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5263A - 미세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흡수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세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흡수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5263A
KR20210075263A KR1020190165685A KR20190165685A KR20210075263A KR 20210075263 A KR20210075263 A KR 20210075263A KR 1020190165685 A KR1020190165685 A KR 1020190165685A KR 20190165685 A KR20190165685 A KR 20190165685A KR 20210075263 A KR20210075263 A KR 20210075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algae
coating composition
water
weight
absor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0125B1 (ko
Inventor
김진우
호 섭 김
전성진
백동호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씨이비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씨이비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65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125B1/ko
Publication of KR20210075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5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1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B01D11/0288Applications,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흡수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또는 흡수용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투명색의 도막은 장시간 동안 자외선에 노출되면 황변이 발생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미세조류 추출물을 포함하여 자외선에 대한 저항성을 높임으로써 투명색의 도막이 장시간 동안 자외선에 노출되더라도 황변 발생을 방지한다.

Description

미세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흡수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도료 조성물{UV absorbent comprising microalgae extract and paint composition with excellent UV blocking capacit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장시간 동안 자외선에 노출되더라도 황변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미세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흡수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또는 흡수용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ultraviolet, UV)은 파장에 따라 장파장(320-400 nm)의 UV-A, 중파장(280-320 nm)의 UV-B, 단파장(200-280 nm)의 UV-C로 분류된다. 상기 UV-A는 파장 이 긴 광선으로 에너지는 약하지만 피부의 진피까지 도달하여 피부의 탄력을 감소시켜 주름을 생성시키는 만성 광노화의 원인이 된다. 또한, 상기 UV-B는 자외선 중에서 에너지가 가장 큰 광선으로 피부의 표피와 진피의 유두층까지 도달하여 피부를 태우는 등 즉각적인 반응을 일으키며 UV-B에 대한 직접적인 피부노출은 광노화, 홍반, 색소과다침착, 피부암을 유발한다. 또한, UV-C는 파장이 가장 짧은 광선으로 오존층에 의해 흡수되어 지표면에 도달하지 못하므로 피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UV-A와 UV-B가 사람에게 유해한 자외선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자외선은 사람에 피부를 노화시키기도 하지만 투명한 도막이 자외선에 장시간 노출되면 황변되어 도막의 성능이 저하되고 미관상 좋지 못하다.
특히, 가정이나 자동차 유리를 통해 자외선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가정집 실내 또는 자동차 실내에서 생활하는 사람의 피부 및 유리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해양식물 중 해조류는 다양한 단백질과 다당류를 포함하고 풍부한 무기질과 비타민이 함유되어 있어 생리활성물질 생산을 위한 소재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Manou 등에 따르면 해조류는 육상 식물보다 우수한 항산화, 약리활성, 항종양, 항염증 및 면역조절을 포함한 다양한 생리활성물질 등을 포함하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해조류의 생리활성 기능은 다당류와 단백질의 저분자 형태인 펩타이드에서 기인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한편, 신재생 에너지의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해조류의 한 종류인 미세조류는 지질 추출을 통해 바이오디젤을 생산하는 제3세대 바이오매스로 그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92248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84760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장시간 동안 자외선에 노출되더라도 황변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미세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흡수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또는 흡수용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용 자외선 흡수제는 미세조류(microalgae)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세조류는 세네데스무스(scenedesmus), 테트라셀미스, 스피루리나, 클로렐라 또는 식물성 플라크톤일 수 있다.
상기 미세조류 추출물은 미세조류와 추출용매를 1 : 10 내지 3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50 내지 80 ℃에서 20 내지 50분 동안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아세톤, 에틸렌글리콜 또는 에틸에테르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세톤, 무수 에탄올 또는 무수 메탄올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용 도료 조성물은 상기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료 조성물은 수계형 폴리아크릴레이트 디스퍼젼 수지 및 미세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제부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경화제부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미세조류 추출물은 수계형 폴리아크릴레이트 디스퍼젼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의 중량부로 함유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투명색의 도막은 장시간 동안 자외선에 노출되면 황변이 발생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미세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흡수제를 이용하여 자외선에 대한 저항성을 높임으로써 도료 조성물로 이용 시 투명색의 도막이 장시간 동안 자외선에 노출되더라도 황변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미세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또는 흡수용 도료 조성물은 투명한 도막을 형성하고, 부착성, 연필경도, 내스크래치성, 내습성, 내수성, 내열성 및 내약품성에 대하여 우수하므로 품질이 우수한 투명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장시간 동안 자외선에 노출되더라도 황변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미세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흡수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또는 흡수용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자외선 흡수제는 미세조류 추출물을 포함하여 자외선을 흡수하여 자외선에 대한 저항성을 높임으로써 도료 조성물에 이용 시 투명한 도막이 황변되는 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부착성 및 경도를 향상시킨다.
