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6900A - 캐소드들로부터 금속을 스트리핑하는 것 - Google Patents

캐소드들로부터 금속을 스트리핑하는 것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6900A
KR20210076900A KR1020217007781A KR20217007781A KR20210076900A KR 20210076900 A KR20210076900 A KR 20210076900A KR 1020217007781 A KR1020217007781 A KR 1020217007781A KR 20217007781 A KR20217007781 A KR 20217007781A KR 20210076900 A KR20210076900 A KR 20210076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stripping
metal sheet
cathode plate
stripp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7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퍼 올라 에릭슨
노엘 더글라스 킴린
나오후미 기무라
Original Assignee
글렌코어 테크놀로지 피티와이 리미티드
미쯔이 긴조꾸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18903066A external-priority patent/AU2018903066A0/en
Application filed by 글렌코어 테크놀로지 피티와이 리미티드, 미쯔이 긴조꾸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렌코어 테크놀로지 피티와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76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9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Servicing or operating of cells
    • C25C7/06Operating or servicing
    • C25C7/08Separating of deposited metals from the cath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93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o-operating with conveyor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C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C1/00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by electrolysis of solutions
    • C25C1/12Electrolytic production, recovery or refining of metals by electrolysis of solutions of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00Electroforming
    • C25D1/04Wires; Strips;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00Electroforming
    • C25D1/20Separation of the formed objects from the electrodes with no destruction of said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Metals (AREA)
  • Manipulator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캐소드 플레이트(16) 상에 증착된 금속(12, 14)을 스트리핑하는 장치는, 제1스트리핑 장치(40)를 운반하는 제1로봇 암(46), 캐소드 플레이트를 그립하도록 제1그리핑 장치(62, 63)를 가지는 제1스트리핑 장치를 포함하여 금속 시트들을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스트리핑 한 후 제1로봇 암이 캐소드 플레이트를 스트리핑 스테이션 밖으로 들어올리기 위해 작동한다. 제1금속 시트(12) 및 제2금속 시트(14)를 하나 또는 둘 다 그립하도록 제2그리핑 장치(76, 77)를 갖는 제2스트리핑 장치(42)를 운반하는 제2로봇 암(48)은 캐소드 플레이트의 제2면 상에 있다. 제2로봇 암은 제1금속 시트 및 제2금속 시트를 캐소드 플레이트(16)로부터 스트리핑 한 후 금속 저장 영역에 이동시키도록 가동될 수 있다. 금속은 제1금속 시트 및 제2금속 시트를 상호연결하는 금속 브릿지의 파손 없이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스트립된다.

Description

캐소드들로부터 금속을 스트리핑하는 것
본 발명은 캐소드 플레이트(cathode plate)로부터 금속을 스트리핑(stripping) 하기 위한 방법과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금속을 스트리핑 하기 위한 장치와 관련된 것이다.
전기화학적(electrochemical) 공정들을 이용한 금속의 생산은 캐소드 플레이트 상의 금속의 증착(deposition)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구리의 전해채취(electrowinning) 또는 전기제련(electrorefining)에서, 구리 금속은 스테인리스 스틸 캐소드 플레이트들 상에 증착된다. 증착된 구리 금속이 원하는 두께로 성장했을 때, 캐소드 플레이트는 전기분해 셀(electrolysis cell)로부터 제거되며 증착된 금속은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스트립된다. 이 분야의 일부 근로자들은 캐소드 플레이트를 캐소드 블레이드(cathode blade)라고 언급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교체할 수 있다(interchanegeably).
스트리핑 플랜트(stripping plant)에서 높은 처리량(throughput)을 달성하도록 증착된 금속을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스트리핑 하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주로 자동화 공정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번호 4840710에서 - 이의 전체 내용이 상호 참조에 의해 여기에 통합됨 - 전기적으로 증착된 구리를 캐소드로부터 스트리핑 하는 방법이 묘사된다. 이 방법에서, 캐소드는 증착된 금속과 캐소드 사이 접착 본드(adhesion bond)의 강도(strength)를 초과하는 양만큼 구부러지나(flex), 캐소드의 탄성 한계(elastic limit)를 초과하지 않는다. 이것은 적어도 증착된 금속의 일부가 캐소드로부터 분리되며, 일부 증착된 금속과 캐소드 사이에 갭(gap)을 남기는 것을 초래한다. 그러면 이 증착된 금속은 캐소드의 표면과 증착된 금속의 사이를 미끄러지는 쐐기를 사용하여 캐소드로부터 스트립된다. 금속을 캐소드로부터 스트립 하기 위한 쐐기의 사용은 위아래로 이동하는 쐐기를 포함한다. 쐐기는 금속을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멀어지도록 비틀어서(prise), 금속과 캐소드 플레이트 사이 각도가 일반적으로 12-25도가 된다. 그러면 이 위치에 있을 때 그리퍼(gripper)들은 금속을 그립(grip)하고 캐소드 플레이트 바닥(bottom) 주위에 있는 금속을 수평위치로 회전시키도록 사용된다. 쐐기는 일반적으로 높이와 폭의 크기가 캐소드 보다 훨씬 더 작아, 그리퍼들과 결합하여 사용될 때, 때때로 스트립된 금속의 바닥에서 보우(bow)를 생산한다. 미국 특허 4840810은 또한 캐소드로부터 증착된 금속을 스트립 하기 위한 가스 블라스팅(gas blasting)의 사용을 묘사한다.
미국 특허 번호 4840710의 방법은 전 세계의 많은 구리 플랜트(plant)들에서 상업적으로 시행되었고 이 방법은 현재 출원인으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ISA PROCESS TM 기술의 일부를 형성한다.
금속이 캐소드 플레이트들 상에 증착될 때, 가장자리(edge) 스트립들은 일반적으로 캐소드 플레이트의 수직 또는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금속이 증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캐소드 플레이트들의 수직 가장자리 상에 배치된다. 그 결과, 금속 시트(sheet)들은 캐소드 플레이트의 양 면에 증착된다. 이 캐소드 플레이트의 양 면 상의 금속시트들은 이것들의 수직 가장자리들을 따라 서로 조인(join)되지 않는다.
일부 플랜트들에서, 캐소드 플레이트들의 바닥 가장자리는 그 위에 금속이 증착되기 전에 왁스로 덮혀 있거나 바닥 스트립들과 핏(fit)되어있다. 이것은 캐소드 플레이트들의 바닥 가장자리를 따라서 금속이 증착되는 것을 방지하며, 결과적으로, 캐소드 플레이트의 양 면 상에 증착된 금속 시트들이 서로 분리된 채로 유지되도록 한다.
다른 플랜트들에서는, 금속의 증착 전에 캐소드 플레이트의 바닥 가장자리가 왁스 처리되지 않거나 핏 되어있지 않아, 금속이 또한 캐소드 플레이트의 바닥 가장자리를 따라 증착된다. 캐소드들에 대체로 평평한 바닥 가장자리가 제공될 수 있거나(예를 들어 만약 바닥 가장자리를 따라 증착된 금속을 파손하기 바람직 하지 않은 경우) 또는, 대안으로, 바닥 가장자리에 노치들, 홈들 또는 이와 비슷한 것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마지막에 언급한 캐소드의 유형은 호주 특허 번호 768314에서 묘사된 것처럼, 캐소드로부터 금속의 스트리핑을 돕기 위하여 설계된다. 이 경우, 캐소드는 그 위에 금속의 전기적 증착(electro depositing)을 위해 설계된다. 깨지기 쉬운 부분을 형성하도록 캐소드는 그것의 바닥 상에 홈이 있고, 금속이 그 위에 증착되게 설계된다. 홈은 홈 안에 증착된 금속 안에 취약선(line of weakness)이 형성되는 형태이어서, 두 증착된 금속의 시트들의 분리가 취약선에서 시작한다. 이러한 플랜트 들에서, 캐소드 플레이트의 양 면 상에 증착된 금속의 시트들은 바닥 가장자리를 따라 증착된 금속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금속이 캐소드 플레이트의 양쪽 면 뿐만 아니라 바닥 가장자리를 따라 증착되는 캐소드들을 스트리핑 하는 동안, 쐐기는 금속 시트들을 대략 15-20도의 각도로 캐소드 플레이트의 면으로부터 그리퍼로 멀리 민다. 그러면 그리퍼들은 구리를 수평 위치로 가져오고 분리를 위해 그것을 민다.
그러나, 만약 캐소드 플레이트의 바닥 가장자리 상에 증착된 금속이 초기 스트리핑 가동 동안 파손되지 않는다면, 시트들을 금속이 파손될 때까지 위쪽으로 그 다음 아래쪽으로 구부리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면 그리퍼들은 상호연결(interconnect)된 시트들 사이 금속이 파손될 때까지 금속 시트들을 위쪽으로 및 아래쪽으로 구부리기 위해서 사용된다.
우리의 호주 특허 번호 2010210310에서 - 이의 전체 내용이 상호 참조에 의해 여기에 통합됨 - 우리는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금속을 스트리핑 하기 위한 장치를 묘사한다. 상기 장치는 금속을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분리할 때 금속과 캐소드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스트리핑 수단을 포함하고, 스트리핑 수단의 이동은 로봇 팔의 이동을 통해 달성된다.
