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6859A - 태양전지 패널이 장착 가능한 루버 조립체 - Google Patents

태양전지 패널이 장착 가능한 루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6859A
KR20210076859A KR1020200174290A KR20200174290A KR20210076859A KR 20210076859 A KR20210076859 A KR 20210076859A KR 1020200174290 A KR1020200174290 A KR 1020200174290A KR 20200174290 A KR20200174290 A KR 20200174290A KR 20210076859 A KR20210076859 A KR 20210076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electrode
terminal
cap
electrod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3027B1 (ko
Inventor
최철준
김종태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DE112020006155.8T priority Critical patent/DE112020006155T5/de
Priority to PCT/KR2020/018389 priority patent/WO2021125760A1/ko
Priority to JP2022536837A priority patent/JP7408811B2/ja
Priority to CN202080087447.0A priority patent/CN114829731A/zh
Priority to US17/785,549 priority patent/US20230016140A1/en
Publication of KR20210076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3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3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 단부에 각각 마련된 한 쌍의 단자부를 갖는 태양전지 패널부, 각각의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한 쌍의 제1 전극 단자 및 각각의 제1 전극 단자를 둘러싸도록 태양전지 패널부에 장착된 한 쌍의 제1 캡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태양전지 모듈부; 제1 전극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2 전극 단자 및 제2 전극 단자를 수용하며, 제1 캡이 장착되도록 마련된 복수 개의 제2 캡; 복수 개의 제2 캡이,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마련된 내측 프레임 및 내측 프레임을 둘러싸는 외측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 내측 프레임 및 외측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프레임부 내에 복수 개의 태양전지 모듈부가 장착될 때, 인접하는 2개의 태양전지 모듈부들의 제2 전극 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한 쌍의 제3 전극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루버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태양전지 패널이 장착 가능한 루버 조립체{Louver assembly with solar cell panel}
본 발명은 공공건물에 적용할 수 있는 루버 창에 태양전지 패널(태양광 모듈)을 일체화 한 태양전지 패널이 장착 가능한 루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체에너지로서 태양에너지와 같은 자연에너지를 이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상기한 태양에너지 중에서도 태양광을 활용하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건축물의 외벽 중 일조량이 많은 곳에 태양광 모듈을 설치하고, 태양광 모듈에서 태양광을 집광한 후 집광된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건축물 내부에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태양광 모듈을 직렬로 연결 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배선 연결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 요인에 의해 배선의 손상 또는 파손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태양광 모듈의 제작비용 및 설치비용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고장 시 유지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복수 개의 태양전지 모듈의 배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보다 용이하게 직렬 연결할 수 있는 태양전지 패널(태양광 모듈)이 장착된 루버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루버 프레임에 태양전지 패널을 삽입 장착하여 각도에 따른 태양광 발전이 가능한 루버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양 단부에 각각 마련된 한 쌍의 단자부를 갖는 태양전지 패널부, 각각의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한 쌍의 제1 전극 단자 및 각각의 제1 전극 단자를 둘러싸도록 태양전지 패널부에 장착된 한 쌍의 제1 캡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태양전지 모듈부; 제1 전극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2 전극 단자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제2 캡; 복수 개의 제2 캡이,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마련된 프레임부; 프레임부 내에 복수 개의 태양전지 모듈부가 장착될 때, 인접하는 2개의 태양전지 모듈부들의 제2 전극 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한 쌍의 제3 전극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루버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캡이 제2 캡에 장착될 때, 제2 전극단자는 제1 전극단자와 접촉되고, 커넥터부가 제2 캡에 장착될 때, 제3 전극단자는 제2 전극단자와 접촉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전극 단자 중 하나의 단자는 나머지 단자가 내부로 삽입되는 공간을 갖도록 마련되며, 제1 캡이 제2 캡에 장착될 때, 제1 및 제2 전극 단자 중 하나의 단자는 나머지 단자의 내부로 삽입된다.
또한, 제1 전극단자는 제2 전극단자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제1 전극 로드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 로드는 1회 이상 절곡되며, 제2 전극단자는 제1 전극 로드의 절곡부에 접촉하거나, 제1 전극 로드의 절곡부 사이 공간에 삽입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1 전극단자는 태양전지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부 및 바이패스 다이오드와 접촉하기 위한 제2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제1 전극 로드,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는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및 제3 전극 단자 중 하나의 단자는 나머지 단자가 내부로 삽입되는 공간을 갖도록 마련되며, 커넥터부가 제2 캡에 장착될 때, 제2 및 제3 전극 단자 중 하나의 단자는 나머지 단자의 내부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제2 전극단자는 제3 전극단자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제2 전극 로드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 로드는 1회 이상 절곡되며, 제3 전극단자는 제2 전극 로드의 절곡부에 접촉하거나, 제2 전극 로드의 절곡부 사이 공간에 삽입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복수 개의 제2 캡이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내측 프레임 및 내측 프레임을 둘러싸는 외측 프레임을 포함하며, 제2 캡이 내측 프레임에 장착된 때, 복수 개의 제2 전극 로드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 사이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부는, 각각의 제3 전극단자를 둘러싸는 연결부재; 및 연결부재와 연결되며, 제3 전극 단자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제3 전극단자의 종단부 측에 각각 위치하고, 제2 캡에 장착되도록 마련된 한 쌍의 장착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전극단자 및 제2 전극단자는, 내측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제1 캡은, 태양전지 패널부와 마주하는 제1면 및 제1면의 반대방향의 제2면을 가지며, 제1면에는 태양전지 패널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홈부를 갖고, 제2면에는 제2 캡과 결속되도록 마련된 제1 결속부를 포함하며, 제1 전극단자의 제1 및 제2 연결부는 제1 삽입홈부 내에 위치하고, 복수 개의 제1 전극로드는 제1 결속부 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제2 캡은, 제1 캡이 슬라이드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내측에 소정의 공간부를 갖는 제1 장착부 및 제1 장착부의 반대 방향에 커넥터부가 장착되도록 마련된 제2 장착부를 갖고, 제2 전극 단자는, 복수 개의 제2 전극 로드에서 연장 형성되며, 제1 전극 단자의 제1 전극 로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3 연결부를 가지며, 제3 연결부는 제1 장착부 측에서 외부 노출되도록 마련되고, 복수 개의 제2 전극 로드는 제2 장착부 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3 전극 단자는 제2 전극 단자의 제2 전극 로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4 연결부 및 제4 연결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내측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2개의 태양전지 모듈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5 연결부를 갖고, 제4 연결부는 제2 장착부 측을 향하여 외부으로 노출되고, 제5 연결부는 연결부재 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루버 조립체는, 종래의 루버 창이 조립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어, 조립이 보다 용이하다.
