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6331A - 온실용 개폐기 무단리미트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온실용 개폐기 무단리미트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6331A
KR20210076331A KR1020190167382A KR20190167382A KR20210076331A KR 20210076331 A KR20210076331 A KR 20210076331A KR 1020190167382 A KR1020190167382 A KR 1020190167382A KR 20190167382 A KR20190167382 A KR 20190167382A KR 20210076331 A KR20210076331 A KR 20210076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driving
rotating body
handle
dri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석
Original Assignee
(주)이노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노팜 filed Critical (주)이노팜
Priority to KR1020190167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6331A/ko
Publication of KR20210076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3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006Vibration-damping or noise reduc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ea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버로 밀폐되는 케이스 내부에 좌우 양측으로 한 쌍의 구동기어를 설치하여 입력축의 구동력이 감속기어를 통해 전달되게 하고, 구동기어 회전력으로 리미트 스위치와 접하는 도그가 형성된 회전체를 구동하며, 아울러 커버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로 회전체를 회동하여 도그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한 행정거리 제어용 리미트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구동기어에 내접 구동기어를 형성하고; 상기 각 구동기어 전방의 회전체에 구동 내접기어와 대향되게 피동 내접기어를 형성하되; 상기 피동 내접기어는 구동 내접기어 보다 잇수를 2~3개 많게 형성하며, 구동 내접기어 폭의 2배 보다 큰 폭으로 형성하며; 상기 회전체의 중심에 형성된 조립구멍에 걸림되는 스프링받침판이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를 커버외부로 도출되게 결합한 상태에서, 스프링받침판과 회전체 사이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손잡이를 구동기어 쪽으로 가압되게 하며; 상기 스프링받침판에는 유성기어를 핀으로 결합하여 구동 내접기어와 피동 내접기어에 치 결합된 상태에서 손잡이를 당겨 회전체 쪽으로 이동시킨 때에는 피동 내접기어 쪽에만 기어물림 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온실용 개폐기 무단리미트 조절장치{limit control device for fine tuning possible migrate space control}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의 부직포 개폐기나, 산업기계 전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감속기의 회전 또는 행정(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무단조절 방식의 행정거리 제어용 리미트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리미트 스위치( limit switch)를 단속하는 좌우 양측 도그가 동일한 방향으로 제어되게 하여 방향성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며, 또한 도그의 위치조절시 손잡이를 당겨 돌릴 때 회전체가 손잡이와 함께 회전되고, 손잡이를 그냥 돌릴 때 회전체가 서서히 회전되어 도그의 위치가 미세하게 조절될 수 있게 한 온실용 개폐기 무단리미트 조절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의 회전력을 감속하고 감속된 출력축에서 얻어지는 구동력으로 일정거리를 이동하고 자동으로 정지할 수 있는 리미트 조절장치는 주로 비닐하우스의 자동개폐장치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리미트 조절장치는 출력축의 회전동력을 감속시켜 전달받는 피동축의 선단에 출력축의 기어와 직각방향으로 또 다른 기어를 치 결합하고, 치 결합된 기어축에 나사를 형성하고 이를 따라서 도그가 승강토록 하고, 도그 양측으로는 나사축봉을 따라서 승강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리미트 스위치를 장치함으로서 회전축이 정역회전시 도그가 승하강하면서 모터의 전원을 차단토록 한 것으로서, 이는 리미트 스위치의 위치조절이 외부에서 공구등을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고, 또한 회전이나 이동거리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없어 정밀성을 요하는 기계구성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코자 리미트 조절장치를 선출원 등록(실용신안등록 제0172538호, 제0213787호)한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등록 고안은 2개의 리미트 스위치에 각각 접촉되는 도그의 위치가 적층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회전손잡이가 결합되는 커버를 투명 재질로 구성하더라도 도그의 위치를 사용자가 정면에서 정확하게 육안으로 확인하기가 어려워 이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행정거리 제어용 리미트 조절장치를 출원등록(실용신안등록 제0367117호)하였으며, 그 구성은 손잡이의 회동에 의해 제어되는 2개의 도그를 독립적으로 구성하고, 도그를 회전손잡이가 결합되는 투명확인창(케이싱)과 근접시켜 도그의 식별이 사용자의 정면에서 극히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한 구성으로 감속되어 제공되는 선기어를 도그가 형성된 회전체의 중심에 설치하고, 선기어의 주변에는 회전체에 핀으로 조립된 유성기어를 배치하여 회전체를 구동할 수 있게 구성하되, 상기 유성기어의 외부에는 손잡이에 일체 형성된 내접기어가 선택적으로 배치되게 구성하여 회전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구동기어에 2개의 피동기어를 설치하여 회전체가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게 하였다.
