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9382A -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9382A
KR20110139382A KR1020100059427A KR20100059427A KR20110139382A KR 20110139382 A KR20110139382 A KR 20110139382A KR 1020100059427 A KR1020100059427 A KR 1020100059427A KR 20100059427 A KR20100059427 A KR 20100059427A KR 20110139382 A KR20110139382 A KR 20110139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transom
mullion
wir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9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대호
김양규
신승철
황재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100059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9382A/ko
Publication of KR20110139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3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 E04B2/967Details of the cross-section of the mullions or transom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6Building materials integrated with PV modules, e.g. façade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간에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멀리언(mullion)들; 상기 멀리언들에 교차하고, 상호 간에 이격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트랜섬(transom)들; 상기 멀리언들과 연결되고, 각각 상기 멀리언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어 상기 멀리언의 일측을 덮는 멀리언캡들; 상기 트랜섬들과 연결되고, 각각 상기 트랜섬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어 상기 트랜섬의 일측을 덮는 트랜섬캡들; 및 상기 멀리언과 상기 멀리언캡 사이 및 상기 트랜섬과 상기 트랜섬캡 사이에 끼워져 둘러싸인 태양광 모듈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은 내부 단열성능을 향상시키고, 태양광 발전에 따른 배선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CURTAIN WALL AND WINDOW SYSTEM COMPRISING COMPOSITE MATERIAL FOR BUILDING-INTEGRATED PHOTOVOLTAICS SYSTEM}
본 발명은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물 전체의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키고 태양광 발전에 따른 배선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소비의 증가로 인해, 최근에는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대표적인 신재생 에너지원으로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중에서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s; 이하 'BIPV'라 함)은 태양전지모듈을 건축 자재화하여 건물 외피에 적용될 수 있어 현재 주목받고 있다.
BIPV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건물의 옥상에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하여 태양광 모듈을 적용한 평지붕형, 일반 주택의 경사지붕에 구조물을 설치하여 태양광 모듈을 적용한 경사지붕형 및 건물의 벽면에 부가적인 경사구조물을 설치하여 태양광 모듈을 적용한 차양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형태의 BIPV 시스템은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해야 하고, 특히 현재 건물들이 고층화되고 있는 실정을 생각하면 부적절한 것이다. 이로 인해, BIPV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구조물 설치가 필요하지 않고 태양광 모듈이 건자재화되는 것만으로 설치가능한 커튼월 방식 건축물에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커튼월 방식은 일반적으로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건물 자체의 단열성이 취약하다. 이로 인해, 에너지 절감에 있어서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태양광 모듈의 시공에 있어서 배선처리의 어려움도 존재한다.
게다가, 개폐작동이 이루어지는 창에 태양전광 모듈이 적용되는 경우, 창의 개폐작동에서 배선장치가 노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커튼월은 배선장치로 인해 외관의 아름다움이 저해되고, 배선장치는 손상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태양광을 이용한 발전을 구현하면서 건물 자체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에 따른 배선처리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선 방치의 노출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건물통합형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호 간에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멀리언(mullion)들; 상기 멀리언들에 교차하고, 상호 간에 이격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트랜섬(transom)들; 상기 멀리언들과 연결되고, 각각 상기 멀리언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어 상기 멀리언의 일측을 덮는 멀리언캡들; 상기 트랜섬들과 연결되고, 각각 상기 트랜섬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어 상기 트랜섬의 일측을 덮는 트랜섬캡들; 및 상기 멀리언과 상기 멀리언캡 사이 및 상기 트랜섬과 상기 트랜섬캡 사이에 끼워져 둘러싸인 태양광 모듈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멀리언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되고, 금속 재료로 내부가 