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1986A - 부호화 장치, 부호화 방법, 복호 장치 - Google Patents

부호화 장치, 부호화 방법, 복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1986A
KR20210071986A KR1020217010353A KR20217010353A KR20210071986A KR 20210071986 A KR20210071986 A KR 20210071986A KR 1020217010353 A KR1020217010353 A KR 1020217010353A KR 20217010353 A KR20217010353 A KR 20217010353A KR 20210071986 A KR20210071986 A KR 20210071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area
rate control
image data
encoding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0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 카마다
아키후미 미시마
카츠토시 안도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71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19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9/00Imag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5Selection of the code volume for a coding unit prior to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9Adaptive subdivision aspects, e.g. subdivision of a picture into rectangular or non-rectangular coding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67Position within a video image, e.g. region of interest [RO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slice, e.g. a line of blocks or a group of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bits, e.g. of the compressed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reduction of coding artifacts, e.g. of blocki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Of Band Width Or Redundancy In Fax (AREA)

Abstract

부호화 장치가,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 처리를 행하는 부호화 처리부와,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때 분할 경계의 근방이 되는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대해서는, 레이트 제어 에리어 이외보다 비트 레이트가 높게 되도록 부호화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부호화 장치, 부호화 방법, 복호 장치
본 기술은 부호화 장치, 부호화 방법, 복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화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부호화를 행하는 경우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화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부호화를 행하고, 이들을 복호하여 서로 연결시켜 표시시키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화상 표시 시스템에서는, 분할 경계가 표시 화상 상에서 두드러지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 문제를 피하기 위하여, 멀티 프로젝션 환경 하에서는, 하기 특허문헌 1, 2와 같이, 화상을 분할할 때 중첩되는 부분을 만들고, 표시할 때에는 인접하는 화상이 중첩되는 부분에 대해 그라데이션을 주어 블렌딩함으로써, 분할 경계를 보이지 않게 하는 수법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 2004-147143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특허공개 2017-116950호 공보
그러나, 하나의 화소에 표시하는 정보를 복수의 입력으로부터 얻어 블렌딩하는 것과 같은 수법을 사용할 수 없는 타일링형(tiling type) 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시 디바이스에서는, 특허문헌 1, 2와 같은 수법을 사용할 수 없다.
또한, 분할된 화상 전체를 비트 레이트가 높아지도록 부호화를 행하면, 복호 하여 서로 연결한 화상을 표시할 때의 분할 경계를 잘 보이지 않게 할 수는 있지만, 화상 전체의 비트 레이트가 높아지게 되기 때문에 파일 사이즈의 증가나 계산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게 된다.
이에, 본 기술은 분할 경계가 표시 화상 상에서 두드러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데이터량을 과대하게 하지 않는 수법을 제안한다.
본 기술에 따른 부호화 장치는,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 처리를 행하는 부호화 처리부와, 상기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때 분할 경계의 근방이 되는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대해서는,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 이외보다 비트 레이트가 높게 되도록 부호화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레이트 제어 에리어는, 한 장의 화상을 분할하였을 때의 분할 경계의 근방의 영역으로서 설정되는 것이다. 이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구성하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화상 내의 다른 에리어보다 정보량이 많아지도록 한다.
상기한 본 기술에 따른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부호화 처리부는 압축 부호화 처리를 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대해서는,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 이외에 대한 압축 부호화 처리의 압축률보다 낮은 압축률로의 압축 부호화 처리를 지시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즉, 분할 경계의 근방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데이터는, 낮은 압축률로 압축 처리됨으로써 비트 레이트가 높아지도록 한다.
상기한 본 기술에 따른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의 분할 경계에 기초하여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설정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즉,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설정은 제어부가 행하도록 한다.
상기한 본 기술에 따른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의 분할 경계를 설정하고, 분할 경계에 기초하여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설정하고,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대해서는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 이외보다 비트 레이트가 높아지도록 지시하여 상기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 처리를 상기 부호화 처리부에 실행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즉, 분할 경계를 설정하고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설정한 후에,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지시하여 부호화 처리를 실행시킨다.
상기한 본 기술에 따른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호화 처리가 행해진 화상 데이터를, 설정한 분할 경계에서 분할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로서 취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즉, 원래의 화상 데이터 전체에서 압축 처리가 된 후에, 분할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거나 송신되도록 제어한다.
상기한 본 기술에 따른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의 분할 경계를 설정하고, 분할 경계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 영역마다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설정하여 부호화 처리를 상기 부호화 처리부에 실행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즉, 분할 경계를 설정하여 영역을 분할한 후에, 각각의 분할 영역에 대해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설정하고, 그 분할 영역마다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지시하여 부호화 처리가 실행되도록 한다.
상기한 본 기술에 따른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는, 복수의 화소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블록을 부호화 처리 단위로 하였을 때,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는, 적어도 분할 경계에 접하는 블록이 포함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즉, 적어도 분할 경계에 접하는 블록은 레이트 제어 에리어로 하여, 이들 블록은 비트 레이트가 높게 되도록 한다.
또한 「분할 경계에 접한다」란, 블록의 한 변이 분할 경계를 형성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즉, 분할 경계에 접하는 블록이란, 분할 영역 내의 외연(外緣)의 블록이며, 또한 인접하는 다른 분할 영역이 존재하는 블록을 가리킨다.
상기한 본 기술에 따른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는, 복수의 화소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블록을 부호화 처리 단위로 하였을 때,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는, 분할 경계에 접하는 블록의 행에서부터 연속하는 복수 블록 행, 또는 분할 경계에 접하는 블록의 열에서부터 연속하는 복수 블록 열이 포함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즉, 적어도 분할 경계에 접하는 블록의 행 또는 열에서부터 복수의 행 또는 열에 걸치는 범위가 레이트 제어 에리어가 되고, 이들 블록은 비트 레이트가 높아지도록 한다.
상기한 본 기술에 따른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는, 복수의 화소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블록을 부호화 처리 단위로 하였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 내에서, 제1 압축률의 압축 부호화가 행해지는 블록과, 제2 압축률의 압축 부호화가 행해지는 블록이 생기도록 제어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해당하는 블록에 있어서, 다른 압축률에 의한 압축 부호화가 지시되는 블록이 존재하도록 한다.
상기한 본 기술에 따른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는, 복수의 화소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블록을 부호화 처리 단위로 하였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해당하는 블록을 가변 설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즉,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설정을 고정적으로 행하는 것이 아니고,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해 레이트 제어 에리어가 가변 설정되도록 한다.
상기한 본 기술에 따른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대해 상기 부호화 처리부에 지시하는 압축률을 가변 설정하는 것이 생각된다.
즉,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압축률 설정을 고정적으로 행하는 것이 아니고,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해 가변 설정되도록 한다.
상기한 본 기술에 따른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는, 분할 경계가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의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화소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블록을 부호화 처리 단위로 하였을 때,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있어서의, 수평 방향의 분할 경계를 따른 블록 행의 수와, 수직 방향의 분할 경계를 따른 블록 열의 수가 다르도록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가 설정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즉,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구성하는 블록 행의 수와 블록 열의 수가 다르게 되어,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의 범위가 다르게 한다.
상기한 본 기술에 따른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는, 분할 경계가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의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화소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블록을 부호화 처리 단위로 하였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있어서의, 수평 방향의 분할 경계를 따른 블록에 대해 상기 부호화 처리부에 지시하는 압축률과, 수직 방향의 분할 경계를 따른 블록에 대해 상기 부호화 처리부에 지시하는 압축률을 다르게 하는 것이 생각된다.
즉,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구성하는 블록 중, 수평행의 블록과 수직열의 블록에서 압축률이 다르게 한다.
본 기술에 따른 부호화 방법은,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대해, 해당 화상 데이터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때 분할 경계의 근방이 되는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대해서는,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 이외보다 비트 레이트가 높아지도록 부호화 처리를 한다.
이에 의해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구성하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화상 내의 다른 에리어보다 정보량이 많아지도록 한다.
본 기술에 따른 복호 장치는, 하나의 화상을 형성하는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되는 복수의 화상 데이터로서, 각각이, 분할되었을 때의 분할 경계의 근방에 설정된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대해서는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 이외보다 비트 레이트가 높게 되도록 부호화 처리가 실시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복호를 행하는 복수의 복호 처리부와, 복수의 상기 복호 처리부에 의해 복호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여 하나의 화상을 구성하는 화상 데이터로서 표시를 실행시키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있어서 비트 레이트가 높아진 분할 영역의 화상 데이터가 복호되고, 분할 경계에서 연결되도록 합성되어 표시된다.
도 1은 본 기술의 실시형태의 부호화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의 압축 인코더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의 처리 대상의 화상과 분할 영역의 설명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의 복호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의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설명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의 부호화 처리의 순서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의 부호화 처리의 순서도이다.
도 8은 제3 실시형태의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설명도이다.
도 9는 제4 실시형태의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제5 실시형태의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제6 실시형태의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제7 실시형태의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제8 실시형태의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설명도이다.
도 14는 제9 실시형태의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실시형태의 분할 영역의 다른 예의 설명도이다.
이하, 실시형태를 다음 순서로 설명한다.
