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5595B1 -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5595B1
KR102645595B1 KR1020230094083A KR20230094083A KR102645595B1 KR 102645595 B1 KR102645595 B1 KR 102645595B1 KR 1020230094083 A KR1020230094083 A KR 1020230094083A KR 20230094083 A KR20230094083 A KR 20230094083A KR 102645595 B1 KR102645595 B1 KR 102645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t
electrically connected
solar
solar pow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4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행복한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행복한동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행복한동기
Priority to KR1020230094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55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5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6Details of lamella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17Light path control; means to control refl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76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로 마련되며, 광에 의해서 발전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슬랫부; 복수개의 상기 슬랫부의 단부에서 복수개의 상기 슬랫부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복수개의 상기 슬랫부에서 생산되는 상기 전기 에너지를 수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랫부는, 상면에 전극이 설치되는 기판부와, 상기 기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광에 의해서 발전하여 상기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복수개의 태양광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부는, 양 측에 슬라이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태양광모듈은, 상기 기판부의 상기 슬라이드 공간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전극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기판부에 설치되는 제1부와, 상기 제1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2부를 포함하고, 상기 태양광모듈의 단부에는, 상기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은 함몰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에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기 제2부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함몰공간은, 상기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다른 상기 태양광모듈의 상기 함몰공간에 배치됨으로써, 한 쌍의 상기 돌출부가 서로 엇갈리는 형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라인드 슬랫 간의 전기적 연결이 간소화될 수 있으므로, 각각의 블라인드 슬랫이 간섭없이 용이하게 거동될 수 있으며, 블라인드의 설치, 분해 조립, 유지 보수의 용이성이 대폭적으로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SOLAR POWER GENERATING BLIND DEVICE}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라인드 슬랫 간의 전기적 연결이 간소화됨으로써 각각의 블라인드 슬랫이 간섭없이 용이하게 거동될 수 있는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 발전은 발전기의 도움 없이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기술로 환경 친화형 대체 에너지원으로 각광 받고 있다.
태양광 발전 장치는 일반적으로 실외에 설치되는데 실외에 태양광 발전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 문제점이 있다. 먼지, 이물질 등이 태양광 집광판에 정착, 부착됨으로써 태양광 집광판이 오염되는 경우가 그것이다. 이러한 태양광 집광판의 오염 이슈는 태양광 발전의 효율을 크게 떨어트리는 문제를 야기한다.
상술한 문제에 따라 근래에는 태양광 집광판을 실내에 설치하는 여러 방법이 검토된바 있다. 그 중 하나는 창문에 설치되는 블라인드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는 방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31749호는 태양광 발전용 블라인드 날개조립체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상기 공보에 따른 태양광 발전용 블라인드 날개조립체는 태양전지를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태양전지의 개별적인 교체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따른 태양광 발전용 블라인드 날개조립체는 단순히 연결커넥터에 의해 전선부가 고정되어 있는 형태이므로, 복수의 블라인드 날개조립체를 서로 밀착시키거나, 서로 이격시키거나, 회동시키는 경우 전선부가 꼬이거나 단선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3174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블라인드 슬랫 간의 전기적 연결이 간소화됨으로써 각각의 블라인드 슬랫이 간섭없이 용이하게 거동될 수 있는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복수개로 마련되며, 광에 의해서 발전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슬랫부; 복수개의 상기 슬랫부의 단부에서 복수개의 상기 슬랫부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복수개의 상기 슬랫부에서 생산되는 상기 전기 에너지를 수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랫부는, 상면에 전극이 설치되는 기판부와, 상기 기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광에 의해서 발전하여 상기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복수개의 태양광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부는, 양 측에 슬라이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태양광모듈은, 상기 기판부의 상기 슬라이드 공간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전극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기판부에 설치되는 제1부와, 상기 제1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2부를 포함하고, 상기 태양광모듈의 단부에는, 상기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은 함몰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에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기 제2부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함몰공간은, 상기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다른 상기 태양광모듈의 상기 함몰공간에 배치됨으로써, 한 쌍의 상기 돌출부가 서로 엇갈리는 형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복수개의 상기 슬랫부에서 생산된 상기 전기 