미세조류(microalgae)는 바다에 서식하는 식물성 플랑크톤으로, 흔히 적조를 일으키는 코클로디니움 같은 플랑크톤 역시 미세조류에 속한다. 해양 바이오에너지 연구가 주목하는 미세조류는 특히 지질, 즉 기름성분이 풍부한 미세조류 종(種)이다. 크기는 10 μm(미크론, 1 m의 100만분의 1)정도로 머리카락 굵기의 10분의 1 안팎이다.
본 발명의 미세조류(microalgae)는 50 내지 70 ℃의 오븐에서 7 내지 10시간 동안 건조시켜 잔류수분을 제거하여 이용한다. 수분이 잔존하는 경우에는 미세조류 추출물에 수분이 남아있어 자외선 흡수율이 저하되고 부착성이 낮아질 수 있다.
상기 미세조류 추출물은 미세조류와 추출용매를 1 : 10 내지 30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15 내지 2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50 내지 80 ℃,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0 ℃에서 20 내지 50분,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분 동안 추출한 것이다.
상기 미세조류와 추출용매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추출물에 유효성분이 적은 양으로 추출되어 자외선 흡수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추출 시 온도 및 시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유효성분이 적은 양으로 추출되어 자외선 흡수율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목적물질 이외의 다른 물질이 다량으로 추출되어 자외선을 흡수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추출하는 추출용매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아세톤, 에틸렌글리콜 또는 에틸에테르를 들 수 있지만, 높은 차외선 흡수율을 위해서는 아세톤, 무수 에탄올 또는 무수 메탄올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미세조류을 언급하면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얻은 조추출물뿐만 아니라 미세조류의 가공물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미세조류는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미세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도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도료 조성물은 주제부와 경화제부로 이루어진 이액형의 우레탄계 도료 조성물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예로, 상기 주제부는 수계형 폴리아크릴레이트 디스퍼젼 수지, 미세조류 추출물, 표면장력 조절제, 레벨링제, 조용제, 증점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세조류 추출물은 수계형 폴리아크릴레이트 디스퍼젼 수지와 결합되어 자외선 흡수율 및 강도가 우수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세조류 추출물은 수계형 폴리아크릴레이트 디스퍼젼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의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3의 중량부로 포함된다. 미세조류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자외선 흡수율, 부착성 및 경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오히려 자외선 흡수율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수계형 폴리아크릴레이트 디스퍼젼 수지는 수평균 분자량이 50,000 내지 100,000이고, 고형분 함량이 45~60 중량%이며, pH가 5~9 범위이고, 점도가 1,000~4,000 mPa.s(23 ℃)이며, 히드록실기 함량이 고형분 기준으로 3 내지 5중량%인 것이다. 상기 수계형 폴리아크릴레이트 디스퍼젼 수지의 수평균 분자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내수성 및 부착성이 저하되고,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높은 점도로 인해 도료의 레올로지 제어가 어려운 문제가 초래된다.
또한, 상기 수계형 폴리아크릴레이트 디스퍼젼 수지의 고형분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도막의 내화학성이 나빠질 문제가 있고,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도료 가격 상승과 은폐 저하의 문제가 초래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수계형 폴리아크릴레이트 디스퍼젼 수지의 pH가 5~9 범위를 벗어날 경우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수계형 폴리아크릴레이트 디스퍼젼 수지의 점도가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역시 수직면에서 흘러내릴 문제가 있고,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오렌지필이 발생할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수계형 폴리아크릴레이트 디스퍼젼 수지의 히드록실기 함량이 고형분 기준으로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가교밀도 저하에 따른 부착 불량과 내굴곡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도료 가격이 상승하고 건조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표면장력 조절제는 소재 웨팅성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종래에 사용되는 표면장력 조절제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표면장력 조절제의 함량은 수계형 폴리아크릴레이트 디스퍼젼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내지 2 중량부로서, 표면장력 조절제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첨가제 본연의 기능이 나타나기 어렵고,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크레이터 등의 현상이 발생된다.
