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3765A - 건설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재 클램프 - Google Patents

건설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재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3765A
KR20210073765A KR1020190164364A KR20190164364A KR20210073765A KR 20210073765 A KR20210073765 A KR 20210073765A KR 1020190164364 A KR1020190164364 A KR 1020190164364A KR 20190164364 A KR20190164364 A KR 20190164364A KR 20210073765 A KR20210073765 A KR 20210073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gonal member
diagonal
rivet
clam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2882B1 (ko
Inventor
백문자
Original Assignee
백문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문자 filed Critical 백문자
Priority to KR1020190164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882B1/ko
Publication of KR20210073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4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positive engagement, e.g. hooks or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6Struts or stiffening rods, e.g. diagonal rods

Abstract

본 발명은 쐐기형 라운드 고정핀이 가진 굴곡면부를 통해 상기 라운드 고정핀을 타격하는 과정에서 고정핀이 브라켓에 가압되며 후크의 걸림을 견고하게 유지시키도록 함으로서 외부 충격에 이탈 없이 클램프의 고정 및 해제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브라켓의 외곽면에서 대각재의 센터를 향하는 동일선상에 리벳이 체결될 수 있도록 바디의 상, 하면에 상부 대각재 리벳 구멍 및 하부 대각재 리벳 구멍을 각각 형성하여 대각재의 휨을 방지할 수 있는 건설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재 클램프를 제안한다.

Description

건설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재 클램프{A clamp for construction system scaffolding}
본 발명은 건설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재 클램프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쐐기형의 라운드 고정핀을 타격하는 작업으로 클램프의 외부 충격에 이탈 없이 고정 및 해제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고, 더불어 클램프 바디에 상부 대각재 리벳 구멍 및 하부 대각재 리벳 구멍을 각각 복수개 마련하여 대각재의 휨 현상을 방지토록 한 건설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재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비계는 건축 공사시 작업자들이 높은 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건축물의 외부에 설치되는 임시가설물을 말하는 것으로서, 대표적으로 강관비계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강관비계는 내구성이 우수하고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장점을 가진 것으로서, 통상 수직 및 수평파이프와, 비계발판 그리고 다수개의 클램프들로 구성한다.
상기한 구성품들중 클램프들은 수직 및 수평파이프를 결속하고, 또한 비계발판을 수평파이프상에 지탱시키는 수단으로서, 강관비계의 내구성과 직결되는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중의 하나이다.
통상 비계장치는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서로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에 수평으로 연결 설치되는 수평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건물 벽면에 고정 설치되어 수직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및 선단은 상기 수평프레임에 클램핑되고 그 끝단은 수평프레임에 클램핑되어 수평력에 의한 인장, 압축력을 막아주는 대각재(brace)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한편, 상기 대각재는 언급한 바와 같이 수직 및 수평프레임에 사선 형태로 비스듬하게 배치된 상태로 연결되는 데, 이때 대각재와 수직프레임의 클램핑 구성은 상기 대각재의 선단에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고리를 상기 수직프레임의 체결구멍에 끼우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대각재와 관련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는 본 출원인이 2016. 11. 29. 자로 출원하여 2018. 06. 07.로 공개된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18-0060437 호(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를 예로 들 수 있다.
선행기술은 로커판의 걸고리를 수직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브라켓판의 체결구멍에 끼워넣은 다음, 가새를 잡고 한쪽 방향으로 돌려주면 상기 가새에 용접 고정되어 있는 고정판은 상기 가새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고정판에 구비되어 있는 가압편중 어느 하나의 가압편은 브라켓판의 외곽 저면에 가압 접촉하며 체결구멍에 끼워져 있는 걸고리를 고정시키게 되는 방식인 데, 이러한 방식은 사용과정에서 가새가 조금만 움직여도 걸림이 해지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유발할 우려가 있다.