에너지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고, 복수개의 상기 슬랫부는, 단부에 설치된 상기 연결부를 기준으로 각각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슬랫부의 일측 단부를 마감하며 상기 슬랫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마감부와, 상기 마감부에 설치되며 상기 마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샤프트부와, 상기 샤프트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부를 기준으로 회동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에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랫부는, 상기 샤프트부를 기준으로 상기 마감부가 회동됨에 따라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슬랫부의 일측 단부를 마감하며 상기 슬랫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마감부와, 상기 마감부에 설치되며 상기 마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샤프트부와, 상기 샤프트부에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며 상기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랫부는, 상기 샤프트부를 기준으로 상기 마감부가 회동됨에 따라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한 쌍의 상기 레일부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광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가 구비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블라인드 슬랫 간의 전기적 연결이 간소화될 수 있으므로, 각각의 블라인드 슬랫이 간섭없이 용이하게 거동될 수 있으며, 블라인드의 설치, 분해 조립, 유지 보수의 용이성이 대폭적으로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를 정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의 구성간 전기적인 연결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의 슬랫부와 연결부의 연결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의 슬랫부와 연결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를 정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의 구성간 전기적인 연결을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의 슬랫부와 연결부의 연결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의 슬랫부와 연결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에 차단부가 구비된 것을 정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에 차단부가 구비된 것을 상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의 태양광모듈이 기판부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의 기판부와 태양광모듈을 도시한 것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의 태양광모듈이 기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지금부터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를 정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의 구성간 전기적인 연결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의 슬랫부와 연결부의 연결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의 슬랫부와 연결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의 태양광모듈이 기판부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의 기판부와 태양광모듈을 도시한 것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의 태양광모듈이 기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100)는 전선 방식으로 복수의 슬랫부(110)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으로, 슬랫부(110)와, 연결부(120)와,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슬랫부(110)는 실내에 설치된 형광등, 태양광 등 광에 의해서 발전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으로, 복수개로 마련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며 후술하는 연결부(120)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랫부(110)는 보다 상세하게, 기판부(111)와, 태양광모듈(112)을 포함한다.
기판부(111)는 회로 설계를 근거로 각종 모듈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도체회로를 절연 기판의 표면 또는 내부에 형성한 것으로, 인쇄회로기판, 즉 PCB(Printed Circuit Board)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기판부(111)는 후술하는 태양광모듈(112)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 공간이 형성되며, 설치된 복수개의 태양광모듈(1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면에 복수개의 전극(111a)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슬라이드 공간이 형성되는 기판부(111)에 따르면, 기판부(111)와 태양광모듈(112)이 매우 용이하게 분리, 결합될 수 있게되는 바, 블라인드의 조립 및 기판부(111)의 유지 보수의 용이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태양광모듈(112)은 실내에 설치된 형광등, 태양광 등 광에 의해 발전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으로, 태양전지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결하여 결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태양광모듈(112)은 복수개로 마련되어 기판부(111)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어 순차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태양광모듈(112)은 전기적으로 내부 회로가 구성되어 있는 기판부(111)에 설치되는 바, 이에 따르면 태양광모듈(112) 간의 별도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구성이 불필요하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복수의 태양광모듈(112) 또는 태양광모듈(112) 내 복수의 태양전지는 직렬 연결방식, 병렬 연결방식 또는 직·병렬 복합 연결방식으로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렬 연결방식의 경우 복수의 태양광모듈(112) 및 태양광모듈(112) 내 복수의 태양전지 모두 직렬 연결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직·병렬 복합 연결방식의 경우 태양광모듈(112) 내 복수의 태양전지는 직렬 연결방식으로 연결되고, 복수의 태양광모듈(112)은 병렬 연결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어느 하나의 태양광모듈(112)에 그늘이 발생되는 경우, 나머지 태양광모듈(112)은 상호 병렬연결되어 있는 바, 그늘이 발생된 태양광모듈(112)만이 전압강하가 발생될 뿐, 나머지 태양광모듈(112)은 전압강하는 발생되지 않아,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발전 효율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모듈(112)은 보다 상세하게, 제1 태양광모듈(112a)과, 제2 태양광모듈(112b)을 포함한다.
