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5974B1 -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의 지지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 - Google Patents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의 지지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35974B1 KR101135974B1 KR1020110052656A KR20110052656A KR101135974B1 KR 101135974 B1 KR101135974 B1 KR 101135974B1 KR 1020110052656 A KR1020110052656 A KR 1020110052656A KR 20110052656 A KR20110052656 A KR 20110052656A KR 101135974 B1 KR101135974 B1 KR 1011359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lar cell
- wire
- support frame
- building
- sola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66 bui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8 ti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5 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19 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8 petrole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00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 H01L31/02005—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for device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00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for device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or solar cell modul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chitecture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태양전지패널의 저면이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태양전지패널의 일측면에 결합된 단자부로부터 인출된 전선이 지지프레임에 형성된 전선인입홈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전선에 의해 지지프레임과 태양전지패널간 이격공간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방수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외관이 미려한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의 지지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에 의해 지지프레임과 태양전지패널간 이격공간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방수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외관이 미려한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의 지지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에 관한 것이다.
최근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설비의 사용이 점차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는 태양전지는 석탄이나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무공해이며 무한의 에너지원인 태양광을 이용하므로 미래의 새로운 대체 에너지원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고, 현재에는 태양광 발전소나 건축물, 자동차 등의 발전 전력을 얻는데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태양광발전은 태양전지(PV : Photovoltaic)를 이용하여 직접 전기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상기 태양전지는 광전효과를 이용하여 빛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반도체 소자로서, 각각이 플러스(+)와 마이너스(-) 극성을 띠는 2장의 반도체 박막으로 구성되며, 다수의 태양전지 셀(cell)들이 직/병렬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전압 및 전류를 발생시키게 되고, 사용자는 이러한 태양전지에서 발생된 전력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태양광발전 시스템은 다른 대체에너지 활용 기술과 달리 시스템 구성이 간단하여 최근 건축분야에 응용하려는 노력이 활발히 시도되고 있으며, 이를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 시스템(BIPV; Building Integrated PV)이라 한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기존의 건축자재와 태양전지를 결합시켜 건축재료와 발전 기능을 동시에 발휘하는 것이다.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 즉, BIPV는 PV 모듈을 건축자재화하여 건물 외피에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건물 일체화 기술은 기존의 건축물 외피를 단순히 외적 자극의 보호의 개념의 관점에서 탈피하여 에너지 창출의 도구로 활용하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기술로서, 태양전지 수급의 일익을 담당할 수 있어 기존의 태양전지 시스템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는 이중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태양전지창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태양전지창호(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에 다수의 태양전지 셀(111)이 부착된 태양전지패널(110)과, 상기 태양전지패널(110)의 일측에 설치되고 태양전지 셀(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력공급대상물에 전선으로 연결되는 단자함(120) 및 상기 태양전지패널(110)의 외측단부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태양전지창호(100)는 태양전지 셀(111)에 집광된 태양광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변환되고, 변환된 전기에너지는 단자함(120)을 통해 외부에 구비된 전력공급대상물로 인가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의한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태양전지창호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단자함(120) 일측에 연결된 전선을 전력공급대상물에 연결하기 위해 지지프레임(130)의 내측으로 삽입하는데, 전선을 지지프레임(130)의 내측으로 삽입하기 위해 지지프레임(130)의 삽입홀(131)을 형성하여 전선을 삽입함으로써 삽입홀(131)로 습기 및 이물질이 유입되어 지지프레임(130)의 부식을 촉진할 뿐 아니라 습기 및 이물질에 의해 전선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단자함(120)에 연결된 전선이 삽입홀(131)까지 삽입되기까지 전선부분 및 삽입홀(131)에 삽입되기 위해 절곡되는 전선부분에 의해 지지프레임(130)과 태양전지패널(110)간 이격공간이 발생되고, 발생된 이격공간을 통해 습기 및 이물질이 태양전지패널(110) 내부로 유입되어 태양전지패널(110)의 오작동을 유발하거나 태양전지패널(110)의 구성이 손상되어 태양전지패널(110)의 수명이 저하될 뿐 아니라 외부로 노출된 전선에 의해 외관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지지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태양전지패널의 저면이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태양전지패널의 일측면에 결합된 단자부로부터 인출된 전선이 지지프레임에 형성된 전선인입홈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전선에 의해 지지프레임과 태양전지패널간 이격공간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방수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외관이 