더욱이 가새가 수직프레임에 체결되고 나면 비계 시스템의 하중은 걸고리에 집중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걸고리가 쉽게 휘어져 체결이 의도하지 않게 해지될 위험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18-0060437 호 문헌 2: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12-0140340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쐐기형 라운드 고정핀이 가진 굴곡면부를 통해 상기 라운드 고정핀을 타격하는 과정에서 고정핀이 브라켓에 가압되며 후크의 걸림을 견고하게 유지시키도록 함으로서 외부 충격에 이탈 없이 클램프의 고정 및 해제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건설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재 클램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브라켓의 외곽면에서 대각재의 센터를 향하는 동일선상에 리벳이 체결될 수 있도록 바디의 상, 하면에 상부 대각재 리벳 구멍 및 하부 대각재 리벳 구멍을 각각 형성하여 대각재의 휨을 방지할 수 있는 건설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재 클램프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두 개의 수직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대각재의 선단 및 끝단을 상기 각 수직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연결 고정시키는 시스템 비계의 대각재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 하단에 결합되며 외곽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구멍이 관통 형성된 브라켓판, 중앙으로 센터플레이트가 마련되고, 상기 센터플레이트의 양측으로 측면플레이트가 각각 수직으로 직각되게 밴딩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사이에공간이 마련되도록 성형된 바디부,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선단에 내측 방향으로 절곡시켜 구성한 후크 고정편, 상기 후크 고정편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용접 결합되며 상기 브라켓판의 체결구멍에 걸려지는 후크, 상기 측면플레이트 사이 공간에 끼워지며 그 전, 후면은 라운드지게 굴곡면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해머의 타격 압력으로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브라켓판의 외곽면에 점차적으로 가압 접촉하며 브라켓판의 체결구멍에 끼워져 있는 후크를 가압 접촉시키는 라운드 고정판, 상기 측면플레이트를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라운드 고정핀의 후면에 형성된 굴곡면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라운드 고정핀이 전방으로 비스듬한 각도로 하강 동작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제 1, 2가이드핀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위, 아래에는 복수개의 제 1, 2 대각재 리벳 구멍이 각각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 1대각재 리벳 구멍에는 상기 대각재의 선단이 끼워진 상태로 리벳으로 결합되며, 상기 대각재의 끝단은 다른 클램프에 형성되어 있는 제 2대각재 리벳 구멍에 끼워진 상태로 리벳으로 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대각재 리벳 구멍은 상기 브라켓판의 외곽면과 상기 대각재의 센터를 연결하는 "A" 중심라인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리벳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 1대각재 리벳 구멍은 상기 브라켓판의 외곽면과 상기 대각재의 센터를 연결하는 "B" 중심라인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리벳으로 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라운드 고정핀이 가진 굴곡면부를 통해 상기 라운드 고정핀을 타격하는 과정에서 고정핀이 브라켓에 가압되며 후크의 걸림을 견고하게 유지시키도록 함으로서 외부 충격에 이탈 없이 클램프의 고정 및 해제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브라켓의 외곽면에서 대각재의 센터를 향하는 중심선상에 리벳이 체결될 수 있도록 클램프의 상, 하면에 상부 대각재 리벳 구멍 및 하부 대각재 리벳 구멍을 각각 형성하여 외력에 의한 대각재의 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계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대각재의 상, 하부에 결합되는 클램프의 구조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클램프로 결합되는 대각재의 선단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동작상태도.
도 5는 도 2에서 수직프레임의 하부에 클램프로 결합되는 대각재의 하단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비계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건축용 비계장치는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서로 일정거리 떨어진 상태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10), 상기 수직프레임(10)의 상, 하부에 각각 소정각도 기울어지게 클램핑되어 수평력에 의한 인장, 압축력을 막아주는 대각재(brace)(20)를 포함한다.
첨부된 도 2는 도 1에서 대각재의 상, 하부에 결합되는 클램프의 구조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클램프로 결합되는 대각재의 선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동작상태도이고, 도 5는 도 2에서 수직프레임의 하부에 클램프로 결합되는 대각재의 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동작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대각재(20)는 언급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수직프레임(10) 사이에 사선 형태로 비스듬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그 선단 및 끝단에 설치되어 지는 클램프(30)를 이용하여 수직프레임(10, 12)에 각각 연결 고정되어 진다. 이때 하나의 클램프(40)는 대각재(20)의 선단을 하나의 수직프레임(10)의 상부에 연결 고정하게 되고, 다른 클램프는 대각재(20)의 끝단과 다른 수직프레임(12)의 하부에 연결 고정하게 된다.
