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432B1 -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 - Google Patents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432B1
KR101958432B1 KR1020180131575A KR20180131575A KR101958432B1 KR 101958432 B1 KR101958432 B1 KR 101958432B1 KR 1020180131575 A KR1020180131575 A KR 1020180131575A KR 20180131575 A KR20180131575 A KR 20180131575A KR 101958432 B1 KR101958432 B1 KR 101958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blade
connector
intermediate connection
sola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근영
이진섭
연규정
주진
전현수
Original Assignee
(주)에스케이솔라에너지
전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케이솔라에너지, 전현수 filed Critical (주)에스케이솔라에너지
Priority to KR1020180131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4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including bypass 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6Assembled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76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루버 시스템은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차양과 태양광발전을 하는 것으로, 외벽에 내.외부가 서로 통하게 고정 설치되며, 4각 테두리를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 수평 방향으로 축결합된 다수의 회전축 상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일측에 접착되어 상기 블레이드와 일체화된 태양광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수 개의 슬랫과, 각각의 상기 슬랫에 결합되어 상기 슬랫을 회전시키는 회전레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차양과 태양광발전을 담당하는 루버부와; 상기 4각 테두리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2개의 상기 슬랫의 태양광모듈에서 각각 발전된 DC 전력이 직렬로 연결되어 인입되며, 전후 2개의 상기 태양광모듈에서 발전된 DC 전력과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태양광모듈에 음영이 졌을 때 발생하는 발전의 저하에 따른 전체 출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단계에서 발전되어 입력되는 DC 전력을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포함된 다수 개의 직렬커넥터로 구성된 직렬커넥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에 따르면 태양광모듈은 블레이드에 일체화 시키고, 태양광 발전에 따른 케이블과 부품이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므로 미관이 수려하며, 바이패스 다이오드를 구비하여 태양광모듈에 음영이 졌을 때 발생하는 발전의 저하에 따른 전체 출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태양광모듈에 음영이 졌을 때 발생할 수 있는 핫스팟으로부터 태양광 모듈을 보호할 수 있어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시스템 에어컨이 설치된 아파트의 실외기실에 설치되어 각 세대 각각 또는 일정 세대를 묶어 발전할 수 있어 개개 세대가 사용하거나 전체 아파트의 공공전기시설에 사용할 수 있어 유휴의 설비를 이용하여 발전할 수 친환경적 시스템이다.

Description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Louver System for High Efficiency Solar Energy Generation Equipped with Bypass Diode}
본 발명은 각 건물의 기계실이나 보일러실을 포함한 곳에 설치되어 채광·일조조정·통풍 ·환기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며, 태양광모듈이 설치되어 태양광 발전을 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테두리가 되는 프레임부의 내부에 회전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일측에 접착되어 상기 블레이드와 일체화된 태양광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수 개의 슬랫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차양과 태양광발전을 하는 루버부와, 상기 태양광모듈에 음영이 졌을 때 발생하는 발전의 저하에 따른 전체 출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단계에서 발전되어 입력되는 DC 전력을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포함된 다수 개의 직렬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외벽에 다수의 슬랫을 설치시켜 차양을 하는 루버시스템은 현대 차양의 가장 선진화된 형태로 건물의 냉난방에너지를 획기적으로 절약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루버시스템은 건물 외벽에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프레임에 폭이 좁으면서, 길이가 긴 판체 형상의 슬랫을 등 간격으로 설치시키고, 이들 슬랫에 구동장치를 연결시켜 다수의 슬랫을 회동시켜 차양을 하는 구조이다.
이의 구성을 부언해서 설명하면, 규격이 다양한 장방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외기를 차폐할 수 있게 설치되어지는 루버; 상기 프레임의 양측 내부에 설치되어져 그 일측으로 돌출된 핸들로서 루버를 작동시키는 작동수단; 등으로 구성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루버의 양단부에 이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브라켓이 설치되어 상호 대향하고 있는 프레임의 삽입공에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의 일측의 회동 샤프트는 프레임 내부의 고정 플레이트를 회전가능하게 관통하여 두 로드바의 수직왕복 운동을 관장하는 회동캡과 결합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과 회동캡은 상호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게 되며, 상기 회동캡의 회전시 그 양측의 고정 돌기가 두 로드바의 고정공과 결합되어 있어 회동캡의 정역회전에 따라 두 로드바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하강하거나 상승하게 된다.
또한, 그리고, 다수의 루버들 중 정중간에 위치한 브라켓의 회동 샤프트에는 회동캡 대신에 휠과 결합되고, 상기 휠에는 후술되는 핸들의 핸들 샤프트가 끼움 고정될 수 있게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핸들 대신 루버시스템에 모터를 구비한 구동장치가 설치되어 다수의 루버를 자동으로 동작시킬 수도 있다.
근래에 와서 아파트에 시스템에어컨이 설치됨에 따라 실외기를 설치하는 공간이 생기게 되었고, 실외기에서 기체 냉매를 액체 냉매로 응축기에서 변환시킬 때 액화열을 방출하게 되므로 열을 방열하기 위하여 루버시스템이 각호마다 1~2개실이 필요하게 되어 많은 루버시스템 설치되어 햇빛을 받는 면적을 환기에만 사용하는 것은 낭비여서 루버에 태양광모듈을 부착하여 발전하여 루버시스템을 자동으로 작동시키거나 루버시스템에서 발전된 전력을 일정한 곳에서 모아 공공전기로 사용하는 것이 검토되어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고, 태양광모듈에 음영이 졌을 때 발생하는 핫스팟(hot spot)으로부터 태양광모듈을 보호하고, 발생하는 발전의 저하에 따른 전체 출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단계에서 발전되어 입력되는 DC 전력을 바이패스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3-0039111 (공개일자 : 2013년 04월 19일) 태양광을 이용한 에어컨실외기의 자동루버시스템 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853189 (등록일자 : 2018년 04월 23일) 태양광발전모듈루버를 구비한 루버창호 3.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3-0039571 (공개일자 : 2013년 04월 22일) 태양광을 이용한 창호 자동 환기구 장치 4.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6-0073660 (공개일자 : 2016년 06월 27일) 루버 셔터의 슬랫 회동부 5.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74282 (등록일자 : 2014년 08월 28일) 환기창용 루버의 슬랫 조립구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벽에 내.외부가 서로 통하게 고정 설치되며, 4각 테두리를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회전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일측에 접착되어 상기 블레이드와 일체화된 태양광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수 개의 슬랫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차양과 태양광발전을 하는 루버부와;
4각 테두리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태양광모듈에 음영이 졌을 때 발생하는 발전의 저하에 따른 전체 출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단계에서 발전되어 입력되는 DC 전력을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포함된 다수 개의 직렬커넥터와; 상기 태양광모듈을 보호하는 인터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루버 시스템은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차양과 태양광발전을 하는 것으로, 외벽에 내.외부가 서로 통하게 고정 설치되며, 4각 테두리를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 수평 방향으로 축결합된 다수의 회전축 상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일측에 접착되어 상기 블레이드와 일체화된 태양광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수 개의 슬랫과, 각각의 상기 슬랫에 결합되어 상기 슬랫을 회전시키는 회전레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차양과 태양광발전을 담당하는 루버부와; 상기 4각 테두리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2개의 상기 슬랫의 태양광모듈에서 각각 발전된 DC 전력이 직렬로 연결되어 인입되며, 전후 2개의 상기 태양광모듈에서 발전된 DC 전력과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태양광모듈에 음영이 졌을 때 발생하는 발전의 저하에 따른 전체 출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단계에서 발전되어 입력되는 DC 전력을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포함된 다수 개의 직렬커넥터로 구성된 직렬커넥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태양광모듈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태양광모듈의 온도가 80℃ 이상되면 회로를 차단하고, 에어컨을 가동시킬 때는 상기 루버 시스템(A)이 열리므로 발전을 중단하기 위해 회로를 차단하는 인터록부와; 모기를 포함하는 곤충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방충망부가 추가로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4각 테두리는 다수 개의 상기 직렬커넥터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알루미늄 4각 파이프 형상이다.
상기 슬랫은 회전되어 수평 위치일 때는 완전 오픈되어 공기가 유입되고 수직 위치일 때는 닫혀 외부와 차단시키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일측에 접착되어 상기 블레이드와 일체화되는 태양광모듈로 구성된 모듈일체형 블레이드와; 상기 모듈일체형 블레이드가 회전될 수 있게 하는 블레이드 회전지그와; 상기 모듈일체형 블레이드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모듈일체형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회전지그를 결합시켜주며, 상기 모듈일체형 블레이드를 보호하고 고정시켜주는 블레이드 가드와; 상기 블레이드 가드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부에 상기 블레이드 가드를 고정시켜주는 블레이드 프레임 고정핀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루버부가 설치되는 루버설치공간부와; 발전된 전력을 직류에서 교류로 변환시키는 인버터가 설치되는 인버터설치공간부로 나누어질 수 있고, 상기 인버터설치공간부는 상기 인버터가 설치되는 인버터설치공간과; 상기 인버터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한 온도 상승을 막기 위해 냉각을 위한 외부공기가 인입되는 그릴이 설치된 그릴설치공간으로 나누어진다.
상기 직렬커넥터는 출력단이 2개의 상기 슬랫 중에 홀수 번째의 상기 슬랫의 태양광모듈인 제1 태양광모듈의 마이너스극(-)에 연결된 전단측 중간연결부와;
상기 제1 태양광모듈의 후단에 직렬 연결되며, 2개의 상기 슬랫 중에 짝수 번째의 상기 슬랫의 태양광모듈인 제2 태양광모듈의 플러스극(+)에 입력단이 연결되는 후단측 중간연결부; 1개의 입력단과 2개의 출력단을 갖춘 3로(3-way) 케이블로서 1개의 입력단은 제1 태양광모듈의 전단에 연결된 태양광모듈로부터 발전된 전류를 입력받고, 2개의 출력단 중 어느 하나는 전단측 중간연결부의 입력단에 연결되며 다른 하나는 바이패스 다이오드에 연결되어 상기 전단측 중간연결부와 후단측 중간연결부 사이에 연결된 제1·2 태양광모듈이 정상 동작할 때에는 1개의 입력단을 통해 유입된 전류가 제1·2 태양광모듈 방향으로 흐르는 반면, 제1·2 태양광모듈의 출력이 저하되었을 때에는 1개의 입력단을 통해 유입된 전류가 바이패스 다이오드로 흐르는 전단측 T형 다이오드 커넥터부와; 2개의 입력단과 1개의 출력단을 갖춘 3로(3-way) 케이블로서 2개의 입력단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후단측 중간연결부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2개의 입력단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전단측 중간연결부와 후단측 중간연결부 사이에 연결된 제1·2 태양광모듈이 정상 동작할 때에는 제1·2 태양광모듈을 거쳐 후단측 중간연결부를 통해 유입된 전류가 1개의 출력단을 통해 제2 태양광모듈의 후단에 연결되는 태양광모듈로 유입되거나 배터리 충전 시스템 또는 인버터로 입력되는 반면, 태양광모듈의 출력이 저하되었을 때에는 바이패스 다이오드로 우회된 전류가 1개의 출력단을 통해 제2 태양광모듈의 후단에 연결되는 태양광모듈로 유입되거나 배터리 충전 시스템 또는 인버터로 입력되는 후단측 T형 커넥터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단측 중간연결부와 후단측 중간연결부 사이에 연결된 제1·2태양광모듈의 출력이 저하되면 출력이 저하된 제1·2 태양광모듈로 입력되는 전류를 바이패스 다이오드를 통해 우회시킨 다음 정상 동작되는 2개의 다음 상기 슬랫의 태양광모듈의 제1 태양광모듈로 전달하거나 배터리 충전 시스템 또는 인버터로 입력시킴으로써 출력이 저하된 상기 슬랫의 태양광모듈로 인하여 직렬 연결된 복수개의 태양광모듈로부터 출력되는 합산 전력이 현저하게 떨어짐을 방지한다.
