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8562A - 차량 도어용 도어 모듈, 차량 도어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도어용 도어 모듈, 차량 도어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8562A
KR20210068562A KR1020217013831A KR20217013831A KR20210068562A KR 20210068562 A KR20210068562 A KR 20210068562A KR 1020217013831 A KR1020217013831 A KR 1020217013831A KR 20217013831 A KR20217013831 A KR 20217013831A KR 20210068562 A KR20210068562 A KR 20210068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osheet
door module
door
vehicle door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3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카엘 티에넬
아이케 리트할러
안드레 칼
Original Assignee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에스이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에스이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filed Critical 브로제 파초이크타일레 에스이 운트 코. 콤만디트게젤샤프트, 밤베르크
Publication of KR20210068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85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3Conceptual assembling of door, i.e. how door frame parts should be fitted together to form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688Coating articles provided with a dec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29L2031/3014Door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차량 도어(T)용 도어 모듈(1)에 관한 것으로, 이 도어 모듈은 실질적으로 오르가노시트(organosheet)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10, 11, 12)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 모듈(10)은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를 가지며, 도어 모듈(1)의 상이한 영역(10, 11, 12)이 그 오르가노시트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차량 도어용 도어 모듈, 차량 도어 및 제조 방법
제안된 해결책은 특히 차량 도어용 도어 모듈, 차량 도어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어 모듈(이 모듈로 형성되는 차량 도어의 일부분)은 일반적으로 복수의 기능 요소, 예컨대, 차량 도어의 창 유리를 조절하기 위한 창 조절기의 부품,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또는 도어 잠금 시스템의 부품을 지지한다. 이러한 도어 모듈의 그러한 캐리어 영역(빈번히 면적 방식으로 연장되어 있음)을 실질적으로 오르가노시트(organosheet)로 형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오르가노시트는 전형적으로는 반완성 섬유 매트릭스 제품 형태로 되어 있는 섬유 복합 재료이다. 이러한 섬유 복합 재료의 경우에, (보강) 섬유가 플라스틱, 전형적으로는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플라스틱에 매립된다. 여기서, 섬유는 특히 레이드 스크림(laid scrim), 직조 직물, 편직물 또는 유리, 케블러, 탄소 또는 플라스틱 섬유, 즉 특히 탄소, 아라미드 또는 천연 섬유로 구성된 소위 UD 테이프(즉, 일방향 테이프)의 형태로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매트릭스에 매립될 수 있다. 매트릭스용으로 적절한 열가소성 재료의 예는 섬유에 대한 양호한 접착성 때문에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아미드(PA)이다. 매립되는 섬유는 빈번히 연속 섬유이며 그래서 연속 섬유 보강 플라스틱이라고도 한다.
"연속 섬유 보강" 이라는 특성화는, 보강 역할을 하는 섬유의 길이가 실질적으로 전형적으로 판형인 오르가노시트의 크기로 제한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오르가노시트 내에서 섬유는 일반적으로 단절되어 있지 않다.
이 경우, 캐리어 영역은 실질적으로 오르가노시트로 형성된다는 사실은, 오르가노시트는 캐리어 영역에서 통상적인 작동 조건 하에서 생기는 힘의 대부분을 받는 부분을 형성함을 의미한다. 여기서, 이는, 특히, 캐리어 영역에서 창 조절기의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이 제공되는 부분일 수 있다. 오르가노시트로 구성된 캐리어 영역의 일부분(예컨대,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을 지지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을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결부되어 있음) 또는 오르가노시트로 구성되는 캐리어 영역의 복수의 부분(예컨대,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을 지지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을 일체적으로 형성함)은 예컨대 캐리어 영역의 면적의 대략 30% 이상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특히, 오르가노시트는 캐리어 영역의 면적의 40% 이상, 일반적으로 적어도 50%에 걸쳐 연장될 수 있고, 그래서 오르가노시트는 캐리어 영역의 표면의 40% 이상 또는 대략 50% 이상인 대응하는 부분을 형성한다. 오르가노시트의 강도 이점을 충분히 이용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캐리어 영역의 면적에서 오르가노시트의 비율을 최대화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 캐리어 영역에 있는 오르가노시트의 다부분 구성이 배제되지 않는다.
도어 모듈의 주 구성 요소는 예컨대 오르가노시트로 구성된 판형 반완성 제품이다. 따라서 오르가노시트는 예컨대 도어 모듈의 실질적인 면적 연장을 규정하지만, 추가의 부품 또는 재료의 보충을 받을 수도 있다. 예컨대, 따라서 금속 요소 및/또는 플라스틱 요소가 오르가노시트에 포함되거나 오르가노시트에 부착될 수 있다.
특히, 자동차 분야에서, 그리고 여기서 예컨대 차량 도어의 제조의 경우에, 오르가노시트는 오늘날 이미 상이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전형적으로, 도어 모듈의 캐리어 영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정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로 제조될 수 있고 또한 예컨대 인터페이스의 형성을 위한 플라스틱 재료가 그 오르가노시트에 사출 성형된다. 플라스틱 재료가 사출 성형되어 있는 오르가노시트는 자주 차량 도어에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클래딩 부품으로 덮인다.
위와 같은 점들을 배경으로 한 제안된 해결책은 차량 도어용 오르가노시트의 사용을 더 개선하고자 하는 목적에 기반한다.
위의 목적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의 도어 모듈, 청구항 11의 차량 도어 및 청구항 12, 24 또는 26의 제조 방법으로 달성된다.
제안된 해결책과 관련하여, 예컨대, 차량 도어용 도어 모듈이 제공되며, 이 모듈의 경우에,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가 도어 모듈의 상이한 영역의 형성을 위해 제공된다.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의 사용 결과로, 도어 모듈의 각각의 영역의 기능 및 로딩에 따라 적합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는, 예컨대 재료 두께, 보강 섬유의 재료, 보강 섬유의 정렬 및/또는 존재하는 섬유 층의 수에 대해 서로 다르다. 따라서, 제안된 해결책은 특히 도어 모듈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 경우에, 특정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 또한 특정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의 조합이 특정한 영역에서만 사용된다.
예컨대, 도어 모듈의 캐리어 영역의 대부분은 제 1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로 형성되지만,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추가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를 도어 모듈에 적어도 국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이와 관련하여, 비교적 작은 재료 두께를 갖는 제 1 종류의 오르가노시트가 도어 모듈의 캐리어 영역의 형성에 이용될 수 있고, 따라서 제 1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는 도어 모듈의 캐리어 영역의 대부분을 규정하고, 차량 도어의 기능 부품, 예컨대, 창 조절기의 부품, 스피커 및/또는 도어 로크(lock)의 부품이 캐리어 영역에 부착된다. 그리고, 예컨대, 캐리어 영역을 국부적으로 강화하고 그리고/또는 캐리어 영역에 추가로 모듈에 추가 기능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추가 종류의 오르가노시트가 제 1 종류의 오르가노시트에 연결된다. 이렇게 해서, 예컨대, 다른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를 갖는 보강부를 도어 모듈의 밑틀 영역에 제공할 수 있고, 도어 모듈이 차량 도어에 적절히 조립된 상태로 있을 때 그 밑틀 영역은 차량의 도어의 창 밑틀의 적어도 일부분을 규정한다. 도어 모듈의 추가 기능 영역은, 예컨대, 완전 조립된 차량 도어에 있는 창 개구의 경계를 이루는 창 프레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규정하는 프레임 영역일 수 있고, 그 추가 기능 영역은 다른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로 형성된다.