보강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 삽입돌출부가 일측에 형성된 메인 멀리언; 및 금속 재료로 제작되고, 수직 삽입부 및 수직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 삽입부에 상기 수직 삽입돌출부가 끼워짐에 따라 상기 메인 멀리언와 결합되고, 상기 수직 연결부에 상기 멀리언캡이 연결되는 서브 멀리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트랜섬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되고, 금속 재료로 내부가 보강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 삽입돌출부가 일측에 형성된 메인 트랜섬; 및 금속 재료로 제작되고, 수평 삽입부 및 수평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 삽입부에 상기 수평 삽입돌출부가 끼워짐에 따라 상기 메인 트랜섬과 결합되고, 상기 수평 연결부에 상기 트랜섬캡이 연결되는 서브 트랜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은, 상기 서브 트랜섬의 수평 연결부가 하측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서브 트랜섬이 상기 태양광 모듈의 상측에 위치됨에 따라 형성된 수평 배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태양광 모듈은, 상기 서브 트랜섬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태양광 모듈의 가장자리가 상기 멀리언캡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덮히고 상기 트랜섬캡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덮히되, 복수 개의 태양전지셀들; 상기 태양광 모듈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수평 배선부 내에 삽입되고, 상기 태양전지셀들과 연결되는 접속 배선박스; 및 상기 접속 배선박스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수평 배선부를 따라 배선되는 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멀리언캡은, 상기 서브 멀리언의 수직 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태양광 모듈의 가장자리를 수직방향으로 덮는 클램프; 상기 트랜섬캡에 인접하게 상기 클램프 상에 형성되어, 상기 수평 배선부의 전선이 통과하여 상기 클램프 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전선 수직삽입구; 상기 클램프 상에서 수직방향으로 고정되어, 상기 전선 수직삽입구를 통과한 적어도 하나의 전선을 수직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전선 수직고정부; 및 상기 클램프에 결합되어 수직 배선부를 형성하고, 상기 전선을 둘러싸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전선 수직고정부는, 돌기형상을 갖거나 (+) 기호가 표시되고, (+)극의 전선이 고정되는 양극부; 및 평면형상을 되거나 (-) 기호가 표시되고, (-)극의 전선이 고정되는 음극부를 포함하되, 스크류 또는 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클램프 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은, 상기 태양광 모듈의 측면을 둘러싸고, 상기 트랜섬의 하측에 연결되며, 상기 태양광 모듈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내밀이 창을 더 포함하되, 상기 내밀이 창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되고 금속 재료로 내부가 보강되며, 상기 트랜섬의 하측에 고정되는 창틀; 및 금속 재료로 제작되고, 상기 태양광 모듈의 상측에 대하여 이격되어 상기 태양광 모듈이 끼워져 상기 태양광 모듈의 가장자리를 덮으며, 상기 태양광 모듈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창틀에 연결되어 경사각이 조절되고, 상기 경사각에 따라 상기 창틀에 지지될 수 있는 창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내밀이창은, 상기 창짝과 연결되어 상기 태양광 모듈의 외측에 위치되는 글레이징 비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태양광 모듈은, 복수 개의 태양전지셀들; 상기 창짝의 하측과 상기 태양광 모듈의 상측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태양전지셀들과 연결되는 접속 배선박스; 및 상기 접속 배선박스로부터 인출되는 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창짝은, 상기 태양광 모듈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배선홈; 상기 접속 배선박스에 인접하게 상기 배선홈의 바닥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전선이 통과하여 상기 배선홈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전선 수평삽입구; 및 전선 수평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선을 상기 전선 수평고정부를 통해 고정시키고, 상기 배선홈을 덮는 배선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창짝은 상기 접속 배선박스로부터 인출된 상기 전선을 상기 멀리언캡으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은 하기와 같은 효과들을 가진다.
(1) 태양광 모듈이 끼워지는 멀리언들은 각각 금속 재질로 제작된 서브 멀리언에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 메인 멀리언이 끼워져 구성되고, 트랜섬들은 각각 금속 재질로 제작된 서브 트랜섬에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 메인 트랜섬이 끼워져 구성된다. 이로 인해, 멀리언들과 트랜섬들은 복합재질로 이루어져 열전달이 제한되어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의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태양광 모듈로 인한 태양광 발전이 이루어진다. 복합재질로 인한 단열성 향상과 태양광 발전의 조합으로 인해,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 내부에서의 에너지 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다.
(2) 태양광 모듈에서 인출되는 전선은 태양광 모듈의 상측에 위치된 트랜섬의 서브 트랜섬에 의해 형성되는 수평 배선부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배선되고, 멀리언캡들의 커버에 의해 형성된 수직 배선부를 통해 수직 방향으로 배선된다. 이로 인해, 태양광 발전을 위한 전선의 배선이 용이하게 처리될 수 있다.
