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7814A - 충돌시험장치의 제어방법 및 충돌시험장치 - Google Patents

충돌시험장치의 제어방법 및 충돌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7814A
KR20210067814A KR1020190157808A KR20190157808A KR20210067814A KR 20210067814 A KR20210067814 A KR 20210067814A KR 1020190157808 A KR1020190157808 A KR 1020190157808A KR 20190157808 A KR20190157808 A KR 20190157808A KR 20210067814 A KR20210067814 A KR 20210067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levating
test
elevating unit
coll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7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0539B1 (ko
Inventor
최원준
박복귀
Original Assignee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7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539B1/ko
Publication of KR20210067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078Shock-testing of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저장부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단계; 감지부에서 브릿지부를 감지하여 스토퍼부와 걸림턱부가 언클램핑 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언클램핑을 감지한 경우 드랍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3 단계; 상기 드랍유닛에 승하강 유닛이 결합되는 제4 단계; 상기 드랍유닛의 견인에 의해 상기 승하강 유닛이 상기 승하강 유닛의 자유낙하가 시작되는 드랍위치로 상승하는 제5 단계; 시험대상물을 대상물 장착유닛에 장착하는 제6 단계; 상기 드랍유닛에 공급되었던 전원을 차단하는 제7 단계; 상기 드랍유닛에서 상기 승하강 유닛이 분리되어 상기 승하강 유닛이 자유낙하하는 제8 단계; 상기 승하강 유닛과 상기 시험대상물이 충돌하는 제9 단계; 상기 감지부가 브릿지부를 감지하여 스토퍼부와 걸림턱부가 클램핑 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제10 단계; 및 상기 제10 단계에서 클램핑을 감지한 경우 상기 충돌하는 단계에서 충돌된 결과를 분석하는 제11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제어방법 및 자동차 충둘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충돌시험장치의 제어방법 및 충돌시험장치{method for controlling of Collision test device for vehicle and Collision test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제어방법 및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험대상물의 충돌시험을 위해 승하강 유닛, 드랍유닛, 및 재충돌 방지유닛의 작동유무와 작동순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승하강 유닛이 자유낙하 하여 시험대상물에 충돌한 후 승하강 유닛이 시험대상물에 다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재충돌 방지유닛이 승하강 유닛의 상하이동을 제한하도록 설치됨에 따라 정해진 조건에 맞게 정확한 시험을 수행하여 충돌시험결과의 정확성과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 및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평가할 때에는 그 동력 성능뿐만 아니라 안전성도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고, 이에 따라 각 자동차 제조사들과 부품 공급사들은 자동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많은 연구 및 실험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 제조사와 부품 공급사들은 최초로 신차나 부품을 개발하거나 부품을 개량할 때에 개발된 자동차나 부품 또는 개량된 부품의 안전도를 체크하기 위하여 다양한 안전성 시험을 하게 되는데, 이는 일정한 기준을 마련하고 이 기준에 합당한지 여부에 따라 완성도를 검사하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생산함에 있어서 자동차의 성능이나 내구성 및 안전도 등에 대한 평가를 하게 되며, 이러한 평가 결과는 자동차 설계에 반영하여 자동차 개발이 이루어진다. 결국, 시험차량(대차)에 대한 다양한 충돌시험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충돌시험은 많은 시간과 인원 및 예산이 소요된다.
이러한 자동차 충돌시험은 정면 충돌, 오프셋 충돌(좌우), 경사면 충돌(좌우), 및 돌출물에 의한 폴(pole) 충돌 시험이 있다. 이러한 각 충돌시험에는 베리어(barrier)의 충돌면을 변경하면서 시험차량(대차)과의 충돌시험을 수행한다.
자동차의 안전성은 인간의 생명에 직접 연관되어 차량의 완성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소라 할 수 있으며,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도 이와 같은 차량의 안전도에 가장 엄격한 기준을 적용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안전성 시험에는, 시트 백의 안전성 시험, 시험용 더미의 내구시험, 에어백 작동시험, 도어 잠금장치 변형시험, 범퍼 충돌시험 등이 있으며, 이러한 시험들은 최대한 실차조건에 가깝게 하여 시험을 할 수 있도록, 실제 차체에 각 구성부품들이 모두 장착된 상태에서 슬래드형 충격 시험장치를 통하여 그 시험이 이루어지는 실차시험과, 각 부품형태에 대해 충력추 등의 시험장비를 이용하여 시험대상물에 충격을 가하는 낙추시험등이 있다.
실차시험은 시험대상물을 실제 시험차량에 적용한 상태에서 시험차량이 경계석과 충돌되도록 하는 등 실제와 비슷한 충격요견을 가하여 시험대상물의 변형을 통해 결과를 파악하는 것으로 이러한 실차상태의 시험조건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설비가 필요하다.
낙추시험은 실차시험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험작동에 따른 안정성이 높고, 설비규모가 간단하여 다양한 형태의 부품들에 대한 충격시험에 활용된다. 일반적으로 낙추시험을 위한 낙추방식의 자동차 충돌시험장치는 규정된 높이에서 낙하하는 승하강 유닛이 시험대상물에 충돌하는 충격량을 측정하여 그 측정된 값을 기준 값과 비교하여 시험대상물의 적합성을 판단하게 된다.
자동차 범퍼 빔 및 C-Box의 Rcar등의 성능평가는 충돌대차에 시험대상물을 장착하여 시험을 진행하는데, 초기 개발하는 과정에서는 많은 시험을 진행해야 시험결과물의 성과가 나오게 된다. 게다가 시험대상물의 종류가 다양해지게 되면 더욱 많은 시험을 진행해야 되므로 충돌시험을 위한 비용이 과다하게 증대되고 충돌시험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게 된다.
이와 같이 초기 개발시부터 충돌대차에 시험대상물을 장착하여 충돌시험을 수행하게 되면 시험횟수 및 과다비용의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 낙추 방식의 자동차 충돌시험장치를 제작하여 다양한 종류의 시험대상물의 시험을 진행하고, 다양한 종류의 시험대상물 중 낙추 방식의 자동차 충돌시험장치로 검증된 시험대상물을 선택하여 선택된 시험대상물을 가지고 최종시험대차에 장착하여 시험을 진행하게 되면 비용과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자동차 충돌시험장치는 실제 충돌과는 다르게 승하강 유닛이 자유낙하여 시험대상물에 1차적으로 충돌한 뒤 1차 충돌의 충격에 의해 승하강 유닛이 반동에 의해 상승한 뒤 다시 중력에 의해 하강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시험대상물과 2차 3차 등 과도하게 충돌하여 시험대상물에 필요 이상의 충격을 가하게 됨에 따라 1차 충돌에 따른 충돌시험결과의 오차를 발생시켜 충돌시험결과의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제어방법 및 자동차 충돌시험장치는 승하강 유닛이 시험대상물과 충돌하는 횟수가 충돌시험결과를 도출하는데 필요한 횟수보다 과다하게 증대되어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에 지속적으로 충격을 가하게 됨에 따라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에 손상을 가하여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제어방법 및 자동차 충돌시험장치는 승하강 유닛의 반복된 충돌에 의해 이미 충돌시험을 진행한 시험대상물에 대한 충돌시험결과의 정확도가 저하되어 충돌시험결과를 신뢰할 수 없으므로, 새로운 시험대상물로 다시 교체하여 충돌시험을 진행해야 하므로 시험대상물 교체시간, 자동차 충돌시험장치 초기화하는 시간 등 시험시간이 증대되고, 반복된 충돌시험진행에 따른 추가적인 충돌시험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제어방법 및 자동차 충돌시험장치는 충돌시험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시험대상물에 승하강 유닛이 충돌하여 누적적으로 시험대상물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므로 누적된 충격량이 일정량을 초과하게 되면 시험대상물이 파손되게 됨에 따라 시험대상물의 파편등이 튀는 등 충돌시험을 수행하는 시험자 및 참관자의 안전사고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53589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험대상물의 충돌시험을 위해 승하강 유닛, 드랍유닛, 및 재충돌 방지유닛의 작동유무와 작동순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승하강 유닛이 자유낙하 하여 시험대상물에 충돌한 후 승하강 유닛이 시험대상물에 다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재충돌 방지유닛이 승하강 유닛의 상하이동을 제한하도록 설치됨에 따라 정해진 조건에 맞게 정확한 시험을 수행하여 충돌시험결과의 정확성과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승하강 유닛과 시험대상물의 1차 충돌 이후에 후속적인 충돌 발생을 제어하여 불필요한 후속적인 충돌에 의해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제어방법 및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제어방법은, 데이터저장부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단계; 감지부에서 브릿지부를 감지하여 스토퍼부와 걸림턱부가 언클램핑 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언클램핑을 감지한 경우 드랍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3 단계; 상기 드랍유닛에 승하강 유닛이 결합되는 제4 단계; 상기 드랍유닛의 견인에 의해 상기 승하강 유닛이 상기 승하강 유닛의 자유낙하가 시작되는 드랍위치로 상승하는 제5 단계; 시험대상물을 대상물 장착유닛에 장착하는 제6 단계; 상기 드랍유닛에 공급되었던 전원을 차단하는 제7 단계; 상기 드랍유닛에서 상기 승하강 유닛이 분리되어 상기 승하강 유닛이 자유낙하하는 제8 단계; 상기 승하강 유닛과 상기 시험대상물이 충돌하는 제9 단계; 상기 감지부가 브릿지부를 감지하여 스토퍼부와 걸림턱부가 클램핑 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제10 단계; 및 상기 제10 단계에서 클램핑을 감지한 경우 상기 충돌하는 단계에서 충돌된 결과를 분석하는 제11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에서,상기 제10 단계에서 클램핑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로 회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에서, 