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5916A -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5916A
KR20210075916A KR1020210068886A KR20210068886A KR20210075916A KR 20210075916 A KR20210075916 A KR 20210075916A KR 1020210068886 A KR1020210068886 A KR 1020210068886A KR 20210068886 A KR20210068886 A KR 20210068886A KR 20210075916 A KR20210075916 A KR 20210075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esity
enterococcus faecalis
metabolic syndrome
induced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5484B1 (ko
Inventor
이진호
김선홍
Original Assignee
(주)닥터티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닥터티제이 filed Critical (주)닥터티제이
Priority to KR1020210068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484B1/ko
Publication of KR20210075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5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6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ountering cellul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90/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for specific us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besity (AREA)
  • Diabet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rd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Enterococcus faecalis EF-2001)이 지방세포의 지방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므로, 상기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사균체는 지방세포에서 지방생성을 통해 발생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되는 대사증후군 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OBESITY OR METABOLIC SYNDROME INDUCED FROM OBESITY CONTAINING ENTEROCCOCUS FAECALIS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사증후군은 복부비만, 내당능장애, 고혈압, 이상지혈증이 군집을 이루어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 중 비만이 발병의 가장 기본적인 요인으로써 여겨지고 있으며 비만인구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현대화된 사회에서 과식과 스트레스, 불면 등은 비만의 원인으로 알려져왔다. 점차적으로 비만의 원인에 대한 관심과 치료하고자 하는 요구 역시 증대되고 있다.
이처럼 비만이 다양한 대사성 질환의 발병률을 증가시키고 실제 체중감소가 이러한 질환의 발병률을 현격히 감소시킨다는 사실로부터 지방을 많이 함유하는 지방세포의 증식과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물질들에 대한 이해 및 그 생체 내 조절 메카니즘에 대한 규명이 비만 및 그로 인한 여러 가지 질병들의 치료제 개발에 있어 기초가 될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에 따라 지방세포 분화 조절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예컨대, 현재 연구 동향은 비만 및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지방세포 분화에 관한 대사과정을 저해할 수 있는 물질을 탐색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즉, 비만의 발생 기전에 의거하여 지방세포 조절을 통해 비만을 치료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것은 지방 합성을 억제하거나 지방 분해 및 산화를 촉진하여 지방 양을 감소시키려는 것과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하여 지방세포 수를 감소시키려는 것으로, 이들 과정을 매개하거나 조절하는 물질들이 개발의 표적으로 떠오르고 있다.
한편,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속 미생물은 자연계에 널리 존재하며 탄수화물을 호기적으로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엔테로코커스 속 미생물과 같은 세균은 생체내 길항작용이나 분비 항균성 물질에 의하여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피해를 예방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 중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Enterococcus faecalis EF-2001)은 2세 여아의 장내 세균총 스크리닝을 통하여 동정되었다. 이러한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을 열처리하여 사멸시키고 균체 성분을 회수한 것이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 사균체이다.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의 생리활성에 대해 보고된 연구들에 따르면 DSS(Dextran sulfate sodium)로 유도된 대장염을 앓고 있는 마우스의 경우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을 섭취한 마우스에서 DSS 완화 효과를 보였으며 이식한 육종암세포(Sarcoma-180)의 증식이 감소되고 NK세포가 활성화됨이 보고되었다(Tadano et al.,J. Japan Mibyou System association, 2011). 또한, 유해균의 억제 및 정장 작용에 관해서,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은 백태의 원인인 Candida albican의 활동성을 억제하여 증세 개선 및 예방 효과를 나타내며(Ishijima et al., Med. Mycol. J, 2014), 항생제를 투여한 마우스에서 장내 대조군에 비해 유익균은 빠르게 증식하고 유해균은 억제시키는 효능이 개시되어 있다(Simohashi et al., Medicine and biology, 2002).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의 다양한 생리활성은 사균체의 특성상 열과 pH에 영향을 받지 않아 다양한 형태의 제제로 가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Kan, Food industry, 2001). 