원리적으로, 2개 보다 많은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도어 모듈은 적어도 3개의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를 가질 수 있고, 도어 모듈의 상이한 영역들은 그 오르가노시트로 형성된다.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의 연결을 위해, 한 설계 변형예에서 상기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겹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의 겹침 영역에서, 예컨대, 사출 성형 플라스틱 재료를 통해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의 확고한 잠금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한 설계 변형예에서, 그런 다음에,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가 겹침 영역에서 플라스틱 재료를 통해 확고한 잠금 방식으로 서로에 고정되도록, 플라스틱 재료가 도어 모듈에 있는 2개의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의 겹침 영역에 오버몰딩되고 그리고/또는 그 영역을 통해 주입된다.
예컨대, 제 1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는 단일층 직조 직물, 단일층 레이드 스크림(laid scrim), 단일층 편직물 또는 단일층 UD 테이프(즉, 플라스틱 재료에 매립되는 보강 섬유로 구성되는 일방향 테이프)를 갖는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 1 종류의 오르가노시트(예컨대, 도어 모듈의 캐리어 영역의 대부분이 그 오르가노시트로 형성됨)는 0.4 mm 내지 1 mm, 특히 0.4 mm 내지 0.8 mm의 재료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대조적으로, 제 2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는 예컨대 다층 직조 직물, 다층 레이드 스크림, 다층 편직물 또는 단일층 UD 테이프 및/또는 0.4 mm 내지 4 mm, 특히 0.9 mm 내지 2.8 mm의 재료 두께를 갖는다. 여기서, 제 1 종류의 오르가노시트와는 대조적으로, 따라서 제 2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는 적어도 하나의 섬유 층 및/또는 더 큰 재료 강도 및 그래서 더 큰 재료 두께로 형성된다.
한 설계 변형예에서, 적어도 3개의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가 도어 모듈에 제공되며,
- 제 1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는 단일층 직조 직물, 단일층 레이드 스크림, 단일 층 편직물 또는 단일층 UD 테이프 및/또는 0.4 mm 내지 1 mm, 특히 0.4 mm 내지 0.8 mm의 재료 두께를 가지며,
- 제 2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는 다층 직조 직물, 다층 레이드 스크림, 다층 편직물 또는 다층 UD 테이프 및/또는 0.4 mm 내지 2.0 mm, 특히 0.9 mm 내지 1.8 mm의 재료 두께를 가지며,
- 제 3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는 1.8 mm 내지 4.0 mm, 특히 1.8 mm 내지 2.8 mm의 재료 두께를 갖는다.
여기서, 원리적으로, 제 3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는 마찬가지로 다층 구성일 수 있다.
차량 도어용 도어 모듈을 제조하기 위한 제안된 방법과 관련하여, 예컨대,
- 적어도 2개의 오르가노시트 블랭크가 제공되며,
- 도어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오르가노시트 블랭크로 형성되며,
도어 모듈의 상이한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 및 그로부터 형성되는 오르가노시트 블랭크가 사용된다.
따라서, 여기서 제안된 제조 방법은 제안된 도어 모듈과 동일한 기본 개념에 근거하며, 이 경우에, 도어 모듈의 상이한 영역들은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로 형성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는 예컨대 겹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적어도 특정 영역에서 서로 겹치지 않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안된 제조 방법의 한 설계 변형예에서,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는 재료 두께, 오르가노시트에 사용되는 보강 섬유의 재료, 보강 섬유의 정렬 및/또는 오르가노시트에 존재하는 섬유 층의 수에 대해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로 만들어진 오르가노시트 블랭크는, 예컨대, 도어 모듈의 강성에 국부적으로 영향을 주기 위해, 특히 추가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를 통해 도어 모듈의 일 영역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그리고/또는 오르가노시트 블랭크를 더 간단한 방식으로 서로에 국부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의 한 설계 변형예에서, 플라스틱 재료가 오르가노시트 블랭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예컨대, 서로 겹치는 오르가노시트 블랭크의 확고한 잠금 연결이 사출 성형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그래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겹치는 통로 개구가 적어도 2개의 오르가노시트 블랭크의 겹침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런 다음에 플라스틱 재료가 이어서 적어도 2개의 오르가노시트 블랭크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는 통로 개구를 통해 주입되면, 오르가노시트 블랭크가 겹침 영역에서 확고한 잠금 방식으로 서로에 연결된다.
예컨대, 오르가노시트 블랭크에 있는 통로 개구는 니들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오르가노시트 블랭크는, 예컨대 수용부에서, 오르가노시트 블랭크에 통로 개구를 생성하기 위해 복수의 니들이 제공되어 있는 도구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추가 오르가노시트 블랭크는 오르가노시트 블랭크에 있는 통로 개구를 생성하기 위해 니들이 제공되어 있는 동일한 도구 부분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오르가노시트 블랭크에서 통로 개구가 각각 제공되어 있는 부분은 도구 부분에의 부착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겹치도록 이미 배치될 수 있다. 다음 처리 단계에서, 플라스틱 재료가 여전히 액체 형태로 통로 개구를 통과하고 따라서 경화 후에 통로 개구가 제공되어 있는 부분에서 오르가노시트 블랭크가 플라스틱 재료를 통해 확고한 잠금 방식으로 서로에 연결되도록, 제공되는 배치를 유지하면서, 플라스틱 재료가 니들로 형성되는 통로 개구를 갖는 오르가노시트 블랭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버몰딩되며 또한 그 통로 개구를 통해 주입될 수 있다.
한 설계 변형예에서, 차량 도어의 장식 표면의 일부분은 사출 성형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며, 도어 모듈과 차량 도어가 적절히 조립된 상태에 있을 때 장식 표면은 차량 내부 쪽을 향하고 또한 차량 도어에서 보일 수 있다. 이 설계 변형예에서, 따라서 차량 도어의 가시적인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은 오르가노시트 상에 사출 성형되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미 형성되어 있고, 그 표면은 예컨대 패널과 같은 클래딩 부품으로 추가로 덮일 필요가 없다.
특히, 오르가노시트 블랭크 상에 사출 성형되는 플라스틱 재료로 가시적인 (장식) 표면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완성된 차량 도어 상에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오르가노시트 블랭크는 성형 도구 안으로 도입되기 전에 예비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고, 그 성형 도구에 의해 도어 모듈이 그의 최종 윤곽으로 성형된다. 오르가노시트 블랭크의 예비 형성은, 최종 성형 및 이어지는 사출 성형 공정 전에 오르가노시트 블랭크는 이미 윤곽에 가까운(완성된 도어 모듈의 최종 윤곽에 대해) 형상을 가짐을 의미한다. 이렇게 해서, 좁은 허용 공차가 특히 더 쉽게 가능하며, 장식 표면 중에서 사출 성형 플라스틱 재료로 규정되는 부분에 결함이 있을 위험이 감소될 수 있다.
제조 경비가 과도한 정도로 증가되지 않도록, 그러한 설계 변형예에서, 오르가노시트 블랭크 중의 적어도 하나는 성형 도구 안으로 도입되기 전에 예비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오르가노시트 블랭크가 예비 형성되고 반면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오르가노시트 블랭크는 예비 형성되지 않는다. 그래서, 장식 표면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이 다음에 사출 성형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는 오르가노시트 블랭크에 예비 형성 작업이 집중될 수 있다.
