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286B1 - 낙하 방지부가 구비된 프로젝트형 태양광 창문 시스템 - Google Patents

낙하 방지부가 구비된 프로젝트형 태양광 창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7286B1
KR102397286B1 KR1020210077996A KR20210077996A KR102397286B1 KR 102397286 B1 KR102397286 B1 KR 102397286B1 KR 1020210077996 A KR1020210077996 A KR 1020210077996A KR 20210077996 A KR20210077996 A KR 20210077996A KR 102397286 B1 KR102397286 B1 KR 102397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
frame
solar panel
window
fall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춘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니텍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니텍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니텍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77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7286B1/ko
Priority to CN202180027764.8A priority patent/CN115868110A/zh
Priority to PCT/KR2021/019153 priority patent/WO202226517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8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horizontal axis of rotation at the top or bottom of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6Building materials integrated with PV modules, e.g. façade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49Specific panel characteris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패널이 프로젝트 및 틸트되는 구조에서 안전성을 개선한 창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낙하 방지부가 구비된 프로젝트형 태양광 창문 시스템은 창문 프레임(10); 상단이 상기 창문 프레임(10)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고 하단이 창문프레임(10)에 대해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면서 프로젝트 방식으로 개폐되는 프로젝트 프레임(20); 상기 프로젝트 프레임(20) 내측에 구비되는 태양광 패널(30); 상기 창문 프레임(10)과 프로젝트 프레임(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프로젝트 프레임(20)이 상기 창문 프레임(10)에 대해 프로젝트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프로젝트 실린더(40); 상기프로젝트 프레임(20)에 설치되어 태양광 패널(30)이 프로젝트 프레임(20)에 대해 틸트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틸트 실린더(50) 및 창문 프레임(10)의 후단에 설치되는 낙하 방지 섀시(60)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낙하 방지부가 구비된 프로젝트형 태양광 창문 시스템 {PROJECT TYPE SOLAR PANEL WINDOW SYSTEM WITH FALL PROTECTION}
본 발명은 프로젝트 방식으로 개폐되는 창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 패널이 프로젝트 및 틸트되는 구조에서 안전성을 개선한 창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온실가스 감축이 세계 각국의 주요 이슈가 됨에 따라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한 방안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방안 중 하나는 화석에너지의 사용을 줄이기 위하여 건축물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거나 건축물의 일부에 태양광 패널이 포함되도록 하는 것인데, 크게 BAPV(Building Applied Photovolatics, 건물 부착형 태양광 발전)과 BIPV(Building Integrated Photovolatic System,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런데 BIPV의 경우 발전 기능을 하면서 건축물의 건축재 역할을 해야 하므로 설치 환경에 따라 맞춤 제작해야 하는 문제가 있고, 설치를 한다 하더라도 태양광의 조사 각도, 음영 등의 영향으로 인해 발전 효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창문이 프로젝트 방식으로 개폐되면서 태양광 패널이 틸트되어 태양광의 조사 각도나 음영에 최대한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용 창문을 발명하였고, 이러한 종래의 프로젝트 개폐방식 BIPV 시스템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프로젝트 개폐방식 BIPV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종래의 프로젝트 개폐방식 BIPV 시스템은 건물의 외부 창틀에 설치되는 제1 프레임(1), 제1 프레임(1)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3) 및 복수 개의 태양광 패널로 구성되어 제2 프레임(3)의 내곽에 설치되는 태양전지 모듈(5)로 구성되어, 제2 프레임(3)이 프로젝트 방식의 개폐를 수행하고, 태양전지 모듈(5)의 태양광 패널이 틸트되어 전력 생산 효율을 극대화한다.