<1. 부호화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구성>
<2. 복호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구성>
<3. 제1 실시형태의 부호화 처리>
<4. 제2 실시형태의 부호화 처리>
<5. 제3 내지 제9 실시형태의 레이트 제어 에리어>
<6. 정리 및 변형예>
<1. 부호화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구성>
도 1은 화상 데이터의 부호화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화상 처리 장치(1)는 부호화 장치(10), 기억부(13), 통신부(14), 조작부(15), 화상 소스(16)를 갖는다. 이 예에서는 부호화 장치(10)는 압축 인코더(11)와 컨트롤러(12)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고 있다.
화상 소스(16)는 부호화 처리의 처리 대상으로 하는 화상 데이터(IDT)(동영상 또는 정지 화상)를 부호화 장치(10)로 공급하는 부위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화상 처리 장치(1) 내에서 화상 데이터(IDT)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가 화상 소스(16)의 일례가 된다. 또한, 외부 장치로부터의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송신되어 오는 화상 데이터의 수신 장치도 화상 소스(16)의 일례가 된다. 나아가, 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 광디스크, 자기 테이프 등의 기억 매체로부터 화상 데이터(IDT)를 판독하는 재생 장치나, HDD(Hard Disk Drive) 등도 화상 소스(16)의 일례가 된다.
화상 소스(16)로부터의 화상 데이터(IDT)는 압축 인코더(11)로 공급되고, 압축 인코더(11)에서 화상 압축 부호화가 행해진다.
압축 인코더(11)의 구체예로서는 다양하게 생각되지만, 예를 들면 JPEG 2000 규격의 압축 부호화를 행하는 경우의 압축 인코더(11)의 구성예를 도 2에 나타낸다.
압축 인코더(11)에서는, 입력된 화상 데이터(IDT)는 웨이블렛 변환부(31)에서 웨이블렛 변환되고, 양자화부(32)에서의 양자화 처리를 거쳐 EBCOT(Embedded Block Coding with Optimal Truncation)(33)로 입력된다. EBCOT(33)는 비트 플레인 부호화기(35), 산술 부호화기(36)로서의 구성을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해, 웨이블렛 변환된 데이터는, 양자화되고 나서 EBCOT(33)에서 엔트로피 부호화를 행하게 된다. 즉, EBCOT(33)에서는, 웨이블렛 변환 계수 상에 정의된 사각형 영역인 코드 블록 단위로 부호화가 행해진다. 각 코드 블록은 비트 플레인 부호화기(35)에서 비트 플레인으로 분해되고, 계수 비트 모델링 처리에 의해, 3개의 부호화 패스로 분류된다. 그리고, 각각의 부호화 패스에 대해 산술 부호화기(36)에서 압축 처리가 행해진다.
여기서, 압축 인코더(11)에는 레이트 컨트롤러(34)로서의 구성을 구비하여, 레이트 컨트롤러(34)에 의해 양자화부(32) 및 EBCOT(33)가 제어됨으로써, 압축 처리의 데이터 단위마다 압축률을 설정할 수 있다.
레이트 컨트롤러(34)에 대해 컨트롤러(12)에 의해,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정보나 압축률이 지시됨으로써, 레이트 컨트롤러(34)가 이에 따라 압축률을 양자화부(32) 및 EBCOT(33)에 지시하고, 필요한 압축 처리가 실행되게 된다.
한편, 이상은 어디까지나 압축 인코더(11)의 일례이며, 예를 들면 MPEG4, H.264/MPEG-4AVC, JPEG 등 다른 압축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의 구성은 다르다.
예를 들면, 이러한 압축 인코더(11)에 의해 압축 부호화된 압축 화상 데이터(cIDT)는, 도 1의 기억부(13)로 공급되어 기억 매체에 기억된다.
또는, 압축 인코더(11)에 의해 압축 부호화된 압축 화상 데이터(cIDT)는, 통신부(14)에 의해 외부기기로 송신할 수도 있다.
기록부(13)의 형태는 여러 가지로 생각된다. 예를 들면, 기록부(13)는, 화상 처리 장치(1)에 내장되는 플래시 메모리라도 되고, 탈착 가능한 메모리 카드(예를 들면, 휴대형의 플래시 메모리)와 해당 메모리 카드에 대하여 기록 재생 액세스를 행하는 카드 기록 재생부에 의한 형태라도 된다. 또한, 본체부(2)에 내장되어 있는 형태로서 HDD 등으로서 실현되는 경우도 있다.
통신부(14)는, 외부기기와의 사이의 데이터 통신이나 네트워크 통신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행함으로써, 예를 들면 외부의 표시 장치, 기록 장치, 재생 장치 등의 사이에서 화상 데이터의 통신을 행한다. 또한, 통신부(14)는, 네트워크 통신부로서, 예를 들면 인터넷, 홈 네트워크,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각종 네트워크에 의한 통신을 행하고, 네트워크 상의 서버, 단말,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사이에서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컨트롤러(12)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을 구비한 마이크로 컴퓨터(연산 처리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CPU가 ROM이나 플래시 메모리 등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압축 부호화 처리를 제어한다.
RAM은, CPU의 각종 데이터 처리시의 작업 영역으로서,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의 일시적인 저장에 사용된다.
ROM이나 플래시 메모리(불휘발성 메모리)는, CPU가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한 OS(Operating System)나, 각종의 처리 파라미터나, 각종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등의 기억에 사용된다
이 컨트롤러(12)는,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IDT)의 분할 설정, 화상 데이터(IDT)에 있어서의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설정, 압축 인코더(11)에 대한 레이트 제어 에리어나 압축률의 지시 등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들 제어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IDT)에 있어서의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대해서는, 레이트 제어 에리어 이외보다 비트 레이트가 높아지도록 하는 압축 부호화 처리가 행해진다.
레이트 제어 에리어란, 화상 데이터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때 분할 경계의 근방이 되는 영역이며, 예를 들면 고정적으로 정해져 있어도 되고, 컨트롤러(12)가 설정해도 된다.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구체예는 후술한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12)는, 화상 소스(16)의 화상 데이터(IDT)를 취득하고, 해석하여, 화상 데이터(IDT)의 해석 결과에 따라 화상 데이터(IDT)의 분할 설정, 화상 데이터(IDT)에 있어서의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설정, 압축 인코더(11)에 대한 레이트 제어 에리어나 압축률의 지시 등을 행하는 것이 상정된다.
조작부(15)는 화상 처리 장치(1)를 사용하는 유저의 조작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 디바이스를 총괄하여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키 스위치, 터치 패널, 음성 입력부, 원격 조작부 등이다. 이들 조작 디바이스에 의해 유저는 각종 조작 입력을 행할 수 있고, 컨트롤러(12)는 조작에 따른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IDT)의 분할 영역의 지시, 부호화 처리의 모드 선택 (예를 들면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설정 방식의 선택, 압축률의 선택 등)을 유저가 행하는 것도 상정된다. 컨트롤러(12)는 이들 유저 조작에 따라, 화상 데이터(IDT)의 분할 설정, 화상 데이터(IDT)에 있어서의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설정, 압축 인코더(11)에 대한 레이트 제어 에리어나 압축률의 지시 등을 행하는 것도 상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한 장의 정지 화상 또는 동영상으로서의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데이터(IDT)를 압축 부호화하는 것이지만, 기억부(13) 또는 통신부(14)에서 처리되는 단계에서는,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된 화상 데이터로서 취급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1의 화상 데이터(IDT)는 4개의 분할 화상 데이터(PP1, PP2, PP3, PP4)로 분할되도록 하고, 이들 분할 화상 데이터(PP1, PP2, PP3, PP4)에 대응하는 압축 화상 데이터(cPP1, cPP2, cPP3, cPP4)가 기억부(13)에서 기억되거나, 통신부(14)로부터 외부기기로 송신된다.
도 3A는 한 장의 화상을 구성하는 화상 데이터(IDT)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이 화상 데이터는 8K×4K로서, 수평 방향으로 8K(7680 화소), 수직 방향으로 4K(3840 화소)로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이 때, 파선으로 나타내는 분할 경계(dv)에 의해, 4개의 분할 영역으로 분할된다. 분할된 4개의 분할 화상 데이터(PP1, PP2, PP3, PP4)의 화상을 도 3B에 나타내고 있다. 이들 분할 화상 데이터(PP1, PP2, PP3, PP4)는, 각각 4K×2K로서, 수평 방향으로 4K(3840 화소), 수직 방향으로 2K(1920 화소)로 구성되게 된다.
예를 들면 이와 같이 4K×2K의 분할 화상 데이터(PP1, PP2, PP3, PP4)에 대해 압축 부호화된 압축 화상 데이터(cIDT)(cPP1, cPP2, cPP3, cPP4)를 생성함으로써, 복호시에는 보급되어 있는 4K×2K 대응의 디코더를 사용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예를 들면 보다 대화면을 구성하는 화상 데이터에 대해, 그 시점에서 일반적인 화상에 대응하는 디코더(보급되어 있는 디코더)를 사용할 수 있는 점에서, 분할하는 이점이 있다.
<2. 복호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구성>
이상의 화상 처리 장치(1)에서 압축 부호화된 압축 화상 데이터(cIDT)(예를 들면 4개의 압축 화상 데이터(cPP1, cPP2, cPP3, cPP4)를 입력받아, 화상 표시를 위해 복호하는 화상 처리 장치(2)의 구성예를 도 4A에 나타낸다.