호주 특허 번호 2010210310은 캐소드 플레이트 양쪽 면 상에 증착된 금속 시트들을 연결하는 금속 브릿지(bridge)가 파손될 수 있어 캐소드 플레이트의 양쪽 면 상의 금속 시트가 서로 분리되는 몇몇 방법들을 묘사했다. 이러한 방법으로, 두 분리된 금속 각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시트들은 리커버(recover)되며, 분리된 금속 시트들은 일반적으로 많은 금속 시트들을 포함하는 스택(stack)으로 형성된다.
호주 특허 번호 2010210310에서 묘사된 장치의 변형들은 전 세계 많은 지역들에 설치되었다.
몇몇 캐소드 스트리핑 가동에서, 스트리핑 공정 동안 캐소드 증착물들(deposits)은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 다른 말로, 캐소드 플레이트의 한쪽 면 상에 증착된 금속 시트와 캐소드 플레이트의 다른 면에 증착된 금속 시트의 증착물 연결하는 금속 브릿지가 스트리핑 동안 파손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스트리핑 후, 하부 가장자리에서 브릿지를 통해서 아직 연결된 반대쪽 금속 시트들은 스트리핑 후 다시 함께 접힌다(folded back). 이러한 스트리핑 시스템(system)들은 더 복잡하고 높은 기계 처리량(machine throughputs)(예를 들어, 시간 당 약 500 캐소드들)달성을 위하여, 스트리핑 기계(stripping machine)들에서 두개의 스트리핑 스테이션(stripping stations)들이 요구된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만약 여기에 선행문헌이 참조된다면, 이 참조는 그 문헌이 호주나 어느 다른 나라에서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에 대한 인정으로 여겨지는 것은 아님이 분명히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스트리핑 가동 동안 좋은 처리량을 제공하면서 캐소드 플레이트의 양쪽 면 상에서 증착된 금속의 시트들을 연결하는 금속 브릿지를 손상시키지 않은 채로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금속을 스트리핑하는 방법 및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금속을 스트리핑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관점에서, 하나의 형태에서 본 발명은, 캐소드 플레이트에 증착된 금속을 스트리핑 하기 위한 방법에 광범위하게 존재하며, 캐소드 플레이트는 제1면 상에 증착된 제1금속 시트와 제2면 상에 증착된 제2금속 시트를 가지고, 제1금속 시트와 제2금속 시트를 상호연결하는 캐소드 플레이트의 하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금속 브릿지를 갖으며,
캐소드 플레이트의 제1면으로부터 제1금속 시트를 분리하기 위해 제1로봇 암을 갖는 제1 스트리핑 기구를 이동시키는 단계,
캐소드 플레이트의 제2면으로부터 제2금속 시트를 분리하기 위해 제2로봇 암을 갖는 제2스트리핑 장치 - 제1금속 시트 및 제2금속 시트는 하부 가장자리에서 금속 브릿지에 의해 상호연결되어 있음 - 를 이동시키는 단계,
제1그리핑 장치로 캐소드 플레이트를 그립하고, - 제1그리핑 장치는 제1로봇 암과 결합됨- 캐소드 플레이트를 스트리핑 스테이션으로부터 제거하고 캐소드 플레이트를 저장 영역 또는 수송 영역으로 배치하도록 제1로봇 암을 가동시키는 단계, 및
제1금속 시트 및 제2금속 시트를 금속 저장 영역 또는 금속 수송 영역으로 움직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금속 시트와 제2금속 시트를 금속 저장 영역 또는 금속 수송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제2로봇 암을 이용하여 제1금속 시트와 제2금속 시트를 금속 저장 영역 또는 금속 수송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것은 제2로봇 암과 결합된 제2그리핑 기구를 이용하여 제1금속 시트 및 제2금속 시트 하나 또는 둘 다 그립하는 단계, 및 제1금속 시트 및 제2금속 시트를 금속 저장 영역 또는 금속 수송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2로봇 암을 가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금속 시트는 사이드 가이드들에 의하여 제자리에 홀드(hold)되며 푸셔가 제1금속 시트를 스트리핑 장치(쐐기가 될 수 있음)를 향해 밀고, 제2로봇 암과 결합된 제2그리핑 장치가 제1금속 시트 및/또는 제2금속 시트를 그립하며 제2로봇 암은 제1금속 시트 및 제2금속 시트를 금속 저장 영역 또는 금속 수송 영역으로 이동시키도록 가동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금속 시트는 제2로봇 암과 결합된 제2그리핑 장치에 의하여 그립되며 제1금속 시트 및 제2금속 시트 사이 갭을 좁히기(close up) 위해 푸셔가 제1금속 시트를 스트리핑 장치(쐐기가 될 수 있음)를 향해 밀고, 제2로봇 암이 제1금속 시트 및 제2금속 시트를 금속 저장 영역 또는 금속 수송 영역으로 이동시키도록 가동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로봇 암이 제1금속 시트 및 제2금속 시트를 이동가능한 지지대로 이동시키며, 제2그리핑 장치가 제1금속 시트 및 제2금속 시트를 놓도록(let go) 작동되고, 이동가능한 지지대는 제1금속 시트 및 제2금속 시트가 컨베이어로 이동되도록 이동된다.
이동가능한 지지대는 지지면을 갖는 하향 엔더를 포함할 수 있고, 지지면은 지지면이 컨베이어보다 아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는 하부 위치와 지지면이 컨베이어보다 위로 위쪽으로 연장되는 상부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제1금속 시트 및 제2금속 시트는 상부 위치에서 제1금속 시트 및 제2금속 시트가 지지면에 의하여 지지되는 위치까지 제2로봇 암에 의하여 이동되고, 제2그리핑 장치가 금속 시트들을 풀어주고(release) 제2로봇 암이 제2그리핑 장치를 금속 시트 들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키기 위해 가동되고, 하향 엔더는 지지면이 하부 위치로 이동하도록 가동되며, 금속 시트들은 컨베이어와 접촉하고 컨베이어에 의해 멀리 수송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금속의 스트리핑 후에 캐소드 플레이트를 스트리핑 스테이션으로부터 제거하도록 로봇 암 중 하나를 사용한다. 다른 로봇 암은 스트립 된 금속 시트를 금속 수송 영역 또는 금속 저장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로봇 암의 매우 효율적인 활용이 달성된다. 더욱이, 스트리핑 후에 캐소드 플레이트를 스트리핑 스테이션으로부터 제거하도록 분리된 운반 수단을 가짐과 결합된 캐피탈 코스트들(capital costs)을 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금속 시트 및 제2금속 시트를 캐소드 플레이트의 각 면들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들은, 제1스트리핑 장치를 캐소드 플레이트 및 제1금속 시트 사이에 위치시키는 단계, 제2스트리핑 장치를 캐소드 플레이트 및 제2금속 시트 사이에 위치시키는 단계 - 제1스트리핑 장치가 제1로봇 암에 의해 이동되고 제2스트리핑 장치는 제2로봇 암에 의해 이동됨 -, 제1금속 시트를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제1스트리핑 장치를 제1금속 시트 및 캐소드 플레이트 사이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제2금속 시트를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제2스트리핑 장치를 제2금속 시트 및 캐소드 플레이트 사이로 이동시키는 단계 - 제1금속 시트 및 제2금속 시트가 하부 가장자리에서 금속 브릿지에 의해 상호연결되어 있음 -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스트리핑 스테이션에 배치되기 전에 캐소드 플레이트가 구부러진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증착된 금속 시트들 및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 사이의 탑(top)에서 작은 갭이 벌어질(open up) 수 있고 그러면 스트리핑 장치는 스트리핑 과정을 완성하기 위하여 스트리핑 스테이션의 작은 갭들으로 삽입될 수 있다. 스트리핑 장치를 캐소드 플레이트와 증착된 금속 시트들 사이로 삽입하기 전에 증착된 금속을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하도록 캐소드 플레이트를 구부리는 단계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금속을 캐소드 플레이트들로부터 스트리핑 하기 위한 장치와 관련되어 있다.
제2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캐소드 플레이트 상에 증착된 금속을 스트리핑하는 장치 -상기 장치는 캐소드 플레이트의 제1면 상에 증착된 제1금속 시트 및 캐소드 플레이트의 제2면 상에 증착된 제2금속 시트를 가지는 캐소드 플레이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가지는 스트리핑 스테이션, 캐소드 플레이트의 하부 가장자리에 증착된 금속 브릿지에 의해 상호연결된 제1금속 시트 및 제2금속 시트를 포함함 - 를 제공하며,
캐소드 플레이트의 제1면 상에 위치한 제1스트리핑 기계 - 제1스트리핑 기계는 제1스트리핑 장치를 운반하는 제1로봇 암을 포함하고, 제1스트리핑 기계는 제1로봇 암과 결합된 제1그리핑 장치를 가지며,
제1그리핑 장치는 제1금속 시트 및 제2금속 시트를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스트리핑한 후 캐소드 플레이트를 스트리핑 스테이션 밖으로 들어올리기 위해 제1로봇 암이 가동되도록 캐소드 플레이트를 그립하도록 작동되도록 구성됨-,
캐소드 플레이트의 제2면 상에 위치한 제2스트리핑 기계 - 제2스트리핑 기계는 제2스트리핑 장치를 운반하는 제2로봇 암을 포함하고, 제2스트리핑 기계는 제2로봇 암과 결합된 제2그리핑 장치를 가지며, 제2그리핑 장치는 제1금속 시트 및 제2금속 시트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그립하도록 구성되고, 제1금속 시트 및 제2금속 시트를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스트리핑 한 후 제2로봇 암은 제1금속 시트 및 제2금속 시트를 금속 저장 영역 또는 금속 수송 영역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될 수 있음-,
제1금속 시트 및 제2금속 시트를 상호연결하는 금속 브릿지를 파손 없이 제1금속 시트 및 제2금속 시트를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스트리핑 하기 위해 구동가능한 제1스트리핑 장치 및 제2스트리핑 장치를 포함한다.