그런데 일반적인 태양광 패널의 경우 패널을 구성하는 태양광 셀의 크기가 가로, 세로 약 16㎝ 정도여서 태양전지 모듈(5)의 높이가 약 20㎝에 달하고 따라서 태양전지 모듈(5)을 틸트하여 완전 개방하였을 때 약 18㎝ 폭의 공간(S1)이 생기게 되는데, 기어다니거나 막 걸음마를 떼는 1세 전후 영아의 경우 머리 지름이 15㎝ 내외여서 머리가 태양전지 모듈(5) 사이에 끼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최근 아파트의 경우 발코니 확장을 하는 경우가 많아 거실 벽면에 바로 종래의 프로젝트 개폐방식 BIPV 시스템이 설치되므로 이러한 사고가 발생될 확률이 더 높다). 특히 프로젝트 되는 제2 프레임(3)이 최대로 개방되는 경우 제1 프레임(1) 하단과 제2 프레임(3) 하단 사이 공간(S2)의 폭이 30 ~ 40㎝ 정도 되어 어린이나 심지어 어른도 추락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922890 B1 (2018. 11. 22.)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프로젝트 또는 틸트에 의해 창문이 개방되더라도 낙하나 끼임의 가능성이 없는 프로젝트형 태양광 창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낙하 방지부가 구비된 프로젝트형 태양광 창문 시스템은 창문 프레임; 상단이 상기 창문 프레임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고 하단이 창문프레임에 대해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면서 프로젝트 방식으로 개폐되는 프로젝트 프레임; 상기 프로젝트 프레임 내측에 구비되는 태양광 패널; 상기 창문 프레임과 프로젝트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프로젝트 프레임이 상기 창문 프레임에 대해 프로젝트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프로젝트 실린더; 상기프로젝트 프레임에 설치되어 태양광 패널이 프로젝트 프레임에 대해 틸트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틸트 실린더 및 창문 프레임의 후단에 설치되는 낙하 방지 섀시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낙하 방지부가 구비된 프로젝트형 태양광 창문 시스템은 태양광 패널의 폭보다 낙하 방지 섀시의 살 폭이 작도록 함으로써 추락이나 끼임과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 태양광 패널을 방위각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어 태양광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프로젝트 개폐방식 BIPV 시스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낙하 방지부가 구비된 프로젝트형 태양광 창문 시스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낙하 방지부가 구비된 프로젝트형 태양광 창문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낙하 방지부가 구비된 프로젝트형 태양광 창문 시스템을 측면에서 바라본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낙하 방지부가 구비된 프로젝트형 태양광 창문 시스템의 다른 실시형태의 작동 상태도
도 6은 도 5의 A 부분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전선이 전체적으로 배선되는 형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도 5의 B 부분의 분리 사시도
도 9는 방위각 방향으로 회동되는 프로젝트 프레임의 하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낙하 방지부가 구비된 프로젝트형 태양광 창문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작동 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낙하 방지부가 구비된 프로젝트형 태양광 창문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낙하 방지부가 구비된 프로젝트형 태양광 창문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낙하 방지부가 구비된 프로젝트형 태양광 창문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낙하 방지부가 구비된 프로젝트형 태양광 창문 시스템은 창문 프레임(10), 창문 프레임(10)에 대해 프로젝트 방식으로 개폐되는 프로젝트 프레임(20), 프로젝트 프레임(20)에 틸트 가능하게 구비되는 태양광 패널(30), 프로젝트 프레임(20)을 창문 프레임(10)에 대해 프로젝트 개폐시키는 프로젝트 실린더(40), 태양광 패널을 틸트시키는 틸트 실린더(50) 및 낙하 방지 섀시(60)로 구성되고, 프로젝트 프레임(2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지지부(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창문 프레임(10)은 본 발명에 따른 낙하 방지부가 구비된 프로젝트형 태양광 창문 시스템의 최외곽을 형성하여 건축물에 설치되어 본 발명에 따른 낙하 방지부가 구비된 프로젝트형 태양광 창문 시스템이 창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창문 프레임(10)의 내측으로 돌출된 문턱(11)이 구비되어 프로젝트 프레임(20)이 닫혔을 때 수밀 및 외기 차단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낙하 방지부가 구비된 프로젝트형 태양광 창문 시스템을 측면에서 바라본 작동 상태도로서, 프로젝트 프레임(20)은 상단이 창문 프레임(10)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고 하단이 창문 프레임(10)에 대해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면서 프로젝트 방식으로 개폐되도록 한다. 그리고 프로젝트 프레임(30)에 구비된 태양광 패널(30)이 틸트되어 태양광 발전 효율을 높이거나 외부 조망을 넓힐 수 있다.
