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8055A - 탑승물 대피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탑승물 대피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8055A
KR20210068055A KR1020217011783A KR20217011783A KR20210068055A KR 20210068055 A KR20210068055 A KR 20210068055A KR 1020217011783 A KR1020217011783 A KR 1020217011783A KR 20217011783 A KR20217011783 A KR 20217011783A KR 20210068055 A KR20210068055 A KR 20210068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vacuation
evacuation platform
passenger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1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니스 맥코믹
Original Assignee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유니버셜 시티 스튜디오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10068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80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7/00Up-and-down hill tracks; Switchbac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04Chutes; Helter-skelters with fixed r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0Slideways with movably suspended cars, or with cars moving on ropes, or the like

Abstract

놀이공원을 위한 탑승물 시스템은 한 명 이상의 탑승객을 운반하도록 구성된 탑승물 차량을 포함한다. 탑승물 시스템은 탑승물 차량 아래로 이동 및 배치되도록 구성된 제 1 섹션을 포함하는 제 1 대피 플랫폼을 더 포함하고, 사용 중에, 한 명 이상의 탑승객은 제 1 섹션 상으로 빠져나감으로써 탑승물 차량으로부터 대피한다.

Description

탑승물 대피 시스템 및 방법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10월 2일에 출원된 "탑승물 대피 시스템 및 방법(RIDE EVACUATION SYSTEMS AND METHODS)"이란 명칭의 미국 가출원 제 62/740,216 호에 대한 우선권과 혜택을 주장하며, 이는 모든 목적을 위하여 인용에 의해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개시는 개략적으로 놀이공원 탑승물(amusement park ride)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놀이공원 탑승물을 위한 탑승물 대피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섹션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태양과 관련될 수 있는 기술의 다양한 태양을 독자에게 소개하기 위한 것이다. 이 논의는 본 개시의 다양한 태양의 더 나은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독자에게 배경 정보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이러한 진술은 선행 기술의 인정으로서가 아니라 이러한 관점에서 읽어야 함을 이해해야 한다.
놀이공원에는 각 공원 이용객에게 독특한 경험을 제공하는 다양한 특징물들이 있다. 일부 특징물들은 특정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탑승물 차량(ride vehicle)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로에는 탑승물 차량이 경로를 따라 이동할 때 이용객의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소들이 포함될 수도 있다. 대피 시스템은 놀이공원 탑승물 도중에 탑승물 차량으로부터 공원 이용객을 대피시키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대피 시스템을 개선하는 것이 유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들의 요약이 아래에 기술된다. 이들 태양은 단지 독자에게 이러한 특정 실시예의 간략한 요약을 제공하기 위해 제시되며 이들 태양은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는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실제로, 본 개시는 아래에 설명되지 않을 수 있는 다양한 태양을 포괄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놀이공원을 위한 탑승물 시스템은 한 명 이상의 탑승객을 앉히도록 구성된 탑승물 차량을 포함한다. 탑승물 시스템은 탑승물 차량 아래로 이동 및 배치되도록 구성된 제 1 섹션을 포함하는 대피 플랫폼(evacuation platform)을 추가로 포함하고, 사용 중에, 한 명 이상의 탑승객은 제 1 섹션 상으로 빠져나감으로써 탑승물 차량으로부터 대피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놀이공원 탑승물에서 탑승물 차량으로부터 대피하는 방법은 대피 플랫폼의 제 1 섹션이 탑승물 차량 아래에 배치되도록 대피 플랫폼을 위치시키기 위해 대피 플랫폼을 인도하는 것을 포함하고, 사용 중에, 한 명 이상의 탑승객은 제 1 섹션 상으로 빠져나감으로써 탑승물 차량으로부터 대피한다. 본 방법은 대피 플랫폼을 통해 탑승객을 대피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대피 플랫폼은 놀이공원 탑승물 전체에 걸쳐서 대피 플랫폼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추진 시스템을 포함한다. 대피 플랫폼은 놀이공원 탑승물의 탑승물 차량 아래로 이동 및 배치되도록 구성된 제 1 섹션을 더 포함하고, 사용 중에, 한 명 이상의 탑승객은 제 1 섹션 상으로 빠져나감으로써 탑승물 차량으로부터 대피한다.
본 개시의 이들 및 다른 특징, 태양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읽을 때 더 잘 이해될 것이며, 첨부 도면 전체에 걸쳐서 유사한 문자는 유사한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대피 플랫폼 및 대피 보행로(evacuation catwalk)를 포함하는 탑승물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대피 플랫폼 및 대피 셔틀(evacuation shuttle)을 포함하는 도 1의 탑승물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하나 이상의 비계(scaffold)를 갖는 도 1 및 도 2의 대피 플랫폼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트랙의 일부의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에 결합된 도 1 및 도 2의 대피 플랫폼의 일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트랙의 일부 상에 배치된 도 1의 대피 플랫폼 및 대피 보행로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트랙의 일부 상에 배치된 다수의 대피 플랫폼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도 1 및 도 2의 탑승물 시스템을 위한 탑승물 차량의 일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탑승물 차량 아래에 배치된 대피 플랫폼의 제 1 섹션을 갖는 도 1 및 도 2의 대피 플랫폼의 일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탑승물 차량의 도달 범위(reach envelope) 내부에 배치된 대피 보행로와 함께 탑승물 차량 아래에 배치된 대피 플랫폼의 제 1 섹션을 구비하는 도 1 및 도 2의 대피 플랫폼의 일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탑승물 차량의 도달 범위 내부에 배치된 대피 보행로와 함께 탑승물 차량 아래에 배치된 대피 플랫폼의 제 1 섹션을 갖는 도 1 및 도 2의 대피 플랫폼의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대피 보행로 아래에 배치된 대피 플랫폼의 부분 또는 제 2 섹션을 갖는 도 1 및 도 2의 대피 플랫폼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탑승물 차량 아래에 배치된 대피 플랫폼의 제 1 섹션, 및 탑승객 기립/착석 섹션 또는 부분을 갖는 도 1 및 도 2의 대피 플랫폼의 일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3은 여러 탑승객과 파티션을 보여주는 탑승객 섹션 또는 부분의 추가 세부사항을 도시하는 도 12의 대피 플랫폼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탑승객 이송 섹션 또는 셔틀을 가지며 대피 셔틀에 추가로 결합된 도 1 및 도 2의 대피 플랫폼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 및 도 2의 탑승물 시스템으로부터 이용객을 대피시키기에 적합한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하나 이상의 특정 실시예가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이들 실시예의 간결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으로, 실제 구현예의 모든 특징들이 명세서에 설명되지 않을 수도 있다. 