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8941A -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 - Google Patents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8941A
KR20210068941A KR1020190158560A KR20190158560A KR20210068941A KR 20210068941 A KR20210068941 A KR 20210068941A KR 1020190158560 A KR1020190158560 A KR 1020190158560A KR 20190158560 A KR20190158560 A KR 20190158560A KR 20210068941 A KR20210068941 A KR 20210068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plate
excavator
lock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길
Original Assignee
김대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길 filed Critical 김대길
Priority to KR1020190158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8941A/ko
Publication of KR20210068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89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에 관한 것으로, 붐이 장착된 상부회전체와 하부주행체가 구비된 굴착기와 상기 붐의 연결장치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크부재가 구비된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에 있어서, 상기 포크부재의 장착 시 상기 포크부재가 한 방향으로 안정되게 위치하도록 유도해 주는 상기 하부주행체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양쪽으로 서포트플레이트가 설치되는 받침부재; 상기 포크부재가 상기 받침부재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써 상기 굴착기 운전석에서 상기 붐의 연결장치를 이용해 간편하게 작동시키는 자동이탈방지수단; 상기 포크부재의 제1 플레이트와 제3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와 제4 플레이트가 상기 서포트플레이트의 두께보다 큰 폭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이격부;를 마련하여 하부주행체에 고정된 끼움부재와 포크부재에 설치된 걸림부재에 의해 포크부재를 록킹시켜 이동할 수 있고, 받침부재가 고정되어 있어 중량물인 포크부재 및 버킷 등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Excavator with Fork Lift}
본 발명은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착기를 이용할 땅을 굴착함은 물론 지게차 어태치먼트를 교체하여 지게차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착기는 붐이 장착되어 있는 상부회전체와 이 상부회전체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주행을 담당하는 하부주행체를 포함한다.
붐에는 버켓을 포함한 크랴사, 브레이커 등 다양한 어태치먼트가 교체되며 사용된다. 특히 중소규모의 공사 현장에서 단일 또는 소수의 굴착기가 사용되는 경우, 굴착 작업뿐만 아니라 자재 운반, 파쇄 등의 작업을 위하여 종류를 달리하는 다수의 어태치먼트를 교체하게 된다.
통상 굴착기가 보유하는 어태치먼트는 브레이커, 버켓을 포함하여 2, 3종 이상이다. 이들을 한 번에 운반하기 위해서는 붐에 버켓을 장착하고, 버켓에 다른 어태치먼트를 싣게 된다.
버켓으로 운반할 수 있는 어태치먼트가 하나 정도에 불과한 것이라서 여분의 어태치먼트를 운반하기가 쉽지 아니하다.
또 굴착기가 원래 다른 어태치먼트를 장착할 수 있도록 제조되는 것도 아니다. 따라서 부피가 큰 포크와 같은 어태치먼트를 버켓 등과 함께 운반할 때에 별도의 운반 차량을 사용하게 되므로 매우 번거롭게 된다.
한편 굴착기의 붐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어태치먼트 중 하나로 포크가 있다. 여기서 포트는 지게차에 장착되어 팔레트를 받쳐 들어올리는 수단과 동일하다.
