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7392A - 분체 도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분체 도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7392A
KR20210067392A KR1020190156936A KR20190156936A KR20210067392A KR 20210067392 A KR20210067392 A KR 20210067392A KR 1020190156936 A KR1020190156936 A KR 1020190156936A KR 20190156936 A KR20190156936 A KR 20190156936A KR 20210067392 A KR20210067392 A KR 20210067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owder coating
butene rubber
composition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6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경
신국승
안홍규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6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7392A/ko
Publication of KR20210067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39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08L23/22Copolymers of isobutene; Butyl rubber ; Homo- or copolymers of other iso-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3Powdery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가 알코올과 이소프탈산의 에스테르 반응에 의하여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변성 프로필렌 부텐 고무를 포함하는 분체 도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체 도료용 조성물은 우수한 내후성,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갖는다.

Description

분체 도료용 조성물{COMPOSITIONS FOR POWDER COATING}
본 발명은 고내충격성, 고내후성을 갖는 분체 도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환경의 고온화, 자외선 노출의 강화 등과 관련한 고기능 기술이 크게 주목 받고 있으며, 이에 따라 건축 및 자동차 등 분야에서도 우수한 내구성이 요구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경쟁 추세에 따라 보다 높은 가격 경쟁력의 제품도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환경 보호 및 환경 규제 강화 때문에 분체 도료 시장이 수십년 동안 크게 성장하였다.
분체 도료는 피도장물 표면에 정전기 방식에 의해서 도장을 하고 열 경화 등의 가열 건조를 통해서 분말 입자를 용융시키고 균일화하여 도막을 향상시키는 도장 방법에 적용된다. 이 도료는 액상 도료 대비해서 용제의 휘발에 의한 중독 위험성과 화재에 대한 위험성이 낮고 도장 작업이 간편하여 도료의 재생이 용이 한 장점이 있어서 다양한 분야에 요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지구 온난화와 자외선 노출의 강화 등과 관련하여 고기능성 도료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지만 기존 외장재(exterior) 분야에 사용되는 고순도 이소프탈산계 폴리에스테르 (PIA based polyester)수지는 내후성은 우수하지만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많이 떨어져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고순도 테레프탈산계 폴리에스테르(PTA based polyester) 수지는 내충격성 및 내열성은 우수하지만 내후성이 떨어져 내장재 용도로만 사용되고 있어, 고내후성을 가지면서 동시에 우수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갖는 분체 도료 수지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06923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여 고내후성을 가지면서,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향상된 분체 도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다가 알코올과 이소프탈산의 에스테르 반응에 의하여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변성 프로필렌 부텐 고무(modified PBR)를 포함하는 분체 도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상태에 따른 분체 도료용 조성물은 내후성,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다가 알코올과 이소프탈산의 에스테르 반응에 의하여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변성 프로필렌 부텐 고무(modified PBR)를 포함하는 분체 도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변성 프로필렌 부텐 고무는, 극성기가 도입된 프로필렌 부텐 고무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변성 프로필렌 부텐 고무는, 무수 말레산이 그래프팅된 프로필렌 부텐 고무(PBR)이다. 상기 변성 프로필렌 부텐 고무는, 구체적으로 폴리(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 폴리(프로필렌-부텐 고무)(Poly(Propylene-butene copolymers) / poly(propylene-butene rubber))에 무수말레산이 그래프팅된 변성 폴리올레핀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와 같이 변성 폴리올레핀에 고무를 도입하는 경우 내충격성, 내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무수 말레산이 그래프팅된 프로필렌 부텐 고무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그래프팅된 무수 말레산의 함량은 2 중량% 이상, 5 중량% 이하이고, 부텐 고무의 함량은 20 중량% 이상, 40 중량% 이하이며, 프로필렌의 함량은 잔부이다.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변성 프로필렌 부텐 고무의 융점은 50 ℃ 이상, 80 ℃ 이하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변성 프로필렌 부텐 고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10,000 g/mol 이상, 80,000 g/mol 이하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변성 프로필렌 부텐 고무의 함량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 중량부 이상, 15 중량부 이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변성 프로필렌 부텐 고무의 함량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 중량부 이상, 7 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변성 프로필렌 부텐 고무의 함량이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내충격성 개선의 효과가 적고, 상기 변성 프로필렌 부텐 고무의 함량이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도료의 저장성 및 경도가 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분체 도료용 조성물은, 다가 알코올과 이소프탈산의 에스테르 반응에 의하여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와 같이, 이소프탈산계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고내후성을 갖는다.
