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8192A -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8192A
KR20210068192A KR1020190156756A KR20190156756A KR20210068192A KR 20210068192 A KR20210068192 A KR 20210068192A KR 1020190156756 A KR1020190156756 A KR 1020190156756A KR 20190156756 A KR20190156756 A KR 20190156756A KR 20210068192 A KR20210068192 A KR 20210068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erter control
frequency
speed
control unit
i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6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종
김기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진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진산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진산전
Priority to KR1020190156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8192A/ko
Publication of KR20210068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81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wave form or frequency
    • H02M7/539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wave form or frequency by pulse-width mod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02P27/08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20/00Electrical machine types; Structures or applications thereof
    • B60L2220/50Structural details of electrical machines
    • B60L2220/58Structural details of electrical machines with more than three ph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10Vehicle control parameters
    • B60L2240/12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42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electric machines
    • B60L2240/421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42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electric machines
    • B60L2240/429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8Electric sensors
    • B60Y2400/3084Electric currents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터의 속도가 높은 경우에 필요한 높은 스위칭 주파수를 선택하고 또 높은 스위칭 주파수로 고정됨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스위칭 파워소자의 열화로 인한 소손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모터의 속도와 모터에 투입되는 전류에 따라 최적의 스위칭 주파수로 자동조정되도록 한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inverter control apparatus with a function of an auto adjusting switching frequency}
본 발명은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모터의 속도가 높은 경우에 필요한 높은 스위칭 주파수를 선택하고 또 높은 스위칭 주파수로 고정됨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스위칭 파워소자의 열화로 인한 소손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모터의 속도와 모터에 투입되는 전류에 따라 최적의 스위칭 주파수로 자동조정되도록 한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순수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자동차(HEV), 연료전지 자동차(FCEV) 등을 포함하는 친환경 자동차에서는 차량 주행을 위한 구동원으로 전기모터를 이용한다.
즉, 차량의 메인 배터리에 저장된 직류전원을 인버터를 이용하여 3상 교류전원으로 변환시켜 모터를 구동하고, 모터의 구동력을 구동륜에 전달하여 차량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친환경 자동차에서는 감속시 회생제동을 통해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배터리에 저장한 뒤 차량 주행시 배터리에 저장된 에너지를 모터를 구동하는데 재사용(회수된 전기에너지를 차량의 운동에너지로 재사용)함으로써 연비를 향상시킨다.
한편, 친환경 자동차의 구동원인 모터와 인버터를 포함하는 모터 시스템에서 구동/회생 운전 중 발생하는 소음문제, 스위칭 손실에 의한 효율 저하, 전자파 성능 저하 등의 여러 문제점이 알려져 있다.
특히, 모터를 고속구동하기 위해서는 모터 주파수가 높아지는 만큼 높은 스위칭 주파수가 요구된다. 그러나, 모터에 흐르는 전류가 커지면 이로 인한 스위칭 파워소자(예:IGBT)의 온도문제가 발생하며 특히 정지 상태에서 높은 전류는 파워소자의 열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모터의 속도가 높은 경우에 필요한 높은 스위칭 주파수를 선택하고 또 높은 스위칭 주파수로 고정됨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스위칭 파워소자의 열화로 인한 소손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모터의 속도와 모터에 투입되는 전류에 따라 최적의 스위칭 주파수로 자동조정되도록 한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차를 구동하는 3상모터를 속도 제어하는 PWM 인버터와; 상기 전기차의 소정 속도 운전에서, 적어도 토오크 전류지령과 인버터 주파수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부와; 상기 3상 모터에 가해지는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전류센서와; 상기 3상 모터의 회전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속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검출된 속도의 범위에 따라 미리 설정된 주파수로 PWM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PWM 인버터를 제어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검출 속도가 증가할수록 스위칭 주파수가 증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동일한 속도범위내에서, 검출되는 전류량이 크면 클수록 스위칭 주파수가 작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속도와 전류 설정범위에 히스테리시스 루프를 적용하여 주파수 변동을 제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주파수 설정을 위한 PWM 카운트 설정값의 기울기를 (현재-이전)/현재 주파수의 식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버터 제어부의 조정에 의해 주파수가 커지면, 3상 모터에 투입되는 전류제어기 비례게인(KpCC)는 증가되고, 전류제어기 적분게인(KiCC)은 동일하게 유지되게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는 모터의 운전상태에 따라서 자동으로 스위칭 주파수가 가변되게 제어됨으로써 인버터의 열화가 방지되고 모터의 운전 효율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의 속도조건 기반 주파수 자동 조정상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의 속도와 전류조건 기반 주파수 자동 조정상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2)는 모터의 속도가 높은 경우에 필요한 높은 스위칭 주파수를 선택하고 또 높은 스위칭 주파수로 고정됨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스위칭 파워소자의 열화로 인한 소손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모터의 속도와 모터에 투입되는 전류에 따라 최적의 스위칭 주파수로 자동조정되도록 한 장치이다.
