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9563A - 정자 추출 마이크로 유체칩 및 그의 정자 추출 방법 - Google Patents

정자 추출 마이크로 유체칩 및 그의 정자 추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9563A
KR20210079563A KR1020190171492A KR20190171492A KR20210079563A KR 20210079563 A KR20210079563 A KR 20210079563A KR 1020190171492 A KR1020190171492 A KR 1020190171492A KR 20190171492 A KR20190171492 A KR 20190171492A KR 20210079563 A KR20210079563 A KR 20210079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rm
fluid
micropillars
injection unit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재
Original Assignee
김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재 filed Critical 김영재
Priority to PCT/KR2019/01819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125406A1/ko
Priority to KR1020190171492A priority patent/KR20210079563A/ko
Publication of KR20210079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5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 B01L3/502761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uspended solids or molecules independently from the bulk fluid flow, e.g. for trapping or sorting beads, for physically stretching molec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 B01L3/502746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ntrolling flow resistance, e.g. flow controllers, baff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47Handling flowable solids, e.g. microscopic beads, cells, particles
    • B01L2200/0652Sorting or classification of particles or molec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48Specific forms of parts of containers
    • B01L2300/0851Bottom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61Configuration of multiple channels and/or chambers in a single devices
    • B01L2300/088Channel lo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 B01L2400/0403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 B01L2400/0406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forces capillary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8Regulating or influencing the flow resistance
    • B01L2400/084Passive control of flow resistance
    • B01L2400/086Passive control of flow resistance using baffles or other fixed flow ob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자 추출 마이크로 유체칩은, 일측에는 유체가 주입되는 주입부가 형성되는 칩본체와, 상기 주입부의 위치와 대칭되도록 상기 칩본체에 배치되며, 상기 주입부에 주입된 상기 유체가 일 방향으로의 흐름을 유지할 수 있도록 모세관 효과 및 증발 효과를 발생시키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필라(Micro pillars)을 포함하며, 정자가 포함된 정액이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 필라에 투하되며, 투하된 상기 정액에 포함된 정자들의 일부 정자들이 주류성(rheotaxis)에 의해서 상기 유체의 흐름에 거슬러 이동하여 상기 주입부에서 추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정자 추출 마이크로 유체칩 및 그의 정자 추출 방법{MICRO FLUID CHIP TO EXTRACT SPERM AND METHOD TO EXTRACT SPERM THEREOF}
본 발명은 정자 추출 마이크로 유체칩 및 그의 정자 추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세관 효과 및 증발 효과를 이용하여 유체의 일 방향 흐름을 형성하고 또한 정자의 주류성(rheotaxis)을 이용하여 건강한 정자를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정자 추출 마이크로 유체칩 및 그의 정자 추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심각한 저출산 문제는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여성의 고령 임신에 따른 생식능력 감소와 생식기 질환 증가 그리고 스트레스 및 환경 오염 증가 등으로 인한 불임 또는 난임 발생 빈도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불임 및 난임 극복을 위한 배란 유도, 자궁 내 인공수정(IUI), 체외수정, 배아이식, 세포질 내 정자주입술 등과 같은 다양한 보조생식술이 개발되어 실제 임상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이들 과운데 체외수정을 통해 생산된 체외수정란을 이용한 배아 이식은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에서도 임상 적용 사례가 가장 많은 시술 빈도를 가지고 있다. 체외수정을 통한 체외수정란 생산에 있어서, 양질의 체외수정란 생산은 성공적인 임신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며, 따라서 체외수정란 생산 과정에서 운동성이 좋은 정자를 효율적으로 선별하는 과정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스윔-업(swim-up) 방법을 비롯한 다양한 체외 정자 처리 기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장시간 전자의 체외 노출이 요구되기 때문에 이후 정자의 DNA 손상 증가가 유발될 수 있다.
이에 건강한 정자를 분리하기 위해 마이크로 유체칩이 개발되었는데, 이의 경우에도 유체 흐름을 형성하여 정자를 분리하는 것이기 때문에 유체펌프, 시린지펌프 등과 외부 동력원을 필요로 하였고, 따라서 구조가 복잡화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었다.