제1스트리핑 장치 및 제2 스트리핑 장치는 일반적으로 증착된 금속 시트들과 캐소드 플레이트 사이 갭으로 삽입된다. 그러면 로봇 암은 제1스트리핑 장치 및 제2스트리핑 장치를 캐소드 플레이트를 따라 이동시키도록 가동되며, 금속이 증착된 제1시트 및 금속이 증착된 제2시트를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멀어지도록 효율적으로 밀며, 그 결과 금속 시트가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스트립된다.
제1스트리핑 장치는 제1로봇 암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스트리핑 장치는 제2로봇 암에 연결될 수 있다. 스트리핑 장치는 로봇 암에 직접적으로 마운트 될 수 있거나 그것들은 제1로봇 암과 제2스트리핑 장치 사이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간 부분들과 간접적으로 마운트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트리핑 장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삽입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수단은 금속의 적어도 일부를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금속과 캐소드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집게들, 칼들, 끌들, 쐐기들 또는 유사한 것들과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어떤 적당한 삽입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보완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 보완 수단은 금속의 적어도 일부분을 그립하도록 삽입 수단 및 보완 수단이, 예를 들어, 한 쌍의 집게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금속의 외부 표면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구성됨 -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삽입 수단이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 예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 수단은 상기 금속 전체 폭이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의 폭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상기 금속과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 사이 갭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수단이 서로 이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서, 스트리핑 장치는 스트리핑 수단을 포함하고 스트리핑 수단의 형상은 금속과 캐소드 플레이트 사이에서 스트리핑 수단을 구동하는 것이 금속을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스트리핑하기에 충분하게 한다. 예를 들어, 스트리핑 수단은 쐐기형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쐐기형 부분은 금속과 캐소드 플레이트 사이에서 점부터(point-first) 구동된다. 쐐기형 부분이 사용되는 발명의 실시 예에서, 쐐기형 부분의 팁은 캐소드 플레이트의 바닥으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쐐기형 부분이 캐소드 플레이트 바닥으로 구동될 때 쐐기형 부분의 치수는 금속 시트와 캐소드 플레이트 사이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가 생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쐐기형 부분이 캐소드 플레이트 바닥으로 구동될 때 쐐기형 부분의 치수는 금속 시트와 캐소드 플레이트 사이 각도가 20°를 넘지 않고, 더 바람직하게는 15°를 넘지 않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 및 12° 사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금속 시트와 캐소드 플레이트 사이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는 쐐기의 팁에서 모이는 쐐기형 부분의 측면들 사이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와 함께 쐐기형 부분을 제공하면서 달성된다. 쐐기형 부분의 측면들 사이 바람직한 각도는 20°를 넘지 않고, 더 바람직하게는 15°를 넘지 않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0°와 12° 사이이다.
스트리핑 하는 동안 캐소드 플레이트와 금속 사이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를 유지함에 의해(바람직하게는 쐐기의 팁에서 모이는 측면들 사이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와 함께 쐐기형 부분을 제공함에 의해) 금속(특히 금속 시트들 사이에서 상호연결하는 금속보다 위에서)의 바깥쪽 밴딩(bending) 또는 구부러짐이 감소되거나 예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쐐기형 부분의 치수는 상기 쐐기형 부분의 높이가 상기 금속 시트의 높이와 대략 같고 상기 쐐기형 부분의 폭이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의 폭과 대략 같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식으로, 금속과 쐐기형 부분 사이 접촉이 최대화 될 수 있고, 스트리핑 공정은 높은 효율과 함께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서, 복수의 쐐기형 부분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서, 4개의 쐐기형 부분들은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쐐기형 부분이 여러 개 있을 때, 쐐기형 부분들은 캐소드 플레이트의 폭을 가로질러 서로로부터 대략 등거리로 이격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트리핑 수단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금속과 캐소드 플레이트 사이 갭 아래쪽으로 구동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서, 금속과 캐소드 플레이트 사이 갭 안쪽으로 쐐기형 부분을 구동하는 것은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금속의 분리를 야기하기에 충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스트리핑 수단이 금속과 캐소드 플레이트 사이 갭 안쪽으로 구동됨에 따라 스트리핑 수단은 마찰을 감소하도록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롤러들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트리핑 수단은 한 쌍의 롤러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한 쌍의 롤러들 중 하나는 금속의 안쪽 표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한 쌍의 롤러 중 두번째는 캐소드 플레이트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서, 하나 또는 더 많은 롤러들이 상기 장치가 사용될 때 금속의 수직 가장자리에 위치하거나 인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하나 또는 더 많은 롤러들이 각각 상기 금속의 상기 수직 가장자리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이 실시 예에서, 쐐기형 부분은 쐐기형 부분들이 각각 금속의 수직 가장자리에 위치한 하나 또는 더 많은 롤러들의 중간에 위치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스트리핑 수단은 캐소드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와 금속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션을 포함한다. 프로젝션은 쐐기형 프로젝션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션은 적어도 하나의 롤러보다 아래에서 돌출(project)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롤러는 캐소드 플레이트와 접촉하며, 그로 인해 캐소드 플레이트의 손상을 최소화한다. 이는 캐소드 플레이트들이 여러 번 재사용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호주 특허 번호 2010210310에서 묘사된 것과 같은, 다른 스트리핑 수단은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어떤 적합한 로봇 암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로봇 암은 금속을 캐소드로부터 스트립 하도록 요구되는 이동(예: 밴딩 그리고/또는 피봇팅)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캐소드 플레이트 또는 스트립된 금속 시트들을 이동시키도록 적절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로봇 암에 로봇 암이 필요한 움직임들을 만드는 것을 허용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힌지 부분들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봇 암은 배터리들, 주전원들(mains powers), 발전기들(generators), 태양광 발전(solar power) 또는 이와 같은, 또는 이들의 어느 조합과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어느 적절한 에너지원을 사용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각각 로봇 암은 피봇식으로 연결된 제2암을 가지고 있는 제1암을 포함할 수 있다. 스트리핑 장치는 로봇 암의 제2암에 피봇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로봇 암의 제1암은 베이스에 피봇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할 수 있다. 제1로봇 암은 수평축 등을 중심으로 베이스에 피봇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암은 수평축 등을 중심으로 제1암에 피봇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트리핑 기계는 수평축 등을 중심으로 제2 암과 피봇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로봇 암은 제2 암의 먼 쪽 끝 부분이 베이스에 대해 위쪽, 아래쪽, 안쪽 및 바깥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로봇 암은 프로그램 작동이 가능한 컨트롤러(programmable controller)에 의해 컨트롤 될 수 있다. 로봇 암의 이동은 프로그램 작동이 가능한 컨트롤러에 프로그램 될 수 있다. 제1로봇 암은 일련의 제1이동들이 완성되도록 프로그램 될 수 있다. 제2로봇 암은 일련의 제2이동들이 완성되도록 프로그램 될 수 있다. 로봇 암들은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금속 시트들의 스트리핑 동안 제1스트리핑 장치와 제2스트리핑 장치가 서로 동시에 이동하도록 컨트롤 될 수 있다.
스트리핑 수단이 로봇 암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로봇 암이 스트리핑 수단이 거기에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트리핑 수단은 어느 적절한 기술을 사용하여 로봇 암에 부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트리핑 수단은 볼트들, 너트들 또는 이와 비슷한 것들에 의해 로봇 암에 연결될 가능성이 있다.
제1그리핑 장치는 캐소드 플레이트를 그립하고 홀드할 수 있는 어느 적절한 그리핑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핑 장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클램프들, 석션 기구들, 클립들 또는 이와 비슷한 것,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서, 그리핑 장치는 하나 또는 더 많은 클램프들을 포함하고 하나 또는 더 많은 클램프들은 전기식으로, 유압식으로, 공압식으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작동될 수 있다.
제1그리핑 장치는 제1스트리핑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는 프레임이나 지지대에 마운트될 수 있다.
제1 그리핑 장치는 제1스트리핑 장치 한쪽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와 상기 제1스트리핑 장치 반대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하게는, 제1그리핑 장치는 캐소드 플레이트의 스트리핑 스테이션 밖으로의 이동 동안 캐소드 플레이트를 안전하게 홀드하도록 캐소드 플레이트의 양쪽 면 가장자리에서 캐소드 플레이트들을 그립한다.
제2그리핑 장치는 금속 시트 또는 시트들을 그립 및 홀드할 수 있는 어느 적절한 그리핑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그리핑 장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클램프들과, 석션 기구들, 클립들 또는 이와 비슷한 것,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에서, 제2그리핑 장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클램프들을 포함하고 하나 또는 더 많은 클램프들은 전기식으로, 유압식으로, 공압식으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작동될 수 있다.