(3) 태양광 모듈의 경사각 조절을 위한 내밀이창의 경우에도, 창짝은 태양광 모듈로부터 이격되어 태양광 모듈의 접속 배선박스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창짝은 배선홈, 전선 수평삽입구 및 배선 커버를 포함하여, 태양광 모듈의 전선을 수용한다. 이로 인해, 개폐 작동이 이루어지는 창짝으로부터 전선이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의 A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의 멀리언 및 트랜섬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에서 멀리언캡의 전선 수직고정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에서 내밀이창이 적용된 B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내밀이창에서 창짝의 배선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10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100)의 A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100)의 멀리언 (101) 및 트랜섬(102)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100)에서 멀리언캡(103)의 전선 수직고정부(135)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100)은 멀리언(mullion; 101)들, 트랜섬(transom; 102)들, 멀리언캡(103)들, 트랜섬캡(104)들 및 태양광 모듈(105)을 포함하고, 커튼월로서 기능을 할 수 있기도 하고, 창호로서 기능을 할 수 있기도 하다.
멀리언(101)들은 상호 간에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메인 멀리언(111) 및 서브 멀리언(113)을 포함한다.
메인 멀리언(111)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되고, 강도 향상을 위하여 금속 재료로 내부가 보강된다. 이때 플라스틱 재질은 PVC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메인 멀리언(111)은 금속 재료에 플라스틱 재료로 피복된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메인 멀리언(111)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 삽입돌출부(111a)가 형성된다.
서브 멀리언(113)은 금속 재료이고, 금속 재료는 알루미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서브 멀리언(113)에는 수직 삽입부(113a) 및 수직 연결부(113b)가 형성된다. 수직 삽입부(113a)에 수직 삽입돌출부(111a)가 끼워짐에 따라, 서브 멀리언(113)은 메인 멀리언(111)과 결합한다. 이로 인해, 멀리언(101)이 구성된다. 메인 멀리언(111)과 서브 멀리언(113) 사이, 구체적으로 수직 삽입부(113a)와 수직 삽입돌출부(111a) 사이에는 스크류 결합이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수직 연결부(113b)에 멀리언캡(103)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멀리언(101)에서 메인 멀리언(101)은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100)의 내측에 위치되고, 서브 멀리언(102)은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100)의 외측에 위치된다. 이때, 메인 멀리언(111)이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되기 때문에, 금속 재료인 서브 멀리언(113)에서 열전달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더라도, 메인 멀리언(111)은 서브 멀리언(113)과의 열전달이 제한된다. 또한, 서브 멀리언(113)에는 일반적으로 폴리아미드 수지인 멀리언 단열부재(110)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합을 통하여,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100)은 멀리언(101)으로 인해 향상된 단열성을 갖게 된다.
트랜섬(102)들은 멀리언들과 교차하고, 상호 간에 이격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메인 트랜섬(121) 및 서브 트랜섬(123)을 포함한다.
메인 트랜섬(121)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되고, 강도 향상을 위하여 금속 재료로 내부가 보강된다. 이때 플라스틱 재질은 PVC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메인 트랜섬(121)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 삽입돌출부(121a)가 형성된다.
서브 트랜섬(123)은 금속 재료이고, 금속 재료는 알루미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서브 트랜섬(123)에는 수평 삽입부(123a) 및 수평 연결부(123b)가 형성된다. 수평 삽입부(123a)에 수평 삽입돌출부(123a)가 끼워짐에 따라, 서브 트랜섬(123)은 메인 트랜섬(121)과 결합한다. 이로 인해, 트랜섬(102)이 구성된다. 메인 트랜섬(121)과 서브 트랜섬(123) 사이, 구체적으로 수평 삽입부(123a)와 수평 삽입돌출부(121a) 사이에는 스크류 결합이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수평 연결부(123b)에도 트랜섬캡(104)이 연결된다.
이러한 트랜섬(102)도 멀리언(101)과 마찬가지로 메인 트랜섬(121)은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100)의 내측에 위치되고, 서브 트랜섬(123)은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100)의 외측에 위치된다. 또한, 서브 트랜섬(123)에는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 수지인 트랜섬 단열부재(120)가 끼워질 수 있다. 이로 인해, 플라스틱 재료인 메인 트랜섬(121)은 서브 트랜섬(123)과의 열전달이 제한되어, 트랜섬(102)도 멀리언(101)과 마찬가지로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100)의 향상된 단열성을 제공한다.