상기 전단측 중간연결부는 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과; 상기 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의 좌측단에 장착되는 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 피메일(Female) 커넥터와; 상기 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의 우측단에 장착되고 상기 제1 태양광모듈의 마이너스극(-)에 연결되는 전단측 전기 접속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단측 중간연결부는 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과; 상기 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의 좌측단에 장착되는 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 메일 커넥터와; 상기 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의 우측단에 장착되고 상기 제2 태양광모듈의 플러스극(+)에 연결되는 후단측 전기 접속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단측 T형 다이오드 커넥터부는 전단측 메인(main) 케이블과; 상기 전단측 메인(main) 케이블의 일단에 장착되고 내부에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장착되는 전단측 제1 피메일(Female) 커넥터와; 상기 전단측 메인(main) 케이블의 타단에 장착된 전단측 제2 피메일 커넥터와; 상기 전단측 메인 케이블의 중간으로부터 분기되어 연장된 전단측 분기 케이블과; 상기 전단측 분기 케이블의 한쪽 끝에 장착되고 상기 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 피메일(Female) 커넥터와 결합되는 전단측 분기 케이블 메일(male) 커넥터와; 상기 전단측 메인(main) 케이블과 전단측 분기 케이블은 납땜을 통해 연결된 후 연결 부분을 몰딩시켜 포장하는 T형 몰딩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단측 T형 커넥터부는 후단측 메인(main) 케이블과; 상기 후단측 메인(main) 케이블의 일단에 장착되는 후단측 제1 메일(male) 커넥터과; 상기 후단측 메인(main) 케이블의 타단에 장착되고 상기 전단측 제1 피메일 커넥터와 결합되는 후단측 제2 메일 커넥터과; 상기 후단측 메인 케이블의 중간으로부터 분기되어 연장되는 후단측 분기 케이블과; 상기 후단측 분기 케이블의 한쪽 끝에 장착되고 상기 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 메일 커넥터와 결합되는 후단측 분기 케이블 피메일(Female) 커넥터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루버 시스템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에 따르면 태양광모듈은 블레이드에 일체화 시키고, 태양광 발전에 따른 케이블과 부품이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므로 미관이 수려하며, 바이패스 다이오드를 구비하여 태양광모듈에 음영이 졌을 때 발생하는 발전의 저하에 따른 전체 출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태양광모듈에 음영이 졌을 때 발생할 수 있는 핫스팟(hot spot)으로부터 태양광 모듈을 보호할 수 있어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시스템 에어컨이 설치된 아파트의 실외기실에 설치되어 각 세대 각각 또는 일정 세대를 묶어 발전할 수 있어 개개 세대가 사용하거나 전체 아파트의 공공전기시설에 사용할 수 있어 유휴의 설비를 이용하여 발전할 수 친환경적 시스템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의 제1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의 제2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에 따른 프레임부 제1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에 따른 프레임부 제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에 따른 루버부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의 루버부에 따른 슬랫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의 루버부의 슬랫에 따른 모듈일체형 블레이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의 루버부의 슬랫에 따른 모듈일체형 블레이드 분해도 및 부착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의 루버부의 슬랫에 따른 모듈일체형 블레이드 확대 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의 루버부의 회전레버부의 개폐각도 조정레버부 회전반경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에 따른 직렬커넥터 설치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에 따른 직렬커넥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의 직렬커넥터에 따른 전단측 중간연결부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의 직렬커넥터의 전단측 중간연결부에 따른 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 피메일 커넥터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의 직렬커넥터에 따른 후단측 중간연결부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의 직렬커넥터의 후단측 중간연결부에 따른 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 메일 커넥터 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의 직렬커넥터에 따른 전단측 T형 다이오드 커넥터부 개략도
도 18은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의 직렬커넥터의 전단측 T형 다이오드 커넥터부에 따른 전단측 제1 피메일 커넥터 개략도
도 19는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의 직렬커넥터의 전단측 T형 다이오드 커넥터부에 따른 전단측 분기 케이블 메일 커넥터 개략도
도 20은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의 직렬커넥터의 전단측 T형 다이오드 커넥터부에 따른 전단측 제2 피메일 커넥터 개략도
도 21은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의 직렬커넥터에 따른 후단측 T형 커넥터부 개략도
도 22는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의 직렬커넥터의 후단측 T형 커넥터부에 따른 후단측 제1 메일 커넥터 개략도
도 23은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의 직렬커넥터의 후단측 T형 커넥터부에 따른 후단측 제2 메일 커넥터 개략도
도 24는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의 직렬커넥터의 후단측 T형 커넥터부에 따른 후단측 분기 케이블 피메일 커넥터 개략도
도 25는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의 인터록부 설명 회로도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의 제1실시예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의 제2실시예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에 따른 프레임부 제1실시예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에 따른 프레임부 제2실시예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에 따른 루버부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의 루버부에 따른 슬랫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의 루버부의 슬랫에 따른 모듈일체형 블레이드 개략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의 루버부의 슬랫에 따른 모듈일체형 블레이드 분해도 및 부착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의 루버부의 슬랫에 따른 모듈일체형 블레이드 확대 상세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의 루버부의 회전레버부의 개폐각도 조정레버부 회전반경 설명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에 따른 직렬커넥터 설치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에 따른 직렬커넥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의 직렬커넥터에 따른 전단측 중간연결부 개략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의 직렬커넥터의 전단측 중간연결부에 따른 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 피메일 커넥터 개략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의 직렬커넥터에 따른 후단측 중간연결부 개략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의 직렬커넥터의 후단측 중간연결부에 따른 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 메일 커넥터 개략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의 직렬커넥터에 따른 전단측 T형 다이오드 커넥터부 개략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의 직렬커넥터의 전단측 T형 다이오드 커넥터부에 따른 전단측 제1 피메일 커넥터 개략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의 직렬커넥터의 전단측 T형 다이오드 커넥터부에 따른 전단측 분기 케이블 메일 커넥터 개략도이며, 도 20은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의 직렬커넥터의 전단측 T형 다이오드 커넥터부에 따른 전단측 제2 피메일 커넥터 개략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의 직렬커넥터에 따른 후단측 T형 커넥터부 개략도이며, 도 22는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의 직렬커넥터의 후단측 T형 커넥터부에 따른 후단측 제1 메일 커넥터 개략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의 직렬커넥터의 후단측 T형 커넥터부에 따른 후단측 제2 메일 커넥터 개략도이며, 도 24는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의 직렬커넥터의 후단측 T형 커넥터부에 따른 후단측 분기 케이블 피메일 커넥터 개략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의 인터록부 설명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A)의 제1실시예는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차양과 태양광발전을 하는 시스템으로, 외벽에 내.외부가 서로 통하게 고정 설치되며, 4각 테두리(11)를 포함하는 프레임부(1)와; 상기 프레임부(1)의 내측 수평 방향으로 축결합된 다수의 회전축 상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되는 블레이드(2111)와 상기 블레이드(2111)의 일측에 접착되어 상기 블레이드(2111)와 일체화된 태양광모듈(21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수 개의 슬랫(21)과, 각각의 상기 슬랫(21)에 결합되어 상기 슬랫(21)을 회전시키는 회전레버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차양과 태양광발전을 담당하는 루버부(2)와; 상기 4각 테두리(11)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2개의 상기 슬랫(21)의 태양광모듈(2112)에서 각각 발전된 DC 전력이 직렬로 연결되어 인입되며, 전후 2개의 상기 태양광모듈(2112)에서 발전된 DC 전력과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태양광모듈(2112)에 음영이 졌을 때 발생하는 발전의 저하에 따른 전체 출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단계에서 발전되어 입력되는 DC 전력을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다이오드(33274)가 포함된 다수 개의 직렬커넥터(3a)로 구성된 직렬커넥터부(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루버 시스템(A)는 상기 태양광모듈(2112)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태양광모듈(2112)의 온도가 80℃ 이상되면 회로를 차단하고, 에어컨을 가동시킬 때는 상기 루버 시스템(A)이 열리므로 발전을 중단하기 위해 회로를 차단하는 인터록부(4)와; 모기를 포함하는 곤충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방충망부(5)가 추가로 포함될 수도 있다.
제1실시예의 루버 시스템(A)은 각각 개별의 루버 시스템에서 생산된 전력을 일정 장소에 설치되는 축전기에 모여서 인버터를 통해 교류로 변환시켜 승강기나 아파트 내의 가로등과 같은 공용 기기에 사용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A)의 제2실시예는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차양과 태양광발전을 하는 시스템으로, 외벽에 내.외부가 서로 통하게 고정 설치되며, 4각 테두리(11)를 포함하는 프레임부(1)와; 상기 프레임부(1)의 내측 수평 방향으로 축결합된 다수의 회전축 상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되는 블레이드(2111)와 상기 블레이드(2111)의 일측에 접착되어 상기 블레이드(2111)와 일체화된 태양광모듈(21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수 개의 슬랫(21)과, 각각의 상기 슬랫(21)에 결합되어 상기 슬랫(21)을 회전시키는 회전레버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차양과 태양광발전을 담당하는 루버부(2)와; 상기 4각 테두리(11)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2개의 상기 슬랫(21)의 태양광모듈(2112)에서 각각 발전된 DC 전력이 직렬로 연결되어 인입되며, 전후 2개의 상기 태양광모듈(2112)에서 발전된 DC 전력과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태양광모듈(2112)에 음영이 졌을 때 발생하는 발전의 저하에 따른 전체 출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단계에서 발전되어 입력되는 DC 전력을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다이오드(33274)가 포함된 다수 개의 직렬커넥터(3a)로 구성된 직렬커넥터부(3)와; 발전된 전력을 직류에서 교류로 변환시키는 인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부(1)의 4각 테두리(11)는 다수 개의 상기 직렬커넥터(3)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알루미늄 4각 파이프 형상이다.
상기 프레임부(1)는 상기 루버부(2)가 설치되는 루버설치공간부(12)와; 발전된 전력을 직류에서 교류로 변환시키는 상기 인버터가 설치되는 인버터설치공간부(13)로 나누어wlsek.
상기 인버터설치공간부(13)는 상기 인버터가 설치되는 인버터설치공간(131)과; 상기 인버터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한 온도 상승을 막기 위해 냉각을 위한 외부공기가 인입되는 그릴(1321)이 설치된 그릴설치공간(132)으로 나누어진다.
