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0250A - 사이드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사이드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0250A
KR20210080250A KR1020200178341A KR20200178341A KR20210080250A KR 20210080250 A KR20210080250 A KR 20210080250A KR 1020200178341 A KR1020200178341 A KR 1020200178341A KR 20200178341 A KR20200178341 A KR 20200178341A KR 20210080250 A KR20210080250 A KR 20210080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device
cushion
protrusion
occupant
side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1737B1 (ko
Inventor
코바야시 유또
사꾸라이 츠또무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210080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0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48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일반적인 구성 부품만으로 구성 가능하다. 그때 승차인의 머리부의 이동이나 비스듬히 전방으로의 승차인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차량 폭 방향으로 배치된 세퍼레이트 시트 중, 어느 한 쪽의 등받이부(SB)의 상기 차량 폭 방향 중앙측 측면부에 설치되고, 승차인(P)의 이동을 억제하는 파 사이드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1)이다. 쿠션(2)과, 쿠션(2)을 팽창 전개시키는 인플레이터(3)를 구비한다. 쿠션(2)은 신호의 수신 때에 승차인(P)의 이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서로 이웃하는 한 쪽과 다른 쪽의 세퍼레이트 시트의 앞면으로 올라가는 상태로 팽창 전개하여 승차인(P)의 측부를 받아내는 제1 부분(2a) 및 제2 부분(2b)과, 이들 제1 부분(2a)과 제2 부분(2b) 사이에 설치되는 중앙 부분(2c)을 가진다. 중앙 부분(2c)에 쿠션(2)의 팽창 전개시에 제1 부분(2a) 및 제2 부분(2b) 보다도, 적어도 차량의 앞 방향으로 돌출하여 승차인(P)의 머리부를 받아내는 것이 가능한 돌출부(2e)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사이드 에어백 장치{SIDE AIRBAG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차량이 측면으로부터 충돌되었을 때(이하, '측면 충돌시'라고 함)에 승차인을 보호하기 위하여 차량에 설치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차실 내에서 차량 폭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된 세퍼레이트 시트(separate seat) (이하, 단순히 '시트'라고 함) 중 어느 한 쪽의 등받이부의 상기 차량 폭 방향의 중앙측(이하, '파 사이드'(Far-Side)라고 함)의 측면부에 설치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있어서, '상(上)', '상방(上方)'이란 시트의 정규 위치에 착석한 승차인의 머리부 방향을, '하(下)', '하방(下方)'이란 동일한 정황에서 발밑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전(前)', '전방(前方)'이란 시트의 정규 위치에 착석한 승차인의 정면측 방향을, '후(後)', '후방(後方)'이란 동일하게 등면측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폭 방향'이란 시트의 정규 위치에 착석한 승차인의 오른쪽과 왼쪽 방향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설명 중의 '정규 위치'란 시트를 구성하는 시트 쿠션의 폭 방향의 중심 위치이며, 승차인의 등 전체가 시트의 등받이부에 접촉한 상태를 따른 위치를 말한다.
예를 들어, 측면 충돌시 충격이 가해진 부위로 향하는 승차인의 이동을 억제하여 승차인을 보호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시트의 등받이부(이하, '시트백'이라고 함)의 측방 내부에 설치된다.
이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충돌을 검지한 센서가 발신하는 신호에 의해 인플레이터가 작동하여 가스를 발생하고, 시트에 착석한 승차인의 측방으로 쿠션을 팽창 전개시키는 구성이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차실 내에서 차량의 폭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된 센터 콘솔(center console)에 설치되는, 파 사이드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특허문헌 1의 좌석간 에어백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정면에서 보아 I자 형상으로 팽창 전개하는 메인 백(main bag)과, 메인 백을 통하여 가스가 공급되고 메인 백의 상하 방향 중앙부로부터 조수석측으로 돌출하여 팽창 전개하는 서브 백(Sub bag)으로 쿠션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서브 백은 메인 백의 내압이 소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가스가 공급되지 않고 팽창 전개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조수석에 승차인이 착석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메인 백 만이 팽창 전개하는 한편, 조수석에 승차인이 착석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메인 백과 서브 백이 팽창 전개하여 운전석이나 조수석에 착석한 승차인이 조수석측이나 운전석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한다.