멀리언캡(103)들은 각각 멀리언(101)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어, 태양광 모듈(105)의 가장자리를 수직 방향으로 덮고 밀리언(101)의 일측을 덮는다. 이때, 멀리언캡(103)들은 각각 서브 멀리언(113)의 수직 연결부(113b)와 연결된다. 또한, 멀리언캡(103)은 태양광 모듈(105)의 전선(155)을 수직 방향으로 배선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또한, 멀리언캡(103)은 클램프(131), 전선 수직삽입구(133), 전선 수직고정부(135) 및 커버(137)를 포함한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트랜섬캡(104)들은 각각 트랜섬(102)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어, 태양광 모듈(105)의 가장자리를 수평방향으로 덮고 트랜섬(102)의 일측을 덮는다. 이때, 트랜섬캡(104)들은 서브 트랜섬(123)의 수평 연결부(123b)와 연결된다.
한편, 서브 트랜섬(123)의 수평 연결부(123b)가 하측으로 구부러짐에 따라, 서브 트랜섬(123)이 태양광 모듈(105)의 상측에 위치됨으로써 수평 배선부(106)가 형성된다. 이러한 수평 배선부(106)는 태양광 모듈(105)의 전선(155)을 수평 방향으로 배선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태양광 모듈(105)은 서브 트랜섬(123)의 상측에 위치되어, 가장자리가 멀리언캡(103)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덮히고, 트랜섬캡(104)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덮힌다. 이러한 태양광 모듈(105)은 태양전지셀(151)들, 접속 배선박스(153) 및 전선(155)을 포함한다.
태양전지셀(151)들은 동일한 면상에 복수 개로 배치되어,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한다. 본 실시예의 태양전지셀(151)들은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평면을 대신하여 곡면 상에 위치될 수도 있다.
접속 배선박스(153)는 태양광 모듈(105)의 상측에 위치되어, 수평 배선부(106) 내에 삽입된다. 이러한 접속 배선박스(153)는 태양전지셀(151)들과 연결되어 태양전지셀(151)들에서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수집한다. 또한, 접속 배선박스(153)는 태양전지셀(151)들의 개수 및 성능에 따라 상이한 크기를 갖게 된다.
전선(155)은 접속 배선박스(151)로부터 인출되어, 수평 배선부(106)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전선(155)은 수직 방향으로 배선될 수 있도록 멀리언캡(103)을 향하여 유도되고, 전기 장치(미도시 됨)와 연결되어, 전기 에너지가 전기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전선(155)은 전기 에너지의 양에 따라 그 굵기를 달리한다.
한편, 멀리언캡(103)은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클램프(131), 전선 수직삽입구(133), 전선 수직고정부(135) 및 커버(137)를 포함하여, 수평 배선부(106)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배선된 전선(155)을 수직 방향으로 배선하는 데에 이용된다.
클램프(131)는 서브 멀리언(123)의 수직 연결부(123b)와 연결되어, 멀리언(102)과 결합된다. 이때, 태양광 모듈(105)의 가장자리는 클램프(131)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덮힌다. 이러한 클램프(131)의 상에 전선(155)들이 위치될 수 있다.
전선 수직삽입구(133)는 트랜섬캡(104)에 인접하게, 특히 수평 배선부(106)에 인접하게 클램프(131) 상에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전선(155)은 수평 배선부(106)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배선되고, 전선 수직삽입구(133)들을 통과하여 멀리언캡(103) 내로 유도되어, 클램프(131) 상에서 멀리언캡(103)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배선될 수 있다.
전선 수직고정부(135)는 클램프(131) 상에서 수직 방향으로 위치된다. 이러한 전선 수직고정부(135)에 전선(155)들이 삽입되어, 수직 방향으로 고정된다. 이때, 전선 수직고정부(135)는 스크류 또는 접착부재에 의해 클램프 상에 고정된다. 또한, 전선(155)의 굵기 및 개수에 따라, 전선 수직고정부(135)의 크기가 결정된다. 전선 수직고정부(135)들은 각각 양극부(135a) 및 음극부(135b)를 포함한다.