화상 처리 장치(2)는, 복호 장치(20), 표시부(26), 화상 소스(27)를 갖는다. 이 예에서는 복호 장치(20)는 4개의 디코더(21, 22, 23, 24)와 표시 컨트롤러(25)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고 있다.
화상 소스(27)는 복호 처리의 처리 대상으로 하는 압축 화상 데이터(cIDT)를 복호 장치(20)에 공급하는 부위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화상 처리 장치(2) 내에서 압축 화상 데이터(cIDT)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가 화상 소스(27)의 일례가 된다. 또한, 외부 장치로부터의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송신되어 오는 화상 데이터의 수신 장치도 화상 소스(27)의 일례가 된다. 나아가, 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 광디스크, 자기 테이프 등의 기억 매체로부터 화상 데이터(IDT)를 판독하는 재생 장치나, HDD(Hard Disk Drive) 등도 화상 소스(27)의 일례가 된다.
이 화상 소스(27)는, 예를 들면 4개로 분할된 압축 화상 데이터(cPP1, cPP2, cPP3, cPP4)를, 각각 4개의 디코더(21, 22, 23, 24)에 병렬로 공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분할 화상 데이터(PP1, PP2, PP3, PP4)가 4K×2K의 화상 데이터인 경우, 디코더(21, 22, 23, 24)는, 각각 4K×2K에 대응하는 디코더이며, 예를 들면 JPEG 2000 규격에 대응하는 복호를 행하는 것이 된다. 물론 이는 일례이며, 부호화에 대응한 복호기로 되는 것은 당연하다.
디코더(21, 22, 23, 24)에 의해서는, 각각이 압축 화상 데이터(cPP1, cPP2, cPP3, cPP4)에 1:1로 대응하여 신장 복호를 행하고, 복호 결과로서의 분할 화상 데이터(PP1, PP2, PP3, PP4)가 얻어진다.
이들 분할 화상 데이터(PP1, PP2, PP3, PP4)는, 표시 컨트롤러(25)로 공급된다.
표시 컨트롤러(25)에서는, 분할 화상 데이터(PP1, PP2, PP3, PP4)를 합성하여 원래의 화상 데이터(IDT)를 생성하고, 그 화상 데이터(IDT)에 기초하여 표시부(26)의 표시 구동을 행한다.
이에 의해 표시부(26)에는,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할 화상 데이터(PP1, PP2, PP3, PP4)가 연결되어 합성된 원래의 화상 데이터(IDT)의 화상이 표시된다.
표시부(26)는, 예를 들면 LED 등의 자발광 소자를 화소로서 사용한 표시 디바이스가 상정된다. 물론 LED에 한하지 않고, 유기 EL 소자를 사용한 디스플레이 등, 다른 표시 디바이스이어도 된다.
또한, 이들 자발광 표시 디바이스로서, 타일링 디스플레이로 불리는 소정의 화소 단위의 유닛을 타일 형상으로 배열하여 화면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정된다.
그리고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시 디바이스로서는, 화상의 이음매 부분에서 프로젝터에 의해 행해지는 것과 같은 오버랩 표시를 행하지 않는 표시 디바이스를 상정하고 있다.
<3. 제1 실시형태의 부호화 처리>
이상과 같이 화상 처리 장치(1)(부호화 장치(10))에서는, 원래의 화상 데이터(IDT)를 분할하고, 분할 영역마다의 압축 화상 데이터(cIDT)(cPP1, cPP2, cPP3, cPP4)를 생성한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2)(복호 장치(20))는, 압축 화상 데이터(cIDT)(cPP1, cPP2, cPP3, cPP4)를 각각 복호하고, 합성하여 표시시키도록 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8K×4K와 같은 대화상에 대해, 예를 들면 4K×2K의 디코더를 사용하여 재생계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화상의 이음매 부분(즉, 분할 경계(dv) 부분)이 두드러지게 되어, 화상 품질이 저하되는 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압축 부호화에 의해 비트 레이트를 저하시킬 때, 압축률을 올리고 비트 레이트를 낮출수록 압축 오차가 증가하는 것, 및 분할 경계(dv)의 부근에서는 일방의 화상 분할 영역에서의 오차와 타방의 분할 영역에서의 오차가 상승 작용하여, 화상 상에서 차이가 크게 발생하는 데 따른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휘도나 색의 변화가 많은 복잡한 화상보다, 휘도나 색의 기복이 적은 화상(예를 들면, 도 3과 같은 정원의 모래 화상이나, 바다나 하늘 화상 등)에서는, 이음매가 보다 두드러지기 쉽게 된다.
이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할 경계(dv)의 근방이 되는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대해서는, 레이트 제어 에리어 이외보다도 비트 레이트가 높아지도록 부호화 처리를 행하도록 한다.
도 5에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예를 제시한다.
도 5는, 분할 경계(dv)에서 분할된 분할 화상 데이터(PP1, PP2, PP3, PP4)를 나타내고 있다.
선으로 구획된 1모음이 블록(BK)이다. 블록(BK)은, 압축 처리의 단위이며, 예를 들면 8×8픽셀로 된다. 이는 일례이며, 압축 처리의 단위로서의 블록(BK)은 2×2픽셀, 4×4픽셀, 16×16픽셀 등으로 되어도 된다.
한편, 도면의 번잡화를 피하기 위해 「BK」문자는 일부에만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면의 가시성을 고려하여, 분할 화상 데이터(PP1, PP2, PP3, PP4)를 이격시켜 나타내고 있지만, 이는 도 3A, 도 3B를 참조하여 알 수 있듯이, 원래의 화상 데이터(IDT)로 생각하면, 사선으로 되어있는 블록끼리는 인접하는 블록이 되고, 그 블록(BK)의 경계선이 분할 경계(dv)가 된다.
여기서 사선으로 되어있는 블록(BK)의 범위를 레이트 제어 에리어로 한다.
이 도 5의 예의 경우, 수평 방향의 분할 경계(dv)를 따른 상하의 각 1행의 블록(BK) 및 수직 방향의 분할 경계(dv)를 따른 좌우의 각 1열의 블록(BK)의 범위가 레이트 제어 에리어가 된다.
설명상, 레이트 제어 에리어 이외는 「통상 처리 에리어」라고 부른다. 사선부로 되어 있지 않은 블록(BK)의 범위가 통상 처리 에리어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행」또는 「열」은 블록(BK)의 수평 방향의 배열 또는 수직 방향의 배열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이 경우, 통상 처리 에리어에 대해서는 압축률(RN)로 압축 부호화를 행하고,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서는 압축률(R1)로 압축 부호화를 행하는 것으로 한다. RN>R1이다.
압축률(RN)은, 본래, 화상 전체에 적용하려고 하는 압축률이라고 생각해도 된다.
즉, 통상 처리 에리어는 압축률(RN)로 압축 부호화함으로써, 어느 정도 비트 레이트를 억제하는 것이 압축의 목적이 되지만,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대해서는 압축률(RN)에 비교해서 낮은 압축률(R1)로 압축 부호화함으로써 비트 레이트를 통상 처리 에리어보다 높게 한다.
이에 의해 분할 경계(dv)에서는 압축 오차가 억제되도록 한다. 분할 경계(dv)에 접하는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각 블록(BK)에서 압축 오차가 억제됨으로써, 합성되어 표시될 때, 오차가 중첩되어 이음매가 두드러지는 것을 해소하는 것이다.
압축 인코더(11)에 이러한 부호화 처리를 실행시키는 컨트롤러(12)의 처리 예를 도 6에 나타낸다. 또한, 도 6에서는 각 단계의 우측에 화상 데이터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컨트롤러(12)는 단계(S101)에서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IDT)를 특정한다. 즉, 화상 소스(16)로부터 압축 인코더(11)로 전송하는 화상 데이터(IDT)를 특정한다.
단계(S102)에서 컨트롤러(12)는, 처리 대상으로 한 화상 데이터(IDT)에 대해 분할 설정을 행한다. 즉, 분할 경계(dv)를 설정하고, 몇 개의 분할 영역으로 나누어지도록 한다.
단계(S103)에서 컨트롤러(12)는, 분할 경계(dv)를 기준으로 레이트 제어 에리어(RCA)(사선부)를 설정한다. 예를 들면, 도 5와 같이 분할 경계(dv)에 접하는 1행, 1열의 블록 범위를 레이트 제어 에리어(RCA)로 한다.
단계(S104)에서 컨트롤러(12)는, 화상 데이터(IDT)에 대해 압축 인코더(11)에 압축 부호화를 실행시킨다. 이 때 컨트롤러(12)는, 압축 인코더(11)에 레이트 제어 에리어(RCA)에 해당하는 블록(BK)을 통지함과 함께, 통상 처리 에리어의 블록(BK)에 대해서는 압축률(RN)로 압축 부호화를 행하고, 레이트 제어 에리어(RCA)에 해당하는 블록(BK)에 대해서는, 압축률(R1)로 압축 부호화를 행하도록 압축 인코더(11)에 지시한다. 압축 인코더(11)에서는, 예를 들면 레이트 컨트롤러(34)가 이 지시를 받고, 양자화부(32) 및 EBCOT(33)에서, 블록마다 지시에 따른 압축률의 압축 부호화가 실행되도록 한다.