원리적으로, 한 설계 변형예에서, 도어 모듈을 그의 최종 윤곽으로 성형하는 성형 도구 안으로 도입되는 동안에, 오르가노시트 블랭크 중 적어도 하나의 추가 오르가노시트 블랭크가 도구 안으로 도입되기 전에 오르가노시트 블랭크 중 적어도 하나의 오르가노시트 블랭크가 고정 요소에 의해 도구의 일부분에 고정된다. 이는, 예컨대, 특히 다음 사출 성형 공정 전에, 서로 다른 오르가노시트 블랭크를 서로에 대해 원하는 대로 배치하는 데에 유리할 수 있다. 오르가노시트 블랭크를 성형 도구에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 요소는 예컨대 니들 및/또는 클램핑 핀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니들 형태로 구성된 고정 요소에 의해,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오르가노시트 블랭크가 성형 도구에 고정될 때 통로 개구는 그 오르가노시트 블랭크에 생성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로 만들어지는 오르가노시트 블랭크는 성형 도구 안에 드레이핑(draping)될 수 있으며, 그 성형 도구에 의해 도어 모듈이 그의 최종 윤곽으로 성형된다. 이는, 특히, 도어 모듈의 상이한 영역이 오르가노시트로 형성되게 오르가노시트 블랭크가 성형 도구 상에서 이미 서로에 대해 또한 가능하면 부분적으로 서로에 접해 배치되도록,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로 만들어진 오르가노시트 블랭크(상이한 연장과 그래서 상이한 크기 및/또는 성형 도구 내에서의 상이한 배향을 가짐)가 도구의 만곡된 그리고/또는 각진 표면 상에 배치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제안된 해결책의 추가 양태는 차량 도어용 도어 모듈에 관한 것으로, 이 도어 모듈의 경우에, 실질적으로 오르가노시트로 형성되는 면적 캐리어 영역(차량 도어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 부품이 이 면적 캐리어 영역에 고정됨)에 추가로, 도어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기능) 영역이 실질적으로 오르가노시트로 형성되며, 도어 모듈이 적절히 조립된 상태에 있을 때 그 추가 영역은 차량 도어의 창 개구의 경계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원리적으로, 도어 모듈의 캐리어 영역과 적어도 하나의 추가 영역은 동일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 또는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후자의 경우에, 제안된 해결책의 이 양태는 전술한 제안된 해결책의 제 1 양태의 설계 변형예와 쉽게 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추가 영역(마찬가지로 오르가노시트로 형성됨)은 차량 도어를 위한 창 개구를 규정하는 창 밑틀 및/또는 (창) 프레임의 일부분이다.
도어 모듈을 위한 제조 방법과 관련하여(이 경우에, 캐리어 영역에 추가로, 도어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영역이 오르가노시트로 형성됨),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추가 영역은, 또한 캐리어 영역을 형성하는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로 만들어진 오르가노시트 블랭크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영역은 캐리어 영역을 위한 오르가노시트 블랭크에 사용되는 종류의 오르가노시트와는 다른 종류의 오르가노시트의 오르가노시트 블랭크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제안된 해결책의 이 양태는, 도어 모듈의 캐리어 영역이 (제 1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어 모듈로 규정되는 창 개구에 있는 도어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기능 영역은 오르가노시트, 특히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다른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로 형성된다는 기본 개념에 기반한다. 적어도 하나의 추가 종류의 오르가노시트가 사용될 때, 작동 동안에 창 개구의 영역에서 생기는 하중을 고려하여, 추가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는 적어도 하나의 섬유 층을 가질 수 있고 그리고/또는 캐리어 영역의 대부분(즉, 캐리어 영역의 50% 이상, 특히, 60%, 70% 또는 80% 이상)의 형성에 이용되는 제 1 종류의 오르가노시트 보다 큰 재료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 모듈의 오르가노시트 상에 사출 성형되는 플라스틱 재료로 가시적인 장식 표면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조립된 차량 도어에 형성하는 것에 관한 이미 위에서 설명된 양태는,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를 사용하여 도어 모듈을 형성하는 것 및 도어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기능 영역을 오르가노시트로 형성하는 것과는 명백히 독립적이다. 대응적으로, 이와는 독립적으로, 제안된 해결책의 추가 양태는 차량 도어에 관한 것으로, 이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지지) 영역이 실질적으로 오르가노시트로 형성되며 또한 이 경우에 차량 도어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차량 도어가 적절히 조립된 상태에 있을 때 차량 내부 쪽을 향하고 또한 가시적인 장식 표면을 형성하게 됨)은 오르가노시트 상에 사출 성형되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다.
따라서, 장식 표면 중에서 사출 성형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는 부분에서는 추가적인 클래딩 부품, 그래서 특히 패널이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 사출 성형 공정의 끝에서 차량 도어를 위한 장식 표면의 일부분이 이미 있다.
한 설계 변형예에서, 차량 도어의 창 프레임을 위한 프레임 영역에 있는 장식 표면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예컨대 오르가노시트 상에 사출 성형되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다. 지금까지의 통상적인 구성과는 대조적으로, 창 프레임의 패널링이 그 프레임 영역에 더 이상 필요 없다.
차량 도어를 위한 대응하는 제조 방법에서, 따라서 차량 도어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플라스틱 재료가 사출 성형되는 오르가노시트 블랭크로 형성되며, 그 플라스틱 재료는 차량 도어에 있는 가시적인 장식 표면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형성한다. 여기서, 차량 도어의 오르가노시트로 형성되는 영역, 특히 오르가노시트로 형성되는 지지 영역은 차량 도어의 도어 모듈에 제공될 수 있다.
원리적으로, 위에서 설명한 그리고 제조 방법과 관련하여 아래에서 설명하는 이점과 특징은 대응하는 도어 모듈 및/또는 대응하는 차량 도어의 설계 변형예에도 해당되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다. 또한, 위와 아래에서 언급된 제안된 해결책의 양태들은 서로 쉽게 조합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제안된 해결책의 가능한 설계 변형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은 차량 도어 및 제안된 도어 모듈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기본 구조의 분해도를 나타내며, 도어 모듈은 차량 도어의 창 개구를 위한 창 프레임을 통합한다.
도 2a 및 2b는 차량 도어의 내측면(도 2a) 및 차량 도어의 외측면(도 2b)에서 볼 때, 차량 도어의 바디쉘에 조립되어 있는 도 1의 도어 모듈을 나타낸다.
도 3은 내측면에서 볼 때 차량 도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어 모듈의 상이한 영역들을 도시하며, 그 영역들은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로 형성된다.
도 4는 도 3의 부분(Z)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5a 및 5b는 내측면(도 5a) 및 외측면(도 5b)에서 볼 때, 차량 도어의 바디쉘에 조립되어 있는 제안된 도어 모듈의 일 예를 나타내며, 그 도어 모듈은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로 형성된다.
도 6은 도 5a 및 5b의 도어 모듈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7a 및 7b는 내측면(도 7a) 및 외측면(도 7b)에서 볼 때, 도 5a 및 5b의 도어 모듈의 다양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8a 및 8b는 플라스틱 재료가 사출 성형되어 있지 않은 도 5a - 7b의 도어 모듈을 나타내며,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로 형성되는 상이한 오르가노시트 블랭크를 강조한다.
도 9는 도어 모듈의 오르가노시트 블랭크를 분해도로 나타낸다.
도 10은 도어 모듈을 제조하기 위한 제안된 제조 방법의 설계 변형예를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내측면에서 볼 때 도어 모듈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제조 방법의 두 부분 단계들이 수행되는 부분을 강조한다.
도 12는 성형 도구 상에의 니들링 동안에 도어 모듈의 오르가노시트 블랭크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개방 (형성) 도구의 두 상호 반대 도구측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이는 도구의 일측에 부착되고 도 12에 따라 그에 니들 장착되는 오르가노시트 블랭크를 갖는다.
