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0254A - 직조용 헬드 및 상기 헬드가 장착된 하네스 - Google Patents

직조용 헬드 및 상기 헬드가 장착된 하네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0254A
KR20210080254A KR1020200178447A KR20200178447A KR20210080254A KR 20210080254 A KR20210080254 A KR 20210080254A KR 1020200178447 A KR1020200178447 A KR 1020200178447A KR 20200178447 A KR20200178447 A KR 20200178447A KR 20210080254 A KR20210080254 A KR 20210080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ong
eye
strand
axis
hous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셸 헤르만
알렉시 포흐트
Original Assignee
스또불리 리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또불리 리옹 filed Critical 스또불리 리옹
Publication of KR20210080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02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2Heal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3/00Jacquards
    • D03C3/24Features common to jacquards of different typ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3/00Jacquards
    • D03C3/24Features common to jacquards of different types
    • D03C3/40Constructions of lifting-cor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2Healds
    • D03C9/024Eyele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2Healds
    • D03C9/026Material us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6Heald frames
    • D03C9/0608Construction of fram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종축(X1)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헬드는 눈(2), 적어도 하나의 스트랜드(4)를 갖는 헬드 바디, 응고된 수지로부터 만들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조립 부재(82, 84)를 포함하며, 이는 서로 마주보는 눈에 배열된 하우징과 스트랜드에 배열된 하우징에 의해 형성된 한 쌍의 하우징 내에 위치되고, 중첩 인터페이스(IR)의 한 면에 위치된다. 한 쌍의 하우징 중 하나의 하우징은 횡축을 따라 하우징이 배열된 스트랜드 또는 눈을 완전히 통과한다. 관통 하우징은 중첩 인터페이스(IR)에 대하여 제1 횡단면(CT1) 상에 위치된다. 제1 부분(2)은 제1 부분을 완전히 통과하는 닫힌 구획(323, 325)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를 가지며, 상기 닫힌 구획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323)은 횡축을 따라 눈과 스트랜드 사이에 제2 부분(4)의 솔리드부(48)와 함께 마주보는 부분의 바깥쪽과, 역시 횡축을 따라 한 쌍의 하우징에 속하는 제2 부분의 하우징과 함께 마주보는 부분의 바깥쪽으로 정의된다. 통과 구역(ZP)는 제1 부분(2)을 통과하는 오리피스의 구획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323)과, 제2 부분(4)의 가장자리 에지의 한 영역(482)에 의해 구획된다. 제2 부분의 가장자리 에지는 중첩 인터페이스(IR)에 대하여 제2 횡단면(CT2) 상에 위치된다. 통과 구역(ZP)은 통과 구역을 구획하는 가장자리 에지의 한 영역(482)에 대하여 연장하는 응고된 수지에 의하여 통과된다.

Description

직조용 헬드 및 상기 헬드가 장착된 하네스 {Heald for a loom and harness equipped with such a heald}
본 발명은 직조(loom) 용 날실(warp yarn)을 안내하는 헬드(heald) 및 이러한 헬드를 장착한 자카드형 직기용 하네스(harness)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직조 상에 쉐드(shed) 형성에 관한 것으로, 씨실(weft yarns) 통과를 위한 쉐드를 형성하기 위하여,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날실의 통과를 위한 구멍을 각각 포함하고 각각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날실을 수직으로 이동시켜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직조 상에 쉐드(shed) 형성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헬드는 고밀도로 베틀에 나란히 설치되어, 헬드와 인접한 헬드의 작은 구멍을 통과하는 날실 사이의 마찰을 일으킨다.
EP 3,009,544A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스트랜드를 포함하는 헬드 바디, 작은 구멍을 포함하는 눈으로부터 헬드를 생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헬드 바디와 눈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을 포함하고, 이들 하우징은 서로 반대되는 동일한 횡축을 따라 연장되어 함께 한 쌍의 하우징을 형성한다. 고체화된 수지로 만든 조립 부재가 이 한 쌍의 하우징에 배치된다. 이 수지 조립 부재는 리벳과 같이 눈과 헬드 바디 사이에서 세로 연결 힘의 좋은 전달을 보장한다. 이 헬드는 전반적으로 만족스럽다.
그러나 헬드 바디와 눈의 한 스트랜드가 겹치면서 스트랜드와 눈 사이에 갑작스러운 전이 영역이 생성된다. 이러한 전이 영역과 조립 부재에 의해 형성된 리벳의 헤드는 직조 중에 헬드에 인접한 날실을 위한 후킹 릴리프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헬드가 장착된 직기에서 날실이 파손되거나 손상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보다 구체적으로 직조기에 대한 새로운 헬드를 제안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를 통해 직조 중에 인접한 날실의 후킹 위험이 크게 감소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직조용 날실을 안내하기 위한 헬드에 관한 것으로, 이 헬드는 종축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날실 통과를 위한 작은 구멍을 갖는 눈,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랜드를 갖는 헬드 바디, 상기 눈과 스트랜드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조립 부재를 포함하며, 이 조립 부재는 눈에 배열되는 하우징과 스트랜드에 배열되는 하우징에 의해 형성되는 한 쌍의 하우징에 위치되고 고체화된 수지로 만들어진다. 한 쌍의 하우징은 종축을 가로지르는 축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고 있으며, 눈과 스트랜드가 가로축을 따라 겹치는 오버랩 인터페이스의 양쪽에 위치한다. 한 쌍의 하우징 중 하나의 하우징은 횡축을 따라 이 하우징이 배열된 스트랜드 또는 눈을 따라 완전히 통과하고 중첩 경계면에 대해 제1 횡방향 측면에 위치한다. 눈과 스트랜드의 첫 번째 부분에는 횡축을 따라 첫 번째 부분을 통과하는 닫힌 윤곽선을 가진 하나 이상의 오리피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닫힌 윤곽선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눈과 스트랜드 사이의 제2 부분의 솔리드 부분과 함께 횡축을 따라 마주보는 부분의 외부와, 한 쌍의 하우징에 속하는 제2 부분의 하우징과 함께 횡축을 따르는 마주보는 부분의 외부로 정의된다. 또한, 통과 구역은: - 제1 부분의 오리피스의 윤곽 영역과; - 오버랩 인터페이스에 대해 제2 횡단면에 위치하는 제2 부분의 주변 에지 섹션에 의해 구획된다.
마지막으로, 통과 구역은 통과 구역을 한정하는 주변 가장자리의 섹션에 대해 연장되는 고체화된 수지에 의해 통과된다.
본 발명으로 인해, 통과 구역은 헬드의 외면 부근에서 아직 응고되지 않은 수지의 확산을 용이하게 한다. 특히, 수지는 눈과 스트랜드에 의해 형성된 어셈블리의 단일 가로면에만 증착될 수 있고, 제2 부분의 주변 가장자리에서, 헬드의 반대쪽 가로측, 오버랩 인터페이스의 다른 측에 분포될 수 있다. 이는 헬드가 알루미늄, 특히 자카드형 하네스 내에서 사용될 때 인접한 날실에 대한 후킹 릴리프를 구성할 수 있는 눈 및/또는 스트랜드의 일부를 캡슐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조립 부재가 형성되는 하우징 쌍을 채우는 것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후킹의 위험이 줄어든다.
본 발명의 유리한 일 양태에 따르면, 이러한 헬드는 임의의 기술적으로 허용 가능한 조합으로 고려되는 다음 특징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 한 쌍의 하우징의 관통 하우징은 통과 구역을 구분하는 제1 부분의 관통 구멍을 형성한다.
- 관통 하우징은 두 쌍의 하우징으로 공유된다.
- 관통 하우징은 적어도 근위 전면 정지면, 원위 후면 정지면, 중간 후면 정지면 및 중간 전면 정지면으로 구분된다.
- 제1 부분에서 관통 오리피스는 가로축을 따라 통과 구역을 구분하는 제2 부분의 주변 가장자리 섹션을 향한다.
- 제1 부분의 관통 오리피스는 가로축을 따라 제2 부분의 말단 세로 끝을 향한다.
- 통과 구역을 통과하는 응고된 수지는 제1 부분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제2 부분의 횡단 외부 표면까지 연장되며, 이들 외부 표면은 중첩 계면에 대해 동일한 횡단면에 위치한다.
- 이러한 외부 표면 중 적어도 하나는 길이방향 축에 대해 통과 구역을 향해 기울어진다.
- 통과 구역을 통과하는 응고된 수지는 가로축을 따라 제1 부분의 중실 부분을 향하는 제2 부분의 주변 가장자리의 다른 부분과 접촉하여 연장된다.
- 통과 구역을 통과하는 응고된 수지는 조립 부재와 일체형이다.
- 수지와 접촉하는 눈 및/또는 스트랜드의 적어도 하나의 외부 표면은 수지의 확산을 제한하기 위한 노치를 포함한다.
- 제2 부분의 세로 끝 부분에는 측벽이 없는 반면, 제2 부분은 가로축을 따라 겹치고, 세로 끝은 단일 중첩 인터페이스에 있으며, 한 쌍의 하우징의 관통 하우징은 눈과 스트랜드 사이에서 제1 부분 배열된다.
- 제1 부분은 눈이고 제2 부분은 스트랜드다.
- 눈의 세로 탭은 바닥, 천장 및 두 개의 측벽 사이에 정의된 스트랜드의 근위 공동에 수용되며, 두 개의 구멍이 스트랜드에 배열되고 각각 근위 공동 및 외부 표면에 열린다. 세로 탭의 자유 단부는 세로 축을 따라 2개의 구멍에 대해 오프셋되지만, 2개의 구멍보다 근위 공동의 입구에 더 가깝다.
본 발명은 또한 날실용 가이드 헬드를 여러 개 장착한 자카드형 직조용 하네스에 관한 것이다. 이 하네스는 이러한 가이드 헬드 중 하나 이상이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특징이 있다.
이 하네스는 알려진 하네스보다 날실이 걸릴 위험이 적은 자카드용 직조기에서 작동한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음.
본 발명은 이하의 헬드의 두 실시예와 하네스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여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첨부 된 도면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카드형 직조용 날실 안내용 헬드의 입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보이는 것과 반대쪽에서 본 도 1의 헬드의 눈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헬드 스트랜드의 한쪽 끝을 두 개의 다른 각도에서 더 큰 크기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상세 IV의 확대도이다.
도 5는 수지의 배치 및 응고된 수지의 상세도이다.
도 6은 헬드의 반대쪽에서 본 도 4 및 5에 도시된 헬드의 동일한 부분을 도시한다.
