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7387A -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 Google Patents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7387A
KR20210077387A KR1020190168972A KR20190168972A KR20210077387A KR 20210077387 A KR20210077387 A KR 20210077387A KR 1020190168972 A KR1020190168972 A KR 1020190168972A KR 20190168972 A KR20190168972 A KR 20190168972A KR 20210077387 A KR20210077387 A KR 20210077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interlock
shaft
lever
block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1954B1 (ko
Inventor
이문섭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190168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954B1/ko
Priority to PCT/KR2020/003654 priority patent/WO2021125447A1/ko
Priority to CN202080079389.7A priority patent/CN114730677B/zh
Priority to JP2022523377A priority patent/JP7331256B2/ja
Priority to US17/786,987 priority patent/US20230014334A1/en
Priority to EP20902266.4A priority patent/EP4080538A4/en
Publication of KR20210077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7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02B11/133Withdrawal mechanism with interl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06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67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truck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단기본체(110)의 인입출을 구속할 수 있도록 이송대차(120)에 설치되는 레버형 인입출 인터록 어셈블리(130); 차단기본체(110)의 상부에 마련되는 커넥터(112)에 제어선 플러그(210)가 삽입되거나 분리됨에 따라 승강하는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 일측이 상기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의 하단에 연결되어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의 승강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샤프트(150); 및 상기 샤프트(150)의 타측에 연결되어 샤프트(150)의 회전에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레버형 인입출 인터록 어셈블리(130)의 동작을 구속 또는 해제하는 블로킹플레이트(160);를 포함하는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샤프트(150)를 통해 승강운동을 수평운동으로 안정적으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플러그 인터록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고 플러그 인터록 장치가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샤프트(150)를 회전시켜 운동력을 전달하므로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와 블로킹플레이트(160)가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운동력이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어서 블로킹플레이트(160)를 적절한 위치에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어선 플러그(210)가 삽입된 상태에서만 차단기본체(110)가 인입출될 수 있고 인입출 도중에 제어선 플러그(210)가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Description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PLUG INTERLOCK DEVICE FOR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선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에서만 회로차단기가 인입출되고 인입출 도중에 제어선 플러그가 분리되지 않고, 저비용으로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내구성이 향상되고 안정적으로 동작하며 정상동작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회로차단기는 특고압/고압 배전 선로의 과전류, 단락 및 지락사고 등 이상전류 발생시 외부의 별도 계전기에 의해 차단기 내부 회로를 차단하여 인명 및 부하기기를 보호하는 제품이다.
이러한 회로차단기는 발전소 및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여러 전기기기를 넣어 관리하는 배전반에 설치되며, 배전반에 고정된 크래들 내부에 차단기본체가 수납되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배전반 내부에는 회로차단기의 터미널이 크래들의 부하단자에 접속되어 전압과 전류가 공급되는 운전(Service) 위치, 크래들의 단자들로부터 분리되어 차단기의 동작 테스트만 가능한 시험(Test) 위치가 있다.
차단기본체가 크래들에 인입되는 방식으로 스크류를 이용한 방식과 레버를 이용한 방식이 있다. 도 1 및 도 2에 레버 인입출 방식의 차단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는 차단기본체(1)가 시험 위치에 놓인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차단기본체(1)가 운전 위치에 놓인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차단기본체(1)는 이송장치(2)에 실린 채, 크래들(3)에 인입된다. 도 1의 시험 위치에서는 차단기본체(1)의 터미널(1a)이 크래들(3)의 크래들 터미널(3a)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며, 도 2의 운전 위치에서는 차단기본체(1)의 터미널(1a)이 크래들(3)의 크래들 터미널(3a)에 접속되어 있다.
도 3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크래들이 도시되어 있다. 크래들(3)에는 포지션 브래킷(4)이 구비되어 있으며, 포지션 브래킷(4)에는 차단기본체(1)를 시험 위치 및 운전 위치에서 각각 고정시키기 위한 시험위치 홀(4a)과 운전위치 홀(4b)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는 차단기 본체 내부의 구성이 나타나 있다. 차단기본체(1)의 하부에는 레버형 인입출 인터록 장치(5)가 설치되어 있다. 도 4는 차단기본체(1)가 시험 위치에 놓인 상태이다. 이때, 레버형 인입출 인터록 장치(5)는 시험위치 홀(4a)에 삽입되어 차단기본체(1)의 움직임을 구속하고 있으며, 레버(5a)가 들어올려져 레버형 인입출 인터록 장치(5)가 시험위치 홀(4a)로부터 벗어나야 차단기본체(1)가 이송될 수 있다. 차단기본체(1)를 운전 위치로 이송시킨 후에는 레버(5a)를 내려놓아 레버형 인입출 인터록 장치(5)가 운전 위치 홀(4b)에 삽입되도록 한다.