도 14는 외측면에서 볼 때 도어 모듈의 회전도를 나타내고, 도구에 있는 전진 슬라이드를 위한 영역 및 사출 성형 공정을 위한 2개의 노즐 위치를 강조하며, 도어 모듈 캐리어에 있는 플라스틱 재료의 도시된 구조는 그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생성된다.
도 1은 차량 도어(T)의 분해도를 나타내고, 이 경우에 창(window) 프레임(FR)을 형성하는 도어 모듈(1)이 바디쉘 어셈블리(이하, 바디쉘(R)이라고 함)에 조립되어 있다. 바디쉘(R)은 전형적으로 도어 외피 및 이에 강성적으로 연결되는 도어 내피를 포함한다. 바디셀(R)은 차량 도어(T)의 기능 부품들을 수용하기 위한 습식 공간을 규정하고, 이 습식 공간은 도어 모듈(1)의 캐리어 영역(10)을 통해 차량 내부 쪽을 향하는 건식 공간으로부터 밀봉적으로 분리된다.
차량 도어(T)의 상이한 기능 부품, 예컨대, 창 조절기의 부품, 스피커 및/또는 도어 로크의 부품이 캐리어 영역(10)에 고정되며, 이 영역은 도 2a 및 2b에 따르면 조립된 차량 도어(T)의 창 밑틀(B) 아래에서 연장되어 있다. 추가 기능 부품은 예컨대 차량 도어(T) 상에 또는 그 안에 제공되는 센서일 수 있다. 예컨대, 도 12에서, 창 조절기의 기능 부품인 가이드 레일(2A, 2B) 및 구동기(A)는 캐리어 영역(10)에, 특히, 그 캐리어 영역(10)의 외측면에 배치되며, 이 외측면은 바디쉘(R)의 도어 외피 쪽을 향한다. 내측 클래딩 부분(I)(차량 도어의 조립 상태에서 캐리어 영역(10)을 덮음)이 내부의 측면에 제공되어 있다.
본 경우에, 도어 모듈(1)(도 2a 및 2b에서 바디쉘(R)에 조립된 상태에서 2개의 상이한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음)은 오르가노시트(organosheet)로 제조되며, 그래서 섬유 복합 재료로부터 일체형으로 제조된다. 이는 특히 창 밑틀(B) 위쪽에서 연장되어 있고 차량 도어(T)의 창 개구(O)의 경계를 이루는 창 프레임(FR)에 해당된다. 바디쉘(R)과 도어 모듈(1) 사이의 연결은 예컨대 스크류 연결로 이루어진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리벳 연결 및/또는 접착제 연결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a 및 2b에 도시되어 있는 도어 모듈(1)의 경우에, 적어도 밑틀(B) 위쪽에서 연장되어 있는 창 프레임(FR)의 일부분에는, 그 영역에서 도어 모듈(1)의 오르가노시트를 덮기 위해 제공되는 패널이 없다. 오히려, 여기서 도어 모듈(1)의 프레임 영역(12)이 제공되며, 이 프레임 영역은 창 프레임(FR)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고, 완성된 차량 도어(T)의 가시적인 장식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형성되게 사출 성형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도록, 적어도 차량 내부를 향하는 측에서 그 사출 성형 플라스틱 재료로 덮인다. 여기서, 따라서, 창 프레임(FR)의 영역에 있는 차량 도어(T)의 장식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도어 모듈측에서 사출 성형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다.
프레임 영역(12)은 특히 도 3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 도는 도어 모듈(1)이 바디쉘(R)에 조립되어 있는 차량 도어(1)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창 밑틀(B) 아래에 제공되는 면적 캐리어 영역(10) 및 창 밑틀(B) 위쪽에서 연장되어 있고 창 프레임(FR)을 규정하는 프레임 영역(12)에 추가로, 이 경우에 도어 모듈(1)은, 미러 트라이앵글의 영역에 있고 창 밑틀(B)에 직접 인접하는 보강 영역(11)을 또한 갖는다. 이 경우, 따라서, 여기서 기다란 보강 영역은 도어 모듈측 밑틀 영역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설계 변형예에서,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가 도어 모듈의 세 영역(10, 11, 12)에 사용된다.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여기서 도어 모듈(1)에서 서로 조합됨)가 이 경우에 비교적 간단한 방식으로 상이한 영역(10, 11, 12)의 기능 특정적인 설계를 가능하게 해준다. 개별적인 영역(10, 11, 12)은 예컨대 상이한 오르가노시트로 만들어지는 블랭크로 형성될 수 있다.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는 그의 재료 두께에 있어 서로 다르다. 그러나, 오르가노시트 종류는 보강 섬유의 재료, 보강 섬유의 정렬 및/또는 존재하는 섬유 층의 수에 있어서도 추가적으로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부분적으로 겹치는 개별 층들로부터 적층체가 형성되며, 이 경우에, 사용되는 오르가노시트의 층 두께는 로드(load)에 적절한 선택을 통해 각각의 영역(10, 11, 12)에서 서로 다르다.
여기서, 오르가노시트는 원리적으로 각각 열가소성 및 열경화성 매트릭스를 가질 수 있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금속 인서트로 선택적으로 보강될 수 있다. 예컨대,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아미드(PA)가 열가소성 매트릭스용으로 사용된다. 각각의 오르가노시트의 보강 섬유는 예컨대 유리, 탄소 또는 아라미드로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천연 섬유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시되어 있는 설계 변형예에서, 단일층 직조 직물 또는 단일층 레이드 스크림(laid scrim)을 갖는 오르가노시트가 예컨대 캐리어 영역(10)에 대해 사용되며, 오르가노시트는 0.4 mm 내지 1 mm의 재료 두께, 예컨대 여기서는 0.6 mm 범위의 재료 두께를 갖는다. 밑틀에 가까운 보강 영역(11)에서, 다층 직조 직물 또는 레이드 스크림이 제공되며, 재료 두께는 0.9 mm 내지 4 mm, 예컨대 1 mm 내지 1.5 mm 이다. 1.8 mm 내지 4 mm, 특히 2 mm 내지 2.5 mm의 재료 두께가 프레임 영역(12)에 제공되며, 여기서 섬유는 비교적 큰 정도로 일방향으로 정렬된다. 따라서, 개별 영역(10, 11, 12)은 상이한 두께를 가지며, 상이한 수의 섬유 층으로 형성된다. 더욱이, 보강 영역(11)에는, 캐리어 영역(10)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공되거나 프레임 영역(12)의 일부분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속적인 겹침부가 있다(예컨대, 미러 트라이앵글의 영역에서).
도 4의 확대도에 대응적으로,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의 사용은,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가 노드 영역(K)에서 서로 상하로 서로에 지지됨을 의미하고, 프레임측 장식 표면의 일부분을 위한 사출 성형 부분(120)을 형성하기 위해 플라스틱 재료가 특히 그러한 노드 영역(K)에 이용된다. 이는 도어 모듈(1)의 제조 방법에서 고려된다.
도어 모듈(1)의 구조 및 그의 제조를 도 5a 내지 14를 기반으로 더 상세히 설명한다. 단순성 및 개별 상세의 더 양호한 식별을 위해, 도어 모듈(1)은 여기서 각 경우에 소위 데몬스트레이터(demonstrator) 모듈의 방식으로 부분적으로만 도시되어 있고, 그러므로, 프레임 영역(12)의 일부분, 프레임 영역(11)의 일부분, 및 면적 캐리어 영역(10)의 일부분만이 각 경우에 여기서 명백하게 나타나 있다. 대응적으로, 도 5a 내지 14에서, 도어 모듈(1)은 길이(a)와 폭(b)을 가지고 최대로 도시되어 있고, 이는 각 경우에 완성된 형상으로 있는 도어 모듈(1)의 총 길이 및 총 폭의 일부분에 대응한다.