또한 루버 창 역할을 함과 동시에 직렬 연결된 태양전지 패널에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태양전지 패널의 배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보다 용이하게 직렬 연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패널이 장착된 루버 조립체의 전면 및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3 전극 단자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복수 개의 태양전지 모듈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패널이 장착되는 블레이드 프레임의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프레임이 수직 방향을 따라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극 단자가 마련된 제1 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부가 제2 캡에 장착되는 상태와 커넥터부가 제2 캡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루버 조립체가 직렬로 연결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패널이 장착 가능한 루버 조립체(1)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명세서 전체에서 수직 방향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의미하고, 수평 방향은 지면과 수평한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본 문서에서는 태양전지 패널로 태양광이 입사되는 측을 전면(전방)이라 지칭하고, 전면의 반대방향을 후면(후방)이라 지칭한다.
여기서, 상기 전면은 실외측과 마주하며, 후면은 실내측과 마주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패널이 장착된 루버 조립체(1)의 전면 및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3 전극 단자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패널이 장착된 루버 조립체(1, 이하 '루버 조립체'라고 함)는, 복수 개의 태양전지 모듈부(10), 제2 캡(30), 프레임부(50) 및 커넥터부(7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 개의 태양전지 모듈부(10)는, 양 단부에 각각 마련된 한 쌍의 단자부(111)를 갖는 태양전지 패널부(100), 각각의 단자부(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한 쌍의 제1 전극 단자(270) 및 각각의 제1 전극 단자(270)를 둘러싸도록 태양전지 패널부(100)에 장착된 한 쌍의 제1 캡(20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캡(30)은, 제1 전극 단자(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2 전극 단자(310) 및 제2 전극 단자(310)를 수용하며, 제1 캡(200)이 장착되도록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제1 캡(200) 내의 제1 전극 단자(270)는 제1 캡(200) 내부에 인서트 사출되어 제1 캡(2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제2 캡(30) 내의 제2 전극 단자(310)는 제2 캡(30) 내부에 인서트 사출되어 제2 캡(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인서트 사출이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인서트 사출 성형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출 성형 금형 장치 내에 미리 소정의 인서트 부재를 설치 한 후, 이 인서트 부재에 용융 수지를 사출하여 최종품인 인서트 성형품을 제작하는 것을 말한다.
즉, 본 발명에서 인서트 부재로서 제1 전극 단자 또는 제2 전극 단자에 용융 수지를 사출하여 제1 캡 또는 제2 캡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50)는, 복수 개의 제2 캡(30)이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마련된 내측 프레임(500) 및 내측 프레임(500)을 둘러싸는 외측 프레임(600)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커넥터부(70)는, 내측 프레임(500) 및 외측 프레임(600) 사이에 배치되며, 프레임부(50) 내에 복수 개의 태양전지 모듈부(10)가 장착될 때, 인접하는 2개의 태양전지 모듈부(10;11,12)들의 제2 전극 단자(31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한 쌍의 제3 전극 단자(7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커넥터부(70) 내의 제3 전극 단자(710)는 커넥터부(70) 내부에 인서트 사출되어 커넥터부(7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캡(200)이 제2 캡(30)에 장착될 때, 제2 전극단자(310)는 제1 전극단자(270)와 접촉되고, 커넥터부(70)가 제2 캡(30)에 장착될 때, 제3 전극단자(710)는 제2 전극단자(310)와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전극단자(270)와 제2 전극단자(310)는 물리적으로 접촉(직접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전극단자(310)와 제3 전극단자(710)는 물리적으로 접촉(직접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제1 전극단자(270)와 제3 전극단자(71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전극 단자(270, 310) 중 하나의 단자는 나머지 단자가 내부로 삽입되는 공간을 갖도록 마련되며, 제1 캡(200)이 제2 캡(30)에 장착될 때, 제1 및 제2 전극 단자(270, 310) 중 하나의 단자는 나머지 단자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전극 단자(270)는 제2 전극단자(310)가 삽입되는 공간(s1)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제1 전극 로드(271;271a, 271b,271c)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 로드(271)는 1회 이상 절곡되며, 제1 전극 로드의 절곡부 제2 전극단자가 접촉하거나 제1 전극 로드의 절곡부 사이 공간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전극단자(310)가 삽입되는 공간(s1)은 복수 개의 제1 전극 로드(271)가 1회 이상 절곡되어 제1 전극 로드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일 수 있다.
일 실시 양태로서, 도 5와 같이, 상기 제1 전극 로드(271)가 3개로 이루어지는 경우, 서로 소정 간격 떨어진 2개의 제1 전극 로드(271a, 271c)는 태양전지 패널 측(좌측)을 향하여 절곡된 제1 절곡부(2711) 및 제1 절곡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제2 캡(30) 측(우측)을 향하여 절곡된 제2 절곡부(2712)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2개의 제1 전극 로드(271a, 271c) 사이에 형성된 나머지 제1 전극로드(271b)는 이와 반대로, 제2 캡(30)을 향하여 절곡된 제3 절곡부(2713) 및 제3 절곡부(2713)에서 연장 형성되며 태양전지 패널 측을 향하여 절곡된 제4 절곡부(2714)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전극 로드는 각각 2회 이상 절곡되어 형성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 로드는 나머지 제1 전극 로드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제1 절곡부와 제3 절곡부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절곡되도록 마련되고, 제2 절곡부와 제4 절곡부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양태로서, 도 6과 같이, 상기 제1 전극 로드(271)가 3개로 이루어지는 경우, 서로 소정 간격 떨어진 2개의 제1 전극 로드(271a,271c)는 태양 전지 패널 측을 향하여 절곡된 제1 절곡부(2711a)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2개의 제1 전극 로드 사이에 형성된 나머지 제1 전극 로드(271b)는 이와 반대로, 제2 캡(30)을 향하여 절곡된 제2 절곡부(2713b)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전극 로드는 각각 1회 절곡되어 형성되는 경우 제1 절곡부와 제2 절곡부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제1 전극 로드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전극 단자(270)는, 태양전지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부(272) 및 바이패스 다이오드와 접촉하기 위한 제2 연결부(27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제1 전극 로드(271; 271a, 271b, 271c), 제1 연결부(272) 및 제2 연결부(27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2 및 제3 전극 단자(310,710) 중 하나의 단자는 나머지 단자가 내부로 삽입되는 공간(s2)을 갖도록 마련되며, 커넥터부(70)가 제2 캡(30)에 장착될 때, 제2 및 제3 전극 단자(310,710) 중 하나의 단자는 나머지 단자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전극단자(310)는 제3 전극단자(710)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제2 전극 로드(311; 311a, 311b, 311c)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 로드(311)는 1회 이상 절곡되며, 제2 전극 로드(311)의 절곡부에 제3 전극단자(710)가 접촉하거나, 제2 전극 로드(311)의 절곡부 사이 공간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 전극단자(710)가 삽입되는 공간(s1)은 복수 개의 제2 전극 로드(311)가 1회 이상 절곡되어 제1 전극 로드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일 수 있다.