제2그리핑 장치는 제2스트리핑 장치 한쪽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와 제2스트리핑 장치 반대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하게는, 제2그리핑 장치는 스트리핑 스테이션 밖으로의 금속 시트들의 이동 동안 금속 시트들을 안전하게 홀드하도록 금속 시트들의 양쪽 가장자리에서 금속 시트들의 하나 또는 둘 다를 그립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금속 시트를 홀드하도록 제1세트의 클램프들이 제공되며 제2금속 시트를 홀드하도록 제2세트의 클램프들이 제공된다.
제2그리핑 장치는 제2스트리핑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는 프레임이나 지지대에 마운트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로봇 암과 결합된 그리퍼들은 캐소드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그립하고 구리 외피(envelope) (증착된 구리) 밖으로 들어올리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런 그리퍼들은 캐소드 플레이트의 스크래칭(scratching)이나 다른 손상을 피하기 위해 부드러운 그리핑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제2로봇 암과 결합된 이 그리퍼들은 외피 구리(증착된 구리)를 그립한다. 일부 실시 예에서, 스트리핑 쐐기의 각 면 상에 두 개의 그리퍼들이 있어서(서로 반대됨), 구리 시트들 둘 다 안전하게 들어올릴 수 있다. 하향 스트리핑 작업이 완료될 때 첫째의 그리퍼들이 구리를 그립한다. 반대쪽 면 상에 있는 둘째의 그리퍼들은 캐소드 플레이트를 외피의 안쪽으로부터 제거하도록 No1 로봇 암을 기다린다. 푸싱(pushing) 기구는 둘째의 그리퍼들이 그립할 수 있도록 둘째의 구리 시트를 쐐기에 대하여 위로 민다. 구리 그리퍼들은 호주 특허 번호 2010210310에서 묘사된 원래 로봇 스트리핑 기계와 비슷한 설계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모든 측면에서, 금속 시트를 캐소드들로부터 스트리핑 하기 전에 캐소드 플레이트를 구부리는 플렉싱 스테이션(flexing station)은 제공될 것이다. 플렉싱 스테이션은 캐소드들을 구부리고 캐소드와 금속의 적어도 일부 사이 접착 본드를 파손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미국 특허 번호 4840710에서 묘사된 방법에 따르거나 PCT/FI2004/000719(WO2005/054546A1)에서 묘사된 캐소드의 수직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는 스트리핑 요소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졌거나 문헌에서 묘사된 어느 다른 구부러지는 가동은 갭들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캐소드 플레이트와 금속 사이 갭을 유지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쐐기들은 금속과 캐소드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예는 호주 특허 번호 625243의 도12 및 13에 주어졌다. 대안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암들은 금속과 캐소드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될 수 있고 암들은 금속과 캐소드 플레이트 사이 갭을 유지하도록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약간 민다. 대안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암들은 금속과 캐소드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될 수 있고 구리 시트에서 작은 바깥쪽 밴드(bend)를 생성하도록 금속을 바(bar) 쪽으로 민다. 이것은 구리 시트가 캐소드 블레이드에 대해 떨어지는 것을 예방한다.
본 발명은 전해채취 및 전기제련 플랜트들 둘 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묘사된 어느 특징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어느 조합과 본 여기에서 묘사된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느 선행기술에 대한 언급은 선행기술이 일반적인 지식의 일부를 형성한다는 인정이나 어느 제안의 형태로 받아들여 지지 않으며, 않아야 한다.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묘사될 것이다.
도1 내지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증착된 금속을 캐소드 플레이트들로부터 스트리핑 하는 것과 관련된 다양한 단계들의 측면도들 및 사시도들을 보여준다. 도1 내지 14에서, 스트리핑 장치가 부착된 로봇 암들은 명확성을 위해 제거되었다.
증착된 금속을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스트리핑하는 단계를 가동시키는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15에서, 로봇 암들이 보여진다.
도 16 내지 도 18은 증착된 금속을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스트립 하고 캐소드 플레이트를 스트리핑 스테이션 밖으로 이동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는 스트리핑 장치를 보여준다; 그리고
도 19 내지 21은 금속을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스트립 하고 스트립된 금속 침전물을 스트리핑 스테이션 밖으로 이동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는 스트리핑 장치를 보여준다.
본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본 발명은 단지 도면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은 특징들에만 제한적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처음에는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하도록 적절한 장치를 보여주는 도15로 넘어가면, 금속 시트들(12, 14)이 캐소드 플레이트(16) - 전해채취 또는 전기제련 공정 동안 금속 시트들이 캐소드 플레이트(16) 상에 증착됨 - 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캐소드 플레이트(16)는 일반적으로 행거 바(18)에 연결된 스테인리스 스틸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캐소드 플레이트는 통상적인 구조이며 더 이상 묘사할 필요가 없다.
증착된 금속(12, 14)은 스트리핑 스테이션(20)에서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제거된다. 스트리핑 스테이션(20)은 4개의 직립부를 포함하는 지지 프레임(support frame)을 포함하며, 그 중 3개는 22,23,24 및 상부 수평 멤버(member)들 (25, 26)에서 보여진다. 지지 프레임은 캐소드 플레이트(16)가 일반적인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캐소드 플레이트의 행거 바를 가이드 하는 캐소드 플레이트 지지대(도15에서 가려짐)를 운반한다. 가이드들은 가로지르는(traverse) 컨베이어를 따라 프레임에 마운트되며 컨베이어에서 이송되는 동안 캐소드를 수직으로 유지한다. 그것은 또한 스트리핑 가동 동안 캐소드 플레이트를 들어올리는 캐소드 리프팅(lifting) 기구 - 이 경우 유압 실린더에 의해 가동됨 - 를 갖는다. 다시, 스트리핑 스테이션은 일반적으로 통상적인 구조이며 당업자에 의해 잘 이해될 것이다.
체인 컨베이어(chain conveyor)(28)는 스트리핑 스테이션 아래에 있다. 푸셔(pusher)(30)는 캐소드 플레이트의 한쪽 면에 있다. 푸셔(30)는 두 개의 직립부(31, 32) 및 수평 접촉 멤버(33)를 포함한다. 직립부(31, 32)의 하부 끝은 축(34)을 중심으로 피봇식으로 마운트되고 액츄에이터(actuator)(35)는 푸셔를 도15에서 보여지는 위치로부터 오른쪽으로 피봇하도록 사용되어 푸셔가 증착된 금속 시트들 중 하나와 접촉하고 증착된 금속 시트를 두번째 스트리핑 장치 및 캐소드 플레이트 상에 증착된 다른 증착된 금속 시트 쪽으로 이동시킨다. and the other sheet of deposited metal that was deposited on the cathode plate. 또한 액츄에이터는 푸셔를 도15에서 보여지는 위치로 다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스트리핑 스테이션은 푸셔(30)에 대하여 캐소드 플레이트(16)의 반대쪽 면에 있는 하향 엔더(도15에서 가려짐)를 포함한다. 하향 엔더의 구성 및 가동은 이하에서 더 자세하게 묘사될 것이다.
제1로봇(36)은 스트리핑 스테이션의 일측에 위치된다. 제2로봇(38)은 스트리핑 스테이션의 타측에 위치된다. 제1로봇(36)은 도15에서 부분적으로 가려진다. 제1로봇(36)은 제1스트리핑 장치(40)를 운반하며 제2로봇(38)은 제2스트리핑 장치(42)를 운반한다. 이것들은 이하에서 더 자세하게 묘사될 것이다.
제1로봇(36)은 베이스(43)를 포함한다. 베이스(43)는 바닥의 위치에 고정된다. 베이스(43)는 로봇 베이스 유닛(44)을 운반한다. 로봇 베이스 유닛(44)은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로봇 베이스 유닛(44)은 제1로봇 암(46)을 운반한다. 제1로봇 암(46)은 축 또는 피봇 핀(47)을 중심으로 로봇 베이스 유닛(44)에 마운트된다. 축 또는 피봇 핀(47)은 제1로봇 암이 수평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한다. 제2로봇 암(48)은 축 또는 피봇 핀(49)에서 제1로봇 암(46)의 먼 쪽 끝 부분에 마운트된다. 다시, 축 피봇 핀(49)은 제2로봇 암이 수평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한다. 제2로봇 암(48)의 먼 쪽 끝 부분은 유니버셜 조인트(50)와 함께 핏 되며 제1스트리핑 장치(40)는 유니버셜 조인트(50)에 마운트된다. 유니버셜 조인트(50)는 일반적으로 암(48)의 길이방향 축과 일치하는 수평 축(51) 및 수직 축(52) 및 추가 축(52A)을 포함한다. 제2로봇 암(38)의 구조로 인해, 제2스트리핑 장치(42)는 넓은 범위의 이동을 갖는다.
그것은 수평적으로, 수직적으로뿐만 아니라 수평 및 수직 축들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디자인의 다른 로봇들도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제1로봇(46) 및 제2로봇(48)은 적절한 종래 디자인이다. 로봇들의 이동은 로봇에 내장된 적절한 컨트롤러들과 액츄에이터들에 의해 컨트롤된다. 다시, 이것들은 통상적일 수 있으며 더 이상 설명할 필요가 없다.