도 5에는 차단기본체(1) 상부에 제어전원 플러그(6)가 삽입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제어전원 플러그(6)는 제어패널(미도시)에 차단기본체(1)에 대한 상태를 전달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5의 종래기술에서는, 홀(4a, 4b)에 삽입된 레버(5a)를 들어올리는 것이 제어전원 플러그(6)의 삽입 유/무와는 무관하여 제어전원 플러그(6)가 차단기본체(1) 상부에 삽입되지 않더라도 레버(5a)를 들어올림으로써 차단기본체(1)의 인입이 가능하다.
그런데, 제어전원 플러그(6)가 차단기본체(1)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차단기본체(1)를 시험/운동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이동 중에 제어전원 플러그(6)가 분리되면,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차단기를 원격에서 동작시킬 수 없으므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차단기본체(1)를 인입출할 때에 제어전원 플러그(6)가 삽입되어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어선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에서만 회로차단기가 인입출되고 인입출 도중에 제어선 플러그가 분리되지 않고,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내구성이 향상되고 안정적으로 동작하며 정상동작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단기본체(110)의 인입출을 구속할 수 있도록 이송대차(120)에 설치되는 레버형 인입출 인터록 어셈블리(130); 차단기본체(110)의 상부에 마련되는 커넥터(112)에 제어선 플러그(210)가 삽입되거나 분리됨에 따라 승강하는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 일측이 상기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의 하단에 연결되어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의 승강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샤프트(150); 및 상기 샤프트(150)의 타측에 연결되어 샤프트(150)의 회전에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레버형 인입출 인터록 어셈블리(130)의 동작을 구속 또는 해제하는 블로킹플레이트(160);를 포함하는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샤프트(150)는 지지부(152)에 의해 지지되어 제자리 회전한다.
상기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는 일측이 상기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의 하단에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샤프트(150)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링크(1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링크(170)의 일측에는 제1슬라이딩홀(172)이 형성되고, 상기 제1링크(170)는 상기 제1슬라이딩홀(172)을 통해 상기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의 하단에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는 일측이 상기 블로킹플레이트(160)에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샤프트(150)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링크(1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링크(180)의 일측에는 제2슬라이딩홀(182)이 형성되고, 상기 제2링크(180)는 상기 제2슬라이딩홀(182)을 통해 상기 블로킹플레이트(160)에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블로킹플레이트(160)는 일측에 돌출부(162)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162)는 상기 이송대차(120)에 형성된 수평방향의 가이드홈(122)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레버형 인입출 인터록 어셈블리(130)는 외력에 의해 이동하는 인터록 레버(134) 및 상기 인터록 레버(134)에 연결되어 상기 차단기본체(110)의 인입출을 구속하는 인터록 샤프트(1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블로킹플레이트(160)는 외력이 가해지는 상기 인터록 레버(134)의 끝단과 상기 인터록 샤프트(132) 사이에서 인터록 레버(134)의 이동을 구속 또는 해제한다.