태양광 패널(30)은 태양전지 및 태양전지를 지지하는 태양전지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프로젝트 실린더(40)는 창문 프레임(10)과 프로젝트 프레임(20) 사이에 설치되어 프로젝트 프레임(20)이 창문 프레임(10)에 대해 프로젝트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고, 틸트 실린더(50)는 프로젝트 프레임(20)에 설치되어 태양광 패널(30)이 프로젝트 프레임(20)에 대해 틸트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낙하 방지 섀시(60)는 창문 프레임(10)의 후단, 즉 본 발명에 따른 낙하 방지부가 구비된 프로젝트형 태양광 창문 시스템을 건물에 설치하였을 때 건물 내부 쪽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가로로 복수 개의 낙하 방지살(61)이 구비된다. 복수 개의 낙하 방지살(61) 간의 거리는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갓 태어난 아이라도 머리 지름이 10㎝는 넘기 때문이고, 물건이 떨어지는 경우를 가정하더라도 10㎝ 이하의 물건이라면 큰 사고가 날 확률은 적기 때문이다.
낙하 방지살(61)은 세로로 설치될 수 있지만, 가로로 설치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세로로 설치되더라도 안전성 확보에는 큰 문제가 없지만 세로로 설치되는 경우 가로로 설치되는 태양광 패널(30)과 십자 문양을 형성하게 되어 사람의 눈에 어른거림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낙하 방지살(61)의 설치 위치는 태양광 패널(30)의 틸트축과 수평(같은 높이)인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태양광 패널(30)을 완전히 개방하더라도 태양광 패널(30)의 틸트축에서는 시야를 확보할 수 없고 어차피 시야를 확보할 수 없는 부분에 낙하 방지살(61)을 중첩하여 설치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낙하 방지부가 구비된 프로젝트형 태양광 창문 시스템에서 최대한 조망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이러한 관점은 바깥 조망 확보 시 프로젝트 프레임(20)은 닫아둔 채로 태양광 패널(30)만 개방한다고 가정한 것인데 그렇지 않다 하더라도 성립한다. 프로젝트 프레임(20)이 개방되는 경우 태양광 패널(30)의 틸트축과 낙하 방지살(61)의 위치가 어긋나게 되어 시야가 좁아지게 되나 이 문제는 프로젝트 프레임(20)이 닫혔을 때 낙하 방지살(61)의 설치 위치가 태양광 패널(30)의 틸트축과 중첩되지 않을 때에도 발생하는 것이므로 최소한 시야 확보에 있어 불리함은 없다}.
낙하 방지 섀시(60)의 좌우 최측면 낙하 방지살(61)에는 프로젝트 실린더(4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홀(6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낙하 방지부가 구비된 프로젝트형 태양광 창문 시스템의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 실린더(40)가 최대한 시스템 후방에 위치하도록 하여야 하는데 낙하 방지 섀시(60)가 창문 프레임(10)의 후단에 설치되기 때문에 프로젝트 실린더(40)와 낙하 방지 섀시(60)가 간섭되지 않기 위하여 수용홀(63)이 필요한 것이다.
지지부(70)는 본 발명에 따른 낙하 방지부가 구비된 프로젝트형 태양광 창문 시스템의 크기가 어느 정도 커서 프로젝트 프레임(20)이 창문 프레임(10)으로부터 멀리 이격되었을 경우 프로젝트 프레임(20)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일단이 프로젝트 프레임(2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대(71), 지지대(71)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드 바(73), 창문 프레임(10)에 형성되어 슬라이드 바(73)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슬릿(75)로 구성된다.