양극부(135a)는 (+)극의 전선이 고정되며, 예를 들어, 돌기형상을 갖거나, (+)기호가 표시될 수 있다. 음극부(135b)는 (-)극의 전선이 고정되며, 예를 들어, 평면형상을 갖거나, (-)기호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형상은 상기와 같이 한정되지 않고, (+)극 및 (-)극을 식별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 및 (-) 기호의 표시는 전선 수직고정부(135) 자체에 각인 또는 마킹 등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137)는 클램프(131)과 결합하여 수직 배선부(107)를 형성하고, 전선(155)을 둘러싼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100)에서 내밀이창(200)이 적용된 B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내밀이창(200)에서 창짝(202)의 배선 커버(225)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100)에 적용된 내밀이창(200)은 창틀(201)과 창짝(202)을 포함하고, 태양광 모듈(105)의 측면을 둘러싸며, 트랜섬(102)의 하측에 연결되어 태양광 모듈(105)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태양광 모듈(105)은 보다 효과적으로 태양광을 수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밀이창(200)은 멀리언캡(103)들 사이에 위치되는 동시에 트랜섬캡(104)들 사이에 위치된다.
창틀(201)은 트랜섬(102)의 하측에 고정된 상태로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100)의 내측에 위치되어,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되고 금속 재료로 내부가 보강된다. 이때, 플라스틱 재료는 PVC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창틀(201)은 열전달을 제한하여,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100)의 단열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창틀(201)은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100)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창짝(202)은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100)의 외측에 위치되어, 금속 재료로 제작되고, 금속 재료는 알루미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창짝(202)은 태양광 모듈(105)의 상측에 대하여 이격되어 태양광 모듈(105)이 끼워져, 태양광 모듈(105)의 가장자리를 덮는다. 또한, 창짝(202)은 태양광 모듈(105)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창틀(201)에 연결되어 경사각이 조절된다. 이처럼 창짝(202)의 경사각이 조절됨으로써 태양광 모듈(105)의 경사각이 조절되며, 창짝(202)은 창틀(201)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창짝(202)의 경사각이 조절됨에 따라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100)이 개폐되기도 한다.
또한, 창틀(201)이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되기 때문에, 금속 재료인 창짝(202)에서 열전달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더라도, 창틀(201)은 창짝(202)과의 열전달이 제한된다. 이때, 창짝(202)에는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 수지인 창짝 단열부재(220)가 끼워질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내밀이창(200)에는 글레이징 비드(210)가 추가될 수 있다. 글레이징 비드(210)는 창짝(202)과 연결되어 태양광 모듈(105)의 외측에 위치된다. 이때, 태양광 모듈(105)의 가장자리는 글레이징 비드(210)에 의해 덮히게 된다. 이로 인해, 공기가 창짝(202)의 외부로부터 창짝(202)을 통하여 창짝(202)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창짝(202)에 끼워지는 태양광 모듈(105)도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태양전지셀(151)들, 접속 배선박스(153) 및 전선(155)을 포함한다. 이때, 접속 배선박스(153)는 태양광 모듈(105)의 상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창짝 프레임(221)과 글레이징 비드(223) 사이의 메인 프레임(223)의 하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접속 배선박스(153)는 창짝(202)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창짝(202)은 배선홈(221), 전선 수평삽입구(223) 및 배선 커버(225)를 포함하여, 전선(155)을 수직 방향으로 배선하여 멀리언캡(103)으로 유도한다.
배선홈(221)은 태양광 모듈(105)의 길이방향을 따라 창짝(202)의 상측에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배선홈(221) 상에 전선(155)이 위치될 때, 배선홈(221)은 멀리언캡(103)으로 유도되는 전선(155)의 배선 통로로서 기능을 하게 된다.
전선 수평삽입구(223)는 배선홈(221) 상에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전선(155)은 창짝(202)의 하측에 위치된 접속 배선박스(153)로부터 인출되어, 전선 수평삽입구(223)를 통과하여 배선홈(221)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전선(155)은 배선홈(221)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배선될 수 있다.