상기 레버형 인입출 인터록 어셈블리(130)는 상기 이송대차(120)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인터록 샤프트(132)가 관통 설치되는 장착 플레이트(131), 상기 인터록 샤프트(132) 및 장착 플레이트(131)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인터록 핀(133) 및 인터록 핀(133)과 장착 플레이트(131) 사이에 구비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 스프링(13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터록 핀(133)은 상기 장착 플레이트(131)에 형성된 관통공을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상기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는 일단이 상기 블로킹플레이트(16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이송대차(120)에 결합되는 스프링(19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190)은 상기 블로킹플레이트(160)의 수평이동에 따라 탄성변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커넥터(112)에 제어선 플러그(210)가 삽입되거나 분리됨에 따라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가 승강하고,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의 승강에 따라 샤프트(150)가 회전하고, 샤프트(150)의 회전에 따라 블로킹플레이트(160)가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레버형 인입출 인터록 어셈블리(130)의 동작을 구속 또는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선 플러그(210)가 삽입된 상태에서만 차단기본체(110)가 인입출될 수 있고 인입출 도중에 제어선 플러그(210)가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플러그 인터록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고 플러그 인터록 장치가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샤프트(150)를 회전시켜 운동력을 전달하므로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와 블로킹플레이트(160)가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운동력이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로부터의 거리에 관계없이 블로킹플레이트(160)를 적절한 위치에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송대차(120)에 형성된 수평방향의 가이드홈(122)을 따라 이동하는 돌출부(162)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으므로 플러그 인터록 장치의 정상동작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 내지 도 5는 종래기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에서 제어선 플러그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내부사시도 및 부분사시도이고 도 10 내지 도 13은 제어선 플러그가 커넥터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내부사시도 및 부분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에서 제어선 플러그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내부사시도 및 부분사시도이고 도 10 내지 도 13은 제어선 플러그가 커넥터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내부사시도 및 부분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는 레버형 인입출 인터록 어셈블리(130),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 샤프트(150) 및 블로킹플레이트(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의 각 구성을 살펴보기에 앞서서 차단기본체(110) 및 이송대차(120)를 먼저 살펴본다.
차단기본체(110)는 상부에 커넥터(112)를 구비할 수 있고, 이송대차(12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면은 차단기 본체(110)의 내부 중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차단기본체(110)는 도 3의 크래들(3)에 인입출될 수 있다. 도 3의 크래들(3)에는 차단기본체(110)를 시험 위치 또는 운전 위치에 고정하기 위하여 포지션 브래킷(4)이 설치될 수 있다. 포지션 브래킷(4)에는 시험 위치를 나타내는 시험 위치 홀(4a)과 운전 위치를 나타내는 운전 위치 홀(4b)이 형성될 수 있다.
이송대차(120)는 레버형 인입출 인터록 어셈블리(130)를 구비할 수 있다.
[레버형 인입출 인터록 어셈블리]
레버형 인입출 인터록 어셈블리(130)는 이송대차(120)에 설치될 수 있다. 레버형 인입출 인터록 어셈블리(130)는 이송대차(12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장착 플레이트(131), 장착 플레이트(131)에 관통 설치되는 인터록 샤프트(132), 인터록 샤프트(132) 및 장착 플레이트(131)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인터록 핀(133), 인터록 샤프트(132)를 승강시키도록 이송대차(1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터록 레버(134), 인터록 핀(133)과 장착 플레이트(131) 사이에 구비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 스프링(13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 플레이트(131)에는 상하로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고 인터록 핀(133)은 상기 관통공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레버형 인입출 인터록 어셈블리(13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할 수 있다.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인터록 레버(134)를 들어올리면 이에 결합된 인터록 핀(133)을 통해 인터록 샤프트(132)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에, 복귀 스프링(135)에는 탄성력이 저장된다. 인터록 레버(134)에 가해진 힘을 제거할 경우에는 복귀 스프링(135)의 복원력에 의해 인터록 핀(133)이 하강하면서 인터록 샤프트(132)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전술하였듯이, 도 3의 크래들(3)의 포지션 브래킷(4)에는 시험위치 홀(4a)과 운전위치 홀(4b)이 형성될 수 있다. 차단기본체(110)를 인입/인출하기 위해서는 인터록 레버(134)를 들어올려 시험위치 홀(4a) 또는 운전 위치 홀(4b)에 삽입되어 있는 인터록 레버(134)가 빠져나오도록 하여야 한다.
이처럼, 레버형 인입출 인터록 어셈블리(130)는 차단기본체(110)의 인입출을 구속할 수 있다.
한편, 인터록 레버(134)를 들어올리는 외력이 가해지는 인터록 레버(134)의 끝단과 인터록 샤프트(132) 사이의 인터록 레버(134) 상부에는 블로킹플레이트(160)가 배치될 수 있다.