일 실시 양태로서, 도 5와 같이, 상기 제2 전극 로드(311)가 3개로 이루어지는 경우, 서로 소정 간격 떨어진 2개의 제2 전극 로드(311a, 311c)는 하방(하측)을 향하여 절곡된 제1 절곡부(3111) 및 제1 절곡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방(상측)을 향하여 절곡된 제2 절곡부(3112)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2개의 제1 전극 로드(311a, 311c) 사이에 형성된 나머지 제1 전극로드(311b)는 이와 반대로, 상방(상측)을 향하여 절곡된 제3 절곡부(3113) 및 제3 절곡부(2713)에서 연장 형성되며 하방(하측)을 향하여 절곡된 제4 절곡부(3114)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전극 로드는 각각 2회 이상 절곡되어 형성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 로드는 나머지 제2 전극 로드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제1 절곡부와 제3 절곡부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절곡되도록 마련되고, 제2 절곡부와 제4 절곡부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양태로서, 도 6과 같이, 상기 제2 전극 로드(311)가 3개로 이루어지는 경우, 서로 소정 간격 떨어진 2개의 제2 전극 로드(311a,311c)는 하방을 향하여 절곡된 제1 절곡부(3111a)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2개의 제2 전극 로드 사이에 형성된 나머지 제2 전극 로드(311b)는 이와 반대로, 상방을 향하여 절곡된 제2 절곡부(3113a)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전극 로드는 각각 1회 절곡되어 형성되는 경우 제1 절곡부와 제2 절곡부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제2 전극 로드 사이에 소정의 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2 전극 단자(310)는, 제2 전극 로드(311)에서 연장 형성되며, 제1 전극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3 연결부(312)를 갖는다.
상기 복수 개의 제2 전극로드(311), 제3 연결부(31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 연결부(312)는 제1 전극 로드의 절곡부에 접촉하거나, 제1 전극 로드의 절곡부 사이 공간에 삽입되어 제1 전극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2 캡(30)이 내측 프레임(500)에 장착된 때, 복수 개의 제2 전극 로드(311)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내측 프레임(500)과 외측 프레임(600) 사이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전극 단자(710)는 제2 전극 단자의 제2 전극 로드의 절곡부에 접촉하거나, 제2 전극 로드의 절곡부 사이 공간(s2)에 삽입되는 제4 연결부(711) 및 제4 연결부(711)에서 연장 형성되며, 내측 프레임(5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2개의 태양전지 모듈부(10; 11,1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5 연결부(712)를 갖는다.
이에 더하여, 상기 커넥터부(70)는, 각각의 제3 전극 단자(710)를 둘러싸는 연결부재(720) 및 연결부재(720)와 연결되며, 제3 전극 단자(710)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제3 전극 단자(710)의 종단부 측에 각각 위치하고, 제2 캡(30)에 장착되도록 마련된 한 쌍의 장착부재(7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3 전극 단자(710)의 제4 연결부(711)는 외부로 노출되는 장착부재(730) 측에 위치하고, 제5 연결부(712)는 연결부재(720) 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 내지 제3 전극 단자는 보다 안정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패널(11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태양전지 패널(110)은 양 단부에 각각 마련된 한 쌍의 단자부(111)를 갖는다.
상기 태양전지 패널(110, '태양광 모듈'이라고도 함)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도록 마련되어 양 단부(제1 단부 및 제2 단부)에 제1 및 제2 단자(111a, 111b)를 가진다.
상기 제1 단자(111a)는 (+) 또는 (-)극성 중 어느 하나를 가질 수 있고, 제2 단자(111b)는 (+) 또는 (-)극성 중 나머지 하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 패널은, 예를 들어 글라스(glass, 1101), 하나 이상의 봉입재(EVA, 1102, 1104), 하나 이상의 태양전지 셀(1100), 태양전지 셀(1100)들을 직렬로 연결하기 위한 셀 스트링(cell string, 1103) 및 백시트(backsheet, 110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태양전지 셀(1100)들을 셀 스트링(1103)에 의해 직렬로 연결하여 태양전지('태양전지 스트링'이라고도 함)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글라스(1101)는 태양광이 입사되는 면으로서, 외부환경으로부터 내부의 태양전지를 보호하는 역할과 빛을 산란 시켜 반사된 빛을 재입사 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예로, 상기 글라스는, 외부 우박 혹은 화재 발생 시 쉽게 깨지는 태양전지를 충격과 외부 화염 등에서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글라스의 두께는 2.8mm 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2.8mm 이하 또는 2.8mm 미만이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0.1mm 내지 2.8mm, 0.2mm 내지 2.7mm, 0.3mm 내지 2.6mm, 0.4mm 내지 2.5mm, 0.5mm 내지 2.4mm, 0.6mm 내지 2.3mm, 0.7mm 내지 2.2mm, 0.8mm 내지 2.1mm, 0.9mm 내지 2.0mm, 1.0mm 내지 1.9mm, 1.1mm 내지 1.8mm, 1.2mm 내지 1.7mm, 1.3mm 내지 1.6mm, 1.4mm 내지 1.5m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태양전지 패널(110)의 글라스(1101)는, 빛이 입사되는 제1면 및 제1면의 반대방향의 태양전지 측과 마주하는 제2면을 가지며, 제1면은 저 반사 코팅(anti-reflection coating; AR coating)될 수 있고, 패턴이 없는 면 일 수 있다.
상기 저 반사 코팅은, 제1면에 빛이 닿을 때, 제1면을 통과하지 못하고 반사되어 외부로 나가는 빛을 줄여준다.
여기서, 저 반사 코팅은 제1면 및 제2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제1면에만 형성될 수 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제1면에 저 반사 코팅 시킴으로써, 글라스의 두께를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빛(태양광)은 글라스의 제1면 및 제2면을 차례로 통과하여 태양전지로 입사될 수 있다.