가이드 슬릿(75)의 형성 위치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낙하 방지부가 구비된 프로젝트형 태양광 창문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데, 가령 프로젝트 실린더(40)가 파손되어 실린더 기능을 상실하거나 프로젝트 실린더(40)와 창문 프레임(10) 또는 프로젝트 프레임(20)의 결합이 파괴되는 경우 프로젝트 프레임(20)이 창문 프레임(10)에 대해 과다하게 개방될 수 있는데, 가이드 슬릿(75)의 상단을 소정 높이 이하로 형성하면 슬라이드 바(73)의 상승이 그 이하로 제한되므로 프로젝트 프레임(20)의 개방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자가 판단하는 지지부(70)의 적절한 사양은 지지대(71) 길이가 프로젝트 프레임(20) 높이의 1/4 ~ 1/3, 지지대(71)가 프로젝트 프레임(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위치가 프로젝트 프레임(20) 높이의 0.5 ~ 0.7, 가이드 슬릿(75) 상단의 위치가 창문 프레임(10) 높이의 0.5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낙하 방지부가 구비된 프로젝트형 태양광 창문 시스템은 낙하 방지 섀시(60)를 구비하기 때문에 창문의 개방 정도에 보다 자유로울 수 있다. 태양광 발전의 효율은 태양의 남중고도 뿐만 아니라 동서 방향의 방위각에도 영향을 받는다. 즉, 태양광 패널(30)이 동서 방향을 향하는 방위각을 조절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데, 낙하 방지 섀시(60)가 있는 경우 태양광 패널(30)의 방위각을 변경함에 따라 형성되는 개방구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어 태양광 패널(30)의 방위각을 변경할 수 있는 구조의 도입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낙하 방지부가 구비된 프로젝트형 태양광 창문 시스템의 다른 실시형태의 작동 상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낙하 방지부가 구비된 프로젝트형 태양광 창문 시스템은 태양광 패널(30)이 세로 방향을 축으로 방위각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태양이 동에서 서로 이동함에 따라 태양광 패널(30)의 법선 방향이 태양을 추종하도록 함으로써 태양광 발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태양광 패널(30)의 방위각을 조절하는 방위각 조절 실린더(80)가 구비된다.
도 6은 도 5의 A 부분 분리 사시도로서, 프로젝트 프레임(20)은 태양광 패널(30)을 내측에 구비할 수 있도록 4각 프레임을 형성하는 상부 커버(21), 제1 측면 커버(22), 하부 커버(미도시), 제1 측면 커버(22) 외측에서 프로젝트 개폐되는 제2 측면 커버(23), 상부 커버(21) 위에 결합되어 제2 측면 커버(23)를 프로젝트 회동 가능하게 하는 힌지바(24)로 구성된다. 그리고 태양광 패널(30)에 연결되는 전선은 상부 커버(21)와 제1 측면 커버(22) 내부를 경유하여 힌지바(24)를 통해 외부의 인버터나 배터리에 연결된다. 즉, 프로젝트 프레임(20)의 프로젝트 개폐는 제2 측면 커버(23)에 의해 이루어지고, 방위각 방향 전환은 제1 측면 커버(22)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전선이 전체적으로 배선되는 형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수십 V의 인버터 전압을 고려할 때 수 V 전압이 출력되는 태양광 패널(30)은 복수 개가 전선(W)에 의해 직렬 연결되어야 한다. 그리고 직렬 연결된 전선(W)의 양 끝단이 외부장치에 연결되어야 하는데, 프로젝트 프레임(20)이 프로젝트 동작하는 특성상 프로젝트 프레임(20)과 창문 프레임(10)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전선(W)의 배선이 어려워지게 되고 전선(W)이 창문 프레임(10)과 프로젝트 프레임(20) 사이에 끼는 문제가 발생되므로, 본 발명과 같은 구성에서는 전선(W)이 프로젝트 프레임(20)이 창문 프레임(10)에 대해 회동 운동하는 지점인 힌지바(24)를 통해 외부장치와 연결되는 것이 타당하다 할 것이다. 마찬가지 원리로 세로 방향을 축으로 방위각 방향의 변위를 갖는 상부 커버(21)에서 변위가 가장 적은 부분인 상부 커버(21)의 중앙에 전선(W)이 배치되는 것이 타당하다 할 것이다.