도16,17 및 18은 각각 제1스트리핑 장치(40)의 정면도, 사시도 및 측면도를 보여준다. 제1스트리핑 장치(40)는 수직 멤버들(53,54,55), 탑 멤버(56) 및 바닥 멤버(57)를 가지고 있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바닥 멤버(57)는 그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그에 부착된 쐐기(58)를 가지고 있다. 많은 크로스멤버(crossmember)들 - 그 중 일부는 도59 및 60에서 보여줌 - 은 프레임에 추가적인 강도를 제공하도록 인접한 수직 멤버들 사이에서 볼트로 고정되거나 다르게 연결된다.
탑 멤버(56)는 거기에 부착된 마운트(61)를 가진다. 마운트(61)는 제1스트리핑 장치가 제1로봇 암에 마운트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마운트(61)는 탑 멤버(56)에 용접된 짧은 실린더, 거기에 플랜지(flange)가 부착된 짧은 실린더, 및 플랜지에 용접된 많은 거셋(gusset) 플레이트들 및 추가적인 강도를 제공하기 위한 탑 멤버를 포함한다. 마운트를 위한 다른 설계들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제1스트리핑 장치(40)는 또한 프레임의 반대면에 마운트 된 클램프들(62, 63)의 형태인 두개의 그리핑 수단을 갖는다. 클램프들(62, 63)은 필수적으로 서로 동일하다. 클램프(62)는 측면 플레이트(53)에 용접되거나 다르게 조인된 두개의 이어(ear)(64, 65)를 포함한다. 이 이어들은 핀(66)을 지지한다. 회전할 수 있는 클램핑 플레이트(clamping plate)(67)는 짧은 암(68, 69)들을 통해서 핀(66)에 마운트된다. 익센트릭 암(eccentric arm)(70)은 축(7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장착된다.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72)가 익센트릭 암(70)이 축(71)을 중심으로 이동하도록 연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는 것과 같은 구동은, 차례로, 핀(66)이 회전하는 것을 야기하는데 이는 또한 회전할 수 있는 클램핑 플레이트(67)가 회전하는 것을 야기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클램핑 플레이트를 선택적으로 열고 닫을 수 있다.
클램프(63)는 필수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다. 다른 구동 어레인지먼트(arrangement)들은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72)를 대체할 수 있다. 도18에서 잘 보여지듯이, 클램프(62)는 사이드 멤버(53)의 안쪽 주변을 넘어서 연장한다. 이런 식으로, 클램프가 작동될 때, 클램핑 플레이트(67)는 클램핑 플레이트(67)가 캐소드 플레이트(16)를 제1스트리핑 장치(40)에 클램프(clamp)할 수 있도록 캐소드 플레이트(16)의 가장자리 주변으로 이동할 수 있다. 클램프(63)는 비슷한 방식으로 캐소드 플레이트(16)를 제1스트리핑 장치(40)에 클램프 하도록 가동한다.
제2스트리핑 장치(40)는 또한 복수의 롤러들을 포함하며, 그 중 일부는 74, 74로 번호 매겨진다. 도17로부터 볼 수 있듯이, 롤러들(73)은 롤러들(74)로부터 오프셋(offset)된다. 사용시, 롤러들(73, 74) 중 하나는 증착된 금속 또는 캐소드 플레이트의 표면을 따라서 접촉하고 구를 수 있고 다른 롤러들(73, 74)은 증착된 금속 시트의 면을 따라서 접촉하고 구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캐소드 플레이트와 제1금속 시트를 따른 제1스트리핑 장치의 이동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캐소드 플레이트 및 증착된 금속 시트의 가능한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하향 스트리핑 가동 동안 롤러들은 또한 쐐기를 지지하며 이송 동안 쐐기, 구리 증착물 및 캐소드 플레이트 사이 마찰을 줄인다.
도19, 20 및 21은 각각 제2스트리핑 장치(42)의 정면도, 사시도 및 측면도를 보여준다. 제2스트리핑 장치(42)는 제1스트리핑 장치와 공통된 많은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편의상, 제2스트리핑 장치(42)가 제1스트리핑 장치(40)와 공통된 특징들을 가지고 있을 때, 제1스트리핑 장치(40)와 관련하여 이런 특징들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 같은 참조 번호들은 a'의 추가와 함께 도19 내지 21에서 같은 특징들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것이다. 예를 들어, 제1스트리핑 장치(40)의 쐐기(58)는 제2스트리핑 장치(42)에서 쐐기(58')에 부합한다. 이런 특징들은 더 이상 묘사될 필요가 없다.
제2스트리핑 장치(42)가 클램프들(76, 77)의 두번째 세트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제2스트리핑 장치(42)는 제1스트리핑 장치(40)와 다르다. 클램프들(76, 77)의 두번째 세트는 클램프들(62, 63)과 필수적으로 동일한 구동 어래인지먼트들과 함께 필수적으로 동일한 구조일 수 있다. 그러나, 도21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클램프들(62'및63')은 제2스트리핑 장치(42)의 바깥쪽 주변을 지나 연장할 수 있는 클램핑 플레이트들을 가지고 있으며, 클램프들(76, 77)은 제2스트리핑 장치(42)의 안쪽 주변을 지나 연장하는 클램핑 플레이트들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클램프들(62', 63')이 제2스트리핑 장치에 의해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스트립된 증착된 금속 시트에 클램프 할 수 있는 동안(이것은 제2스트리핑 장치가 따라 이동하는 캐소드 플레이트의 측면 상의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제거된 증착된 금속 시트에 부합함), 클램프들(76, 77)은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스트립되고 제2클램핑 장치(42)의 안쪽 주변에 근접하여 있는 증착된 금속 시트에 클램프 할 수 있다.(이것은 제1스트리핑 장치가 따라 이동하는 캐소드 플레이트의 측면 상의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제거된 증착된 금속 시트에 부합함)
제2스트리핑 장치(42)는 또한 제2스트리핑 장치(42)의 각 사이드 멤버들(53',54')에 장착된 사이드 가이드(side guides)들(78, 79)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78)는 제1섹션(80)과 바깥쪽으로 각진 제2섹션(81)을 갖는 각진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가이드(78)는 사이드 멤버(53')에 용접된 사이드 플레이트(82)에 마운트되거나 형성된다. 가이드(79)는 필수적으로 유사한 구조이다. 가이드들은 사이드 가이드들에 의해 제2금속 시트(14)를 제자리에 홀드하는 것을 도우며 푸셔는 제1금속 시트를 스트리핑 장치쪽으로 민다. 스트리핑 가동 동안 가이드들은 캐소드들의 타이틀링(titling)을 방지하며, 그렇지 않으면 캐소드 침전물들이 클램프들/그리퍼들의 리치(reach) 밖으로 이동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제1스트리핑 장치(40)는 제1로봇(36)의 로봇 암에 마운트되며 제2스트리핑 장치(42)는 제2로봇(38)의 로봇 암에 마운트된다.
증착된 금속을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스트립하고 캐소드 플레이트를 스트리핑 스테이션으로부터 제거하고 스트립된 금속을 수송 영역 또는 저장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스트리핑 장치와 제1 및 제2로봇의 가동에 이제 도1 내지 14의 참조가 제공될 것이다. 도1 내지 14에서, 로봇 암들은 명확성을 위해 생략되었다. 그러나, 당업자는 로봇 암들이 제1 및 제2스트리핑 장치의 요구되는 이동을 달성하도록 사용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로봇 암들은 요구되는 움직임들이 발생하도록 적절한 명령의 순서로 프로그램 될 수 있다. 비슷하게, 로봇 암들의 움직임을 컨트롤 하는 컨트롤 시스템은 또한 제1스트리핑 장치 및 제2스트리핑 장치 상의 클램프들의 가동을 컨트롤 할 수 있다.
스트리핑 스테이션에서 침전된 금속 시트를 가지는 캐소드 플레이트를 위치시키기 전에, 캐소드 플레이트는 증착된 금속 시트들과 캐소드 플레이트 사이 탑에서 작은 갭을 벌리도록 구부러진다. 스트리핑 장치는 스트리핑 공정을 완료하도록 스트리핑 스테이션 안의 작은 갭들로 삽입될 수 있다. 캐소드 플레이트 및 증착된 금속 시트들 사이에 스트리핑 장치를 배치시키기 전에 증착된 금속을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부분적으로 분리하도록 캐소드 플레이트들을 구부리는 단계는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더 이상 묘사될 필요가 없다.
종래의 캐소드 핸들링(handling) 장치는 이와 같이 구부러진 캐소드 플레이트를 스트리핑 스테이션(20)에 배치시키도록 사용된다. 이것은 도1 및 2에서 보여진다. 도1은 위에 구부러진 증착된 금속 시트들(12, 14)을 가진 캐소드 플레이트(16)를 보여준다. 도1은 또한 제1스트리핑 장치(40)의 쐐기(58)가 증착된 금속 시트(12) 및 캐소드 플레이트(16) 사이 갭에 위치되도록 제1스트리핑 장치(40)가 위치되는 것을 보여준다. 비슷하게, 제2스트리핑 장치(42)는 쐐기(58')가 증착된 금속 시트(14) 및 캐소드 플레이트(16) 사이 갭에 위치되도록 위치된다.