클램프(30)는 평면상으로 "⊃"단면 형상으로 성형되는 데, 바람직하게는 중앙으로 센터플레이트(32)가 마련되고, 상기 센터플레이트(32)의 양측으로 측면플레이트(34)가 각각 수직으로 직각되게 밴딩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측면플레이트(34)의 사이에 라운드 고정핀(50)이 삽입되기 위한 공간(36)이 마련되도록 성형한다.
상기 측면플레이트(34)의 선단은 내측 방향으로 절곡시켜 후크 고정편(38)을 마련하고, 상기 후크 고정편(38)의 사이에 전술한 후크(40)가 끼워진 상태로 용접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측면플레이트(34)의 상, 하부에는 제 1, 2대각재 리벳 구멍(56, 58)이 각각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 1, 2대각재 리벳 구멍(56, 58)에는 대각재(20)의 선단 또는 끝단이 각각 리벳으로 연결되어 진다. 이때 측면플레이트(34)의 상, 하부에 두 개의 제 1, 2대각재 리벳 구멍(56, 58)을 각각 형성한 것은 대각재(20)로 전해지는 하중에 의한 대각재(20)의 휨과 같은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함인 바, 이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 보다 더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 후크(40)는 측면플레이트(34)의 선단에 절곡 형성되어 있는 후크 고정편(38)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용접 결합되는 데, 상기 후크(40)는 수직프레임(10)의 외경에 결합되어 있는 브라켓판(60)의 체결구멍(64)에 끼워진 상태에서 라운드 고정편(50)의 가압에 따라 상기 브라켓판(60)에 걸림 고정되어 진다.
상기 브라켓판(60)은 클램프(30)를 이용하여 대각재(20)를 수직프레임(10)에 연결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플레이트이다.
상기 브라켓판(60)의 중앙에는 구멍(62)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62)으로는 수직프레임(10)이 관통한다. 상기 수직프레임(10)에 끼워진 상기 브라켓판(60)은 용접으로 수직프레임(10)의 외경에 고정된다.
상기 브라켓판(60)의 외곽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구멍(64)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멍(64)으로는 전술한 후크(40)가 끼워진 상태에서 라운드 고정핀(50)의 가압력에 의해 후크(40)를 체결구멍(64)에 걸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라운드 고정핀(50)은 전체적으로 쐐기 형상을 가지도록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적으로 얇아지도록 성형된 핀이다.
상기 라운드 고정핀(50)은 측면플레이트(34)의 사이 공간(36)에 끼워진 상태에서 외부에서 해머 등으로 타격하는 압력에 따라 하강하는 과정에서 브라켓판(60)의 외곽면에 점차적으로 가압 접촉하며 브라켓판(60)의 체결구멍(64)에 끼워져 있는 후크(40)가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라운드 고정핀(50)의 전, 후면은 라우드지도록 굴곡면부(52, 54)가 형성되고, 또한 측면플레이트(34)에는 상기 라운드 고정핀(50)의 후면 굴곡면부(54)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라운드 고정핀(50)이 전방으로 비스듬한 각도로 하강 동작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제 1, 2가이드핀(42, 44)이 설치된다.
상기 라운드 고정핀(50)은 하강 동작을 시작하면 상기 라운드 고정핀(50)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굴곡면부(52)는 상기 제 1, 2가이드핀(42, 44)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굴곡면부(52)의 곡면 각도에 의해 상기 라운드 고정핀(50)의 하강이 전방으로 비스듬한 각도로 진행되도록 밀어내게 되며, 이 과정에서 라운드 고정핀(50)의 전면에 형성된 굴곡면부(54)는 전술한 브라켓판(60)의 외곽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라운드 고정핀(50)의 하강에 점차적으로 높은 압력으로 가압 접촉하게 된다. 즉, 상기한 라운드 고정핀(50)의 가압력에 의해 브라켓판(60)의 체결구멍(54)에 끼워져 있는 후크(40)는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클램프(30)를 구성하는 제 1, 2측면플레이트(34)에는 위, 아래로 제 1, 2대각재 리벳 구멍(56, 58)이 각각 관통 형성된다.