도 5a 및 5b는, 차량 도어(T)의 내측면 및 외측면을 볼 때, 도어 모듈(1)이 의도대로 바디쉘(R)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그 도어 모듈을 나타낸다. 이로부터, 특히, 도 6, 7a 및 7b의 개별적인 도시와 관련하여, 도어 모듈(1)의 영역(10, 11, 12)은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로 된 상이한 블랭크로 형성됨이 명백하다. 이 경우 보강 영역(11)을 위한 블랭크가 캐리어 영역(10)을 위해 제공되는 블랭크의 가장자리(밑틀에 가까이 있음)와 완전히 겹치지만, 완성된 도어 모듈(1)에 있는 블랭크의 연결을 보장하기 위해 프레임 영역(12)을 위한 블랭크와 캐리어 영역(10)을 위한 블랭크 사이에 제공되는 부분적인 겹침만이 있다.
이 경우 플라스틱 재료는 개별 영역(10, 11, 12)의 형성을 위한 오르가노시트의 블랭크 상에 사출 성형된다. 개별 블랭크의 사출 성형된 부분과 오버몰딩된 부분은 여기서 상이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이한 요소와 영역들이 (오르가노시트) 블랭크의 사출 성형에 의해 예컨대 PP LGF 30와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따라서 사출 성형 부분(101)이 도어 모듈(1)에 제공되고, 체결 개구가 상기 부분에 의해 각각의 영역(10, 11, 12)의 가장자리측에 형성된다. 도어 모듈(1)은 사출 성형 부분(101)의 체결 개구를 통해 바다쉘(R)의 도어 내피에 고정된다. 사출 성형 부분(101)에 형성되어 있는 가장자리측 체결 개구 중의 적어도 일부는 기능 부품을 도어 모듈(1)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캐리어 영역(10)을 적어도 국부적으로 강화하고 그리고/또는 체결 개구를 국부적으로 강화하기 위해, 플라스틱 재료로 사출 성형되는 보강 리브(100)가 도어 모듈의 캐리어 영역(10)의 내측면에 성형되어 있다.
사출 성형 부분(120)이 또한 플라스틱 재료를 통해 프레임 영역(12)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사출 성형 부분은 프레임측 장식 표면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이 경우, 예컨대, 결(grain)이 있는 시각적 외양을 갖는 장식 표면의 일부분이 프레임 영역(12) 상에 사출 성형되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는 사출 성형 부분(120)에 의해 형성되고, 그래서, 프레임 영역(12)의 적어도 일부분에 걸쳐 별도의 패널링이 더 이상 필요 없게 된다(특히 도 7a 참조).
도 7b에 대응적으로, 도어 모듈(1)의 외측면에는, 보강 리브가 마찬가지로 사출 성형 부분(121)에 의해 프레임 영역(12)에 형성된다. 보강 영역(11)은 또한 보강 리브를 갖는 사출 성형 부분(110)에 의해 보강된다. 도 7b에 도시되어 있는 외측면에는, 가이드 레일(2A, 2B)의 일부분, 대안적으로, 적어도 창 조절기의 가이드 레일(2A, 2B)을 위한 베어링 점이 사출 성형 부분(102)에 의해 캐리어 영역(10)에 성형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도어 모듈(1)은, 서로의 위에 형성되고 패칭되며 또한 도어 모듈(1)을 형성하기 위해 먼저 성형 도구로 열형성되는 상이한 두께의 오르가노시트의 사용으로 차별화된다. 성형 도구를 사용한 성형 후에, 인터페이스, 기능 영역(예컨대, 사출 성형 부분(102)에 있는 가이드 레일(2A, 2B)) 및 강화 리브를 형성하기 위해 사출 성형 기능이 동일한 도구로 수행된다. 제조 방법의 설계 변형예에 관한 상세를 아래에서 설명되는 도 8a - 14을 근거로 설명한다.
따라서 도 8a 및 8b는, 외측면(도 8a)과 내측면(도 8b)을 볼 때, 플라스틱 재료가 사출 성형되어 있지 않은 도 6 내지 7b의 도어 모듈(1)을 나타낸다. 도 8a 및 8b에는, 도어 모듈(1)의 기능적으로 또한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영역(10, 11, 12)이 형성되는 블랭크(Z1, Z2, Z3)가 이 경우에 강조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블랭크(Z1)는 0.6 mm의 재료 두께를 갖는 제 1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로 구성된다. 이 경우에 블랭크(Z1)는 예컨대 단지 하나의 섬유 층을 갖는다. 제 2 블랭크(Z2)는 프레임 영역(12)의 형성을 위한 제 2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로 구성된다. 프레임 영역(12)을 위한 제 2 블랭크(Z2)를 위한 제 2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는 여러 개의(적어도 2개) 섬유 층, 특히 가능하면 UD 테이프, 및 2.0 mm 내지 2.5 mm 범위의 재료 두께 및 비교적 큰 일방향 섬유 정렬을 갖는다. 보강 영역(11)을 위한 제 3 블랭크(Z3)가 제 3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로 구성되며, 마찬가지로 여러 개의 섬유 층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 3 종류의 오르가노시트의 재료 두께는 1 mm 내지 1.5 mm 범위에 있다.
도시되어 있는 설계 변형예에서, 원리적으로, 모든 3개의 블랭크(Z1, Z2, Z3)를 위한 보강 섬유는 각 경우에 단일층 또는 다층 직조 직물, 레이드 스크림, 편직물 또는 UD 테이프로 제공될 수 있고 또한 열가소성 매트릭스에서 유리 섬유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9의 분해도에 대응적으로, 개별 블랭크(Z1, Z2, Z3)는 먼저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로 개별적으로 제조되고, 그런 다음에 성형 도구(W)(도 13 참조)로 도어 모듈(1)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0의 흐름도에 근거하여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제조 방법의 경우, 예컨대 다음과 같은 공정 순서가 제공된다:
1. 먼저, 실질적으로 캐리어 영역(10)을 형성하는 면적 블랭크(Z1)가, 특히, 도 12 및 13에 예시적으로 또한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는 실제 (형성) 도구(WZ) 위쪽에서 가열된다.
2. 이어서 블랭크(Z2, Z3)는 가열 스테이션, 예컨대, 수평 가열 스테이션에서 가열된다.
3. 이어서 블랭크(Z2, Z3)는 예컨대 니들 그립퍼에 의해 도구(WZ) 안으로 전달된다.
4. 이 경우에, 블랭크(Z2, Z3)는 도구(WZ)의 고정된 도구측(WZa)에 부착되고 도구(WZ)의 니들(N)에 니들 장착된다.
5. 그런 다음에 블랭크(Z2, Z2)는 도구(WZ) 내부에서 사전에 드레이핑(draping)된다. 프레임 영역(12)(프레임측 장식 표면의 일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사출 성형 부분(120)이 그 프레임 영역에 사출 성형됨)을 위해, 특히 블랭크(Z2)가 가능한 한 최종 윤곽에 맞게 사전에 드레이핑된다. 블랭크를 최종 윤곽에 맞게 사전에 드레이핑하기 위해, 특히,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한 오버몰딩 전에 비교적 큰 냉각을 이루기 위해 도구(WZ)에 대한 접촉이 가능한 한 넓은 면적에 걸쳐 제공된다. 다른 곳에서는, 블랭크를 최종 윤곽에 가깝게 사전에 드레이핑하는 것으로 충분할 수 있다. 예컨대, 블랭크(Z2, Z3)의 겹침 영역에서는, 단지 블랭크(Z2, Z3)를 최종 윤곽에 가깝게 드레이핑하면 된다. 여기서, 대응적으로, 더 느린 냉각을 위해 도구(WZ)와의 점접촉만이 있다.