보다 상세하게, 통상의 전기자동차에 구성된 PWM 인버터는 모터 운전상황 등의 고려 없이 전 운전영역에서 하나의 스위칭 주파수를 고정 설정하여 사용하면, 스위칭 소자의 발열 등에 기인하는 스위칭 손실이 높다.
따라서, 최적의 스위칭 주파수가 모터의 운전상황에 기반하여 설정되어야만 스위칭 주파수의 고저로 인한 장점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2)는 전기차를 구동하는 3상모터(6)를 속도 제어하는 PWM 인버터(4)와; 상기 전기차의 소정 속도 운전에서, 적어도 토오크 전류지령과 인버터 주파수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PWM 인버터(4)를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부(12)와; 상기 3상 모터(6)에 가해지는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전류센서(8)와; 상기 3상 모터(6)의 회전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속도센서(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인버터 제어부(12)는 검출된 속도의 범위에 따라 미리 설정된 주파수로 PWM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PWM 인버터(4)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버터 제어부(12)는 검출된 속도의 범위에 따라 미리 스위칭 주파수가 설정되어져 있는 바,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인버터 제어부(12)는 상기 3상 모터(6)의 검출 속도가 증가할수록 스위칭 주파수가 증가되도록 제어하고, 그 설정값은 미리 테이블 형태로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인버터 제어부(12)는 동일한 속도범위내에서, 검출되는 전류량이 크면 클수록 스위칭 주파수가 작아지도록 제어하고, 그 설정값은 미리 테이블 형태로 구축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인버터 제어부(12)는 속도와 전류 설정범위에 히스테리시스 루프를 적용하여 주파수 변동이 급속하게 또는 무제한적으로 변동되지 않게 제한하도록 제어한다.
또, 상기 인버터 제어부(12)는 주파수 설정을 위한 PWM 카운트 설정값의 기울기를 (현재-이전)/현재 주파수의 식으로 산출하고, 전류제어기 비례게인(KpCC)의 게인값도 주파수 설정에 영향을 미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즉, 상기 인버터 제어부(12)의 조정에 의해 주파수가 커지면, 3상 모터(6)에 투입되는 전류제어기 비례게인(KpCC)는 증가되고, 전류제어기 적분게인(KiCC)은 동일하게 유지되게 제어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의 속도조건 기반 주파수 자동 조정상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2)는 상기 3상 모터(6)의 회전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PWM 인버터(4)의 스위칭 주파수가 조절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2)에는 상기 3상 모터(6)의 회전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속도센서(10)가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12)는 검출된 속도의 범위에 따라 미리 설정된 주파수로 PWM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PWM 인버터(4)를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2)에 구성된 상기 속도센서(10)는 상기 3상 모터(6)의 회전속도를 검출한다.
상기 속도센서(10)의 검출값을 상기 인버터 제어부(12)가 인가받은 상태에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12)는 해당 검출속도가 10rpm 미만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해당 검출속도가 10rpm 미만인 경우라면, 상기 인버터 제어부(12)는 스위칭 주파수를 2㎑가 되게 자동 설정한다.
한편, 해당 검출속도가 10rpm이 아닌 경우라면, 상기 인버터 제어부(12)는 해당 검출속도가 10rpm 이상이면서 100rpm 미만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해당 검출속도가 10rpm의 이상이면서 100rpm 미만인 경우라면, 상기 인버터 제어부(12)는 스위칭 주파수를 4㎑가 되게 자동 설정한다.