특허문헌1 : 일본특허 특개2010-115947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 개시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경우에는, 통상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인플레이터 대신에 예를 들어 아래의 인플레이터가 필요해지며, 나아가 통상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구성 부품에 더하여 아래의 구성 부품이 필요해진다.
·메인 백의 내압을 소정값 미만으로 하는 제1 출력과, 메인 백의 내압을 소정값 이상으로 하는 제2 출력을 전환하는 것이 가능한 출력 가변 인플레이터
˙조수석의 승차인의 유무를 검출하는 검출기
˙검출기에 의한 검출 결과에 의해 인플레이터의 상기 출력을 전환하는 제어 장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파 사이드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경우에, 예를 들어 출력 가변 인플레이터, 조수석의 승차인의 유무를 검출하는 검출기, 인플레이터의 출력을 전환하는 제어 장치가 필요해진다고 하는 점이다.
본 발명은 차량 내에서 차량의 폭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된 시트에 착석한 승차인이 충돌시에 충격이 가해진 부위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파 사이드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일반적인 구성 부품만으로 구성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그때, 본 발명은 시트에 착석한 승차인의 머리부의 이동이나 비스듬한 전방으로의 승차인의 이동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 내에서 차량의 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시트 중 어느 한 쪽의 시트백의 파 사이드의 측면부에 설치되고, 충돌시에 가해진 부위로 향하는 승차인의 이동을 억제하여 상기 승차인을 보호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이다.
본 발명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쿠션과 상기 쿠션의 내부에 설치되고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가스를 발생하며 상기 쿠션을 팽창 전개시키는 인플레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쿠션은 상기 신호의 수신 시 승차인의 측부를 받아내어 승차인의 이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서로 이웃하는 한 쪽과 다른 쪽의 시트 앞면으로 올라가는 상태로 팽창 전개하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과, 이들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설치되는 중앙 부분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중앙 부분에 쿠션 팽창 전개시에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보다도 적어도 차량의 앞 방향으로 돌출하여 승차인의 머리부 및 비스듬히 전방으로의 승차인의 이동을 받아내는 것이 가능한 돌출부를 형성한 것이 주요한 특징이다.
상기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출력 가변 인플레이터, 조수석의 승차인의 유무를 검출하는 검출기, 인플레이터의 출력을 전환하는 제어 장치와 같은 특별한 구성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게다가 본 발명은 쿠션 팽창 전개시에 중앙 부분에 형성한 돌출부에 의해 시트에 착석한 승차인의 머리부의 이동이나 비스듬히 전방으로의 승차인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부분, 상기 중앙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이 연속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챔버에 대하여, 상기 돌출부는 하기 조건을 만족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건:
상기 챔버의 상기 제1 부분, 상기 중앙 부분, 상기 제2 부분의 연속 방향 중앙부의 횡단면의 도심(center of figure)으로부터 이 횡단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축과, 상기 돌출부의 전후 방향 중앙부의 횡단면의 도심으로부터 이 횡단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축이 차량의 상방으로부터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을 평면에서 보았을 경우에 소요(所要) 각도로 교차하고 있을 것.
상기의 경우 제1 축과 제2 축은 평면에서 보았을 경우에 90도±20도의 범위에서 교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축과 제2 축의 각도가 이 범위 내에 있으면 비스듬한 충돌시나 오프셋(offset) 충돌시 등으로 머리부가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상기 돌출부가 승차인의 머리부를 충분히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쿠션의 돌출부는 쿠션의 중앙 부분에 상방으로의 연장부를 가지는지 여부 및 상기 연장부의 상면 위치에 의해 아래와 같이 형성한다.
˙쿠션의 중앙 부분에 상방으로의 연장부를 가지고, 상기 연장부의 상면이 시트에 착석한 승차인의 두정부(頭頂部)와 동일하거나 상기 두정부 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경우:
쿠션의 돌출부는 중앙 부분의 연장부의 앞면에, 상기 연장부로부터 앞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한다.
˙쿠션의 중앙 부분에 상방으로의 연장부를 가지고, 상기 연장부의 상면이 시트에 착석한 승차인의 두정부 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경우:
쿠션의 돌출부는 상면이 시트에 착석한 승차인의 두정부 보다도 상방이 되도록 쿠션의 중앙 부분의 상면에 덮이고, 상기 덮인 부분과 상기 연장부의 앞면에 이들 앞면으로부터 앞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한다.
