는 환상부재이고, 상기 제1볼트부와 상기 너트통부를 최대한으로 나사결합시켰을 때에 상기 대경부와 상기 너트통부의 사이에 삽입되는 스페이서를 구비한다」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구성에서는, 제1축구멍에 삽입되는 크기의 환상부재인 스페이서에 제1볼트부를 삽입하여 통과시킴으로써, 제1볼트부와 너트통부가 나사결합하는 최대길이를 스페이서의 두께에 의하여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페이서의 두께에 의하여 1쌍의 가위편 사이의 거리(공극의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 날끝의 접촉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또 「스페이서의 두께」에 의한 조정은, 두께가 다른 스페이서로의 교환, 두께가 동일한 스페이서의 수의 증감, 두께가 다른 복수의 스페이서의 조합에 의하여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위날 몸체가 긴 경우에는, 두께가 두꺼운 스페이서를 사용하거나, 또는 복수의 스페이서를 포개어 사용하여 스페이서 두께의 총계를 두껍게 함으로써, 제1가위편과 제2가위편 사이의 거리를 멀게 한다. 또한 예를 들면 가위의 사용에 따라 그라인딩이 반복됨으로써 가위날 몸체가 얇아지게 된 경우에는, 스페이서를 두께가 얇은 것으로 교환함으로써 제1가위편과 제2가위편 사이의 거리를 작게 한다.
본 발명에 관한 가위는, 상기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볼트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1볼트부와 상기 제2볼트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1축구멍에 삽입되는 크기이고,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스페이서부를 구비한다」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구성에서는, 볼트부재에 있어서 제1볼트부와 제2볼트부의 사이에 스페이서부를 갖고 있다. 스페이서부는, 제1축구멍에 삽입되는 크기이고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다. 따라서 제1볼트부와 너트통부를 최대한으로 나사결합시킨 상태에서, 제2볼트부에 대하여 제2너트부재가 진퇴하는 범위를 스페이서부의 두께에 의하여 바꿀 수 있다. 즉 스페이서부의 두께를 두껍게 하면, 제1볼트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제2너트부재가 진퇴하게 되고, 나아가서는 제2너트부재와 제1가위편의 오목부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스페이서부의 두께에 의하여, 탄성부재의 압축 정도에 의한 날끝의 접촉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가위는, 상기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제2너트부재는 오목모양 부분을 갖고 있고, 그 오목모양 부분과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의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가 배치되어 있다」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구성에서는, 제2너트부재와 제1가위편의 오목부의 바닥면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를 제2너트부재의 오목모양 부분에 수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오목모양 부분을 갖지 않는 제2너트부재에 비하여, 제1가위편의 외표면으로부터 제2너트부재가 돌출되는 정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너트부재에 대한 볼트부재의 체결 정도에 따라 변화되는 1쌍의 가위편 사이의 거리에 의한 날끝의 접촉압력의 조정과, 탄성부재로부터 가위날 몸체에 작용하는 탄성력의 크기에 의한 날끝의 접촉압력의 조정을 각각 할 수 있는 가위를 제공할 수 있다.
[도1]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인 가위의 요부 분해도이다.
[도2] 도1의 가위를 지축부의 중심에서 절단한 단면도에 의하여 지축부 근방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3]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인 가위의 요부 분해도이다.
[도4] 도3의 가위를 지축부의 중심에서 절단한 단면도에 의하여 지축부 근방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인 가위(scissors)(1, 2)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가위(1, 2)는, 너트부재(30)와 볼트부재(40)에 의하여 형성되는 지축부(支軸部)에 의하여 제1가위편(10)과 제2가위편(20)이 회전할 수 있도록 조립되어 있는 것이다. 제1가위편(10) 및 제2가위편(20)은, 각각 손가락 삽입구멍을 갖는 손잡이부와 가위날 몸체를 구비하고 있지만, 여기에서는 지축부에 의하여 조립되는 부분의 근방만을 도시하고 있다.
