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0646A - 궤적 리플레이 장치 및 이의 당구 코칭 방법 - Google Patents

궤적 리플레이 장치 및 이의 당구 코칭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0646A
KR20210080646A KR1020190171374A KR20190171374A KR20210080646A KR 20210080646 A KR20210080646 A KR 20210080646A KR 1020190171374 A KR1020190171374 A KR 1020190171374A KR 20190171374 A KR20190171374 A KR 20190171374A KR 20210080646 A KR20210080646 A KR 20210080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billiard
captured image
stroke
re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4082B1 (ko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에스씨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에스씨스템 filed Critical (주)제이에스씨스템
Priority to KR1020190171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082B1/ko
Publication of KR20210080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0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63D15/006Training or aiming arrangements on billiard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63F13/49Saving the game status; Pausing or ending the game
    • A63F13/497Partially or entirely replaying previous game actions
    • G06T5/00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80Geometric 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 H04N5/21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28Tracking the path of an object, e.g. a ball inside a soccer pit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8Inclination, slope or curvat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40Accel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2Billi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궤적 리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당구 코칭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은 IP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의 왜곡을 보정하고, 보정된 영상에 수구의 이동경로를 오버랩한 리플레이 영상을 통해 사용자에게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당구 큐와 결합된 센서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스트로크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당구 코칭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궤적 리플레이 장치 및 이의 당구 코칭 방법{TRACKING PATH REPLAY DEVICE AND METHOD FOR COACHING BILLIARD THEREOF}
본 발명은 궤적 리플레이 장치 및 이의 당구 코칭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구는 오랜시간동안 많은 사람들이 즐겨하던 스포츠로, 현재도 많은 사람들이 플레이하고 있으며, 게임 종류도 4구(Four-ball), 3쿠션(Three-cushion), 포켓볼(Pocket) 등 다양하다.
당구는 게임의 종류에 따라 정해진 규칙에 점수가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게임이다. 종래에는 당구 경기에서 사람의 시야에 따라 득점 여부가 달라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당구 경기에서는 비디오 판독 시스템이 존재하나, 현재 비디오 판독 시스템은 화질이 무척 낮고 굴곡현상으로 인해 실제 오판독을 하는 경우도 발생된다. 또한, 기존 리플레이 영상에서는 궤적을 추적하는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아, 다시보기를 하여도 수구의 움직임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당구의 기본은 큐를 제대로 다루는 것이다. 플레이어는 포켓볼, 3쿠션 및 4쿠션 모두 큐를 제대로 다룰 수 있어야 수구를 컨트롤할 수 있다. 수구 컨트롤은 다득점의 필수조건이나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플레이어의 점수는 큐를 얼마나 잘 다룰 수 있느냐에 따라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에 따라 훈련을 원하는 사용자들은 다양한 형태로 당구 교습을 받고 있으나, 하지만 종래에는 힘의 세기, 스트로크 길이등을 설명하는 내용이 부족하여 사용자 개개인의 트레이닝 능력을 향상시키기에는 역부족인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5735호(2011.07.27)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IP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의 왜곡을 보정하고, 보정된 영상에 수구의 이동경로를 오버랩한 리플레이 영상을 통해 사용자에게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궤적 리플레이 장치 및 이의 당구 코칭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당구 큐와 결합된 센서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스트로크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당구 코칭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른 궤적 리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당구 코칭 방법은 IP 카메라를 통해 당구대 및 당구공을 촬영한 제1촬영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촬영영상 중 왜곡 이미지를 보정한 제2촬영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촬영영상 및 제2촬영영상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수구의 이동좌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수구의 이동좌표를 기반으로 상기 제2촬영영상에 상기 수구의 이동경로를 오버랩하여 리플레이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스트로크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리플레이 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1촬영영상 중 왜곡 이미지를 보정한 제2촬영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촬영영상에 포함된 FOV(Field Of View)에 의한 왜곡을 보정하여 상기 제2촬영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1촬영영상 및 제2촬영영상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수구의 이동좌표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IP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제1촬영영상으로부터 수구를 실시간으로 트래킹하여 이동좌표를 산출하거나, 상기 제2촬영영상을 기준으로 하는 보정된 이동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산출된 수구의 이동좌표를 기반으로 상기 제2촬영영상에 상기 수구의 이동경로를 오버랩하여 리플레이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촬영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당구공 