압축 부호화가 행해지면, 단계(S105)에서 컨트롤러(12)는, 분할 경계(dv)에서 화상 분할하고, 분할된 각 화상의 압축 화상 데이터(cIDT)(예를 들면 압축 화상 데이터(cPP1, cPP2, cPP3, cPP4))를, 기억부(13)에서 기억되도록 하고, 또는 통신부(14)에 의해 외부기기로 송신되도록 제어한다.
이상으로, 레이트 제어 에리어(RCA)에서 비트 레이트가 높게 된 압축 화상 데이터(cIDT)가 얻어진다.
이러한 압축 화상 데이터(cIDT)는, 예를 들면 도 4의 구성 화상 처리 장치(2)에 의해 복호되어 합성되며, 원래의 화상 데이터(IDT)의 화상이 표시된다. 이 때 분할 경계(dv)에서 이음매가 두드러지는 것이 해소되고 있다.
<4. 제2 실시형태의 부호화 처리>
제2 실시형태로서의 컨트롤러(12)의 처리 예를 도 7에 나타낸다. 도 7에서도 각 단계의 우측에 화상 데이터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컨트롤러(12)는 단계(S101)에서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IDT)를 특정한다.
그리고 단계(S102)에서 컨트롤러(12)는, 처리 대상으로 한 화상 데이터(IDT)에 대해 분할 설정을 행한다. 즉, 분할 경계(dv)를 설정하고, 몇 개의 분할 영역으로 나누어지도록 한다. 이상은 도 6과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컨트롤러(12)는 단계(S110)에서 화상 분할을 행한다. 즉, 컨트롤러(12)는 분할 경계(dv)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IDT)를 분할하고, 각 분할 영역에 관한 분할 화상 데이터(PP1, PP2, PP3, PP4)를 형성한다.
단계(S111)에서 컨트롤러(12)는 분할 경계(dv)를 기준으로 레이트 제어 에리어(RCA)(사선부)를 설정한다.
이 경우, 이미 분할 화상 데이터(PP1, PP2, PP3, PP4)로 나뉘어져 있으므로, 이들 분할 화상 데이터(PP1, PP2, PP3, PP4)의 각각에 대해, 예를 들면 도 5와 같이 분할 경계(dv)에 접하는 1행, 1열의 블록(BK)의 범위를 레이트 제어 에리어(RCA)로 한다.
단계(S112)에서 컨트롤러(12)는, 분할 화상 데이터(PP1, PP2, PP3, PP4)에 대해, 순차적으로 압축 인코더(11)에 압축 부호화를 실행시킨다. 이 때 컨트롤러(12)는, 각 분할 화상 데이터(PP1, PP2, PP3, PP4)마다 레이트 제어 에리어(RCA)를 통지함과 함께, 통상 처리 에리어의 블록(BK)에 대해서는 압축률(RN)로 압축 부호화를 행하고, 레이트 제어 에리어(RCA)에 해당하는 블록(BK)에 대해서는, 압축률(R1)로 압축 부호화를 행하도록 압축 인코더(11)에 지시한다.
나아가 컨트롤러(12)는, 압축 인코더(11)에 압축 처리의 완료에 따라 압축 화상 데이터(cIDT)(cPP1, cPP2, cPP3, cPP4)를 기억부(13) 또는 통신부(14)에 전송하도록 지시한다.
압축 인코더(11) 내에서는 레이트 컨트롤러(34)의 제어에 의해, 예를 들면 분할 화상 데이터(PP1)를 압축하는 경우, 그 분할 화상 데이터(PP1)에 대한 레이트 제어 에리어(RCA)의 블록(BK)에 대해 압축률이 낮아지는 압축 처리를 행하게 된다. 그리고 압축 화상 데이터(cPP1)를 기억부(13)에 전송하여 기억시킨다. 또는 통신부(14)에 전송하여 외부기기로 송신시킨다.
이러한 처리를 순차적으로 분할 화상 데이터(PP2, PP3, PP4)에도 실시해 간다.
이상으로, 레이트 제어 에리어(RCA)에서 비트 레이트가 높게 된 압축 화상 데이터(cIDT)(cPP1, cPP2, cPP3, cPP4)가 얻어진다.
이러한 압축 화상 데이터(cIDT)는, 예를 들면 도 4의 구성 화상 처리 장치(2)에서 복호되고 합성되어, 원래의 화상 데이터(IDT)의 화상이 표시된다. 이 때 분할 경계(dv)에서 이음매가 두드러지는 것이 해소되고 있다.
<5. 제3 내지 제9 실시형태의 레이트 제어 에리어>
이하, 제3 내지 제8 실시형태로서는,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설정 예를 든다. 또한 각 도면은, 도 5와 마찬가지로 분할 화상 데이터(PP1, PP2, PP3, PP4)로 떨어뜨린 상태로, 사선으로 된 블록(BK)의 범위로서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나타내고 있다.
제3 실시형태의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도 8에 나타낸다.
도 8은 수평 방향의 분할 경계(dv)에 접하는 블록의 행(블록(BK)의 수평 방향의 배열)으로부터 연속하는 복수 블록행(이 경우는 상하 각 2행) 및 수직 방향의 분할 경계(dv)에 접하는 블록의 열(블록(BK)의 수직 방향의 배열)으로부터 연속하는 복수 블록열(이 경우는 좌우 각 2열)의 범위가 레이트 제어 에리어로 된 예이다. 즉, 각 분할 화상 데이터(PP1, PP2, PP3, PP4)에 있어서 분할 경계(dv) 측의 2행 2열의 범위가 레이트 제어 에리어가 된다.
또한 원래의 화상 데이터(IDT)에서 보면 분할 경계(dv)를 사이에 두는 4행 4열의 범위가 레이트 제어 에리어가 되지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분할 화상 데이터(PP1, PP2, PP3, PP4)의 단위로 생각하여, 도 8의 예는 「2행 2열」이라고 표현하여 설명한다.
이 도 8의 2행 2열과 같이 분할 경계(dv)로부터 보아 복수 행, 복수 열의 범위에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설정해도 된다. 물론 2행 2열이라고 하는 것은 일례로, 3행 3열, 4행 4열 또는 그 이상의 행 수, 열 수도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복수행, 복수열의 레이트 제어 에리어는, 통상 처리 에리어보다 낮은 압축률(R1)로 압축 부호화가 행해지고, 비트 레이트가 통상 처리 에리어보다 높게 된다.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넓게 하는 것은, 이음매의 두드러짐의 해소에 유효하게 된다.
제4 실시형태의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도 9에 나타낸다.
도 9에서도, 수평 방향의 분할 경계(dv)에 접하는 블록의 행으로부터 연속하는 복수 블록행(이 경우는 상하 각 2행) 및 수직 방향의 분할 경계(dv)에 접하는 블록의 열로부터 연속하는 복수 블록열(이 경우는 좌우 각 2열)의 범위가 레이트 제어 에리어로 되어 있다.
단, 레이트 제어 에리어 내에서도 압축률이 다른 영역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분할 경계(dv)에 접하는 블록(BK)은, 압축률(R1)의 영역으로 하고, 분할 경계(dv)에 접하지 않는 분할 경계(dv)로부터 보아 2행째 또는 2열째의 블록(BK)은, 압축률(R2)의 영역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RN>R2>R1이다.
즉, 분할 경계(dv)에 가장 가까운 블록(BK)은 높은 비트 레이트로 하고, 분할 경계(dv)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비트 레이트가 낮아지도록 한다.
이 도 9에서는 압축률(R1, R2)의 2단계로 압축률이 설정되는 예로 하였으나, 3단계, 4단계와 같이 압축률이 설정되어, 보다 다단계로 분할 경계(dv)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비트 레이트가 낮아지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6행 6열의 블록을 레이트 제어 에리어로 하고, 2행 2열씩 분할 경계(dv)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압축률을 R1, R2, R3(단, RN>R3>R2>R1)으로 점점 높아지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분할 경계(dv)에 가장 가까운 블록의 압축률(R1)과, 통상 처리 에리어의 압축률(RN)의 사이에서의, 압축률의 변화 폭, 단계수, 각 압축률의 행 수/열 수는 다양하게 생각할 수 있다.
결국, 이 제4 실시형태의 경우, 비트 레이트가 분할 경계(dv)를 향해 감에 따라 점점 높아지도록 하는 것인데, 이것 또한 화상의 이음매를 두드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에 유효하다.
물론 컨트롤러(12)는, 이와 같이 레이트 제어 에리어 내에서도 다른 압축률을 설정하는 경우는, 압축 인코더(11)에 대해,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관한 정보로서, 압축률(R1, R2, ···)과, 압축률(R1)의 블록(BK), 압축률(R2)의 블록(BK), ···을 지시하게 된다.
제5 실시형태의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도 10A, 도 10B에 나타낸다.
이는,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예를 들면 도 10A, 도 10B와 같이 분할 경계(dv)로부터 1행 1열로 하지만(또는, 복수행 복수열이어도 됨), 적용하는 압축률을 스위칭하는 예이다.
