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2600A - 달맞이순 추출물 또는 그의 건조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달맞이순 추출물 또는 그의 건조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2600A
KR20210082600A KR1020190174681A KR20190174681A KR20210082600A KR 20210082600 A KR20210082600 A KR 20210082600A KR 1020190174681 A KR1020190174681 A KR 1020190174681A KR 20190174681 A KR20190174681 A KR 20190174681A KR 20210082600 A KR20210082600 A KR 20210082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xtract
evening primrose
group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4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철
박순영
Original Assignee
(주)다인내추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인내추럴 filed Critical (주)다인내추럴
Priority to KR1020190174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2600A/ko
Publication of KR20210082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26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3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extraction with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달맞이순(sprout of evening primrose)의 에탄올 추출물, 열수 추출물 또는 그의 건조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달맞이순 추출물 또는 그의 건조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 or skin moisturing comprising extracts from sprout of evening primrose or dried materials thereof}
본 발명은 달맞이순 추출물 또는 그의 건조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달맞이순의 에탄올 추출물, 열수 추출물 또는 그의 건조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크게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피하지방(hypodermis)의 세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피, 특히 표피의 가장 외층인 각질층은 피부장벽의 역할을 함으로서 피부로부터 수분과 전해질 손실되는 것을 억제하는 한편, 진피층은 콜라겐과 엘라스틴 합성을 통하여 피부의 탄력을 유지하고 구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노화(aging)는 시간경과에 따른 자연적 현상으로 태어나서 성장하고 늙어가는 과정을 의미하며, 생물학적으로 시간에 따라 생명력이 감퇴되어 가능 과정을 의미하는데, 노인성 질환들의 주원인으로는 노화에 따른 산화스트레스 증가와 이로 인한 체내 염증반응에서 기인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는 산소의 산화물로서 매우 큰 반응성으로 인하여 세포 내 단백질, 지질뿐만 아니라 핵산과 결합하여 구조의 변화를 유발하는데, 활성산소종의 과도한 생성이나 시스템의 기능 저하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노화, 피부 항산화제 파괴, 지질 과산화반응의 개시, 단백질의 산화, DNA 산화, 콜라겐, 히알루론산 등의 사슬절단 및 비정상적인 교차결합에 의한 주름생성, 멜라닌 생성 등 피부노화를 가속시킨다.
상기 피부 노화는 피부세포 및 조직의 구조적, 기능적인 변화로 인한 현상으로, 피부의 구성 요소 중 틴성섬유(elastic fiber)의 변성과 콜라겐의 감소가 피부 주름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정상적인 피부의 경우 10~20% 정도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피부보습을 유지하지만, 수분 함량이 감소하면 피부노화를 촉진시키게 된다.
달맞이순의 생리활성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달맞이순과 다래순 에탄올 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 효과 및 항염증 효과(비특허문헌 1), 애기달맞이(Oenothera laciniata)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항암 및 항균용 조성물(특허문헌 1), 홍삼 추출물 및 달맞이꽃, 쇠뜨기 등과 같은 약초 발효물을 함유하는 면역 증강용 및 항산화용 건강식품(특허문헌 2)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에는 달맞이순의 항산화, 항염, 항암 및 항균활성 등에 대해서만 개시되어 있을 뿐, 달맞이순의 피부 주름개선 및 피부 보습 활성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829083호 등록특허공보 제10-1762353호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3(2), 335-336 (2014)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달맞이순이 항산화, 항염, 항암 및 항균 활성 이외에도 피부건강에 긍정적인 활성을 나타냄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달맞이순의 새로운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달맞이순 추출물 또는 그의 건조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달맞이순 추출물 또는 그의 건조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천연자원인 달맞이순을 이용하여 피부 주름 개선, 피부 보습 등과 같은 피부건강 기능성을 갖는 건강기능식품 등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천연자원인 달맞이순의 새로운 용도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피부 섬유아세포주(HDF)에서 가죽나무잎 에탄올 추출물(AS), 달맞이순 에탄올 추출물(OL), 병풀 에탄올 추출물(CA) 및 쇠뜨기 에탄올 추출물(EA)의 독성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피부 섬유아세포주(HDF)에서 가죽나무잎 에탄올 추출물(AS), 달맞이순 에탄올 추출물(OL), 병풀 에탄올 추출물(CA) 및 쇠뜨기 에탄올 추출물(EA)의 MMP-1 및 MMP-2 억제활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피부 섬유아세포주(HDF)에서 가죽나무잎 에탄올 추출물(AS), 달맞이순 에탄올 추출물(OL), 병풀 에탄올 추출물(CA) 및 쇠뜨기 에탄올 추출물(EA)의 Type I procollagen 증진 활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피부 섬유아세포주(HDF)에서 가죽나무잎 에탄올 추출물(AS), 달맞이순 에탄올 추출물(OL), 병풀 에탄올 추출물(CA) 및 쇠뜨기 에탄올 추출물(EA)의 In vitro elastase 억제활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HaCaT 세포에서 가죽나무잎 에탄올 추출물(AS), 달맞이순 에탄올 추출물(OL), 병풀 에탄올 추출물(CA) 및 쇠뜨기 에탄올 추출물(EA)의 독성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HaCaT 세포에서 가죽나무잎 에탄올 추출물(AS), 달맞이순 에탄올 추출물(OL), 병풀 에탄올 추출물(CA) 및 쇠뜨기 에탄올 추출물(EA)의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생성활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UVB 조사 hairless 마우스에서 선발소재의 반복 경구 투여에 의한 피부건강 증진 효력시험(in vivo)에 사용된 경피수분손실 측정기(Tewameter)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수분손실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G1은 정상군(Saline 10 mL/kg/day), G2는 유발군(Saline 10 mL/kg/day), G3는 양성대조군 투여군(히알루론산 100 mg/kg/day), G4는 달맞이순 에탄올 추출물 50 mg/kg/day 투여군, G5는 달맞이순 에탄올 추출물 100 mg/kg/day 투여군, G6은 달맞이순 에탄올 추출물 200 mg/kg/day 투여군을 의미한다.