제2실시예의 루버 시스템(A)은 각각 개별의 루버 시스템에서 생산된 전력을 인버터를 통해 교류로 변환시켜 루버 시스템(A)을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해 자동으로 열고 닫는 곳에 쓰이거나 개별적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인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루버 시스템(A)에 따르면 태양광모듈(2112)은 블레이드(2111)에 일체화 시키고, 태양광 발전에 따른 케이블과 부품이 상기 프레임부(1) 내부에 설치되므로 미관이 수려하며, 바이패스 다이오드(33274)를 구비하여 상기 태양광모듈(2112)에 음영이 졌을 때 발생하는 발전의 저하에 따른 전체 출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태양광모듈(2112)에 음영이 졌을 때 발생할 수 있는 핫스팟(hot spot)으로부터 상기 태양광 모듈(2112)을 보호할 수 있어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시스템 에어컨이 설치된 아파트의 실외기실에 설치되어 각 세대 각각 또는 일정 세대를 묶어 발전할 수 있어 개개 세대가 사용하거나 전체 아파트의 공공전기시설에 사용할 수 있어 유휴의 설비를 이용하여 발전할 수 친환경적 시스템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제1실시예의 상기 프레임부(1)는 외벽에 내.외부가 서로 통하게 고정 설치되며, 4각 테두리(11)를 포함한다.
상기 4각 테두리(11)의 상부 수평테두리와 하부 수평테두리에는 상기 슬랫(21)의 말단과 접촉되어 외기를 차단하는 슬랫마감부재(121)이 설치된다.
상기 슬랫마감부재(121)의 단부에는 상기 슬랫(21)의 말단과 접촉되어 외기를 차단할 수 있게 실링이 되게 2개의 요철이 있는 실링부(1211)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부(1)의 4각 테두리(11)는 다수 개의 상기 직렬커넥터(3)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알루미늄 4각 파이프 형상이다.
상기 프레임부(1)에는 모기를 포함하는 곤충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방충망부(5)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방충망부(5)는 방충방 설치시 상기 프레임부(1) 표면과 마감이 일치하여 돌출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하게 해야 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제2실시예의 상기 프레임부(1)는 외벽에 내.외부가 서로 통하게 고정 설치되며, 4각 테두리(11)를 포함하며, 상부에 인버터가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부(1)의 4각 테두리(11)는 다수 개의 상기 직렬커넥터(3)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알루미늄 4각 파이프 형상이다.
상기 4각 테두리(11)의 상부 수평테두리와 하부 수평테두리에는 상기 슬랫(21)의 말단과 접촉되어 외기를 차단하는 슬랫마감부재(121)이 설치된다.
상기 슬랫마감부재(121)의 단부에는 상기 슬랫(21)의 말단과 접촉되어 외기를 차단할 수 있게 실링이 되게 2개의 요철이 있는 실링부(1211)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부(1)는 상기 루버부(2)가 설치되는 루버설치공간부(12)와; 발전된 전력을 직류에서 교류로 변환시키는 인버터가 설치되는 인버터설치공간부(13)로 나누어진다.
상기 인버터설치공간부(13)는 상기 인버터가 설치되는 인버터설치공간(131)과; 상기 인버터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한 온도 상승을 막기 위해 냉각을 위한 외부공기가 인입되는 그릴(1321)이 설치된 그릴설치공간(132)으로 나누어진다.
상기 프레임부(1)에는 모기를 포함하는 곤충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방충망부(5)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방충망부(5)는 방충방 설치시 상기 프레임부(1) 표면과 마감이 일치하여 돌출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하게 해야 한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루버부(2)는 상기 프레임부(1)의 내측 수평 방향으로 축결합된 다수의 회전축 상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되는 블레이드(2111)와 상기 블레이드(2111)의 일측에 접착되어 상기 블레이드(2111)와 일체화된 태양광모듈(21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수 개의 슬랫(21)과, 각각의 상기 슬랫(21)에 결합되어 상기 슬랫(21)을 회전시키는 회전레버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차양과 태양광발전을 담당한다.
상기 루버부(2)는 내측 수평 방향으로 축결합된 다수의 회전축 상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되는 상기 블레이드(2111)와, 상기 블레이드의 일측에 접착되어 상기 블레이드(2111)와 일체화된 상기 태양광모듈(211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수 개의 상기 슬랫(21)과; 각각의 상기 슬랫(21)의 블레이드 회전지그(212)에 결합되어 상기 슬랫(21)을 회전시키는 회전레버부(22)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레버부(22)는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 회전지그(212)의 양단부 하측으로 다단 연결되어 수직 작동되는 다수 개의 수직링크(미도시)와; 상기 수직링크와 수직링크 사이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작동되는 수평링크(미도시)와; 상기 수평링크에 결합되어 상기 슬랫(21)의 열림 각도 조절과 개폐를 담당하는 개폐각도 조정레버부(223)로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슬랫(21)은 회전되어 수평 위치일 때는 완전 오픈되어 공기가 유입되고 수직 위치일 때는 닫혀 외부와 차단시키는 블레이드(2111)와, 상기 블레이드(2111)의 일측에 접착되어 상기 블레이드(21111)와 일체화되는 태양광모듈(2112)를 포함하여 구성된 모듈일체형 블레이드(211)와; 상기 모듈일체형 블레이드(211)가 회전될 수 있게 하는 블레이드 회전지그(212)와; 상기 모듈일체형 블레이드(211)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모듈일체형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회전지그(212)를 결합시켜주며, 상기 모듈일체형 블레이드(211)를 보호하고 고정시켜주는 블레이드 가드(213)와; 상기 블레이드 가드(213)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부(1)에 상기 블레이드 가드(213)를 고정시켜주는 블레이드 프레임 고정핀(214)으로 구성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모듈일체형 블레이드(211)는 회전되어 수평 위치일 때는 완전 오픈되어 공기가 유입되고 수직 위치일 때는 닫혀 외부와 차단시키는 블레이드(2111)와, 상기 블레이드(2111)의 일측에 접착되어 상기 블레이드(21111)와 일체화되는 태양광모듈(2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모듈일체형 블레이드(211)는 상기 블레이드(2111)와 상기 태양광모듈(2112)이 일체화 되어 안정성을 극대화 시키며, 또한 알류미늄재질의 상기 블레이드(2111)가 상기 태양광모듈(2112)의 발열을 보안해준다.
상기 태양광모듈(2112)은 실제의 햇빛을 받아 태양광 발전을 담당하는 EVA/Cell/Back Sheet(21124)와; 상기 EVA/Cell/Back Sheet(21124)가 설치될 수 있게 하는 모듈프레임(21123)과; 상기 모듈프레임(21123)에 상기 EVA/Cell/Back Sheet(21124)를 접착시키는 실리콘 접착제(21125)와; 상기 EVA/Cell/Back Sheet(21124)를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EVA/Cell/Back Sheet(21124)를 보호하는 보호글라스(21126)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레버부(22)는 각각의 상기 슬랫(21)의 블레이드 회전지그(212)에 결합되어 상기 슬랫(21)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레버부(22)는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 회전지그(212)의 양단부 하측으로 다단 연결되어 수직 작동되는 다수 개의 수직링크(미도시)와; 상기 수직링크와 수직링크 사이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작동되는 수평링크(미도시)와; 상기 수평링크에 결합되어 상기 슬랫(21)의 열림 각도 조절과 개폐를 담당하는 개폐각도 조정레버부(223)로 구성된다.
도 10는 상기 개폐각도 조정레버부(223)의 위치에 따라 상기 슬랫(21)의 회전각도를 보여주고 있다. 1번과 같이 상기 개폐각도 조정레버부(223)의 위치가 제일 상부에 있을 때는 상기 슬래(21) 환기를 위해 완전히 열린 상태인 수평인 상태이고, 2번과 같이 상기 개폐각도 조정레버부(223)의 위치가 2번째 상부에 있을 때는 상기 슬래(21) 환기를 위해 22.5도 만큼 적게 열린 상태인 상태이고, 3번과 같이 상기 개폐각도 조정레버부(223)의 위치가 중앙부분에 있을 때는 상기 슬래(21) 환기를 위해 45도 만큼 적게 열린 상태인 상태이고, 4번과 같이 상기 개폐각도 조정레버부(223)의 위치가 하부에서 두번째에 있을 때는 상기 슬래(21) 환기를 위해 67.5도 만큼 적게 열린 상태인 상태이고, 5번과 같이 상기 개폐각도 조정레버부(223)의 위치가 제일 하부에 있을 때는 상기 슬래(21)가 완전히 닫히고 환기를 하지 않는 상태이다.
도 11과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직렬커넥터부(3)는 상기 4각 테두리(11)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2개의 상기 슬랫(21)의 태양광모듈(2112)에서 각각 발전된 DC 전력이 직렬로 연결되어 인입되며, 전후 2개의 상기 태양광모듈(2112)에서 발전된 DC 전력과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태양광모듈(2112)에 음영이 졌을 때 발생하는 발전의 저하에 따른 전체 출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단계에서 발전되어 입력되는 DC 전력을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다이오드(33274)가 포함된 다수 개의 직렬커넥터(3a)로 구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상기 직렬커넥터부(3)는 상기 4각 테두리(11) 내부에 삽입 설치에 설치된 것이나 도시의 편의를 위해 상기 4각 테두리(11)의 외부에 나와 있는 것처럼 도시되었으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직렬커넥터(3a)는 출력단이 2개의 상기 슬랫(21) 중에 홀수 번째의 상기 슬랫(21)의 태양광모듈(2112)인 제1 태양광모듈(21121)의 마이너스극(-)에 연결된 전단측 중간연결부(31)와; 상기 제1 태양광모듈(21121)의 후단에 직렬 연결되며, 2개의 상기 슬랫(21) 중에 짝수 번째의 상기 슬랫(21)의 태양광모듈(2112)인 제2 태양광모듈(21122)의 플러스극(+)에 입력단이 연결되는 후단측 중간연결부(32); 1개의 입력단과 2개의 출력단을 갖춘 3로(3-way) 케이블로서 1개의 입력단은 제1 태양광모듈(21121)의 전단에 연결된 태양광모듈로부터 발전된 전류를 입력받고, 2개의 출력단 중 어느 하나는 전단측 중간연결부(31)의 입력단에 연결되며 다른 하나는 바이패스 다이오드(3274)에 연결되어 상기 전단측 중간연결부와 후단측 중간연결부(32) 사이에 연결된 제1·2 태양광모듈이 정상 동작할 때에는 1개의 입력단을 통해 유입된 전류가 제1·2 태양광모듈 방향으로 흐르는 반면, 제1·2 태양광모듈의 출력이 저하되었을 때에는 1개의 입력단을 통해 유입된 전류가 바이패스 다이오드(3274)로 흐르는 전단측 T형 다이오드 커넥터부(33)와; 2개의 입력단과 1개의 출력단을 갖춘 3로(3-way) 케이블로서 2개의 입력단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후단측 중간연결부(32)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2개의 입력단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33274)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전단측 중간연결부와 후단측 중간연결부(32) 사이에 연결된 제1·2 태양광모듈이 정상 동작할 때에는 제1·2 태양광모듈을 거쳐 후단측 중간연결부(32)를 통해 유입된 전류가 1개의 출력단을 통해 제2 태양광모듈(21122)의 후단에 연결되는 태양광모듈로 유입되거나 배터리 충전 시스템 또는 인버터로 입력되는 반면, 태양광모듈의 출력이 저하되었을 때에는 바이패스 다이오드(33274)로 우회된 전류가 1개의 출력단을 통해 제2 태양광모듈(21122)의 후단에 연결되는 태양광모듈로 유입되거나 배터리 충전 시스템 또는 인버터로 입력되는 후단측 T형 커넥터부(3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단측 중간연결부(31)와 후단측 중간연결부(22) 사이에 연결된 제1·2태양광모듈의 출력이 저하되면 출력이 저하된 제1·2 태양광모듈로 입력되는 전류를 바이패스 다이오드(33274)를 통해 우회시킨 다음 정상 동작되는 2개의 다음 상기 슬랫(21)의 태양광모듈(2112)의 제1 태양광모듈(21121)로 전달하거나 배터리 충전 시스템 또는 인버터로 입력시킴으로써 출력이 저하된 상기 슬랫(21)의 태양광모듈(2112)로 인하여 직렬 연결된 복수개의 태양광모듈로부터 출력되는 합산 전력이 현저하게 떨어짐을 방지한다.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전단측 중간연결부(31)는 출력단이 2개의 상기 슬랫(21) 중에 홀수 번째의 상기 슬랫(21)의 태양광모듈(2112)인 제1 태양광모듈(21121)의 마이너스극(-)에 연결된다.