엔지니어링 또는 디자인 프로젝트에서와 같이 임의의 실제 구현예를 개발할 때, 시스템 관련 및 비즈니스 관련 제약 조건의 준수와 같은 개발자의 구체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많은 구현예 관련 결정을 내려야 하며, 이러한 제약 조건은 구현예마다 다를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그러한 개발 노력은 복잡하고 시간 소모적일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개시의 이점을 갖는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설계, 제작 및 제조의 일상적인 작업일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특정 탑승물 차량은, 예컨대 공원 이용객이 착석해 있거나 또는 그와 달리 탑승물 트랙 아래에 매달려 있을 때, 향상된 탑승물 경험을 제공하는 탑승물 위치를 이용객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용객이 탑승물 트랙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이용객은 개선된 가시성 및 탑승물 환경과의 향상된 상호 작용을 경험할 수도 있다. 어떤 경우에는, 이용객을 운반하는 탑승물 차량이 탑승물 도중에 예기치 않은 정지를 경험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이동식 대피 플랫폼, 대피 보행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대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식 대피 플랫폼은 이용객이 탑승물 차량으로부터 대피하고 이동식 대피 플랫폼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위치될 수도 있다. 그 후, 이용객은 이동식 대피 플랫폼을 가로질러서 대피 보행로로 이동한 후 어트랙션에서 나올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다수의 이동식 대피 플랫폼이 제공될 수 있는데, 이들은 서로 연결되거나 접해서 이용객을 위한 향상된 통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다수의 이동식 대피 플랫폼은 예컨대 이용객 탑승물 입장 구역에서의 이용객의 표준 승차 및 하차 중에 사용될 수 있으므로, 표준 운영 플랫폼 및 대피 플랫폼으로서의 이중 기능을 제공한다. 실제로, 하나 이상의 이동식 대피 플랫폼이 이용객 탑승물 입장 구역에 배치되어, 표준 승차/하차뿐만 아니라 탑승물 정지 중의 이용객 대피 양자 모두에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탑승물 이용객의 보다 효율적이고 개선된 대피가 달성될 수 있다.
이제 도면으로 돌아가서, 도 1은 놀이공원에 배치될 수 있는 탑승물 시스템(10)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물 시스템(10)은 예컨대 탑승물을 즐기면서 레일 시스템(14)(예컨대, 트랙-레일 시스템) 아래에 매달린 탑승물 위치를 제공하는 탑승물 차량(12)을 포함한다. 공원 이용객(16)은 승차 구역(18)에서 탑승물(10)에 입장할 수 있으며, 승차 구역(18)은 또한 탑승물 종료시에 이용객(16)의 하차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탑승물 차량(12)에 진입하기 위해, 이동식 대피 플랫폼(20)이 승차 과정의 일부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승차 구역(18) 근처에 놓일 수도 있다. 이용객(16)이 탑승물 차량(12) 내에 고정되면, 탑승물 차량(12)은 레일 시스템(14)에 의해 탑승물 전체를 횡단할 수 있다. 탑승물의 종료시에, 탑승물 차량(12)은 하차를 위해 이용객(16)을 승차 구역(18)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어떤 경우에는, 예기치 않은 탑승물 정지가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탑승물 차량(12)이 현재 정지될 수 있는 탑승물 내의 임의의 장소로부터 이용객(16)을 대피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 시스템(22)이 하나 이상의 이동식 대피 플랫폼(20)에 작동 가능하게(operatively) 결합되어 하나 이상의 이동식 대피 플랫폼(20)을 탑승물 차량(12) 쪽으로 인도할 수도 있다. 제어기 시스템(22)은 탑승물 차량(12) 및/또는 탑승물 차량(12)을 갖는 탑승물의 다른 시스템을 추가로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기 시스템(22)은 대피 플랫폼(20)의 외부에 또는 대피 플랫폼(20)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동식 대피 플랫폼(20)은 각각의 이동식 대피 플랫폼(20)에 원동력(motive power)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전기 모터(예컨대, 배터리 구동식 전기 모터), 연소 기관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내부 모터(2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외부 모터(들)(24)가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이동식 대피 플랫폼(들)(20)을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여분의 구동 모터(24) 및 푸시버튼 제어 박스가 고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체인/타이밍 벨트/케이블의 기존/재순환 루프의 양쪽 끝에 배치될 수도 있다. 외부 모터(24)를 사용하는 이러한 배열은 다음과 같은 온보드 하드웨어 및 제어부를 생략할 수도 있다: 온보드 배터리[(2) 여분], 커넥터/케이블이 있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 온보드 모터[(2) 여분], 온보드 기어 박스[(2) 여분], 배선 및 인간 기계 인터페이스(human machine interface; HMI)[(1) 여분]가 있는 온보드 제어 시스템[(2) 여분], 부스터 휠 추진부[(2) 여분], 유연한 압력 부하식 핀치 배열체[(2) 여분 ― 부스터 휠 용 가이드 레일을 따름], 온보드 가변 드라이브(VFD)[(2) 여분], 일치형/전용 휴대용 RCU와 연결된 온보드 통신 시스템[(2) 여분], 휴대용 RCU[(2) 여분], 셔틀을 가이드 레일에 고정하기 위한 로킹 브레이크[(2) 여분], 플랫폼(20)을 주차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도킹/로킹 브레이크[(2) 여분]. 위 장비의 중량/장착은 보다 견고한 플랫폼(20) 설계(플랫폼의 중량을 추가로 증가시킴), 위의 하드웨어/제어부에 대한 더 높은 관련 유지보수 비용/노동력 절감을 이용할 수도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이동식 대피 플랫폼(20)은 아래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용객(16)을 위한 하차 플랫폼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탑승물 차량(12) 아래의 위치에서 이동 및 주차될 수도 있다. 그 후, 이용객(들)(16)은 임의의 구속 시스템(예컨대, 벨트, 랩 바(lap bar), 하네스 등)을 풀고 탑승물 차량(12)에서 하차하여 대피 플랫폼(20) 상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동식 대피 플랫폼(20)은 이용객(16)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으며 이용객(16)이 대피 보행로(26)로 옮겨갈 수 있는 통로 또는 "연결로(bridge)"를 제공할 수도 있다. 대피 보행로(26)는 대피 구역으로 및/또는 다시 하차 구역으로 빠져나가기 위한 탑승객 경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다수의 이동식 대피 플랫폼(20)은 더 긴 대피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해, 예컨대,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단-대-단으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제어 시스템(22)은 탑승물(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또는 가능하면 휴대용 원격 제어 유닛으로서 탑승물(10)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어 시스템(22)은 탑승물 차량(12) 및 이동식 대피 플랫폼(20)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M)(32)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시스템(22)은 이러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P)(34)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34)는 하나 이상의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하나 이상의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하나 이상의 범용 프로세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메모리(32)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광학 드라이브,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는 대피 보행로(26)를 하나 이상의 대피 셔틀(40)로 대체한 탑승물 시스템(10)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피 셔틀(40)은 대피 플랫폼(20)과 대피 셔틀(40)이 탠덤으로(in tandem) 탑승물을 횡단하여 탑승물 차량(12)에 도달할 수 있도록 대피 플랫폼(20)에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탑승물 차량(12)의 장소에 도착하면, 탑승객(16)은 대피 플랫폼(20)을 통해 대피 셔틀(40)로 내릴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피 플랫폼(20)은 하차한 다음 한 명 이상의 탑승객(16)을 탑승물 차량(12)으로부터 대피 셔틀(40)로 이송하기 위한 스테이징 플랫폼으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대피 셔틀(40)은 탑승객(16)을 승차 구역(18)과 같은 하차 구역으로 수송할 수도 있다.
