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2029A - 공기 온도 조절 모듈 및 온도 조절형 보관 유닛 - Google Patents

공기 온도 조절 모듈 및 온도 조절형 보관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2029A
KR20210072029A KR1020217013137A KR20217013137A KR20210072029A KR 20210072029 A KR20210072029 A KR 20210072029A KR 1020217013137 A KR1020217013137 A KR 1020217013137A KR 20217013137 A KR20217013137 A KR 20217013137A KR 20210072029 A KR20210072029 A KR 20210072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control
air
air temperature
effective
exhaus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3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2897B1 (ko
Inventor
알렉산더 힘멜라이히
비탈리 힘멜라이히
단 보테쯔
Original Assignee
젠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젠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젠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072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2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with refrigerating or warm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78Air-conditioning devices using the Peltier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42Modula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28Ventilators, e.g. speed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5/00Devices not covered by group F25D11/00 or F25D13/00, e.g. non-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5Removal of heat
    • F25B2321/0251Removal of heat by a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Control Of Tempera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100)를 위한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에 관한 것이며, 상기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은,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16),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18) 및 적어도 하나의 열전 장치(50)를 포함하는 공기 온도 조절 유닛(14)이며, 적어도 하나의 열전 장치(50)는 유효공기 측과 배출공기 측을 포함하고 유효공기 측은 열 전달 방식으로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16)과 연결되며 배출공기 측은 열 전달 방식으로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18)과 연결되는 것인, 상기 공기 온도 조절 유닛(14); 유효공기 유입구(22)에서부터 유효공기 유출구(24)까지 연장되어 유효공기 유출구(24)와 유체 안내 방식으로 공기 온도 조절 유닛(14)의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16)을 연결하는 유효공기 유동용 유효공기 경로(20); 및 배출공기 유입구(32)에서부터 배출공기 유출구(34)까지 연장되어 배출공기 유출구(34)와 유체 안내 방식으로 공기 온도 조절 유닛(14)의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18)을 연결하는 배출공기 유동용 배출공기 경로(28);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 온도 조절 모듈 및 온도 조절형 보관 유닛
본 발명은 특히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를 위한 공기 온도 조절 모듈에 관한 것이며, 상기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은,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useful-air temperature-controlling region),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exhaust-air temperature-controlling region) 및 적어도 하나의 열전 장치(thermoelectric device)를 포함하는 공기 온도 조절 유닛이며, 적어도 하나의 열전 장치는 유효공기 측(useful air side)과 배출공기 측(exhaust air side)을 포함하고 유효공기 측은 열 전달 방식으로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과 연결되며 배출공기 측은 열 전달 방식으로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과 연결되는 것인, 상기 공기 온도 조절 유닛; 유효공기 유입구(useful-air inlet)에서부터 유효공기 유출구(useful-air outlet)까지 연장되어 유효공기 유출구와 유체 안내 방식으로 공기 온도 조절 유닛의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을 연결하는 유효공기 유동(useful-air flow)용 유효공기 경로; 및 배출공기 유입구(exhaust-air inlet)에서부터 배출공기 유출구(exhaust-air outlet)까지 연장되어 배출공기 유출구와 유체 안내 방식으로 공기 온도 조절 유닛의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을 연결하는 배출공기 유동용 배출공기 경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차량을 위한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는 공기를 온도 조절하기 위한 공기 온도 조절 모듈과; 수납 영역 내에 하나 또는 복수의 온도 조절할 객체를 수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온도 조절 용기를; 포함하며,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의 유효공기 경로는 온도 조절 용기의 수납 영역과 유체 안내 방식으로 온도 조절 유닛의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을 연결하고,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의 배출공기 경로는 보관 장치의 주변과 유체 안내 방식으로 공기 온도 조절 유닛의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을 연결한다.
예컨대 온도 조절형 음료 홀더처럼 공지된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들은 온도 조절 작용의 달성을 위해 열전 장치들 또는 초소형 컴프레서(smallest compressor)들을 사용한다. 이 경우, 공지된 시스템들은 규칙적으로 온도 조절 표면을 포함하며, 이 온도 조절 표면은, 효과적인 열 교환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온도 조절할 객체, 다시 말해 예컨대 음료 용기와 접촉된다. 상이한 음료 용기들의 크기들 및 형태들은 부분적으로 현저하게 서로 다르기 때문에, 온도 조절 표면들은 항상 그 온도 조절 작용이 온도 조절할 음료 용기와 온도 조절 표면 간의 실제 접촉면에 따라 결정되는 것인 타협적 해결안을 나타낸다.
보통은, 온도 조절 가능한 바닥 표면들을 포함한 온도 조절 장치들이 사용되는데, 이런 온도 조절 장치들의 경우 온도 조절 작용은 우선 음료 용기의 바닥 영역에서 시작된다. 이런 불균일한 온도 조절은 비교적 적은 온도 조절 효율을 야기하고 비교적 긴 온도 조절 시간을 야기한다.
복수의 객체를 온도 조절하기 위한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들의 경우, 온도 조절 작용은 공지된 해결책들의 경우 규칙적으로 객체 위치에 따라 결정되며, 그런 까닭에 예컨대 제1 열에 있는 객체들이 제2 열에 있는 객체들보다 더 빠르게 온도 조절된다.
그 밖에도, 공지된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들의 경우, 규칙적으로 높은 중량 및 높은 제조 비용을 야기하는 알루미늄 하우징이 사용된다. 또한, 공지된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들은 규칙적으로 복잡한 전자 제어부를 포함하며, 그로 인해 한편으로 개발 비용이 증가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조 비용이 증가된다.
또한, 차량 분야에서는, 객체들의 온도 조절이 차량 내부의 공기 조화 시스템이 이용되면서 수행되는 것인 해결책들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응하는 시스템들은 제한되는 온도 조절 출력을 보유하며, 그런 까닭에 온도 조절 시간은 길어지게 된다. 또한, 차량 내부의 공기 가이드 내 상응하는 시스템들의 통합은 현저한 비용과 결부된다. 또한, 이런 경우에 객체들의 온도 조절은 공기 조화 시스템의 작동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객체들의 온도 조절을 개선하고 그에 따라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단점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극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도입부에 언급한 유형의 공기 온도 조절 모듈에 있어서, 공기 온도 조절 유닛의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 내 유효공기 경로와 공기 온도 조절 유닛의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 내 배출공기 경로가 상호 간에 각을 이루면서 연장되는 것인, 상기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을 통해 해결된다. 본 발명은, 배출공기 유동으로부터 유효공기 유동의 분리를 통해 온도 조절 출력의 저하가 방지된다는 지식을 사용한다. 공기 온도 조절 유닛의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 내 유효공기 경로와 공기 온도 조절 유닛의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 내 배출공기 경로는 상호 간에 각을 이루면서 연장되는 것을 통해, 공기 온도 조절 유닛으로 향하는 전이 영역 내에서 배출공기 경로에 대한 유효공기 경로의 밀폐가 간소화되며, 그럼으로써 공기 온도 조절 유닛으로 향하는 전이 영역 내에서도 유효공기 유동과 배출공기 유동 간의 열 교환은 실질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출공기 유동을 통한 유효공기 유동의 의도되지 않는 온도 변화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온도 조절 모듈과 온도 조절 용기(예: 통합된 냉각 박스, 또는 보관 컴파트먼트 또는 글러브박스)는 서로 분리되어 있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이렇게, 온도 조절 모듈과 온도 조절 용기는 서로 이격되어 장착될 수 있거나, 또는 별도로 분해되어 교환될 수 있다. 또한, 이미 존재하는 온도 조절 용기(예: 통상적인 글러브박스)가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조절 모듈에 의해 개장되거나, 또는 그와 연결될 수 있다. 보관 컴파트먼트의 냉각부가 표준 장비에 속하지 않는다면, 요컨대 전도성으로 작동하는 시스템을 위해 종래 기술에 따라서 통상적인 플라스틱 하우징은 알루미늄으로 구성된 하우징으로 대체되어야 할 수도 있다. 이처럼 2개의 상이한 시스템 및 그 공구들을 위한 추가 비용은 본 발명에 따라 분리된 시스템에 의해 생략된다. 왜냐하면, 여기서는, 온도 조절 모듈이 제공되는지 그 여부와 무관하게, 항상 동일한 보관 컴파트먼트가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온도 조절 모듈은 다른 차량 또는 다른 적용 분야들을 위해 사용되거나 재활용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상기 온도 조절 모듈이 보관 컴파트먼트로부터 분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 내 유효공기 경로와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 내 배출공기 경로는 바람직하게는 상호 간에 직각으로, 다시 말해 90도로 오프셋된 방식으로 연장된다. 유효공기 유동 방향은 공기 온도 조절 유닛의 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배출공기 유동 방향에 대해 각을 이루면서, 특히 직각으로, 다시 말해 90°로 오프셋 되어 연장된다. 따라서, 유효공기 유동 방향은, 공기 온도 조절 유닛의 영역에서 배출공기 유동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지 않는다. 