또한 그램당 7조 5천억 마리의 균체 함량으로 적은 양으로도 다량의 유산균체 섭취가 가능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00632호에서는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감퇴, 약화 및 근위축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식품첨가제가 개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10-1996079호에서는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되었으나,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을 지방생성억제를 통한 비만을 예방하는 것을 기본으로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도로 사용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적고 비만 및 이로 인해 유발되는 대사증후군 치료 효과가 우수한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Enterococcus faecalis EF-2001)이 지방세포의 지방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여, 본 발명의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사균체를 지방세포에서 지방생성을 통해 발생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되는 대사증후군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또는 기능성 소재로 사용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방생성 억제 활성을 가지고 있어 지방세포에서 지방생성을 통해 발생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 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이의 배양액 및 이의 사균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이의 배양액 및 이의 사균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이의 배양액 및 이의 사균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 개선용 식품 첨가물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이의 배양액 및 이의 사균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 개선용 외용제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이의 배양액 및 이의 사균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 개선용 화장품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Enterococcus faecalis EF-2001)이 지방세포의 지방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므로, 상기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사균체는 지방세포에서 지방생성을 통해 발생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되는 대사증후군 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Enterococcus faecalis EF-2001)의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의 농도별 지방세포의 지방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의 농도별 지방세포의 지방생성 억제효과를 육안으로 확인한 것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지방세포"는 지방전구세포에서 분화된 지방세포로 생체 내 지방을 생성하는 세포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비만"이란 과도한 지방생성으로 기인하여 발생되는 질환 또는 질병의 원인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대사증후군"은 예를 들어, 복부지방생성, 내당능장애, 고혈압, 이상지혈증의 군집으로 나타나는 증상들의 종합적인 증상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해 치료, 개선 또는 예방되는 비만질환은 대사증후군에 속하는 복부지방생성, 내당능장애, 고혈압, 이상지혈증이다.
대사증후군은 복부지방생성, 내당능장애, 고혈압, 이상지혈증의 군집으로 나타나는 증상들의 종합적인 증상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지방세포의 지방생성을 매우 효율적으로 억제하는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는 대사증후군 질환의 치료에 매우 유효하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 은 질환 또는 질병을 보유하고 있다고 진단된 적은 없으나, 이러한 질환 또는 질병에 걸리기 쉬운 경향이 있는 동물에서 질환 또는 질병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치료"는 (ⅰ) 질환 또는 질병의 발전의 억제; (ⅱ) 질환 또는 질병의 경감; 및 (ⅲ) 질환 또는 질병의 제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이의 배양액 및 이의 사균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는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사균체는 시판되는 것, 또는 공지된 사균체 제조법으로 제조된 것 중 어느 것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며, 독성을 나타내지 않고, 인체에 무해하다.
또한, 상기 배양액은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를 배양 배지에서 배양하여 수용한 배양액, 농축 배양액, 배양액 건조물, 배양 여과액, 농축 배양 여과액 또는 배양 여과액의 건조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것, 배양한 후 균주를 제거한 배양액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균체는 상응한 생균체를 열처리하거나 포르말린 또는 기타 살균제와 함께 처리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사균체는 실질적으로 죽어 있는 것이어도 사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사균체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 배양하여 수득한 균주를 세정하고, 원심 탈수하고, 필요에 따라 세정·탈수를 반복한 후, 증류수, 생리식염수 등에 현탁하고, 그 현탁액을, 예를 들면 80~115℃에서 30분~3초간 가열함으로써 얻어지는 사균체 현탁액이나 그 건조물, 또는 상기 사균체 현탁액에 감마선 혹은 중성자선을 조사함으로써 얻어지는 사균체 현탁액이나 그 건조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사균체 현탁액의 건조 수단으로서는 공지된 건조 수단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분무 건조, 동결 건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가열 등에 의한 살균 처리의 전후, 또는, 건조 처리의 전후에, 효소 처리, 계면활성제 처리, 마쇄·분쇄 처리를 실행할 수 있고, 이러한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것도 본 발명의 사균체에 포함된다. 아울러, 상기 사균체는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를 종균배양한 후, pH 4.0 ~ 9.0, 및 15 ~ 45℃의 온도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pH 5.0 ~ 8.0, 20 ~ 40℃ 온도에서 본배양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본배양한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를 60 ~ 140℃온도에서 1 ~ 40분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130℃ 온도에서 5 ~ 30분간 열처리 후 건조 및 분말화하는 단계.