종래에 내충격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순도테레프탈산(PTA) 또는 무수트리멜리트산(TMA) 등의 모노머를 적용하였으나, 내후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분체 도료용 조성물은, 변성 프로필렌 부텐 고무 구체적으로, 무수 말레산이 그래프팅된 프로필렌 부텐 고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와 같이, 변성 프로필렌 부텐 고무를 포함하는 경우, 폴리에스테르 수지와의 상용성을 부여하여, 내충격성 및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분체 도료용 조성물은 고내후성을 가짐과 동시에 우수한 내충격성 및/또는 내열성을 갖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은 모노에틸글리콜, 다이에틸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메틸프로판다이올, 트리메틸올 프로판 및 트리에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과 이소프탈산의 에스테르 반응에 의하여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산기값(OH Value)은 2 mgKOH/g 이상, 20 mgKOH/g 이하이다.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과 이소프탈산의 에스테르 반응에 의하여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산가는 30 mgKOH/g 이상, 45mgKOH/g 이하이다.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과 이소프탈산의 에스테르 반응에 의하여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5,000 g/mol 이상, 50,000 g/mol 이하이다.
본 명세서의 하나의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과 이소프탈산의 에스테르 반응에 의하여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는 50 ℃ 이상, 70 ℃ 이하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분체 도료용 조성물은 경화제, 촉매, 안료 및 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분체 도료용 조성물은 경화제를 더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상기 다가 알코올과 이소프탈산의 에스테르 반응에 의하여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 중량부 이상, 7 중량부 이하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분체 도료용 조성물은 경화제, 촉매, 안료 및 첨가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분체 도료용 조성물은 전체 분체 도료용 조성물을 기준으로, 상기 다가 알코올과 이소프탈산의 에스테르 반응에 의하여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변성 프로필렌 부텐 고무의 함량은 50 중량% 내지 70 중량%이고; 경화제의 함량은 3 중량% 내지 7 중량%이며; 촉매의 함량은 0.01 중량% 내지 0.2 중량%이고; 첨가제의 함량은 0.1 중량% 내지 5 중량%이며; 안료의 함량은 17.8 중량% 내지 40 중량%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경화제는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TGIC; Triglycidyl Isocyanurate), 하이드록시알킬아민(HAA:hydroxy-alkylamine), 에폭시(epoxy) 등이 있으나,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촉매는 벤조인(Benzoin) 등 일반적으로 분체 도료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촉매를 사용하면 족하며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첨가제는 흐름성 제어 첨가제 예컨대, 호모폴리머 아크릴레이트(homopolymeric acrylates),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copolymeric acrylates), 실리콘-아크릴레이트(silicone-acrylate), 폴리에테르(polyether) 및 폴리에스터-개질 폴리실록산(polyester-modified polysiloxanes) 등이 있으나,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안료는 이산화 티타늄(TiO2), Sicomin Yellow L1523, Heliogene Blue, RAL 8014 brown 등이 있으나,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제조예 1.
교반기, 가열된 밀봉 컬럼 (heated packed column) 및 교반봉이 설치된 2L 반응기에 NPG (neopentylglycol, Eastman) 333.1g, TMP(Trimethylolpropane, Celanese) 107.3g, PIA(pure isophthalic acid, 롯데케미칼㈜) 720.9g, Fascat 4100(butylstannoic acid, Arkema) 0.581g을 넣고 170 ℃까지 1차 승온시켰다. 승온 과정에서 200rpm 교반속도로 교반하면서 물을 제거하였다. 4시간 후 230 ℃까지 5시간동안 2차 승온을 하였다. 밀봉된 컬럼의 탑(Packed column top)의 온도가 40 ℃일 때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3시간 진공을 걸어 물을 제거하였다. 온도를 80 ℃까지 낮춘 후 GPA0101 (modified PBR, 롯데케미칼㈜) 70g을 투입하여 1시간 후 반응 종료하여 PE 1을 제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산가(Acid value; mg KOH/g resin) 및 수산기값 (OH value; mg KOH/g resin)을 측정하였다.
제조예 2.