유효공기 경로와 배출공기 경로는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유동 평면들에 위치한다. 이로써, 유효공기 유동과 배출공기 유동은 열적으로 서로 분리되거나 절연된다. 적어도 하나의 열전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펠티어 소자(Peltier element)로서, 또는 제벡 소자(Seebeck element)로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은 유효공기를 가열하고, 그리고/또는 냉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배출공기 경로를 경유하여서는 가열되고, 그리고/또는 냉각된 배출공기가 이송될 수 있다.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은 자율 시스템(autonomous system)으로서 다종다양한 적용 분야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온도 조절된 유효공기는 음료 용기, 예컨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 배터리, 특히 차량 배터리, 전자 장치 또는 식료품을 온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지칭한 객체들은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의 온도 조절된 유효공기에 의해 냉각되고, 그리고/또는 가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은 실제 객체 온도의 유지 역시도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의 안쪽에, 그리고/또는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의 안쪽에 열 교환 장치들이 배치되며, 이런 열 교환 장치들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열 교환 리브(heat exchange rib)들 및/또는 열 교환 핀(heat exchange fin)들을 포함한다. 유효공기 유동과 배출공기 유동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이격된 평행 평면들 내에 위치된다. 열 교환 장치들은 적어도 하나의 열전 장치와 유효공기 내지 배출공기 간의 열 교환을 촉진한다. 각각의 열 교환 장치들의 열 교환 리브들 및/또는 열 교환 핀들은 각각 유동 방향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의 안쪽에 배치되는 열 교환 장치의 열 교환 리브들 및/또는 열 교환 핀들은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의 안쪽에 배치되는 열 교환 장치의 열 교환 리브들 및/또는 열 교환 핀들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 밖에도,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 안쪽에 배치되는 열 교환 장치의 열 교환 리브들 및/또는 열 교환 핀들이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 안쪽에 배치되는 열 교환 장치의 열 교환 리브들 및/또는 열 교환 핀들에 대해 각을 이루면서, 특히 90도로 오프셋되어 연장되는 것인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온도 조절 모듈도 바람직하다.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 안쪽에 배치되는 열 교환 장치의 열 교환 리브들 및/또는 열 교환 핀들은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 안쪽에 배치되는 열 교환 장치의 열 교환 리브들 및/또는 열 교환 핀들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90도로 회전되어 정렬된다. 열 교환 장치들의 형성을 통해, 유효공기 유동과 배출공기 유동은 서로 교차하며, 그럼으로써 유효공기 유동과 배출공기 유동은 교차 흐름(cross flow)에서 안내되게 된다. 교차 흐름에서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 및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의 유입구들과 유출구들은 상대적으로 더 적합하게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열 교환 장치들은 열전 장치와 접착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열 교환 장치들의 별도의 고정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열 교환 장치들을 위한 뜻밖의 연결 또는 고정 부재들을 통한 열전 장치의 유효공기 측과 배출공기 측 간의 열 브리지(heat bridge)는 접착을 통해 방지된다.
또한,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 안쪽에 배치되는 열 교환 장치의 열 교환 리브들 및/또는 열 교환 핀들과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 안쪽에 배치되는 열 교환 장치의 열 교환 리브들 및/또는 열 교환 핀들은 상이한 프로파일링부(profiling)들을 포함하는 것인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이 선호된다.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 안쪽에 배치되는 열 교환 장치의 열 교환 리브들 및/또는 열 교환 핀들은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 안쪽에 배치되는 열 교환 장치의 열 교환 리브들 및/또는 열 교환 핀들보다 상호 간에 더 밀접하게 배치된다. 그 대안으로,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 안쪽에 배치되는 열 교환 장치의 열 교환 리브들 및/또는 열 교환 핀들은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 안쪽에 배치되는 열 교환 장치의 열 교환 리브들 및/또는 열 교환 핀들보다 상호 간에 더 밀접하게 배치된다.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 안쪽에 배치되는 열 교환 장치의 열 교환 핀들과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 안쪽에 배치되는 열 교환 장치의 열 교환 핀들은 상이한 절첩부(folding)들을 포함한다.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 안쪽에 배치되는 열 교환 장치의 열 교환 핀들은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 안쪽에 배치되는 열 교환 장치의 열 교환 핀들보다 더 밀접하게, 또는 더 확산되어 절첩될 수 있다. 밀접한 절첩부는 최대한 큰 열 교환 표면을 보장하면서 열 교환 장치의 열 교환 특성들을 개선한다. 확산된 절첩부 내지 상대적으로 더 큰 핀(fin) 간 간격은 응결되는 응축액 액적(condensate droplet)으로 인해 각각의 공기 경로의 막힘을 방지한다.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 안쪽에 배치되는 열 교환 장치의 열 교환 핀들 및/또는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 안쪽에 배치된 열 교환 장치의 열 교환 핀들은 서로 인접하는 삼각형들로 절첩될 수 있다.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 안쪽에 배치되는 열 교환 장치의 열 교환 핀들 및/또는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 안쪽에 배치되는 열 교환 장치의 열 교환 핀들은 직사각형 톱니 패턴으로 절첩될 수 있다. 직사각형 톱니 패턴에서 응축액 액적들은 더 적게 포집될 수 있고 결빙(ice formation)은 상대적으로 더 드물게 각각의 공기 경로를 막히게 한다. 응축액 형성에 대응하는 추가 조치로서,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 안쪽에 배치된 열 교환 장치의 표면들 및/또는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 안쪽에 배치된 열 교환 장치의 표면들은 방수성 프로파일부 및/또는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코팅층은 예컨대 마이크로미터 두께의 소수성 나노 코팅층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은,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 안쪽에 배치된 열 교환 장치 및/또는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 안쪽에 배치되는 열 교환 장치가 각각 하나 또는 복수의 돌출 영역을 포함하고, 이들 돌출 영역 안쪽에서 각각의 열 교환 장치가 열전 장치보다 측면으로 더 돌출되는 것을 통해 바람직하게 개량된다.
열 교환 장치들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하나의 기초판(base plate)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판 상에 배치되는 열 교환 리브들 및/또는 열 교환 핀들을 포함한다. 기초판, 열 교환 리브들 및/또는 열 교환 핀들은 열전 장치보다 측면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열전 장치에 상대적인 열 교환 장치들의 돌출 단부가 형성된다. 유효공기 유동과 배출공기 유동 간의 의도하지 않은 열 교환은 보통 두 공기 흐름 상호 간의 불충분한 절연으로 인해, 그리고 특히 열전 장치의 가장자리 영역들에서 기밀성 결함으로 인해 발생한다. 돌출 단부들은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 및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의 유입구들 및 유출구들의 현저하게 더욱 적합한 밀폐를 허용한다. 개선된 밀폐는, 유효공기 경로를 따른 공기 압력과 배출공기 경로를 따른 공기 압력이 서로 구분될 때 특히 중요하다. 이는 실무에서 보통의 경우에 해당하는데, 그 이유는 각각의 이송률들이 서로 구분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 안쪽에 배치되는 열 교환 장치는 유효공기 유동의 유동 방향에서 열전 장치의 상류에 위치하는 돌출 영역 및/또는 유효공기 유동의 유동 방향에서 열전 장치의 하류에 위치하는 돌출 영역을 포함한다. 그 대안으로, 또는 그에 추가로,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 안쪽에 배치되는 열 교환 장치는 배출공기 유동의 유동 방향에서 열전 장치의 상류에 위치하는 돌출 영역 및/또는 배출공기 유동의 유동 방향에서 열전 장치의 하류에 위치하는 돌출 영역을 포함한다. 열 교환 장치들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유동 방향을 따라서 열전 장치보다 더 돌출된다. 상면도에서,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 안쪽에 배치되는 열 교환 장치와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 안쪽에 배치되는 열 교환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십자형 형상(shape)을 형성한다. 따라서, 유효공기 경로와 배출공기 경로는 열전 장치를 넘어 계속하여 상호 간에 이격되어 연장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예컨대 3 ~ 10㎜의 절연 재료 두께를 갖는 외피부(sheathing)가 구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기 온도 조절 유닛의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이 유효공기 유입 채널과, 그리고/또는 유효공기 유출 채널과 연결되어 있되,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과 유효공기 유입 채널 사이에, 그리고/또는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과 유효공기 유출 채널 사이에 각각 하나의 실링이 배치되는 것인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이 선호된다. 그 대안으로, 또는 그에 추가로, 공기 온도 조절 유닛의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은 배출공기 유입 채널과, 그리고/또는 배출공기 유출 채널과 연결되어 있되,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과 배출공기 유입 채널 사이에, 그리고/또는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과 배출공기 유출 채널 사이에 각각 하나의 실링이 배치된다. 하나 또는 복수의 실링은 바람직하게는 실링 스트립(sealing strip)들이다. 실링들은 유효공기 내지 배출공기의 유출 및/또는 과류를 방지한다. 실링들은 바람직하게는 탄성으로 형성된다. 실링들은 바람직하게는 점착성(sticky)이며, 그럼으로써 재료 노화 시에도 취성(brittleness)을 통한 기밀성 결함은 방지되게 된다. 실링들은 바람직하게는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 안쪽에 배치되는 열 교환 장치의 돌출 영역들 상에, 그리고/또는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 안쪽에 배치되는 열 교환 장치의 돌출 영역들 상에 배치된다. 실링들은 부티(Buthy) 스트립들일 수 있다.