도 9는 피부조직에서 MMPs(Matrix metalloproteinase)의 생성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G1은 정상군(Saline 10 mL/kg/day), G2는 유발군(Saline 10 mL/kg/day), G3는 양성대조군 투여군(히알루론산 100 mg/kg/day), G4는 달맞이순 에탄올 추출물 50 mg/kg/day 투여군, G5는 달맞이순 에탄올 추출물 100 mg/kg/day 투여군, G6은 달맞이순 에탄올 추출물 200 mg/kg/day 투여군을 의미한다.
도 10은 히알루론산의 생성량을 나타낸 것으로서, G1은 정상군(Saline 10 mL/kg/day), G2는 유발군(Saline 10 mL/kg/day), G3는 양성대조군 투여군(히알루론산 100 mg/kg/day), G4는 달맞이순 에탄올 추출물 50 mg/kg/day 투여군, G5는 달맞이순 에탄올 추출물 100 mg/kg/day 투여군, G6은 달맞이순 에탄올 추출물 200 mg/kg/day 투여군을 의미한다.
도 11은 피부 주름 평가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G1은 정상군(Saline 10 mL/kg/day), G2는 유발군(Saline 10 mL/kg/day), G3는 양성대조군 투여군(히알루론산 100 mg/kg/day), G4는 달맞이순 에탄올 추출물 50 mg/kg/day 투여군, G5는 달맞이순 에탄올 추출물 100 mg/kg/day 투여군, G6은 달맞이순 에탄올 추출물 200 mg/kg/day 투여군을 의미한다.
도 12는 피부 주름을 나타낸 것으로서, G1은 정상군(Saline 10 mL/kg/day), G2는 유발군(Saline 10 mL/kg/day), G3는 양성대조군 투여군(히알루론산 100 mg/kg/day), G4는 달맞이순 에탄올 추출물 50 mg/kg/day 투여군, G5는 달맞이순 에탄올 추출물 100 mg/kg/day 투여군, G6은 달맞이순 에탄올 추출물 200 mg/kg/day 투여군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달맞이순 추출물 또는 그의 건조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달맞이꽃(Oenothera odorata Jacquin)은 남아메리카가 원산지로서 북아메리카, 한국, 일본, 중국에 귀화하고 있는 귀화식물로 물가, 길가, 묵밭에 많이 나는데, 끝은 뾰족하고 밑부분이 직접 줄기에 닿으며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있으며, 꽃은 황색으로 위쪽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리고 저녁에 피었다가 아침에 시들어지며, 조금 붉은 빛이 난다.
달맞이꽃의 과실은 삭과로 곤봉모양이며 길이 2∼3㎝이고 4개로 갈라지며, 종자의 기름은 당뇨병에 민간약으로 사용되며, 뿌리와 전초를 감기, 해열, 인후염, 신장염, 고혈압 등에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건강기능식품(functional food)"이라 함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을 갖는 원료를 사용하여 정제, 캡슐,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가공된 보조 식품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 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 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상기 달맞이순 추출물은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달맞이순 추출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극성 용매 또는 비극성 용매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i) 물, (ii) 알코올(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주정,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부탄올, 1-펜탄올, 2-부톡시주정 또는 에틸렌글리콜), (iii) 아세트산, (iv) DMFO(dimethyl-formamide) 및 (v) DMSO(dimethyl sulfoxid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플루오로알칸, 펜탄, 헥산, 2,2,4-트리메틸펜탄, 데칸, 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 펜탄, 디이소부틸렌, 1-펜텐, 1-클로로부탄, 1-클로로펜탄, o-자일렌,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2-클로로프로판, 톨루엔, 1-클로로프로판, 클로로벤젠, 벤젠,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 설파이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어닐린, 디에틸아민, 에테르, 사염화탄소 및 THF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달맞이순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달맞이순에 처리하여 수득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달맞이순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추출물 또는 열수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달맞이순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50 mg/kg 내지 200 mg/kg 농도에서 피부 주름개선, 피부 보습 등과 같은 피부건강 증진 효과가 있는 것이 실험을 통하여 확인되었다.