본 발명에서, 상기 비만은 지방세포 분화와 증식으로 유도되며, 이와 같은 비만으로 인해 대사증후군이 유도되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대사증후군은 복부지방생성, 내당능장애, 고혈압 및 이상지혈증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이 지방세포의 지방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므로, 상기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는 지방세포에서 지방생성을 통해 발생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유효성분으로서 균주를 106 내지 1013 cfu/g의 함량으로 포함하거나, 동등한 수의 생균을 가진 배양물 또는 사균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성분인 본 발명의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사균체의 유효량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통상적인 담체 또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첨가제를 선택하여 통상적인 제형의 조성물로 제조할 수 있다.
담체는 희석제, 활택제, 결합제, 붕해제, 감미제, 안정제, 방부제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첨가제로는 향료, 비타민류, 항산화제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담체 및 첨가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것은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희석제로는 유당(lactose monohydrate), 트레할로스(Trehalose), 옥수수 전분(cornstarch), 콩기름(soybean oil), 미결정 셀룰로오스(microcrystalline cellulose) 또는 만니톨(D-mannitol)이 좋고, 활택제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또는 탈크(talc)가 바람직하며, 결합제로는 폴리비닐 피롤리돈(PVP: polyvinyl pyrolidone)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hydroxypropylcellulose) 중에서 선택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붕해제로는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Ca-CMC: carboxymethylcellulose calcium), 전분글리콜산나트륨(sodium starchglycolate), 폴라크릴린칼륨(polacrylin potassium) 또는 크로스포비돈(cross-linked polyvinylpyrrolidone)중에서 선택함이 바람직하고, 감미제로는 백당, 과당, 소르비톨(sorbitol) 또는 아스파탐(aspartame) 중에서 선택되고, 안정제로는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Na-CMC: carboxymethylcellulose sodium), 베타-싸이크로덱스트린(β-cyclodextrin), 백납(white bee's wax) 또는 잔탄검(xanthan gum) 중에서 선택되며,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methyl p-hydroxy benzoate, methylparaben),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propyl p-hydroxybenzoate, propylparaben), 또는 소르빈산칼륨(potassium sorbate)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이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 이란 음성 대조군에 비해 그 이상의 반응을 나타내는 양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또한,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질환 및 이의 중증정도,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상태, 성별, 투여 경로 및 치료기간 등과 같은 여러 인자에 따라 적절히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투여경로에 따라 다양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활성 성분의 작용을 저해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비독성의 조성물을 말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투여경로에 따라 다양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투여 경로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경구적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 개선용 식품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는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이의 배양액 및 이의 사균체의 수득 방법과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종류는 상기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기재된 내용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내용을 원용하고, 이하에서는 건강기능식품의 특유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이 지방세포의 지방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므로, 상기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은 지방세포에서 지방생성을 통해 발생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되는 대사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또는 식품 첨가제의 유효성분으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가 첨가되는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비스켓, 떡,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식품 중의 상기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01 내지 50 중량%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를 함유하는 것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또는 식품 첨가제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는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 개선용 외용제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 개선용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는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이의 배양액 및 이의 사균체의 수득 방법과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종류는 상기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기재된 내용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내용을 원용하고, 이하에서는 외용제 및 화장품의 특유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이 지방세포의 지방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므로, 상기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은 지방세포에서 지방생성을 통해 발생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되는 대사증후군 개선용 외용제 또는 화장품의 유효성분으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용제 또는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외용제 또는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제제화 하기 위해서는 상법에 따라서 실시하면 용이하게 제제화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 부형제, 착색료, 향신료, 보존제, 안정제, 완충제, 현탁제, 기타 상용화하는 보조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클렌징, 오일, 분말파운데이션, 유탁액파운데이션, 왁스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벤질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오일, 글리세롤지방족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지방산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셀룰로오스, 알루미늄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 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 Enterococcus faecalis EF-2001) 배양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Enterococcus faecalis EF-2001) 생균(Nihon BERM Co. Ltd, 일본)을 일반적인 유산균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에서 호기 또는 혐기 배양하여 전배양을 거친 후 pH 5.0 ~ 8.0, 20 ~ 40℃를 유지하면서 1 ~ 3일간 배양하여 건물중량기준(Dry weight, DW) 7.5 × 1012 cfu/g 이상의 균체 수에 이르도록 본배양을 수행하였다.