우선, 제1실시형태의 가위(1)에 대하여 도1 및 도2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가위(1)는, 제1가위편(10), 제2가위편(20), 너트부재(30), 볼트부재(40), 제2너트부재(50), 탄성부재로서의 코일 스프링(70), 및 스페이서(spacer)(80)를 구비하고 있다. 제1가위편(10)에는 제1축구멍(15)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제2가위편(20)에는 제2축구멍(25)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축구멍(15)은 사각형 구멍이고, 제2축구멍(25)은 원형 구멍이다. 제1가위편(10) 및 제2가위편(20)의 각각에 있어서, 서로 대면(對面)하고 있는 면을 내표면(內表面)이라고 부르고, 이것과 반대측의 표면을 외표면(外表面)이라고 부르면, 제1가위편(10)의 외표면에는, 제1축구멍(15)의 주위에 오목부(11)가 형성되어 있다.
너트부재(30)는, 너트머리부(31)와 너트통부(nut筒部)(32)로 이루어지고, 너트통부(32)의 내주면에는 제1암나사(35)가 형성되어 있다. 너트통부(32)는, 원형 구멍인 제2축구멍(25)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갖는 원통부(圓筒部)(32a)와, 사각형 구멍인 제1축구멍(15)에 끼워지는 크기의 각통부(角筒部)(32b)로 이루어진다. 너트머리부(31)는 제2축구멍(25)에는 삽입되지 않는 크기이고, 너트머리부(31)로부터 원통부(32a)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다.
볼트부재(40)는, 대경부(大徑部)(43), 제1볼트부(41) 및 제2볼트부(42)를 갖고 있다. 대경부(43)는 얇은 원판(圓板)이고, 제1가위편(10)의 오목부(11)에는 삽입되지만 제1축구멍(15)에는 삽입되지 않는 크기이다. 제1볼트부(41) 및 제2볼트부(42)는, 각각 대경부(43)로부터 상반(相反)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각각의 축심(軸心)은 동심(同心)으로 대경부(43)의 중심을 통과한다. 제1볼트부(41) 및 제2볼트부(42)에는, 각각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서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제1볼트부(41)의 수나사는, 너트부재(30)의 제1암나사(35)와 나사결합하는 것이다. 제2볼트부(42)의 선단(先端)에는, 볼트부재(40)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工具)와 맞물리는 홈부(groove部)(47)가 형성되어 있다.
제2너트부재(50)는, 외경이 대경부(43)보다 큰 원반 모양의 너트이고, 제2암나사(55)를 갖고 있다. 이 제2암나사(55)는 제2볼트부(42)의 수나사와 나사결합한다. 그 때문에 제2너트부재(50)는, 제2볼트부(42)를 따라 나사방향으로 전진 및 후퇴한다.
스페이서(80)는 원환상부재(圓環狀部材)이고, 제1축구멍(15)에 삽입되는 크기이다. 스페이서(80)의 내경은, 볼트부재(40)의 제1볼트부(41)의 외경보다 약간 크기 때문에, 스페이서(80)에 제1볼트부(41)를 삽입하여 통과시킬 수 있다. 가위(1)는, 두께가 다른 복수 종류의 스페이서(80)나, 두께가 동일한 복수의 스페이서(80)를 구비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코일 스프링(70)은 원추형의 압축 스프링이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가위(1)에 대하여, 너트부재(30)와 볼트부재(40)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지축부에 의한 제1가위편(10) 및 제2가위편(20)의 조립 및 날끝의 접촉압력의 조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가위편(10)과 제2가위편(20)을 포개고, 제2가위편(20)의 외표면측으로부터 너트부재(30)의 너트통부(32)를 제2축구멍(25)에 삽입한다. 제2축구멍(25)에 삽입되지 않는 크기의 너트머리부(31)를 제2가위편(20)의 외표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너트통부(32)의 단부(端部)는 제1가위편(10)의 오목부(11)의 바닥면(11s)보다 약간 내표면측의 위치까지 도달한다(도2(a)를 참조). 너트통부(32)에 있어서는, 원통부(32a)가 원형 구멍인 제2축구멍(25)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제2가위편(20)은 너트부재(3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고, 각통부(32b)가 사각형 구멍인 제1축구멍(15)에 끼워 넣어져 있기 때문에, 제1가위편(10)은 너트부재(30)에 대하여 회전을 멈추게 된다.