상기한 종래 리미트 조절장치에서 도그의 위치조절은 손잡이를 가압하여 내접기어가 유성기어에 치 결합되게 한 상태에서 회전시키게 되는데, 선기어에 의해 회전하는 좌측과 우측 2개의 도그가 형성된 회전체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방향성에 혼동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고, 또 손잡이 1회전에 회전체가 1회전 되는 구성으로 미세한 조절이 불가능하였다.
회전체의 미세조절 불가능은 특히 비닐하우스 재배에 있어서 부직포의 개폐상태 불량으로 이어지게 되고 그로 인해 작물 성장에 해를 끼치게 되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172538호 2000년03월15일 공고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13787호 2001년02월15일 공고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67117호 2004년11월10일 공고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도그 위치조절에 따른 불편을 해소코자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리미트 스위치를 단속하는 좌우 양측 도그가 동일한 방향으로 제어되게 하여 방향성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며, 또한 도그의 위치조절시 손잡이를 당겨 돌릴 때 회전체가 손잡이와 함께 회전되고, 손잡이를 그냥 돌릴 때 회전체가 서서히 회전되어 도그의 위치가 미세하게 조절될 수 있게 한 온실용 개폐기 무단리미트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2개의 피동기어를 서로 결합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한 상태에서 한쪽 피동기어에 감속기어를 결합함으로 해서 방향성을 개선하였다.
그리고 구동기어와 도그가 형성된 회전체에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구동 내접기어와 피동 내접기어를 서로 다른 잇수를 가지도록 형성하고, 이들 구동 내접기어와 피동 내접기어에는 손잡이에 자전되도록 결합된 유성기어를 양쪽 내접기어에 걸쳐지게 치 결합하되, 상기 유성기어는 스프링의 탄성지지력이 제공되는 손잡이를 잡아당겨 피동 내접기어에만 치 결합되도록 피동 내접기어 내측으로 이동되게 함으로 해서 도그의 미세조절이 가능하게 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온실용 개폐기 무단리미트 조절장치는 비닐하우스 개폐기나 각종 산업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양측 회전체가 회전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되므로 방향성에 따른 사용자의 혼동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잇수가 서로 다른 구동 및 피동 내접기어에 유성기어가 걸쳐지도록 설치하고, 손잡이를 잡아당긴 상태에서 피동 내접기어에만 유성기어가 치 결합되는 것으로, 도그의 이동 량이 많은 경우 손잡이를 잡아당긴 상태에서 돌려 회전체를 회전시키고, 이동 량이 작은 경우 손잡이를 그냥 돌려 회전체를 서서히 회전시켜 미세 조절을 행할 수 있는 바, 도그의 위치이동에 따른 편리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온실용 개폐기 무단리미트 조절장치가 비닐하우스 개폐기에 설치된 예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온실용 개폐기 무단리미트 조절장치의 중요부분 발췌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행정거리 제어용 리미트 조절장치의 커버 분리상태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조립상태 단면도로서 구동기어의 구동력이 회전체에 전달되는 상태도
도 5는 도 2의 조립상태 단면도로서 손잡이의 구동력이 회전체에 전달되어 위치 조절하는 상태도
이하에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온실용 개폐기 무단리미트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온실용 개폐기 무단리미트 조절장치가 비닐하우스 개폐기에 설치된 예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온실용 개폐기 무단리미트 조절장치의 중요부분 발췌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행정거리 제어용 리미트 조절장치의 커버 분리상태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4, 도 5는 도 2의 조립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온실용 개폐기 무단리미트 조절장치(1)는 투명 재질로 구성된 커버(2)로 밀폐되는 케이스(3) 내부에 좌우 양측으로 한 쌍의 구동기어(4)(4')를 서로 치 결합된 상태로 구동되도록 설치한다.
