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9465A - 유리창 대체 환기장치 급배기구 연결 모듈 - Google Patents

유리창 대체 환기장치 급배기구 연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9465A
KR20210069465A KR1020190159326A KR20190159326A KR20210069465A KR 20210069465 A KR20210069465 A KR 20210069465A KR 1020190159326 A KR1020190159326 A KR 1020190159326A KR 20190159326 A KR20190159326 A KR 20190159326A KR 20210069465 A KR20210069465 A KR 20210069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ventilation
exhaust
disposed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0520B1 (ko
Inventor
하상우
은형진
조재훈
이동석
안맹홍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59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520B1/ko
Publication of KR20210069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52Weather protecting means, e.g. against wind, rain or sn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벽체 상에 배치되는 투명 패널을 통해 배치되어 실내외의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환기 덕트; 상기 건물의 실내 측으로 배치되는 상기 환기 덕트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환기 덕트를 통한 상기 공기의 이동을 유도하는 환기 모듈; 및 상기 건물의 실외 측으로 배치되는 상기 환기 덕트의 타단에 배치되어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환기캡; 을 포함하는 환기장치 급배기구 연결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건물의 완공 후 환기용 덕트를 추가로 설치하는 경우, 창문에 배치되는 투명 패널에 홀을 형성한 후, 형성된 홀을 통해 환기용 덕트가 배치되도록 하여 덕트 배치를 위한 벽체 공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유리창 대체 환기장치 급배기구 연결 모듈{Glazing-Exchange Type ERV Air Vent Connecting Module}
본 발명은 유리창 대체 환기장치 급배기구 연결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문의 투명 패널에 홀을 형성한 후 형성된 홀을 통해 배기와 흡기 덕트가 배치되는 유리창 대체 환기장치 급배기구 연결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함량은 생명체의 호흡에 의해 시간이 경과하면서 점차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이산화탄소의 함량 증가 내지 실내 공기의 오염 등으로 인해 실내의 공기는 실외의 신선한 공기로 수시로 대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주거용 건물이나 오피스 건물 등에는 창호를 개폐하는 방식에 의해 환기를 시키거나, 또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별도의 환기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환기설비는 그 양단이 각각 건물의 내부 및 외부와 연결되는 덕트(duct)와 같은 구조물로 된다. 그리고 이러한 덕트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급기덕트와 내부의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배기덕트로 나누어져, 각각 건물 안팎의 공기를 유동시켜 환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환기를 위해 배치되는 덕트는 건물의 벽체를 관통하여 배치되므로, 건물 건축 시에는 벽체에 덕트의 배치를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건물 완공 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덕트를 추가로 배치하거나 덕트의 배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건물 벽체에 타공 작업을 하여 덕트의 배치 공간을 형성할 필요가 있었다.
여기서, 기존 건물 벽체에 타공 작업을 하는 경우 많은 시간과 소음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 건물 벽체에 타공 작업을 하는 경우 벽체 내부의 상하수도 배관, 전선 배관 등이 손상되지 않도록 해야 하므로, 타공 위치가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 건물 벽체에 타공 작업을 하는 경우 벽체가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 10-0851052호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물의 완공 후 환기용 덕트를 추가로 설치하는 경우, 창문에 배치되는 투명 패널에 홀을 형성한 후, 형성된 홀을 통해 환기용 덕트가 배치되도록 하여 덕트 배치를 위한 벽체 공사를 필요로 하지 않는 환기장치 급배기구 연결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물의 벽체 상에 배치되는 투명 패널을 통해 배치되어 실내외의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환기 덕트; 상기 건물의 실내 측으로 배치되는 상기 환기 덕트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환기 덕트를 통한 상기 공기의 이동을 유도하는 환기 모듈; 및 상기 건물의 실외 측으로 배치되는 상기 환기 덕트의 타단에 배치되어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환기캡; 을 포함하는 환기장치 급배기구 연결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투명 패널은, 상기 벽체 상에 배치되는 고정 프레임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 프레임에 배치되고, 일측으로 상기 환기 덕트가 배치되는 덕트 배치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 패널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 패널 사이의 이격 공간은 기밀 처리될 수 있다.
