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650U - 태양전지모듈 - Google Patents

태양전지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650U
KR20190000650U KR2020170004670U KR20170004670U KR20190000650U KR 20190000650 U KR20190000650 U KR 20190000650U KR 2020170004670 U KR2020170004670 U KR 2020170004670U KR 20170004670 U KR20170004670 U KR 20170004670U KR 20190000650 U KR20190000650 U KR 201900006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sheet
solar cell
terminal block
cel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6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9603Y1 (ko
Inventor
김경주
Original Assignee
김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주 filed Critical 김경주
Priority to KR20201700046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603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6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6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6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6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45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including thin film solar cells, e.g. single thin film a-Si, CIS or CdTe solar cells
    • H01L31/046PV module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hin film solar cells deposited on the same substrate
    • H01L31/0465PV module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hin film solar cells deposited on the same substrate comprising particular structures for the electrical interconnection of adjacent PV cells in the mod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9Protective back she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5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 H01L31/0504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specially adapted for series or parallel connection of solar cells in a modu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생산 방해요소 존재시 해당 쏠라셀의 직렬군만 전기생산이 중지되게 회로구성한 태양전지모듈로서, 쏠라셀과 백시트 사이에 제2단자대와 하단버스바를 서로 연결시키도록 복수개의 연결버스바가 구비된 버스바시트가 설치된 태양전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상부패널(10) 및 백시트(15); 상기 상부패널(10)과 백시트(15) 사이에 배치되고 설정된 개수의 직렬군으로 구성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쏠라셀(20); 상기 쏠라셀(20)을 이루는 직렬군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연결하는 상단버스바(30) 및 하단버스바(35); 상기 상단버스바(30)와 연결되는 제1단자대(41)가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제1단자대(41)의 사이마다 하나씩 제2단자대(42)가 설치되며, 제1단자대(41)와 제2단자대(42)를 서로 연결하도록 바이패스 다이오드(43)가 설치된 정션박스(40);로 이루어진 태양전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쏠라셀(20)의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EVA시트(11,16)가 설치되고, 상기 쏠라셀(20)의 하측에 설치되는 EVA시트(16)와 백시트(15) 사이에는 상기 하단버스바(35)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단자대(42)에 연결되는 연결버스바(51)가 복수개 구비된 버스바시트(50)가 설치되며, 상기 버스바시트(50)와 백시트(15)의 사이에는 버스바시트(50)의 고정을 위해 버스바시트(50)의 면적보다 큰 면적으로 버스바시트용 EVA시트(60)가 설치된다.

Description

태양전지모듈{solar cell modules}
본 고안은 전기생산 방해요소 존재시 해당 쏠라셀의 직렬군만 전기생산이 중지되게 회로구성한 태양전지모듈로서, 쏠라셀과 백시트 사이에 하단버스바와 제2단자대를 서로 연결시키도록 복수개의 연결버스바가 구비된 버스바시트가 설치된 태양전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태양전지는 P-N 접합 반도체 셀을 이용하여 광기전력을 발생시킨 후, 이 셀 들을 용량에 맞춰서 모듈 형태로 만들고, 일정용량의 모듈들을 서로 연결하는 회로로 직렬, 또는 병렬 연결하는 방법으로 어레이를 구성하게 되어 있다.
태양전지 모듈에서 생산된 전기를 시스템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각 태양전지 셀에 직렬로 연결된 최소 직렬군(스트링,String)과 정션박스(Junction box)에 버스바(Bus bar)를 매개로 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게 된다.