예를 들면, 도 10A는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블록(BK)에 대해 압축률(R1)로 하고 있지만, 도 10B는 같은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블록(BK)에 대해 압축률(R2)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컨트롤러(12)는,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설정은 변경하지 않지만,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적용하는 압축률을 변경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IDT)의 화상 내용에 따라 압축률을 가변 설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휘도나 색의 변화로서 기복이 적은 화상일수록, 이음매가 두드러지기 쉬운 경향이 있다. 이에, 컨트롤러(12)는 화상 데이터(IDT)를 해석하여, 특히 분할 경계(dv)의 주변의 휘도나 색의 변화 경향을 판정한다. 그리고 변화가 큰 화상일 때는, 원래 그다지 이음매는 두드러지지 않기 때문에 도 10B와 같이 비교적 높은 압축률(R2)(비트 레이트 낮음)로 하지만, 변화가 적은 매끄러운 화상일 때는, 이음매가 두드러지기 때문에 도 10A와 같이 낮은 압축률(R1)(비트 레이트 높음)로 하는 등이 생각된다.
또한, 요구되는 데이터 사이즈에 따라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압축률을 가변 설정해도 된다. 가능한 한 데이터 사이즈를 작게 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는, 도 10B와 같이 비교적 높은 압축률(R2)(비트 레이트 낮음)을 선택하는 등이다.
또한, 컨트롤러(12)는 유저 조작에 따라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압축률을 선택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는, 이음매의 두드러짐의 해소인가, 데이터량의 축소인가 하는 점에서 바람직한 쪽을 지시한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12)가 압축률을 선택하도록 한다.
또한,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관해서는 압축률(R1, R2)의 2단계뿐만 아니라, 3단계 이상으로 가변 설정되도록 해도 된다.
제6 실시형태의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도 11A, 도 11B에 나타낸다.
이는,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범위를 예를 들면 도 11A, 도 11B와 같이 스위칭하는 예이다. 도 11A는 분할 경계(dv)로부터 1행 1열을 레이트 제어 에리어로 하고 있다. 한편, 도 11B는 분할 경계(dv)로부터 2행 2열을 레이트 제어 에리어로 하고 있다.
이 경우도,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IDT)의 화상 해석 결과나 유저 조작에 따라, 컨트롤러(12)가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범위를 가변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도 11B의 쪽이, 도 11A보다 이음매의 두드러짐의 해소에 유리한 한편, 도 11A의 쪽이 도 11B보다 데이터량 삭감의 측면에서 유리하다.
한편,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대해 1행 1열과 2행 2열을 선택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는 일례이다. 예를 들면 2행 2열과 5행 5열을 선택하는 것 같은 예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보다 다단계로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범위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2행 2열과, 5행 5열과, 7행 7열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이다.
물론 특히 선택 가능한 행, 열 수를 한정하지 않고, 화상 해석이나 유저 입력 등에 따라, 적절한 행 수, 열 수로 레이트 제어 에리어가 설정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레이트 제어 에리어로서의 범위는, 예를 들면 화상 내용에 따라 바꾸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분할 경계(dv)의 부근에 있어서의, 매끄러운 화상 내용의 범위에 따라, 행 수나 열 수를 설정하는 것이 생각된다.
제7 실시형태의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도 12A, 도 12B에 나타낸다. 이는 제5, 제6 실시형태의 개념을 합한 것이다.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범위를 예를 들면 도 12A, 도 12B와 같이 스위칭하는 예인데, 도 12A는 분할 경계(dv)로부터 1행 1열을 레이트 제어 에리어로 하여 압축률(R1)로 하는 예이다. 한편 도 12B는 분할 경계(dv)로부터 2행 2열을 레이트 제어 에리어로 하여 압축률을 R2로 하는 예이다.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IDT)의 화상 해석 결과나 유저 조작에 따라, 컨트롤러(12)가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범위 및 압축률을 가변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해 화상 내용이나 처리의 목적에 따른 압축 부호화가 가능하게 된다.
제8 실시형태의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도 13A, 도 13B에 나타낸다.
이것 또한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범위를 예를 들면 도 13A, 도 13B와 같이 스위칭하는 예인데, 도 13A는 수평 방향의 분할 경계(dv)로부터 2행과 수직 방향의 분할 경계(dv)로부터 1열을 레이트 제어 에리어로 하고 있다. 한편, 도 13B는 수평 방향의 분할 경계(dv)로부터 1행과 수직 방향의 분할 경계(dv)로부터 2열을 레이트 제어 에리어로 하고 있다.
즉,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에서의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범위를 가변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수평 방향의 이음매가 두드러지는 화상의 경우는 도 13A가 유효하다. 그리고 이 경우,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열 수에 대해서는 적게 함으로써 데이터량 삭감에 기여한다.
또한 수직 방향의 이음매가 두드러지는 화상의 경우는 도 13B가 유효하다. 그리고 이 경우,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행 수에 대해서는 적게 함으로써 데이터량 삭감에 기여한다.
이와 같이 화상 내용에 따라, 수평 방향, 수직 방향의 어느 쪽에서 이음매 해소를 위한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넓게 취할지를 가변함으로써, 이음매의 두드러짐의 해소와 함께, 데이터량 삭감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나아가 이 개념을 진전시켜, 레이트 제어 에리어는 수평 방향의 분할 경계(dv)를 따른 블록 행만으로 하거나, 반대로 수직 방향의 분할 경계(dv)를 따른 블록 열만으로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제9 실시형태의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도 14A, 도 14B에 나타낸다.
이는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압축률을 스위칭하는 예이다. 도 14A는 수평 방향의 분할 경계(dv)를 따른 블록(BK)은 압축률(R2), 수직 방향의 분할 경계(dv)를 따른 블록(BK)은 압축률(R1)로 하고 있다.
도 14B는 수평 방향의 분할 경계(dv)를 따른 블록(BK)은 압축률(R1), 수직 방향의 분할 경계(dv)를 따른 블록(BK)은 압축률(R2)로 하고 있다.
한편, 어느 경우도, 수평, 수직의 분할 경계(dv)의 양쪽을 따르게 되는 코너부의 블록(BK)은, 압축률(R1, R2)의 어느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접속점이 집중되기 때문에, 낮은 압축률(R1)로 하여 비트 레이트를 높게 해 두면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수평 방향의 이음매가 두드러지는 화상의 경우는 도 14B가 유효하고, 수직 방향의 이음매가 두드러지는 화상의 경우는 도 14A가 유효하다. 각각의 경우에 타방의 압축률을 올림(비트 레이트를 낮춤)으로써 데이터량 삭감에 기여한다.
한편, 도 13A, 도 13B의 개념과, 도 14A, 도 14B의 개념을 합한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즉, 도 13A, 도 13B와 같이 수평 수직 방향의 행 수, 열 수를 스위칭함과 함께, 압축률도 수평 방향의 블록 행과 수직 방향의 블록 열로 스위칭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어느 경우는, 2행 1열에서 행의 압축률(R1), 열의 압축률(R2)로 하고, 다른 어느 경우는, 1행 2열에서 행의 압축률(R2), 열의 압축률(R1)로 하는 등이다. 물론, 보다 다단계로 스위칭되도록 해도 된다.
이상, 각종 실시형태의 레이트 제어 에리어나, 이들의 변형예를 언급하였으나,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설정 예는 더 다양하게 생각할 수 있다. 도 5, 도 8, 도 9, 도 10A, 도 10B, 도 11A, 도 11B, 도 12A, 도 12B, 도 13A, 도 13B, 도 14A, 도 14B의 각 예 중 복수 예의 조합도 다양하게 상정된다.
화상 내용이나 유저 입력 등에 따라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설정이나 압축률을 스위칭하는 경우도, 이들 각 예를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이상의 각 예에서는, 분할 화상 데이터(PP1, PP2, PP3, PP4)의 각각에 있어서 마찬가지로(마찬가지의 규칙으로) 레이트 제어 에리어가 설정되는 예로 하였으나, 서로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범위나 압축률이 다르게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분할 화상 데이터(PP1)에서는, 레이트 제어 에리어가 1행 1열로 설정되고, 분할 화상 데이터(PP3)에서는 레이트 제어 에리어가 2행 1열로 설정되는 등이다.
또는 분할 화상 데이터(PP1)에서는, 레이트 제어 에리어가 1행 1열로 압축률(R1)로 설정되고, 분할 화상 데이터(PP3)에서는 레이트 제어 에리어가 2행 1열로 압축률(R2)로 설정되는 등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3A, 도 3B와 같이 원래의 화상 데이터(IDT)를 4분할하는 경우로 설명하였으나, 분할 수나 분할 경계(dv)의 위치는 다양하게 생각된다.
예를 들면 도 15는, 10K×4K의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예시하고 있다.
이를 분할 화상 데이터(PP1, PP2, PP3, PP4, PP5, PP6)로 분할하는 분할 경계(dv)를 설정한다. 이 경우, 분할 화상 데이터(PP1, PP2, PP4, PP5)는 4K×2K의 화상 데이터가 되고, 분할 화상 데이터(PP3, PP6)는 2K×2K의 화상 데이터가 된다. 이러한 분할을 행하는 경우에도, 사선부로 나타내는 레이트 제어 에리어(RCA)를 설정하고, 그 범위에서는 압축률을 낮게 하여 비트 레이트가 높아지도록 함으로써, 복호하여 표시를 할 때 이음매의 두드러짐을 해소시킬 수 있다.