배선 커버(225)는 전선 수평고정부(227)를 포함하고, 이러한 전선 수평고정부(227)에는 전선(155)이 끼워져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배선 커버(225)는 배선홈(221)을 덮는다. 이처럼 배선 커버(225)는 전선(155)을 고정시켜 멀리언캡(103)으로 유도하고, 배선홈(221)을 덮어 전선(155)을 폐쇄하면서 보호한다. 이러한 배선 커버(225)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 101 멀리언
102 트랜섬 103 멀리언캡
104 트랜섬캡 105 태양광 모듈
200 내밀이창 201 창틀
202 창짝

Claims (11)

  1. 상호 간에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멀리언(mullion)들;
    상기 멀리언들에 교차하고, 상호 간에 이격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트랜섬(transom)들;
    상기 멀리언들과 연결되고, 각각 상기 멀리언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어 상기 멀리언의 일측을 덮는 멀리언캡들;
    상기 트랜섬들과 연결되고, 각각 상기 트랜섬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어 상기 트랜섬의 일측을 덮는 트랜섬캡들; 및
    상기 멀리언과 상기 멀리언캡 사이 및 상기 트랜섬과 상기 트랜섬캡 사이에 끼워져 둘러싸인 태양광 모듈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멀리언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되고, 금속 재료로 내부가 보강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 삽입돌출부가 일측에 형성된 메인 멀리언; 및
    금속 재료로 제작되고, 수직 삽입부 및 수직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 삽입부에 상기 수직 삽입돌출부가 끼워짐에 따라 상기 메인 멀리언와 결합되고, 상기 수직 연결부에 상기 멀리언캡이 연결되는 서브 멀리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섬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되고, 금속 재료로 내부가 보강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 삽입돌출부가 일측에 형성된 메인 트랜섬; 및
    금속 재료로 제작되고, 수평 삽입부 및 수평 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 삽입부에 상기 수평 삽입돌출부가 끼워짐에 따라 상기 메인 트랜섬과 결합되고, 상기 수평 연결부에 상기 트랜섬캡이 연결되는 서브 트랜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은,
    상기 서브 트랜섬의 수평 연결부가 하측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서브 트랜섬이 상기 태양광 모듈의 상측에 위치됨에 따라 형성된 수평 배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모듈은,
    상기 서브 트랜섬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태양광 모듈의 가장자리가 상기 멀리언캡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덮히고 상기 트랜섬캡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덮히되,
    복수 개의 태양전지셀들;
    상기 태양광 모듈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수평 배선부 내에 삽입되고, 상기 태양전지셀들과 연결되는 접속 배선박스; 및
    상기 접속 배선박스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수평 배선부를 따라 배선되는 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멀리언캡은,
    상기 서브 멀리언의 수직 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태양광 모듈의 가장자리를 수직방향으로 덮는 클램프;
    상기 트랜섬캡에 인접하게 상기 클램프 상에 형성되어, 상기 수평 배선부의 전선이 통과하여 상기 클램프 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전선 수직삽입구;
    상기 클램프 상에서 수직방향으로 고정되어, 상기 전선 수직삽입구를 통과한 적어도 하나의 전선을 수직방향으로 고정시키는 전선 수직고정부; 및
    상기 클램프에 결합되어 수직 배선부를 형성하고, 상기 전선을 둘러싸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수직고정부는,
    돌기형상을 갖거나 (+) 기호가 표시되고, (+)극의 전선이 고정되는 양극부; 및
    평면형상을 되거나 (-) 기호가 표시되고, (-)극의 전선이 고정되는 음극부를 포함하되,
    스크류 또는 접착부재에 의해 상기 클램프 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은,
    상기 태양광 모듈의 측면을 둘러싸고, 상기 트랜섬의 하측에 연결되며, 상기 태양광 모듈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내밀이 창을 더 포함하되,
    상기 내밀이 창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되고 금속 재료로 내부가 보강되며, 상기 트랜섬의 하측에 고정되는 창틀; 및
    금속 재료로 제작되고, 상기 태양광 모듈의 상측에 대하여 이격되어 상기 태양광 모듈이 끼워져 상기 태양광 모듈의 가장자리를 덮으며, 상기 태양광 모듈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창틀에 연결되어 경사각이 조절되고, 상기 경사각에 따라 상기 창틀에 지지될 수 있는 창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내밀이창은,
    상기 창짝과 연결되어 상기 태양광 모듈의 외측에 위치되는 글레이징 비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모듈은,
    복수 개의 태양전지셀들;
    상기 창짝의 하측과 상기 태양광 모듈의 상측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태양전지셀들과 연결되는 접속 배선박스; 및
    상기 접속 배선박스로부터 인출되는 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창짝은,
    상기 태양광 모듈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에 함몰되어 형성되는 배선홈;
    상기 접속 배선박스에 인접하게 상기 배선홈의 바닥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전선이 통과하여 상기 배선홈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전선 수평삽입구; 및