상기 에탄올 추출물은 달맞이순을 10~95%(w/v) 농도의 주정에 침지시켜 20~90℃의 온도에서 1~50 시간 동안 추출, 바람직하게는 40~80%(w/v) 농도의 에탄올에 침지시켜 70~90℃의 온도에서 36~50 시간 동안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열수 추출물은 달맞이순을 수세 후 이물질을 제거하고, 10∼30mmm 크기로 절단한 달맞이순을 상기 달맞이순의 중량 대비 5∼50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상압, 80∼120℃에서 가열하여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5∼50%가 되도록 추출한 추출액을 여과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달맞이순 추출물의 건조물은 상기 달맞이순 추출물을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건조시킨 건조물(dried materials)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건조 방법으로는 동결건조, 열풍건조,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등과 같이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라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으나, 동결건조 또는 열풍건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달맞이순 추출물 또는 그 건조물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하여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가죽나무잎 추출물 및 쇠뜨기 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추출물은 상기 달맞이순 추출물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상기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가죽나무잎 추출물의 건조물 및 쇠뜨기 추출물의 건조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건조물은 상기 달맞이순 추출물의 건조물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가죽나무(Ailanthus altissima)는 가짜 죽나무란 뜻이며, 한방에서는 봄과 가을에 뿌리의 껍질을 채취하여 겉껍질을 벗기고 햇볕에 말려서 이질(적리)·치질·장풍 치료에 처방하고, 민간에서는 이질·혈변·위궤양에 뿌리를 진하게 달여 먹는다.
쇠뜨기(Equisetum arvense)는 소가 뜯는다는 뜻으로서 소가 잘 먹는데, 포자낭수는 타원 모양이고, 육각형의 포자엽이 착하여 거북의 등처럼 되며, 안쪽에는 각각 7개 내외의 포자낭이 달리고, 생식줄기는 식용하며 영양줄기는 이뇨제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상기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 가능한 첨가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결착제, 유화제, 보존제, 아미노산제, 비타민제, 효소제, 생균제, 향미제, 규산염제, 완충제, 착색제, 추출제 또는 올리고당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이 함께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정제, 캡슐, 분말, 과립, 액상, 환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하는 것으로 족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달맞이순 추출물 또는 그의 건조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식품 조성물"이라 함은 인간의 생명유지를 위한 영양성분의 섭취목적으로 인간이 먹고 마시는 모든 음식물을 의미하며, 농ㆍ축ㆍ임ㆍ수산물을 그대로 유통하는 신선식품과 이들의 원료를 제조ㆍ가공처리하여 저장성, 영양성, 기호성 등을 높인 가공식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달맞이순 추출물에 대해서는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달맞이순 추출물에서,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추출물 또는 열수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에탄올 추출물은 달맞이순을 10~95%(w/v) 농도의 에탄올에 침지시켜 20~90℃의 온도에서 1~50 시간 동안 추출, 바람직하게는 40~80%(w/v) 농도의 주정에 침지시켜 70~90℃의 온도에서 36~50 시간 동안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달맞이순 추출물의 건조물은 상기 달맞이순 추출물을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건조시킨 건조물(dried materials)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건조 방법으로는 동결건조, 열풍건조,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등과 같이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라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으나, 동결건조 또는 열풍건조가 바람직하다.
상기 식품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달맞이순 추출물 또는 그의 건조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달맞이순 추출물에 대해서는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상기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달맞이순 추출물에서, 상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추출물 또는 열수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에탄올 추출물은 달맞이순을 10~95%(w/v) 농도의 주정에 침지시켜 20~90℃의 온도에서 1~50 시간 동안 추출, 바람직하게는 40~80%(w/v) 농도의 주정에 침지시켜 70~90℃의 온도에서 36~50 시간 동안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달맞이순 추출물의 건조물은 상기 달맞이순 추출물을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건조시킨 건조물(dried materials)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건조 방법으로는 동결건조, 열풍건조,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등과 같이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라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으나, 동결건조 또는 열풍건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및 루스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달맞이순 추출물 또는 그의 건조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이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달맞이순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준비한 달맞이순 분말을 50%(w/v) 농도의 주정에 침지시킨 후, 상온에서 24시간 추출한 후, 80℃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을 1차 여과 및 2 차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한 후 건조시킨 다음 분말화하여 달맞이순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주름개선 효능 평가(in vitro)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달맞이순 에탄올 추출물,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가죽나무잎 에탄올 추출물, 쇠뜨기 에탄올 추출물 및 피부 건강 기능성이 탁월하다고 알려진 병풀 에탄올 추출물을 세포실험에 사용하였다.
1. 실험방법
(1). HDF 세포를 이용한 시료독성 평가
피부 섬유아세포주인 human dermal fibroblast(HDF)는 경희대학교 산업미생물학실험실에서 분양받아 실험에 이용하였다. 세포는 2% 소태아혈청(FBS), 0.1% 재조합 인간 인슐린, 0.1% 젠타마이신 설페이트 앰포테리신-B(gentamicin sulfate amphotericin-B) 및 0.1% 재조합 인간 섬유아세포 성장인자-B가 첨가된 섬유아세포 성장 배지(이하, HDF 배양배지)를 이용하여 37℃, 5% CO2의 조건이 유지되는 배양기에서 2~3일에 한번씩 계대배양하며 실험에 사용하였다.
HDF 세포를 5×104 cells/well로 조정한 다음, 96-웰 플레이트에 200 μL씩 도포하고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여 세포를 안정화시킨 후, 배지를 모두 제거하고 새로운 HDF 배양배지 180 μL와 적당한 농도로 희석된 농도별 시료 20 μL를 첨가한 뒤, 24시간 동안 재배양하였다.