인터록 레버(134) 상부에 블로킹플레이트(160)가 가까이 배치된 경우에는 인터록 레버(134)를 들어올릴 수 없으므로 차단기본체(110)를 인입출할 수 없다(도 6 내지 도 9). 인터록 레버(134) 상부에 블로킹플레이트(160)가 배치되지 않거나 상방으로 충분한 공간을 두고 이격하여 배치된 경우에는 인터록 레버(134)를 들어올릴 수 있으므로 차단기본체(110)를 인입출할 수 있다(도 10 내지 도 13).
블로킹플레이트(160)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는 플러그 브래킷(142), 상기 플러그 브래킷(142)의 양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144), 상기 플러그 브래킷(142)의 하부에 연결되는 커넥팅링크(1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커넥팅링크(146)의 하부는 후술할 블로킹플레이트(16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는 커넥팅플레이트(14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에는 블로킹플레이트(160)가 커넥팅플레이트(148)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는 차단기본체(110)의 상부에 마련되는 커넥터(112)에 제어선 플러그(210)가 삽입되거나 분리됨에 따라 승강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12)에 제어선 플러그(210)가 삽입되면 제어선 플러그(210)가 분리되지 않도록 구속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선 플러그(210)는 차단기본체(110)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차단기본체(110)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차단기본체(110)에 연결하는 플러그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넥터(112)에 제어선 플러그(210)가 삽입되면 제어선 플러그(210)의 돌기부(212)가 플러그 브래킷(142)의 측판에 형성된 삽입홈(142a)에 끼워져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를 누를 수 있다. 이이 따라,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가 하강하면 커넥팅링크(146)와 커넥팅플레이트(148)도 하강할 수 있고 래치(144)가 회전하여 제어선 플러그(210)의 돌기부(212)가 삽입홈(142a)으로부터 빠져나가지 못하고 구속될 수 있다.
반면에, 커넥터(112)에서 제어선 플러그(210)가 분리되면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가 상승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커넥팅링크(146)와 커넥팅플레이트(148)도 상승할 수 있다.
[샤프트]
샤프트(150)는 원통형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샤프트(150)는 일측이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고 타측이 블로킹플레이트(16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에, 샤프트(150)의 일측은 제1링크(170)와 결합되어 제1링크(170)를 통해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150)의 타측은 제2링크(180)와 결합되어 제2링크(180)를 통해 블로킹플레이트(16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링크(170) 및 제2링크(180)는 후술한다.
샤프트(150)는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의 승강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샤프트(150)는 회전력을 블로킹플레이트(160)에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가 하강하면 샤프트(15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반시계방향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블로킹플레이트(160)는 일방(예컨대, 도면에서 우측)으로 수평이동할 수 있다(도 10 내지 도 13).
반면에,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가 상승하면 샤프트(15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시계방향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블로킹플레이트(160)는 타방(예컨대, 도면에서 좌측)으로 수평이동할 수 있다(도 6 내지 도 9).
이와 같이, 샤프트(150)를 통해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의 승강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여 블로킹플레이트(160)에 전달함으로써,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승강운동을 블로킹플레이트(160)의 수평운동으로 안정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플러그 인터록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고 플러그 인터록 장치가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샤프트(150)를 회전시켜 운동력을 전달하므로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와 블로킹플레이트(160)가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운동력이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로부터의 거리에 관계없이 블로킹플레이트(160)를 적절한 위치에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샤프트(150)는 지지부(152)에 의해 지지되어 제자리 회전할 수 있다. 지지부(152)는 이송대차(120)의 내측에 결합되어 샤프트(15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샤프트(150)가 지지부(152)에 의해 지지되어 제자리 회전하게 함으로써,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의 승강운동을 블로킹플레이트(160)의 수평운동으로 안정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플러그 인터록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고 플러그 인터록 장치가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와 블로킹플레이트(160)가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운동력이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로부터의 거리에 관계없이 블로킹플레이트(160)를 적절한 위치에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
[블로킹플레이트]
블로킹플레이트(160)는 샤프트(150)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블로킹플레이트(160)는 인터록 레버(134)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블로킹플레이트(160)는 샤프트(150)의 회전에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레버형 인입출 인터록 어셈블리(130)의 동작을 구속 또는 해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넥터(112)에 제어선 플러그(210)가 삽입됨으로써 샤프트(15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10 내지 도 13과 같이, 블로킹플레이트(160)는 일방(예컨대, 도면에서 우측)으로 수평이동하게 되어 인터록 레버(134)를 들어올릴 수 있는 상부 공간이 비어있게 될 수 있다. 즉, 블로킹플레이트(160)는 레버형 인입출 인터록 어셈블리(130)의 동작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인터록 레버(134)를 들어올려서 도 3의 시험/운전위치 홀(4a, 4b)에 삽입되어 있는 인터록 샤프트(132)가 빠져나오게 할 수 있으므로 차단기본체(110)를 인입출할 수 있다.