따라서, 건강한 정자를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으면서도 외부 동력원 없이도 유체의 흐름을 형성시킴으로써 건강한 정자가 모일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의 정자 추출 마이크로 유체칩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선행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85336호(발명의 명칭: 친수성 필라에 의해 마이크로 채널의 수동형 펌프를 구현한 바이오칩 및 그 제조 방법)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별도의 외부 동력원 없이도 마이크로필라들에서 발생되는 모세관 효과 및 증발 효과로 인해서 유체의 일 방향 흐름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정자가 주류성을 이용하여 주입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건강한 정자를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정자 추출 마이크로 유체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자 추출 마이크로 유체칩은, 일측에는 유체가 주입되는 주입부가 형성되는 칩본체와, 상기 주입부의 위치와 대칭되도록 상기 칩본체에 배치되며, 상기 주입부에 주입된 상기 유체가 일 방향으로의 흐름을 유지할 수 있도록 모세관 효과 및 증발 효과를 발생시키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필라(Micro pillars)을 포함하며, 정자가 포함된 정액이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 필라에 투하되며, 투하된 상기 정액에 포함된 정자들의 일부 정자들이 주류성(rheotaxis)에 의해서 상기 유체의 흐름에 거슬러 이동하여 상기 주입부에서 추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칩본체에서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필라와 상기 주입부의 사이에는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 필라에 투하된 상기 정자들이 주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격벽 채널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필라는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격자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필라 각각은 정사각기둥, 직사각기둥 또는 마름모 형태의 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필라 각각은 원기둥 또는 타원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 개의 격벽 채널은 상기 정자의 흐름 방향으로 경로가 형성되도록 상호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수 개의 격벽 채널은 상기 정자의 흐름 방향으로 경로가 형성되되 상기 주입부 방향으로 갈수록 경로의 폭이 좁아지는 방사 수렴형으로 마련되거나 필라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칩본체에 착탈 가능하며, 상기 주입부의 영역 및 상기 복수 개의 격벽 채널을 덮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주입부에 상기 유체를 주입하거나 상기 주입부에 모아진 상기 정자들을 추출하기 위한 덮개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자 추출 마이크로 유체칩의 정자 추출 방법은, 상기 주입부에 유체를 주입하여 상기 일 방향으로의 상기 유체의 흐름을 형성하는 유체 흐름 형성 단계와,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필라에 정자가 포함된 정액을 투하하여, 투하된 상기 정액에 포함된 정자들의 일부 정자들이 주류성(rheotaxis)에 의해서 상기 유체의 흐름에 거슬러 이동하도록 하는 정자 이동 단계와, 상기 주입부에 모아진 상기 정자들을 추출하는 정자 추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칩본체에서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필라와 상기 주입부의 사이에는 복수 개의 격벽 채널이 구비되며, 상기 정자 이동 단계 시, 상기 복수 개의 격벽 채널로 인해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필라에 투하된 상기 정자들이 주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외부 동력원 없이도 마이크로필라들에서 발생되는 모세관 효과 및 증발 효과로 인해서 유체의 일방향 흐름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정자가 주류성을 이용하여 주입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건강한 정자를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자 추출 마이크로 유체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이크로 유체칩에서 덮개부를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2에 도시된 마이크로 유체칩에서 덮개부를 제외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정자 추출 마이크로 유체칩의 정자 추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자 추출 마이크로 유체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자 추출 마이크로 유체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이크로 유체칩에서 덮개부를 분리한 사시도이며, 도 3는 도 2에 도시된 마이크로 유체칩에서 덮개부를 제외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자 추출 마이크로 유체칩(100)은, 기본 틀을 형성하는 칩본체(110)와, 칩본체(110) 상에 마련되어 유체가 주입되는 주입부(120)와, 칩본체(110) 상에 구비되어 유체의 일 방향(화살표 A 방향) 흐름을 형성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필라(130, Micro pillar)와, 복수 개의 마이크로필라(130)에 투하된 정액에 포함된 정자들이 주입부(120) 방향으로 