즉, 하나의 클램프(30)에 형성되어 있는 제 1대각재 리벳 구멍(56)에는 대각재(20)의 선단이 리벳(70)으로 결합하고, 상기 대각재(20)의 끝단은 다른 클램프(30)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대각재 리벳 구멍(58)에 리벳(72)으로 결합되며 두 개의 수직 프레임(10) 사이에 위치하는 대각재(20)를 사선 방향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진 상태로 연결 설치하게 된다.
상기 제 1, 2대각재 리벳 구멍(56, 58)을 측면플레이트(34)의 상, 하부에 각각 따로 형성한 것은 대각재(20)의 선단 및 끝단을 클램프(30)에 각각 결합할 때, 상기 제 1대각재 리벳 체결구멍은 상기 브라켓판의 외곽면과 상기 대각재의 센터를 연결하는 "A" 중심라인에 위치하도록 하고, 제 2대각재 리벳 체결구멍은 상기 브라켓판의 외곽면과 상기 대각재의 센터를 연결하는 "B" 중심선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시스템 비계의 하중이 대각재(20)로 전해질 때, 이때의 하중이 "A"중심라인 그리고 "B"중심라인에 집중적으로 전해지도록 하여 종래와 같이 대각재(20)로 편중되게 하중이 전해지지 않도록 하여 대각재(20)의 휨과 같은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의 클램프를 이용하여 대각재의 선단 및 끝단을 수직프레임의 상, 하부에 연결하는 과정을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대각재(20)의 선단을 수직프레임(10)의 상부에 연결하고자 할 때에는 대각재(20)의 선단에 클램프(30)를 고정시켜야 하는 데, 이를 위해 대각재(20)의 선단을 클램프(30)의 측면플레이트(34) 사이 공간(36)으로 삽입시킨 다음, 제 1, 2대각재 리벳 구멍들중 제 1대각재 리벳 구멍(58)에 대각재(20)의 선단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1대각재 리벳구멍(58)으로 리벳(70)을 끼워 리벳팅시켜 결합하도록 한다.
다음, 클램프(30)의 후크(40)를 수직프레임(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브라켓판(60)의 외곽면 체결구멍(64)에 걸어둔 상태에서 쐐기 형상의 라운드 고정핀(50)을 해머 등의 기구로 타격하게 되면 상기 라운드 고정핀(50)은 타격에 의한 압력으로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라운드 고정핀(50)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굴곡면부(52)는 상기 제 1, 2가이드핀(42, 44)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굴곡면부(52)의 곡면 각도에 의해 상기 라운드 고정핀(50)의 하강이 전방으로 비스듬한 각도로 진행되도록 밀어내게 되며, 이 과정에서 라운드 고정핀(50)의 전면에 형성된 굴곡면부(54)는 전술한 브라켓판(60)의 외곽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라운드 고정핀(50)의 하강에 점차적으로 높은 압력으로 가압 접촉하게 되며, 상기 라운드 고정핀(50)의 가압력에 의해 브라켓판(60)의 체결구멍(64)에 끼워져 있는 후크(40)는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대각재(20)의 끝단을 반대편 수직프레임(10)의 하부에 연결하고자 할 때에는 대각재(20)의 끝단에 전술한 클램프(30)와 동일한 구조의 클램프(30)를 다시 고정시켜야 하는 데, 이를 위해 대각재(20)의 끝단을 클램프(30)의 측면플레이트(34) 사이 공간(36)으로 삽입시킨 다음, 제 1, 2대각재 리벳 구멍(56, 58)들중 상부쪽 제 2대각재 리벳 구멍(58)에 대각재(20)의 끝단을 위치시킨 후, 상기 제 2대각재 리벳구멍(58)으로 리벳(72)을 끼워 리벳팅시켜 결합하도록 한다.