또한, 글라스(1101)의 제2면은 소정의 패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제2면에서 요철을 형성하는 엠보 패턴일 수 있다.(미도시)
상기 글라스의 제2면에 형성된 소정의 패턴은, 입사된 빛을 산란시키며, 태양전지 또는 백시트에서 반사되어 나가는 빛을 산란시켜 재 투입 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소정의 패턴에 의해, 입사된 빛이 산란되고, 태양전지에서 반사되는 빛이 바로 밖으로 나가지 못하게 하며, 외부로 나가는 반사된 빛이 산란되어 재입사되도록 하여 태양전지의 발전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패턴이 제1면에 형성되는 경우, 패턴으로 인해 먼지 등 오염에 취약해져 제2면에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글라스(1101)는, 저철분 강화유리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글라스(1101)는 열강화 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나, 화학강화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경우, 1mm 이하의 글라스(1101)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태양전지는, 종래의 루버 블레이드의 크기와 대응하도록 하프(half) 커팅된 셀(cell)을 셀 스트링(1103)을 통해 직렬 연결하여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전지처럼 P type 태양전지 셀의 경우, 빛이 입사되는 면이 마이너스(-)극을 형성하고 반대면은 플러스(+)극을 형성하게 되는데, 태양전지 셀을 일렬로 나열하여 플러스(+)와 마이너스(-)를 서로 연결해주기 위해 태양전지 셀의 윗면(-면)에 붙은 리본(전극선)을 바로 옆의 태양전지 후면(+면)에 붙게 하여 직렬로 연결하여 태양전지 셀과 태양전지 셀이 연결된 하나의 줄(Line)인 셀 스트링을 형성하여 태양전지(태양전지스트링)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봉입재(1102,1104)는 태양전지를 감싸고 글라스(1101)와 백시트(1105)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태양전지로 전해지는 직접적인 충격을 완화시켜주고, 습기나 오염물질이 태양전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백시트(1105)는, 글라스(1101)와 동일하게 태양전지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도 8은 도 2의 복수 개의 태양전지 모듈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 개의 태양전지 모듈부(10)는, 양 단부에 각각 마련된 한 쌍의 단자부(111)를 갖는 태양전지 패널부(100), 각각의 단자부(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한 쌍의 제1 전극 단자(270) 및 각각의 제1 전극 단자(270)를 둘러싸도록 태양전지 패널부(100)에 장착된 한 쌍의 제1 캡(20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100)는, 태양전지 패널(110)의 양 단부에 각각 마련된 한 쌍의 단자부(111)를 갖는 태양전지 패널(110) 및 태양전지 패널이 장착되는 블레이드 프레임(12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 패널부(100)는, 태양전지 패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바이패스 다이오드(160)를 추가로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160)는 태양전지 패널(110)에 발생되는 그림자로 인한 전력 손실 방지를 위한 소자일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 모듈부(10)는, 제1 태양전지 모듈부(11) 및 제2 태양전지 모듈부(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태양전지 모듈부(11)는, 양 단부에 각각 마련된 한 쌍의 단자부(111)를 갖는 태양전지 패널부(100), 각각의 단자부(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한 쌍의 제1 전극 단자(270) 및 각각의 제1 전극 단자(270)를 둘러싸도록 태양전지 패널부(100)에 장착된 한 쌍의 제1 캡(20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태양전지 모듈부(12)는, 양 단부에 각각 마련된 한 쌍의 단자부(111)를 갖는 태양전지 패널부(100), 각각의 단자부(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한 쌍의 제1 전극 단자(270) 및 각각의 제1 전극 단자(270)를 둘러싸도록 태양전지 패널부(100)에 장착된 한 쌍의 제1 캡(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태양전지 모듈부(11)의 한 쌍의 단자부에서, 제1 단부(도 8에서 좌측 단부)의 제1 단자(111a)는 (-)극성을 갖고, 제2 단부(도 8에서 우측 단부)의 제2 단자(111b)는 (+)극성을 갖는다.
이 때, 상기 제2 태양전지 모듈부(12)의 한 쌍의 단자부에서, 제1 단부(도 8에서 좌측 단부)의 제1 단자(111a)는 (+) 극성을 갖고, 제2 단부(도 8에서 우측 단부)의 제2 단자(111b)는 (-)극성을 갖는다.
다시 말하면, 제1 태양전지 모듈부(11)의 제1 단자(111a)가 (+) 또는 (-) 중 어느 하나의 극성을 가지면, 제2 태양전지 모듈부(12)의 제1 단자(111a)는 (+) 또는 (-) 중 나머지 하나의 극성을 갖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 태양전지 모듈부(11)와 제2 태양전지 모듈부(12)는 내측 프레임(500)의 길이 방향(수직 방향)을 따라 서로 번갈아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태양전지 모듈부(10)는, 내측 프레임(500)의 길이 방향(수직 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될 때, 수직 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2개의 태양전지 모듈부의 단자부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태양전지 모듈부(11)와 제2 태양전지 모듈부(12)의 각각의 단자부는 수직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배치됨으로써, 커넥터부(70)를 통해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패널(110)이 장착되는 블레이드 프레임(120)의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블레이드 프레임(120)은, 길이 방향(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태양전지 패널(110)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 프레임(121)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21)은, 내부에 소정 공간을 갖는 제1 내지 제3 중공챔버 (1211, 1212, 1213)가 각각 형성되도록 베이스 프레임의 내부를 구획하는 복수의 제1 구획부재(122)를 가진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 프레임(120)은, 태양전지 패널(110)이 삽입 고정되도록 마련된 고정홈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홈부(130)는, 태양전지 패널(110)이 고정홈부(130)의 측면을 통해 슬라이드 삽입 가능하도록 길이 방향(수평 방향)의 양 단부가 개구(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단면 형상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태양전지 패널(110)이 고정홈부(130)에 끼움 조립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부(130)는, 수직 방향으로 베이스 프레임(121)의 양 단부 측 즉,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 측에서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 프레임(120)의 상단부에는, 베이스 프레임(121)의 전면 측에서 후면 측을 향하여 내측으로 소정 함몰된 제1 및 제2 홈부(123,124)가 각각 수직 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떨어져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홈부(123,124)는 길이 방향(수평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프레임(120)의 하단부에는, 다른 블레이드 프레임의 제1 및 제2 홈부(123,124) 내에 삽입(안착)되는 제1 및 제2 돌출부(125,126)가 각각 수직 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떨어져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돌출부(125,126)는 길이 방향(수평 방향)을 따라 베이스 프레임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돌출부(125,126)는 수직 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다른 블레이드 프레임의 제1 및 제2 홈부(123,124)의 위치와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2 중공챔버(1212) 영역의 베이스 프레임(121)에는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삽입되어 배치되도록 마련된 바이패스 다이오드 삽입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 삽입부(140)는, 전면 측에서 후면 측을 향하여 길이 방향(수평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소정 깊이로 함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 삽입부(140)에 바이패스 다이오드 소자(160)가 배치되어 태양전지 패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태양전지 패널(110)의 양 단부에는, 바이패스 다이오드 소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바이패스 다이오드 접속부(112)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블레이드 프레임(120)은 하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블레이드 프레임의 고정홈부의 일부 영역을 차폐하도록 마련된 블레이드 가스켓(170)이 장착되기 위한 제1 장착홈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장착홈부(150)는, 상기 블레이드 프레임(120)의 일측단부(하단부)에 길이 방향(수평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블레이드 가스켓(170)이 삽입 장착되도록 소정의 홈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블레이드 가스켓(170)은, 일측이 제1 장착홈부(150)에 장착되고 타측이 하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블레이드 프레임의 상부측 고정홈부에 접촉하며, 고정홈부를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가스켓(170)에 의해 각 태양전지 모듈부 사이의 통기량을 억제하여 태양전지 루버 조립체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태양전지 패널(110)이 블레이드 프레임(120)의 고정홈부(130)에 장착될 때, 태양전지 패널(1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블레이드 프레임(120)의 양 단부보다 길이방향으로 더욱 돌출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즉, 태양전지 패널(110)의 길이방향의 길이는, 블레이드 프레임(120)의 길이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태양전지 패널(110)의 제1 및 제2 단자(111a, 111b)와 바이패스 다이오드 접속부(112)가 마련된 일부 영역이 블레이드 프레임(120)의 양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프레임(120)이 수직 방향을 따라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수직 방향을 따라 2개의 블레이드 프레임(120; 120a, 120b)이 인접하게 배치될 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부에 배치된 블레이드 프레임을 제1 블레이드 프레임(120a)이라 지칭하고, 하부에 배치된 블레이드 프레임을 제2 블레이드 프레임(120b)이라 지칭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블레이드 프레임(120a)의 제1 및 제2 돌출부(125,126)는 제2 블레이드 프레임(120b)의 제1 및 제2 홈부(123,124)에 각각 삽입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제1 및 제2 블레이드 프레임(120a, 120b) 각각의 베이스 프레임(121)은 수직한 방향을 따라 대략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전극 단자(270)가 마련된 제1 캡(2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제1 캡(200)은 태양전지 패널부(100)의 양 종단부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제1 캡(200)은 태양전지 패널부(100)부와 마주하는 제1면(201) 및 제1면의 반대방향의 제2면(202)를 갖는다.