또한, 해당 검출속도가 10 내지 100rpm 미만이 아닌 경우라면, 상기 인버터 제어부(12)는 해당 검출속도가 100rpm 이상이면서 5000rpm 미만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해당 검출속도가 100rpm의 이상이면서 5000rpm 미만인 경우라면, 상기 인버터 제어부(12)는 스위칭 주파수를 8㎑가 되게 자동 설정한다.
또, 해당 검출속도가 100 내지 5000rpm 미만이 아닌 경우라면, 상기 인버터 제어부(12)는 해당 검출속도가 5000rpm 이상이면서 8000rpm 미만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해당 검출속도가 5000rpm의 이상이면서 8000rpm 미만인 경우라면, 상기 인버터 제어부(12)는 스위칭 주파수를 10㎑가 되게 자동 설정한다.
또, 해당 검출속도가 8000rpm의 이상인 경우라면, 상기 인버터 제어부(12)는 스위칭 주파수를 12㎑가 되게 자동 설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의 속도와 전류조건 기반 주파수 자동 조정상태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2)는 상기 3상 모터(6)의 회전속도 및 전류값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PWM 인버터(4)의 스위칭 주파수가 조절되도록 구성되어져 있는 바, 복수의 조건에 따라 스위칭 주파수를 자동 설정하는 것이므로 도 2에 비해 정밀한 제어에 해당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2)는 모터의 속도가 높은 경우에 필요한 높은 스위칭 주파수를 선택하고 또 높은 스위칭 주파수로 고정됨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스위칭 파워소자의 열화로 인한 소손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모터의 속도와 모터에 투입되는 전류에 따라 최적의 스위칭 주파수로 자동조정되도록 한 장치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2)에는 상기 3상 모터(6)의 회전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속도센서(10) 및 전류값을 검출하기 위한 전류센서(8)가 구성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12)는 검출된 속도와 전류의 범위에 따라 미리 설정된 주파수로 PWM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PWM 인버터(4)를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2)에 구성된 상기 속도센서(10)는 상기 3상 모터(6)의 회전속도를 검출하고 상기 전류센서(8)는 3상 모터(6)로 투입되는 전류값을 검출한다.
상기 속도센서(10)의 검출값과 전류센서(8)의 전류값을 상기 인버터 제어부(12)가 인가받은 상태에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12)는 해당 검출속도가 10rpm 미만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해당 검출속도가 10rpm 미만인 경우라면, 상기 인버터 제어부(12)는 검출 전류값이 모터 최대전력량의 50%미만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검출 전류값이 모터 최대전력량의 50%미만인 경우라면, 상기 인버터 제어부(12)는 스위칭 주파수를 8㎑가 되게 자동 설정한다.
반면, 검출 전류값이 모터 최대전력량의 50%미만이 아닌 경우라면, 상기 인버터 제어부(12)는 검출 전류값이 모터 최대전력량의 50%이상이면서 80%미만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검출 전류값이 모터 최대전력량의 50%이상이면서 80%미만인 경우라면, 상기 인버터 제어부(12)는 스위칭 주파수를 4㎑가 되게 자동 설정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2)는 모터의 속도가 올라가면 스위칭 주파수를 올리고 전류가 커지면 주파수를 내리도록 주파수를 가변 제어한다.
또한, 검출 전류값이 모터 최대전력량의 50%미만이 아닌 경우라면, 상기 인버터 제어부(12)는 검출 전류값이 모터 최대전력량의 80%이상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검출 전류값이 모터 최대전력량의 80%이상인 경우라면, 상기 인버터 제어부(12)는 스위칭 주파수를 2㎑가 되게 자동 설정한다.
한편, 상기 인버터 제어부(12)는 해당 검출속도가 100rpm 이상이면서 5000rpm미만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해당 검출속도가 100rpm 이상이면서 5000rpm미만인 경우라면, 상기 인버터 제어부(12)는 검출 전류값이 모터 최대전력량의 80%이하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검출 전류값이 모터 최대전력량의 80%이하인 경우라면, 상기 인버터 제어부(12)는 스위칭 주파수를 8㎑가 되게 자동 설정한다.