데이터저장부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단계; 감지부에서 브릿지부를 감지하여 스토퍼부와 걸림턱부가 언클램핑 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언클램핑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피스톤부가 구동하여 스토퍼부와 걸림턱부를 언클램핑시키는 제2-1 단계; 상기 감지부가 상기 브릿지부를 감지하여 상기 스토퍼부와 상기 걸림턱부가 언클램핑 되었는지를 재감지하는 제2-2 단계; 상기 제2-2 단계에서 언클램핑을 감지한 경우 드랍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3 단계; 상기 드랍유닛에 승하강 유닛이 결합되는 제4 단계; 상기 드랍유닛의 견인에 의해 상기 승하강 유닛이 상기 승하강 유닛의 자유낙하가 시작되는 드랍위치로 상승하는 제5 단계; 시험대상물을 대상물 장착유닛에 장착하는 제6 단계; 상기 드랍유닛에 공급되었던 전원을 차단하는 제7 단계; 상기 드랍유닛에서 상기 승하강 유닛이 분리되어 상기 승하강 유닛이 자유낙하하는 제8 단계; 상기 승하강 유닛과 상기 시험대상물이 충돌하는 제9 단계; 상기 감지부가 상기 브릿지부를 감지하여 상기 스토퍼부와 상기 걸림턱부가 클램핑 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제10 단계; 및 상기 제10 단계에서 클램핑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로 회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에서,상기 제2-2 단계에서 언클램핑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2-1 단계로 회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0 단계에서 클램핑을 감지한 경우 상기 충돌하는 단계에서 충돌된 결과를 분석하는 제11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는, 베이직 유닛; 상기 베이직 유닛에 설치되는 이동 가이드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승하강 유닛; 상기 승하강 유닛에 탈착되어 상기 승하강 유닛을 자유낙하시키거나 상기 승하강 유닛에 부착되어 상기 승하강 유닛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드랍유닛; 상기 승하강 유닛이 자유낙하 할때에 상기 승하강 유닛이 시험대상물에 시험충돌한 후에 상기 승하강 유닛이 다시 상기 시험대상물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재충돌 방지유닛; 및 상기 시험대상물의 충돌시험을 위해 상기 승하강 유닛, 상기 드랍유닛, 및 상기 재충돌 방지유닛의 작동유무와 작동순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조작부; 및 상기 승하강 유닛과 상기 시험대상물의 충돌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베이직 유닛; 상기 베이직 유닛에 설치되는 이동 가이드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승하강 유닛; 상기 승하강 유닛에 탈착되어 상기 승하강 유닛을 자유낙하시키거나 상기 승하강 유닛에 부착되어 상기 승하강 유닛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드랍유닛; 상기 승하강 유닛이 자유낙하 할때에 상기 승하강 유닛이 시험대상물에 시험충돌한 후에 상기 승하강 유닛이 다시 상기 시험대상물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재충돌 방지유닛; 상기 시험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베이직 유닛에 설치되는 대상물 장착유닛; 및 상기 시험대상물의 충돌시험을 위해 상기 승하강 유닛, 상기 드랍유닛, 상기 재충돌 방지유닛, 및 상기 대상물 장착유닛의 작동유무와 작동순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조작부; 및 상기 승하강 유닛과 상기 시험대상물의 충돌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베이직 유닛; 상기 베이직 유닛에 설치되는 이동 가이드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승하강 유닛; 상기 승하강 유닛에 탈착되어 상기 승하강 유닛을 자유낙하시키거나 상기 승하강 유닛에 부착되어 상기 승하강 유닛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드랍유닛; 상기 승하강 유닛이 자유낙하 할때에 상기 승하강 유닛이 시험대상물에 시험충돌한 후에 상기 승하강 유닛이 다시 상기 시험대상물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재충돌 방지유닛; 시험충돌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시험대상물을 시험충돌 위치로 운반하는 운반 유닛; 및 상기 시험대상물의 충돌시험을 위해 상기 승하강 유닛, 상기 드랍유닛, 상기 재충돌 방지유닛, 및 상기 운반유닛의 작동유무와 작동순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조작부; 및 상기 승하강 유닛과 상기 시험대상물의 충돌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베이직 유닛; 상기 베이직 유닛에 설치되는 이동 가이드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승하강 유닛; 상기 승하강 유닛에 탈착되어 상기 승하강 유닛을 자유낙하시키거나 상기 승하강 유닛에 부착되어 상기 승하강 유닛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드랍유닛; 상기 승하강 유닛이 자유낙하 할때에 상기 승하강 유닛이 시험대상물에 시험충돌한 후에 상기 승하강 유닛이 다시 상기 시험대상물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재충돌 방지유닛; 상기 승하강 유닛이 자유낙하여 상기 시험대상물과 충돌하는 때에 충돌상태를 촬영하기 위해 시험충돌 위치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촬영유닛; 및 상기 시험대상물의 충돌시험을 위해 상기 승하강 유닛, 상기 드랍유닛, 상기 재충돌 방지유닛, 및 상기 촬영유닛의 작동유무와 작동순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조작부; 및 상기 승하강 유닛과 상기 시험대상물의 충돌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베이직 유닛; 상기 베이직 유닛에 설치되는 이동 가이드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승하강 유닛; 상기 승하강 유닛에 탈착되어 상기 승하강 유닛을 자유낙하시키거나 상기 승하강 유닛에 부착되어 상기 승하강 유닛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드랍유닛; 상기 승하강 유닛이 자유낙하 할때에 상기 승하강 유닛이 시험대상물에 시험충돌한 후에 상기 승하강 유닛이 다시 상기 시험대상물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재충돌 방지유닛; 상기 승하강 유닛이 자유낙하하여 상기 시험대상물과 충돌하는 때에 상기 시험대상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상기 베이직 유닛의 외부에 설치되는 안전유닛; 및 상기 시험대상물의 충돌시험을 위해 상기 승하강 유닛, 상기 드랍유닛, 상기 재충돌 방지유닛, 및 상기 안전유닛의 작동유무와 작동순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조작부; 및 상기 승하강 유닛과 상기 시험대상물의 충돌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승하강 유닛의 자유낙하가 시작되는 드랍위치와 상기 승하강 유닛과 상기 시험대상물이 충돌하는 충돌위치를 확인하는 위치확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재충돌 방지유닛의 감지부에서 브릿지부를 감지하여 스토퍼부와 걸림턱부가 클림핑 또는 언클램핑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승하강 유닛, 상기 촬영유닛, 상기 재충돌 방지유닛, 상기 위치확인부, 및 상기 판단부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신호와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는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처리부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승하강 유닛, 상기 드랍유닛, 상기 재충돌 방지유닛, 상기 대상물 장착유닛, 상기 운반유닛, 및 상기 촬영유닛의 작동순서를 결정하고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승하강 유닛과 상기 시험대상물이 충돌하고, 상기 재충돌 방지유닛에 의해 상기 승하강 유닛과 상기 시험대상물의 재충돌이 방지된 상태에서 상기 시험대상물의 충돌시험에 따른 충돌결과를 분석처리하는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저장부는, 시험대상물 종류와 각 시험대상물별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본데이타 저장부;상기 위치확인부로부터 확인된 위치를 저장하는 위치데이터 저장부; 상기 승하강 유닛의 자유낙하 속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속도데이타 저장부; 및 상기 승하강 유닛과 상기 시험대상물의 충돌시에 상기 촬영유닛으로 촬영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상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제어방법 및 자동차 충돌시험장치는 실제 충돌과 마찬가지로 충돌시험을 수행하기 위해 1차적으로 승하강 유닛이 재충돌 방지 유닛 등의 방해 없이 자유낙하 하여 시험대상물에 충돌될 수 있도록 재충돌 방지유닛의 언클램핑부가 동작하여 충돌시험결과를 도출하고, 2차적으로 승하강 유닛이 자유낙하하여 시험대상물에 1차적으로 충돌한 후에 승하강 유닛이 다시 시험대상물에 충돌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재충돌 방지 유닛의 클램핑부가 동작하여 승하강 유닛의 상하이동을 제한함으로서 정해진 시험조건에 맞게 정확한 충돌시험을 수행하고 충돌시험결과의 오차를 최소화 함으로서 충돌시험결과의 신뢰성 및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제어방법 및 자동차 충돌시험장치는 승하강 유닛과 시험대상물이 충돌하는 횟수를 충돌시험결과를 도출하는데 필요한 횟수로 최소화하고,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에 누적적으로 충돌에 따른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차단함에 따라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손상을 방지하여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제어방법 및 자동차 충돌시험장치는, 실제 충돌과 마찬가지로 충돌시험을 진행 할 수 있도록 승하강 유닛이 시험대상물과 과도하게 충돌하는 것을 제어하여 충돌시험결과의 신뢰도를 향상시킴에 따라 최소의 충돌시험 횟수를 통해 충돌시험결과를 도출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새로운 시험대상물로 다시 교체하여 충돌시험을 진행하는 것에 따른 시험대상물 교체시간,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초기화 시간 등 비시험시간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하고, 반복된 충돌시험진행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충돌시험비용을 절감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제어방법 및 자동차 충돌시험장치는. 