도 8은 도 5의 B 부분의 분리 사시도이다. 위와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상부 커버(21)의 중앙에 전선홀(25)이 형성되고, 힌지바(24)의 대응되는 위치에도 전선홀(2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커버(21), 제1 측면 커버(22), 하부 커버가 방위각 방향으로 회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중공이 형성된 연결축(26)이 상부 커버(21) 상단에 결합되어 힌지바(24)의 전선홀(25)에 삽입되고, 전선(W)은 연결축(26)의 중공을 통해 힌지바(24)를 통과하여 외부장치에 연결된다. 압출 성형 시 원자재 절감을 위해 상부 커버(21)와 힌지바(24)에 함몰부(d)를 형성하고 함몰부(d)에 연결축(26)과 보강판(27)이 삽입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축(26)과 보강판(27)의 두께와 폭에 해당하는 만큼 상부 커버(21)와 힌지바(24)에 함몰부(d)를 형성하고 함몰부(d)에 연결축(26)과 보강판(27)을 결합시킴으로써 상부 커버(21)와 힌지바(24)의 제작에 필요한 원자재는 줄이면서 기계적인 강도는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방위각 방향으로 회동되는 프로젝트 프레임(20)의 하부를 도시한 것이다. 프로젝트 프레임(20)의 상부와 유사하게 제1 하부 커버(21)와 제2 하부 커버(28)에는 함몰부(d)가 형성되고 제2 하부 커버(28)의 함몰부(d)에 회동축(29)이 구비되어 제1 하부 커버(21)에 삽입된다. 이때 제1 하부 커버(21)의 함몰부(d)에 보강판(27)이 구비될 수 있고, 보강판(27)과 회동축(29) 사이에는 베어링(29-1)이 구비되어 태양광 패널(30)의 방위각 방향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낙하 방지부가 구비된 프로젝트형 태양광 창문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작동 상태도로서, 도 5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방위각 조절 실린더(80)의 개수를 줄인 것이다. 2개 이상의 태양광 패널(30)을 ‘ㅅ’형 지지바(81)를 결합하고 ‘ㅅ’형 지지바(81)는 호형(arc) 지지바(83)로 연결한 후 하나의 태양광 패널(30)을 방위각 조절 실린더(80)로 회전시키면 2개 이상의 태양광 패널(30)의 방위각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ㅅ’형 지지바(81)를 호형(arc) 지지바(83)로 연결하는 이유는 도 10(c)와 같이 태양광 패널(30)이 방위각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태양광 패널(30)과 호형 지지바(83)의 간섭을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10 창문 프레임 11 문턱
20 프로젝트 프레임 21 상부 커버
22 제1 측면 커버 23 제2 측면 커버
24 힌지바 25 전선홀
26 연결축 27 보강판
28 제2 하부 커버 29 회동축
29-1 베어링 30 태양광 패널
40 프로젝트 실린더 50 틸트 실린더
60 낙하 방지 섀시 61 낙하 방지살
63 수용홀 70 지지부
71 지지대 73 슬라이드 바
75 가이드 슬릿

Claims (3)

  1. 창문 프레임(10);
    상단이 상기 창문 프레임(10)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고 하단이 창문 프레임(10)에 대해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면서 프로젝트 방식으로 개폐되는 프로젝트 프레임(20);
    상기 프로젝트 프레임(20) 내측에 구비되는 태양광 패널(30);
    상기 창문 프레임(10)과 프로젝트 프레임(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프로젝트 프레임(20)이 상기 창문 프레임(10)에 대해 프로젝트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프로젝트 실린더(40);
    상기 프로젝트 프레임(20)에 설치되어 태양광 패널(30)이 프로젝트 프레임(20)에 대해 틸트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틸트 실린더(50) 및
    창문 프레임(10)의 후단에 설치되는 낙하 방지 섀시(60)로 구성되는 태양광 창문 시스템으로서,