너트통부(32)의 단부를 상방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너트통부(32)의 단부에 스페이서(80)를 재치(載置)한다. 스페이서(80)는 제1축구멍(15)에 삽입되는 크기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오목부(11)의 바닥면(11s)보다 약간 내표면측의 위치에 있는 너트통부(32)의 단부에 재치할 수 있다. 이때에 스페이서(80)의 상면(너트통부(32)와 접촉하지 않는 측의 면)이 오목부(11)의 바닥면(11s)보다 돌출되도록, 사용할 스페이서(80)를 선택한다.
제1가위편(10)의 외표면측으로부터 볼트부재(40)의 제1볼트부(41)를 너트통부(32)에 삽입하고, 제1볼트부(41)의 수나사를 너트통부(32)의 제1암나사(35)에 나사결합시킨다. 제1볼트부(41)를 너트부재(30)에 대하여 체결하여 가면, 볼트부재(40)의 대경부(43)가 스페이서(80)에 접촉되어, 이 이상은 제1볼트부(41)를 너트부재(30)에 대하여 체결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도2(b)를 참조). 이것은 너트부재(30)에 대한 제1볼트부(41)의 체결 정도, 바꾸어 말하면 너트부재(30)에 대하여 제1볼트부(41)가 상대적으로 가깝게 되는 거리가, 스페이서(80)의 두께에 의하여 정해진 상태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가위편(10) 및 제2가위편(20)에는 「휨(휘어짐)」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1쌍의 가위편의 사이에는 공극(空隙)(S)이 존재하지만, 이 도2(b)의 상태는, 너트부재(30)에 대하여 제1볼트부(41)가 상대적으로 가깝게 되어 있는 거리에 의하여, 제1가위편(10) 및 제2가위편(20)의 날끝의 접촉압력이 조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너트통부(32)와 제1볼트부(41)를 최대한으로 나사결합시킨 상태에 도달한 후에는, 너트부재(30)와 제1볼트부(41)의 관계에 의해서는 날끝의 접촉압력이 변화되지 않는다.
제1가위편(10)의 오목부(11)에는 코일 스프링(70)이 배치된다(도2(b)를 참조). 본 실시형태의 코일 스프링(70)은 원추형이지만, 지름이 큰 측의 단부를 오목부(11)의 바닥면(11s)에 접촉시킨다. 코일 스프링(70)의 지름은, 제1볼트부(41)를 너트통부(32)에 대하여 나사방향으로 전진 및 후퇴시킬 때에, 볼트부재(40)(제1볼트부(41), 대경부(43), 제2볼트부(42))와 간섭하지 않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제2너트부재(50)의 제2암나사(55)를 제2볼트부(42)의 수나사에 나사결합시켜서, 제2너트부재(50)를 대경부(43)에 가깝게 하여 가면, 제2너트부재(50)가 코일 스프링(70)에 접촉된다(도2(c)를 참조). 이로부터 제2너트부재(50)를 대경부(43)에 더 가깝게 하여 가면, 제2너트부재(50)에 의하여 코일 스프링(70)이 가압됨으로써, 제2너트부재(50)와 오목부(11)의 사이에서 코일 스프링(70)이 압축된 상태가 된다(도2(d)를 참조). 이에 따라 제1가위편(10)과 제2가위편(20)이 이격·접근하는 동작에 코일 스프링(70)에 의하여 탄성력을 부여하고, 코일 스프링(70)의 압축 정도에 따라 탄성력의 크기를 변화시켜서, 제1가위편(10) 및 제2가위편(20)의 날끝의 접촉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너트통부(32)와 제1볼트부(41)를 최대한으로 나사결합시킨 상태에서 1쌍의 가위편의 사이에 존재하고 있었던 공극(S)이, 압축된 코일 스프링(70)으로부터 작용하는 압력에 의하여 작게 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제1실시형태의 가위(1)에 의하면, 너트부재(30)에 대한 제1볼트부(41)의 체결에 의하여 변화되는 1쌍의 가위편 사이의 거리에 따라 변화되는 날끝의 접촉압력을, 스페이서(80)의 두께에 의하여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코일 스프링(70)의 탄성력의 크기에 의하여 변화되는 날끝의 접촉압력을, 제2볼트부(42)와 나사결합시킨 제2너트부재(50)의 진퇴에 의하여 조정할 수 있다. 즉 너트부재(30)에 대한 제1볼트부(41)의 체결 정도에 의한 날끝의 접촉압력의 조정과, 코일 스프링(70)의 탄성력의 크기에 의한 날끝의 접촉압력의 조정을 각각 할 수 있다.