<실험예 1> 세포 배양
3T3-L1(mouse embryonic fibroblast cell line) 지방전구세포는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에서 구입하여, 10% BCS (bovine calf serum, WelGene Biopharmaceuticals, Daegu, Korea) 및 항생제(penicillin/streptomycin 100 units/ml, Bioshop, Burlington, Ontario, Canada)가 첨가된 DMEM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WelGene Biopharmaceuticals, Daegu, Korea)로, 37℃, 5% CO2 조건으로 세포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실험예 2>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의 세포독성 평가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의 세포독성을 MTT assay 분석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1>에 개시된 방법으로 3T3-L1 지방전구세포가 배양된 100 cm2 배양 플레이트에서 배지액을 제거하고, CMF-PBS (calcium magnesium free-phosphate buffered saline, pH 7.2)로 세척한 후, 0.25% 트립신/EDTA를 처리하여 세포를 떼어낸 후 세포 배양액으로 중화하고 1500 rpm에서 5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남은 세포의 펠릿(pellet)에 배양액을 가한 후에, 멸균 피펫으로 반복 흡입하여 단일세포 부유액을 만든 후 트립판 블루(trypan blue)를 세포 부유액과 9:1의 중량부로 혼합하여 광학현미경 상에서 혈구계산판(hemocytometer)을 이용하여 세포를 정량하였다. 상기 정량한 3T3-L1 지방전구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5×104 cells/웰이 되도록 분주하였다. 이를 37℃, 5% CO2 조건의 배양기에서 배양한 후, 세포농도가 100% 플레이트에 차게 되면, 분화유도제(IBMX, dexamethasone,Insulin)를 첨가하여 지방세포의 분화를 유도하였고, 상기 <실시예 1>에서 배양한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을 0, 25, 100, 250 ㎍/ml 농도로 각각 첨가하고 48시간 동안 배양하여 지방세포의 분화를 유도하였다. 이후, 세포생존율을 50 ㎕의 5 mg/ml MTT solution을 첨가하고, 세포를 37℃에서 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얻어진 formazan crystals을 150 μl의 DMSO에 용해시키고, 96-웰 플레이트로 옮겨서 Victor™ X3 multilabel reader(Perkin Elmer, Waltham, MA, USA)를 사용하여 5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을 첨가하지 않았을 경우를 100%의 생존율로 정하였을 때,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을 첨가한 첨가군에서도 이를 첨가하지 않은 군과 비슷한 생존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은 지방세포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에 의한 지방세포의 지방생성 억제 효과 확인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이 지방세포의 지방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을 3T3-L1 지방전구세포에 처리하고 지방세포 분화를 유도한 후 지방생성을 Oil Red O 지방분석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2>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실시예 1>에서 배양한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을 0, 25, 100, 250 ㎍/ml의 농도로 상기 <실험예 1>에서 배양한 3T3-L1 지방전구세포에 처리하고 지방세포 분화를 유도하였다. 그 다음, 인슐린 10 ㎍/ml을 포함한 새로운 10% FBS 혈청배지로 교체하여 지방생성자극을 48시간 유지하고, 혈청을 포함한 새로운 배지로 48시간 다시 안정기간을 유지하였다. 이후 배지를 제거하고 차가운 PBS(Gibco, Grand Island, NY, USA)으로 세포를 세척한 후, 10% 포르말린(formalin, Junsei Chemical, Tokyo, Japan)을 각 웰에 처리하여 실온에서 1시간 고정시켰다.
이후 60% 이소프로판올로 5분 처리 후 Oil Red O stain solution을 각 웰에 처리하여 10분간 염색하고 증류수 세척 후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의 0 및 250 ㎍/ml 농도 조건만 광학현미경 100배, 200배 및 400배로 촬영을 진행하였다(도 3). 이후 0, 25, 100, 250 ㎍/ml의 농도의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이 처리된 웰 각각에 100% 이소프로판올을 처리 후 농도별로 수득하여 96-웰 플레이트로 옮긴 후 490 nm microplate reader로 파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방세포 분화가 이루어진 후 인슐린만 처리한 경우 지방세포의 지방생성이 현저히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반면,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을 인슐린과 함께 처리한 경우 지방세포의 지방생성이 현저히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지방세포의 지방생성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방세포 분화가 이루어진 후 인슐린만 처리한 경우 현미경 관찰을 통해 지방이 형성된 방울의 크기 및 수가 현저히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반면,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을 인슐린과 함께 처리한 경우 지방이 형성된 방울의 수가 현저히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지방이 형성된 방울의 수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은 농도 의존적으로 지방세포의 지방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과들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이 지방세포의 지방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므로, 상기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사균체는 지방세포에서 지방생성을 통해 발생하는 비만의 가능성을 줄임으로써 비만 및 비만으로부터 유도되는 대사증후군 질환의 초기예방, 개선 및 치료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조예를 예시한다.