6. 블랭크(Z2, Z3)를 도구(WZ)에 도입하고 니들 장착하기 위해 또한 블랭크(Z2, Z3)의 사전에 드레이핑을 위해 제조 기계가 완전히 개방되었지만, 이어서 그 기계는 중간 위치로 전환된다. 이 중간 위치에서, 캐리어 영역(10)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Z1)가 도구(WZ) 안으로 도입된다.
7. 이어서, 도구(WZ)가 폐쇄되고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로 된 블랭크(Z1, Z2, Z3)에 있는 개별적인 사출 성형 부분(100, 101, 102, 110, 120, 121)을 성형하기 위해 사출 성형 공정이 수행되고, 블랭크는 형성 도구(WZ)에 배치된다.
제안된 설계 변형예와 관련하여, 더 얇은 오르가노시트로 만들어진 블랭크(Z1)가 도구(WZ) 안으로 전달되기 전에, 더 큰 재료 두께를 가지며 그래서 더 높은 열용량을 갖는 블랭크(Z2, Z3)가 따라서 더 이른 단계에서 도구(WZ)에 배치되고 예비 형성된다. 이 경우, 도구(WZ)를 수용하는 제조 기계에 추가로, 블랭크(Z2, Z3)가 형성 온도에서 적절한 스테이션에서 이미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열 스테이션은 예컨대 IR 방출기 또는 순환형 공기 오븐을 갖는다.
블랭크(Z2, Z3)를 도구(WZ) 안으로 전달하는 것과 관련하여, 블랭크는 이미 예비 형성될 수 있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화된다. 여기서, 전달을 위해 제공되는 취급 시스템이 예컨대 예비 형성기로서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예비 형성 후에 취급 시스템이 도구(WZ) 밖으로 이동되고 도구(WZ)에의 블랭크(Z2, Z3)의 배치가 완료되면, 더 얇은 블랭크(Z1)가 도구(WZ) 안으로 도입된다. 이 경우, 더 얇은 블랭크(Z1)는 예컨대 도구(WZ)의 공동부 위쪽에서, 예컨대 IR 방출기 필드 위쪽에서 가열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그 더 얇은 블랭크(Z1)를 공급하기 위해 도구(WZ) 안으로의 선형 변위만 수행될 필요가 있다.
도시되어 있는 설계 변형예에서, 제조 공정 동안에, 블랭크(Z2)는 특히 도 11에서 I. 및 Ⅱ.로 강조되어 있는 프레임 영역(12)의 부분 영역에서 사전에 드레이핑된다. 프레임 영역(12)의 덮이는 부분이 사출 성형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생성되는 부분 영역 Ⅰ.에서, 플라스틱 재료(여기서는 예컨대 PP LGF 30)로의 완전한 오버몰딩을 보장하기 위해 완전한 경화가 수행된다. 또한 그 부분 영역에는 두 블랭크의 겹침 결합이 없고, 그래서, 시각적 결(grain) 내기가 사출 성형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제공되기 위해 비교적 저온인 오르가노시트 블랭크(Z2)를 오버몰딩함으로써, 공정 신뢰적인 조건이 얻어질 수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부분 영역 Ⅱ.에서, 블랭크(Z2)의 두드러진 엠보싱과 함께 사전 드레이핑이 최종 윤곽에 가깝게 일어난다. 여기서, 따라서 비교적 큰 공정 범위가 이용 가능한데, 왜냐하면 더 느린 냉각이 도구 접촉 없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도 12 및 13은 제조 공정에 대한 추가 상세를 나타낸다. 그 도에서, 특히, 도구(WZ)의 고정된 도구측(WZa)에 구성되는 니들(N)을 볼 수 있으며, 오르가노시트로 만들어지는 블랭크(Z1, Z2, Z3)(예컨대, 도 12 및 13에 있는 프레임 영역(12)을 위해 제공되는 블랭크(Z2))가 대응 블랭크를 도구(WZ)에 고정시키기 위해 그 니들에 니들 장착될 수 있다. 원리적으로, 대응하는 니들(N)은 이 경우에 반대편 도구측(WZb)에 제공될 수 있지만, 도 1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블랭크(Z1, Z2 및/또는 Z3)를 도구(WZ)에 고정시키는 동안에, 니들(N)을 또한 사용하여, 각각의 블랭크에 통로 개구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그러한 통로 개구는 적어도 2개의 블랭크(Z1 - Z3)의 겹침 영역에 생성될 수 있다. 그런 다음에 플라스틱 재료가 복수의 블랭크(Z1 - Z3)의 통로 개구를 통해 도입될 수 있고, 그런 다음에 개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고, 그래서 겹침 영역에서 서로 상하로 있는 블랭크(Z1 - Z3)의 부분들은 그를 통해 주입되는 사출 성형 플라스틱 재료를 가지며, 그리하여 플라스틱 재료가 경화되면 확고한 잠금 방식으로 서로에 고정된다. 따라서, 통로 개구를 통해 도입되는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블랭크(Z1 - Z3)가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서로에 "리벳팅(riveting)"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4는 플라스틱 재료가 주입되기 위한 가능한 노즐 위치(D1, D2)를 나타낸다. 추가로, 전진 슬라이드 영역(VB)이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그 전진 슬라이드 영역(VB)에서, 도구(WZ)가 사용되어 실제 성형 작업 전에 행해지는 국부적인 예비 형성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전진 슬라이드 영역(VB)(이 영역에서 복수의 블랭크(Z1 - Z3)의 겹침 영역이 또한 제공됨)에서, 예컨대 0.1 mm 내지 0.2 mm 만큼의 약간의 오버프레싱이 일어날 수 있다.
도시되어 있는 설계 변형예로부터 벗어나서, 도어 모듈(1)은 단지 2개의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 또는 3개 보다 많은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를 가질 수 있고, 이들 오르가노시트들이 서로에 연결되어 도어 모듈을 형성하고 또한 사출 성형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선택적으로 서로에 고정된다. 이 경우에,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는 그의 재료 두께와 존재하는 섬유 층의 수 뿐만 아니라 보강 섬유의 재료 및/또는 보강 섬유의 정렬에 대해서도 서로 다를 수 있다.