상기 레벨링제는 소재의 레벨링성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종래에 사용되는 레벨링제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레벨링제의 함량은 수계형 폴리아크릴레이트 디스퍼젼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 내지 2 중량부로서, 레벨링제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첨가제 본연의 기능이 나타나기 어렵고,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크레이터 등의 현상이 발생된다.
상기 증점제는 레올로지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종래에 사용되는 우레탄계 증점제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증점제의 함량은 수계형 폴리아크릴레이트 디스퍼젼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 중량부로서, 증점제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첨가제 본연의 기능이 나타나기 어렵고,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크랙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조용제는 도막두께가 두껍거나 도장조건이 가혹한 경우 발생하는 핀홀, 팝핑 등의 이현상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프로필렌 글리콜 디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n-부틸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n-부틸 에테르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상기 조용제의 함량은 수계형 폴리아크릴레이트 디스퍼젼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5 중량부로서, 조용제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그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도료의 VOC 수치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제부에는 수계형 폴리아크릴레이트 디스퍼젼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부의 탈이온수가 첨가되어 모든 첨가제의 혼합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경화제부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수계형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용제형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화제부에 적용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그 구조 특성상 물과 친하지 않은 소수성 성질을 띠고 있어 수계형 도료에는 수용성(water soluble)으로 개질된 수계형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수계형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내수성 및 내습성이 취약한 문제가 있어 외장 마감용 탑코트로는 부적한 문제점이 초래된다.
반면에 용제형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내수성과 내습성이 양호하지만 물과 잘 섞이지 않는 성질로 인해 핸드믹싱이 거의 불가능하고 기계로 교반을 해야 하기 때문에 현장 작업 사용조건에 맞지 않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도장 작업시 핸드믹싱이 가능하면서 내수성과 내습성의 도막물성을 만족하는 수성 2액형 폴리우레탄 코팅도료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경화제부는 수계형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용제형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적절한 비율로 혼합사용해야 한다. 바람하게는 수계형 폴리이소시아네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용제형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90 내지 110 중량부 범위 내에서 혼합 사용한다.
상기 경화제부는 물이 아닌 용제로만 희석이 가능한데 이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물과 반응하기 때문에 제조 후 2 내지 3일 내로 굳어지기 때문이다. 이때 용제선택은 주제부에서 언급한 조용제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수계형 폴리이소시아네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5중량부로 제한된다. 조용제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경화제부의 점도가 너무 높아 믹싱이 어렵고,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도료의 VOC 수치가 높아질 수 있다.
상기 주제부 및 경화제부는 2 : 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으로서, 주제부를 기준으로 경화제부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도막이 형성되지 않고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대조군 1. 미세조류 추출물 생략
수계형 폴리아크릴레이트 디스퍼젼 수지(Covestro사) 100 중량부에 대하여 표면장력 조절제(수계형 실리콘 첨가제 Surfynol104E, Air product사) 0.5 중량부, 레벨링제(수계형 레벨링 첨가제 Borchi gol LA-200, Borchers 사) 0.5 중량부, 조용제(프로필렌 글리콜 디아세테이트) 4 중량부, 증점제 0.5 중량부, 탈이온수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주제부를 수득하였다.
수계형 폴리이소시아네이트(Covestro 사) 100 중량부, 용제형 폴리이소시아네이트(Covestro 사) 100 중량부, 조용제(디프로필렌 글리콜 n-부틸 에테르)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경화제부를 수득하였다.
상기 주제부와 경화제부를 2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아세톤 추출_세네데스무스
미세조류 추출물
미세조류로는 세네데스무스를 사용하였으며, 시료는 60 ℃ 오븐에서 8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상기 건조된 세네데스무스와 아세톤을 1 : 2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60 ℃에서 30분 동안 추출한 후 15000 rpm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동결건조하여 세네데스무스 추출 분말을 수득하였다.