상기 전단측 중간연결부(31)는 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311)과; 상기 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311)의 좌측단에 장착되는 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 피메일(Female) 커넥터(312)와; 상기 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312)의 우측단에 장착되고 상기 제1 태양광모듈(21121)의 마이너스극(-)에 연결되는 전단측 전기 접속 수단(3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단측 전기 접속 수단(313)은 상기 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의 우측 동선에 압착 연결되는 마이너스측 연결 터미널(3131)과; 상기 마이너스측 연결 터미널(3131)에 관통된 제1 T형 홀(31311); 상기 마이너스측 연결 터미널(3131)이 내부 수용되고 상기 마이너스측 연결 터미널(3131)을 마주보는 밑면에 사각 형태의 제1 정션 박스 개방홀(31321)이 관통되며 윗면이 개방된 제1 정션 박스 몸체(3132); 및 상기 제1 정션 박스 몸체(3132)의 개방된 윗면에 덮어 씌워지는 제1 정션 박스 커버(3133)가 장착된다.
상기 제1 T형 홀(31311)은 제1 태양광 패널(5)의 마이너스극으로부터 T 형태로 돌출된 T형 돌출 커넥터에 꽂히게 된다.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 피메일 커넥터(312)는 상기 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311)의 좌측단에 장착된다.
상기 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 피메일 커넥터(312)는 상기 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의 좌측 동선에 연결되며, 좌우 수평 방향으로 눕혀진 원통 형상의 제3 1단 결합 부재(3121)와; 상기 제3 1단 결합 부재(3121)보다 직경이 큰 원통 형태로서 상기 제3 1단 결합 부재(3121)의 우측단에 상기 제3 1단 결합 부재(3121)와 일체로 결합되고 둘레면에 제3 원형 홈(31221)이 가공된 제3 2단 결합 부재(3122); 상기 제3 원형 홈(31221)에 끼워지는 제3 방수용 오링(31222); 상기 제3 2단 결합 부재(3122)보다 직경이 큰 원통 형태로서 상기 제3 2단 결합 부재(3122)의 우측단에 상기 제3 2단 결합 부재(3122)와 일체로 결합되고 둘레면에 제3 쐐기형 걸림턱(31231)이 2개 이상 갖추어진 제3 3단 결합 부재(3123); 상기 제3 3단 결합 부재(3123)의 우측단에 상기 제3 3단 결합 부재(3123)와 일체로 결합되고 우측 둘레면에 나사산이 가공된 제3 피메일 커넥터 몸체(3124); 일체로 결합된 상기 제3 1단 결합 부재(3121)와 제3 2단 결합 부재(3122,) 제3 3단 결합 부재(3123) 및 제3 피메일 커넥터 몸체(3124)를 좌우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3 피메일 전기 접속 부재 끼움구(3216); 상기 제3 피메일 커넥터 몸체(3124)에 가공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고 좌측 중앙에 상기 제3 피메일 전기 접속 부재 끼움구(3126)와 연통되면서 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311)의 좌측단이 통과되는 케이블 인입구가 관통된 제3 피메일 너트 캡(3125); 및 상기 제3 피메일 전기 접속 부재 끼움구(3126)에 장착되고 상기 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311)의 좌측단에 전기 접속된 제3 피메일 전기 접속 부재(3127)를 포함한다.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후단측 중간연결부(32)는 상기 제1 태양광모듈(21121)의 후단에 직렬 연결되며, 2개의 상기 슬랫(21) 중에 짝수 번째의 상기 슬랫(21)의 태양광모듈(2112)인 제2 태양광모듈(21122)의 플러스극(+)에 입력단이 연결된다.
상기 후단측 중간연결부(32)는 상기 후단측 중간연결부(32)는 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321)과; 상기 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321)의 좌측단에 장착되는 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 메일 커넥터(322)와;상기 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321)의 우측단에 장착되고 상기 제2 태양광모듈(21122)의 플러스극(+)에 연결되는 후단측 전기 접속 수단(323)으로 이루어진다.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 메일 커넥터(322)는 상기 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321)의 좌측 동선에 연결된다.
상기 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 메일 커넥터(322)는 좌우 수평 방향으로 눕혀진 원통 형태로서 우측 둘레면에 나사산이 가공되고 양측에 제4 쐐기형 걸림턱 끼움구(32211)가 관통된 후단측 제3 메일 커넥터 몸체(3221)와; 상기 후단측 제3 메일 커넥터 몸체(3221)를 좌우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후단측 제3 메일 전기 접속 부재 끼움구(3223); 상기 후단측 제3 메일 커넥터 몸체(3221)에 가공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고 좌측면 중앙에 상기 후단측 제3 메일 전기 접속 부재 끼움구(3223)와 연통되면서 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321)의 한쪽 끝이 통과되는 케이블 인입구가 관통된 후단측 제3 메일 너트 캡(3222); 및 상기 후단측 제3 메일 전기 접속 부재 끼움구(3223)에 장착되는 후단측 제3 메일 전기 접속 부재(3224)를 포함한다. 상기 후단측 제3 메일 전기 접속 부재(3224)는 좌우 수평 방향으로 눕혀진 드럼 형태로서 좌측면이 개구되고 우측 둘레면에 제4 삼각 돌기(322411)이 갖추어진 후단측 제3 드럼형 메일 터미널(32241)과; 상기 후단측 제3 드럼형 메일 터미널(32241)의 우측단에 고정 결합된 후단측 제3 중간 연결 도체(32242); 및 상기 후단측 제3 중간 연결 도체(32242)의 우측단에 고정 결합되고 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21)의 우측 동선이 압착되는 후단측 제3 케이블 결합부(32243)를 포함한다.
상기 후단측 제3 드럼형 메일 터미널(32241)과 후단측 제3 중간 연결 도체(32242)의 연결 부분은 소정 각도로 테이퍼(Taper) 진다.
상기 제4 삼각 돌기(322411)와 후단측 제3 중간 연결 도체(32242) 사이에는 후단측 제3 메일 전기 접속 부재 끼움구(3223)의 내부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된 제8 환형 스토퍼(32231)가 끼워진다.
일체로 결합된 제4 1단 결합 부재(3451)와 제4 2단 결합 부재(3452) 및 제4 3단 결합 부재(3453)는 상기 후단측 제3 메일 커넥터 몸체(3221)에 가공된 후단측 제3 메일 전기 접속 부재 끼움구(3223)에 끼워지고, 상기 후단측 제3 드럼형 메일 터미널(32241)은 제4 드럼형 피메일 탄성 커넥터(34571)에 끼워지며, 상기 제7 쐐기형 걸림턱(4531)은 제4 쐐기형 걸림턱 끼움구(32211)에 끼워진다.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전단측 T형 다이오드 커넥터부(33)는 1개의 입력단과 2개의 출력단을 갖춘 3로(3-way) 케이블로서 1개의 입력단은 제1 태양광모듈(21121)의 전단에 연결된 태양광모듈로부터 발전된 전류를 입력받고, 2개의 출력단 중 어느 하나는 전단측 중간연결부(31)의 입력단에 연결되며 다른 하나는 바이패스 다이오드(3274)에 연결되어 상기 전단측 중간연결부와 후단측 중간연결부(32) 사이에 연결된 제1·2 태양광모듈이 정상 동작할 때에는 1개의 입력단을 통해 유입된 전류가 제1·2 태양광모듈 방향으로 흐르는 반면, 제1·2 태양광모듈의 출력이 저하되었을 때에는 1개의 입력단을 통해 유입된 전류가 바이패스 다이오드(3274)로 흐른다.
상기 전단측 T형 다이오드 커넥터부(33)는 전단측 메인(main) 케이블(331)과; 상기 전단측 메인(main) 케이블(331)의 일단에 장착되고 내부에 바이패스 다이오드(33274)가 장착되는 전단측 제1 피메일(Female) 커넥터(332)와; 상기 전단측 메인(main) 케이블(331)의 타단에 장착된 전단측 제2 피메일 커넥터(334)와; 상기 전단측 메인 케이블(331)의 중간으로부터 분기되어 연장된 전단측 분기 케이블(333)과; 상기 전단측 분기 케이블(333)의 한쪽 끝에 장착되고 상기 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 피메일(Female) 커넥터(312)와 결합되는 전단측 분기 케이블 메일(male) 커넥터(335)와; 상기 전단측 메인(main) 케이블(331)과 전단측 분기 케이블(333)은 납땜을 통해 연결된 후 연결 부분을 몰딩시켜 포장하는 T형 몰딩재(336)로 이루어진다.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전단측 제1 피메일(Female) 커넥터(332)는 상기 전단측 메인(main) 케이블(331)의 일단에 장착되고 내부에 바이패스 다이오드(33274)가 장착된다.
상기 전단측 제1 피메일(Female) 커넥터(332)는 원통 형태의 제1 1단 결합 부재(3321)와; 상기 제1 1단 결합 부재(3321)보다 직경이 큰 원통 형태로서 상기 제1 1단 결합 부재(3321)의 하단에 상기 제1 1단 결합 부재(3321)와 일체로 결합되고 측부 둘레면에 제1 원형홈(33221)이 가공된 제1 2단 결합 부재(3322); 상기 제1 원형홈(33221)에 끼워지는 제1 방수용 오링(33222); 상기 제1 2단 결합 부재(3322)보다 직경이 큰 원통 형태로서 상기 제1 2단 결합 부재(3322)의 하단에 상기 제1 2단 결합 부재(3322)와 일체로 결합되고 측부 둘레면에 제1 쐐기형 걸림턱(33231)이 갖추어진 제1 3단 결합 부재(3323); 상기 제1 3단 결합 부재(3323)의 하단에 상기 제1 3단 결합 부재(3323)와 일체로 결합되고 하부 둘레면에 나사산이 가공된 제1 피메일 커넥터 몸체(3324); 일체로 결합된 상기 제1 1단 결합 부재(3321)와 제1 2단 결합 부재(3322) 제1 3단 결합 부재(3323) 및 제1 피메일 커넥터 몸체(3324)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피메일 전기 접속 부재 끼움구(3326); 및 상기 제1 피메일 커넥터 몸체(3324)에 가공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1 피메일 전기 접속 부재 끼움구(3326)와 연통되면서 전단측 메인(main) 케이블(31)의 상단이 통과되는 제1 케이블 인입구가 관통된 제1 피메일 너트 캡(3325)(Nut Cap)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피메일 전기 접속 부재 끼움구(3326)에는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33274)와 전기 접속되어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33274)로부터 전달된 전류를 전달받는 제1 피메일 전기 접속 부재(3327)와 상기 제1 피메일 전기 접속 부재(3327)와 직렬 연결된 바이패스 다이오드(33274)가 끼워진다.
상기 전단측 메인 케이블(31)의 일단이 진입되는 상기 제1 피메일 전기 접속 부재 끼움구(3326)의 입구에는 방수를 위해 방수용 고무 튜브(33276)가 부가 장착된다.