갈 수 있도록 주류성(rheotaxis)을 향상시키는 복수 개의 격벽 채널(140)과, 칩본체(110)의 덮는 덮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별도의 외부 동력원 없이도 마이크로필라(130)들에서 발생되는 모세관 효과 및 증발 효과로 인해서 유체의 일 방향(화살표 A 방향) 흐름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정자가 주류성을 이용하여 주입부(120) 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건강한 정자를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즉, 구조의 간소화와 건강한 정자 추출의 정확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각각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면, 먼저 본 실시예의 칩본체(1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직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도 3 기준으로 우측 상면에는 유체가 주입되는 주입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주입부(120)에는 칩본체(110) 내에서 일 방향으로 흐르는 유체가 제공될 수 있으며, 후술하겠지만 추출하고자 하는 정자가 주입부(120)로 모여서 주입부(120)로부터 정자를 추출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칩본체(110)에서 주입부(120)의 우측 및 양측에는 이탈 방지벽(121)이 형성되어 주입부(120)로 주입되는 유체 또는 주입부(120)로 모이는 정자가 칩본체(110)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탈 방지벽(121)은 우측으로 갈수록 모이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유체가 주입부(120)에 주입되는 경우 주입된 유체는 후술할 격벽 채널(140)로 고르게 퍼질 수 있고, 아울러 주입부(120) 방향으로 이동되는 정자 역시 주입부(120)에 잘 모아질 수 있다.
한편 주입부(120)를 통해 주입된 유체는 일 방향(화살표 B 방향), 즉 주입부(120) 방향에서 복수 개의 마이크로필라(130)가 마련된 방향으로 계속적으로 흘러갈 수 있다. 즉, 유체의 흐름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필라(130)의 구조로 기인된 것이다. 본 실시예의 복수 개의 마이크로필라(1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주입부(120)의 위치에 대칭되도록 칩본체(110)의 좌측 상면에서 배열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것처럼, 복수 개의 마이크로필라(130)는 주입부(120)에 주입된 유체가 일 방향(화살표 A 방향) 즉 마이크로필라(130) 방향으로 흐름을 유지할 수 있도록 모세관 효과 및 증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복수 개의 마이크로필라(130)는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격자 패턴을 갖도록 복수 개의 마이크로필라(130)가 조밀하게 배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열 구조로 인해서 모세관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어 유체를 자신의 일 방향으로 끌어당길 수 있으며 따라서 유체의 흐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필라(130)의 배열 구조가 격자 패턴을 가진다고 상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세관 효과 및 증발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패턴이라면 격자 패턴 말고도 다른 배열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복수 개의 마이크로필라(130)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정사각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각각의 마이크로필라(130)는 인접한 마이크로필라(130)와 근접하게 배치됨으로써 모세관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유체를 끌어당겨 유체가 흐르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마이크로필라(130)들의 배열로 인해 주입부(120)에 주입된 유체가 마이크로필라(130) 끝에 이르기까지 흐름성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마이크로필라(130)들 사이에 유체가 차 있을 경우, 증발 효과가 극대화되어 유체의 증발을 더 유발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 개의 마이크로필라(130)들이 모세관 효과 및 증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칩본체(110) 내에서 유체의 일 방향 흐름이 원활하면서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다만, 마이크로필라(130)는 전술한 것처럼 정사각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직사각기둥, 마름모 형태의 기둥, 원기둥 또는 타원기둥과 같은 다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유체의 흐름은 전술한 것처럼 형성되고, 정자의 흐름은 유체의 흐름과 반대 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형성되어 주입부(120) 방향으로 정자가 이동하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남성으로부터 배출된 정액은 복수 개의 마이크로필라(130)에 투하되며 투하된 정액에 포함된 정자들의 일부 정자들은 주류성에 의해서 유체의 흐름에 거슬러 주입부(120) 방향으로 이동하여 주입부(120)에서 추출될 수 있다.
부연하면, 복수 개의 마이크로필라(130)에 투하된 정액의 정자는 유체와 섞이게 되며, 전술한 것처럼 유체는 마이크로필라(130)들에 의해 발생되는 모세관 효과 및 증발 효과에 의해서, 화살표 A 방향으로 흐르게 되고, 정자는 주류성에 의해서 유체를 거슬러 역 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쉽게 표현하면, 주류성에 의해서 건강한 정자는 주입부(120)까지 헤엄을 쳐서 이동하려 한다는 것이다.