대피 셔틀(40)을 위한 원동력은 대피 플랫폼(20)에 의해, 대피 셔틀(40) 내부의 모터(예컨대, 배터리 구동식 전기 모터, 내연 기관 등)에 의해, 및/또는 외부 모터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대피 셔틀(40)은 자체 전력 또는 대피 플랫폼(20)과 분리된 외부 전력 하에서 진행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대피 셔틀(40)은 대피 플랫폼(20)에 의해, 선택된 대피 구역으로 견인 또는 추진될 수도 있다. 제어 시스템(22)은 대피 셔틀(40)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탑승물 차량(12)으로부터 탑승객을 구조하기 위해 대피 셔틀(40) 및/또는 대피 플랫폼(20)을 제어할 수도 있다.
대피 셔틀(40)은 대피 플랫폼(20)의 전방 섹션, 대피 플랫폼(20)의 후방 또는 고물(aft) 섹션, 대피 플랫폼(20)의 측면,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다수의 대피 셔틀(40)은 하나 이상의 대피 셔틀(40)에 의해 운행되는 열차로서 위치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대피 보행로(26)의 제거는 탑승물 시스템(10)을 위한 향상된 간격뿐만 아니라 감소된 구조 및 설비 유지보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대피 플랫폼(2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지보수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은 예컨대 유지보수 작업 동안 상승된 지지체를 제공하는 데 유용한 하나 이상의 비계(50)를 갖는 대피 플랫폼(20)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예컨대, 유지보수 요원은 트랙 레일, 탑승물 차량, 탑승물 기둥 및 놀이공원 탑승물(10)의 기타 구성요소 상에서 작업하기 위해 들어올려질 때 비계(들)(50)에 올라갈 수도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승된 비계(들)(50)는 접혀서 대피 플랫폼(20) 내부에 밀어 넣어질 수도 있다. 예컨대, 상승된 비계(들)(50)는 운송 중에 상승된 비계(들)(50)가 대피 플랫폼(20)의 주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방식으로 수납될 수 있도록 예컨대 상승된 비계(들)(50)가 대피 플랫폼(20)의 격실 내에 수용될 수 있게 하는 텔레스코핑(telescoping) 실시예, 폴딩(folding) 실시예, 손으로 제거 및 교체 가능한 실시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대피 플랫폼(20)이 희망하는 유지보수 목적지에 도달하면, 하나 이상의 상승된 비계(50)가 전개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유지보수 작업이 완료되면, 비계(50)가 수납될 수 있으며, 대피 플랫폼(20)은 유지보수 요원을 다른 희망 장소로 이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대피 플랫폼(20)이 희망 목적지를 향해 탑승물(10)을 횡단할 때, 대피 플랫폼(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52)을 따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면은 대피 플랫폼(20)이 목적지로 이동하는 동안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각도로 대피 플랫폼(20)을 도시하는 정면 사시도이다. 실제로, 대피 플랫폼(20)은 예컨대 6 자유도(즉, 피치(54), 롤(56), 요(58), 상방(60), 하방(62), 좌측(64), 우측(66), 전방(68) 및 후방(70))를 달성하도록 가이드 레일(들)(52)을 추종할 수도 있다. 가이드 레일(들)(52)을 추종하는 것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대피 플랫폼(20)은 예컨대 단일 가이드 레일(52) 또는 이중 평행 가이드 레일에 부착될 때 대피 플랫폼(20)이 6 자유도를 달성할 수 있게 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액추에이터는 기계식 액추에이터, 공압식 액추에이터, 전기식 액추에이터, 유압식 액추에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원하는 대로 대피 플랫폼(20)을 이동시키기 위해 대피 플랫폼(20) 및/또는 가이드 레일(52)의 일부에 연결될 수도 있다. 대피 플랫폼(20)을 가이드 레일(52)에 상호 연결하기 위해 퍽(puck), 대차 휠(bogie wheel) 또는 유사한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5는 탑승물(10)을 횡단하는 대피 플랫폼(20)을 보여주는 탑승물(10)을 위한 트랙(80)의 일부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대피 플랫폼(20)은 보행로 바깥 쪽/아래에 있는 하나의 가이드 레일(52) 및 보행로(도시되지 않음) 바로 아래에 있는 다른 가이드 레일(52)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52)은 대피 보행로(26)를 따르거나 또는 그와 달리 평행할 수 있으며, 대피 플랫폼(20)의 특정 부분이 대피 보행로 아래에 있는 상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대피 보행로(26)는 이용객이 보다 쉽게 대피할 수 있도록 레일 시스템(82)의 윤곽을 따를 수도 있다. 예컨대, 가이드 레일(52)은 레일 시스템(82)의 동일한 프로파일 형상(예컨대, 직선, 곡선, 굽힘)을 추종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므로, 이동식 대피 플랫폼(20)이 탑승물 차량(12)에 의해 도달될 수 있는 임의의 지점에 도달할 수 있게 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대피 보행로(26)는 유지보수 및/또는 수리 작업 중에 탑승물(10)의 특정 구역에 접근하기 위해 유지보수 요원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추가로 그리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특정 실시예에서, 대피 플랫폼(20)은 이용객을 대피 셔틀(40)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들 실시예 중 일부에서, 대피 보행로(26)가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대피 보행로(26)가 없는 탑승물(10)은 이용객(16)이 차량의 횡단 중에 즐길 수 있는 보다 개방된 공간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탑승물(10)은 더 적은 재료 및 더 적은 비용으로 더 효율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탑승물(10)을 횡단하는 다수의 대피 플랫폼(20)의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대피 플랫폼(20)은 이용객(16)의 대피 및/또는 작업 활동 중의 유지보수 요원의 사용을 돕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대피 플랫폼(20)은 다양한 전체 크기의 플랫폼을 제공하도록 다단화될 수도 있다. 예컨대, 3개의 플랫폼을 서로 접하게 배치함으로써 하나의 더 긴(예컨대, 3배 길이) 플랫폼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희망 목적지로 가는 도중에 대피 플랫폼(20)에 의해 횡단될 수 있는 가이드 레일(52)의 곡선 섹션(84)이 도시되어 있다. 대피 플랫폼(20)이 가이드 레일(52)을 횡단할 때, 대피 플랫폼(20)은 탑승물(10)을 더 잘 횡단하기 위해 (예컨대, 롤링, 피칭, 요잉 등에 의해) 곡선형 윤곽을 추종할 수도 있다. 또한, 탑승물(10) 내의 가이드 레일(52)의 특정 장소는 하나 이상의 대피 플랫폼(20)을 위한 주차 장소로 지정될 수도 있다.