상기 제1 캡(200)은, 제1면(201)에서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되어 제2 중공챔버(1212)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삽입되도록 마련된 제1 돌출부재(21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캡(200)은, 제1면(201)에서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되어 바이패스 다이오드 삽입부(14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삽입되도록 마련된 제2 돌출부재(21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캡(200)은, 제1면(201)에서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되어 제2 중공챔버(1212)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삽입되도록 마련된 제3 돌출부재(2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돌출부재(210)는 제2 중공챔버(1212)의 상부에 삽입되고, 제3 돌출부재(210,212)는 제2 중공챔버(1212)의 하부에 삽입될 수 있다.
즉, 바이패스 다이오드 삽입부(140)를 사이에 두고 제2 중공챔버(1212)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돌출부재(210,211,212)는 각각 제2 중공챔버(1212)의 일부 영역, 바이패스 다이오드 삽입부(140) 및 제2 중공챔버(1212) 나머지 일부 영역에 삽입되어 제1 캡(200)이 태양전지 패널부(10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캡(200)의 제1면(201)에는 고정홈부(130)에 장착된 태양전지 패널(1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홈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삽입홈부(220)는 제1면(201)에서 제2면(202) 측을 향하여 내측으로 함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캡(200)의 상단부에는, 블레이드 프레임(120)의 상단부의 제1 및 제2 홈부(123,124)와 대응하도록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제3 및 제4 홈부(231,232)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캡(200)의 하단부에는, 블레이드 프레임(120)의 하단부의 제1 및 제2 돌출부(125,126)와 대응하도록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3 및 제4 돌출부(233,234)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캡(200)의 제1면(201)은 대략 평탄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태양전지 패널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제1 삽입홈부(2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면은 블레이드 프레임의 개방된 측면을 차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캡(200)이 태양전지 패널부(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태양전지 패널의 제1 단자 또는 제2 단자 중 어느 하나와 바이패스 다이오드 단자부는 제1 삽입홈부(220)의 내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캡(200)의 제2면(202)측에는 제2캡과 결속되도록 마련된 제1 결속부(24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속부(240)는, 제1 전극 단자(270)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제2 전극 단자(3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각각 수용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내부에 소정의 제1 중공부(24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중공부(241)는 제2캡(30)에 마련된 제2 전극 단자(310)가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일측이 개구(개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중공부는 제1 결속부(240)의 일단부(240a) 측(하방 측)을 향하여 개구(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속부(240)의 폭 방향의 양 측에는 제1 캡(200)의 양 측면에서 내측으로 소정 함몰된 제1 결속홈부(250)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캡(200)은 측면에서 외측을 향하여 소정 각도로 돌출되도록 마련된 제4 돌출부재(260)를 포함한다.
상기 제4 돌출부재(260)는, 제1 캡(200)의 하단부 측에 마련될 수 있고, 후면 측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단자(270)의 제1 연결부(272) 및 제2 연결부(273)는 고정홈부(220) 내측 공간에 노출되도록 위치하며, 복수 개의 제1 전극 로드(271)는 제1 결속부(240)의 제1 중공부(241) 내측 공간에 노출되도록 위치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캡(200)이 태양전지 패널부(100)에 각각 장착되면, 태양전지 패널의 단자부(111)와 바이패스 다이오드 접속부(112)가 고정홈부(220)내로 삽입되고, 제1 캡(200)의 고정홈부(220) 내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연결부가 각각 태양전지 패널의 단자부(111) 및 바이패스 다이오드 접속부(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캡(3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캡(30)은, 제1 전극 단자(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2 전극 단자(310) 및 제2 전극 단자(310)를 수용하며, 제1 캡(200)이 장착되도록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캡(30)은 제1 캡(200)과 마주하는 제1면(31) 및 제1면의 반대방향의 제2면(32)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2 캡(30)은 제1 캡(200)이 슬라이드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내측에 소정의 공간부를 갖는 제1 장착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장착부(320)는 폭 방향(w)의 양 단부 측이 제1 캡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둘러 싸도록 제1면에서 소정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길이 방향의 양 단부는 개구(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장착부(320)는, 제1 캡(200)의 제1 결속홈부(250)에 각각 슬라이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된 한 쌍의 제1 결속돌부(32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캡(200)이 제2 캡(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삽입될 때, 상기 제1 장착부(320)는, 제1 캡(200)의 제1 결속부(240)의 일단부(240a)가 걸림 고정되도록 제1면에서 외측을 향하여 소정 높이만큼 돌출되는 단턱부(323)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장착부(320)는, 제1 캡(200)의 제1 중공부(241)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된 제1 결속부재(32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결속부재(325)는, 상기 제1 단턱부(323) 상에서 상부 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에 소정의 관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결속부재(325)의 소정의 관통로를 통해 제2 전극 단자(31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속부재(325)는, 제1 중공부(241)에 삽입되어 고정될 때,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1 오링(327)이 제1 결속부재(325)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장착부(320)의 측면에는 제1 캡의 제4 돌출부재(26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된 끼움홈(329)이 제4 돌출부재(260)와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2 캡(30)은, 프레임부(50)에 장착되고, 커넥터부(70)가 장착되도록 마련된 제2 장착부(34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장착부(340)는, 내측에 소정의 제2 중공부(341)를 갖는 회동부재(350)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부재(350)는, 제2면(32) 측에서 돌출 형성된 제2 단턱부(351) 및 제2 단턱부에서 더욱 돌출된 한 쌍의 제1 고정편(352)을 가진다.