반면에, 커넥터(112)에서 제어선 플러그(210)가 분리됨으로써 샤프트(1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6 내지 도 9와 같이, 블로킹플레이트(160)는 타방(예컨대, 도면에서 좌측)으로 수평이동하게 되어 인터록 레버(134)를 들어올릴 수 있는 상부 공간이 막힐 수 있다. 즉, 블로킹플레이트(160)는 레버형 인입출 인터록 어셈블리(130)의 동작을 구속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록 레버(134)를 들어올릴 수 없어서 도 3의 시험/운전위치 홀(4a, 4b)에 삽입되어 있는 인터록 샤프트(132)가 빠져나오게 할 수 없으므로 차단기본체(110)를 인입출할 수 없다.
한편, 차단기본체(110)가 도 3의 시험위치 홀(4a) 및 운전위치 홀(4b) 사이에서 인입출되는 도중에는 포지션 브래킷(4)에 홀이 없어서 인터록 레버(134)가 들어올려진 상태가 유지되므로 인터록 레버(134)가 블로킹플레이트(160)가 수평이동할 수 있는 타방(예컨대, 도면에서 좌측)의 공간을 계속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차단기본체(110)가 시험/운전위치 홀(4a/4b) 사이에서 인입출되는 도중에는 블로킹플레이트(160)가 타방(예컨대, 도면에서 좌측)으로 수평이동할 수 없어서 커넥터(112)에서 제어선 플러그(210)를 분리시킬 수 없다.
구체적으로, 차단기본체(110)가 시험/운전위치 홀(4a/4b, 도 3) 사이에서 인입출되는 도중에는 상방으로 들어올려진 인터록 레버(134)가 블로킹플레이트(160)가 수평이동할 수 있는 타방(예컨대, 도면에서 좌측)의 공간을 계속 막고 있으므로 블로킹플레이트(160)가 타방(예컨대, 도면에서 좌측)으로 수평이동할 수 없다. 블로킹플레이트(160)가 타방(예컨대, 도면에서 좌측)으로 수평이동할 수 없으면 샤프트(1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다. 샤프트(1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으면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가 상승할 수 없다.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가 상승할 수 없으면 래치(144)가 회전할 수 없다. 래치(144)가 회전할 수 없으면 제어선 플러그(210)의 돌기부(212)가 삽입홈(142a)으로부터 빠져나가게 할 수 없으므로 커넥터(112)에서 제어선 플러그(210)를 분리시킬 수 없다.
이와 같이, 커넥터(112)에 제어선 플러그(210)가 삽입되거나 분리됨에 따라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가 승강하고,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의 승강에 따라 샤프트(150)가 회전하고, 샤프트(150)의 회전에 따라 블로킹플레이트(160)가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레버형 인입출 인터록 어셈블리(130)의 동작을 구속 또는 해제함으로써, 제어선 플러그(210)가 삽입된 상태에서만 차단기본체(110)가 인입출될 수 있고 인입출 도중에 제어선 플러그(210)가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블로킹플레이트(160)는 일측에 돌출부(162)를 구비할 수 있다. 돌출부(162)는 이송대차(120)에 형성된 수평방향의 가이드홈(122, 도 6 및 도 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블로킹플레이트(160) 일측에 돌출부(162)가 구비되고 돌출부(162)가 이송대차(120)에 형성된 수평방향의 가이드홈(122)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블로킹플레이트(160)가 안정적으로 수평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플러그 인터록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고 플러그 인터록 장치가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이송대차(120)에 형성된 수평방향의 가이드홈(122)을 따라 이동하는 돌출부(162)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으므로 플러그 인터록 장치의 정상동작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블로킹플레이트(160)는 도 6 내지 도 13과 같이, 들어올려지는 외력이 가해지는 인터록 레버(134)의 끝단(도면에서 전방)과 인터록 샤프트(132) 사이에 배치되어 인터록 레버(134)의 이동을 구속 또는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블로킹플레이트(160)가 외력이 가해지는 인터록 레버(134)의 끝단(도면에서 전방)과 인터록 샤프트(132) 사이에 배치되어 인터록 레버(134)의 이동을 구속 또는 해제함으로써, 블로킹플레이트(160)가 외력의 작용점 가까이에서 인터록 레버(134)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으므로 외력의 작용점과 거리가 먼 인터록 샤프트(132) 등의 구성에 과도한 외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플러그 인터록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고 플러그 인터록 장치가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외력의 작용점 가까이에서 블로킹플레이트(160)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으므로 플러그 인터록 장치의 정상동작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링크]