중 수구가 움직이는 시점의 소정 시간 전부터 상기 당구공 중 수구, 제1목적구 및 제2목적구가 정지하는 시점까지를 상기 리플레이 영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리플레이 영상은 터치스크린 기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앞으로 감기, 뒤로 감기, 재생, 일시정지, 재생 속도 설정 및 건너뛰기 중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당구 코칭 방법은 일 실시예로, 상기 궤적 리플레이 장치와 연동하는 당구 큐에 설치된 스트로크 센서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스트로크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스트로크 정보에 기초한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트로크 정보의 분석 결과를 상기 리플레이 영상의 일정 영역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센서모듈은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스트로크 정보에 기초한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는, 스트로크의 파워, 속도, 큐 길이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정량적 수치 및 이를 그래프로 변환하여 상기 분석 결과로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스트로크 정보의 분석 결과를 상기 리플레이 영상의 일정 영역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수에 대응하는 분석 결과를 상기 리플레이 영상의 일정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측면에 따른 당구 코칭이 가능한 궤적 리플레이 장치는 당구대 상부에 설치되어 당구대 및 당구공을 촬영한 제1촬영영상을 생성하는 IP 카메라, 상기 IP 카메라로부터 상기 촬영된 제1촬영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제1촬영영상 중 왜곡 이미지를 보정한 제2촬영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제1촬영영상 및 제2촬영영상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수구의 이동좌표를 산출하고, 산출된 수구의 이동좌표를 기반으로 상기 제2촬영영상에 상기 수구의 이동경로를 오버랩하여 리플레이 영상을 생성하는 리플레이 영상 생성부 및 사용자의 스트로크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리플레이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수구의 움직임을 트래킹하고 이에 대한 궤적을 리플레이 영상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플레이어 간의 득점여부에 대한 논쟁을 해소하고, 당구 훈련시의 편의성을 보다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당구 큐에 설치된 센서모듈과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의 스트로크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스트로크 정보를 분석하여 리플레이 영상에 함께 제공함으로써 데이터 기반의 당구 훈련이 가능하게끔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스트로크 정보를 기반으로 코칭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스트로크 자세 교정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IP 카메라가 당구대의 상부에 설치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궤적 리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당구 코칭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제1촬영영상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당구 큐에 설치된 스트로크 센서모듈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트로크 미션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플레이 영상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스트로크 정보를 생성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로크 자세의 분석 결과를 시각화하는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당구 코칭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의미를 간략히 설명한다. 그렇지만 용어의 설명은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므로, 명시적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사항으로 기재하지 않은 경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의미로 사용하는 것이 아님을 주의해야 한다.
수구: 해당 플레이어가 타구해야 하는 공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게임을 진행할 때 플레이어마다 서로 다른 색상의 수구가 정해지고, 정해진 수구로 목적구를 맞춰서 플레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실시예의 설명을 위해서 도면상에 검은색 공으로 도시하였다.
목적구: 플레이어가 수구를 타구해서 맞추는 목적이 되는 공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3쿠션 게임의 경우 2개의 목적구가 포함되어, 수구로 제1 목적구를 타구한 후에 수구가 쿠션에 3회 이상 튕긴 후에 제2 목적구에 부딪히면 득점이 인정된다.
당구대: 당구 게임이 진행되는 당구 테이블을 의미한다. 아래에서 설명할 실시예에서는 3쿠션 게임을 예시로 진행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4쿠션, 나인볼, 포켓볼 등 당구 게임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므로, 당구 게임에 속한다면 무엇이든 적용 가능하다.
사용자(플레이어): 당구 게임을 진행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플레이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한 명 이상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IP 카메라(110)가 당구대(10)의 상부에 설치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궤적 리플레이 장치(100)에서 IP 카메라(110)는 당구대(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당구대(10), 수구, 목적구를 촬영한다.
이때, IP 카메라(110)는 당구대(1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장소에 설치된 것으로, 당구대(10) 상부의 중앙부에 위치하거나, 당구대(10) 상부의 중앙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IP 카메라(110)는 당구대(10)의 상면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라면, 중앙, 측면 등 어느 위치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지만, 각종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당구대(10)의 정 중앙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궤적 리플레이 장치(100)를 이용한 당구 코칭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궤적 리플레이 장치(100)를 이용한 당구 코칭 방법은, IP 카메라(110)을 통해 제1촬영영상을 생성하는 단계(S110), 제1촬영영상 중 왜곡 이미지를 보정한 제2촬영영상을 생성하는 단계(S120), 제1촬영영상 및 제2촬영영상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수구의 이동좌표를 산출하는 단계(S130), 수구의 이동좌표를 기반으로 제2촬영영상에 수구의 이동경로를 오버랩하여 리플레이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S140) 및 리플레이 영상을 재생하는 단계(S150)를 포함한다.
