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4665A - 단열공간을 형성한 이중 용기 - Google Patents

단열공간을 형성한 이중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4665A
KR20210074665A KR1020190165619A KR20190165619A KR20210074665A KR 20210074665 A KR20210074665 A KR 20210074665A KR 1020190165619 A KR1020190165619 A KR 1020190165619A KR 20190165619 A KR20190165619 A KR 20190165619A KR 20210074665 A KR20210074665 A KR 20210074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ding rib
double container
insulating space
lin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진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팩
Priority to KR1020190165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4665A/ko
Publication of KR20210074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6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with double walls; with walls incorporating air-chambers; with walls made of 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6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 B65D81/3869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drinking cups or like containers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지와 외지 사이에 단열공간을 형성한 이중 용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뜨거운 음료수를 마실때는 단열공간 내의 열기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고 마시지 않을때에는 보온이 될 수 있도록 한 단열공간을 형성한 이중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열공간을 형성한 이중 용기{DOUBLE VESSEL}
본 발명은 내지와 외지 사이에 단열공간을 형성한 이중 용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뜨거운 음료수를 마실때는 단열공간 내의 열기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고 마시지 않을때에는 보온이 될 수 있도록 한 단열공간을 형성한 이중 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단열을 위한 이중 구조의 용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 일 예의 이중 용기가 실용신안등록 제20-0344484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지(11)와, 내지(11)의 외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내지를 감싸는 외지(12)로 이루어지고, 내지(11)와 외지(12) 사이의 공간이 외부공간과 연결되도록 외지(12)에 적어도 하나의 방열구멍(12a)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외지(12)의 상단부는 제 1컬링부(11c)사이에 끼워지고 외지(12)의 하단부에는 제 2컬링부(12b)를 형성하여 내지(11)의 측면 하단부에 부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이중 용기는 외지(12)의 상단부가 제 1컬링부(11c)사이에 끼워지는 구조이므로 방열구멍(12a)이 외지(12)의 하부측에 형성될 수 밖에 없으므로, 열기의 특성상 상승기류의 영향으로 열기가 외부로 원할하게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방열구멍(12a)이 항상 개방되어 있어서 보온이 요구되는 내용물의 보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344484호 한국공개특허 10-2016-006906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내지와 외지 사이에 단열공간을 확보함과 아울러 뜨거운 음료수를 마실때는 단열공간 내의 열기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고 마시지 않을때에는 단열공간이 폐쇄되도록 하여 보온이 될 수 있도록 한 단열공간을 형성한 이중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상부에 제1 컬링부가 형성된 통형의 내지와, 상기 내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밑지와, 상기 내지와의 사이에 단열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내지의 외측에 결합되는 통형의 외지로 이루어진 이중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지의 외면 둘레를 따라 제1 돌출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돌출리브와 이격되어 상기 내지의 외면 둘레를 따라 제2 돌출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돌출리브와 제2 돌출리브 사이의 상기 내지의 외면 일부분과 상기 외지의 내면 일부분이 접착재로 부착되되,
상기 접착제의 두께는 상기 제1 돌츨리브 및 제2 돌출리브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외지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상기 내지와 부착되지 아니한 자유단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이중 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지에 상기 제1 돌출리브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외지에 상기 제2 돌출리브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이중 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지의 하단부는 내측으로 말아진 제2 컬링부가 형성되어 상기 내지의 외면과 접촉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이중 용기는 내지(110)에 제1 돌출리브(111)와 제2 돌출리브(112)를 형성하고, 내지(110)와 외지(120)를 소정 두께의 접착제(130)로 부착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이중 용기(110)를 파지할때는 이중 용기(100)가 변형되면서 단열공간(150)의 