기존의 일반적인 정션박스는 태양전지 모듈 1장당 모듈 중앙 상부 뒷면에 1개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여러개의 태양전지 셀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게 회로를 구성한 태양전지 모듈은 전기생산을 방해하는 요소(그림자, 나뭇잎, 새 배설물, 황사먼지, 셀 내부불량 등)가 셀을 보호하는 앞면유리에 존재하는 경우, 그 방해요소 아래에 있는 셀은 햇빛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변환시 저항체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전기생산을 방해하여 결국 상당량의 발전손실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오염된 유리 아래에 있는 해당 셀에 연결되어 있는 앞,뒤 셀에서 발생된 전기가 해당 셀에서 원활히 흐르지 못함에 따라 저항이 열로 변하게 되고, 이로 인해 해당 셀에 열점(Hot Spot)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셀 기능이 파손되어져 전기 생산손실이 발생됨은 물론 심할 경우에는 해당 모듈에서 전기생산이 불가능하게 되어 전기생산이 중지될 수도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현재 시판되는 태양전지 모듈은 전기생산을 방해하는 발전 조건에서 생산된 전기를 내부에 연결된 다른 회로(인접 Bus Bars)로 흘러 발전이 되도록 바이패스 다이오드(Bypass Diode)를 사용하여 태양전지 모듈을 보호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렇게 바이패스 다이오드를 사용하게 되면, 전기생산을 방해하는 요소로부터 태양전지의 해당 셀을 부분적으로 보호하고 생산되는 전기의 손실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해당 셀의 열점(Hot Spot) 발생을 임시적으로 예방하여 셀의 수명연장과 더불어 모듈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바이패스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회로구성한 태양전지모듈이 특허등록 제10-1039050호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기술로서, 1개의 직렬군에 존재하는 셀 중 어느 하나의 셀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에 해당 셀이 설치된 직렬군에서의 전기생산이 중지되게 회로구성한 기술이다.
상기 기술에서 1개의 정션박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태양전지모듈의 백시트 하면에 노출된 상태로 하단버스바와 연결되도록 별도의 버스바를 설치한 후 이 버스바를 정션박스의 단자대에 연결하여야만 하였으며, 서브 정션박스를 설치하더라도 서브 정션박스와 정션박스를 별도의 케이블로 연결하여야만 하였다.
이에 따라, 태양전지모듈의 하면에는 졍션박스와 연결되는 버스바나 서브정션박스가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됨으로써 외관이 미려하지 않고, 장기간 사용에 따른 노화 등으로 인한 파손 및 방수기능이 손상되어 유지보수비용의 증가를 가져 왔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태양전지모듈의 하면에 케이블을 노출시키지 않고, 태양전지모듈의 제작시 쏠라셀 간에 버스바를 배열하여 제작하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으나, 태양전지모듈의 제작시에 쏠라셀 각각의 사이에 얇고 길게 형성된 버스바를 배열하기가 쉽지 않고, 버스바가 쉽게 꼬이는 등 제작상에 문제가 많았으며, 버스바가 꼬인 상태로 태양전지모듈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태양광모듈의 진공 압착과정에서 셀의 깨짐 및 쇼트의 우려가 있는 등 제품불량이나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하지 못하였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39050호(2011.05.30, 태양전지 모듈용 정션박스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방법)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태양전지모듈의 제작시 쏠라셀과 백시트의 사이 정확하게는 쏠라셀의 하측에 구비된 EVA시트와 백시트 사이에 버스바시트를 구비함으로써 연결버스바의 외부노출을 차단하면서 하단버스바와 제2단자대를 쉽게 연결할 수 있어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면서도 연결버스바의 연결작업이 쉽고 편리하며, 또한 연결버스바의 꼬임에 따른 셀의 파손 및 쇼트 불량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태양전지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태양전지모듈은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상부패널(10) 및 백시트(15); 상기 상부패널(10)과 백시트(15) 사이에 배치되고 설정된 개수의 직렬군으로 구성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쏠라셀(20); 상기 쏠라셀(20)을 이루는 직렬군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연결하는 상단버스바(30) 및 하단버스바(35); 상기 상단버스바(30)와 연결되는 제1단자대(41)가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제1단자대(41)의 사이마다 하나씩 제2단자대(42)가 설치되며, 제1단자대(41)와 제2단자대(42)를 서로 연결하도록 바이패스 다이오드(43)가 설치된 정션박스(40);로 이루어진 태양전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쏠라셀(20)의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EVA시트(11,16)가 설치되고, 상기 쏠라셀(20)의 하측에 설치되는 EVA시트(16)와 백시트(15) 사이에는 상기 하단버스바(35)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단자대(42)에 연결되는 