주류성(rheotaxis)에 대해서 설명하면, 주류성이란 정자의 성질 중 특정 속도로 유체가 흐를 경우 오히려 유체 흐름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성질을 가리킨다. 정액 내의 건강하지 못한 정자나 백혈구 등은 유체의 흐름 때문에 휩쓸려 내려갈 수 있지만, 건강한 정자는 유체의 흐름을 거슬러 헤엄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정자의 주류성과, 전술한 유체의 흐름성을 이용하여서 건강한 정자만을 추출하려는 것이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정자가 가지는 주류성에 의해서 정자를 추출하는 구조를 가지는데, 종래와 같이 유체의 흐름을 위해서 추가적인 외부 동력원을 요구하지 않고도, 모세관 효과 및 증발 효과로 인해 유체 흐름을 유지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또한, 정자의 주류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건강한 정자를 정확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 유체칩(100)은, 건강한 정자가 마이크로필라(130)들로부터 주입부(120) 방향으로 잘 이동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격벽 채널(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 개의 격벽 채널(140)은 정자의 흐름 방향으로 경로가 형성되도록 상호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정자 중 건강한 정자는 직진성을 가지는 반면에 건강하지 못한 정자는 제자리에서 돌거나 곡선을 그리는데, 본 실시예의 격벽 채널(140)은 건강한 정자가 주입부(120) 방향으로 직진 이동하게 함으로써 주입부(120)에서 건강한 정자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복수 개의 격벽 채널(140)로 인해서 건강한 정자 추출의 효율이 더 높아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 유체칩(100)은, 칩본체(110)에 착탈 가능하며, 주입부(120)의 영역 및 복수 개의 격벽 채널(140)을 덮는 덮개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150)에는 주입부(120)에 유체를 주입하거나 주입부(120)에 모아진 정자들을 추출하기 위한 덮개홀(15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덮개부(150)로 인해서 칩본체(110) 내에서 이동하는 유체 또는 정자가 외부의 이물질 등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전술한 정자 분석 마이크로 유체칩(100)을 이용하여 정자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정자 추출 마이크로 유체칩의 정자 추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자 추출 마이크로 유체칩(100)의 정자 추출 방법은, 유체 흐름 형성 단계(S100)와, 정자 이동 단계(S200)와, 정자 추출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실시예의 유체 흐름 형성 단계(S100) 시에는, 주입부(120)에 유체를 주입하여 일 방향으로의 유체의 흐름을 형성시킬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마이크로필라(130)가 가진 구조로 인해 유체의 흐름 시 모세관 효과와 증발 효과가 발생될 수 있고, 따라서 유체의 일 방향 흐름이 유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정자 이동 단계(S200) 시에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필라(130)에 정자가 포함된 정액을 투하하고, 투하된 정액에 포함된 정자들의 일부 정자들이 주류성(rheotaxis)에 의해서 유체의 흐름에 거슬러 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정자 추출 단계(S300) 시에는, 주류성에 의해서 주입부(120)로 이동된 건강한 정자를 추출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외부 동력원 없이도 마이크로필라(130)들에서 발생되는 모세관 효과 및 증발 효과로 인해서 유체의 일방향 흐름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정자가 주류성을 이용하여 주입부(12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어 건강한 정자를 효과적으로 분리 및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자 추출 마이크로 유체칩을 설명하되 전술한 일 실시예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자 추출 마이크로 유체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체칩(200)은 전술한 일 실시예의 유체칩(100, 도 1 참조)과 격벽 채널(240) 구조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격벽 채널(240)은 정자의 흐름 방향으로 경로가 형성되되 주입부(220) 방향으로 갈수록 경로의 폭이 좁아지는 방사 수렴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필라(230)에서 주입부(220) 방향으로 이동되는 정자가 좁아지는 경로를 거쳐 주입부(220)로 이동되기 때문에 정자의 주류성을 보다 더 잘 이용할 수 있다.