    상기 낙하 방지 섀시(60)에 복수 개의 낙하 방지살(61)이 상기 태양광 패널(30)의 틸트축과 평행하게 구비되고, 상기 프로젝트 프레임(20)이 상기 창문 프레임(10)에 대해 닫힌 상태에서 상기 태양광 패널(30)의 틸트축을 상기 프로젝트 프레임(20)의 법선 방향으로 투영하였을 때 상기 낙하 방지살(61)과 중첩되며,
    상기 프로젝트 프레임(20)이 상기 태양광 패널(30)을 내측에 구비할 수 있도록 4각 프레임을 형성하는 상부 커버(21), 제1 측면 커버(22), 하부 커버, 상기 제1 측면 커버(22) 외측에서 프로젝트 개폐되는 제2 측면 커버(23), 상기 상부 커버(21) 위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측면 커버(23)를 프로젝트 회동 가능하게 하는 힌지바(24)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커버(21) 및 힌지바(24)의 중앙에 전선홀(25)이 형성되며, 중공이 형성된 연결축(26)이 상기 상부 커버(21)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바(24)의 전선홀(25)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축(26)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 커버(21), 제1 측면 커버(22), 하부 커버 및 상기 태양광 패널(30)이 방위각 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연결축(26)의 중공을 통해 상기 태양광 패널(30)에 연결된 전선이 상기 전선홀(25)을 경유하여 외부장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 방지부가 구비된 프로젝트형 태양광 창문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낙하 방지 섀시(60)의 좌우 최측면 낙하 방지살(61)에 상기 프로젝트 실린더(40)를 수용하는 수용홀(6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 방지부가 구비된 프로젝트형 태양광 창문 시스템.
  3. 삭제
KR1020210077996A 2021-06-16 2021-06-16 낙하 방지부가 구비된 프로젝트형 태양광 창문 시스템 KR102397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996A KR102397286B1 (ko) 2021-06-16 2021-06-16 낙하 방지부가 구비된 프로젝트형 태양광 창문 시스템
CN202180027764.8A CN115868110A (zh) 2021-06-16 2021-12-16 具有坠落保护器的伸出式太阳能窗户系统
PCT/KR2021/019153 WO2022265172A1 (ko) 2021-06-16 2021-12-16 낙하 방지부가 구비된 프로젝트형 태양광 창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996A KR102397286B1 (ko) 2021-06-16 2021-06-16 낙하 방지부가 구비된 프로젝트형 태양광 창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7286B1 true KR102397286B1 (ko) 2022-05-12

Family

ID=81590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996A KR102397286B1 (ko) 2021-06-16 2021-06-16 낙하 방지부가 구비된 프로젝트형 태양광 창문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397286B1 (ko)
CN (1) CN115868110A (ko)
WO (1) WO2022265172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1155A (ja) * 2007-11-15 2009-06-04 Asahiya Shokai:Kk 建具構造
KR20110139382A (ko) * 2010-06-23 2011-12-29 주식회사 케이씨씨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
KR20140020438A (ko) * 2012-08-08 2014-02-19 주식회사 티지오테크 건물일체형 태양전지창호의 프레임
KR20180000898A (ko) * 2016-06-24 2018-01-04 정준석 태양광발전모듈루버를 구비한 루버창호
KR101922890B1 (ko) 2018-07-02 2018-11-28 주식회사 부력에너지 프로젝트 개폐방식의 bipv형 모듈이 적용된 태양광 발전시스템용 창문