도 7은 수지가 응고된 후, 도 6의 측면에서 본 헬드의 동일한 부분을 도시한다.
도 8은 도 4의 VIII-VIII 선을 따른 단면 상세도이며, 도 4 및 6에서 헬드의 관찰 방향은 각각 화살표 IV 및 VI로 표시된다.
도 9는 도 5의 IX-IX 선을 따른 단면 상세도이며, 도 5 및 7에서 헬드의 관찰 방향은 각각 화살표 V 및 VII로 표시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헬드에 대한 도 4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11은 헬드의 반대쪽에서 본 도 10에 도시된 헬드의 동일한 부분으로, 도 11은 도 10의 헬드에 대한 도 6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12는 수지의 응고 후 도 11의 XII-XII 선을 따라 취한 큰 단면도이며, 도 10 및 11에서 헬드의 관찰 방향은 각각 화살표 X 및 XI로 표시되고, 도 12는 도 9와 유사한 도면이다.
도 13은 수지가 응고된 후 도 11의 XIII-XIII 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카드형의 직조기 및 도 1 내지 13에 도시된 헬드 중 하나와 본 발명에 따른 하네스를 포함하는 개략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자카드형 직조기 (M)는 여러 개의 후크 (104)를 명령하는 자카드 메커니즘 (102)을 갖추고 있으며, 그 하단은 여러 개의 아치 (106)와 연관된다. 각 아치의 하단 (106a)은 날실의 가이드 헬드 (1)의 상단 (1a)에 연결된다. 각각의 헬드 (1)는 로드 (112)에 의해 고정 빔 (110)에 고정되는 복귀 스프링 (108)의 작용을 받고, 빔 (110)은 직조기 (M)의 프레임에 고정된다. 구성 요소들 (1, 106 내지 114)은 직조기 (M)에 속하는 하네스 (H)를 형성하고, 자카드 메커니즘 (102)에 의해 명령된다.
도 1 내지 9는 직조기 (M) 상의 하네스 (H)의 날실의 가이드 헬드 (1)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가이드 헬드 (1)는 종축 (X1)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헬드 바디 (10) 및 눈 (2)을 포함한다. 헬드 바디 (10)는 축선 (X1)을 따라 눈 (2)의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개별 스트랜드 (4)를 포함한다.
Y1 및 Z1은 축 X1에 수직인 헬드(1)의 두 축을 나타낸다. 축 Y1은 눈 (2)의 폭을 따라 연장되고, 축 Z1은 눈 (2)의 두께를 따라 연장된다. 축 Y1은 헬드 (1)의 측방 축(lateral axis)을 구성하고, 축 Z1은 횡축(transverse axis)을 구성한다.
각 단부에서, 헬드 바디 (10)는 각각 아치 (106) 또는 스프링 (108)과 협력하도록 제공된 후크 수단 (11A 또는 11B)을 갖는다. 헬드 바디 (10)의 제1 단부에서, 헬드 바디의 상단부 (1a)에 대응하고 눈 (4)에 대향하는 스트랜드 (4)의 한쪽 단부에서, 후크 수단 (11A)은 아치 (106)의 통과 및 재밍을 위한 개구 (14)를 형성하는 엔드 피스 (12) 및 스트랜드 (4) 주위에 장착되고 X1 축을 따라 이동하는 튜브 (16)를 포함한다. 후크 수단 (11A)은 바람직하게는 EP 1,741,815B호의 교시에 따른다. 헬드의 하단 (1b) 및 눈 반대편의 스트랜드 (4)의 단부에 대응하는 제1 단부와 반대되는 헬드 바디 (10)의 제2 단부에서, 연결 수단 (11B)은 의도된 외부 나사 (18)를 포함하고, 스프링 (108)과 글라이드 댐퍼 (19)에 나사로 고정된다.
스트랜드 (4)는 후크 수단 (11A 및 11B)을 제외하고는 서로 동일하다.
눈 (2)은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만들어진 단일 두께의 금속 시트로 형성되어 세로축 X2를 따라 연장된다. Y2는 눈 (2)의 폭이 연장되는 측방 축(lateral axis)을 나타내고, 참조 Z2는이 눈의 두께가 확장되는 횡축(transverse axis)을 나타낸다. 헬드(1)의 조립된 구성에서 축 X2, Y2 및 Z2는 각각 축 X1, Y1 및 Z1과 결합된다.
눈 (2)은 연마에 의해 둥글게 된 측면 테두리 (21)를 갖고 둥근 테두리를 가진 날실의 통과를 위한 구멍 (22)을 형성하는 중앙 섹션 (20)을 포함한다. 이 아일릿 (22)은 축 Z2를 따라 눈 (2)을 통해 끝까지 통과한다. 축 X2, Y2 및 Z2는 중앙 섹션 (20)의 중앙 평면이고 축 X2 및 Y2를 포함하는 눈 (2)의 주 평면에서 직사각형인 아일릿 (22)의 중심에서 동시에 존재한다.
눈 (2)은 또한 2개의 대향하는 종방향 단부에서 축 X2를 따라 연장하는 2개의 종방향 탭 (24)을 포함한다. 탭 (24)은 각각 중앙 섹션 (20)의 폭에 비해 감소된 폭을 갖는다. 중앙 구역 (20)과 탭 (24) 사이에서, 축 Y2를 따라 측정된 눈의 폭은 탭 (24)에 더 가까워지면서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중앙 구역 (20)의 림(21)은 중앙 구역 (20)과 탭 (24) 사이에 있는 그들 사이의 전이 구역 (26)을 한정하는 둥근 곡선 에지 (25)에 의해 연장된다.
참조 번호 28 및 29는 각각 X2 및 Y2 축에 평행한 눈 (2)의 가로 외부면을 나타낸다. 횡단면 (28)은 도 1, 4 및 5에서 볼 수 있는 반면, 횡단면 (29)은 도 2, 6 및 7에서 볼 수 있다.
각각의 횡단면 (28 및 29) 상에, 중앙 구역 (20)과 전이 구역 (26) 중 하나 사이의 접합부에서 축 X2를 따라 노치 (30)가 배열된다. 따라서 2개의 노치 (30)가 축 (X2)을 따라 아일릿 (22)의 양측에, 횡단면 (28) 및 횡단면 (29) 상에 2개의 노치 (30)가 제공된다. 노치 (30)는 축 (X2)을 따라 동일한 레벨에서 측면 (28, 29)에 제공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 (28, 29)에 제공된 노치 (30)는 축 X2를 따라 정렬된다. 각각의 노치 (30)는 눈 (2)을 쳐서 얻어지며, 이 냉기 작업은 바람직하게는 림 (21), 구멍 (22) 및 에지 (25)가 형성되는 동안 이 눈 (2)의 절단과 동시에 발생한다. 각 노치 (30)는 바람직하게는 0.05mm 정도의 깊이와 삼각형 또는 반원형 단면을 갖는다.
각각의 노치 (30)는 축 Z2에 수직이고 축 Y2에 평행한 평면에서 연장된다. 참조 l30은 축 Y2에 평행하게 측정 된 노치 (30)의 길이를 나타낸다. 참조 l2는 동일한 축 Y2에 평행하게 측정된 눈 2의 너비를 나타낸다. l30 대 l2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0.95이고, 바람직한 값은 0.8이다. 즉, 각각의 노치 (30)는 눈 (2)의 폭 (l2)의 60 내지 95 % 이상, 바람직하게는 이 폭의 약 80 % 이상으로 연장된다. 림 (21)과 엣지 (25)까지 연장되지 않기 때문에, 림은 눈 (2)의 기계적 강도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키지 않는다.
각각의 전이 구역 (26)에서, 눈 (2)의 오리피스를 구성하고 눈 (2)이 횡단면 (28, 29) 사이, 즉 축 Z2에 평행하게 통과하는 길쭉한 하우징 (32)이 배열된다. 가장 큰 치수는 세로 축 X2를 따라 확장된다.
각각의 긴 하우징 (32)은 축 X2를 따라 서로 연통하는 제1 로브 (322) 및 제2 로브 (324)를 포함한다. 따라서 각각의 하우징 (32)은 일반적으로 키홀 형상이다. 헬드 (1)의 제조가 끝나고 다음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다량의 응고 수지가 각 로브 (322, 324)에 수용된다.
세장형 하우징 (32)은 축 Y2 및 Z2를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 서로 대칭적이다. 더욱이, 각각의 긴 하우징 (32)은 축 X2 및 Z2를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 대칭이다.
각 하우징 (32)은 눈 (2)의 두께에서 눈의 길이 방향 중 하나 또는 다른 방향을 향하는 여러 정지 표면, 즉 :
- 축 X2를 중심으로 하고 눈 (22)의 측면에서 연장 된 하우징 (32)을 한정하는 근위 전방 정지 표면 (323),
- 축 X2의 중심에 있고 인접한 종방향 탭 (24)의 측면에서 하우징 (32)을 한정하는 원위 후방 정지 표면 (325),
- 축 X2의 양측에 위치된 2개의 중간 후방 정지 표면 (327), 및
- 4개의 중간 전방 정지 표면 (329)은 축 (X2)을 따라 축 (X2)의 양측에 2 × 2, 중간 후방 정지 표면 (327)의 양측에 2 × 2에 분포되어 있다.
정지 표면 (323, 329)은 각각 하우징 (32)의 윤곽의 단면을 형성하고 인접한 탭 (24)의 자유 종방향 단부 (242)를 향해 배향된다. 정지 표면 (325, 327)은 또한 각각 하우징 (32)의 윤곽의 단면을 형성한다. 중간 후방 정지 표면 (327)은 축 X2를 따라 2개의 중간 전방 정지 표면 (329) 사이에서 연장된다. 중간 후방 정지 표면 (327)은 연장된 하우징 (32)의 축 Y2를 따라 2 개의 로브 (322 및 324) 사이에서 치수의 좁아짐을 정의한다.
참조 L32는 X2 축에 평행하게 측정 된 긴 하우징 (32)의 길이를 나타낸다.
각 스트랜드 (4)는 합성 재료, 특히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이 플라스틱 재료는 첨가제가 있거나 또는 없는 사출 성형 폴리아미드 6.6일 수 있다.
참조 번호 42는 스트랜드가 눈 (2)에 고정되는 스트랜드 (4)의 단부 섹션을 나타내며, 후크 수단 (11A 또는 11B)의 반대편에 있다. 이 단부 섹션 (42)은 도 3에서 2개의 상이한 각도에서 투시로 도시된다.