대피 플랫폼(20)이 탑승물 차량(12)의 위치에 도달하면, 대피 플랫폼(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구역(91)에서 이용객의 발 아래에 배치될 수도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대피 플랫폼(20)은 도달 범위(90)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도달 범위(90)는 이용객(16)이 다리 길이, 팔 길이, 키 등과 같은 해부학적 제약으로 인해 물리적으로 도달 범위(90) 내부의 위치에는 접근할 수 있지만 도달 범위(90) 외부의 위치에는 접근할 수 없도록 탑승물-구속된 이용객(16)을 둘러싸는 영역일 수도 있다. 즉, 이용객(16)이 탑승물 구속 시스템(92), 예컨대 랩 바, 안전 벨트 등을 통해 구속된 경우, 구속 도달 범위(90)는, 대피 플랫폼(20)이 이용객의 발 아래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구속 도달 범위(90) 외부에 있을 수 있도록 해부학적 인간 제약에 기초하여 유도될 수도 있다.
대피 플랫폼(20)이 이용객의 발 아래에 배치되면, 구속 시스템(92)이 체결 해제될 수 있으며, 이용객(16)은 자신의 탑승물 좌석으로부터 대피 플랫폼(20)으로 탑승물 차량을 빠져나갈 수 있다. 따라서, 대피 플랫폼(20)이 이용객의 구속 도달 범위(90)의 외부에 있을 수 있지만, 일단 구속 시스템이 제거되면 탑승물 좌석으로부터 아래로 점프하거나 그와 달리 내려올 필요 없이 대피 플랫폼(20)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대신에, 이용객은 단지 다리를 내리고 일어 서서 대피 보행로(26)로 진행할 수도 있다. 그 후, 대피 보행로(26)는 탑승물(10)을 떠나기 위한 통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면은 또한 대피 보행로(26)가 2개의 난간(96)을 갖는 것으로 도시한다. 난간(96)은 전개 가능(deployable) 할 수도 있다. 즉, 난간(96)은 대피 보행로(26) 내에 수납되고 그 후에 이용객의 대피 또는 유지보수 중에 전개될 수도 있다. 따라서, 난간(96)은 이용객(16) 또는 유지보수 요원이 대피 보행로(26)를 사용할 때 추가적인 지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된 제 2의, 예컨대, 대안적인 대피 보행로(26)가 도시되어 있다. 제 2 또는 대안/상부 대피 보행로(26)는 트랙의 다른 섹션의 일부일 수 있고, 예컨대 계단을 통해 제 1 대피 보행로(26)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제 2 또는 대안/상부 대피 보행로(26)는 또한 예컨대 접이식 계단을 통해 대피 플랫폼(20)에 일시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8은 이용객(16)의 대피를 위해 탑승물 차량(12) 아래에 배치된 대피 플랫폼(2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면은 도 7과 동일한 요소들을 도시하기 때문에, 동일한 요소들은 동일한 도면부호로 나타낸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대피 플랫폼(20)은 탑승물 차량(12) 밑에 그리고 이용객(16) 아래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된다. 사용 중에, 대피 플랫폼(20)이 탑승물 차량(12)에 도달하면, 이용객(16)을 고정하는 구속 시스템이 잠금 해제되고 이용객은 대피 플랫폼(20) 상에 올라설 수 있다. 이용객은 대피 플랫폼(20)을 대피 보행로(26)로의 연결로 또는 통로로 사용할 것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모든 이용객(16)이 탑승물 차량(12)으로부터 빠져나온 후, 대피 플랫폼(20)은 다른 장소, 예컨대 다른 탑승물 차량(12) 또는 다중 좌석 열을 갖는 탑승물 차량(예컨대 각각 4개의 좌석이 있는 3개의 곤돌라를 갖는 탑승물 차량)의 다른 부분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도 8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대피 플랫폼(20)은 대피 플랫폼(20)의 양 단부에 배치된 2개의 가이드 레일(52)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52) 및 대피 플랫폼(20)은 비틀림부, 전환부, 경사부 등을 포함하여 탑승물 차량(12)을 안내하는 데 사용되는 트랙과 동일한 형상을 따를 수도 있다. 따라서, 대피 플랫폼(20)은 이용객(16)의 용이한 대피를 위해 배치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대피 보행로(26)는 또한 도달 범위(90)의 외부에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대피 보행로(26)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달 범위 위에 있을 수 있으며,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달 범위(90) 내부에 있을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는 대피 보행로(26)가 도달 범위(90)의 내부에 배치된 대피 플랫폼(2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피 플랫폼(20)은 대피 보행로(26)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또한 3개의 도시된 가이드 레일(52) 중 2개― 2개의 수평으로 이동된 가이드 레일(52) 또는 2개의 수직으로 이동된 가이드 레일(52)(적층된 대안예로 표시됨) ―에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대피 플랫폼(20)은 캔틸레버형 플랫폼이다. 따라서, 2개의 적층된 가이드 레일(52)에 대한 기계적 결합을 제공하기 위해 캔틸레버 조립체(100)가 사용될 수도 있다. 캔틸레버형 대피 플랫폼(20)은 다른 실시예와 비교할 때 더 많은 무게를 지탱할 수 있으며, 따라서 탑승객 수용 인원이 더 많은 탑승물에 더 적합할 수도 있다. 가이드 레일들을 보행로 쪽에 적층해 놓으면, 탑승물 경로 반대편에 있는 수평으로 변위된 가이드 레일에 의해 시각적으로 산만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대피 보행로(26)는 필요할 때까지 대피 보행로(26) 내에 수납될 수 있는 전개 가능한 난간(96)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0은 대피 보행로(26)가 도달 범위(90) 내부에 배치되는 대피 플랫폼(2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피 플랫폼(20)은 2개의 인보드 가이드 레일(inboard guiderail)(52)에 부착될 수도 있다. 사용 중에, 대피 플랫폼(20)은 대피 플랫폼(20)의 일부가 대피 보행로(26) 아래에 배치된 상태로 주차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대피 플랫폼(20)은 이중-인보드 캔틸레버형 플랫폼이다. 따라서, 2개의 인보드 가이드 레일(52)에 대한 기계적 결합을 제공하기 위해 캔틸레버형 조립체(120)가 사용될 수도 있다. 두 가이드 레일은 도시된 바와 같이 대피 플랫폼(20)의 일 단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탑승물 가시성 및 시공 용이성이 향상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대피 보행로(26)는 필요할 때까지 대피 보행로(26) 내에 수납될 수 있는 전개 가능한 난간(96)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1은 대피 활동 중의 대피 플랫폼(2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면은 대피 보행로(26) 아래에 주차된 대피 플랫폼(20)을 도시한다. 또한, 대피 보행로(26)를 걷고 있는 4명의 이용객(16)과 운영자(14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4명의 이용객(16)은 가장 가까운 시설 대피 지점 쪽으로 대피 보행로(26)를 걷고 있는 반면에, 운영자(140)는 예컨대 다음 탑승물 차량(또는 다음 좌석 열)의 대피를 돕기 위해 다음 탑승물 차량(12)(또는 다음 좌석 열) 쪽으로 반대 방향으로 대피 보행로(26)를 걷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운영자(140)는 필요에 따라 원격 제어 유닛(예컨대, 휴대용,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 워치 등)을 통해 대피 플랫폼(20)을 다음 탑승물 차량으로 인도할 수도 있다. 또한, 탑승물 경로를 따라 대피 플랫폼(20)을 안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가이드 레일(52)이 도시된다.