˙쿠션의 중앙 부분에 상방으로의 연장부를 가지지 않는 경우:
쿠션의 돌출부는 상면이 시트에 착석한 승차인의 두정부 보다도 상방이 되도록 쿠션의 중앙 부분의 상면에 덮이고, 상기 덮인 부분이 중앙 부분의 앞면으로부터 앞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한다.
어느 쪽이든 쿠션 연장부의 상면 또는 돌출부의 상면의 가장 높은 부분은 승차인의 두정부 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돌출부는 연장부의 상부로부터 혹은 앞면으로부터 차량의 앞 방향을 향하여 연재(延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쿠션의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2 부분, 상기 중앙 부분은 하나의 챔버로 형성하고 상기 챔버와는 분리된 별도의 챔버로 상기 돌출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본 발명은 쿠션의, 상기 챔버의 팽창 전개와, 상기 챔버와는 별도의 챔버에서 형성된 상기 돌출부의 팽창 전개 사이에 타임 래그(time lag)를 둘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은 초기 구속시에 필요한 승차인의 어깨부 등을 조기에 구속 가능한 외에 충돌 후반의 승차인의 이동에 의한 머리부 보호도 적절하게 실시할 수 있다.
쿠션의, 상기 챔버의 팽창 전개와, 상기 챔버와는 별도의 챔버로 형성된 상기 돌출부의 팽창 전개 사이에 타임 래그를 두는 데는 벤트홀을 개재하여 상기 챔버와 상기 돌출부를 연통시킴으로써 달성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챔버에 인플레이터를 설치하고 상기 벤트홀은 상기 챔버의 팽창 전개가 개시한 후에 상기 돌출부에 가스가 유입하도록 하는 크기로 하면 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앞면 하방 부분 혹은 바닥면 전방 부분과, 상기 중앙 부분의 앞면 하방 부분 혹은 바닥면 전방 부분을 연결하는 테더(tether)를 구비시켜도 된다. 이와 같은 테더를 설치한 경우에는 팽창 전개 후의 돌출부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유지 가능하므로 승차인의 머리부를 더욱 확실하게 받아낼 수 있고 충돌 중의 승차인에 대한 구속력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쿠션의 중앙 부분에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특별한 구성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일반적인 구성 부품만으로 시트에 착석한 승차인의 머리부의 이동이나 비스듬히 전방으로의 승차인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때, 돌출부와 중앙부분을 테더로 연결해 두면 본 발명은 승차인의 머리부를 더욱 확실하게 받아낼 수 있고 충돌 중의 승차인에 대한 구속력도 얻을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성하는 쿠션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로서 팽창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나타낸 쿠션을 구비한 본 발명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상기 쿠션이 팽창 전개한 상태를 차량 측방에서 본 도이다.
도 1c는 도 1a에 나타낸 쿠션을 구비한 본 발명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상기 쿠션이 팽창 전개한 상태를 차량의 상방에서 본 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성하는 쿠션의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도 1a와 동일한 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나타낸 쿠션을 구비한 본 발명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도 1b와 동일한 도이다.
도 2c는 도 2a에 나타낸 쿠션을 구비한 본 발명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도 1c와 동일한 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성하는 쿠션의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낸 도 1a와 동일한 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나타낸 쿠션을 구비한 본 발명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도 1b와 동일한 도이다.
도 3c는 도 3a에 나타낸 쿠션을 구비한 본 발명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도 1c와 동일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성하는 쿠션의 제1 실시예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낸 도1a와 동일한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성하는 쿠션의 제1 실시예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낸 도1a와 동일한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성하는 쿠션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1a와 동일한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성하는 쿠션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1a와 동일한 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특징 구성을 가지지 않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쿠션을 나타낸 도1a와 동일한 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나타낸 쿠션을 구비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도 1B와 동일한 도이다.
