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3265A - 상온 유화 공정을 이용한 아토피 개선 로션 - Google Patents

상온 유화 공정을 이용한 아토피 개선 로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3265A
KR20210073265A KR1020190163902A KR20190163902A KR20210073265A KR 20210073265 A KR20210073265 A KR 20210073265A KR 1020190163902 A KR1020190163902 A KR 1020190163902A KR 20190163902 A KR20190163902 A KR 20190163902A KR 20210073265 A KR20210073265 A KR 20210073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tion
room temperature
weight
oil
emulsification pro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3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8646B1 (ko
Inventor
이진선
이소희
이도연
Original Assignee
이진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선 filed Critical 이진선
Priority to KR1020190163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646B1/ko
Publication of KR20210073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6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onic acid derivatives; Sa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온 유화 공정을 이용한 로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정제수; 점증제인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유화제인 폴리글리세릴-4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리시놀리에이트; 달맞이꽃 추출물; 달맞이꽃 오일; 자초 추출물; 자초 오일;을 혼합하여 형성되고, 상기 정제수 3~75 중량%, 달맞이꽃추출물 0.01~50 중량%, 자초추출물 0.01~50 중량%, 달맞이꽃오일 0.01~40 중량%, 자초오일 0.01~40 중량%, Polyglyceryl-4 Caprate 0.01~15 중량%, Polyglyceryl-3 Ricinoleate 0.01~18 중량%,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0.01~15 중량%를 혼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온 유화 공정을 이용한 로션 및 제조방법{Lotion utilizing room temperature emulsifying proce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상온 유화 공정을 이용한 로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온 유화가 아니라 상온 유화를 이용하여 아토피 치료에 유용한 성분의 파괴가 일어나지 않고 아토피를 효율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상온 유화 공정을 이용한 로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 피부염은 유전적, 환경적, 면역학적인 원인으로 피부 가장 바깥에 있는 보호벽인 각질층에 이상이 생긴 것으로 건조한 기후에서 더욱 심해지는 알레르기 질환이다. 태열(Atopic dermatitis)이라고도 한다.
아토피의 주요증상은 심한 가려움증, 피부건조, 발진, 진물, 부스럼딱지, 비늘 같은 껍질이 있는 피부 등이다.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 알레르기성 결막염, 아토피성 두드러기 등과 동시에 나타날 수 있다.
유전적, 환경적, 면역학적인 원인으로 인해 피부 가장 바깥에 있는 피부 보호벽인 각질층에 이상이 생긴 것이다. 그 외 건조한 피부, 세균ㆍ바이러스ㆍ곰팡이 등에 의한 감염, 정서적 요인, 환경적 요인이 서로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인체에 들어온 원인 물질을 자연치유력으로 제거하는 과정에서 비만세포(mast cell)에 생긴 항체(IgE)가 다시 그 물질(항원)이 들어오면 과민반응을 일으켜서 히스타민을 형성하는데, 이것이 아토피성 피부염의 주원인이다. 비만세포에서 방출된 히스타민은 혈관확장, 기관지 평활근 수축, 선세포의 분비, 항진작용 등을 나타내어 염증 반응 및 즉각형 알레르기 반응을 야기하며, 점액분비 및 국소 단백질 분비와 같은 다양한 생물학적 효과를 매개한다.
따라서, 아토피성 피부염용 피부외용제로 유해한 아포피 유발 세균 등을 제거하기 위해 항균제를 배합한 약제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현재 아토피성 피부염의 약제요법으로는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제 등이 사용되고 있지만, 주로 사용되고 있는 스테로이드제는 장기간 투여하지 않으면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국소 및 전신 부작용이 있어 임상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스테로이드 호르몬제의 장기적 사용은 피부층을 얇게 하거나 골다공증의 유발 또는 어린이의 경우 성장저해를 야기한다는 보고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작용이 없으며 효능이 우수한 아토피성 피부 질환 개선제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스테로이드제와 같이 유해한 성분이 아니라 천연 아토피 개선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고온 유화가 아니라 상온 유화를 이용하여 아토피 치료에 유용한 성분의 파괴가 일어나지 않고 아토피를 효율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개선제가 더욱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05482호(2017년02월03일 등록)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25354호(2018년11월23일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1774788호(2017년08월30일 등록)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11241호(2011년02월08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온 유화를 이용하여 아토피 치료에 유용한 성분의 파괴가 일어나지 않고 아토피를 효율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데 도움이 되는 상온 유화 공정을 이용한 로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발명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온 유화 공정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로션에 있어서, 유화제와 점증제를 혼합하여 형성된 상온 유화 공정을 이용한 로션이 제공된다.
상기 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4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리시놀리에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점증제는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화제를 0.2 ~ 30 중량%로 포함하며, 상기 점증제를 0.0001 ~ 1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4카프레이트 0.01~15 중량%, 폴리글리세릴-3리시놀리에이트 0.01~15 중량%로 구성되며, 상기 점증제는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0.01~15 중량%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온 유화 공정의 유화 온도가 20 ~ 4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제수와, 상기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와, 상기 폴리글리세릴-4카프레이트와, 상기 폴리글리세릴-3리시놀리에이트에 더하여서 달맞이꽃 추출물과 자초 추출물과 달맞이꽃 오일 및 자초 오일;을 더 혼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제수 3∼75 중량%,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코폴리머 0.01∼15 중량%, 자초추출물 0.01~35 중량%, 달맞이꽃추출물 0.01∼50 중량%, 달맞이꽃오일 0.01∼40 중량%, 자초오일 0.01∼40 중량%, 폴리글리세릴-4카프레이트 0.01∼15 중량%, 폴리글리세릴-3리시놀리에이트 0.01∼18 중량%를 혼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제수, 상기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폴리글리세릴-4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리시놀리에이트, 달맞이꽃 추출물, 달맞이꽃 오일, 자초 추출물, 자초 오일에 더하여서 Allantoin, Glycerin, Butylene Glycol, Beta-Glucan, Glyceryl Glucoside, 4-t-Butylcyclohexanol, Aphanothece Sacrum Exopolysaccharides, 1,2-Hexanediol를 더 혼합하여 형성된다.
상기 Allantoin 0.01~5 중량%, Glycerin 0.01~10 중량%, Butylene Glycol 0.01~10 중량%, Beta-Glucan 0.01~10 중량%, Glyceryl Glucoside 0.01~10 중량%, 4-t-Butylcyclohexanol 0.01~10 중량%, Aphanothece Sacrum Exopolysaccharides 0.001~5 중량%;를 혼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초오일은, 지치뿌리오일 5~15 중량%, 올리브오일 85~95 중량%를 혼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0.7 중량%를 조합한 점증제와, HLB 14.5인 친수성 유화제 Polyglyceryl-4 Caprate 1.15 중량%와 HLB 2.3인 친유성 유화제 Polyglyceryl-3 Ricinoleate 1.85 중량%를 조합한 유화제로 제형을 개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친수성 유화제 Polyglyceryl-4 Caprate(Emul01)과 친유성 유화제Polyglyceryl-3 Ricinoleate(Emul02)의 HLB 값을 이용하여 사용 함량을 계산하며, 함량 계산식은 "HLB(식물성 오일) - HLB(Emul02) / HLB(Emul01) - HLB(Emul0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정제수; 점증제로서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유화제로서 폴리글리세릴-4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리시놀리에이트; 달맞이꽃 추출물; 자초 추출물; 달맞이꽃 오일; 자초 오일;을 혼합하여 형성된 상온 유화 공정을 통한 아토피 개선 로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상온 유화 공정을 통한 아토피 개선 로션은 Allantoin, Glycerin, Butylene Glycol, Beta-Glucan, Glyceryl Glucoside, 4-t-Butylcyclohexanol, Aphanothece Sacrum Exopolysaccharides, 1,2-Hexanediol를 더 혼합하여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용성 성분을 정제수에 분산 및 용해시켜 수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유화제에 유용성 성분을 상온에서 용해시켜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수상부를 교반하면서 유상부를 첨가하여 로션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상온 유화 공정을 이용한 로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유화제 0.1~30 중량%에 상기 유용성 성분을 상온에서 용해시켜 유상부를 제조하며, 상기 수상부를 교반하면서 20 ~ 40℃에서 유상부를 첨가하여 로션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온 유화 공정을 이용한 로션은 본 발명의 경우 점증제로는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를 채택하고, 유화제로는 폴리글리세릴-4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리시놀리에이트를 채택함으로써 상온 유화공정을 통해서 로션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점증제가 상온에서도 잘 용해되고, 유화제가 상온에서 액상이어야 하며, 최종 유화 상태가 열역학적으로 안정적인 조건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달맞이꽃과 자초는 아토피 피부염의 주요 원인인 비만세포의 활성을 억제하는 성분을 가진 천연물이다. 달맞이꽃과 자초는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염증 병변에 효능이 있으며, 특히 항산화에 효과적인 Linoleic acid, Gamma linoleic acid와 같은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항산화 및 항균, 항알러지 등에 유효한 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천연물이다. 이는 달맞이꽃을 이용한 동물 모델 시험과 자초를 이용한 IgE 생성 억제와 비만세포 탈과립 억제 및 임상 시험을 통해 확인되어 있다.(Han SH, Heo MH, Park JH, Lee YJ, Park MK. Aromatherapy. Hyunmoonsa, Seoul, p123, 2002.), (Seon Ju Kim, Effects of Evening Primrose Oil and Evening Primrose-rosemary Mixed Oil on Atopic Dermatitis-induced Animal Model, Asian J Beauty Cosmetol 2017; 15(4): 399-410), (김수용 (2006) 자초가 비만세포의 알레르기 염증 반응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석사학위논문), (김주영 (2006) The effects of gromwell (Lithospermm erythrorhizon Sieb. et Zucc.)for skin moisturizing and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그러나, 천연 추출 원료의 경우 유효 성분이 고온에 노출되어 일부 파괴되거나 변형될 확률이 있다. 자초의 시코닌 성분은 65℃ 이상에서 파괴되며, 천연물에 함유된 비타민 C, 무기질류 역시 50~70℃ 이상으로 가열하면 변성이 일어난다.