<제조예 1> 본 발명의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본 발명의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 10 mg
유당 1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2> 정제의 제조
본 발명의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 0.1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 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3> 캡슐제의 제조
본 발명의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 0.1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 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4> 환의 제조
본 발명의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 1 mg
유당 1.5 g
글리세린 1 g
자일리톨 0.5 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방법에 따라 1 환 당 4 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1-5> 과립의 제조
본 발명의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 0.15 mg
포도당 200 mg
전분 600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mg을 첨가하여 60℃에서 건조하여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제조예 2> 본 발명의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 1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mg
비타민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mg
판토텐산칼슘 0.5 mg
무기질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 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조성 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조예 3> 본 발명의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음료의 제조
본 발명의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 1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한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건강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하였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조예 4> 본 발명의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외용제의 제조
<4-1> 연고제의 제조
본 발명의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을 함유한 연고제를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본 발명의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 1.0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15.0
케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1.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세테아릴 알코올 1.0
밀납 4.0
방부제 미량
향료 미량
정제수 잔량
합계 100
<제조예 5> 본 발명의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5-1> 영양화장수(lotion)
본 발명의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을 함유한 영양화장수(lotion)을 하기 [표 2]의 성분비로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본 발명의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 2.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 1.5
세테아릴알콜 1.5
라놀린 1.5
폴리솔베이트 60 1.3
솔비타스테아레이트 0.5
경화식물유 4.0
광물유 5.0
트리옥타노인 2.0
디메치콘 0.8
초산 토코페롤 0.5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12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3.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5.0
트리에탄올아민 0.12
유니사이드-유 13 0.02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5-2> 영양크림
본 발명의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을 함유한 영양크림을 하기 [표 3]의 성분비로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본 발명의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 2.0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5
세테아릴알콜 1.5
스테아린산 1.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타스테아레이트 0.6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레이트 5.0
스쿠알란 5.0
광물유 35.0
디메치콘 0.5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12
글리세린 6.0
트리에탄올아민 0.7
유니사이드-유 13 0.02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Claims (9)

  1.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EF-2001, 이의 배양액 및 이의 사균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균체는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를 종균 배양한 후, pH 4.0 ~ 9.0, 및 15 ~ 45℃의 온도범위에서 본 배양한 다음, 열처리를 거쳐 사균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60 ~ 140℃ 온도에서 1 ~ 40분간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만은 지방세포 분화와 증식으로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은 복부지방생성, 내당능장애, 고혈압 및 이상지혈증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 이의 배양액 및 이의 사균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7.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 이의 배양액 및 이의 사균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 개선용 식품 첨가물.
  8.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 이의 배양액 및 이의 사균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 개선용 외용제.
  9.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EF-2001, 이의 배양액 및 이의 사균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 개선용 화장품.