다음에, 제2실시형태의 가위(2)에 대하여 도3 및 도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가위(2)의 구성이 제1실시형태의 가위(1)와 상이한 점은, 주로 제2너트부재(60)의 구성이다. 가위(1)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너트부재(60)는, 오목모양 부분(61)을 갖는 너트로서, 제2볼트부(42)의 수나사와 나사결합하는 제2암나사(65)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2실시형태의 볼트부재(40)는, 제1실시형태의 볼트부재(40)와 약간 상이하며, 제2볼트부(42)의 수나사는 대경부(43)보다 지름이 약간 크다. 또한 제2볼트부(42)의 선단에는, 제2암나사(65)에 삽입되지 않는 크기의 볼트머리부(46)가 구비되어 있고, 볼트머리부(46)에는 공구와 맞물리는 홈부(47)가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부(48)는, 제1볼트부(41)가 대경부(43)로부터 연장되기 시작하는 기부(基部)에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부(48)는, 제1축구멍(15)에 삽입되는 크기이고, 제1볼트부(41)보다 지름이 크다. 스페이서부(48)에는 수나사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상기 구성의 가위(2)에 대하여, 너트부재(30)와 볼트부재(40)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지축부에 의한 제1가위편(10) 및 제2가위편(20)의 조립 및 날끝의 접촉압력의 조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가위편(10)과 제2가위편(20)을 포개고, 제2가위편(20)의 외표면측으로부터 너트부재(30)의 너트통부(32)를 제2축구멍(25)에 삽입하는 점은, 제1실시형태와 동일하고, 너트머리부(31)를 제2가위편(20)의 외표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너트통부(32)의 단부가 제1가위편(10)의 오목부(11)의 바닥면(11s)보다 약간 내표면측의 위치까지 도달하는 점도 동일하다.
볼트부재(40)에서는, 제1가위편(10) 및 제2가위편(20)의 고정에 앞서, 제2너트부재(60)의 제2암나사(65)를 제2볼트부(42)의 수나사와 나사결합시켜 둔다. 이때에 제2너트부재(60)의 방향은, 오목모양 부분(61)이 제1볼트부(41)측으로 개구(開口)되는 방향으로 한다. 그리고 제1가위편(10)의 외표면측으로부터 볼트부재(40)의 제1볼트부(41)를 너트통부(32)에 삽입하고, 제1볼트부(41)의 수나사를 너트통부(32)의 제1암나사(35)에 나사결합시킨다. 제1볼트부(41)의 기부에는 스페이서부(48)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볼트부(41)를 너트부재(30)에 대하여 체결하여 가면, 스페이서부(48)가 너트통부(32)에 접촉되어, 이 이상은 제1볼트부(41)를 너트부재(30)에 대하여 체결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도4(a)를 참조). 이때에 스페이서부(48)는, 오목부(11)의 바닥면(11s)보다 약간 돌출되도록 두께가 설정된다.
