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1733A - 센서 보호관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냉장고 및 센서 고정방법 - Google Patents

센서 보호관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냉장고 및 센서 고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1733A
KR20210081733A KR1020190173976A KR20190173976A KR20210081733A KR 20210081733 A KR20210081733 A KR 20210081733A KR 1020190173976 A KR1020190173976 A KR 1020190173976A KR 20190173976 A KR20190173976 A KR 20190173976A KR 20210081733 A KR20210081733 A KR 20210081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protection tube
ice
sensor protection
tub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준동
신계영
임동혁
박광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190173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1733A/ko
Publication of KR20210081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17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8Protective devices, e.g.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12Temperature of ice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4Sensors measuring the temperature outside the refrigerator or freez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6Sensors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produ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2207/00Application of thermometers in household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선이 연결되는 센서가 수용되는 센서 보호관으로써, 상기 센서가 수용되는 보호관 본체 및 상기 보호관 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도선을 상기 보호관 본체에 결합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융착부를 포함하는 센서 보호관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냉장고 및 센서 고정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센서 보호관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냉장고 및 센서 고정방법 {PROTECTION SENSOR PIPE AND ICE MAKER,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AND SORDE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센서 보호관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냉장고 및 센서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시설 전반에 걸려 사용되는 온도센서는 덕트 내에 부식성을 유발시키는 가스 등에 의하여 상기 온도 센서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식성이 강한 재질을 사용한다. 그리고, 이러한 온도 센서를 내식성이 강한 재질의 보호관에 삽입하여 사용하게 된다.
종래의 온도센서는 온도센서 보호관에 별도의 고정 도구를 사용하여 고정하게 된다. 즉, 온도센서가 볼트 및 나사 또는 링(ring) 등을 이용한 결합 방식으로 고정시키고 배관 등의 외주면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형태로 형성시켰다.
그러나, 상기 온도센서를 배관 상에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고정하는 경우에 상기 배관의 외주에 용접된 부위의 부식이 발생되거나 내부의 진동 또는 외력에 의해 상기 온도센서의 위치가 변경 및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29462호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센서 보호관에 상기 센서를 내부 솔더링 방식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외부 노출에 의한 안전성에 대한 위험을 제거하고 내식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센서 보호관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냉장고 및 센서 고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센서 보호관을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소재로 충진 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센서의 안정성 및 내식성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는 센서 보호관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냉장고 및 센서 고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보호관은,
도선이 연결되는 센서가 수용되는 센서 보호관으로써,
상기 센서가 수용되는 보호관 본체; 및
상기 도선을 상기 보호관 본체에 결합시키도록 상기 보호관 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융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융착부는 상기 보호관 본체 외부에서 관찰 불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융착부는 상기 보호관 본체의 내주면에 솔더링(soldering)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보호관 본체는 소정의 내부 공간이 'U'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내부 공간에는 절연성 수지(insulating resin)가 충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절연성 수지는 실리콘 및 에폭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보호관 본체는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 SUS, STS)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는 온도센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는 정전용량 방식 센서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센서 보호관을 형성시키는 고정방법을 제공하는 바, 도선을 센서가 수용되는 센서 보호관에 부착하여 고정하는 방법으로써,
제1 용융체를 외부 열원을 이용하여 상기 센서 보호관 내측에 융착부를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센서 보호관의 융착부에 상기 도선을 융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용융체와 상기 도선의 연결 부위를 제2 용융체로 융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용융체 및 제2 용융체는 동종 또는 이종물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열원은 상기 센서 보호관의 최상단면을 기준으로 15 내지 30도 경사를 갖고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융착부는 상기 센서 보호관의 전체 높이 100을 기준으로 최상단으로부터 10 내지 30% 범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열원은 직접 가열방식 또는 열전도 방식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인두를 이용한 납땜방식 또는 레이저 인가 방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용융체는 상기 외부 열원이 상기 센서 보호관의 외측에서 가열되어 융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센서 보호관이 구비된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빙기는, 제빙 본체;