또한, 유효공기 경로를 따르는 유효공기 유동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유효공기 팬(useful air fan)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이 바람직하다. 그 대안으로, 또는 그에 추가로, 본원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은 배출공기 경로를 따르는 배출공기 유동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배출공기 팬을 포함한다. 유효공기 경로 및 배출공기 경로 안쪽에서 상이한 팬들의 이용은 한편으로 정확하면서도 요구에 따르는 유효공기의 온도 조절과 다른 한편으로는 배출공기의 효과적인 배출을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의 보다 더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은 다중 부재형 모듈 하우징을 포함하되, 유효공기 경로 및/또는 배출공기 경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모듈 하우징 안쪽의 공기 채널들을 통해 형성된다. 특히 모듈 하우징은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공기 온도 조절 유닛, 유효공기 팬 및/또는 배출공기 팬은 모듈 하우징의 안쪽에 배치된다.
그 밖에도, 모듈 하우징이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포함하되, 공기 온도 조절 유닛, 유효공기 팬 및/또는 배출공기 팬은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이 선호된다. 제1 부재 및/또는 제2 부재는 열적 절연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열적 절연 재료는 예컨대 확장 폴리프로필렌(EPP), 개질 폴리페닐렌에테르(MPPE) 또는 폴리아미드 폼(polyamide foam)을 함유할 수 있다. 공기 온도 조절 유닛, 유효공기 팬 및/또는 배출공기 팬은 바람직하게는 모듈 하우징의 제1 부재 및/또는 제2 부재 내 리세스부들의 안쪽에 배치된다. 공기 온도 조절 유닛, 유효공기 팬 및/또는 배출공기 팬은 바람직하게는 고정 수단 없이 모듈 하우징의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 고정되되, 공기 온도 조절 유닛, 유효공기 팬 및/또는 배출공기 팬은 모듈 하우징 내에 삽입되거나 끼워질 수 있다. 공기 온도 조절 유닛, 유효공기 팬 및/또는 배출공기 팬은 형상 결합부(shape locking)를 통해 모듈 하우징의 안쪽에 고정된다. 또한, 두 팬은 자체의 하우징 없이 모듈 하우징 내 상응하는 중공 공간부(hollow space)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임펠러들은 벽부로서 모듈 하우징을 사용한다. 이는 특히 모듈 하우징을 제조하는 재료가 되는 기계적으로 안정된 폼(foam)들의 이용을 통해 가능하다. 이 경우, 중공 공간부를 에워싸는 폼은 벽부로서의 기능들을 담당 수행하고 외부 기계적 하중 재하(loading)로부터의 보호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폼은 자체의 형태로 중공 공간부를 통한 공기 안내를 담당 수행한다. 이런 방식으로, 두 팬에 대한 비용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폼 기반 모듈 하우징을 통해,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의 작동 동안 방음 및 그에 따른 인지 가능한 소음 레벨의 감소가 달성된다. 특히 모듈 하우징을 통해 유효공기 팬 및/또는 배출공기 팬의 팬 소음의 감쇠가 달성된다.
그 밖에도, 모듈 하우징의 제1 부재가 유효공기 경로 또는 배출공기 경로를 적어도 일부 섹션에서 에워싸는 리세스부를 포함하고 모듈 하우징의 제2 부재는 일부 섹션에서 유효공기 경로 또는 배출공기 경로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재료 돌출부를 포함하고, 이 재료 돌출부는 제1 부재의 리세스부 안쪽으로 돌출되는 것인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리세스부는 재료 돌출부의 높이보다 더 깊으며, 그럼으로써 자체의 높이가 적어도 일부 섹션에서 리세스부 깊이와 재료 돌출부 높이 간의 차와 일치하는 상응하는 유효공기 경로 또는 배출공기 경로가 형성되게 된다. 이로써, 유효공기 경로 및 배출공기 경로는 적어도 일부 섹션에서 상이한 유동 평면들로 연장되되, 유동 평면들은 상호 간에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을 수 있는 점이 달성된다. 이런 구조적인 조치를 통해, 배출공기 경로로부터 유효공기 경로의 분리가 비교적 간단하게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모듈 하우징의 제1 부재는 배출공기 유입구 및 배출공기 유출구를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모듈 하우징의 제2 부재는 유효공기 유입구 및 유효공기 유출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모듈 하우징의 배출공기 유입구는 모듈 하우징의 배출공기 유출구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모듈 하우징의 유효공기 유입구는 모듈 하우징의 유효공기 유출구의 아래쪽에 배치된다. 특히 모듈 하우징의 배출공기 유입 방향은 모듈 하우징의 배출공기 유출 방향에 대해 90°만큼 오프셋된다. 유효공기 유입 방향과 유효공기 유출 방향은 실질적으로 상호 간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또한, 유효공기 경로와 배출공기 경로는 전체 길이에 걸쳐서 상호 간에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인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이 선호된다. 특히 유효공기 경로와 배출공기 경로는 공통 부분 섹션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유효공기 경로와 배출공기 경로 간의 공기 교환이 방지된다. 또한, 유효공기 유동과 배출공기 유동 간의 열 교환은 발생하지 않거나, 또는 오직 극미하게만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의 또 다른 보다 더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유효공기 팬 및/또는 배출공기 팬은 각각 레이디얼 팬(radial fan)으로서 형성된다. 레이디얼 팬들의 경우, 공기는 팬의 구동축에 대해 평행하게, 또는 축 방향으로 흡입되고 레이디얼 임펠러의 회전을 통해 90°만큼 편향되며, 그리고 반경 방향으로 다시 배출된다. 유효공기 팬 내지 배출공기 팬의 상응하는 형성을 통해, 증가되는 공기 유량이 달성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의 온도 조절 출력은 증가되게 된다. 특히 상응하는 레이디얼 팬들의 사용은 사전 온도 조절된 유효공기의 공급 및 가열되거나 냉각된 배출공기의 배출을 촉진한다.
그 밖에도, 유효공기 팬과 배출공기 팬을 상호 간에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데 이용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온도 조절 모듈도 바람직하다. 특히 유효공기 팬의 회전수는 배출공기 팬의 회전수로부터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유효공기 팬을 통해 생성되는 공기 유량은 배출공기 팬을 통해 생성되는 공기 유량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열전 장치에 인가되는 전압 및/또는 전류 세기를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어 장치는, 열전 장치에 인가되는 전압을 일시적으로 반전(reversal)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미 수 초의 전압 반전만으로도 충분히, 막힌 열 교환 장치 상의 얼음을 용해하여 증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짧은 전압 반전은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의 작동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폐루프 모드로 제어되거나 타이머로 제어되는 성에 제거(defrosting)를 위한 트리거로서는, 예컨대 열전 장치의 전력 소모량의 강하; 유효공기 유동 및/또는 배출공기 유동에서 지속적인 온도 변화; 유효공기 유동 및/또는 배출공기 유동에서 한계 온도의 상회 및/또는 하회; 및/또는 유효공기 유동 및/또는 배출공기 유동에서 공기 이송량 감소; 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의 일 개선예에서, 제어 장치는 배압 및/또는 온도 조절 요구량에 따라서 유효공기 팬, 배출공기 팬 및/또는 공기 온도 조절 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온도 조절 요구량은 예컨대 유효공기에 의해 온도 조절할 객체의 온도 및/또는 유효공기에 의해 온도 조절할 객체를 위한 목표 온도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특히 배출공기 팬은 주변 온도에 따라서도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장치는 유효공기 팬 및/또는 배출공기 팬에서 적합한 회전 속도의 설정, 및 유효공기 팬 및/또는 배출공기 팬을 통해 생성되는 압력 변화량의 설정을 허용한다. 또한, 제어 장치를 통해서는 공기 온도 조절 유닛에 공급되는 공급 출력 역시도 제어된다. 공기 온도 조절 유닛이 열전 장치를 포함한다면, 열전 장치의 유효공기 측과 배출공기 측 간의 열 펌프 용량이 상기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기초가 되는 과제는, 도입부에 언급한 유형의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의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이 앞에서 기재한 실시형태들 중 어느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형성되는 것인 상기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를 통해 해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의 장점들 및 변형예들과 관련하여서는 우선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의 장점들 및 변형예들이 참조된다.