이것은, 너트통부(32)에 대하여 제1볼트부(41)가 최대한으로 체결된 상태로서, 이때의 1쌍의 가위편 사이의 공극(S)에 의하여, 제1가위편(10) 및 제2가위편(20)의 날끝의 접촉압력이 조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너트통부(32)와 제1볼트부(41)를 최대한으로 나사결합시킨 상태에 도달한 후에는, 너트부재(30)와 제1볼트부(41)의 관계에 따라서는 날끝의 접촉압력이 변화되지 않는다.
제1가위편(10)의 오목부(11)와 제2너트부재(60)의 오목모양 부분(61)의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70)이 배치되어 있다. 제1볼트부(41)를 너트통부(32)에 대하여 나사방향으로 전진 및 후퇴시킬 때에, 코일 스프링(70)이 볼트부재(40)(제1볼트부(41), 대경부(43), 제2볼트부(42))와 간섭하지 않는 점은, 제1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제2너트부재(60)를 제2볼트부(42)를 따라 나사방향으로 전진시켜서 대경부(43)에 가깝게 하여 가면, 제2너트부재(60)에 의하여 코일 스프링(70)이 가압됨으로써, 코일 스프링(70)이 압축된 상태가 된다(도4(b)를 참조). 이에 따라 제1가위편(10)과 제2가위편(20)이 이격·접근하는 동작에 코일 스프링(70)에 의하여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볼트부(42)에 있어서의 제2너트부재(60)의 위치에 의하여, 오목부(11)의 바닥면(11s)과 오목모양 부분(61)의 윗면(61s)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고, 그 거리에 따라 코일 스프링(70)의 압축의 정도(탄성력의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 제1가위편(10) 및 제2가위편(20)의 날끝의 접촉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너트통부(32)와 제1볼트부(41)를 최대한으로 나사결합시킨 상태에서 1쌍의 가위편의 사이에는 존재하고 있었던 공극(S)이, 압축된 코일 스프링(70)으로부터 작용하는 압력에 의하여 작게 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제2실시형태의 가위(2)에 의하면, 너트부재(30)에 대한 제1볼트부(41)의 체결에 의하여 변화되는 1쌍의 가위편 사이의 거리에 따라 변화되는 날끝의 접촉압력과는 별개로, 코일 스프링(70)의 탄성력 크기에 의한 날끝의 접촉압력의 조정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실시형태의 가위(2)는, 볼트부재(40)에 있어서 제1볼트부(41)와 제2볼트부(42)의 사이에 스페이서부(48)를 갖고 있음으로써, 제2볼트부(42)에 따른 제2너트부재(60)의 진퇴를, 오목부(11)의 바닥면(11s)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할 수 있어, 자유길이가 긴(압축할 수 있는 길이가 긴) 코일 스프링(70)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2실시형태에서는 제2너트부재(60)가 오목모양 부분(61)을 갖고 있고, 이 내부에 코일 스프링(70)이 수용되기 때문에, 자유길이가 긴 코일 스프링(70)을 사용하더라도, 제2너트부재(60)가 제1가위편(10)의 외표면으로부터 많이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적합한 실시형태를 들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개량 및 설계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2실시형태의 가위(2)는, 볼트부재(40)의 일부로서 스페이서부(48)를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스페이서부(48)의 두께가 다른 복수 종류의 볼트부재(40)를 준비하여 두면, 원하는 접촉압력에 적합한 두께의 스페이서부(48)를 갖는 볼트부재(40)를 선택하여 교환할 수 있다.