로션, 크림상의 화장품의 경우 고온 유화 공정을 통해 유화하며, 천연 추출 원료의 경우 유효 성분이 고온에 노출되어 파괴되거나 변형될 확률이 높다.
그래서 대부분의 경우, 고온 유화 공정을 거친 뒤, 냉각을 통해 벌크 제품의 온도를 낮춘 뒤 천연 추출 원료를 넣는다. 그러나, 유화제형을 보존하며 첨가할 수 있는 천연 추출 원료는 소량이며, 이 경우 유효 성분이 피부에 충분하게 전달되기는 어렵다.
만약, 전체 공정 중 고온 유화 공정을 상온 유화 공정으로 대체한다면, 다량의 추출 원료를 유화 공정 이전에 첨가하여 유효 성분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이에 착안하여 본 발명은 다량의 추출 원료(천연 추출 원료)를 유화 공정 이전에 첨가하여, 고온에 파괴받지 않고 상온 유화 공정을 거쳐 유효 성분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목적으로 개발된 상온 유화 공정을 이용한 로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인 유화제(예를 들어,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알코올 등)는 고체상이며, 고온으로 가열해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점증제(예를 들어, 카보머, 잔탄검 등) 역시 고온의 용제가 아니면 쉽게 용해되지 않는다.
O/W 에멀젼은 수상과 유상이 강제로 섞인 상태이기 때문에 열역학적으로 불안하며, 시간이 흐를수록 안정한 상태로 돌아가려는 경향이 있다. 제형의 안정성을 위해 에너지가 높은 고온에서 유화를 진행하는 것인데, 상온에서 유화를 진행한다면 유화 깨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연속상에 분산된 에멀젼의 구조가 변하는 경우(유화깨짐 현상이 생기는 경우)는 대략 다음과 같다.
1) 파괴(Breaking) : 두 개의 상으로 상분리
2) 합일(Coalescence) : 두 개의 액적이 모여서 좀더 커다란 부피의 액적으로 바뀜
3) 크리밍(Creaming) : 두 상의 밀도차에 의해 응집을 유지한 상태에서 농축상으로 모임.
4) 응집(Flocculation) : 유화 액적 상태를 유지하나 서로 모이는 과정
본 발명에서는 점증제와 유화제의 최적의 비율을 찾아 상온에서도 안정적으로 유화시키는 방법을 찾음으로써 주요 유효 성분이 파괴되지 않고 아토피 피부염을 제대로 개선할 수 있는 아토피 로션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찾은 점증제와 유화제 후보군은 다음과 같다.
<유화제>
Polyglyceryl-4 Caprate
액상, HLB 14.5(이하, Emul01이라고 함)
Polyglyceryl-3 Ricinoleate
액상, HLB 2.3(이하, Emul02이라고 함)
<점증제>
Ammonium Acryloyldimethyl Taurate/Beheneth-25,
Methacrylate crosspolymer(이하, Tck01 이라고 함)
Dehydroxanthan Gum(이하, Tck02이라고 함)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이하, Tck03이라고 함)
Acrylate Copolymer(이하, Tck04라고 함)
상기 유화제와 점증제를 이용하여 상온 유화에서도 안정적인 제형을 개발하여, 가속 시험을 통해 제형의 안정성을 확인한다.
<유화제 함량 계산>
친수성 유화제 Emul01과 친유성 유화제 Emul02의 HLB 값을 이용하여 사용 함량을 계산한다.
HLB(Emul02) = 2.3
HLB(Emul01) = 14.5
식물성 오일 HLB ≒ 7.0
HLB(식물성 오일) - HLB(Emul02) / HLB(Emul01) - HLB(Emul02) = 38.52%
Emul02 = 61.48%, Emul01 = 38.52%
유화제를 3% 사용시, Emul02 = 1.84, Emul01 = 1.15
<전반적인 실험방법>
본 발명에서는 상온 유화 공정을 이용한 로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온 유화 공정을 이용한 로션 제조방법은 수용성 성분을 정제수에 분산 및 용해시켜 수상부를 제조하는 단계와 유화제에 유용성 성분을 상온에서 용해시켜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와 수상부를 교반하면서 유상부를 첨가하여 로션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1) 이후 별다른 표기가 없을 시, 실험은 다음과 같은 방법을 따른다.
① 정제수에 수용성 성분을 분산 및 용해시켜 수상부를 제조한다. 수용성 성분으로는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 식물성 추출물 등이 될 수 있다. 수상부에는 점증제, 알란토인, 1,3-BG, Glycerin, 1,2-Hexanediol가 포함되어 있다. 이를 A상이라고 한다.
② 유화제에 식물성 오일과 같은 유용성 성분을 상온에서 용해시켜 유상부를 제조한다. 유용성 성분으로는 식물성 오일 이외에 올리브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미네랄 오일 등이 될 수 있다. 이를 B상이라 한다.
③ 완전 용해된 수상부 A상을 교반하면서 20 ~ 40℃에서 유상부인 B상을 천천히 투입하여 상온 유화한다.
④ 성상 확인 후 종료한다.
(2) 위 실험은 점증제, 유화제를 상온에서 조합하여 가교 결합을 통해 점성을 높이고, 수상과 유상을 강제로 가두어 미셀 구조를 추가로 생성시키는 실험이다.
(3) 성상 확인 시 제형은 일반적인 로션 제형의 Stability, Sensory, Thickening과 비슷하거나 나은 수준으로 맞춘다.
<점증제를 달리 한 유화실험>
1. 실험 목표
본 발명에서 상온 유화에 사용할 점증제를 결정하기 위해 점증제의 종류와 양을 변경하여 반복 유화실험을 한다. 본 실험에서 사용하는 점증제는 Tck01, Tck02, Tck03, Tck04(Ammonium Acryloyldimethyl Touate/Beheneth-25, Methacrylate Crosspolymer)이다.
2. 실험 함량(%)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제형의 안정성을 장기보존 및 가속 테스트를 진행한 뒤 투명한 용기에서 상분리 관찰, 흐름도, 유동성 등을 육안으로 평가한 결과, Tck01의 경우 실험3~실험5가 안정적이었으며, 점도와 로션으로서의 유동성은 실험4가 적절하였다. Tck02의 경우 실험8이 안정적이었으나, 육안상 유화 표면이 고르지 않아 단독 사용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각 샘플의 pH는 5.1~5.2로 약산성이었다. Tck03의 경우 실험 11~13이 안정적이었고, 점도와 로션으로서의 유동성은 실험12가 적절했다. Tck04는 앞서 실험한 점증제와는 다르게 중화과정을 거쳐야 하는 점증제이므로, 상기 <전반적인 실험방법>에 나온 방법에 중화공정이 추가된다. 정제수에 L-Arginine을 용해하여 별도 첨가한 후 유화공정을 따랐으며, 점도와 로션으로서의 유동성은 실험15가 적절했다.
<점증제별 관능 평가>
1. 각 점증제로 실험한 샘플 중, 로션의 적정 정도량(가시적 평가)에 맞는 샘플을 이용하여 관능평가를 진행하였다.
Tck01 : A181030-D1(0.7%)
Tck02 : A181026-D2(0.8%)
Tck03 : A181030-D2(0.7%)
Tck04 : A181031-D2(7.0%)
Figure pat00005
점수를 매겼을 때, Tck03, Tck01가 고득점이었다. Tck03, Tck01는 Aristoflex series 점증제로, 우수한 촉감과 외관을 가지며, 특히 Tck03의 경우 저온수에서도 용해가 잘되는 것을 확인되었다. Tck01의 경우 용해 시간이 오래 걸려, 점수는 높지만 실제 공정시 어려움이 생길 것으로 예상되어 배제한다. Tck04는 가장 안정적이나 점증제가 때처럼 밀려나오는 현상이 발견되어 로션에는 적합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Tck03(Ammonium acryloydimethyltaurate/VP copolymer)로 진행한 샘플의 관능 평가가 다른 점증제들에 비하여 매우 우수하여 Tck03를 단독으로 사용하여 실험하기로 하였다.