제1 태양광모듈(112a)은 기판부(111)의 일측 단부 및/또는 타측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기판부(111)의 상면에 형성된 전극(111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돌출부(112c)가 일측 단부에 형성된다.
제2 태양광모듈(112b)은 한 쌍의 제1 태양광모듈(112a) 사이의 기판부(111)에 설치되는 것으로, 기판부(111)의 상면에 형성된 전극(111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돌출부(112c)가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태양광모듈(112)은 기 설정된 사이즈로 모듈화될 수 있는데, 태양광모듈(112)이 기판부(111)에 설치되는 경우 기판부(111)의 길이에 따라 한 쌍의 제1 태양광모듈(112a)만이 기판부(111)에 설치되거나, 한 쌍의 제1 태양광모듈(112a)과 하나의 제2 태양광모듈(112b)이 기판부(111)에 설치되거나, 한 쌍의 제1 태양광모듈(112a)과 복수의 제2 태양광모듈(112b)이 기판부(111)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태양광모듈(112a)과 제2 태양광모듈(112b)은 각각 12V의 규격과 300㎜의 사이즈로 모듈화될 수 있는데, 이에 따르면 기판부(111)의 길이에 상관 없이 태양광모듈(112)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태양광모듈(112a)의 돌출부(112c), 또는 제1 태양광모듈(112a)의 돌출부(112c)와 제2 태양광모듈(112b)의 돌출부(112c)는 서로 엇갈리는 형태로 기판부(111)에 설치될 수 있으며, 기판부(111)의 상면에 형성된 전극(111a)은 일부분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데 각 돌출부(112c)는 이러한 전극(111a)의 돌출 형성된 일부분에 끼움결합됨으로써 태양광모듈(112)이 기판부(111)에 용이하게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된 후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술한 기판부(111)와 태양광모듈(112)을 포함하는 슬랫부(110)는 가로형 블라인드 형태가 아닌, 세로형 블라인드, 즉 버티칼 블라인드 형태로 마련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연결부(120)는 복수개의 슬랫부(110)의 단부에서 복수개의 슬랫부(110)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제어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태양광모듈(112)에서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제어부(130)로 전달하며, 제어부(130)가 태양광모듈(112)을 제어, 모니터링 하게 한다. 또한, 연결부(120)는 복수개의 슬랫부(110)를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20)는 보다 상세하게, 마감부(121)와, 샤프트부(122)와, 회동부(123)와, 전선부(124)를 포함한다.
마감부(121)는 슬랫부(110)의 일측 또는 타측 단부를 마감하며 슬랫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태양광모듈(112)과 마찬가지로 기판부(111)의 슬라이드 공간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어 설치됨으로써 슬랫부(110)의 일측 또는 타측 단부를 마감한다.
이러한 마감부(121)는 보다 상세하게, 베이스모듈(121a)과, 확장전극(121b)과, 고정모듈(121c)을 포함한다.
베이스모듈(121a)은 기판부(111)의 슬라이드 공간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어 설치됨으로써 슬랫부(110)의 일측 또는 타측 단부를 마감하는 것으로, 외면에는 후술하는 샤프트부(122)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는 삽입홀(I)이 형성되고, 내부에 후술하는 확장전극(121b)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확장전극(121b)과 샤프트부(122)가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설치공간(R)이 형성되며, 내부에 후술하는 고정모듈(121c)이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된다.
확장전극(121b)은 태양광모듈(112), 즉 제1 태양광모듈(112a)과 후술하는 샤프트부(122)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으로, 베이스모듈(121a)의 설치공간(R)에 설치되어 샤프트부(122)와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고정모듈(121c)은 확장전극(121b)이 베이스모듈(121a)의 설치공간(R)에 배치된 상태에서 확장전극(121b)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베이스모듈(121a)의 내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된다.
샤프트부(122)는 베이스모듈(121a)의 삽입홀(I)에 설치되어 확장전극(121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전도성을 가진 물질로 형성되어 태양광모듈(112)로부터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후술하는 전선부(124)로 전달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회동부(123) 및 마감부(121)가 설치된 슬랫부(110)가 회동될 때의 회동축 역할을 한다. 즉, 슬랫부(110)는 샤프트부(122)를 기준으로 마감부(121)가 회동됨에 따라 회동될 수 있다.