이후 배양배지는 모두 제거하고 세포생존율 측정을 위해, 1 mg/mL의 MTT 용액 100 μL를 첨가한 뒤, 30분 동안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MTT 용액을 모두 제거한 다음, DMSO 100 μL를 가하여 세포내에 생성된 색소(pigment)를 용해시키고, 플레이트 쉐이커에서 15분 동안 교반 후, 5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독성은 시료 무처리구에 대한 세포생존율(cell viability, %)로 나타내었다.
(2). Metalloproteinases(MMPs) 억제활성 평가
HDF 세포를 5×104 cells/well로 조정한 다음, 96-웰 플레이트에 200 μL씩 도포하고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여 세포를 안정화시킨 후 배지를 모두 제거하고, 새로운 HDF 배양배지 180 μL와 적당한 농도로 희석된 농도별 시료 20 μL를 첨가한 뒤, 24시간 동안 재배양하였다.
배양 상등액만을 회수하고 상등액으로 유리된 MMP-1 및 MMP-2의 함량은 R&D Systems사의 ELISA 키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표준물질(standard materials)을 이용하여 작성된 표준곡선을 통해 생성량(ng/mL)으로 계산되었다.
(3). 프로콜라겐 타입 I의 생성량 평가
HaCaT 세포는 2×104 cells/well로 96-웰 플레이트에 플레이팅하고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여 세포를 안정화시켰다. 세포의 배양배지는 모두 제거한 뒤 FBS가 첨가되지 않은 배지 180 μL와 적당한 농도로 희석된 시료 20 μL를 첨가한 뒤, 24시간 동안 재배양하였다.
배양 상등액만을 회수하고 상등액으로 유리된 프로콜라겐 타입 I(procollagen type I)의 함량은 Takara사의 EIA 키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표준물질을 이용하여 작성된 표준곡선을 통해 생성량(ng/mL)으로 계산되었다.
(4). 효소측정법을 이용한 인 비트로 엘라스테이즈 억제활성 평가
인 비트로 엘라스테이즈(in vitro elastase) 억제 활성은 식약처 가이드 라인의 추천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측정하였는데, 엘라스테이즈에 특이적인 기질로 시판되고 있는 STANA(N-succinyl-tri-alanyl-p-nitroanilide)를 이용한 효소활성도 측정법을 이용하였다.
즉, 96 웰 플레이트에 0.2 M tris-HCl buffer (pH 8.0) 180 μL와 시료 80 μL를 넣은 후, 기질로서 2 mM STANA 용액 20 μL를 첨가하였다.
이후 돼지 췌장으로부터 유래한 엘라스테이즈 (0.1 U/mL)를 20 μL 첨가하여 37℃에서 5~10분간 효소 반응시킨 후, 변화한 색을 410 nm에서 측정하였다.
엘라스테이즈 억제활성은 다음과 같은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 엘라스테이즈 저해(%)=(블랭크 O.D - 시료 O.D) / (블랭크 O.D)×100
- 블랭크 O.D : 공시료액의 반응 후 흡광도
- 시료 O.D : 시료액의 반응 후 흡광도
2. 실험결과
(1). HDF 세포에서 시료독성 평가
Human dermal fibroblast(HDF) 세포에 대한 시료의 독성 여부는 MTT법으로 측정되었는데, 본 연구진은 음성 대조군(NC) 대비 80% 이하의 세포 생존율을 보일 경우 독성으로 간주하고,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범위에서 이후 실험을 진행하기로 하였다.
먼저 시료 4종은 4~1000 μg/mL의 농도 범위에서 측정되었는데, 고농도인 1000 μg/mL 농도에서 가죽나무잎(65.5%), 달맞이순(79.3%) 및 병풀(49.2%)시료는 음성 대조군 대비 80% 이하의 세포 생존율을 보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1의 A 참조).
따라서, 이후 4종 시료의 농도는 12.5~100 μg/mL 범위로 조정되었으며, 도 1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모든 농도에서 유의한 세포독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도 1에서, *는 p<0.05; **는 p<0.01; ***는 p<0.001이고, 음성 대조군(NC)으로는 증류수 처리군을 사용하였으며, AS는 가죽나무잎(Ailanthus altissima), OL은 달맞이순(sprout of Oenothera laciniata), CA는 병풀(Centella asiatica) EA는 쇠뜨기(Equisetum arvense)를 의미하고, 이하의 도 2 내지 도 6에서도 이와 동일하다.
(2). MMP-1 및 MMP-2 억제활성 평가
HDF 세포에서 콜라게네이즈(collagenase)인 MMP-1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4종의 시료는 12.5~100 μg/mL 농도 범위에서 음성 대조군(NC)과 비교하여 각각 6.4~24.5%(가죽나무잎), 31.0~74.5%(달맞이순), 2.3~12.5%(병풀), -7.3~12.8% (쇠뜨기)의 MMP-1 억제 활성을 나타났다(도 2의 A 참조).
통계적으로 유의한 억제활성을 보인 시료는 가죽나무잎(50~100 μg/mL)과 달맞이순(12.5~100 μg/mL)으로 확인되었다(도 2의 A 참조).