상기 제1 피메일 전기 접속 부재(3327)는 내부가 비어 있고 상단이 개구된 드럼(Drum) 형태로서 측부 둘레면이 내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고 측부 둘레면에 제1 슬릿홀(332711)(Slit Hole)이 등간격으로 관통된 제1 드럼(Drum)형 피메일 탄성 커넥터(33271)와; 상기 제1 드럼형 피메일 탄성 커넥터(33271)의 하단에 고정 결합된 전단측 제1 중간 연결 도체(33277); 횡단면이 'C' 형태의 관으로써 상기 전단측 제1 중간 연결 도체(33277)의 측부 둘레면에 끼워지고 측부 둘레면에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2개 이상의 제1 탄성 걸림편(332721)이 갖추어진 제1 C 클립형 탄성 걸림 부재(33272); 상기 전단측 제1 중간 연결 도체(33277)의 하단에 고정되고 바이패스 다이오드(33274)의 캐소드(Cathode) 단자로부터 연장된 리드(Lead)선에 압착 결합되며 바깥 둘레면에 환형 걸림턱(332731)이 갖추어진 캐소드(Cathode)측 접속 터미널(33273); 및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33274)의 애노드(Anode) 단자로부터 연장된 리드선과 전단측 메인(main) 케이블(31)의 상부 동선(銅線)을 연결하는 애노드(Anode)측 접속 터미널(33275)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탄성 걸림편(332721)과 환형 걸림턱(332731)은 상기 제1 피메일 전기 접속 부재 끼움구(3326)의 내부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환형 스토퍼에 걸쳐 고정된다.
도 19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전단측 분기 케이블 메일(male) 커넥터(335)는 상기 전단측 분기 케이블(333)의 한쪽 끝에 장착되고 상기 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 피메일(Female) 커넥터(312)와 결합된다.
상기 전단측 분기 케이블 메일(male) 커넥터(335)는 좌우 수평 방향으로 눕혀진 원통 형태로서 좌측 둘레면에 나사산이 가공되고 양측에 제1 쐐기형 걸림턱 끼움구(33511)가 관통된 전단측 제1 메일 커넥터 몸체(3351)와; 상기 전단측 제1 메일 커넥터 몸체(3351)를 좌우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전단측 제1 메일 전기 접속 부재 끼움구(3353); 상기 전단측 제1 메일 커넥터 몸체(3351)에 가공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고 좌측면 중앙에 상기 전단측 제1 메일 전기 접속 부재 끼움구(3353)와 연통되면서 전단측 분기 케이블(33)의 한쪽 끝이 통과되는 케이블 인입구가 관통된 전단측 제1 메일 너트 캡(3352); 및 상기 전단측 제1 메일 전기 접속 부재 끼움구(3353)에 장착되고 상기 전단측 분기 케이블(33)에 연결되는 전단측 제1 메일 전기 접속 부재(3354)를 포함한다.
상기 전단측 제1 메일 전기 접속 부재(3354)는 좌우 수평 방향으로 눕혀진 드럼 형태로서 우측면이 개구되고 좌측 둘레면에 제1 삼각 돌기(335411)가 갖추어진 전단측 제1 드럼형 메일 터미널(33541)과; 상기 전단측 제1 드럼형 메일 터미널(33541)의 좌측단에 고정 결합된 전단 분기측 중간 연결 도체(33542); 및 상기 전단 분기측 중간 연결 도체(33542)의 좌측단에 고정 결합되고 전단측 분기 케이블(33)의 우측 동선이 압착되는 전단측 제1 케이블 결합부(33543)를 포함한다.
상기 전단측 제1 드럼형 메일 터미널(33541)과 전단 분기측 중간 연결 도체(33542)의 연결 부분은 소정 각도로 테이퍼(Taper) 진다.
상기 제1 삼각 돌기(335411)와 전단 분기측 중간 연결 도체(33542) 사이에는 전단측 제1 메일 전기 접속 부재 끼움구(3353)의 내부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된 제3 환형 스토퍼(33531)가 끼워진다.
도 20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전단측 제2 피메일 커넥터(334)는 상기 전단측 메인(main) 케이블(331)의 타단에 장착된다.
상기 전단측 제2 피메일 커넥터(334)는 원통 형태의 제2 1단 결합 부재(3341)와; 상기 제2 1단 결합 부재(3341)보다 직경이 큰 원통 형태로서 상기 제2 1단 결합 부재(3341)의 상단에 상기 제2 1단 결합 부재(3341)와 일체로 결합되고 측부 둘레면에 제2 원형 홈(33421)이 가공된 제2 2단 결합 부재(3342); 상기 제2 원형 홈(33421)에 끼워지는 제2 방수용 오링(33422); 상기 제2 2단 결합 부재(3342)보다 직경이 큰 원통 형태로서 상기 제2 2단 결합 부재(3342)의 상단에 상기 제2 2단 결합 부재(3342)와 일체로 결합되고 측부 둘레면에 제2 쐐기형 걸림턱(33431)이 갖추어진 제2 3단 결합 부재(3343); 상기 제2 3단 결합 부재(3343)의 상단에 상기 제2 3단 결합 부재(3343)와 일체로 결합되고 상부 둘레면에 나사산이 가공된 제2 피메일 커넥터 몸체(3344); 일체로 결합된 상기 제2 1단 결합 부재(3341)와 제2 2단 결합 부재(3342) 제2 3단 결합 부재(3343) 및 제2 피메일 커넥터 몸체(3344)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피메일 전기 접속 부재 끼움구(3346); 상기 제2 피메일 커넥터 몸체(3344)에 가공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제2 피메일 전기 접속 부재 끼움구(3346)와 연통되면서 전단측 메인(main) 케이블(31)의 타단이 통과되는 케이블 인입구가 관통된 제2 피메일 너트 캡(3345); 및 상기 제2 피메일 전기 접속 부재 끼움구(3346)에는 상기 전단측 메인 케이블(31)의 타단에 전기 접속된 제2 피메일 전기 접속 부재(3347)가 끼워진다.
상기 제2 피메일 전기 접속 부재(3347)는 내부가 비어 있고 하단이 개구된 드럼(Drum) 형태로서 측부 둘레면이 내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고 측부 둘레면에 제2 슬릿홀(334711)(Slit Hole)이 등간격으로 관통된 제2 드럼형 피메일 탄성 커넥터(33471)와; 상기 제2 드럼형 피메일 탄성 커넥터(33471)의 상단에 고정 결합된 전단측 제2 중간 연결 도체(33472); 상기 전단측 제2 중간 연결 도체(33472)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고 전단측 메인(main) 케이블(331)의 하부 동선이 압착되는 제2 케이블 결합부(33473); 상기 전단측 제2 중간 연결 도체(33472)의 하부 둘레면에 2개 이상이 등간격으로 설치된 하부 돌출턱(334722); 상기 전단측 제2 중간 연결 도체(33472)의 상부 둘레면에 2개 이상이 등간격으로 설치된 상부 돌출턱(334721); 및 횡단면이 'C' 형태의 관으로써 상기 하부 돌출턱(334722)과 상부 돌출턱(334721) 사이에 배치된 전단측 제2 중간 연결 도체(33472)의 측부 둘레면에 끼워지고 측부 둘레면에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2개 이상의 제2 탄성 걸림편(334741)이 갖추어진 제2 C 클립형 탄성 걸림 부재(33474)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돌출턱(334721)과 제2 탄성 걸림편(334741) 사이 공간은 상기 제2 피메일 전기 접속 부재 끼움구(3346)의 내부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 환형 스토퍼(33461)에 걸려 고정된다.
상기 제2 드럼형 피메일 탄성 커넥터(33471)와 전단측 제2 중간 연결 도체(33472) 사이의 결합부는 소정 각도로 테이퍼(Taper)진다
도 2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후단측 T형 커넥터부(34)는 2개의 입력단과 1개의 출력단을 갖춘 3로(3-way) 케이블로서 2개의 입력단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후단측 중간연결부(32)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2개의 입력단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33274)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전단측 중간연결부와 후단측 중간연결부(32) 사이에 연결된 제1·2 태양광모듈이 정상 동작할 때에는 제1·2 태양광모듈을 거쳐 후단측 중간연결부(32)를 통해 유입된 전류가 1개의 출력단을 통해 제2 태양광모듈(21122)의 후단에 연결되는 태양광모듈로 유입되거나 배터리 충전 시스템 또는 인버터로 입력되는 반면, 태양광모듈의 출력이 저하되었을 때에는 바이패스 다이오드(33274)로 우회된 전류가 1개의 출력단을 통해 제2 태양광모듈(21122)의 후단에 연결되는 태양광모듈로 유입되거나 배터리 충전 시스템 또는 인버터로 입력된다.
상기 후단측 T형 커넥터부(34)는 후단측 메인(main) 케이블(341)과; 상기 후단측 메인(main) 케이블(341)의 일단에 장착되는 후단측 제1 메일(male) 커넥터(342)과; 상기 후단측 메인(main) 케이블(341)의 타단에 장착되고 상기 전단측 제1 피메일 커넥터(332)와 결합되는 후단측 제2 메일 커넥터(343)과; 상기 후단측 메인 케이블(341)의 중간으로부터 분기되어 연장되는 후단측 분기 케이블(344)과; 상기 후단측 분기 케이블(344)의 한쪽 끝에 장착되고 상기 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 메일 커넥터(322)와 결합되는 후단측 분기 케이블 피메일(Female) 커넥터(345)로 이루어진다.
도 2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후단측 제1 메일(male) 커넥터(342)는 상기 후단측 메인(main) 케이블(341)의 일단에 장착된다.
상기 후단측 제1 메일(male) 커넥터(342)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원통 형태로서 하부 둘레면에 나사산이 가공되고 양측에 제2 쐐기형 걸림턱 끼움구(34211)가 관통된 후단측 제1 메일 커넥터 몸체(3421)와; 상기 후단측 제1 메일 커넥터 몸체(3421)를 상하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후단측 제1 메일 전기 접속 부재 끼움구(3423); 상기 후단측 제1 메일 커넥터 몸체(3421)에 가공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고 윗면 중앙에 상기 후단측 제1 메일 전기 접속 부재 끼움구(3423)와 연통되면서 후단측 메인 케이블(41)의 한쪽 끝이 통과되는 케이블 인입구가 관통된 후단측 제1 메일 너트 캡(3422); 및 상기 후단측 제1 메일 전기 접속 부재 끼움구(3423)에 장착되는 후단측 제1 메일 전기 접속 부재(3424)를 포함한다.
상기 후단측 제1 메일 전기 접속 부재(3424)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드럼 형태로서 윗면이 개구되고 하부 둘레면에 제2 삼각 돌기(342411)가 갖추어진 후단측 제1 드럼형 메일 터미널(34241)과; 상기 후단측 제1 드럼형 메일 터미널(34241)의 하단에 고정 결합된 후단측 제1 중간 연결 도체(34242); 및 상기 후단측 제1 중간 연결 도체(34242)의 하단에 고정 결합되고 후단측 메인 케이블(41)의 상부 동선이 압착되는 후단측 제1 케이블 결합부(34243)를 포함한다.
상기 후단측 드럼형 메일 터미널(34241)과 후단측 제1 중간 연결 도체(34242)의 연결 부분은 소정 각도로 테이퍼(Taper) 진다.
상기 제2 삼각 돌기(342411)와 후단측 제1 중간 연결 도체(34242) 사이에는 후단측 제1 메일 전기 접속 부재 끼움구(3423)의 내부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된 제5 환형 스토퍼(34231)가 끼워진다.