상기 환기 덕트는, 외부로 배기되는 공기가 흐르는 배기 덕트와, 상기 배기 덕트의 하부에 배치되고,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가 흐르는 흡기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기 모듈은, 모듈 몸체와, 상기 모듈 몸체 내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배기 덕트의 단부로 연결되어 상기 배기 덕트를 통해 실내 공기의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기 모듈과, 상기 모듈 몸체 내측에서 상기 배기 모듈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기 덕트의 단부로 연결되어 실외 공기의 흡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흡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 모듈과 상기 흡기 모듈은,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기캡은, 육면체 형태로서, 상기 배기 덕트의 실외측 단부로 연결되고 일측면으로는 배기구가 형성되고, 일단 하부로는 제1 배수구가 형성되는 배기캡과, 육면체 형태로서, 상기 흡기 덕트의 실외측 단부로 연결되고, 일측면으로는 상기 배기구와 반대 방향을 향하여 흡기구가 형성되며, 일단 하부로는 제2 배수구가 형성되는 흡기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기구의 면적은 상기 배기구의 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상기 배기구와 상기 흡기구 상에는, 이물질 유입 방지용 그릴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기캡의 하부는, 상기 제1 배수구를 향하여 경사질 수 있다.
상기 흡기캡의 하부는, 상기 제2 배수구를 향하여 경사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건물의 완공 후 환기용 덕트를 추가로 설치하는 경우, 창문에 배치되는 투명 패널에 홀을 형성한 후, 형성된 홀을 통해 환기용 덕트가 배치되도록 하여 덕트 배치를 위한 벽체 공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 1은 건물 실내 방향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 급배기구 연결 모듈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건물 실외 방향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 급배기구 연결 모듈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투명 패널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배기캡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흡기캡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 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건물 실내 방향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 급배기구 연결 모듈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건물 실외 방향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 급배기구 연결 모듈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 급배기구 연결 모듈(100)은 환기 덕트(110), 환기 모듈(120) 및 환기캡(130)을 포함한다.
도 2에서는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환기 모듈의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 급배기구 연결 모듈(100)이 배치되는 창호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창호(1)는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되는 각종의 창이나 문을 의미한다.
이후의 설명에서, 창호(1)는 창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창호(1)는 고정 프레임(2), 이동 프레임(3)과 투명 패널(10)을 포함한다.
고정 프레임(2)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직사각형 형태로서, 건물의 벽체에 고정 배치된다.
이동 프레임(3)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직사각형 형태로서, 고정 프레임(2)의 내측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고정 프레임(2)과 이동 프레임(3)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목재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투명 패널(panel)(10)은 이동 프레임(3)에 고정 배치된다. 사용자는 투명 패널(10)을 통해 실내에서 실외를 관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투명 패널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투명 패널(10)은 서로 동일한 크기와 면적을 갖고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는 제1 및 제2 단위 패널(10a, 10b)을 포함함을 알 수 있다.
제1 및 제2 단위 패널(10a, 10b)은 기존의 유리창에 준하는 단열성, 가시성과 추가적으로 내구성,가공성 등을 가진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재료로는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플렉시 글라스(plexi glass), 에어로젤(aerogel)를 예시할 수 있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한 재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단위 패널(10a, 10b)에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후술하는 환기 덕트(110)를 지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단위 패널(10a, 10b) 사이는 실내외의 단열을 위한 건조 공기층을 위한 공간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단위 패널(10a, 10b)의 가장자리를 따라 테이핑 또는 별도의 패널을 배치하여 기밀 처리하여 제1 및 제2 단위 패널(10a, 10b)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명 패널(10) 상에는 후술하는 환기 덕트(110)가 배치되는 덕트 배치홀(12)이 형성된다.