도 8c는 도 8a에 나타낸 쿠션을 구비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도 1c와 동일한 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내에서 차량의 폭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된 시트에 착석한 승차인의, 차량 측면이나 비스듬한 방향 등으로부터의 충돌시의 이동을 억제하고 충돌을 흡수하는 파 사이드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일반적인 구성 부품만으로 구성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그때 승차인의 머리부의 이동이나 비스듬히 전방으로의 승차인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서로 이웃한 한 쪽과 다른 쪽의 시트의 앞면으로 올라가는 상태로 팽창 전개하는 쿠션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설치되는 중앙 부분에 제1 부분 및 제2 부분 보다도 적어도 차량의 앞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실현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아래의 실시형태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례로서 본 발명, 그 적용물, 그 용도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예)
도 1a ~ 도 1c는 본 발명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이 제1 실시예를 본 발명의 특징 구성을 가지지 않는 도 8a ~ 도 8c에 나타낸 사이드 에어백 장치와 비교하여 설명한다.
도 1a ~ 도 1c 및 도 8a ~ 도 8c에 나타내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1)는 차량 내에서 차량의 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시트, 예를 들어 운전석(Sd)과 조수석(Sn) 중 어느 한 쪽의 시트백(SB)의 파 사이드 측면 내부에 설치된다.
이 사이드 에어백 장치(1)는 쿠션(2)의 내부에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그 외측면에 설치한 구멍(3a)으로부터 상기 쿠션(2)의 내부에 가스를 분출하는 예를 들어 통 형상의 인플레이터(3)를 배치하고 있다.
상기 쿠션(2)은 상기 인플레이터(3)의 상기 구멍(3a)의 반대측 외측면에 그 길이 방향으로 적절한 간격을 두고 돌출 형상으로 설치된 두 개의 스터드 볼트(stud bolt)(3b)를 사용하고 상기 시트백(SB)의 내부의 사이드 프레임(SF)에 설치된다.
상기 쿠션(2)은 운전석(Sd)의 앞면과 조수석(Sn)의 앞면으로 올라가는 상태로 팽창 전개하는 제1 부분(2a) 및 제2 부분(2b)과 이들 제1 부분(2a)과 제2 부분(2b) 사이에서 팽창 전개하는 중앙 부분(2c)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들 제1 부분(2a), 제2 부분(2b), 중앙 부분(2c)의 경계는 엄밀한 것은 아니다.
도 1a ~ 도 1c 및 도 8a ~ 도 8C에 나타낸 사이드 에어백 장치(1)에서는 이들 제1 부분(2a), 제2 부분(2b) 및 중앙 부분(2c)을 하나의 챔버(2d)로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 챔버(2d)는 차량의 전방측에서 보았을 때에 제1 부분(2a) 및 제2 부분(2b) 보다도 상방으로 연장한 연장부(2ca)를 중앙 부분(2c)에 가지는 형상이고,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소요 두께를 가지도록 적절한 개수의 기포 패널을 접합하여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1 부분(2a)과 제2 부분(2b)은 승차인(P)의 동체의 측부, 예를 들어 어깨부(Ps), 가슴부(Pc), 상완부(上腕部)(Pua)를 받아낼 수 있는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또한, 중앙 부분(2c)은 승차인(P)의 상기 측부에 더하여 그 연장부(2ca)에 의해 예를 들어 승차인(P)의 목(Pn)부터 귀(Pe)까지의 머리부(Ph)의 후측을 받아낼 수 있는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상기 사이드 에어백 장치(1)에서는 측면 충돌, 비스듬한 충돌, 오프셋 충돌 등일 때,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한 인플레이터(3)는 그 외측면에 설치한 구멍(3a)으로부터 챔버(2d)의 내부에 가스를 분출하고 챔버(2d)를 팽창 전개시킨다.
따라서 측면 충돌 등 때에 팽창 전개하여 운전석(Sd) 및 조수석(Sn)의 앞면으로 올라간 제1 부분(2a) 및 제2 부분(2b)로 상기 충돌에 의해 이동하는 승차인(P)의 예를 들어 어깨부(Ps), 가슴부(Pc), 상완부(Pua)를 받아내고 승차인(P)의 이동을 억제한다.