KR102247681B1 (ko) * 2019-12-16 2021-05-03 (주)엘지하우시스 태양전지 패널이 장착 가능한 루버 조립체
KR20210057946A (ko) * 2019-11-13 2021-05-24 (주)에스케이솔라에너지 태양광 모듈의 탈부착 기능을 적용한 태양광 루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74788A (ja) * 2011-02-18 2012-09-10 Fuji Electric Co Ltd 太陽光発電装置
CN103410425B (zh) * 2013-07-30 2015-07-08 广东永利坚铝业有限公司 一种太阳能铝合金窗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1155A (ja) * 2007-11-15 2009-06-04 Asahiya Shokai:Kk 建具構造
KR20110139382A (ko) * 2010-06-23 2011-12-29 주식회사 케이씨씨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
KR20140020438A (ko) * 2012-08-08 2014-02-19 주식회사 티지오테크 건물일체형 태양전지창호의 프레임
KR20180000898A (ko) * 2016-06-24 2018-01-04 정준석 태양광발전모듈루버를 구비한 루버창호
KR101922890B1 (ko) 2018-07-02 2018-11-28 주식회사 부력에너지 프로젝트 개폐방식의 bipv형 모듈이 적용된 태양광 발전시스템용 창문
KR20210057946A (ko) * 2019-11-13 2021-05-24 (주)에스케이솔라에너지 태양광 모듈의 탈부착 기능을 적용한 태양광 루버 시스템
KR102247681B1 (ko) * 2019-12-16 2021-05-03 (주)엘지하우시스 태양전지 패널이 장착 가능한 루버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868110A (zh) 2023-03-28
WO2022265172A1 (ko) 2022-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17832B1 (en) Covering system for windows or building facades comprising photovoltaic modules, in particular dssc photovoltaic modules
KR20170114848A (ko) 태양광 모듈을 이용한 추적식 블라인드 장치
EP3348737A1 (en) Roof window particularly for flat roofs
KR102305552B1 (ko) 태양광 발전 광선반
KR102397286B1 (ko) 낙하 방지부가 구비된 프로젝트형 태양광 창문 시스템
KR102344542B1 (ko) 프로젝트 창문 시스템
KR102042153B1 (ko) 태양광모듈의 경사각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추적 시스템
KR102335997B1 (ko) 각도 가변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KR102541838B1 (ko) 이중창 구조의 태양광 창문 시스템
CN110391781B (zh) 一种能够伸缩的太阳能电池板
KR100795172B1 (ko)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가동형 이중외피시스템
KR102504422B1 (ko) 송전용 창문 프레임이 구비된 프로젝트 개폐형 bipv 시스템
JP3101188B2 (ja) 太陽電池パネルを兼用した開閉式天窓装置
KR102053692B1 (ko) 자동조절이 가능한 pv프레임이 적용된 bipv 이중외피 시스템
CN211598397U (zh) 一种智能摆叶式太阳能发电装置
ES2940818T3 (es) Postigo oscilante con conversión de energía solar
CN213928152U (zh) 一种房屋节能挡光系统
KR101774003B1 (ko) 햇빛 차단 시스템이 부착된 단열복합창
CN113513249B (zh) 日照调节装置及其操作方法
KR101736310B1 (ko) 태양광 패널이 구비되는 차광 전환형 광선반 장치 및 상기 광선반 장치가 구비된 건축물
KR20220168374A (ko) 프로젝트 창문 시스템
KR102645155B1 (ko) 외부 경관과 태양광 발전 효율이 조화된 프로젝트 창문 시스템
JP2002371773A (ja) ブラインド
KR102669916B1 (ko) 태양광 패널의 방향 제어가 가능한 이중창 구조의 태양광 창문 시스템
KR102397283B1 (ko) 프로젝트 창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