덕트 배치홀(12)의 크기와 형태는 후술하는 환기 덕트(110)의 형상과 크기에 대응한다.
환기 덕트(11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환기를 위해 실내에서 실외로, 실외에서 실내로 이동하는 공기의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 환기 덕트(110)는 창문에 배치되는 창문 프레임의 투명 패널(1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덕트 배치홀(12)에 배치된다.
덕트 배치홀(12)은 후술하는 환기 덕트(1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사각형 형태의 단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덕트 배치홀(12)은 사각형 형태이지만, 사용자가 환기 덕트(110)의 형태를 변경하는 경우 덕트 배치홀(12)의 형태는 이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
환기 덕트(110)는 배기 덕트(110A)와 흡기 덕트(110B)를 포함한다.
배기 덕트(110A)는 소정의 내경을 갖고, 실내에서 실외로 배기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흡기 덕트(110B)는 소정의 내경을 갖고, 실외에서 실내로 흡기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배기 덕트(110A)와 흡기 덕트(110B)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진행하며 균일한 내부 형상과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배기 덕트(110A)와 흡기 덕트(110B)는 서로 동일한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배기 덕트(110A)는 흡기 덕트(110B)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 덕트(110A)와 흡기 덕트(110B)는 구조물의 표면을 따라 배치된다.
이때, 배기 덕트(110A)와 흡기 덕트(110B)는 배치되는 구조물의 표면 형상에 대응하여 소정 형태로 절곡될 수 있다.
도면에서, 배기 덕트(110A)와 흡기 덕트(110B)는 길이가 고정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창문의 개폐 시 이동 프레임(3)의 이동에 대응할 수 있도록 배기 덕트(110A)와 흡기 덕트(110B)는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 덕트(110A)와 흡기 덕트(110B)의 길이 변화를 위해, 배기 덕트(110A)와 흡기 덕트(110B)의 중간부는 신축이 용이한 주름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일단이 타단 내측으로 삽입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환기 덕트(110)와 후술하는 환기 모듈(120)의 연결 시, 덕트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연결 부위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기 모듈(120)은 실내에 배치되는 환기 덕트(110)의 일단에 연결되어, 환기 덕트(110)를 통한 공기의 이동을 유도하여, 흡기와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환기 모듈(120)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져 환기 덕트(110)의 실내측 단부와 연결된 후, 실내의 소정 위치에 고정 배치되어, 환기 덕트(110)를 통한 공기의 이동을 발생시킨다.
이외에도 환기 모듈(120)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환기 모듈(120)의 내측으로는 배기 모듈(120A)과 흡기 모듈(120B)이 배치된다.
배기 모듈(120A)은 배기 덕트(110A)의 단부에 연결되고, 흡기 모듈(120B)은 흡기 덕트(110B)의 단부에 연결된다.
배기 모듈(120A)과 흡기 모듈(120B) 각각은 모터와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팬(미도시)를 포함한다.
환기캡(130)은 실외측으로 배치되는 환기 덕트(110)의 단부에 배치되어, 환기 덕트(110)를 통해 환기를 이루어지도록 하되, 환기 덕트(110)로 이물질과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환기캡(130)은 배기캡(130A)과 흡기캡(130B)을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배기캡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 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배기캡(130A)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실외측으로 배치되는 배기 덕트(110A)의 단부에 연결된다.
배기캡(130A)의 일측면으로 소정의 크기를 갖는 배기구(132A)가 형성된다. 여기서, 배기구(132A)는 후술하는 흡기구(132B)와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배기된 공기가 흡기구(132B)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배기구(132A) 상에는 소정의 크기를 갖고 이물질 유입과 곤충 유입을 방지하는 배기 그릴(134A)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기캡(130A)의 일단 하부에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제1 배수구(136A)가 형성된다. 그리고고, 배기캡(130A)의 내측 저부는 제1 배수구(136A)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제1 배수구(136A)의 위치 반대 방향보다 낮게 형성되어, 외부에서 빗물이 유입되어도 제1 배수구(136A)로 배출되도록 하여 배기 덕트(110A)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흡기캡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B-B 선에 따른 선단면도이다.