    전선 수평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선을 상기 전선 수평고정부를 통해 고정시키고, 상기 배선홈을 덮는 배선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창짝은 상기 접속 배선박스로부터 인출된 상기 전선을 상기 멀리언캡으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
KR1020100059427A 2010-06-23 2010-06-23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 KR201101393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427A KR20110139382A (ko) 2010-06-23 2010-06-23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427A KR20110139382A (ko) 2010-06-23 2010-06-23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382A true KR20110139382A (ko) 2011-12-29

Family

ID=45504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9427A KR20110139382A (ko) 2010-06-23 2010-06-23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39382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471B1 (ko) * 2012-04-16 2013-06-17 유진종 커튼월의 캡형 결합구조
KR101338923B1 (ko) * 2013-05-27 2013-12-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창호시스템 및 덧댐 창호의 시공 방법
US8935893B2 (en) 2013-05-31 2015-01-20 Sunmodo Corporation Direct rooftop mounting apparatus for solar panels
WO2015142116A1 (ko) * 2014-03-21 2015-09-24 (주)준쉐이드 창호용 태양광 발전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롤블라인드
KR20220007980A (ko) * 2020-07-13 2022-01-20 한솔테크닉스(주) 벽부형 bipv 시스템
US20220085750A1 (en) * 2019-01-10 2022-03-17 Kaneka Corporation Indoor structure
KR102397286B1 (ko) * 2021-06-16 2022-05-12 주식회사 토니텍코리아 낙하 방지부가 구비된 프로젝트형 태양광 창문 시스템
KR102397283B1 (ko) * 2021-06-16 2022-05-12 주식회사 토니텍코리아 프로젝트 창문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471B1 (ko) * 2012-04-16 2013-06-17 유진종 커튼월의 캡형 결합구조
KR101338923B1 (ko) * 2013-05-27 2013-12-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창호시스템 및 덧댐 창호의 시공 방법
US8935893B2 (en) 2013-05-31 2015-01-20 Sunmodo Corporation Direct rooftop mounting apparatus for solar panels
WO2015142116A1 (ko) * 2014-03-21 2015-09-24 (주)준쉐이드 창호용 태양광 발전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태양광 롤블라인드
US20220085750A1 (en) * 2019-01-10 2022-03-17 Kaneka Corporation Indoor structure
US11750144B2 (en) * 2019-01-10 2023-09-05 Kaneka Corporation Indoor structure
KR20220007980A (ko) * 2020-07-13 2022-01-20 한솔테크닉스(주) 벽부형 bipv 시스템
KR102397286B1 (ko) * 2021-06-16 2022-05-12 주식회사 토니텍코리아 낙하 방지부가 구비된 프로젝트형 태양광 창문 시스템
KR102397283B1 (ko) * 2021-06-16 2022-05-12 주식회사 토니텍코리아 프로젝트 창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39382A (ko) 건물통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복합재료 커튼월 및 창호 시스템
KR100909893B1 (ko)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용 커튼월 시스템
EP3154190B1 (en) Solar cell module and roof structure
US20140130848A1 (en) Solar cell module
JPH11159090A (ja) 太陽電池屋根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1496889B1 (ko) 태양광 패널
KR100923219B1 (ko) 발코니 난간 대용 태양전지 셀이 구비된 창호
KR100894575B1 (ko) 태양전지모듈이 적용된 커튼월 시스템
KR20110045522A (ko) 건물 일체형 태양광 외장재 구조
KR102433542B1 (ko) 다중 방수 구조를 겸비한 지붕일체형 태양광발전 시스템
US20230246591A1 (en) Photovoltaic plant
KR20110045520A (ko) 건물 일체형 태양광 외장재 구조
JP2022526774A (ja) ブラインド太陽光発電羽根
JP7408811B2 (ja) 太陽電池パネルが装着可能なルーバー組立体
JPH1135346A (ja) 複層ガラス
US8656661B2 (en) Connection device for photovoltaic modules and method for installing same
KR20110045523A (ko) 건물 일체형 태양광 외장재 설치방법
KR101549416B1 (ko) 태양광 냉난방 장치
KR101078796B1 (ko) 건물 일체형 태양광 외장재 구조
JP3652165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取付け構造およびその取付け方法
KR100357905B1 (ko) 건축 외장용 태양광기전 모듈
KR200483807Y1 (ko) 디스플레이장치가 구비된 커튼월
KR101135974B1 (ko)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의 지지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건물장착형 태양전지창호
KR101936387B1 (ko) 기와 장착형 태양전지모듈
KR101405555B1 (ko) 건물 일체형 태양광 외장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