1 도어 모듈
10 캐리어 영역
100 보강 리브를 갖는 사출 성형 부분
101 체결 개구를 갖는 사출 성형 부분
102 사출 성형 부분
11 보강 영역
110 보강 리브를 갖는 사출 성형 부분
12 프레임 영역
120 프레임측 장식 표면의 일부분을 갖는 사출 성형 부분
121 보강 리브를 갖는 사출 성형 부분
2A, 2B 가이드 레일(기능 부품)
A 구동기(기능 부품)
a 길이
B 창 밑틀
b 폭
D1, D2 노즐 위치
FR 창 프레임
I 내측 클래딩 부분
K 노드 영역
N 니들
O 창 개구
R 바디쉘
T 차량 도어
VB 전진 슬라이드 영역
WZ 도구
WZa, WZb 도구측
Z1, Z2, Z3 블랭크

Claims (26)

  1. 차량 도어(T)용 도어 모듈로서, 실질적으로 오르가노시트(organosheet)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10, 11, 12)을 가지며,
    상기 도어 모듈(10)은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를 가지며, 상기 도어 모듈(1)의 상이한 영역(10, 11, 12)이 그 오르가노시트로 형성되는, 도어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는 재료 두께, 보강 섬유의 재료, 보강 섬유의 정렬 및/또는 존재하는 섬유 층의 수에 대해 서로 다른, 도어 모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는 단일층 직조 직물, 레이드 스크림(laid scrim), 편직물 또는 UD 테이프 및/또는 0.4 mm 내지 1.0 mm의 재료 두께를 가지며, 제 2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는 다층 직조 직물, 다층 레이드 스크림, 다층 편직물 또는 다층 UD 테이프 및/또는 0.4 mm 내지 4.0 mm의 재료 두께를 갖는, 도어 모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는, 도어 모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모듈(1)은 적어도 3개의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를 가지며, 도어 모듈(1)의 상이한 영역(10, 11, 12)은 그 오르가노시트로 형성되는, 도어 모듈.
  6. 제 3 항 및 제 5 항에 있어서,
    제 1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는 단일층 직조 직물, 단일층 레이드 스크림, 단일 층 편직물 또는 단일층 UD 테이프 및/또는 0.4 mm 내지 1.0 mm의 재료 두께를 가지며,
    제 2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는 다층 직조 직물, 다층 레이드 스크림, 다층 편직물 또는 다층 UD 테이프 및/또는 0.4 mm 내지 2.0 mm의 재료 두께를 가지며,
    제 3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는 1.8 mm 내지 4.0 mm의 재료 두께를 갖는, 도어 모듈.
  7. 특히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량 도어(T)용 도어 모듈로서,
    실질적으로 오르가노시트로 형성되는 면적 캐리어 영역(10)을 가지며, 차량 도어(T)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 부품(2A, 2B, A)이 상기 면적 캐리어 영역에 고정되며,
    상기 캐리어 영역(10)에 추가로, 상기 도어 모듈(1)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영역(11, 12)이 실질적으로 오르가노시트로 형성되며, 상기 도어 모듈(1)이 적절히 조립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추가 영역은 차량 도어(T)의 창 개구(O)의 경계를 이루는, 차량 도어용 도어 모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영역(11, 12)은 상기 창 개구를 규정하는 창 밑틀(B) 및/또는 프레임(FR)을 포함하는, 도어 모듈.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영역(10)과 적어도 하나의 추가 영역(11, 12)은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로 형성되는, 도어 모듈.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도어 모듈(1)을 갖는 차량 도어.
  11. 특히 제 10 항에 따른 차량 도어(T)로서, 실질적으로 오르가노시트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10, 11, 12)을 가지며,
    상기 차량 도어(T)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120)은 상기 오르가노시트에 사출 성형되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차랑 도어(T)가 적절히 조립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부분은 차량 내부 쪽을 향하고 또한 가시적인 장식 표면을 형성하는, 차량 도어.
  12. 차량 도어(T)용 도어 모듈(1), 특히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도어 모듈(1)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적어도 2개의 오르가노시트 블랭크(Z1, Z2, Z3)를 제공하는 단계, 및
    도어 모듈(1)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10, 11, 12)을 상기 오르가노시트 블랭크(Z1, Z2, Z3)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도어 모듈(1)의 상이한 영역(10, 11, 12)을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 및 그로부터 형성되는 오르가노시트 블랭크(Z1, Z2, Z3)가 사용되는, 도어 모듈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는 재료 두께, 보강 섬유의 재료, 보강 섬유의 정렬 및/또는 존재하는 섬유 층의 수에 대해 서로 다른, 도어 모듈 제조 방법.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로 만들어지는 상기 오르가노시트 블랭크(Z1, Z2, Z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겹치는, 도어 모듈 제조 방법.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재료가 적어도 하나의 오르가노시트 블랭크(Z1, Z2, Z3)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사출 성형되는, 도어 모듈 제조 방법.
  16. 제 14 항 및 제 15 항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겹치는 통로 개구가 적어도 2개의 오르가노시트 블랭크(Z1, Z2, Z3)의 겹침 부분에 형성되며, 오르가노시트 블랭크(Z1, Z2, Z3)를 연결하기 위해 플라스틱 재료가 상기 통로 개구를 통해 주입되는, 도어 모듈 제조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개구는 니들로 형성되는, 도어 모듈 제조 방법.
  18.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 성형 플라스틱 재료는 차량 도어(T)의 장식 표면의 일부분(120)을 형성하며, 도어 모듈(1)과 차량 도어(T)가 적절히 조립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장식 표면은 차량 내부 쪽을 향하고 또한 차량 도어(T)에서 보일 수 있는, 도어 모듈 제조 방법.
  19. 제 12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르가노시트 블랭크(Z1, Z2, Z3) 중의 적어도 하나는 성형 도구 안으로 도입되기 전에 예비 형성되며, 그 성형 도구에 의해 상기 도어 모듈(1)이 그의 최종 윤곽으로 성형되는, 도어 모듈 제조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오르가노시트 블랭크(Z1, Z2, Z3)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성형 도구 안으로 도입되기 전에 예비 형성되지 않는, 도어 모듈 제조 방법.
  21. 제 12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모듈(1)을 그의 최종 윤곽으로 성형하는 성형 도구 안으로 도입되는 동안에, 오르가노시트 블랭크(Z1, Z2, Z3) 중 적어도 하나의 추가 오르가노시트 블랭크가 도구 안으로 도입되기 전에 오르가노시트 블랭크(Z1, Z2, Z3) 중 적어도 하나의 오르가노시트 블랭크가 고정 요소에 의해 도구의 일부분에 고정되는, 도어 모듈 제조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요소는 니들 또는 클램핑 핀을 포함하는, 도어 모듈 제조 방법.
  23. 제 12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종류의 오르가노시트로 만들어지는 오르가노시트 블랭크(Z1, Z2, Z3)는 성형 도구 안에 드레이핑(draping)되며, 그 성형 도구에 의해 상기 도어 모듈(1)이 그의 최종 윤곽으로 성형되는, 도어 모듈 제조 방법.
  24. 차량 도어(T)용 도어 모듈(1), 특히 제 12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도어 모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오르가노시트 블랭크(Z1, Z2, Z3)를 제공하는 단계, 및
    도어 모듈(1)의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 영역(10)을 상기 오르가노시트 블랭크(Z1, Z2, Z3)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도어(T)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 부품(2A, 2B, A)은 상기 캐리어 영역에 고정되며,
    상기 캐리어 영역(10)에 추가로, 상기 도어 모듈(1)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영역(11, 12)이 실질적으로 오르가노시트로 형성되며, 상기 도어 모듈(1)이 적절히 조립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추가 영역은 차량 도어(T)의 창 개구(O)의 경계를 이루는, 도어 모듈 제조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 영역(11, 12)은 캐리어 영역(10)을 또한 형성하는 동일한 오르가노시트 블랭크(Z1)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며, 그리고/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영역(11, 12)은, 캐리어 영역(10)을 위한 오르가노시트 블랭크(Z1)에 사용되는 종류의 오르가노시트와는 다른 종류의 오르가노시트의 오르가노시트 블랭크(Z2, Z3)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도어 모듈 제조 방법.
