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8858A - 비닐하우스의 권취용 파이프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의 권취용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8858A
KR20210068858A KR1020190158407A KR20190158407A KR20210068858A KR 20210068858 A KR20210068858 A KR 20210068858A KR 1020190158407 A KR1020190158407 A KR 1020190158407A KR 20190158407 A KR20190158407 A KR 20190158407A KR 20210068858 A KR20210068858 A KR 20210068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winding pipe
pipe
reinforcing member
plastic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6139B1 (ko
Inventor
류희룡
조명환
유인호
최만권
문두경
김승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90158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6139B1/ko
Publication of KR20210068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8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01G9/242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for greenhouses with flexible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2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 A01G9/227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rolled up during non-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의 권취용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비닐하우스의 외측 비닐을 권취시키는 권취 장치(10)에 연결되는 권취용 파이프(100)에 있어서, 상기 권취용 파이프(100)의 내측 너비는 양측 말단에서 중심부(C)로 갈수록 좁아지는 권취용 파이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의 권취용 파이프{Winding pipe of greenhouse}
본 발명은 권취용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비닐하우스의 외측 비닐의 권취를 위해 사용되는 권취용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권취용 파이프를 설명한다.
권취 장치(10)에 의해 권취되는 권취용 파이프(11)는 비닐하우스의 환기 또는 보온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비닐하우스의 길이 방향 양 측면에 설치된 비닐을 말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환기를 위한 권취용 파이프(11)는 비닐하우스의 길이 방향에 설치되며, 양측 말단만이 권취 장치(10)에 의해 고정된 채 비닐하우스의 양 측면에 설치된 비닐을 말거나 풀어 환기를 시키게 된다. 언급한 바와 같이 환기를 위한 권취용 파이프(11)는 양측 말단만이 권취 장치(10)에 고정되기 때문에 권취용 파이프(11)의 중심부가 응력에 의해 처지는 처짐 현상이 발생하였다.
파이프가 한번 처지게 되면 파이프 재질 특성상 원래대로의 복귀가 어려운데, 이러한 처짐 현상이 발생된 파이프에 의해 비닐이 균일하게 감기거나 풀리지 않게 되었고, 이러한 현상을 개선하지 못한 채 권취 장치가 계속 작동됨에 따라 결국 고가의 권취 장치가 고장나거나 권취용 파이프에 말린 비닐이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처짐 현상이 발생된 파이프에 비닐이 말릴 경우, 처짐 현상이 발생한 파이프를 감싸는 비닐에 결로수가 쌓이는 문제도 발생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6912호는 비닐하우스 개폐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중간 유격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개폐파이프의 단위 파이프와 동일한 다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 내측 연결 파이프 및 외측 연결 파이프가 같은 중심축 상에 길이가 서로 다르게 체결됨으로써, 단위 파이프의 내측 및 외측으로 회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개폐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연결구 체결을 위한 리벳 등이 사용되어 상기와 같은 문제가 여전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3-015260호는 비닐 하우스용 전동 측벽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을 개시한다.
그러나, 권취용 파이프가 권취 되며 발생하는 응력에 의한 처짐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고 있지 않다.
일본 등록실용신안 제3081396호는 농업 비닐 하우스의 환기용 시트 말아 올리는 장치를 개시한다.