각 스트랜드 (4)는 종축 (X4)을 따라 연장된다. X4 축과 서로 수직 인 두 축 Y4 및 Z4가 정의된다. 헬드(1)의 조립된 구성에서 축 X4, Y4 및 Z4는 각각 축 X1, Y1 및 Z1과 결합된다.
각 스트랜드는 그 단부 섹션 (42)에서 바닥 (442), 천장 (444) 및 2개의 측벽 (446) 사이에 정의 된 근위 공동 (44)을 갖는다. 예에서, 근위 공동 (44)을 한정하는 바닥 (442)의 평면 표면 (S442) 는 천정 (444)의 하부 표면 (S444)과 같이 축 X4 및 Y4에 평행하며, 이는 또한 반대측에서 이 공동을 한정한다. 측벽 (446)의 내부 표면 (S446)은 차례로 일반적으로 축 X4 및 Z4에 평행하다. 표면 (S442)은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나타나는 바와 같이 스트랜드 (4)에 의해 눈 (2)의 중첩면을 형성한다.
바닥 (442)은 천장 및 측벽이 없는 원위 공동을 한정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 판 (48) 형태의 길이 방향 단부에 의해 스트랜드 (4)의 원위 종방향 단부 (46)를 향해 연장된다. 판 (48)은 평면이다. 판 (48)의 평면형 표면 (S48)은 축 X4 및 Y4에 평행하고 바닥 (442)의 표면 (S442)의 연장부에 위치한다. 표면 (S48)은 다음 설명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스트랜드 (4)에 의해 눈 (2)의 중첩면을 구성한다.
참조 S4는 표면 S442와 S48의 만남을 나타낸다. 이러한 표면 S4의 만남은 도 3의 상부, 스트랜드 4의 단부 섹션 (42)에서 크로스 해칭 영역으로 식별된다. 다음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표면 S4의이 만남은 스트랜드(4)에 배열된 눈 (2)의 전체 오버랩 면을 구성한다.
참조 번호 484는 플레이트 (48)의 주변 에지를 나타낸다. 이 에지 (484)는 둥글다. 말단 종방향 단부 (46)는 에지 (484)와 축 (X4)의 교차점에 형성된다.
플레이트 (48)의 측면에서, 천장 (444) 및 벽 (446)의 단부는 원위 종방향 단부 (46)의 측면에서 근위 공동 (44)의 입구를 둘러싸고 플레이트 (48)를 향해 경사지는 표면 (S44)을 형성한다. 참조 α는 도 8의 평면에서 세로 단부 (46)를 향한 스트랜드 (4)의 솔리드 부분에서 고려되는 축 X4에 대한 표면 S44의 수렴 각도를 나타낸다. 그림 8에서 볼 수 있는 값은 15°와 45° 사이, 바람직하게는 30°이다.
두 개의 원형 구멍 (52, 54)이 각각 바닥 (442) 및 천장 (444)에 제공되고 스트랜드 (4)의 외주면 (56)까지 연장된다. 축 X4를 따라, 구멍 (52, 54)이 정렬된다. 이들은 각각 축 X4에 수직인 축 A52 또는 A54를 따라 연장되며, 예에서는 축 Z4에 평행하다. 축 A52 및 A54는 바람직하게 결합된다. 이들 구멍 (52, 54) 각각은 유리하게 절두 원추형이고 축 X4로부터 멀리, 즉 외주면 (56)을 향해 벌어진다.
구멍 (52, 54)은 둘 다 외부에 연결되는 근위 공동 (44) 내로 개방되며, 이 공동의 단부벽 (449) 근처에서 축 X4, 그 입구 및 스트랜드 (4)의 종방향 및 원위 단부 (46)를 따라 반대편에 있다.
외부에서, 구멍 (52)은 축 X4에 평행한 가장 큰 치수의 긴 스폿면(58)으로 개방된다. 구멍 (54)은 차례로 스폿면 (58)과 정반대이고 축 (X4)에 평행한 축 길이를 브랜치며, 스폿면 (58)보다 작은 다른 스폿면 (60)으로 개방된다.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축 X4를 따라 벽 (449)과 구멍 (52)의 캐비티 (44)로의 출구 사이에 축방향 오프셋 d4가 제공된다. 실제로, 이 축방향 오프셋의 값은 0.1 내지 0.5mm이고, 바람직하게는 0.15mm 정도이다. 동일한 크기의 축방향 오프셋이 캐비티 (44)의 단부벽 (449)과 구멍 (54)의 출구 사이에 제공된다.
플레이트 (48)는 축 Z4를 따라 그 표면 S48과 외주면 (56)에 배열된 스폿면(66)을 향하는 스폿 사이를 통과하는 두 개의 원형 오리피스 (62, 64)로 관통된다. 두 개의 오리피스 (62, 64)는 오프셋된다. 축 X4를 따라, 오리피스 (62)는 오리피스 (64)보다 원위 종방향 단부 (46)에 더 가깝다. 따라서 오리피스 (62)는 "원위"로 규정될 수 있는 반면 오리피스 (64)는 "근위"로 규정된다.
스폿면 (66)의 바닥면 (S66)은 스트랜드 (4)의 외주면 (56)의 일부이고 말단 종방향 단부 (46)에 접근하면서 축 (X4)을 향해 수렴한다. 즉, 바닥면 (S66)은 축 (X4)에 대해 경사진다. 말단 종방향 단부 (46) 및 축선 (X4)을 향해 기울어진다. 참조 β는 도 8의 평면에서 세로 단부 (46)를 향한 스트랜드 (4)의 솔리드 부분에서 고려되는 축 X4에 대한 바닥 표면 S66의 수렴 각도를 나타낸다. 이 각도는 도 8에서도 볼 수 있으며, 5°에서 15° 사이, 바람직하게는 5°와 같은 값을 가진다.
표면 (S44, S66)은 각도 α 및 β의 합과 동일한 그들 사이의 수렴 각도로 말단 종방향 단부 (46)를 향해 수렴한다.
헬드 (1)의 조립 동안, 눈 (2)의 각각의 종방향 탭 (24)은 입을 통해 헬드 바디 (10)의 스트랜드 (4)의 근위 공동 (44)에 맞물리면서 축 X1, X2, X4, 축 Y1을 발생시키고, 이 때 Y2, Y4 및 축 Z1, Z2, Z4가 일치한다. 각각의 탭 (24)은 축 X1을 따라 위치되어, 그것의 자유 종방향 단부 (242)가 구멍 (52, 54)에 대해 축 X1을 따라 축방향으로 오프셋되고 구멍 (52, 54)보다 근위 공동의 입구에 더 가깝다. 실제로, 자유 종방향 단부 (242)는 축 A52 및 A54에 대해 단부벽 (449) 반대편에 위치된다.
참조 번호 S24는 근위 공동의 바닥 (442)을 지지하는 종방향 탭 (24)의 표면을 나타낸다. 표면 (S24)은 측면 (29)의 측면에서 종방향 탭 (24)의 전체 표면을 덮는다. 표면 (S24)은 스트랜드 (4)의 중첩면 (overlap face)이다. 참조 S26은 천이 영역 (26)의 표면을 나타내고, 이는 플레이트에 대해지지된다. 표면 (S26)은 연장된 하우징 (32)을 둘러싸는 전이 영역 (26)에 위치한 횡단면 (29)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는 스트랜드 (4)의 중첩면이다.
그러면 도 4, 6 및 8의 구성이 구성된다.
참조 S2는 표면 S24와 S26의 만남을 나타낸다. 표면 S2의 이러한 만남은 도 2에서 눈 (2)의 각 단부에 있는 크로스 해칭 영역으로 식별된다. 이 표면 S2의 만남은 눈 (2)에 배열된 스트랜드 (4)의 전체 중첩면을 구성한다.
탭 (24)이 스트랜드 (4)의 근위 공동 (44) 내로 도입된 후, 눈 (2)은 바닥 (442) 및 플레이트 (48),보다 구체적으로 표면 (S442) 및 표면 (S48)을 지탱한다.
바람직하게는, 헬드을 생산하는 동안, 각 스트랜드 (4)는 표면 (S442 및 S48)이 수평이고 위쪽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스트랜드 (4)의 눈 (2) 및 단부 영역 (42)은 축 Z1을 따라 눈 (2)과 스트랜드 (4) 사이의 접촉 인터페이스인 중첩 인터페이스 (IR)에서 축 Z1을 따라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중첩 인터페이스 IR은 기하학적 표면으로, 눈 (2)과 스트랜드 (4)에서 정의되며, 이 부분에서 표면이 접촉한다. 글로벌 중첩면 (S2)은 글로벌 중첩면 (S4)을 브랜치며, 이러한 글로벌 중첩면 (S2, S4)은 함께 부분 2 및 4의 오버랩 인터페이스 IR을 정의한다. 즉, 오버랩 인터페이스 (IR)가 표면 S442 및 S48의 만남 S4로부터, 그리고 눈 2에서 표면 S24 및 S26의 만남 S2로부터 스트랜드 4에 형성된다.
특히, 눈 (2)은 단일 중첩 인터페이스 (IR)에서 플레이트 (48)와 중첩한다. 즉, 세로축 X1을 따른 플레이트 (48)에서, 표면 S48에 대향하고 표면 S66을 포함하는 스트랜드 (4)의 외주면 (56)은 눈 (2)에 의해 축 Z1을 따라 덮이지 않는 반면, 가로 방향은 눈 (2)의 면 (28)은 스트랜드 (4)에 의해 축 Z1을 따라 중첩되지 않는다.
표면 (S44 및 S66)은 각각 중첩 인터페이스 (IR)를 향해 그리고 말단 종방향 단부 (46)를 향해 경사져 있으며, 경사각은 α 및 β이다.
구성요소 (2, 4)에 의해 형성된 조립체의 제1 가로 방향 (CT1)은 축 (Z1)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중첩 인터페이스 (IR)에 대해 위치된 이 조립체의 측면으로 정의된다. 특히 제1 횡단면 (CT1)은 눈 (2) 및 긴 하우징 (32)을 포함한다. 이 조립체의 제2 횡단면 (CT2)은 또한 중첩 인터페이스 (IR)에 대해 축 (Z1)을 따라 제1 횡단면 (CT1) 반대편에 정의된다. 특히, 제2 횡단면 (CT2)은 플레이트 (48) 및 주변 에지 (484)를 포함한다.