KR1020210068886A 2019-10-24 2021-05-28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65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886A KR102465484B1 (ko) 2019-10-24 2021-05-28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242 2019-10-24
KR1020210068886A KR102465484B1 (ko) 2019-10-24 2021-05-28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242 Division 2019-10-24 2019-10-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916A true KR20210075916A (ko) 2021-06-23
KR102465484B1 KR102465484B1 (ko) 2022-11-11

Family

ID=75619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886A KR102465484B1 (ko) 2019-10-24 2021-05-28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313750A1 (ko)
EP (1) EP4074324A4 (ko)
JP (2) JP7481023B2 (ko)
KR (1) KR102465484B1 (ko)
WO (1) WO20210802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3903A1 (ko) * 2022-02-11 2023-08-1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6202A (ja) * 1999-03-04 2000-09-19 Bhph Co Ltd 新規な生体浄化活性型乳酸菌製剤
US20130089633A1 (en) * 2010-06-08 2013-04-11 Calpis Co., Ltd. Agent for improving lipid metabolism
KR101508586B1 (ko) * 2013-10-21 2015-04-08 한국식품연구원 비만억제능이 우수한 신규한 엔테로코커스 휘칼리스 md366 균주
KR20180056972A (ko) * 2016-11-21 2018-05-30 한국식품연구원 포름산 생성능이 우수한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 야기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1871A (ja) * 1992-01-27 1993-08-10 Nichinichi Seiyaku Kk 血圧上昇抑制及び心臓肥大防止剤
JP2002249434A (ja) * 2001-02-23 2002-09-06 Nippon Berumu Kk 鎮痛剤
WO2005077390A1 (ja) 2004-02-16 2005-08-25 Yasuo Kawai 血糖値低下剤、糖尿病治療・予防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00632B1 (ko) 2016-04-28 2017-12-2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감퇴, 약화 및 근위축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식품첨가제
WO2018034047A1 (ja) 2016-08-16 2018-02-22 株式会社ゲノム創薬研究所 乳酸菌、該乳酸菌由来の血糖低下剤、糖尿病治療薬、及び飲食品
KR102503163B1 (ko) * 2017-10-13 2023-02-2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96079B1 (ko) 2017-10-13 2019-07-0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078381A1 (ko) * 2017-10-18 2019-04-2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감퇴, 약화 및 근위축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식품첨가제
KR102077720B1 (ko) * 2017-12-08 2020-02-14 한국식품연구원 비만 억제 활성을 갖는 페디오코커스 에시디락티시 ao22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54121B1 (ko) * 2018-02-28 2019-12-1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염 및 위궤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6202A (ja) * 1999-03-04 2000-09-19 Bhph Co Ltd 新規な生体浄化活性型乳酸菌製剤
US20130089633A1 (en) * 2010-06-08 2013-04-11 Calpis Co., Ltd. Agent for improving lipid metabolism
KR101508586B1 (ko) * 2013-10-21 2015-04-08 한국식품연구원 비만억제능이 우수한 신규한 엔테로코커스 휘칼리스 md366 균주
KR20180056972A (ko) * 2016-11-21 2018-05-30 한국식품연구원 포름산 생성능이 우수한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 야기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ippon Shokuhin Kagaku Kogaku Kaishi Vol.56. No.10. pp.541~544. (2009)*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3903A1 (ko) * 2022-02-11 2023-08-1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5484B1 (ko) 2022-11-11
JP2024050702A (ja) 2024-04-10
EP4074324A1 (en) 2022-10-19
WO2021080298A1 (ko) 2021-04-29
EP4074324A4 (en) 2024-02-28
JP2022552759A (ja) 2022-12-20
US20220313750A1 (en) 2022-10-06
JP7481023B2 (ja) 2024-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4050702A (ja) エンテロコッカス・フェカーリス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肥満または肥満から誘導された代謝症候群の予防または治療用の組成物
KR102204346B1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KR101770036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IL-1β에 의한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00101113A (ko) 구절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50969B1 (ko) 약콩 유산균 발효물을 함유하는 뇌신경세포 보호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KR20180095767A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부크네리 및 이의 용도
KR102114133B1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2158134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210048933A (ko) 달맞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5976271B2 (ja) リパーゼ阻害剤並びに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飲食品組成物及び医薬品組成物
KR20190048794A (ko) 상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297957B1 (ko) 흑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또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249432B1 (ko) 코코넛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22472A (ko)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83587B1 (ko) 땅꽈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포노화 억제용 조성물
KR20220094308A (ko) 치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병원성 세균에 의한 감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503792B1 (ko) 들쭉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
KR20220098594A (ko)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또는 알레르기성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15805B1 (ko) 씀바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세균 억제용 조성물
KR20160015988A (ko) 발효 지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32060B1 (ko) 발아 흑미 및 발효 돼지감자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용 조성물
KR102347819B1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KR102579105B1 (ko) 프로바이오틱스를 이용한 수세미오이 추출물의 효소적 전환을 통한 피부미백 개선, 자외선 차단 및 피부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113459A (ko) 애엽, 레몬, 회향 및 소나무에서 추출한 정유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444746B1 (ko)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idcc 3451을 포함하는 질염에 유용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