도료 조성물
수계형 폴리아크릴레이트 디스퍼젼 수지(Covestro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세네데스무스 추출 분말 0.025 중량부, 표면장력 조절제(수계형 실리콘 첨가제 Surfynol104E, Air product사) 0.5 중량부, 레벨링제(수계형 레벨링 첨가제 Borchi gol LA-200, Borchers 사) 0.5 중량부, 조용제(프로필렌 글리콜 디아세테이트) 4 중량부, 증점제 0.5 중량부, 탈이온수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주제부를 수득하였다.
수계형 폴리이소시아네이트(Covestro 사) 100 중량부, 용제형 폴리이소시아네이트(Covestro 사) 100 중량부, 조용제(디프로필렌 글리콜 n-부틸 에테르)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경화제부를 수득하였다.
상기 주제부와 경화제부를 2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메탄올 추출_세네데스무스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세네데스무스 추출 시 용매로 아세톤 대신 무수 메탄올을 사용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에탄올 추출_세네데스무스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세네데스무스 추출 시 용매로 아세톤 대신 무수 에탄올을 사용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아세톤 추출_클로렐라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세네데스무스 대신 클로렐라를 사용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메탄올 추출_클로렐라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클로렐라 추출 시 용매로 아세톤 대신 무수 메탄올을 사용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에탄올 추출_클로렐라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클로렐라 추출 시 용매로 아세톤 대신 무수 에탄올을 사용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증류수 추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세네데스무스 추출 시 용매로 아세톤 대신 증류수를 사용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세네데스무스 추출 분말 함량_0.001 중량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세네데스무스 추출 분말을 0.001 중량부로 사용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세네데스무스 추출 분말 함량_10 중량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세네데스무스 추출 분말을 10 중량부로 사용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세네데스무스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세네데스무스를 추출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여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시험예 1. 자외선 흡수 특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의 자외선 흡수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UV/Vis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UV-A, UV-B, UV-C 파장을 모두 포함하는 180 내지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아세톤 흡광도 무수 메탄올 흡광도 무수 에탄올 흡광도 증류수 흡광도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위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미세조류 추출물은 자외선 흡수능이 비교예 1의 미세조류 추출물에 비하여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1의 추출물이 실시예 2 및 3의 추출물에 비해서도 자외선 흡수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UVA 보다는 UVB의 흡수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자외선, 적외선 및 가시광선 흡수율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우레탄계 도료 조성물을 아크릴판에 30 ㎛의 두께로 도포한 후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건조시켜 투명한 우레탄 도막을 형성하였다. 상기 형성된 우레탄 도막의 자외선, 적외선 및 가시광선 흡수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Linshang사의 LS160 transmission 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분(단위: %) 자외선 적외선 가시광선
대조군 25.7 9.5 8.6
실시예 1 44.8 9.5 8.6
실시예 2 40.6 9.4 8.6
실시예 3 36.7 9.7 8.7
실시예 4 48.2 10.6 8.4
실시예 5 48.0 9.8 8.8
실시예 6 41.2 10.1 8.7
비교예 1 31.1 9.3 8.5
비교예 2 25.7 9.5 8.8
비교예 3 36.9 9.2 8.5
비교예 4 16.4 7.0 7.1
위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6에 따라 제조된 도료 조성물은 대조군 및 비교예 1 내지 4의 도료 조성물에 비하여 자외선을 우수하게 차단 또는 흡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가시광선 흡수율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자외선 차단 또는 흡수효과가 우수하고 시인성이 확보된 도료 생산이 가능하다.
특히, 비교예 3의 도료 조성물은 미세조류 추출 분말이 다량으로 첨가되어 투명한 도막이 형성되지 못하였다.
시험예 3. 도막 평가
상시 시험예 2에서 형성된 도막을 이용하여 평가를 수행하였다.
3-1. 부착성 시험: ASTM D3359에 의거 크로스 컷 테이프 테스트(cross cut tape test)를 시행하여 평가하였다.
3-2. 연필경도 시험: ISO 15184 및 JIS K 5600-5-4에 의거하여 HB 이상시 경도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한다. 경도는 9H, 8H, 7H, 6H, 5H, 4H, 3H, 2H, H, F, HB, B, 2B, 3B, 4B, 5B, 6B, 7B, 8B, 9B로 나타내는 것으로서, 9H에서 9B로 갈수록 결도가 낮아지는 것이다.
3-3. 내스크래치성 시험: Steelwool #0000 grade를 이용하여 500 g의 힘을 주어 10회 rubbing후 도막 손상을 확인하였다.