흡기캡(130B)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실외측으로 배치되는 흡기 덕트(110B)의 단부에 연결된다.
흡기캡(130B)의 일측면으로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흡기구(132B)가 형성되고, 흡기구(132B) 상에는 소정의 크기를 갖고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흡기 그릴(134B)이 배치된다.
여기서, 흡기구(132B)의 면적은 배기구(132A)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하여, 흡기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기캡(130A)의 일단 하부에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는 제2 배수구(136B)가 형성되고, 흡기캡(130B)의 내측 저부는 제2 배수구(136B)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제2 배수구(136B)의 위치 반대 방향보다 낮게 형성되어, 외부에서 빗물이 유입되어도 제2 배수구(136B)로 배출되도록 하여 흡기 덕트(110B)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와 도 7에서 배기캡(130A)과 흡기캡(130B) 하부의 경사는 실제의 경사도 보다 크게 도시되어 있다. 이는 배기캡(130A)과 흡기캡(130B) 내측 하부가 경사진 형태인 것을 나타내기 위함으로, 내부로 유입된 빗물이 외부로 흐를 수 있도록 한다면 그 경사도는 도시된 예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건물의 완공 후 환기용 덕트를 추가로 설치하는 경우, 창문에 배치되는 투명 패널에 홀을 형성한 후, 형성된 홀을 통해 환기용 덕트가 배치되도록 하여 덕트 배치를 위한 벽체 공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환기장치 급배기구 연결 모듈
110: 환기 덕트(배기 덕트와 흡기 덕트를 포함함)
120: 환기 모듈(배기 모듈과 흡기 모듈을 포함함)
130: 환기캡(배기캡과 흡기캡을 포함함)

Claims (12)

  1. 건물의 벽체 상에 배치되는 투명 패널을 통해 배치되어 실내외의 공기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환기 덕트;
    상기 건물의 실내 측으로 배치되는 상기 환기 덕트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환기 덕트를 통한 상기 공기의 이동을 유도하는 환기 모듈; 및
    상기 건물의 실외 측으로 배치되는 상기 환기 덕트의 타단에 배치되어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환기캡; 을 포함하는 환기장치 급배기구 연결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패널은,
    상기 벽체 상에 배치되는 고정 프레임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 프레임에 배치되고,
    일측으로 상기 환기 덕트가 배치되는 덕트 배치홀이 형성되는 환기장치 급배기구 연결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패널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패널을 포함하는 환기장치 급배기구 연결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패널 사이의 이격 공간은 기밀 처리되는 환기장치 급배기구 연결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덕트는,
    외부로 배기되는 공기가 흐르는 배기 덕트와,
    상기 배기 덕트의 하부에 배치되고,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가 흐르는 흡기 덕트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급배기구 연결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모듈은,
    모듈 몸체와,
    상기 모듈 몸체 내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배기 덕트의 단부로 연결되어 상기 배기 덕트를 통해 실내 공기의 배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기 모듈과,
    상기 모듈 몸체 내측에서 상기 배기 모듈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기 덕트의 단부로 연결되어 실외 공기의 흡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흡기 모듈을 포함하는 환기장치 급배기구 연결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모듈과 상기 흡기 모듈은,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팬을 포함하는 환기장치 급배기구 연결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캡은,
    육면체 형태로서, 상기 배기 덕트의 실외측 단부로 연결되고 일측면으로는 배기구가 형성되고, 일단 하부로는 제1 배수구가 형성되는 배기캡과,
    육면체 형태로서, 상기 흡기 덕트의 실외측 단부로 연결되고, 일측면으로는 상기 배기구와 반대 방향을 향하여 흡기구가 형성되며, 일단 하부로는 제2 배수구가 형성되는 흡기캡을 포함하는 환기장치 급배기구 연결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의 면적은 상기 배기구의 면적보다 넓은 환기장치 급배기구 연결 모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와 상기 흡기구 상에는,
    이물질 유입 방지용 그릴이 배치되는 환기장치 급배기구 연결 모듈.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캡의 하부는,
    상기 제1 배수구를 향하여 경사지는 환기장치 급배기구 연결 모듈.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캡의 하부는,
    상기 제2 배수구를 향하여 경사지는 환기장치 급배기구 연결 모듈.