<제형 선정>
최종적으로 관능평가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은 Tck03(0.7%)를 조합한 점증제와, HLB 14.5인 친수성 유화제 Emul01(1.15%)와 HLB 2.3인 친유성 유화제 Emul02(1.85%)을 조합한 유화제로 제형을 개발하였다.
각 성분의 함량(%)은 아래의 표와 같다.
DI-Water 78.5 용해 완전 용해
확인
유화
Tck03 0.7
Allantoin 0.1 Tck03
완전 용해
확인 후
첨가
Glycerin 3
1,3-BG 2
Sunflower Oil 12 유상탱크
별도
용해
완전 용해
확인
Emul01 1.15
Emul02 1.85
1,2-Hexanediol 0.7   유화 후 첨가
완전용해 확인 후
공정 종료
본 발명의 상온 유화 공정을 이용한 로션은 상기한 실험을 통해서 유화제로는 친수성 유화제 Emul01과 친유성 유화제 Emul02를 채택하고, 점증제로는 Tck03인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를 채택하였다. 상기 유화제와 점증제를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상온 유화 공정을 이용한 로션은 정제수, Emul01, Emul02, Tck03, Allantoin, Glycerin, Butylene Glycol, Beta-Glucan, Glyceryl Glucoside, 4-t-Butylcyclohexanol, Aphanothece Sacrum Exopolysaccharides, 1,2-Hexanediol을 혼합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정제수, 점증제로서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유화제로서 폴리글리세릴-4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리시놀리에이트, 달맞이꽃 추출물, 자초 추출물, 달맞이꽃 오일, 자초 오일을 혼합하여 형성된 상온 유화 공정을 통한 아토피 개선 로션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정제수 3~75 중량%, 달맞이꽃추출물 0.01~50 중량%, 자초추출물 0.01~50 중량%, 달맞이꽃오일 0.01~40 중량%, 자초오일 0.01~40 중량%, Emul01 0.01~15 중량%, Emul02 0.01~18 중량%, Tck03 0.01~15 중량%를 혼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 유화 공정을 이용한 로션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온 유화 공정을 이용한 로션은 구체적으로 정제수 3~75 중량%, 달맞이꽃추출물 0.01~50 중량%, 자초추출물 0.01~50 중량%, 달맞이꽃오일 0.01~40중량%, 자초오일 0.01~40 중량%, Emul01 0.01~15 중량%, Emul02 0.01~18 중량%, Tck03 0.01~15 중량%, Allantoin 0.01~5 중량%, Glycerin 0.01~10 중량%, Butylene Glycol 0.01~10 중량%, Beta-Glucan 0.01~10 중량%, Glyceryl Glucoside 0.01~10 중량%, 4-t-Butylcyclohexanol 0.01~10 중량%, Aphanothece Sacrum Exopolysaccharides 0.001~5 중량%, Symsitive 1609 0.1 중량%, SDH62a(1,2-Hexanediol) 0.5 중량%, Sacran B 0.03 중량%, S190087 0.015 중량%를 혼합하여 형성된다.
<달맞이꽃과 지치뿌리(자초)>
아토피피부염의 발병률 증가추세에 비하여 아직까지 아토피피부염에 대한 자세한 작용기전이나 치료에 효과적인 약물의 개발이 미흡한 상태이다. 그러나 활성산소가 병변요인 중 하나로 밝혀지면서 항산화 측면에서 치료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Huh EJ al, Increased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by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leukocytes, not by polymorphonuclear leukocytes,in atopic dermatitis.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s , 14: 53-61, 2004.)
본 발명에서는 달맞이꽃과 지치뿌리(자초) 두 종류의 식물성 추출물과 식물성 오일을 주성분으로 하여 상온 유화 공정을 통해 로션을 제조하였다. 달맞이꽃과 지치뿌리는 아토피피부염과 같은 염증 병변에 좋은 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대표적인 식물성 원료이다.
이하, 달맞이꽃과 지치뿌리에 관한 효능에 대한 연구 및 시험자료를 정리한 내용이다.
<달맞이꽃>
달맞이꽃은 아토피피부염과 같은 염증 병변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Battaglia S. The complete guide to aromatherapy (2nd edition). Perfect Potion, Zillmere, p342, 2004.)
특히 항산화에 좋은 linoleic acid를 비롯한 palmitic acid, stearic acid, gamma linolenic acid 및 oleic acid와 같은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항산화 및 항균, 항알러지 등에 유효한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Han SH, Heo MH, Park JH, Lee YJ, Park MK. Aromatherapy. Hyunmoonsa, Seoul, p123, 2002.)
이와 같은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달맞이꽃에서 추출한 오일을 재료로 하여 실시한 아토피피부염 동물시험에 관한 자료를 아래에 요약하였다.
(1) 달맞이꽃 추출 오일과 아토피피부염 동물모델(Seon Ju Kim, Effects of Evening Primrose Oil and Evening Primrose-rosemary Mixed Oil on Atopic Dermatitis-induced Animal Model, Asian J Beauty Cosmetol 2017; 15(4): 399-410)
다음은 달맞이꽃 추출 오일(달맞이꽃 종자유)을 이용하여 아토피피부염 모델인 NC/Nga 생쥐에 대한 체중과 장기 무게변화 및 관능평가와 항산화 효과를 분석하고, 생쥐의 조직으로부터 면역지표인 IgE의 측정과 비만세포의 탈과립 및 피부장벽의 변화를 연구하여 아토피피부염의 치료적 대체물질로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한 자료이다. 아래부터 달맞이꽃 추출 오일을 E oil이라고 표기한다.
관능평가 결과 총 15점 중에서 아토피피부염 유발군은 13ㅁ1.62, E oil 처리군에서는 4ㅁ0.71로 나타나 AD 유발군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 <0.01), 동물 실험의 사진 결과에서도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E oil이 20, 50, 80 μL 포함된 에탄올 시료의 EDA를 확인한 결과, E oil의 EDA는 각각 15.8중량% (p <0.05), 36.7중량%(p <0.01), 52.4중량% (p <0.001)로 대조군 대비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LPA를 측정한 결과 E oil은 각각 21.4중량% (p <0.05), 42.5중량% (p <0.01), 63.2중량% (p <0.001)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아토피피부염 병변과 산화적 손상이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연구결과를 고려해 볼 때, 본 연구의 관능평가에서도 E oil이 높은 항산화능을 나타내고 있어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적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표피두께는 대조군 100.0중량% (17.86ㅁ1.32)에 대비하여 AD 유발군에서는 614.3중량% (109.71ㅁ11.85)로 나타났으며, E oil 처리시 314.5중량% (56.17ㅁ8.23; p <0.01)로 나타나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표피 두께증가는 아토피피부염이나 산화적 손상과 같은 병변, IFNγ 및 TNFα와 같은 사이토카인, 혹은 피부의 진피층의 비후나 염증에 의한 현상이나 표피의 각질층이 급성 또는 만성으로 손상될 경우 표피에 존재하는 N -methyl-D-aspartate(NMDA) 수용체의 과 활성에 의한 ROS의 생성 및 피부손상에 따른 항상성 회복을 위한 대사과정이 진행되어 활발한 표피증식이 일어남으로써 피부장벽의 비후를 초래한다고 알려져 있다.(Kim HJ al. Atopic dermatitis and skin barrier dysfunction.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1:20-28, 2013.)