다음, 클램프(30)의 후크(40)를 수직프레임(10)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브라켓판(60)의 외곽면 체결구멍(64)에 걸어둔 상태에서 쐐기 형상의 라운드 고정핀(50)을 해머 등의 기구로 타격하게 되면 후크(40)는 라운드 고정핀(50)의 가압력에 의해 걸림 고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대각재(20)의 선단 및 끝단에 클램프(30)를 각각 리벳팅시킨 상태에서 두 개의 수직프레임(10) 사이에 경사지게 연결 구성하여 수평력에 의한 인장, 압축력을 막아주게 된다.
특히, 대각재(20)의 선단은 클램프의 제 1대각재 리벳 구멍(56)에 리벳팅되고, 또한 대각재(20)의 끝단은 다른 클램프의 제 2대각재 리벳 구멍(58)에 리벳팅됨으로서 대각재(20)를 클램프(30)로 수직프레임(10)의 브라켓판(60)에 각각 결합할 때, 상기 제 1대각재 리벳 체결구멍(56)은 상기 브라켓판(60)의 외곽면과 상기 대각재(20)의 센터를 연결하는 "A" 중심라인에 위치하도록 하고, 제 2대각재 리벳 체결구멍(58)은 상기 브라켓판(60)의 외곽면과 상기 대각재(20)의 센터를 연결하는 "B" 중심선상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리벳(70, 72)으로 각각 리벳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시스템 비계의 하중이 대각재로 전해질 때, 이때의 하중이 "A"중심라인 그리고 "B"중심라인에 집중적으로 전해지도록 하여 종래와 같이 대각재로 편중되게 하중이 전해지지 않도록 하여 대각재(20)의 휨과 같은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10: 수직프레임 20: 대각재
30: 클램프 34: 측면플레이트
36: 공간 40: 후크
42: 제 1가이드핀 44: 제 2가이드핀
50: 라운드 고정핀 52, 54: 굴곡면부
56: 제 1대각재 리벳 구멍 58: 제 2대각재 리벳 구멍
60: 브라켓판 64: 체결구멍

Claims (3)

  1. 두 개의 수직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대각재의 선단 및 끝단을 상기 각 수직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연결 고정시키는 시스템 비계의 대각재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10)의 상, 하단에 결합되며 외곽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구멍(64)이 관통 형성된 브라켓판(60);
    중앙으로 센터플레이트(32)가 마련되고, 상기 센터플레이트(32)의 양측으로각각 수직으로 직각되게 밴딩 형성되며 중앙으로 공간(36)을 형성하는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34);
    상기 측면플레이트(34)의 선단에 내측 방향으로 절곡시켜 구성한 후크 고정편(38);
    상기 후크 고정편(38)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용접 결합되며 상기 브라켓판(60)의 체결구멍(64)에 걸려지는 후크(40);
    상기 측면플레이트(34)의 사이 공간(36)에 끼워지며 그 전, 후면은 라운드지게 굴곡면부(52, 54)를 형성한 상태에서 해머의 타격 압력으로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브라켓판(60)의 외곽면에 점차적으로 가압 접촉하며 브라켓판(60)의 체결구멍(64)에 끼워져 있는 후크(40)를 가압 접촉시키는 라운드 고정판(50);
    상기 측면플레이트(34)를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라운드 고정핀(50)의 후면에 형성된 굴곡면부(52)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라운드 고정핀(50)이 전방으로 비스듬한 각도로 하강 동작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제 1, 2가이드핀(42, 44)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의 대각재 클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플레이트(34)의 위, 아래에는 복수개의 제 1, 2 대각재 리벳 구멍(56, 58)이 각각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 1대각재 리벳 구멍(56)에는 상기 대각재(20)의 선단이 끼워진 상태로 리벳(70)으로 결합되며;
    상기 대각재(20)의 끝단은 다른 클램프(30)에 형성되어 있는 제 2대각재 리벳 구멍(58)에 끼워진 상태로 리벳(72)으로 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의 대각재 클램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대각재 리벳 구멍(56)은 상기 브라켓판(60)의 외곽면과 상기 대각재(20)의 센터를 연결하는 "A" 중심라인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리벳(70)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 1대각재 리벳 구멍(58)은 상기 브라켓판(60)의 외곽면과 상기 대각재(20)의 센터를 연결하는 "B" 중심라인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리벳(72)으로 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의 대각재 클램프.