이때 일측 구동기어(4)에는 감속기어(5)가 결합되며, 감속기어(5)에는 입력기어(6)를 결합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입력기어(6)가 입력축(6a)에 일체 형성되며, 도 1에 도는 바와 같이 비닐하우스 개폐기(100)와 같은 산업기계류에 부속된 감속기(110)의 동력이 전달되게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동력 전달은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키로 한다.
상기 각 구동기어(4)(4')의 중심에는 각각 내접 구동기어(4a)를 형성한다.
상기 각 구동기어(4)(4')의 전방으로는 도그(8)가 일체 형성되어 있는 회전체(7)가 각각 배치되며, 회전체(7)에는 상기 구동 내접기어(4a)와 대향되게 피동 내접기어(7a)가 형성된다.
이때 피동 내접기어(7a)는 구동 내접기어(4a)보다 잇수를 2~3개 많게 형성하며, 구동 내접기어(4a) 폭의 2배 보다 조금 큰 폭으로 형성한다. 이의 구성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동 내접기어(7a)와 구동 내접기어(4a)는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구성하여 기어를 형성하며,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동 내접기어(7a)는 잇수를 84개 형성하고, 구동 내접기어(4a)는 잇수를 82개 형성하여, 후술할 유성기어(10)에 피동 내접기어(7a)와 구동 내접기어(4a)가 동시에 기어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와 같이 피동 내접기어(7a)의 잇수를 많게 구성하는 것은 후술할 유성기어(10)를 매개로 동력이 전달될 때 구동기어(4)(4')의 회전력이 감속된 상태로 회전체(7)에 전달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구성은 구동기어(4)(4')가 1회전할 때 회전체(7)는 많아진 잇수만큼 회전이 되는 것으로 매우 큰 감속비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회전체(7)의 중심에는 조립구멍(7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조립구멍(7b)으로는 커버(2)를 통해서 외부에 노출되는 손잡이(9)를 조립하되, 손잡이(9)에는 조립구멍(7b)에 걸림되는 스프링받침판(9a)을 일체로 형성하고, 스프링받침판(9a)과 회전체(7) 사이에는 스프링(12)을 개재하여 손잡이(9)를 구동기어(4)(4') 쪽으로 가압되게 한다.
또한 상기 조립구멍(7b)과 손잡이(9)에는 각각 조립기어(7c)와 조절기어(9b)를 형성하여 손잡이(9)를 당길 때 서로 치 결합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받침판(9a)에는 유성기어(10)를 핀(11)으로 결합하여 자전되게 한다.
유성기어(10)는 2개가 대칭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1개 또는 3개 등 가감될 수 있다.
상기 유성기어(10)는 구동 내접기어(4a)와 피동 내접기어(7a)에 치 결합되는데, 손잡이(9)가 구동기어(4)(4') 쪽으로 가압된 상태에서는 구동 내접기어(4a)와 피동 내접기어(7a)에 걸쳐진 상태로 배치되며, 손잡이(9)를 당겨 회전체(7) 쪽으로 이동시킨 때에는 피동 내접기어(7a) 쪽에만 기어물림 되며, 아울러 조립기어(7c)와 조절기어(9b)가 치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7)의 상부로는 케이스(3)에 고정된 2개의 리미트 스위치(13)가 배치되며, 이들 리미트 스위치(13)는 회전체(7)에 형성된 도그(8)에 의해 ON, OFF 작동이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될 수 있는 본 고안은 각종 산업현장 등에서 일정 거리를 왕복하는 기계장치 등에 장치하여 행정거리를 제한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 한다.