이러한 포크는 팔레트에 맞물려 사용되어, 별도의 와이어나 집게 없이 물건을 운반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지게차는 일명 포크리프트라고도 불리우는 장비로서, 차체 전면에 화물을 적재하는 포크와 포크를 승강시키는 마스터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포오크 위에 화물을 적재하여 운반함과 동시에 포오크의 승강작용을 이용하여 적재 또는 하역작업을 하는 데에 사용하는 운반기계이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포크를 구비하는 굴착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포크를 구비하는 굴착기에는 붐이 장착된 상부회전체와 하부주행체가 구비된 굴착기로서, 상기 붐에 장착되는 포크를 상기 하부주행체 상에 수납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크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면에 나란하게 연장되어 있는 포크암들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타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굴착기의 붐에 장착되는 링크부를 포함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접이식 버켓 레스트가 장착되는 휠타입 굴삭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접이식 버켓 레스트가 장착되는 휠타입 굴삭기는 하부 주행체와, 상기 하부 주행체 상에 탑재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운전실캡 및 엔진실이 장착되는 상부 선회체와, 상기 상부 선회체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각각의 유압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붐,아암, 버켓을 포함하는 작업장치와, 상기 하부 프레임의 앞면 좌우측에 고정되고, 제1,2결합공이 상,하측에 형성되는 버켓 레스트용 브라킷과, 상기 버켓 레스트용 브라킷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1,2결합공에 대응되게 제1,2관통공이 형성되는 버켓 레스트와, 주행시에 상기 제2결합공 및 제2관통공에 끼워져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해 버켓 레스트를 펼친상태에서 상기 버켓 레스트용 브라킷에 고정하고, 작업시에 상기 제1결합공 및 제1관통공에 끼워져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해 버켓 레스트를 접은 상태에서 상기 버켓 레스트용 브라킷에 고정하는 버켓 레스트용 고정핀을 포함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074017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2012-0035051호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09-0002632호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포크를 구비하는 굴삭기는 하부주행체의 상면에 포크를 끼워 넣을 수 있는 고정부를 설치하여 포크를 수납시킬 수 있으나, 포크가 수납되는 고정부를 정위치에 정밀하게 고정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포크암에 비하여 무게중심이 있는 링크부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포크를 하부주행체의 정면에 고정시키는 결속부를 운전자가 수작업으로 결합 해제시키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접이식 버켓 레스트가 장착되는 휠타입 굴삭기는 하부주행체에 수평으로 펼쳐진 버켓 레스트에 버켓을 올려놓고 주행할 수 있으나, 버켓 레스트를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결합시켜야 하므로, 버켓 레스트를 수평 또는 수직으로 회전 시 작업자가 번번히 고정핀을 고정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고정핀의 분리 및 결합에 따른 작업 중 작업자의 손을 다치는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체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굴착기 또는 지게차 겸용으로 사용되게 함은 물론 지게차 어태치먼트를 안전하게 올려놓을 수 있는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굴착기에 지게차 어태치먼트를 자동 록킹 상태로 안정되게 이동할 수 있는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운전자가 내리지 않고도 운전석에 앉은 상태로 록킹부재를 록킹은 물론 록킹 해제도 할 수 있는 편리성을 증진시키는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는 붐(4)이 장착된 상부회전체(2)와 하부주행체(3)가 구비된 굴착기(1)와 상기 붐(4)의 연결장치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크부재(30)가 구비된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에 있어서, 상기 포크부재(30)의 장착 시 상기 포크부재(30)가 한 방향으로 안정되게 위치하도록 유도해 주는 상기 하부주행체(3)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양쪽으로 서포트플레이트(11)가 설치되고, 상기 두 서포트플레이트(11)의 선단에 받침플레이트(13)가 수평으로 개재되며, 상기 포크부재(30)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받침부재(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크부재(30)는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포크부(31); 상기 한 쌍의 포크부(31) 일측에 고정되는 포크고정부(33); 상기 포크고정부(33) 사이에 설치되는 링크부(36); 상기 링크부(36)의 일면에 설치되는 제1 플레이트(37); 상기 한 쌍의 포크고정부(33) 중 상기 포크고정부(33)의 일측에 상기 제1 플레이트(37)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3 플레이트(39); 상기 링크부(36)의 타면에 설치되는 제2 플레이트(38); 상기 한 쌍의 포크고정부(33) 중 다른 상기 포크고정부(33)의 일측에 상기 제2 플레이트(38)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4 플레이트(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굴착기(1)의 이동 중에 상기 받침부재(10)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포크부재(30)를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하는 수단으로써 상기 굴착기(1) 운전석에서 상기 붐(4)의 연결장치를 이용해 간편하게 작동시키는 자동걸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자동걸림부는 상기 링크부(3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부재(25)와, 상기 하부주행체(3)에 상기 걸림부재(25)와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끼움부재(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재(25)는 