미려한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의 지지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선인입홈이 형성된 지지프레임의 내면 일측에 내측하방으로 경사진 전선지지편이 형성되도록 함과 아울러 전선지지편의 단부가 전선의 외면 일측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전선인입홈으로 인입된 전선이 유동됨에 따라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방수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의 지지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측에 전선인입홈에 억지끼움되는 가스킷부재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공을 형성하고, 연결공을 통해 가스킷부재의 좌우측에 도포되는 방수부재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지지프레임에 억지끼움되는 가스킷부재의 결합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의 지지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의 지지프레임은 일측면에 따르면, 전면에 부착되는 다수의 태양전지 셀과, 상기 태양전지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력공급대상물에 전선으로 연결되는 단자부를 포함하는 태양전지패널의 외측단부를 지지하는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의 지지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바(Bar)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개가 상기 태양전지패널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결합되어 상면 일측에 상기 태양전지패널의 저면 일측이 지지되며, 상기 상면의 적어도 일측에 상기 단자부로 연결되는 전선이 인입되는 전선인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면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지지돌부가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는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전력공급대상물에 인가하는 태양전지 창호에 있어서, 전면에 다수의 태양전지 셀이 부착되는 태양전지패널과, 상기 태양전지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전수단과, 상기 통전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공급수단과 전선으로 연결되는 단자부 및 바(bar)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수개가 상기 태양전지모듈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결합되어 상면 일측에 상기 태양전지패널의 저면 일측이 지지되며, 상기 태양전지패널이 지지되지 않는 일측에 상기 단자부로 연결되는 전선이 인입되는 전선인입홈이 형성된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전선인입홈에 상기 전선이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선인입홈에 억지끼움되는 가스킷부재 및 상기 전선인입홈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가스킷부재의 상측 좌우단부와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도포되는 밀폐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킷부재는 상부 측면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스킷부재의 좌우측에 도포된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연결공을 통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전선인입홈이 형성된 내면 일측에 내측하방으로 경사형성되는 탄성의 전선지지편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선지지편은 단부에 연성의 방수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전선인입홈에 상기 전선이 인입된 경우 상기 방수부재가 상기 전선의 외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의 지지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지지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태양패널의 저면이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태양전지패널의 일측면에 결합된 단자부로부터 인출된 전선이 지지프레임에 형성된 전선인입홈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전선에 의해 지지프레임과 태양전지패널간 이격공간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방수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둘째, 전선인입홈이 형성된 지지프레임의 내면 일측에 내측하방으로 경사진 전선지지편이 형성되도록 함과 아울러 전선지지편의 단부가 전선의 외면 일측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전선인입홈으로 인입된 전선이 유동됨에 따라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방수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일측에 전선인입홈에 억지끼움되는 가스킷부재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공을 형성하고, 연결공을 통해 가스킷부재의 좌우측에 도포되는 방수부재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지지프레임에 억지끼움되는 가스킷부재의 결합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태양전지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의 사시도
도 3은 태양전지패널 및 통전수단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에 태양전지패널과, 전선 및 가스킷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의 사시도
도 3은 태양전지패널 및 통전수단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에 태양전지패널과, 전선 및 가스킷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의 지지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태양전지패널 및 통전수단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1)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태양전지패널(10)과, 통전수단(20)과, 단자부(30)와, 지지프레임(40)과, 가스킷부재(50) 및 밀폐수단(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태양전지패널(10)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면에 다수의 태양전지 셀(11)이 부착되는 것으로서, 태양전지 셀(11)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태양전지 셀(11)은 태양광을 흡수하여 흡수된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으로서, 결정계 실리콘 태양전지(PV) 셀과, 비정질형(아모르포스계통) 및 박막형 태양전지 셀(11)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태양전지 셀(11)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임은 자명한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상기 통전수단(20)은 복수개의 태양전지 셀(11) 상면에 일정패턴으로 부착되어 복수개의 태양전지 셀(11)을 직렬로 연결하고, 선단부가 후술하는 단자부(30)의 일측에 결합되어 단자부(30)를 통해 외부에 구비된 전력공급대상물(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태양전지 셀(11)로부터 발생된 전기가 전력공급대상물(미도시)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전기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통전수단(20)은 통상 Sn+Pb+Ag, Sn+Ag, Sn+Ag+Gu의 재질로 형성된 패턴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며, 인두기를 사용하여 다수의 태양전지 셀(11)을 직접 연결할 수 있다.