먼저, IP 카메라(110)를 통해 당구대 및 당구공을 촬영한 제1촬영영상을 생성한다(S11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제1촬영영상의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당구대(10), 수구(11), 제1 목적구(12), 제2 목적구(13) 및 당구큐(114)를 포함하는 촬영 영상이 도시된다. 도 3은 당구 게임 중 3 쿠션 게임을 도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플레이어는 수구(11)를 쳐서 제1 목적구(12)를 맞히고, 당구대(10)의 쿠션을 3번 이상 맞춘 후 제2 목적구(13)를 맞춘다. 또는, 플레이어는 수구(11)를 쳐서 당구대(10)의 쿠션을 3번 이상 맞춘 후 제1 목적구(12) 및 제2 목적구(13)를 맞춘다. 3 쿠션의 점수 득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으므로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IP 카메라(110)는 당구대(10), 수구(11), 제1 목적구(12), 제2 목적구(13), 당구 큐(14) 및 플레이어(미도시)를 촬영한다. 도 3에서, 점선은 수구(11)가 이동하는 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플레이어가 당구 큐(14)를 이용하여, 수구(11)를 치면, IP 카메라(110)는 도 3의 점선의 코스를 따라 이동되는 수구(11)의 영상을 촬영한다.
IP 카메라(110)는 수구(11)가 이동되는 제1촬영영상을 동영상 파일로 궤적 리플레이 장치(100)의 통신부(120)로 전송한다.
일 예로, 궤적 리플레이 장치(100)는 IP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되는 제1촬영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하게 되며, 당구공이 모두 정지한 것이 인식되면 촬영 대기 모드로 진입하고, 후술하는 센서모듈(200)이 동작하여 수구를 타구할 준비가 되었음이 인식됨에 따라 촬영을 시작할 수 있다.
일 예시로, IP 카메라(110)는 초당 소정의 기준 이상 개수의 프레임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P 카메라(110)는 당구공의 움직임을 정확히 촬영하기 위해 초당 60 프레임 이상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촬영영상 중 왜곡 이미지를 보정한 제2촬영영상을 생성한다(S120).
제1촬영영상은 IP 카메라(110)의 위치와 피사체의 위치에 따라 피사체 원래의 형태(예를 들어, 직선)가 곡선, 대각선 등으로 촬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IP 카메라(110)가 당구대의 상부 정중앙에 있는 것과 같은 형태로 제1촬영영상을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촬영영상은 도 3과 같은 반듯한 직사각형을 갖는 당구대의 영상으로 보정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 제1촬영영상에 포함된 FOV(Field Of View)에 의한 왜곡을 보정하여 제2촬영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촬영영상 및 제2촬영영상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수구의 이동좌표를 산출한다(S130).
일 실시예로, IP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된 제1촬영영상으로부터 수구를 실시간으로 트래킹하여 이동좌표를 산출하거나, 제2촬영영상을 기준으로 하는 보정된 이동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제1촬영영상 또는 제2촬영영상에서의 수구의 위치를 분석하고, 수구의 위치변화, 수구가 당구대의 쿠션과 터치되는 횟수를 분석하여 이동좌표를 분석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수구의 이동 경로에서의 꼭지점, 변곡점, 방향변화를 산출하여 이동좌표를 보다 빠르게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구뿐만 아니라 목적구의 위치분석 및 이동좌표를 산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더불어, 후술하는 센서모듈(200)로부터 사용자의 스트로크시 스트로크 정보를 제공받은 경우, 스트로크 정보를 미리 훈련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이동좌표 및 이동경로를 미리 예측할 수도 있다. 이때, 미리 훈련된 알고리즘은 특정 사용자의 이전 스트로크시마다 획득된 스트로크 정보 및 산출된 이동좌표 정보를 입력값 및 결과값으로 적용하여 훈련된 것이거나, 특정 사용자를 포함한 불특정 다수 또는 프로 당구 선수급의 데이터를 적용하여 훈련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예측된 이동좌표 및 이동경로를 그대로 적용하거나 또는 위와 같은 수구의 트래킹 및 분석된 결과를 함께 적용함으로써 보다 빠른 이동좌표 및 이동경로 산출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산출된 수구의 이동좌표를 기반으로 제2촬영영상에 수구의 이동경로를 오버랩하여 리플레이 영상을 생성한다(S140).
일 실시예로, 제2촬영영상을 이용하여 당구공 중 수구가 움직이는 시점의 소정 시간 전부터 당구공 중 수구, 제1목적구 및 제2목적구가 정지하는 시점까지를 리플레이 영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플레이 영상은 제2촬영영상을 이용하여 수구가 움직이는 시점의 3초 전부터 수구, 목적구가 멈추는 시점까지의 영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리플레이 영상에 오버랩되는 이동경로는 점선, 실선 등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수구와 목적구가 구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수구의 이동경로에는 굵은선과 가는선의 변화, 색상, 농도의 변화 등을 통해 수구의 속도, 커브 정도, 변곡점 정보, 회전방향, 당구대와의 접촉 위치, 접촉시의 속도 및 방향 전환 정도 등이 함께 포함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플레이 영상이 생성되고 나면, 사용자의 스트로크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 리플레이 영상을 재생한다(S150).