연결버스바(51)가 복수개 구비된 버스바시트(50)가 설치되며, 상기 버스바시트(50)와 백시트(15)의 사이에는 버스바시트(50)의 고정을 위해 버스바시트(50)의 면적보다 큰 면적으로 버스바시트용 EVA시트(6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버스바시트(50)는, 상기 하단버스바(35)와 제2단자대(42)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고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연결버스바(51)와, 상기 연결버스바(51)의 상하부에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어 상호 접착을 통해 복수개의 연결버스바(51)를 고정하는 2개의 절연시트(5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단자대(42)에 연결되는 연결버스바(51)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2개의 상기 절연시트(52)의 일측은 상기 연결버스바(51)를 감싸 보강하도록 일정 길이 돌출되게 보강부(52a)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스바시트(50)는, 상기 하단버스바(35)와 제2단자대(42)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고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연결버스바(51)와, 복수개의 상기 연결버스바(51) 각각이 삽입 통과하여 양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관통홀(53a)이 형성된 버스바튜브(5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태양전지모듈에 따르면, 쏠라셀의 하측에 구비된 EVA시트와 백시트의 사이에 버스바시트가 구비됨으로써 연결버스바의 외부노출이 차단되어 미려한 외관을 제공함은 물론, 연결버스바의 연결작업이 쉽고 편리하며, 또한 연결버스바의 배열작업이 필요하지 않음에 따라 버스바의 꼬임이나 휨 및 쇼트 우려가 없을 뿐더러 작업시간 단축 및 작업상의 불편함을 없앨 수 있음으로써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게 됨은 물론,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에서 버스바시트의 일 실시예의 제조과정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에서 버스바시트의 다른 실시예의 제조과정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태양전지모듈은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상부패널(10) 및 백시트(15)과, 상기 상부패널(10)과 백시트(15) 사이에 배치되고 설정된 개수의 직렬군으로 구성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쏠라셀(20)과, 상기 쏠라셀(20)을 이루는 직렬군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연결하는 상단버스바(30) 및 하단버스바(35)와, 상기 쏠라셀(20)에서 생산된 전기를 집결시키기 위해 설치되고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설치된 정션박스(40)와, 상기 쏠라셀(20)과 백시트(15)의 사이에 설치되는 버스바시트(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백시트(15)의 상면에는 상기 버스바시트(50)의 고정을 위해 버스바시트용 EVA시트(60)가 설치된다.
첨부된 도 1은 일 실시예의 쏠라셀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쏠라셀(20)은 10개의 셀이 하나의 직렬군을 이루고, 이 직렬군이 4개가 구비되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4*10으로 된 쏠라셀로 구성하였다.
상기 상부패널(10)과 백시트(15)과 쏠라셀(20)과 상단버스바(30)와 하단버스바(35) 및 정션박스(40)로 된 태양전지모듈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고,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쏠라셀(20)의 상측과 하측에는 쏠라셀의 고정을 위해 각각 EVA시트(11,16)가 구비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는 여기에 더하여 상기 정션박스(40)의 내부에 상기 상단버스바(30)와 연결되는 제1단자대(41)가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단자대(41)의 사이마다 하나씩 제2단자대(4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단자대(41)와 제2단자대(42)를 서로 연결하도록 바이패스 다이오드(4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버스바시트(50)는 상기 쏠라셀과 백시트의 사이, 정확하게는 쏠라셀의 하측에 구비된 EVA시트(16)와 백시트(15)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버스바시트(50)는 상기 하단버스바(35)와 제2단자대(42)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게 복수개의 연결버스바(5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연결버스바(51)는 그 연결버스바의 상하부에서 각각 상호 접착되는 절연시트(52)에 의해 양단부만이 노출된 상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절연시트(52)는 내측에 2~5개 정도의 상기 연결버스바(51)가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2~5개 정도의 연결버스바(51)를 감싸 고정할 수 있는 정도의 면적이면 충분하므로 절연시트(52)의 길이는 상기 쏠라셀(20)의 직렬군의 길이와 동일 또는 직렬군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고, 절연시트(52)의 폭은 상기 쏠라셀(20)의 중앙부분에 연결버스바(51)의 개수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하면 된다.