본 연구 결과에서 표피두께는 AD 유발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매우 높은 표피두께 증가가 나타났으며, E oil을 처리한 경우에서는 표피두께가 아토피피부염 유발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IgE의 양적 측정에서 아토피피부염 유발군은 대조군인 100.0중량% (0.053ㅁ0.007) 대비 152.8중량% (0.081ㅁ0.009)로 많은 증가를 하였으며, E oil 처리에서는 141.5중량% (0.075ㅁ0.004; p <0.05)로 나타나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비만세포의 탈과립 수는 대조군에서 1.4중량% (ㅁ0.3)로 나타났으며, 아토피피부염 유발군에서는 28.6중량% (ㅁ5.6)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에 비하여 E oil 처리군에서는 10.9중량% (ㅁ1.4; p<0.01)로 나타나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지치뿌리(자초)>
한방에서는 자초를 피부와 관련된 질환의 치료에 많이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 자초의 항염증, 피부질환에 대한 효능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면역계통에서 급성염증과 다양한 알러지 염증반응 및 아토피피부염을 일으키는데 관여하는 매개인자인 histamine, IgE,TNF-α, cytokines, chemokine receptor, NF-κB, iNOS 등의 조절 및 억제에 관련한 자초의 추출물과 지표성분인 shikonin의 효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Ji Hoon Ju al, Progress on Phytochemical and Atopic Dermatitis-related Study of the Root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Kor. J. Pharmacogn. 41(2):74~88(2010))
(1) 자초추출물과 IgE 생성 억제 및 비만세포 탈과립 억제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80중량% 이상에서는 혈청 IgE 치가 증가되어 있으며, 이 수치는 대체적으로 아토피피부염의 임상적 중증도와 비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므로 IgE를 생성하는 B 세포 작용의 억제 효과는 아토피 치료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자초의 물 추출물은 생쥐의 B 세포에 anti-CD40과 rIL-4로 유도된 cytokine의 유전자의 발현과 IgE의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100 μg/ml 농도의 자초 물 추출물은 대조군(45.5중량% 생산)에 비하여 IgE의 생산(27.4중량%)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외에도 cytokine IL-1β, IL-4, IL-5, IL-6 및 TNF-α의 유전자 발현을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IFN-γ의 생산은 유의적으로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냈다. IFN-γ의증가는 Th2의 작용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자초는 급성기의 또한 아토피피부염의 발병과정에서 비만세포는 IgE와 결합하여 각종 화학전달물질을 방출하는데 이러한 화학전달물질은 각종 알레르기 염증반응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자초가 항알레르기 효과를 나타내는 작용기전을 조사하기 위하여 흰쥐의 비만세포와 인체 비만세포(Human mastcell, HMC-1)를 이용한 연구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김수용 (2006) 자초가 비만세포의 알레르기 염증 반응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석사학위논문.) 흰쥐의 비만세포에 자초의 물 추출물을 전처리 한 후 compound 48/80으로 탈과립을 유도한 결과, 0.1 mg/ml 이상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탈과립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냈으며, 5 mg/ml의 농도에서는 90중량%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자초의 물 추출물은 histamine 분비에 대해서도 0.1 mg/ml 이상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며, 1 mg/ml의 농도에서는 92중량%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HMC-1에 대해서는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PMA)와 A23187로 염증을 유발시킨 후 IL-6, IL-8, TNF-α의 분비를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효과가 보고되었다. 자초 추출물의 농도가 0.1, 1, 및 5 mg/ml일 때에는 IL 6의 생산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며(5 mg/ml일 때68.2중량% 억제), TNF-α의 생산 또한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5 mg/ml일 때 77.3중량% 억제).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자초추출물이 histamine의 분비와 IκB-α의 분해 억제에 의한 NF-κB의 활성화 억제 기전을 통하여 비만세포의 염증성 알레르기반응을 차단하는 것으로 보았다.
(2) 자초추출물과 자외선에 의한 세포사 방지
자외선은 아토피피부염과 직접적인 연관성은 높지는 않으나 피부에 손상을 주는 가장 큰 환경적 요인 중 하나이다. 특히 파장이 짧은 UVB는 장시간 노출시 피부에 홍반이나 염증을 초래하며, 심한 경우에는 피부암을 유발하기도 한다.
Ishida 등은 자초의 에테르 추출물(전체 shikonin 유도체 중 shikonin 4.4중량%, acetylshikonin 34.4중량%, isobutylshikonin 20.7중량% 함유)로 전처리한 normal human epidermal keratinocyte (NHEK)에 UVB를 조사한 결과, 자초의 에테르 추출물은 2.5-7.5 μg/ml 농도에서 NHEK의 생존율을 대조군에 비해 15-30중량% 증가시켰으며, UVB에 의해 손상된 NHEK에서도 pro-inflammatory cytokine인 IL-1α, IL-1ㅯ, IL-6, IL-8 및 TNF-α의 생산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자초 추출물은 p53 protein과 serine 15 phosphorylated p53의 생산을 억제하며, caspase-3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UVB에 의한 세포의 apoptosis를 방지한다고 보고되었다.(Ishida, T. and Sakaguchi, I. (2007) Protection of human keratinocytes from UVB-induced inflammation using root extract of Lithospermm erythrorhizon. Biol. Pharm. Bull. 30: 928-934.)
태양광선(UVB)에 손상으로 일어난 일련의 피부 염증질환에 대한 실험에서는 C57BL의 웅성 마우스에 UVB(800mJ/cm2)를 조사한 후, 마우스 피부조직의 삼투수분손실량 (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 superoxide dismutase(SOD) 및 catalase(CAT)의 발현 변화 및 피부재생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었다.(송선영 (2008) UVB에 손상된 생쥐의 피부에 미치는 자초추출물의 효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석사학위논문)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측정 대상별로 자초 뿌리의 물 추출물을 0.5중량% 함유한 에멀젼을 도포한 후 총 160 시간 동안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낸 시간대와 그때의 수치들을 살펴본 결과, 삼투수분손실량 면에서는 24 시간대에서 대조군에 비해 약 32중량%의 감소효과를 보였다. 홍반지수(erytherma index)에서도 24 시간대에서 대조군에 비해 약 23중량%의 진정효과가 있었다. SOD의 활성은 120 시간대에서 대조군에 비해 약 21중량%의 감소효과가 관찰되었지만, CAT의 측정은 48 시간대에서 대조군에 비해 약 167중량%의 증가효과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광학현미경과 주사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자초추출물을 투입한 160 시간 이후에는 거의 대조군의 피부수준으로 회복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3) 자초의 Shikonin과 Microglial cell
Microglial cell은 중추신경계의 면역 및 염증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병적인 상태에서 만성적인 microglial cell의 활성화는 오히려 중추신경계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힐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초의 주요성분인 shikonin과 그 유도체들은 이러한 microglial cell의 활성화를 억제하여 신경손상으로부터 중추신경을 보호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보고되었다.
Nam 등은 4 μM 농도의 isobutyrylshikonin(5)과 isovalerylshikonin(8)을 microglial cell에 30분 동안 전처리 한 후, LPS(100 ng/ml)에 의해 유도된 iNOS, IL-1β, TNF-α 및 COX-2 mRNA의 발현과 PGE2의 생산이 유의하게 억제된다는 것을 보고하였다. Shikonin 유도체들은 Akt의 phoshorylation과 NF-κB의 활성화 또한 유의성 있게 억제하였다. 따라서 저자들은 shikonin 유도체가 microglial cell에 대한 항염작용을 수행하는 주된 메커니즘은 IκB-α degradation에 의해 NF-κB를 활성화시키는 Akt signaling pathway를 억제하는 과정일 것이라고 예상하였다.(Nam, K. N., Son, M. S., Park, J. H. and Lee, E. H. (2008) Shikonins attenuate microglial inflammatory responses by inhibition of ERK, Akt, and NF-κB: neuroprotective implications. Neuropharmacology 55: 819-825.)
(4) 자초 추출물의 임상실험 사례
아토피성 환자에 대한 자초 추출물의 효능을 조사하기 위한 임상실험은 경희대학교 한의학과 학생과 경희 의료원 외래환자 149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김주영 (2006) The effects of gromwell (Lithospermm erythrorhizon Sieb. et Zucc.) for skin moisturizing and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건강한 일반 대상자 83명(남자 34명, 여자 49명)을 42명의 normal gromwell group(NG, 자초그룹)과 41명의 normal placebo group(NP)으로 나누었으며, 아토피환자 66명(남자 28명, 여자 38명)중 38명의 atopic dermatitis(AD) gromwell group(AG)과 28명의 AD placebo group(AC)으로 나누어 자초 추출물 (70중량% 에탄올로 추출)을 분말형태로 10주 동안 복약지도하면서 body composition, blood analysis, skin hydration 및 skin ceramide 함량에 대한 결과를 수집하였다.
임상실험 결과 skin hydration 면에서는 자초를 식이투여 받은 NG group과 AG group이 0주에서 10주 동안 각각 14.8중량%, 17.3중량%가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Epidermal ceramide의 농도 수치에서도 NG group과 AG group은 각각 100중량%, 45중량%의 큰 증가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자초추출물이 skin hydration과 epidermal ceramide의 향상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자초 투여후 IgE 수치의 변화를 조사한 실험에서는 건강한 일반 대상자 집단에서의 NG group은 5.3중량%가 증가했고, NP group은 0.7중량% 감소했으며, 아토피 환자 집단에서의 NG group은 12.3중량% 감소했고, NP group은 22.3중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본 제품의 주성분을 이루고 있는 달맞이꽃과 지치뿌리(자초)가 아토피피부염과 같은 염증 병변에 효능이 있음을 알아보았다.
<추출물 대체 실험>
1. 추출 결과물인 달맞이꽃추출물, 자초추출물, 달맞이꽃오일, 자초오일을 개발된 상온유화제형에 대체하여 처방하였다.
2. 실험
Figure pat00006
<품평 테스트>
상기 실험 18을 응용한 샘플을 샘플A라 하고, 기존 로션 처방 샘플을 샘플B라고 하였을 때, 성인 남녀 9명을 대상으로 관능평가 품평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샘플 A(A190219-D1)
샘플 B(A190219-D3)
일주일간 사용하며, "발림성/보습감/유분감/끈적임/전체적 총평/사용후 (A와 B 비교)/구매할 경우 선호하는 샘플"에 대해 평가하였다. 점수는 1~5점 사이로 매겼다.