헬드 (1)의 조립된 구성에서, 원위 하우징 (62)은 축 Z1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긴 하우징 (32)의 로브 (322)를 마주한다. 마찬브랜치로, 근위 하우징 (64)은 축 Z1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 하우징 (32)의 로브 (324)를 마주한다. 연장 하우징 (32)의 중간 후방 정지 표면 (327)은 축 X1을 따라 오리피스 (62 및 64) 사이에 위치한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이 영역의 중실 부분 영역 (26)은 연장된 하우징 (32)의 로브 (322) 및 로브 (324)에서 각각 축 Z1을 따라 완전히 개방되는 오리피스 (62 및 64)와 중첩되지 않는다.
긴 하우징 (32)의 원위 오리피스 (62) 및 로브 (322)는 각각 헬드(1)를 생산하는 동안 유체 형태의 수지를 수용하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볼륨 (62, 32)은 각각 수지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을 구성하고, 함께 한 쌍의 하우징 (32 + 62)에서, 다음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헬드를 제조하는 동안 응고되는 수지의 양이 수용되어 눈 (2) 및 스트랜드 (4)의 제1 조립 부재 (82)를 형성한다. 수지는 헬드(1)의 제조 동안, 각각 수지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을 구성하는 연장된 하우징 (32)의 근위 오리피스 (64) 및 로브 (324) 모두에 수용되고, 함께 한 쌍의 하우징 (32 + 64)이 수용된다. 다량의 수지가 수용되어 제조 중에 응고되어 눈 (2) 및 스트랜드 (4)의 제2 조립 부재 (84)를 형성한다.
따라서 연장된 하우징 (32)은 한편으로는 하우징 (32 및 62)에 의해 각각 형성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32 및 64에 의해 각각 형성된 두 쌍의 하우징 (32 + 62, 32 + 64)에 의해 공유되는 하우징이다. 따라서, 조립 부재 (82)는 조립 부재 (84)와 단일 블록이다. 조립 부재 (82, 84)에 의해 공유되는 제1 열판 (86)은 수지의 응고 동안 이 공유 하우징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내에서, 응고된 수지 32, 62 또는 64를 수용하기 위한 한 쌍의 하우징의 하우징은 축 X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멀어지고 응고된 것과 접촉하는 적어도 두 개의 표면을 갖는다. 수지, 눈 (2)과 스트랜드 (4) 사이의 종 방향 고정에 참여하기 위해 오리피스 (62, 64)에서 반대면은 2개의 반 원통형 표면이다. 로브 (322)에서, 제1 로브에 위치 된 근위 전방 정지 표면 (323) 및 중간 전방 정지 표면 (329) 중 2개는 제1 표면을 구성하는 반면, 2개의 중간 후방 정지 표면 (327)은 제1 표면에 대향하는 제2 표면을 구성한다. 로브 (324)에서, 이 로브에 배열된 2개의 중간 전방 정지 표면 (329)은 제1 표면을 구성하고, 원위 후방 정지 표면 (325)은 제1 표면에 대향하는 제2 표면을 구성한다. 따라서, 긴 하우징 (32)에서, 표면 (323 및 329)은 제1 표면을 구성하고, 표면 (325 및 327)은 제2 표면을 구성한다.
참조 L1은 두 하우징 (62 및 64)의 가장자리 사이에서 축 X4에 평행하게 측정된 최대 거리, 즉 오리피스 (62) 가장자리의 가장 원위 지점과 가장 근위 지점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참조 L2는 근위 오리피스 (64)의 가장자리와 말단부 (42)의 말단종 방향 단부 (46) 사이에서 측정된 최대 거리, 즉 가장자리의 가장 근위 지점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길이 L2는 길이 L1보다 크다.
긴 하우징 (32)의 길이 (L32)는 길이 (L1 및 L2)보다 엄격하게 더 크게 선택된다. 따라서, 헬드의 조립된 구성에서, 하우징 (32)은 하우징 (62 및 64)에 걸쳐 있고 근위 전방 정지면 (323)은 표면 (S48)에 대해 그리고 외부에 대해 스트랜드 (4)의 주변 에지 (484) 및 원위 종방향 단부 (46)를 지나 연장된다. 즉, 하우징 (32)은 축 Z1을 따라, 스트랜드 (4)의 중실 부분 및 오리피스 (62 및 64)를 갖는다. 즉, 하우징 (32)은 축 Z1을 따라 플레이트(48)의 외주 에지 (484)의 단면을 향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축 Y1을 따라 도 4의 로브(322)를 통해 보이는 원위 종방향 에지 (46)의 양측에 위치되는 주변 에지의 섹션 (482)을 향한다. 하우징 (32)은 또한 축 Z1을 따라 축 Z1에 수직인 방향으로 인접한 영역(Z0)를 향하며, 이는 구성 2와 4 사이의 조립 영역에 수지가 부착되지 않는 한 비어있는 주변 에지(484)를 향한다.
축 (Z1)을 따라, 에지 (484)는 표면 (S26)과 겹치고, 이 표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실제로, 표면 (29)상의 축 Z1을 따라 투영된 주변 에지 (484)의 윤곽은 표면 (S26)을 한정한다.
따라서, 종방향 단부 (46)의 앞에, 즉 플레이트 (48)에 대해 이 단부를 지나면, 로브 (322)와 플레이트 (48)의 주변 에지 (484)의 섹션 (482)에 의해 그 단면이 근위부의 윤곽 섹션 (323)에 의해 구획되는 평면형 통로 구역 ZP가 형성된다. 수지가 구성 (2)과 구성 (4) 사이의 조립 구역에 부착되지 않는 한, 이 통로 구역 (ZP)은 비어 있으며, 이는 눈 (2)의 단단한 부분 또는 스트랜드 (4)의 단단한 부분에 의해 통과되지 않는다. 이 통과 구역 켸은 긴 하우징 (32)의 내부와 주변 가장자리 사이에서 특히 통로 영역 ZP를 한정하는 주변 에지 (484)의 섹션 (4842)에서 아직 응고되지 않은 수지의 흐름을 허용한다.
통로 구역 (ZP)은 중첩 인터페이스 (IR)에 대해 주변 에지 (484)를 지나 연장되기 때문에, 통로 구역 (ZP)은 중첩 인터페이스 (IR)와 함께 축 (Z1)을 따라 마주 보는 부분의 외부에 위치한다. 통로 구역은 또한 스트랜드 4의 중실 부분과 함께 축 Z1을 따라 마주 보는 부분 외부에 위치한다. 특히, 통로 구역 ZP는 스트랜드 4의 하우징 62 및 64를 향하여 가로축 Z1을 따라 위치하지 않는다.
중첩 인터페이스 (IR)을 향한 표면 (S44, S66)의 경사에 비추어, 표면 (S44, S66)도 통로 영역 (ZP)을 향해 경사진다.
헬드 (1)을 제조하는 동안, 탭 (24)이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표면 (S44)은 통과 대 (ZP)를 향하고 측면 (28)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근위 공동 (44)에 도입된 후, 천정 (444)의 두께에서 표면 (S44)에 정의된 적용 지점 (PA)에 일정량의 수지가 적용된다. 이 제조 단계에서 표면 (S442, S48)이 위쪽을 향하고 있음을 고려하면, 수지는 중력에 의해 가늘고 긴 하우징 (32) 및 눈 (2)의 측면 (28)을 향하여 경사면 (S44)에서 방향으로 흐른다. 특히, 수지가 가늘고 긴 하우징 (32)을 관통하고, 이 가늘고 긴 하우징이 원위 하우징 (62), 로브 (322) 및 근위 하우징 (64)을 향하여 위치하기 때문에 로브 (324)에서 수지는 중력의 영향을 받아 원통형 하우징 (62 및 64)뿐만 아니라 66을 향하는 스폿으로 퍼지고, 아직 고형화되지 않은 양의 수지가 하우징 쌍 (32 + 62, 32 + 64)을 채운다.
또한, 연장된 하우징 (32)의 로브 (322)가 스트랜드 (4)의 에지 (484)의 원위 길이 단부 (46) 및 섹션 (482)을 지나 연장되고 여전히 중력의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에, 수지는 주위의 통과 구역 ZP를 통과한다. 이전에 비어 있던 구역 Z0에 도달할 때까지 플레이트 (48)의 원위 부분, 그리고 주변 에지 (484)의 부분 (482) 및 눈 (2)의 측면 (29)에 대해 연장된다.
포인트 PA에 도포되는 유체 수지의 양은 구성 2와 4에 의해 형성된 어셈블리의 제1 횡단면 CT1에서 유체 수지가 연장된 통로 (32)를 지나서 위치하는 노치 (30)까지 연장되도록 선택된다. 눈 (2)의 측면 (28)은 통과 구역 (ZP) 및 하우징 쌍의 하우징에 대해 동일한 길이 방향 측면에 위치하며, 스트랜드 (4)와 눈 (2)의 조립 구역에서 측면 (28)에서 아일렛 (22)을 향해 축 X1을 따라 유체 수지의 진행을위한 영역에 정지부를 구성한다.
제2 횡단면 (CT2)에서는, 통과 구역 (ZP)를 통과한 수지의 양과 오리피스 (62, 64)를 통해 66을 향하는 지점에 도달한 수지의 양이 합쳐져 플레이트(48)의 주변 가장자리 (484)를 봉합한다.
따라서, 응고된 수지는 경사면 (S44)으로부터 경사면 (S66)까지 연장된다.
횡단면 (CT2)에 존재하는 수지는 측면 (29)에 배치된 노치 (30)까지 연장되며, 이는 또한 측면 (29)에서 아일릿 (22)을 향해 축 (X1)을 따라 유체 수지의 진행을 위한 정지 영역을 구성한다. 횡단면 CT2에서, 종방향 및 선단부 (46)에 존재하는 수지는 이 스폿면의 바닥면 (S66)이 종방향 및 디스턴스 단부 (46) 및 통과 영역 ZP를 향해 경사지기 때문에 스폿면 (66)을 향해 유동하는 경향이 있다.