  26. 차량 도어(T)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오르가노시트 블랭크(Z1, Z2, Z3)를 제공하는 단계, 및
    차량 도어(T)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10, 11, 12)을 상기 오르가노시트 블랭크(Z1, Z2, Z3)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도어(T)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120)으로서, 상기 차랑 도어(T)가 적절히 조립된 상태에 있을 때 차량 내부 쪽을 향하고 또한 가시적인 장식 표면을 형성하는 상기 부분(120)은, 상기 오르가노시트 블랭크(Z2)에 사출 성형되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는, 차량 도어 제조 방법.
KR1020217013831A 2018-10-08 2019-10-07 차량 도어용 도어 모듈, 차량 도어 및 제조 방법 KR202100685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8105741.3 2018-10-08
DE202018105741 2018-10-08
PCT/EP2019/077099 WO2020074450A1 (de) 2018-10-08 2019-10-07 Türmodul für eine fahrzeugtür, fahrzeugtür sowie herstellungsverfahr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562A true KR20210068562A (ko) 2021-06-09

Family

ID=68208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3831A KR20210068562A (ko) 2018-10-08 2019-10-07 차량 도어용 도어 모듈, 차량 도어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347234A1 (ko)
EP (1) EP3863874B1 (ko)
JP (1) JP2022508594A (ko)
KR (1) KR20210068562A (ko)
CN (1) CN112789186A (ko)
DE (1) DE202019005952U1 (ko)
WO (1) WO20200744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200977A1 (de) * 2019-01-25 2020-07-30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Fahrzeugtürbaugruppe mit einem einen Brüstungsbereich versteifendem Organoblech-Türmodulträger
CN114347389B (zh) * 2021-12-31 2023-08-11 昆山市鸿毅达精密模具有限公司 汽车车前门导轨的注塑模具
DE102022004892A1 (de) 2022-12-22 2024-01-11 Mercedes-Benz Group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Türmoduls für eine Tür eines Fahrzeugs,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Tür für ein Fahrzeug sowie Türmodul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6005797U1 (de) * 2006-04-04 2006-07-0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Türmodulträger für eine Kraftfahrzeugtür
DE102007037680A1 (de) * 2007-08-10 2009-02-12 Volkswagen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artiell mit Endlosfasern verstärkten Spritzgussbauteils und Werkzeugform für das Spritzgießverfahren
EP2377703A1 (de) * 2010-04-15 2011-10-19 LANXESS Deutschland GmbH Türstrukturmodul
DE102011106151B3 (de) * 2011-06-30 2012-07-19 Daiml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ußenmoduls mit einer Außenbeplankung für eine modular aufgebaute Gehäusekomponente
US9010839B2 (en) * 2012-10-24 2015-04-21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Vehicle side door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DE102012023588A1 (de) * 2012-12-01 2013-07-18 Daimler Ag Verbindungsanordnung eines Türmoduls an einem Rohbauteil einer Tür eines Kraftwagens
DE102013105080B4 (de) 2013-05-17 2016-06-23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albzeugen oder Bauteilen aus faserverstärktem thermoplastischen Kunststoff, nach dem Verfahren hergestelltes Halbzeug und daraus hergestelltes Bauteil
DE102013213711A1 (de) * 2013-07-12 2015-01-1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Hallstad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trukturbauteils für Kraftfahrzeuge aus einem Organoblech
DE102013013497A1 (de) * 2013-08-16 2015-02-19 Leichtbau-Zentrum Sachsen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uteils aus Organoblechen
FR3010351B1 (fr) * 2013-09-06 2017-07-14 Plastic Omnium Cie Caisson interieur pour hayon de vehicule, avec panneau technique rapporte
JP5915621B2 (ja) * 2013-10-30 2016-05-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差厚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203713981U (zh) * 2013-12-19 2014-07-16 全耐塑料公司 机动车关闭件的结构部件及包含该部件的机动车关闭件
EP3305567B1 (en) * 2015-05-27 2019-03-13 Nissan Motor Co., Ltd. Vehicle door structure
DE102015012262B4 (de) * 2015-09-19 2020-12-31 Daimler Ag Tür für einen Kraftwagen
KR101724966B1 (ko) * 2015-12-10 2017-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차량용 도어
DE102016000606A1 (de) * 2016-01-21 2017-07-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ahrzeugtür
CN205417114U (zh) * 2016-03-17 2016-08-03 泉州装备制造研究所 一种汽车纤维车门结构
DE102016003729A1 (de) * 2016-03-24 2017-09-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Fahrzeugtür
JP7020755B2 (ja) * 2016-09-09 2022-02-16 テイジン オートモーティブ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シート成形化合物-樹脂トランスファ成形組立体によって形成された複合車両ドアコンポーネント
US11787272B2 (en) * 2016-12-01 2023-10-17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Hybrid composite tailgate
WO2018108252A1 (en) * 2016-12-13 2018-06-21 Toyota Motor Europe Vehicle tailgate structure
DE102018202475A1 (de) * 2018-02-19 2019-08-22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Strukturbauteil mit mehreren Organoblechstücken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EP3758922B1 (en) * 2018-02-27 2024-05-15 Eovidar AB Process for manufacturing composite fiber products
US20220169097A1 (en) * 2019-03-11 2022-06-02 Teijin Limited Composite vehicle components formed of sheet molding compound reinforced with continuous fibers
DE102019203906A1 (de) * 2019-03-21 2020-09-24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Trägerbauteil mit Befestigungsbereich aus einem Faserverbundwerkstoff und mindestens einem ein Befestigungselement arretierenden Stützelement
DE102021106947A1 (de) * 2020-03-31 2021-09-30 Magna Closures Inc. Fahrzeugtür mit trägermodul mit nachhaltigem träger
US20220324310A1 (en) * 2021-04-09 2022-10-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mposite lift gate
US11993211B2 (en) * 2021-04-14 2024-05-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oor-trim panel having collapsible ribs and grooves
WO2024010918A1 (en) * 2022-07-08 2024-01-11 Consolidated Metco, Inc. Vehicle door and method of manufa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02019005952U1 (de) 2023-08-14
WO2020074450A1 (de) 2020-04-16
JP2022508594A (ja) 2022-01-19
US20210347234A1 (en) 2021-11-11
CN112789186A (zh) 2021-05-11
EP3863874A1 (de) 2021-08-18
EP3863874B1 (de) 2024-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68562A (ko) 차량 도어용 도어 모듈, 차량 도어 및 제조 방법
US7625040B2 (en) Roof frame for a motor vehicle
US20190184799A1 (en) Vehicle tailgate structure
US10919210B2 (en) Organo-sheet for motor vehicles
US6702911B2 (en) Composite material-stiffened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7486950B2 (ja) ハイブリッド複合テールゲート
US20160121936A1 (en) Side Panel Assembly for Passenger Vehicles
US20120169103A1 (en) Vehicle Seat and Method for Making Same
CA2602999A1 (en) Roof frame for a motor vehicle
US9150237B2 (en) Lightweight steering column of fibre composite material
US20190248105A1 (en) Cover for a seat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ver
US7243998B2 (en) Automobile vehicle seat back fram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uch a frame
KR101932636B1 (ko) 복합소재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US6619731B2 (en) Vehicle roof
KR20200072660A (ko)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외부 패널을 포함한 트렁크 리드 및 그 제조방법
JPH08282333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レインフォースメ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11554815B2 (en) Fiber-reinforced vehicle body
CN111770825A (zh) 具有多个有机板件的结构构件及其制造方法
US11511652B2 (en) Seat part, in particular a backrest for a vehicle seat
KR101902448B1 (ko) 섬유 강화 플라스틱이 부착된 마운팅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30150582A1 (en) Outer Skin Component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an Outer Skin Component
WO2022265978A1 (en) Component for vehicle inter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