KR1020190164364A 2019-12-11 2019-12-11 건설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재 클램프 KR102302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364A KR102302882B1 (ko) 2019-12-11 2019-12-11 건설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재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364A KR102302882B1 (ko) 2019-12-11 2019-12-11 건설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재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765A true KR20210073765A (ko) 2021-06-21
KR102302882B1 KR102302882B1 (ko) 2021-09-16

Family

ID=76599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364A KR102302882B1 (ko) 2019-12-11 2019-12-11 건설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재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28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8290A (ko) 2022-03-23 2023-10-05 반도스틸(주) 동바리용 수직재의 자동용접 및 도장 연속생산 제조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496U (ja) * 1993-09-13 1995-04-07 アルインコ株式会社 足場等の部材連結装置
KR19990082052A (ko) * 1996-01-26 1999-11-15 아루투어 슈보에러 비계 조인트
JP2010018948A (ja) * 2008-07-08 2010-01-28 Hory Corp 仮設足場用筋交
KR20120140340A (ko) 2011-06-21 2012-12-31 백문자 비계장치
JP2016160586A (ja) * 2015-02-27 2016-09-05 株式会社トーテックス 足場用筋交連結構造
KR20180060437A (ko) 2016-11-29 2018-06-07 백문자 건설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496U (ja) * 1993-09-13 1995-04-07 アルインコ株式会社 足場等の部材連結装置
KR19990082052A (ko) * 1996-01-26 1999-11-15 아루투어 슈보에러 비계 조인트
JP2010018948A (ja) * 2008-07-08 2010-01-28 Hory Corp 仮設足場用筋交
KR20120140340A (ko) 2011-06-21 2012-12-31 백문자 비계장치
JP2016160586A (ja) * 2015-02-27 2016-09-05 株式会社トーテックス 足場用筋交連結構造
KR20180060437A (ko) 2016-11-29 2018-06-07 백문자 건설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8290A (ko) 2022-03-23 2023-10-05 반도스틸(주) 동바리용 수직재의 자동용접 및 도장 연속생산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2882B1 (ko) 202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75935B (zh) 用于连接两个竖直部件的装置
KR102302882B1 (ko) 건설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재 클램프
KR101328969B1 (ko) 파이프의 고정력이 향상된 스탠션 바
JP3881649B2 (ja) 親綱支柱
KR20190011883A (ko) 쐐기식 파이프 클램프
JP2010275709A (ja) 梁の補強方法
JP2012188873A (ja) 養生用シートのクランプ装置
JP6438236B2 (ja) 連結具
JP2013194461A (ja) 足場構築体の強化装置
JP2011006972A (ja) 木造建築物における梁の補強方法
KR102267664B1 (ko) 선박 건조용 론지 취부 지그
JP6613427B1 (ja) 支柱連結用ロックピンのロック解除治具
KR102116606B1 (ko) 원터치체결부를 갖는 비계
KR101910250B1 (ko) 건설용 시스템 비계의 대각재
KR200445023Y1 (ko) 거푸집 보강프레임용 고정구
JP6091212B2 (ja) くさび着脱機構、くさび着脱工具及びこれを用いたくさび着脱方法
KR20190110293A (ko) 배관의 흔들림방지버팀대용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배관연결장치
JP6327985B2 (ja) 鋼製仮設梁のビーム等への単管取付用座及びそれを用いた作業床構築方法
JP2016160586A (ja) 足場用筋交連結構造
JP3051703B2 (ja) 足場用手すり器
KR101454643B1 (ko) 체결구가 형성된 비계 파이프
KR102436896B1 (ko) 무용접 철근 정착장치 및 무용접 철근 정착방법
KR101931662B1 (ko) 연결 클램프 및 이를 구비한 지지기둥 보강용 트러스 장치
JP2700383B2 (ja) 安全索張設用支柱
KR102576161B1 (ko) 거푸집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