상기 제2 장착부(340)의 제2 중공부는 한 쌍의 제1 고정편(352) 사이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전극 단자가 제2 중공부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 장착부의 제2 중공부(341) 내에는 제2 전극 단자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전극 단자(310)의 복수 개의 제2 전극 로드(311)는 제2 장착부의 제2 중공부(341) 내측 공간에 노출되도록 위치하고, 제3 연결부(312)는 제1 결속부재(325)의 소정의 중공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캡(200)이 제2 캡에 장착되면, 제1 캡(200)의 제1 중공부(24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제2 캡의 제1 결속부재(325)가 삽입되고, 제1 중공부(241) 내에 위치한 복수 개의 제1 전극 로드(271)와 제1 결속부재(325)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된 제3 연결부(312)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4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캡(30)은, 제2 캡(30)의 제2 장착부(340) 측에 장착되어 제2 캡(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마련된 고정부재(40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400)는 후술할 내측 프레임(500)의 프레임 관통홀(510)에 삽입 장착되어 제2 캡(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400)는, 프레임 관통홀(510)에 삽입되어 제2 캡(30)이 회전할 때, 회전을 가능하게 도와줌과 동시에 마찰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상기 고정부재(400)가 장착되지 않는 경우,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제2 캡(30)은 알루미늄 재질의 내측 프레임의 프레임 관통홀과의 마찰로 인해 쉽게 마모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400)는, 내측 프레임(500)의 프레임 관통홀(51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프레임 관통홀(510)에 삽입 고정되는 제3 단턱부(410)를 가지며, 제2 캡(30)의 회동부재(350)가 삽입 장착되도록 제3 단턱부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제1 관통홀(42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400)의 제3 단턱부(410)는, 내측 프레임(500)의 프레임 관통홀(510)을 통과하여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캡(30)의 제2 장착부(340)는 고정부재(40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제1 고정편(352)이 제1 관통홀(420)을 통과하여 내측 프레임(500)과 외측 프레임(600) 사이 공간으로 노출된다.
즉, 상기 한 쌍의 제1 고정편(352)은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 사이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400)는 제2 단턱부(351) 및 제1 고정편(352)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둘러싸며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50)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부(50)는 복수 개의 제2 캡(30)이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마련된 내측 프레임(500) 및 내측 프레임(500)을 둘러싸는 외측 프레임(60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50)는, 소정의 공간을 가지며, 소정의 공간 내에 복수 개의 태양전지 모듈부(10)가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되며,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측 프레임(500)은, 길이 방향(수직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된 복수 개의 프레임 관통홀(510)을 포함한다.
상기 내측 프레임(500)은 태양전지 모듈부(10)의 양 단부 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측 프레임(500)에는, 태양전지 모듈부(10)를 회전 시키기 위해 프레임 관통홀(51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마련된 한 쌍의 로드바(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커넥터 부(70)에 마련된 한 쌍의 돌출바(739)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된 복수 개의 돌출바 고정홀(미도시)이 한 쌍의 돌출바(739)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내측 프레임(50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제1 끼움홈부(52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 끼움홈부(520)는 내측 프레임(500)의 폭 방향의 양 단부 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외측 프레임(60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내측 프레임의 측면을 둘러 싸도록 마련된 한 쌍의 측면 프레임(610) 및 한 쌍의 측면 프레임(610)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양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상부 및 하부 프레임(620, 630)을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측면 프레임(610)은, 제1 끼움홈부(520)에 각각 삽입되는 제1 삽입돌부(61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측면 프레임(610)은 내측 프레임(500)이 장착된 상태에서, 내부에 커넥터부(70)가 배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부(601)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외측 프레임(600)은 측면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 또는 측면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한 조립부재(650)를 포함한다.
상기 조립부재(650)는 대략 'ㄱ'자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어,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부 프레임 또는 하부 프레임의 내측에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 영역은 측면 프레임 내측에 삽입되어 상부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 또는 하부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을 결속 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외측 프레임(600)은, 상부 및 하부 프레임(620, 630)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가이드 부재(660) 및 각각의 가이드 부재(660)에 장착되는 한 쌍의 가이드 슬릿 부재(67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프레임(620,630)은, 가이드 부재(660)가 각각 끼움 결합되도록 마련된 한 쌍의 제2 삽입돌부(640)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부재(660)는, 한 쌍의 제2 삽입돌부(640)가 각각 삽입되는 제2 끼움홈부(661)를 가지며, 가이드 슬릿 부재(670)가 삽입되어 끼움 결합되는 제3 끼움홈부(66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끼움홈부(520,661)는 제1 및 제2 삽입돌부(620, 640)에 각각 슬라이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가이드 슬릿 부재(670)는, 블레이드 프레임의 제1 및 제2 홈부와 각각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3 및 제4 홈부(671,672)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릿 부재(670)는, 프레임부(50)에 복수 개의 태양전지 모듈부(10)가 장착된 상태에서, 최상단부에 위치하는 태양전지 패널부(100)의 상단부 및 최하단부에 위치하는 태양전지 패널부(100)의 하단부에 각각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하부 프레임에 장착된 가이드 슬릿 부재의 제3 및 제4 홈부에는, 블레이드 프레임의 제1 및 제2 돌출부(125,126)가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외측 프레임(600)은 커넥터부(70)를 통해 출력되는 전기를 외부로 출력하는 외부 커넥터(68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커넥터(680)는 일 예로 측면 프레임에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커넥터부(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7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장착부재(730)는, 회동부재의 한 쌍의 제1 고정편(352)이 각각 삽입 장착되도록 마련된 한 쌍의 제2 관통홀(731)을 갖는다.
또한, 한 쌍의 제2 관통홀(731) 사이에 마련되며, 제2 장착부(340)의 제2 중공부(341)에 삽입되도록 마련된 제2 결속부재(732)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제2 결속부재(732)는 내측에 소정의 관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관통로를 통해 제3 전극 단자(710)의 제4 연결부(711)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속부재(732)는 제5 연결부(712)를 둘러싸는 연결부재(720)와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720)는 인접하는 2개의 태양전지 모듈부(1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제3 전극 단자의 제5 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결속부재(732)는, 제2 중공부(341)에 삽입되어 고정될 때,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2 오링(734)이 제2 결속부재(732)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부(70)가 제2 캡에 각각 장착되면, 제2 캡의 제2 중공부(341)로 제2 결속부재(732)가 삽입 고정되며, 제2 중공부(341)에 노출된 제2 전극 단자(310)의 복수 개의 제2 전극 로드(311)와 제4 연결부(711)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 부(70)는 태양전지 모듈부(10)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해 마련된 한 쌍의 돌출바(739)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돌출바(739)는, 장착부재(73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며, 제2 결속부재(73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소정 간격 떨어져 위치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모듈부가 제2 캡에 장착되는 상태와 커넥터부가 제2 캡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 루버 조립체가 직렬로 연결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캡(30)은 내측 프레임(50)에 장착된 상태에서 소정 각도 회전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태양전지 모듈부(10)는 제2 캡(30)에 하방 측을 향하여 슬라이드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전극 단자(270) 및 제2 전극 단자(310)는, 내측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 캡에 태양전지 모듈부가 장착된 상태에서, 커넥터부(70)가 제2 캡의 회동부재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부(70)는 각각의 태양전지 모듈부(10)를 직렬로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태양전지 모듈부(10)를 직렬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부(70)의 배치는 다음과 같다.