도1 및 2는 또한 하향 엔더(84)를 보여준다. 하향 엔더(84)는 축(88)을 중심으로 아래쪽 끝에서 피벗식으로 마운트 된 두개의 이격된 프레임 멤버들(85, 86)을 포함한다. 다른 대안에서, 축을 사용하는 것보다, 프레임 멤버들(85, 86)의 하부 끝들은 분리된 베어링들에 독립적으로 저널(journal) 될 수 있다. 베어링들은 서로 적절하게 정렬되어 있다. 결합된 기어 시스템을 갖는 전기 모터일 수 있는 액츄에이터(90)는 도 1에서 도시된 수직 위치로부터 하향 엔더(84)의 상단이 위치-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하향 엔더가 체인 컨베이버(28)의 위 표면보다 아래에 위치되는 위치- 로 낮아지는 위치로 하향 엔더(84)를 이동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하향 엔더의 가동은 이하에서 더 자세히 묘사될 것이다.
도1 및 2는 또한 푸셔(30)를 보여준다. 도1에서 가장 잘 보여지듯이, 푸셔(30)는 수평 접촉 멤버(33)가 이 스트리핑 사이클의 스테이지에서 증착된 금속 시트(12)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쐐기(58,58')가 증착된 금속 시트들(12, 14) 및 캐소드 플레이트(16) 사이 갭으로 삽입된 후(도1에서 보여지듯), 제1로봇 암 및 제2로봇 암은 동시에 제1스트리핑 장치(40) 및 제2스트리핑 장치(42)를 캐소드 플레이트(16) 및 각각의 증착된 금속 시트들(14, 12)을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시킨다. 도1 및 도3으로부터 볼 수 있듯이, 제1스트리핑 장치(40)는 캐소드 플레이트(16)의 한쪽 면에 있으며 제2스트리핑 장치(42)는 캐소드 플레이트(16)의 다른 쪽 면에 있다.
도3 및 4는 각각 스트리핑 장치의 하부 쪽 끝이 캐소드 플레이트(16)의 아래쪽 가장자리에 가까히 있도록 위치한 제1스트리핑 장치(40) 및 제2스트리핑 장치(42)를 보여준다. 이 스테이지에서, 증착된 금속 시트들(14, 16)은 그것들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아직 서로 연결되나 효율적으로 캐소드 플레이트(16)로부터 분리되어있다. 스트리핑 스테이션(20)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는 리프팅 기구(도면에서 가려짐)는 또한 스트리핑 가동 동안 증착된 금속으로부터 캐소드 플레이트를 풀어주도록 캐소드를 짧게 (70mm정도 등) 들어올릴 수 있다.
이 스테이지에서, 제1스트리핑 장치들 상의 클램프들(62, 63)은 캐소드 플레이트(16)를 그립하도록 작동된다. 비슷하게, 제2스트리핑 장치 상의 클램프들(62', 63')은 증착된 금속 시트(14)에 클램프 하도록 작동된다. 그러면 제1로봇 암은 제1스트리핑 장치(40)를 위로 들어올리는 것을 시작하기 위해 가동된다. 이것은 또한 캐소드 플레이트(16)를 스트리핑 스테이션(20) 밖으로 들어올리는 것을 시작한다. 이 이동의 제1단계는 도5에서 보여진다. 도5를 보면, 제1스트리핑 장치(40)는 작은 거리만큼 위쪽으로 이동되어, 거기는 이제 금속 시트(12) 및 제1스트리핑 장치(40) 사이 작은 갭이 있다. 제2 증착된 금속 시트(14)가 제2스트리핑 장치(42)상의 클램프들(62', 63')에 의해 그립되면서, 제2금속 시트(14) 및 부착된 금속 시트(12)는 제자리를 유지한다.
도7 및 8은 제1로봇 암에 의해 제1스트리핑 장치(40)가 위쪽으로 올려지는 것을 계속하여, 효과적으로 캐소드 플레이트(16)를 스트리핑 스테이션(20) 밖으로 제거하는 것을 보여준다. 푸셔(30)는 수평 접촉 멤버(33)가 금속 시트(12)와 접촉하도록 작동되고 금속 시트(12)를 제2스트리핑 장치(42) 쪽으로 민다. 그러면 클램프들(76, 77)은 다른 금속 시트(12)를 그립하도록 작동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금속 시트(12, 14) 둘 다는 제2스트리핑 장치(42)상에 마운트되는 클램프들 또는 그리퍼들에 의해 그립된다.
도9 및 10에서, 제1스트리핑 장치(40)는 캐소드 플레이트 수송 또는 저장 영역으로 제1로봇에 의해 이동된다. 이 스테이지에서, 제1스트리핑 장치(40)상의 클램프들(62, 63)은 그것들이 캐소드 플레이트(16)를 풀어주도록 가동될 수 있다. 그러면 캐소드 플레이트(16)는 필요에 따라 저장되거나 이동된다. 일반적으로, 캐소드 플레이트(16)는 전해채취 플랜트 또는 전기제련 플랜트에서 재사용이 요구될 때까지 저장고에 배치된다.
도11 및 12는 제2스트리핑 장치(42)가 증착된 금속 시트(14)가 하향 엔더(84)와 접촉하거나 접하도록 제2로봇 암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면 클램프들(76, 77 및 62', 63')은 각각의 금속이 증착된 캐소드 시트들/시트(14 및 12)를 풀어주도록 가동된다. 그러면 제2로봇 암은 증착된 금속 시트들(12, 14)이 하향 엔더(84)상에서 레스팅(resting)된 채로 유지하도록 제2스트리핑 장치(42)를 증착된 금속 시트들(12, 14)로부터 위로 들어올리도록 가동된다. 제1스트리핑 장치(40)의 바닥 부분이 증착된 금속 시트(12)의 상부 끝 으로부터 깨끗하게 들어올려지자마자 도11 및 12에서 보여지는 단계가 시작할 수 있다고 이해될 것이다. 다른 말로, 도11 및 12에서 보여지는 단계는 제1스트리핑 장치(40)가 도7 및 8에서 보여지는 위치에 도달하자마자 발생할 수 있다.
제2스트리핑 장치(42)가 증착된 금속 시트들(12 및 14) 사이로부터 제거되면, 하향 엔더(84)는 도13 및 14에서 보여지는 위치로 하강한다. 제2스트리핑 장치(42)를 증착된 시트들(12 및 14) 사이로부터 빼낸 후지만, 하향 엔더(84)가 아직 도11에서 보여진 위치에 있는 동안, 푸셔(30)는 증착된 금속 시트(12)를 증착된 금속 시트(14)에 가깝게 밀도록 더 가동될 수 있어, 증착된 금속 시트들(12, 14)의 상부 끝에서 갭을 좁힌다. 이것은 선택적 단계일 수 있다. 일부 실시 예에서, 하향 엔더는 충분히 많이 회전하여 다운 엔더(84)의 뒤쪽 끝(92)은(도 14 참고) 제1로봇에 의해 스트립된 금속이 제2로봇에 의해 스트립된 금속에 접촉하고 밀도록 하여 증착된 금속 시트들이 컨베이어 상의 수평 위치에서 함께 가까워지도록 한다.
하향 엔더(84)가 도13에서 보여지는 위치로 도달할 때, 하향 엔더(84)는 체인 컨베이어(28)의 상부 표면보다 아래에 있다. 그러나, 금속 시트들(12, 14)이 근접한 체인 컨베이어(28)의 체인들 사이 거리 보다 넓어지면서, 증착된 금속 시트(14)는 체인 컨베이어(28)의 체인들과 접촉하게 된다. 하향 엔더(84)가 도13 및 14에서 보여지는 위치에 도달한 후 한 쌍의 증착된 금속 시트들(12, 14)이 수령되어 체인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할 때 이 체인들은 바람직하게 가동하기 시작한다. 이것은 증착된 금속 시트들(12, 14)을 스트리핑 스테이션(20)으로부터 제거하며 그들을 하향 엔더로부터 없앤다. 일 실시 예에서, 컨베이어는 드라이빙 도그(driving dog)들을 가지고 있으며 한 쌍의 캐소드 침전물들이 수령 될 때마다 체인들은 시작되고 고정된 거리를 이송한다. 컨베이어는 기존의 설계 및 가동일 수 있다.