아울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전지 셀(11)과 통전수단(20)의 전후면에 보호필름(12)을 부착하고, 상기 통전수단(20)에 상부에 부착된 보호필름(12) 상부에 투광창(13)을 설치하여 습기, 열기와 같은 외부요인으로부터 태양전지 셀(11) 및 통전수단(20)을 보호하도록 하여 내구성이 향상시킨다.
상기 보호필름(12) 및 투광창(13)은 태양전지 셀(11)의 태양광 흡수효율이 저하되지 않도록 투과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단자부(30)는 대략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태양전지패널(10)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통전수단(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측이 전력공급대상물(미도시)과 전선으로 연결되어 통전수단(20)과 전력공급수단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 프레임(4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 재질의 바(Bar)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수개가 상기한 태양전지패널(1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결합되며, 상기 태양전지패널(10)의 외측단부에 결합되어 태양전지패널(10)이 설치대상지역에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40)은 태양전지패널(10)이 지지되지 않는 상면 일측에 후술하는 단자부(30)와 전력공급대상물(미도시)을 연결하는 전선이 인입되는 전선인입홈(41)이 형성되며, 전선인입홈(41)은 다수의 전선과, 전선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커넥터가 인입될 수 있는 정도의 깊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40)은 상면 중앙으로부터 상방으로 지지돌부(43)가 연장형성되는데, 이러한 지지돌부(43)의 기능은 도 6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가스킷부재(50)는 고무와 같은 연성의 재질로 형성되고, 전선인입홈(41)에 전선이 인입된 상태에서 전선인입홈(41)에 억지끼움되어 전선인입홈(41)에 인입된 전선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전선인입홈(41) 내부로 이물질 및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가스킷부재(50)는 전선인입홈(41)에 억지끼움되는 경우 상부가 지지프레임(4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외부로 노출된 상부 일측에 다수의 연결공(51)이 형성된다.
상기 밀폐수단(60)은 상부로 노출된 가스킷부재(50)의 좌우측단부와 지지프레임(40)의 상면 사이에 각각 도포되어 습기 또는 이물질이 가스킷부재(50)와 지지프레임(40)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통해 지지프레임(4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실리콘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에 태양전지패널과, 전선 및 가스킷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1)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태양전지 패널의 상부에 보호필름(12)을 부착한 후 보호필름(12) 상부에 다수의 태양전지 셀(11)을 일정간격으로 배열하여 부착한다.
상기 보호필름(12) 상부에 부착된 다수의 태양전지 셀(11)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통전수단(20)을 배열한 후 태양전지 셀(11) 및 통전수단(20) 상부에 보호필름(12)을 부착한다.
다음, 투광창(13)을 태양전지 셀(11) 및 통전수단(20) 상부에 부착된 보호필름(12) 상부에 설치하여 태양전지패널(10)을 제조하고, 통전수단(20)을 단자부(30)에 전기적으로 연결한 후 통전수단(20)이 연결된 단자부(30)를 태양전지패널(10)의 측면 일측에 설치한다.
다수의 지지프레임(40)을 태양전지패널(1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결합하고, 단자부(30)가 설치된 태양전지패널(10) 외측단부의 저면 일측이 지지프레임(40)의 상면에 지지됨과 아울러 태양전지패널(10)의 외측면이 지지프레임(40)의 지지돌부(43) 일측에 지지되도록 태양전지패널(10)과 지지프레임(40)을 결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40)의 지지돌부(43) 일측에 태양전지패널(10)의 일측면이 지지되도록 하는 이유는 다수의 지지프레임(40)을 격자형상으로 연결하여 다수의 태양전지패널(10)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상호 인접하는 태양전지패널(10)의 측부가 접촉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 태양전지패널(10)의 설치공간을 구획하기 위함이다.
이때,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자부(30)와 전력공급대상물을 연결하는 전선(W)을 지지프레임(40)의 전선인입홈(41)에 인입하고, 전선인입홈(41)에 인입된 전선(W)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전선인입홈(41)에 가스킷부재(50)를 억지끼움한 후 상부로 노출된 가스킷부재(50)의 좌우측단부와 지지프레임(40) 상면 사이에 밀폐수단(60)을 도포한다.