평균 의견을 토대로 테스트 진행자가 결과를 작성하였다.
샘플 A : 자극이 없으며, 수분감을 샘플 B보다 높음
끈적임이 덜 해 사용하기 편함
부드럽고 밀착감 있게 발림이 좋고 건조함에 도움을 줌
유분 적당히 유지됨
점도 부분에 아쉬움이 있음
샘플 B : 자극이 없으며, 끈적임이 없이 부드러움
도포 후 발림성, 흡수되는 시간, 유분감, 보습 유지 기간이 샘플 A에 비해 부족함
상온 유화 공정을 응용한 샘플 A는 기존 로션 처방 샘플 B에 비해 높은 평가를 얻었다.
아래의 표 8과 표 9는 품평지의 일부이다.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안정성 테스트>
가. 장기보존시험
(1) 시험목적
과제 '상온 유화공정을 이용한 로션'의 결과 제품인 아토파낙스(가칭)의 신제형 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해 장기보존 테스트를 실시한다.
적절한 조건에서 보관할 때, 기능성과 심미성, 물리·화학적 품질 기준에 적합함을 확인한다.
이에 따라 사용기한 및 유통기한을 설정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2) 시험대상품
아토파낙스 시험 샘플 5EA
시험번호 : A190318-D1, A190321-D1, A190321-S1, A190322-S1, A190326-N3
(3) 시험장비
Incubator (C-INA, 창신과학)
온도계
습도계
(4) 시험방법 및 절차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발행한 화장품 안정성 시험 가이드라인에 의거, 제형에 따른 적절한 기준 및 시험방법과 시험조건에서 시험한다.
로트의 선정 : 가이드라인에서는 3로트 이상에 대하여 시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이번 실험에서 사용된 샘플은 5로트로 적합하다.
5로트 : A190318-D1, A190321-D1, A190321-S1, A190322-S1, A190326-N3
보관 조건 : 상온(온도:25±2℃/상대습도:60±5%)
시험 기간 : 가이드라인에서는 6개월 이상 시험하는 것이 원칙이며, 이번 실험에서는 2019.03.26 ~ 2019.09.26까지 시험하는 것으로 한다.
측정 시기 : 시험개시(2019.03.26), 3개월 후(2019.06.26), 최종(2019.09.26.)
시험 항목 : 성상, 색상, 향취, 사용감, 점도, 질량변화, 분리도, 유화상태, pH
(5) 시험결과
(가) 시험개시 (2019.03.26.)
A190318-D1 A190321-D1 A190321-S1 A190322-S1 A190326-N3
성상 로션상 로션상 로션상 로션상 로션상
색상 연분홍색 연분홍색 연분홍색 연분홍색 연분홍색
향취 변취없음 변취없음 변취없음 변취없음 변취없음
사용감 밀착감과 발림성이 적당하며, 보습감과 유분감이 우수하다. 끈적이지 않는다. 밀착감과 발림성이 적당하며, 보습감과 유분감이 우수하다. 끈적이지 않는다. 밀착감과 발림성이 적당하며, 보습감과 유분감이 우수하다. 끈적이지 않는다. 밀착감과 발림성이 적당하며, 보습감과 유분감이 우수하다. 끈적이지 않는다. 밀착감과 발림성이 적당하며, 보습감과 유분감이 우수하다. 끈적이지 않는다.
점도 96.4KU 96.5KU 99.7KU 93.0KU 98.8KU
질량변화 101.17g 101.24g 85.15g 99.33g 101.69g
분리도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유화상태 우수함 우수함 우수함 우수함 우수함
pH 6.65 6.74 6.52 6.80 6.66
(나) 3개월 후 (2019.06.26.)
A190318-D1 A190321-D1 A190321-S1 A190322-S1 A190326-N3
성상 로션상 로션상 로션상 로션상 로션상
색상 연분홍색 연분홍색 연분홍색 연분홍색 연분홍색
향취 변취없음 변취없음 변취없음 변취없음 변취없음
사용감 밀착감과 발림성이 적당하며, 보습감과 유분감이 우수하다. 끈적이지 않는다. 밀착감과 발림성이 적당하며, 보습감과 유분감이 우수하다. 끈적이지 않는다. 밀착감과 발림성이 적당하며, 보습감과 유분감이 우수하다. 끈적이지 않는다. 밀착감과 발림성이 적당하며, 보습감과 유분감이 우수하다. 끈적이지 않는다. 밀착감과 발림성이 적당하며, 보습감과 유분감이 우수하다. 끈적이지 않는다.
점도 102.8KU 102.2KU 106.6KU 101.5KU 103.0KU
질량변화 100.85g 101.02g 85.28g 99.52g 101.75g
분리도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유화상태 우수함 우수함 우수함 우수함 우수함
pH 6.38 6.51 6.40 6.39 6.19
(다) 6개월 후 (2019.09.26.)
A190318-D1 A190321-D1 A190321-S1 A190322-S1 A190326-N3
성상 로션상 로션상 로션상 로션상 로션상
색상 연분홍색 연분홍색 연분홍색 연분홍색 연분홍색
향취 변취없음 변취없음 변취없음 변취없음 변취없음
사용감 성상의변화 없으며, 적당한 보습감과 유분감이 피부와의 밀참감을 유지하며, 끈적임이 없다. 성상의변화 없으며, 적당한 보습감과 유분감이 피부와의 밀참감을 유지하며, 끈적임이 없다. 성상의변화 없으며, 적당한 보습감과 유분감이 피부와의 밀참감을 유지하며, 끈적임이 없다. 성상의변화 없으며, 적당한 보습감과 유분감이 피부와의 밀참감을 유지하며, 끈적임이 없다. 성상의변화 없으며, 적당한 보습감과 유분감이 피부와의 밀참감을 유지하며, 끈적임이 없다.
점도 97.1KU 98.1KU 97.8KU 96.5KU 100.5KU
질량변화 100.29g 100.52g 84.88g 99.18g 101.26g
분리도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유화상태 우수함 우수함 우수함 우수함 우수함
pH 5.82 5.72 5.75 5.96 5.70
(6) 결론
'상온 유화공정을 이용한 로션'의 결과 제품인 아토파낙스(가칭)의 신제형 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해 장기보존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본 테스트는 6개월 동안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발행한 화장품 안정성 시험 가이드라인에 의거, 적절한 기준 및 시험방법과 시험조건에서 진행되었다.
상온에서 보관하여 진행하도록 하였으며, 시험 시 성상, 색상, 향취, 사용감, 점도, 질량변화, 분리도, 유화상태, pH 시험을 진행하며 평가하였다.
안정성 실험 결과, 샘플 5로트 (A190318-D1, A190321-D1, A190321-S1, A190322-S1, A190325-N1) 모두 성상의 변화 없이 유화상태를 유지하며 향취 및 분리도 또한 우수하게 유지 되었으며, 보관 기간의 변화에 따른 질량의 변화와, pH, 점도의 경우 약간의 변동이 있지만 적정 기준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사용감의 경우 적절한 수분과 유분감이 있으며 피부와 밀참감이 좋으며, 끈적임 없는 사용감이 있다. 본 안정성 테스트 시험결과 품질 기준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나. 가속시험
(1) 시험목적
과제 '상온 유화공정을 이용한 로션'의 결과 제품인 아토파낙스(가칭)의 신제형 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해 가속 테스트를 실시한다.
단기간의 가속조건에서 보관할 때, 기능성과 심미성, 물리·화학적 품질 기준에 적합함을 확인한다.
이에 따라 사용기한 및 유통기한을 설정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2) 시험대상품
아토파낙스 시험 샘플 5EA
시험번호 : A190318-D1, A190321-D1, A190321-S1, A190322-S1, A190326-N3
(3) 시험장비
Incubator (C-INA, 창신과학)
온도계
습도계
(4) 시험방법 및 절차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발행한 화장품 안정성 시험 가이드라인에 의거, 제형에 따른 적절한 기준 및 시험방법과 시험조건에서 시험한다.
로트의 선정 : 가이드라인에서는 3로트 이상에 대하여 시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이번 실험에서 사용된 샘플은 5로트로 적합하다.
5로트 : A190318-D1, A190321-D1, A190321-S1, A190322-S1, A190326-N3
보관 조건 : 고온(온도:40±2℃/상대습도:75±5%)
시험 기간 : 가이드라인에서는 6개월 이상 시험하는 것이 원칙이며, 이번 실험에서는 2019.03.26 ~ 2019.09.26까지 시험하는 것으로 한다.
측정 시기 : 시험개시(2019.03.26), 3개월 후(2019.06.26), 최종(2019.09.26.)
시험 항목 : 성상, 색상, 향취, 사용감, 점도, 질량변화, 분리도, 유화상태, pH
(5) 시험결과
(가) 시험개시 (2019.03.26.)
