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6066A -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6066A
KR20210066066A KR1020190154479A KR20190154479A KR20210066066A KR 20210066066 A KR20210066066 A KR 20210066066A KR 1020190154479 A KR1020190154479 A KR 1020190154479A KR 20190154479 A KR20190154479 A KR 20190154479A KR 20210066066 A KR20210066066 A KR 20210066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ulsifier
antioxidant
composition
epigallocatechin gallate
brow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3578B1 (ko
Inventor
남승희
양광열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54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578B1/ko
Publication of KR20210066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2Heterocyclic compounds, e.g. ascorbic acid, tocopherol or pyrrolid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4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xygen, halogen, nitrogen or sulfur, e.g. cyclomethicone or phospholip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40Cyclodextr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02Antioxid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r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Toxic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층 유화제, 수층 유화제 및 항갈변제를 포함하고, 에멀젼화된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를 포함하고, 수층 유화제는 사이클로덱스트린, 펙틴, 말토덱트트린, 알지네이트 및 스테비오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항갈변제는 비타민 C 및 갈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EGCG)의 음용소재로 적용시 단점인 불용성, 갈변, 항산화 효능 저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도록 유층 유화제, 수층 유화제 및 항갈변제의 적절한 처리함으로써 갈변현상이 억제되며, 항산화 기능이 향상되며 유지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조성물은 식품, 음료, 약품 등에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Antioxidant composition comprising epigallocatechin gallate as effective gradien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층 수화제, 수층 수화제 및 항갈변제 처리한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장품, 식품, 의약품, 생활용품 등의 산업에서는 생리활성소재의 발굴을 위하여 인체에 대한 생리활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생체적합성 및 생체안전성이 우수한 천연성분의 개발이 더욱 큰 중요성을 갖게 되었다. 녹차의 떫은맛을 내는 카테킨은 타닌 또는 폴리페놀이라고 불리는 것의 구성요소로, 산화되어 홍갈색을 낸다. 카테킨은 차의 성분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화학 구조상 수산기 -OH를 많이 가지고 있어 여러 가지 물질과 쉽게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성질이 체내 중금속 제거나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작용을 한다. 적정량의 활성산소는 생체 내 면역기능에 관계된 식세포 등의 살균작용 등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과다한 양의 활성산소는 산화-항산화의 균형을 깨트려 단백질의 변성이나 생체 내의 지질산화, DNA의 파괴 등을 일으켜 산화적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데, 녹차 카테킨은 이러한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능력이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녹차에 존재하는 카테킨류는 EC(Epicatechin), EGC(Epigallocatechin), ECG(Epicatechin gallate), EGCG(Epigallocatechin gallate)와 이들의 광학 이성질체 등이다. 일반적으로 이 네 가지가 녹차 카테킨으로 불리워지며, 이 중에서도 EGCG가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가장 강력한 항산화 능력을 나타내는 등 생리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EGCG는 지방세포에서 렙틴(leptin), HSL, Resistin mRNA 발현에 영향을 끼쳐 지방 대사를 조절하는데 즉, 중성지방 분해 및 지방산화를 촉진하여 체지방을 증가시킴으로써 지방이 감소되는 것으로 3T3-L1 지방 세포주에서 고농도의 EGCG가 지방 분해에 있다는 보고는 널리 알려진 결과이다. (Lin et al. , 2005; Wu et al. , 2005) 피부에 적용할 경우, 콜라겐(collagen)의 생성을 촉진하고 자외선에 의한 피부자극 및 피부손상을 막아주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피부의 미백 및 주름 등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발표되고 있어, 화장품뿐만 아니라, 의약품 및 생활용품 등에 적용할 경우 우수한 기능을 발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녹차 EGCG는 그 자체가 강력한 항산화제로서의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광, 활성산소, 열 등과 같은 외부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쉽게 산화되어 파괴되고 변색되는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EGCG는 물에 극히 소량만이 용해되는 난용성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수계에 존재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빠르게 산화되어 심한 변색을 유발하며 의약품, 식품, 화장품, 생활용품 등에서 유효성분로서의 활용에 많은 제약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녹차유래 EGCG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여러 방법들이 고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EGCG의 유도체를 사용하는 방안이나, 