상기 링크부(3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26); 상기 힌지(26)와 직교되게 설치되는 걸림봉(27); 상기 끼움부재(21)의 걸림구멍(223)에 걸리도록 상기 걸림봉(27)의 일단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끼움부재(21)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플레이트(22); 상기 플레이트(22)의 일측에 상기 걸림부재(25)의 걸림돌기(28)가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걸림구멍(23); 상기 걸림돌기(28)가 끼워질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크부재(10)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제1 플레이트(310)와 제2 플레이트(320); 상기 제1 플레이트(310)와 제2 플레이트(320)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3 플레이트(330)와 제4 플레이트(340); 상기 제1 플레이트(310)와 제3 플레이트(33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붐(4)에 장착되는 각종 어태치먼트를 안정적으로 안착하도록 하며, 상기 링크부(36)의 하단부를 일정한 높이로 받쳐줌으로써 상기 붐(4) 연결장치와 연결 시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고, 상기 붐(4) 연결장치를 직접 연결시켜 상기 포크부재(30)의 탈장착을 수행 가능하게 하는 다용도 지지대(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주행체(3)에 장착된 포크부재(30)가 외력에 의해 이탈할 시 상기 포크부(31)의 이탈 범위를 한정시킬 수 있게 상기 포크부(31)를 고정시키지 않고 상기 포크부(31)의 좌우 상면을 소정의 거리로 이격시켜 상기 하부주행체(3)의 상면에 설치되는 보호대(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크부재(30)는 뒤집힌 상태에서 상기 포크부(31)를 하부주행체(3) 상부에 위치하게 하고, 상기 링크부(36);를 상기 하부주행체(3) 전방을 향하게 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크부재(30)가 올려진 상태에서 무게중심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하부주행체(2)의 상면 전반부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상부받침플레이트(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에 의하면, 받침부재에 포크부재를 안정되게 장착시킬 수 있으며, 하부주행체에 고정된 끼움부재와 포크부재에 설치된 걸림부재에 의해 포크부재를 록킹시켜 이동할 수 있고, 운전석에 앉아서 록킹과 해제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편리성을 증진시키고, 중량물인 포크부재를 굴착기의 이동중에 떨어지거나 낙하의 위험이 없이 안정되게 이동할 수 있으며, 받침부재가 고정되어 있어 중량물인 포크부재 및 버킷 등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를 분리시킨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를 도시한 분해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의 록킹부재를 도시한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를 도시한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를 도시한 단면 입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를 도시한 확대 입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가 장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가 받침부재를 따라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를 도시한 입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의 다용도 지지대를 도시한 부분 입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의 다용도 지지대 동작 전후를 도시한 부분 입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입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는 붐(4)이 장착된 상부회전체(2)와 하부주행체(3)가 구비된 굴착기(1)와 상기 붐(4)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크부재(30)가 구비된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에 있어서, 상기 포크부재(30)를 한 방향으로 안정되게 위치하도록 유도해 주는 상기 하부주행체(3)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서포트플레이트(11)가 설치되며, 상기 포크부재(30)의 장착 시 상기 포크부재(30)가 상기 서포트플레이트(11)를 따라 이동이 가이드되며, 상기 포크부재(30)가 안정되게 놓이도록 상기 서포트플레이트(11)의 선단에 수평으로 받침플레이트(13)가 설치되는 받침부재(10), 상기 포크부재(30)의 무게중심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포크부재(30)가 올려진 상태가 유지되게 상기 하부주행체(2)의 상면전반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상부받침플레이트(15), 상기 하부주행체(2)의 전면에 고정되는 끼움부재(21)와 상기 포크부재(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끼움부재(21)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부재(25), 상기 굴착기(1)의 이동 중에 상기 걸림부재(25)가 상기 끼움부재(21)에 록킹되어 상기 포크부재(30)의 록킹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록킹부재(20), 상기 받침부재(10)의 서포트플레이트(11) 사이에 안정되게 끼워지도록 상기 포크부재(30)의 제1 플레이트(37)와 제3 플레이트(39) 및 제2 플레이트(38)와 제4 플레이트(40)가 상기 고정플레이트(11)의 두께보다 큰 폭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이격부(47), 상기 붐(4)에 장착되는 각종 어태치먼트를 안정적으로 안착하도록 하며, 상기 포크부재(30)를 붐(4)의 연결장치에 연결 시 안정적으로 수행 가능하게 하는 다용도 지지대(35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는 포크부재를 안정되게 장착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포크부재를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를 분리시킨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를 도시한 분해입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의 록킹부재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는 상부회전체(2)와 하부주행체(3)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회전체(2)에는 버킷(미도시) 또는 포크부재(30)를 장착할 수 있는 붐(4)이 마련된다.