반면, 검출 전류값이 모터 최대전력량의 80%이하가 아닌 경우라면, 상기 인버터 제어부(12)는 검출 전류값이 모터 최대전력량의 80%를 초과한 것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검출 전류값이 모터 최대전력량의 80% 초과인 경우라면, 상기 인버터 제어부(12)는 스위칭 주파수를 4㎑가 되게 자동 설정한다.
또한, 상기 인버터 제어부(12)는 해당 검출속도가 5000rpm 초과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해당 검출속도가 5000rpm을 초과한 경우라면, 상기 인버터 제어부(12)는 검출 전류값에 무관하게 속도로만 주파수를 조정한다.
즉, 만약, 해당 검출속도가 5000rpm의 이상이면서 8000rpm 미만인 경우라면, 상기 인버터 제어부(12)는 스위칭 주파수를 10㎑가 되게 자동 설정한다.
또, 해당 검출속도가 8000rpm의 이상인 경우라면, 상기 인버터 제어부(12)는 스위칭 주파수를 12㎑가 되게 자동 설정한다.
한편, 상기 인버터 제어부(12)는 속도와 전류 설정범위에 히스테리시스 루프를 적용하여 주파수 변동이 급속하게 또는 무제한적으로 변동되지 않게 제한하도록 제어한다.
예컨대, 상기 인버터 제어부(12)는 히스테리시스 루프를 기반으로 가중치 적용을 하도록 설정된 바, 앞서 설명한 플로우챠트를 기반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10rpm 미만의 회전속도에서 2kHz의 스위칭 주파수가 설정되는 경우, 더욱 상세하게, 50~100rpm의 회전속도에서는 4kHz의 스위칭 주파수가 설정되고, 2kHz에서 속도가 증가하는 경우 10~50rpm은 2kHz, 4kHz에서 속도가 감소하는 경우 10~50rpm에서는 4kHz가 설정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200~5000rpm의 회전속도하에서 8kHz의 스위칭 주파수가 설정되는 경우, 더욱 상세하게 4kHz에서 속도가 증가하는 경우에 100~200rpm에서는 4kHz의 스위칭 주파수가, 8kHz에서 속도가 감소하는 경우 100~200rpm에서는 8kHz가 스위칭 주파수가 설정되게 제어한다.
또, 6000~8000rpm의 회전속도 하에서는 10kHz의 스위칭 주파수가 설정되는 경우, 더 상세하게, 8kHz에서 속도가 증가하는 경우 5000~6000rpm에서는 8kHz, 10kHz에서 속도가 감소하는 경우 5000~6000rpm에서는 10kHz의 스위칭 주파수가 설정되게 제어한다.
또한, 9000rpm의 회전속도하에서는 12kHz의 스위칭 주파수가 설정될 경우, 10kHz에서 속도가 증가하는 경우라면 8000~9000rpm에서는 10kHz의 스위칭 주파수가 설정되게 제어하고, 12kHz에서 속도가 감소하는 경우에 8000~9000rpm에서는 12kHz의 스위칭 주파수가 설정되게 제어한다.
이러한 스위칭 제어부(12)의 제어는 전류설정범위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 상기 인버터 제어부(12)의 조정에 의해 주파수가 커지면, 3상 모터에 투입되는 전류제어기 비례게인(KpCC)는 증가되고, 전류제어기 적분게인(KiCC)은 동일하게 유지되게 제어된다.
한편, 상기 인버터 제어부(12)는 주파수 설정을 위한 PWM 카운트 설정값의 기울기를 (현재-이전)/현재 주파수의 식으로 산출하고, 주파수에 따라 전류제어기 비례게인(KpCC)이 영향을 받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즉, 상기 인버터 제어부(12)의 조정에 의해 주파수가 커지면, 3상 모터(6)에 투입되는 전류제어기의 비례게인(Kpcc)이 비례하여 증가되도록 제어되는 바,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2)에서 상기 3상 모터(6)에 투입하는 전류제어기의 비례게인(Kpcc)은 주파수에 의해 가변 조절되게 구성된다.