회동부(123)는 샤프트부(12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샤프트부(122)를 기준으로 회동되는 것으로, 정면에는 샤프트부(122)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되며, 양 측면에는 후술하는 전선부(124)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된다.
이러한 회동부(123)는 복수개의 슬랫부(110)의 간격이 전체적으로 이격됨으로써(즉, 블라인드를 펼침으로써) 전선부(124)에 장력이 인가되어 인장되거나, 복수의 슬랫부(110)의 간격이 전체적으로 밀착됨으로써(즉, 블라인드를 접음으로써) 전선부(124)가 접히는 경우의 각 경우에 맞추어 적절하게 회동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회동부(123)에 따르면 블라인드를 접거나 펼치는 경우 전선부(124)가 단선되거나 꼬이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전선부(124)는 회동부(123)에 설치되어 샤프트부(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하의 슬랫부(110)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상·하의 슬랫부(110)에서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전달받아 후술하는 제어부(13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선부(124)는 슬랫부(110)의 동작에 따라 장력이 인가, 해제되는 경우에 대응될 수 있도록 유연할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마감부(121)와, 샤프트부(122)와, 회동부(123)와, 전선부(124)를 포함하는 연결부(120)에 따르면, 블라인드 슬랫 간의 전기적 연결이 간소화되어 각각의 블라인드 슬랫이 용이하게 회동될 수 있으며, 블라인드 설치, 분해 조립, 유지 보수의 용이성이 대폭적으로 증대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슬랫부(110)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수집하며 태양광모듈(112)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연결부(120)를 통해 복수개의 태양광모듈(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어부(130)는 태양광모듈(112)과 동일한 모양 및 면적으로 마련되어 최상측의 태양광모듈(112)이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으며,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100)의 상측에 별도의 모듈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태양광모듈(112)에서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수집하여 배터리(미도시)에 저장하며, 태양광모듈(112)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태양광모듈(112)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또한,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100)의 상측에는 복수의 슬랫부(110)를 지지하는 지지부(10)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지지부(10)에는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11)가 설치될 수 있다. 모터(11)는 복수개의 슬랫부(110)를 연결하는 스트링이 권취되어 있는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모터(11)가 작동하면 스트링이 미소하게 권취되거나 권출됨에 따라 복수개의 슬랫부(110)의 자세가 변화되어 차양 효과가 세밀하게 조절될 수 있고, 스트링이 연속적으로 권취되거나 궐출되는 경우 복수개의 슬랫부(110)의 간격이 전체적으로 밀착되거나 이격되어 차양 효과가 크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의 단말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통신모듈이 설치될 수 있고 외부의 단말장치에는 태양광 발전 상황의 모니터링, 슬랫부(110)의 제어, 기록된 정보의 통계 표시 등이 가능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외부의 네크워크에 접속하여 제어부(130)의 프로그램 업데이트, 펌웨어 업데이트 등을 가능하게 하며, 제어부(130)의 고유 시리얼 넘버를 읽어 정품 인증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30) 및 외부 단말장치에 따르면, 슬랫부(110)의 모니터링 및 제어가 원격으로 구현되므로 블라인드 사용자의 편의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슬랫부(110)의 전기 에너지 생산량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하여 모터(11)를 구동시킴으로써 슬랫부(110)의 자세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태양광이 슬랫부(110)로 조사되는 각도에 따라 슬랫부(110)에서 생산되는 전기 에너지 양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생산되는 전기 에너지 양이 감소하는 경우에는 슬랫부(110)의 자세가 조절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술한 제어부(130)의 슬랫부(110) 자세 제어는 복수개의 슬랫부(110) 중 가장 전기생산량이 많은 어느 하나의 슬랫부(110)의 자세에 기초하여 나머지 복수개의 슬랫부(110)의 자세를 조절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통신모듈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함으로써 네트워크로부터 전달되는 시간정보에 따른 해당지역의 태양의 고도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는데, 제어부(130)는 이 정보를 이용하여 모터(11)를 구동시킴으로써 슬랫부(110)의 자세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시간정보에 따른 해당지역의 태양의 고도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130)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정보일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부(130)의 제어 과정에 따르면, 슬랫부(110)의 전기 에너지 생산 효율이 최대화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외부 전원과의 