상기 절연시트(52)의 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연결버스바(51)가 구비된 경우에는 2개의 연결버스바의 간격을 제2단자대의 간격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형성되게 최소한 제2단자대의 간격보다는 큰 폭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절연시트(52)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접착제가 구비되어 있는 시트로서, 내측에 상기 연결버스바(51)가 구비된 채로 상호 접착되어 버스바시트(50)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버스바(51)는 상기 정션박스(40)의 제2단자대(42)와 동일 개수로 구비되고, 제2단자대(42)의 간격과 동일 유사한 간격으로 구비되도록 하여 버스바시트(50)를 설치한 상태에서 연결버스바(51)를 쉽게 제2단자대(42)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상기 연결버스바(51)는 제2단자대(42)의 간격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형성됨으로써 태양전지모듈의 제작시 연결버스바(51)의 연결작업을 보다 단시간내에 손쉽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절연시트(52)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단자대(42)에 연결되는 연결버스바(51)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부분은 연결버스바(51)를 감싸 보강하도록 일정 길이 돌출되게 보강부(52a)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52a)는 상기 제2단자대(42)와의 연결을 위해 상기 연결버스바(51)를 구부린 경우에 구부러진 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제작 작업 중 부주의로 인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강부(52a)의 형성으로 인해 상기 정션박스의 제1단자대와 제2단자대에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상단버스바(30)와 연결버스바(51)가 서로 접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쇼트 우려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연결버스바(51)를 2개의 절연시트 사이에 구비한 상태로 접착시켜 고정하는 이유는, 연결버스바(51)가 얇고 가는 도선으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연결버스바(51)를 낱개로 하나씩 구비하여 쏠라셀 사이에 배치하여 양단을 하단버스바(35)와 제2단자대(42)에 연결하는 과정에서 쉽게 꼬아지거나 굴곡 또는 휘어지는 경우가 다반사이고, 납땜 등의 작업시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진 경우에는 원하는 정션박스의 제2단자대 위치에 연결버스바를 배치하지 못하고 인접되는 버스바(상단버스바)와 쇼트가 발생되는 등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발생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고, 연결버스바의 연결작업을 효과적이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더욱이, 상기 버스바시트(50)는 내부에 복수개의 연결버스바(51)가 절연시트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한 장의 시트 형태로 구비임에 따라 쉽고 편리하게 태양전지모듈을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 제조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버스바시트용 EVA시트(60)는 진공 라미네이팅하는 경우에 상기 버스바시트(50)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버스바시트(50)의 폭과 길이보다 약간 크게 제작되면 충분하다. 예로서, 버스바시트용 EVA시트(60)의 폭은 버스바시트의 폭보다 2배 이내의 크기로 제작하여 제조비용을 줄이면서도 상기 버스바시트용 EVA시트(60)를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태양전지모듈의 제조과정을 보면,
버스바시트(50)를 제작하기 위해, 절연시트(52)의 상면에 연결버스바(51)를 설치하고자 하는 개수만큼 올려놓되, 연결버스바(51)의 양단부를 외부로 노출되게 올려놓은 후 그 상면에 다른 하나의 절연시트(52)를 구비하여 절연시트 간에 상호 접착시켜 버스바시트(50)를 제작한다.
그리고 나서 백시트(15)의 상면 중앙부분에 버스바시트용 EVA시트(60)를 올려놓고, 그 위에 상기 버스바시트(50)를 올려놓는다.
이후, 버스바시트(50)와 백시트(15)의 상면에 EVA시트(16)를 올려놓고, 그 위에 복수개의 직렬군으로 된 쏠라셀(20)을 올려놓은 후 쏠라셀(20)의 직렬군에 각 셀을 연결하도록 구비된 리본과 연결되게 상단버스바(30)와 하단버스바(35)를 연결하며, 하단버스바(35)에는 상기 버스바시트(50)에 구비된 연결버스바(51)의 일단부를 납땜 등으로 연결한다.
이후, 상기 쏠라셀의 상측에 EVA시트(11)와 상부패널(10)을 차례로 올려놓고 쏠라셀의 파손방지를 위해 고온 진공 라이네이팅하여 압착하고, 그 후에는 가장자리에 프레임 등의 마감재를 실리콘과 같은 접착제로 접착시켜 태양전지모듈을 제조한다.