다만 격벽 채널(140, 240)의 전술한 일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필라 타입의 격벽 채널이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마이크로 유체칩
110: 칩본체
120: 주입부
121: 이탈 방지벽
130: 복수 개의 마이크로 채널
140: 격벽 채널
150: 덮개부
151: 덮개홀

Claims (10)

  1. 일측에는 유체가 주입되는 주입부가 형성되는 칩본체; 및
    상기 주입부의 위치와 대칭되도록 상기 칩본체에 배치되며, 상기 주입부에 주입된 상기 유체가 일 방향으로의 흐름을 유지할 수 있도록 모세관 효과 및 증발 효과를 발생시키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필라(Micro pillars);
    을 포함하며,
    정자가 포함된 정액이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 필라에 투하되며, 투하된 상기 정액에 포함된 정자들의 일부 정자들이 주류성(rheotaxis)에 의해서 상기 유체의 흐름에 거슬러 이동하여 상기 주입부에서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자 추출 마이크로 유체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칩본체에서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필라와 상기 주입부의 사이에는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 필라에 투하된 상기 정자들이 주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격벽 채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자 추출 마이크로 유체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필라는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격자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자 추출 마이크로 유체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필라 각각은 정사각기둥, 직사각기둥 또는 마름모 형태의 기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자 추출 마이크로 유체칩.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필라 각각은 원기둥 또는 타원기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자 추출 마이크로 유체칩.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격벽 채널은 상기 정자의 흐름 방향으로 경로가 형성되도록 상호 평행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자 추출 마이크로 유체칩.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격벽 채널은 상기 정자의 흐름 방향으로 경로가 형성되되 상기 주입부 방향으로 갈수록 경로의 폭이 좁아지는 방사 수렴형으로 마련되거나 필라 타입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자 추출 마이크로 유체칩.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칩본체에 착탈 가능하며, 상기 주입부의 영역 및 상기 복수 개의 격벽 채널을 덮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주입부에 상기 유체를 주입하거나 상기 주입부에 모아진 상기 정자들을 추출하기 위한 덮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자 추출 마이크로 유체칩.
  9. 일측에는 유체가 주입되는 주입부가 형성되는 칩본체와, 상기 주입부의 위치와 대칭되도록 상기 칩본체에 배치되며 상기 주입부에 주입된 상기 유체가 일 방향으로의 흐름을 유지할 수 있도록 모세관 효과 및 증발 효과를 발생시키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필라를 포함하는 정자 추출 마이크로 유체칩의 정자 추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에 유체를 주입하여 상기 일 방향으로의 상기 유체의 흐름을 형성하는 유체 흐름 형성 단계;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필라에 정자가 포함된 정액을 투하하여, 투하된 상기 정액에 포함된 정자들의 일부 정자들이 주류성(rheotaxis)에 의해서 상기 유체의 흐름에 거슬러 이동하도록 하는 정자 이동 단계; 및
    상기 주입부에 모아진 상기 정자들을 추출하는 정자 추출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자 추출 마이크로 유체칩의 정자 추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칩본체에서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필라와 상기 주입부의 사이에는 복수 개의 격벽 채널이 구비되며,
    상기 정자 이동 단계 시, 상기 복수 개의 격벽 채널로 인해 상기 복수 개의 마이크로필라에 투하된 상기 정자들이 주류성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자 추출 마이크로 유체칩의 정자 추출 방법.