상기 상부회전체(2)는 붐(4)을 회전 또는 승강시키는 것이고, 하부주행체(3)는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 등이 마련된다.
상기 하부주행체(3)의 전면에는 버킷 또는 포크부재(30)를 안정되게 올려놓을 수 있도록 받침부재(10)가 설치된다. 상기 받침부재(10)는 하부주행체(3)의 전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서포트플레이트(11)가 설치된다. 상기 서포트플레이트(11)는 포크부재를 한 방향으로 안정되게 위치하도록 유도해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서포트플레이트(11)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자동이탈방지수단'은 상부받침플레이트(15), 걸림부재(25) 및 록킹부재(2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자동이탈방지수단은 굴착기의 주행 도중에 포크부재(30)의 이탈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을 지칭한다.
또한 서포트플레이트(11)의 하부에는 포크부재(30)를 안정되게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한 쌍의 서포트플레이트(11) 사이에 받침플레이트(13)가 고정되며, 상기 하부주행체(3)의 상면 전반부에는 포크부재(30)의 무게중심을 잡아 안정되게 올려질 수 있도록 상부받침플레이트(15)가 설치된다.
즉, 상기 상부받침플레이트(15)는 포크부(31)와 링크부(36)로 이루어진 포크부재(30)의 무게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하부주행체(3)의 상면 전반부에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는 포크부(31)가 상부받침플레이트(15) 및 하부주행체(3)에 장착되는 경우, 포크부(31)에 비하여 무게가 무거운 링크부(36)의 무게중심이 안정되게 놓여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자동이탈방지수단은 상기 포크부재(30)가 한 쌍의 서포트플레이트(11) 측면을 따라 상호 접촉되는 부분을 신축력있게 끼워지게 하여 상기 받침부재(10)에 안착된 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도록 실시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주행체(3)의 전면에는 록킹부재(20)가 설치된다.
상기 록킹부재(20)는 상기 하부주행체(3)의 전면에 고정되는 끼움부재(21), 상기 포크부재(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끼움부재(21)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부재(25)를 포함한다.
상기 록킹부재(20)는 굴착기용 버킷(미도시) 또는 지게차 어태치먼트, 즉 포크부재(30)를 안정되게 받쳐줌은 물론 굴착기(1)의 이동 시 포크부재(30)의 추락 등을 방지하여 줌으로써, 굴착기(1)의 이동을 보다 안정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록킹부재(20)는 하부주행체(3)에 고정되는 끼움부재(20)와 상기 포크부재(30)에 설치되어 상기 끼움부재(20)에 록킹 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부재(25)로 이루어진다.
상기 끼움부재(21)는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22)와 상기 플레이트(22)에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걸림구멍(23)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걸림부재(25)는 포크부재(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포크부재(30)가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끼움부재(21)의 걸림구멍(23)에 록킹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록킹부재(20)의 걸림부재(25)는 포크부재(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26), 상기 힌지(26)와 직교되게 설치되는 걸림봉(27), 상기 끼움부재(21)의 걸림구멍(23)에 걸리도록 상기 걸림봉(27)의 일단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28)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부재(25)는 포크부재(30)에 힌지(26)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26)와 상기 힌지(26)에 교차되게 설치되는 걸림봉(2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26)는 포크부재(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걸림봉(27)은 힌지(26)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즉, 걸림봉(27)은 힌지(26)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아울러 걸림봉(27)의 일단에는 끼움부재(21)의 걸림구멍(23)에 끼워져 록킹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걸림돌기(28)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돌기(28)는 도 4에서와 같이, 하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걸림봉(27)은 힌지(26)를 기준으로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붐(4) 등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도록 누름부(29)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누름부(29)는 붐(4) 등에 의해 타단을 눌러 줄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를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기 포크부재(30)는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포크부(31), 상기 한 쌍의 포크부(31) 각각에 고정되는 포크고정부(33), 상기 포크고정부(33) 사이에 설치되는 링크부(36)를 포함한다.