연결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 알림(에플리케이션으로도 알림 전달)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130)가 외부 전원과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슬랫부(110)에서 생산되는 전기 에너지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술한 제어부(130)에 따르면, 슬랫부(110)의 전기 에너지 생산량이 감소되거나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전기 에너지 생산량이 최대화되는 각도까지 슬랫부(110)의 자세가 변화되도록 모터(11)가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어, 슬랫부(110)의 전기 에너지 생산 효율이 최대화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슬랫부(110)와, 연결부(120)와, 제어부(13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100)에 따르면, 블라인드 슬랫 간의 전기적 연결이 간소화될 수 있으므로, 각각의 블라인드 슬랫이 간섭없이 용이하게 거동될 수 있으며, 블라인드의 설치, 분해 조립, 유지 보수의 용이성이 대폭적으로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금부터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를 정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의 구성간 전기적인 연결을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의 슬랫부와 연결부의 연결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의 슬랫부와 연결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에 차단부(225)가 구비된 것을 정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에 차단부(225)가 구비된 것을 상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의 태양광모듈이 기판부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의 기판부와 태양광모듈을 도시한 것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의 태양광모듈이 기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200)는 레일(Rail) 방식으로 복수의 슬랫부(110)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으로, 슬랫부(110)와, 연결부(220)와,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슬랫부(110)는 실내에 설치된 형광등, 태양광 등 광에 의해서 발전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으로, 복수개로 마련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며 후술하는 연결부(220)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슬랫부(110)의 이하의 내용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100)의 것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연결부(220)는 복수개의 슬랫부(110)의 단부에서 복수개의 슬랫부(110)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제어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태양광모듈(112)에서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제어부(130)로 전달하며, 제어부(130)가 태양광모듈(112)을 제어, 모니터링 하게 한다. 또한, 연결부(220)는 복수개의 슬랫부(110)를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20)는 보다 상세하게, 마감부(221)와, 샤프트부(222)와, 접촉부(223)와, 레일부(224)와, 차단부(225)를 포함한다.
마감부(221)는 슬랫부(110)의 일측 또는 타측 단부를 마감하며 슬랫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태양광모듈(112)과 마찬가지로 기판부(111)의 슬라이드 공간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어 설치됨으로써 슬랫부(110)의 일측 또는 타측 단부를 마감한다.
이러한 마감부(221)는 보다 상세하게, 베이스모듈(221a)과, 확장전극(221b)과, 고정모듈(221c)을 포함한다.
베이스모듈(221a)은 기판부(111)의 슬라이드 공간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어 설치됨으로써 슬랫부(110)의 일측 또는 타측 단부를 마감하는 것으로, 외면에는 후술하는 샤프트부(222)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는 삽입홀(I)이 형성되고, 내부에 후술하는 확장전극(221b)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확장전극(221b)과 샤프트부(222)가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설치공간(R)이 형성되며, 내부에 후술하는 고정모듈(221c)이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된다.
확장전극(221b)은 태양광모듈(112), 즉 제1 태양광모듈(112a)과 후술하는 샤프트부(222)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으로, 베이스모듈(221a)의 설치공간(R)에 설치되어 샤프트부(222)와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고정모듈(221c)은 확장전극(221b)이 베이스모듈(221a)의 설치공간(R)에 배치된 상태에서 확장전극(221b)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베이스모듈(221a)의 내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된다.
샤프트부(222)는 베이스모듈(221a)의 삽입홀(I)에 설치되어 확장전극(221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전도성을 가진 물질로 형성되어 태양광모듈(112)로부터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후술하는 접촉부(223)로 전달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마감부(221)가 설치된 슬랫부(110)가 회동될 때의 회동축 역할을 한다. 즉, 슬랫부(110)는 샤프트부(222)를 기준으로 마감부(221)가 회동됨에 따라 회동될 수 있다.