상기 제빙 본체의 길이방향 일측단부에 구비되고, 다수의 전장 부품이 내장되는 제어 박스;
제빙홈이 형성된 제빙 트레이; 및
상기 제빙 본체에 구비되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는,
상기 센서가 수용되는 보호관 본체; 및
상기 보호관 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도선을 상기 보호관 본체에 결합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융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는 온도센서일 수 있고, 정전용량방식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보호관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냉장고 및 센서 고정방법은 온도센서 보호관을 내부 솔더링 방식으로 상기 온도센서를 고정시킴으로써, 외부 노출에 의한 안전성에 대한 위험을 제거하고 내식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보호관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냉장고 및 센서 고정방법은 온도센서 보호관을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소재로 충진 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온도센서의 안정성 및 내식성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 보호관의 투영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 보호관에 도선을 고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 보호관에 도선을 고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상태도들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보호관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냉장고 및 센서 고정방법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도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 보호관의 투영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보호관(300)은 측정소자(10)이 삽입되는 내부 공간(C)을 형성하는 센서 보호관 본체(310) 및 일측에 도선(W)를 납땜(soldering)하여 형성되는 융착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관 본체(310)는 상부가 개구된 'U'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C)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공간(C)에는 외부의 측정장치와 연결되는 측정소자(10)이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관 본체(310)는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 SUS, STS)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융착부(500)는 보호관 본체(310)의 내주면(311)에 형성될 수 있다. 융착부(500)는 보호관 본체(310)의 최상단으로부터 소정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융착부(500)의 구체적인 형성 위치 및 형성 방법은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융착부(500)에는 외부로부터 연결되는 도선(W)이 납땜(soldering)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보호관 본체(310)의 소재특성으로 이종금속 간의 납땜이 불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융착부(500)는 특정소재를 포함하는 제1 용융체(510) 및 제2 용융체(520)를 통하여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융착부(500)는 서로 동종 또는 상이한 이종물질의 제1 용융체(510) 및 제2 용융체(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용융체(510)는 예를 들어, 구리(Cu)를 일부로 포함하는 2종 이상의 물질일 수 있고, 제2 용융체(510)는 구리(Cu) 또는 상기 구리(Cu)를 일부로 포함하는 2종 이상의 물질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관 본체(3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C)에는 절연성 수지(insulating resin)가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절연성 수지가 충진되는 경우에 보호관 본체(310)에 형성되는 융착부(500)의 부식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절연성 수지는 예를 들어, 실리콘, 에폭시, 알코올 및 써멀 그리스(thermal greas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절연성 수지(insulating resin)는 상기 보호관 본체(310)의 챔버 공간(C)에 측정소자(10)가 잠기도록 충진될 수 있고, 적어도 융착부(500)가 노출되지 않도록 충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센서 보호관(300)에 융착부(500)를 형성시키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 보호관에 도선을 고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 보호관에 도선을 고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상태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외부 열원을 이용하여 센서 보호관 본체(310)의 내면(311) 제1 용융체(510)를 형성시킬 수 있다(S100). 이때, 상기 외부 열원은 예를 들어, 인두와 같은 직접 가열방식 수단일 수 있다(S10).
또는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이 제시하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열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 보호관 본체(300)의 외측에서 가열하는 방식으로 융착부(5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보호관 본체(300)는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 SUS, STS)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보호관 본체(300)의 외측에서 레이저를 인가하는 비접촉으로 열전도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S20).
이 후, 외부의 측정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도선(W)을 제1 용융체(510)가 형성된 부위에 연결시킬 수 있다(S200). 그 다음 제1 용융체(510) 도선(W)이 연결된 부위에 제2 용융체(520)를 융착시켜 융착부(500)를 형성시킬 수 있다(S300). 이러한 제1 용융체(510) 및 제2 용융체(510)는 예를 들어, 구리(Cu) 또는 상기 구리(Cu)를 포함하는 소재일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착부(500)는 보호관 본체(300) 전체 높이(H)를 기준으로 제1 융착점(h1)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보호관 본체(300) 전체 높이(H)에 대해서 동일한 높이를 갖는 가상의 제1 융착점(h1), 제2 융착점(h2) 및 제3 융착점(h3)로 구획하는 경우에 제1 융착점(h1)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호관 본체(300) 전체 높이(H)를 기준으로 최상단으로부터 10 내지 30% 범위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외부 열원으로 예를 들어, 인두를 사용하여 융착부(500)를 형성시키는 경우에, 상기 인두의 단부는, 용이한 융착부(500)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보호관 본체(300)의 최상단면을 지나는 가상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대략 10 내지 30도의 각도 범위(θ)에서 제공될 수 있다.