대피 플랫폼(20)은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셔틀 자체로 사용되거나 대피 셔틀(4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예컨대, 이제 도 12를 참조하면, 도면은 이용객(16)을 이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탑승객 섹션(160)을 갖는 대피 플랫폼(2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예컨대, 대피 플랫폼(20)이 제자리에 있으면, 구속 시스템(92)이 잠금 해제될 수 있고, 이용객(16)은 탑승객 섹션(160)으로 나아갈 수도 있다. 이송 중에 이용객(16)의 고정을 개선하기에 적합한 가드 레일 및/또는 좌석이 또한 탑승객 섹션(160)에서 전개될 수도 있다. 일단 이용객(16)이 탑승객 섹션(160)에 있으면, 운영자(140)는 대피 플랫폼(20)을 하차 장소로 인도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2에는 예컨대 유지보수 작업 중에 전개될 수 있는 2개의 비계(50)가 도시되어 있다. 실제로, 비계(50)는 대피 플랫폼(20) 내에, 또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탑승객 섹션(16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지보수 작업에 유용한 하나 이상의 비계가 대피 플랫폼(20) 내에 운반 및/또는 수납될 수도 있다. 그 후, 비계(50)는 예컨대 탑승물 차량(12), 레일 시스템(82), 탑승물(10) 등 내의 다양한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전개될 수도 있다.
도 13은 탑승객 섹션(160)을 보여주는 도 12의 대피 플랫폼(2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면은 이용객(16)이 먼저 기립 위치에 있고 그 후에 착석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데(좌석 위치는 도면에서 탑승객 섹션(160)의 우측에 오프셋되어 도시됨), 이는 대피 중에 이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대피 동안 이용객(16)의 이송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전개 가능한 파티션(162) 및/또는 전개 가능한 난간(164)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단일 탑승객 섹션(160)이 도시되어 있지만, 일부 실시예에서는 2개 이상의 섹션이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대피를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는 하기와 같을 수도 있다: 1) 운영자(140) 또는 그와 동등한 훈련된 요원은 주차된 대피 플랫폼의 전개 가능한 파티션(들)(162) 및/또는 난간(164)이 점검 및 수납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대피 플랫폼(20)에 포함된 배터리를 배터리 충전기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 후, 대피 플랫폼(20)이 잠금 해제될 수 있고, 임의의 원격 제어 유닛(RCU)이 회수될 수 있다. 2) 그 후, 한 명 이상의 운영자(140)는 (예컨대, 허리 벨트 또는 다른 구속 장치를 통해 고정된 상태로) 대피 플랫폼(20) 상에 서거나 앉을 수 있으며, RCU를 조작하여 대피 플랫폼(20)을 고립된 탑승물 차량 쪽으로 구동할 수 있다. 그 후, 적절한 적재를 위해 전개 가능한 파티션(들)(162) 및/또는 난간(164)을 재확인할 수 있고, 그 후에 대피 플랫폼(20)은 탑승객(16)의 발이 대피 플랫폼(20) 위에 있도록 탑승물 차량(12)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3) 그 후, 대피 플랫폼(20)은 제자리에 고정될 수 있다. 4) 그 후, 운영자(들)(140)는 파티션(들)(162) 및/또는 난간(164)을 전개하고, 이용객(16)의 구속 시스템(92)을 각각 해제하고(예컨대, 한 번에 한 명씩), 이용객에게 스스로 자신의 탑승물 좌석에서 내려서 대피 플랫폼(20)에 서도록 지시하고, 이용객이 탑승객 섹션(160)에 포함될 수 있는 좌석 및/또는 벤치 쪽으로 걸어 갈 때 이용객을 안내한다. 5) 그 후, 운영자(들)(140)는 이용객(16)가 좌석 및/또는 벤치에 앉는 것을 돕고, 예컨대 구속 시스템(92)(예컨대, 랩 벨트)을 통해 이용객(16)을 고정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6) 운영자(들)(140)는 이용객(16) 옆에 서거나 앉을 수 있고 또한 구속 시스템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운영자(들)(140)는 그 후에 대피 플랫폼(20)을 가장 가까운 시설 대피 지점으로 운전할 수 있다. 7) 대피 지점에서, 운영자(들)(140)는 이용객(16)에게 각자의 구속 시스템(92)을 풀고(운영자가 이용객을 도울 수도 있음), 일어 서서 대피 플랫폼(20)을 빠져나가도록 지시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이용객(16)은 시설 안전 게이트를 통해 탑승물(10)에서 빠져나가도록 지시 받을 수도 있다. 8) 단계 2 내지 7은 다수의 탑승물 차량(12)(또는 하나의 탑승물 차량 내 다수의 좌석 열)의 대피를 위해 반복될 수도 있다. 9) 모든 탑승물 차량(12)에서의 대피가 완료되면, 운영자(들)(140)는 전개 가능한 파티션(160) 및/또는 난간(164)을 수납하고 대피 플랫폼(20)을 희망 도킹/주차 스테이션으로 다시 인도할 수도 있다. 그 후, 대피 플랫폼(20)은 예컨대 배터리 재충전을 위해 전원에 재연결될 수 있으며, RCU는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대피 플랫폼(20)은 탑승객 섹션(160)을 포함할 수 있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객이 대피 셔틀(40)을 향해 걸어 갈 수 있도록 중간 환승-플랫폼 통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4는 대피 셔틀(40)에 기계적으로 결합된 대피 플랫폼(20)의 평면도이다. 기계적 결합은 매듭(hitch), 전자기 결합, 텅 및 그루브 체결구(tongue and groove fastener)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차량-대-차량 체결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5명의 이용객(16)이 대피 셔틀(40)에 들어와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 대피 플랫폼(20)은 운영자(들)(140) 및/또는 추가 이용객(16)이 대피 셔틀(40) 쪽으로/상으로 걸어가기 위한 중간 환승 통로로서 일시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일단 대피 셔틀(40)이 출발할 준비가 되면, 특정 실시예에서, 대피 셔틀(40)은 자체 동력으로 출발할 수도 있다. 즉, 대피 셔틀(40)은 하나 이상의 모터를 포함할 수 있고, 이용객(16)을 가장 가까운 대피 지점으로 옮기기 위해 RCU(및/또는 제어 시스템(22))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대피 셔틀(40)은 대피 플랫폼(20)에 의해 견인될 수도 있다. 탑승객 섹션(160)을 하나 이상의 대피 셔틀(40)과 결합함으로써,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은 대피 시간 및 탑승객 하차의 효율성을 개선할 수도 있다.