증착된 금속을 다른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스트리핑하도록 스트리핑 스테이션(20)을 준비하기 위하여, 푸셔(30)는 더 수직 방향으로 되돌아오며(도 13에서 보여짐) 하향 엔더(84)는 도1에서 보여지듯 다시 제자리로 들어올려진다. 그러면 다음 캐소드 플레이트와 거기에 증착된 금속은 스트리핑 스테이션(20)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가동들의 순서는 반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효율적인 캐소드 플레이트들 및 캐소드 플레이트들로부터 제거된 스트립된 금속의 핸들링을 허용한다. 이것은 스트리핑 스테이션들로부터 증가된 생산성 및 증가된 금속 생산이라는 결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더욱이, 캐소드 플레이트들이 로봇들 중 하나에 의해 스트리핑 스테이션으로부터 제거됨에 따라, 스트립된 캐소드 플레이트들을 스트리핑 스테이션으로부터 제거하도록 별도의 캐소드 플레이트를 핸딩(handing)하는 장치는 요구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어느 것이든) '포함하는(compromising)'이라는 단어 및 그 파생물 - 포함하다(compromises 및 compromise)를 포함 - 은 언급된 각각의 요소들을 포함하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더 많은 요소들의 포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걸친 '일 실시 예(one embodiment 또는 an embodiment)'의 언급은 실시예와 관련하여 묘사된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걸쳐 다양한 위치에서의 '일 실시 예'라는 문구의 등장은 반드시 같은 실시예를 모두 언급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특정 특징들, 구조들 또는 특성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들에서 어느 적절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법령에 따라, 본 발명은 구조적 또는 체계적 특징이 다소 특정한 언어로 묘사되었다. 여기에서 묘사된 수단은 발명을 실시하는 바람직한 형태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본 발명은 보여지고 묘사된 구체적 특징들로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해석되는 첨부된 청구항(어느것이든)의 적절한 범위 내에서 어느 형태들 또는 변형들로 청구된다.

Claims (38)

  1. 캐소드 플레이트 상에 증착된 금속을 스트리핑 하는 방법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는 제1면 상에 증착된 제1금속 시트 및 제2면 상에 증착된 제2금속 시트와, 상기 제1금속 시트와 상기 제2금속 시트를 상호연결하는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의 하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금속 브릿지를 갖음- 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의 상기 제1면으로부터 상기 제1금속 시트를 분리하기 위해 제1로봇 암을 갖는 제1스트리핑 장치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의 상기 제2면으로부터 상기 제2금속 시트를 분리하기 위해 제2로봇 암을 갖는 제2스트리핑 장치 - 상기 제1금속 시트 및 제2금속 시트는 상기 하부 가장자리에서 상기 금속 브릿지에 의해 상호연결되어 있음 - 를 이동시키는 단계,
    제1그리핑 장치로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를 그립하고, -상기 제1그리핑 장치는 상기 제1로봇 암과 결합됨-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를 상기 스트리핑 스테이션으로부터 제거하고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를 저장 영역 또는 수송 영역으로 배치하도록 상기 제1로봇 암을 가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금속 시트 및 상기 제2금속 시트를 금속 저장 영역 또는 금속 수송 영역으로 움직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금속 시트 및 상기 제2금속 시트를 금속 저장 영역 또는 금속 수송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2로봇 암을 이용하여 상기 제1금속 시트와 상기 제2금속 시트를 금속 저장 영역 또는 금속 수송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로봇 암과 결합된 제2그리핑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1금속 시트 및 상기 제2금속 시트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그립하고, 상기 제1금속 시트 및 상기 제2금속 시트를 상기 금속 저장 영역 또는 상기 금속 수송 영역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2로봇 암을 가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금속 시트는 사이드 가이드들에 의하여 제자리에 홀드되며 푸셔가 상기 제1금속 시트를 상기 스트리핑 장치를 향해 밀고, 상기 제2로봇 암과 결합된 제2그리핑 장치가 상기 제1금속 시트 및/또는 상기 제2금속 시트를 그립하며 상기 제2로봇 암은 상기 제1금속 시트 및 상기 제2금속 시트를 상기 금속 저장 영역 또는 금속 수송 영역으로 이동시키도록 가동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금속 시트는 상기 제2로봇 암과 결합된 제2그리핑 장치에 의하여 그립되며 상기 제1금속 시트 및 상기 제2금속 시트 사이 갭을 좁히기 위해 푸셔가 상기 제1금속 시트를 상기 스트리핑 장치를 향해 밀고, 상기 제2로봇 암이 상기 제1금속 시트 및 상기 제2금속 시트를 상기 금속 저장 영역 또는 금속 수송 영역으로 이동시키도록 가동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금속 시트가 상기 제2금속 시트를 향해 밀리면 상기 제2그리핑 장치가 상기 제1금속 시트를 그립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로봇 암이 상기 제1금속 시트 및 상기 제2금속 시트를 이동가능한 지지대로 이동시키며, 상기 제2그리핑 장치가 상기 제1금속 시트 및 상기 제2금속 시트를 놓도록 작동되고, 상기 이동가능한 지지대는 상기 제1금속 시트 및 상기 제2금속 시트가 컨베이어로 이동되도록 이동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한 지지대는 지지면을 갖는 하향 엔더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면은 상기 지지면이 컨베이어보다 아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하는 하부 위치와 상기 지지면이 상기 컨베이어보다 위로 위쪽으로 연장되는 상부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금속 시트 및 상기 제2금속 시트는 상기 상부 위치에서 제1금속 시트 및 상기 제2금속 시트가 상기 지지면에 의하여 지지되는 위치까지 상기 제2로봇 암에 의하여 이동되고, 상기 제2그리핑 장치가 상기 금속 시트들을 풀어주고 상기 제2로봇 암이 상기 제2그리핑 장치를 상기 금속 시트 들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키기 위해 가동되고, 상기 하향 엔더는 상기 지지면이 상기 하부 위치로 이동하도록 가동되며, 상기 금속 시트들은 상기 컨베이어와 접촉하고 상기 컨베이어에 의해 멀리 수송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금속 시트 및 상기 제2금속 시트를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의 상기 각 면들으로부터 분리하는 상기 단계들은, 제1스트리핑 장치를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 및 상기 제1금속 시트 사이에 위치시키는 단계, 제2스트리핑 장치를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 및 제2금속 시트 사이에 위치시키는 단계 - 상기 제1스트리핑 장치가 상기 제1로봇 암에 의해 이동되고 상기 제2스트리핑 장치는 상기 제2로봇 암에 의해 이동됨 -, 상기 제1금속 시트를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제1스트리핑 장치를 상기 제1금속 시트 및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 사이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금속 시트를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제2스트리핑 장치를 상기 제2금속 시트 및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 사이로 이동시키는 단계 - 상기 제1금속 시트 및 제2금속 시트가 상기 하부 가장자리에서 상기 금속 브릿지에 의해 상호연결되어 있음 - 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된 금속 시트들 및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 사이의 상기 탑에서 작은 갭을 벌리기 위해 상기 스트리핑 스테이션에 배치되기 전에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가 구부러지며, 이후 상기 스트리핑 장치는 상기 스트리핑 과정을 완성하기 위하여 상기 스트리핑 스테이션의 상기 작은 갭들으로 삽입되는, 방법.
  11. 캐소드 플레이트 상에 증착된 금속을 스트리핑하는 장치 -상기 장치는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의 제1면 상에 증착된 제1금속 시트 및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의 제2면 상에 증착된 제2금속 시트를 가지는 캐소드 플레이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가지는 스트리핑 스테이션,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의 하부 가장자리에 증착된 금속 브릿지에 의해 상호연결된 상기 제1금속 시트 및 상기 제2금속 시트를 포함함 - 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의 제1면 상에 위치한 제1스트리핑 기계 -상기 제1스트리핑 기계는 제1스트리핑 장치를 운반하는 제1로봇 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1스트리핑 기계는 상기 제1로봇 암과 결합된 제1그리핑 장치를 가지며,
    상기 제1그리핑 장치는 상기 제1금속 시트 및 상기 제2금속 시트를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스트리핑한 후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를 상기 스트리핑 스테이션 밖으로 들어올리기 위해 상기 제1로봇 암이 가동되도록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를 그립하도록 작동되도록 구성됨-,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의 제2면 상에 위치한 제2스트리핑 기계 -상기 제2스트리핑 기계는 제2스트리핑 장치를 운반하는 제2로봇 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2스트리핑 기계는 상기 제2로봇 암과 결합된 제2그리핑 장치를 가지며, 상기 제2그리핑 장치는 상기 제1금속 시트 및 상기 제2금속 시트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그립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금속 시트 및 제2금속 시트를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스트리핑 한 후 상기 제2로봇 암은 상기 제1금속 시트 및 상기 제2금속 시트를 금속 저장 영역 또는 금속 수송 영역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될 수 있음-,
    상기 제1금속 시트 및 상기 제2금속 시트를 상호연결하는 상기 금속 브릿지를 파손 없이 상기 제1금속 시트 및 상기 제2금속 시트를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스트리핑 하기 위해 구동가능한 상기 제1스트리핑 장치 및 상기 제2스트리핑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트리핑 장치는 상기 제1로봇 암에 연결되고 상기 제2스트리핑 장치는 상기 제2로봇 암에 연결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트리핑 장치는 상기 제1로봇 암과 직접적으로 마운트되고 상기 제2스트리핑 장치는 상기 제2로봇 암과 직접적으로 마운트되거나, 상기 제1스트리핑 장치는 상기 제1로봇 암과 상기 제1스트리핑 장치 사이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간 부분들과 간접적으로 마운트되고 상기 제2스트리핑 장치는 상기 제2로봇 암 및 상기 제2스트리핑 장치 사이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간 부분들과 간접적으로 마운트되는, 장치.
  14. 제11항 내지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핑 장치는 상기 금속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금속과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삽입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수단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집게들, 칼들, 끌들, 쐐기들 또는 유사한 것들 또는 이들의 조합들을 포함하는, 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보완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완 수단은 상기 금속의 적어도 일부분을 그립 하도록 상기 삽입 수단 및 상기 보완 수단이 한 쌍의 집게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금속의 외부 면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구성된, 장치.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삽입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 수단은 상기 금속의 상기 전체 폭이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의 상기 폭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상기 금속과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 사이 갭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수단이 서로 이격되어 있는, 장치.