상기 포크부재(30)는 한 쌍의 포크부(31)와 상기 포크부(31)의 일단에 일체로 고정되는 한 쌍의 포크고정부(33) 및 상기 한 쌍의 포크고정부(33)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는 링크부(36)로 이루어진다.
상기 포크부(31)는 대략 'ㄴ'자 형상의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포크부(31)는 힌지(32)에 의해 포크고정부(33)에 설치된다. 상기 포크고정부(33)는 한 쌍의 포크부(31)가 고정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포크고정부(33)에는 다수의 고정링크(41)에 의해 링크부(36)에 고정되어지는 고정프레임(34)과 연결프레임(35)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포크고정부(33)와 링크부(36)는 고정플레이트(42)의 양쪽 가장자리와 중간 부위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링크부(36)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제1 플레이트(37)와 제2 플레이트(38)가 구비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37) 및 제2 플레이트(38)에는 각각 제3 플레이트(39)와 제4 플레이트(40)가 다수의 고정링크(44)에 의해 각각 고정된다.
한편 상기 포크부재(30)는 받침부재(10)의 서포트플레이트(11)를 따라 가이드되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37)와 제3 플레이트(39)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시켜 이격부(47)를 형성한다.
또 제2 플레이트(38)와 제4 플레이트(40)는 서포트플레이트(11)를 따라 가이드되도록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시켜 이격부(47)를 형성한다. 이러한 이격부(47)는 고정플레이트(11)의 두께보다 큰 폭으로 이격되게 형성됨으로써 포크부재(30)가 받침부재(10)에 분리 및 결합 시 서포트플레이트(11)를 따라 안정되게 이동되게 한다.
이때 서포트플레이트(11)의 외측면과 포크부재(30)의 제3 플레이트와 제4 플레이트의 내측면과의 간격은 포크부재(30)의 안착 시 좌우로의 움직임을 최소한이 되는 간격으로 한다.
상기 제1 플레이트(37)와 제2 플레이트(38) 사이에는 붐(4)이 결합되도록 다수의 고정링크(41)가 고정되고, 상기 링크부(36)의 전면에는 고정플레이트(42)가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플레이트(42)에는 록킹부재(20)의 걸림돌기(28)가 관통되도록 구멍(43)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37)와 제2 플레이트(38)의 외측면에는 강성을 보강하는 제1 지지플레이트(44)와 제2 지지플레이트(45)가 각각 고정된다.
이러한 포크부재(30)는 뒤집어진 상태로 하부주행체에 장착된다.
다음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를 도시한 단면 입체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를 도시한 확대 입체도이다.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는 굴착기(1)의 하부주행체(3)의 상면 전반부에 포크부재(30)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상부받침플레이트(15)를 설치하며, 포크부재(30)의 장착 시 분리 및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안정되게 안착할 수 있는 받침부재(10) 및 포크부재(30)가 록킹된 상태를 유지되도록 록킹부재(20)의 끼움부재(21)를 설치한다.
상기 상부받침플레이트(15)는 포크부재(30)를 안정되게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부주행체(3)의 폭 방향으로 고정하며, 상기 하부주행체(3)의 전면에는 록킹부재(20)의 끼움부재(21)를 고정한다.
상기 끼움부재(21)는 하부주행체(3)의 전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끼움부재(21)에는 록킹부재(20)의 걸림부재(25)가 끼워져 걸리도록 걸림구멍(23)을 형성한다.
또한 포크부재(30)에는 안정되게 록킹되도록 걸림부재(25)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걸림부재(25)는 링크부(36)의 제1 플레이트(37)와 제2 플레이트(38)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걸림부재(25)에는 끼움부재(21)의 걸림구멍(23)에 걸리도록 걸림돌기(28)를 일체로 형성한다.