도 15는 대피 플랫폼(20)을 통해 이용객(16)을 대피시키기에 적합한 프로세스(200)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프로세스(200)는 제어 시스템(22)에 의한 실행에 적합한 코드 또는 실행 가능한 명령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프로세스(200)는 먼저 대피 플랫폼(들)(20)을 하나 이상의 탑승물 차량(12)으로 인도할 수도 있다(블록 202).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대피 플랫폼(들)(20)이 배터리 충전기로부터 분리되고 잠금 해제되면, 제어 시스템(22) 및/또는 원격 제어 유닛은 이용객 대피를 위해 대피 플랫폼(들)(20) 중 하나 이상을 탑승물 차량 아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 후, 프로세스(200)는 이용객(들)(16)이 예컨대 운영자(140)의 감독 및/또는 지원을 통해 대피 플랫폼(들)(20) 상에 내릴 수 있게 할 수도 있다(블록 204). 예컨대, 구속 시스템(92)이 (예컨대, 운영자에 의해) 잠금 해제될 수 있고, 그 후에 이용객(들)(16)은 지지를 위해 대피 플랫폼(20)을 이용하여 일어설 수 있다. 탑승물이 보행로(26)를 포함하는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스(200)는 대피 플랫폼(들)(20)으로부터 보행로(26)로의 이용객(들)(16)의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블록 206). 그 후, 프로세스(200)는 보행로(26)를 통한 이용객(들)(16)의 대피(블록 212)를 제공할 수 있다.
탑승객 섹션(160)을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프로세스(200)는 한 명 이상의 이용객(16)이 탑승객 섹션(160) 상에 타게 할 수 있다(블록 208). 예컨대, 탑승객 섹션(160)은 이용객(들)(16)이 탑승객 섹션(160)에 타기 전에 파티션(162) 및/또는 난간(164)을 전개함으로써 준비될 수도 있다. 그 후, 이용객(16)은 구속 시스템(92)을 통해 탑승객 섹션(160) 내의 좌석/벤치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어서 대피 플랫폼(20)은 이용객(들)(16)을 예컨대 고정 시설 플랫폼 상으로 이송 및 대피시키는 데(블록 212) 사용될 수도 있다.
대피 셔틀(40)을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프로세스(200)는 이용객(들)(16)이 하나 이상의 대피 셔틀(40) 상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블록 210). 전술한 바와 같이, 대피 셔틀(들)(40)은 추진용 모터를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예컨대 RCU 및/또는 제어 시스템(22)을 통해 대피 지점으로 인도될 수 있다. 대피 셔틀(들)(40)이 견인되는 실시예에서, 견인 차량, 예컨대 대피 플랫폼(들)(20)이 대피 셔틀(들)(40)을 대피 지점으로 견인할 수도 있다. 그 후, 대피 셔틀(들)(40)은 이용객(들)(16)을 예컨대 고정 시설 플랫폼 상으로 대피시킬 수도 있다(블록 212). 이용객(들)(16)이 대피되면(블록 212), 프로세스(200)는 대피 플랫폼(들)(20)을 배터리 재충전, 및 파티션(162), 난간(164) 및/또는 유지보수 비계(50)의 수납을 위해 지정된 주차 구역으로 복귀하도록 인도할 수도 있다. 대피 셔틀(들)(40)은 다른 이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셔틀과는 대조적으로 대피를 위해서만 사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탑승물 시스템은 놀이공원 내의 탑승물 시스템의 작동 중에 이용객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 유용한 하나 이상의 기술적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컨대, 탑승물 시스템의 실시예는 대피 플랫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대피 플랫폼은 이용객이 탑승물 차량으로부터 대피 보행로로 건너가는 연결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대피 플랫폼은 탑승객 섹션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대피 차량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대피 플랫폼은 이용객을 대피 셔틀에 태우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대피 플랫폼은 탑승물의 유지보수를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검사 및/또는 유지보수 작업을 위해 탑승물의 다양한 구역에 도달하기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전개 가능한 비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대피 플랫폼은 트랙 시스템의 윤곽을 따를 수 있고, 그에 따라 트랙 시스템과 함께 선회, 기울임, 롤링 등을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기술적 효과 및 기술적 문제는 예시이며 제한적이지 않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는 다른 기술적 효과를 가질 수도 있고 다른 기술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본 개시의 특정한 특징만이 본 명세서에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많은 수정 및 변경을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개시의 진정한 사상 내에 있는 이러한 모든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할 의도임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제시되고 청구된 기술은 본 기술 분야를 명백하게 향상시키고 따라서, 추상적이거나 무형적이거나 순수하게 이론적이지 않은 실제적인 성질의 물질적 대상 및 구체적인 예들을 참조하고 그에 적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끝에 첨부된 임의의 청구범위가 "...[기능]을 [실행]하는 수단"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로 표기된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그러한 요소는 35 U.S.C. 112(f)에 따라 해석될 의도이다. 그러나,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표기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청구범위에 대해서는 이러한 구성요소가 35 U.S.C. 112(f)에 따라 해석되지 않아야 함을 의미한다.