더욱이, 수지는 또한 근위 공동 (44)에서, 종방향 탭 (24)과 천장 (444) 사이 및 종방향 탭 (24)과 측벽 (446) 사이에서 연장되는 반면, 종방향 탭 (24)은 근위부의 바닥 (442)에, 오버랩 인터페이스 (IR), 보다 구체적으로 표면 (S442)에서 공동 (44)에 있는 표면 베어링에 맞물린다. 유체 수지는 종방향 탭 (24) 주위의 근위 공동 (44)에서 근위 공동의 종방향 단부까지, 단부 벽 (449)에서, 즉 종 방향 탭 (24)의 자유 종방향 단부 (242)를 지나 진행한다. 그 후 수지는 유체 수지가 도입되기 전에 근위 공동 (44)에 존재하고 유체 수지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통기구 역할을 하는 2개의 구멍 (52, 54)을 관통한다. 이들 구멍 (52, 54)은 유체 수지가 스폿면 (58, 60)을 향해 각각 흐르도록 한다.
따라서 분포된 수지는 헬드의 각 가로면, 즉 눈의 가로면 28 또는 29에서 노치 (30)에서 가로축 Z1에 전체적으로 수직인 각 면에서 세로로 연장된다. 더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 된 바와 같이 헬드의 제1 횡단면 CT1에서 수지는 접합부에서 노치 (30)에서 경사면 (S44)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더욱이, 도 7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제2 횡단면 CT2에서, 수지는 노치 (30)로부터 66을 향하는 스폿의 근위 단부의 바닥 표면 (S66)까지 연장된다. 도 5 및 도 7은 도면의 명확성을 위해 고화된 수지의 양을 회색으로 반투명으로 나타내어 이 양의 수지의 외부 표면 아래에 위치한 종광의 특정 부분을 볼 수 있도록 한다.
주입된 양의 유동성 수지가 위에서 소모된 하우징 32, 44, 52, 54, 62, 64 및 66의 안팎으로 퍼진 후, 수지는 자외선 처리를 거쳐 중합 및 응고를 일으켜 두 쌍의 하우징 (32 + 62 및 32 + 64)에 리벳 형태의 고화된 수지 어셈블리 부재 (82 및 84)와 구멍 (52 및 54)에 있는 두 개의 고화된 수지 핀 (72 및 74) 2개를 생성한다. 이 처리가 끝나면 구성 2와 4 사이의 조립 영역에 증착된 수지의 양은 제2 횡단면 CT2에 있는 이 두 어셈블리 멤버에 의해 두 개의 조립 부재 (82, 84)가 공유하는 제1 열판 (86)을 형성한다. 제1 공유 열판 (86)은 긴 하우징 (32) 내부, 표면 (S44) 위 및 도 9의 예시에서 측면 (28) 위에 형성된다. 이것은 제1 횡단면 (CT1)에서 하우징 (32 + 62 및 32 + 64) 쌍에 각각 형성된 조립 부재 (82 및 84)를 결합한다. 또한, 제2 공유 열판 (88)은 제2 횡단면 (CT2)에서, 측면 (29) 및 측면 (29)을 향하는 지점에 형성되고 동일한 조립 부재를 결합한다. 특히, 전술 한 2개의 열판 (86 및 88)은 표면 (S48)에 대해 스트랜드 (4)의 종방향 및 원위 단부 (46)를 지나 연장된다. 헬드 (1)의 제1 횡단면 (CT1)에서, 수지는 연장된 하우징 (32) 내부뿐 만 아니라 이 하우징 주변에서 측면 (28)에 제공된 노치 (30)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헬드 (1)의 제2 횡단면 (CT2)에서, 수지는 플레이트 (48)의 주변 에지 (484)에 의해 형성된 스트랜드 (4)의 자유 에지 섹션을 덮고 측면 (29)에 제공된 노치 (30)뿐만 아니라 전체 스폿면 (66)으로 연장된다.
수지가 응고된 후, 구멍 (52, 54)에 형성된 응고된 수지 핀 (72, 74)은 절두 원추형이고 스폿면 (58, 60)을 향해 갈라진다. 또한, 이들은 근위 공동 (44) 내부에 모이고 2개의 조립 부재 (82, 84)와 함께 단일 블록이다. 따라서 그들은 구멍 (52, 54)에 단단히 고정되고 그로부터 탈출할 위험이 없다. 축 방향 오프셋 d4는 근위 공동 (44)에서 핀 (72 및 74)의 고정에 유리하다.
또한, 응고된 수지의 일부는 연장된 하우징 (32)으로부터 통로 구역 (ZP)을 통해 이전의 빈 구역 (Z0)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된다. 고화된 수지의 이 부분은 축 X1을 따라 원위 오리피스 (62)와 원위 및 종방향 단부 (46) 사이에 위치하고 플레이트 (48)의 주변 에지 (484)에 인접한 스트랜드 (4)의 종방향 단부 섹션을 둘러싼다.
참조 번호 4844는 헬드의 장착된 구성에서 축 Z1을 따라 눈 (2)의 단부 (26), 보다 구체적으로 중첩 표면 (S26)을 향하는 주변 에지 (484)의 섹션을 나타낸다. 눈 (2) 상의 Z1 축을 따라 투영된 섹션 (484)의 윤곽은 표면 (S26)을 한정한다. 이 섹션 (4844)은 축 Z1을 따라 하우징 (32)을 향하지 않는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과 구역 ZP를 통과하는 응고된 수지는 주변 에지 (484)의 섹션 (484)의 일부와 접촉하여 연장된다. 즉, 일단 응고되면 수지는 가로 및 세로로 구역 Z0를 넘친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에서, 응고된 수지는 축 X1을 따라 근위 오리피스 (64)와 원위 및 종방향 단부 (46) 사이에 위치하는 플레이트 (48)의 주변 에지 (484)의 섹션을 둘러싼다. 접합 영역 (26)과 중첩되고 하우징 (32)을 향하는 주변 에지 (484)의 부분은 수지에 의해 캡슐화된다.
조립 부재 (82 및 84)의 몸체, 즉 원통형 하우징 (62 및 64) 및 긴 하우징 (32)에 포함된 고형화 된 수지의 체적은 축 X1에 평행하고 축 Y1에 평행 한 측면 방향을 따르는 길이 방향으로 눈과 가닥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에 장애물을 형성한다.
특히, 제1 로브 (322)의 표면 (323 및 329) 및 제2 로브 (324)의 표면 (329)과 접촉하는 응고된 수지는 축 X1을 따라 근위 공동 (24)에 대한 세로 탭 (24)의 인출에 대항한다. 제1 로브 (322)의 표면 (327) 및 제2 로브 (324)의 표면 (325)과 접촉하는 응고된 수지는 또한 축 X1을 따라 눈 (2) 및 스트랜드 (4)의 접근에 반대한다. 따라서 표면 (329, 327, 323, 325)과 접촉하는 응고된 수지는 Y1 축을 따라 눈과 가닥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반대한다. 따라서, 한 쌍의 하우징에 형성된 조립 부재 (82 및 84)는 축 X1 및 Y1의 방향을 따라 눈 (2) 및 스트랜드 (4)를 고정한다. 이러한 조립 부재는 또한 가로 방향 CT1 및 CT2에 각각 형성된 열판 (86 및 88)과 축을 따라 눈 (2) 및 스트랜드 (4)의 협력으로 인해 가로축 (Z1)을 따라 눈(2) 및 스트랜드 (4)를 고정한다. 이러한 열판은 또한 X1 및 Y1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눈 (2) 및 스트랜드 (4)를 고정하는 데 참여한다.
응고된 수지의 일부는 조립 부재 (82 및 84) 및 열판 (86 및 88)과 함께 단일 블록인 동안 통로 구역 ZP를 통해 연장된다. 이 응고된 수지 부분은 합성 재료의 블록 (90)을 형성하며, 이는 헬드 (1)가 직조기 (M) 내에 장착될 때 인접한 날실에 대한 플레이트 (48)에 주변 모서리 (484)를 절연시킨다. 마찬브랜치로, 제1 횡단면 (CT1)에 존재하는 응고된 수지의 양은 이를 덮는 합성 재료의 또 다른 블록 (91)을 구성하기에 충분히 두껍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구성 2와 4 사이의 조립 영역 주위에 분포된 응고된 수지의 총량은 헬드의 외형을 부드럽게 한다. 돌출된 가장자리를 캡슐화하고 직조기 M 내에서 헬드 1를 사용하는 동안 인접한 날실을 손상시킬 위험을 제한한다. 수지는 모노 블록이며, 특히 통과 구역 ZP를 통해 오버랩 인터페이스 (IR)의 2개의 횡 방향 측면 (CT1 및 CT2) 위로 연장된다.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1 실시 예와 유사한 요소는 동일한 참조를 브랜치며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이 실시예의 헬드 (1)는 또한 도 14의 직조기 (M)의 하네스 (H)에 사용되도록 제공된다. 이하, 우리는 주로 이전 실시예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 눈 (2)의 단부에는 종방향 탭이 없다. 횡단면 (28)과 횡단면 (29) 사이의 눈을 통해 끝까지 통과하는 원위 원형 오리피스 (32) 및 근위 원형 오리피스 (34)는 제1 실시 예의 것과 유사한 2개의 노치 (30)를 통과하는 아이릿 (22)에 대해 연장되는 눈 (2)의 2개의 단부 섹션 (26)에 배열된다.
각각의 오리피스 (32 및 34)는 축 Z2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눈 (2)을 통해, 도 10 및 11에서 각각 보이는 횡단면 (28 및 29) 사이를 통과한다.
참조 번호 38은 눈 (2)의 종방향 및 원위 단부의 단부 섹션 (26 및 39)의 외주 에지를 나타내며,이 단부는 축 X2에 위치하며 에지 (38)와 축 X2의 교차점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스트랜드 (4)의 단부 섹션 (42)의 플레이트 (48)에는 축 Z4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이를 통해 완전히 통과하는 3개의 오리피스, 즉 원형 및 원위 오리피스 (62), 원형 및 근위 오리피스가 제공된다. 오리피스 (62)와 오리피스 (64) 사이에 축 X4를 따라 위치하는 중간 오리피스 (68)를 포함한다. 오리피스 (68)는 개방된 V자형이고, 그 브랜치 (682 및 684)는 스트랜드 4의 길이 방향 및 원위 단부 (46)로부터 멀어진다. 오리피스 (62, 64 및 68)는 닫힌 윤곽을 갖는다.