리플레이 영상은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재생되며, 디스플레이부(150)는 당구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장소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당구대와 근접한 벽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예를 들어 21인치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 리플레이 영상은 사용자가 스트로크를 한 시점으로부터 예를 들어 8초가 지난 후 자동으로 재생될 수 있다. 또한, 리플레이 영상은 터치스크린 기반의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앞으로 감기, 뒤로 감기, 재생, 일시정지, 재생 속도 설정 및 건너뛰기 중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플레이 영상을 통해 사용자는 타구를 마친 후 자신의 플레이나 상대방의 플레이를 재확인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타구를 마친 후 리플레이 영상을 보면서 자신의 타구 자세, 수구의 색, 득점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리플레이 영상에는 수구의 궤적이 함께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를 통해 자신의 스트로크와 수구의 궤적을 재확인할 수 있는바 당구 훈련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재생되는 리플레이 영상에 의해 사용자의 타구 자세를 확인하여 타구 자세를 고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수구의 색, 득점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하게 하여 상대방과의 점수 득실에 대한 오해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궤적 리플레이 장치(100)와 연동하는 당구 큐에 설치된 스트로크 센서모듈(200)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당구 코칭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당구 큐(14)에 설치된 스트로크 센서모듈(200)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당구 큐(14)의 일 단의 삽입(14-1)부는 센서모듈(200)의 돌출부(201)와 결합된다. 일반적인 당구 큐의 하대(butt)의 단부에는 범퍼(bumper)가 형성되어 있으며, 범퍼의 중앙에는 홀(hole)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범퍼에 형성된 홀을 삽입부(14-1)로 이용할 수 있다.
센서모듈(200)은 돌출부(201)를 통해 당구 큐(14)의 일 단의 삽입부(14-1)에 결합될 수 있고, 당구 큐(14)의 일 단에 접착제로 접착될 수 있으며, 그 결합되는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센서모듈(200)은 당구 큐(14)의 내부에 삽입되는 형태나 외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당구 큐(14)와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센서모듈(200)은 당구 큐(14)와 결합되는 즉시 센서모듈(200)의 통신부(230)를 통해 궤적 리플레이 장치(100), 사용자 단말 등과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모듈(200)은 결합 감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감지부는 기계적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또는 디지털 센서(접촉 센서, 압력 센서 등)를 이용하여 당구 큐(14)와의 결합을 감지한다. 또한, 사용자는 센서모듈(200)이 장착된 당구 큐(14)를 소정의 규칙에 따라 움직임으로써, 사용자의 단말 또는 특정 장소에 설치된 단말과 정상적으로 무선 통신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센서모듈(200)은 전원 스위치(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센서모듈(200)은 당구 큐(14)와 결합되고 전원 스위치(260)를 턴-온할 시에 센서모듈(200)의 통신부(230)를 통해 궤적 리플레이 장치(100), 사용자 단말 등과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센서모듈(20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궤적 리플레이 장치(100)와 연동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분석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먼저, 궤적 리플레이 장치(100)는 센서모듈(200)을 통해 사용자의 스트로크 정보를 검출한다.
여기에서, 센서모듈(200)은 자이로 센서(210) 및 가속도 센서(220)를 포함한다. 일 예로, 센서모듈(200)은 저전력 측정 시스템의 펌웨어(firmware)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20)는 6축 또는 9축 가속도 센서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스트로크 자세를 검출할 수 있다.
스트로크 정보는 사용자의 스트로크로부터 얻어지는 파워, 속도, 큐 길이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얻어지는 스트로크 종류의 예시는 도 5에서 도시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트로크 미션 동작의 예시도이다.
도 5는 스트로크 연습을 위한 미션 동작의 예시로써, 롱 스트로크, 숏 스트로크, 다운 스트로크 및 업 스트로크를 도시한 것이다.
스트로크 방식은 Follow Through(Long), Short Follow Through, Jab Follow Through 및 Jab Stroke 등이 있고, 스트로크 종류에는 Standard(Classic) Pendulum Stroke, Pendulum Stroke, Piston Stroke, Palm Slap Stroke, Tap Stroke, Poke Stroke, Slip Stroke, Stroke Slip, Aim-and-Pivot, Aim-and-Swoop, side arm stroke, high arm stroke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스트로크 방식 및 상기 스트로크 종류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으므로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특정 스트로크를 하면 당구 큐에 결합된 센서모듈(200)은 스트로크의 파워, 속도, 큐 길이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한다.
여기에서, 스트로크의 파워는 사용자가 스트로크시 당구 큐에 가한 힘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스트로크 속도는 당구 큐가 이동하는 방향, 그리고 사용자가 스트로크를 시작하기 전부터 수구를 타구하는 순간까지의 시간 및 당구 큐가 이동한 거리로부터 산출된다. 그밖에 센서모듈(200)은 사용자가 스트로크시 당구대와 당구 큐의 각도를 스트로크 정보로 검출할 수도 있다.