상응하는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의 사용을 통해, 온도 조절 출력은 하나 또는 복수의 온도 조절할 객체의 형태 및/또는 크기에 따라 결정되지 않거나, 또는 오직 경미한 정도로만 그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온도 조절 출력은 수납 영역의 안쪽에서 하나 또는 복수의 온도 조절할 객체의 배치 내지 위치에 따라 결정되지는 않는다. 이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객체의 온도 조절이 예컨대 온도 조절 가능한 바닥 섹션과 같은 온도 조절 가능한 표면을 통해서가 아니라, 온도 조절된 유효공기 유동을 통해 구현되는 점에서 기인한다. 온도 조절 용기의 수납 영역 안쪽에서는 균일한 온도 분포가 달성되고, 그럼으로써 하나 또는 복수의 객체의 균일한 온도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온도 조절 표면과 하나 또는 복수의 온도 조절할 객체는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아도 된다. 전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관 장치는 상대적으로 더 빠른 열 전달을 보장한다. 이는 유효공기 유동의 열 전달뿐만 아니라 배출공기 유동의 열 전달에도 적용된다. 그 밖에도, 본원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는 비교적 간단한 전자 시스템의 사용을 허용하며, 그럼으로써 개발 비용 및 하드웨어 비용은 절감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온도 조절 용기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다. 이 경우, 온도 조절 용기는 일체형으로, 또는 다중 부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라스틱 재료의 사용을 통해, 알루미늄의 이용은 생략될 수 있다. 이로써, 온도 조절 용기의 중량이 감소하고 재료 및 제조 비용도 감소한다.
본원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온도 조절 용기는 발포 재료(foamed material)로 형성되고, 그리고/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필름 층을 포함한다. 특히 온도 조절 용기는 발포 플라스틱(foamed plastic)으로 형성된다. 발포 재료의 이용을 통해, 온도 조절 용기의 중량은 발포 재료의 낮은 밀도를 기반으로 재차 감소된다. 그 밖에도, 발포 재료 안쪽의 공기 유입구들은 열적 절연 작용을 보장하며, 그럼으로써 온도 조절 용기의 수납 영역과 주변 간의 의도되지 않는 열 교환이 방지되게 되거나, 또는 적어도 현저하게 감소되게 된다. 그 대안으로, 또는 그에 추가로 온도 조절 용기는 하나 또는 복수의 필름 층을 포함하되, 하나 또는 복수의 필름 층은 딥드로잉 필름들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필름은 투명 필름 및/또는 외부 필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하나 또는 복수의 필름 층은 클래스 A 표면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필름 상에는 절연 재료가 배치될 수 있으며, 예컨대 발포 폴리우레탄, 확장 폴리프로필렌 또는 개질 폴리페닐렌에테르가 배치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의 필름 및 절연 재료는 샌드위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필름으로서 기능하는 필름 층은 절연 재료와 용접될 수 있다. 이로써, 복합 재료의 휨 강성과 내충격성이 최적인 조건에서 중량 및 비용 절약이 달성된다. 또한, 조립 단계도 생략되는데, 그 이유는 직접적으로 절연성 온도 조절 용기가 이용되기 때문이다. 절연 재료가 발포 폴리우레탄인 경우, 샌드위치 구조는 발포 공정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절연 재료가 확장 폴리프로필렌, 개질 폴리페닐렌에테르 또는 폴리아미드 폼이라면, 샌드위치 구조는 소결 공정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폴리머 폼(polymer foam)으로 이면 발포 성형(back-foaming)되는 딥드로잉 필름으로 구성되는 온도 조절 용기가 특히 선호된다.
또한, 온도 조절 용기의 벽부가 유효공기 유입구 및/또는 유효공기 유출구를 포함하되, 온도 조절 용기의 유효공기 유입구는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의 유효공기 유출구와 유체 안내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또는 온도 조절 용기의 유효공기 유출구는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의 유효공기 유입구와 유체 안내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인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유효공기 유입구 및/또는 유효공기 유출구는 온도 조절 용기의 측면 벽부 내에 배치된다. 특히 온도 조절 용기의 유효공기 유입구는 온도 조절 용기의 유효공기 유출구의 위쪽에 배치된다. 따라서, 본원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의 냉각 모드에서 저온 공기가 상부에서부터 수납 영역을 통해 하방으로 유동한다. 바람직하게는, 유효공기 유입구 및/또는 유효공기 유출구는 온도 조절 용기의 벽부 내에 일체형으로 성형된다. 바람직하게는 온도 조절 용기의 유효공기 유입구의 영역 내에, 그리고/또는 온도 조절 용기의 유효공기 유출구의 영역 내에 각각 하나의 환기 격자(ventilation grid) 또는 환기 래스터(ventilation raster)가 배치된다. 환기 격자 내지 환기 래스터는 사용자의 손발과 배출공기 팬 및/또는 유효공기 팬의 의도되지 않는 접촉, 예컨대 손가락과의 접촉을 방지한다. 따라서, 작동 안전성은 현저하게 증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는,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의 유효공기 경로,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 및/또는 유효공기 팬, 및/또는 온도 조절 용기의 수납 영역이 공기 유동 회로 내에 통합되어 있는 것을 통해 바람직하게 개량된다. 공기 유동 회로의 안쪽에서는 유효공기가 순환한다. 공기 순환을 기반으로, 효과적이면서도 효율적인 온도 조절이 구현되는데, 그 이유는 사전 온도 조절된 공기가 수회 이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흡입된 주변 공기의 지속적인 온도 재조절은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따라서, 객체의 온도의 유지 외에, 온도 조절할 객체의 현저한 온도 적응(temperature adaptation) 역시도 유효공기 유동에 의해 비교적 짧은 시간에 구현된다. 또한, 응축수 형성은 방지되는데, 그 이유는 순환하는 유효공기가 약간의 순환 이후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건조되기 때문이다.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의 배출공기 경로,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 및/또는 배출공기 팬은 바람직하게는 배출공기의 순환을 허용하지 않는 개방된 유동 루프(open flowing loop) 내에 통합된다. 이 경우, 배출공기는 수회 이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배출공기 팬은 주변에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그런 다음 주변으로 배출공기를 배출하며, 그럼으로써 온도 조절 용기의 안쪽에서 온도 조절은 저하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온도 조절 용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적 절연 재료로 구성되는 열적 절연부에 의해, 특히 열적 절연 용기에 의해 에워싸인다. 열적 절연 재료는 예컨대 확장 폴리프로필렌(EPP), 폴리우레탄 또는 개질 폴리페닐렌에테르(MPPE) 또는 폴리아미드 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는 온도 조절 용기를 위한 커버를 포함한다. 커버는 온도 조절 용기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는 힌지에 의해 온도 조절 용기와 연결될 수 있다. 커버는 주변과의 열 교환 및/또는 유체 교환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의 일 개선예에서,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의 모듈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부재는 열적 절연부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의 모듈 하우징의 제2 부재는 열적 절연 용기의 벽 섹션이다. 특히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의 모듈 하우징의 제2 부재는 모듈 하우징의 제1 부재와 온도 조절 용기 사이에 배치되며, 그럼으로써 상기 영역 내에서 샌드위치 구조가 형성되게 된다. 열적 절연부는 동시에 지지 구조일 수도 있다.
온도 조절 용기는 냉각 및/또는 가열 용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바닥부 상에는 온도 조절할 객체와 바닥부 사이에서 공기 순환을 허용하는 구조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예컨대 리브들이 바닥부 상의 스페이서 부재(spacer element)로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냉각 동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모듈 하우징의 하우징 커버를 개방할 때 에어커튼으로서 작용하면서 온도 조절 용기 내에서 온도 조절된 공기를 유지하고, 그리고 그 안쪽에서 재순환시키는 공기 유동을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온도 조절 용기의 개구부들이 수직으로 배치될 때 특히 중요한데, 그 이유는 그곳에서 저온 공기가 쉽게 하방으로 내려가고 고온 공기는 상방으로 상승하기 때문이다.
또한, 온도 조절 용기가 음료 용기들을 수납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가 선호된다. 예컨대 온도 조절 용기는 병들, 컵들 또는 캔들을 수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온도 조절 용기의 안쪽에는 수납 영역의 안쪽에 온도 조절할 음료 용기들을 고정시키는데 이용되는 홀딩 장치 역시도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는 예컨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들을 온도 조절하기 위해, 배터리들, 특히 차량 배터리들을 온도 조절하기 위해, 전자 장치들을 온도 조절하기 위해, 그리고/또는 식료품들을 온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하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되고 기재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를 부분적으로 투명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을 도시한 또 다른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의 모듈 하우징의 제1 부재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의 모듈 하우징의 제2 부재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의 공기 온도 조절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다른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의 공기 온도 조절 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공기 온도 조절 유닛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공기 온도 조절 유닛을 도시한 또 다른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공기 온도 조절 유닛을 하부에서부터 보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온도 조절 모듈의 공기 온도 조절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다른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 ~ 도 3에는, 온도 조절 용기(102)를 포함한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온도 조절 용기(102)는 수납 영역(104)을 포함하고, 이 수납 영역의 안쪽에는 도 1에서는 2개의 객체(200, 202), 요컨대 음료 캔이 포지셔닝되어 있다.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100)에 의해서는, 객체(200, 202)들이 수납 영역(104) 내로 유입되는 온도 조절된 유효공기 유동을 통해 온도 조절된다. 본 실시예에서, 객체(200, 200)들이 수납 영역(104) 내로 유입되는 온도 조절된 유효공기 유동을 통해 냉각되되, 객체(200, 202)들의 가열 역시도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1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원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100)는 차량의 안쪽에서 이용되도록 구성된다.