먼저 본 발명의 구동상태를 살펴보면 전원을 ON 시킬 때 입력축(6a)을 통해서 구동력이 전달되면 감속기어(5)를 통해서 충분히 감속되어 구동기어(4)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타측 구동기어(4')는 구동기어(4)와 치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구동되며, 이는 사용자게 진행방향을 직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방향성을 시각적으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동기어(4)(4')가 회전되면, 스프링받침판(9a)에 핀(11)으로 결합되어 있는 유성기어(10)가 구동기어(4)(4')에 회전체(7)에 형성되어 있는 구동내접기어(4a)와 피동내접기어(7a)에 함께 되어 회전체(7)를 회전시키고, 회전체(7)에 형성된 도그(8)가 리미트 스위치(13)에 접할 때 전원이 OFF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리미트 조절을 행하고자 할 시에는 손잡이(9)를 당긴 상태에서 돌려 회전체(7)를 신속히 회전시키는 방법과, 손잡이(9)를 그냥 돌려 회전체(7)를 서서히 회전시키는 방법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손잡이(9)를 당기게 되면 구동 및 피동 내접기어(4a)(7a)에 걸쳐진 상태로 치 결합되어 있는 유성기어(10)가 피동 내접기어(7a) 쪽으로 이동된 상태로 조립구멍(7b)과 손잡이(9)에 각각 형성된 조립기어(7c)와 조절기어(9b)가 서로 치 결합되는데, 이때 손잡이(9)를 돌리면 회전체(7)는 손잡이(9)와 함께 신속하게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손잡이(9)를 당기지 않고 그냥 돌릴 경우에는 구동 내접기어(4a)가 고정된 상태에서 손잡이(9)가 회전되는데, 이때 유성기어(10)는 구동 내접기어(4a)를 따라서 공전과 자전을 동시에 하게 되고, 회전체(7)는 구동 내접기어(4a)와 피동 내접기어(7a)의 잇수 차이만큼 미세하게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정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상의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와 관련되는 균등수단에 대해서도 그 보호범위가 미친다 할 것이다.
1:리미트 조절장치 2:커버
3:케이스 4,4':구동기어
4a:구동 내접기어 5:감속기어
6:입력기어 6a:입력축
7:회전체 7a:피동 내접기어
7b조립구멍 7c:조립기어
8:도그 9:손잡이
9a:스프링받침판 9b:조절기어
10:유성기어 11:핀
12:스프링 13:리미트 스위치
100:비닐하우스 개폐기 110:감속기

Claims (1)

  1. 커버(2)로 밀폐되는 케이스(3) 내부에 좌우 양측으로 한 쌍의 구동기어(4)(4')를 설치하여 입력축의 구동력이 감속기어(5)를 통해 전달되게 하고, 구동기어(4)(4') 회전력으로 리미트 스위치(13)와 접하는 도그(8)가 형성된 회전체(7)를 구동하며, 아울러 커버(2)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9)로 회전체(7)를 회동하여 도그(8)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한 행정거리 제어용 리미트 조절장치(1)에 있어서;
    상기 각 구동기어(4)(4')에 내접 구동기어(4a)를 형성하고; 각 구동기어(4)(4') 전방의 회전체(7)에 구동 내접기어(4a)와 대향되게 피동 내접기어(7a)를 형성하되;
    상기 피동 내접기어(7a)는 구동 내접기어(4a) 보다 잇수를 2~3개 많게 형성하며, 구동 내접기어(4a) 폭의 2배 보다 큰 폭으로 형성하며;
    상기 회전체(7)의 중심에 형성된 조립구멍(7b)에 걸림되는 스프링받침판(9a)이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를 커버(2)외부로 도출되게 결합한 상태에서, 스프링받침판(9a)과 회전체(7) 사이에 스프링(12)을 개재하여 손잡이(9)를 구동기어(4)(4') 쪽으로 가압되게 하며;
    상기 스프링받침판(9a)에는 유성기어(10)를 핀(11)으로 결합하여 구동 내접기어(4a)와 피동 내접기어(7a)에 치 결합된 상태에서 손잡이(9)를 당겨 회전체(7) 쪽으로 이동시킨 때에는 피동 내접기어(7a) 쪽에만 기어물림 되게 하고, 아울러 조립구멍(7b)과 손잡이(9)에 각각 형성된 조립기어(7c)와 조절기어(9b)가 서로 치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용 개폐기 무단리미트 조절장치.