한편, 일 실시예로 스트로크 정보가 검출되고 나면, 센서모듈(200)은 분석 결과를 생성하기 이전에 전처리하는 과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센서모듈(200)의 제어부(250)는 Low Pass Filter 및 Kalman Filter를 통해 검출된 스트로크 정보를 전처리할 수 있다.
또한, 센서모듈(200)은 검출된 스트로크 정보의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학 위해 Bilinear Transform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센서모듈(600)은 Z역변환을 통해 구한 Digital IIR Filter의 입출력 관계식을 이용한 Digital IIR Low Pass Filter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센서모듈(600)이 자이로 센서(210)만을 사용하여 각도를 출력할 경우, 적분 과정에 따른 적분상수로 인해 초기 Bias가 0°를 유지하지 못하고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드리프트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가속도 센서(220)만을 사용하여 각도를 출력할 경우 병진운동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센서모듈(600)은 Kalman Filter를 사용하여 자이로 센서(210)와 가속도 센서(220) 를 Fusion하여 정확한 각도를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궤적 리플레이 장치(100)는 스트로크 정보에 기초한 분석 결과를 생성하고, 스트로크 정보의 분석 결과를 리플레이 영상의 일정 영역에 출력한다.
궤적 리플레이 장치(100)는 스트로크 정보를 정량적 수치로 나타내거나 및 각각의 정량적 수치를 그래프로 변환하여 분석 결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스트로크 정보의 분셕 결과는 사용자의 수에 대응하는 분석 결과를 리플레이 영상의 일정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플레이어가 2명인 경우 리플레이 영상에는 2개의 일정 영역 상에 분석 결과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분석 결과는 정략적 수치 결과 및 그래프 결과가 각각 제공되거나 함께 제공될 수 있으며, 그래프는 각각의 정량적 수치가 단독으로 제공되거나 또는 색깔이나 선의 형태를 달리하여 하나 이상이 동시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스트로크 정보 및 분석결과는 리플레이 영상과 함께 제공됨으로써 사용자의 당구 훈련시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플레이 영상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리플레이 영상은 IP 카메라(110)를 통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직사각형의 당구대(10)의 모습과 동일하도록 왜곡이 모두 보정된 후, 수구(11)의 이동 경로(a)가 오버랩되어 재생된다.
리플레이 영상의 일 영역에는 사용자의 수만큼의 스트로크 정보 및 분석결과가 표시된다. 도 6에서는 리플레이 영상의 좌측 및 우측 영역에 두명의 사용자에 대응되는 스트로크 정보 및 분석결과가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스트로크 정보 중 특정 정보만이 표시되도록 하거나, 그래프와 같은 분석결과와 함께 또는 이를 배제하도록 하여 출력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밖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트로크 정보를 검출하기 이전에 기준 스트로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센서모듈(200)은 미리 결정된 소정의 규칙에 의한 사용자의 스트로크를 검출하여 기준 스트로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센서모듈(200)이 결합된 당구 큐를 당구 대와 0 도가 되도록 연속적으로 스트로크를 하고, 센서모듈(200)은 해당 스트로크를 기준 스트로크 정보로 검출할 수 있다. 기준 스트로크 정보는 스트로크 정보를 검출하는 기준값으로 이용된다. 센서모듈(200)은 기준 스트로크 정보의 속도, 큐 길이, 각도, 길이, 방향 및 힘을 기준값으로 하여 스트로크 정보의 속도, 큐 길이, 각도, 길이, 방향 및 힘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스트로크 정보를 생성하는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기준 스트로크 정보는 소정의 규칙에 의한 사용자의 스트로크를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궤적 리플레이 장치(100)나 사용자의 단말 또는 특정 장소에 설치된 단말에 기준 스트로크 정보 입력 키를 누른 후에, 소정의 규칙에 의한 스트로크를 함으로써, 센서모듈(200)이 기준 스트로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센서모듈(200)이 설치된 당구 큐(14)를 수평으로 연속적으로 움직이면서 기준 스트로크 정보를 생성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센서모듈(600)이 설치된 당구 큐(14)를 기준 스트로크 정보를 생성하게 하는 기구물에서 수평으로 연속적으로 움직이면서 기준 스트로크 정보를 생성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센서모듈(200)이 설치된 당구 큐(14)를 당구 대에 올려놓고 수평으로 연속적으로 움직이면서 기준 스트로크 정보를 생성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생성 방법은 예시에 불과할 뿐, 기준 스트로크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스트로크 정보를 미리 저장된 스트로크 정보와 비교 분석을 통해 코칭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궤적 리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단말 또는 특정 장소에 설치된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연습하고자 하는 스트로크 미션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Follow Through(Long) 스트로크를 연습하고자 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입력하거나, 사용자의 단말 또는 특정 장소에 설치된 단말에 Follow Through(Long) 스트로크 미션을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스트로크 정보를 획득하고 나면, 사용자의 스트로크 미션에 상응하는 미리 저장된 스트로크 정보를 불러온 후 이들을 비교한다.