Claims (20)

  1. 놀이공원을 위한 탑승물 시스템에 있어서,
    한 명 이상의 탑승객을 운반하도록 구성된 탑승물 차량(ride vehicle); 및
    상기 탑승물 차량 아래로 이동 및 배치되도록 구성된 제 1 섹션을 포함하는 제 1 대피 플랫폼(evacuation platform)― 사용 중에, 상기 한 명 이상의 탑승객은 상기 제 1 섹션 상으로 빠져나감으로써 상기 탑승물 차량으로부터 대피함 ―을 포함하는
    탑승물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대피 보행로를 포함하고, 상기 대피 보행로는 상기 한 명 이상의 탑승객이 상기 탑승물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 1 대피 플랫폼을 횡단함으로써 접근할 수 있는
    탑승물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명 이상의 탑승객을 태우고 상기 한 명 이상의 탑승객을 상기 탑승물 차량으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1 탑승객 셔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탑승객 셔틀은 상기 한 명 이상의 탑승객이 상기 탑승물 차량으로부터 상기 제 1 대피 플랫폼을 횡단함으로써 접근할 수 있는
    탑승물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탑승객 셔틀은 상기 제 1 탑승객 셔틀을 상기 제 1 대피 플랫폼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 1 차량 체결구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탑승객 셔틀에 대한 원동력(motive power)은 상기 제 1 대피 플랫폼에 의해 또는 상기 제 1 탑승객 셔틀에 의해 제공되는
    탑승물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제 2 탑승객 셔틀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탑승객 셔틀은 상기 제 2 탑승객 셔틀을 상기 제 1 대피 플랫폼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 2 차량 체결구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탑승객 셔틀에 대한 원동력은 상기 제 1 대피 플랫폼에 의해 또는 상기 제 2 탑승객 셔틀에 의해 제공되는
    탑승물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대피 플랫폼은 상기 제 1 대피 플랫폼을 상기 탑승물 차량으로 추진하도록 구성된 모터를 포함하는
    탑승물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대피 플랫폼은 유지보수 요원을 트랙에 접근하기에 적합한 높이로 상승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비계(scaffold)를 포함하고, 상기 탑승물 차량은 상기 트랙을 따라 움직이도록 구성되는
    탑승물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비계는 접히고 상기 제 1 대피 플랫폼 내부에 수납되도록 구성되는
    탑승물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물 차량 아래로, 상기 탑승물 차량에 인접하게,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동 및 배치되도록 구성된 제 2 섹션을 포함하는 제 2 대피 플랫폼을 포함하고, 사용 중에, 상기 한 명 이상의 탑승객은 상기 제 1 섹션, 상기 제 2 섹션 또는 이들의 조합 상으로 빠져나감으로써 상기 탑승물 차량으로부터 대피하는
    탑승물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대피 플랫폼은 탑승객 섹션을 포함하고, 사용 중에, 상기 한 명 이상의 탑승객은 상기 제 1 섹션으로 빠져나간 다음 상기 탑승객 섹션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탑승물 차량으로부터 대피하고, 상기 제 1 대피 플랫폼은 상기 한 명 이상의 탑승객을 놀이공원의 탑승객 하차 구역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탑승물 시스템.
  11. 놀이공원 탑승물 내의 탑승물 차량으로부터 한 명 이상의 탑승객을 대피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대피 플랫폼의 제 1 섹션이 탑승물 차량 아래에 배치되게 제 1 대피 플랫폼을 위치시키도록 제 1 대피 플랫폼을 인도하는 것; 및
    상기 제 1 대피 플랫폼을 통해 한 명 이상의 탑승객을 대피시키는 것― 상기 한 명 이상의 탑승객은 상기 제 1 섹션 상으로 빠져나감으로써 상기 탑승물 차량으로부터 대피함 ―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명 이상의 탑승객은 상기 제 1 섹션으로 빠져나가고 그 후에 대피 보행로, 대피 셔틀, 제 1 대피 플랫폼의 탑승객 섹션 또는 이들의 조합 상으로 빠져나감으로써 상기 탑승물 차량으로부터 대피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대피 플랫폼 및 상기 제 1 탑승객 셔틀을 이동시키기 위해 원동력을 가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탑승객 셔틀은 상기 대피 플랫폼에 부착되는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제 2 대피 플랫폼의 제 2 섹션이 탑승물 차량 아래에, 탑승물 차량에 인접하게, 또는 이들의 조합에 배치되도록 제 2 대피 플랫폼을 위치시키도록 제 2 대피 플랫폼을 인도하는 것; 및
    상기 제 1 섹션, 상기 제 2 섹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상기 한 명 이상의 탑승객을 대피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대피 플랫폼을 유지보수 작업을 받고 있는 놀이공원 탑승물의 부분으로 인도하고, 적어도 하나의 비계를 전개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비계는 상기 대피 플랫폼에 의해 수납되고 운반되도록 구성되는
    방법.