친유성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만, 이러한 방안들은 매우 한정적인 경우에만 그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EGCG를 양이온성 고분자 또는 음이온성 고분자, 산화안정화제 등을 이용하여 수상에서도 안정화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지만, 안정화 제형에 다른 극성물질이 첨가될 경우 양이온성 고분자 또는 음이온성 고분자, 항산화제 등과 매우 강하게 상호작용을 하게 되면, 안정화의 정도가 감소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EGCG를 양극성 또는 음극성 고분자, 산화안정화제, 수불용성고분자 등을 이용한 수불용성 캡슐에 가두어 수상에서 안정화하는 방안도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수불용성인 특성을 갖는 캡슐이기 때문에, 수상에서 침전이 발생하거나, 현탁한 성상을 갖는 등 화장품, 의약품, 식품 및 생활용품 등의 분야에서 투명하게 용해되는 조건을 요구하는 용도 즉, 투명스킨, 투명세럼, 투명음료 등으로의 활용에는 커다란 제약을 갖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19454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EGCG)의 음용소재로 적용시 단점인 불용성, 갈변, 항산화 효능 저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층 유화제, 수층 유화제 및 항갈변제의 적절한 처리에 의해 에멀젼화함으로써 EGCG의 갈변 현상을 억제하며, 항산화 활성을 향상하고 이를 유지할 수 있는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층 유화제, 수층 유화제 및 항갈변제를 포함하고, 에멀젼화된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수층 유화제는 사이클로덱스트린, 펙틴, 말토덱트트린, 알지네이트 및 스테비오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항갈변제는 비타민 C 및 갈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층 유화제는 레시틴, 토코페롤, 및 올레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층 유화제는 레시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층 유화제는 펙틴,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말토덱스트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층 유화제는 펙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층 유화제로 펙틴, 항갈변제로 갈산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항산화 조성물은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층 유화제 5 내지 20중량부, 수층 유화제 0.05 내지 2중량부, 및 항갈변제 0.05 내지 2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항산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또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항산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또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항산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또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a)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와 유층 유화제를 첨가한 물을 혼합함으로써 1차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1차 에멀젼에 수층 유화제를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2차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2차 에멀젼에 항갈변제를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3차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층 유화제는 사이클로덱스트린(b-cyclodextrin), 알지네이트(alginate), 펙틴(pectin) 및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항갈변제는 비타민 C 및 갈산(gallic acid)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층 유화제는 레시틴, 토코페롤, 및 올레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층 유화제는 레시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층 유화제는 펙틴,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말토덱스트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수층 유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층 유화제로 펙틴, 항갈변제로 갈산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항산화 조성물은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층 유화제 5 내지 20중량부, 수층 유화제 0.05 내지 2중량부, 및 항갈변제 0.05 내지 2중량부를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또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항산화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또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항산화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또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항산화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은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EGCG)의 음용소재로 적용시 단점인 불용성, 갈변, 항산화 효능 저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도록 유층 유화제, 수층 유화제 및 항갈변제를 첨가하여 에멀젼화함으로써 EGCG의 갈변현상이 억제되며, 항산화 기능이 향상 및 유지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조성물은 항산화 활정을 갖는 건강식품, 음료, 약품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험예 1의 갈변 방지제에 따른 항갈변 효과 분석 결과이다.
도 2는 실험예 2의 유화제에 따른 항갈변 효과 분석 결과이다.
도 3은 실험예 3의 유화제와 항갈변제 동시 첨가시 항갈변 효과 분석 사진이다.
도 4 및 도 5는 실험예 3의 유화제와 항갈변제 동시 첨가시 항갈변 효과 분석 결과이다.
도 6은 실험예 4의 총페놀 함유량 측정 결과이다.
도 7은 실험예 4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유량 측정 결과이다.
도 8은 실험예 4의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이다.