접촉부(223)는 샤프트부(222)에 설치되어 샤프트부(2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후술하는 레일부(224)에 삽입되는 것으로, 이러한 접촉부(223)는 전도성을 가진 물질로 형성되고, 후술하는 레일부(224)의 내부 전도판(E)에 접촉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접촉 단자가 연장 형성되되 절곡되어 형성되며, 가운데 부분에는 샤프트부(222)에 걸림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걸림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접촉부(223)는 복수개의 슬랫부(110)의 간격이 전체적으로 이격되거나(즉, 블라인드를 펼치거나), 복수개의 슬랫부(110)의 간격이 전체적으로 밀착되는(즉, 블라인드를 접는) 경우의 각 경우에 맞추어 레일부(224) 내에서 상하로 적절하게 이동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접촉부(223)에 따르면 전선을 이용하지 않게 되므로 전선이 단선되거나 꼬이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으며, 블라인드를 용이하게 접거나 펼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레일부(224)는 일측에 접촉부(223)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삽입공간(S1)을 제공하는 것으로, 접촉부(2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하의 슬랫부(110)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하의 슬랫부(110)에서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전달받아 후술하는 제어부(13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레일부(224)의 제1 삽입공간(S1)에는 길이방향으로 전도성을 가진 전도판(E)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전도판(E)에 상술한 접촉부(223)의 접촉 단자가 접촉됨으로써 접촉부(223)와 레일부(224)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한편, 레일부(224)는 타측에 후술하는 차단부(225)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삽입공간(S2)을 제공한다.
차단부(225)는 본 발명의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 사이를 통해 외부의 광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 서로 다른 한 쌍의 레일부(224) 사이에 설치된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차단부(225)는 양 단부에 걸림돌기(225a)가 형성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차단부(225)는 레일부(224)의 제2 삽입공간(S2)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된 후 걸림돌기(225a)에 의해 제2 삽입공간(S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음으로써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 사이에서 외부의 광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마감부(221)와, 샤프트부(222)와, 접촉부(223)와, 레일부(224)와, 차단부(225)를 포함하는 연결부(220)에 따르면, 블라인드 슬랫 간의 전기적 연결이 간소화되어 각각의 블라인드 슬랫이 용이하게 회동될 수 있으며, 블라인드 설치, 분해 조립, 유지 보수의 용이성이 대폭적으로 증대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슬랫부(110)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수집하며 태양광모듈(112)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연결부(220)를 통해 복수개의 태양광모듈(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부(130)의 이하의 내용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100)의 것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슬랫부(110)와, 연결부(220)와, 제어부(13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200)에 따르면, 블라인드 슬랫 간의 전기적 연결이 간소화될 수 있으므로, 각각의 블라인드 슬랫이 간섭없이 용이하게 거동될 수 있으며, 블라인드의 설치, 분해 조립, 유지 보수의 용이성이 대폭적으로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
10 : 지지부
11 : 모터
110 : 슬랫부
111 : 기판부
111a : 전극
112 : 태양광모듈
112a : 제1 태양광모듈
112b : 제2 태양광모듈
112c : 돌출부
120 : 연결부
121 : 마감부
121a : 베이스모듈
I : 삽입홀
R : 설치공간
121b : 확장전극
121c : 고정모듈
122 : 샤프트부
123 : 회동부
124 : 전선부
130 : 제어부
200 :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
220 : 연결부
221 : 마감부
221a : 베이스모듈
I : 삽입홀
R : 설치공간
221b : 확장전극
221c : 고정모듈
222 : 샤프트부
223 : 접촉부
224 : 레일부
E : 전도판
S1 : 제1 삽입공간
S2 : 제2 삽입공간
225 : 차단부
225a : 걸림돌기

Claims (6)

  1. 복수개로 마련되며, 광에 의해서 발전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슬랫부;
    복수개의 상기 슬랫부의 단부에서 복수개의 상기 슬랫부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복수개의 상기 슬랫부에서 생산되는 상기 전기 에너지를 수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랫부는,
    상면에 전극이 설치되는 기판부와, 상기 기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광에 의해서 발전하여 상기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복수개의 태양광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부는,
    양 측에 슬라이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태양광모듈은,
    상기 기판부의 상기 슬라이드 공간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전극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기판부에 설치되는 제1부와, 상기 제1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제2부를 포함하고,