눈 (2)의 각각의 종방향 단부에서, 스트랜드 (4)에서, 제1 실시 예에서와 같이 정의된 플레이트 (48)의 표면 (S48)에 의해 중첩 인터페이스 (IR)가 형성되고, 플레이트 (48)는 오리피스 (64)까지 연장된다. 또한, 베어링에 의해 스트랜드 (4)의 단부 섹션 (42), 특히 플레이트 (48)를 수용하는 단부 섹션 (26)의 표면 (S26)에 의해 눈 (2) 상에 형성된다. 표면 S48은 스트랜드 4에 의해 눈 2의 중첩면을 형성한다. 표면 S26은 눈 2에 의해 스트랜드 4의 중첩면을 형성한다. 중첩 인터페이스 IR의 윤곽은 도 12에서 볼 수 있다. 중첩 인터페이스 IR은 눈 2의 오리피스 32 및 34 주위와 스트랜드 4의 오리피스 62 및 68 주위로 정의된다. 오리피스 62, 64 및 68은 각각 중첩 인터페이스 IR의 표면 S48과 스트랜드 4의 외주 표면 56 사이에서 연장된다.
도 10 내지 도 13의 예에서, 중첩 인터페이스 IR은 축 X1 및 Y1에 평행하고 도 12의 평면에서의 윤곽선은 일련의 수평 라인 세그먼트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드 (1)의 조립된 구성에서, 오리피스 (64)는 오버랩 표면 (S26)에 대해 주변 에지 (38)를 지나, 특히 길이 및 말단 (39)을 지나 연장된다. 특히, 오리피스 (64)의 윤곽 섹션 (642)은 눈 (2)의 과도 영역 (26)의 중실 부분과 함께 축 Z1을 따라 마주 보는 부분의 외부에서 정의된다. 특히, 오리피스 (64)는 축 Z1을 따라 마주하고, 즉, 축 Z1에 수직인 평면에서 오리피스 (64)의 윤곽의 투영은 다음의 윤곽의 투영에 접한다. 오리피스 (64)는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한 쌍의 하우징의 하우징이 아니다. 윤곽 섹션 (642)은 눈 (2)의 오리피스 (32 및 34)와 함께 축 Z1을 따라 마주 보는 부분 외부에 위치된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에서, 오리피스 (64)는 눈 (2)의 주변 에지를 지나 눈 (2)의 중첩 표면에 대해 부분적으로만 연장된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에서, 전체 윤곽 (64)은 가로축을 따라 눈 (2)의 중실 부분과 함께 마주 보는 부분의 외부에 있다.
주변 에지 (38)는 축 (Z1)을 따라 눈 (2)을 향하는 플레이트 (48)의 표면 (S48)과 중첩한다.
더욱이, 헬드 (1)의 동일한 장착 구성에서,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리피스 (68)의 브랜치 (682 및 684)의 자유 단부는 표면 (S26)에 대해 주변 에지 (38)를 지나 연장되어 축 (X1)으로부터 멀어진다.
참조 번호 685는 오리피스 68의 윤곽을 표시한다. 참조 번호 686은 브랜치 682 및 684의 윤곽선의 둥근 끝 부분을 표시한다. 이러한 윤곽 부분 686은 윤곽선 685의 일부이며 축 Z1을 따라 솔리드 부분을 향하지 않는다. 눈 (2)의 전이 영역 (26) 또는 오리피스 (32 및 34)를 향한다.
따라서, 오리피스 (64 및 68)와 그 주변 에지 (38) 주위의 눈 (2)의 단부 섹션 (26)의 주변에 정의된 용적 사이에 각각 ZP1, ZP2 및 ZP3로 표시된 3개의 통로 구역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통로 영역 ZP1은 축 Z4를 따라 오리피스 (64)를 가로 질러 에지 (38)에 속하는 윤곽 섹션 (642) 및 종방향 및 원위 단부 (39)에 의해 한정된다. 제1 통로 구역 ZP1은 일반적으로 축 X1에 위치하기 때문에 "중앙" 통로 구역으로 규정될 수 있다. 더욱이, 2개의 측면 통로 구역 (ZP2 및 ZP3)은 중간 오리피스 (68)의 브랜치 (682 및 684)의 자유 단부를 가로 질러 오리피스 (32) 및 표면 (S26)에 대해 에지 (38)를 지나서 축 X1의 양쪽에 정의된다. 이들 2개의 통로 구역은 각각 브랜치 (682 및 684)의 윤곽 섹션 (686) 및 도 11에서 브랜치 (682 및 684)를 통해 보이는 에지 (38)의 섹션 (382)에 의해 구분된다.
따라서 이 경우, 1개가 아니라 3개의 통로 구역 ZP1, ZP2 및 ZP3이 제공되며, 각각은 스트랜드 (4)와 눈 (2) 사이에 정의된 중첩 인터페이스 IR 외부로 연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3개의 통로 구역 ZP1, ZP2, ZP3 각각 마주 보는 부분의 바깥쪽에, 축 Z1을 따라, 중첩 인터페이스 IR이 있고, 마주 보는 부분의 바깥 쪽, 축 Z1을 따라, 눈 2의 솔리드 부분이 있고, 마주 보는 부분의 바깥 쪽, 축 Z1을 따라, 하우징 34 및 32이 있다.
수지가 구성 2와 4 사이의 조립 영역에 부착되지 않은 한, 이러한 통로 영역 ZP1, ZP2 및 ZP3은 비어 있으며, 즉, 눈 2의 단단한 부분 또는 스트랜드 4의 단단한 부분을 통과하지 못한다.
헬드가 생성될 때, 오리피스 (34 및 62)는 축 Z1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 보게 위치되고, 함께 고형화에 의해 제1 조립 부재 (82)가 형성될 수 있는 한 쌍의 하우징 (34 + 62)을 형성한다. 이 제1 조립 부재는 이 예에서도 리벳 형태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이 예에서 리벳 형태인 제2 조립 부재 (84)는 축 Z1에 평행한 방향으로 정렬된 오리피스 (32, 68)에 의해 형성된 한 쌍의 하우징 (32 + 68)에 형성된다.
스트랜드 (4) 상에 배치된 표면 (S44)은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축 (X1), 중첩 인터페이스 (IR) 및 종방향 및 원위 단부 (46)를 향해 경사진다. 이 표면 (S44)은 또한 통과 구역 (ZP1, ZP2 및 ZP3)을 향해 경사진다. 이 경사면 (S44)에는 유동성 수지의 도포점 (PA)이 제공된다. 이 표면에 도포된 유체 수지는 그 다음 오리피스 (32, 34)를 향해, 뿐만 아니라 주변 에지 (38) 앞쪽으로, 즉 단부 섹션 (26)의 중실 부분에 대해 에지 (38)를 지나 흐른다. 그러면 이는 제1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고체화 후, 한편으로는 조립 부재 (82, 84) 및 다른 한편으로는 통과 구역 (ZP1, ZP2, ZP3)을 통하여 연장하는 응고된 수지 블록들을 형성하도록 오리피스(62, 64, 68)을 통해 흐른다. 중앙 통로 ZP1을 통한 수지의 흐름에 의해 얻은 이러한 응고 수지 블록 중 하나는 참조 90을 참조하여 도 12에서 볼 수 있다. 측면 통로 ZP2 및 ZP3을 통한 수지의 흐름에 의해 얻은 다른 두 개의 응고 수지 블록, 참조 92 및 94와 함께 도 13에서 볼 수 있다.
응고 수지 블록 (90)은 X1 및 Y1 축을 포함하는 평면의 양쪽에서, 눈 2과 스트랜드 4 사이의 조립 영역의 두 횡단면 CT1 및 CT2에서 가로로 연장되어 이 조립 영역을 헬드의 바깥쪽은 눈 4의 종방향 및 원위 단부 (39) 부근에 위치한 에지 (38) 부분과 같은 돌출된 릴리프를 캡슐화하면서, 블록 (92 및 94)은 에지의 측면 부분을 절연시킨다. 축 Y1을 따라 단부 섹션 (26)의 양측에 위치되고 플레이트 (48)와 가로로 겹치는 위치에 위치한다.
응고 수지 블록 (90, 92, 94)은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조립 부재 (82, 84) 및 수지 열판 (86, 88)이 각각 제1 횡단면 (CT1) 및 제2 횡단면 (CT2)에 형성된 모노 블록이다. 여기서, 제1 횡단면 CT1은 중첩 인터페이스 IR에 대해 스트랜드 4 및 오리피스 62, 64 및 68의 플레이트 (48) 측면에 위치하고, 제2 횡 방단면 CT2는 그 주변 에지 (38)의 눈 (2) 단부의 측면에 있는 표면에 대해 위치한다.
응고 전 수지의 흐름은 눈 (2)의 두 측면 (28, 29)에 제공되는 직선 노치 (30)와 스트랜드 (4)의 외주면 (56)에 제공되는 노치 (31)에 의해 제한된다. 즉, 도 11에서 볼 수 있는 측면, 즉 경사면 (S44)의 반대쪽에 있는 스트랜드 (4)의 측면에 있다. 노치 (31)는 축 (Z1)에 수직인 평면에서 연장된다. 이 노치 (31)는 스트랜드 (4)의 종방향 및 원위 단부 (46)를 향해 개방된 V자 형상이다. 이것은 스트랜드 (4)의 제조 동안 몰딩 또는 후속 가공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이는 스트랜드 (4)의 측면 에지로부터 거리에서 멈춘다. 유리하게, 이 노치 (31)에서 스트랜드의 폭에 대한 축 Y4에 평행하게 측정된 노치 (31)의 길이의 비는 0.6 내지 0.95, 바람직하게는 0.8이다. 또한, 이 노치 (31)는 축 (Z1)을 따라 노치 (30)와 동일한 두께 또는 유사한 두께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눈 (2)과 스트랜드 (4)의 겹치는 부분의 양쪽에 존재하는 응고된 수지의 양은 축 X1을 따라 노치 (30) 중 하나와 눈에 보이는 헬드 (1) 측면의 표면 S44 사이에서 그리고 헬드 반대편의 노치 (30 및 31) 사이에서 도 10, 도 12에서 볼 수있다. 이 응고된 수지의 양은 단부의 가장자리 (38)의 부분 (382 및 39)을 포함하는 돌출 부분과 접촉하여 절연된다. 섹션 (26) 및 플레이트 (48)의 에지 (484)는 눈 (2)과 횡으로 겹치므로 헬드 (1)이 직조기 (M) 내에서 사용될 때 인접한 실을 손상시킬 위험이 없다.