충돌시험 중에 시험대상물에 누적적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일정량 이상의 누적적인 충격량에 의해 시험대상물이 파손되어 시험대상물의 파편이 튀는 등의 위험을 차단하여 충돌시험을 수행하는 시험자 및 참관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제어방법 및 자동차 충돌시험장치는, 재충돌 방지유닛의 클램핑 동작은 승하강 유닛이 자유낙하 하여 시험대상물과 충돌할 때 발생 되는 충격만으로도 이루어지게 되므로 시험충돌장치의 동작과정 중 동작원리에 의해 클램핑 동작이 필요한 시점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클램핑 동작이 구현되고, 별도로 클램핑 동작을 위해 전원공급장치, 부가적인 작동장치, 부품등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고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충돌시험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실험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제어방법의 절차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측면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전면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랍유닛과 승하강 유닛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재충돌 방지유닛이 클램핑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재충돌 방지유닛이 클램핑된 상태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재충돌 방지유닛이 언클램핑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재충돌 방지유닛이 언클램핑된 상태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재충돌 방지 유닛의 실린더부의 상단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대상물 장착 유닛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제어유닛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제어방법의 절차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측면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전면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랍유닛과 승하강 유닛을 나타낸다.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재충돌 방지유닛이 클램핑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재충돌 방지유닛이 클램핑된 상태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재충돌 방지유닛이 언클램핑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재충돌 방지유닛이 언클램핑된 상태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재충돌 방지 유닛의 실린더부의 상단의 확대도를 나타내고,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대상물 장착 유닛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제어유닛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수평방향"이란 동일부재에서 길이방향인 가로방향을 의미하고, "수직방향"이란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면서 동일부재에서 세로방향을 의미하며, "폭방향"이란 길이방향과 폭방향에 대해 직교하면서 동일부재에서 높이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상방(상부)이란 "수직방향"에서 위쪽 방향, 즉 위쪽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하방(하부)이란 "수직방향"에서 아래쪽 방향, 즉 아래쪽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내측(내부)이란 동일부재에서 상대적으로 중심에 가까운 쪽을 의미하고 외측이란 동일부재에서 상대적으로 중심에서 먼쪽 즉 바깥쪽을 의미한다.
도 2 내지 도 12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1)를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1)는 베이직 유닛(1000), 승하강 유닛(2000), 드랍유닛(3000), 재충돌 방지유닛(4000), 제어유닛(5000), 대상물 장착유닛(6000), 운반유닛(7000), 촬영유닛(8000) 및/또는 안전유닛(90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1)의 베이직 유닛(1000)은 자동차 충돌시험장치(1)의 외부 골격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베이직 유닛(1000)은 베이스부(1100), 외부프레임(1200) 및 덮개부(130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100)는 설치면에 설치되며, 일정한 길이와 폭을 구비한다. 외부프레임(1200)은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베이스부(1100)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자동차 충돌시험장치(1)의 기둥역할을 하게 된다.
덮개부(1300)는 베이스부(1200)와 서로 마주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복수의 외부프레임(1200)의 상단에 설치되어 자동차 충돌시험장치(1)의 지붕 역할을 하고, 덮개부(1300)의 상부에는 모터등이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1)의 승하강 유닛(2000)은 승하강 유닛(2000)과 시험대상물(2)간의 낙하거리를 조절하기 위해 상하로 이동하거나 또는 시험대상물(2)과 충돌하는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 정해진 위치에서 자유낙하 한다.
또한, 승하강 유닛(2000)은 이동 가이드 프레임(2100), 본체부(2200), 연결부(2300), 충돌부(2400) 및 서포트부(2500)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가이드 프레임(2100)은 베이직 유닛(1000)에 설치되고. 구체적으로 베이직 유닛(10 00)의 베이스부(1100)와 덮개부(1300)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복수의 외부프레임(100)보다 자동차 충돌시험장치(1)의 내측에 설치되어 이동 가이드 프레임(2100)을 따라 승하강 유닛(2000)이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본체부(2200)는 일정한 폭과 길이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동가이드 프레임(2100)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이동가이드 프레임(2100)에 설치된다.
연결부(2300)는 본체부(2200)의 하부에 설치되며, 후술하는 충돌부(2400)와 본체부(220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지만, 연결부(2300)는 본체부(2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후술하는 충돌부(2400)를 교체하여 다양한 충돌시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충돌부(2400)는 연결부(23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시험대상물(2)과 충돌하는 부분이 된다.
서포트부(2500)는 충돌부(2400)와 시험대상물(2)이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으로 부터 연결부(2300)를 보호하기 위해 본체부(2200)와 충돌부(2400)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즉, 충돌부(2400)와 시험대상물(2)이 충돌할 때 충돌부(2400)에 상방으로 가해지는 충격이 연결부(2300)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본체부(2200)와 충돌부(2400)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연결부(2300)를 보호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승하강 유닛(2000)은 서포트부(2500)를 구비하여, 충돌부(2400)와 시험대상물(2)이 충돌할 때 충돌부(2400)에 상방으로 가해지는 충격이 연결부(2300)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종국적으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에 불필요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됨으로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1)에 손상을 최소화 하여 자동차 충돌시험장치(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1)의 드랍유닛(3000)은 승하강 유닛(2000)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된다. 즉, 드랍유닛(3000)이 승하강 유닛(2000)과 탈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드랍유닛(3000)과 승하강 유닛(2000)이 분리되어 승하강 유닛(2000)이 자유낙하 함에 따라 승하강 유닛(2000)이 시험대상물(2)에 충돌하여 충돌시험을 수행하게 되고, 이와는 반대로 드랍유닛(3000)에 승하강 유닛(2000)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승하강 유닛(2000)은 드랍유닛(3000)과 결합되어 드랍유닛(3000)의 이동에 따라 승하강 유닛(2000) 또한 연동하게 되므로 승하강 유닛(2000)의 상하 위치를 조정하여 승하강 유닛(2000)의 자유낙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드랍유닛(3000)은 권선부(3100), 전원공급부(3200) 및 탈착부(3300)를 포함한다.
권선부(3100)는 승하강 유닛(2000)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단이 덮개부(1300)에 연결되어 있고,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권선부(3100)는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3200)는 덮개부(1300)의 상부에 설치되고, 탈착부(33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탈착부(3300)에 연결되어 있다.
탈착부(3300)는 권선부(3100) 및 전원공급부(3200)와 연결되어 있어 승하강 유닛(2000)을 탈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탈착부(3300)에는 전자석이 삽입되어 있고, 전원공급부(3200)에서 공급된 전원이 전자석에 공급된 경우에는 탈착부(3300)에 승하강 유닛(2000)이 부착되어 드랍유닛(3000)의 이동에 따라 승하강 유닛(2000)이 연동하여 승하강 유닛(2000)이 자유낙하를 시작하는 위치인 드랍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반대로 전원공급부(3200)에서 공급되었던 전원이 전자석에 차단되는 경우에는 탈착부(3300)는 승하강 유닛(2000)과 분리되어 승하강 유닛(2000)은 자유낙하 하게 되어 시험대상물(2)과 충돌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1)의 재충돌 방지유닛(4000)은 승하강 유닛(2000)이 자유낙하 할 때에 승하강 유닛(2000)이 시험대상물(2)에 시험충돌한 후에 승하강 유닛(2000)이 다시 반복하여 시험대상물(2)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승하강 유닛(2000) 및 베이직 유닛(1000)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1)의 제어유닛(5000)은 시험대상물(2)의 충돌시험을 위해 승하강 유닛(2000), 드랍유닛(3000), 및 재충돌 방지유닛(4000)의 작동유무와 작동순서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5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1)의 대상물 장착유닛(6000)은 시험대상물(2)을 고정하기 위해 베이직 유닛(1000)의 베이스부(1100)에 설치된다.