도 2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후단측 제2 메일 커넥터(343)는 상기 후단측 메인(main) 케이블(341)의 타단에 장착되고 상기 전단측 제1 피메일 커넥터(332)와 결합된다.
상기 후단측 제2 메일 커넥터(343)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원통 형태로서 상부 둘레면에 나사산이 가공되고 양측에 제3 쐐기형 걸림턱 끼움구(34311)가 관통된 후단측 제2 메일 커넥터 몸체(3431)와; 상기 후단측 제2 메일 커넥터 몸체(3431)를 상하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후단측 제2 메일 전기 접속 부재 끼움구(3433); 상기 후단측 제2 메일 커넥터 몸체(3431)에 가공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고 윗면 중앙에 상기 후단측 제2 메일 전기 접속 부재 끼움구(3433)와 연통되면서 후단측 메인 케이블(41)의 하단이 통과되는 케이블 인입구가 관통된 후단측 제2 메일 너트 캡(3432); 및 상기 후단측 제2 메일 전기 접속 부재 끼움구(3433)에 장착되는 후단측 제2 메일 전기 접속 부재(3434)를 포함한다.
상기 후단측 제2 메일 전기 접속 부재(3434)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드럼 형태로서 밑면이 개구되고 상부 둘레면에 제3 삼각 돌기(3411)이 갖추어진 후단측 제2 드럼형 메일 터미널(34341)과; 상기 후단측 제2 드럼형 메일 터미널(34341)의 상단에 고정 결합된 후단측 제2 중간 연결 도체(34342); 및 상기 후단측 제2 중간 연결 도체(34342)의 상단에 고정 결합되고 후단측 분기 케이블(44)의 하부 동선이 압착되는 후단측 제2 케이블 결합부(34343)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삼각 돌기(343411)와 후단측 제2 중간 연결 도체(34342) 사이에는 후단측 제2 메일 전기 접속 부재 끼움구(3433)의 내부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된 제6 환형 스토퍼(34331)가 끼워진다.
상기 후단측 제2 드럼형 메일 터미널(34341)과 후단측 제2 중간 연결 도체(34342)의 연결 부분은 소정 각도로 테이퍼(Taper) 진다.
일체로 결합된 제1 1단 결합 부재(321)와 제1 2단 결합 부재(322) 및 제1 3단 결합 부재(323)는 상기 후단측 제2 메일 커넥터 몸체(3431)에 가공된 후단측 제2 메일 전기 접속 부재 끼움구(3433)에 끼워지고, 상기 후단측 제2 드럼형 메일 터미널(34341)은 제1 드럼형 피메일 탄성 커넥터(3271)에 끼워지며, 상기 제1 쐐기형 걸림턱(3231)은 제3 쐐기형 걸림턱 끼움구(34311)에 끼워진다.
도 24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후단측 분기 케이블 피메일(Female) 커넥터(345)는 상기 후단측 분기 케이블(344)의 한쪽 끝에 장착되고 상기 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 메일 커넥터(322)와 결합된다.
상기 후단측 분기 케이블 피메일(Female) 커넥터(345)는 좌우 수평 방향으로 눕혀진 원통 형상의 제4 1단 결합 부재(3451)와; 상기 제4 1단 결합 부재(3451)보다 직경이 큰 원통 형태로서 상기 제4 1단 결합 부재(3451)의 좌측단에 상기 제4 1단 결합 부재(3451)와 일체로 결합되고 둘레면에 제4 원형홈(34521)이 가공된 제4 2단 결합 부재(3452); 상기 제4 원형홈(34521)에 끼워지는 제4 방수용 오링(34522); 상기 제4 2단 결합 부재(3452)보다 직경이 큰 원통 형태로서 상기 제4 2단 결합 부재(3452)의 좌측단에 상기 제4 2단 결합 부재(3452)와 일체로 결합되고 둘레면에 제4 쐐기형 걸림턱(34531)이 2개 이상 갖추어진 제4 3단 결합 부재(3453); 상기 제4 3단 결합 부재(3453)의 좌측단에 상기 제4 3단 결합 부재(3453)와 일체로 결합되고 좌측 둘레면에 나사산이 가공된 제4 피메일 커넥터 몸체(3454); 일체로 결합된 상기 제4 1단 결합 부재(3451)와 제4 2단 결합 부재(3452) 제4 3단 결합 부재(3453) 및 제4 피메일 커넥터 몸체(3454)를 좌우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4 피메일 전기 접속 부재 끼움구(3456); 상기 제4 피메일 커넥터 몸체(3454)에 가공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고 좌측 중앙에 상기 제4 피메일 전기 접속 부재 끼움구(3456)와 연통되면서 후단측 분기 케이블(344)의 우측단이 통과되는 케이블 인입구가 관통된 제4 피메일 너트 캡(3455); 및 상기 제4 피메일 전기 접속 부재 끼움구(3456)에는 상기 후단측 분기 케이블(344)의 우측단에 전기 접속된 제4 피메일 전기 접속 부재(3457)가 끼워진다.
상기 제4 피메일 전기 접속 부재(3457)는 좌우 수평 방향으로 눕혀진 드럼(Drum) 형태로서 내부가 비어 있고 우측면이 개구되며 외부 둘레면이 내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고 외부 둘레면에 제4 슬릿홀(345711)(Slit Hole)이 등간격으로 관통된 제4 드럼형 피메일 탄성 커넥터(34571)와; 상기 제4 드럼형 피메일 탄성 커넥터(34571)의 좌측단에 고정 결합된 후단측 제4 중간 연결 도체(34572); 상기 후단측 제4 중간 연결 도체(34572)의 좌측단에 고정 결합되고 후단측 분기 케이블(344)의 우측 동선이 압착되는 제4 케이블 결합부(34573); 상기 후단측 제4 중간 연결 도체(34572)의 좌측 둘레면에 2개 이상이 등간격으로 설치된 제2 좌측 돌출턱(345721); 상기 후단측 제4 중간 연결 도체(34572)의 우측 둘레면에 2개 이상이 등간격으로 설치된 제2 우측 돌출턱(345722); 및 횡단면이 'C' 형태의 관으로써 상기 제2 좌측 돌출턱(345721)과 제2 우측 돌출턱(345722) 사이에 배치된 후단측 제4 중간 연결 도체(34572)의 둘레면에 끼워지고 외부 둘레면에 바깥 방향으로 돌출된 2개 이상의 제4 탄성 걸림편(345741)이 갖추어진 제4 C 클립형 탄성 걸림 부재(34574)를 포함한다.
도 2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인터록부(4)는 상기 태양광모듈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태양광모듈(2112)의 온도가 80℃ 이상되면 회로를 차단하고, 에어컨을 가동시킬 때는 상기 루버 시스템(A)이 열리므로 발전을 중단하기 위해 회로를 차단한다.
본 발명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인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루버 시스템(A)에 따르면 태양광모듈(2112)은 블레이드(2111)에 일체화 시키고, 태양광 발전에 따른 케이블과 부품이 상기 프레임부(1) 내부에 설치되므로 미관이 수려하며, 바이패스 다이오드(33274)를 구비하여 상기 태양광모듈(2112)에 음영이 졌을 때 발생하는 발전의 저하에 따른 전체 출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태양광모듈(2112)에 음영이 졌을 때 발생할 수 있는 핫스팟(hot spot)으로부터 상기 태양광 모듈(2112)을 보호할 수 있어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시스템 에어컨이 설치된 아파트의 실외기실에 설치되어 각 세대 각각 또는 일정 세대를 묶어 발전할 수 있어 개개 세대가 사용하거나 전체 아파트의 공공전기시설에 사용할 수 있어 유휴의 설비를 이용하여 발전할 수 친환경적 시스템이다.
A : 루버 시스템
1 : 프레임부 11 : 4각 테두리
12 : 루버설치공간부 121 : 슬랫마감부재
13 : 인버터설치공간부 131 : 인버터설치공간
132 : 그릴설치공간 1321 : 그릴
2 : 루버부 21 : 슬랫
211 : 모듈일체형 블레이드 2111 : 블레이드
2112 : 태양광모듈 21121 : 제1 태양광모듈
21122 : 제2 태양광모듈 21123 : 모듈프레임
21124 : EVA/Cell/Back Sheet 21125 : 실리콘 접착제
21126 : 보호글라스 212 : 블레이드회전지그
213 : 블레이드 가드 214 : 블레이드 프레임 고정핀
22 : 회전레버부 221 : 수직링크
222 : 수평링크 223 : 개폐각도 조정레버부
3 : 직렬커넥터부 3a : 직렬커넥터
31. 전단측 중간연결부 311. 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
312. 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 피메일 커넥터
3121. 제3 1단 결합 부재 3122. 제3 2단 결합 부재
31221. 제3 원형 홈 31222. 제3 방수용 오링
3123. 제3 3단 결합 부재 31231. 제3 쐐기형 걸림턱
3124. 제3 피메일 커넥터 몸체 3125. 제3 피메일 너트 캡
3126. 제3 피메일 전기 접속 부재 끼움구
31261. 제4 환형 스토퍼 3127. 제3 피메일 전기 접속 부재
31271. 제3 드럼형 피메일 탄성 커넥터
312711. 제3 슬릿홀 31272. 전단측 제3 중간 연결 도체
312721. 제1 좌측 돌출턱 312722. 제1 우측 돌출턱
31273. 제3 케이블 결합부 31274. 제3 C 클립형 탄성 걸림 부재
312741. 제3 탄성 걸림편
313. 전단측 전기 접속 수단
3131. 마이너스측 연결 터미널 31311. 제1 T형 홀
3132. 제1 정션 박스 몸체 31321. 제1 정션 박스 개방홀
3133. 제1 정션 박스 커버
32. 후단측 중간연결부 321. 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
322. 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 메일 커넥터
3221. 후단측 제3 메일 커넥터 몸체 32211. 제4 쐐기형 걸림턱 끼움구
3222. 후단측 제3 메일 너트 캡
3223. 후단측 제3 메일 전기 접속 부재 끼움구
32231. 제8 환형 스토퍼 3224. 후단측 제3 메일 전기 접속 부재
32241. 후단측 제3 드럼형 메일 터미널 322411. 제4 삼각 돌기
32242. 후단측 제3 중간 연결 도체 32243. 후단측 제3 케이블 결합부
323. 후단측 전기 접속 수단 3231. 플러스측 연결 터미널
32311. 제2 T형 홀 3232. 제2 정션 박스 몸체
32321. 제2 정션 박스 개방홀 3233. 제2 정션 박스 커버
33. 전단측 T형 다이오드 커넥터부 331. 전단측 메인 케이블
332. 전단측 제1 피메일 커넥터 3321. 제1 1단 결합 부재
3322. 제1 2단 결합 부재 33221. 제1 원형홈
33222. 제1 방수용 오링 3323. 제1 3단 결합 부재
33231. 제1 쐐기형 걸림턱 3324. 제1 피메일 커넥터 몸체
3325. 제1 피메일 너트 캡
3326. 제1 피메일 전기 접속 부재 끼움구
3327. 제1 피메일 전기 접속 부재
33271. 제1 드럼형 피메일 탄성 커넥터 332711. 제1 슬릿홀
33272. 제1 C 클립형 탄성 걸림 부재 332721. 제1 탄성 걸림편
33273. 캐소드측 접속 터미널
332731. 환형 걸림턱 33274. 바이패스 다이오드
33275. 애노드측 접속 터미널 33277. 전단측 제1 중간 연결 도체
333. 전단측 분기 케이블 334. 전단측 제2 피메일 커넥터
3341. 제2 1단 결합 부재 3342. 제2 2단 결합 부재
33421. 제2 원형 홈 33422. 제2 방수용 오링
3343. 제2 3단 결합 부재 33431. 제2 쐐기형 걸림턱
3344. 제2 피메일 커넥터 몸체 3345. 제2 피메일 너트 캡
3346. 제2 피메일 전기 접속 부재 끼움구
33461. 제2 환형 스토퍼 3347. 제2 피메일 전기 접속 부재
33471. 제2 드럼형 피메일 탄성 커넥터
334711. 제2 슬릿홀 33472. 전단측 제2 중간 연결 도체
334721. 상부 돌출턱 334722. 하부 돌출턱
33473. 제2 케이블 결합부 33474. 제2 C 클립형 탄성 걸림 부재
334741. 제2 탄성 걸림편 335. 전단측 분기 케이블 메일 커넥터
3351. 전단측 제1 메일 커넥터 몸체 33511. 제1 쐐기형 걸림턱 끼움구
3352. 전단측 제1 메일 너트 캡
3353. 전단측 제1 메일 전기 접속 부재 끼움구
33531. 제3 환형 스토퍼 3354. 전단측 제1 메일 전기 접속 부재
33541. 전단측 제1 드럼형 메일 터미널
335411. 제1 삼각 돌기 33542. 전단 분기측 중간 연결 도체
33543. 전단측 제1 케이블 결합부 336. T형 몰딩재
34. 후단측 T형 커넥터부 341. 후단측 메인 케이블