제1링크(170)는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 및 샤프트(150)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링크(170)의 일측은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의 하단에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타측은 샤프트(15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링크(170)의 일측은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의 하단에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타측은 샤프트(150)의 일측에 결합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의 승강운동이 샤프트(150)의 회전운동으로 안정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1링크(170)의 일측에는 제1슬라이딩홀(172, 도 9)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링크(170)는 제1슬라이딩홀(172)을 통해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의 하단에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슬라이딩홀(172)에 나사가 결합되어 제1링크(170)는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의 하단에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링크(170)의 일측에는 제1슬라이딩홀(172, 도 9)이 형성되고 제1링크(170)는 제1슬라이딩홀(172)을 통해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의 하단에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의 승강운동이 샤프트(150)의 회전운동으로 안정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제2링크(180)는 블로킹플레이트(160) 및 샤프트(150)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링크(180)의 블로킹플레이트(160)에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타측은 샤프트(150)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링크(180)의 일측은 블로킹플레이트(160)에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타측은 샤프트(150)의 타측에 결합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샤프트(150)의 회전운동이 블로킹플레이트(160)의 수평운동으로 안정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제2링크(180)의 일측에는 제2슬라이딩홀(182, 도 12 및 도 1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링크(180)는 제2슬라이딩홀(182)을 통해 블로킹플레이트(160)에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슬라이딩홀(182)에 나사가 결합되어 제2링크(180)는 블로킹플레이트(160)에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링크(180)의 일측에는 제2슬라이딩홀(182, 도 12 및 도 13)이 형성되고 제2링크(180)는 제2슬라이딩홀(182)을 통해 블로킹플레이트(160)에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샤프트(150)의 회전운동이 블로킹플레이트(160)의 수평운동으로 안정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스프링]
스프링(190)은 일단이 블로킹플레이트(160)에 결합되고 타단이 이송대차(12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스프링(190)의 타단은 이송대차(120)에 형성된 홀(124, 도 6 및 도 8)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190)은 상기 블로킹플레이트(160)의 수평이동에 따라 탄성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넥터(112)에 제어선 플러그(210)가 삽입됨으로써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가 하강하고 샤프트(15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10 내지 도 13과 같이, 블로킹플레이트(160)가 일방(예컨대, 도면에서 우측)으로 수평이동하게 되면, 홀(124)에 걸린 스프링(190)은 길이가 길어져 탄성변형될 수 있다.