대상물 장착유닛(6000)은 바디부(6100), 플랜지부(6200) 및 연결홈부(6300)를 포함한다. 바디부(6100)는 시험대상물(2)이 장착되는 부분이고, 플랜지부(6200) 는 베이스부(1100)에 결합하기 위해 베이스부(1100)와 접촉되도록 바디부(6100)의 둘레에 형성되며, 연결홈부(6300)는 플랜지부(6200)에 관통형성되어 볼트체결등을 통해 베이스부(1100)에 대상물 장착유닛(6000)을 장착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대상물 장착유닛(6000)을 이용하여 시험대상물(2)을 정확한 위치에서 충돌되도록 함으로서 충돌시험결과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승하강 유닛(2000)의 자유낙하 거리를 단축하여 충돌시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1)의 운반유닛(7000)은 시험대상물(2)의 충돌시험을 위해 시험대상물(2)을 시험충돌 위치로 운반하기 위한 것으로 시험대상물(2)이 중량체인 경우 용이하게 정확한 위치에 시험대상물(2)을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시험충돌 위치란 승하강 유닛(2000)이 자유낙하한 뒤 시험대상물(2)과 충돌하는 위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1)의 촬영유닛(8000)은 승하강 유닛이(2000) 자유낙하 하여 시험대상물(2)과 충돌하는 때에 충돌상태를 촬영하기 위해 시험충돌 위치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촬영유닛(8000)에서 촬영된 영상기록은 후술하는 제어유닛(5000)의 데이터 저장부(5200)의 화상데이터 저장부(5240)로 전송되어 기록 및 저장된다. 이처럼, 촬영유닛으로 승하강 유닛과 시험대상물의 충돌시에 충돌순간을 정확하게 촬영하고 기록함에 따라 충돌시험결과를 정확하게 분석하여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1)의 안전유닛(9000)은 승하강 유닛(2000)이 자유낙하 하여 시험대상물(2)과 충돌하는 때에 시험대상물(2)의 이탈을 방지하기 베이직 유닛(1000)의 외부에 설치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는 안전유닛에 의해 승하강 유닛(2000)이 자유낙하하여 시험대상물(2)과 충돌하는 때 시험대상물(2)의 이탈을 방지함에 따라 인명사고와 다른 장치의 손상을 예방하여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재충돌 방지유닛(4000)은, 클램핑부(4100), 언클램핑부(4200), 및 감지부(4300)를 포함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재충돌 방지유닛(4000)의 클램핑부(4100)는 승하강 유닛(2000)이 시험대상물(2)에 시험충돌한 후에 재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승하강 유닛(2000)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클램핑부(4100)는 스토퍼부(4110), 동작부(4120), 걸림턱부(4130), 및 가압부(4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클램핑부(4100)의 스토퍼부(4110)는 승하강 유닛(2000)의 본체부(220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스토퍼부(4110)는 몸체부(4111), 절곡부(4112), 캠팔로우부(4113) 및 브릿지부(4114)를 포함한다.
몸체부(4111)는 일정한 폭과 길이를 구비하고, 본체부(2200)에 연결되어 본체부(2200)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절곡부(4112)는 일정한 폭과 길이를 구비하고 있으며, 몸체부(41110)의 일측에서 절곡되게 연장 형성된다. 절곡부(411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걸림턱부(4130)에 접촉 고정되어 몸체부(4111)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킴과 동시에 승하강 유닛(2000)이 상하로 이동할 수 없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지만. 절곡부(4112)의 형상은 걸림턱부(413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승하강 유닛(2000)이 상하로 움직일 수 없도록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캠팔로우부(4113)는 몸체부(4111)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동작부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캠팔로우부(4113)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브릿지부(4114)는 몸체부(4111)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몸체부(4111)의 타측에 연장 형성된다.
상술한 절곡부(4112), 캠팔로우부(4113) 및 브릿지부(4114)는 몸체부(4111)의 회전에 따라 절곡부(4112), 캠팔로우부(4113) 및 브릿지부(4114)도 회전하여 연동된다. 즉, 몸체부(4111)가 시계방향(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몸체부(4111)의 시계방향(또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과 동시에 절곡부(4112), 캠팔로우부(4113), 및 브릿지부(4114)가 몸체부(4110)의 형성된 각각의 위치에서 시계방향(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재충돌 방지유닛(4000)의 클림핑 동작 또는 언클램핑 동작을 구현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클램핑부(4100)의 동작부(4120)는 스토퍼부(4110)를 회전구동하기 위해 스토퍼부(4110)에 인접하도록 승하강 유닛(2000)의 본체부(2200)에 설치된다.
또한, 동작부(4120)는 결합부(4121) 및 작동부(4122)를 포함한다.
결합부(4121)는 승하강 유닛(2000)의 본체부(2200)와 후술하는 작동부(4122)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몸체부(4111)의 회전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몸체부(4111)와 인접하도록 승하강 유닛(2000)의 본체부(2200)에 연결된다.
결합부(4121)는 관통형성되는 상부관통홀(41213)을 구비하고, 본체부(2200)에 결합되고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부(41211) 및 수직부(41211)의 수직방향 일측에서 스토퍼부(4111)에 인접하는 방향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수평부(41212)를 포함한다.
작동부(4122)는 승하강 유닛(2000)과 시험대상물(2)의 충돌시에 스토퍼부(4110)의 절곡부(4112)가 걸림턱부(4130)에 걸릴 수 있도록 스토퍼부(4110)를 회전구동하기 위해 결합부(4121)에 결합 된다.
또한, 작동부(41222)는 지주부(41221), 지지부(41222), 가이드부(41224), 실린더부(41225), 웨이트밸런스부(41226). 탄성부(41227), 및 보조결합부(41228)를 포함한다.
지주부(41221)는 결합부(4121)의 수평부(41212)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지지부(41222)는 수평부(41212)의 상부관통홀(41213)과 대응하는 부분에 관통형성되는 하부관통홀(41223)을 구비하고. 수평부(41212)와 마주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지주부(41221)의 하부에 설치된다.
가이드부(41224)는 수평부(41212) 및 지지부(41222)와 평행하면서 수평부(41212)와 지지부(41222) 사이에서 지주부(41221)를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 하게 지주부(41221)에 설치된다.
실린더부(41225)는 가이드부(41224)와 연동하도록 수평부(41212)의 상부관통홀(41213)과 지지부(41222)의 하부관통홀(41223)에 삽입 설치된다. 즉 실린더부(41225)는 가이드부(41224)가 수평부(41212)와 지지부(41222) 사이에서 지주부(41221)를 따라 상하 이동할 때 가이드부(41224)의 상하 이동에 따라 실린더부(41225) 또한 상하 이동을 하게 된다. 또한, 실린더부(41125)의 상단은 작동부(4122) 또는 언클램핑부(4200)의 작동 여부에 따라 스토퍼부(4110)의 캠팔로우부(4113)와 선택적으로 접촉 할 수 있도록 캠팔로우부(4113)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웨이트밸런스부(41226)는 일정한 중량을 가지고 있는 중량체로서, 실린더부의(41225)의 하단에 설치되어 실린더부(41225) 및 실린더부(41225)와 연동되어 있는 가이드부(41224)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부(41227)는 탄성력과 복원력을 지닌 탄성체로서, 지지부(41222)와 가이드부(41224)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실린더부(41225) 및 실린더부(41225)와 연동되어 있는 가이드부(41224)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웨이트밸런스부(41226)는 서로 연동하는 실린더부(41225) 및 가이드부(41224)를 하방으로 가압하고, 탄성부(41227)는 서로 연동하는 실린더부(41225) 및 가이드부(41224)를 상방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서로 반대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균형을 이루게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충돌시험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탄성부(41227)의 탄성력 또는 복원력이 작용하게 되어 실린더부(41225) 및 가이드부(41224)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작동부(4122)의 동작을 통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재충돌 방지유닛(4000)의 클림핑 동작을 구현하게 된다.
보조결합부(41228)는 실린더부(41225)의 수평방향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수평부(41212)의 상부와 접촉되고 상부관통홀(41213에 삽입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린더부(41125)의 상단은 작동부(4122) 또는 언클램핑부(4200)의 작동 여부에 따라 스토퍼부(4110)의 캠팔로우부(4113)와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캠팔로우부(4113)에 인접하게 설치되는데, 이 때 실린더부(41225)가 정확하게 스토퍼부(4110)의 캠팔로우부(4113)와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캠팔로우부(4113)를 중심으로 실린더부(41225)가 상하이동만 하고 실린더부(41225)의 수평방향 이동은 되지 않도록 제한하기 위해 보조결합부(41228)가 상부관통홀(41213에 삽입설치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는 실린더부(41225)가 정확하게 스토퍼부(4110)의 캠팔로우부(4113)와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캠팔로우부(4113)를 중심으로 실린더부(41225)가 상하이동만 하고 실린더부(41225)의 수평방향 이동은 되지 않도록 제한하기 위해 보조결합부(41228)가 상부관통홀(41213에 삽입설치됨에 따라 재충돌 방지 유닛의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 동작이 정교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여 정해진 조전에 맞는 정확한 충돌시험을 수행하여 충돌시험결과의 신뢰성 및 안정성을 높이고, 재충돌 방지 유닛의 오작동에 의한 추가적인 충돌시험의 수행을 최소화하여 비시험시간을 줄여 충돌시험의 효율성을 높이고, 반복된 시험수행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하여 충돌시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클램핑부(4100)의 걸림턱부(4130)는 스토퍼부(4110)와 서로 접촉되어 스토퍼부의 회전(4110)과 승하강 유닛(200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베이직 유닛(1000)의 외부프레임(1200)에 형성된다. 또한, 걸림턱부(4130)은 톱니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걸림턱부(4130)가 톱니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절곡부(4112) 또한 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클램핑부(4100)의 가압부(4140)는 승하강 유닛(2000)의 본체부(2200)의 수평방향 양선단에 각각 스토퍼부(4110)가 설치되는 경우에, 각각의 스토퍼부(4110) 사이에 설치된다.