온도 조절된 유효공기 유동의 생성을 위해 보관 장치(100)는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을 포함한다.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은,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16)과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18)을 포함하는 공기 온도 조절 유닛(14)을 포함한다. 공기 온도 조절 유닛(14)은 펠티어 소자로서 형성된 열전 장치(50)를 포함한다. 열전 장치(50)는 유효공기 측과 배출공기 측을 포함한다. 유효공기 측은 열 교환 장치(46)를 매개로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16)과 열 전달 방식으로 연결된다. 배출공기 측은 열 교환 장치(48)를 매개로 매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18)과 열 전달 방식으로 연결된다. 열 교환 장치(46, 48)들은 복수의 열 교환 리브 또는 열 교환 핀을 포함한다.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은,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의 유효공기 유입구(22)에서부터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의 유효공기 유출구(24)까지 연장되는 유효공기 경로(20)를 포함한다. 또한, 유효공기 경로(20)는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의 유효공기 유출구(24)와 유체 안내 방식으로 공기 온도 조절 유닛(14)의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16)을 연결한다. 레이디얼 팬으로서 형성된 유효공기 팬(26)을 통해서는 유효공기 경로(20)를 따르는 유효공기 유동(42)이 생성된다.
또한,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은,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의 배출공기 유입구(32)에서부터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의 배출공기 유출구(34)까지 연장되는 배출공기 경로(28)도 포함한다. 또한, 배출공기 경로(28)는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의 배출공기 유출구(34)와 유체 안내 방식으로 공기 온도 조절 유닛(14)의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18)을 연결한다. 유효공기 경로(20)와 배출공기 경로(28)는 전체 길이에 걸쳐서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어 공통 부분 섹션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유효공기 경로(20)와 배출공기 경로(28) 간의 공기 교환, 및 유효공기 경로(20)와 배출공기 경로(28) 간의 열 교환은 방지된다. 레이디얼 팬으로서 형성된 배출공기 팬(26)을 통해서는 배출공기 경로(28)를 따르는 배출공기 유동(44)이 생성된다.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은 다중 부재형 모듈 하우징(12)을 포함하며, 유효공기 경로(20) 및 배출공기 경로(28)는 모듈 하우징(12) 안쪽의 공기 채널들을 통해 형성된다. 모듈 하우징(12)의 부재(30a, 30b)들은 나사들로서 형성된 고정 수단(118a ~ 118f)들을 통해 상호 간에 고정된다.
온도 조절 용기(102)의 벽부는 유효공기 유입구(112)와 유효공기 유출구(110)를 포함한다. 온도 조절 용기(102)의 유효공기 유입구(112)는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의 유효공기 유출구(24)와 유체 안내 방식으로 연결된다. 온도 조절 용기(102)의 유효공기 유출구(110)는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의 유효공기 유입구(22)와 유체 안내 방식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공고 온도 조절 모듈(10)의 유효공기 경로(20)는 온도 조절 용기(102)의 수납 영역(104)과 유체 안내 방식으로 온도 조절 유닛의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16)을 연결한다. 또한,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의 배출공기 경로(28)는 보관 장치(100)의 주변과 유체 안내 방식으로 공기 온도 조절 유닛(14)의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18)을 연결한다.
온도 조절 용기(102)는 단일 부재형으로, 그리고 발포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다. 온도 조절 용기(102)는 커버(106)에 의해 밀폐될 수 있고 열적 절연 재료로 구성되는 열적 절연부(108), 요컨대 열적 절연 용기에 의해 에워싸인다. 열적 절연 재료는 예컨대 확장 폴리프로필렌(EPP) 또는 개질 폴리페닐렌에테르(MPPE)일 수 있다. 이 경우,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의 모듈 하우징(12)의 일측 부재는 열적 절연부(108)의 하나의 섹션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열적 절연부(108)는 지지 구조이다.
온도 조절 용기(102)의 유효공기 유입구(112)는 온도 조절 용기(102)의 유효공기 유출구(110)의 위쪽에 배치된다. 온도 조절 용기(102)의 유효공기 유입구(112) 및 온도 조절 용기(102)의 유효공기 유출구(110)의 영역에는 각각 환기 격자(114, 116)들이 배치된다.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의 유효공기 경로(20),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16) 및 유효공기 팬(26)뿐만 아니라 온도 조절 용기(102)의 수납 영역(104) 역시도, 온도 조절된 유효공기가 그 안쪽에서 순환하는 곳인 공기 유동 회로 내에 통합된다.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의 배출공기 경로(28),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18) 및 배출공기 팬(36)은, 배출공기의 순환을 허용하지 않는 개방된 유동 루프 내에 통합된다. 배출공기 팬(36)은 주변에서 공기를 흡입하며, 그리고 그런 다음 공기 온도 조절 유닛(14)의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18)을 통해 관류시킨 이후 배출공기를 다시 주변으로 배출한다.
도 4와 도 5에는, 모듈 하우징(12), 공기 온도 조절 유닛(14), 유효공기 팬(26) 및 배출공기 팬(28)을 포함하는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모듈 하우징(12)은 2개 부재형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공기 채널로서 형성된 유효공기 경로(20)와 공기 채널로서 형성된 배출공기 경로(28)를 포함한다. 유효공기 경로(20)는 유효공기 유입구(22)에서부터 유효공기 유출구(24)까지 연장되어, 유효공기 유출구(24)와 유체 안내 방식으로 공기 온도 조절 유닛(14)의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16)을 연결한다. 배출공기 경로(28)는 배출공기 유입구(32)에서부터 배출공기 유출구(34)까지 연장되어, 배출공기 유출구(34)와 유체 안내 방식으로 공기 온도 조절 유닛(14)의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18)을 연결한다.
유효공기 팬(26)은 유효공기 경로(20)를 따르는 유효공기 유동(42)을 생성한다. 배출공기 팬(36)은 배출공기 경로(28)를 따르는 배출공기 유동(44)을 생성한다.
모듈 하우징(12)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제1 부재(30a)와 제2 부재(30b)를 포함한다. 공기 온도 조절 유닛(14), 유효공기 팬(26) 및 배출공기 팬(36)은 제1 부재(30a)와 제2 부재(30b) 사이에서 리세스부들 안쪽에 배치되며, 그럼으로써 공기 온도 조절 유닛(14), 유효공기 팬(26) 및 배출공기 팬(36)은 형상 결합부를 통해 모듈 하우징(12) 내에 고정되게 된다.
모듈 하우징(12)의 제1 부재(30a)는 배출공기 유입구(32)와 배출공기 유출구(34)를 포함한다. 모듈 하우징(12)의 제2 부재(30b)는 유효공기 유입구(22)와 유효공기 유출구(24)를 포함한다.
모듈 하우징(12)의 제1 부재(30a)는 배출공기 경로(28)를 일부 섹션에서 에워싸는 리세스부(38)를 포함한다. 모듈 하우징(12)의 제2 부재(30b)는 일부 섹션에서 배출가스 경로(28)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재료 돌출부(40)를 포함하며, 이런 재료 돌출부는 모듈 하우징(12)의 조립된 상태에서 제1 부재(30a)의 리세스부(38) 안쪽으로 돌출된다. 이로써, 유효공기 경로(20)와 배출공기 경로(28)가 상이한 유동 평면들에 위치하는 점이 달성된다.
도 6에는, 모듈 하우징(12)의 제1 부재(30a)가 도시되어 있다. 배출공기 경로(28)는 은폐된 배출공기 유입구(32)에서부터 은폐된 배출공기 유출구(34)까지 연장되어 배출공기 유출구(34)와 유체 안내 방식으로 공기 온도 조절 유닛(14)의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18)(도 7 비교)을 연결한다. 레이디얼 팬으로서 형성된 배출공기 팬(36)은 배출공기 경로(28)를 따르는 배출공기 유동(44)을 생성하기 위해 이용된다.
도 7에는, 모듈 하우징(12)의 제2 부재(30b)가 도시되어 있다. 유효공기 경로(20)는 은폐된 유효공기 유입구(22)에서부터 유효공기 팬(26)을 경유하여 유효공기 유출구(24)까지 연장되어 유효공기 유출구(24)와 유체 안내 방식으로 공기 온도 조절 유닛(14)의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16)(도 6 비교)을 연결한다. 유효공기 팬(26)은 레이디얼 팬으로서 형성되어 유효공기 경로(20)를 따르는 유효공기 유동(42)을 생성하기 위해 이용된다.