특히, 달맞이순 시료는 모든 농도 범위에서 농도-의존적이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MMP-1 억제활성을 보였다(도 2의 A 참조).
한편, HDF 세포에서 젤라티네이즈(gelatinase)인 MMP-2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4종의 시료는 12.5~100 μg/mL 농도 범위에서 NC와 비교하여 각각 -9.4~18.8%(가죽나무잎), 26.9~57.7%(달맞이순), -1.3~9.4%(병풀), 1.0~33.8% (쇠뜨기)의 MMP-2 억제 활성을 보였다(도 2의 B 참조).
4종의 시료는 모두 MMP-2 억제 활성을 보이기는 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활성을 보인 농도 범위는 각각 가죽나무잎(100 μg/mL), 달맞이순(12.5~100 μg/mL), 병풀(50~100 μg/mL) 및 쇠뜨기(50~100 μg/mL)으로 나타났다(도 2의 B 참조).
특히, 달맞이순 시료는 모든 농도 범위에서 농도-의존적이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MMP-1 억제활성을 보였다(도 2의 B 참조).
(3). 타입 I 프로콜라겐 증진 활성 평가
HDF 세포에서 콜라겐 생성증진 활성을 확인한 결과,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된 transforming growth factor(TGF)-β는 NC(69.6 ng/mL; 100%) 대비216.2% (150.4 ng/mL) 증가된 타입 I 프로콜라겐의 생성량을 보였다(도 3 참조).
4종의 시료는 10 μg/mL의 낮은 농도에서 각각 121.6 ng/mL(가죽나무잎), 200.9 ng/mL(달맞이순), 177.9 ng/mL(병풀), 165.6 ng/mL(쇠뜨기)의 type I procollagen 생성량을 나타냈다(도 3 참조).
음성 대조군(NC)과 비교 했을 때, type I procollagen 생성증진 활성은 달맞이순(200.9%) > 병풀(177.9%) > 쇠뜨기(165.6%) > 가죽나무잎(121.6%) 순으로 확인되었다(도 3 참조).
도 3에서, 양성 대조군(PC)으로는 TGF-β(20 ng/mL) 처리군을 사용하였다.
(4). 인 비트로 엘라스테이즈 억제활성 평가
MMPs 억제 활성 및 type I 프로콜라겐 생성 활성 평가를 통해 가장 우수한 주름개선 효능을 나타낸 달맞이순 시료에 대한 인 비트로 엘라스테이즈 억제 활성을 평가하였다.
대조 물질로 사용된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은 125~1000μg/mL의 농도 범위에서 7.9~56.9%의 엘라스테이즈 억제 활성을 나타냈으며, 달맞이순의 경우 동일한 농도범위에서 농도-의존적인 11.8~39.2%의 억제활성을 보였다(도 4 참조).
달맞이순의 경우 아스코르브산과 비교하여 낮은 활성이었지만, 복합물인 천연물 추출물임을 감안했을 때 매우 우수한 주름개선 활성으로 평가될 수 있었다(도 4 참조).
<실험예 2> 보습 활성 평가(in vitro)
1. 실험 방법
(1). HaCaT 세포를 이용한 시료독성 평가
HaCaT 세포를 2×104 cells/well로 96-웰 플레이트에 도포하고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여 세포를 안정화시켰다. 세포의 배양배지는 모두 제거한 뒤 멸균된 인산완충 생리식염수(PBS)로 두번 세척하고, FBS가 첨가되지 않고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S) 만이 첨가된 DMEM 배지(이하, 무혈청 배지) 180 μL와 적당한 농도로 희석된 시료 20 μL를 첨가한 뒤 재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양 배지는 모두 제거하고, PBS에 10%의 농도로 용해된 EZ-Cytox 용액 100 μL를 첨가하여 1시간 동안 반응시킨 뒤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시료에 대한 세포 생존율을 증류수 대조군에 대한 상대 생존율(viability, %)로 나타내었다.
(2).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생성량 평가
HaCaT 세포를 2×104 cells/well로 96-웰 플레이트에 도포하고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하여 세포를 안정화시켰다. 세포의 배양 배지는 모두 제거한 뒤 멸균된 PBS로 두번 세척하고, FBS가 첨가되지 않고 1% P/S만이 첨가된 DMEM 배지(이하, 무혈청배지) 180 μL와 적당한 농도로 희석된 시료 20 μL를 첨가한 뒤 재배양하였다.
세포배양 상등액으로 유리된 히알루론산의 함량은 R&D Systems사의 엘리자 세트(ELISA set)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제공된 표준 물질을 이용하여 작성된 표준 곡선을 통해 함량(ng/mL)으로 계산되었다.
(3). 통계 처리
실험 결과는 평균과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를 산출하고 평균치±SD로 나타내었으며, 실험 결과에 대한 통계 분석은 SPSS 통계 프로그램(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 12.0, 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한 Student's t-test로 계산하여, 각각 p<0.05, p<0.01 및 p<0.001 수준에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2. 실험 결과
(1). HaCaT 세포에서 시료독성 평가
인간 각질세포(human keratinocyte)인 HaCaT 세포에 대한 시료의 독성 여부는 MTT법으로 측정되었는데, 본 연구진은 음성 대조군(NC)대비 80% 이하의 세포 생존율을 보일 경우 독성으로 간주하고, 세포 독성이 없는 농도 범위에서 이후 실험을 진행하기로 하였다.