이 경우, 가압부(4140)는 각각의 스토퍼부(4110)의 절곡부(4112)가 서로 멀어지도록 스토퍼부(4110)를 회전 가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가압부(4140)는 스토퍼부(4110)의 절곡부(4112)가 걸림턱부(4130)에 접촉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턱부(4130)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절곡부(4112)가 회전될 수 있도록 스토퍼부(4110)를 회전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승하강 유닛(2000)의 본체부(2200)의 수평방향 양선단 즉 본체부(220)의 오른쪽와 왼쪽에 각각 스토퍼부(4110)가 설치되는 경우에, 가압부(4140)는 본체부(220)의 오른쪽에 설치된 스토퍼부(41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하고, 본체부(220)의 왼쪽에 설치된 스토퍼부(411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하게 된다.
즉, 상술한 동작을 통해 가압부(4140)는 재충돌 방지유닛(4000)의 절곡부(4112)가 걸림턱부(4130)에 접촉고정되도록 하여 재충돌 방지유닛(4000)이 클램핑되도록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재충돌 방지유닛(4000)의 언클램핑부(4200)는 승하강 유닛(2000)이 시험대상물(2)에 시험충돌 가능하도록 클램핑부(4100)의 클램핑을 해제하는 동작을 한다.
그리고 언클램핑부(4200)는 하우징부(4210) 및 피스톤부(422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4210)는 스토퍼부(4110)의 브릿지부(4114)와 인접하는 승하강 유닛(2000)의 본체부(2200)의 상부에 설치된다.
피스톤부(4220)는 하우징부(4210)에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언클램핑부(4200)는 피스톤부(4220)가 스토퍼부(4110)의 브릿지부(4114)를 선택적으로 가압회전시키도록 본체부(2200)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피스톤부(42220)가 하우징부(4210)에서 인출되는 경우에는 피스톤부(42220)가 스토퍼부(4110)의 브릿지부(4114)와 접촉된 후 피스톤부(42220)가 브릿지부(4114)를 가압하여 브릿지부(4114)를 이동시키게 되고, 피스톤부(42220)가 하우징부(4210)에 인입되는 경우에는 브릿지부(4114)와 분리된다.
예를 들어 승하강 유닛(2000)의 본체부(2200)의 수평방향 양선단 즉 본체부(220)의 오른쪽과 왼쪽에 각각 스토퍼부(4110)가 설치되는 경우에, 피스톤부(4220)는 본체부(220)의 오른쪽에 설치된 스토퍼부(411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가압하고, 본체부(220)의 왼쪽에 설치된 스토퍼부(411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가압하여 상술한 가압부(4140)와는 반대방향으로 스토퍼부(4110)를 회전시킨다.
즉, 상술한 동작을 통해 피스톤부(4220)는 재충돌 방지유닛(4000)의 절곡부(4112)가 걸림턱부(4130)로 부터 분리되도록 하여 재충돌 방지유닛(4000)이 언클램핑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충돌 방지유닛(4000)의 감지부(4300)는 클램핑부(4100) 또는 언클램핑부(4200)의 동작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승하강 유닛(2000)의 본체부(2200)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감지부(4300)는 브릿지부(4114)를 감지하는 경우에는 재충돌 방지유닛(4000)이 클램핑되었음을 감지하고, 브릿지부(4114)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재충돌 방지 유닛(4000)이 언클램핑되었음을 감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승하강 유닛(2000)의 본체부(2200)의 수평방향 양선단 즉 본체부(220)의 오른쪽와 왼쪽에 각각 스토퍼부(4110)가 설치되는 경우에, 가압부(4140)에 의해 본체부(220)의 오른쪽에 설치된 스토퍼부(4110)의 브릿지부(411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본체부(220)의 왼쪽에 설치된 스토퍼부(4110)의 브릿지부(411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재충돌 방지 유닛(4000)은 클램핑 되고 감지부(4300)는 브릿지부(4114)를 감지함으로서 재충돌 방지유닛(4000)이 정확하게 클램핑되었음을 확인한다.
이와는 반대로, 피스톤부(4220)에 의해 브릿지부(4114)를 가압하게 되면 본체부(220)의 오른쪽에 설치된 스토퍼부(4110)의 브릿지부(411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본체부(220)의 왼쪽에 설치된 스토퍼부(4110)의 브릿지부(411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재충돌 방지 유닛(4000)은 언클램핑 되고 감지부(4300)는 브릿지부(4114)를 감지 못함으로서 재충돌 방지유닛(4000)이 정확하게 언클램핑되었음을 확인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는 감지부(4300)가 정확하게 재충돌 방지유닛(400)의 클램핑 상태 또는 언클램핑 상태를 파악한 뒤 자동차 충돌시험장치(1)의 충돌시험단계를 진행하게 됨에 따라 재충돌 방지 유닛의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 동작이 정교하게 이루어진 상태에서 정해진 조전에 맞는 정확한 충돌시험을 수행하여 충돌시험결과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고, 재충돌 방지 유닛의 오작동에 의한 추가적인 충돌시험의 수행을 최소화하여 비시험시간을 최소화하여 충돌시험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1)의 재충돌 방지유닛(4000)의 클램핑과 언클램핑 동작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재충돌 방지유닛(4000)이 클램핑 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재충돌 방지유닛(4000)은 승하강 유닛(2000)이 시험대상물(2)에 시험충돌한 후에 재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승하강 유닛(2000)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클램핑 된다.
구체적으로, 승하강 유닛(2000)이 자유낙하 하여 시험대상물(2)과 충돌한 상태에서 충돌할 때의 충격에 의해 웨이트밸런스부(41226)의 하중이 실려 실린더부(41225)는 하강하게 되고, 캠팔로우부(4113)와 접촉고정되었던 실린더부(41225)의 상단 또한 하강하여 캠팔로우부(4113)와 분리되므로, 이 때 가압부(4140)의 가압작용에 의해 스토퍼부가 회전(절곡부(4112)가 걸림턱부(4130)에 인접하는 방향으로)하여 절곡부(4112)가 걸림턱부(4130)에 접촉고정됨에 따라 재충돌 방지 유닛(4000)이 클램핑 된다.
다음으로 재충돌 방지유닛(4000)이 언클램핑 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재충돌 방지유닛(4000)은 상술한 클램핑을 해제하여 승하강 유닛(2000)이 자유낙하 하여 시험대상물에 시험충돌 가능하도록 승하강 유닛(2000)의 자유낙하이동을 제한하지 않기 위해 언클램핑 된다.
구체적으로, 승하강 유닛(2000)이 자유낙하 하여 시험대상물(2)과 충돌함에 따라 클램핑 된 상태에서 피스톤부(4220)가 하우징부(4210)에서 인출되면 피스톤부(4220)가 브릿지부(4114)를 회전가압(절곡부(4112)가 걸림턱부(413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하여 브릿지부(4114)와 연동하는 절곡부(4112) 및 캠팔로우부(4113) 또한 동시에 회전가압(절곡부(4112)가 걸림턱부(413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된다. 이 때 캠팔로우부(4113)는 실린더부(41225)의 상단과 접촉고정 되어 가압부(4140)에 가압에 의한 스토퍼부(4110)의 회전은 캠팔로우부(4113)에 의해 제한되고, 절곡부(4112)는 걸림턱부(4130)로부터 분리됨으로서 재충돌 방지 유닛(4000)이 언클램핑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1)는 재충돌 방지유닛의 클램핑 동작은 승하강 유닛이 자유낙하 하여 시험대상물과 충돌할 때 발생 되는 충격만으로도 이루어지게 되므로 시험충돌장치의 동작과정 중 동작원리에 의해 클램핑 동작이 필요한 시점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클램핑 동작이 구현되고, 별도로 클램핑 동작을 위해 전원공급장치, 부가적인 작동장치, 부품등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고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충돌시험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실험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재충돌 방지유닛(4000)의 실린더부(41225)의 상단은 클램핑 경사부(41225c)와 언클램핑 경사부(41225u)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실린더부의 상단은 클램핑 경사부와 언클램핑 경사부를 구비하고,상기 클램핑 경사부의 경사각도가 상기 언클램핑 경사부보다 크도록 상기 클램핑 경사부와 언클램핑 경사부가 형성되되, 클램핑시에 상기 클램핑 경사부가 상기 캠팔로우부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클램핑 경사부(41225c)는 재충돌 방지유닛(4000)이 클램핑 될 때 스토퍼부(411)의 캠팔로우부(4113)와 접촉 고정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이고, 언클램핑 경사부(41225u)는 클램핑 경사부(41225c)의 반대편에 재충돌 방지 유닛(4000)이 언클램핑 될 때 스토퍼부(411)의 회전시 회전하는 캠팔로우부(4113)의 회전동작을 방해하지 않고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이다.