여기에서 사용자의 스트로크 미션에 상응하는 미리 저장된 스트로크 정보는 당구 큐의 파워, 속도, 큐 길이, 시간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궤적 리플레이 장치(100)는 미리 저장된 스트로크 정보의 파워, 속도, 큐 길이, 시간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기준 범위 내에 사용자의 스트로크 정보의 파워, 속도, 큐 길이, 시간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미리 저장된 스트로크 정보의 스트로크시의 큐 길이의 기준 범위가 10cm에서 20cm인 경우, 스트로크 정보로 수신된 스트로크 시의 큐 길이인 15cm와 비교하여 기준 범위에 포함되는지를 비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미리 저장된 스트로크 정보의 스트로크의 파워, 속도, 큐 길이, 시간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기준 범위는 복수의 기준 범위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급, 중급, 초급 단계 각각을 제1 기준 범위, 제2 기준 범위, 제3 기준 범위로 구분하여, 사용자의 스트로크 정보가 제1 내지 제3 기준 범위 중 어느 기준 범위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레벨을 상급, 중급, 초급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궤적 리플레이 장치(100)는 미리 저장된 스트로크 정보의 파워, 속도, 큐 길이, 시간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기준 범위 내에 사용자의 스트로크 정보의 파워, 속도, 큐 길이, 시간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미션 성공과 미션 실패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소정의 횟수 이상 미션을 실패하는 경우, 해당 스트로크 미션을 약점 스트로크 미션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스트로크 미션에 상응하는 스트로크 자세를 30번 이상 틀리는 경우 해당 스트로크 미션을 약점 스트로크 미션으로 설정하여 구분하고, 사용자에게 약점 스트로크 미션 정보를 코칭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약점 스트로크 미션이 설정된 이후, 사용자가 약점 스트로크 미션에 해당하는 스트로크 미션을 소정 횟수 이상 성공한 경우, 약점 스트로크 미션의 설정이 해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스트로크 정보의 시계열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스트로크 자세를 분석할 수 있다. 즉, 궤적 리플레이 장치(100)는 소정의 기간동안 누적된 스트로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스트로크 자세를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궤적 리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스트로크 자세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레벨은 초급, 중급, 상급으로 구분될 수 있고, 레벨 1 내지 10으로 구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궤적 리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코칭 정보를 생성하여 리플레이 영상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코칭 데이터는 사용자의 스트로크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코칭 데이터는 문자, 오디오, 이미지, 비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갖는다. 예를 들어, 궤적 리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스트로크의 각도가 -10 도 보다 낮은 경우 “스트로크 각도를 높이세요!”라는 문자, 오디오, 이미지, 비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코칭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코칭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제공되거나, 사용자의 단말 또는 특정 장소에 설치된 단말에 설치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로크 자세의 분석 결과를 시각화하는 방법의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레벨, 사용자 레벨의 시계열 데이터, 사용자의 스트로크 레벨 표 및 스트로크의 각도/길이/방향/힘의 레벨 그래프가 도시된다.
궤적 리플레이 장치(100)는 소정의 기간 누적된 사용자의 스트로크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레벨, 사용자 레벨의 시계열 데이터, 사용자의 스트로크 레벨 표 및 스트로크의 각도/길이/방향/힘의 레벨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궤적 리플레이 장치(100)는 생성된 사용자의 레벨, 사용자 레벨의 시계열 데이터, 사용자의 스트로크 레벨 표 및 스트로크의 각도/길이/방향/힘의 레벨 그래프를 디스플레이부(150)나 사용자의 단말 또는 특정 장소에 설치된 단말에 송신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스트로크 자세 수준을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리플레이 영상을 함께 이용하여 취약 부분을 빠르게 판단하여 취약 부분의 연습량을 늘릴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당구 코칭 시스템(1)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당구 코칭 시스템(1)은 궤적 리플레이 장치(100) 및 센서모듈(200)을 포함한다.
궤적 리플레이 장치(100)는 IP 카메라(110), 통신부(120), 영상 처리부(130), 리플레이 영상 생성부(140) 및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한다.
IP 카메라(110)는 당구대 상부에 설치되어 당구대 및 당구공을 촬영한 제1촬영영상을 생성한다.
통신부(120)는 IP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제1촬영영상을 수신한다. 또한 통신부(120)는 센서모듈(200)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디스플레이부(150)로 리플레이 영상을 전송한다.
영상 처리부(130)는 IP 카메라(110)로부터 촬영된 제1촬영영상 중 왜곡 이미지를 보정한 제2촬영영상을 생성한다.