  16. 대피 플랫폼 시스템에 있어서,
    대피 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대피 플랫폼은,
    놀이공원 탑승물을 통해 대피 플랫폼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추진 시스템; 및
    상기 놀이공원 탑승물의 탑승물 차량 아래로 이동 및 배치되도록 구성된 제 1 섹션― 사용 중에, 한 명 이상의 탑승객은 상기 제 1 섹션 상으로 빠져나감으로써 상기 놀이공원 탑승물에 포함된 탑승물 차량으로부터 대피함 ―을 포함하는
    대피 플랫폼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 플랫폼은 상기 대피 플랫폼을 적어도 하나의 탑승객 셔틀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차량 체결구 시스템을 포함하는
    대피 플랫폼 시스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 플랫폼은 상기 놀이공원 탑승물에 포함된 트랙에 접근하기에 적합한 높이로 유지보수 요원을 상승시키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비계를 포함하는
    대피 플랫폼 시스템.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 플랫폼은 탑승객 섹션을 포함하고, 사용 중에, 상기 한 명 이상의 탑승객은 상기 제 1 섹션 상으로 빠져나가고 그 후에 상기 탑승객 섹션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탑승물 차량으로부터 대피하고, 상기 대피 플랫폼은 한 명 이상의 탑승객을 상기 놀이공원 탑승물의 탑승객 하차 구역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대피 플랫폼 시스템.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 플랫폼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대피 플랫폼 시스템.
KR1020217011783A 2018-10-02 2019-09-24 탑승물 대피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680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40216P 2018-10-02 2018-10-02
US62/740,216 2018-10-02
US16/533,766 US11607619B2 (en) 2018-10-02 2019-08-06 Ride evacuation systems and methods
US16/533,766 2019-08-06
PCT/US2019/052702 WO2020072240A1 (en) 2018-10-02 2019-09-24 Ride evacuation systems and metho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055A true KR20210068055A (ko) 2021-06-08

Family

ID=69944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1783A KR20210068055A (ko) 2018-10-02 2019-09-24 탑승물 대피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607619B2 (ko)
EP (1) EP3860735B1 (ko)
JP (1) JP2022503982A (ko)
KR (1) KR20210068055A (ko)
CN (1) CN112739437B (ko)
CA (1) CA3113238A1 (ko)
ES (1) ES2964228T3 (ko)
SG (1) SG11202102355QA (ko)
WO (1) WO2020072240A1 (ko)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72217A (en) * 1960-03-28 1963-01-08 Hiyama Kazuo Retractable mobile scaffold
US3096848A (en) * 1961-09-08 1963-07-09 Hiyama Kazuo Mobile extensible scaffold
US3129786A (en) * 1962-01-15 1964-04-21 Hiyama Kazuo Mobile collapsible scaffold
US3191717A (en) * 1962-08-08 1965-06-29 Hiyama Kazuo Mobile scaffold
US3311191A (en) * 1965-07-19 1967-03-28 Hiyama Kazuo Collapsible scaffold
US6352034B1 (en) 1999-01-11 2002-03-05 Bolliger & Mabillard Ingenieurs Conseils S.A. Installation for amusement park, installation referred to as roller coaster
US20020185569A1 (en) 2001-03-19 2002-12-12 Kurt Henne Airplane training and amusement device for traveling on a fixed track
DE602004029187D1 (de) * 2003-12-15 2010-10-28 Zamperla Antonio Spa Achterbahn
EP1721647A1 (en) 2005-05-12 2006-11-15 Vekoma Rides Engineering B.V. Amusement device
US9289337B2 (en) 2008-09-16 2016-03-22 Disney Enterprises, Inc. Wheelchair ramp for a ride vehicle
CN102316947A (zh) 2009-02-12 2012-01-11 W·J·基钦 悬索式游乐设施
CN102740938B (zh) * 2009-09-04 2014-11-05 W·J·基钦 常平的乘客车厢的游乐乘载装置的固定轨道
US8132513B2 (en) 2009-09-11 2012-03-13 Disney Enterprises, Inc. Amusement park ride with a vehicle drive that decouples upon loss of power
US8176853B2 (en) 2009-09-23 2012-05-15 Disney Enterprises, Inc. Amusement park ride using motion-driven positioning for 360-degree vehicle orientation
CN104284702B (zh) * 2012-04-12 2017-04-19 落基山货船股份有限公司 堆叠的滚动式车辆的轨道
US9017178B2 (en) 2013-09-24 2015-04-28 Disney Enterprises, Inc. Canopy or living mat for hiding support features on a ride or display platform
EP3210657B1 (de) * 2016-02-29 2019-08-07 Jörg Beutler Bergungseinrichtung für eine vergnügungsanlage
CN107351844A (zh) 2017-06-21 2017-11-17 中建空列(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悬挂空铁车侧逃生疏散平台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03982A (ja) 2022-01-12
CA3113238A1 (en) 2020-04-09
US20200101390A1 (en) 2020-04-02
EP3860735B1 (en) 2023-08-30
SG11202102355QA (en) 2021-04-29
WO2020072240A1 (en) 2020-04-09
CN112739437A (zh) 2021-04-30
US11607619B2 (en) 2023-03-21
EP3860735A1 (en) 2021-08-11
CN112739437B (zh) 2024-01-12
ES2964228T3 (es) 202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6925B2 (en) Intelligent POD management and transport
EP2618900B1 (en) Pivotable passenger carrier
JP7334182B2 (ja) ケーブル/レール混成輸送システム、そのような輸送システムのための輸送ユニット、およびそのような輸送システムを動作させるための方法
KR102110264B1 (ko) 무궤도 차량의 승하차 및 노선 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US20180057028A1 (en) High Speed Train System
US11656622B2 (en) Autonomous vehicle transportation systems and methods
CN110740918B (zh) 缆索运送系统的站台、包括该站台的缆索运送系统和操作该缆索运送系统的方法
KR20210068055A (ko) 탑승물 대피 시스템 및 방법
JP2006346182A (ja) 乗り物装置
CN114269665B (zh) 混合式缆索/轨道运输系统
KR102517866B1 (ko) 공중이동용 탑승카트 입출고 주차시스템
EP1721647A1 (en) Amusement device
CN108290581B (zh) 空中运输装备
WO2021033449A1 (ja) 運搬装置
EP0998339B1 (en) Amusement device
US6969323B1 (en) Amusement ride
JP2007055288A (ja) 自動循環式索道における搬器の一時停止運行方法
CN111659137A (zh) 娱乐系统及其控制方法
WO2018046732A1 (fr) Installation de transport de personnes et procede de transport de passagers
JPH1087232A (ja) ロープ無し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