이때, 각각의 쏠라셀의 리본과 연결된 다수개의 상단버스바(30)의 일단과 상기 버스바시트(50)의 연결버스바(51)의 타단부를 외부로 노출되게 한 상태로 마감재로 마감하도록 한다. 상기 상단버스바와 연결버스바는 백시트를 관통시켜 외부로 돌출되게 구비한 후 마감재로 마감하면 된다.
여기서, 상기 작업과정을 역으로 하여 상부패널을 바닥에 뒤집어 놓고, 그 위에 EVA시트(11) -> 쏠라셀(20) -> EVA시트(16) -> 버스바시트(50) -> 버스바시트용 EVA시트(60) -> 백시트(15) 순으로 작업할 수도 있다.
이렇게 제작된 태양전지모듈의 백시트(15)의 외표면에 위치되게 정션박스(40)를 설치하고, 태양전지모듈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상단버스바(30)의 일단을 제1단자대(41)에 연결하고, 연결버스바(51)의 타단부를 제2단자대(42)에 연결하여 설치작업을 마무리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태양전지모듈을 사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쏠라셀(20) 중 제1직렬군의 셀에 방해요소(그림자, 나뭇잎, 새 배설물, 황사먼지, 셀 내부불량 등)가 존재하여 해당 셀이 저항체역할을 하게 되는 경우, 전류는 제1직렬군으로 흐르지 않고, 제1직렬군이 연결된 상단버스바(30)와 연결버스바(51)가 연결된 단자대(제1단자대, 제2단자대)의 사이에 설치된 바이패스 다이오드(43)로 흐르면서 인접한 제2직렬군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여 발전 손실을 최소화시켜 발전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상기 버스바시트(50)는 상기 하단버스바(35)와 제2단자대(42)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고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연결버스바(51)와, 복수개의 상기 연결버스바(51) 각각이 삽입 통과하여 양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단자대(42)와 대응되는 간격으로 복수개의 관통홀(53a)이 형성된 버스바튜브(5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튜브(53)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기 연결버스바(51)의 양단부가 각각 상기 하단버스바(35)와 제2단자대(42)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버스바(51)는 상기 버스바튜브(53)를 관통한 상태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버스바튜브(53)에 의해 꼬아지거나 휨 발생이 전혀 일어나지 않게 되어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고, 그 상태로 연결버스바의 일단부를 하단버스바(35)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연결버스바 연결작업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전체적인 태양전지모듈의 제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고, 연결작업 중 발생되는 연결버스바의 꼬임현상이나 꺽임현상 또는 휨 현상 등을 원천 차단할 수 있게 되어 불량품 생산을 줄이고,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상부패널 11, 16: EVA시트
15: 백시트 20: 쏠라셀
30: 상단버스바 35: 하단버스바
40: 정션박스 41: 제1단자대
42: 제2단자대 43: 바이패스 다이오드
50: 버스바시트 51: 연결버스바
52: 절연시트 52a; 보강부
53: 버스바튜브 53a: 관통홀
60: 버스바시트용 EVA시트

Claims (4)

  1.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상부패널(10) 및 백시트(15); 상기 상부패널(10)과 백시트(15) 사이에 배치되고 설정된 개수의 직렬군으로 구성되어 전기를 생산하는 쏠라셀(20); 상기 쏠라셀(20)을 이루는 직렬군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연결하는 상단버스바(30) 및 하단버스바(35); 상기 상단버스바(30)와 연결되는 제1단자대(41)가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제1단자대(41)의 사이마다 하나씩 제2단자대(42)가 설치되며, 제1단자대(41)와 제2단자대(42)를 서로 연결하도록 바이패스 다이오드(43)가 설치된 정션박스(40);로 이루어진 태양전지모듈에 있어서,
    상기 쏠라셀(20)의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EVA시트(11,16)가 설치되고,
    상기 쏠라셀(20)의 하측에 설치되는 EVA시트(16)와 백시트(15) 사이에는 상기 하단버스바(35)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단자대(42)에 연결되는 연결버스바(51)가 복수개 구비된 버스바시트(50)가 설치되며,
    상기 버스바시트(50)와 백시트(15)의 사이에는 버스바시트(50)의 고정을 위해 버스바시트(50)의 면적보다 큰 면적으로 버스바시트용 EVA시트(6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시트(50)는, 상기 하단버스바(35)와 제2단자대(42)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단자대(42)와 동일개수 및 대응되는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연결버스바(51)와, 상기 연결버스바(51)의 상하부에서 각각 압착 결합하여 각 연결버스바(51)를 고정하도록 서로 마주보게 구비된 2개의 절연시트(5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자대(42)에 연결되는 연결버스바(51)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상기 절연시트(52)의 일측은 상기 연결버스바(51)를 감싸 보강하도록 일정 길이 돌출되게 보강부(5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시트(50)는, 상기 하단버스바(35)와 제2단자대(42)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고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연결버스바(51)와, 복수개의 상기 연결버스바(51) 각각이 삽입 통과하여 양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단자대(42)와 대응되는 간격으로 복수개의 관통홀(53a)이 형성된 버스바튜브(5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모듈.