열기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고, 이중 용기(100)를 사용하지 않을때는 단열공간(150)이 폐쇄되어 보온을 유지할 수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지(120)의 하단에 제2 컬링부(123)가 형성되어 상기 내지(110)의 외면과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이중 용기(100)를 파지하지 않을때에는 단열공간(150)의 폐쇄도를 높여서 보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지(120)에 제1 관통공(121)과 제2 관통공(122)을 형성함으로써, 이중 용기(100)를 파지하여 사용시 열기의 배기를 원활하게 하고, 이중 용기(100)의 파지력을 해제시 제1 관통공(121)과 제2 관통공(122)이 제1 돌출리브(111)와 제2 돌출리브(112)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단열공간(150)을 폐쇄시킴으로써 보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이중 용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이중 용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이중 용기를 파지시 변형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이중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이중 용기를 파지시 변형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6은 도 4의 이중 용기의 내지와 외지를 발췌하여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이중 용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이중 용기는 내지와 외지 사이에 단열공간을 형성한 것으로써, 뜨거운 음료수를 마실때는 단열공간 내의 열기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고 마시지 않을때에는 보온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이중 용기(100)를 나타낸 도 2를 참조하면, 이는 상부에 제1 컬링부(113)가 형성된 통형의 내지(110)와, 상기 내지(11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밑지(140)와, 상기 내지(110)와의 사이에 단열공간(150)이 형성되도록 상기 내지(110)의 외측에 결합되는 통형의 외지(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지(110)의 외면에는 둘레를 따라 제1 돌출리브(111)와 제2 돌출리브(1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돌출리브(111)와 제2 돌출리브(112)는 상호 이격되어 있는데, 예컨대 제1 돌출리브(111)는 내지(110)의 상단부로부터 1/3 지점에 제2 돌출리브(112)는 내지(110)의 하단부로부터 1/3 지점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돌출리브(111)와 제2 돌출리브(112) 사이의 상기 내지(110)의 외면 일부분과 상기 외지(120)의 내면 일부분이 소정 두께의 접착제(130)로 부착된다.
상기 접착제(130)의 두께는 상기 제1 돌츨리브(111) 및 제2 돌출리브(112)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접착제(130)는 핫멜트(hot melt)형 접착제로써, 상온에서 고체이나 가열하면 용융되었다가 냉각에 의해 고화되어 접착을 형성하는 고형분의 열가소성 접착제이다.
상기 외지(120)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상기 내지(110)와 부착되지 아니한 자유단부로 마감된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이중 용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접착제(130) 부분의 이중 용기(100)를 파지할때 파지 압력에 의해서 이중 용기(100) 내측으로 눌려지면서 외지(120)가 제1 돌출리브(111)와 제2 돌출리브(112)로부터 들뜨게 된다. 이때 단열공간(150) 내의 뜨거운 열기가 외지(120)의 상단부 및 하단부로 배기되어 사용자가 뜨거운 내용물의 열기로부터 안전하게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이중 용기(100)의 파지력을 해제시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되었던 이중 용기가 복원되면서 상기 제1 돌출리브(111)와 제2 돌출리브(112)에 외지(120)가 접촉하게 되어 단열공간(150)을 폐쇄시킴으로써 보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지(120)의 하단부는 내측으로 말아진 제2 컬링부(123)가 형성되어 상기 내지(110)의 외면과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단열공간(150)의 보온성이 상기 실시예보다 향상되도록 하였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은 또 다른 예의 이중 용기를 나타낸다. 이는 상기 외지(120)에 상기 제1 돌출리브(111)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관통공(121)이 형성되고, 상기 외지(120)에 상기 제2 돌출리브(112)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관통공(122)이 형성된 것이다.
이는 사용자가 접착제(130) 부분의 이중 용기(100)를 파지할때 파지 압력에 의해서 이중 용기(100) 내측으로 눌려지면서 외지(120)가 제1 돌출리브(111)와 제2 돌출리브(112)로부터 들뜨게 된다. 이때 단열공간(150) 내의 뜨거운 열기가 외지(120)의 상단부, 하단부, 제1 관통공(121) 및 제2 관통공(122)으로 신속하게 배기되어 사용자가 뜨거운 내용물의 열기로부터 안전하게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이중 용기(100)의 파지력을 해제시키면, 상기 제1 돌출리브(111)와 제2 돌출리브(112)에 외지(120)의 제1 관통공(121) 및 제2 관통공(122)이 결합 접촉하게 되어 단열공간(150)을 폐쇄시킴으로써 보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이중 용기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뜨거운 음료수를 마실때는 이중 용기(100)가 변형되면서 단열공간(150) 내의 열기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고, 마시지 않을 때에는 변형되었던 이중 용기가 복원되어 단열공간(150)이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보온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이중 용기 110...내지
111...제1 돌출리브 112...제2 돌출리브
113...제1 컬링부 120...외지
123...제2 컬링부 130...접착제