KR1020190167382A 2019-12-16 2019-12-16 온실용 개폐기 무단리미트 조절장치 KR202100763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382A KR20210076331A (ko) 2019-12-16 2019-12-16 온실용 개폐기 무단리미트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382A KR20210076331A (ko) 2019-12-16 2019-12-16 온실용 개폐기 무단리미트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331A true KR20210076331A (ko) 2021-06-24

Family

ID=76607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382A KR20210076331A (ko) 2019-12-16 2019-12-16 온실용 개폐기 무단리미트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633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2538B1 (ko) 1995-12-29 1999-03-30 김주용 웨이퍼상의 폴리실리콘층 형성방법
KR100213787B1 (ko) 1997-03-04 1999-08-02 구자홍 칼라수상관용 전자총
KR200367117Y1 (ko) 2004-07-22 2004-11-10 주식회사 부성시스템 행정거리 제어용 리미트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2538B1 (ko) 1995-12-29 1999-03-30 김주용 웨이퍼상의 폴리실리콘층 형성방법
KR100213787B1 (ko) 1997-03-04 1999-08-02 구자홍 칼라수상관용 전자총
KR200367117Y1 (ko) 2004-07-22 2004-11-10 주식회사 부성시스템 행정거리 제어용 리미트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6104853A (ru) Электроприводной исполнительный механизм вентиля (варианты)
CA2260411A1 (en) Two stage motorized actuator
DE60103992D1 (de) Betätigungseinrichtung
KR20210076331A (ko) 온실용 개폐기 무단리미트 조절장치
US4796479A (en) Clutch mechanism
CA2516464A1 (en) Adjustable wrench with preset stops
WO2005084416A1 (es) Útil de corte portátil accionado mecánicamente
JP2014119093A (ja) 駆動力伝達装置及び車両用サンシェード装置
KR20110121960A (ko) 전동개폐기용 리미트장치
KR20120126443A (ko) 행정거리 제어용 리미트 조절장치
KR20120126444A (ko) 미세조절이 가능한 행정거리 제어용 리미트 조절장치
FR2422085A1 (fr) Ensemble de transmission a actionnement manuel ou par moteur
KR200367117Y1 (ko) 행정거리 제어용 리미트 조절장치
JP2016214223A (ja) 温室カーテン用停止装置
EP2745676B1 (de) Werkzeugmaschine mit mindestens einer zum Ausführen einer Hubbewegung antreibbaren Arbeitsklinge
KR101827910B1 (ko) 전동개폐기의 리미트 구동장치
CN210218583U (zh) 一种同步传动装置
KR20230073047A (ko) 적외선센서를 이용한 불특정다수의 방문자들의 발열상태를 웹페이지로 전송하는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471221Y1 (ko) 머누버링 핸들
KR200142687Y1 (ko) 비닐하우스용 개폐기의 리미트 조절장치
EP1738946B8 (en) Control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open top bodies in industrial vehicles
KR101567642B1 (ko) 비닐 하우스의 비닐 개폐기용 리미트 스위치 장치
KR101260958B1 (ko) 농업용 개폐기의 개폐 폭 제어장치
CN219841111U (zh) 非离合式电动执行器
CN217761900U (zh) 一种带有自锁功能的线性致动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