342. 후단측 제1 메일 커넥터 3421. 후단측 제1 메일 커넥터 몸체
34211. 제2 쐐기형 걸림턱 끼움구 3422. 후단측 제1 메일 너트 캡
3423. 후단측 제1 메일 전기 접속 부재 끼움구
34231. 제5 환형 스토퍼 3424. 후단측 제1 메일 전기 접속 부재
34241. 후단측 제1 드럼형 메일 터미널
342411. 제2 삼각 돌기 34242. 후단측 제1 중간 연결 도체
34243. 후단측 제1 케이블 결합부 343. 후단측 제2 메일 커넥터
3431. 후단측 제2 메일 커넥터 몸체 34311. 제3 쐐기형 걸림턱 끼움구
3432. 후단측 제2 메일 너트 캡
3433. 후단측 제2 메일 전기 접속 부재 끼움구
34331. 제6 환형 스토퍼 3434. 후단측 제2 메일 전기 접속 부재
34341. 후단측 제2 드럼형 메일 터미널
343411. 제3 삼각 돌기 34342. 후단측 제2 중간 연결 도체
34343. 후단측 제2 케이블 결합부 344. 후단측 분기 케이블
345. 후단측 분기 케이블 피메일 커넥터
3451. 제4 1단 결합 부재 3452. 제4 2단 결합 부재
34521. 제4 원형 홈 34522. 제4 방수용 오링
3453. 제4 3단 결합 부재 34531. 제4 쐐기형 걸림턱
3454. 제4 피메일 커넥터 몸체 3455. 제4 피메일 너트 캡
3456. 제4 피메일 전기 접속 부재 끼움구
3457. 제4 피메일 전기 접속 부재 34571. 제4 드럼형 피메일 탄성 커넥터
345711. 제4 슬릿홀 34572. 후단측 제4 중간 연결 도체
345721. 제2 좌측 돌출턱 345722. 제2 우측 돌출턱
34573. 제4 케이블 결합부 34574. 제4 C 클립형 탄성 걸림 부재
345741. 제4 탄성 걸림편 34561. 제7 환형 스토퍼
4 : 인터록부
5 : 방충망부

Claims (7)

  1.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차양과 태양광발전을 하는 태양광 발전용 루버시스템(A)에 있어서,
    상기 루버 시스템(A)은 외벽에 내.외부가 서로 통하게 고정 설치되며, 4각 테두리(11)를 포함하는 프레임부(1)와;
    상기 프레임부(1)의 내측 수평 방향으로 축결합된 다수의 회전축 상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되는 블레이드(2111)와 상기 블레이드(2111)의 일측에 접착되어 상기 블레이드(2111)와 일체화된 태양광모듈(21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수 개의 슬랫(21)과, 각각의 상기 슬랫(21)에 결합되어 상기 슬랫(21)을 회전시키는 회전레버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차양과 태양광발전을 담당하는 루버부(2)와;
    상기 4각 테두리(11) 내부에 삽입 설치되고, 2개의 상기 슬랫(21)의 태양광모듈(2112)에서 각각 발전된 DC 전력이 직렬로 연결되어 인입되며, 전후 2개의 상기 태양광모듈(2112)에서 발전된 DC 전력과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태양광모듈(2112)에 음영이 졌을 때 발생하는 발전의 저하에 따른 전체 출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단계에서 발전되어 입력되는 DC 전력을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다이오드(33274)가 포함된 다수 개의 직렬커넥터(3a)로 구성된 직렬커넥터부(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직렬커넥터(3a)는 출력단이 2개의 상기 슬랫(21) 중에 홀수 번째의 상기 슬랫(21)의 태양광모듈(2112)인 제1 태양광모듈(21121)의 마이너스극(-)에 연결된 전단측 중간연결부(31)와;
    상기 제1 태양광모듈(21121)의 후단에 직렬 연결되며, 2개의 상기 슬랫(21) 중에 짝수 번째의 상기 슬랫(21)의 태양광모듈(2112)인 제2 태양광모듈(21122)의 플러스극(+)에 입력단이 연결되는 후단측 중간연결부(32);
    1개의 입력단과 2개의 출력단을 갖춘 3로(3-way) 케이블로서 1개의 입력단은 제1 태양광모듈(21121)의 전단에 연결된 태양광모듈로부터 발전된 전류를 입력받고, 2개의 출력단 중 어느 하나는 전단측 중간연결부(31)의 입력단에 연결되며 다른 하나는 바이패스 다이오드(3274)에 연결되어 상기 전단측 중간연결부와 후단측 중간연결부(32) 사이에 연결된 제1·2 태양광모듈이 정상 동작할 때에는 1개의 입력단을 통해 유입된 전류가 제1·2 태양광모듈 방향으로 흐르는 반면, 제1·2 태양광모듈의 출력이 저하되었을 때에는 1개의 입력단을 통해 유입된 전류가 바이패스 다이오드(3274)로 흐르는 전단측 T형 다이오드 커넥터부(33)와;
    2개의 입력단과 1개의 출력단을 갖춘 3로(3-way) 케이블로서 2개의 입력단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후단측 중간연결부(32)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2개의 입력단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33274)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전단측 중간연결부와 후단측 중간연결부(32) 사이에 연결된 제1·2 태양광모듈이 정상 동작할 때에는 제1·2 태양광모듈을 거쳐 후단측 중간연결부(32)를 통해 유입된 전류가 1개의 출력단을 통해 제2 태양광모듈(21122)의 후단에 연결되는 태양광모듈로 유입되거나 배터리 충전 시스템 또는 인버터로 입력되는 반면, 태양광모듈의 출력이 저하되었을 때에는 바이패스 다이오드(33274)로 우회된 전류가 1개의 출력단을 통해 제2 태양광모듈(21122)의 후단에 연결되는 태양광모듈로 유입되거나 배터리 충전 시스템 또는 인버터로 입력되는 후단측 T형 커넥터부(34)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단측 중간연결부(31)와 후단측 중간연결부(22) 사이에 연결된 제1·2태양광모듈의 출력이 저하되면 출력이 저하된 제1·2 태양광모듈로 입력되는 전류를 바이패스 다이오드(33274)를 통해 우회시킨 다음 정상 동작되는 2개의 다음 상기 슬랫(21)의 태양광모듈(2112)의 제1 태양광모듈(21121)로 전달하거나 배터리 충전 시스템 또는 인버터로 입력시킴으로써 출력이 저하된 상기 슬랫(21)의 태양광모듈(2112)로 인하여 직렬 연결된 복수개의 태양광모듈로부터 출력되는 합산 전력이 현저하게 떨어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4각 테두리(11)는 다수 개의 상기 직렬커넥터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알루미늄 4각 파이프 형상이며,
    상기 슬랫(21)은 회전되어 수평 위치일 때는 완전 오픈되어 공기가 유입되고 수직 위치일 때는 닫혀 외부와 차단시키는 블레이드(2111)와, 상기 블레이드(2111)의 일측에 접착되어 상기 블레이드(2111)와 일체화되는 태양광모듈(2112)를 포함하여 구성된 모듈일체형 블레이드(211)와;
    상기 모듈일체형 블레이드(211)가 회전될 수 있게 하는 블레이드 회전지그(212)와;
    상기 모듈일체형 블레이드(211)의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모듈일체형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회전지그(212)를 결합시켜주며, 상기 모듈일체형 블레이드(211)를 보호하고 고정시켜주는 블레이드 가드(213)와;
    상기 블레이드 가드(213)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부(1)에 상기 블레이드 가드(213)를 고정시켜주는 블레이드 프레임 고정핀(21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 시스템(A)은 상기 태양광모듈(2112)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태양광모듈(2112)의 온도가 80℃ 이상되면 회로를 차단하고, 에어컨을 가동시킬 때는 상기 루버 시스템(A)이 열리므로 발전을 중단하기 위해 회로를 차단하는 인터록부(4)와;
    모기를 포함하는 곤충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방충망부(5)가 추가로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1)의 4각 테두리(11)는 다수 개의 상기 직렬커넥터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알루미늄 4각 파이프 형상이며,
    상기 프레임부(1)는 상기 루버부(2)가 설치되는 루버설치공간부(12)와;
    발전된 전력을 직류에서 교류로 변환시키는 인버터가 설치되는 인버터설치공간부(13)로 나누어지고,
    상기 인버터설치공간부(13)는 상기 인버터가 설치되는 인버터설치공간(131)과;
    상기 인버터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한 온도 상승을 막기 위해 냉각을 위한 외부공기가 인입되는 그릴(1321)이 설치된 그릴설치공간(132)으로 나누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레버부(22)는 각각의 상기 슬랫(21)의 블레이드 회전지그(212)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슬랫(21)을 회전시키는 다수 개의 회전링크와;
    상기 회전링크와 다단으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링크를 움직이는 힘을 전달하는 수직링크와;
    상기 수직링크에 결합되어 상기 슬랫(21)의 열림 각도 조절과 개폐를 담당하는 개폐각도 조정레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측 중간연결부(31)는 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311)과;
    상기 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311)의 좌측단에 장착되는 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 피메일(Female) 커넥터(312)와;
    상기 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312)의 우측단에 장착되고 상기 제1 태양광모듈(21121)의 마이너스극(-)에 연결되는 전단측 전기 접속 수단(31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단측 중간연결부(32)는 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321)과;
    상기 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321)의 좌측단에 장착되는 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 메일 커넥터(322)와;
    상기 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321)의 우측단에 장착되고 상기 제2 태양광모듈(21122)의 플러스극(+)에 연결되는 후단측 전기 접속 수단(32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단측 T형 다이오드 커넥터부(33)는 전단측 메인(main) 케이블(331)과;
    상기 전단측 메인(main) 케이블(331)의 일단에 장착되고 내부에 바이패스 다이오드(33274)가 장착되는 전단측 제1 피메일(Female) 커넥터(332)와;
    상기 전단측 메인(main) 케이블(331)의 타단에 장착된 전단측 제2 피메일 커넥터(334)와;
    상기 전단측 메인 케이블(331)의 중간으로부터 분기되어 연장된 전단측 분기 케이블(333)과;
    상기 전단측 분기 케이블(333)의 한쪽 끝에 장착되고 상기 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 피메일(Female) 커넥터(312)와 결합되는 전단측 분기 케이블 메일(male) 커넥터(335)와;
    상기 전단측 메인(main) 케이블(331)과 전단측 분기 케이블(333)은 납땜을 통해 연결된 후 연결 부분을 몰딩시켜 포장하는 T형 몰딩재(36)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단측 T형 커넥터부(34)는 후단측 메인(main) 케이블(341)과;
    상기 후단측 메인(main) 케이블(341)의 일단에 장착되는 후단측 제1 메일(male) 커넥터(342)과;
    상기 후단측 메인(main) 케이블(341)의 타단에 장착되고 상기 전단측 제1 피메일 커넥터(332)와 결합되는 후단측 제2 메일 커넥터(343)과;