도 9는 실험예 4의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재료로 사용된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는 녹차로부터 추출된 카테킨이며, 정제수,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헥산디올, 메칠프로판디올, 프로판디올, 프로필렌글라이콜, 에탄올, 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에틸에테르, 헥산 등의 추출용매에 의해 추출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정제수, 메칠프로판디올, 헥산디올에 이해 추출된 것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식물 재료의 추출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추출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은 유층 유화제, 수층 유화제 및 항갈변제를 포함하고, 에멀젼화된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화제(emulsifying agent)는 서로 혼합하지 않는 두 종의 액체를 안정한 에멀션(유탁액)으로 만드는 제3의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유층 유화제는 HLB(Hydrophile Lipophile Balance) 값이 3 내지 7 범위에 있는 유화제로 정의한다. 또한, 수층 유화제는 HLB 값이 8 내지 18 범위에 있는 유화제로 정의한다.
상기 수층 유화제는 사이클로덱스트린, 펙틴, 말토덱트트린, 알지네이트 및 스테비오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항갈변제는 갈변을 방지하는 성분으로 비타민 C 및 갈산(gallic acid)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층 유화제는 레시틴, 토코페롤, 올레산 등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레시틴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층 유화제는 펙틴,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말토덱스트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펙틴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층 유화제로 펙틴, 항갈변제로 갈산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항갈변 효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층 유화제 5 내지 20중량부, 수층 유화제 0.05 내지 2중량부, 항갈변제 0.05 내지 2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유층 유화제 7 내지 15중량부, 수층 유화제 0.1 내지 1.5중량부, 항갈변제 0.1 내지 1.5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유층 유화제 8 내지 12중량부, 수층 유화제 0.2 내지 1.2중량부, 항갈변제 0.2 내지 1.2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층 유화제인 레시틴 9 내지 11중량부, 수층 유화제인 펙틴 0.3 내지 1중량부, 항갈변제인 갈산 0.3 내지 1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함량비일 때 항산화 기능 및 항갈변 특성이 향상되고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의 가용화가 최적화되어 조성물의 상태가 안정적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와 유층 유화제를 첨가한 물을 혼합함으로써 1차 에멀젼을 제조한다(단계 a).
상기 유층 유화제는 레시틴, 토코페롤, 및 올레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레시틴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1차 에멀젼에 수층 유화제를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2차 에멀젼을 제조한다(단계 b).
상기 수층 유화제는 상기 수층 유화제는 사이클로덱스트린(b-cyclodextrin), 알지네이트(alginate), 펙틴(pectin) 및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펙틴,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말토덱스트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펙틴을 사용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층 유화제로 펙틴, 항갈변제로 갈산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이후, 상기 2차 에멀젼에 항갈변제를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3차 에멀젼을 제조한다(단계 c).
상기 항갈변제는 비타민 C 및 갈산(gallic acid)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혼합에 의한 에멀젼화는 초음파 처리에 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항산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 또는 음료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 또는 음료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알코올 음료류, 과자류, 다이어트바, 유제품, 육류, 초코렛, 피자, 빵류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유화제 및 항갈변제 처리된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와 음료류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화제 및 항갈변제 처리된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및 각종 식물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또는 건강기능음료를 제공한다.
건강기능식품 또는 음료이란, 유화제 및 항갈변제 처리된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를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또는 음료는,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이와 같은 건강기능식품 또는 음료에 있어서의 유화제 및 항갈변제 처리된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의 첨가량은, 대상인 건강기능식품 또는 음료의 종류에 따라 달라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식품 본래의 맛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하면 되며, 대상 식품에 대하여 통상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20 중량%의 범위이다. 또한, 환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캡슐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의 경우에는 통상 0.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80 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면 된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환제, 정제, 캡슐제 또는 음료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약학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 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학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학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또한,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투여에 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혼합물의 유화제 및 항갈변제 처리된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이거나 상기 유화제 및 항갈변제 처리된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를 진공, 농축 후 동결 건조시킨 분말이거나, 상기 분말을 추출용매와 배합한 배합물일 수 있다.