A190318-D1 A190321-D1 A190321-S1 A190322-S1 A190326-N3
성상 로션상 로션상 로션상 로션상 로션상
색상 연분홍색 연분홍색 연분홍색 연분홍색 연분홍색
향취 변취없음 변취없음 변취없음 변취없음 변취없음
사용감 밀착감과 발림성이 적당하며, 보습감과 유분감이 우수하다. 끈적이지 않는다. 밀착감과 발림성이 적당하며, 보습감과 유분감이 우수하다. 끈적이지 않는다. 밀착감과 발림성이 적당하며, 보습감과 유분감이 우수하다. 끈적이지 않는다. 밀착감과 발림성이 적당하며, 보습감과 유분감이 우수하다. 끈적이지 않는다. 밀착감과 발림성이 적당하며, 보습감과 유분감이 우수하다. 끈적이지 않는다.
점도 96.4KU 96.5KU 99.7KU 93.0KU 98.8KU
질량변화 101.17g 101.24g 85.15g 99.33g 101.69g
분리도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유화상태 우수함 우수함 우수함 우수함 우수함
pH 6.65 6.74 6.52 6.80 6.66
(나) 3개월 후 (2019.06.26.)
A190318-D1 A190321-D1 A190321-S1 A190322-S1 A190326-N3
성상 묽은로션상 묽은로션상 묽은로션상 묽은로션상 묽은로션상
색상 살구색 살구색 살구색 살구색 살구색
향취 변취없음 변취없음 변취없음 변취없음 변취없음
사용감 밀착감과 발림성이 적당하며, 보습감과 유분감이 우수하다. 끈적이지 않는다. 밀착감과 발림성이 적당하며, 보습감과 유분감이 우수하다. 끈적이지 않는다. 밀착감과 발림성이 적당하며, 보습감과 유분감이 우수하다. 끈적이지 않는다. 밀착감과 발림성이 적당하며, 보습감과 유분감이 우수하다. 끈적이지 않는다. 밀착감과 발림성이 적당하며, 보습감과 유분감이 우수하다. 끈적이지 않는다.
점도 70.7KU 70.3KU 70.7KU 71.0KU 75.2KU
질량변화 96.74g 94.42g 93.93g 91.53g 98.49g
분리도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유화상태 우수함 우수함 우수함 우수함 우수함
pH 5.49 5.40 5.29 5.33 5.28
(다) 6개월 후 (2019.09.26.)
A190318-D1 A190321-D1 A190321-S1 A190322-S1 A190326-N3
성상 묽은로션상 묽은로션상 묽은로션상 묽은로션상 묽은로션상
색상 살구색 살구색 살구색 살구색 살구색
향취 변취없음 변취없음 변취없음 변취없음 변취없음
사용감 성상의 변화없이 적당한 유분감과 보슴감이 피부와 밀착감이 좋으며, 끈적임이 없다. 성상의 변화없이 적당한 유분감과 보슴감이 피부와 밀착감이 좋으며, 끈적임이 없다. 성상의 변화없이 적당한 유분감과 보슴감이 피부와 밀착감이 좋으며, 끈적임이 없다. 성상의 변화없이 적당한 유분감과 보슴감이 피부와 밀착감이 좋으며, 끈적임이 없다. 성상의 변화없이 적당한 유분감과 보슴감이 피부와 밀착감이 좋으며, 끈적임이 없다.
점도 69.9KU 70.1KU 70.3KU 70.5KU 72.8KU
질량변화 94.27g 92.68g 90.24g 81.75g 95.94
분리도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유화상태 우수함 우수함 우수함 우수함 우수함
pH 4.96 4.95 4.88 5.10 4.90
(6) 결론
'상온 유화공정을 이용한 로션'의 결과 제품인 아토파낙스(가칭)의 신제형 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해 가속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본 테스트는 6개월 동안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발행한 화장품 안정성 시험 가이드라인에 의거, 적합한 기준 및 시험방법과 시험조건에서 진행되었다.
단기간의 가속조건에서 보관하여 진행하도록 하였으며, 시험 시 성상, 색상, 향취, 사용감, 점도, 질량변화, 분리도, 유화상태, pH 시험을 진행하며 평가하였다.
안정성 실험 결과, 샘플 5로트 (A190318-D1, A190321-D1, A190321-S1, A190322-S1, A190325-N1) 모두 온도에 따라 점도가 오르긴 했으나, 전반적인 성상의 변화 없이 유화상태를 유지하며 향취 및 분리도 또한 우수하게 유지되었으며, 보관 기간의 변화에 따른 질량의 변화와, pH, 점도의 경우 약간의 변동이 있지만 적정 품질기준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사용감의 경우 적절한 수분과 유분감이 있으며 피부와 밀착감이 좋으며, 끈적임 없는 상태가 유지되었다. 본 안정성 테스트 시험결과 품질 기준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인체첩포시험>
가. 안전성 시험
(1) 개요
피부 첩포에 의한 일차 자극 시험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화장품 가이드라인, 헬싱키 선언, (주)OATC 피부임상시험센터 표준작업지침서(SOP)에 따른 시험
시험일자 : 2019.03.27. ~ 2019.03.29.
보고일자 : 2019.04.10.
시험관리번호 : OATC-190327-SVP-KR0001
(2) 시험제품
아토 파낙스 로션 (190327-K-116)
제형 : 분홍색 크림상
시험 종료 후 1개월간 보관, 피험자에게 지급된 평가 제품은 시험 종료 후 수거하여 보관기간 없이 전량 폐기함
(3) 시험 대상자
선정 기준에 부합하고, 제외 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만 20~60세 성인남녀
시험 참여 피험자 : 32명 (중도탈락 없음)
이상반응의 발생, 심각성, 특이성의 변화 없음
(4) 기관윤리위원회 (IRB) 심의
인체적용시험 규정 : 헬싱키 선언 및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입각하여 윤리적으로 진행되도록 함
IRB 심의 : 2019.03.20. 최초 승인되어 시험을 진행하였고, 특별한 변경 사항 없이 시험 종료 후 IRB에 본 인체적용시험 종료를 보고하였음
(5) 시험 방법
시험 장소 : 피부임상시험센터의 항온항습공간 (실내온도 20~25℃, 습도 40~60%)
첩포 부위 : 피험자의 척추를 제외한 등의 평평한 부위로 착색이나 피부손상이 없는 부위
시험 방법 : 피험자 등을 70% 에탄올로 닦아낸 뒤 건조시키고, 시험제품은 IQ Chamber에 20ml 로딩하여 피부에 고정한 후 24시간 동안 부착한다.
자극유무 판정 : 판정 기준에 따라 피부과 전문의에 의해 첩포 제거 30분, 34시간 후에 평가하였다. Frosch&Kligman, CTFA guideline에 근거하여 피부 반응도를 판독하고, Draize 방법을 응용하여 생성된 피부자극지수표를 참조하여 시험 물질의 피부자극 정도를 구분하였다.
기호 Grade 판정 기준
+ 1 Slight erythema, either spotty or diffuse
++ 2 Moderate uniform erythema
+++ 3 Intense erythema with edema
++++ 4 Intense erythema with edema&vesicles
Figure pat00009
피부 자극 지수 자극성 평가
0.00 ~ 0.25 비(무)자극성
0.26 ~ 1.00 약한 자극성
1.01 ~ 2.50 중증도 자극성
2.51 ~ 4.00 강한 자극성
(6) 시험 결과
피부 첩포에 대한 판정 결과 : 시험제품 '아토 파낙스 로션'을 24시간 첩포하고 첩포 제거 30분, 24시간 후에 피부과 전문의 육안평가 결과, 무자극으로 판정되었다.
Figure pat00010
이상반응 평가 : 피부과 전문의에 의한 이학적 검사 결과, 시험기간 동안 특별한 피부 이상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6) 결론
본 인체적용시험은 만 20~60세 성인 남녀 32명을 대상으로 '아토 파낙스 로션'의 피부 첩포에 의한 일차 자극 시험을 진행하였다. 시험제품을 24시간 첩포하고 첩포 제거 30분, 24시간 후의 평가 결과, 무자극으로 판정되었다.
<인체적용시험>
본 발명의 상온 유화 공정 및 달맞이꽃/자초 추출물, 달맞이꽃/자초 오일을 혼합하여 형성된 로션을 이용하여, 아토피 피부에 대한 보습효과 및 안전성 평가를 대전대학교 둔산한방병원 임상시험센터에서 진행하였다.