스프링(190)은 복원력에 의해 블로킹플레이트(160)가 타방(예컨대, 도면에서 좌측)으로 수평이동하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넥터(112)에서 제어선 플러그(21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가 상승해야 하고 샤프트(1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블로킹플레이트(160)가 타방(예컨대, 도면에서 좌측)으로 수평이동해야 하는데, 스프링(190)은 블로킹플레이트(160)가 타방(예컨대, 도면에서 좌측)으로 용이하게 수평이동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단이 블로킹플레이트(160)에 결합되고 타단이 이송대차(120)에 결합되고 블로킹플레이트(160)의 수평이동에 따라 탄성변형되는 스프링(190)을 구비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커넥터(112)에서 제어선 플러그(21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플러그 인터록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고 플러그 인터록 장치가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10: 차단기본체 112: 커넥터
120: 이송대차
122: 가이드홈 124: 홀
130: 레버형 인입출 인터록 어셈블리
131: 장착 플레이트 132: 인터록 샤프트
133: 인터록 핀 134: 인터록 레버
135: 복귀 스프링
140: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
142: 플러그 브래킷 144: 래치
146: 커넥팅링크 148: 커넥팅플레이트
150: 샤프트 152: 지지부
160: 블로킹플레이트 162: 돌출부
170: 제1링크 172: 제1슬라이딩홀
180: 제2링크 182: 제2슬라이딩홀
190: 스프링
210: 제어선 플러그 212: 돌기

Claims (10)

  1. 차단기본체(110)의 인입출을 구속할 수 있도록 이송대차(120)에 설치되는 레버형 인입출 인터록 어셈블리(130);
    차단기본체(110)의 상부에 마련되는 커넥터(112)에 제어선 플러그(210)가 삽입되거나 분리됨에 따라 승강하는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
    일측이 상기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의 하단에 연결되어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의 승강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샤프트(150); 및
    상기 샤프트(150)의 타측에 연결되어 샤프트(150)의 회전에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레버형 인입출 인터록 어셈블리(130)의 동작을 구속 또는 해제하는 블로킹플레이트(160);를 포함하는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150)는 지지부(152)에 의해 지지되어 제자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의 하단에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샤프트(150)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링크(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인터록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170)의 일측에는 제1슬라이딩홀(172)이 형성되고,
    상기 제1링크(170)는 상기 제1슬라이딩홀(172)을 통해 상기 플러그 커넥트 어셈블리(140)의 하단에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인터록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블로킹플레이트(160)에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샤프트(150)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링크(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인터록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180)의 일측에는 제2슬라이딩홀(182)이 형성되고,
    상기 제2링크(180)는 상기 제2슬라이딩홀(182)을 통해 상기 블로킹플레이트(160)에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인터록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로킹플레이트(160)는 일측에 돌출부(162)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162)는 상기 이송대차(120)에 형성된 수평방향의 가이드홈(122)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형 인입출 인터록 어셈블리(130)는 외력에 의해 이동하는 인터록 레버(134) 및 상기 인터록 레버(134)에 연결되어 상기 차단기본체(110)의 인입출을 구속하는 인터록 샤프트(13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블로킹플레이트(160)는 외력이 가해지는 상기 인터록 레버(134)의 끝단과 상기 인터록 샤프트(132) 사이에서 인터록 레버(134)의 이동을 구속 또는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레버형 인입출 인터록 어셈블리(130)는 상기 이송대차(120)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인터록 샤프트(132)가 관통 설치되는 장착 플레이트(131), 상기 인터록 샤프트(132) 및 장착 플레이트(131)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인터록 핀(133) 및 인터록 핀(133)과 장착 플레이트(131) 사이에 구비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 스프링(13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인터록 핀(133)은 상기 장착 플레이트(131)에 형성된 관통공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블로킹플레이트(16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이송대차(120)에 결합되는 스프링(19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190)은 상기 블로킹플레이트(160)의 수평이동에 따라 탄성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KR1020190168972A 2019-12-17 2019-12-17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KR102281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972A KR102281954B1 (ko) 2019-12-17 2019-12-17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PCT/KR2020/003654 WO2021125447A1 (ko) 2019-12-17 2020-03-17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CN202080079389.7A CN114730677B (zh) 2019-12-17 2020-03-17 断路器的插头联锁装置
JP2022523377A JP7331256B2 (ja) 2019-12-17 2020-03-17 回路遮断器のプラグインターロック装置
US17/786,987 US20230014334A1 (en) 2019-12-17 2020-03-17 Plug interlock device for circuit breaker