상기 유화제 및 항갈변제 처리된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90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왜냐하면, 혼합물의 추출물 함량이 0.0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항산화 효과가 나타나기 어렵고, 90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제형 상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서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증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세안용 클렌징, 로션, 크림, 마사지 크림, 아이크림, 에센스, 젤, 팩, 스프레이, 파우더, 선크림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 식물성유, 왁스, 전분, 셀룰로오스,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고, 제형이 파우더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리케이트 등의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1,2-헥산디올,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프로필렌글라이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사이드, 벤토나이트, 아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치오네이트, 메칠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식물성유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 실시예 ]
재료 및 시약
본 시험에서 사용한 EGCG(Epigallocatechin gallate)는 참녹 네물차에서 추출된 순도 92%의 물질로 추출 후 동결건조해 분말화하여 사용하였다. 레시틴, 토코페롤, 올레산, 사이클로덱스트린, 알지네이트, 펙틴, 스테비오사이드, 비타민 C, 갈산 등 표준품들은 Siga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에서 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등 용매는 HPLC 용으로 Mallinchrodt Baker Inc. (Phillipsburg, NJ, USA) 제품을 사용하였다. 항갈변효과를 위한 PPO (polypheonol oxidase) 와 카테킨 기질은 Sigma- Aldrich (St. Luis, MO, USA)에서 구입하였다. 항산화능 측정용 시약으로 ABTS와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은 Sigma Chemical Co. 제품을 사용하였다. 모든 분석시약은 90% 이상 순도인 시약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EGCG 에멀젼 제조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EGCG)(10 ~ 30%, w/v) 에탄올 혼합물을 가용화하기 위해 1차로 EGCG (10%, w/v)를 기준으로 유층 유화제 1%(w/v)를 첨가하고 혼합 후 10배의 증류수에 5 분간 초음파처리 하였다. 2차로 수층에서의 EGCG 가용화 촉진제로 수층 유화제(0.1%, w/v)을 1차 용액에 5분간 초음파처리 하였다. 3차로 항갈변제(0.1%, w/v)을 2차 용액에 5 분간 초음파처리 하였다.
유층 유화제로 레시틴(lecithin)을 사용하였다.
수층 유화제는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알지네이트(alginate), 펙틴(pectin),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를 사용하였다.
항갈변제는 비타민 C, 갈산(gallic acid)을 사용하였다.
초음파 처리 조건은 30% power (700W 100%), 3초 on /1초 off 5 분간 (50 cycles)로 에멀젼화하였으며, 사용기기는 John Morris Ultrasonic processor 750 watts, 20khz with CV334 converter & 630-0220 (1/2'') 13mm probe를 사용하였다.
[ 실험예 ]
실험예 1: 갈변 방지제에 따른 항갈변 효과 분석
갈변 방지제인 비타민 C와 갈산을 식품에 사용 가능한 범위에서 각각 EGCG (10%, w/v)를 기준으로 0.005~0.1%(w/v) 농도별로 PPO(polyohenol oxidase inhibition) 저해 활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PPO 저해제(항갈변제) 농도(%(w/v)) 억제율(%)
비타민 C 0.005 4.02
0.01 12.59
0.025 34.24
0.05 69.46
0.1 94.02
갈산 0.005 21.16
0.01 30.58
0.025 62.99
0.05 75.58
0.1 82.68
이에 따르면, Vit C 와 갈산의 농도별 PPO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0.1% 이하의 낮은 농도에서도 80~90% 이상의 PPO저해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유화제에 따른 항갈변 효과 분석
유층 유화제 또는 수층 유화제로 사용된 사이클로덱스트린, 알지네이트, 펙틴, 스테비오사이드, 레시틴을 EGCG (10%, w/v)를 기준으로 0.001~0.1%(w/v) 농도별 (w/v)로 항갈변 효능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이에 따르면, 사이클로덱스트린 외에는 항갈변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즉, 유화제의 사용만으로는 항갈변 효과를 나타내기 어려움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유화제와 항갈변제 동시 첨가시 항갈변 효과 분석