리플레이 영상 생성부(140)는 제1촬영영상 및 제2촬영영상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수구의 이동좌표를 산출하고, 산출된 수구의 이동좌표를 기반으로 제2촬영영상에 수구의 이동경로를 오버랩하여 리플레이 영상을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통신부(120)로투터 전달받은 리플레이 영상을 사용자의 스트로크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 출력시킨다.
다음으로, 센서모듈(200)은 자이로 센서(210), 가속도 센서(220), 통신부(230), 저장부(240), 제어부(250) 및 전원 스위치(260)를 포함한다.
자이로 센서(210) 및 가속도 센서(220)는 사용자의 스트로크 정보를 검출한다.
통신부(230)는 궤적 리플레이 장치(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한다. 통신부(230)는 저장부(240)에 저장된 스트로크 정보 또는 전처리된 스트로크 정보 또는 기준 스트로크 정보를 궤적 리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 또는, 통신부(230)는 사용자가 센서모듈(200)을 턴-온하는 경우 궤적 리플레이 장치(100) 과 근거리 통신하여 사용자가 스트로크 연습을 하기 전에 센서모듈(200)과 궤적 리플레이 장치(100)가 서로 연동되게 한다.
저장부(240)는 스트로크 정보, 전처리된 스트로크 정보 및 기준 스트로크 정보를 저장한다.
제어부(250)는 스트로크 정보를 전처리하여, 전처리된 스트로크 정보를 생성한다. 또는, 제어부(250)는 기준 스트로크 정보를 생성한다.
전원 스위치(260)는 센서모듈(200)의 전원을 턴-온 또는 턴-오프시킨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0 내지 S15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아울러, 기타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8이 내용은 도 9의 당구 코칭 시스템(1)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하드웨어인 서버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당구 코칭 시스템
100: 궤적 리플레이 시스템
110: IP 카메라
120: 통신부
130: 영상 처리부
140: 리플레이 영상 생성부
150: 디스플레이부
200: 센서모듈
210: 자이로 센서
220: 가속도 센서
230: 통신부
240: 저장부
250: 제어부
260: 전원 스위치

Claims (11)

  1. 궤적 리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당구 코칭 방법에 있어서,
    IP 카메라를 통해 당구대 및 당구공을 촬영한 제1촬영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촬영영상 중 왜곡 이미지를 보정한 제2촬영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촬영영상 및 제2촬영영상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수구의 이동좌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수구의 이동좌표를 기반으로 상기 제2촬영영상에 상기 수구의 이동경로를 오버랩하여 리플레이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스트로크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리플레이 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당구 코칭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촬영영상 중 왜곡 이미지를 보정한 제2촬영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촬영영상에 포함된 FOV(Field Of View)에 의한 왜곡을 보정하여 상기 제2촬영영상을 생성하는 것인 당구 코칭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촬영영상 및 제2촬영영상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수구의 이동좌표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IP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제1촬영영상으로부터 수구를 실시간으로 트래킹하여 이동좌표를 산출하거나, 상기 제2촬영영상을 기준으로 하는 보정된 이동좌표를 산출하는 것인 당구 코칭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수구의 이동좌표를 기반으로 상기 제2촬영영상에 상기 수구의 이동경로를 오버랩하여 리플레이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촬영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당구공 중 수구가 움직이는 시점의 소정 시간 전부터 상기 당구공 중 수구, 제1목적구 및 제2목적구가 정지하는 시점까지를 상기 리플레이 영상으로 생성하는 것인 당구 코칭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레이 영상은 터치스크린 기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앞으로 감기, 뒤로 감기, 재생, 일시정지, 재생 속도 설정 및 건너뛰기 중 하나가 적용되는 것인 당구 코칭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궤적 리플레이 장치와 연동하는 당구 큐에 설치된 스트로크 센서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스트로크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스트로크 정보에 기초한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트로크 정보의 분석 결과를 상기 리플레이 영상의 일정 영역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당구 코칭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당구 코칭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크 정보에 기초한 분석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는,
    스트로크의 파워, 속도, 큐 길이 및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정량적 수치 및 이를 그래프로 변환하여 상기 분석 결과로 생성하는 것인 당구 코칭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로크 정보의 분석 결과를 상기 리플레이 영상의 일정 영역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수에 대응하는 분석 결과를 상기 리플레이 영상의 일정 영역에 출력하는 것인 당구 코칭 방법.
  10. 당구 코칭이 가능한 궤적 리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당구대 상부에 설치되어 당구대 및 당구공을 촬영한 제1촬영영상을 생성하는 IP 카메라,
    상기 IP 카메라로부터 상기 촬영된 제1촬영영상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제1촬영영상 중 왜곡 이미지를 보정한 제2촬영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제1촬영영상 및 제2촬영영상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수구의 이동좌표를 산출하고, 산출된 수구의 이동좌표를 기반으로 상기 제2촬영영상에 상기 수구의 이동경로를 오버랩하여 리플레이 영상을 생성하는 리플레이 영상 생성부 및
    사용자의 스트로크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리플레이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궤적 리플레이 장치.