    상기 태양광모듈의 단부에는,
    상기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은 함몰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에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기 제2부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함몰공간은,
    상기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다른 상기 태양광모듈의 상기 함몰공간에 배치됨으로써, 한 쌍의 상기 돌출부가 서로 엇갈리는 형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복수개의 상기 슬랫부에서 생산된 상기 전기 에너지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고,
    복수개의 상기 슬랫부는,
    단부에 설치된 상기 연결부를 기준으로 각각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슬랫부의 일측 단부를 마감하며 상기 슬랫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마감부와, 상기 마감부에 설치되며 상기 마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샤프트부와, 상기 샤프트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부를 기준으로 회동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에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랫부는,
    상기 샤프트부를 기준으로 상기 마감부가 회동됨에 따라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슬랫부의 일측 단부를 마감하며 상기 슬랫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마감부와, 상기 마감부에 설치되며 상기 마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샤프트부와, 상기 샤프트부에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며 상기 접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랫부는,
    상기 샤프트부를 기준으로 상기 마감부가 회동됨에 따라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서로 다른 한 쌍의 상기 레일부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광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
  6. 삭제
KR1020230094083A 2023-07-19 2023-07-19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 KR102645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4083A KR102645595B1 (ko) 2023-07-19 2023-07-19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4083A KR102645595B1 (ko) 2023-07-19 2023-07-19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5595B1 true KR102645595B1 (ko) 2024-03-08

Family

ID=90235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4083A KR102645595B1 (ko) 2023-07-19 2023-07-19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559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1749A (ko) 2017-06-01 2018-12-11 (주)엘지하우시스 태양광 발전용 블라인드 날개조립체
CN110094153A (zh) * 2019-05-08 2019-08-06 吴祖荣 一种建筑光伏百叶窗
KR20210076860A (ko) * 2019-12-16 2021-06-24 (주)엘지하우시스 태양전지 패널이 장착 가능한 루버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1749A (ko) 2017-06-01 2018-12-11 (주)엘지하우시스 태양광 발전용 블라인드 날개조립체
CN110094153A (zh) * 2019-05-08 2019-08-06 吴祖荣 一种建筑光伏百叶窗
KR20210076860A (ko) * 2019-12-16 2021-06-24 (주)엘지하우시스 태양전지 패널이 장착 가능한 루버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6065B1 (ko) 태양광 발전용 블라인드 날개조립체
WO2018221873A1 (ko) 태양광 발전용 블라인드
US8678069B2 (en) Photovoltaic blind window
KR102233075B1 (ko) 태양광 발전용 루버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루버창
JP7146602B2 (ja) 太陽電池ブラインド
KR100735101B1 (ko) 단자박스가 일체화된 발코니형 태양전지모듈
KR20210009039A (ko) 태양광 모듈이 장착 가능한 루버 조립체
TWM336989U (en) Photoelectric power device for slat door
KR20130102287A (ko) 태양광발전 미닫이 창호
KR20110087202A (ko)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및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가 구비된 창
KR102645595B1 (ko)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장치
US10903787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a universal module junction box
CN107864685A (zh) 通用光伏层压板
KR102152986B1 (ko) 직병렬 복합 연결 방식의 태양광 발전 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 블라인드 장치
CN105781386A (zh) 一种百叶窗
KR101316232B1 (ko) 시스템 창호
CN209244490U (zh) 一种太阳能蓄能型直条式电动百叶
KR102066421B1 (ko) 전기적 연결구조가 간소화된 태양광 블라인드 장치
KR101120031B1 (ko) 태양광 발전 겸용 커튼 장치
CN108999554A (zh) 一种太阳能蓄能型直条式电动百叶
KR101180122B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미닫이 도어 조립체
US11905757B2 (en) Photoelectric window blinds
KR20190000650U (ko) 태양전지모듈
KR102206062B1 (ko) 태양광 발전용 블라인드 날개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CN209244489U (zh) 一种太阳能蓄能型翻片式电动百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