유화제와 항갈변제를 동시 첨가하는 경우의 항갈변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유화제 및 항갈변제 종류에 따른 갈변 정도의 사진을 도 3에 나타내고, EGCG 항갈변효과 조사 위한 수용성 유화제 6종 (0.1%(w/v)) 항갈변제 2종 비타민 C, 갈산 (0.1%(w/v)) 첨가 후 50℃에 48시간 반응 후 갈변도(420nm)를 도 4와 hunter color value를 조사한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유화제 L a b △E
무처리 비타민C 갈산 무처리 비타민C 갈산 무처리 비타민C 갈산 무처리 비타민C 갈산
26.15 32.85 41.90 5.52 1.74 0.23 6.37 11.45 16.63 68.24 61.79 53.85
스테비오사이드 27.71 34.34  41.56 3.31 0.00 0.18 8.04 10.52 16.49 66.62 60.16 54.15
알지네이트 29.10 35.47 40.82 6.13 0.83 0.24 9.63 12.94 15.71 65.60 59.40 54.68
펙틴 36.31 42.78 46.98 4.18 0.24 0.28 8.32 10.63 14.88 58.15 51.81 48.50
사이클로덱스트린(CD) 33.83 39.62  43.26 2.76 0.65 0.64 6.09 9.80 12.94 60.37 54.83 51.72
말토덱스트린(MD) 33.15 38.81 43.22 4.56 0.36 0.51 8.18 10.51 13.78 61.31 55.72 51.92
이에 따르면 항갈변제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유화제 종류별로는 펙틴이 항갈변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고 사이클로덱스트린과 말토덱스트린도 갈변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색차계를 이용해 조사한 결과에서 펙틴은 다른 유화제를 사용한 경우보다 밝기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색별로 전체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지표인 △E 또한 가장 낮아 항갈변 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항갈변제는 비타민 C보다는 갈산이 더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유화제 중 가장 항갈변 효과가 높게 측정된 펙틴(PT)과 항갈변제의 동시 첨가시 50 ℃에서의 시간별 갈변도(420nm)를 측정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펙틴은 갈산과 혼합 조건에서 항갈변제로 상승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4: 항산화 효과 분석
총 페놀 함량은 Folin-Denis법(1915)을 일부 변형하여 메탄올 추출물 시료 0.0625 ㎖에 1 N Folin-Denies reagent 0.0625 ㎖를 첨가하고 충분히 혼합한 다음 6분간 암실에서 반응시켰다. 그 후 7% Na2CO3 0.0625 ㎖와 증류수 1.5 ㎖를 첨가하여 실온의 암소에서 60분간 반응시킨 후 microplate spectrophotometer(Biotek Epoch., USA)를 이용하여 7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페놀 함량은 갈산 10 mg을 메탄올 10 ㎖에 용해한 표준용액을 사용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으로부터 계산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Abeysinghe 등(2007)의 방법을 일부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96 웰 플레이트에 시료와 90%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을 넣고 3분 동안 microplate agitater(Titamax 101, Heidolph, Schwabach, Germany)를 이용하여 흔들어주었다. 2 N NaOH 용액을 각 웰에 넣은 후 37 ℃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quercetin 10 mg을 메탄올 10 ㎕에 용해한 표준용액을 사용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으로부터 계산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Blois (1958)의 방법을 일부 변형하여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의 환원력을 이용하여 96 웰 플레이트에 시료를 분주하여 측정하였다. 1 mM DPPH reagent 250 ㎕와 메탄올 추출물 50 ㎕를 혼합, 37 ℃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microplate spectrophotometer(Biotek Epoch., USA)로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Re 등(1999)의 방법을 96 웰 플레이트에 맞게 수정하여 실시하였다. 7 mM ABTS(Sigma-Aldrich Co.)와 2.5 mM 과황화칼륨(potassium persulfate)을 최종 농도로 혼합하여 4 ℃ 냉장실에서 12시간 이상 보관하여 ABTS+을 형성시킨 후 735 nm에서 흡광도 값이 0.90±0.15가 되게 phosphate buffer saline (PBS, pH 7.4)으로 희석하였다. 이 ABTS+ 용액을 ethanol과 1:3 혼합한 후 plate에 1.25 ㎖를 넣고 73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96 well plate에 희석 된 ABTS+ 용액 250 ㎕와 물 추추출물 50 ㎕를 혼합하여 암소에서 30분 방치한 다음 microplate spectrophotometer(Biotek Epoch., USA)를 이용하여 73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표준품으로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을 사용하였으며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추출물의 첨가 전과 후의 차이를 아래와 같은 식으로 계산하였다.