또한, 상기 클램핑 경사부(41225c)의 경사각도(α)가 상기 언클램핑 경사부(41225u)의 경사각도(β)보다 크도록 상기 클램핑 경사부(41225c)와 언클램핑 경사부(41225u)가 형성되되, 클램핑시에 상기 클램핑 경사부가 상기 캠팔로우부와 접촉된다.
구체적으로 클램핑 경사부(41225c)의 경사각도(α)는 80도에서 90도로 이루어지고, 언클램핑 경사부(41225u)의 경사각도(β)는 30도에서 50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클램핑 경사부(41225c)의 경사각도는 80도 미만이거나 90도 초과인 경우에는 재충돌 방지유닛이 클램핑 될 때 클램핑 경사부가 캠팔로우부(4113)에 정확한 위치에서 견고하게 접촉고정되지 못하고, 클램핑 경사부의 경사면을 따라 캠팔로우부(4113)가 미끄러지게 됨에 따라 재충돌 방지유닛의 클램핑이 해제되어 정확하고 견고하게 클램핑 동작이 되는 것을 방해하게 된다.
그리고 언클램핑 경사부의 경사각도가 30도 미만이거나 50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재충돌 방지유닛이 언클램핑 될 때 스토퍼부(411)의 회전시 회전하는 캠팔로우부(4113)의 회전이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캠팔로우부(4113)와 언클램핑 경사부가 접촉되어 캠팔로우부(4113)의 회전이동을 방해함에 따라 정확하고 정교하게 재충돌 방지유닛이 언클램핑되는 것을 방해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는 클램핑 경사부의 경사각도가 상기 언클램핑 경사부보다 크도록 형성되고, 클램핑 경사부의 경사각도는 80도에서 90도로 이루어지고, 언클램핑 경사부의 경사각도는 30도에서 50도로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재충돌 방지 유닛의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 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진 상태에서 정해진 조전에 맞는 정확한 충돌시험을 수행하여 충돌시험결과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고, 재충돌 방지 유닛의 오작동에 의한 추가적인 충돌시험의 수행을 최소화하여 비시험시간을 줄여 충돌시험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반복적인 충돌시험이 진행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여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에 불필요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됨에 따라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충돌시험 중에 시험대상물에 누적적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종국적으로 시험대상물이 파손되어 튀는 등 의 위험을 차단하여 시험을 수행하는 시험자 및 참관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1)의 제어유닛(5000)은 조작부(5100), 데이터 저장부(5200), 위치확인부(5300), 판단부(5400), 수신부(5500), 처리부(5600), 제어부(5700), 및 분석부(5800)를 포함한다.
제어유닛(5000)은 NC(numerical control, NC) 또는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를 포함하고, 각종 수치 제어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 즉, 제어유닛(4-00)에는 서보 모터의 구동프로그램,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각 충돌시험종류별로 가동프로그램 등이 내장되고, 제어유닛의 구동에 따라 해당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로딩되어 작동한다.
조작부(5100)는 제어유닛의 내부 또는 외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조작부(4100)는 화면표시 프로그램과 화면표시 선택에 따른 데이터 입력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화면표시 프로그램의 출력에 따라 표시화면에 소프트웨어 스위치를 디스플레이하고, 소프트웨어 스위치의 온(ON)/오프(OFF)를 인식하여 기계 동작의 입출력 명령을 내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조작부(5100)는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다양한 기능스위치 또는 버튼과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모니터를 구비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조작부는 입력버튼부와 시작버튼부 비상정비버튼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버튼부를 통해 후술하는 데이터 저장부에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시작 버튼부는 자동차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작동을 시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시작 버튼부를 누르는 동작만으로 충돌시험의 일련의 과정이 자동으로 수행됨에 따라 충돌시험의 준비시간과 시험시간을 최소화하고, 신속성을 확보하여 시험비용을 절감하고, 실험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비상정지버튼부는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비상시에 비상정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작동 중에 갑자기 긴급한 경우가 있는 경우 실험자가 수동으로 비상정지버튼부를 누르면 승하강 유닛의 이동을 포함하여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작동이 멈추게 된다. 이에 따라 긴급한 상황이나 사고발생시에 추가사고를 방지하고, 인사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5200)는 승하강 유닛(2000)과 시험대상물(2)의 충돌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즉, 데이터 저장부(4200)는 승하강 유닛(2000)이 자유낙하하여 시험대상물(2)에 충돌하는 다양한 시험을 신속하게 수행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위치확인부(5300)는 승하강 유닛(2000)이 드랍유닛(3000)과 분리되어 자유낙하가 시작되는 드랍위치와 자유낙하 되어 승하강 유닛(2000)과 시험대상물(2)이 충돌하는 충돌위치를 확인하고, 이러한 데이터를 위치데이터 저장부로 전송한다.
판단부(5400)는 재충돌 방지유닛(4000)의 감지부(4300)에서 스토퍼부(4110)의 브릿지부(4114)를 감지하여 스토퍼부와 걸림턱부가 클림핑 또는 언클램핑 되었는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감지부(4300)에서 스토퍼부(4110)의 브릿지부(4114)를 감지한 경우에는 재충돌 방지유닛(4000)이 클램핑되었다고 판단하고, 브릿지부(4114)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재충돌 방지 유닛(4000)이 언클램핑되었다고 판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충돌시험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향상하고, 실험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다.
수신부(5500)는 승하강 유닛(2000), 촬영유닛(8000), 재충돌 방지유닛(4000), 위치확인부(5300), 및 판단부(5400)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처리부(5600)는 수신부(5500)로부터 수신된 신호와 데이터저장부(5200)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한다. 구체적으로 수신된 승하강 유닛(2000)의 드랍위치 재충돌 방지유닛(4000)의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 동작 여부등과 데이터저장부(5200)에 저장된 데이터결과치를 비교하여 수신부(5500)에서 수신된 신호에 오류가 없는지를 비교하게 된다.
제어부(5700)는 처리부(5600)의 비교결과에 따라 승하강 유닛(2000), 드랍유닛(3000), 재충돌 방지유닛(4000), 대상물 장착유닛(6000), 운반유닛(7000), 및 촬영유닛(8000)의 작동순서를 결정하고 구동시킨다.
분석부(5800)는 제어부(5700)의 제어에 따라 승하강 유닛(2000)과 시험대상물(2)이 충돌하고, 재충돌 방지유닛(4000)에 의해 승하강 유닛(2000)과 시험대상물(2)의 재충돌이 방지된 상태에서 시험대상물(2)의 충돌시험에 따른 충돌결과를 분석처리한다.즉, 분석부는 승하강 유닛과 시험대상물의 충돌시에 충돌에너지, 충돌상태, 충돌속도, 시험대상물의 파손 상태 등을 그래프 또는 이미지로 추출하여 모니터 등을 통해 표시함에 따라 실험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시험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저장부(5200)는 기본데이터 저장부(5210), 위치데이터 저장부(5220), 속도데이터 저장부(5230), 및 화상데이터 저장부(5240)를 포함한다. 기본데이터 저장부(5210)는 충돌시험 종류와 각 시험대상물(2)의 종류에 따른 승하강 유닛의 낙하속도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위치데이터 저장부(5220)은 상술한 위치확인부에 의해 확인된 위치를 저장한다. 최소한의 이동을 통해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충돌시험의 시간을 절약하고, 정확한 이동을 통해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화상데이터 저장부(5240)은 승하강 유닛과 시험대상물의 충돌시에 촬영유닛으로 촬영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처럼, 충돌순간의 영상과 화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저장하고 분석하여 시험결과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제어방법은 데이터 저장 단계(S1), 재충돌 방지유닛의 언클램핑 감지 단계(S2), 드랍유닛에 전원공급 단계(S3), 드랍유닛과 승하강 유닛의 결합 단계(S4), 승하강 유닛의 상승 단계(S5), 시험대상물의 장착 단계(S6), 드랍유닛의 전원차단 단계(S7), 드랍유닛과 승하강 유닛의 분리단계(S8), 승하강 유닛과 시험대상물의 충돌 단계(S9), 재충돌 방지유닛의 클램핑 감지 단계(S10), 및 충돌결과 분석 단계(S1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재충돌 방지유닛의 언클램핑 감지 단계(S2)는 제2 단계(S2)에서 언클램핑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피스톤부가 구동하여 스토퍼부와 걸림턱부를 언클램핑시키는 피스톤부 구동 단계(S2-1) 및 감지부가 브릿지부를 감지하여 스토퍼부와 상기 걸림턱부가 언클램핑 되었는지를 재감지하는 언클램핑 재감지 단계(S2-2)를 더 포함한다.