  11.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당구 코칭 프로그램.
KR1020190171374A 2019-12-20 2019-12-20 궤적 리플레이 장치 및 이의 당구 코칭 방법 KR102294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374A KR102294082B1 (ko) 2019-12-20 2019-12-20 궤적 리플레이 장치 및 이의 당구 코칭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374A KR102294082B1 (ko) 2019-12-20 2019-12-20 궤적 리플레이 장치 및 이의 당구 코칭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646A true KR20210080646A (ko) 2021-07-01
KR102294082B1 KR102294082B1 (ko) 2021-08-27

Family

ID=76860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374A KR102294082B1 (ko) 2019-12-20 2019-12-20 궤적 리플레이 장치 및 이의 당구 코칭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0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077B1 (ko) * 2023-02-14 2023-11-08 고재준 당구 스트로크 분석장치 및 분석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019B1 (ko) * 2004-12-06 2007-10-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테레오 카메라의 영상왜곡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85735A (ko) 2010-01-21 2011-07-27 조영복 당구경기용 영상제공장치 및 그 방법
KR101458190B1 (ko) * 2014-04-22 2014-11-06 김덕호 당구장 자동화시스템
KR102000028B1 (ko) * 2018-12-24 2019-07-15 박정기 센서 모듈을 이용한 스트로크 자세 정보 수집 및 코칭 방법
KR102000482B1 (ko) * 2018-12-24 2019-07-16 이주현 영상 처리를 이용한 당구 점수 카운트 시스템 및 방법
KR102044874B1 (ko) * 2018-07-17 2019-12-02 (주)와이제이컴퍼니 당구장 영상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019B1 (ko) * 2004-12-06 2007-10-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테레오 카메라의 영상왜곡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085735A (ko) 2010-01-21 2011-07-27 조영복 당구경기용 영상제공장치 및 그 방법
KR101458190B1 (ko) * 2014-04-22 2014-11-06 김덕호 당구장 자동화시스템
KR102044874B1 (ko) * 2018-07-17 2019-12-02 (주)와이제이컴퍼니 당구장 영상 관리 시스템
KR102000028B1 (ko) * 2018-12-24 2019-07-15 박정기 센서 모듈을 이용한 스트로크 자세 정보 수집 및 코칭 방법
KR102000482B1 (ko) * 2018-12-24 2019-07-16 이주현 영상 처리를 이용한 당구 점수 카운트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077B1 (ko) * 2023-02-14 2023-11-08 고재준 당구 스트로크 분석장치 및 분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4082B1 (ko) 2021-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4753B1 (ko) 실내 스크린 야구 연습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
KR100620873B1 (ko) 골프 스윙 동작 분석 시스템 및 방법
JP6739122B2 (ja) ゴルフボール打ち出しモニタ目標位置調整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070206837A1 (en) Portable Swing Analyzer
JP5584961B2 (ja) ゴルフクラブの試打システムおよびゴルフクラブの試打方法
US2012029567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irtual golf simulation
KR101495961B1 (ko) 골프 자세 교정 시스템 및 방법
CN111097155B (zh) 用于测定球的旋转的方法、系统及存储介质
KR101633246B1 (ko) 빔 프로젝터 기반의 오프라인 당구 게임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2294082B1 (ko) 궤적 리플레이 장치 및 이의 당구 코칭 방법
KR101972526B1 (ko) 스크린 골프 사용자의 골프 스윙 자세 교정 시스템
KR101222006B1 (ko) 실시간으로 골프레슨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845743B1 (ko) 관성측정부가 구비된 큐 및 이를 이용한 당구 연습 시스템
KR20190040697A (ko) 당구 플레이 방법 및 당구 플레이 시스템
JP6438899B2 (ja) ゴルフ練習具
KR101705836B1 (ko) 깊이 정보를 이용한 골프 스윙 분석 시스템 및 방법
CN107635627B (zh) 台球击球辅助方法、台球击球辅助系统及便携式电子设备
KR100972828B1 (ko) 사용자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2268954B1 (ko) 골프 공 타격을 감지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스윙 모션 분석 장치
CN111228771B (zh) 高尔夫球娱乐系统和高尔夫球训练方法
CN108961321B (zh) 台球复位方法及存储介质
Tamaki et al. Spin measurement system for table tennis balls based on asynchronous non-high-speed cameras
US10918920B2 (en) Apparatus and methods to track movement of sports implements
US115837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nd analyzing golf shot
KR102120711B1 (ko) 당구 게임 관리 및 보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