EP20902266.4A EP4080538A4 (en) 2019-12-17 2020-03-17 PLUG LOCKING DEVICE FOR CIRCUIT BRE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972A KR102281954B1 (ko) 2019-12-17 2019-12-17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387A true KR20210077387A (ko) 2021-06-25
KR102281954B1 KR102281954B1 (ko) 2021-07-26

Family

ID=76478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972A KR102281954B1 (ko) 2019-12-17 2019-12-17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14334A1 (ko)
EP (1) EP4080538A4 (ko)
JP (1) JP7331256B2 (ko)
KR (1) KR102281954B1 (ko)
CN (1) CN114730677B (ko)
WO (1) WO202112544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473U (ko) * 2015-12-30 2017-07-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9293A (en) * 1993-07-16 1995-10-17 Eaton Corporation Cradle assembly for circuit interrupters
US6545234B1 (en) * 2001-12-18 2003-04-08 Abb Technology Circuit breaker with mechanical interlock
KR100807544B1 (ko) * 2006-10-17 2008-02-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기중 차단기의 크레들 인입출 장치
CN101615768B (zh) * 2009-05-22 2011-06-29 浙江天正电气股份有限公司 抽屉式断路器的三位置锁定装置
KR101068757B1 (ko) * 2009-12-31 2011-09-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KR101078955B1 (ko) 2010-03-23 2011-11-0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JP5364118B2 (ja) * 2011-03-09 2013-12-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引出形回路遮断器及び配電盤
CN102543516B (zh) * 2012-01-10 2015-02-25 昆明东控电器成套设备有限公司 高压开关柜的五防系统
KR101522265B1 (ko) * 2013-10-16 2015-05-2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고압배전반 변압기실 도어 인터록 장치
US9673595B2 (en) * 2013-10-31 2017-06-06 Eaton Corporation Withdrawable contactor trucks with integral motorized levering-in, related switchgear, kits and methods
US9312082B2 (en) * 2013-12-12 2016-04-12 Abb Technology Ag Mechanical interlock structure for switchgear
KR101658541B1 (ko) * 2014-11-28 2016-09-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차단기의 인입출 인터록 장치
KR101701816B1 (ko) * 2015-04-30 2017-02-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인출입 인터록 장치
US9779891B1 (en) * 2016-04-04 2017-10-03 Eaton Corporation Breaker motorized secondary connector - field installable kit
KR102486416B1 (ko) * 2016-09-28 2023-01-09 엘에스일렉트릭(주) 배전반 내 진공 차단기의 인입출 인터록 장치
CN107919629B (zh) * 2016-10-10 2023-09-29 上海昱章电气股份有限公司 开关柜抽屉联锁装置及设有该联锁装置的熔断器抽屉
KR101860349B1 (ko) * 2016-11-02 2018-05-2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출형 차단기의 제어단자 접속장치
KR101893593B1 (ko) 2016-11-09 2018-08-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차단기
CN207651377U (zh) * 2018-01-03 2018-07-24 常州市兰翔电器有限公司 滑动式接地联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473U (ko) * 2015-12-30 2017-07-1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14334A1 (en) 2023-01-19
JP7331256B2 (ja) 2023-08-22
EP4080538A1 (en) 2022-10-26
JP2022553288A (ja) 2022-12-22
EP4080538A4 (en) 2024-01-17
CN114730677A (zh) 2022-07-08
KR102281954B1 (ko) 2021-07-26
CN114730677B (zh) 2024-05-10
WO2021125447A1 (ko)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8559B2 (en) Power outlet with jack safety shield device
EP3016223B1 (en) Cradle with a door interlock device for a withdrawable vacuum circuit breaker
EP2341590B1 (en) Plug interlock device for circuit breaker and circuit breaker having the same
US8796570B2 (en) Interlock device of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draw-out type circuit breaker, and power distribution board
EP3026765A1 (en) Withdrawal interlock device of vacuum circuit breaker
EP3188330B1 (en) Transportation device of withdrawable circuit breaker
US10090120B2 (en) Door locking device of distribution board of air circuit breaker
CN101015102A (zh) 上面安装有开关设备的安装装置
KR20100102490A (ko) 회로차단기의 대차 인입출 방지장치
KR101261968B1 (ko) 인터록장치를 구비한 진공차단기
KR102281954B1 (ko)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KR101693420B1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KR200489519Y1 (ko) 진공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KR101594868B1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KR101793545B1 (ko) 회로차단기의 인입출 인터록 장치
CN108475593B (zh) 用于断开接触器的断路器设备和装置
KR102329133B1 (ko) 진공차단기용 인터록 장치
CN110165596B (zh) 配电开关设备及其航空插联锁装置
KR101494793B1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장치
CN202502954U (zh) 一种具有隔离开关的断路器装置
CN203826248U (zh) 隔离开关和断路器的联锁机构
CN102820618A (zh) 具有五防联锁装置的开关柜
CN103311055B (zh) 电气的插入式开关设备的插入框架和由其构成的单元
CN103928252A (zh) 一种隔离开关和断路器的联锁机构
KR101624560B1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