아울러 걸림돌기(28)가 형성된 걸림봉(27)의 타단에는 붐(4)에 의해 눌러질 수 있도록 걸림봉(27)으로부터 연장된 누름부(29)를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포크부재(30)에는 제1 플레이트(37)와 제3 플레이트(39)를 소정의 폭으로 이격시켜 이격부(47)를 형성하고, 제2 플레이트(38)와 제4 플레이트(40)를 소정의 폭으로 이격시켜 이격부(47)를 형성한다.
이러한 이격부(47)는 받침부재(10)의 서포트플레이트(11)를 따라 이동되게 함으로써, 받침부재(10)와 포크부재(30)의 장착에 따른 분리 및 결합이 원활하면서도 양호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가 장착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가 받침부재를 따라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 11은 포크부재(30)가 받침부재(10)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11에 도시된 가상선은 받침부재(10)의 서포트플레이트(11)와 포크부재(30)의 이격부(47)가 일직선상으로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포크부재(30)의 이격부(47)는 서포트플레이트(11)와 일직성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붐(4)에 장착된 포크부재(30)를 하부주행체(3) 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포크부재(30)의 이격부(47)는 서포트플레이트(11) 및 곡면으로 형성된 곡면가이드부(12)를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되어 서포트플레이트(11) 사이에 안착된다.
또 상기 포크부재(30)의 포크부(31)는 하부주행체(3)의 상면 전반부에 설치된 상부받침플레이트(15)에 안착되어 포크부재(30)의 무게중심이 상부받침플레이트(15)에 위치되게 한다.
이와 함께 포크부재(30)에 설치된 록킹부재(20)의 걸림부재(25)는 끼움부재(21)의 걸림구멍(23)에 끼워져 록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걸림부재(25)의 걸림돌기(28)는 걸림구멍(23)에 끼워지게 되며, 상기 걸림돌기(28)는 포크부재(30)의 중량에 의해 받침부재(10)의 상면에 올려진 상태에서 록킹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굴착기(1)의 붐(4)을 이용하여 작업의 용도에 따라 포크부재(30)로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작업자는 포크부재(30) 및 굴착기용 버킷(미도시)을 장착하고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포크부재(30)는 링크부(36)에 설치된 걸림부재(25)의 걸림돌기(28)가 걸림구멍(23)에 록킹되어 있으므로, 이동 중에 포크부재(30)의 중량에 의해 움직이지 않고서 장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뿐만 아니라 받침부재에 안착된 포크부재가 상부로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받침부재(10)는 포크부재(30)를 안정적으로 받쳐주게 됨은 물론 중량물인 포크부재(30) 및 버킷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도 1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1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의 다용도 지지대를 도시한 부분 입체도이며, 도 1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의 다용도 지지대 동작 전후를 도시한 부분 입체도이고, 도 1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의 일부를 도시한 부분 입체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포크부재(30)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제1 플레이트(310)와 제2 플레이트(320), 상기 제1 플레이트(310)와 제2 플레이트(320)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3 플레이트(330)와 제4 플레이트(340), 상기 제1 플레이트(310)와 제3 플레이트(33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용도 지지대(350) 및 록킹부재(360)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받침부재(10)는 동일한 명칭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플레이트(310)는 제1 플레이트(37)에 대응되고, 제2 플레이트(320)는 제3 플레이트(39)에 대응되며, 제3 플레이트(330)는 제2 플레이트(330)에 대응되고, 제4 플레이트(340)는 제4 플레이트(40)에 대응된다.
이들 제1 플레이트(310)와 제2 플레이트(320)는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설치되고, 제3 플레이트(330)와 제4 플레이트(340)는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설치된다.
아울러 이들 제1 플레이트(310) 내지 제4 플레이트(340)는 도 13 내지 도 16에서와 같이,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다용도 지지대(350)는 한 쌍의 평판(351, 352), 걸림판(357)으로 이루어지며,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평판(351)과 제2 평판(352)은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들 제1 평판(351) 및 제2 평판(352)의 하측에는 각각 걸림돌기(353)가 형성되며, 도 14(a)의 도면상 오른쪽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구속가이드(354)가 일체로 형성된다.