양성 대조군(PC)으로 사용된 레티놀(retinol)은 음성 대조군(NC) 대비 117.2%의 세포생존율로서, 이것은 유의적인 세포증식 활성으로 확인되었다(도 5 참조).
시료 4종은 12.5~100 μg/mL 농도 범위에서 측정되었는데, 모든 시료에서 음성 대조군(NC) 대비 유의적인 세포 생존율 감소를 나타내지 않았다(도 5 참조).
달맞이순의 경우, NC와 비교하여 2.2~11.0%의 생존율 감소를 보이기는 했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5 참조).
도 5에서, 양성 대조군(PC)으로는 레티놀(10 μM) 처리군을 사용하였다.
(2). 히알루론산 생성 활성 평가
HaCaT 세포에서 히알루론산 생성증진 활성을 ELISA로 확인한 결과, NC(107.0 ng/mL; 100%)와 비교하여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된 TGF-β는 386.4%(413.6 ng/mL)의 히알루론산 생성증진 활성을 보였다(도 6 참조).
4종의 시료는 12.5~100μg/mL의 농도 범위에서 NC와 비교하여 각각 106.9~136.2%(가죽나무잎), 90.7~265.0%(달맞이순), 89.7~101.8%(병풀), 114.4~148.5%(쇠뜨기)의 히알루론산 생성증진 활성을 보였다(도 6 참조).
달맞이순의 경우, 농도-의존적인 경향으로 히알루론산 생성 증진을 유도하였으며, 특히 50~100μg/mL의 농도 범위에서 NC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도 6 참조). 도 6에서, 양성 대조군(PC)으로는 레티놀(10 μM) 처리군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3> UVB 조사 hairless 마우스에서 선발 소재의 반복 경구투여에 의한 피부건강 증진 효력시험(in vivo)
1. 실험 방법
(1). 경피 수분손실(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
동물이나 사람의 피부 표면에서 공기 중 수분을 픽의 법칙(Fick's law)에 의해서 확산하는 증기압을 구하여, 표피로부터 증발하는 수분을 산정하는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따라서, 인체 외부로의 경피 수분손실량 측정은 각질층의 보습 및 수분 상태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상기 경피 수분손실(TEWL)이 클수록 각질층의 보습 능력이 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Ventilated chamber method에 따라 전해물 분석기를 이용하거나, 쥐의 등쪽 피부(dosal skin)에 경피수분손실 측정기(tewameter), 수분 측정기(corneometer) 등을 이용하여 피부의 수분 정도를 측정하였는데, 도 7은 경피수분손실 측정기(Tewameter)를 나타낸 것이다.
(2). MMPs(Matrix metalloproteinase)
MMP는 아연 이온을 요하는 엔도프로테이즈(endoprotease)로 세포외기질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로서, 과도한 자외선은 AP-1을 활성화시켜 MMPs의 발현을 유도함으로써, 콜라겐을 포함한 세포외기질 단백질을 분해시킨다.
상기 MMPs은 PCR, 단백질 전기영동법 등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상기 PCR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즉, 시험 물질을 식이 섭취시킨 실험 동물의 조직을 적출하여 트리졸(Trizol)을 넣어 균질기로 분쇄하고, 클로로포름을 첨가한 후 혼합하여 방치한 다음 원심분리한다. 상기 원심분리한 상층액을 회수하여 2-프로판올을 혼합하여 방치한다.
이를 다시 원심분리한 후, 80% 주정으로 세척하여 건조시킨다. 추출한 RNA는 DEPC(Diethyl pyrocarbonate) 물에 녹여 first strand cDNA로 합성한다. 상기 합성된 cDNA에 MMPs의 프라이머를 반응시켜 타겟 유전자를 증폭한 후, 유전자 발현량을 분석한다.
또한, 상기 단백질 전기영동법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즉, 시험 물질이 처리된 조직에 세포용해 버퍼(lysis buffer)를 넣고 균질화한 다음, 원심분리한다. 상기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은 단백질을 정량하여 일정량의 단백질을 도데실황산나트륨폴리아크릴아미드겔전기영동법(SDS-PAGE)로 크기별로 분리한 후, 막(membranes)에 이동시킨다.
상기 막은 스킴 밀크나 BSA(Bovine serum albumin)로 블로킹 과정을 거친 후, MMPs 1차 항체를 첨가하여 반응시킨다. 그 후 2차 항체를 첨가하여 반응시킨 다음, ECL 용액으로 반응시키고, X-레이 필름에 노출시켜 각각의 밴드를 정량화하여 MMPs를 측정한다.
(3). 히알루론산 생성
히알루론산은 동물의 유기체 관절액, 연골, 피부 등에 많이 존재하는 성분으로 물과 결합하여 겔 상태가 되어, 관절의 윤활작용, 피부의 유연성 등에 관여한다. 피부 조직에서 히알루론산은 콜라겐과 엘라스틴 섬유조직 사이에 들어 있는 젤리 상태의 물질이다.