Claims (3)

  1. 상부에 제1 컬링부가 형성된 통형의 내지와, 상기 내지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밑지와, 상기 내지와의 사이에 단열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내지의 외측에 결합되는 통형의 외지로 이루어진 이중 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지(110)의 외면 둘레를 따라 제1 돌출리브(111)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돌출리브(111)와 이격되어 상기 내지(110)의 외면 둘레를 따라 제2 돌출리브(112)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돌출리브(111)와 제2 돌출리브(112) 사이의 상기 내지(110)의 외면 일부분과 상기 외지(120)의 내면 일부분이 접착제(130)로 부착되되,
    상기 접착제(130)의 두께는 상기 제1 돌츨리브(111) 및 제2 돌출리브(112)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외지(120)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상기 내지(110)와 부착되지 아니한 자유단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공간이 형성된 이중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지(120)에 상기 제1 돌출리브(111)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관통공(121)이 형성되고,
    상기 외지에 상기 제2 돌출리브(112)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관통공(1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공간이 형성된 이중 용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지(120)의 하단부는 내측으로 말아진 제2 컬링부(123)가 형성되어 상기 내지(110)의 외면과 접촉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공간이 형성된 이중 용기.
KR1020190165619A 2019-12-12 2019-12-12 단열공간을 형성한 이중 용기 KR202100746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619A KR20210074665A (ko) 2019-12-12 2019-12-12 단열공간을 형성한 이중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619A KR20210074665A (ko) 2019-12-12 2019-12-12 단열공간을 형성한 이중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665A true KR20210074665A (ko) 2021-06-22

Family

ID=76600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619A KR20210074665A (ko) 2019-12-12 2019-12-12 단열공간을 형성한 이중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46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23715A1 (en) * 2018-09-07 2021-10-21 Bong Yoon WOO Paper cup of dual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484Y1 (ko) 2003-10-20 2004-03-11 주식회사 에이스팩 이중용기
KR20160069068A (ko) 2014-12-05 2016-06-16 주식회사 에이스팩 이중 종이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484Y1 (ko) 2003-10-20 2004-03-11 주식회사 에이스팩 이중용기
KR20160069068A (ko) 2014-12-05 2016-06-16 주식회사 에이스팩 이중 종이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23715A1 (en) * 2018-09-07 2021-10-21 Bong Yoon WOO Paper cup of dual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06962B2 (ja) 保温容器
US20010023595A1 (en) Stay cold beverage vessel
JP2015155317A (ja) コーヒー収納容器
US11234544B2 (en) Insulated cup holder
US11350778B2 (en) Temperature control cup
WO2005075319A1 (ja) 断熱容器
KR20210074665A (ko) 단열공간을 형성한 이중 용기
JP2008094490A (ja) 保温水筒
JP4612313B2 (ja) 断熱容器
KR101978816B1 (ko) 자체 발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JP3245195U (ja) 飲料用カップ
KR200344484Y1 (ko) 이중용기
US20220175167A1 (en) Insulated Cup Holder
JP3058921U (ja) 紙製断熱カップ
JP2004217275A (ja) 飲料容器収納用断熱容器
TWM572179U (zh) Insulated beverage container
JP3242749U (ja) ボトル
KR102181186B1 (ko) 방열부를 구비한 이중 용기
KR100537942B1 (ko) 캔용기의 오프너용 탭어셈블리
JP2011183105A (ja) 電子レンジ調理容器
JP2599684Y2 (ja) 断熱容器
AU2012100504A4 (en) An Insulating Assembly for Containers
JPH0615879Y2 (ja) 自加熱または自冷却式容器
JPH0235615Y2 (ko)
TWM361297U (en) Drink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