KR2020170004670U 2017-09-05 2017-09-05 태양전지모듈 KR2004896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670U KR200489603Y1 (ko) 2017-09-05 2017-09-05 태양전지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670U KR200489603Y1 (ko) 2017-09-05 2017-09-05 태양전지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650U true KR20190000650U (ko) 2019-03-13
KR200489603Y1 KR200489603Y1 (ko) 2019-07-09

Family

ID=65728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670U KR200489603Y1 (ko) 2017-09-05 2017-09-05 태양전지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6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397B1 (ko) * 2021-06-09 2021-12-24 푸른전력유한회사 과도과전압 크기를 최소화하는 태양광 전지 패널 직렬 결선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227B1 (ko) 2023-04-26 2023-11-23 하재청 태양광 전지 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6497A (ja) * 1996-06-03 1997-12-16 Kanegafuchi Chem Ind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34795A (ja) * 2006-02-28 2007-09-13 Sharp Corp 太陽電池モジュール、太陽電池モジュールストリング、太陽電池アレイ、太陽光発電システムおよび電力ケーブル
KR101039050B1 (ko) 2011-02-25 2011-06-03 김경주 태양전지 모듈용 정션박스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6497A (ja) * 1996-06-03 1997-12-16 Kanegafuchi Chem Ind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34795A (ja) * 2006-02-28 2007-09-13 Sharp Corp 太陽電池モジュール、太陽電池モジュールストリング、太陽電池アレイ、太陽光発電システムおよび電力ケーブル
KR101039050B1 (ko) 2011-02-25 2011-06-03 김경주 태양전지 모듈용 정션박스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397B1 (ko) * 2021-06-09 2021-12-24 푸른전력유한회사 과도과전압 크기를 최소화하는 태양광 전지 패널 직렬 결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603Y1 (ko)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62795B2 (ja) 太陽電池アセンブリを含む太陽電池モジュール
US20220223753A1 (en) Solar panel
EP1041647B1 (en) Photovoltaic module and power generation system
CN101346825B (zh) 光伏模块以及制造该光伏模块的互连方法
JP5396382B2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用電力線およびそれを用いた太陽光発電システム
US20120060895A1 (en) Photovoltaic module string arrangement and shading protection therefor
KR20100097219A (ko) Pv 스트링으로 에지 액세스를 수행하는 광전지 모듈, 연결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H11145496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太陽電池アレイ、及びそれを用いた太陽光発電装置
JP5826880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太陽電池パネル、並びに太陽電池アレイ
JP2006216608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TW201547181A (zh) 具有可撓性電路之光伏打模組
KR200489603Y1 (ko) 태양전지모듈
EP3432365B1 (en) Solar modul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110649119A (zh) 一种基于晶硅的太阳能发电组件及其制备方法
JP5196821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101370676B1 (ko) 대면적, 고전압 태양전지모듈
KR101172017B1 (ko) Pcb 타입의 버스바를 이용한 태양광 모듈 제조방법
JP2011040695A (ja) 太陽電池用パネル
CN208271925U (zh) 一种太阳能光伏组件
KR101470059B1 (ko) 태양전지 모듈
KR20200013407A (ko) 태양 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CN210897313U (zh) 一种基于晶硅的太阳能发电组件
EP4372827A1 (en) Solar cell module
US20140305487A1 (en) Solar cell apparatus
TW202341503A (zh) 太陽能模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