데이터 저장부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데이터 저장 단계(S1) 이후에 감지부에서 브릿지부를 감지하여 스토퍼부와 걸림턱부가 언클램핑 되었는지를 감지한다.
재충돌 방지유닛의 언클램핑 감지 단계(S2)에서 언클램핑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피스톤부가 구동하여 스토퍼부와 걸림턱부를 언클램핑시킨다.
피스톤부 구동 단계(S2-1) 이후에 감지부가 브릿지부를 감지하여 스토퍼부와 상기 걸림턱부가 언클램핑 되었는지를 재감지한다.
언클램핑 재감지 단계(S2-2)에서 언클램핑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에는 피스톤부 구동 단계(S2-1)로 회귀하여 언클램핑이 정확하게 되도록 하고, 언클램핑 재감지 단계(S2-2)에서 언클램핑을 감지한 경우에는 드랍유닛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재충돌 방지유닛의 언클램핑 감지 단계(S2)에서 언클램핑을 감지한 경우에는 상술한 피스톤부 구동 단계(S2-1)과 언클램핑 재감지 단계(S2-2)를 거치지 않고 바로 드랍유닛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드랍유닛에 전원공급 단계(S3) 이후에 드랍유닛에 승하강 유닛이 결합된다.
드랍유닛과 승하강 유닛의 결합 단계(S4) 이후에, 드랍유닛의 견인에 의해 승하강 유닛이 승하강 유닛의 자유낙하가 시작되는 드랍위치로 상승된다.
승하강 유닛의 상승 단계(S5) 이후에, 시험대상물을 대상물 장착유닛에 장착한다.
시험대상물의 장착 단계(S6) 이후에, 드랍유닛에 공급되었던 전원을 차단한다.
드랍유닛의 전원차단 단계(S7) 이후에, 드랍유닛에서 승하강 유닛이 분리되어 승하강 유닛이 자유낙하한다.
드랍유닛과 승하강 유닛의 분리단계(S8) 이후에, 승하강 유닛과 시험대상물이 충돌한다.
승하강 유닛과 시험대상물의 충돌 단계(S9) 이후에, 감지부가 브릿지부를 감지하여 스토퍼부와 걸림턱부가 클램핑 되었는지를 감지한다.
재충돌 방지유닛의 클램핑 감지 단계(S10)에서 클램핑을 감지한 경우 충돌하는 단계에서 충돌된 결과를 분석하고, 클램핑을 감지하지 못하 경우에는 데이터저장부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S1)로 회귀하여 다시 충돌시험을 진행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제어방법은 재충돌 방지유닛의 언클램핑 감지 단계(S2)단계와 재충돌 방지유닛의 클램핑 감지 단계(S10)에서 재충돌 방지유닛이 정확하게 언클램핑 또는 클램핑 동작을 구현하고 있는지를 감지하여 감지된 결과에 따라 충돌시험과정을 진행시키거나 또는 이전 단계로 회귀하여 다시 충돌시험과정을 재진행하도록 함으로서 재충돌 방지 유닛의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 동작이 정교하게 이루어진 상태에서 정해진 조전에 맞는 정확한 충돌시험을 수행하여 충돌시험결과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고, 재충돌 방지 유닛의 오작동에 의한 추가적인 충돌시험의 수행을 최소화하여 비시험시간을 줄여 충돌시험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반복적인 충돌시험이 진행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여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에 불필요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됨에 따라 자동차 충돌시험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충돌시험 중에 시험대상물에 누적적으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종국적으로 시험대상물이 파손되어 튀는 등 의 위험을 차단하여 시험을 수행하는 시험자 및 참관자의 안전사고 예방할 수 있으며, 반복된 시험수행에 따른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하여 충돌시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S1 : 데이터 저장, S1 : 언클램칭 감지
S3 : 피스톤부 구동, S4 : 결합
S5 : 승하강 유닛 사승, S6 : 시험대상물 장착
S7 : 드랍유닛에 전원차단, S8 : 분리
S9 : 충돌, S10: 클램핑 감지
S11: 분석

Claims (17)

  1. 데이터저장부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단계;
    감지부에서 브릿지부를 감지하여 스토퍼부와 걸림턱부가 언클램핑 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언클램핑을 감지한 경우 드랍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3 단계;
    상기 드랍유닛에 승하강 유닛이 결합되는 제4 단계;
    상기 드랍유닛의 견인에 의해 상기 승하강 유닛이 상기 승하강 유닛의 자유낙하가 시작되는 드랍위치로 상승하는 제5 단계;
    시험대상물을 대상물 장착유닛에 장착하는 제6 단계;
    상기 드랍유닛에 공급되었던 전원을 차단하는 제7 단계;
    상기 드랍유닛에서 상기 승하강 유닛이 분리되어 상기 승하강 유닛이 자유낙하하는 제8 단계;
    상기 승하강 유닛과 상기 시험대상물이 충돌하는 제9 단계;
    상기 감지부가 브릿지부를 감지하여 스토퍼부와 걸림턱부가 클램핑 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제10 단계; 및
    상기 제10 단계에서 클램핑을 감지한 경우 상기 충돌하는 단계에서 충돌된 결과를 분석하는 제11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험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0 단계에서 클램핑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로 회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험장치의 제어방법.
  3. 데이터저장부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단계;
    감지부에서 브릿지부를 감지하여 스토퍼부와 걸림턱부가 언클램핑 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언클램핑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피스톤부가 구동하여 스토퍼부와 걸림턱부를 언클램핑시키는 제2-1 단계;
    상기 감지부가 상기 브릿지부를 감지하여 상기 스토퍼부와 상기 걸림턱부가 언클램핑 되었는지를 재감지하는 제2-2 단계;
    상기 제2-2 단계에서 언클램핑을 감지한 경우 드랍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3 단계;
    상기 드랍유닛에 승하강 유닛이 결합되는 제4 단계;
    상기 드랍유닛의 견인에 의해 상기 승하강 유닛이 상기 승하강 유닛의 자유낙하가 시작되는 드랍위치로 상승하는 제5 단계;
    시험대상물을 대상물 장착유닛에 장착하는 제6 단계;
    상기 드랍유닛에 공급되었던 전원을 차단하는 제7 단계;
    상기 드랍유닛에서 상기 승하강 유닛이 분리되어 상기 승하강 유닛이 자유낙하하는 제8 단계;
    상기 승하강 유닛과 상기 시험대상물이 충돌하는 제9 단계;
    상기 감지부가 상기 브릿지부를 감지하여 상기 스토퍼부와 상기 걸림턱부가 클램핑 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제10 단계; 및
    상기 제10 단계에서 클램핑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로 회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험장치의 제어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2 단계에서 언클램핑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2-1 단계로 회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험장치의 제어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0 단계에서 클램핑을 감지한 경우 상기 충돌하는 단계에서 충돌된 결과를 분석하는 제11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험장치의 제어방법.
  6. 베이직 유닛;
    상기 베이직 유닛에 설치되는 이동 가이드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승하강 유닛;
    상기 승하강 유닛에 탈착되어 상기 승하강 유닛을 자유낙하시키거나 상기 승하강 유닛에 부착되어 상기 승하강 유닛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드랍유닛;
    상기 승하강 유닛이 자유낙하 할때에 상기 승하강 유닛이 시험대상물에 시험충돌한 후에 상기 승하강 유닛이 다시 상기 시험대상물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재충돌 방지유닛; 및
    상기 시험대상물의 충돌시험을 위해 상기 승하강 유닛, 상기 드랍유닛, 및 상기 재충돌 방지유닛의 작동유무와 작동순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조작부; 및
    상기 승하강 유닛과 상기 시험대상물의 충돌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험장치.
  7. 베이직 유닛;
    상기 베이직 유닛에 설치되는 이동 가이드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승하강 유닛;
    상기 승하강 유닛에 탈착되어 상기 승하강 유닛을 자유낙하시키거나 상기 승하강 유닛에 부착되어 상기 승하강 유닛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드랍유닛;
    상기 승하강 유닛이 자유낙하 할때에 상기 승하강 유닛이 시험대상물에 시험충돌한 후에 상기 승하강 유닛이 다시 상기 시험대상물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재충돌 방지유닛;
    상기 시험대상물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베이직 유닛에 설치되는 대상물 장착유닛; 및
    상기 시험대상물의 충돌시험을 위해 상기 승하강 유닛, 상기 드랍유닛, 상기 재충돌 방지유닛, 및 상기 대상물 장착유닛의 작동유무와 작동순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조작부; 및
    상기 승하강 유닛과 상기 시험대상물의 충돌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험장치.