도 8에는,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의 모듈 하우징(12) 안쪽에 공기 온도 조절 유닛(14)이 형성되고 배치되어 있는 점이 도시되어 있다. 공기 온도 조절 유닛(14)은 펠티어 소자로서 형성된 열전 장치(50)를 포함하며, 이 열전 장치는 유효공기 측과 배출공기 측을 포함한다. 유효공기 측은 열 교환 장치(46)를 매개로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16)과 열 전달 방식으로 연결된다. 배출공기 측은 열 교환 장치(48)를 매개로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18)과 열 전달 방식으로 연결된다. 열 교환 장치(46, 48)들은 각각 복수의 열 교환 핀을 포함하며, 열 교환 장치(46, 48)들의 열 교환 핀들은 상호 간에 90도로 오프셋 되어 배치된다. 열 교환 장치(46)의 열 교환 핀들은 유효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연장된다. 열 교환 장치(48)의 열 교환 핀들은 배출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연장된다.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은, 유효공기 팬(26)과 배출공기 팬(36)을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데 이용되는 제어 장치 역시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예컨대 배압 및/또는 온도 조절 요구량에 따라서 유효공기 팬(26), 배출공기 팬(36) 및 공기 온도 조절 유닛(14)을 제어할 수 있다.
도 9에는,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의 공기 온도 조절 유닛(14)이 도시되어 있다. 공기 온도 조절 유닛(14)은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16)과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18)을 포함한다. 또한, 공기 온도 조절 유닛(14)은 펠티어 소자로서 형성되고 도 9에서는 은폐되어 있는 열전 장치(50)를 포함한다. 열전 장치(50)는 유효공기 측과 배출공기 측을 포함하며, 유효공기 측은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16)과 열 전달 방식으로 연결되고 배출공기 측은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18)과 열 전달 방식으로 연결된다.
또한, 공기 온도 조절 유닛(14)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유효공기 경로(20)의 섹션이 도시되어 있다. 그 밖에도, 공기 온도 조절 유닛(14)을 통과하여 연장되는 배출공기 경로(28)의 섹션도 도시되어 있다. 공기 온도 조절 유닛(14)의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16) 내 유효공기 경로(20)와 공기 온도 조절 유닛(14)의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18) 내 배출공기 경로(28)는 상호 간에 직각으로 연장된다. 그 결과,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16) 내 유효공기 경로(20)와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18) 내 배출공기 경로(28)는 상호 간에 90도로 오프셋되어 연장된다. 그로 인해, 공기 온도 조절 유닛(14)의 영역 내 유효공기 유동 방향은 배출공기 유동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된다.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16)의 안쪽에는 열 교환 장치(46)가 배치된다.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18)의 안쪽에는 열 교환 장치(48)가 배치된다. 열 교환 장치(46, 48)들은 각각 열 교환 핀(66a, 66b)들을 포함한다.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16)은 유효공기 유입 채널(60a)과, 그리고 유효공기 유출 채널(60b)과 연결된다.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16)과 유효공기 유입 채널(60a) 사이에, 그리고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16)과 유효공기 유출 채널(60b) 사이에 각각 하나의 실링(56a, 56b)이 배치된다.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18)은 배출공기 유입 채널(62a)과, 그리고 배출공기 유출 채널(62b)과 연결된다.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18)과 배출공기 유입 채널(62a) 사이에, 그리고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18)과 배출공기 유출 채널(62b) 사이에 각각 하나의 실링(58a, 58b)이 배치된다. 실링(56a, 56b, 58a, 58b)들은 탄성의 점착성 실링 스트립들로서 형성되며, 이들 실링 스트립은 재료 노화 및 재료 취성이 증가할 때에도 실링 작용을 보장한다. 실링(56a, 56b, 58a, 58b)들은 열 교환 장치(46, 48)들의 돌출 영역(52a, 52b, 54a, 54b)들 내에 배치된다.
도 10 ~ 13에는, 자체의 열 교환 장치(46, 48)들이 마찬가지로 돌출 영역(52a, 52b, 54a, 54b)들을 포함하는 것인 공기 온도 조절 유닛(14)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돌출 영역(52a, 52b, 54a, 54b)들의 안쪽에서, 각각의 열 교환 장치(46, 48)는 열전 장치(50)보다 더 돌출된다. 따라서, 열전 장치(50)에 상대적인 열 교환 장치(46, 48)들의 돌출 단부가 형성된다. 돌출 영역(52a, 52b, 54a, 54b)들 내에는 실링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16) 및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18)의 유입구들 및 유출구들은 상대적으로 훨씬 더 적합하게 밀폐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유효공기 유동과 배출공기 유동 간의 열 교환은 추가로 감소된다.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16)의 안쪽에 배치되는 열 교환 장치(46)는 유효공기 유동의 유동 방향에서 열전 장치(50)의 상류에 위치하는 돌출 영역(52a)과 유효공기 유동의 유동 방향에서 열전 장치(50)의 하류에 위치하는 돌출 영역(52b)을 포함한다.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18) 안쪽에 배치되는 열 교환 장치(48)는 배출공기 유동의 유동 방향에서 열전 장치(50)의 상류에 위치하는 돌출 영역(54a)과 배출공기 유동의 유동 방향에서 열전 장치(50)의 하류에 위치하는 돌출 영역(54b)을 포함한다. 열 교환 장치(46, 48)들은 각각의 유동 방향을 따라서 열전 장치(50)보다 더 돌출된다. 상면도에서, 열 교환 장치(46, 48)들은 십자형 형상을 형성한다.
또한, 열전 장치(50)는 단자(68a ~ 86d)들과 연결되며, 이들 단자를 통해서는 열전 장치(50)가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다. 미도시된 제어 장치는, 열전 장치(50)에 인가되는 전압 및/또는 전류 세기를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열전 장치(50)에 인가되어 있는 전압, 또는 열전 장치(50)에 인가되어 있는 전류 세기의 적합한 설정을 통해, 예컨대 열 교환 장치(46, 48)들의 해빙(de-icing)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 장치는 열전 장치(50)에 인가된 전압을 일시적으로 반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존재하는 얼음이 용해되어 증발되게 된다.
도 14에는, 열 교환 장치(46, 48)들이 각각 열 교환 핀(66a, 66b)들을 포함하고, 이들 열 교환 핀은 각각의 열 교환 장치(46, 48)의 기초판(64a, 64b) 상에 배치되는 것인 공기 온도 조절 유닛(14)이 도시되어 있다.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16)의 안쪽에 배치되는 열 교환 장치(46)의 열 교환 핀(66a)들은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18)의 안쪽에 배치되는 열 교환 장치(48)의 열 교환 핀(66b)들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된다. 핀 배치를 기반으로, 유효공기 유동과 배출공기 유동은 교차 흐름의 유형에 따라서 안내된다.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16)의 안쪽에 배치되는 열 교환 장치(46)의 열 교환 핀(66a)들과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18)의 안쪽에 배치되는 열 교환 장치(48)의 열 교환 핀(66b)들은 상이한 프로파일링부를 포함한다. 요컨대 열 교환 핀(66a)들과 열 교환 핀(66b)들은 상이한 절첩부들을 포함한다. 열 교환 핀(66a)들은 서로 인접하는 삼각형들로 절첩된다. 열 교환 핀(66b)들은 직사각형 톱니 패턴으로 절첩된다. 열 교환 핀(66a)들의 밀접한 절첩부는 큰 열 교환 표면으로 이어지며, 그럼으로써 유효공기 유동과 특히 집중적인 열 교환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열 교환 핀(66b)들의 큰 핀 간 간격은 응축액 형성 위험의 감소를 보장하며, 그럼으로써 응결되는 응축액 액적을 통한 공기 경로의 막힘은 방지되게 된다.
도 15에는, 공기를 온도 조절하기 위한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 및 수납 영역(104) 내에 복수의 온도 조절 가능한 객체(200), 요컨대 음료 용기를 수납하도록 구성되는 온도 조절 용기(102);를 포함하는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온도 조절 용기(102)의 수납 영역(104)은 회동 가능한 커버(106)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커버(106)를 개방할 때, 에어커튼으로서 작용하는 공기 유동이 생성된다. 에어커튼은 온도 조절 용기(102)의 수납 영역(104)의 안쪽에서 온도 조절된 공기를 유지하고 주변과의 집중적인 유체 및 열 교환을 방지한다.
도 16에는, 자체의 온도 조절 용기(102)가 복수의 유효공기 개구부(120a ~ 120f)와 하나의 배출공기 개구부(122)를 포함하는 것인 보관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유효공기 개구부(120a ~ 120f)들은 에어커튼의 구현을 위해 이용되며, 이런 에어커튼은 커버(106)를 개방할 때 주변과의 유체 및 열 교환을 방지한다.