[식]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1-Atest/Acontrol)×100
EGCG (10%, w/v)에 대하여 유화제 및 항갈변제를 각각 0.1%(w/v) 동시 첨가시 총페놀 함유량을 측정하여 도 6에 나타내었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유량을 측정하여 도 7에 나타내었다. 또한, 50 ℃에서 48시간 반응 후 DPPH 소거능을 측정하여 도 8에 나타내었고, ABTS 소거능을 측정하여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따르면, 총페놀과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전체적으로 비타민 C를 첨가한 경우 모든 시료가 20% 가량 증가 되었으며 이는 비타민 자체가 가진 구조상의 성분 때문으로 보인다,
도 7에 따르면 총 플라보노이드는 펙틴과 갈산을 동시 첨가한 경우 126.7 mg/g으로 모든 시료 중 가장 높은 함유량을 보였다.
도 8 및 도 9에 따르면, 항산화 효과는 DPPH 소거능과 ABTS 소거능 측정시 항갈변제로 비타민 C나 갈릭산의 효과가 유사하였으며, 유화제별로 조사할 경우 펙틴과 스테비오사이드의 항산화 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특히, ABTS 소거능에서 갈산과 펙틴 동시 첨가한 경우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EGCG(30%, w/v)에 유층 유화제 레시틴 3%(w/v)를 첨가하고, 수층 유화제 펙틴 0.1%(w/v), 항갈변제 갈산 0.1%(w/v)를 첨가하여 EGCG 에멀젼하고, 상기 레시틴, 펙틴, 갈산 중 하나 이상을 생략한 에멀젼을 비교군으로 하여 50 ℃에서 5일 반응시켜 DPPH 소거능의 변화를 측정하여 비교군과 함께 그 결과를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실험조건 DPPH 소거능
(%)
0일 5일
EGCG 35.74 12.21
EGCG + 레시틴 73.38 21.21
EGCG + 레시틴 + 펙틴 77.42 44.32
EGCG + 레시틴 + 펙틴 + 갈산 82.04 73.32
EGCG + 펙틴 + 갈산 79.56 62.30
EGCG + 갈산 78.30 60.23
이에 따르면, DPPH 소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GCG + 레시틴 + 펙틴 + 갈산 처리군에서 현저히 높으며, 5일이 경과한 DPPH 소거능이 높게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든 실험 결과들은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과 표준편차로 나타냈으며, 각 처리별 평균치간의 유의성 검정은 SAS 프로그램(Package relwase 8.01)을 이용하여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평균간 유의적 차이가 있는 항목에 대해서는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p<0.05 수준에서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9)

  1. 유층 유화제, 수층 유화제 및 항갈변제를 포함하고, 에멀젼화된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수층 유화제는 사이클로덱스트린, 펙틴, 말토덱트트린, 알지네이트 및 스테비오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항갈변제는 비타민 C 및 갈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층 유화제는 레시틴, 토코페롤, 및 올레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층 유화제는 레시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층 유화제는 펙틴,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말토덱스트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수층 유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층 유화제는 펙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층 유화제로 펙틴, 항갈변제로 갈산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 조성물은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층 유화제 5 내지 20중량부, 수층 유화제 0.05 내지 2중량부, 및 항갈변제 0.05 내지 2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항산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7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항산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약학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항산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11. (a)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와 유층 유화제를 첨가한 물을 혼합함으로써 1차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1차 에멀젼에 수층 유화제를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2차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2차 에멀젼에 항갈변제를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3차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층 유화제는 사이클로덱스트린(b-cyclodextrin), 알지네이트(alginate), 펙틴(pectin) 및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항갈변제는 비타민 C 및 갈산(gallic acid)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층 유화제는 레시틴, 토코페롤, 및 올레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층 유화제는 레시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층 유화제는 펙틴, 사이클로덱스트린, 및 말토덱스트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수층 유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층 유화제로 펙틴, 항갈변제로 갈산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 조성물은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층 유화제 5 내지 20중량부, 수층 유화제 0.05 내지 2중량부, 및 항갈변제 0.05 내지 2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조성물의 제조방법.