히알루론산은 ELISA 등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는데, 상기 ELISA법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즉, 항체를 코팅 용액에 희석하여 마이크로 웰(micro well)에 코팅한 후, 4℃에서 오버나잇 한다. 각 웰을 세척(washing) 용액으로 세척한 후, 시험 물질을 섭취한 실험 동물의 균질화된 조직 상층액(피부 표피, 진피 조직을 지방을 제거하는 등의 전처리 과정 수행)이나 혈액을 분주한다.
실온에서 방치한 다음 세척 용액으로 세척하고, antibody Avidin-HRP conjugated를 처리한다. 실온에서 방치 및 세척한 다음 TMB 기질을 분주하여 어두운 곳에서 방치한 후, 스탑 용액을 넣고 흡광도를 측정한다.
(4). 피부 주름(skin wrinkle)
건강한 표피의 각질층은 15~20%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수분이 10% 이하로 떨어지면 피부가 건조해지고, 윤기와 탄력이 없어져 주름이 증가하게 된다.
피부 주름은 실험 동물의 등쪽 피부를 Replica-visiometer를 이용하여, R1~R5로 나뉘어 측정하였는데, R1은 피부 표면 가장 높은 값과 낮은 값 사이의 거리, R2는 5부위 측정치 중 R1의 가장 큰 값, R3는 4부위 측정치 R1의 평균, R4는 평활도 깊이, R5는 산술 평균 표면 거칠기를 평가하였다.
2. 실험 결과
(1). 경피 수분손실(Transepidermal water loss)
경피 수분손실량을 측정한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발군(G2)은 정상군(G1)과 대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다(p<0.01).
한편, 양성 대조군 투여군(G3)은 유발군(G2)과 대비하여 유의차가 없고, 시험물질 투여군(G4-G6)은 모두 유발군(G2)과 대비하여 유의차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도 8에서, ++는 G1과 대비하여 유의차 있음, +는 G12와 대비하여 유의차 있음을 의미한다.
(2). 피부조직에서 MMPs 생성량
피부조직에서 MMPs 생성량을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MMP-1의 경우 유발군(G2)은 정상군(G1)과 대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고(p<0.05), 양성대조군 투여군(G3)은 유발군(G2)과 대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며(p<0.05), 시험물질 저농도-중간농도 투여군(G4-G5)은 유발군(G2)과 대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고(p<0.05), 고농도 투여군(G6)은 유발군(G2)과 대비히여 유의차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MMP-2의 경우, 유발군(G2)은 정상군(G1)과 대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고(p<0.05), 양성대조군 투여군(G3)은 유발군(G2)과 대비하여 유의차가 없으며, 시험물질 저농도 투여군(G4)은 유발군(G2)과 대비하여 유의차가 없고, 시험물질 중간농도 투여군(G4)은 유발군(G2)과 대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고(p<0.05), 시험물질 고농도 투여군(G6)은 유발군(G2)과 대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한편, MMP-9의 경우, 유발군(G2)은 정상군(G1)과 대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고(p<0.05), 양성대조군 투여군(G3)은 유발군(G2)과 대비하여 유의차가 없으며, 시험물질 저농도-중간농도 투여군(G4-G5)은 유발군(G2) 대비과 대비하여 유의차가 없고, 시험물질 고농도 투여군(G6)은 유발군(G2)과 대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알 수 있다(p<0.05).
도 9에서, ++는 G1과 대비하여 유의차 있음, +는 G12와 대비하여 유의차 있음을 의미한다.
(3). 히알루론산 생성
피부 조직에서 히알루론산 생성량을 축정한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발군(G2)은 정상군(G1)과 대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고(p<0.05), 양성대조군 투여군(G3)은 유발군(G2)과 대비하여 유의차가 없으며, 시험물질 저농도-중간 농도 투여군(G4-G5)은 유발군(G2)과 대비하여 유의차가 없고, 시험물질 고농도 투여군(G6)은 유발군(G2)과 대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다(p<0.05).
도 10에서, ++는 G1과 대비하여 유의차 있음, +는 G12와 대비하여 유의차 있음을 의미한다.
(4). 피부 주름(리플리카 분석)
피부의 총 주름 영역, 총 주름수 및 총 주름 길이를 분석한 결과를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었다.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총 주름영역의 경우, 유발군(G2)은 정상군(G1)과 대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고(p<0.05), 양성대조군 투여군(G3)은 유발군(G2)과 대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며(p<0.05), 시험물질 저농도-중간농도 투여군(G4-G5)은 유발군(G2)과 대비하여 유의차가 없고, 시험물질 고농도 투여군(G6)은 유발군(G2)과 대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알 수 있다(p<0.05).
총 주름수의 경우, 유발군(G2)은 정상군(G1)과 대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고(p<0.05), 양성대조군 투여군(G3)은 유발군(G2)과 대비하여 유의차가 없으며, 시험물질 투여군(G4-G6)은 유발군(G2)과 대비하여 유의차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총 주름 길이의 경우, 유발군(G2)은 정상군(G1)과 대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고(p<0.05), 양성대조군 투여군(G3)은 유발군(G2)과 대비하여 유의차가 없으며, 시험물질 투여군(G4-G6)은 유발군(G2)과 대비하여 유의차가 없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평균 주름 길이의 경우, 유발군(G2)은 정상군(G1)과 대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고(p<0.05), 양성대조군 투여군(G3)은 유발군(G2)과 대비하여 유의적인 감소(p<0.05)가 없으며, 시험물질 투여군(G4-G6)은 유발군(G2)과 대비하여 유의차가 없었다.