만 12세 이상 45세 이하의 성인 남녀 가운데 Hanifin-Rajka criteria로 아토피로 진단받고, EASI SCORE 6점 미만의 아토피 경증을 호소하는 피험자를 대상으로 4주간의 아토 파낙스 로션의 환부 도포 후 피부수분함유량의 변화량과 안전성을 평가하여 도포 전후 보습 효과를 입증함으로써 아토 파낙스 로션의 아토피 피부에 대한 보습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분석 대상은 20명이며, 시험대상자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12세 이상 45세 이하의 남녀
2. Hanifin & Rajka 진단 기준에 따라 아토피 피부염으로 진단되는 자
3. 아토피 피부염의 중등도 평가법: EASI score 6점 미만의 경도로 평가된 환자
4. 시험의 목적, 내용 등에 관하여 충분한 설명을 듣고 자발적으로 시험 동의서에 서명한 지원자(단, 미성년자의 경우 반드시 보호자 1인의 동의서 필요)
시험대상자 선정제외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임신 또는 수유중인 여성과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
2. 피부질환 치료를 위해 스테로이드가 함유된 피부 외형제를 1개월 이상 사용하는 사람
3. 아토피 피부에 대한 보습 인체적용시험에 참가한 뒤 6개월이 경과되지 않은 사람
4. 민감성, 과민성 피부를 가진 사람
5. 시험부위에 점, 여드름, 홍반, 모세관혈관 확장 등 피부 이상 소견이 있는 사람
6. 연구 시작 전 6개월 내에 시험부위에 시술을 받은 사람
7. 연구 시작 전 3개월 내에 시험부위에 보습 또는 유사한 효능 화장품 및 의약품 등을 사용한 사람
8. 만성 소모성 질환(갑상선 기능 항진증 및 저하증, 천식, 당뇨, 고혈압 등)이 있는 사람
9. 간기능 및 신기능 장애가 있는 환자(스크리닝 시 ALT, AST, ALP ≥ 정상 상한치의 2배 또는 creatinine > 2.0 mg/dL)
10. 화장품 또는 의약품에 자극이나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
11. 그 외 시험책임자의 판단으로 시험에 부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사람
시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아토피 피부염으로 진단받은 피험자 중 EASI Score 6미만의 경증을 대상으로 시험크림과 대조크림을 동일한 비율로 무작위 배정하여 1일 2회(아침, 저녁) 시험부위(아토피가 있는 부위 중 주와부와 목덜미를 포함한 원하는 부위)에 도포하도록 한다.
도포 개시 전과 도포 2주, 4주 후 피부표면수분함유량(corneometer) 측정을 이용한 보습 정도의 평가, 안전성 평가를 통해 안전성을 평가한다. 기타 관찰항목으로는 EASI score, skindex-29 한국어판을 이용한 삶의 질 개선 효과를 평가한다.
측정 부위는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부위 중 전주와와 목덜미 1군데에서 실시하고 전주와에서 측정이 용이하지 않을 경우 슬와 부위, 혹은 이외의 부위에서도 측정이 가능하다. 시험부위를 미온수로 세정한 다음 30분간 항온 항습실(온도 : 22°±1℃, 습도 : 45±5%)에서 안정을 취하게 한 후 피부 보습 상태를 측정한다.
무작위 배정은 SAS  Analytics Pro(SAS Institute, Inc., Cary, North Carolina, USA)을 이용하고 할당비율은 1:1로 하여 각 군에 탈락율을 고려한 대상자 수 50명을 배정하였다.
분석결과
본 시험에서는 연구자에 의해 아토피 피부염으로 진단받은 만 12세 이상 45세 이하의 남녀를 대상으로 아토피 피부의 보습에 대한 시험제품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1) 선정된 시험대상자들은 아토피 피부염 외의 특별한 피부 증상은 없었으며, 시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질환 및 약물 복용력은 없었다.
2) 피부표면수분 함유량을 확인한 결과 시험제품 사용군은 20명의 중간결과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3) 안전성 평가를 위해 임상검사 및 피부과 전문의의 이학적 검사를 병행한 결과 특별한 이상반응 보고가 없었다.
중간 분석 결과 피부표면수분 함유량의 경우 4주간의 제품사용으로 사용전과 비교하여 유의성 있게 개선됨을 알 수 있었으며, 시험제품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은 특별히 보고되지 않았다. 본 시험 제품의 중간 분석결과 피부장벽의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경증의 아토피 피부염을 가지고 있는 피험자들에게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결과가 추정된다.
<분석대상자 정보>
본 시험에 참여한 시험대상자 분석을 위해 시험군 20명을 분석하였다.
Figure pat00011
제품 사용에 대한 순응도는 시험기간 동안 사용해야 할 횟수에 대한 사용한 횟수의 백분율로 구하였다. 시험을 종료한 20명의 전체 순응도는 평균 95.86%로, 최대 순응도는 100.00%, 최저 90.65% 순응도였다.
[피부 표면 수분 함유량(corneometer) 측정 결과]
* 통계분석 방법 : 1) 범주형 자료(이상반응)는 윌콕슨부호순위검정(Wilcoxon signed-rank test), 연속형자료(수분함유량, 수분손실량)는 대응 t-검정(paired t-test)를 사용하였다.
2) 유효성 평가는 ITT(Intent-To-Treat) 분석 및 PP(Per protocol) 분석하여 시행하였다.
피부표면 수분 함유량을 확인한 결과, 사용전과 비교하여 사용 4주의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Figure pat00012
[안전성 평가 결과]
시험제품 사용 부위에 대한 부작용, 활력징후, 임상병리검사 결과를 기록하여 안전성 평가를 하였다. 인체적용시험제품을 1회 이상 도포한 모든 시험대상자를 인전성 평가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시험제품과 연관성이 있는 이상반응과 연관성이 없는 이상반응의 빈도를 기록하였다. 이상반응 정도에 대한 평가는 시험담당자가 평가기준을 참조하여 증상의 경중에 따라 단계별로 평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시험제품과의 인과관계는 시험담당자가 평가기준에 따라 6단계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중대한 이상 반응이나 임상수치 이상을 나타나지 않았다.
[중간분석 대상 방문별 평가변수 값]
(경피 수분 손실량(TEWL, g/㎡/h), 피부수분함유량(Corneometer, AU)
Figure pat00013
본 발명의 상온 유화 공정을 이용한 로션은 정제수 15~85 중량%, 달맞이꽃추출물 0.01~50 중량%, 자초추출물 0.01~50 중량%, 달맞이꽃오일 0.01~40 중량%, 자초오일 0.01~40 중량%, Emul01 0.01~15 중량%, Emul02 0.01~18 중량%, Tck03 0.01~15 중량%, Allantoin 0.01~5 중량%, Glycerin 0.01~10 중량%, Butylene Glycol 0.01~10 중량%, Beta-Glucan 0.01~10 중량%, Glyceryl Glucoside 0.01~10 중량%, 4-t-Butylcyclohexanol 0.01~10 중량%, Aphanothece Sacrum Exopolysaccharides 0.001~5 중량%를 혼합하여 형성된다.
상기 Tck03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이다. 본 발명의 주요 성분인 점증제이다.
상기 Emul01과 상기 Emul02는 본 발명의 주요 성분인 유화제이다.
상기 1,3-B.G는 부틸렌글라이콜이다.
본 발명의 로션은 고온 유화가 아니라 상온 유화를 이용하여 아토피 치료에 유용한 성분의 파괴가 일어나지 않고 아토피를 효율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개선제로서 가치가 있다.
본 발명에서 점증제로는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를 채택하고, 유화제로는 폴리글리세릴-4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리시놀리에이트를 채택하여, 상온 유화공정에 의한 로션을 제공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일반적인 점증제와 유화제는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상온 유화공정을 통해 화장품을 만들려면 점증제가 상온에서도 잘 풀리고, 유화제 역시 액상이어야 하며, 최종 유화 상태가 열역학적으로 안정적이어야 한다.
그런데, 본 발명의 경우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를 채택하고, 유화제로는 폴리글리세릴-4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리시놀리에이트를 채택함으로써 상온 유화공정을 통해서 로션을 제공하며,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증제가 상온에서도 잘 풀리고, 유화제 역시 액상이어야 하며, 최종 유화 상태가 열역학적으로 안정적인 조건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로션의 주요 성분은 점증제인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유화제인 폴리글리세릴-4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리시놀리에이트, 달맞이꽃 추출물, 달맞이꽃 오일, 자초(지치뿌리)추출물, 자초 오일이다. 본 발명에서는 다량의 추출 원료를 유화 공정 이전에 첨가하여, 고온에 파괴받지 않고 상온 유화 공정을 거쳐 유효 성분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초과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Claims (12)

  1. 상온 유화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로션으로서,
    유화제와 점증제를 혼합하여 형성된 상온 유화 공정을 이용한 로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4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리시놀리에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점증제는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 유화 공정을 이용한 로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를 0.2 ~ 30 중량%로 포함하며, 상기 점증제를 0.0001 ~ 1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 유화 공정을 이용한 로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4카프레이트 0.01~15 중량%, 폴리글리세릴-3리시놀리에이트 0.01~15 중량%로 구성되며, 상기 점증제는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0.01~15 중량%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 유화 공정을 이용한 로션.