도 17에는, 마찬가지로 자체의 온도 조절 용기(102) 내에서 에어커튼이 생성될 수 있는 것인 보관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냉각된 공기는 안쪽에서 온도 조절 용기(102)의 커버 또는 도어를 스쳐 흐르거나, 또는 그에 대해 평행하게 유동한다. 이런 방식으로, 커버가 개방된 때에도, 공기가 온도 조절 용기에서 주변으로 새어나가는 점을 방지하는 에어커튼이 형성된다. 이런 공기 흐름은 시스템의 보통의 작동 상태의 결과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공기 흐름은 특히 커버를 개방할 때에도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생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응축액 형성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열 교환기에는 방수성 코팅층이 제공된다. 이는 특히 유효공기 영역 내에서의 (보통 열 전도체로서도 지칭되는) 열 교환기에서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여기서 그렇지 않은 경우 강한 냉각을 통해 동결에 의한 막힘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해빙을 위한 방법으로서는, 적어도 하나의 열전 장치의 극성을 단시간 바꾸는 것이 적합할 수 있다. 그렇게 하여, 열전 장치의 냉각된 면은 단시간 가열된다(그리고 가열된 면은 단시간 냉각된다). 이와 동일한 사항은 그렇게 하여 상기 면들에 할당된 열 교환기/열 전도체에도 적용된다. 이런 짧은 가열은 방해가 되는 얼음을 용해하고 그런 다음 (다시) 스쳐 유동하는 공기가 응축수를 제거한다. 이를 위해, 보다 더 적합하게는, 상응하는 회로 또는 상응하는 스위칭 장치가 온도 조절 모듈 상에 제공된다.
열전 장치의 저온 측에서, 그리고 상기 저온 측에 할당된 열 교환기에서 응축액의 제거를 위해, 배수 장치(drainage device)(미도시)를 제공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상기 배수 장치는 예컨대 폼 층(foam layer)일 수 있거나, 또는 상기 폼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배수 장치는, 저온 측에서 고온 측으로 응축액이 운반되도록, 열전 장치의 고온 측 내지 그곳에 각각 배치된 열 교환기와 열전 장치의 저온 측을 연결한다. 배수 장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출공기 흐름으로부터 유효공기 흐름을 분리하는 밀폐 장치, 특히 온도 조절 모듈 상의 밀폐 장치와 동일할 수 있으며, 특히 펠티어 소자 둘레의 폼 실링일 수 있다. 배수 장치는 모세관을 통해 저온 측에서 응축액을 흡수하여 고온 측으로 운반하고 고온 배출공기 흐름 내에서 상기 응축액을 증발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모듈 하우징은 경화된 폴리머 폼 내에 사전 제조된 채널들을 포함하고, 이들 채널 내에는 전기 연결 라인들이 수용되어 파지된다. 또한, 발포 모듈 하우징 내에는, 전자 제어부 또는 기타 회로기판의 전기적 집적화를 가능하게 하는 플러그인 소켓(plug-in socket)들도 제공될 수 있다.
10: 공기 온도 조절 모듈
12: 모듈 하우징
14: 공기 온도 조절 유닛
16: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
18: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
20: 유효공기 경로
22: 유효공기 유입구
24: 유효공기 유출구
26: 유효공기 팬
28: 배출공기 경로
30a, 30b: 하우징 부재
32: 배출공기 유입구
34: 배출공기 유출구
36: 배출공기 팬
38: 리세스부
40: 재료 돌출부
42: 유효공기 유동
44: 배출공기 유동
46: 열 교환 장치
48: 열 교환 장치
50: 열전 장치
52a, 52b: 돌출 영역
54a, 54b: 돌출 영역
56a, 56b: 실링
58a, 58b: 실링
60a, 60b: 유효공기 유입 채널 및 유효공기 유출 채널
62a, 62b: 배출공기 유입 채널 및 배출공기 유출 채널
64a, 64b: 기초판
66a, 66b: 열 교환 핀
68a ~ 68d: 단자
100: 보관 장치
102: 온도 조절 용기
104: 수납 영역
106: 커버
108: 열적 절연부
110: 유효공기 유출구
112: 유효공기 유입구
114: 환기 격자
116: 환기 격자
118a ~ 118f: 고정 수단
120a ~ 120f: 유효공기 개구부
122: 배출공기 개구부
200, 202: 객체

Claims (25)

  1. 특히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100)를 위한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로서,
    -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16),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18) 및 적어도 하나의 열전 장치(50)를 포함하는 공기 온도 조절 유닛(14)이며, 적어도 하나의 열전 장치(50)는 유효공기 측과 배출공기 측을 포함하고, 유효공기 측은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16)과 열 전달 방식으로 연결되며, 배출공기 측은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18)과 열 전달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인, 상기 공기 온도 조절 유닛(14);
    - 유효공기 유입구(22)에서부터 유효공기 유출구(24)까지 연장되어 유효공기 유출구(24)와 유체 안내 방식으로 공기 온도 조절 유닛(14)의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16)을 연결하는 유효공기 유동용 유효공기 경로(20); 및
    - 배출공기 유입구(32)에서부터 배출공기 유출구(34)까지 연장되어 배출공기 유출구(34)와 유체 안내 방식으로 공기 온도 조절 유닛(14)의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18)을 연결하는 배출공기 유동용 배출공기 경로(28);를 포함하는 상기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용 공기 온도 조절 모듈에 있어서,
    상기 공기 온도 조절 유닛(14)의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16) 내 유효공기 경로(20)와 상기 공기 온도 조절 유닛(14)의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18) 내 배출공기 경로(28)는 상호 간에 각을 이루면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16)의 안쪽에, 그리고/또는 상기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18)의 안쪽에 열 교환 장치(46, 48)들이 배치되며, 상기 열 교환 장치(46, 48)들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열 교환 리브들 및/또는 열 교환 핀(66a, 66b)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16) 안쪽에 배치되는 상기 열 교환 장치(46)의 열 교환 리브들 및/또는 열 교환 핀(66a)들은 상기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18) 안쪽에 배치되는 상기 열 교환 장치(48)의 열 교환 리브들 및/또는 열 교환 핀(66b)들에 대해 각을 이루면서, 특히 90도로 오프셋되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16) 안쪽에 배치되는 상기 열 교환 장치(46)의 열 교환 리브들 및/또는 열 교환 핀(66a)들과 상기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18) 안쪽에 배치되는 상기 열 교환 장치(48)의 열 교환 리브들 및/또는 열 교환 핀(66b)들은 상이한 프로파일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16) 안쪽에 배치된 상기 열 교환 장치(46) 및/또는 상기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18) 안쪽에 배치되는 상기 열 교환 장치(48)는 각각 하나 또는 복수의 돌출 영역(52a, 52b, 54a, 54b)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 영역들 안쪽에서 상기 각각의 열 교환 장치(46, 48) 상기 열전 장치(50)보다 측면으로 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
  6. 제5항에 있어서,
    - 상기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16) 안쪽에 배치되는 상기 열 교환 장치(46)는 유효공기 유동의 유동 방향에서 상기 열전 장치(50)의 상류에 위치하는 돌출 영역(52a) 및/또는 유효공기 유동의 유동 방향에서 상기 열전 장치(50)의 하류에 위치하는 돌출 영역(52b)을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 상기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18) 안쪽에 배치되는 상기 열 교환 장치(48)는 배출공기 유동의 유동 방향에서 상기 열전 장치(50)의 상류에 위치하는 돌출 영역(54a) 및/또는 배출공기 유동의 유동 방향에서 상기 열전 장치(50)의 하류에 위치하는 돌출 영역(54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공기 온도 조절 유닛(14)의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16)은 유효공기 유입 채널(60a)과, 그리고/또는 유효공기 유출 채널(60b)과 연결되어 있되, 상기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16)과 상기 유효공기 유입 채널(60a) 사이에, 그리고/또는 상기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16)과 상기 유효공기 유출 채널(60b) 사이에 각각 하나의 실링(56a, 56b)이 배치되고; 그리고/또는
    - 상기 공기 온도 조절 유닛(14)의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18)은 배출공기 유입 채널(62a)과, 그리고/또는 배출공기 유출 채널(62b)과 연결되어 있되, 상기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18)과 상기 배출공기 유입 채널(62a) 사이에, 그리고/또는 상기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18)과 상기 배출공기 유출 채널(62b) 사이에 각각 하나의 실링(58a, 58b)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유효공기 경로(20)를 따르는 유효공기 유동(42)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유효공기 팬(26)이 제공되고, 그리고/또는
    - 상기 배출공기 경로(28)를 따르는 배출공기 유동(44)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배출공기 팬(36)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중 부재형 모듈 하우징(12)이 제공되되, 상기 유효공기 경로(20) 및/또는 상기 배출공기 경로(28)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모듈 하우징(12) 안쪽의 공기 채널들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하우징(12)은 제1 부재(30a)와 제2 부재(30b)를 포함하되, 상기 공기 온도 조절 유닛(14), 상기 유효공기 팬(26) 및/또는 상기 배출공기 팬(36)은 상기 제1 부재(30a)와 상기 제2 부재(30b)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하우징(12)의 제1 부재(30a)는 상기 유효공기 경로(20) 또는 상기 배출공기 경로(28)를 적어도 일부 섹션에서 에워싸는 리세스부(38)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 하우징(12)의 제2 부재(30b)는 일부 섹션에서 상기 유효공기 경로(20) 또는 배출공기 경로(28)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재료 돌출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재료 돌출부는 상기 제1 부재(30a)의 리세스부(38) 안쪽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하우징(12)의 제1 부재(30a)는 상기 배출공기 유입구(32) 및 상기 배출공기 유출구(34)를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모듈 하우징(12)의 제2 부재(30b)는 상기 유효공기 유입구(22) 및 유효공기 유출구(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공기 경로(20)와 상기 배출공기 경로(28)는 전체 길이에 걸쳐서 상호 간에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공기 팬(26) 및/또는 상기 배출공기 팬(36)은 각각 레이디얼 팬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공기 팬(26)과 상기 배출공기 팬(36)을 상호 간에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데 이용되는 제어 장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배압 및/또는 온도 조절 요구량에 따라서 상기 유효공기 팬(26), 상기 배출공기 팬(36) 및/또는 상기 공기 온도 조절 유닛(14)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
  17. - 공기를 온도 조절하기 위한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 및
    - 수납 영역(104) 내에 하나 또는 복수의 온도 조절 가능한 객체(200, 202)를 수납하도록 구성되는 온도 조절 용기(102);를 포함하는, 특히 차량을 위한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100)로서,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의 유효공기 경로(20)는 온도 조절 용기(102)의 수납 영역(104)과 유체 안내 방식으로 온도 조절 유닛의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16)을 연결하고,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의 배출공기 경로(28)는 보관 장치(100)의 주변과 유체 안내 방식으로 공기 온도 조절 유닛(14)의 배출공기 온도 조절 영역(18)을 연결하는 것인, 상기 차량용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은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100).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 용기(102)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100).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 용기(102)는 발포 재료로 형성되고, 그리고/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필름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100).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 용기(102)의 벽부는 유효공기 유입구(112) 및/또는 유효공기 유출구(110)를 포함하되, 상기 온도 조절 용기(102)의 유효공기 유입구(112)는 상기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의 유효공기 유출구(24)와 연결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온도 조절 용기(102)의 유효공기 유출구(110)는 상기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의 유효공기 유입구(22)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100).