  17. 제11항 내지 제16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항산화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8. 제11항 내지 제16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항산화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
  19. 제11항 내지 제16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항산화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90154479A 2019-11-27 2019-11-27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73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479A KR102273578B1 (ko) 2019-11-27 2019-11-27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479A KR102273578B1 (ko) 2019-11-27 2019-11-27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066A true KR20210066066A (ko) 2021-06-07
KR102273578B1 KR102273578B1 (ko) 2021-07-07

Family

ID=76374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479A KR102273578B1 (ko) 2019-11-27 2019-11-27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57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4202A (ko) * 2010-04-13 2011-10-19 (주)아모레퍼시픽 경피흡수용 고분자-리포좀 나노복합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160081976A1 (en) * 2014-09-18 2016-03-24 Virun, Inc. Formulations of water-soluble derivatives of vitamin e and soft gel compositions, concentrates and powders containing same
KR20170041407A (ko) * 2015-10-07 2017-04-17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및 피페린이 탑재된 지질 나노입자 및 그 제조방법
US20180369306A1 (en) * 2017-05-30 2018-12-27 Script Essentials,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memory loss and diminished cognition
WO2019027725A1 (en) * 2017-08-03 2019-02-07 Abbott Laboratories LIQUID NUTRITIONAL COMPOSITIONS COMPRISING GREEN TEA AND IRON EXTRAC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4202A (ko) * 2010-04-13 2011-10-19 (주)아모레퍼시픽 경피흡수용 고분자-리포좀 나노복합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160081976A1 (en) * 2014-09-18 2016-03-24 Virun, Inc. Formulations of water-soluble derivatives of vitamin e and soft gel compositions, concentrates and powders containing same
KR20170041407A (ko) * 2015-10-07 2017-04-17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및 피페린이 탑재된 지질 나노입자 및 그 제조방법
US20180369306A1 (en) * 2017-05-30 2018-12-27 Script Essentials,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memory loss and diminished cognition
WO2019027725A1 (en) * 2017-08-03 2019-02-07 Abbott Laboratories LIQUID NUTRITIONAL COMPOSITIONS COMPRISING GREEN TEA AND IRON EXTRA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3578B1 (ko) 202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38120C2 (ru) Экстракты зеленого чая с улучшенной биодоступностью
WO2006035900A1 (ja) コエンザイムq10含有乳化組成物
JP2002293736A (ja) メーラード反応阻害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
KR20180040534A (ko) 큰도꼬마리 어린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JP2014105210A (ja) 皮膚シワ生成の抑制及びシワ改善活性を有する白茶抽出物を含有する組成物
KR102273578B1 (ko)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81629A (ko) 오미자 증류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피부미백용 식품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89040A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55989B1 (ko) 가용화제를 첨가한 물을 추출용매로 이용한 유용성분이 증가된 메밀 종자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메밀 종자 추출물
KR101931611B1 (ko) 감귤 추출물 및 꿩의비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1447007B1 (ko) 디프테로카퍼스 옵터시포리어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조성물
JP5976271B2 (ja) リパーゼ阻害剤並びに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飲食品組成物及び医薬品組成物
JP2010184886A (ja) 新規化合物
KR102273583B1 (ko)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나노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A2907968A1 (en) 1,5-anhydro-d-glucitol-containing collagen production accelerator
KR101806220B1 (ko) 상추꽃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1844890B1 (ko) 고욤나무 잎 메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70059221A (ko) 복분자딸기의 잎 및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JP6105186B2 (ja) 膵リパーゼ阻害剤
KR102590758B1 (ko) 안토시아니딘 성분인 시아니딘, 델피니딘, 페튜니딘등을 함유한 빌베리 추출물의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JP2019182863A (ja) 肌のハリ又はうるおいの改善用組成物
KR101425047B1 (ko) 로도덴드론 알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US11235012B2 (en) Combination and use of red propolis and red algae
KR20180119234A (ko) 큰기름새 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용 조성물
Bordonaba et al. 14 Ribes and Rubus [Blackberry, Currants and Raspberry, et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