그러나, 권취용 파이프가 권취 되며 발생하는 응력에 의한 처짐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고 있지 않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3-015260호 일본 실용신안공보 제308139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8-007597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7466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권취용 파이프의 처짐 현상을 해결하여 권취 장치 및 권취용 파이프에 말리는 비닐의 찢어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비닐하우스의 외측 비닐을 권취시키는 권취 장치(10)에 연결되는 권취용 파이프(100)에 있어서, 상기 권취용 파이프(100)의 내측 너비는 양측 말단에서 중심부(C)로 갈수록 좁아지는, 권취용 파이프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권취용 파이프(100)의 양측 말단은 권취 장치(10)에 연결되어 권취되고, 상기 양측 말단에서 상기 중심부(C)까지의 거리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측 너비의 감소폭은 권취용 파이프(100)에 대한 모멘텀 증가 폭과 동일하여, 상기 권취용 파이프(100)의 처짐이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비닐하우스의 외측 비닐을 권취시키는 권취 장치(10)에 연결되는 권취용 파이프(11)에 있어서, 상기 권취용 파이프(11)의 전체 길이(l)의 절반에 위치하는 중심부(C)에 상응하도록 삽입되는 보강부재 조립체(110)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 조립체(110)는. 상기 권취용 파이프(11)의 전체 길이(l)보다 짧은 길이이되, 상기 권취용 파이프(11)의 내측 너비와 상응하는 지름을 갖는 제1 보강부재(111); 및 상기 제1 보강부재(111)의 내측 중심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1 보강부재(111)의 전체 길이보다 짧은 길이이되, 상기 제1 보강부재(111)의 내측 너비와 상응하는 지름을 갖는 제2 보강부재(112)를 포함하는 권취용 파이프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 조립체(110)는, 상기 모멘텀의 증가폭에 따른 질량에 상응한 질량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 조립체(110)에 의해 상기 권취용 파이프(11)의 처짐이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권취용 파이프로 인해 의해 비닐이 균일하게 감기거나 풀리지 않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처짐 현상이 최소화되어 권취 장치의 고장 문제 및 비닐 찢어짐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권취용 파이프가 설치된 비닐하우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권취용 파이프가 설치된 비닐하우스의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권취용 파이프가 설치된 비닐하우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종래의 권취용 파이프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취용 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권취용 파이프와 보강부재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권취용 파이프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형태 및 구성요소의 개수에 있어서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권취용 파이프가 설치되는 비닐하우스를 설명한다.
먼저, 권취 장치(10)와 본 발명에 따른 권취용 파이프들의 공통적인 특징을 설명하는 것이다.
권취용 파이프(11, 100)는 비닐 하우스의 환기를 위해 외측 비닐을 권취시키는 것이며, 이를 위해 비닐하우스의 길이방향의 연장선상에 권취 장치(10)가 위치한다.
즉, 권취 장치(10)에 본 발명에 따른 권취용 파이프(11, 100)의 양측 말단이 연결되어 권취된다. 이때, 양측 말단에서 권취용 파이프의 중심부(C)까지의 거리는 동일하다.
본 발명은 권취 장치(10)에 연결되는 다양한 실시예의 권취용 파이프를 제공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권취용 파이프를 설명한다.
권취용 파이프(100)는 비닐하우스의 외측 비닐을 권취시키는 권취 장치(10)에 연결된다.
권취용 파이프(100)는 양측 말단의 권취 장치(10)에 의해 지지되어 권취되기 ‹š문에 권취용 파이프(100)의 중심부로 갈수록 많은 응력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권취용 파이프(100)의 중심에 처짐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실시 예를 제공하는 것이다.
권취용 파이프(100)의 내측 너비는 양측 말단에서 중심부(C)로 갈수록 좁아진다(도 4 더 참조).
내측 너비의 감소폭은 권취용 파이프(100)에 대한 모멘텀 증가 폭과 동일하다. 이에 따라, 응력이 많이 발생하는 부위를 강화하기 때문에 권취용 파이프(100)의 처짐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 때, 제1 실시예에 따른 권취용 파이프(100)의 사출 시 내측 너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권취용 파이프(100)의 내측 너비를 좁아지게 하는 부재는 파이프 외측을 형성하는 부재 대비 가벼운 부재를 사용하여, 자중에 의한 처짐을 상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3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권취용 파이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권취용 파이프(11)는 비닐하우스의 외측 비닐을 권취시키는 권취 장치(10)에 연결된다.
권취용 파이프(11)의 전체 길이(l)의 절반에 위치하는 중심부(C)에 상응하도록 삽입되는 보강부재 조립체(110)를 포함한다(도 4 및 도 5 더 참조).
보강부재 조립체(110)는 제1 보강부재(111) 및 제2 보강부재(112)를 포함한다.
제1 보강부재(111)는 권취용 파이프(11)의 전체 길이(1)보다 짧은 길이이되, 권취용 파이프(11)의 내측 너비와 상응하는 지름을 갖는다.
제2 보강부재(112)는 제1 보강부재(111)의 내측 중심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1 보강부재(111)의 전체 길이보다 짧은 길이이되, 제1 보강부재(111)의 내측 너비와 상응하는 지름을 갖는다.