또는 제2실시형태의 가위(2)에 있어서, 제1실시형태의 가위(1)에 관하여 설명한 스페이서(80)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대경부(43)와 너트통부(32)의 사이이고 또한 스페이서부(48)와 너트통부(32)의 사이에 스페이서(80)를 삽입시키고, 스페이서(80)의 두께에 의하여, 1쌍의 가위편 사이의 거리에 의한 날끝의 접촉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미용(理美容)용의 가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감을 고도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이 요청되는 다양한 가위에 적용할 수 있다.
1 : 가위
2 : 가위
10 : 제1가위편
11 : 오목부
15 : 제1축구멍
20 : 제2가위편
25 : 제2축구멍
30 : 너트부재
31 : 너트머리부
32 : 너트통부
35 : 제1암나사
40 : 볼트부재
41 : 제1볼트부
42 : 제2볼트부
43 : 대경부
48 : 스페이서부
50 : 제2너트부재
55 : 제2암나사
60 : 제2너트부재
61 : 오목모양 부분
65 : 제2암나사
70 : 코일 스프링
80 : 스페이서

Claims (4)

  1. 제1축구멍이 관통하여 형성된 제1가위편 및 제2축구멍이 관통하여 형성된 제2가위편이, 너트부재와 볼트부재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형성된 지축부(支軸部)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조립되어 있는 가위로서,
    상기 제1가위편은, 상기 제2가위편과 대면(對面)하고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외표면(外表面)에 있어서 상기 제1축구멍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너트부재는, 상기 제2축구멍에 삽입되지 않는 크기의 너트머리부와, 그 너트머리부로부터 통(筒) 모양으로 연장되고, 그 내주면에 제1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가위편에 있어서 상기 제1가위편과 대면하고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외표면으로부터 상기 제2축구멍에 삽입되어 있는 너트통부(nut筒部)를 구비하고,
    상기 볼트부재는, 상기 제1암나사와 나사결합하는 수나사를 갖고 상기 제1가위편의 상기 외표면으로부터 상기 제1축구멍에 삽입되어 있는 제1볼트부와, 상기 제1암나사와는 나사결합시키지 않는 수나사를 갖는 제2볼트부를 구비하고,
    그 제2볼트부의 수나사에 나사결합하는 제2암나사를 갖는 제2너트부재가, 제2볼트부를 따라 진퇴함과 아울러,
    상기 제2너트부재와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의 사이에는, 상기 너트통부와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상기 제1볼트부가 진퇴할 때에는 상기 볼트부재와 간섭하지 않고, 상기 제2볼트부를 따라 상기 제2너트부재가 진퇴함으로써 압축 정도가 변화되는 탄성부재(彈性部材)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가위편 및 상기 제2가위편 각각의 날끝(blade edge) 상호간의 접촉압력이, 상기 너트통부에 대한 상기 제1볼트부의 진퇴에 의하여 변화됨과 아울러, 이 변화와 연동하지 않고, 상기 제2너트부재의 상기 제2볼트부에 대한 진퇴에 의한 상기 탄성부재의 압축 정도에 따라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재는, 상기 제1볼트부와 상기 제2볼트부의 사이에, 상기 제1볼트부보다 큰 지름의 대경부(大徑部)를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1축구멍에 삽입되는 크기이고, 상기 제1볼트부를 삽입하여 통과시키는 환상부재(環狀部材)이고, 상기 제1볼트부와 상기 너트통부를 최대한으로 나사결합시켰을 때에 상기 대경부와 상기 너트통부의 사이에 삽입되는 스페이서(space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1볼트부와 상기 제2볼트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1축구멍에 삽입되는 크기이고,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스페이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너트부재는 오목모양 부분을 갖고 있고, 그 오목모양 부분과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의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KR1020200142019A 2019-12-26 2020-10-29 가위 KR1024994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236081A JP7165407B2 (ja) 2019-12-26 2019-12-26
JPJP-P-2019-236081 2019-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160A true KR20210083160A (ko) 2021-07-06
KR102499484B1 KR102499484B1 (ko) 2023-02-13

Family