KR1020190171492A 2019-12-20 2019-12-20 정자 추출 마이크로 유체칩 및 그의 정자 추출 방법 KR2021007956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18197 WO2021125406A1 (ko) 2019-12-20 2019-12-20 정자 추출 마이크로 유체칩 및 그의 정자 추출 방법
KR1020190171492A KR20210079563A (ko) 2019-12-20 2019-12-20 정자 추출 마이크로 유체칩 및 그의 정자 추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492A KR20210079563A (ko) 2019-12-20 2019-12-20 정자 추출 마이크로 유체칩 및 그의 정자 추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563A true KR20210079563A (ko) 2021-06-30

Family

ID=76478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492A KR20210079563A (ko) 2019-12-20 2019-12-20 정자 추출 마이크로 유체칩 및 그의 정자 추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79563A (ko)
WO (1) WO202112540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25632A (zh) * 2017-02-24 2019-10-11 西莱提维公司 用于分离活动细胞的装置和方法
WO2023084240A1 (en) * 2021-11-12 2023-05-19 The University Of Birmingham Microchannel sperm cell prepar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28310B (zh) * 2021-06-16 2023-02-10 复旦大学 一种模拟宫颈微环境的仿生微流控芯片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0201738D0 (sv) * 2002-06-07 2002-06-07 Aamic Ab Micro-fluid structures
KR100850643B1 (ko) * 2007-02-07 2008-08-07 (주)지노첵 바이오칩 및 이를 이용한 정자 분류 방법
JP2017195779A (ja) * 2014-09-03 2017-11-02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運動性精子の分離方法及び分離装置並びに授精用精子液
ES2942508T3 (es) * 2016-01-22 2023-06-01 Univ Leland Stanford Junior Un dispositivo microfluídico para la clasificación selectiva de espermatozoides altamente móviles y morfológicamente normales de semen no procesado
US11491485B2 (en) * 2018-04-09 2022-11-08 Cornell University Rheotaxis-based separation of motile sperm and bacteria using a microfluidic corral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25632A (zh) * 2017-02-24 2019-10-11 西莱提维公司 用于分离活动细胞的装置和方法
CN110325632B (zh) * 2017-02-24 2024-04-26 西莱提维公司 用于分离活动细胞的装置和方法
WO2023084240A1 (en) * 2021-11-12 2023-05-19 The University Of Birmingham Microchannel sperm cell prepa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25406A1 (ko)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79563A (ko) 정자 추출 마이크로 유체칩 및 그의 정자 추출 방법
ES2725825T3 (es) Sistema de fertilización asistida por inyección de esperma intracitoplasmática automatizada
RU2002130577A (ru) Способ оперирования, анализа и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ценки эмбрионов и/или овоцитов в микрофлюидальном канале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2711956C1 (ru) Микрофлюи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борочного отбора высокоподвижных и морфологически нормальных сперматозоидов из необработанной семенной жидкости
Han et al. Integration of single oocyte trapping,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culture in a microwell-structured microfluidic device
US10450545B2 (en) Microfluidic chips for acquiring sperms with high motility, productions and applications thereof
US20110218390A1 (en) Specimen manipulation device for micro manipulation and biopsy in assisted reproduction and in vitro fertilization
RU2012101428A (ru) Биологический микрофлюидный чип и связанные с ним способы
TWI684753B (zh) 精蟲篩選晶片及使用其進行精蟲篩選之方法
JP2017195779A (ja) 運動性精子の分離方法及び分離装置並びに授精用精子液
US20140051112A1 (en) Sperm selecting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TW201343916A (zh) 被動式微流體裝置及其形成方法
CN115491301B (zh) 一种集成精子获能、精子分选、体外受精和胚胎培养的微流控芯片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2662550A (zh) 一种从精液样本中分离精子的装置和方法
US20210161635A1 (en) Microfluidic Systems and Methods to Denude Mammalian Oocytes
Dawes Notes on the formation of the egg capsules in the monogenetic trematode, Hexacotyle extensicauda Dawes, 1940
KR20110064549A (ko) 세포를 배양하기 위한 미세유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포 배양 방법
US20240084250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separation of motile sperm
Yang et al. A microfluidic diode for sorting and immobilization of Caenorhabditis elegans
KR20190097950A (ko) 운동성과 주화성이 뛰어난 정자 선별을 위한 생체모방 칩
KR101486413B1 (ko) 마이크로 포스트를 이용한 미세유동 칩 및 그 제조방법
JP2023041809A (ja) 細胞培養チップ、及びこれを用いた細胞培養方法
KR102134166B1 (ko) 진공 세포 배양장치
JP2006304683A (ja) 精子選択採取用シャーレ
CN207749122U (zh) 一种精子运动活力评估和筛选的粘度液体微流控芯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