아울러 이들 제1 평판(351)과 제2 평판(352) 사이에는 제1 고정링크(355)와 제2 고정링크(256)가 설치되고, 상기 제1 고정링크(355)의 일측에는 걸림판(357)이 설치된다.
상기 걸림판(357)에는 걸림쇠(331)의 상부걸림돌기(332)가 걸리도록 걸림턱(358)이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판(357)은 제3 플레이트(330)의 일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제1 플레이트(310)의 일면에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플레이트(330)의 일측에는 걸림판(357)에 대응되는 걸림쇠(33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걸림쇠(331)의 하부에는 하부걸림돌기(333)가 일체로 형성되고, 걸림쇠(331)의 상부에는 상부걸림돌기(332)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 상기 걸림쇠(331)의 일면에는 스프링힌지(334)가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힌지(334)에는 토션스프링(335)이 설치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플레이트(13)의 상면에는 걸림쇠(331)의 하부걸림돌기(333)가 걸리는 제1 걸림돌기(16)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걸림돌기(16)의 내측에는 제1 평판(351), 제2 평판(352)의 하단부가 걸리는 제2 걸림돌기(17)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포크부(31)를 하부주행체(2)에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주행체(2)에는 보호대(18)가 설치된다. 상기 보호대(18)는 포크부(31)를 고정시키지 않고 좌우 상면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시켜 설치한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받침부재 11: 서포트플레이트
12: 수평프레임 15: 상부받침플레이트
20: 록킹부재 21: 끼움부재
22: 플레이트 23: 걸림구멍
25: 걸림부재 26: 힌지
27: 걸림봉 28: 걸림돌기
29: 누름부
30: 포크부재 31: 포크부
32: 고정힌지 33: 포크고정부
34: 고정프레임 35: 연결프레임
36: 링크부 37: 제1 플레이트
38: 제2 플레이트 39: 제3 플레이트
40: 제4 플레이트 41: 고정링크
42: 고정플레이트 43: 구멍
44: 제1 지지플레이트 45: 제2 지지플레이트
47: 이격부

Claims (9)

  1. 붐(4)이 장착된 상부회전체(2)와 하부주행체(3)가 구비된 굴착기(1)와 상기 붐(4)의 연결장치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포크부재(30)가 구비된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에 있어서,
    상기 포크부재(30)의 장착 시 상기 포크부재(30)가 한 방향으로 안정되게 위치하도록 유도해 주는 상기 하부주행체(3)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양쪽으로 서포트플레이트(11)가 설치되고, 상기 두 서포트플레이트(11)의 선단에 받침플레이트(13)가 수평으로 개재되며, 상기 포크부재(30)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받침부재(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부재(30)는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포크부(31);
    상기 한 쌍의 포크부(31) 일측에 고정되는 포크고정부(33);
    상기 포크고정부(33) 사이에 설치되는 링크부(36);
    상기 링크부(36)의 일면에 설치되는 제1 플레이트(37);
    상기 한 쌍의 포크고정부(33) 중 상기 포크고정부(33)의 일측에 상기 제1 플레이트(37)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3 플레이트(39);
    상기 링크부(36)의 타면에 설치되는 제2 플레이트(38);
    상기 한 쌍의 포크고정부(33) 중 다른 상기 포크고정부(33)의 일측에 상기 제2 플레이트(38)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4 플레이트(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착기(1)의 이동 중에 상기 받침부재(10)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포크부재(30)를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하는 수단으로써 상기 굴착기(1) 운전석에서 상기 붐(4)의 연결장치를 이용해 간편하게 작동시키는 자동걸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자동걸림부는 상기 링크부(3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걸림부재(25)와, 상기 하부주행체(3)에 상기 걸림부재(25)와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끼움부재(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25)는 상기 링크부(3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26);
    상기 힌지(26)와 직교되게 설치되는 걸림봉(27);
    상기 끼움부재(21)의 걸림구멍(223)에 걸리도록 상기 걸림봉(27)의 일단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재(21)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플레이트(22);
    상기 플레이트(22)의 일측에 상기 걸림부재(25)의 걸림돌기(28)가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걸림구멍(23);