도 1, 도 13 및 도 16을 참조하면,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프레임부의 수직 방향을 따라 제1 태양전지 모듈부(11)와 제2 태양전지 모듈부(12)가 교번하여 차례로 배치될 때, 제2 태양전지 모듈부(12) 하부에 배치된 제1 태양전지 모듈부(11)는 제3 태양전지 모듈부로 지칭될 수 있고, 제3 태양전지 모듈부 하부에 배치된 제2 태양전지 모듈부는 제4 태양전지 모듈부로 지칭될 수 있다.
이 때,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제1 내지 제4 태양전지 모듈부의 우측 단부측과 좌측 단부 측의 연결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태양전지 모듈부(10, 10')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직렬 연결되기 위해서는, 커넥터부(70)는 제1 태양전지 모듈부(11) 및 제2 태양전지 모듈부(12) 우측단부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 태양전지 모듈부 우측 단부 측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 때, 커넥터부(70)는 제2 태양전지 모듈부(12) 및 제2 태양전지 모듈부의 하부에 위치한 다른 제1 태양전지 모듈부(제3 태양전지 모듈부)(11')의 좌측단부에 배치되어 제2 태양전지 모듈부(12) 및 제3 태양전지 모듈부(11')의 좌측 단부 측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또한, 커넥터부(70)는 제3 태양전지 모듈부(11') 및 제4 태양전지 모듈부(12')의 우측 단부에 배치되어 제3 및 제4 태양전지 모듈부 우측 단부 측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반복하여 커넥터부를 설치함으로써, 복수 개의 태양전지 모듈부는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넥터부(70)는 직렬 연결을 위해 좌측단부 측과 우측단부 측에 각각 서로 교차하며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은,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 사이 공간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전선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루버 조립체는 종래의 루버 창이 조립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어, 조립이 보다 용이하다.
또한, 루버 창 역할을 함과 동시에 직렬 연결된 태양전지 패널에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루버 조립체
10: 태양전지 모듈부
30: 제2 캡
50: 프레임부
70: 커넥터부

Claims (14)

  1. 양 단부에 각각 마련된 한 쌍의 단자부를 갖는 태양전지 패널부, 각각의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한 쌍의 제1 전극 단자 및 각각의 제1 전극 단자를 둘러싸도록 태양전지 패널부에 장착된 한 쌍의 제1 캡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태양전지 모듈부;
    제1 전극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2 전극 단자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제2 캡;
    복수 개의 제2 캡이,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마련된 프레임부;
    프레임부 내에 복수 개의 태양전지 모듈부가 장착될 때, 인접하는 2개의 태양전지 모듈부들의 제2 전극 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한 쌍의 제3 전극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루버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캡이 제2 캡에 장착될 때, 제2 전극단자는 제1 전극단자와 접촉되고, 커넥터부가 제2 캡에 장착될 때, 제3 전극단자는 제2 전극단자와 접촉되도록 마련된 태양전지 루버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전극 단자 중 하나의 단자는 나머지 단자가 내부로 삽입되는 공간을 갖도록 마련되며, 제1 캡이 제2 캡에 장착될 때, 제1 및 제2 전극 단자 중 하나의 단자는 나머지 단자의 내부로 삽입되는, 태양전지 루버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제1 전극단자는 제2 전극단자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제1 전극 로드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제1 전극 로드는 1회 이상 절곡되며,
    제2 전극단자는 제1 전극 로드의 절곡부에 접촉하거나, 제1 전극 로드의 절곡부 사이 공간에 삽입되도록 마련된, 태양전지 루버 조립체.
  5. 제 3 항에 있어서,
    제1 전극단자는 태양전지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부 및 바이패스 다이오드와 접촉하기 위한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루버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제1 전극 로드,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는 일체로 형성된, 태양전지 루버 조립체.
  7. 제 2 항에 있어서,
    제2 및 제3 전극 단자 중 하나의 단자는 나머지 단자가 내부로 삽입되는 공간을 갖도록 마련되며, 커넥터부가 제2 캡에 장착될 때, 제2 및 제3 전극 단자 중 하나의 단자는 나머지 단자의 내부로 삽입되는, 태양전지 루버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제2 전극단자는 제3 전극단자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제2 전극 로드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제2 전극 로드는 1회 이상 절곡되며,
    제3 전극단자는 제2 전극 로드의 절곡부에 접촉하거나, 제2 전극 로드의 절곡부 사이 공간에 삽입되도록 마련된, 태양전지 루버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프레임부는, 복수 개의 제2 캡이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내측 프레임 및 내측 프레임을 둘러싸는 외측 프레임을 포함하며,
    제2 캡이 내측 프레임에 장착된 때, 복수 개의 제2 전극 로드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 사이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된, 태양전지 루버 조립체.
  10. 제 2 항에 있어서,
    커넥터부는, 각각의 제3 전극단자를 둘러싸는 연결부재; 및 연결부재와 연결되며, 제3 전극 단자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제3 전극단자의 종단부 측에 각각 위치하고, 제2 캡에 장착되도록 마련된 한 쌍의 장착부재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루버 조립체.
  11. 제 3 항에 있어서,
    제1 전극단자 및 제2 전극단자는, 내측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도록 마련된, 태양전지 루버 조립체.
  1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1 캡은, 태양전지 패널부와 마주하는 제1면 및 제1면의 반대방향의 제2면을 가지며, 제1면에는 태양전지 패널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홈부를 갖고, 제2면에는 제2 캡과 결속되도록 마련된 제1 결속부를 포함하며,
    제1 전극단자의 제1 및 제2 연결부는 제1 삽입홈부 내에 위치하고, 복수 개의 제1 전극로드는 제1 결속부 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된, 태양전지 루버 조립체.
  13.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2 캡은, 제1 캡이 슬라이드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내측에 소정의 공간부를 갖는 제1 장착부 및 제1 장착부의 반대 방향에 커넥터부가 장착되도록 마련된 제2 장착부를 갖고,
    제2 전극 단자는, 복수 개의 제2 전극 로드에서 연장 형성되며, 제1 전극 단자의 제1 전극 로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3 연결부를 가지며,
    제3 연결부는 제1 장착부 측에서 외부 노출되도록 마련되고, 복수 개의 제2 전극 로드는 제2 장착부 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된, 태양전지 루버 조립체.
  14. 제 1항에 있어서,
    제3 전극 단자는 제2 전극 단자의 제2 전극 로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4 연결부 및 제4 연결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내측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2개의 태양전지 모듈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5 연결부를 갖고,
    제4 연결부는 제2 장착부 측을 향하여 외부으로 노출되고, 제5 연결부는 연결부재 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된, 태양전지 루버 조립체.