상기 사이드 에어백 장치(1)의 경우 상기 중앙 부분(2c)의 연장부(2ca)는 승차인(P)의 머리부(Ph)를 받아내는 것이다. 그러나 차량 충돌시의 초기부터 상기 충돌의 영향이 없어지는 말기에 걸쳐서, 승차인(P)의 머리부(Ph) 전체를 더욱 확실하게 받아낼 수 있도록 한층 더 성능의 향상이 필요해지고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쿠션(2)의 상기 중앙 부분(2c)에 팽창 전개시에 상기 제1 부분(2a) 및 상기 제2 부분(2b) 보다도 적어도 차량의 앞 방향으로 돌출하고 승차인(P)의 머리부(Ph) 전체를 받아내는 것이 가능한 돌출부(2e)를 형성하고 있다. 이 돌출부(2e)는 비스듬한 방향 등으로부터의 충돌시에 비스듬히 전방으로 이동하는 승차인(P)을 받아내는 작용도 한다.
상기 돌출부(2e)는 도 1a ~ 도 1c에 나타낸 제1 실시예에서는 상면이 운전석(Sd)이나 조수석(Sn)에 착석한 승차인(P)의 두정부 보다도 상방이 되도록 상기 연장부(2ca)의 상면에 덮이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이 덮인 부분과 상기 연장부(2ca)의 앞면으로부터 앞 방향으로 돌출한 형상이 되도록 적절한 개수의 기포 패널로 형성하고 있다. 이 돌출부(2e)는 상기 챔버(2d)와는 분리된 별도의 챔버로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2ca)의 상면에 설치한 벤트홀(4)을 개재하여 상기 챔버(2d)와 연통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부분(2a), 중앙 부분(2c) 및 제2 부분(2b)이 연속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챔버(2d)에 대하여 상기 돌출부(2e)는 다음과 같이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챔버(2d)와 돌출부(2e)의 각각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하여 제1 축과 제2 축을 정의한다. 도 1a 중에 상상선(imaginary line, 想像線)으로 나타낸 제1 축(X)은 챔버(2d)의 제1 부분(2a), 중앙 부분(2c), 제2 부분(2b)의 연속 방향(다시 말해 챔버(2d)의 길이 방향) 중앙부의 횡단면의 도심으로부터 이 횡단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축이다. 또한, 동일하게 파선으로 나타낸 제2 축(Y)은 돌출부(2e)의 차량 전후 방향 중앙부의 횡단면의 도심으로부터 이 횡단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축이다. 또한, 도심이란 상기 각 횡단면의 윤곽 형상에 대하여 정해지는 기하학적인 중심(重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의한 제1 축(X)과 제2 축(Y)을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의 상방으로부터 평면에서 보았을 경우에 제1 축(X)과 제2 축(Y)이 교차하는 교점(P)을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교점(P)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 축(X)과 제2 축(Y)이 이루는 각도(θ)가 90도±20도의 범위가 되도록 돌출부(2e)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실시예는 제1 축(X)과 제2 축(Y)이 90도로 직교하는 경우의 일례이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예를 들어 제1 축(X) 쪽을 고정하고 제2 축(Y)의 알맞은 범위를 나타내면 도 1c 중에 Ymin(70°), Ymax(110°)로서 나타낸 범위가 된다. 이와 같이 제1 축(X)과 제2 축(Y)이 70도 이상 110도 이하의 범위가 되도록 돌출부(2e)를 설치하면 예를 들어 비스듬한 충돌이나 오프셋 충돌의 경우에도 돌출부(2e)가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이동하는 승차인(P)의 머리부(Ph)를 받아내어 충분히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벤트홀(4)의 내경은 상기 챔버(2d)의 팽창 전개 후반에 상기 돌출부(2e)에 가스가 유입하고 상기 챔버(2d)의 팽창 전개와 상기 돌출부(2e)의 팽창 전개 사이에 타임 래그가 발생하도록 하는 크기로 하고 있다.
상기 연장부(2ca)에 돌출부(2e)를 설치한 본 발명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1)에서는 측면 충돌시에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한 인플레이터(3)는 그 외측면에 설치한 구멍(3a)으로부터 챔버(2d)의 내부에 가스를 분출하고 챔버(2d)를 팽창 전개시킨다.