참조 번호 384는 헬드의 장착된 구성에서 축 Z1을 따라 눈 (4)의 단부 부분 (42), 보다 구체적으로 중첩 표면 (S48)을 향하는 주변 에지 (38)의 섹션을 나타낸다. 축 Z1을 따라 투영된 섹션 (384)의 윤곽은 눈 (2)의 표면 S48을 한정한다. 이 섹션 (384)은 축 Z1을 따라 하우징 (32, 64 및 68)을 향하지 않는다. 도 1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단 응고되면, 통과 영역 ZP, ZP2 및 ZP3을 통과하는 수지는 주변 에지 (38)의 섹션 (384)의 일부와 접촉하여 연장된다. 즉, 일단 응고되면 수지는 축 (Z1)을 따라 통로 구역 (ZP1, ZP2 및 ZP3)을 향하는 에지 (38)를 따라 위치된 부피를 가로 및 세로로 넘친다.
제1 실시예에서, 하우징 (32)은 국부적으로 중첩 인터페이스 (IR)를 정의하는 눈 (2) 상에 배열된 중첩면 (S26)과 외부 표면 (28) 사이의 횡축 (Z1)을 따라 관통 하우징이며, 이는 또한 눈 (2) 상에 배열되는 반면, 제2 실시예에서, 하우징 (62 및 68)은 횡축 Z1을 따라, 중첩 인터페이스 (IR)를 국부적으로 정의하는 스트랜드 (4) 상에 배열된 중첩면 (S48)과 스트랜드 4에 배열된 외부 (페이스) (56) 사이를 관통하는 관통 하우징이다.
실시예에 관계없이, 각각의 통로 구역 ZP, ZP1, ZP2 또는 ZP3은 눈 2과 스트랜드 4, 이 제1 부분을 따라 통과하는 오리피스를 한정하는 폐쇄 윤곽의 섹션, 그리고 가로축을 따르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주변 에지의 영역에 의한 제2 부분으로 구획된다. 제1 실시예에서, 제1 부분은 연장된 하우징 (32)이 관통 오리피스이고 표면 (323 및 329)에 의해 형성된 폐쇄 윤곽을 갖는 눈 (2)이며, 그 표면 (323)은 축 Z1을 따라 대향하지 않는다. 플레이트 (48)에 의해 형성된 중실부는 Z1 축을 따라 스트랜드 (4)의 하우징 (62 및 64)과 마주하지 않는다. 또한, 제2 부분은 스트랜드 (4)이고 통로 영역 ZP는 주변 에지(484)의 영역(4842)에서 형성된다. 제2 실시예에서, 제1 부분은 관통 오리피스 (64 및 68)가 각각 폐쇄 윤곽을 갖는 스트랜드 (4)이며, 섹션 (642, 각 686)은 축 Z1을 따라 솔리드를 향하지 않고, 단부 섹션 (26)에 의해 형성된 부분은 축 Z1을 따라 영역 ZP1, ZP2 및 ZP3을 정의하면서 눈 (2)의 하우징 (32 및 34)을 향하지도 않는다. 또한, 제2 부분은 눈 (2)이고 통과 구역 (ZP1, ZP2 및 ZP3)은 각각 주변 에지 (38)의 섹션 (39 및 382)에 형성된다.
모든 경우, 통과 구역 ZP, Zp1, ZP2 또는 ZP3은 축 X1 및 Y1의 방향으로 중첩 인터페이스로부터 오프셋된다.
더욱이, 두 실시예에서, 관통 하우징인 한 쌍의 하우징 및 상기 설명된 주변 에지로부터의 하나의 하우징은 각각 오버랩 인터페이스 (IR)의 두 개의 대향하는 횡단면 (CT1 및 CT2) 상에 위치된다.
두 실시예에서, 통과 구역은 전체 스팬, 즉 전체 단면에 걸쳐 응고된 수지에 의해 통과된다. 그러나 이는 필수적 사항은 아니다.
두 실시예에서, 중첩 인터페이스이거나 그와 동일 평면에 있는 하나 이상의 통로 구역(들) ZP, ZP1, ZP2 및/또는 ZP3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는 필수적 사항이 아니다.
두 실시예에서, 중첩 인터페이스는 단일 평면에 포함된다. 그러나 이는 필수 사항이 아니다. 중첩 인터페이스는 단계별로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각각 스트랜드 4의 눈 2에 정의된 중첩면은 동일 평면이 아니다.
두 실시예에서, 통로 구역 ZP 또는 ZP1 중 적어도 하나는 헬드 1의 세로축 X1을 따라, 조립 부재 (82 또는 84), 바람직하게는 주변 에지가 통로 영역을 한정하는 부품의 하우징이 형성되는 한 쌍의 하우징 (32 + 62, 32 + 64 또는 34 + 62 및 32 + 64)의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과 정렬된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에서, 수지 블록 (90, 92, 94) 중 적어도 하나는 조립 부재 (82, 84)와 분리된 부품을 형성한다. 그 후 수지가 제1 횡단면 (CT1)의 여러 지점에 증착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블록 (90, 92, 94)을 형성하는 수지는 조립 부재 (82, 84)를 형성하는 수지와 동일한 조성을 갖는다. 그러나 이는 필수 사항이 아니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예에서 열판을 형성하지 않고 하우징 쌍만 수지로 채울 수 있다.
연장된 하우징 (32)이 키홀 형상을 가질 때,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중간 정지 표면 (327 및 329)은 길이 방향으로 조립 부재 (82 및 84)에 의해 형성된 조립 부재에 의한 연결을 개선한다. 도시되지 않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면, 제1 실시예의 연장된 하우징 (32)과 같은 "열쇠 구멍"형상을 갖는 연장된 하우징은 길이 방향 축 (X1)을 따라 오프셋된 여러 쌍의 중간 전면 정지면을 포함할 수있다.
변형예에서, 단일 어셈블리 부재 (82 및 84)가 제공된다.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3개 이상의 이러한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눈은 축 Z1에 평행한 가로 방향을 따라 두 표면 사이에 걸리면서 스트랜드에 끼워질 수 있다. 이 경우 구성 2와 4의 가로 겹침은 눈의 두 겹치는 표면에서 발생한다. 표면 IR에 관한 이전 관찰은 이러한 두 개의 중첩 표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헬드 바디 (10)는 단지 하나의 스트랜드 (4)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관계없이, 조립체 (82, 84)를 구성하는 응고된 수지의 양은 유리하게는 제조되는 헬드의 단일 횡단면 CT1 또는 CT2로부터 제1 부분의 측면에 적용되고 통과 영역(들) ZP 또는 ZP1, ZP2 및 ZP3를 통과하여 반대쪽 횡다면 CT2 또는 CT1에 있는 제2 부분의 가장자리 주변에 분포된다. 이 재료의 양은 눈과 스트랜드 사이의 전이 영역을 덮고, 수지 응고 후 조립 부재 (82 및 84)가 형성되는 하우징 쌍의 충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직조 중에 근처 날실과의 후킹 위험을 제한한다.
구성 2, 4 각각에 설치된 경사면 S44, S66은 수지가 한 지점 PA에만 증착되더라도 수지의 퍼짐을 가능하게 하여 헬드(1)의 제조 방법의 표준화 및 자동화가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모든 실시예에서, 통로 구역 또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 구역은 횡단면에 수직인 평면에서 취해진 하우징 쌍의 하우징의 최소 단면보다 크거나 동등한 단면을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통로 구역, 즉 제1 실시예의 통로 구역 ZP와 제2 실시예의 통로 구역 ZP2 또는 ZP3은 조립 부재 (82, 84)가 내부에 있는 한 쌍의 하우징에 속하는 관통 구멍 (32 또는 68)에 형성된다. 따라서, 이 한 쌍의 하우징 내부 또는 근처에 증착된 수지는 이 통로 영역 ZP, ZP2 또는 ZP3을 향해 안내된다. 이것은 헬드의 특정 영역에 잉여 수지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부분 (4 또는 2)의 말단 종방향 단부 (46 또는 39)에 의해 한정되는 통로 영역 ZP 또는 ZP1은 측면 방향으로 콤팩트한 연결을 허용한다.
어셈블리 부재 (82, 84)를 위해 공통 열판 (86, 88 등)이 형성되는 경우, 헬드의 적어도 하나의 가로면에 이 열판은 스트랜드와 눈의 가로 바깥면을 보호하는 덮개를 형성한다. 이 열판은 세로 및 가로 방향으로 연속적이며 이러한 구성 주변 가장자리의 특정 부분과 겹치기 때문에 눈과 스트랜드 사이에 점진적인 외부 전이 표면을 형성하여 근처 날실이 스트랜드 또는 눈에 후킹되는 위험을 제한한다.
실시예와 무관하게, 통로 구역을 한정하는 주변 에지 (484 또는 38)는 외부에 있고 하우징 쌍 (들)의 하우징과 분리되어 있다.
실시예에 관계없이, 하우징 쌍의 모든 하우징은 폐쇄 윤곽을 갖는다.
실시예에 관계없이, 노치 (30 및 31)는 아일릿 (22)을 향하거나 후크 수단 (11A 및 11B)을 향하는 수지의 진행을 제한한다. 구성 2와 4의 측면 테두리와 가장자리에서 멀리 떨어져 배치되기 때문에, 이들이 배열되는 구성 2 또는 4의 기계적 강도를 약화시키지 않으며, 또는 직조 중에 근처의 날실이 문질러질 수 있는 측면 림 또는 가장자리의 표면 상태를 약화시키지 않는다.
변형예에서, 수지를 고형화하기 위해 자외선 이외의 처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된 수지는 에폭시드 또는 아크릴 유형이다.
본 발명은 자카드형 직조기 (M)의 하네스 (H) 용 헬드 (1)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를 도면에 도시하였으나, 후킹 수단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레임용 헬드에도 적용하여 헬드 프레임의 가로대에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직조기는 자카드형 직조기가 아니라 도비나 캠기구를 장착한 직조기이다.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 및 대안은 본 발명의 새로운 실시예를 생성하기 위해 결합될 수 있다.