나아가,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보호관 본체(300)의 외측에서 가열하는 방식으로 융착부(500)를 형성시키는 경우에는 제2 융착점(h2) 또는 제3 융착점(h3) 부위의 외측에서 레이져 등을 사용하여 제1 용융체(510) 및 제2 용융체(520)를 열전도 방식으로 용융시켜 융착부(5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ㄴ전술한 센서 보호관이 구비된 제빙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전술한 센서 보호관(300)이 구비된 제빙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1)는 전면이 개구된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저장실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어(8, 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은, 식품을 냉장 상태로 저장하는 냉장실과, 식품을 냉동 상태로 저장하는 냉동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냉장고(1)는 상기 냉장실 및 상기 냉동실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한 것으로서, 상기 냉장실이 상기 냉동실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어(8, 9)는,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8)와,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9)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실 도어(8)는 서로 좌우로 배치된 두 개로 구비되어, 좌측 냉장실 도어(8)는 상기 냉장실의 일부인 좌측을 개폐할 수 있고, 우측 냉장실 도어(8)는 상기 냉장실의 나머지부인 우측을 개폐할 수 있다.
센서 보호관(300)을 포함하는 제빙기(100)는 상기 냉장실 및 상기 냉동실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냉장고(1)는 상기 냉장실의 좌측 상부에 제빙기(100)가 설치될 수 있다.
제빙기(100)는 냉장고(1)로부터 제빙수를 공급받을 수 있고, 냉장고(1)의 냉동사이클로부터 상기 저장실로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 상기 제빙수를 얼음으로 변하게 하여서, 상기 얼음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제빙기(100)는 순환팬(50)이 설치된 제어박스(20), 아이스 트레이(102), 유로 커버(150), 가압 지지부(200) 및 드레인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기 위한 예로써, 이제 한정되지는 않고 얼음이 제조된 후에 얼음이 이동되는 저장부 및 저장부에 설치된 어거모터와 스크류, 아이스 트레이(102)에 제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 등의 구성은 도시를 생략하였다.
아이스 트레이(102)에는 제빙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빙홈은 아이스 트레이(102)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빙홈은 아이스 트레이(102)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02)의 하면에는 열교환핀(102a)이 소정의 길이로 하향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핀(102a)은 냉매관(120)과 접촉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박스(20)는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박스(20)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02)의 일단은 제어박스(2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02)의 길이는 제어박스(20)의 일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02)의 타단에 부근에는 급수부(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는 상기 제빙홈으로 제빙수를 공급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빙홈으로 공급된 제빙수는 냉장고(1) 저장실의 냉기에 의해 냉각되어 얼음으로 변할 수 있다. 제어박스(20) 내부에는 기어박스(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를 비롯한 각종 내부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제어박스(20) 내부에는 이빙 모터(미도시)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이빙 모터는 상기 제빙홈에서 얼음이 이빙되도록 구동할 수 있다.
또, 아이스 트레이(102)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는 이젝터(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젝터(30)는 제어박스(20)의 일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긴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젝터(30)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젝터(30)의 일단은 제어박스(2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젝터(30)의 일단은 제어박스(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젝터(30)는 상기 이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둘레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젝터(30)에는 이젝트 핀(26)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젝트 핀(26)은 이젝터(30)의 둘레면에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젝트 핀(26)은 이젝터(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이젝트 핀(26)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이젝트 핀(26)은 복수개의 상기 제빙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젝트 핀(26)은 이젝터(30)의 회전 시 상기 제빙홈으로 삽입되어 얼음을 취출하여 이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빙홈에서 이젝트 핀(26)에 의해 취출되어 이빙된 얼음은 낙하하여 아이스 박스 내에 수용되어 저장될 수 있다.
즉, 이빙되는 방식으로, 이빙을 위해 아이스 트레이(102)가 트위스트 되거나, 전술한 바와 같이 이젝터(30)의 회전이 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이젝터(30)의 회전에 의해 이빙되는 금속재의 아이스 트레이(102)일 수 있다. 물론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한 소재일수도 있다.