<6. 정리 및 변형예>
이상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형태의 부호화 장치(10)는,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 처리를 행하는 압축 인코더(11)(부호화 처리부)와,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때 분할 경계의 근방이 되는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대해서는, 레이트 제어 에리어 이외(통상 처리 에리어)보다 비트 레이트가 높게 되도록 부호화 처리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2)(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구성하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화상 내의 통상 처리 에리어보다 정보량이 많게 된다. 화상을 분할된 상태로 압축 부호화가 행해지고 있는 화상을, 복호하여 서로 연결시키면, 그 경계부분에서 화상의 이음매가 두드러지게 될 수 있지만, 분할 경계(dv)의 근방의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대해 비트 레이트를 높게 해 둠으로써, 이음매가 두드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화상을 분할하여 인코드, 디코드하는 화상 처리계에 있어서 고품위 화상을 표시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LED 디스플레이와 같은 자발광형 표시 디바이스에서의 대화면 표시에 바람직하다.
실시형태의 부호화 장치(10)는, 압축 인코더(11)에서 압축 부호화 처리를 행하는데, 컨트롤러(12)는,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대해서는 통상 처리 에리어에 대한 압축률보다 낮은 압축률로의 압축 부호화 처리를 지시하도록 하고 있다.
즉, 분할 경계의 근방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데이터는, 낮은 압축률로 압축 처리됨으로써 비트 레이트가 높게 되도록 한다.
통상 처리 에리어에 관해서는 비교적 높은 압축률(RN)로 압축을 행하고,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대해서는 비교적 낮은 압축률(R1나 R2)로 압축을 행한다. 이에 의해 압축 후의 데이터량으로서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서는 화상 데이터의 비트 레이트가 높게 된다.
비트 레이트가 낮으면 압축 오차가 두드러지게 되고, 분할 경계 근방에서는 오차가 확대되어 이음매가 보이게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압축률을 낮추어 데이터량을 많게 하고, 압축 오차를 저감시킨다. 이에 의해 복호, 합성 후의 표시 화상에 있어서 이음매가 두드러지는 현상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컨트롤러(12)가 도 6 또는 도 7과 같은 제어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압축 인코더(11) 내에서, 예를 들면 레이트 컨트롤러(34)가 해당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제1, 제2 실시형태로서 나타낸 처리(도 6, 도 7 참조)에서는, 컨트롤러(12)는,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의 분할 경계에 기초하여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설정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하였다(S103, S111).
예를 들면, 레이트 제어 에리어는, 분할 경계(dv)로부터 x행 수 또는 y열 수의 블록까지 등으로 규칙적으로 설정해도 되고, 유저 조작이나 화상 내용에 따라 가변 설정해도 된다. 컨트롤러(12)의 처리로서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설정함으로써 유연한 처리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레이트 제어 에리어는 화상 사이즈나 블록(BK)의 사이즈 등에 따라 고정적으로 설정되도록 해도 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컨트롤러(12)는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의 분할 경계(dv)를 설정하고(도 6의 S102), 분할 경계에 기초하여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설정하고(S103),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대해서는 통상 처리 에리어보다 비트 레이트가 높게 되도록 지시하여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IDT)에 대한 부호화 처리를 압축 인코더(11)에 실행시키도록(S104) 하였다.
즉, 분할 경계(dv)를 설정하여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설정한 후에,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지시하여 부호화 처리를 실행시킨다. 이에 의해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서 압축률을 다르게 하는 압축 부호화가 실행된다.
이 경우, 원래의 화상 데이터에 대해, 임의로 영역 분할할 수 있기 때문에, 복호계, 표시계의 장치나 회로 구성에 따른 분할 경계 설정이 가능하게 되고, 이 경우 적절하게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컨트롤러(12)는, 부호화 처리가 행해진 화상 데이터를, 설정한 분할 경계에서 분할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로서 취급되도록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였다(도 6의 S105).
즉, 원래의 화상 데이터(IDT) 전체에서 압축 처리가 된 후, 분할된 복수의 압축 화상 데이터(cIDT)(예를 들면 압축 화상 데이터(cPP1, cPP2, cPP3, cPP4))가 기억되거나 송신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복호 시에 접합되는 복수의 분할 영역의 압축 화상 데이터(cIDT)가 준비된다. 그 압축 화상 데이터(cIDT)는 각각 접합하는 경계 부근의 화상 데이터가 높은 비트 레이트로 되어 있게 된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컨트롤러(12)는,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IDT)의 분할 경계(dv)를 설정하고(도 7의 S102), 분할 경계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를 분할하고(S110), 분할 영역마다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설정하고(S111), 부호화 처리를 압축 인코더(11)에 실행시키는(S112) 예를 설명하였다.
이러한 처리에서도,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서 압축률이 다른 압축 부호화가 실행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원래의 화상 데이터에 대해, 임의로 영역 분할할 수 있기 때문에, 복호계, 표시계의 장치나 회로 구성에 따른 분할 경계 설정이 가능하게 되고, 그 경우 적절하게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설정할 수 있다.
제1, 제3 내지 제9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화소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블록(BK)을 부호화 처리 단위로 하였을 때,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는, 적어도 분할 경계에 접하는 블록(BK)이 포함되는 것으로 하였다. 즉, 한 변이 분할 경계를 형성하고 있는 블록(BK)의 행 또는 열이,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도 5, 도 8, 도 9, 도 10A, 도 10B, 도 11A, 도 11B, 도 12A, 도 12B, 도 13A, 도 13B, 도 14A, 도 14B의 어느 예도 분할 경계(dv)에 접하는 블록(BK)(사선부)은 레이트 제어 에리어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분할 경계에 접하는 블록(BK)이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포함되고, 높은 비트 레이트로 됨으로써, 복호 후의 표시 시에 이음매 두드러짐의 방지에 유효하게 된다.
또한, 도 5와 같이 비트 레이트를 높게 하는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최소한으로 하면 데이터량의 삭감에 적합하다.
제3, 제4, 제6, 제7, 제8 실시형태에서는,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는, 분할 경계에 접하는 블록의 행으로부터 연속하는 복수 블록행, 또는 분할 경계에 접하는 블록의 열로부터 연속하는 복수 블록열이 포함되는 경우를 나타냈다.
즉, 적어도 분할 경계에 접하는 블록의 행 또는 열로부터 복수의 행 또는 열에 걸쳐 레이트 제어 에리어가 되며, 이들 블록은 비트 레이트가 높게 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면 도 8, 도 9, 도 11B, 도 12B, 도 13A, 도 13B의 예는, 분할 경계(dv)에 접하는 블록(BK)(사선부)의 행 또는 열로부터 연속하는 복수의 행 또는 열이 레이트 제어 에리어로 되고 있다. 이러한 분할 경계에 가까운 어느 정도의 범위를 레이트 제어 에리어로 하여 비트 레이트를 높게 함으로써, 복호 후의 표시 시의 이음매 두드러짐의 방지에 유효하게 된다.
제4, 제9 실시형태에서는, 컨트롤러(12)가, 레이트 제어 에리어 내에서, 압축률(R1)의 압축 부호화가 행해지는 블록(BK)과, 압축률(R2)의 압축 부호화가 행해지는 블록(BK)이 생기도록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였다(도 9, 도 14A, 도 14B 참조).
즉,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해당하는 블록(BK)에 있어서, 다른 압축률에 의한 압축 부호화가 지시되는 블록(BK)이 존재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도 9과 같이 분할 경계를 향해 단계적으로 비트 레이트가 높아져 가는 압축 부호화가 행해진다. 이것 또한 복호 후의 표시 시의 이음매 두드러짐의 방지에 유효하게 된다.
또는 도 14A, 도 14B와 같이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의 블록에서 압축률이 다르게 하여, 화상에 따른 적응적인 압축 부호화가 행해진다. 이에 의해 고화질화와 데이터량 삭감 요청에 대응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제6, 제7, 제8 실시형태에서는, 컨트롤러(12)는,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해당하는 블록을 가변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즉,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설정을 고정적으로 행하는 것이 아니고,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해 레이트 제어 에리어가 가변 설정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도 11A와 도 11B, 또는 도 12A와 도 12B, 또는 도 13A와 도 13B에서 설명한 예와 같이, 레이트 제어 에리어로 되는 블록(BK)의 설정이, 화상 내용의 해석 결과에 따라 가변되거나, 또는 유저 조작에 따라 가변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레이트 제어 에리어가 설정되어 압축 부호화가 행해진다.
화상 내용에 따라서는, 그다지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넓게 하지 않아도 이음매가 두드러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화상에 대해서는 도 11A와 같이 레이트 제어 에리어가 되는 행이나 열을 적게 하면, 데이터량 삭감의 측면에서 바람직한 것이 된다. 한편, 이음매가 두드러지기 쉬운 화상에 대해서는, 도 11B와 같이 레이트 제어 에리어가 되는 행이나 열을 많게 함으로써, 이음매의 두드러짐의 해소에 유효하다.