KR1020200174290A 2019-12-16 2020-12-14 태양전지 패널이 장착 가능한 루버 조립체 KR102593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12020006155.8T DE112020006155T5 (de) 2019-12-16 2020-12-16 Luftschlitzanordnung, an der eine Solarzellenplatte montiert werden kann
PCT/KR2020/018389 WO2021125760A1 (ko) 2019-12-16 2020-12-16 태양전지 패널이 장착 가능한 루버 조립체
JP2022536837A JP7408811B2 (ja) 2019-12-16 2020-12-16 太陽電池パネルが装着可能なルーバー組立体
CN202080087447.0A CN114829731A (zh) 2019-12-16 2020-12-16 可安装太阳能电池板的百叶窗组件
US17/785,549 US20230016140A1 (en) 2019-12-16 2020-12-16 Louver assembly capable of having mounted thereon solar cell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305 2019-12-16
KR20190168305 2019-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859A true KR20210076859A (ko) 2021-06-24
KR102593027B1 KR102593027B1 (ko) 2023-10-24

Family

ID=75910883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291A KR102541058B1 (ko) 2019-12-16 2020-12-14 태양전지 패널이 장착 가능한 루버 조립체
KR1020200174292A KR102593028B1 (ko) 2019-12-16 2020-12-14 태양전지 패널이 장착 가능한 루버 조립체
KR1020200174290A KR102593027B1 (ko) 2019-12-16 2020-12-14 태양전지 패널이 장착 가능한 루버 조립체
KR1020200174293A KR102247681B1 (ko) 2019-12-16 2020-12-14 태양전지 패널이 장착 가능한 루버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291A KR102541058B1 (ko) 2019-12-16 2020-12-14 태양전지 패널이 장착 가능한 루버 조립체
KR1020200174292A KR102593028B1 (ko) 2019-12-16 2020-12-14 태양전지 패널이 장착 가능한 루버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293A KR102247681B1 (ko) 2019-12-16 2020-12-14 태양전지 패널이 장착 가능한 루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5410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0471B1 (ko) * 2022-04-22 2023-07-31 주식회사 디에스시스템 태양광 패널을 갖는 루버창용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708B1 (ko) * 2021-05-28 2021-12-01 주식회사 디에스시스템 발전패널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태양광발전 루버창
KR102334510B1 (ko) * 2021-06-08 2021-12-03 주식회사 디에스시스템 조립성이 향상된 태양광 발전용 루버창호
CN115707337A (zh) * 2021-06-16 2023-02-17 尚孚能源解决方案有限公司 投伸型窗系统
KR102344542B1 (ko) * 2021-06-16 2021-12-28 주식회사 토니텍코리아 프로젝트 창문 시스템
KR102397283B1 (ko) * 2021-06-16 2022-05-12 주식회사 토니텍코리아 프로젝트 창문 시스템
KR102397286B1 (ko) * 2021-06-16 2022-05-12 주식회사 토니텍코리아 낙하 방지부가 구비된 프로젝트형 태양광 창문 시스템
KR102390070B1 (ko) * 2021-08-20 2022-04-28 에이치디씨랩스 주식회사 바이패스 구성을 갖는 태양광발전루버창 시스템
KR102421976B1 (ko) * 2021-08-20 2022-07-15 에이치디씨랩스 주식회사 바이패스 구성을 갖는 태양광발전루버창용 발전블레이드모듈
KR102442937B1 (ko) * 2022-03-02 2022-09-15 김영직 가변 추적식 태양광 패널 시스템
KR102654649B1 (ko) * 2023-01-10 2024-04-05 주식회사 코에스 태양광 발전 시스템루버의 원터치 결합구조를 갖는 블레이드 조립체
KR102645595B1 (ko) * 2023-07-19 2024-03-08 주식회사 행복한동기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898A (ko) * 2016-06-24 2018-01-04 정준석 태양광발전모듈루버를 구비한 루버창호
KR101958432B1 (ko) * 2018-10-31 2019-07-04 (주)에스케이솔라에너지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
KR20190088717A (ko) * 2018-01-19 2019-07-29 (주)엘지하우시스 태양광 발전용 루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루버창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2125A (ko) * 2015-11-04 2017-05-12 왕기형 태양광 전지판을 일체로 한 블라인드
KR101922422B1 (ko) * 2018-10-31 2018-11-27 전현수 바이패스 다이오드 일체형 병렬 커넥터
KR102149514B1 (ko) * 2019-11-13 2020-08-28 (주)에스케이솔라에너지 루버기능이 적용된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898A (ko) * 2016-06-24 2018-01-04 정준석 태양광발전모듈루버를 구비한 루버창호
KR20190088717A (ko) * 2018-01-19 2019-07-29 (주)엘지하우시스 태양광 발전용 루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루버창
KR101958432B1 (ko) * 2018-10-31 2019-07-04 (주)에스케이솔라에너지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0471B1 (ko) * 2022-04-22 2023-07-31 주식회사 디에스시스템 태양광 패널을 갖는 루버창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3027B1 (ko) 2023-10-24
KR102247681B9 (ko) 2021-05-03
KR102247681B1 (ko) 2021-05-03
KR102541058B1 (ko) 2023-06-12
KR102593028B1 (ko) 2023-10-24
KR20210076861A (ko) 2021-06-24
KR20210076860A (ko)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76859A (ko) 태양전지 패널이 장착 가능한 루버 조립체
KR102642053B1 (ko) 태양광 모듈이 장착 가능한 루버 조립체
JP5055338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ガラス用の組合わせ式太陽光発電パネル
KR102206065B1 (ko) 태양광 발전용 블라인드 날개조립체
KR102164582B1 (ko) 태양광 발전용 블라인드
KR102233075B1 (ko) 태양광 발전용 루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루버창
KR100923219B1 (ko) 발코니 난간 대용 태양전지 셀이 구비된 창호
JP7408811B2 (ja) 太陽電池パネルが装着可能なルーバー組立体
KR101123686B1 (ko)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태양전지창호
JPWO2011064820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101204421B1 (ko) 건물장착형 태양전지 창호의 지지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건물장착형 태양전지 창호
KR102271899B1 (ko) 태양광 발전 장치
KR101135974B1 (ko)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의 지지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
CN213958976U (zh) 光伏组件
EP2408017B1 (en) Photovoltaic battery module and junction box assembly therein
KR102665054B1 (ko) 루버 조립체
EP4032179B1 (en) A solar power generator
KR101936387B1 (ko) 기와 장착형 태양전지모듈
US20210388666A1 (en) Insulating glazing with luminescent solar concentrator for production of electrical energy
KR20200081863A (ko) 태양전지 패널 어셈블리
JP2004335903A (ja) 両面受光型太陽電池アレイ
CN220629223U (zh) 光伏组件及光伏声屏障
KR102153047B1 (ko) 전극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날개
KR20220106454A (ko) 조립식 태양전지 키트
KR20180131748A (ko) 태양광 발전용 블라인드 날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