  18. 제1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핑 장치는 스트리핑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리핑 수단의 상기 형상은 상기 금속과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스트리핑 수단을 구동하는 것이 상기 금속을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스트리핑하기에 충분하게 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핑 수단은 쐐기형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쐐기형 부분은 상기 금속과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 사이에서 점부터 구동되는,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 부분의 팁은 스트리핑 중에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의 상기 바닥으로 구동되는, 장치.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 부분이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 바닥으로 구동될 때 상기 쐐기형 부분의 치수는 상기 금속 시트와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 사이 각도가 20°를 넘지 않거나 15°를 넘지 않거나 약 10° 및 12° 사이인,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 부분의 상기 측면들 사이 각도는 20°를 넘지 않거나, 15°를 넘지 않거나, 약 10° 및 12° 사이인, 장치.
  23.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 부분의 상기 치수는 상기 쐐기형 부분의 상기 높이가 상기 금속 시트의 상기 높이와 대략 같고 상기 쐐기형 부분의 상기 폭이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의 상기 폭과 대략 같도록 하는, 장치.
  24. 제19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쐐기형 부분들이 제공되는,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 부분들은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의 상기 폭을 가로질러 서로로부터 대략 등거리로 이격되는, 장치.
  26. 제1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핑 수단에는 상기 스트리핑 수단이 상기 금속과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 사이 상기 갭으로 구동됨에 따라 마찰을 줄이기 위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롤러들이 제공되는,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핑 수단은 한 쌍의 롤러들을 포함하고, 그 한 쌍의 롤러들 중 하나는 상기 금속의 상기 안쪽 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그 한 쌍의 롤러 중 두번째는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의 상기 표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8.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더 많은 롤러들이 상기 장치가 사용될 때 상기 금속의 수직 가장자리에 위치하거나 인접하게 구성되는,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더 많은 롤러들이 각각 상기 금속의 상기 수직 가장자리에 위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쐐기형 부분들이 각각 상기 금속의 상기 수직 가장자리에 위치한 상기 하나 또는 더 많은 롤러들의 중간에 위치되는, 장치.
  30. 제1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핑 수단은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와 상기 금속과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션을 포함하는,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롤러가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에 접촉하여,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장치.
  32. 제1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 로봇 암은 피봇식으로 연결된 제2암을 가지고 있는 제1암을 포함하며, 상기 스트리핑 장치는 상기 로봇 암의 상기 제2암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로봇 암의 상기 제1암은 베이스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는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제1로봇 암은 수평 축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암은 상기 제1암에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장치.
  33. 제1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시트를 상기 캐소드 플레이트로부터 스트리핑 하는 동안 상기 제1스트리핑 장치와 상기 제2스트리핑 장치가 서로 동시에 이동하도록 상기 제1로봇 암과 상기 제2로봇 암이 컨트롤되는, 장치.
  34. 제1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핑 수단이 상기 로봇 암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로봇 암이 상기 스트리핑 수단이 거기에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장치.
  35. 제1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리핑 장치가 하나 또는 더 많은 클램프들, 석션 기구들, 클립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고 상기 제2그리핑 장치는 하나 또는 더 많은 클램프들과, 석션 기구들, 클립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리핑 장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클램프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더 많은 클램프들은 전기식으로, 유압식으로, 공압식으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작동되며 상기 제2그리핑 장치는 하나 또는 더 많은 클램프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더 많은 클램프들은 전기식으로, 유압식으로, 공압식으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작동되는, 장치.
  37. 제1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리핑 장치는 상기 제1스트리핑 장치 한쪽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와 상기 제1스트리핑 장치 반대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2그리핑 장치는 상기 제2스트리핑 장치 한쪽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와 상기 제2스트리핑 장치 반대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를 포함하는, 장치.
  38. 제11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리핑 장치는 상기 제1스트리핑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는 프레임이나 지지대에 마운트되고 상기 제2그리핑 장치는 상기 제2스트리핑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는 프레임이나 지지대에 마운트되는, 장치.

KR1020217007781A 2018-08-21 2019-08-20 캐소드들로부터 금속을 스트리핑하는 것 KR202100769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8903066 2018-08-21
AU2018903066A AU2018903066A0 (en) 2018-08-21 Stripping of Metal from Cathodes
AU2018903463A AU2018903463A0 (en) 2018-09-14 Stripping of Metal from Cathodes
AU2018903463 2018-09-14
PCT/AU2019/050876 WO2020037362A1 (en) 2018-08-21 2019-08-20 Stripping of metal from cathod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900A true KR20210076900A (ko) 2021-06-24

Family

ID=69591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7781A KR20210076900A (ko) 2018-08-21 2019-08-20 캐소드들로부터 금속을 스트리핑하는 것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20210324529A1 (ko)
EP (1) EP3841232B1 (ko)
JP (1) JP7461929B2 (ko)
KR (1) KR20210076900A (ko)
CN (1) CN113039310A (ko)
AU (1) AU2019324950A1 (ko)
BR (1) BR112021003221A2 (ko)
CA (1) CA3108709C (ko)
CL (1) CL2021000429A1 (ko)
ES (1) ES2964192T3 (ko)
FI (1) FI3841232T3 (ko)
MX (1) MX2021001944A (ko)
PE (1) PE20211615A1 (ko)
PH (1) PH12021550336A1 (ko)
PL (1) PL3841232T3 (ko)
PT (1) PT3841232T (ko)
RS (1) RS64994B1 (ko)
WO (1) WO20200373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44078B (zh) * 2020-09-28 2023-06-02 上饶市信诺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智能机器人剥片机组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58783A (fr) 1969-11-10 1971-05-10 Monteponi & Montevecchio S P A Appareil pour detacher des cathodes, notamment en aluminium, des feuilles metalliques formees par depot electrolytique
US3847779A (en) 1972-10-26 1974-11-12 Dowa Mining Co Automatic apparatus for stripping deposited metal from a cathode plate in electrowinning process
AU594208B2 (en) * 1986-11-04 1990-03-01 Mount Isa Mines Limited A method of stripping electrolytically deposited copper from a cathode
FI982569A (fi) 1998-11-27 2000-05-28 Outokumpu Oy Laite metallisaostuman erottamiseksi katodilta
AU768314B2 (en) 1999-06-18 2003-12-11 Copper Refineries Pty Ltd Cathode plate
US20070152616A1 (en) 2005-11-10 2007-07-05 Hugo Salamanca Robot system and method for cathode selection and handling procedures after the harvest
US20070144894A1 (en) 2005-11-10 2007-06-28 Hugo Salamanca Robot system and method for cathode stripping in electrometallurgical and industrial processes
SE536102C2 (sv) 2009-02-06 2013-05-07 Xstrata Technology Pty Ltd Anordning för strippning av metall från en katodplatta
CN101717973A (zh) 2009-12-23 2010-06-02 江西瑞林装备技术有限公司 不锈钢阴极剥片装置
JP6049035B2 (ja) 2012-12-28 2016-12-21 三井金属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電着金属の剥ぎ取り装置および電着金属の剥ぎ取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964192T3 (es) 2024-04-04
WO2020037362A1 (en) 2020-02-27
AU2019324950A8 (en) 2024-04-18
CA3108709C (en) 2024-05-14
CA3108709A1 (en) 2020-02-27
BR112021003221A2 (pt) 2021-05-18
PH12021550336A1 (en) 2021-10-04
AU2019324950A1 (en) 2021-02-25
PT3841232T (pt) 2024-01-03
EP3841232B1 (en) 2023-09-06
CN113039310A (zh) 2021-06-25
JP2021534322A (ja) 2021-12-09
CL2021000429A1 (es) 2021-07-23
PE20211615A1 (es) 2021-08-23
RS64994B1 (sr) 2024-01-31
JP7461929B2 (ja) 2024-04-04
EP3841232A4 (en) 2022-06-15
EP3841232A1 (en) 2021-06-30
FI3841232T3 (fi) 2023-12-13
MX2021001944A (es) 2021-07-21
US20210324529A1 (en) 2021-10-21
PL3841232T3 (pl) 202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18571B1 (en) Stripp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n electrodeposited metal layer from a cathode plate
CA2751315C (en) Apparatus for stripping metal from a cathode plate
EP4009409A2 (en)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battery components
US5149410A (en) Cathode stripping apparatus
KR20210076900A (ko) 캐소드들로부터 금속을 스트리핑하는 것
JP3803700B2 (ja) 種板自動剥ぎ取り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101343759B (zh) 阴极剥离装置
JP4267014B2 (ja) 電着金属の剥取装置
CN210709557U (zh) 一种下排生产线
EA041998B1 (ru) Снятие металла с катодов
CN109731998B (zh) 一种断路器底片的加工设备
CN220548147U (zh) 自动下夹机
JP7380277B2 (ja) アノードクランプ装置、アノードクランプ方法、およびアノード移載機
AU2008286233B2 (en) Apparatus for stripping metal from a cathode plate
JPH0684552B2 (ja) 陰極から電着金属シートを剥離する方法及び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