또한 수평 방향, 수직 방향에서 화상의 특징이 다른 경우, 도 12A와 도 12B 또는 도 13A와 도 13B와 같은 가변 설정도 유효하게 된다.
제5, 제7, 제9 실시형태에서는, 컨트롤러(12)는,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대해 압축 인코더(11)에 지시하는 압축률을 가변 설정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즉,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압축률 설정을 고정적으로 행하는 것이 아니고,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해 가변 설정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도 10A와 도 10B에서 설명한 예와 같이,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압축률이, 화상 내용의 해석 결과에 따라 가변되거나 또는 유저 조작에 따라 가변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압축률이 선택되어 압축 부호화가 행해진다.
화상 내용에 따라서는, 그다지 압축률을 낮추지 않아도 이음매가 두드러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화상에 대해서는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압축률을 높게 함으로써 데이터량 삭감의 측면에서 바람직한 것이 된다. 또한, 이음매가 두드러지기 쉬운 화상에 대해서는,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압축률을 낮게 하고 데이터량을 늘리는 것으로, 이음매가 두드러지는 것의 해소에 유효하다. 도 12A와 도 12B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수평 방향, 수직 방향에서 화상의 특징이 다른 경우, 도 13A와 도 13B와 같은 압축률의 가변 설정도 유효하게 된다.
제8 실시형태에서는, 분할 경계(dv)가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IDT)의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존재하는 경우,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있어서의, 수평 방향의 분할 경계를 따른 블록(BK)의 행의 수와, 수직 방향의 분할 경계를 따른 블록(BK)의 열의 수가 다르도록,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가 설정되는 예를 설명하였다.
즉,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구성하는 블록 행 수와 블록 열 수가 다르도록 하여, 레이트 제어 에리어의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의 사이즈가 다르게 한다.
예를 들면 도 13A와 같이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구성하는 블록의 행 수가, 블록의 열 수보다 많게 함으로써, 수평 방향의 이음매의 두드러짐의 해소에 유리하다. 특히 수직 방향의 이음매가 두드러지지 않는 경우에는 열 수를 적게 함으로써 데이터량 삭감에 적합하다.
반대로 도 13B와 같이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구성하는 블록의 열 수가, 블록의 행 수보다 많게 함으로써, 수직 방향의 이음매 두드러짐의 해소에 유리하다. 특히 수평 방향의 이음매가 두드러지지 않는 경우에는 행 수를 적게 함으로써 데이터량 삭감에 적합하다.
제9 실시형태에서는, 분할 경계가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의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존재하는 경우,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있어서의, 수평 방향의 분할 경계를 따른 블록에 대해 압축 인코더(11)에 지시하는 압축률과, 수직 방향의 분할 경계를 따른 블록에 대해 압축 인코더(11)에 지시하는 압축률을 다르게 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즉,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구성하는 블록(BK) 중, 수평행의 블록(BK)과 수직열의 블록(BK)에서 압축률이 다르게 한다.
예를 들면 도 14A와 같이 열 방향으로 배열되는 블록(BK)에 대해 압축률(R1), 행 방향으로 배열되는 블록(BK)에 대해 압축률(R2)로 한다. 이는 수직 방향의 이음매의 두드러짐의 해소에 유리하다. 또한 수평 방향의 이음매가 두드러지지 않는 경우에는 행 방향으로 배열되는 블록(BK)에 대해, 압축률(R1)보다 높은 압축률(R2)로 함으로써, 데이터량 삭감에 적합하다.
또는 도 14B와 같이 행 방향으로 배열되는 블록(BK)에 대해 압축률(R1), 열 방향으로 배열되는 블록(BK)에 대해 압축률(R2)로 한다. 이는 수평 방향의 이음매 두드러짐의 해소에 유리하다. 또한 수직 방향의 이음매가 두드러지지 않는 경우에는 열 방향으로 배열되는 블록(BK)에 대해, 압축률(R1)보다 높은 압축률(R2)로 함으로써, 데이터량 삭감에 적합하다.
한편, 도 13A, 도 13B의 개념과 도 14A, 도 14B의 개념을 합하여, 열방향과 행방향의 블록에서, 분할 경계(dv)를 따른 열 수와 행 수가 다르게 함과 함께, 각각에서 압축률이 다르게 하는 것에 대하여도 언급하였다. 이와 같이 레이트 제어 에리어와 압축률의 양쪽을 가변 설정하는 것에 의하면, 보다 화상에 알맞은 압축 부호화를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의 복호 장치(20)는, 하나의 화상을 형성하는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되는 복수의 화상 데이터로서 압축 화상 데이터(cIDT)(예를 들면 cPP1, cPP2, cPP3, cPP4)가 입력된다. 각각은, 분할되었을 때의 분할 경계(dv)의 근방에 설정된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대해서는 통상 처리 에리어보다 비트 레이트가 높게 되도록 부호화 처리가 행해진 것이다. 이에 대응하여 복호를 행하는 복수의 디코더(복호 처리부)(21, 22, 23, 2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복호 장치(20)는, 복수의 디코더(21, 22, 23, 24)에 의해 복호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예를 들면 분할 화상 데이터(PP1, PP2, PP3, PP4))를 합성하여 하나의 화상을 구성하는 화상 데이터로서 표시를 실행시키는 표시 컨트롤러(표시 제어부)(25)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있어서 비트 레이트가 높게 된 분할 영역의 화상 데이터가 복호되고, 분할 경계에서 연결되도록 합성되어 표시된다. 그리고 이 경우, 이음매가 두드러지지 않는 고품위 화상을 표시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또 다른 효과가 있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도 취할 수 있다.
(1)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 처리를 행하는 부호화 처리부와,
상기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때 분할 경계의 근방이 되는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대해서는,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 이외보다 비트 레이트가 높아지도록 부호화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부호화 장치.
(2)
상기 부호화 처리부는 압축 부호화 처리를 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대해서는,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 이외에 대한 압축 부호화 처리의 압축률보다 낮은 압축률로의 압축 부호화 처리를 지시하는 상기 (1)에 기재된 부호화 장치.
(3)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의 분할 경계에 기초하여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설정하는 처리를 행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부호화 장치.
(4)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의 분할 경계를 설정하고, 분할 경계에 기초하여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설정하고,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대해서는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 이외보다도 비트 레이트가 높아지도록 지시하여 상기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 처리를 상기 부호화 처리부에 실행시키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호화 장치.
(5)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호화 처리가 행해진 화상 데이터를 설정한 분할 경계에서 분할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로서 취급되도록 제어하는 상기 (4)에 기재된 부호화 장치.
(6)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의 분할 경계를 설정하고, 분할 경계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 영역마다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설정하여 부호화 처리를 상기 부호화 처리부에 실행시키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호화 장치.
(7)
복수의 화소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블록을 부호화 처리 단위로 하였을 때,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는, 적어도 분할 경계에 접하는 블록이 포함되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호화 장치.
(8)
복수의 화소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블록을 부호화 처리 단위로 하였을 때,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는, 분할 경계에 접하는 블록의 행으로부터 연속하는 복수 블록행, 또는 분할 경계에 접하는 블록의 열로부터 연속하는 복수 블록열이 포함되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호화 장치.
(9)
복수의 화소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블록을 부호화 처리 단위로 하였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 내에서, 제1 압축률의 압축 부호화가 행해지는 블록과, 제2 압축률의 압축 부호화가 행해지는 블록이 생기게 제어하는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호화 장치.
(10)
복수의 화소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블록을 부호화 처리 단위로 하였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해당하는 블록을 가변 설정하는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호화 장치.
(11)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대해 상기 부호화 처리부에 지시하는 압축률을 가변 설정하는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호화 장치.
(12)
분할 경계가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의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화소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블록을 부호화 처리 단위로 하였을 때,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있어서의, 수평 방향의 분할 경계를 따른 블록행의 수와, 수직 방향의 분할 경계를 따른 블록열의 수가 다르게,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가 설정되는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호화 장치.
(13)
분할 경계가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의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화소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블록을 부호화 처리 단위로 하였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있어서의, 수평 방향의 분할 경계를 따른 블록에 대해 상기 부호화 처리부에 지시하는 압축률과, 수직 방향의 분할 경계를 따른 블록에 대해 상기 부호화 처리부에 지시하는 압축률을 다르게 하는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호화 장치.
(14)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대해, 해당 화상 데이터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때 분할 경계의 근방이 되는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대해서는,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 이외보다도 비트 레이트가 높아지도록 부호화 처리를 하는 부호화 방법.
(15)
하나의 화상을 형성하는 복수의 분할 영역이 되는 복수의 화상 데이터로서, 각각이 분할되었을 때의 분할 경계의 근방에 설정된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대해서는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 이외보다도 비트 레이트가 높아지도록 부호화 처리가 실시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복호를 행하는 복수의 복호 처리부와,
복수의 상기 복호 처리부에 의해 복호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여 하나의 화상을 구성하는 화상 데이터로서 표시를 실행시키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한 복호 장치.