그리고 챔버(2d)가 어느 정도 팽창 전개한 후에 벤트홀(4)로부터 돌출부(2e)에 가스가 유입하고 돌출부(2e)가 팽창 전개한다. 이 팽창 전개한 돌출부(2e)에 의해 승차인(P)의 측방으로부터 충돌이 가해진 경우 뿐만 아니라 승차인(P)의 비스듬히 전방으로부터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도 상기 충격에 의해 이동하는 승차인(P)이나 그 머리부(Ph) 전체를 확실하게 받아낼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
도 2a ~ 도 2c는 본 발명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도이다.
이 제1 변형예는 도 1a ~ 도 1c에 나타낸 제1 실시예의 상기 돌출부(2e)의 앞면 하방 부분과 상기 중앙 부분(2c)의 바닥면 전방 부분을 테더(5)로 연결한 것으로서 기타 구성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 제1 변형예에서는 상기 돌출부(2e)와 상기 중앙 부분(2c)을 테더(5)로 연결하였으므로 측면 방향 등으로부터의 충돌시에 돌출부(2e)의 연장부(2ca)의 앞 방향으로 팽창 전개한 부분에 승차인(P)의 머리부(Ph)가 이동하여 충돌한 경우에도 상기 머리부(Ph)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
도 3a ~ 도 3c는 본 발명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낸 도이다.
이 제2 변형예는 도 2a ~ 도 2c에 나타낸 상기 돌출부(2e)에 대한 제1 변형예의 테더(5)의 설치 위치를 앞면 하방 부분에서 바닥면 전방 부분으로 변경한 것으로서 이 경우도 상기 제1 변형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제1 실시예의 제3 변형예)
도 4는 본 발명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낸 도이다.
이 제3 변형예는 도 2a ~ 도 2c에 나타낸 상기 중앙 부분(2c)에 대한 제1 변형예의 테더(5)의 설치 위치를 바닥면 전방 부분에서 앞면 하방 부분으로 변경한 것으로서 이 경우도 상기 제1 변형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제1 실시예의 제4 변형예)
도 5는 본 발명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낸 도이다.
이 제4 변형예는 도 3a ~ 도 3c에 나타낸 상기 중앙 부분(2c)에 대한 제2 변형예의 테더(5)의 설치 위치를 바닥면 전방 부분에서 앞면 하방 부분으로 변경한 것으로서 이 경우도 상기 제1 변형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제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이다.
이 제2 실시예는 도 8a ~ 도 8c에 나타낸 사이드 에어백 장치(1)의, 상기 중앙 부분(2c)의 연장부(2ca)의 상면 위치가 승차인(P)의 머리부(Ph)의 두정부와 동일 높이인 경우 혹은 상기 두정부 보다도 상방인 경우에 대응한 실시예이다.
이와 같은 상면 위치의 연장부(2ca)를 가지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1)의 경우에 상기 돌출부(2e) 전체를 연장부(2ca)의 앞면에 설치하고 이 돌출부(2e)와 챔버(2d)를 연통하는 벤트홀(4)은 연장부(2ca)의 앞면에 형성한다. 이 제2 실시예도 도 1a ~ 도 1c에 나타내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1 축(X), 제2 축(Y)을 정의할 수 있고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이 제2 실시예도 상기 제1 실시예의 변형예 1 ~ 4와 동일하게 돌출부(2e)와 중앙 부분(2c)을 테더(5)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실시예의 변형예 1 ~ 4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제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 제3 실시예는 도 8a ~ 도 8c에 나타낸 사이드 에어백 장치(1)의, 상기 중앙 부분(2c)에 연장부(2ca)가 없는 것, 즉 중앙 부분(2c)의 상면 위치가 상기 제1 부분(2a) 및 상기 제2 부분(2b)의 상면 위치와 동일한 경우에 대응한 실시예이다.