Claims (15)

  1. 직조기(M) 용 날실을 안내하기 위한 헬드(1)로서, 상기 헬드는 종축 (X1)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헬드는:
    - 날실 통과를 위한 아일릿 (22)을 갖는 눈 (2);
    - 종축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랜드 (4)를 갖는 헬드 바디 (10); 및
    - 눈과 스트랜드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조립 부재 (82, 84); 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 부재는 고형화된 수지로 만들어지고, 눈에 배열된 하우징 (32; 32, 34) 및 스트랜드에 배열된 하우징 (62, 64; 62, 68)에 의해 형성된 한 쌍의 하우징 (32 + 62, 32 + 64; 34 + 62, 32 + 68)에 위치되고,
    한 쌍의 하우징의 하우징은 세로축에 대해 가로지르는 횡축 (Z1)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 보며;
    한 쌍의 하우징의 하우징은 횡축 (Z1)을 따라 눈과 스트랜드가 겹치는 중첩 인터페이스 (IR)의 양쪽에 위치하며;
    한 쌍의 하우징 (32 + 62, 32 + 64; 34 + 62, 32 + 68) 중 하나의 하우징 (32; 62, 68)은 횡축을 따라, 하우징이 배열된 스트랜드 또는 눈을 완전히 통과하고, 상기 중첩 인터페이스(IR)에 대하여 제1 횡단면 상에 위치되고,
    눈 및 스트랜드로부터 제1 부분 (2; 4)은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 (32; 64, 68), 횡축(Z1)을 따라 제1 부분을 완전히 통과하는 닫힌 구획 (323 + 325 + 327 + 329; 642, 685)을 구비하고,
    - 닫힌 구획 (323 + 325 + 327 + 329; 642, 685)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 (323, 642, 686)은 횡축(Z1)을 따라 눈과 스트랜드 중에서 제2 부분의 솔리드 부분(48; 26)과 마주보는 부분 바깥쪽과, 횡축(Z1)을 따라 한 쌍의 하우징에 속하는 제2 부분의 하우징(62, 64; 32, 34)과 마주보는 부분의 바깥쪽을 정의하고,
    - 통과 구역 (ZP; ZP1, ZP2, ZP3)은,
    - 제1 부분 (2; 4)의 관통 오리피스 (32; 64, 68)의 구획 (323 + 325 + 327 + 329; 642, 685)의 영역 (323; 642, 686)에 의해; 그리고
    - 중첩 인터페이스에 대해 제2 횡단면 (CT2)에 위치되는 제2 부분의 주변 에지 (484; 38)의 영역 (4842; 39, 382)에 의해 구획되고,
    - 통과 구역은 통과 구역을 한정하는 주변 에지의 영역에 대해 연장되는 응고된 수지 (90; 90, 92, 94)에 의해 통과되는,
    직조기(M) 용 날실을 안내하기 위한 헬드(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하우징의 관통 하우징 (32, 324; 68)은 또한 통과 구역 (ZP; ZP2, ZP3)을 한정하는 제1 부분 (2, 4)의 관통 오리피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기(M) 용 날실을 안내하기 위한 헬드(1).
  3. 제 2 항에 있어서,
    관통 하우징 (32)은 두 쌍의 하우징 (32 + 62, 32 + 64)에 의해 공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기(M) 용 날실을 안내하기 위한 헬드(1).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관통 하우징 (32)은 적어도 근위 전방 정지면 (323), 원위 후방 정지면 (325), 중간 후방 정지면(327) 및 중간 전면 정지면(329)에 의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기(M) 용 날실을 안내하기 위한 헬드(1).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부분 (2; 4)에서, 관통 오리피스 (32; 64, 68)는 횡축 (Z1)을 따라 통과 구역 (ZP; ZP1, ZP2, ZP3)을 구획하는 제2 부분 (4; 2)의 주변 에지 (484, 38)의 영역(4842; 39, 382)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기(M) 용 날실을 안내하기 위한 헬드(1).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2, 4)의 관통 오리피스 (32, 64, 68)는 횡축 (Z1)을 따라 제2 부분(4; 2)의 원위 길이 단부 (46, 39)를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직조기(M) 용 날실을 안내하기 위한 헬드(1).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 영역 (ZP; ZP1, ZP2, ZP3)을 통과하는 응고된 수지가 제1 부분(2; 4)의 외부 표면 (S44, S66; S44, 56)으로부터 제2 부분 (4; 2)의 가로 외부 표면 (28, 29)까지 연장되고, 상기 외부 표면들은 중첩 인터페이스 (IR)에 대해 동일한 횡단면 (CT1, CT2)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기(M) 용 날실을 안내하기 위한 헬드(1).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표면 (S44, S66) 중 적어도 하나는 통과 구역 (ZP; ZP1, ZP2, ZP3)을 향해 종방향 축 (X1)에 대해 경사 (α, β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기(M) 용 날실을 안내하기 위한 헬드(1).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과 구역 (ZP, ZP1, ZP2, ZP3)을 통과하는 응고된 수지는 횡축(Z1)을 따라 제1 부분(2; 4)의 솔리드 부분(26; 48)을 향하는 제2 부분(4; 2)의 주변 에지 (484; 38)의 다른 영역 (4844; 384)과 접촉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기(M) 용 날실을 안내하기 위한 헬드(1).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 영역 (ZP, ZP1, ZP2, ZP3)을 통과하는 응고된 수지 (90; 90, 92, 94)는 조립 부재 (82, 84)와 모노블럭인 직조기(M) 용 날실을 안내하기 위한 헬드(1).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와 접촉하는 눈 (2) 및/또는 스트랜드 (4)의 적어도 하나의 외부 표면 (28, 29, 56)은 수지의 확산을 제한하기 위한 노치 (30, 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기(M) 용 날실을 안내하기 위한 헬드(1).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부분 (4)의 종방향 단부 (48)는 측벽이 없고, 제1 부분이 횡축 (Z1)을 따라 종방향 단부(48)와단일 중첩 인터페이스(IR)에서 겹치고, 한 쌍의 하우징의 관통 하우징(32)은 눈 및 스트랜드 사이에서 제1 부분(2)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기(M) 용 날실을 안내하기 위한 헬드(1).
  1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부분은 눈 (2)이고 제2 부분은 스트랜드 (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기(M) 용 날실을 안내하기 위한 헬드(1).
  1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눈 (2)의 종방향 탭 (24)은 바닥 (442), 천장(444), 두 개의 측벽 (446) 사이로 구획되는 스트랜드(4)의 근위 공동(44)에 수용되고, 두 개의 구멍(52, 54)은 스트랜드 내에 배열되고, 근위 공동 내로 그리고 스트랜드의 외부면(56)에 각각 개방되고, 종방향 탭의 자유 단부(242)는 종축(X1)을 따라2개의 구멍보다 근위 공동의 입구에 더 가깝게 두 개의 구멍에 대하여 오프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기(M) 용 날실을 안내하기 위한 헬드(1).
  15. 날실을 위한 복수의 가이드 헬드가 장착된 자카드형 직조기(M)의 하네스로서,
    상기 헬드는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헬드(1)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네스.
KR1020200178447A 2019-12-20 2020-12-18 직조용 헬드 및 상기 헬드가 장착된 하네스 KR202100802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915240A FR3105269B1 (fr) 2019-12-20 2019-12-20 Lisse pour métier à tisser et harnais équipé d’une telle lisse
FR1915240 2019-12-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254A true KR20210080254A (ko) 2021-06-30

Family

ID=70154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447A KR20210080254A (ko) 2019-12-20 2020-12-18 직조용 헬드 및 상기 헬드가 장착된 하네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839115B1 (ko)
KR (1) KR20210080254A (ko)
CN (1) CN113005594B (ko)
BR (1) BR102020025745A2 (ko)
FR (1) FR3105269B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88256B1 (fr) 2005-07-06 2007-09-21 Staubli Lyon Sa Dispositif d'accrochage entre elements d'un dispositif de formation de la foule,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procede d'accrochage au moyen d'un tel dispositif
FR2891282B1 (fr) * 2005-09-27 2007-11-16 Staubli Lyon Sa Procede de fabrication d'une lisse, lisse de mecanisme de formation de la foule et metier a tisser incorporant une telle lisse.
EP1908863B1 (de) * 2006-10-06 2009-04-08 Groz-Beckert KG Weblitze für Jacquardwebmaschine
FR3027315B1 (fr) * 2014-10-16 2019-04-26 Staubli Lyon Lisse pour metier a tisser et metier equipe d'une telle lisse
FR3027313B1 (fr) * 2014-10-16 2016-11-18 Staubli Lyon Lisse pour metier a tisser, metier a tisser equipe d'une telle liss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e telle lisse
FR3027314B1 (fr) * 2014-10-16 2019-04-26 Staubli Lyon Lisse pour metier a tisser et metier a tisser equipe d'une telle lisse
FR3054246B1 (fr) * 2016-07-25 2018-08-31 Staubli Lyon Lisse pour metier jacquard,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metier a tisser comprenant une telle lis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105269A1 (fr) 2021-06-25
FR3105269B1 (fr) 2021-12-31
CN113005594B (zh) 2024-05-24
EP3839115B1 (fr) 2022-09-07
CN113005594A (zh) 2021-06-22
EP3839115A1 (fr) 2021-06-23
BR102020025745A2 (pt) 202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2285B1 (ko) 직기용 잉아, 그러한 잉아를 갖춘 직기, 및 그러한 잉아를 제조하기 위한 프로세스
KR20210080254A (ko) 직조용 헬드 및 상기 헬드가 장착된 하네스
CN102204523A (zh) 钓线引导件和制造钓线引导件的方法
KR101274052B1 (ko) 잉아를 제조하는 방법, 쉐드 형성 메카니즘을 위한 잉아 및잉아를 구비하는 직기
KR102399302B1 (ko) 자카드 직조기용 종광, 종광의 제조 방법, 및 그러한 종광을 포함하는 직조기
KR20150082300A (ko) 직기, 특히 원형 직기를 위한 잉아
US4155379A (en) Heddle for a weaving machine
ITBO980297A1 (it) Casco protettivo per sportivi.
KR970022376A (ko) 광학섬유 제조장치
CA1127935A (en) Heddle
KR850001110B1 (ko) 직기의 잉아어셈블리
KR20120110022A (ko) 다성분 플라스틱 헤들 및 그 제조 방법
US9777409B2 (en) Heddle for a loom and loom equipped with such a heddle
CN105568468B (zh) 一种用于织机的综丝及装配该综丝的织机
CZ298979B6 (cs) Nitenky pro usporádání do páru
EP4169691A1 (en) Bracket for antivibration device
EP0164034A2 (en) Weft-carrying grippers for shuttleless weaving looms
CN113843954B (zh) 低翘曲注射成型的壳体部件和具有其的电连接器
US1816167A (en) Shuttle eye and process of making the same
KR200260951Y1 (ko) 레노 조직용 종광
CN102704134A (zh) 具有用于改善经纱保持的纱眼的综片
CN110685049A (zh) 综丝
ITMI940839U1 (it) Perfezionamento nei calcetti ad aste
KR19990035136U (ko) 고속직기용판형종광의눈
CS211547B1 (en) Guiding path of the vice c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