제조예 1에서, GPA0101 70g 대신에 GPA0101 140g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PE 2를 제조하였다.
비교 제조예 1.
제조예 1에서, GPA0101을 투입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PE 3을 제조하였다.
비교 제조예 2.
제조예 1에서, PIA 720.9g 대신에 고순도 테레프탈산 (PTA; pure terephthalic acid, 롯데케미칼㈜) 720.9g을 투입하고, GPA0101을 투입하지 않으며, 1차 승온 후 물을 제거하고, 5시간 후 230 ℃까지 6시간동안 2차 승온을 진행 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PE 4를 제조하였다.
비교 제조예 3.
제조예 1에서, GPA0101 70g 대신에 PH-200 (modified Polypropylene, 롯데케미칼㈜) 140g을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PE 5를 제조하였다.
비교 제조예 4.
제조예 1에서, NPG 333.1g 대신에 2-메틸-1,3-프로판디올(MPO; 2-methyl-1,3-propandiol) 288.3g을 투입하고, GPA0101을 투입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PE 6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예 1 및 2과 비교 제조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분체 도료용 수지 조성물은 다음 표 1과 같다.
성분 화합물 제조예 (단위:g) 비교제조예 (단위:g)
PE 1 PE 2 PE 3 PE 4 PE 5 PE 6
acid PIA (g) 720.9 720.9 720.9 720.9 720.9
PTA (g) 720.9
alcohol NPG (g) 333.1 333.1 333.1 333.1 333.1
MPO (g) 288.3
TMP (g) 107.3 107.3 107.3 107.3 107.3 107.3
산변성
수지
modified PBR (g) 70 140
modified Polypropylene (g) 140
물성 OH value (mg KOH/g resin) 5 5 6 6 5 5
Acid value (mg KOH/g resin) 37 39 35 34 35 35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4
분체 도료 조성물의 제조
제조한 수지 PE 1 내지 PE 6 각각의 수지별 및 원료들을 프리 믹싱(pre-mixing) 후 압출기에 투입 전 온도는 90 ℃ 내지 100 ℃, screw 속도는 300rpm으로 설정한 후 분체 도료를 제조하였다. 분체도료 입자는 약 25 마이크론 내지 50 마이크론 정도이었다.
PE 1 내지 PE 6의 수지 300g, Araldite PT 810 (TGIC, Huntsman)(경화제) 15g, Benzoin (촉매, Estron Chemical) 1.6g, Modaflow 2000 (흐름성 제어 첨가제, Cytec) 5.7g, Ti-pure R-960 (TiO2, Dupont)(안료) 164.2g를 2 리터 캔에 투입 후 고속 교반기로 교반하였다.
상기 PE 1 내지 PE 6을 이용하여 제조한 분체도료용 조성물로 내충격성, 촉진내후성, 도막 경도에 대하여 평가한 결과는 다음 표 2와 같다.
성분 화합물 단위 실시예 비교예
PE 1 PE 2 PE 3 PE 4 PE 5 PE 6
물성 내충격성 O X O X
촉진내후성 광택유지율 (%) 91 92 90 70 91 90
색차 편차 (△E) 1.8 1.7 1.9 3.5 1.9 2.0
경도 H H H H H H
표 2에서 물성의 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경도: Pensil 경도계를 사용하여 도막의 경도를 평가하였다
② 촉진 내후성 평가: Xenon-Arc사 제품인 Weather-O-Meter 기기를 사용하여, UV 파장은 340 nm으로 1,200시간 폭로 후(ASTM D6695) 시편을 꺼내어 중성세제로 세정 후 도막의 초기 광택 대비 시험 후 광택을 비교하여 광택 유지율 및 색차 편차(β를 측정하였다.