이와 같은 연장부(2ca)가 없는 중앙 부분(2c)을 가지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1)의 경우에, 상기 돌출부(2e)는 상면이 운전석(Sd)이나 조수석(Sn)에 착석한 승차인(P)의 두정부 보다도 상방이 되도록 상기 중앙 부분(2c)의 상면에 덮이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덮인 부분을 중앙 부분(2c)의 앞면에서 앞 방향으로 돌출시킨다. 이 경우, 돌출부(2e)와 챔버(2d)를 연통하는 벤트홀(4)은 중앙 부분(2c)의 상면에 형성한다. 이 제3 실시예도 도 1a ~ 도 1c에 나타내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1 축(X), 제2 축(Y)을 정의할 수 있고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이 제3 실시예도 상기 제1 실시예의 변형예 1 ~ 4와 동일하게 돌출부(2e)와 중앙 부분(2c)을 테더(5)로 연결하는 경우는 상기 제1 실시예의 변형예 1 ~ 4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한 예에 한정하지 않고 각 청구항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라면 적절히 실시형태를 변경해도 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즉, 이상에서 서술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본 발명의 알맞은 예로서 이것 이외의 실시형태도 포함된다. 특히 본원 명세서 중에 한정하는 주지의 기재가 없는 한 본 발명은 첨부 도면에 나타낸 상세한 부품의 형상, 크기 및 구성 배치 등으로 제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원 명세서 중에 사용된 표현 및 용어는 설명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서 특히 한정된다는 주지가 없는 한 그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연장부(2ca)의 상면에만 벤트홀(4)을 설치하고 있지만 연장부(2ca)의 상면에 더하여 앞면에도 벤트홀(4)을 설치해도 된다. 혹은 연장부(2ca)의 앞면에만 벤트홀(4)을 설치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쿠션(2)과 테더(5)의 접합은 소정 강도가 얻어지는 것이라면 봉제, 접착, 용착 등 어느 방법으로 연결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쿠션(2)의 제1 부분(2a), 제2 부분(2b), 중앙 부분(2c)이나 중앙 부분(2c)의 연장부(2ca)를 하나의 챔버(2d)로 형성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인플레이터(3)의 가스를 상기 각 부분(2a~2c, 2ca)에 직접 보내는 등 타임 래그가 없는 상태로 팽창 전개할 수 있다면 여러 개의 챔버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쿠션(2)은 적절한 개수의 기포 패널을 봉제 등에 의해 접합한 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이른바 '원피스 웨빙(one-piece weaving)' 기술을 사용하여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1)를 운전석(Sd)의 파 사이드 측면부에 수납하고 있는데 조수석(Sn)의 파 사이드 측면부에 수납해도 된다.
또한, 전후 방향으로 3열의 시트가 설치된 차량의 경우 2열째의 시트가 차량 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2열째의 시트에 본 발명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1)를 설치해도 된다.
1 사이드 에어백 장치
2 쿠션
2a 제1 부분
2b 제2 부분
2c 중앙 부분
2ca 연장부
2d 챔버
2e 돌출부
3 인플레이터
4 벤트홀
5 테더
Sd 운전석
Sn 조수석
SB 시트백
P 승차인
Ps 어깨부
Pua 상완부
Pc 가슴부
Ph 머리부
X 제1 축
Y 제2 축

Claims (9)

  1. 차량 내에서 차량 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세퍼레이트 시트 중, 어느 한 쪽의 등받이부의 상기 차량 폭 방향의 중앙측 측면부에 설치되고, 충돌시에 충격이 가해진 부위로 향하는 승차인의 이동을 억제하여 상기 승차인을 보호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로서,
    쿠션과,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가스를 발생하고, 상기 쿠션을 팽창 전개시키는 인플레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쿠션은,
    상기 신호의 수신 시, 승차인의 이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서로 이웃한 한 쪽과 다른 쪽의 상기 세퍼레이트 시트의 앞면으로 올라가는 상태로 팽창 전개하여 승차인의 측부를 받아내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과, 이들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설치되는 중앙 부분을 가지고,
    상기 중앙 부분으로 쿠션의 팽창 전개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보다도 적어도 차량의 앞 방향으로 돌출하고, 승차인의 머리부 및 비스듬한 전방으로 이동하는 승차인을 받아내는 것이 가능한 돌출부를 형성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상기 중앙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이 연속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챔버에 대하여,
    상기 챔버의 상기 제1 부분, 상기 중앙 부분, 상기 제2 부분의 연속 방향 중앙부의 횡단면의 도심으로부터 이 횡단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축과, 상기 돌출부의 전후 방향 중앙부의 횡단면의 도심으로부터 이 횡단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축이 차량의 상방으로부터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을 평면에서 보았을 경우에 소요 각도로 교차하도록,
    상기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의 상기 중앙 부분에 상방으로의 연장부를 가지고, 상기 연장부의 상면이 상기 세퍼레이트 시트에 착석한 승차인의 머리부와 동일하거나 상기 두정부 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연장부의 앞면에,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기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쿠션의 상기 중앙 부분에 상방으로의 연장부를 가지고, 상기 연장부의 상면이 상기 세퍼레이트 시트에 착석한 승차인의 두정부 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돌출부는 상면이 상기 세퍼레이트 시트에 착석한 승차인의 두정부 보다도 상방이 되도록, 상기 중앙 부분의 상면에 덮이고, 상기 덮인 부분과 상기 연장부의 상면에, 이들의 앞면으로부터 앞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쿠션의 상기 중앙 부분에 상방으로의 연장부를 가지지 않는 경우,