ID=76507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019A KR102499484B1 (ko) 2019-12-26 2020-10-29 가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165407B2 (ko)
KR (1) KR102499484B1 (ko)
CN (1) CN113043335B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4197A (ja) 1988-11-04 1990-05-11 Toshitaka Ofusa 理髪用鋏
KR200311317Y1 (ko) * 2002-12-13 2003-05-01 하지민 다용도 가위
JP2013081748A (ja) * 2011-09-26 2013-05-09 Yagyu:Kk
JP2013212241A (ja) * 2012-04-02 2013-10-17 Hamonoya Toginon:Kk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7179A (en) * 1978-04-18 1979-10-24 Kai Cutlery Center Co Metallic clamp for scissors
DE19614691C1 (de) * 1996-04-13 1997-07-24 Jaguar Stahlwarenfabrik Gmbh Schere
JP2787811B2 (ja) * 1996-04-19 1998-08-20 株式会社シゲル工業 理容鋏
JP3760046B2 (ja) * 1998-03-02 2006-03-29 昭 三上
JP2004290305A (ja) * 2003-03-26 2004-10-21 Naruto Scissors Co Ltd ハサミ
WO2008073072A2 (en) * 2006-12-07 2008-06-19 International Consulting Associates, Inc. Ball bearing tension system for a shear
JP2018094093A (ja) * 2016-12-13 2018-06-21 株式会社柳生 鋏の枢軸構造
CN207373214U (zh) * 2017-01-12 2018-05-18 徐腾章 一种改进的剪刀紧固螺丝结构
CN206663299U (zh) * 2017-04-13 2017-11-24 林伟潮 剪刀紧固螺丝组件
CN209158464U (zh) * 2018-10-12 2019-07-26 吴沛玲 理发用剪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4197A (ja) 1988-11-04 1990-05-11 Toshitaka Ofusa 理髪用鋏
KR200311317Y1 (ko) * 2002-12-13 2003-05-01 하지민 다용도 가위
JP2013081748A (ja) * 2011-09-26 2013-05-09 Yagyu:Kk
JP2013212241A (ja) * 2012-04-02 2013-10-17 Hamonoya Toginon:K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65407B2 (ja) 2022-11-04
JP2021104147A (ja) 2021-07-26
CN113043335B (zh) 2022-09-13
CN113043335A (zh) 2021-06-29
KR102499484B1 (ko) 2023-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8979B2 (en) Biasing assembly for a punching device
US10537069B2 (en) Arrangement for automatic adjustment of a spacing between cutting blades
US20090223032A1 (en) Punch assembly
US20160031070A1 (en) Torque wrench
US20160271781A1 (en) Linear reciprocating motion device using electric motor-driven drill
US11110528B2 (en) Armored cable cutter with cutting blade retention
US6119541A (en) Methods for adjusting a lead screw nut and a nut for adjustably engaging a lead screw
US20150306672A1 (en) Cutting tool assembly
CN107379080B (zh) 软骨切削厚度调整装置及软骨切削系统
KR20210083160A (ko) 가위
US10041518B1 (en) Captive screw
US20150223898A1 (en) Fast locking device for at least one tool on at least one guide element
TWI701094B (zh) 可調整預壓的切管器
DE102014222026B3 (de) Ultraschallmotor
US10293420B2 (en) Adjustable blade guide for a band saw
US20050274025A1 (en) Scissors with adjustable cutting sectional angle
US20100257740A1 (en) Nail clipper
CN206913260U (zh) 软骨切削厚度调整装置及软骨切削系统
FI128058B (en) Hand-operated cutting tool
US11534896B2 (en) Rotation tool
US20190009399A1 (en) Handheld power tool
US5716171A (en) Deburring tool
US20210316379A1 (en) Material cutting device
JP7208663B1 (ja) 刃物
CN105149629A (zh) 一种切削刀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