예컨대, 주파수 설정을 위한 PWM 카운트 설정값의 기울기는 4kHz에서 8kHz로 변경되는 경우 (8-4)/8 = 0.5가 산출되므로, 인터럽트에서 4kHz에서 0.5kHz 기울기로 증가시켜 8kHz에 도달하도록 자동 설정된다.
상기 인버터 제어부(12)는 전류제어기 비례게인(KpCC)이 주파수에 따라 가변되게 된다. 즉, 주파수가 커지게 되면, 전류제어기 비례게인(KpCC)는 주파수에 비례하여 증가되고, 전류제어기 적분게인(KiCC)은 동일하게 유지된다.
Kpcc(전류제어기 비례게인) 기울기 = (현재-이전)/현재 주파수이다. 즉, 상기 인버터 제어부(12)는 주파수가 커지면 P Gain이 증가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2: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
4:PWM 인버터, 6:3상 모터,
8:전류센서, 10:속도센서,
12:인버터 제어부.

Claims (6)

  1. 전기차를 구동하는 3상모터를 속도 제어하는 PWM 인버터와;
    상기 전기차의 소정 속도 운전에서, 적어도 토오크 전류지령과 인버터 주파수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인버터를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부와;
    상기 3상 모터에 가해지는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전류센서와;
    상기 3상 모터의 회전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속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검출된 속도의 범위에 따라 미리 설정된 주파수로 PWM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PWM 인버터를 제어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검출 속도가 증가할수록 스위칭 주파수가 증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동일한 속도범위내에서, 검출되는 전류량이 크면 클수록 스위칭 주파수가 작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속도와 전류 설정범위에 히스테리시스 루프를 적용하여 주파수 변동을 제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는 주파수 설정을 위한 PWM 카운트 설정값의 기울기를 (현재-이전)/현재 주파수의 식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제어부의 조정에 의해 주파수가 커지면, 3상 모터에 투입되는 전류제어기 비례게인(KpCC)는 증가되고, 전류제어기 적분게인(KiCC)은 동일하게 유지되게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
KR1020190156756A 2019-11-29 2019-11-29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 KR202100681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756A KR20210068192A (ko) 2019-11-29 2019-11-29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756A KR20210068192A (ko) 2019-11-29 2019-11-29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192A true KR20210068192A (ko) 2021-06-09

Family

ID=76415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6756A KR20210068192A (ko) 2019-11-29 2019-11-29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81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39480A (zh) * 2023-12-21 2024-01-23 质子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车动力控制方法及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39480A (zh) * 2023-12-21 2024-01-23 质子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车动力控制方法及装置
CN117439480B (zh) * 2023-12-21 2024-04-09 质子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车动力控制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1211B1 (ko) 전기차의 제어장치
JP3598975B2 (ja) 燃料電池自動車の制御装置
US10079565B2 (en) Electrically-driven vehicle
JP4225293B2 (ja) 車両走行用モータの制御装置
KR20090101015A (ko) 구동모터 과열 방지를 위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토크 제어방법
JP2005295614A (ja) 交流電動機の減速方法及びインバータ装置
WO2021014961A1 (ja) 電動車両
JP2008072868A (ja) 車両用モーター制御装置
JP4756478B2 (ja) インバータ装置および交流電動機の減速方法
KR20210068192A (ko) 주파수 자동 조정기능이 구비된 인버터 제어장치
JP2006136066A (ja) 電動モータの制御装置
EP1475263B1 (en) A controller for a power train
US6239575B1 (en) Induction motor power/torque clamping for electric vehicle performance
JP2008062722A (ja) 直列ハイブリッド式電気自動車
JP2022063117A (ja) 回生制御方法及び回生制御装置
JP3800012B2 (ja) シリーズ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用発電機の制御方式
JP5698868B2 (ja) 回転電機の電源制御装置
WO2021153050A1 (ja) 制御装置
EP3461678A1 (en) Control of distribution of power between first and second propulsion motor for an electric vehicle
KR20120061670A (ko) 모터 제어장치 및 방법
JP3622410B2 (ja) インバータによる電動機の制御方法
CN110978937A (zh) 车辆的电力控制装置及电力控制方法
JP6739577B1 (ja) モータ制御装置
WO2010001415A1 (en) A controller for an electric traction system
JP5272333B2 (ja) モータ駆動装置およびモ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