1, 2: 화상 처리 장치
10: 부호화 장치
11: 압축 인코더
12: 컨트롤러
13: 기억부
14: 통신부
15: 조작부
16: 화상 소스
20: 복호 장치
21, 22, 23, 24: 디코더
25: 표시 컨트롤러
26: 표시부
27: 화상 소스

Claims (15)

  1.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 처리를 행하는 부호화 처리부와,
    상기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때 분할 경계의 근방이 되는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대해서는,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 이외보다 비트 레이트가 높게 되도록 부호화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부호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처리부는 압축 부호화 처리를 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대해서는,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 이외에 대한 압축 부호화 처리의 압축률보다 낮은 압축률로의 압축 부호화 처리를 지시하는 부호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의 분할 경계에 기초하여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설정하는 처리를 행하는 부호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의 분할 경계를 설정하고, 분할 경계에 기초하여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설정하고,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대해서는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 이외보다도 비트 레이트가 높게 되도록 지시하여 상기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 처리를 상기 부호화 처리부에 실행시키는 부호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부호화 처리가 행해진 화상 데이터를, 설정한 분할 경계에서 분할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로서 취급되도록 제어하는 부호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의 분할 경계를 설정하고, 분할 경계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를 분할하고, 분할 영역마다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를 설정하여 부호화 처리를 상기 부호화 처리부에 실행시키는 부호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화소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블록을 부호화 처리 단위로 하였을 때,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는, 적어도 분할 경계에 접하는 블록이 포함되는 부호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화소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블록을 부호화 처리 단위로 하였을 때,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는, 분할 경계에 접하는 블록의 행에서부터 연속하는 복수 블록 행, 또는 분할 경계에 접하는 블록의 열에서부터 연속하는 복수 블록 열이 포함되는 부호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화소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블록을 부호화 처리 단위로 하였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 내에서, 제1 압축률의 압축 부호화가 행해지는 블록과, 제2 압축률의 압축 부호화가 행해지는 블록이 생기도록 제어하는 부호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화소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블록을 부호화 처리 단위로 하였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해당하는 블록을 가변 설정하는 부호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대해 상기 부호화 처리부에 지시하는 압축률을 가변 설정하는 부호화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분할 경계가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의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존재하는 경우에,
    복수의 화소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블록을 부호화 처리 단위로 하였을 때,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있어서의, 수평 방향의 분할 경계를 따른 블록 행의 수와, 수직 방향의 분할 경계를 따른 블록 열의 수가 다르도록,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가 설정되는 부호화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분할 경계가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의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존재하는 경우에,
    복수의 화소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블록을 부호화 처리 단위로 하였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있어서의, 수평 방향의 분할 경계를 따른 블록에 대해 상기 부호화 처리부에 지시하는 압축률과, 수직 방향의 분할 경계를 따른 블록에 대해 상기 부호화 처리부에 지시하는 압축률을 다르게 하는 부호화 장치.
  14. 부호화 방법으로서,
    처리 대상의 화상 데이터에 대해, 해당 화상 데이터를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할 때 분할 경계의 근방이 되는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대해서는,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 이외보다도 비트 레이트가 높게 되도록 부호화 처리를 행하는 부호화 방법.
  15. 복호 장치로서,
    하나의 화상을 형성하는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되는 복수의 화상 데이터로서, 각각이, 분할되었을 때의 분할 경계의 근방에 설정된 레이트 제어 에리어에 대해서는 상기 레이트 제어 에리어 이외보다도 비트 레이트가 높게 되도록 부호화 처리가 실시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복호를 행하는 복수의 복호 처리부와,
    복수의 상기 복호 처리부에 의해 복호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여 하나의 화상을 구성하는 화상 데이터로서 표시를 실행시키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한 복호 장치.
KR1020217010353A 2018-10-18 2019-07-16 부호화 장치, 부호화 방법, 복호 장치 KR202100719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96639 2018-10-18
JP2018196639 2018-10-18
PCT/JP2019/027861 WO2020079900A1 (ja) 2018-10-18 2019-07-16 符号化装置、符号化方法、復号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1986A true KR20210071986A (ko) 2021-06-16

Family

ID=70284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0353A KR20210071986A (ko) 2018-10-18 2019-07-16 부호화 장치, 부호화 방법, 복호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350581A1 (ko)
EP (1) EP3869801A4 (ko)
JP (1) JPWO2020079900A1 (ko)
KR (1) KR20210071986A (ko)
CN (1) CN112823516A (ko)
TW (1) TWI829740B (ko)
WO (1) WO202007990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7143A (ja) 2002-10-25 2004-05-20 Digital Zuu:Kk 複数台のプロジェクタによるマルチ映像投影方法、同方法を使用するためのプロジェクタ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7116950A (ja) 2013-07-19 2017-06-29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マルチプロジェクタ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装置、調整装置および調整方法、ならびに、調整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7419B1 (ko) * 1995-03-20 1999-07-15 전주범 부호화 비트발생율 제어방법 및 그 제어장치
JPH09275561A (ja) * 1996-04-08 1997-10-21 Toshiba Corp 映像圧縮装置及び映像圧縮方法
JP2001285876A (ja) * 2000-03-30 2001-10-12 Sony Corp 画像符号化装置とその方法、ビデオカメラ、画像記録装置、画像伝送装置
JP4149144B2 (ja) * 2001-06-13 2008-09-1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圧縮装置、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3204436A (ja) * 2001-10-29 2003-07-18 Victor Co Of Japan Ltd 画像符号化装置及び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
CN1420633A (zh) * 2001-10-29 2003-05-28 日本胜利株式会社 图像编码装置以及图像编码方法
JP2003348597A (ja) * 2002-05-29 2003-12-05 Sony Corp 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画像符号化方法
JP3833585B2 (ja) * 2002-07-24 2006-10-11 Kddi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画像符号化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616057B2 (ja) * 2005-04-13 2011-01-1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及び画像符号化方法
JP5914962B2 (ja) * 2010-04-09 2016-05-11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5748463B2 (ja) * 2010-12-02 2015-07-15 キヤノン株式会社 符号化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A2825929A1 (en) * 2011-01-28 2012-08-02 Eye IO, LLC Adaptive bit rate control based on scenes
JP6023596B2 (ja) * 2013-01-24 2016-11-09 株式会社日立情報通信エンジニアリング 画像符号化装置
US10205950B2 (en) * 2014-02-21 2019-02-12 Panasonic Corporation Image decoding method, image encoding method, image decoding apparatus, and image encoding apparatus
JP2015171117A (ja) * 2014-03-11 2015-09-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
US11172208B2 (en) * 2017-02-28 2021-11-09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visual quality of viewport-based omnidirectional video stream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7143A (ja) 2002-10-25 2004-05-20 Digital Zuu:Kk 複数台のプロジェクタによるマルチ映像投影方法、同方法を使用するためのプロジェクタ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7116950A (ja) 2013-07-19 2017-06-29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マルチプロジェクタ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装置、調整装置および調整方法、ならびに、調整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0079900A1 (ja) 2021-09-24
CN112823516A (zh) 2021-05-18
WO2020079900A1 (ja) 2020-04-23
EP3869801A1 (en) 2021-08-25
EP3869801A4 (en) 2021-12-08
TW202029749A (zh) 2020-08-01
US20210350581A1 (en) 2021-11-11
TWI829740B (zh) 2024-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3512B1 (ko) 투영 기반 프레임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방법
US96811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I coding using variable block size coding information
KR102114641B1 (ko) 현재 블록의 분할을 예측하여 비디오를 코딩하는 방법, 디코딩 방법 및 이에 상응하는 코딩 및 디코딩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230032531A1 (en) Encod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 and decod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
KR101946598B1 (ko) 이미지 코딩, 디코딩 방법 및 장치
JP2015522986A (ja) 層状の時間的階層における時系列および/または多次元信号のデコードおよび再構成
KR20200015783A (ko) 인트라 예측 모드 기반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5652101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RE48074E1 (en) Image encoding device and image decoding device
KR20210071986A (ko) 부호화 장치, 부호화 방법, 복호 장치
JP2008271039A (ja) 画像符号化装置及び画像復号化装置
KR20220128975A (ko) 고효율 비디오 코딩을 위한 화면 내 예측 방법 및 장치
JP2004200991A (ja) 画像符号化方法,画像復号方法,画像符号化装置,画像復号装置,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画像復号プログラム,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および画像復号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210126121A (ko) 화상 복호 장치, 화상 복호 방법 및 프로그램
JP4331992B2 (ja) 画像符号化方法,画像復号方法,画像符号化装置,画像復号装置,それら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ら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20200004348A (ko) 타겟 영역 수정을 통해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3038656A (ja) 画像符号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WO2023181546A1 (ja) 画像符号化装置、画像復号装置、画像符号化方法、および画像復号方法
WO2020136987A1 (ja) 映像符号化装置、映像符号化方法、映像符号化プログラム、映像復号装置、映像復号方法、及び映像復号プログラム
US20190014324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ra prediction in image encoding
JP6331972B2 (ja) 動画像符号化装置、動画像符号化方法、及び動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
JP2010141775A (ja) 表示装置駆動回路及び表示装置
JP2024023793A (ja) 画像符号化装置及び画像復号装置及び画像符号化方法及び画像復号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20132109A (ko) 영상의 비활성 영역 패딩 시스템 및 방법
JP4530421B2 (ja) 画像符号化方法,画像復号方法,画像符号化装置,画像復号装置,それら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ら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