3-4. 내습성 시험: 시험온도 및 상대습도가 50±2 ℃, 98±2%인 조건에서 240시간 방치 후, 꺼내어 1시간 동안 방치하여 관찰시 도막에 현저한 변색, 퇴색, 팽윤, 갈라짐, 광택저하 등이 없는지, 부착성에 이상이 없는지 평가하였다.
3-5. 내수성 시험: 시편을 수돗물(TAP WATER, 시험온도 40 ℃) 중에 240시간 침적시킨 후 꺼내어 AIR BLOW에 의해 표면의 수분을 제거한 다음, 상온에서 1시간 방치 후 관찰시 도막의 현저한 변색, 퇴색, 팽윤, 갈라짐, 광택저하 등이 없는지, 부착성에 이상이 없는지 평가하였다.
3-6. 내열성 시험: 시험온도(80±2 ℃) 조건 하에서 300시간 방치한 다음 꺼내어 실온에서 1시간 방치 후 관찰시 도막의 현저한 변색, 퇴색, 팽윤, 갈라짐, 광택저하 등이 없는지, 부착성에 이상이 없는지 평가하였다.
3-7. 내약품성 시험: 유리세정제, 엔진오일을 개별 사용하여 3 N의 힘으로 20회 왕복한 다음 도막의 표면을 문질러 외관을 육안 조사 후, 실온에서 24시간 방치 하여 관찰시 도막의 현저한 변색, 퇴색, 팽윤, 갈라짐, 광택저하 등이 없는지, 부착성에 이상이 없는지 평가하였다.
평가는 우수:○, 보통:△, 불량X로 표시하였다.
구분 부착성 연필경도 내스크레치성 내습성 내수성 내열성 내약품성
대조군 60/100 B X X X X
실시예 1 100/100 3H
실시예 2 100/100 2H
실시예 3 100/100 2H
실시예 4 100/100 3H
실시예 5 100/100 3H
실시예 6 100/100 2H
비교예 1 91/100 B X
비교예 2 75/100 2B X X
비교예 3 80/100 B X X
비교예 4 55/100 3B X X X X X
위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6에 따라 제조된 도료 조성물은 비교예 1 내지 4의 도료 조성물에 비하여 부착성, 연필경도, 내스크래치성, 내습성, 내수성, 내열성 및 내약품성 모두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비교예 1 내지 4의 도료 조성물은 모든 시험에서 우수하지 못하였다.

Claims (7)

  1. 미세조류(microalgae)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조성물용 자외선 흡수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조류는 세네데스무스(scenedesmus), 테트라셀미스, 스피루리나, 클로렐라 또는 식물성 플라크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조성물용 자외선 흡수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조류 추출물은 미세조류와 추출용매를 1 : 10 내지 3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50 내지 80 ℃에서 20 내지 50분 동안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조성물용 자외선 흡수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매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아세톤, 에틸렌글리콜 또는 에틸에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조성물용 자외선 흡수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매는 아세톤, 무수 에탄올 또는 무수 메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조성물용 자외선 흡수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또는 흡수용 도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 조성물은 수계형 폴리아크릴레이트 디스퍼젼 수지 및 미세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제부와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경화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또는 흡수용 도료 조성물.