KR1020190159326A 2019-12-03 2019-12-03 유리창 대체 환기장치 급배기구 연결 모듈 KR102280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326A KR102280520B1 (ko) 2019-12-03 2019-12-03 유리창 대체 환기장치 급배기구 연결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326A KR102280520B1 (ko) 2019-12-03 2019-12-03 유리창 대체 환기장치 급배기구 연결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465A true KR20210069465A (ko) 2021-06-11
KR102280520B1 KR102280520B1 (ko) 2021-07-22

Family

ID=76376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326A KR102280520B1 (ko) 2019-12-03 2019-12-03 유리창 대체 환기장치 급배기구 연결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052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0957A (ko) * 2004-05-20 2005-11-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창유리 부위를 이용한 환기 창문
JP2006145161A (ja) * 2004-11-24 2006-06-08 Unix Co Ltd 換気口カバー
KR100787920B1 (ko) * 2006-12-18 2007-12-24 강소기 이동식 열 회수 환기장치의 급배기 유로 설치 구조 및그것을 이용한 이동식 열회수 환기장치
KR20100109666A (ko) * 2009-04-01 2010-10-11 최창호 일체형 급배기 후드
KR20150008222A (ko) * 2013-07-11 2015-01-22 주식회사 에코텍코리아 환기용 외부 후드캡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0957A (ko) * 2004-05-20 2005-11-2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창유리 부위를 이용한 환기 창문
JP2006145161A (ja) * 2004-11-24 2006-06-08 Unix Co Ltd 換気口カバー
KR100787920B1 (ko) * 2006-12-18 2007-12-24 강소기 이동식 열 회수 환기장치의 급배기 유로 설치 구조 및그것을 이용한 이동식 열회수 환기장치
KR20100109666A (ko) * 2009-04-01 2010-10-11 최창호 일체형 급배기 후드
KR20150008222A (ko) * 2013-07-11 2015-01-22 주식회사 에코텍코리아 환기용 외부 후드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0520B1 (ko) 2021-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17658A (ko) 환기장치
JPH04231576A (ja)
EP3655609B1 (en) Roof window system with improved transition means between a roof window and a ventilation assembly
JP3746216B2 (ja) 換気機構付きカーテンウォールユニットおよび建物の換気構造
KR102656775B1 (ko) 창호형 환기장치
CN101787843A (zh) 一种隔音除尘透气装置
KR102280520B1 (ko) 유리창 대체 환기장치 급배기구 연결 모듈
JP2014525562A (ja) 窓戸用の換気装置
KR20200113529A (ko) 실내 환기 및 공기정화 창문
FI127593B (fi) Ilmanvaihtolaite ja ilmanvaihtoikkuna
KR20050111145A (ko) 환기용 창틀
CN110847456A (zh) 建筑立面框架及建筑立面系统
KR102485951B1 (ko) 창호용 환기 시스템
CN205976129U (zh) 建筑型材及换气系统机组
KR20200144970A (ko) 실외기-외부 창 구조물 연결조립체
JP2009097789A (ja) 浴室換気装置
KR102541475B1 (ko) 전열교환기
KR102548326B1 (ko) 전열교환기
CN116113795A (zh) 窗式通风装置
CN110847457A (zh) 建筑立面框架及建筑立面系统
KR20170001623U (ko) 창문설치용 환기장치
JPH11107439A (ja) 通気ブロック
JPH1072921A (ja) 吸・排気機能を持った小庇
JP2001020632A (ja) 集合住宅用換気装置
FI127594B (fi) Ilmanvaihtolaite ja ilmanvaihtoikku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