    상기 돌출부는 상면이 상기 세퍼레이트 시트에 착석한 승차인의 두정부 보다도 상방이 되도록, 상기 중앙 부분의 상면에 덮이고, 상기 덮인 부분이 상기 중앙 부분의 앞면으로부터 앞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2 부분, 상기 중앙 부분은 하나의 챔버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중앙 부분과는 분리된 별도의 챔버로 형성되어 있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와 상기 챔버와 별도의 챔버로 형성된 상기 돌출부는 벤트홀을 개재하여 연통하고 있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에 인플레이터를 설치하고, 상기 벤트홀은 상기 챔버의 팽창 전개 후반에, 상기 돌출부에 가스가 유입하도록 하는 크기를 이루고 있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앞면 하방 부분 혹은 바닥면 전방 부분과, 상기 중앙 부분의 앞면 하방 부분 혹은 바닥면 전방 부분을 연결하는 테더를 구비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20200178341A 2019-12-20 2020-12-18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25017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230223 2019-12-20
JP2019230223 2019-12-20
JP2020172524A JP2021098495A (ja) 2019-12-20 2020-10-13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JP-P-2020-172524 2020-10-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250A true KR20210080250A (ko) 2021-06-30
KR102501737B1 KR102501737B1 (ko) 2023-02-20

Family

ID=76541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341A KR102501737B1 (ko) 2019-12-20 2020-12-18 사이드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1098495A (ko)
KR (1) KR1025017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4375A1 (ja) * 2022-08-10 2024-02-15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78329B1 (en) * 1999-04-13 2002-11-12 Nihon Plast Co., Ltd. Air bag
KR20100115947A (ko) 2009-04-21 2010-10-29 우리산업 주식회사 전류센서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739857B1 (ko) * 2015-11-19 2017-05-25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측면 충돌용 에어백
KR101781387B1 (ko) * 2016-04-15 2017-09-25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US20190061676A1 (en) * 2017-08-24 2019-02-28 Hyundai Motor Company Airbag for a vehic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78329B1 (en) * 1999-04-13 2002-11-12 Nihon Plast Co., Ltd. Air bag
KR20100115947A (ko) 2009-04-21 2010-10-29 우리산업 주식회사 전류센서의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739857B1 (ko) * 2015-11-19 2017-05-25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측면 충돌용 에어백
KR101781387B1 (ko) * 2016-04-15 2017-09-25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US20190061676A1 (en) * 2017-08-24 2019-02-28 Hyundai Motor Company Airbag for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098495A (ja) 2021-07-01
KR102501737B1 (ko) 202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63863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KR100846055B1 (ko) 에어백
JP6421233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6149840B2 (ja) 車両用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EP2682311B1 (en) Side airbag device for automobile
CN113002475B (zh) 侧面安全气囊装置
JP5999031B2 (ja) 後席乗員用エアバッグ装置
KR101708217B1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20200092449A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EP1775177B1 (en) Airbag forming a recess
KR102656154B1 (ko) 에어백 장치
JP2010076640A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2154195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20210144377A (ko)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US9771045B2 (en) Vehicle side airbag device
JP2011051413A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
KR102339066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US20230069779A1 (en) Airbag device and vehicle seat
KR102501737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JP7078742B2 (ja) 車両用シート
JP2019172029A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2019077216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6168964A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20230071361A1 (en) Side airbag device
WO2023218769A1 (ja) 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