KR1020190165685A 2019-12-12 2019-12-12 미세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흡수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도료 조성물 KR102310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685A KR102310125B1 (ko) 2019-12-12 2019-12-12 미세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흡수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도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685A KR102310125B1 (ko) 2019-12-12 2019-12-12 미세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흡수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도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263A true KR20210075263A (ko) 2021-06-23
KR102310125B1 KR102310125B1 (ko) 2021-10-12

Family

ID=76599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685A KR102310125B1 (ko) 2019-12-12 2019-12-12 미세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흡수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12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8519A (ja) * 2003-02-06 2004-08-26 Microalgae Corporation 抗酸化作用と紫外線吸収作用を有する抽出物、皮膚外用剤及び食品
KR20090073618A (ko) * 2007-12-31 2009-07-03 (주)노루페인트 수성 상도 투명 도료 조성물
JP2011084493A (ja) * 2009-10-14 2011-04-28 Kyoto Univ 紫外線吸収剤
KR20110044494A (ko) * 2009-10-23 2011-04-29 (주)엔엘피 미세조류인 테트라셀미스 수에시카를 이용한 피부주름살 감소 및 자외선 차단효능을 가지는 수용성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47604B1 (ko) 2016-09-09 2018-04-11 주식회사 웨피 자외선 차단 성능이 우수한 수성 열반사 보온 단열도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922489B1 (ko) 2017-03-30 2018-11-27 한국과학기술원 활성산소 억제 기능이 있는 자외선 차단용 복합분체 및 그를 포함하는 용도
KR20190046321A (ko) * 2017-10-26 2019-05-07 강남제비스코 주식회사 하이솔리드형 아크릴 폴리올 수지를 이용한 승용차용 2액형 상도 투명 도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8519A (ja) * 2003-02-06 2004-08-26 Microalgae Corporation 抗酸化作用と紫外線吸収作用を有する抽出物、皮膚外用剤及び食品
KR20090073618A (ko) * 2007-12-31 2009-07-03 (주)노루페인트 수성 상도 투명 도료 조성물
JP2011084493A (ja) * 2009-10-14 2011-04-28 Kyoto Univ 紫外線吸収剤
KR20110044494A (ko) * 2009-10-23 2011-04-29 (주)엔엘피 미세조류인 테트라셀미스 수에시카를 이용한 피부주름살 감소 및 자외선 차단효능을 가지는 수용성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47604B1 (ko) 2016-09-09 2018-04-11 주식회사 웨피 자외선 차단 성능이 우수한 수성 열반사 보온 단열도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922489B1 (ko) 2017-03-30 2018-11-27 한국과학기술원 활성산소 억제 기능이 있는 자외선 차단용 복합분체 및 그를 포함하는 용도
KR20190046321A (ko) * 2017-10-26 2019-05-07 강남제비스코 주식회사 하이솔리드형 아크릴 폴리올 수지를 이용한 승용차용 2액형 상도 투명 도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125B1 (ko) 202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31556B1 (de) Kratzfestbeschichtete kunststoffsubstrate, insbesondere gehäuse von elektronischen geräten, mit hoher transparenz,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DE2806497C2 (de) Mehrschichtlackierung mit einem Klarlacküberzug als Schlußschicht
DE102007034865A1 (de) Beschichtungsstoffzusammensetzungen
DE102012204290A1 (de) Addukte aus Isocyanatoalkyl-trialkoxysilanen und aliphatischen, alkyl-verzweigten Diolen oder Polyolen
Chou et al. Characterizing the conservation effect of clear coatings on photodegradation of wood
KR101549468B1 (ko) 경화 황칠화학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황칠도막의 제조방법
Türkoğlu et al. Some surface properties of heat treated and natural weathered oriental beech
DE112012003705T5 (de) Härtbare beschichtungsmittelzusammensetzung
EP2970700B1 (de) Cellulose-haltige lacksysteme
KR20190083182A (ko) 리그닌 기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10125B1 (ko) 미세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흡수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도료 조성물
KR102307211B1 (ko) 율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흡수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도료 조성물
KR102307206B1 (ko) 커피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흡수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도료 조성물
Kelkar et al. Performance of laminated bamboo lumber and bamboo strand lumber coated with solvent and water-based polyurethane against accelerated UV and natural weathering
CN108309819A (zh) 一种高spf值的水包油型防晒霜及其制备方法
CN104073105B (zh) 一种竹材耐光老化剂及其制备方法
CN109049212B (zh) 具有良好材色稳定性的户外用蜡浸注木制备方法
KR101452158B1 (ko) 열 차단 수지 조성물
KR20110049116A (ko) 황변현상 방지용 도료, 이를 이용한 led교통신호등 커버 및 그 도장방법
Özgenç et al. Enhancing weathering durability of pre-protected and unprotected wood by using bark extracts as natural UV absorbers in waterborne acrylic coating
CN108403516A (zh) 一种具有皮肤抗皱功效的护肤组合物及其应用
CN114015341A (zh) 染色木皮用pu低哑高透哑光清面漆
AU2003267682A1 (en) Coating, process of preparation and use thereof on wood substrate
DE102019130267B3 (de) Verbesserte Dualcure-Beschichtungsstoffe, deren Verwend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larlackschicht
CN112516015A (zh) 一种天然植物基防晒霜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