  21.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의 유효공기 경로(20), 유효공기 온도 조절 영역(16) 및/또는 유효공기 팬(26), 및/또는 상기 온도 조절 용기(102)의 수납 영역(104)은 공기 유동 회로 내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100).
  22. 제17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 용기(10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적 절연 재료로 구성되는 열적 절연부(108)에 의해, 특히 열적 절연 용기에 의해 에워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100).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온도 조절 모듈(10)의 모듈 하우징(12)의 적어도 하나의 부재는 상기 열적 절연부(108)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100).
  24. 제17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 용기(102)는 음료 용기들을 수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조절형 보관 장치(100).
  25.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기 온도 조절 모듈 또는 제17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보관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해빙 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열전 장치는 냉각 모드에 대해 극성이 바뀐 상태에서 전류를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온도 조절 모듈 또는 보관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KR1020217013137A 2018-10-22 2019-10-22 공기 온도 조절 모듈 및 온도 조절형 보관 유닛 KR1025228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008318.8 2018-10-22
DE102018008318.8A DE102018008318A1 (de) 2018-10-22 2018-10-22 Luft-Temperiermodul
PCT/DE2019/000281 WO2020083419A2 (de) 2018-10-22 2019-10-22 Luft-temperiermodu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029A true KR20210072029A (ko) 2021-06-16
KR102522897B1 KR102522897B1 (ko) 2023-04-18

Family

ID=69591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3137A KR102522897B1 (ko) 2018-10-22 2019-10-22 공기 온도 조절 모듈 및 온도 조절형 보관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387557A1 (ko)
KR (1) KR102522897B1 (ko)
CN (1) CN112912671B (ko)
DE (2) DE102018008318A1 (ko)
WO (1) WO2020083419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5757A1 (ko) * 2021-11-12 2023-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형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냉장고
KR20230151290A (ko) * 2022-04-25 2023-11-01 주식회사 카르노플릿 온도민감형 물품의 물류 수행을 위한 적응형 열적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787B1 (ko) * 2015-12-15 2017-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체, 저장고, 차량용 저장고, 및 차량
US11549730B2 (en) * 2019-02-01 2023-01-10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Refrigerated food container
CN111765704A (zh) * 2020-07-09 2020-10-13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风冷制冷系统及半导体冰箱
CN111795540A (zh) * 2020-07-16 2020-10-20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除湿排水系统及半导体冰箱
CN111854292A (zh) * 2020-07-28 2020-10-30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风道及半导体冰箱
CN112197492A (zh) * 2020-09-17 2021-01-08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卡装装置及基于其的换热模组
EP4141351A1 (en) * 2021-08-23 2023-03-01 B/E Aerospace, Inc. Heat pump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8465A (ja) * 2000-01-31 2001-08-03 Pentel Corp 飲料用保温保冷器
KR20140066889A (ko) * 2012-11-23 2014-06-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온장 컵홀더
KR20180102264A (ko) * 2017-03-07 2018-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 모듈 및 욕실관리기
KR20180105573A (ko) * 2017-03-15 2018-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508732D0 (en) * 1985-04-03 1985-05-09 Ti Domestic Appliances Ltd Refrigerating systems
US5315830B1 (en) * 1993-04-14 1998-04-07 Marlow Ind Inc Modular thermoelectric assembly
US6530231B1 (en) * 2000-09-22 2003-03-11 Te Technology, Inc. Thermoelectric assembly sealing member and thermoelectric assembly incorporating same
US7426835B2 (en) * 2001-08-07 2008-09-23 Bsst, Llc Thermoelectric personal environment appliance
US6976371B2 (en) * 2003-04-04 2005-12-20 Gleason Patrick T Portable food cooling container
DE102006052122B4 (de) * 2006-11-06 2009-07-30 Rittal Gmbh & Co. Kg Klimatisierungsvorrichtung
US7596956B2 (en) * 2007-01-09 2009-10-06 Lilke Harvey D Refrigerated cabinet and cooling module for same
DE102012009909B4 (de) * 2012-05-18 2022-07-2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Klimatisierung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Verfahren zu deren Betrieb und Kraftfahrzeu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8465A (ja) * 2000-01-31 2001-08-03 Pentel Corp 飲料用保温保冷器
KR20140066889A (ko) * 2012-11-23 2014-06-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온장 컵홀더
KR20180102264A (ko) * 2017-03-07 2018-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 모듈 및 욕실관리기
KR20180105573A (ko) * 2017-03-15 2018-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5757A1 (ko) * 2021-11-12 2023-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형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냉장고
KR20230151290A (ko) * 2022-04-25 2023-11-01 주식회사 카르노플릿 온도민감형 물품의 물류 수행을 위한 적응형 열적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8008318A1 (de) 2020-04-23
WO2020083419A3 (de) 2020-06-18
DE112019005260A5 (de) 2021-07-22
WO2020083419A2 (de) 2020-04-30
KR102522897B1 (ko) 2023-04-18
CN112912671B (zh) 2022-11-04
US20210387557A1 (en) 2021-12-16
CN112912671A (zh) 2021-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2897B1 (ko) 공기 온도 조절 모듈 및 온도 조절형 보관 유닛
US8901457B2 (en) Heat-transfer-medium heating apparatus and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9838956B (zh) 温度调节容器
US10024575B2 (en) Heating-medium heating unit and vehicle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US20080053981A1 (en) Heat-transer-medium heating apparatus and vehicular air-conditioning
WO2013157357A1 (ja) 熱媒体加熱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用空調装置
WO2013111529A1 (ja) 電池温調装置
CN102192558A (zh) 空调
CN105465931A (zh) 空调扇
JP2011016489A (ja) 熱媒体加熱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車両用空調装置
US20230182530A1 (en) Refrigerating or warming apparatus, and vehicle
JP3423172B2 (ja) 電気冷蔵庫
KR101941056B1 (ko)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
CN211084550U (zh) 冰箱
KR20140073137A (ko)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
CN211601249U (zh) 冰箱
KR101534584B1 (ko) 차량용 냉온장 컵홀더 장치
CN212907863U (zh) 控制电能存储器的温度的设备及配备该设备的机动车辆
JP2013177028A (ja) 熱媒体加熱装置
JP7195807B2 (ja) 空気調和装置
JP7284686B2 (ja) 冷蔵庫
CN211120195U (zh) 冰箱
US20220243933A1 (en) Air conditioner
JP2022070727A (ja) 冷蔵庫
CN116261298A (zh) 一种循环式充放电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