냉장고(1)의 상기 저장실에는 상기 아이스 박스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박스는 제빙기(1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박스는 상측이 개구된 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빙기(100)에서 제빙된 얼음은 제빙기(100)로부터 상기 아이스 박스로 이빙되어, 상기 아이스 박스 내에 수용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박스 내에는 오거(Auger)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오거는 상기 아이스 박스에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오거의 양단은 각각 상기 아이스 박스의 양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오거의 외주면에는 나선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거는 회전 시 상기 나선홈을 통해 상기 아이스 박스 내에 저장된 얼음을 상기 아이스 박스의 외부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오거는 상기 아이스 박스의 일측에 설치된 오거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이빙 히터(110)는 면상 히터일 수 있다. 면상 히터와 아이스 트레이(102)의 저부측 표면과 면접촉을 통해 열전달을 할 수 있고, 상기 열전달에 의해 이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빙기(100)는 다른 하나의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열 냉각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수분이 아이스 트레이(102)의 저부에 맺혀 하방으로 떨어질 수 있고, 떨어진 물방울은 드레인부(70)에 도달할 수 있다. 드레인부(70)에 도달한 물방울은 제빙실 내부 환경에 의해 결빙될 수 있는데, 결빙이 누적되면 배수목적을 상실할 수 있으므로 결빙 가능성이 있는 위치에 히터의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해빙 히터(미도시)이며, 해빙을 위해 드레인부(70)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히터 커버(미도시)는 이빙 히터(110)를 덮을 수 있다. 상기 히터커버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커버는 일측이 개구된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커버에는 드레인부(70)의 일측이 고정된 상태로 회동 가능하도록 회전축(41)과 제어박스(20) 결합되는 체결부(42)가 소정의 길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드레인부(70)의 일측이 상기 히터커버의 회전축(41)에 고정된 상태로 회동될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02)의 하면에는 냉매관(120)이 설치될 수 있다. 냉매관(120)은 길이방향의 가운데가 절곡된 U형일 수 있다. 냉매관(120)은 냉장고(1)의 냉동사이클 회로에서 냉매를 공급받아서 아이스 트레이(102)를 냉각할 수 있다. 상기 냉동사이클 회로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및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고, 냉매관(102)은 상기 팽창기구를 통과한 냉매를 공급받아서 아이스 트레이(102)를 냉각할 수 있다. 냉매관(120)은 아이스 트레이(102)를 냉각하여 상기 제빙홈의 제빙수가 보다 더 빠르게 제빙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유로 커버(150)는 냉매관(120)이 설치된 부위를 감싸는 형상으로 일측이 개방된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로 커버(150)는 공기가 유동(WD)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유로 커버(150)와 제어박스(20)에는 상기 공기가 유동하도록 통공(H)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로 커버(150)에서 유동하는 상기 공기는 통공(H)을 통하여 이동하면서 제어박스(20)에 설치된 순환팬(50)을 따라 배출될 수 있다. 유로 커버(150)의 양측 단부에는 냉매관(120)을 지지하거나 감싸도록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가압 지지부(200)가 각각 결합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유로 커버(150)와 가압 지지부(200)의 구체적인 체결 구조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드레인부(70)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드레인부(70)는 유로 커버(150)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부(70)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략 사각형상의 하면과, 상기 하면의 네변에서 각각 상측으로 연장되는 측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부(70)는 상측이 개구된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부(70)는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표면에 결빙을 방지하는 해빙 히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빙 히터 및 이빙 히터(110)는 직렬 및 병렬 중 하나 이상으로 전기적인 연결이 될 수 있다. 이빙 히터(110) 및 상기 해빙히터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직렬 및 병렬 중 하나 이상의 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두 히터는 각각이 복수 개 마련될 수 있기 때문이다.
드레인부(70)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제빙홈(미도시)에서 만수 또는 과공급되어 넘칠 수 있는 제빙수를 받아서, 상기 제빙수가 하부에 장착되는 아이스 박스(미도시)에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레인부(70)는 제어박스(2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드레인부(70)는 일측이 상기 히터커버의 회전축(41)에 고정된 상태로 회동되고, 타측이 제어박스(2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드레인부(70)의 상기 타측 부위에는 제어박스(20)의 순환팬(50)의 전면 부위에 결합되는 수평 연장부(72), 측면 부위에 가압 체결되는 단차부(75)가 형성된 수직 연장부(7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드레인부(70)의 일측이 상기 히터커버에 고정된 상태로 회동되면서 타측이 제어박스(20)의 측면 부위에 가압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보호관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냉장고 및 센서 고정방법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 냉장고 8, 9: 도어
10: 측정소자 20: 제어박스
26: 이젝트핀 30 : 이젝터
41: 회전축 50: 순환팬
70: 드레인부 100: 제빙기
102: 아이스 트레이 110: 히터부
120: 냉매관 150: 유로 커버
200: 가압 지지부 300: 온도센서 보호관
310: 보호관 본체 311: 내면
500: 융착부 510: 제1 용융체
520: 제2 용융체 M: 절연유체
h1: 제1 융착점 h2: 제2 융착점(h2)
h3: 제3 융착점

Claims (19)

  1. 도선이 연결되고 센서가 수용되는 센서 보호관으로써,
    상기 센서가 수용되는 보호관 본체; 및
    상기 도선을 상기 보호관 본체에 결합시키도록 상기 보호관 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융착부;를 포함하는 센서 보호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는 상기 보호관 본체 외부에서 관찰 불가능하게 형성되는 센서 보호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는 상기 보호관 본체의 내주면에 솔더링(soldering)되는 센서 보호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관 본체는 소정의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U' 형상인 센서 보호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에는 절연성 수지(insulating resin)가 충진되는 센서 보호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수지는 실리콘 및 에폭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센서 보호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관 본체는 스테인레스강(stainless steel, SUS, STS) 소재를 포함하는 센서 보호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온도센서인 센서 보호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정전용량 방식 센서인 센서 보호관.