  5. 제1항에 있어서,
    상온 유화 공정의 유화 온도가 20 ~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 유화 공정을 이용한 로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수와, 상기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와, 상기 폴리글리세릴-4카프레이트와, 상기 폴리글리세릴-3리시놀리에이트에 더하여서 달맞이꽃 추출물과 자초 추출물과 달맞이꽃 오일 및 자초 오일;을 더 혼합하여 형성된 상온 유화 공정을 이용한 로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수 3∼75 중량%,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코폴리머 0.01∼15 중량%, 자초추출물 0.01~35 중량%, 달맞이꽃추출물 0.01∼50 중량%, 달맞이꽃오일 0.01∼40 중량%, 자초오일 0.01∼40 중량%, 폴리글리세릴-4카프레이트 0.01∼15 중량%, 폴리글리세릴-3리시놀리에이트 0.01∼18 중량%를 혼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 유화 공정을 이용한 로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수, 상기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폴리글리세릴-4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리시놀리에이트, 달맞이꽃 추출물, 달맞이꽃 오일, 자초 추출물, 자초 오일에 더하여서 Allantoin, Glycerin, Butylene Glycol, Beta-Glucan, Glyceryl Glucoside, 4-t-Butylcyclohexanol, Aphanothece Sacrum Exopolysaccharides, 1,2-Hexanediol를 더 혼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 유화 공정을 이용한 로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llantoin 0.01~5 중량%, Glycerin 0.01~10 중량%, Butylene Glycol 0.01~10 중량%, Beta-Glucan 0.01~10 중량%, Glyceryl Glucoside 0.01~10 중량%, 4-t-Butylcyclohexanol 0.01~10 중량%, Aphanothece Sacrum Exopolysaccharides 0.001~5 중량%;를 혼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 유화 공정을 이용한 로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초오일은, 지치뿌리오일 5~15 중량%, 올리브오일 85~95 중량%를 혼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 유화 공정을 이용한 로션.
  11. 수용성 성분을 정제수에 분산 및 용해시켜 수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유화제에 유용성 성분을 상온에서 용해시켜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수상부를 교반하면서 유상부를 첨가하여 로션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 유화 공정을 이용한 로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 0.1~30 중량%에 상기 유용성 성분을 상온에서 용해시켜 유상부를 제조하며, 상기 수상부를 교반하면서 20 ~ 40℃에서 유상부를 첨가하여 로션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 유화 공정을 이용한 로션 제조방법.
KR1020190163902A 2019-12-10 2019-12-10 상온 유화 공정을 이용한 아토피 개선 로션 KR102368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902A KR102368646B1 (ko) 2019-12-10 2019-12-10 상온 유화 공정을 이용한 아토피 개선 로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902A KR102368646B1 (ko) 2019-12-10 2019-12-10 상온 유화 공정을 이용한 아토피 개선 로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265A true KR20210073265A (ko) 2021-06-18
KR102368646B1 KR102368646B1 (ko) 2022-02-25

Family

ID=76623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3902A KR102368646B1 (ko) 2019-12-10 2019-12-10 상온 유화 공정을 이용한 아토피 개선 로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6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27490A (zh) * 2021-09-02 2021-12-24 星智豫美(上海)生物科技有限公司 具有液晶结构的低粘度乳液及其生产方法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9693A (ja) * 2002-12-13 2004-07-08 Kao Corp 水中油型乳化化粧料
KR20110011241A (ko) 2009-07-28 2011-02-08 박원차량 천연 아토피 연고
KR20110104624A (ko) * 2010-03-17 2011-09-23 (주)미네랄바이오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70192A (ko) * 2010-12-21 2012-06-29 (주)아모레퍼시픽 제형 안정성 및 피부 안전성이 우수한 저점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20130018579A (ko) * 2011-08-02 2013-02-25 듀얼라이프 주식회사 비파 및 달맞이꽃 종자를 이용한 아토피 치료 조성물
KR20130044667A (ko) * 2011-10-24 2013-05-03 한국콜마주식회사 파우더 화장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00701B1 (ko) * 2010-11-17 2013-08-26 주식회사 에이치플랜 아토피 피부용 화장품 제조방법
KR101705482B1 (ko) 2016-04-05 2017-02-09 주식회사 씨엘바이오 세리포리아 락세라타가 포함된 아토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
KR101774788B1 (ko) 2017-02-13 2017-09-05 주식회사 뉴본스킨 아토피 및 기저귀 발진과 침독 등 피부트러블 개선 효과가 있는 로션 및 크림의 성분
KR20180087034A (ko) * 2017-01-24 2018-08-01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25354A (ko) 2017-05-15 2018-11-23 창조명인 주식회사 천연 복합 버섯 성분이 함유된 아토피 개선 연고 및 로션
KR20180130080A (ko) * 2017-05-26 2018-12-06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87903B1 (ko) * 2016-10-26 2019-06-13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9693A (ja) * 2002-12-13 2004-07-08 Kao Corp 水中油型乳化化粧料
KR20110011241A (ko) 2009-07-28 2011-02-08 박원차량 천연 아토피 연고
KR20110104624A (ko) * 2010-03-17 2011-09-23 (주)미네랄바이오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00701B1 (ko) * 2010-11-17 2013-08-26 주식회사 에이치플랜 아토피 피부용 화장품 제조방법
KR20120070192A (ko) * 2010-12-21 2012-06-29 (주)아모레퍼시픽 제형 안정성 및 피부 안전성이 우수한 저점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20130018579A (ko) * 2011-08-02 2013-02-25 듀얼라이프 주식회사 비파 및 달맞이꽃 종자를 이용한 아토피 치료 조성물
KR20130044667A (ko) * 2011-10-24 2013-05-03 한국콜마주식회사 파우더 화장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05482B1 (ko) 2016-04-05 2017-02-09 주식회사 씨엘바이오 세리포리아 락세라타가 포함된 아토피 개선용 로션 또는 크림
KR101987903B1 (ko) * 2016-10-26 2019-06-13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87034A (ko) * 2017-01-24 2018-08-01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74788B1 (ko) 2017-02-13 2017-09-05 주식회사 뉴본스킨 아토피 및 기저귀 발진과 침독 등 피부트러블 개선 효과가 있는 로션 및 크림의 성분
KR20180125354A (ko) 2017-05-15 2018-11-23 창조명인 주식회사 천연 복합 버섯 성분이 함유된 아토피 개선 연고 및 로션
KR20180130080A (ko) * 2017-05-26 2018-12-06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아토피 & 유아 민감성 피부를 위한 베이비 로션, 네이버 카페(https://cafe.naver.com/happymama79/1651), 2019.01.25.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27490A (zh) * 2021-09-02 2021-12-24 星智豫美(上海)生物科技有限公司 具有液晶结构的低粘度乳液及其生产方法
CN113827490B (zh) * 2021-09-02 2023-08-15 星智豫美(上海)生物科技有限公司 具有液晶结构的低粘度乳液及其生产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8646B1 (ko) 202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44690B1 (en) Topical compositions for treating inflammatory disorders, diseases and conditions
Kulawik-Pióro et al. Polymeric gels and their application in the treatment of psoriasis vulgaris: A review
Ghorbanzadeh et al. Formulation, clinical and histopathological assessment of microemulsion based hydrogel for UV protection of skin
Miastkowska et al. Nanoemulsion gel formulation optimization for burn wounds: Analysis of rheological and sensory properties
KR20190101948A (ko) 수가용화(水加溶化)된 우르소데옥시콜산을 함유하는 염증성 피부질환 또는 중증 소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9125107B (zh) 一种有效改善和修复面部激素依赖性皮炎的多肽组合物
CN107158086B (zh) 具有缓解瘙痒功效的皮肤养护/治疗组合物
KR101500191B1 (ko) 피부 케어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2569152B (zh) 一种控油抗炎的植物组合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eong et al. Comparison of the efficacy of Atopalm® multi-lamellar emulsion cream and Physiogel® intensive cream in improving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in sensitive skin
KR20100060751A (ko) 항염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68646B1 (ko) 상온 유화 공정을 이용한 아토피 개선 로션
TW201412323A (zh) 用於治療慢性發炎皮膚病之局部用組成物
WO2009092040A2 (en) Topical pain formulation
CN110974861B (zh) 一种艾纳香油脂质体
Qureshi et al. Formu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acyclus Pyrethrum Emulgels and its in vitro and in vivo evaluation as cosmeceutical product
CN104958228A (zh) 一种美白祛斑复方制剂及其制备方法
Sugihartini et al.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Syzygium aromaticum essential oil in emulgel
Giacomelli et al. Clinical use of Capilen, a liposomal cream based on fresh plant extracts enriched with omega fatty acids
Saini et al. Anti-psoriatic effects of tetrahydrocurcumin lipidic nanoparticles in IMQ induced psoriatic plaque: A research report
Broniarczyk-Dyła et al. Assessment of the influence of licochalcone on selected functional skin parameters in patients with impaired vasomotor disorders and rosacea
KR102333132B1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2091003A (zh) 用于缓解皮肤刺激的皮肤外用剂
Kamm et al. The Effect of Ferulic Acid and D’Arsonwal’s High Frequency Currents Activity over the Number of Exanthema among Adult Women
CN117120030A (zh) 含有大麻二酚和西兰花种子油的组合物以及制备和使用此类组合物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