총 주름 깊이의 경우, 유발군(G2)은 정상군(G1)과 대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고(p<0.05), 양성대조군 투여군(G3)은 유발군(G2)과 대비하여 유의차가 없으며, 시험물질 투여군(G4-G6)은 유발군(G2)과 대비하여 유의차가 없었다.
평균 주름 깊이의 경우, 유발군(G2)은 정상군(G1)과 대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고(p<0.05), 양성대조군 투여군(G3)은 유발군(G2)과 대비하여 유의차가 없으며, 시험물질 저 농도 투여군(G4)은 유발군(G2)과 대비하여 유의차가 없고, 시험물질 중간 농도-고농도 투여군(G5-G6)은 유발군(G2)과 대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이상의 실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달맞이순 에탄올 추출물은 50 mg/kg 내지 200 mg/kg 농도에서 피부 주름개선, 피부 보습 등과 같은 피부건강 증진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통상의 기술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달맞이순 추출물 또는 그의 건조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 또는 열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 추출물은 달맞이순을 10~95%(w/v) 농도의 주정에 침지시켜 20~90℃의 온도에서 1~50 시간 동안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물은 달맞이순 추출물을 동결건조 또는 열풍건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달맞이순 추출물 또는 그의 건조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 또는 열수 추출물이고,
    상기 에탄올 추출물은 달맞이순을 10~95%(w/v) 농도의 주정에 침지시켜 20~90℃의 온도에서 1~50 시간 동안 추출한 것이며,
    상기 건조물은 달맞이순 추출물을 동결건조 또는 열풍건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KR1020190174681A 2019-12-26 2019-12-26 달맞이순 추출물 또는 그의 건조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2100826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681A KR20210082600A (ko) 2019-12-26 2019-12-26 달맞이순 추출물 또는 그의 건조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681A KR20210082600A (ko) 2019-12-26 2019-12-26 달맞이순 추출물 또는 그의 건조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2600A true KR20210082600A (ko) 2021-07-06

Family

ID=76861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681A KR20210082600A (ko) 2019-12-26 2019-12-26 달맞이순 추출물 또는 그의 건조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260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083B1 (ko) 2006-07-28 2008-05-16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생리활성을 갖는 애기달맞이 추출물
KR101762353B1 (ko) 2010-01-06 2017-08-04 (주)아모레퍼시픽 홍삼 추출물 및 약초 발효물을 함유하는 면역 증강용 및 항산화용 건강식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083B1 (ko) 2006-07-28 2008-05-16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생리활성을 갖는 애기달맞이 추출물
KR101762353B1 (ko) 2010-01-06 2017-08-04 (주)아모레퍼시픽 홍삼 추출물 및 약초 발효물을 함유하는 면역 증강용 및 항산화용 건강식품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3(2), 335-336 (2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9471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69359B1 (ko) 멜라닌 합성 촉진용 조성물
KR101897488B1 (ko) 피부장벽강화, 피부재생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05369A (ko) 씨-피코시아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EP2506724B1 (fr) Extrait de graines de vigna unguiculata et compositions le comprenant
KR20220082393A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그 배양액,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피부 보습, 피부 장벽 강화, 및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EP2200574B1 (en) Novel use of panduratin derivatives or extract of kaempferia pandurata comprising the same
EP3541478B1 (fr) Utilisation cosmétique, nutraceutique ou pharmaceutique préférentiellement dermatologique d&#39;un extrait de feuilles de la plante lansium domesticum pour diminuer la pigmentation de la peu et/ou des annexes cutanées
JP2015027998A (ja) 保湿剤、皮膚バリア機能改善剤、タイトジャンクション形成促進剤、trpv4発現上昇剤、細胞内カルシウム濃度上昇剤、細胞内カルシウム濃度上昇剤、脂質合成促進剤、血流改善剤及びクマ改善剤
FR3016289A1 (fr) Extrait vegetal comprenant des sucrose-esters en tant que principe actif et son utilisation dans une composition cosmetique, dermatologique ou nutraceutique
KR20220004328A (ko) 햄프씨드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내 마이크로바이옴 균형 유지용 조성물
KR101552472B1 (ko)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이 증진된 굴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914441B1 (ko) 퓨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2014114235A (ja) メラニン産生抑制剤及び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KR101904501B1 (ko) 퓨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FR3028764A1 (fr) Extrait peptidique et osidique de fruit de schizandra et amelioration de la reponse du systeme neurosensoriel cutane
KR20210082600A (ko) 달맞이순 추출물 또는 그의 건조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130054518A (ko)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20170065956A (ko) 육계나무 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 조성물
KR101402753B1 (ko) 불미나리 추출물 및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
JP2011032177A (ja) Kit切断抑制剤
KR102326086B1 (ko) 닥나무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개선, 보습, 및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CN112584820A (zh) 含有百里香复合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皮肤保湿用化妆品组合物
KR20190132705A (ko) 철갑상어 알 및 철갑상어 양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을 위한 조성물
KR102366932B1 (ko) 무궁화 연화 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증, 보습,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상처 재생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