  10. 도선을 센서가 수용되는 센서 보호관에 부착하여 고정하는 방법으로써,
    제1 용융체를 외부 열원을 이용하여 상기 센서 보호관 내측에 융착부를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센서 보호관의 융착부에 상기 도선을 융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용융체와 상기 도선의 연결 부위를 제2 용융체로 융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센서 보호관의 센서 고정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융체 및 제2 용융체는 동종 또는 이종물질인 센서 보호관의 센서 고정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열원은 상기 센서 보호관의 최상단면을 기준으로 15 내지 30도 경사를 갖고 제공되는 센서 보호관의 센서 고정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는 상기 센서 보호관의 전체 높이 100을 기준으로 최상단으로부터 10 내지 30% 범위에 형성되는 센서 보호관의 센서 고정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열원은 직접 가열방식 또는 열전도 방식인 센서 보호관의 센서 고정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융체는 상기 외부 열원이 상기 센서 보호관의 외측에서 가열되어 융착되는 센서 보호관의 센서 고정방법.
  16. 제빙 본체;
    상기 제빙 본체의 길이방향 일측단부에 구비되고, 다수의 전장 부품이 내장되는 제어 박스;
    제빙홈이 형성된 제빙 트레이; 및
    상기 제빙 본체에 구비되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는,
    상기 센서가 수용되는 보호관 본체; 및
    상기 보호관 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도선을 상기 보호관 본체에 결합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융착부;를 포함하는 제빙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온도센서인 제빙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정전용량 방식 센서인 제빙기.
  19. 제 16 항에 따른 상기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190173976A 2019-12-24 2019-12-24 센서 보호관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냉장고 및 센서 고정방법 KR202100817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976A KR20210081733A (ko) 2019-12-24 2019-12-24 센서 보호관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냉장고 및 센서 고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976A KR20210081733A (ko) 2019-12-24 2019-12-24 센서 보호관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냉장고 및 센서 고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1733A true KR20210081733A (ko) 2021-07-02

Family

ID=76897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976A KR20210081733A (ko) 2019-12-24 2019-12-24 센서 보호관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냉장고 및 센서 고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173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9462A (ko) 1997-09-02 1999-04-26 제임스 이. 미러 안테나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9462A (ko) 1997-09-02 1999-04-26 제임스 이. 미러 안테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6084B2 (en) Icemaker with reversible thermosiphon
KR101798553B1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10801768B2 (en) Ice making assemblies for making clear ice
US5941085A (en) Refrigerator having an apparatus for defrosting
US20160370052A1 (en) Refrigerator including ice maker and method for collecting defrost water of the same
EP3372921B1 (en) Evapo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CN106257213A (zh) 冰箱以及制造用于冰箱的制冰机的方法
EP4030126A1 (en) Evaporator assembly for ice-making apparatus
KR20210081733A (ko) 센서 보호관 및 이를 포함하는 제빙기, 냉장고 및 센서 고정방법
US11313596B2 (en) Evapo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RU2449229C2 (ru) Хол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с ледогенератором
JP6484709B2 (ja) 除霜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冷蔵庫
US20120042681A1 (en) Multifunctional rod for icemaker
JP4358844B2 (ja) 冷蔵庫
EP3106784A1 (en) Ice making duct for refrigerator and ice making method of using the same
JP6955399B2 (ja) 除霜装置
JP6744731B2 (ja) 冷蔵庫
CN205079527U (zh) 一种热管防凝露中梁及冷柜
JP6026966B2 (ja) 冷蔵庫
WO2023016413A1 (zh) 用于制造透明冰的制冰组件
JP7505755B2 (ja) 冷蔵庫
JP3675926B2 (ja) 冷却ユニットの製造装置
JP6937938B2 (ja) 冷蔵庫
KR102466208B1 (ko) 제빙용 냉각장치
KR200180229Y1 (ko) 냉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