    상기 후단측 메인 케이블(341)의 중간으로부터 분기되어 연장되는 후단측 분기 케이블(344)과;
    상기 후단측 분기 케이블(344)의 한쪽 끝에 장착되고 상기 후단측 중간 연결 케이블 메일 커넥터(322)와 결합되는 후단측 분기 케이블 피메일(Female) 커넥터(34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
KR1020180131575A 2018-10-31 2018-10-31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 KR101958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575A KR101958432B1 (ko) 2018-10-31 2018-10-31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575A KR101958432B1 (ko) 2018-10-31 2018-10-31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8432B1 true KR101958432B1 (ko) 2019-07-04

Family

ID=67258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575A KR101958432B1 (ko) 2018-10-31 2018-10-31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432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7681B1 (ko) * 2019-12-16 2021-05-03 (주)엘지하우시스 태양전지 패널이 장착 가능한 루버 조립체
KR20210057946A (ko) * 2019-11-13 2021-05-24 (주)에스케이솔라에너지 태양광 모듈의 탈부착 기능을 적용한 태양광 루버 시스템
WO2021125760A1 (ko) * 2019-12-16 2021-06-24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태양전지 패널이 장착 가능한 루버 조립체
KR102298014B1 (ko) 2021-03-24 2021-09-06 (주)디딤디앤씨 태양광 발전장치 일체형 루버 시스템
KR102309008B1 (ko) * 2021-02-25 2021-10-06 (주)진테크널러지 태양광 발전 루버 블레이드 조립체 및 시스템
KR20220021199A (ko) * 2020-08-13 2022-02-22 유경완 블라인드 타입의 태양광 발전 장치
KR102390070B1 (ko) * 2021-08-20 2022-04-28 에이치디씨랩스 주식회사 바이패스 구성을 갖는 태양광발전루버창 시스템
KR20220096689A (ko) * 2020-12-31 2022-07-07 주식회사 부력에너지 송전용 창문 프레임이 구비된 프로젝트 개폐형 bipv 시스템
KR102421976B1 (ko) * 2021-08-20 2022-07-15 에이치디씨랩스 주식회사 바이패스 구성을 갖는 태양광발전루버창용 발전블레이드모듈
KR102610693B1 (ko) 2022-11-21 2023-12-06 손성구 태양광 발전 셔터
KR102654649B1 (ko) * 2023-01-10 2024-04-05 주식회사 코에스 태양광 발전 시스템루버의 원터치 결합구조를 갖는 블레이드 조립체
EP4222856B1 (en) * 2020-09-10 2024-04-10 Saule Spolka Akcyjna A photovoltaic lamella, its production method and a brise soleil containing said photovoltaic lamella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0514A1 (en) * 2004-10-14 2006-04-20 Solar And Wind Applications Ltd Energy window blinds overview
KR20110057374A (ko) * 2009-11-24 2011-06-0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자동 환기 기능이 구비된 블라인드 창호
KR20130039111A (ko) 2011-10-11 2013-04-19 박재성 태양광을 이용한 에어컨실외기의 자동루버시스템
KR20130039571A (ko) 2011-10-12 2013-04-22 박재성 태양광을 이용한 창호 자동 환기구 장치
JP2014095233A (ja) * 2012-11-09 2014-05-22 Mitsubishi Chemicals Corp 縦型ブラインド
KR200474282Y1 (ko) 2013-09-13 2014-09-03 한용운 환기창용 루버의 슬랫 조립구조
KR20160073660A (ko) 2014-12-17 2016-06-27 주식회사 루버텍코리아 루버 셔터의 슬랫 회동부
KR20180000898A (ko) * 2016-06-24 2018-01-04 정준석 태양광발전모듈루버를 구비한 루버창호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0514A1 (en) * 2004-10-14 2006-04-20 Solar And Wind Applications Ltd Energy window blinds overview
KR20110057374A (ko) * 2009-11-24 2011-06-0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자동 환기 기능이 구비된 블라인드 창호
KR20130039111A (ko) 2011-10-11 2013-04-19 박재성 태양광을 이용한 에어컨실외기의 자동루버시스템
KR20130039571A (ko) 2011-10-12 2013-04-22 박재성 태양광을 이용한 창호 자동 환기구 장치
JP2014095233A (ja) * 2012-11-09 2014-05-22 Mitsubishi Chemicals Corp 縦型ブラインド
KR200474282Y1 (ko) 2013-09-13 2014-09-03 한용운 환기창용 루버의 슬랫 조립구조
KR20160073660A (ko) 2014-12-17 2016-06-27 주식회사 루버텍코리아 루버 셔터의 슬랫 회동부
KR20180000898A (ko) * 2016-06-24 2018-01-04 정준석 태양광발전모듈루버를 구비한 루버창호
KR101853189B1 (ko) 2016-06-24 2018-04-27 정준석 태양광발전모듈루버를 구비한 루버창호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7946A (ko) * 2019-11-13 2021-05-24 (주)에스케이솔라에너지 태양광 모듈의 탈부착 기능을 적용한 태양광 루버 시스템
KR102327394B1 (ko) * 2019-11-13 2021-11-17 (주)에스케이솔라에너지 태양광 모듈의 탈부착 기능을 적용한 태양광 루버 시스템
JP2023507945A (ja) * 2019-12-16 2023-02-28 エルエックス・ハウシス・リミテッド 太陽電池パネルが装着可能なルーバー組立体
WO2021125760A1 (ko) * 2019-12-16 2021-06-24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태양전지 패널이 장착 가능한 루버 조립체
KR20210076860A (ko) * 2019-12-16 2021-06-24 (주)엘지하우시스 태양전지 패널이 장착 가능한 루버 조립체
KR20210076861A (ko) * 2019-12-16 2021-06-24 (주)엘지하우시스 태양전지 패널이 장착 가능한 루버 조립체
KR20210076859A (ko) * 2019-12-16 2021-06-24 (주)엘지하우시스 태양전지 패널이 장착 가능한 루버 조립체
JP7408811B2 (ja) 2019-12-16 2024-01-05 エルエックス・ハウシス・リミテッド 太陽電池パネルが装着可能なルーバー組立体
KR102593027B1 (ko) 2019-12-16 2023-10-24 (주)엘엑스하우시스 태양전지 패널이 장착 가능한 루버 조립체
KR102593028B1 (ko) 2019-12-16 2023-10-24 (주)엘엑스하우시스 태양전지 패널이 장착 가능한 루버 조립체
KR102541058B1 (ko) 2019-12-16 2023-06-12 (주)엘엑스하우시스 태양전지 패널이 장착 가능한 루버 조립체
KR102247681B1 (ko) * 2019-12-16 2021-05-03 (주)엘지하우시스 태양전지 패널이 장착 가능한 루버 조립체
KR102505268B1 (ko) * 2020-08-13 2023-02-28 유경완 블라인드 타입의 태양광 발전 장치
KR20220021199A (ko) * 2020-08-13 2022-02-22 유경완 블라인드 타입의 태양광 발전 장치
EP4222856B1 (en) * 2020-09-10 2024-04-10 Saule Spolka Akcyjna A photovoltaic lamella, its production method and a brise soleil containing said photovoltaic lamella
KR102504422B1 (ko) * 2020-12-31 2023-02-28 주식회사 부력에너지 송전용 창문 프레임이 구비된 프로젝트 개폐형 bipv 시스템
KR20220096689A (ko) * 2020-12-31 2022-07-07 주식회사 부력에너지 송전용 창문 프레임이 구비된 프로젝트 개폐형 bipv 시스템
KR102309008B1 (ko) * 2021-02-25 2021-10-06 (주)진테크널러지 태양광 발전 루버 블레이드 조립체 및 시스템
KR102298014B1 (ko) 2021-03-24 2021-09-06 (주)디딤디앤씨 태양광 발전장치 일체형 루버 시스템
KR102421976B1 (ko) * 2021-08-20 2022-07-15 에이치디씨랩스 주식회사 바이패스 구성을 갖는 태양광발전루버창용 발전블레이드모듈
KR102390070B1 (ko) * 2021-08-20 2022-04-28 에이치디씨랩스 주식회사 바이패스 구성을 갖는 태양광발전루버창 시스템
KR102610693B1 (ko) 2022-11-21 2023-12-06 손성구 태양광 발전 셔터
KR102654649B1 (ko) * 2023-01-10 2024-04-05 주식회사 코에스 태양광 발전 시스템루버의 원터치 결합구조를 갖는 블레이드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8432B1 (ko)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구비된 고효율 태양광 발전용 루버 시스템
KR101853189B1 (ko) 태양광발전모듈루버를 구비한 루버창호
KR102181471B1 (ko) 루버 창호용 셔터와 이를 적용한 루버 창호 시스템
KR101875795B1 (ko) 옥상 설치용 태양광모듈 고정프레임 조립체
KR101573058B1 (ko)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전동식 블라인드
MX2014003029A (es) Sistema de ventilacion de cumbrera multiuso.
WO2015199308A1 (ko) 태양광 발전효율 향상 및 최적화 장치를 갖는 지붕 일체형 태양광 발전모듈
KR101364497B1 (ko)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KR102051815B1 (ko) 태양열 가변형 루버시스템
KR20160023515A (ko) 베란다 설치용 태양광 패널 거치대
US20100243025A1 (en) Window[s] Treatment
KR20130059170A (ko) 태양광 발전용 블라인드
KR101633825B1 (ko) 발코니에 설치되는 좌우 회전식 비아이피브이 모듈
JP2009225827A (ja) 遮光部材制御装置
WO2012157964A1 (ko) 블라인드 형태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블라인드 형태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발광 및 발열 장치
KR101594001B1 (ko) 발코니 난간에 설치된 태양열집열장치
US8482246B2 (en) Customized shading devices including photovoltaic properties
CN103791582A (zh) 一种家用太阳能窗式通风装置
KR20170059034A (ko) 지붕에 설치되는 비아이피브이 모듈
KR101282518B1 (ko) 가변 차양형 bipv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AU2015101750A4 (en) Solar shutters
CN111502523A (zh) 遮阳装置及建筑物
KR101557740B1 (ko) 발전효율 및 채광성을 고려한 발코니형 상하 회전식 비아이피브이 모듈
CN212984398U (zh) 一种自发电智能雨棚
KR102421976B1 (ko) 바이패스 구성을 갖는 태양광발전루버창용 발전블레이드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