참고로 (a)는 지지프레임(40) 중 가스킷부재(50)가 결합된 영역이고, (b)는 지지프레임(40) 중 가스킷부재(50)가 결합되지 않은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가스킷부재(50)의 좌우측단부에 도포된 밀폐수단(60)은 연결공(51)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가스킷부재(50)가 지지프레임(4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제작된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1)는 건축물의 외벽등과 같은 설치대상지역에 시공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6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 3 내지 도 6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지지프레임(40)의 전선인입홈(41)에 인입된 전선의 고정 및 방수효율이 보다 향상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 실시예와 달리 전선인입홈(41)이 형성된 지지프레임(40)의 내면 일측으로부터 내측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탄성의 전선지지편(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전선지지편은 전선인입홈(41)을 통해 전선(W)이 인입되는 경우 하방으로 젖혀지면서 전선(W)이 전선인입홈(41)으로 용이하게 인입되도록 하면서도 전선(W)의 인입동작이 완료되면 탄성에 의해 초기상태로 복귀되면서 전선(W)의 외면에 밀착되어 전선인입홈(41) 내부로 습기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선이 유동되지 않도록 전선을 고정하여 유동에 따른 전선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전선지지편은 전선(W)과 밀착되는 단부에 연성의 방수부재(42a)가 결합되어 전선(W)의 외면에 밀착되는 밀착효율이 보다 향상되도록 한다.
그 외의 구조는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 10 : 태양전지패널
11 : 태양전지 셀 12 : 보호필름
13 : 투광창 20 : 통전수단
30 : 단자부 40 : 지지프레임
41 : 전선인입홈 50 : 가스킷부재
60 : 밀폐수단
11 : 태양전지 셀 12 : 보호필름
13 : 투광창 20 : 통전수단
30 : 단자부 40 : 지지프레임
41 : 전선인입홈 50 : 가스킷부재
60 : 밀폐수단
Claims (8)
- 삭제
- 전면에 부착되는 다수의 태양전지 셀과, 상기 태양전지 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력공급대상물에 전선으로 연결되는 단자부를 포함하는 태양전지패널의 외측단부를 지지하는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의 지지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바(Bar)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개가 상기 태양전지패널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결합되어 상면 일측에 상기 태양전지패널의 저면 일측이 지지되며, 상기 상면의 적어도 일측에 상기 단자부로 연결되는 전선이 인입되는 전선인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전선인입홈은 상기 상면 외측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전선인입홈에 인접한 상기 상면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지지돌부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의 지지프레임.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인입홈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 일측 또는 양측에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의 지지프레임.
- 제 2 항 및 제 3 항을 포함한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의 지지프레임을 구비하여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전력공급대상물에 인가하는 건물장착형 태양전지 창호에 있어서,
전면에 다수의 태양전지 셀이 부착되는 태양전지패널과;
상기 태양전지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전수단과;
상기 통전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공급수단과 전선으로 연결되는 단자부; 및
바(bar)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수개가 상기 태양전지패널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결합되어 상면 일측에 상기 태양전지패널의 저면 일측이 지지되며, 상기 상면의 적어도 일측에 상기 단자부로 연결되는 전선이 인입되는 전선인입홈이 형성된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인입홈에 상기 전선이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선인입홈에 억지끼움되는 가스킷부재; 및 상기 전선인입홈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가스킷부재의 상측 좌우단부와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도포되는 밀폐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킷부재는 상부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가스킷부재의 좌우측에 도포된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연결공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전선인입홈이 형성된 내면 일측에 내측하방으로 경사형성되는 탄성의 전선지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지지편은 단부에 연성의 방수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전선인입홈에 상기 전선이 인입된 경우 상기 방수부재가 상기 전선의 외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2656A KR101135974B1 (ko) | 2011-06-01 | 2011-06-01 |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의 지지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 |