③ 내충격성: KS M ISO 6272-1 규격에 따라 50㎝의 높이에서 추를 낙하시켜서 도막에 박리, 갈라짐 등이 생기지 않을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표 2의 결과를 살피면, 다가 알코올과 고순도테레프탈산(PTA)의 에스테르 반응에 의하여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비교 제조예 2의 경우, 내충격성이 향상되었으나, 내후성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다가 알코올과 이소프탈산의 에스테르 반응에 의하여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나, 무수 말레산이 그래프팅된 프로필렌 부텐 고무(PBR)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 제조예 1 및 비교 제조예 4, 무수 말레산이 그래프팅된 프로필렌 부텐 고무(PBR) 대신에 무수 말레산이 그래프팅된 호모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비교 제조예 3은, 다가 알코올과 이소프탈산의 에스테르 반응에 의하여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인하여 고내후성을 가지나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 제조예 1 내지 4에 비하여, 제조예 1 및 2 에 따른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분체 도료용 조성물은 고내후성을 가지면서,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9)

  1. 다가 알코올과 이소프탈산의 에스테르 반응에 의하여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변성 프로필렌 부텐 고무(modified PBR)를 포함하는 분체 도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 프로필렌 부텐 고무는, 무수말레산이 그래프팅된 프로필렌 부텐 고무인 것인 분체 도료용 조성물.
  3. 제1에 있어서,
    상기 변성 프로필렌 부텐 고무의 융점은 50 ℃ 이상, 80 ℃ 이하인 것인 분체 도료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 프로필렌 부텐 고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10,000 g/mol 이상, 80,000 g/mol 이하인 것인 분체 도료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 프로필렌 부텐 고무의 함량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 중량부 이상, 15 중량부 이하인 것인 분체 도료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은 모노에틸글리콜, 다이에틸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메틸프로판다이올, 트리메틸올 프로판 및 트리에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분체 도료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 알코올과 이소프탈산의 에스테르 반응에 의하여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는 50 ℃ 이상, 70 ℃ 이하인 것인 분체 도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 도료용 조성물은 경화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분체도료용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상기 다가 알코올과 이소프탈산의 에스테르 반응에 의하여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 중량부 이상, 7 중량부 이하인 것인 분체 도료용 조성물.
KR1020190156936A 2019-11-29 2019-11-29 분체 도료용 조성물 KR202100673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936A KR20210067392A (ko) 2019-11-29 2019-11-29 분체 도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936A KR20210067392A (ko) 2019-11-29 2019-11-29 분체 도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392A true KR20210067392A (ko) 2021-06-08

Family

ID=76399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6936A KR20210067392A (ko) 2019-11-29 2019-11-29 분체 도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739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9233A (ko) 2003-12-31 2005-07-05 주식회사 케이씨씨 내화학성 및 내후성이 개선된 분체도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9233A (ko) 2003-12-31 2005-07-05 주식회사 케이씨씨 내화학성 및 내후성이 개선된 분체도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93891B1 (en)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acrylic and aliphatic polyester blends
EP2393892B1 (en)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tetramethyl cyclobutanediol
KR101729798B1 (ko) 저온 경화 분말 코팅 조성물
BE1011628A3 (fr) Compositions thermodurcissables en poudre pour la preparation de revetements de faible brillant.
ES2535548T3 (es) Composiciones en polvo
JP5692482B1 (ja) 塗料組成物及び塗装物品
KR20020079879A (ko) 코팅용의 열경화성 분체 조성물
CN107531889A (zh) 含有四甲基环丁二醇的脂族聚酯涂料组合物
TW200916501A (en) Branched polyester for powder coatings
KR100336227B1 (ko) 경화성수지조성물,코팅용조성물및코팅된필름의형성방법
JPH04103678A (ja) 粉体塗料組成物
KR101783122B1 (ko) 카르복실 폴리에스터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분체도료 조성물
EP0561543B1 (en) Degassing agents for powder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
EP3874001B1 (en) Low bake powder coating resins
KR102340545B1 (ko) 클리어 도료 조성물
KR102259013B1 (ko) 수성 프라이머 조성물
KR20210067392A (ko) 분체 도료용 조성물
JPH09221612A (ja) 熱硬化性ポリエステル粉体塗料
CN104254443B (zh) 层积体及其制造方法
EP2250208B1 (en) Thermosetting polyester resin modified with semi-crystalline polyester for powder coatings
JP4484493B2 (ja) 顔料分散液、並びに該顔料分散液を用いた調色方法及び艶調整方法
WO2018030506A1 (ja) 顔料組成物、該顔料組成物を含む塗料、及び分散剤
JP2022191026A (ja) ポリシロキサンの製造方法、およびポリシロキサンの利用
JP2734064B2 (ja) 粉体塗料用樹脂組成物
WO2007025664A2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owder coating compositions cross-linked with non cyanurate polyepoxid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