보강부재 조립체(110)는 모멘텀의 증가폭에 따른 질량에 상응한 질량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보강부재 조립체(110)에 의해 상기 권취용 파이프(11)의 처짐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 때, 자중에 의한 처짐을 상쇄할 수 있도록 가벼운 부재를 사용하고, 적은 질량으로 유지됨에 따라 모멘텀의 증가폭에 따른 질량 이하로 맞출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권취 장치
11, 100: 권취용 파이프
C: 중심부
110: 보강 부재
111: 제1 보강 부재
112: 제2 보강 부재

Claims (6)

  1. 비닐하우스의 외측 비닐을 권취시키는 권취 장치(10)에 연결되는 권취용 파이프(100)에 있어서,
    상기 권취용 파이프(100)의 내측 너비는 양측 말단에서 중심부(C)로 갈수록 좁아지는,
    권취용 파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용 파이프(100)의 양측 말단은 상기 권취 장치(10)에 연결되어 권취되고, 상기 양측 말단에서 상기 중심부(C)까지의 거리는 동일한,
    권취용 파이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너비의 감소폭은 상기 권취용 파이프(100)에 대한 모멘텀 증가 폭과 동일하여, 상기 권취용 파이프(100)의 처짐이 방지되는,
    권취용 파이프.
  4. 비닐하우스의 외측 비닐을 권취시키는 권취 장치(10)에 연결되는 권취용 파이프(11)에 있어서,
    상기 권취용 파이프(11)의 전체 길이(l)의 절반에 위치하는 중심부(C)에 상응하도록 삽입되는 보강부재 조립체(110)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 조립체(110)는.
    상기 권취용 파이프(11)의 상기 전체 길이(l)보다 짧은 길이이되, 상기 권취용 파이프(11)의 내측 너비와 상응하는 지름을 갖는 제1 보강부재(111); 및
    상기 제1 보강부재(111)의 내측 중심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1 보강부재(111)의 전체 길이보다 짧은 길이이되, 상기 제1 보강부재(111)의 내측 너비와 상응하는 지름을 갖는 제2 보강부재(112)를 포함하는,
    권취용 파이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 조립체(110)는,
    상기 권취용 파이프(11)의 모멘텀의 증가폭에 따른 질량에 상응한 질량으로 형성되는,
    권취용 파이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 조립체(110)에 의해 상기 권취용 파이프(11)의 처짐이 방지되는,
    권취용 파이프.
KR1020190158407A 2019-12-02 2019-12-02 비닐하우스의 권취용 파이프 KR102516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407A KR102516139B1 (ko) 2019-12-02 2019-12-02 비닐하우스의 권취용 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407A KR102516139B1 (ko) 2019-12-02 2019-12-02 비닐하우스의 권취용 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858A true KR20210068858A (ko) 2021-06-10
KR102516139B1 KR102516139B1 (ko) 2023-04-03

Family

ID=76378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407A KR102516139B1 (ko) 2019-12-02 2019-12-02 비닐하우스의 권취용 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6139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95092A (ja) * 1988-05-23 1989-11-28 Nippon Steel Corp 外径差のあるパイプ用の形状記憶合金製継手
JPH0515260A (ja) 1991-07-10 1993-01-26 Norin Suisansyo Tohoku Nogyo Shikenjo ビニールハウス用電動側壁開閉装置
JP3081396B2 (ja) 1992-12-09 2000-08-28 東京電力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KR200327212Y1 (ko) * 2003-06-04 2003-09-19 최정곤 보강부재가 구비된 파이프
KR20050074665A (ko) 2004-01-14 2005-07-19 김범식 이중 비닐하우스의 보온덮개 개폐장치
KR200419080Y1 (ko) * 2006-03-29 2006-06-15 김창진 비닐하우스 측면 환기용 다각형 기둥말이 파이프
KR20140121162A (ko) * 2013-04-05 2014-10-15 이택연 비닐하우스 프레임에 사용되는 비원형 단면을 가지는 파이프
KR101464231B1 (ko) * 2013-07-15 2014-11-21 주식회사 코코팜 비닐하우스 및 축사의 통풍 및 보온을 위한 덮개 개폐장치용 권취봉
KR101546912B1 (ko) * 2014-03-12 2015-08-25 정재현 비닐하우스 개폐파이프 연결구