PCT/KR2011/005488 WO2012165705A1 (ko) | 2011-06-01 | 2011-07-26 |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의 지지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2656A KR101135974B1 (ko) | 2011-06-01 | 2011-06-01 |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의 지지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35974B1 true KR101135974B1 (ko) | 2012-04-18 |
Family
ID=46143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52656A KR101135974B1 (ko) | 2011-06-01 | 2011-06-01 |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의 지지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135974B1 (ko) |
WO (1) | WO2012165705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4825B1 (ko) * | 2012-08-08 | 2014-07-03 | 주식회사 티지오테크 | 건물일체형 태양전지창호의 프레임 |
KR102436672B1 (ko) * | 2022-04-22 | 2022-08-26 |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 건물 일체형 태양광 패널용 창호 시스템 |
PL442756A1 (pl) * | 2022-11-08 | 2024-05-13 | Dorynek Krzysztof Solar Pv | Moduł fotowoltaiczny z ramą nośną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4446A (ja) * | 1994-06-22 | 1996-01-09 | Tsukasa Denki Sangyo Kk | 太陽電池用窓扉枠 |
JPH10159454A (ja) * | 1996-12-02 | 1998-06-16 | Tsukasa Denki Sangyo Kk | 太陽電池パネル用縁枠材 |
KR200355657Y1 (ko) * | 2004-03-24 | 2004-07-07 | (주)지에스티아이 | 태양광 전지 모듈 및 특수유리 고정 프레임 |
KR100923219B1 (ko) * | 2009-06-11 | 2009-10-27 | (주)선우 | 발코니 난간 대용 태양전지 셀이 구비된 창호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556956B2 (ja) * | 2007-01-26 | 2010-10-06 | 富士電機システムズ株式会社 |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設置方法 |
-
2011
- 2011-06-01 KR KR1020110052656A patent/KR10113597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1-07-26 WO PCT/KR2011/005488 patent/WO2012165705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4446A (ja) * | 1994-06-22 | 1996-01-09 | Tsukasa Denki Sangyo Kk | 太陽電池用窓扉枠 |
JPH10159454A (ja) * | 1996-12-02 | 1998-06-16 | Tsukasa Denki Sangyo Kk | 太陽電池パネル用縁枠材 |
KR200355657Y1 (ko) * | 2004-03-24 | 2004-07-07 | (주)지에스티아이 | 태양광 전지 모듈 및 특수유리 고정 프레임 |
KR100923219B1 (ko) * | 2009-06-11 | 2009-10-27 | (주)선우 | 발코니 난간 대용 태양전지 셀이 구비된 창호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4825B1 (ko) * | 2012-08-08 | 2014-07-03 | 주식회사 티지오테크 | 건물일체형 태양전지창호의 프레임 |
KR102436672B1 (ko) * | 2022-04-22 | 2022-08-26 | 주식회사 긴키테크코리아 | 건물 일체형 태양광 패널용 창호 시스템 |
PL442756A1 (pl) * | 2022-11-08 | 2024-05-13 | Dorynek Krzysztof Solar Pv | Moduł fotowoltaiczny z ramą nośną |
PL245557B1 (pl) * | 2022-11-08 | 2024-08-26 | Dorynek Krzysztof Solar Pv | Moduł fotowoltaiczny z ramą nośną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2165705A1 (ko) | 2012-12-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78772B1 (ko) |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의 지지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 | |
JP5055338B2 (ja) | カーテンウォールガラス用の組合わせ式太陽光発電パネル | |
KR100841573B1 (ko) | 태양전지 모듈 구조물 | |
KR101123686B1 (ko) |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태양전지창호 | |
US9771719B2 (en) | Solar cell module-equipped panel and exterior building material using same | |
KR101260301B1 (ko) |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 |
KR101501351B1 (ko) | 태양광 발전용 기와 | |
JP5931923B2 (ja) | 太陽電池モジュール | |
KR101936387B1 (ko) | 기와 장착형 태양전지모듈 | |
KR101098931B1 (ko) | 태양전지모듈 지지구조물 | |
KR101135974B1 (ko) |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의 지지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 | |
KR101823957B1 (ko) | 지붕에 설치되는 비아이피브이 모듈 | |
KR101052763B1 (ko) | 건물 일체형 태양광발전 시스템 | |
KR20140141763A (ko) | 태양광 발전용 건축 패널을 이용한 벽체 구조 | |
KR101016793B1 (ko) | 태양전지를 포함하는 지붕재 및 이를 연결한 지붕 | |
KR101120031B1 (ko) | 태양광 발전 겸용 커튼 장치 | |
KR101557965B1 (ko) | 태양광 모듈 | |
KR101485054B1 (ko) | 태양광 발전장치 | |
US20220302873A1 (en) | A solar power generator | |
KR101767502B1 (ko) | 태양광 발전 장치 | |
KR20120005985U (ko) | 집광발전용 채광블록 | |
KR101506705B1 (ko) | 인버터 일체형 고전압 bipv 태양전지 패널 | |
JP2007180065A (ja) | 太陽電池アレイ | |
US11264945B2 (en) | Verta solar sun panel | |
KR20230078291A (ko) |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