  8. 베이직 유닛;
    상기 베이직 유닛에 설치되는 이동 가이드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승하강 유닛;
    상기 승하강 유닛에 탈착되어 상기 승하강 유닛을 자유낙하시키거나 상기 승하강 유닛에 부착되어 상기 승하강 유닛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드랍유닛;
    상기 승하강 유닛이 자유낙하 할때에 상기 승하강 유닛이 시험대상물에 시험충돌한 후에 상기 승하강 유닛이 다시 상기 시험대상물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재충돌 방지유닛;
    시험충돌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시험대상물을 시험충돌 위치로 운반하는 운반 유닛; 및
    상기 시험대상물의 충돌시험을 위해 상기 승하강 유닛, 상기 드랍유닛, 상기 재충돌 방지유닛, 및 상기 운반유닛의 작동유무와 작동순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조작부; 및
    상기 승하강 유닛과 상기 시험대상물의 충돌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험장치.
  9. 베이직 유닛;
    상기 베이직 유닛에 설치되는 이동 가이드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승하강 유닛;
    상기 승하강 유닛에 탈착되어 상기 승하강 유닛을 자유낙하시키거나 상기 승하강 유닛에 부착되어 상기 승하강 유닛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드랍유닛;
    상기 승하강 유닛이 자유낙하 할때에 상기 승하강 유닛이 시험대상물에 시험충돌한 후에 상기 승하강 유닛이 다시 상기 시험대상물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재충돌 방지유닛;
    상기 승하강 유닛이 자유낙하여 상기 시험대상물과 충돌하는 때에 충돌상태를 촬영하기 위해 시험충돌 위치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촬영유닛; 및
    상기 시험대상물의 충돌시험을 위해 상기 승하강 유닛, 상기 드랍유닛, 상기 재충돌 방지유닛, 및 상기 촬영유닛의 작동유무와 작동순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조작부; 및
    상기 승하강 유닛과 상기 시험대상물의 충돌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험장치.
  10. 베이직 유닛;
    상기 베이직 유닛에 설치되는 이동 가이드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승하강 유닛;
    상기 승하강 유닛에 탈착되어 상기 승하강 유닛을 자유낙하시키거나 상기 승하강 유닛에 부착되어 상기 승하강 유닛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드랍유닛;
    상기 승하강 유닛이 자유낙하 할때에 상기 승하강 유닛이 시험대상물에 시험충돌한 후에 상기 승하강 유닛이 다시 상기 시험대상물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재충돌 방지유닛;
    상기 승하강 유닛이 자유낙하하여 상기 시험대상물과 충돌하는 때에 상기 시험대상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상기 베이직 유닛의 외부에 설치되는 안전유닛; 및
    상기 시험대상물의 충돌시험을 위해 상기 승하강 유닛, 상기 드랍유닛, 상기 재충돌 방지유닛, 및 상기 안전유닛의 작동유무와 작동순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조작부; 및
    상기 승하강 유닛과 상기 시험대상물의 충돌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험장치.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승하강 유닛의 자유낙하가 시작되는 드랍위치와 상기 승하강 유닛과 상기 시험대상물이 충돌하는 충돌위치를 확인하는 위치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험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재충돌 방지유닛의 감지부에서 브릿지부를 감지하여 스토퍼부와 걸림턱부가 클림핑 또는 언클램핑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험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승하강 유닛, 상기 촬영유닛, 상기 재충돌 방지유닛, 상기 위치확인부, 및 상기 판단부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험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신호와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는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험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처리부의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승하강 유닛, 상기 드랍유닛, 상기 재충돌 방지유닛, 상기 대상물 장착유닛, 상기 운반유닛, 및 상기 촬영유닛의 작동순서를 결정하고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험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승하강 유닛과 상기 시험대상물이 충돌하고, 상기 재충돌 방지유닛에 의해 상기 승하강 유닛과 상기 시험대상물의 재충돌이 방지된 상태에서 상기 시험대상물의 충돌시험에 따른 충돌결과를 분석처리하는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험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저장부는,
    시험대상물 종류와 각 시험대상물별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본데이타 저장부;
    상기 위치확인부로부터 확인된 위치를 저장하는 위치데이터 저장부;
    상기 승하강 유닛의 자유낙하 속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속도데이타 저장부; 및
    상기 승하강 유닛과 상기 시험대상물의 충돌시에 상기 촬영유닛으로 촬영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화상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시험장치.
KR1020190157808A 2019-11-29 2019-11-29 충돌시험장치의 제어방법 및 충돌시험장치 KR102290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808A KR102290539B1 (ko) 2019-11-29 2019-11-29 충돌시험장치의 제어방법 및 충돌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808A KR102290539B1 (ko) 2019-11-29 2019-11-29 충돌시험장치의 제어방법 및 충돌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814A true KR20210067814A (ko) 2021-06-08
KR102290539B1 KR102290539B1 (ko) 2021-08-13

Family

ID=76399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7808A KR102290539B1 (ko) 2019-11-29 2019-11-29 충돌시험장치의 제어방법 및 충돌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53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7087A (ko) * 2002-11-29 2004-06-05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의 자동 낙하시험장치
JP2007024516A (ja) * 2005-07-12 2007-02-01 Seiko Epson Corp 落下衝撃試験装置
KR100986289B1 (ko) * 2010-04-20 2010-10-07 유광호 충돌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안전모 충격 시험기
KR20110058431A (ko) * 2009-11-26 2011-06-0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낙하형 충격시험 설비 및 그를 사용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에 사용되는 충격흡수용 블록소재의 충격시험방법
KR101514931B1 (ko) * 2014-12-10 2015-04-2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슬로싱 충격 구현용 낙하실험 장비
KR101535897B1 (ko) 2014-04-25 2015-07-14 주식회사 엠에스 오토텍 차량 옵셋 충돌 시험장치
CN105424306A (zh) * 2015-10-21 2016-03-23 镇江赛腾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模拟汽车碰撞的跌落试验装置及其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7087A (ko) * 2002-11-29 2004-06-05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의 자동 낙하시험장치
JP2007024516A (ja) * 2005-07-12 2007-02-01 Seiko Epson Corp 落下衝撃試験装置
KR20110058431A (ko) * 2009-11-26 2011-06-0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낙하형 충격시험 설비 및 그를 사용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에 사용되는 충격흡수용 블록소재의 충격시험방법
KR100986289B1 (ko) * 2010-04-20 2010-10-07 유광호 충돌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안전모 충격 시험기
KR101535897B1 (ko) 2014-04-25 2015-07-14 주식회사 엠에스 오토텍 차량 옵셋 충돌 시험장치
KR101514931B1 (ko) * 2014-12-10 2015-04-2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슬로싱 충격 구현용 낙하실험 장비
CN105424306A (zh) * 2015-10-21 2016-03-23 镇江赛腾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模拟汽车碰撞的跌落试验装置及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0539B1 (ko) 2021-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549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inspection
CN110962809B (zh) 电动汽车换电定位系统及方法
KR102290541B1 (ko) 자동차 충돌시험장치
KR102290534B1 (ko) 자동차 충돌시험장치
US20120204630A1 (en) Method for operating a crash simulation device, auxiliary device for a crash simulation device, and crash simulation device having such an auxiliary device
EP4234343A1 (en) Battery swapping control method and system,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2290539B1 (ko) 충돌시험장치의 제어방법 및 충돌시험장치
CN102818708B (zh) 汽车驾驶室及前后端保护装置检测设备
KR200428768Y1 (ko) 자동차용 헤드라이너의 조립시스템
CN213985603U (zh) 一种用于汽车b柱零部件的动态冲击试验装置
CN112146891A (zh) 安全带安装模块、汽车安全带动态试验装置及测试方法
KR102176563B1 (ko) 자동차 충돌시험장치
KR102314104B1 (ko) 자동차 충돌시험장치
CN210269089U (zh) 一种汽车侧安全气囊刚度检测装置
JP2012207460A (ja) 車両通行遮断機
CN217863796U (zh) 定位件和包括其的换电设备
KR102176557B1 (ko) 자동차 충돌시험장치
CN114346556B (zh) 汽车用金属加工制品的异构螺母焊接自动化系统
KR101276592B1 (ko) 스터드볼트의 용접불량 및 용접누락 검사장치
KR100757644B1 (ko) 차량 운전석 에어백의 조립라인
US20230373329A1 (en) Loading and unloading platform for new energy logistics vehicle and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CN104174989A (zh) 激光加工机
KR102314095B1 (ko) 자동차 충돌시험장치
KR102578615B1 (ko) 차량 변형 계측을 위한 비접촉 3d 계측 로봇 및 이에 의한 차량 수리 시스템
CN113525159B (zh) 换电移动装置的防撞机构以及换电移动装置的防撞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