JP2018007597A (ja) 2016-07-12 2018-01-18 東都興業株式会社 ビニルハウス用遮光ロールスクリーンの張設装置
KR101833167B1 (ko) * 2017-03-02 2018-02-28 김명준 비닐하우스의 하이브리드 권취봉의 구조
KR20190071913A (ko) * 2017-12-15 2019-06-25 김광식 비닐하우스용 개폐형 파이프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95092A (ja) * 1988-05-23 1989-11-28 Nippon Steel Corp 外径差のあるパイプ用の形状記憶合金製継手
JPH0515260A (ja) 1991-07-10 1993-01-26 Norin Suisansyo Tohoku Nogyo Shikenjo ビニールハウス用電動側壁開閉装置
JP3081396B2 (ja) 1992-12-09 2000-08-28 東京電力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KR200327212Y1 (ko) * 2003-06-04 2003-09-19 최정곤 보강부재가 구비된 파이프
KR20050074665A (ko) 2004-01-14 2005-07-19 김범식 이중 비닐하우스의 보온덮개 개폐장치
KR200419080Y1 (ko) * 2006-03-29 2006-06-15 김창진 비닐하우스 측면 환기용 다각형 기둥말이 파이프
KR20140121162A (ko) * 2013-04-05 2014-10-15 이택연 비닐하우스 프레임에 사용되는 비원형 단면을 가지는 파이프
KR101464231B1 (ko) * 2013-07-15 2014-11-21 주식회사 코코팜 비닐하우스 및 축사의 통풍 및 보온을 위한 덮개 개폐장치용 권취봉
KR101546912B1 (ko) * 2014-03-12 2015-08-25 정재현 비닐하우스 개폐파이프 연결구
JP2018007597A (ja) 2016-07-12 2018-01-18 東都興業株式会社 ビニルハウス用遮光ロールスクリーンの張設装置
KR101833167B1 (ko) * 2017-03-02 2018-02-28 김명준 비닐하우스의 하이브리드 권취봉의 구조
KR20190071913A (ko) * 2017-12-15 2019-06-25 김광식 비닐하우스용 개폐형 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6139B1 (ko) 202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06291A1 (en) Cable duct coupler
CS292591A3 (en) Nest of tubes for a cable line and process for producing a tubular system for said nest of tubes
US4559745A (en) Devices for the fire stopping of plastics pipes
NO20080735L (no) System for forsegling av et rom mellom en innvendig vegg av en rorapning og minst ett ror eller kanal i det minste delvis mottatt i apningen
JPH06323471A (ja) 防火システム及び少なくとも1本のケーブル、管等を壁内の開口部を通じて液密及び気密様式にて通す方法
ITPD970010U1 (it) Dispositivo fissatubi perfezionato
US7939760B2 (en) Harness protector structure for link
KR20210068858A (ko) 비닐하우스의 권취용 파이프
JP2007321967A (ja) 壁貫通孔用の壁連通管材とその壁連通管材を用いた壁構造
NO20073546L (no) Isolerende element med viklet rorhylster dannet som et prefabrikert element for a oppta et varmt ror
JP2008306787A (ja) 電線保護構造
KR101833167B1 (ko) 비닐하우스의 하이브리드 권취봉의 구조
WO2007148218A3 (fr) Jeu d'accessoires pour une boite noyee dans une dalle de beton et destinee a l'installation de conduits d'alimentation d'un flux
KR101918163B1 (ko) 단열부재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경첩
KR101972097B1 (ko) 비닐하우스의 권취용 파이프
JP4590212B2 (ja) 合成樹脂製の長尺通水管の製造方法
CH405672A (fr) Canal de ventilation
JP6403518B2 (ja) 線状部材保護装置
ES2280143B1 (es) Dispositivo para el tendido de conductos.
KR100666204B1 (ko) 건축물 창호 측면 루버 조립체.
KR200186446Y1 (ko) 비닐하우스에 있어 내부비닐 및 보온재의 개폐장치
JP7280088B2 (ja) ビニールハウスのフィルム保護具
KR20160030728A (ko) 비닐하우스의 하이브리드 권취봉의 구조
JP2007075336A (ja)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用ナイトカバー巻取り装置
WO2008135850A3 (en) A wall-related construction element (connection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