    상기 걸림돌기(28)가 끼워질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부재(10)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제1 플레이트(310)와 제2 플레이트(320);
    상기 제1 플레이트(310)와 제2 플레이트(320)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제3 플레이트(330)와 제4 플레이트(340);
    상기 제1 플레이트(310)와 제3 플레이트(33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붐(4)에 장착되는 각종 어태치먼트를 안정적으로 안착하도록 하며, 상기 링크부(36)의 하단부를 일정한 높이로 받쳐줌으로써 상기 붐(4) 연결장치와 연결 시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고,
    상기 붐(4) 연결장치를 직접 연결시켜 상기 포크부재(30)의 탈장착을 수행 가능하게 하는 다용도 지지대(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주행체(3)에 장착된 포크부재(30)가 외력에 의해 이탈할 시 포크부(31)의 이탈 범위를 한정시킬 수 있게 상기 포크부(31)를 고정시키지 않고 상기 포크부(31)의 좌우 상면을 소정의 거리로 이격시켜 상기 하부주행체(3)의 상면에 설치되는 보호대(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부재(30)는 뒤집힌 상태에서 포크부(31)를 하부주행체(3) 상부에 위치하게 하고, 상기 링크부(36)를 상기 하부주행체(3) 전방을 향하게 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부재(30)가 올려진 상태에서 무게중심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하부주행체(2)의 상면 전반부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상부받침플레이트(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

KR1020190158560A 2019-12-02 2019-12-02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 KR202100689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560A KR20210068941A (ko) 2019-12-02 2019-12-02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560A KR20210068941A (ko) 2019-12-02 2019-12-02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941A true KR20210068941A (ko) 2021-06-10

Family

ID=76378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560A KR20210068941A (ko) 2019-12-02 2019-12-02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894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632U (ko) 2007-09-12 2009-03-17 황규관 굴삭기용 지게차 포크
KR20120035051A (ko) 2010-10-04 2012-04-13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접이식 버켓 레스트가 장착되는 휠타입 굴삭기
KR20130074017A (ko) 2011-12-26 2013-07-04 윤길수 포크를 구비하는 굴삭기 및 굴삭기용 포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632U (ko) 2007-09-12 2009-03-17 황규관 굴삭기용 지게차 포크
KR20120035051A (ko) 2010-10-04 2012-04-13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접이식 버켓 레스트가 장착되는 휠타입 굴삭기
KR20130074017A (ko) 2011-12-26 2013-07-04 윤길수 포크를 구비하는 굴삭기 및 굴삭기용 포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90107C (en) Interface plate for mounting a light duty attachment to a lift arm assembly
US20070128012A1 (en) Industrial vehicle having working implement
AU2005287951B2 (en) An arrangement and a method to attach a tool to a loader
US7153084B2 (en) Boom clamp
KR101188734B1 (ko)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
KR101843011B1 (ko) 윈치의 탈부착이 용이한 다목적 로우더
KR200488425Y1 (ko) 굴착기용 지게차 어태치먼트
KR20210068941A (ko) 포크리프트를 장착하는 굴착기
KR101329294B1 (ko) 포크를 구비하는 굴삭기
US9719231B2 (en) Implement system for machine
JP7097830B2 (ja) 乗用型田植機
US6408550B1 (en) Mounting assembly
EP2662500B1 (en) Work tool lock extension
JP5684678B2 (ja) 作業用車両
KR20110037527A (ko) 지게차의 시야 확보 장치
JPH01266031A (ja) 車輌のシート反転支持装置
EP3740403B1 (en) Vehicle
US20220194764A1 (en) Quick coupling with improved visibility
JP2020165196A (ja) 建設機械の足場構造
US20240002204A1 (en) Man basket for attachment to telehandler
JP4859704B2 (ja) 吊りフック用治具を用いた荷役車両及びその操作方法
JP5146508B2 (ja) 作業機械
JP7074569B2 (ja) アウトリガ装置の積載方法及び積載用治具
JP4022503B2 (ja) フォークリフト装置
JP3903230B2 (ja) スイングアップ装置を備えた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